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6185A - 에어 워셔 - Google Patents

에어 워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6185A
KR20150146185A KR1020140076340A KR20140076340A KR20150146185A KR 20150146185 A KR20150146185 A KR 20150146185A KR 1020140076340 A KR1020140076340 A KR 1020140076340A KR 20140076340 A KR20140076340 A KR 20140076340A KR 20150146185 A KR20150146185 A KR 20150146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oor
air
water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6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닉스
Priority to KR1020140076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6185A/ko
Publication of KR20150146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61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어 유닛에 의해 출입구를 개방한 후 수조 유닛을 외측으로 인출시킬 수 있는 에어 워셔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수조 유닛에 물을 공급하는 물통이 생략된 구조이며, 수조 유닛을 직접 전방으로 인출하여 물을 직접 공급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출입구의 개방시 인출 유닛의 인출력에 의해서 수조 유닛이 자동적으로 인출되거나, 또는 출입구의 개방시 도어 유닛의 작동력에 의해 수조 유닛이 인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 워셔{AIR WASHER}
본 발명은 공기의 가습 및 세척을 수행하는 에어 워셔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디스크 어셈블리가 설치된 상태로 수조 유닛을 외측으로 인출할 수 있는 에어 워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 워셔는 물과 공기를 접촉시켜 공기를 가습 및 세척하는 장치이다. 에어 워셔는 물과 공기의 접촉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 워셔는 공기에 물을 분사하는 방식, 물이 적셔진 필터를 공기가 통과하는 방식, 물막이 형성된 디스크에 공기를 송풍하는 방식 등이 있다.
최근에는 디스크 타입의 에어 워셔에 대한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디스크 타입의 에어 워셔는 소음이 적고, 소형화가 가능하며, 가습시 물방울이 보이지 않고, 필터의 교체가 불필요한 구조라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면, 한국등록특허 제10-0757407호(발명의 명칭: 가습기용 디스크 및 디스크 조립, 등록일: 2007.09.04)에는 디스크 타입의 에어 워셔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0757407호에서는 제품의 하부 케이스가 직접적으로 물통을 형성하고 있는 구조이고, 디스크 조립체가 물통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조이다. 즉, 물의 보충 또는 물통과 디스크 조립체의 세척시, 제품의 상부를 형성하는 탑 케이스와 미들 케이스를 물통과 분리하고 다시 조립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한다. 따라서, 물을 보충하거나 물통과 디스크 조립체를 세척하는 작업은 매우 복잡하고 번거로우며, 부품의 분해와 조립 과정에서 부품의 파손, 분실 및 오조립의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 제2006-057995호(발명의 명칭: 가습기, 공개일: 2006.03.02)에는 수조가 가습기 본체에서 전방으로 인출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일본공개특허 제2006-057995호는 디스크 타입이 아닌 필터 타입의 제품이고, 수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탱크가 적용된 구조이다. 따라서, 일본공개특허 제2006-057995호에서는 수조의 인출시 급수 탱크를 먼저 분리해야 하므로 수조의 인출 작업이 복잡하고, 급수 탱크의 장시간 사용시 급수 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물이 부패 또는 오염될 가능성도 높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에어 워셔 본체의 수조 수납부에서 수조 유닛을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고, 수조 유닛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통을 생략할 수 있는 에어 워셔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어 유닛 또는 개폐 패널 등을 이용하여 수조 유닛의 수납시 수조 수납부를 완전히 차폐하여 에어 워셔 외관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 워셔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어 유닛의 조작만으로 수조 수납부의 출입구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수조 유닛을 인출할 수 있는 에어 워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물을 이용하여 공기의 가습 및 세척을 수행하는 에어 워셔 본체, 상기 에어 워셔 본체에 형성된 수조 수납부의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물을 수용하기 위한 물 수용부가 형성된 수조 유닛, 및 상기 수조 수납부의 출입구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에어 워셔 본체에 회전 또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도어 유닛을 포함하는 에어 워셔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상기 수조 유닛을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상기 수조 수납부로부터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상기 수조 유닛의 내부에 물을 간편하게 보충하고 상기 수조 유닛의 청소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상기 수조 유닛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통을 생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어 유닛이 상기 출입구 및 상기 수조 유닛을 덮는 구조이므로, 에어 워셔의 외관에 대한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상기 출입구의 개방시 상기 수조 유닛을 상기 수조 수납부의 외측으로 인출시키도록 상기 수조 유닛과 상기 수조 수납부 및 상기 도어 유닛에 구비된 인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상기 도어 유닛의 개폐 조작을 통하여 상기 수조 수납부의 상기 출입구를 개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출입구가 개방되면 상기 인출 유닛이 작동하여 상기 수조 유닛을 상기 수조 수납부의 외측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에어 워셔 본체는, 공기 흡입구 및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공기 흡입구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공기 배출구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송풍 유닛, 및 상기 송풍 유닛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가습 및 세척하도록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공기 토출구 사이의 공기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물 수용부의 내부에 일부분이 수용되도록 상기 수조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디스크 어셈블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출입구는 상기 수조 유닛과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를 동시에 인출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유닛은 상기 출입구의 전체를 개폐시키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로, 상기 에어 워셔 본체는, 공기 흡입구 및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공기 흡입구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공기 배출구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송풍 유닛, 및 상기 송풍 유닛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가습 및 세척하도록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공기 토출구 사이의 공기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물 수용부의 내부에 일부분이 수용되도록 상기 수조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디스크 어셈블리, 및 상기 수조 유닛의 수납 또는 인출시 상기 출입구의 일부분을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회전 또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개폐 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출입구는 상기 수조 유닛과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를 동시에 인출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유닛은 상기 출입구 중에서 상기 개폐 패널에 의해 개폐되지 않는 부분을 개폐시키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도어 유닛은 상기 출입구를 차폐시키는 차폐 모드 또는 상기 출입구를 개방시키는 개방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작동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인출 유닛은, 상기 개방 모드에서 작동될 수 있고, 상기 차폐 모드에서 작동 정지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유닛은 여닫이 도어 타입 또는 미닫이 도어 타입 중 어느 하나의 도어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유닛은 상기 출입구에 복수개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유닛은 상기 출입구의 하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여닫이 도어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조 유닛은 상기 도어 유닛의 표면을 따라 슬라이딩 인출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인출 유닛은, 상기 출입구의 개방시 상기 수조 유닛에 설정 크기의 인출력을 상기 수조 수납부의 외측 방향으로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출 유닛은, 상기 출입구의 개방시 상기 수조 유닛에 상기 수조 수납부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수조 수납부와 상기 수조 유닛의 사이에 구비된 인출력 제공 부재, 및 상기 출입구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도록 상기 도어 유닛과 상기 수조 수납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출입구의 개폐 상태에 따라 상기 인출력 제공 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인출력 제공 부재와 연결된 도어 감지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출력 제공 부재는 상기 도어 감지 부재의 감지값에 따라 상기 수조 유닛에 탄성력, 유압력 또는 전동력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도록 탄성부재, 유압 실린더, 또는 전동 모터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상기와 다르게, 상기 인출 유닛은, 상기 출입구의 개방시 상기 도어 유닛과 상기 수조 유닛을 연결시키도록 상기 도어 유닛에 구비된 연결 부재, 및 상기 도어 유닛의 작동력을 상기 수조 유닛의 인출력으로 제공하도록 상기 연결 부재와 상기 수조 유닛의 사이에 구비된 링크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에어 워셔 본체의 수조 수납부에서 수조 유닛을 간편하게 인출하는 구조이므로, 수조 유닛의 물 수용부에 물을 간편하게 보충할 수 있다. 따라서, 물 수용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기존에 사용되던 물통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물통의 사용으로 인한 비용 증가 및 제품 사이즈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으며, 수조 유닛의 인출시 물통을 분리하는 작업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디스크 어셈블리가 설치된 수조 유닛을 에어 워셔 본체의 수조 수납부의 외측으로 인출하는 구조이므로, 수조 유닛과 디스크 어셈블리의 청소 및 유지보수를 매우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수조 유닛의 수납시 도어 유닛 또는 개폐 패널에 의해서 수조 수납부의 출입구 및 수조 유닛이 완전히 차폐되는 구조이므로, 에어 워셔의 외관에 대한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에어 워셔의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도어 유닛 또는 개폐 패널의 디자인을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서 다양한 외관의 제품 라인업(line-up)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도어 유닛을 개폐 조작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수조 수납부의 출입구를 개방시킬 수 있으며, 그와 동시에 수조 유닛을 수조 수납부의 외측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어 유닛의 조작을 통해 수조 수납부의 출입구를 개방함과 동시에 수조 유닛이 수조 수납부의 외측으로 인출되므로, 수조 유닛을 매우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으며, 에어 워셔의 사용 편의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의 다양한 변형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에어 워셔에서 도어 유닛의 개방 모드를 나타낸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에어 워셔에 구비된 인출 유닛의 다양한 변형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가 도시된 상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100)의 다양한 변형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5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에어 워셔(100)에서 도어 유닛(130)의 개방 모드를 나타낸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100)는 에어 워셔 본체(110), 수조 유닛(120), 및 도어 유닛(130)을 포함한다.
에어 워셔 본체(110)은 물을 이용하여 공기의 가습 및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에어 워셔 본체(110)의 외측면에는 공기 흡입구(110a) 및 공기 배출구(110b)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흡입구(110a)는 외부 공기를 에어 워셔 본체(110)의 내측으로 흡입시키기 위한 흡입 통로이다. 공기 배출구(110b)는 가습 및 세척된 공기를 에어 워셔 본체(110)의 외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통로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흡입구(110a)가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형성되고, 공기 배출구(110b)가 에어 워셔 본체(110)의 상면부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 흡입구(110a)와 공기 배출구(110b)는 에어 워셔(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에어 워셔 본체(110)의 다양한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에어 워셔 본체(110)에는 수조 유닛(120)이 수납되는 수조 수납부(118)가 형성될 수 있다. 수조 수납부(118)는 수조 유닛(120)이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조 유닛(120)은 수조 수납부(116)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수조 수납부(118)가 에어 워셔 본체(110)의 하부에 전방으로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에어 워셔(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조 수납부(118)가 형성되면, 수조 수납부(118)의 출입구(118a)는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수조 유닛(120)은 출입구(118a)의 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되거나 또는 출입구(118a)의 내부로 슬라이딩 수납될 수 있다.
도 1,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워셔 본체(110)는 케이스(112), 송풍 유닛(미도시), 디스크 어셈블리(114), 및 개폐 패널(116)을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112)는 박스 형상의 부재로서, 에어 워셔 본체(1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12)의 내부에는 수조 유닛(120), 송풍 유닛, 디스크 어셈블리(114)가 배치될 수 있다. 공기 흡입구(110a)는 케이스(112)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 배출구(110b)는 케이스(112)의 상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조 수납부(118)는 전방으로 개구된 형상으로 케이스(112)의 전면부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송풍 유닛은 에어 워셔 본체(110)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흡입한 후 가습과 세척이 이루어진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부재이다. 따라서, 송풍 유닛은 공기 흡입구(110a)와 공기 배출구(110b)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동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송풍 유닛이 공기 배출구(110b)의 하측에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에어 워셔(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크 어셈블리(114)는 송풍 유닛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가습 및 세척하기 위한 부재이다. 따라서, 디스크 어셈블리(114)는 공기 흡입구(110a)와 공기 배출구(110b) 사이의 공기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크 어셈블리(114)는 디스크 회전축(114a), 디스크 플레이트(114b), 및 구동 플레이트(114c)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크 회전축(114a)은 수조 유닛(12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크 회전축(114a)에는 디스크 플레이트(114b)와 구동 플레이트(114c)가 장착될 수 있다. 디스크 플레이트(114b)와 구동 플레이트(114c)는 디스크 회전축(114a)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크 플레이트(114b)는 디스크 회전축(114a)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크 플레이트(114b)들의 하부는 수조 유닛(120)에 수용된 물에 잠긴 상태이다. 따라서, 디스크 플레이트(114b)들이 디스크 회전축(122)과 함께 회전되면, 디스크 플레이트(114b)의 표면에 물막이 형성될 수 있고, 공기 흡입구(110a)로 흡입된 공기가 디스크 플레이트(114b)의 물막과 접촉되는 과정에서 공기의 가습과 세척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구동 플레이트(114c)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되는 부재이다. 구동 플레이트(114c)의 외주부에는 구동력이 입력되는 기어부가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구동 플레이트(114c)는 디스크 회전축(114a)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개폐 패널(116)은 수조 유닛(120)의 수납 또는 인출시 출입구(118a)의 제1 부분(A1)을 개폐하도록 케이스(112)의 전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112)의 전면부는 개폐 패널(116)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출입구(118a)의 제1 부분(A1)은 수조 유닛(120)의 외측으로 돌출된 디스크 어셈블리(114)의 노출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에 해당될 수 있다. 개폐 패널(116)은 케이스(112)의 전면부에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 또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 패널(116)이 케이스(112)의 전면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 또는 회전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수조 유닛(120)은 에어 워셔(100)에서 사용되는 물을 저장함과 아울러 에어 워셔 본체(110)에 공급할 수 있다. 수조 유닛(120)의 내부에는 물을 수용하기 위한 물 수용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조 유닛(120)은 물 수용부(122)가 내부에 형성된 박스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수조 유닛(120)의 물 수용부(122)의 내부에는 디스크 어셈블리(114)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수조 수납부(116)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조 유닛(120)의 전면부에는 수조 유닛(120)의 인출 또는 수납시 사용하기 위한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면의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도어 유닛(130)은 수조 수납부(118)의 출입구(118a)를 개폐시킬 수 있다. 도어 유닛(130)은 수조 유닛(120)의 전방에 배치되는 패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도어 유닛(130)은 에어 워셔 본체(110)의 케이스(112)에 회전 또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도어 유닛(130)은 차폐 모드 또는 개방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작동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차폐 모드는 출입구(118a)를 차폐시키는 모드로서, 수조 유닛(120)이 수조 수납부(118)의 내부에 수납된 이후에 실시될 수 있다. 개방 모드는 출입구(118a)를 개방시키는 모드로서, 수조 유닛(120)이 수조 수납부(118)의 외부로 인출되기 이전에 실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차폐 모드 또는 개방 모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적으로 동작되거나, 에어 워셔(100)의 작동 상태 또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자동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 유닛(130)의 동작 모드가 사용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직접 조작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에어 워셔 본체(110)에 구비된 별도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도어 유닛(130)의 작동 모드를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도어 유닛(13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130a)가 형성될 수 있다. 수조 수납부(118)의 출입구(118a)와 도어 유닛(130)에는 도어 유닛(130)의 차폐 모드시 도어 유닛(130)을 수조 수납부(118)의 출입구(118a)에 록킹시키는 잠금 기구가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130a)는 잠금 기구의 록킹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잠금 기구와 연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수조 수납부(118)의 출입구(118a)는 수조 유닛(120)과 디스크 어셈블리(114)를 동시에 인출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출입구(118a)는 제1 부분(A1)과 제2 부분(A2)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 부분(A1)이 제2 부분(A2)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출입구(118a)의 제1 부분(A1)은 개폐 패널(116)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출입구(118a)의 제2 부분(A2)은 도어 유닛(1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유닛(130)은 출입구(118a)의 제2 부분(A2)을 개폐시키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개폐 패널(116)과 도어 유닛(130)은 서로 연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도어 유닛(130)이 개방 모드로 작동되면 개폐 패널(116)은 출입구(118a)의 제1 부분(A1)을 개방시키도록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도어 유닛(130)이 차폐 모드로 작동되면 개폐 패널(116)은 출입구(118a)의 제1 부분(A1)을 차폐시키도록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 패널(116)이 도어 유닛(130)의 개방 모드에서만 도어 유닛(130)과 연동되어 출입구(118a)의 제1 부분(A1)을 개방시키도록 상측으로 이동되지만, 도어 유닛(130)의 차폐 모드와는 연동되지 않고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서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수조 유닛(120)을 수조 수납부(118)에서 인출하는 경우, 도어 유닛(130)은 개방 모드로 작동될 수 있고, 개폐 패널(116)은 디스크 어셈블리(114)와의 충돌을 회피하도록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수조 유닛(120)과 디스크 어셈블리(114)는 개폐 패널(116)과 도어 유닛(130)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수조 수납부(118)의 출입구(118a)를 통해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반면에, 수조 유닛(120)을 수조 수납부(118)에 수납하는 경우, 도어 유닛(130)은 차폐 모드로 작동될 수 있고, 개폐 패널(116)은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을 형성하도록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워셔(100)는 도어 유닛(130)의 종류 및 개폐 패널(116)의 존재 유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례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도어 유닛(130)은 여닫이 도어 타입 또는 미닫이 도어 타입 중 어느 하나의 도어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어 유닛(130)은 출입구(118a)에 단수개가 하나의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되거나, 또는 출입구(118a)에 복수개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 도 5 내지 도 6에는 개폐 패널(116)이 구비됨과 아울러 단수개의 도어 유닛(130)이 여닫이 도어 타입으로 형성된 에어 워셔(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패널(116)은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에 상하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단수개의 도어 유닛(130)은 에어 워셔 본체(110)에 여닫이 도어 타입으로 개폐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개폐 패널(116)은 출입구(118a)의 제1 부분(A1)을 개폐시키도록 도어 유닛(130)의 상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어 유닛(130)은 출입구(118a)의 제2 부분(A2)을 개폐시키도록 에어 워셔 본체(110)에 힌지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 유닛(130)의 하부가 수조 수납부(118)의 전방부의 하부에 힌지 구조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도어 유닛(130)은 수조 수납부(118)의 전방부의 하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수조 수납부(118)의 출입구(118a)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도어 유닛(130)의 개방 모드에서는 도어 유닛(130)이 에어 워셔(100)의 설치 장소(G)와 수조 수납부(118) 사이의 높이 차이(H)를 보상해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조 수납부(118)는 에어 워셔 본체(110)의 케이스(112)의 하부에 형성되므로, 수조 수납부(118)의 바닥면은 에어 워셔(100)의 설치 장소(G)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도어 유닛(130)은 에어 워셔(100)의 설치 장소(G)와 수조 수납부(118) 사이의 높이차(H)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어 유닛(130)의 개방 모드시 수조 수납부(118)의 출입구(118a)의 전방에 위치된 에어 워셔(100)의 설치 장소(G)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수조 유닛(120)은 수조 수납부(118)의 출입구(118a)로 인출되는 과정에서 도어 유닛(130)의 배면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수조 유닛(120)은 수조 수납부(118)의 출입구(118a)에서 인출되는 과정에서 출입구(118a)의 전방으로 갑자기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개폐 패널(116)이 구비됨과 아울러 2개의 도어 유닛(131, 132)이 좌측과 우측에 여닫이 도어 타입으로 형성된 에어 워셔(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패널(116)은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에 상하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2개의 도어 유닛(131, 132)은 에어 워셔 본체(110)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여닫이 도어 타입으로 개폐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개폐 패널(116)은 출입구(118a)의 제1 부분(A1)을 개폐시키도록 도어 유닛(130)의 상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어 유닛(131, 132)들은 출입구(118a)의 제2 부분(A2)을 개폐시키도록 에어 워셔 본체(110)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힌지 구조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도어 유닛(131, 132) 중 어느 하나(131)의 좌측부가 수조 수납부(118)의 전방부의 좌측부에 힌지 구조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2개의 도어 유닛(131, 132) 중 다른 하나(132)의 우측부가 수조 수납부(118)의 전방부의 우측부에 힌지 구조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2개의 도어 유닛(130)은 수조 수납부(118)의 전방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수조 수납부(118)의 출입구(118a)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는 개폐 패널(116)이 생략됨과 아울러 단수개의 도어 유닛(133)이 여닫이 도어 타입으로 형성된 에어 워셔(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패널(116)이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에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단수개의 도어 유닛(133)은 수조 수납부(118)의 출입구(118a) 전체를 개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에어 워셔 본체(110)에 여닫이 도어 타입으로 개폐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어 유닛(133)은 출입구(118a) 전체를 개폐시키도록 에어 워셔 본체(110)에 힌지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 유닛(133)의 하부가 도 1의 도어 유닛(130)과 동일하도록 수조 수납부(118)의 전방부의 하부에 힌지 구조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도어 유닛(133)은 수조 수납부(118)의 전방부의 하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수조 수납부(118)의 출입구(118a)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는 개폐 패널(116)이 생략됨과 아울러 2개의 도어 유닛(134, 135)이 좌측과 우측에 미닫이 도어 타입으로 형성된 에어 워셔(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패널(116)이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에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2개의 도어 유닛(134, 135)은 수조 수납부(118)의 출입구(118a) 전체를 개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에어 워셔 본체(110)에 좌우 방향으로 미닫이 도어 타입으로 개폐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도어 유닛(134, 135)은 에어 워셔 본체(110)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미닫이 도어 타입으로 개폐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2개의 도어 유닛(134, 135)은 출입구(118a)를 개폐시키도록 에어 워셔 본체(110)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도어 유닛(134, 135) 중 어느 하나(134)가 수조 수납부(118)의 전방부의 좌측부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2개의 도어 유닛(134, 135) 중 다른 하나(135)가 수조 수납부(118)의 전방부의 우측부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2개의 도어 유닛(130)은 수조 수납부(118)의 전방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수조 수납부(118)의 출입구(118a)를 개폐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1,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개폐 패널(116)과 도어 유닛(130)을 구비한 에어 워셔(10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에어 워셔(100)에 구비된 인출 유닛(140)의 다양한 변형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100)는 인출 유닛(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출 유닛(140)은 출입구(118a)의 개방시 수조 유닛(120)을 수조 수납부(118)의 외측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인출 유닛(140)은 수조 유닛(120)과 수조 수납부(118) 및 도어 유닛(13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인출 유닛(140)은 도어 유닛(130)의 작동 모드와 연동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인출 유닛(140)은 도어 유닛(130)의 개방 모드에서만 작동될 수 있으며, 도어 유닛(130)의 차폐 모드에서는 작동이 정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인출 유닛(140)은 출입구(118a)의 개방시 수조 유닛(120)에 설정 크기의 인출력을 수조 수납부(118)의 외측 방향으로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조 유닛(120)은 도어 유닛(130)의 개방 모드시 인출 유닛(140)에 의해서 수조 수납부(118)의 외측으로 자동 인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출 유닛(140)은 인출력 제공 부재(142, 143) 및 도어 감지 부재(144)를 구비할 수 있다.
인출력 제공 부재(142, 143)는 출입구(118a)의 개방시 수조 유닛(120)에 수조 수납부(118)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력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인출력 제공 부재(142, 143)는 수조 수납부(118)와 수조 유닛(12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인출력 제공 부재(142, 143)는 도어 감지 부재(144)의 감지값에 따라 수조 유닛(120)에 탄성력, 유압력 또는 전동력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인출력 제공 부재(142, 143)는 탄성부재, 유압 실린더, 또는 전동 모터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는 탄성부재 또는 유압 실린더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인출력 제공 부재(142)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7의 인출력 제공 부재(142)는 도어 유닛(130)의 개방 모드시 탄성부재의 탄성력 또는 유압 실린더의 유압력을 수조 유닛(120)에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인출력 제공 부재(142)의 일단부는 수조 수납부(118)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인출력 제공 부재(142)의 타단부는 수조 유닛(120)의 위치에 따라 수조 유닛(120)에 밀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탄성부재의 탄성력 또는 유압 실린더의 유압력은 수조 유닛(120)을 수조 수납부(118)에서 인출시키는 방향으로 작용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는 전동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랙(146)과 피니언(148)으로 구성된 인출력 제공 부재(143)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8의 인출력 제공 부재(143)는 도어 유닛(130)의 개방 모드시 랙(146)과 피니언(148)을 매개로 하여 전동 모터의 전동력을 수조 유닛(120)에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동 모터는 수조 수납부(118)에 고정될 수 있고, 피니언(148)은 전동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으며, 랙(146)은 피니언(148)과 치합되도록 수조 유닛(12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동 모터의 전동력은 피니언(148)의 회전력으로 전환된 후 피니언(148)과 결합된 랙(146)에 의해서 수조 유닛(120)을 수조 수납부(118)에서 인출시키는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도 7과 도 8에 도시된 인출력 제공 부재(142, 143)는 도어 유닛(130)의 개방 모드에서만 작동하여 수조 유닛(120)을 자동적으로 인출시킬 수 있고, 도어 유닛(130)의 차폐 모드에서는 작동하지 않아 수조 유닛(120)의 수납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의 인출력 제공 부재(142)가 유압 실린더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도어 감지 부재(144)는 출입구(118a)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부재이다. 도어 감지 부재(144)는 도어 유닛(130)과 수조 수납부(118)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어 감지 부재(144)는 출입구(118a)의 개폐 상태에 따라 인출력 제공 부재(142)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인출력 제공 부재(142)와 신호 전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감지 부재(144)는 수조 수납부(118)의 출입구(118a)에 구비된 접촉 스위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어 유닛(130)의 차폐 모드에서는 도어 감지 부재(144)가 도어 유닛(130)과 접촉될 수 있고, 도어 유닛(130)의 개방 모드에서는 도어 감지 부재(144)가 도어 유닛(130)과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도어 감지 부재(144)의 접촉 여부를 검출하여 도어 유닛(130)의 작동 모드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100)의 작동 및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도 1,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에어 워셔(10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에어 워셔(100)를 장시간 사용하면, 물이 부족하거나 또는 물이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 뿐만 아니라, 수조 유닛(120)과 디스크 어셈블리(114)의 청소와 유지보수도 일정 기간마다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물의 보충, 물의 교환, 수조 유닛(120)의 청소와 유지보수, 또는 디스크 어셈블리(114)의 청소와 유지보수 등의 이유로 수조 유닛(120)과 디스크 어셈블리(114)를 외부로 인출할 필요성이 있다.
먼저, 에어 워셔(100)의 작동을 완전히 정지시키고, 도어 유닛(130)의 손잡이(130a)를 통해서 도어 유닛(130)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킨다.
그 다음에, 손잡이(130a)를 잡아 당겨서 수조 수납부(118)의 출입구(118a)를 개방시킨다.
상기와 같은 도어 유닛(130)의 개방 모드에서는, 도어 유닛(130)의 상부가 수조 수납부(118)와 힌지 연결된 하부를 중심으로 전방을 향해 회전하며, 그와 동시에 개폐 패널(116)은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즉, 개폐 패널(116)을 상승시킴에 따라 출입구(118a)의 제1 부분(A1)이 개방되고, 도어 유닛(130)을 회전시킴에 따라 출입구(118a)의 제2 부분(A2)이 개방된다.
한편, 인출 유닛(140)의 도어 감지 부재(144)는 도어 유닛(130)의 회전에 따른 도어 유닛(130)의 개방 모드를 감지하고, 인출 유닛(140)의 인출력 제공 부재(142)는 도어 감지 부재(144)의 감지값에 따라 작동한다.
도어 감지 부재(144)가 출입구(118a)의 개방을 감지하면, 인출력 제공 부재(142)가 작동하여 수조 유닛(120)에 유압력을 전방으로 제공한다. 따라서, 수조 유닛(120)은 인출력 제공 부재(142)의 유압력에 의해서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동되며, 그에 따라 수조 유닛(120)의 전방부는 출입구(118a)를 통해서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방으로 인출된다.
상기와 같이 인출된 수조 유닛(120)을 전방으로 잡아 당겨서 수조 유닛(120)과 디스크 어셈블리(114)를 수조 수납부(118)로부터 간편하게 인출시킬 수 있다.
수조 유닛(120)과 디스크 어셈블리(114)가 완전히 인출되면, 수조 유닛(120)과 디스크 어셈블리(114)를 분리한 후 세척하거나 유지 보수를 실시하고, 수조 유닛(120)의 물 수용부(122)에 깨끗한 물을 다시 채운다.
그런 다음에, 디스크 어셈블리(114)를 수조 유닛(120)의 물 수용부(122) 내에 다시 설치하고, 수조 유닛(120)를 수조 수납부(118)에 다시 밀어 넣는다. 이때, 인출력 제공 부재(142)는 도어 감지 부재(144)의 감지값에 의해서 작동이 정지된 상태이므로, 인출력을 제공하지 않아 수조 유닛(120)의 수납을 방해하지 않는다.
수조 유닛(120)의 수납이 완료되면, 개폐 패널(116)을 하측으로 누르고, 도어 유닛(130)를 출입구(118a)로 회전시켜 차폐 모드를 실시한다.
상기와 같은 도어 유닛(130)의 차폐 모드에서는, 도어 유닛(130)의 상부가 수조 수납부(118)와 힌지 연결된 하부를 중심으로 후방을 향해 회전하여 출입구(118a)의 제2 부분(A2)을 차폐하며, 개폐 패널(116)은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출입구(118a)의 제1 부분(A1)을 차폐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100)는 수조 유닛(120)을 에어 워셔 본체(110)의 외측으로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수조 유닛(120)의 내부에 물을 간편하게 보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조 유닛(120)과 디스크 어셈블리(114)의 청소 및 유지 보수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100)의 전면부가 개폐 패널(116)과 도어 유닛(130)으로 형성되므로, 에어 워셔(100)의 외관에 대한 심미감을 높이고, 개폐 패널(116)과 도어 유닛(130)의 교체 만으로 다양한 디자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200)가 도시된 상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에서 도 1,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 유사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에어 워셔(100)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200)가 도 1,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에어 워셔(100)과 상이한 점은, 인출 유닛(240)이 도어 유닛(130)의 작동력을 이용하여 수조 유닛(120)에 인출력을 제공한다는 점이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 유닛(130)의 개방 모드시 사용자가 도어 유닛(130)에 작용하는 작동력을 이용하여 인출 유닛(240)이 수조 유닛(120)을 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200)는 도 1,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에어 워셔(100)와 달리 인출력을 발생하는 별도의 동력원이 불필요하고, 도어 유닛(130)의 작동력을 수조 유닛(120)의 인출력으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출 유닛(240)은 연결 부재(242) 및 링크 부재(244)를 구비할 수 있다.
연결 부재(242)는 출입구(118a)의 개방시 도어 유닛(130)과 수조 유닛(120)을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하는 부재이다. 연결 부재(242)는 도어 유닛(130)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연결 부재(242)는 도어 유닛(130)의 개방 모드시 수조 유닛(120)에 연결된 상태이나, 수조 유닛(120)이 에어 워셔 본체(110)에서 이탈되는 과정에서 수조 유닛(120)과 분리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링크 부재(244)는 도어 유닛(130)의 작동력을 수조 유닛(120)의 인출력으로 제공하는 부재이다. 링크 부재(244)는 연결 부재(242)와 수조 유닛(12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링크 부재(244)는 도어 유닛(130)의 회전 동작시 작동력의 방향을 수조 유닛(120)의 인출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는 전술한 인출 유닛(240)의 일례가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에어 워셔(2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도어 유닛(130)의 차폐 모드시 도어 유닛(130)과 수조 유닛(120) 및 인출 유닛(240)의 배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와 도 11에서는 도어 유닛(130)의 개방 모드시 인출 유닛(240)의 작동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의 출입구(118a)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이다. 또한, 도 12에서는 수조 유닛(120)의 인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242)는 "ㄱ" 형상으로 형성되어 링크 부재(244)의 일단부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결 부재(242)는 도어 유닛(130)의 개방 모드시 도어 유닛(130)의 회전 작동력을 링크 부재(244)의 일단부에 전달할 수 있다. 링크 부재(244)의 타단부는 수조 유닛(120)의 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링크 부재(244)의 일단부는 연결 부재(242)의 위치 이동을 보상하도록 연결 부재(242)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유닛(130)의 회전에 따른 작동력은 인출 유닛(240)의 연결 부재(242)와 링크 부재(244)에 의해서 수조 유닛(120)의 전방을 향하는 인출력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200: 에어 워셔
110: 에어 워셔 본체
112: 케이스
114: 디스크 어셈블리
116: 개폐 패널
120: 수조 유닛
130~135: 도어 유닛
140, 240: 인출 유닛

Claims (12)

  1. 물을 이용하여 공기의 가습 및 세척을 수행하는 에어 워셔 본체;
    상기 에어 워셔 본체에 형성된 수조 수납부의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물을 수용하기 위한 물 수용부가 형성된 수조 유닛; 및
    상기 수조 수납부의 출입구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에어 워셔 본체에 회전 또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도어 유닛;
    을 포함하는 에어 워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의 개방시 상기 수조 유닛을 상기 수조 수납부의 외측으로 인출시키도록 상기 수조 유닛과 상기 수조 수납부 및 상기 도어 유닛에 구비된 인출 유닛;
    을 더 포함하는 에어 워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워셔 본체는,
    공기 흡입구 및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공기 흡입구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공기 배출구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송풍 유닛; 및
    상기 송풍 유닛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가습 및 세척하도록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공기 토출구 사이의 공기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물 수용부의 내부에 일부분이 수용되도록 상기 수조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디스크 어셈블리;를 구비하며,
    상기 출입구는 상기 수조 유닛과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를 동시에 인출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도어 유닛은 상기 출입구의 전체를 개폐시키는 형상으로 형성된 에어 워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워셔 본체는,
    공기 흡입구 및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공기 흡입구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공기 배출구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송풍 유닛; 및
    상기 송풍 유닛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가습 및 세척하도록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공기 토출구 사이의 공기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물 수용부의 내부에 일부분이 수용되도록 상기 수조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디스크 어셈블리; 및
    상기 수조 유닛의 수납 또는 인출시 상기 출입구의 일부분을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회전 또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개폐 패널;
    를 구비하며,
    상기 출입구는 상기 수조 유닛과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를 동시에 인출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도어 유닛은 상기 출입구 중에서 상기 개폐 패널에 의해 개폐되지 않는 부분을 개폐시키는 형상으로 형성된 에어 워셔.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유닛은 상기 출입구를 차폐시키는 차폐 모드 또는 상기 출입구를 개방시키는 개방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작동 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인출 유닛은, 상기 개방 모드에서 작동되고, 상기 차폐 모드에서 작동 정지되는 에어 워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유닛은 여닫이 도어 타입 또는 미닫이 도어 타입 중 어느 하나의 도어 타입으로 형성된 에어 워셔.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유닛은 상기 출입구에 복수개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된 에어 워셔.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유닛은 상기 출입구의 하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여닫이 도어 타입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조 유닛은 상기 도어 유닛의 표면을 따라 슬라이딩 인출되는 에어 워셔.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유닛은, 상기 출입구의 개방시 상기 수조 유닛에 설정 크기의 인출력을 상기 수조 수납부의 외측 방향으로 제공하도록 형성된 에어 워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유닛은,
    상기 출입구의 개방시 상기 수조 유닛에 상기 수조 수납부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수조 수납부와 상기 수조 유닛의 사이에 구비된 인출력 제공 부재; 및
    상기 출입구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도록 상기 도어 유닛과 상기 수조 수납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출입구의 개폐 상태에 따라 상기 인출력 제공 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인출력 제공 부재와 연결된 도어 감지 부재;
    를 구비한 에어 워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력 제공 부재는 상기 도어 감지 부재의 감지값에 따라 상기 수조 유닛에 탄성력, 유압력 또는 전동력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도록 탄성부재, 유압 실린더, 또는 전동 모터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한 에어 워셔.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유닛은,
    상기 출입구의 개방시 상기 도어 유닛과 상기 수조 유닛을 연결시키도록 상기 도어 유닛에 구비된 연결 부재; 및
    상기 도어 유닛의 작동력을 상기 수조 유닛의 인출력으로 제공하도록 상기 연결 부재와 상기 수조 유닛의 사이에 구비된 링크 부재;
    를 구비한 에어 워셔.
KR1020140076340A 2014-06-23 2014-06-23 에어 워셔 KR201501461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340A KR20150146185A (ko) 2014-06-23 2014-06-23 에어 워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340A KR20150146185A (ko) 2014-06-23 2014-06-23 에어 워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185A true KR20150146185A (ko) 2015-12-31

Family

ID=55128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340A KR20150146185A (ko) 2014-06-23 2014-06-23 에어 워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618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438A (ko) * 2018-01-19 2019-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 공기청정기
KR20200106426A (ko) * 2019-03-04 2020-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11306931B2 (en) 2018-01-19 2022-04-19 Lg Electronics Inc. Air purifier
US11592198B2 (en) 2018-01-19 2023-02-28 Lg Electronics Inc. Air purifier
US11598537B2 (en) 2018-01-19 2023-03-07 Lg Electronics Inc. Air purifier
US11971070B2 (en) 2018-03-16 2024-04-30 Lg Electronics Inc.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438A (ko) * 2018-01-19 2019-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 공기청정기
US11306931B2 (en) 2018-01-19 2022-04-19 Lg Electronics Inc. Air purifier
US11592198B2 (en) 2018-01-19 2023-02-28 Lg Electronics Inc. Air purifier
US11598537B2 (en) 2018-01-19 2023-03-07 Lg Electronics Inc. Air purifier
US11761649B2 (en) 2018-01-19 2023-09-19 Lg Electronics Inc. Air purifier
US11885525B2 (en) 2018-01-19 2024-01-30 Lg Electronics Inc. Air purifier
US11971070B2 (en) 2018-03-16 2024-04-30 Lg Electronics Inc.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KR20200106426A (ko) * 2019-03-04 2020-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46185A (ko) 에어 워셔
KR101504020B1 (ko) 에어 워셔
US11053627B2 (en) Automatic detergent supply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CN105650971B (zh) 冰箱
US7805964B2 (en) Detergent supply apparatus of washing machine
EP2037183B1 (en) Steam oven device and water tank for use in the same
KR101504021B1 (ko) 에어 워셔
JP2006075604A (ja) 洗濯機
KR101590012B1 (ko) 의류처리장치
CN110360800A (zh) 冰箱
JP6983354B2 (ja) 洗濯機
KR20110088937A (ko) 냉장고
ITTO20100302A1 (it) Macchina lavastoviglie
JP2010063595A (ja) 飲料供給装置
JP2005110899A (ja) 加熱消毒装置
KR20080064052A (ko) 냉장고
JP2005245681A (ja) 遊技機
KR101989891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방법
KR101304074B1 (ko) 가습기
KR102360629B1 (ko) 현관 청소 장치
KR20150022959A (ko) 에어 워셔
KR20150022951A (ko) 에어 워셔
CN219603968U (zh) 洗存一体机
JP2014050634A (ja) 遊技機
KR20140036560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