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6262A - 천연 치약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천연 치약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6262A
KR20150146262A KR1020140076597A KR20140076597A KR20150146262A KR 20150146262 A KR20150146262 A KR 20150146262A KR 1020140076597 A KR1020140076597 A KR 1020140076597A KR 20140076597 A KR20140076597 A KR 20140076597A KR 20150146262 A KR20150146262 A KR 20150146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toothpaste
added
green clay
pr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6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2232B1 (ko
Inventor
이경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오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오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오케이
Priority to KR1020140076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232B1/ko
Publication of KR20150146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6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천연 치약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치약 제조 방법은, 천연 재료를 이용하는 치약 제조 방법에 있어서, 그린 클레이에 정제수가 첨가되되, 상기 그린 클레이와 상기 정제수가 혼합되지 않고 기설정된 시간동안 방치되어 상기 그린 클레이에 상기 정제수가 스며들도록 하는 단계;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그린 클레이 및 정제수가 혼합되도록 교반시키는 단계; 교반된 혼합물이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교반된 혼합물에 글리세린을 첨가하여 재교반시키는 단계; 및 재교반된 혼합물에 식물성 오일을 첨가하여 혼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그린 클레이는 전체 함량 중 50% 내지 60% 이내이고, 상기 정제수는 상기 전체 함량 중 35% 내지 40% 이내로 포함되되, 상기 그린클레이 및 상기 정제수의 비율이 1.3 대 1 내지 1.5 대 1이며, 상기 기설정된 시간은 2시간 내지 3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화학 합성재료가 사용되지 않고 천연재료만을 이용하여 치약을 제조할 수 있게 되어 구강 내 청결을 유지하여 구취나 염증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치약의 점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하게 되며, 대량 생산이 가능한 천연 치약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천연 치약 제조 방법{Method for making natural toothpaste}
본 발명은 천연 치약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학 합성 재료가 가미되지 않은 치약을 제조하는 천연 치약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강 내의 청결을 위해 사용되는 치약은 모래와 같은 성분인 실리카나 알루미나 또는 탄산칼슘과 같은 물질을 곱게 만든 연마제에 세척제와 각종 식용 향료나 감미료를 혼합한 생화학제품으로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화학 합성재료가 가미된 치약에는 사용자에게 칫솔질 후의 개운함을 느끼게 하거나 미백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연마제가 과하게 포함되면서 물리적으로 치아의 표면을 연마시키고 치아의 표면을 매끈하게하지만, 지나친 치아의 마모로 인해 과민성 치아나 치경부마모증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학 합성재료가 사용되지 않고 천연재료만을 이용하여 치약을 제조함으로써 구강 내 청결을 유지하여 구취나 염증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치약의 점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휴대가 용이하게 되며, 대량 생산이 가능한 천연 치약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 치약 제조 방법은, 천연 재료를 이용하는 치약 제조 방법에 있어서, 그린 클레이에 정제수가 첨가되되, 상기 그린 클레이와 상기 정제수가 혼합되지 않고 기설정된 시간동안 방치되어 상기 그린 클레이에 상기 정제수가 스며들도록 하는 단계;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그린 클레이 및 정제수가 혼합되도록 교반시키는 단계; 교반된 혼합물이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교반된 혼합물에 글리세린을 첨가하여 재교반시키는 단계; 및 재교반된 혼합물에 식물성 오일을 첨가하여 혼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그린 클레이는 전체 함량 중 50% 내지 60% 이내이고, 상기 정제수는 상기 전체 함량 중 35% 내지 40% 이내로 포함되되, 상기 그린클레이 및 상기 정제수의 비율이 1.3 대 1 내지 1.5 대 1이며, 상기 기설정된 시간은 2시간 내지 3시간이다.
그리고, 상기 식물성 오일은, 정향(Cloves)오일, 라벤더(Lavender) 오일, 니아올리(Niaouli) 오일, 페퍼민트(Peppermint) 오일, 바질(basil) 오일, 티트리(tea tree) 오일 및 타임(Thyme)오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향 오일은 치통, 구취 및 잇몸통증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고, 상기 라벤더 오일은 상기 치약의 변질을 방지하면서 살균 및 구취를 제거하고, 구강 내의 농양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니아올리 오일은 상기 치약의 변질을 방지하고, 면역력을 증진시켜 기관지 염증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고, 상기 페퍼민트 오일은 구취를 제거하고 치통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바질 오일은 구강내의 구강궤양을 포함한 상처를 치유하거나, 혈액순환을 개선하기 위해 첨가되고, 상기 티트리 오일은 진통을 완화시키고, 구강 내 살균을 위해 첨가되며, 그리고, 상기 타임 오일은 천연 살균제로써 구강 내의 농양을 제거하고 잇몸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화학 합성재료가 사용되지 않고 천연재료만을 이용하여 치약을 제조할 수 있게 되어 구강 내 청결을 유지하여 구취나 염증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치약의 점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하게 되며, 대량 생산이 가능한 천연 치약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 치약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 치약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다른 치약 제조 방법은, 기존의 화학 합성재료를 이용하여 치약을 제조하지 않고 천연 재료로만 치약을 제조하여 구강 내의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은 물론, 인체에 무해한 치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다른 치약 제조 방법은, 그린 클레이(Green Clay)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스며들도록 하는 단계(S100), 그린 클레이 및 정제수를 교반시키는 단계(S200), 교반된 혼합물에 글리세린(Glycerine)을 첨가하여 재교반시키는 단계(S300), 및 재교반된 혼합물에 식물성 오일을 혼합시키는 단계(S400)로 구성된다.
그린 클레이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스며들도록 한다(S100). 치약의 전체 함량 중 50% 내지 60% 이내에 해당되는 그린 클레이에 전체 함량 중 35% 내지 40% 이내에 해당되는 정제수를 붓는다. 단, 이상의 함량을 유지하되 그린 클레이 및 정제수의 비율이 1.3 대 1 내지 1.5 대 1의 범위 내에서 함량이 조절된다.
이 과정에서 그린 클레이와 정제수는 별도의 교반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실온에서 기설정된 시간동안 방치되면서 정제수가 그린 클레이에 자연스럽게 스며들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그린 클레이와 정제수를 교반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방치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치약의 점도를 유지하여 튜브형의 용기에 보관하여 짜서 쓸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그린 클레이와 정제수를 혼합하자 마자 교반기구를 이용해 섞게 되면 젤처럼 흘러내릴 정도로 점도가 낮아 지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기존의 오일베이스나 베이킹 소다를 베이스로 하는 치약처럼 컵과 같은 용기에 치약을 담아 칫솔을 용기에 직접 담가 치약을 묻혀 써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그린 클레이와 정제수를 일정 시간동안 방치한 후에 그린 클레이에 정제수가 스며든 상태에서 천천히 저어주면 그린 클레이가 덩어리지면서 점도가 높아지게 되어, 튜브형의 용기에 보관하여 사용하면서 휴대도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기설정된 시간이라 함은 2시간 내지 3시간을 의미하나, 정제수가 그린 클레이에 스며든 정도에 따라 시간을 단축 또는 연장시킬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린 클레이는 유기농 점토로써 연마제 기능을 하기 위한 것으로, 연마제는 사용자가 구강 청결을 위해 치약을 사용했을 때 치아 표면에 달라붙은 플라그나 음식물 찌꺼기가 제거될 수 있도록 하고, 치아의 미백효과를 위해 사용된다.
하지만, 종래의 치약에는 이산화규소와 같은 연마제가 과도하게 사용됨에 따라 치아가 마모되어 이의 시림증상을 악화시킨다는 문제가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그린 클레이를 사용함에 따라 연마제의 역할은 유지하되 치아의 마모를 덜 유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천연 재료인 그린 클레이는 사용자가 실수로 치약을 삼키거나 했을 때 인체에 무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 후 그린 클레이 및 정제수를 교반시킨다(S200).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린 클레이에 정제수가 첨가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동안 방치되어 그린 클레이에 정제수가 스며들면 천천히 저어주는 과정에 해당하는 것으로, 치약의 점도를 높이기 위한 과정으로써, 이상에서 설명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교반된 혼합물에 글리세린을 첨가하여 재교반시킨다(S300).
교반시키는 단계(S200)에서 그린 클레이와 정제수가 천천히 저어져 일정한 점도에 도달되어 덩어리 지게 되면 교반된 혼합물에 글리세린을 첨가하여 일정한 시간동안 저어준다.
여기서, 일정한 시간이라 함은 30분 내지 1시간을 의미하며, 이 역시 혼합물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글리세린은 그린 클레이와 정제수가 교반되어 혼합된 교반된 혼합물이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딱딱하게 굳는 경화 현상을 방지하면서, 천연 감미료로써 사용자가 치약을 사용함에 있어서 이질감을 느끼지 않도록 단맛을 가미하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첨가되는 글리세린은 치약의 전체 함량 중 4% 내지 8%에 해당되는 함량만큼 첨가되되, 그린 클레이 함량의 13%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되게 된다.
이후에는 재교반된 혼합물에 식물성 오일을 혼합시킨다(S400). 글리세린이 첨가된 혼합물에 식물성 오일을 추가하여 30분 내지 1시간 동안 저어주게 된다. 이상의 시간은 혼합물의 상태에 따라 시간이 단축 또는 연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재교반된 혼합물에 추가되는 식물성 오일은, 정향(Cloves)오일, 라벤더(Lavender) 오일, 니아올리(Niaouli) 오일, 페퍼민트(Peppermint) 오일, 바질(basil) 오일, 티트리(tea tree) 오일, 타임(Thyme)오일 중 적어도 하나이다.
본 실시예에서 첨가되는 식물성 오일은 치약의 부패를 방지하는 보존재, 그리고, 구강 내의 유해 세균을 억제하는 살균제로써 추가되는 것은 물론, 사용자의 구강 내 상처 치료 등을 목적으로 추가된다.
먼저, 정향은 상쾌하고 달콤한 향이 특징으로 방부 효과와 살균력이 강력함은 물론, 치통이 있을 때 정향을 물고 있으면 응급진통제로서의 역할을 하는 만큼 진통제의 효능이 탁월한데, 이러한 정향으로부터 추출한 오일인 정향 오일은 치통과 잇몸통증을 완화시키는 것은 물론 구취를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다.
한편, 라벤더는 천연 진통제로써 치통을 비롯한 각종 통증을 완화해주는 효능은 물론, 살균효과가 있어 농양에 대한 염증을 완화시키고 구취를 제거해주는데 효과가 있으며 방부성이 있어 치약의 변질을 방지하여 치약이 오래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니아올리는 기관지염과 축농증과 같은 부비강염에 효과가 있을 정도로 면역력 증진에 효과가 있어 천식을 완화시켜줄 수 있음은 물론 기관지의 염증을 방지할 수 있어, 기관지와 연결된 구강 내의 청결을 위한 치약에 첨가됨으로써 사용자의 기관지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천연방부제로서의 역할을 통해 치약의 장기간 보존을 가능하게한다.
한편, 페퍼민트는 멘톨을 다수 포함하고 있어 통증을 완화시켜주는 진통 효과를 통해 치통을 완화시켜줄 수 있고 인후염과 편도선염과 같은 호흡기 관련 질환 완화에 효능이 있어 치약에 포함될 경우 양치를 통해 염증 완화 효과가 있음은 물론, 페퍼민트 특유의 향으로 구취제거 효과가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바질은, 바질 특유의 민트향을 통해 구취를 제거하는데 효과 가 있음은 물론, 구강궤양과 같은 구내염과 상처의 치유에 효과가 있어 면역력이 약해져 구내염이 자주 재발되는 사용자나, 잇몸이 약해져 양치 시 구강 내 출혈이 잦은 사용자에게 특히 유용하게 된다.
한편, 티트리는 뛰어난 항균효과를 가지고 있어 구강 내 살균은 물론, 지혈 효능이 있어 구강 내 출혈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구강궤양을 완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타임은, 천연 살균제로써 잇몸의 감염예방과 함께 거담제로써 구강 내의 농양을 제거할 수도 있음은 물론 항바이러스 효능이 있어 기침을 완화시키고 가래를 제거하는데 효과가 있어 기관지와 연결된 구강 내의 청결을 유지함으로써 기관지 질환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상의 식물성 오일 중 라벤더 오일, 니아올리 오일, 바질 오일 및 티트리 오일이 치약에 첨가되는 경우 치약 전체 함량의 0.01% 내지 0.02% 범위 내로 추가되되, 이상의 오일 중 두 종류 이상의 오일이 추가되면 오일의 양은 동일한 양만큼 추가된다.
구체적으로, 식물성 오일 중 라벤더 오일 및 니아올리 오일 첨가되는 경우를 예로 들면, 라벤더 오일이 치약 전체 함량의 0.016% 만큼의 양으로 치약에 추가되면, 니아올리 오일 역시 0.016% 만큼의 양으로 치약에 추가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정향 오일은 치약 전체 함량의 0.025% 내지 0.04%에 해당되는 양으로 추가되되 라벤더 오일과 2:1의 비율에 해당되는 양만큼 추가되고, 페퍼민트 오일은 치약 전체 함량의 0.05% 내지 0.08% 에 해당되는 양만큼 추가되며, 타임 오일은 치약 전체 함량의 0.005% 내지 0.015%에 해당되는 양만큼 추가된다.
그리고, 이상의 식물성 오일 이외에도 구강 내의 청결을 위해서라면 다른 종류의 식물성 오일이 더 추가되어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천연 치약 제조 방법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실시예1)
그린 클레이 100g에 정제수 75g을 넣고 섞지 않은 상태로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한 후, 교반기구를 통해 그린 클레이가 덩어리 질 때까지 천천히 저어주고 글리세린 12g을 추가하여 30분간 섞어준 다음, 라벤더 오일, 니아올리 오일, 바질 오일 및 티트리 오일은 각각 0.03g, 정향 오일은 0.06g, 페퍼민트 오일은 0.12g, 그리고 타임 오일은 0.02g만큼 추가하여 30분간 섞어주어 천연 치약을 제조하였다.
(실시예2)
실시예 1에서 그린 클레이에 정제수를 넣고 일정한 시간동안 방치하는 단계를 건너뛰고 그린 클레이와 정제수를 바로 섞어 천연 치약을 제조하였으며, 그 이외의 재료와 혼합비율 및 교반 시간은 동일하다.
(실시예3)
실시예 1에서 그린 클레이에 정제수 및 옥수수 전분 15g을 넣고 일정한 시간동안 방치하는 단계를 건너뛰고 그린 클레이와 정제수 및 옥수수 전분을 바로 섞어 천연 치약을 제조하였으며, 그 이외의 재료와 혼합비율 및 교반 시간은 동일하다.
(실시예4)
실시예 1에서 그린 클레이 150g을 넣고 천연 치약을 제조하였으며, 그 이외의 재료와 혼합비율 및 교반 시간은 동일하다.
(비교예)
실시예 1에서 그린 클레이 대신 베이킹 소다 40g을 넣고 정제수와 섞어 천연 치약을 제조하였으며, 그 이외의 재료와 혼합비율 및 교반 시간은 동일하다.
(관능검사1)
실시예1 내지 4와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천연 치약에 대해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상기 관능 검사는 50명의 검사요원(10, 20, 30, 40, 50 대 각 1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평가항목은 향, 사용질감, 기호도이며 5점 척도에 따라 평가되도록 하였으며 여기서 질감은 사용자가 느끼는 치약의 점성의 정도이다. 결과는 표 1과 같다.
(관능검사2)
실시예1 내지 4와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천연 치약에 대해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상기 비교검사는 50명의 검사요원(10, 20, 30, 40, 50대 각 1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평가항목은 제조 직후 치약의 경화정도, 제조 후 10시간이 경과된 후의 치약의 경화정도, 그리고 제조 후 24시간이 경과된 후의 치약의 경화정도이며 5점 척도에 따라 평가되도록 하였다. 결과는 표 2와 같다.
사용질감 기호도
실시예1 4.0 4.2 4.2
실시예2 4.0 3.5 3.8
실시예3 3.7 4.0 3.9
실시예4 3.9 3.5 3.0
비교예 3.9 3.0 3.2
(1 : 매우나쁨, 2 : 나쁨, 3 : 보통, 4 : 좋음, 5 : 매우좋음)
제조 직후 경화 정도 10시간 후 경화 정도 24시간 후 경화 정도
실시예1 4.0 4.0 3.9
실시예2 3.5 3.5 3.3
실시예3 4.6 3.4 1.5
실시예4 4.0 3.9 3.2
비교예 4.5 4.5 4.4
(1 : 매우경화, 2 : 경화, 3 : 보통, 4 : 연화, 5 : 매우연화)
상기 표 1의 결과를 살펴보면, 비교예가 타 실시예의 평가점수보다 상대적으로 낮게나온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는 베이킹 소다를 사용한 천연 치약보다 그린 클레이를 사용한 천연 치약이 향과 사용질감, 기호도의 모든 면에서 훨씬 좋다는 평가이다.
그리고, 상기 표 2의 결과를 보면, 비교예가 타 실시예의 평가점수보다 경화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베이킹 소다를 사용한 천연 치약보다 그린 클레이를 사용한 천연 치약의 점도가 높아 액체처럼 묽지 않으므로 휴대 및 사용이 편하다는 평가이다.
또한, 상기 표 2의 결과 중 실시예 3이 비교예를 포함한 타 실시예의 평가점수보다 경화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옥수수 전분을 사용한 천연 치약보다 그린 클레이만을 사용한 천연 치약의 경화가 느리게 진행되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는 평가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베이킹 소다가 아닌 그린 클레이를 사용하는 경우에 치약의 사용질감의 향상과 함께 적절한 점도의 유지를 통해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은 물론, 시간의 경과에 따른 치약의 경화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되어, 대량 생산이 가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S100 : 스며들도록 하는 단계 S200 : 교반시키는 단계
S300 : 재교반시키는 단계 S400 : 혼합시키는 단계

Claims (3)

  1. 천연 재료를 이용하는 치약 제조 방법에 있어서,
    그린 클레이에 정제수가 첨가되되, 상기 그린 클레이와 상기 정제수가 혼합되지 않고 기설정된 시간동안 방치되어 상기 그린 클레이에 상기 정제수가 스며들도록 하는 단계;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그린 클레이 및 정제수가 혼합되도록 교반시키는 단계;
    교반된 혼합물이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교반된 혼합물에 글리세린을 첨가하여 재교반시키는 단계; 및
    재교반된 혼합물에 식물성 오일을 첨가하여 혼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그린 클레이는 전체 함량 중 50% 내지 60% 이내이고, 상기 정제수는 상기 전체 함량 중 35% 내지 40% 이내로 포함되되, 상기 그린클레이 및 상기 정제수의 비율은 1.3 대 1 내지 1.5 대 1이며, 상기 기설정된 시간은 2시간 내지 3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은,
    정향(Cloves)오일, 라벤더(Lavender) 오일, 니아올리(Niaouli) 오일, 페퍼민트(Peppermint) 오일, 바질(basil) 오일, 티트리(tea tree) 오일 및 타임(Thyme)오일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제조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향 오일은 치통, 구취 및 잇몸통증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고,
    상기 라벤더 오일은 상기 치약의 변질을 방지하면서 살균 및 구취를 제거하고, 구강 내의 농양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니아올리 오일은 상기 치약의 변질을 방지하고, 면역력을 증진시켜 기관지 염증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고,
    상기 페퍼민트 오일은 구취를 제거하고 치통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바질 오일은 구강내의 구강궤양을 포함한 상처를 치유하거나, 혈액순환을 개선하기 위해 첨가되고,
    상기 티트리 오일은 진통을 완화시키고, 구강 내 살균을 위해 첨가되며, 그리고,
    상기 타임 오일은 천연 살균제로써 구강 내의 농양을 제거하고 잇몸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제조 방법.
KR1020140076597A 2014-06-23 2014-06-23 천연 치약 제조 방법 KR101692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597A KR101692232B1 (ko) 2014-06-23 2014-06-23 천연 치약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597A KR101692232B1 (ko) 2014-06-23 2014-06-23 천연 치약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262A true KR20150146262A (ko) 2015-12-31
KR101692232B1 KR101692232B1 (ko) 2017-01-03

Family

ID=55128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597A KR101692232B1 (ko) 2014-06-23 2014-06-23 천연 치약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2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607A (ko) * 2018-07-02 2020-01-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오일 조성물
KR20200003610A (ko) * 2018-07-02 2020-01-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 세정용 혼합 오일 조성물
KR20200003608A (ko) * 2018-07-02 2020-01-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 세정용 오일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8371A (ko) 2019-11-14 2021-05-24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낙과 배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447676A (zh) * 2000-07-10 2003-10-08 宝洁公司 化妆品组合物
JP2005506301A (ja) * 2001-04-19 2005-03-03 ブロック ドラッグ カンパニ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安定した薬草入り歯磨剤
KR100500271B1 (ko) * 1998-02-06 2005-07-11 바이오 코스메틱스, 에스.엘. 구취 치료용 조성물
CN101119768A (zh) * 2005-01-12 2008-02-06 安姆科尔国际公司 含有用胶体阳离子颗粒预乳化的疏水有益试剂的洗涤组合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271B1 (ko) * 1998-02-06 2005-07-11 바이오 코스메틱스, 에스.엘. 구취 치료용 조성물
CN1447676A (zh) * 2000-07-10 2003-10-08 宝洁公司 化妆品组合物
JP2005506301A (ja) * 2001-04-19 2005-03-03 ブロック ドラッグ カンパニ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安定した薬草入り歯磨剤
CN101119768A (zh) * 2005-01-12 2008-02-06 安姆科尔国际公司 含有用胶体阳离子颗粒预乳化的疏水有益试剂的洗涤组合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607A (ko) * 2018-07-02 2020-01-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오일 조성물
KR20200003610A (ko) * 2018-07-02 2020-01-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 세정용 혼합 오일 조성물
KR20200003608A (ko) * 2018-07-02 2020-01-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 세정용 오일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2232B1 (ko) 201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283B1 (ko) 거품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92927B1 (ko) 잇몸질환 예방 및 개선용 치약 조성물
KR101692232B1 (ko) 천연 치약 제조 방법
CN106924162B (zh) 一种植物添加剂、抑菌剂、口腔护理产品以及植物添加剂在制备口腔护理产品中的应用
KR20140131631A (ko) 위암을 일으키는 헬리코 박터균 제거와 심장병에 영향을 미치는 고도니균제거를 위한 매스틱유와 몰약이 함유된 구강청정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449453B1 (ko) 구취제거, 플라그제거 및 항균효과가 우수한 치약 조성물
WO2017068546A1 (en) Composition for oral hygiene
KR20110067358A (ko) 카렌듈라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10149815B2 (en) Toothpaste and mouth rinse
RU2712085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JP6884776B2 (ja) 組成物
KR20140128500A (ko) 미백치약의 효과를 높이는 혼합물 조성물 개발.
EP1683547A1 (en) Anticaries toothpaste containing Rubus Fruticosus for treating and cleaning teeth and/or gums
KR101910716B1 (ko) 녹차 함유 구강세척제
KR20170085703A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내 항염 및 구취 제거용 조성물
RU2355379C1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ий эликсир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KR20140135664A (ko) 물이 필요없는 일회용 칫솔 및 일회용 칫솔의 제조 방법
CN107412111A (zh) 一种口腔消炎漱口液
RU2760268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гигиены полости рта
JP4926418B2 (ja) 歯垢予防・除去用及び歯石予防・溶解用並びに歯周病予防・治療用の口腔用組成物
KR101902685B1 (ko) 녹차 함유 구강 세정제
CN106822180B (zh) 一种保护口腔菌群平衡的胶基组合物及其制备方法
Benly Comparison of the Bacterial Level by Pre Brushing and Post Brushing using Herbal and Fluoridated Toothpaste
CN104490664A (zh) 一种抗过敏牙膏
US20160015737A1 (en) Multipurpose dental g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