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573B1 - 귀아픔을 개선한 신축공이 형성된 일체형 마스크 - Google Patents

귀아픔을 개선한 신축공이 형성된 일체형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573B1
KR102234573B1 KR1020200047084A KR20200047084A KR102234573B1 KR 102234573 B1 KR102234573 B1 KR 102234573B1 KR 1020200047084 A KR1020200047084 A KR 1020200047084A KR 20200047084 A KR20200047084 A KR 20200047084A KR 102234573 B1 KR102234573 B1 KR 102234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ring
cover
mask
integrated mask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봉한
Original Assignee
윤봉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봉한 filed Critical 윤봉한
Priority to KR1020200047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5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92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antimicrobial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 귀아픔을 개선한 신축공이 형성된 일체형 마스크는 귀걸이와 커버가 탄성을 갖는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져 귀걸이와 커버가 일체로 이루어진 일체형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신축성을 갖는 합성섬유 소재 또는 합성수지 소재의 원단으로 커버와 귀걸이공이 형성된 귀걸이가 일체로 이루어진 일체형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귀걸이의 경계 부위에 귀걸이의 신축성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키는 신축공을 형성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일체형 마스크를 장시간 착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귀아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고, 일체형 마스크의 얼굴 밀착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귀걸이에 작용하는 당김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필터부를 접착수단 없이도 탈부착할 수 있고,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고, 귀걸이로 인해 작용하는 당김을 상대적으로 줄이면서 밀착력은 상대적으로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통상의 일체형 마스크 제조 비용과 생산성을 유지하면서 위와 같은 효과를 발휘하는 일체형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귀아픔을 개선한 신축공이 형성된 일체형 마스크{Integral mask formed by elastic hole that improve ear pain}
본 발명은 호흡기 감염병 등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귀걸이와 커버가 탄성을 갖는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져 귀걸이와 커버가 일체로 이루어진 일체형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 비해 의과학의 발달, 보건의료 및 공중위생 환경의 개선, 정부의 공중보건학적 적극적 개입 등으로 감염병의 발생 총량은 획기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최근 들어 신종감염병이 출현하고 있어 사회의 방역목표가 유행 억제에서 퇴치로 전환되면서 감염병 예방의 공중보건학적, 사회경제적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5년 메르스 이후 감염병에 의한 국민들의 관심증대로 인한 사회경제적인 파급영향은 과거보다 휠씬 더 증가하였다고 할 수 있다. 2018년에도 콩고민주공화국 에볼라바이러스병 재유행, 인도 니파바이러스감염증 유행, 나이지리아 라싸열 유행 지속, 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 등 중동지역에서 메르스 1차 감염 및 2차 감염이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등 해외 신종 감염병 유입 위협이 지속되고 있고, 국내에서도 지카바이러스 유입 환자 발생, 15년 만의 콜레라 환자 발생, 가금류 농가에서의 AI 유행, 2018년 메르스 유입환자 발생 국내·외 감염병 관련 이슈가 지속되었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가 발생하였고, 코로나바이러스는 동물 및 사람에게 전파될 수 있는 바이러스로 그중 사람에게 전파가능한 사람 코로나바이러스는 기존에 6종이 알려져 있다.
이중 4종은 감기와 같은 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이며, 나머지 2종은 각각 MERS-CoV와 SARS-CoV로 알려져 있다.
이번 유행의 원인 바이러스는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 SARS-CoV-2)로 공개된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박쥐에서 유래된 바이러스와 89.1%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이와 같은 호흡기 감염병은 감염된 사람이 기침, 재채기를 했을 때 발생한 비말이 다른 사람의 호흡기로 들어가거나, 눈·코·입 등을 만질 때 손에 묻은 바이러스가 점막을 통해 침투하여 전염이 된다.
또는 감염된 사람의 비말이 물건 표면 등에 묻은 경우, 다른 사람이 이 물건을 만진 후 눈, 코, 입 등을 만지게 되면 점막을 통해 바이러스가 침투하여 전염이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호흡기 감염병이 발생한 경우, 사람 간에 접촉으로 인한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회적 거리두기 운동을 실시하고 있으며 외출을 자제하도록 하여 감염병이 전파되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다중이용시설에서는 손소독제를 비치하고, 다중이용시설을 이용하는 모든 사람들의 체온을 체크하며, 출입시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하고 올바른 손씻기를 철저히 수행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한편, 비말이 공기 중으로 전파되거나 호흡기로 비말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도 1 일반적인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마스크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코와 입을 포함하는 얼굴 하부 전체를 가릴 수 있는 커버(1)와 상기 커버(1)를 당겨서 얼굴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1)의 양측에 연결되는 귀걸이(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마스크는 얼굴에 밀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귀걸이(2)는 고무줄과 같은 탄성수단으로 하거나 커버(1)와 귀걸이(2)가 일체로 이루어진 마스크의 경우는 소정의 신축성을 갖는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된다.
따라서, 장시간 마스크를 사용하거나 얼굴 사이즈에 비해 작은 마스크를 사용하는 경우, 귀걸이(2)의 당김으로 인한 귀 부위의 계속적인 압박으로 귀아픔 문제가 발생하거나 두통이 야기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마스크를 지속적으로 사용해야만 하는 의료인, 학생, 대민 서비스 종사자들에게 있어서 귀걸이(2)의 당김으로 인한 통증 유발 문제는 마스크 사용에 있어서 큰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세탁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고 밀착성이 향상되도록 신축성을 갖는 합성수지 원단으로 커버(1)와 귀걸이(2)를 일체로 하여 이루어지는 일체형 마스크는 종래 1회용 마스크에 비해 장점이 많은 반면, 커버(1)와 귀걸이(2)가 일체로 이루어짐으로 인해 커버(1)의 밀착성을 유지하기 위한 신축성에 제한이 있는 관계로 귀걸이(2)에 의한 압박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발생하고, 이와 같은 상대적으로 큰 압박으로 인해 마스크 사용에 따른 통증 문제가 더 크게 야기되고 있다.
또한, 상기 귀걸이(2)의 귀걸이공(2-1)을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원형으로 형성하는데 이와 같은 귀걸이공(2-1)을 타원형으로 길게 형성하는 경우 당김을 상대적으로 줄여 귀아픔 내지 두통을 줄일 수 있는 반면 커버의 밀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밀착력을 유지하기 위해 귀걸이공(2-1)을 작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당김이 증가하여 귀아픔 내지 두통이 쉽게 유발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마스크의 귀걸이 부분에 작용하는 과도한 장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귀아픔 내지 두통 등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1 출원번호 10-2001-0010819호 발명의 명칭 '마스크'는 도 2 종래기술에 따른 마스크를 보인 도면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입가를 덮는 덮개부와, 해당 덮개부의 대향 양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귀걸이부로 이루어지는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부가 신장성을 갖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신장층과 탄성 신축성을 갖는 탄성층을 적층 일체화하여 이루어지는 탄성 신축 가능한 복합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와 같은 특징을 통해 종래기술1에 따른 마스크는 귀걸이부의 일부분만을 신축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일부분의 범위를 미리 넓게, 또는 좁게 설정해 둠으로써, 마스크 착용자가 귀걸이부의 장력을 자신에게 적합게 조정할 수 있다. 그 신축 용이한 일부분이 입가와 귀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정되면, 마스크 착용자의 이각 기부에서 귀걸이부가 신축하는 일은 없어 마스크의 착용감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2 출원번호 10-2006-0074457호 발명의 명칭 '일회용 마스크의 귀걸이부 및 그 제조 방법'은 상기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자의 코 및 입가에 대한 피복부와, 상기 피복부의 양측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귀걸이부를 가지며, 상기 귀걸이부가 열융착성 및 탄성 신축성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마스크의 귀걸이부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부는 하기 a 내지 d의 특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마스크의 귀걸이부: a. 단위 중량 80 g/㎡ 내지 130 g/㎡를 갖는 특성; b. 폴리올레핀계 권축 복합섬유 75 중량% 내지 25 중량%와 폴리에스테르계 권축 복합섬유 25 중량% 내지 75 중량%의 혼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특성; c. 상기 폴리올레핀계 및 폴리에스테르계 권축 복합섬유를 기계적으로 교락(交絡)시켜 부직포 형태를 유지하는 특성; 및 d. 50% 신장시의 신장 응력이 0.02 N/㎟ 내지 0.04 N/㎟이고, 50% 신장시의 초기 신장률이 2% 내지 10%인 특성을 갖고, 이와 같은 특징을 통해 종래기술2에 따른 마스크는 비교적 장시간 장착하여도 장착자가 귀에 아픔을 느끼거나 위화감을 느끼거나 하는 일이 적으며, 이에 따라 장시간에 걸쳐 소정의 마스크 유지력/신장 응력을 지속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위와 같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일체형 마스크는 귀아픔을 줄이기 위해 일체형 마스크의 귀걸이 부분을 커버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축성이 높은 소재를 이용하여 마스크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귀아픔 문제 등을 해결한다.
그러나, 위와 같이 서로 다른 소재 내지 복합소재를 이용하여 마스크를 제작하는 종래기술은 마스크의 생산비용 상승과 생산효율 저하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성을 갖도록 합성섬유 소재 내지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마스크에 있어서, 기존의 생산비용과 생산효율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하고, 밀착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장시간 마스크의 착용에도 귀아픔이 발생하지 않는 일체형 마스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신축성을 갖도록 합성섬유 내지 합성수지 소재로 전체가 이루어지고 일체형 마스크에 있어서, 생산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밀착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귀아픔을 방지할 수 있는 일체형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부착수단 없이 마스크필터를 탈부착할 수 있는 일체형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 귀아픔을 개선한 신축공이 형성된 일체형 마스크는 소정의 신축성을 갖는 합성섬유 소재 또는 합성수지 소재의 원단으로 커버와 귀걸이공이 형성된 귀걸이가 일체로 이루어진 일체형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귀걸이의 경계 부위에 귀걸이의 신축성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키는 신축공을 형성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귀아픔을 개선한 신축공이 형성된 일체형 마스크의 상기 신축공은 상기 커버와 귀걸이의 경계 부위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한 개씩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귀아픔을 개선한 신축공이 형성된 일체형 마스크는 상기 커버의 안쪽에 위치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신축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신축공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된 걸림편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편이 상기 신축공에 끼워져 상기 필터부가 상기 커버에 고정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귀아픔을 개선한 신축공이 형성된 일체형 마스크의 상기 커버와 귀걸이를 이루는 원단은 항균 기능을 갖는 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귀아픔을 개선한 신축공이 형성된 일체형 마스크는 신축성을 갖고 밴드 형상으로 일측은 일측 귀걸이의 후방에 연결되고, 타측은 타측 귀걸이의 후방에 연결되어 후두부에 밀착되며 상기 일측 귀걸이와 타측 귀걸이를 후두부 측으로 당기는 탄성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귀아픔을 개선한 신축공이 형성된 일체형 마스크의 상기 탄성밴드는 일체형 마스크의 착용시에 후두부를 가압하여 밀림을 방지하고 지압효과를 제공하는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귀아픔을 개선한 신축공이 형성된 일체형 마스크의 상기 귀걸이공은 커버에서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확대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일체형 마스크를 장시간 착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귀아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체형 마스크의 얼굴 밀착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귀걸이에 작용하는 당김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체형 마스크에 부가되는 필터부를 접착수단 없이도 탈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균 기능을 갖는 원단을 소재로 하여 일체형 마스크에서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밴드를 통해 귀걸이로 인해 작용하는 당김을 상대적으로 줄이면서 밀착력은 상대적으로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밴드에 형성된 돌기를 통해 탄성밴드의 밀림을 방지하고, 탄성밴드에 의해 후두부 부위를 지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상의 일체형 마스크 제조 비용과 생산성을 유지하면서 위와 같은 효과를 발휘하는 일체형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마스크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 귀아픔을 개선한 신축공이 형성된 일체형 마스크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 귀아픔을 개선한 신축공이 형성된 일체형 마스크의 신축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 귀아픔을 개선한 신축공이 형성된 일체형 마스크의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 귀아픔을 개선한 신축공이 형성된 일체형 마스크의 탄성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 귀아픔을 개선한 신축공이 형성된 일체형 마스크는 상기 도 1 내지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1)와 귀걸이(2)가 일체로 이루어진 일체형 마스크에 해당하는 것으로 소정의 신축성을 갖는 합성섬유 소재 또는 합성수지 소재의 원단으로 이루어진다.
즉, 신축성을 갖는 합성섬유 소재 또는 합성수지 소재 원단을 마스크 형상을 갖도록 커버(1)와 귀걸이(2)가 형성되도록 형상으로 절단하고 필요에 따라 합성섬유 소재나 합성수지 소재를 봉합하는 다양한 기술을 통해 일체형 마스크를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마스크를 형성하는 원단 역시 통상적으로 일체형 마스크를 제작하기 위해 이용되는 신축성을 갖는 다양한 소재의 원단이 될 수 있고 어느 한정된 소재의 원단에 국한되지 않는다.
다만, 항균 성능을 부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마스크에 이용되는 원단은 항균 기능을 갖는 원사로 제작된 원단이거나, 항균성 물질이 코팅된 원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항균 물질인 은나노 물질을 이용한 원사를 포함하는 원단이나 은나노 물질이 코팅된 원단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 귀아픔을 개선한 신축공이 형성된 일체형 마스크는 귀걸이로 인한 귀아픔 내지 두통을 줄이기 위한 발명은 귀아픔 내지 두통의 원인인 과도한 귀당김을 줄이기 위한 수단으로 도 3 본 발명 귀아픔을 개선한 신축공이 형성된 일체형 마스크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공(1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마스크(100)는 상기 커버와 귀걸이의 경계 부위(110)에 귀걸이(2)의 신축성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키는 신축공(10)을 형성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신축공(10)은 커버(1)와 귀걸이(2)를 이루는 원단이 갖는 물리적 신축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경계 부위(110)에 신축공(10)을 부가함으로 인해 경계 부위(110)의 신축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어 결국 귀걸이(2)이 작용하는 장력을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착용자의 귀에 작용하는 힘 즉 귀당김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신축공(10)은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와 귀걸이(2)의 경계 부위(110)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한 개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한개의 신축공(10)을 형성하거나 필요시 2개 이상의 신축공(10)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신축공(10)은 도 4 본 발명 귀아픔을 개선한 신축공이 형성된 일체형 마스크의 신축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신축공(10)의 직경은 커버(1)와 귀걸이(2)의 경계 부위 중 가장 근접한 수직 경계면과의 거리(L)에 0.5배 ~ 1.5배의 크기로 형성된다.
즉, 신축공(10)이 형성되는 위치는 경계 부위(110) 중에서 최소 신축공(10)의 직경의 0.5배 이상의 폭(거리, L)이 형성될 수 있는 위치가 된다.
예를 들어, 신축공(10)의 직경이 1 cm 라면, 경계 부위(110)에서 수직 경계면과의 거리(L, 폭)가 최소 0.5 cm 에서 1.5 cm 가 형성되는 위치에 신축공(10)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계 부위(110)의 폭이 귀걸이(2) 방향으로 갈수록 줄어든다면, 신축공(10)의 직경 역시 귀걸이(2) 쪽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귀걸이(2)를 형성하는 귀걸이공(2-1)을 커버(1)에서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확대되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경계 부위(110)의 폭을 넓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1)와 귀걸이(2)의 경계를 이루는 경계 부위(110)의 폭을 상기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원형태의 귀걸이공(2-1)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할 수 있고, 이렇게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는 경계 부위(110)로 인해 커버(1)와 안면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고, 높은 밀착력으로 비말 등이 공기 중으로 확산되거나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마스크(100)는 도 5 본 발명 귀아픔을 개선한 신축공이 형성된 일체형 마스크의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1)의 안쪽에 위치하여 미세먼지 등을 필터링하는 필터부(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120)는 상기 신축공(10)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신축공(10)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된 걸림편(122)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편(122)이 상기 신축공(10)에 끼워져 상기 필터부(120)가 상기 커버(1)에 고정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재활용이 되는 일체형 마스크의 경우, 커버(1)의 안쪽에 미세먼지 등을 필터링하는 필터부(120)를 부가하여 사용하는데, 필터부(120)와 일체형 마스크의 부착은 양면 접착수단과 같은 수단을 이용하고 있으나 쉽게 떨어지거나 화학제품 냄새가 나는 문제도 있고 접착수단에 이용하는 화학물질을 호흡할 문제도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공(10)에 끼워지는 걸림편(122)을 필터부(120)에 형성하여 상기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마스크(100)에 체결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걸림편(122)이 형성된 필터부(120)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마스크(100)에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마스크(100)의 착용시 필터부(120)가 흔들리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마스크(100)는 도 6 본 발명 귀아픔을 개선한 신축공이 형성된 일체형 마스크의 탄성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성을 갖고 밴드 형상으로 일측은 일측 귀걸이(2-L)의 후방에 연결되고, 타측은 타측 귀걸이(2-R)의 후방에 연결되어 후두부에 밀착되며 상기 일측 귀걸이(2-L)와 타측 귀걸이(2-R)를 후두부 측으로 당기는 탄성밴드(130)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탄성밴드(130)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마스크(100)의 착용시 탄성밴드(130)와 연결된 일측 귀걸이(2-L)와 타측 귀걸이(2-R)를 당김으로 인해 커버(1)의 신축성에 의해 앞쪽으로 당겨지는 것을 후두부 측으로 탄성밴드(130)로 당김으로써 밀착성을 더욱 증가시키면서 귀걸이(2)가 귀에 압박하는 것을 경감시킨다.
또한, 이와 탄성밴드(130)는 상기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마스크(100)의 착용시에 후두부를 가압하여 밀림을 방지하고 지압효과를 제공하는 돌기(132)를 더 포함하고, 귀걸이(2)를 감싸면서 연결될 수 있는 체결부(13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132)는 금속 소재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탄성밴드(130)의 압박력으로 후두부를 지압할 수 있도록 하고, 격렬한 움직임 등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마스크(100)가 움직일 수 없도록 고정하는 역할도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134)는 체결과 분리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체결수단이 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금속판과 자석으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커버
2 : 귀걸이
10 : 신축공
100 :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마스크
110 : 경계 부분
120 : 필터부
122 : 걸림편
130 : 탄성밴드
132 : 돌기
134 : 체결부

Claims (7)

  1. 항균 기능을 갖는 소재로 소정의 신축성을 갖는 합성섬유 소재 또는 합성수지 소재의 원단으로 커버와 귀걸이공이 형성된 귀걸이가 일체로 이루어진 일체형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귀걸이의 경계 부위에 귀걸이의 신축성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키는 신축공을 형성하되, 상기 신축공은 상기 커버와 귀걸이의 경계 부위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한 개씩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안쪽에 위치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신축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신축공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된 걸림편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편이 상기 신축공에 끼워져 상기 필터부가 상기 커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아픔을 개선한 신축공이 형성된 일체형 마스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신축성을 갖고 밴드 형상으로 일측은 일측 귀걸이의 후방에 연결되고, 타측은 타측 귀걸이의 후방에 연결되어 후두부에 밀착되며 상기 일측 귀걸이와 타측 귀걸이를 후두부 측으로 당기는 탄성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아픔을 개선한 신축공이 형성된 일체형 마스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는
    일체형 마스크의 착용시에 후두부를 가압하여 밀림을 방지하고 지압효과를 제공하는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아픔을 개선한 신축공이 형성된 일체형 마스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공은
    커버에서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아픔을 개선한 신축공이 형성된 일체형 마스크.
KR1020200047084A 2020-04-19 2020-04-19 귀아픔을 개선한 신축공이 형성된 일체형 마스크 KR102234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084A KR102234573B1 (ko) 2020-04-19 2020-04-19 귀아픔을 개선한 신축공이 형성된 일체형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084A KR102234573B1 (ko) 2020-04-19 2020-04-19 귀아픔을 개선한 신축공이 형성된 일체형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573B1 true KR102234573B1 (ko) 2021-03-30

Family

ID=75265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084A KR102234573B1 (ko) 2020-04-19 2020-04-19 귀아픔을 개선한 신축공이 형성된 일체형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5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4382A (ko) 2022-03-14 2023-09-21 임레진아 마스크 걸이가 형성된 머리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3153A (ko) * 2007-09-28 2009-04-01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마스크
JP2011115463A (ja) * 2009-12-04 2011-06-16 Azuma Industrial Co Ltd 就寝用衛生マスク
KR20150146348A (ko) * 2014-06-20 2015-12-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스크
KR20160035467A (ko) * 2014-09-23 2016-03-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스크
KR102012157B1 (ko) * 2019-04-16 2019-08-19 김강권 신축밴드가 구비된 밀착형 마스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3153A (ko) * 2007-09-28 2009-04-01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마스크
JP2011115463A (ja) * 2009-12-04 2011-06-16 Azuma Industrial Co Ltd 就寝用衛生マスク
KR20150146348A (ko) * 2014-06-20 2015-12-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스크
KR20160035467A (ko) * 2014-09-23 2016-03-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스크
KR102012157B1 (ko) * 2019-04-16 2019-08-19 김강권 신축밴드가 구비된 밀착형 마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4382A (ko) 2022-03-14 2023-09-21 임레진아 마스크 걸이가 형성된 머리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74539B2 (ja) マスク
US7077139B2 (en) Disposable face mask
US8375949B2 (en) Sanitary mask for the protection of others
US20150314148A1 (en) Facemask With Filter Insert For Protection Against Airborne Pathogens
JP2013188281A (ja) マスク補助部材、マスク及び挿入部材
KR102377040B1 (ko) 조립형 투명 마스크
WO2010079626A1 (ja) マスク
KR102234573B1 (ko) 귀아픔을 개선한 신축공이 형성된 일체형 마스크
WO2017011784A1 (en) Facemask with filter insert for protection against airborne pathogens
US20220062670A1 (en) Multiple Layer Mask
KR20150126099A (ko) 자유변형에 의한 형상유지 마스크
KR20210002546U (ko) 필터 교환형 미세먼지 마스크
US11678702B2 (en) Face mask
CN212754370U (zh) 附有简易护目镜的口罩组合构造
PL433879A1 (pl) Maska ochronna twarzy
KR20210108910A (ko) 흡착 기능이 강화된 마스크 및 흡습용 피부 부착 필름
KR20170005734A (ko) 일회용 방독 마스크
JP2016176165A (ja) マスク
PL433964A1 (pl) Ochronna półmaska filtrująca
CN213247060U (zh) 一种感染科用隔离防护面罩
CN211960997U (zh) 一种耳带式口罩护耳装置及口罩
RU205009U1 (ru) Маска для защиты дыхательных путей
CN212036135U (zh) 一种口罩
CN213639756U (zh) 一种方便摘戴的医用口罩
KR20210115159A (ko) 탈착 고정클립을 구비한 필터부재 교체형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