KR20150146348A -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6348A
KR20150146348A KR1020140111293A KR20140111293A KR20150146348A KR 20150146348 A KR20150146348 A KR 20150146348A KR 1020140111293 A KR1020140111293 A KR 1020140111293A KR 20140111293 A KR20140111293 A KR 20140111293A KR 20150146348 A KR20150146348 A KR 20150146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mask body
filter
fitting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1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9769B1 (ko
Inventor
원정희
김효선
김영현
이정래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PCT/KR2015/00506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194763A1/ko
Publication of KR20150146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6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4Couplings; Supporting fra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입과 코를 가릴 수 있는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일면에 결합되는 필터부; 및 상기 마스크 본체에 필터부를 탈부착 가능하게 하는 결합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스크{MASK}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지속적인 쾌적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착용시 마스크 본체와 필터부가 이탈되지 않는 필터 교체형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와 함께 중국의 산업화에 따른 화석연료의 연소 증가로 국내로 유입되는 미세먼지가 늘어나고 있어 미세먼지로의 노출이 가중되고 있다. 미세먼지는 다량의 유독성 화합물과 중금속을 포함하고 있으며, 사람이 흡입할시 심장마비, 천식, 기관지염, 폐렴, 폐암 등의 질병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 연구에 의하면 수도권에서만 미세먼지로 인하여 연간 2만여 명의 조기사망과 폐관련 질환이 발생하고 있다는 보고도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의 인체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마스크가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마스크는 착용자의 코와 입주변부를 덮는 마스크 본체와 착용자에게 마스크를 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되는 귀 걸이부와 코등 부분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입김에 의하여 안경에 김서림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코부로 구성된다. 미세먼지를 차단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마스크의 마스크 본체는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정전필터를 포함하며 정전필터와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정전필터는 일정기간 이상 착용하게 되면 필터의 기공이 막히게 되어 숨쉬기가 어려워진다. 그리고 마스크의 내부는 착용자의 입김에 의해 축축함과 세균 등이 번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마스크의 실시예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22088호에는 "항살균 마스크"를 개시한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359321호에는 "벨크로 인서팅 타입의 필터교환 방식 범용 합성수지 마스크, 이의 사출성형장치 및 제작방법"를 개시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속적인 쾌적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착용시 마스크 본체와 필터부가 이탈되지 않는 필터 교체형 마스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입과 코를 가릴 수 있는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일면에 결합되는 필터부; 및 상기 마스크 본체에 필터부를 탈부착 가능하게 하는 결합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 일면의 좌우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끼움수단; 및 상기 끼움수단에 대응하여 필터부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서 끼움수단이 대응하여 결합되는 끼움부가 구비된 연장부; 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수단은 단추이고, 끼움수단이 결합되는 끼움부는 끼움수단에 부합하는 절개 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 일면의 좌우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절개부를 가지는 결합부재; 및 상기 절개부에 대응하여 필터부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서 절개부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연장부; 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실리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톱니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 일면의 좌우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끼움고리; 및 상기 끼움고리에 대응하여 필터부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서 끼움고리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연장부; 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고리는 상기 마스크 본체와 동일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고리는 고무밴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의 말단은 상기 필터부의 연결부위 보다 폭이 큰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 의하면, 지속적인 쾌적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착용시 마스크 본체와 필터부가 이탈되지 않는 필터 교체형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필터부가 마스크 본체와 분리되지 않아 착용자가 미세먼지에 노출되어질 우려가 없다.
또한, 황사마스크 기준에 따라 평가한 결과 포집효율이 80% 이상이고, 흡기저항이 15mmH2O 이하이며, 누설률 25% 이하를 만족시키는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본체와 필터의 결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본체와 필터의 결합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본체와 필터의 결합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입과 코를 가릴 수 있는 마스크 본체(10)와, 마스크에 탈부착되는 필터부(20)와, 마스크 본체(10)에 필터부(20)를 탈부착 가능하게 하는 결합부(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마스크 본체(10)는, 내피와 외피로 이루어진 섬유, 또는 부직포로 제조된다. 여기서, 마스크 본체(10)의 내피는 착용자의 얼굴 쪽을 향하는 면을 의미하고, 마스크 본체(10)의 외피는 바깥쪽 면을 의미한다.
마스크 본체(10)는 착용자의 호흡기인 코와 입을 덮을 수 있도록 착용자의 얼굴에 부합하는 형태로 제작된다. 마스크 본체(10)는 착용자의 코와 밀착되는 코부(11)와, 마스크 본체(10)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귀 걸이부(13)를 포함한다. 귀 걸이부는 착용자의 귀에 걸 수 있도록 고리이다.
코부(11)는 알루미늄, 철심, 합성수지로 피복되어있는 철심, 스펀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일 수 있다.
귀 걸이부(13)는 끈 형태로서 나일론 등으로 이루어지며 탄성을 가지는 탄성실 일 수 있다. 귀 걸이부(13)는 마스크 본체(10)의 좌우 측면에 대칭으로 형성된다. 귀 걸이부(13)에는 스토퍼 등과 같은 귀 걸이부(13)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필터부(20)는, 결합부(30)에 의해 마스크 본체(10)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필터부(20)는 마스크 본체(10)에 부합되는 형태이다. 필터부(20)에도 마스크 본체(10)의 코부(11) 및 턱부(12)에 일치하는 코부 및 턱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필터부(20)는 외피와 내피로 싸여진 정전필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부(20)는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외피 부직포와 내피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부(20)는 정전기능이 부여되어진 멜트블로운(Meltblown) 부직포 필터 또는 나노섬유가 적용되어진 나노필터 등으로 이루어져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마스크 본체(10)의 코부(11)와 필터부(20)의 코부가 일치하면 필터부(20)와 마스크 본체(10)와 결합성이 향상되어 우수한 안면 밀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밀착감이 우수함에 따라 마스크 착용중 필터부(20)가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필터부(20)는 제3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마스크 필터의 제조와 생산이 용이한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결합부(30)에 의해 마스크 본체(10)에 필터부(20)를 탈부착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마스크 본체(10)에 도 2의 필터부(2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결합부(30)는 마스크 본체(10)의 일면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끼움수단(32)과 필터부(20) 좌우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31)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끼움수단(32)은 의복에 사용하는 단추(BUTTON)일 수 있다. 끼움부(311)는 마스크 본체(10)의 일면 좌우 가장자리에 부착된다. 끼움수단(32)은 연장부(31)에 구비된 끼움부(311)에 대응하여 끼워진다. 끼움수단(32)이 단추일 경우 끼움부(311)에 한번 끼워지면 마스크 착용자가 일부러 끼움수단(32)을 끼움부(311)에서 분리하지 않는 이상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연장부(31)는 필터부(20)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연장된다. 연장부(31)에는 끼움수단(32)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끼움부(311)가 구비된다. 끼움부(311)는 끼움수단(32)을 끼움 결합할 수 있는 절개 라인이다. 끼움부(311)는 끼움수단(32)이 쉽게 끼움될 수 있도록 끼움수단(32)보다는 큰 절개 라인으로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본체와 필터의 결합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결합부(30)를 제외하고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부(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10)에 구비되는 결합부재(33)와 필터부(20)에 구비되는 연장부(31)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결합부재(33)는 마스크 본체(10)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결합부재(33)는 실리콘일 수 있다. 결합부재(33)에는 절개부(331)가 구비된다. 절개부(331)는 일반적으로 일자 형태의 절개부(331)보다는 톱니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절개부(331)가 톱니 형태일 경우 지그재그의 절개 라인을 형성하기 때문에 일자 형태의 절개 라인보다 결합대상물을 지지하는 면적이 커 더욱 견고한 결합력을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재(33)가 탄성의 실리콘일 경우 마스크 착용자가 절개부(331)를 쉽게 벌려서 연장부(31)를 끼워 넣을 수 있다.
실리콘(SILICONE)은 중합의 정도에 따라 유상체, 고무모양, 수지 모양의 것이 만들어지고 있다. 섬유제품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은 기름과 같은 모양의 실리콘으로, 그 성상은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일이 적은 내열성과 산화되지 않는 내산화성, 각종 약품에 대한 저항성, 물에 대한 발수성이나 내수성, 전기의 절연성 등이 있는 것이 특색으로 이것들을 이용하여 섬유제품의 가공에 응용한다. 방수제로서는 피륙에 침투시켜서 가열하면 섬유와 강하게 결합되어 영구적인 방수성의 효과를 발휘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본체와 필터의 결합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결합부(30)는 제외하고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결합부(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10)에 구비되는 끼움고리(34)와 필터부(20)에 구비되는 연장부(31)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끼움고리(34)는 마스크 본체(10) 일면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된다. 끼움고리(34)는 마스크 본체(1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끼움고리(34)는 탄력적인 고무밴드일 수 있다. 끼움고리(34)는 평상시 마스크 본체(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연장부(31)를 끼움고리(34)에 밀어 넣으면 틈이 벌어져 이 틈 사이로 연장부(31)를 끼워 넣으면 된다. 끼움고리(34)는 탄성재질이기 때문에 연장부(31)를 밀어 넣은 후 마스크 본체(10) 쪽으로 밀착되면서 연장부(31)를 견고하게 지지한다.
이때, 연장부(31) 말단의 폭은 마스크 본체(10)의 연결부위 폭보다 크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연장부(31) 말단의 폭을 마스크 본체(10)의 연결부위 폭보다 폭을 크게하여 연장부(31)를 끼움고리(34)에 끼울 경우 연장부(31)가 쉽게 빠지지 않는다. 그리고 연장부(31)의 끝단은 반원형으로 형성하여 끼움고리(34)에 쉽게 끼울 수 있게 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마스크 본체(10)와 필터부(20)의 결합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필터부 결합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과 같이 필터부(20)를 마스크 본체(10)의 내측 면에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필터부(20)의 연장부(31)를 끼움수단(32)을 향하도록 바깥쪽으로 접는다. 연장부(31)가 끼움수단(32)에 위치되면 끼움수단(32)을 연장부(31)에 구비된 끼움부(311)에 끼운다. 끼움수단(32)은 단추 형태로서 끼움부(311)에 한번 끼워지면 견고한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끼움수단(32)이 끼움부(311)에 견고하게 끼움 됨에 따라 밀착감이 우수하고, 마스크를 착용하고 활동하더라도 필터부(20)가 마스크 본체(10)와 분리되지 않아 착용자를 미세먼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필터부 결합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와 같이 필터부(20)를 마스크 본체(10)의 내측 면에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필터부(20)의 연장부(31)를 결합부재(33)를 향하도록 바깥쪽으로 접는다. 연장부(31)가 결합부재(33)에 위치되면 연장부(31) 끝단을 절개부(331)에 밀어 넣는다. 결합부재(33)는 실리콘이고 절개부(331)는 톱니 형이므로 절개부(331)에 연장부(31) 끝단이 끼워지면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즉 절개부(331)는 지그재그의 절개 형태이므로 일자 형태의 절개 라인 보다 절개 라인의 면적이 크고 연장부(31)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향상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33)는 탄성의 실리콘 재질이기 때문에 절개부(331)를 쉽게 벌릴 수 있어 연장부(31)를 절개부(331)에 끼워 넣는 것이 매우 쉽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필터부 결합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와 같이 필터부(20)를 마스크 본체(10)의 내측 면에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필터부(20)의 연장부(31)를 끼움고리(34)를 향하도록 바깥쪽으로 접는다. 연장부(31)의 끝단이 끼움고리(34)에 위치하면 연장부(31)의 끝단을 끼움고리(34)에 밀어 넣어 결합한다. 이때, 끼움고리(34)는 탄성의 고무밴드이고 연장부(31)의 끝단은 반원형이므로 연장부(31)를 끼움고리(34)에 쉽게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31)의 말단은 마스크 본체(10)의 연결부보다 폭이 넓어 끼움고리(34)에 한번 끼워지면 쉽게 이탈하지 않는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필터부가 결합부에 의해 마스크 본체에 결합되어 밀착감이 우수하고 마스크 착용 후 움직임에 의해 필터부가 마스크 본체와 분리되지 않아 착용자가 미세먼지에 노출되어질 우려가 없다. 또한, 종래의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된 마스크 착용시 이물감과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필터부 교체형의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마스크로서 황사마스크 기준에 따라 평가한 결과 포집효율이 80% 이상이고 흡기저항이 15mmH2O 이하이며, 누설률 25% 이하를 만족시키는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마스크 본체 11:코부
12:턱부 13:귀 걸이부
20:필터부 30:결합부
31:연장부 32:끼움수단
33:결합부재 34:끼움고리
311:끼움부 331:절개부

Claims (10)

  1. 입과 코를 가릴 수 있는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일면에 결합되는 필터부; 및
    상기 마스크 본체에 필터부를 탈부착 가능하게 하는 결합부;
    를 포함하는 마스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 일면의 좌우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끼움수단; 및
    상기 끼움수단에 대응하여 필터부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서 끼움수단이 대응하여 결합되는 끼움부가 구비된 연장부;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끼움수단은 단추이고, 끼움수단이 결합되는 끼움부는 끼움수단에 부합하는 절개 라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 일면의 좌우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절개부를 가지는 결합부재; 및
    상기 절개부에 대응하여 필터부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서 절개부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연장부;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실리콘인 것은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톱니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 일면의 좌우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끼움고리; 및
    상기 끼움고리에 대응하여 필터부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서 끼움고리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연장부;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끼움고리는,
    상기 마스크 본체와 동일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끼움고리는,
    고무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말단은,
    상기 필터부의 연결부위 보다 폭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KR1020140111293A 2014-06-20 2014-08-26 마스크 KR102279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5061 WO2015194763A1 (ko) 2014-06-20 2015-05-20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039 2014-06-20
KR20140076039 2014-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348A true KR20150146348A (ko) 2015-12-31
KR102279769B1 KR102279769B1 (ko) 2021-07-20

Family

ID=55129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1293A KR102279769B1 (ko) 2014-06-20 2014-08-26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769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098A (ko) * 2016-08-30 2018-03-08 서병윤 커버 및 필터 교체식 마스크
KR20200008797A (ko) * 2018-07-17 2020-01-29 주식회사 휴먼퍼스트 마스크 끈 길이조절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끈 길이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KR20210000311U (ko) 2021-01-15 2021-02-09 김규태 안면 인식 마스크
KR102234573B1 (ko) * 2020-04-19 2021-03-30 윤봉한 귀아픔을 개선한 신축공이 형성된 일체형 마스크
KR20210052901A (ko) * 2019-11-01 2021-05-11 주식회사 휴먼퍼스트 마스크 귀끈 조절이 용이한 마스크 고정 고리 장치
KR102268803B1 (ko) * 2020-12-02 2021-06-24 배영진 마스크와 비말방지용 보안면의 착탈구조
KR102300197B1 (ko) * 2021-03-04 2021-09-09 주식회사 케이엔케이 다중결합구조를 갖는 메쉬 마스크
EP3900797A1 (de) * 2020-04-24 2021-10-27 Wolf PVG GmbH & Co. KG Atemschutzmaske
KR20220000293A (ko) * 2020-06-25 2022-01-03 (주)느루 리필형 마스크
KR20220144060A (ko) 2021-04-19 2022-10-26 김일권 가드부를 구비한 3d 마스크
KR20220144062A (ko) 2021-04-19 2022-10-26 김일권 가드부를 구비한 덴탈마스크
KR20220144064A (ko) 2021-04-19 2022-10-26 김일권 가드부를 구비한 마스크 제조방법
KR20220144061A (ko) 2021-04-19 2022-10-26 김일권 가드부를 구비한 2d 마스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8708A (ko) * 2007-03-30 2008-10-06 박경수 필터 삽입식 마스크
KR20090006183U (ko) * 2007-12-18 2009-06-23 김중구 마스크
JP4901142B2 (ja) * 2005-06-23 2012-03-21 花王株式会社 マスク
KR20130000983U (ko) * 2011-08-02 2013-02-13 효 김 데이비드 기능성 패션 마스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1142B2 (ja) * 2005-06-23 2012-03-21 花王株式会社 マスク
KR20080088708A (ko) * 2007-03-30 2008-10-06 박경수 필터 삽입식 마스크
KR20090006183U (ko) * 2007-12-18 2009-06-23 김중구 마스크
KR20130000983U (ko) * 2011-08-02 2013-02-13 효 김 데이비드 기능성 패션 마스크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098A (ko) * 2016-08-30 2018-03-08 서병윤 커버 및 필터 교체식 마스크
KR20200008797A (ko) * 2018-07-17 2020-01-29 주식회사 휴먼퍼스트 마스크 끈 길이조절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끈 길이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KR20210052901A (ko) * 2019-11-01 2021-05-11 주식회사 휴먼퍼스트 마스크 귀끈 조절이 용이한 마스크 고정 고리 장치
KR102234573B1 (ko) * 2020-04-19 2021-03-30 윤봉한 귀아픔을 개선한 신축공이 형성된 일체형 마스크
EP3900797A1 (de) * 2020-04-24 2021-10-27 Wolf PVG GmbH & Co. KG Atemschutzmaske
KR20220000293A (ko) * 2020-06-25 2022-01-03 (주)느루 리필형 마스크
KR102268803B1 (ko) * 2020-12-02 2021-06-24 배영진 마스크와 비말방지용 보안면의 착탈구조
KR20210000311U (ko) 2021-01-15 2021-02-09 김규태 안면 인식 마스크
KR102300197B1 (ko) * 2021-03-04 2021-09-09 주식회사 케이엔케이 다중결합구조를 갖는 메쉬 마스크
KR20220144060A (ko) 2021-04-19 2022-10-26 김일권 가드부를 구비한 3d 마스크
KR20220144062A (ko) 2021-04-19 2022-10-26 김일권 가드부를 구비한 덴탈마스크
KR20220144064A (ko) 2021-04-19 2022-10-26 김일권 가드부를 구비한 마스크 제조방법
KR20220144061A (ko) 2021-04-19 2022-10-26 김일권 가드부를 구비한 2d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769B1 (ko) 202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46348A (ko) 마스크
JP6974539B2 (ja) マスク
RU2664336C1 (ru) Респиратор, складываемый до плоского состояния
KR101455070B1 (ko) 탈착 가능한 마스크 패드가 구비된 두건
KR102159200B1 (ko) 길이조절 가능한 귀걸이 끈을 갖는 마스크
KR100936050B1 (ko) 다용도 방진 마스크
KR102326954B1 (ko) 마스크
KR102415360B1 (ko) 마스크
KR20190032897A (ko) 친환경 전통한지 마스크
KR20160035467A (ko) 마스크
KR20170090488A (ko) 호흡기 노우즈피스
JP2016059780A (ja) マスク
KR102502204B1 (ko) 마스크
KR200455880Y1 (ko) 방한 마스크
KR102348156B1 (ko) 마스크
KR101349936B1 (ko)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
CN213128106U (zh) 口罩
JP6541386B2 (ja) マスク
KR20160028203A (ko) 마스크
KR20210115290A (ko) 마스크
KR20170060464A (ko) 콧속내장필터를 포함하는 마스크
TW201521825A (zh) 具有呼出氣體導向薄片之口罩
KR100978112B1 (ko) 마스크
CN204444341U (zh) 一种高密合性可更换滤片口罩
JP3227454U (ja) 衛生マスク用アダプ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