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293A - 리필형 마스크 - Google Patents

리필형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293A
KR20220000293A KR1020200078060A KR20200078060A KR20220000293A KR 20220000293 A KR20220000293 A KR 20220000293A KR 1020200078060 A KR1020200078060 A KR 1020200078060A KR 20200078060 A KR20200078060 A KR 20200078060A KR 20220000293 A KR20220000293 A KR 20220000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lter
fixed
opening
en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9151B1 (ko
Inventor
김재일
Original Assignee
(주)느루
김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느루, 김재일 filed Critical (주)느루
Priority to KR1020200078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151B1/ko
Publication of KR20220000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사람의 호흡기를 가릴 수 있도록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시트 형상의 몸체; 몸체의 양측 부분에 연결되어 사람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는 한 쌍의 착용 끈; 몸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의 내측면에 위치되는 필터; 및 각각 필터의 일부를 통과하여, 양종단 부분이 몸체에 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의 고정 몸체를 포함하되, 한 쌍의 고정 몸체가 각각 필터를 통과하여 몸체에 결합될 때, 필터는 몸체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필형 마스크{Refillable mask}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리필형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는 먼지, 세균 또는 바이러스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입 및 코를 막는 데에 이용된다. 이러한 마스크는 용도에 따라 상이한 필터의 종류 또는 재질을 가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입이나 코 등과 같은 호흡기를 막아주면서 필터 기능을 갖는 몸체, 및 몸체의 양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귀, 머리, 목 등에 걸 수 있도록 이루어진 끈을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는 부직포로 제조되고, 끈은 나일론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마스크에는 금속으로 제조된 코받침, 합성수지로 제조된 연결고리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대기 오염은 황사 현상, 미세먼지 농도 증가 등을 초래하여, 마스크는 사람들에게 의해 빈번하게 착용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 19 등과 같은 팬데믹으로 인하여 마스크는 사람들이 항상 착용하여 생활 필수품이 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마스크는 일정 기간 동안 착용된 이후에 폐기되는 형태로 처리되고 있다. 하지만, 마스크에서 몸체, 끈, 코받침, 연결 고리 등은 각각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져, 분리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마스크는 그 일부라도 재활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사용된 마스크는 그대로 매립되거나 소각되는 형태로 폐기되고 있어, 환경 오염을 유발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마스크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 이후에 세탁하여 재사용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마스크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면서 견고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마스크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 이후 처리에 따른 환경 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마스크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사람의 호흡기를 가릴 수 있도록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시트 형상의 몸체; 몸체의 양측 부분에 연결되어 사람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는 한 쌍의 착용 끈; 몸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의 내측면에 위치되는 필터; 및 각각 필터의 일부를 통과하여, 양종단 부분이 몸체에 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의 고정 몸체를 포함하되, 한 쌍의 고정 몸체가 각각 필터를 통과하여 몸체에 결합될 때, 필터는 몸체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몸체는, 고정 몸체의 제 1 종단 부분에 위치되는 제 1 고정 부재; 및 고정 몸체의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 부분에서 제 1 고정 부재와 동일면 상에 위치되는 제 2 고정 부재를 포함하되, 필터의 양측 부분에는 고정 몸체가 통과될 수 있는 한 쌍의 고정 개구가 형성되고, 각각 고정 개구보다 필터의 양측 종단에 인접하도록 한 쌍의 보조 개구가 형성되며, 몸체의 내측면에는 필터의 고정 개구 및 보조 개구의 각각에 대응되도록 제 1 몸체 부재 및 제 2 몸체 부재가 위치되고, 필터가 몸체의 내측면에 위치될 때, 제 1 고정 부재는 고정 개구를 통해 제 1 몸체 부재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 2 고정 부재는 보조 개구를 통해 제 2 몸체 부재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몸체는, 고정 몸체의 제 1 종단 부분에 위치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되, 고정 몸체의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 부분은 몸체의 내측면에 연결부를 형성하여 결합되며, 필터의 양측 부분에는 고정 몸체가 통과될 수 있는 한 쌍의 고정 개구가 형성되고, 각각 고정 개구보다 필터의 양측 종단에 인접하도록 한 쌍의 보조 개구가 형성되며, 몸체의 내측면에는 필터의 고정 개구 및 보조 개구의 각각에 대응되도록 연결부 및 몸체 부재가 위치되고, 필터가 몸체의 내측면에 위치될 때, 고정 몸체는 고정 개구를 통과하고, 고정 부재는 보조 개구를 통해 몸체 부재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몸체는, 고정 몸체의 제 1 종단 부분에 위치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되, 고정 몸체의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 부분은 몸체의 내측면에 연결부를 형성하여 결합되며, 필터의 양측 부분에는 고정 몸체가 통과될 수 있는 한 쌍의 고정 개구가 형성되고, 몸체의 내측면에는 필터의 고정 개구에 대응하도록 몸체 부재가 위치되고, 연결부의 양측 종단 근처에 위치되며, 필터가 몸체의 내측면에 위치될 때, 고정 몸체는 필터를 덮고 고정 부재는 고정 개구를 통해 몸체 부재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몸체는, 고정 몸체의 제 1 종단 부분에 위치되는 제 1 고정 부재; 및 고정 몸체의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 부분에서 제 1 고정 부재와 동일면 상에 위치되는 제 2 고정 부재를 포함하되, 필터의 양측 부분에는 고정 몸체가 통과될 수 있는 한 쌍의 고정 개구가 형성되며, 몸체의 내측면에는 필터의 고정 개구에 대응되도록 제 1 몸체 부재가 위치되고, 몸체의 외측면에는 제 1 몸체 부재에 대응되도록 제 2 몸체 부재가 위치되며, 필터가 몸체의 내측면에 위치될 때, 제 1 고정 부재는 고정 개구를 통해 제 1 몸체 부재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고정 몸체는 몸체의 내측면 및 몸체의 외측면에 걸쳐 위치되며, 제 2 고정 부재는 제 2 몸체 부재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몸체는, 고정 몸체의 제 1 종단 부분에 위치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되, 고정 몸체의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 부분은 몸체의 내측면에 연결부를 형성하여 결합되고, 필터의 양측 부분에는 고정 몸체가 통과될 수 있는 한 쌍의 고정 개구가 형성되며, 몸체의 내측면에는 필터의 고정 개구에 대응되도록 연결부가 위치되고, 몸체의 외측면에는 연결부에 대응되도록 몸체 부재가 위치되며, 필터가 몸체의 내측면에 위치될 때, 연결부는 고정 개구에 대응되고, 고정 몸체는 고정 개구를 통과하여 몸체의 내측면 및 몸체의 외측면에 걸쳐 위치되며, 고정 부재는 몸체 부재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마스크는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마스크가 사용된 이후에도 세탁되어 재사용될 수 있다
(2) 필터가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고, 견고하게 배치될 수 있다.
(3) 사용 이후에 마스크의 처리에 따른 환경 오염이 감소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고정 몸체가 몸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고정 몸체가 다른 형태로 몸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변형된 고정 몸체가 몸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변형된 고정 몸체가 다른 형태로 몸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의 고정 몸체(104)가 몸체(101)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의 고정 몸체(104)가 다른 형태로 몸체(101)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의 변형된 고정 몸체(104)가 몸체(101)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의 변형된 고정 몸체(104)가 다른 형태로 몸체(101)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는 몸체(101), 착용 끈(102), 필터(103) 및 고정 몸체(104)를 포함하고, 착용자의 호흡기를 가린 상태에서 착용자에 착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몸체(101) 및 필터(103)의 내측면은 착용자가 마스크(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몸체(101) 및 필터(103)에서 착용자와 마주하는 면을 의미할 수 있고, 몸체(101) 및 필터(103)의 외측면은 착용자가 마스크(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몸체(101) 및 필터(103)의 내측면의 반대편이어서 착용자와 마주하지 않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몸체(101)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착용자의 호흡기를 가릴 수 있도록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101)는 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등으로 제조된 섬유일 수 있고, 공기 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몸체(101)는 상기와 같은 섬유로 이루어지기에, 오염된 상태에서 세탁될 수 있고, 세탁되어 건조된 이후에 재사용될 수도 있다.
착용 끈(102)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 선 형태로 이루어지고, 몸체(101)의 양측 부분의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착용 끈(102)의 양종단은 몸체의 양측 부분의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몸체(101)가 착용자의 호흡기를 가린 상태에서, 착용 끈(102)은 각각 착용자의 귀에 걸려 몸체(101)를 착용자의 호흡기를 가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착용 끈(102)의 각각에는 조절 부재(121)가 위치될 수 있다. 각각의 착용 끈(102)의 일부는 포개진 상태로 조절 부재(121)를 통과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절 부재(121)가 착용 끈(102)을 따라 이동하여, 착용 끈(102)에서 조절 부재(121)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특히, 조절 부재(121)는 몸체(101)와 조절 부재(121) 사이의 착용 끈(10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절 부재(121)는 착용자에 맞는 몸체(101)와 조절 부재(121) 사이의 착용 끈(102)의 길이를 갖도록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자가 몸체(101)와 조절 부재(121) 사이의 착용 끈(102)에 의한 영역에 귀를 삽입함으로써, 착용 끈(102)은 착용자의 귀에 걸릴 수 있다. 여기서, 조절 부재(121)는 착용 끈(102)을 따라 착용자에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착용 끈(102)은 견고하게 착용자의 귀에 걸릴 수 있다.
필터(103)는 몸체(101)에 대응되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101)의 내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필터(103)는 공기 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지면서, 미세 먼지, 바이러스, 세균 등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필터(103)는 몸체(101)와 조합한 정전기 작용에 의해 몸체(101)의 내측면에 위치될 수 있고, 몸체(101)의 내측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도 있다.
또한, 필터(103)에는 고정 개구(103a) 및 보조 개구(103b)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 개구(103a)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필터(103)의 양측 부분에 형성되어 상호 간에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개구(103a)의 내측면은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도 2 참조).
보조 개구(103b)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필터(103)의 양측 종단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개구(103b)는 고정 개구(103a)보다 필터(103)의 양측 종단에 인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보조 개구(103b)들 사이의 간격은 고정 개구(103a)들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보조 개구(103b)는 필터(103)의 양측 종단을 포함한 형태로 형성되어, 보조 개구(103b)의 내측면은 개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도 2 참조). 보조 개구(103b)의 내측면은 폐곡선을 형성할 수도 있다.
고정 몸체(104)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 밴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몸체(104)가 필터(103)의 일부, 특히 고정 개구(103a)를 통과한 상태에서, 고정 몸체(104)의 양종단 부분은 각각 몸체(101)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필터(103)는 고정 몸체(104)에 의해 몸체(101)의 내측면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고정 몸체(104)의 양종단 부분 중 적어도 하나가 몸체(101)로부터 분리되면, 필터(103)는 고정 몸체(104)로부터 분리되면서 몸체(101)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몸체(10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필터(103)의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몸체(104)는 제 1 고정 부재(141) 및 제 2 고정 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101)의 내측면에는 제 1 고정 부재(141) 및 제 2 고정 부재(143)에 대응하도록 제 1 몸체 부재(111) 및 제 2 몸체 부재(113)가 위치될 수 있다. 제 1 고정 부재(141) 및 제 2 고정 부재(143)는 각각 제 1 몸체 부재(111) 및 제 2 몸체 부재(113)와 조합하여 고정 몸체(104)를 몸체(101)의 내측면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제 1 고정 부재(141)는 고정 몸체(104)의 제 1 종단 부분에 위치될 수 있고, 제 2 고정 부재(143)는 고정 몸체(104)의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고정 몸체(104)의 제 2 종단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고정 부재(141) 및 제 2 고정 부재(143)는 고정 몸체(104)의 동일면 상에서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필터(103)가 몸체(101)의 내측면에 위치될 때, 고정 개구(103a) 및 보조 개구(103b)는 각각 제 1 몸체 부재(111) 및 제 2 몸체 부재(113)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고정 부재(141)는 고정 개구(103a)를 통해 제 1 몸체 부재(111)에 대응되어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제 2 고정 부재(143)는 보조 개구(103b)를 통해 제 2 몸체 부재(113)에 대응되어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고정 몸체(104)는 필터(103)를 몸체(101)의 내측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고정 부재(141)와 제 1 몸체 부재(111)는 벨크로를 구성하도록 상호 간에 조합될 수 있고, 제 2 고정 부재(143)는 제 2 몸체 부재(113)는 벨크로를 구성하도록 상호 간에 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몸체(104)는 고정 개구(103a)를 통과하여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고정 부재(141)와 제 1 몸체 부재(111)는 똑딱 단추를 구성하도록 상호 간에 조합될 수 있고, 제 2 고정 부재(143)는 제 2 몸체 부재(113)는 똑딱 단추를 구성하도록 상호 간에 조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몸체(104)는 고정 부재(14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101)의 내측면에는 고정 부재(145)에 대응하도록 몸체 부재(115)가 위치될 수 있다.
고정 부재(145)는 고정 몸체(104)의 제 1 종단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몸체(104)의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고정 몸체(104)의 제 2 종단 부분은 연결부(110)를 형성하면서 몸체(101)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110)는 고정 몸체(104)의 제 2 종단 부분과 몸체(101)의 내측면의 봉제 작업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부재(115)는 몸체(101)의 양측 종단 근처의 몸체(101)의 내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110)는 몸체 부재(115)로부터 이격되도록 몸체(101)의 내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필터(103)가 몸체(101)의 내측면에 위치될 때, 고정 개구(103a) 및 보조 개구(103b)는 각각 연결부(110) 및 몸체 부재(115)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몸체(104)가 고정 개구(103a)를 통과하여, 고정 부재(145)는 보조 개구(103b)를 통해 몸체 부재(115)에 대응되어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고정 몸체(104)는 필터(103)를 몸체(101)의 내측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c)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10)는 몸체(101)의 양측 종단 근처의 몸체(101)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 부재(115)는 연결부(110)로부터 이격되도록 몸체(101)의 내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10)는 몸체(101)의 양측 종단에 연결될 수도 있고, 필터(103)에는 보조 개구(103b)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필터(103)가 몸체(101)의 내측면에 위치될 때, 고정 개구(103a)는 몸체 부재(115)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몸체(104)는 필터(103) 상에 위치되고, 고정 부재(145)는 고정 개구(103a)를 통해 몸체 부재(115)에 대응되어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고정 몸체(104)는 필터(103)를 몸체(101)의 내측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a)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145)와 몸체 부재(115)는 벨크로를 구성하도록 상호 간에 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몸체(104)는 고정 개구(103a)를 통과하여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b)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145)와 몸체 부재(115)는 똑딱 단추를 구성하도록 상호 간에 조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몸체(104)는 제 1 고정 부재(141) 및 제 2 고정 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101)의 내측면에는 제 1 고정 부재(141)에 대응하도록 제 1 몸체 부재(111)가 위치될 수 있고(도 5(a) 참조), 몸체(101)의 외측면에는 제 2 고정 부재(143)에 대응하도록 제 2 몸체 부재(113)가 위치될 수 있다(도 5(b) 참조). 여기서, 제 1 몸체 부재(111) 및 제 2 몸체 부재(113)는 상호 간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고정 부재(141) 및 제 2 고정 부재(143)는 각각 제 1 몸체 부재(111) 및 제 2 몸체 부재(113)와 조합하여 고정 몸체(104)를 몸체(101)의 내측면 및 몸체(101)의 외측면에 연결할 수 있다.
제 1 고정 부재(141)는 고정 몸체(104)의 제 1 종단 부분에 위치될 수 있고, 제 2 고정 부재(143)는 고정 몸체(104)의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고정 몸체(104)의 제 2 종단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고정 부재(141) 및 제 2 고정 부재(143)는 고정 몸체(104)의 동일면 상에서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필터(103)가 몸체(101)의 내측면에 위치될 때, 고정 개구(103a)는 제 1 몸체 부재(111)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고정 부재(141)는 고정 개구(103a)를 통해 제 1 몸체 부재(111)에 대응되어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몸체(104)는 몸체(101)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 걸쳐 위치되고, 제 2 고정 부재(143)를 제 2 몸체 부재(113)에 대응시켜 분리가능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고정 몸체(104)는 필터(103)를 몸체(101)의 내측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고정 부재(141)와 제 1 몸체 부재(111)는 똑딱 단추를 구성하도록 상호 간에 조합될 수 있고, 제 2 고정 부재(143)와 제 2 몸체 부재(113)는 똑딱 단추를 구성하도록 상호 간에 조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 1 고정 부재(141)와 제 1 몸체 부재(111)는 벨크로를 구성하도록 상호 간에 조합될 수 있고, 제 2 고정 부재(143)와 제 2 몸체 부재(113)는 벨크로를 구성하도록 상호 간에 조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몸체(104)는 고정 부재(145)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145)는 고정 몸체(104)의 제 1 종단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몸체(104)의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고정 몸체(104)의 제 2 종단 부분은 연결부(110)를 형성하면서 몸체(101)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도 6(a) 참조). 여기서, 연결부(110)는 고정 몸체(104)의 제 2 종단 부분과 몸체(101)의 내측면의 봉제 작업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101)의 외측면에는 고정 부재(145)에 대응하도록 몸체 부재(115)가 위치될 수 있고, 몸체 부재(115)는 연결부(110)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도 6(b) 참조).
필터(103)가 몸체(101)의 내측면에 위치될 때, 고정 개구(103a)는 연결부(110)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몸체(104)는 고정 개구(103a)를 통과하여, 필터(103)의 일부를 덮으면서 몸체(101)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 걸쳐 위치되고, 제 2 고정 부재(143)를 제 2 몸체 부재(113)에 대응시켜 분리가능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고정 몸체(104)는 필터(103)를 몸체(101)의 내측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145)와 몸체 부재(115)는 벨크로를 구성하도록 상호 간에 조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고정 부재(145)와 몸체 부재(115)는 똑딱 단추를 구성하도록 상호 간에 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는 필터(103)를 몸체(101)의 내측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 몸체(104)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몸체(104)의 일부가 몸체(101)로부터 분리됨으로써, 필터(103)는 몸체(10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필터(103)의 분리가 이루어진 몸체(101)에는 새로운 필터(103)가 위치되어 고정 몸체(10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는 미세 먼지, 바이러스, 세균 등을 차단할 수 있는 필터(103)를 견고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면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에서 필터(103)만이 교체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재사용될 수 있다. 필터(103)가 분리된 상태의 마스크(100)는 세탁된 이후에 재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는 사용된 이후 처리에 따른 환경 오염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리필형 마스크
101: 몸체
102: 착용 끈
103: 필터
104: 고정 몸체

Claims (6)

  1. 사람의 호흡기를 가릴 수 있도록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시트 형상의 몸체;
    몸체의 양측 부분에 연결되어 사람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는 한 쌍의 착용 끈;
    몸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의 내측면에 위치되는 필터; 및
    각각 필터의 일부를 통과하여, 양종단 부분이 몸체에 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의 고정 몸체를 포함하되,
    한 쌍의 고정 몸체가 각각 필터를 통과하여 몸체에 결합될 때, 필터는 몸체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 몸체는,
    고정 몸체의 제 1 종단 부분에 위치되는 제 1 고정 부재; 및
    고정 몸체의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 부분에서 제 1 고정 부재와 동일면 상에 위치되는 제 2 고정 부재를 포함하되,
    필터의 양측 부분에는 고정 몸체가 통과될 수 있는 한 쌍의 고정 개구가 형성되고, 각각 고정 개구보다 필터의 양측 종단에 인접하도록 한 쌍의 보조 개구가 형성되며,
    몸체의 내측면에는 필터의 고정 개구 및 보조 개구의 각각에 대응되도록 제 1 몸체 부재 및 제 2 몸체 부재가 위치되고,
    필터가 몸체의 내측면에 위치될 때, 제 1 고정 부재는 고정 개구를 통해 제 1 몸체 부재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 2 고정 부재는 보조 개구를 통해 제 2 몸체 부재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고정 몸체는,
    고정 몸체의 제 1 종단 부분에 위치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되,
    고정 몸체의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 부분은 몸체의 내측면에 연결부를 형성하여 결합되며,
    필터의 양측 부분에는 고정 몸체가 통과될 수 있는 한 쌍의 고정 개구가 형성되고, 각각 고정 개구보다 필터의 양측 종단에 인접하도록 한 쌍의 보조 개구가 형성되며,
    몸체의 내측면에는 필터의 고정 개구 및 보조 개구의 각각에 대응되도록 연결부 및 몸체 부재가 위치되고,
    필터가 몸체의 내측면에 위치될 때, 고정 몸체는 고정 개구를 통과하고, 고정 부재는 보조 개구를 통해 몸체 부재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4. 제1항에 있어서, 고정 몸체는,
    고정 몸체의 제 1 종단 부분에 위치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되,
    고정 몸체의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 부분은 몸체의 내측면에 연결부를 형성하여 결합되며,
    필터의 양측 부분에는 고정 몸체가 통과될 수 있는 한 쌍의 고정 개구가 형성되고,
    몸체의 내측면에는 필터의 고정 개구에 대응하도록 몸체 부재가 위치되고, 연결부의 양측 종단 근처에 위치되며,
    필터가 몸체의 내측면에 위치될 때, 고정 몸체는 필터를 덮고 고정 부재는 고정 개구를 통해 몸체 부재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5. 제1항에 있어서, 고정 몸체는,
    고정 몸체의 제 1 종단 부분에 위치되는 제 1 고정 부재; 및
    고정 몸체의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 부분에서 제 1 고정 부재와 동일면 상에 위치되는 제 2 고정 부재를 포함하되,
    필터의 양측 부분에는 고정 몸체가 통과될 수 있는 한 쌍의 고정 개구가 형성되며,
    몸체의 내측면에는 필터의 고정 개구에 대응되도록 제 1 몸체 부재가 위치되고, 몸체의 외측면에는 제 1 몸체 부재에 대응되도록 제 2 몸체 부재가 위치되며,
    필터가 몸체의 내측면에 위치될 때, 제 1 고정 부재는 고정 개구를 통해 제 1 몸체 부재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고정 몸체는 몸체의 내측면 및 몸체의 외측면에 걸쳐 위치되며, 제 2 고정 부재는 제 2 몸체 부재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6. 제1항에 있어서, 고정 몸체는,
    고정 몸체의 제 1 종단 부분에 위치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되,
    고정 몸체의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 부분은 몸체의 내측면에 연결부를 형성하여 결합되고,
    필터의 양측 부분에는 고정 몸체가 통과될 수 있는 한 쌍의 고정 개구가 형성되며,
    몸체의 내측면에는 필터의 고정 개구에 대응되도록 연결부가 위치되고, 몸체의 외측면에는 연결부에 대응되도록 몸체 부재가 위치되며,
    필터가 몸체의 내측면에 위치될 때, 연결부는 고정 개구에 대응되고, 고정 몸체는 고정 개구를 통과하여 몸체의 내측면 및 몸체의 외측면에 걸쳐 위치되며, 고정 부재는 몸체 부재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KR1020200078060A 2020-06-25 2020-06-25 리필형 마스크 KR102419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060A KR102419151B1 (ko) 2020-06-25 2020-06-25 리필형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060A KR102419151B1 (ko) 2020-06-25 2020-06-25 리필형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293A true KR20220000293A (ko) 2022-01-03
KR102419151B1 KR102419151B1 (ko) 2022-07-08

Family

ID=79348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060A KR102419151B1 (ko) 2020-06-25 2020-06-25 리필형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1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347Y1 (ko) * 2015-01-26 2015-06-02 김완종 피톤치드 방진마스크
KR20150146348A (ko) * 2014-06-20 2015-12-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스크
KR20160000090U (ko) * 2014-06-25 2016-01-11 성 엽 이 필터교체형 마스크
KR20190025300A (ko) * 2017-09-01 2019-03-11 주식회사 케이엠 필터 교체형 마스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6348A (ko) * 2014-06-20 2015-12-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스크
KR20160000090U (ko) * 2014-06-25 2016-01-11 성 엽 이 필터교체형 마스크
KR200477347Y1 (ko) * 2015-01-26 2015-06-02 김완종 피톤치드 방진마스크
KR20190025300A (ko) * 2017-09-01 2019-03-11 주식회사 케이엠 필터 교체형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151B1 (ko) 202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4208B1 (ko) 방진마스크
KR102025804B1 (ko) 길이 조절부가 구비된 기능성 마스크
KR101455070B1 (ko) 탈착 가능한 마스크 패드가 구비된 두건
KR102159200B1 (ko) 길이조절 가능한 귀걸이 끈을 갖는 마스크
KR102027058B1 (ko) 착용이 편안한 방진 마스크
KR20080111877A (ko) 코 마스크
KR20170093560A (ko) 마스크
KR102419151B1 (ko) 리필형 마스크
US20220117332A1 (en) Respiratory personal protective mask
KR20190078852A (ko) 마스크
KR101958362B1 (ko) 조임 기능이 부가된 넥마스크
KR102286176B1 (ko) 미세먼지용 코 마스크
JP4131333B2 (ja) 衣服
KR20210115593A (ko) 마스크
KR200433854Y1 (ko) 일회용 방진 마스크
KR102282711B1 (ko) 귀편한 착탈식 마스크
JP3205333U (ja) 耳カバー付きマスク
KR20210133018A (ko) 마스크용 가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교체형 마스크
KR20210000416U (ko) 페이스 실드 마스크
KR20210115290A (ko) 마스크
KR20090039204A (ko) 하우징을 장착한 방진마스크
KR101958379B1 (ko) 조임 기능이 부가된 마스크
KR20210155457A (ko) 부착형 마스크
KR20210003367A (ko) 미세 먼지용 마스크
KR102225035B1 (ko)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