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5951A - 가스누출 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스누출 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5951A
KR20150145951A KR1020140075530A KR20140075530A KR20150145951A KR 20150145951 A KR20150145951 A KR 20150145951A KR 1020140075530 A KR1020140075530 A KR 1020140075530A KR 20140075530 A KR20140075530 A KR 20140075530A KR 20150145951 A KR20150145951 A KR 20150145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humidity
thermal imag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8280B1 (ko
Inventor
강미애
백두영
임민수
Original Assignee
(주)야긴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야긴스텍 filed Critical (주)야긴스텍
Priority to KR1020140075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280B1/ko
Publication of KR20150145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72Investigating presence of flaw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열화상을 이용한 가스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가스 탱크 및 배관과 관련된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구조물 이미지 생성부(10), 가스 탱크 및 배관의 열화상에 따른 온도 분포의 데이터(D_t)를 입력받기 위한 열화상 입력부(20), 대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측정부(30), 열화상 입력부(20)에 의하여 입력된 열화상에 따른 온도 분포의 데이터(D_t)를 온도 측정부(30)에 의하여 측정된 대기의 온도에 따라 보정된 온도 분포의 보정 데이터(D_tc)를 생성하기 위한 열화상이미지 보정부(40), 가스 탱크와 배관와 그 주위의 습도를 측정하여 습도 데이터(D_h)를 생성하기 위한 습도 측정부(50), 및 열화상 입력부(20)에 입력된 열화상에 따른 온도 분포의 데이터(D_t) 또는 열화상이미지 보정부(40)에 의하여 보정된 보정 데이터(D_tc)를 해당 온도에서 가스 누출이 발생되지 않을 때의 온도 분포를 가지는 기준 데이터(D_b)의 비교 및/또는 습도 측정부(50)에 의하여 생성된 습도변화 데이터(Dh)에 따라 가스 누출을 판별하기 위한 누기 판별부(60)로 이루어지는 가스누출 감지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가스누출 감지시스템{Sensing system for gas leakage}
본 발명은 가스누출을 감지하기 위한 가스누출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 탱크와 배관의 구조물에 대한 영상을 구조물 이미지로 추출하며, 이에 대한 열화상의 이미지에 대하여 정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해당 구역의 온도에 따라 보정하여 열화상 이미지의 데이터 변화시 해당 영역에 대한 적외선 분석을 통하여 습도의 변화를 판독하여 가스 누출을 감지하는 가스누출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친환경적인 정책의 일환으로 청정 에너지의 이용이 적극 장려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공장이나 화력 발전소 등에서 산업용 연료로서 천연가스(LNG)나 액화석유가스(LPG), 화공약품에 의한 가스, 유증가스 등의 가스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가스들은 대기중에서 폭발성을 가지는 가연성 가스들로서 누출시 화재 및 폭발로 이어져 재산 및 인명 피해 등 막대한 손실을 불러 일으킬 위험이 존재하기 때문에, 가스 누출을 미연에 방지하고, 누출시 신속하게 이를 감지하여 피해의 확산을 막기 위한 대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최근 들어, 공장이나 화력 발전소 등 가스 누출 염려가 있는 장소에는 가스 누출 감지 시스템이 속속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스 누출 감지 시스템에 따르면, 가스 누출이 염려되는 복수의 구역에 각각 별개의 가스감지기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비교적 고가인 가스감지기를 복수개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비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옥외의 경우에는 가스감지기 설치 후 성능이 떨어지거나 동작이 안되는 경우가 많아 가스감지기의 설치에 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 제1131095호는 가스감시지역을 촬영하는 가시광 카메라들 및 적외선 카메라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카메라, 가시광 카메라들에서 촬영되는 가시광 영상들과 적외선 카메라들로 촬영되는 적외선 영상들을 결합하고, 결합된 적외선 영상에서 DB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특정가스의 온도값이 감지되면 가스누설지점을 추출하며, 추출된 가스누설지점을 가시광 영상에 합성하는 복합영상결합부, 복합영상결합부에서 합성되는 영상을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관리자단말기에 출력하는 화면출력부, 및 가스누설지점에 감지되는 특정가스의 온도값으로 가스의 종류와 가스누설범위를 분석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가스 누출을 감지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에 의하여 가스를 저장하는 탱크나 배관에 대한 열화상의 온도를 감지하고 있으나, 계절적 변화가 뚜렷한 국가와 일교차가 큰 지역에서는 열화상의 이미지를 통한 가스 누출을 감지함에 있어서 판단 기준의 오차가 크기 때문에 정확한 가스 누출을 검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열화상 카메라에 의한 가스 탱크와 배관에 대한 열 분포의 데이터는 대기와의 상호 작용이나 주위 물체와의 열 전도 등으로 인하여 정확한 열분포의 데이터를 제공함에 있어 한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확하게 가스 누출을 검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 탱크와 배관 주위의 환경적 요소에 관계없이 정확하게 가스의 누출을 감지할 수 있는 가스누출 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화상의 이미지의 분석에 따른 가스 누출을 오차를 최소화하여 가스 누출을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는 가스누출 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화상을 이용한 가스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가스 탱크 및 배관과 관련된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구조물 이미지 생성부(10), 가스 탱크 및 배관의 열화상에 따른 온도 분포의 데이터(D_t)를 입력받기 위한 열화상 입력부(20), 대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측정부(30), 열화상 입력부(20)에 의하여 입력된 열화상에 따른 온도 분포의 데이터(D_t)를 온도 측정부(30)에 의하여 측정된 대기의 온도에 따라 보정된 온도 분포의 보정 데이터(D_tc)를 생성하기 위한 열화상이미지 보정부(40), 가스 탱크와 배관와 그 주위의 습도를 측정하여 습도 데이터(D_h)를 생성하기 위한 습도 측정부(50), 및 열화상 입력부(20)에 입력된 열화상에 따른 온도 분포의 데이터(D_t) 또는 열화상이미지 보정부(40)에 의하여 보정된 보정 데이터(D_tc)를 해당 온도에서 가스 누출이 발생되지 않을 때의 온도 분포를 가지는 기준 데이터(D_b)의 비교 및/또는 습도 측정부(50)에 의하여 생성된 습도변화 데이터(Dh)에 따라 가스 누출을 판별하기 위한 누기 판별부(60)로 이루어지는 가스누출 감지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열화상이미지 보정부(40)는 열화상 입력부(20)에 의하여 입력된 열화상에 따른 온도 분포의 데이터(D_t)를 가스 탱크와 배관을 중심으로 그 주위의 열화상 이미지로 추출하기 위한 열화상이미지 추출부(42)와, 열화상이미지 추출부(42)에 의하여 추출된 열화상 이미지를 온도 측정부(30)에 의하여 측정된 대기의 온도에 따라 보정된 보정 데이터(D_tc)를 생성하기 위한 열화상이미지 보정부(4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습도 측정부(50)는 가스 탱크와 배관와 그 주위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적외선을 송신하기는 적외선 송신부(52)와, 적외선 송신부(52)에 의하여 송신된 적외선에 대하여 수증기에 감응하지 않은 파장역과 흡수되는 파장의 흡수능의 차를 검출함으로써 절대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부(5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누기 판별부(60)는 온도 측정부(30)에 의하여 측정되는 온도를 기준으로 가스 누출이 발생되지 않는 상태에서 가스 탱크와 배관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열화상 입력부(20)에 의하여 입력된 열화상에 따른 온도 분포의 기준 데이터(D_tb)와 습도 측정부(50)에 의하여 입력되는 습도의 기준 데이터(D_hb)가 저장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62), 데이터 저장부(62)에 저장된 온도 분포의 기준 데이터(D_tb)와 습도의 기준 데이터(D_hb)에 대하여 열화상이미지 보정부(40)에 의하여 보정된 온도 분포의 보정 데이터(D_tc)와 습도 측정부(50)에 의하여 측정된 습도 데이터(D_h)를 각각 비교하기 위한 데이터 비교부(64), 및 데이터 비교부(64)에 의하여 비교된 결과값이 설정값 이상으로 주어질 경우 가스가 해당 영역에서 누출된 것으로 판독하기 위한 누기 판독부(66)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누기 판별부(60)는 추출된 가스 탱크와 배관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열화상 입력부(20)에 의하여 입력된 열화상에 따른 온도 분포의 데이터(D_t)의 변화를 1차적으로 기준 데이터(D_b)와 비교하여 제1 설정값 이상의 온도 분포의 변화를 가질 경우, 2차적으로 습도 측정부(50)에 의하여 생성된 습도변화 데이터(D_h)에 대하여 제2 설정값 이상의 습도 변화를 가지는지 여부에 따라 해당 가스 탱크나 배관에 대하여 가스 누출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데이터 비교부(64)에 의한 비교 결과의 제1 및 제2 설정값은 온도 분포의 기준 데이터(D_tb)와 온도 분포의 보정 데이터(D_tc)의 비가 10 내지 20%의 차이와, 습도의 기준 데이터(D_hb)와 습도 데이터(D_h)의 비가 10 내지 20%의 차이로 주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누기 판별부(60)는 열화상 입력부(20)에 의하여 입력되는 온도 분포의 데이터(D_t)의 시간적 변화를 1차적으로 비교하여 이에 대하여 제3 설정값 이상의 변화를 가질 경우, 습도 측정부(50)에 의하여 입력되는 습도 데이터(D_h)의 시간적 변화를 2차적으로 비교하여 제4 설정값 이상의 변화를 가지는지 여부에 따라 해당 가스 탱크나 배관에 대하여 가스 누출 여부를 판별하도록 제어부(70)가 누기 판별부(6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데이터 비교부(64)에 의한 비교 결과의 제3 및 제4 설정값은 온도 분포의 데이터(D_t)의 시간적 변화비가 5 내지 10%의 차이와, 습도 데이터(D_h)의 시간적 변화비가 5 내지 10%의 차이로 주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 탱크와 배관 주위의 환경적 요소에 관계없이 정확하게 가스의 누출을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화상의 이미지의 분석에 따른 가스 누출을 오차를 최소화하여 가스 누출을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누출 감지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누출 감지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누출 감지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누출 감지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누출 감지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누출 감지시스템은 가스 탱크 및 배관과 관련된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구조물 이미지 생성부(10), 가스 탱크 및 배관의 열화상에 따른 온도 분포의 데이터(D_t)를 입력받기 위한 열화상 입력부(20), 대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측정부(30), 열화상 입력부(20)에 의하여 입력된 열화상에 따른 온도 분포의 데이터(D_t)를 온도 측정부(30)에 의하여 측정된 대기의 온도에 따라 보정된 온도 분포의 보정 데이터(D_tc)를 생성하기 위한 열화상이미지 보정부(40), 가스 탱크와 배관와 그 주위의 습도를 측정하여 습도 데이터(D_h)를 생성하기 위한 습도 측정부(50), 및 열화상 입력부(20)에 입력된 열화상에 따른 온도 분포의 데이터(D_t) 또는 열화상이미지 보정부(40)에 의하여 보정된 보정 데이터(D_tc)를 기준 데이터(D_b)의 비교 및 습도 측정부(50)에 의하여 생성된 습도변화 데이터(Dh)에 따라 가스 누출을 판별하기 위한 누기 판별부(6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구조물 이미지 생성부(10)는 가스 탱크 및 배관과 관련된 이미지를 입력받기 위한 영상 입력부(12), 및 영상 입력부(12)에 의하여 입력된 이미지로부터 가스 탱크와 배관의 이미지를 연속 이미지 배열 처리에 의하여 추출하기 위한 구조물이미지 추출부(14)로 이루어진다.
영상 입력부(12)는 CCD 카메라로 이루어지며, 구조물이미지 추출부(14)는 CCD 소자로 입력된 이미지의 화소를 연속 이미지 배열로 이미지 추출하여 가스 탱크와 배관의 이미지를 추출함으로써, 제어부(70)는 열화상 입력부(20)와 습도 측정부(50)로 하여금 해당 구역에 대한 열화상에 따른 온도 분포의 데이터(D_t)와 습도변화 데이터(D_h)를 조밀하게 생성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열화상 입력부(20)는 가스 탱크 및 배관의 열화상에 따른 온도 분포의 데이터(D_t)를 입력받기 위한 열화상 카메라로 이루어진다.
온도 측정부(30)는 대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적외선 온도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적외선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대기의 온도는 가스 탱크와 배관이 위치한 공간의 전반적인 대기의 평균 온도를 생성하여 제어부(70)로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70)는 열화상이미지 보정부(40)로 하여금 온도 측정부(30)에 의하여 측정된 상기 공간의 전반적인 대기의 평균 온도의 데이터에 따라 열화상 입력부(20)에 의하여 입력된 열화상에 따른 온도 분포의 데이터(D_t)를 보정하도록 한다.
열화상이미지 보정부(40)는 열화상 입력부(20)에 의하여 입력된 열화상에 따른 온도 분포의 데이터(D_t)를 가스 탱크와 배관을 중심으로 그 주위의 열화상 이미지로 추출하기 위한 열화상이미지 추출부(42)와, 열화상이미지 추출부(42)에 의하여 추출된 열화상 이미지를 온도 측정부(30)에 의하여 측정된 대기의 온도에 따라 보정된 보정 데이터(D_tc)를 생성하기 위한 열화상이미지 보정부(40)로 이루어진다.
습도 측정부(50)는 가스 탱크와 배관와 그 주위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적외선을 송신하기는 적외선 송신부(52)와, 적외선 송신부(52)에 의하여 송신된 적외선에 대하여 수증기에 감응하지 않은 파장역과 흡수되는 파장의 흡수능의 차를 검출함으로써 절대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부(54)로 이루어진다.
누기 판별부(60)는 온도 측정부(30)에 의하여 측정되는 온도를 기준으로 가스 누출이 발생되지 않는 상태에서 가스 탱크와 배관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열화상 입력부(20)에 의하여 입력된 열화상에 따른 온도 분포의 기준 데이터(D_tb)와 습도 측정부(50)에 의하여 입력되는 습도의 기준 데이터(D_hb)가 저장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62), 데이터 저장부(62)에 저장된 온도 분포의 기준 데이터(D_tb)와 습도의 기준 데이터(D_hb)에 대하여 열화상이미지 보정부(40)에 의하여 보정된 온도 분포의 보정 데이터(D_tc)와 습도 측정부(50)에 의하여 측정된 습도 데이터(D_h)를 각각 비교하기 위한 데이터 비교부(64), 및 데이터 비교부(64)에 의하여 비교된 결과값이 설정값 이상으로 주어질 경우 가스가 해당 영역에서 누출된 것으로 판독하기 위한 누기 판독부(66)로 이루어진다.
데이터 비교부(64)에 의한 비교 결과의 설정값은 온도 분포의 기준 데이터(D_tb)와 온도 분포의 보정 데이터(D_tc)의 비가 10 내지 20%의 차이와, 습도의 기준 데이터(D_hb)와 습도 데이터(D_h)의 비가 10 내지 20%의 차이로 주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예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기 판별부(60)는 추출된 가스 탱크와 배관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열화상 입력부(20)에 의하여 입력된 열화상에 따른 온도 분포의 데이터(D_t)의 변화를 1차적으로 기준 데이터(D_b)와 비교하여 설정값 이상의 온도 분포의 변화를 가질 경우, 2차적으로 습도 측정부(50)에 의하여 생성된 습도변화 데이터(D_h)에 대하여 설정값 이상의 습도 변화를 가지는지 여부에 따라 해당 가스 탱크나 배관에 대하여 가스 누출 여부를 판별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변형예에 의하면, 누기 판별부(60)는 열화상 입력부(20)에 의하여 입력되는 온도 분포의 데이터(D_t)의 시간적 변화를 1차적으로 비교하여 이에 대하여 설정값 이상의 변화를 가질 경우, 습도 측정부(50)에 의하여 입력되는 습도 데이터(D_h)의 시간적 변화를 2차적으로 비교하여 설정값 이상의 변화를 가지는지 여부에 따라 해당 가스 탱크나 배관에 대하여 가스 누출 여부를 판별하도록 제어부(70)가 누기 판별부(60)를 제어한다.
이 때, 데이터 비교부(64)에 의한 비교 결과의 설정값은 각각 온도 분포의 데이터(D_t)의 시간적 변화비가 5 내지 10%의 차이와, 습도 데이터(D_h)의 시간적 변화비가 5 내지 10%의 차이로 주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열화상 카메라의 대기의 영향에 따른 가스 누출의 기능 저하를 방지하여 보다 정확하게 가스 누출을 검출할 수 있다.
10: 구조물 이미지 생성부
12: 영상 입력부
14: 구조물이미지 추출부
20: 열화상 입력부
30: 온도 측정부
40: 열화상이미지 보정부
42: 열화상이미지 추출부
44: 열화상이미지 변환부
50: 습도 측정부
52: 적외선 송신부
54: 적외선 수신부
60: 누기 판별부
62: 데이터 저장부
64: 데이터 비교부
66: 누기 판독부
70: 제어부

Claims (8)

  1. 열화상을 이용한 가스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가스 탱크 및 배관과 관련된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구조물 이미지 생성부(10);
    가스 탱크 및 배관의 열화상에 따른 온도 분포의 데이터(D_t)를 입력받기 위한 열화상 입력부(20);
    대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측정부(30);
    열화상 입력부(20)에 의하여 입력된 열화상에 따른 온도 분포의 데이터(D_t)를 온도 측정부(30)에 의하여 측정된 대기의 온도에 따라 보정된 온도 분포의 보정 데이터(D_tc)를 생성하기 위한 열화상이미지 보정부(40);
    가스 탱크와 배관와 그 주위의 습도를 측정하여 습도 데이터(D_h)를 생성하기 위한 습도 측정부(50); 및
    열화상 입력부(20)에 입력된 열화상에 따른 온도 분포의 데이터(D_t) 또는 열화상이미지 보정부(40)에 의하여 보정된 보정 데이터(D_tc)를 해당 온도에서 가스 누출이 발생되지 않을 때의 온도 분포를 가지는 기준 데이터(D_b)의 비교 및/또는 습도 측정부(50)에 의하여 생성된 습도변화 데이터(Dh)에 따라 가스 누출을 판별하기 위한 누기 판별부(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누출 감지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열화상이미지 보정부(40)는 열화상 입력부(20)에 의하여 입력된 열화상에 따른 온도 분포의 데이터(D_t)를 가스 탱크와 배관을 중심으로 그 주위의 열화상 이미지로 추출하기 위한 열화상이미지 추출부(42)와, 열화상이미지 추출부(42)에 의하여 추출된 열화상 이미지를 온도 측정부(30)에 의하여 측정된 대기의 온도에 따라 보정된 보정 데이터(D_tc)를 생성하기 위한 열화상이미지 보정부(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누출 감지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습도 측정부(50)는 가스 탱크와 배관와 그 주위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적외선을 송신하기는 적외선 송신부(52)와, 적외선 송신부(52)에 의하여 송신된 적외선에 대하여 수증기에 감응하지 않은 파장역과 흡수되는 파장의 흡수능의 차를 검출함으로써 절대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부(5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누출 감지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누기 판별부(60)는 온도 측정부(30)에 의하여 측정되는 온도를 기준으로 가스 누출이 발생되지 않는 상태에서 가스 탱크와 배관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열화상 입력부(20)에 의하여 입력된 열화상에 따른 온도 분포의 기준 데이터(D_tb)와 습도 측정부(50)에 의하여 입력되는 습도의 기준 데이터(D_hb)가 저장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62), 데이터 저장부(62)에 저장된 온도 분포의 기준 데이터(D_tb)와 습도의 기준 데이터(D_hb)에 대하여 열화상이미지 보정부(40)에 의하여 보정된 온도 분포의 보정 데이터(D_tc)와 습도 측정부(50)에 의하여 측정된 습도 데이터(D_h)를 각각 비교하기 위한 데이터 비교부(64), 및 데이터 비교부(64)에 의하여 비교된 결과값이 설정값 이상으로 주어질 경우 가스가 해당 영역에서 누출된 것으로 판독하기 위한 누기 판독부(6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누출 감지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누기 판별부(60)는 추출된 가스 탱크와 배관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열화상 입력부(20)에 의하여 입력된 열화상에 따른 온도 분포의 데이터(D_t)의 변화를 1차적으로 기준 데이터(D_b)와 비교하여 제1 설정값 이상의 온도 분포의 변화를 가질 경우, 2차적으로 습도 측정부(50)에 의하여 생성된 습도변화 데이터(D_h)에 대하여 제2 설정값 이상의 습도 변화를 가지는지 여부에 따라 해당 가스 탱크나 배관에 대하여 가스 누출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누출 감지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데이터 비교부(64)에 의한 비교 결과의 제1 및 제2 설정값은 온도 분포의 기준 데이터(D_tb)와 온도 분포의 보정 데이터(D_tc)의 비가 10 내지 20%의 차이와, 습도의 기준 데이터(D_hb)와 습도 데이터(D_h)의 비가 10 내지 20%의 차이로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누출 감지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누기 판별부(60)는 열화상 입력부(20)에 의하여 입력되는 온도 분포의 데이터(D_t)의 시간적 변화를 1차적으로 비교하여 이에 대하여 제3 설정값 이상의 변화를 가질 경우, 습도 측정부(50)에 의하여 입력되는 습도 데이터(D_h)의 시간적 변화를 2차적으로 비교하여 제4 설정값 이상의 변화를 가지는지 여부에 따라 해당 가스 탱크나 배관에 대하여 가스 누출 여부를 판별하도록 제어부(70)가 누기 판별부(6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누출 감지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데이터 비교부(64)에 의한 비교 결과의 제3 및 제4 설정값은 온도 분포의 데이터(D_t)의 시간적 변화비가 5 내지 10%의 차이와, 습도 데이터(D_h)의 시간적 변화비가 5 내지 10%의 차이로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누출 감지시스템.
KR1020140075530A 2014-06-20 2014-06-20 가스누출 감지시스템 KR101598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530A KR101598280B1 (ko) 2014-06-20 2014-06-20 가스누출 감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530A KR101598280B1 (ko) 2014-06-20 2014-06-20 가스누출 감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951A true KR20150145951A (ko) 2015-12-31
KR101598280B1 KR101598280B1 (ko) 2016-02-29

Family

ID=55128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530A KR101598280B1 (ko) 2014-06-20 2014-06-20 가스누출 감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2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27281A (zh) * 2016-03-27 2018-05-11 奥普加尔光电工业有限公司 组合式气体泄漏检测及量化
CN111783564A (zh) * 2020-06-15 2020-10-16 青岛众瑞智能仪器有限公司 一种快速检测呼吸道防护装备佩戴安全性的方法
KR20220009202A (ko) * 2020-07-15 2022-01-24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열화상을 이용한 호흡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282B1 (ko) 2016-12-20 2018-10-30 주식회사 해강에이피 화재 징후 예방 및 냄새 감지기 시스템
KR102097371B1 (ko) 2017-03-13 2020-05-29 사단법인 한국스마트구조시스템 연구원 적외선 열화상을 이용한 복합재료 배관 시험편의 가스누출 탐지장치
KR102164651B1 (ko) 2018-12-13 2020-10-12 유재경 산업용 가스공급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8745A (ja) * 2001-07-10 2003-01-29 Japan Radio Co Ltd オイル漏れ探知装置
JP2005292009A (ja) * 2004-04-01 2005-10-20 Denso Corp 赤外線式ガス検出器及び検出方法
JP2009192055A (ja) * 2008-02-18 2009-08-27 Ihi Corp 配管破断検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8745A (ja) * 2001-07-10 2003-01-29 Japan Radio Co Ltd オイル漏れ探知装置
JP2005292009A (ja) * 2004-04-01 2005-10-20 Denso Corp 赤外線式ガス検出器及び検出方法
JP2009192055A (ja) * 2008-02-18 2009-08-27 Ihi Corp 配管破断検知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27281A (zh) * 2016-03-27 2018-05-11 奥普加尔光电工业有限公司 组合式气体泄漏检测及量化
CN111783564A (zh) * 2020-06-15 2020-10-16 青岛众瑞智能仪器有限公司 一种快速检测呼吸道防护装备佩戴安全性的方法
CN111783564B (zh) * 2020-06-15 2024-05-14 青岛众瑞智能仪器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检测呼吸道防护装备佩戴安全性的方法
KR20220009202A (ko) * 2020-07-15 2022-01-24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열화상을 이용한 호흡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8280B1 (ko) 2016-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8280B1 (ko) 가스누출 감지시스템
EP3392635B1 (en) Image processing device for gas detection, image processing method for gas detection, image processing program for gas detection,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image processing program for gas detection recorded thereon, and gas detection system
US9191583B2 (en) Method for displaying a thermal image in an IR camera, and an IR camera
US200801688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gas leak detection and localization
AU2015258535B2 (en) Electromagnetic radiation detection apparatus for hidden fire danger in mine, and method therefor
Naranjo et al. IR gas imaging in an industrial setting
US20080265162A1 (en) Method for displaying a thermal image in a IR camera and an IR camera
US201400645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leak detection
US20160320296A1 (en) Gas detector
CN109564716A (zh) 用于检测紧急情况的装置、系统和方法
CN111209980B (zh) 环境检测方法和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411624B1 (ko) 화재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20090122131A (ko) 영상 및 음향 정보를 이용한 누설감시장치
KR102127014B1 (ko) 영상 감시 시스템
CN111366245B (zh) 提升红外测温对异常发热检出能力的方法
CN113920673A (zh) 一种室内火情智能监测方法及系统
KR101322801B1 (ko) 기준패턴을 이용한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의 방사율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7146205A (zh) 一种天然气场站巡检监控方法、设备、系统及存储介质
JP2003130752A (ja) ガス漏れ検知装置
JP6964030B2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CN202814659U (zh) 乙烯气体红外成像检漏仪
Naranjo et al. IR gas cloud imaging in oil and gas applications: immunity to false stimuli
KR102174606B1 (ko) 센서 일체형 ip 네트워크 카메라, 그리고 이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JP5573340B2 (ja) ガス検知装置およびガス検知方法
JP2020115082A (ja) 構造物異常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