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112B1 -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112B1
KR100978112B1 KR1020090135521A KR20090135521A KR100978112B1 KR 100978112 B1 KR100978112 B1 KR 100978112B1 KR 1020090135521 A KR1020090135521 A KR 1020090135521A KR 20090135521 A KR20090135521 A KR 20090135521A KR 100978112 B1 KR100978112 B1 KR 100978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shape
face
prese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5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운형
Original Assignee
비엔케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엔케이(주) filed Critical 비엔케이(주)
Priority to KR1020090135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1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균이나 먼지 따위를 막기 위하여 입과 코를 막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부직포에 열을 가하면 열에 약한 저융점인 폴리에스터가 가열됨에 따라 압축 및 변화하여 고밀도 및 인장강도가 증가된 부직포패널(60); 및 상기 부직포패널(60)이 가열됨에 따라 압축 및 변화되면서 상호 긴밀히 부직포패널의 일측에 고밀도로 융착되어 포집율 및 부직포의 형태를 보여주며, 얼굴 형상에 따라 굴곡됨과 아울러 복원력이 뛰어난 형상유지폼(70);으로 이루어진 마스크(5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마스크의 착용시 얼굴 형상을 따라 밀착되기 때문에 먼지 등의 이물질 투입을 적극적으로 차단함과 아울러 마스크의 착용감이 우수하도록 한 것이고 더하여 마스크의 착용 후에는 얼굴에 마스크 자국이 나지 않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부직포패널, 형상유지폼, 마스크.

Description

마스크{A MASK}
본 발명은 병균이나 먼지 따위를 막기 위하여 입과 코를 막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크의 착용시 얼굴 형상을 따라 밀착되기 때문에 먼지 등의 이물질 투입을 적극적으로 차단함과 아울러 마스크의 착용감이 우수하도록 한 것이고 더하여 마스크의 착용 후에는 얼굴에 마스크 자국이 나지 않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마스크(MASK)는 보건위생상 병균·먼지 등의 흡입 및 비산(飛散)을 막기 위하여 코와 입을 가리는 물건으로 흔히 거즈로 만든다. 유래는 1919년 세계적으로 유행한 스페인 감기, 즉 인플루엔자가 유행하였을 때부터 사용되었다. 이는 마스크로 감기를 예방하기 위한 발상이지만, 찬 공기를 직접 들이마신 결과 비강(鼻腔)이나 구강(口腔) 내의 저항력이 약해져서 감기에 잘 걸리게 되는 것은 피할 수 있어도, 많은 바이러스나 세균은 거즈를 통과하여 다수가 코나 입을 통해 몸 밖으로 비산하거나, 반대로 침입하므로, 본질적인 예방법은 되지 못한다.
종래의 마스크로는 평평한 전면 패널과, 그 전면 패널의 상하측에 각각 연결되는 상측 패널 및 하측 패널로 이루어진 마스크, 전체적으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가려지는 얼굴 부분의 형태대로 굴곡되는 마스크 등이 있다. 이러한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와 입을 가리기 위하여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면서, 동시에 착용감 증진을 위하여 사용자의 코와 입이 눌리지 아니하도록 마스크와 사용자의 얼굴 사이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의 마스크 중 상기된 평평한 전면 패널, 상측 패널 및 하측 패널로 이루어진 마스크에 의하면, 전면 패널에 의해 사용자의 코와 입이 강하게 눌려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한 불쾌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전면 패널과 사용자의 얼굴 사이의 간격을 증진시킬 수 있으나,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마스크가 커져서 휴대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시야를 가릴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마스크 중 상기된 전체적으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가려지는 얼굴 부분의 형태대로 굴곡되는 마스크에 의하면, 마스크가 전체적으로 사용자의 얼굴을 덮게 되므로, 사용자의 얼굴과 마스크와의 사이 공간이 협소하여, 사용자가 입을 벌리는 등의 행동시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에서 종래의 마스크 중 일부 형태의 마스크에 대하여 언급하였으나, 그 외의 마스크에 의해서도 사용자의 착용감을 증진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실용신안등록 제0349061호(출원번호 제2004-0003609호)(명칭: 방진 마스크)가 출원된바 있다.
즉, 상기한 종래의 기술적 구성은 도 1(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으로, 방진마스크(100)는 작업자의 안면에 착용되는 마스크 본체(10)와, 상기 마스크 본체(10)를 작업자의 얼굴에 밀착 고정시키는 밴드(14)로 크게 이루어진다.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부직포 및 정전필터의 재질로서 중앙부는 돔형태로 볼록하게 굴곡 처리되어 있으며, 그 상단부는 작업자의 안면중 코 주변부의 형상에 맞도록 안면윤곽부(10a)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한편, 이러한 마스크 본체(10)의 양측면에는 밴드걸이대(1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밴드걸이대(12)에는 상술한 밴드(14)가 끼워지기 위한 안내공(12a)이 형성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밴드걸이대(12)는 마스크 본체(10)와 별도의 체결수단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밴드(14)와 밴드걸이대(12)로 연결된 마스크 본체(10)는 상기 밴드(14)에 의해 작업자의 얼굴에 용이하게 밀착 고정되어 착용의 간편함을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밴드걸이대(12)를 이용하여 마스크 본체(10)가 밴드(14)를 타고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짐으로서 착용 해지시에는 마스크 본체(10)를 작업자의 목에 간편히 걸어 휴대할 수 있게 된다. 즉, 착용 해지 시 머리에 걸려 있는 밴드(14)를 일차 해지한 후, 마스크 본체(10)를 당겨주게 되면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밴드(14)를 타고 이동하며 작업자의 가슴쪽에 위치하게 됨으로서 착용이 간편히 해지되어 지며 또한 작업자의 목에 걸려 있는 밴드(14)에 의해 작업자의 가슴에서 떨어지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유지됨으로서 본 고안인 방진마스크(1)를 보다 간편히 휴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마스크 본체(10),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스크 본체(10) 안면윤곽부(10a)의 후방 테두리면에는 형상유지폼(16)이 부착 구성되며, 이 와 같이 형상유지폼(16)을 부착 구성한 것 은 상기 안면윤곽부(10a)를 후방에서 지지토록 하여 외부충격에 의해 변형이 가장 심한 안면윤곽부(10a)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형상유지폼(16)은 착용시 방진 마스크(1)가 작업자의 안면을 완전히 밀폐시켜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부가적인 기능을 함께 수행하게 된다. 즉, 마스크본체(10)가 작업자의 안면에 착용이 되면 상기 형상유지폼(16)이 안면의 코주변부를 감싸며 밀착되어 작업자의 안면을 밀폐시키게 됨으로서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형상유지폼(16)의 재질은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진 마스크(1)는 방진 마스크(1)의 구성을 이루는 마스크본체(10)의 후방 테두리면에 형상유지폼(16)을 부착시켜 구성함으로서 종래 별도의 형상유지밴드를 사용치 않더라도 마스크본체(10)의 안면윤곽부(10a) 형상을 항시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착용시에는 상기 형상유지폼(16)이 작업자의 안면에 밀착되어 짐으로서 방진마스크(1)의 밀폐성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마스크본체(10)가 밴드(14)를 타고 이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서 착용의 간편함은 물로 착용 해지시에는 마스크본체(10)를 작업자의 목에 간편히 걸어 보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도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을 노출하게 되었다.
즉, 상기 종래의 기술은 형상유지폼이 구성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장시간 마스크의 착용 후에는 얼굴에 마스크 자국이 남아 있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은 형상유지폼이 구비되어 있다 하더라도 마스크를 장시간 착용하게 되면 얼굴에 들어 붙는 느낌이 들어 착용감이 우수하지 못하다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의 마스크는 안면 보온 역할을 하는 기능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겨울철에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부직포패널과 형상유지폼으로 마스크가 구비되도록 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제2목적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해 마스크의 착용시 얼굴 형상을 따라 밀착되기 때문에 먼지 등의 이물질 투입을 적극적으로 차단하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얼굴 형상에 따라 밀착되기 때문에 마스크의 착용감이 우수하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마스크의 착용 후에는 얼굴에 마스크 자국이 나지 않도록 한 것이며, 제5목적은 마스크가 안면 보온 역할을 하는 기능을 발휘하므로 겨울철에 군인들 또는 레저용으로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한 것이고, 제6목적은 미세먼지를 걸러줌과 아울러 좋은 향을 발산하는 항균필터를 공간부에 선택적으로 탈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7목적은 마스크 내측에 코와 입이 닿지 않도록 공간부가 형성됨으로 인해 착용자가 숨을 용이하게 쉴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8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마스크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병균이나 먼지 따위를 막기 위하여 입과 코를 막는 통상의 마스크에 있어서, 부직포에 열을 가하면 열에 약한 저융점인 폴리에스터가 가열됨에 따라 압축 및 변화하여 고밀도 및 인장강도가 증가된 부직 포패널(60); 및 상기 부직포패널(60)이 가열됨에 따라 압축 및 변화되면서 상호 긴밀히 부직포패널의 일측에 고밀도로 융착되어 포집율 및 부직포의 형태를 보여주며, 얼굴 형상에 따라 굴곡됨과 아울러 복원력이 뛰어난 형상유지폼(70);으로 이루어진 마스크(5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부직포패널과 형상유지폼으로 마스크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해 마스크의 착용시 얼굴 형상을 따라 밀착되기 때문에 먼지 등의 이물질 투입을 적극적으로 차단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얼굴 형상에 따라 밀착되기 때문에 마스크의 착용감이 우수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마스크의 착용 후에는 얼굴에 마스크 자국이 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마스크가 안면 보온 역할을 하는 기능을 발휘하므로 겨울철에 군인들 또는 레저용으로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미세먼지를 걸러줌과 아울러 좋은 향을 발산하는 항균필터를 공간부에 선택적으로 탈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마스크 내측에 코와 입이 닿지 않도록 공간부가 형성됨으로 인해 착용자가 숨을 용이하게 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된 는 도 2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병균이나 먼지 따위를 막기 위하여 입과 코를 막는 통상의 마스크에 있어서, 이하의 기술적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즉, 부직포에 열을 가하면 열에 약한 저융점인 폴리에스터가 가열됨에 따라 압축 및 변화하여 고밀도 및 인장강도가 증가된 부직포패널(6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부직포패널(60)이 가열됨에 따라 압축 및 변화되면서 상호 긴밀히 부직포패널(60)의 일측에 고밀도로 융착되어 포집율 및 부직포의 형태를 보여주며, 얼굴 형상에 따라 굴곡됨과 아울러 복원력이 뛰어난 형상유지폼(70)으로 이루어진 마스크(50)가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부직포패널(60)의 원료는 저융점 성분의 접착용 폴리에스터인 LM(Low Melting Fiber)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프로필렌(PP)이며, 상기 형상유지폼(70)의 원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프로필렌(PP)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에 적용된 형상유지폼(70)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방으로 공기는 통과하면서 미세먼지는 잡아줄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부직포층(71)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형상유지폼(70)에는 도 2(b),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사람의 입과 코가 삽입되게 공간부(7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공간부(72)의 형상은 코와 입을 막을 수 있도록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72)는 입과 코가 함께 삽입되도록 일체로 되거나 또는 도 8(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과 코가 각각 삽입되도록 분리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형상유지폼(70)의 외주면에는 도 3 의 확대도와 같이 방습성 향상을 위해 폴리에틸렌(polyethylene)코팅층(6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본 발명은 도 6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크(50)의 양단을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여 밴드부(80)를 형성하되, 이 밴드부(80)에는 귀에 끼워 걸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반원형 절개부(81)가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공간부(72)에는 도 2(b),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먼지를 걸러줌과 아울러 좋은 향을 발산하는 항균필터(75)가 선택적으로 착탈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필터(75)의 상단에는 코바람이 위로 올라가지 못하도록 커버부(75a)가 형성되게 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상 미 설명부호 51은 마스크를 귀에 걸 수 있도록 한 밴드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마스크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마스크(50)의 착용시 얼굴 형상을 따라 밀착되기 때문에 먼 지 등의 이물질 투입을 적극적으로 차단함과 아울러 마스크(50)의 착용감이 우수하도록 한 것이고 더하여 마스크(50)의 착용 후에는 얼굴에 마스크 자국이 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마스크(50)를 착용하기 위해서는 마스크(50)를 얼굴 안면에 위치시킨 후 양 밴드(51)를 이용하여 귀에 걸면 마스크(50)를 얼굴에 쉽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마스크(50)는 형상유지폼(70)이 얼굴의 형상 모양에 따라 압축되면서 얼굴에 밀착되기 때문에 외부의 이물질 투입을 적극적으로 차단시키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5(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유지폼(70)은 신축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얼굴에 밀착시 얼굴 형상 모양대로 굴곡되면서 밀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형상유지폼(70)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수개의 부직포층(71)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방으로 공기기 통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마스크와 코 사이의 틈으로 새어나온 열기 때문에 안경에 서리가 끼어 잘 보이지 않게 되는 문제점을 일거에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부직포층(71)은 다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마스크(50)의 착용감이 우수하고, 특히 마스크(50)를 장시간 낀 후 벗더라도 얼굴에 마스크를 착용한 흔적, 즉 자국이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더하여 본 발명에 적용된 마스크(50)는 형상유지폼(70)이 푹신한 역활을 하 기 때문에 보온 역할을 하는 기능을 발휘하므로 겨울철에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부직포패널(60)은 형상유지폼(70)을 지지해주는 역활을 하되, 특히 부직포에 열을 가하면 열에 약한 저융점인 폴리에스터가 가열됨에 따라 압축 및 변화하여 고밀도 및 인장강도가 증가된 부직포패널(60)로 이루어지고, 때문에 형상유지폼(70)과 일체로 제작시 분리됨이 없도록 한 것이다.
때문에 부직포패널(60)이 1차적으로 외부의 이물질을 차단시킴과 아울러 내측의 형상유지폼(70)이 2차적으로 이물질을 차단시키게 되고, 특히 다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부직포층(71)이 각각 미세한 입자를 순차적으로 차단시켜 주는 역활을 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3 의 요부 확대도와 같이 부직포패널(60)의 외측면에는 폴리에틸렌 코팅층(61)을 형성한 것으로, 이는 부칙포패널(60)이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빗물이나 습기 등으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습성 향상의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형상유지폼(70)에 적용된 공간부(72)에는 코와 입이 위치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공간부(72)의 형상은 위쪽은 코가 위치하게 좁게 형성되고, 하단은 입이 위치하게 넓게 형성된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도 2(b)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72)에 공간부의 형상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항균필터(75)를 선택적으로 착탈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항균필터(75)가 미세먼지를 걸러줌과 아울러 좋은 향을 발산시켜 마스크(50)의 착용자로 하여금 품질과 이미지를 좋게 각인시켜주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마스크(50)의 형상은 도 2 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도 6 과 같이 타원형으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도 6 의 마스크(50)는 양 끝단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밴드부(80)를 형성한 것으로, 이 밴드부(80)에는 일정 간격으로 절개부(81)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귀에 걸면 쉽게 마스크(50)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얼굴 크기에 따라 조절하여 마스크(50)를 착용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절개부(81)를 형성한 것이고, 상기 절개부(81)는 귀에 걸었을 경우 귀 입구를 약간 가릴 수 있도록 반원형으로 형성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이 귓속으로 침투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 마스크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 1 의 (a)는 종래 방진 마스크의 정면 사시도이고,
(b)는 종래 방진 마스크의 배면 사시도이며,
(c)는 종래 방진 마스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제1실시예의 마스크의 정면 사시도이고,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제1실시예의 마스크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마스크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제2실시예의 마스크의 정면 사시도이고,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제2실시예의 마스크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마스크의 착용상태 평면도이고,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마스크의 착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6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제3실시예의 마스크의 정면 사시도이고,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제3실시예의 마스크의 착용상태 사시도이
다.
도 7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마스크의 실물사진 정면 사진이고,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마스크의 실물사진 배면 사진이며,
(c)는 본 발명에 적용된 마스크의 실물사진 요부 확대 사진이다.
도 8 은 본 발명 공간부의 형상을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것으로,
(a)는 마스의 안쪽면을 나타낸 것이고,
(b)는 마스크의 바깥면을 나타낸 것이며,
(c)는 마스크의 바깥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마스크
60: 부직포패널
70: 형상유지폼

Claims (8)

  1. 병균이나 먼지를 막기 위하여 입과 코를 막는 동시에 사람의 입과 코가 삽입되게 공간부가 형성된 마스크에 있어서,
    부직포에 열을 가하면 저융점인 폴리에스터가 가열됨에 따라 압축 및 변화하여 이루어진 부직포패널(60); 및
    상기 부직포패널(60)이 가열됨에 따라 압축 및 변화되면서 부직포패널의 일측에 융착되고, 포집율을 갖도록 부직포의 형태를 이루며, 얼굴 형상에 따라 굴곡됨과 아울러 복원력이 생기도록 한 형상유지폼(70);으로 이루어진 마스크(5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2. 삭제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폼(70)은 사방으로 공기는 통과하면서 미세먼지는 잡아줄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부직포층(71)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4. 삭제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폼(70)의 외주면에는 방습성 향상을 위해 폴리에틸렌(polyethylene)코팅층(61)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50)의 양단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밴드부(80)를 형성하되, 이 밴드부(80)에는 귀에 끼워 걸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반원형 절개부(8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7.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에는 미세먼지를 걸러줌과 아울러 향을 발산하는 항균필터(75)가 선택적으로 착탈되도록 하되, 상기 필터(75)의 상단에는 코바람이 위로 올라가지 못하도록 커버부(75a)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8. 삭제
KR1020090135521A 2009-12-31 2009-12-31 마스크 KR100978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521A KR100978112B1 (ko) 2009-12-31 2009-12-31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521A KR100978112B1 (ko) 2009-12-31 2009-12-31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8112B1 true KR100978112B1 (ko) 2010-08-25

Family

ID=42760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5521A KR100978112B1 (ko) 2009-12-31 2009-12-31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1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2163U (ko) * 1980-11-11 1982-09-24
KR20000010554U (ko) * 1998-11-24 2000-06-15 이승환 방진 마스크
KR200415985Y1 (ko) * 2006-02-17 2006-05-09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안면 마스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2163U (ko) * 1980-11-11 1982-09-24
KR20000010554U (ko) * 1998-11-24 2000-06-15 이승환 방진 마스크
KR200415985Y1 (ko) * 2006-02-17 2006-05-09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안면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9200B1 (ko) 길이조절 가능한 귀걸이 끈을 갖는 마스크
KR101840108B1 (ko) 미세먼지제거용 마스크
US20060266364A1 (en) Fluid barrier face mask
KR102279769B1 (ko) 마스크
KR100936050B1 (ko) 다용도 방진 마스크
WO2009104442A1 (ja) 呼吸用透明マスク
US20080087286A1 (en) Disposable nasal filter
KR20110008148A (ko) 김 서림 방지 어닝 마스크
KR101650167B1 (ko) 다기능 마스크
KR20210115373A (ko) 김서림방지형 방진마스크
CN201135154Y (zh) 一次性防护口罩
KR101582353B1 (ko) 자유변형에 의한 형상유지 마스크
US7530354B2 (en) Distending nasal air filter
KR20100042375A (ko) 방진마스크용 커버체
KR100978112B1 (ko) 마스크
KR102624660B1 (ko) 마스크
JP2007021026A (ja) マスク
KR20170060464A (ko) 콧속내장필터를 포함하는 마스크
KR20210052403A (ko) 마스크
KR200485587Y1 (ko) 비강 삽입형 마스크
KR20090005626A (ko) 코 마스크
KR101779446B1 (ko) 팩 전용 마스크
KR102540576B1 (ko) 다공성 흡배기 튜브 끈이 구비된 위생 마스크
KR102273111B1 (ko) 평면형 마스크와 함께 사용가능한 3d 마스크 가드
KR102421391B1 (ko) 김서림 방지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