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5844A -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5844A
KR20150145844A KR1020140075071A KR20140075071A KR20150145844A KR 20150145844 A KR20150145844 A KR 20150145844A KR 1020140075071 A KR1020140075071 A KR 1020140075071A KR 20140075071 A KR20140075071 A KR 20140075071A KR 20150145844 A KR20150145844 A KR 20150145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psychological
information
personality
ite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1698B1 (ko
Inventor
오미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앤티인재개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앤티인재개발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앤티인재개발원
Priority to KR1020140075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698B1/ko
Publication of KR20150145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객 단말기와 심리분석 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가 고객 단말기를 통해 심리분석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동그라미, 세모, 네모 및 S 문자가 표시된 4가지 도형으로 구성된 문항도형을 상기 고객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가 상기 문항도형에서 하나의 도형을 선택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를 통해 제시된 답안공간에 크기나 위치에 관계없이 3번 그려 입력하는 단계; (d)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도형을 상기 4가지 도형별 및 도형의 배치에 따른 유형으로 입력 데이터를 분류하는 단계; (e)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유형별 분석 데이터와 상기 분류된 입력 데이터와 매칭하고 기하심리 검사 결과를 상기 사용자 고객 단말기로 표시하는 단계; (f) 상기 사용자가 검사유형을 선택하고,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선택한 검사유형에 따른 문항을 상기 고객 단말기에 표시하고, 상기 각 문항의 해당 정도를 나타내는 점수에 체크하여 입력하는 단계; 및 (g)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입력된 문항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분류된 성격유형을 나타내는 상기 4가지 도형을 포함하는 다수의 도형유형으로 분류하고, 상기 각 검사유형에 따라 상기 각 도형에 점수가 표시된 심리검사 결과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한 도형에 따른 심리 또는 성격유형 및 심리문항에서 나타난 도형의 유형 정보 등을 통해 컴퓨터 등의 온라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자신의 성격유형, 정서심리, 진로 및 심리적 개선사항 등의 다양하고 폭넓은 심리 상담정보를 얻을 수 있는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mentality analysis service method using of figure and question}
본 발명은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편리하게 다양하고 폭넓은 심리상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잡한 인간의 심리를 보다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분류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고안되었다. MMPI, MBTI등 객관식문항을 통한 성격검사방법, 로샤(Rorschach) 등의 그림을 통한 검사방법, 스트레스 지수를 기계적으로 측정하는 기계검사방법 등이 그것이다. 즉, 사람의 심리를 분석하는 것은 심리학자들이 진단대상자를 오랜 시간에 걸쳐 관찰하고, 상담을 해야만 가능할 수 있을 것이지만, 심리학자들의 오랜 연구 끝에 상술한 객관적이고 획일적인 방법을 통해서도 어느 정도 만족할 만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진단대상자에 대한 보다 정확한 심리 진단 결과를 얻기 위해서 진단자(즉, 진단 대상자를 진단하는 심리학자 또는 의사 등)는 하나의 해석 방법만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해석 방법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즉, 진단자는 복수개의 해석 방법을 통하여 얻어지는 복수개의 심리 진단 결과를 이용하여 진단대상자의 심리를 진단하는 것이다.
그런데, 한 명의 진단대상자에 대하여 여러 가지 해석 방법이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진행된 경우에는 하나의 심리 진단 결과를 얻기 위해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용된 해석 방법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심리 진단 결과가 도출되기 때문이다. 즉, 진단자는 각각의 해석 방법에 상응하는 복수개의 심리 진단 결과를 다시 종합, 분석하여 진단대상자에 대한 하나의 심리 진단 결과를 도출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 및/또는 인력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담자가 전문 심리상담사를 직접 찾아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심리상담에 대하여 사회적으로 부정적 인식이 있다는 편견으로 인해, 정신병원 또는 심리상담소를 찾아가고자 하는 심리적 저항감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는 점에서,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접근하여, 보다 포괄적이고 깊은 심리상담 결과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심리적 및 정서적, 더 나가 자신의 성격유형을 파악하여 진로 및 심리적 개선사항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심리상담 서비스 및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6269호(등록일자: 2011년06월28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7025호(등록일자: 2012년10월29일)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과제는, 컴퓨터 등의 온라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자신의 성격유형, 정서심리, 진로 및 심리적 개선사항 등의 다양하고 폭넓은 심리 상담정보를 얻을 수 있는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특징은, 고객 단말기와 심리분석 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가 고객 단말기를 통해 심리분석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동그라미, 세모, 네모 및 S 문자가 표시된 4가지 도형으로 구성된 문항도형을 상기 고객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가 상기 문항도형에서 하나의 도형을 선택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를 통해 제시된 답안공간에 크기나 위치에 관계없이 3번 그려 입력하는 단계; (d)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도형을 상기 4가지 도형별 및 도형의 배치에 따른 유형으로 입력 데이터를 분류하는 단계; (e)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유형별 분석 데이터와 상기 분류된 입력 데이터와 매칭하고 기하심리 검사 결과를 상기 사용자 고객 단말기로 표시하는 단계; (f) 상기 사용자가 검사유형을 선택하고,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선택한 검사유형에 따른 문항을 상기 고객 단말기에 표시하고, 상기 각 문항의 해당 정도를 나타내는 점수에 체크하여 입력하는 단계; 및 (g)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입력된 문항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분류된 성격유형을 나타내는 상기 4가지 도형을 포함하는 다수의 도형유형으로 분류하고, 상기 각 검사유형에 따라 상기 각 도형에 점수가 표시된 심리검사 결과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유형별 분석 데이터는, 단순형, 트래버스형, 중복형, 몰입형, 타워형, 천재형, 드문형, 생활사건형, 무기력 또는 편집형, 다운(down) 정서형의 10가지 타입으로 분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기하 심리 검사 결과는, 상기 유형별 분석 데이터와 함께 상기 유형별 분석 데이터에 따른 셀프코칭 질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문항은, 일반 성격유형과 관련된 48개의 문항과, 의사소통방식과 관련된 48개의 문항과, 외향 및 내향의 성격유형과 관련된 22개의 문항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f)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각 문항에 대하여 고객 단말기상에 표시되는 상기 문항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해당 정도를 나타내는 5개의 점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검사유형은, 상기 4가지 도형의 성격유형 결과를 나타내는 태극모델과, 상기 태극모델의 결과와 의사소통유형 결과를 나타내는 6가지 도형의 성격유형 결과를 나타내는 미라클모델과, 상기 미라클모델 결과와 성격의 내/외향성 검사결과를 나타내는 8가지 도형 성격유형 결과를 나타내는 아리랑모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6가지 도형 검사유형에 따른 심리검사 결과정보는 의사소통방식에 따라 동그라미는 정감형, 세모는 지배형, 네모는 객관형, S자는 논리형, 오각형은 이성형 및 육각형은 수용형으로 분류하여 테이블 정보로 표시하고, 상기 각 의사소통유형에 관련된 문항의 합산 점수를 막대 그래프 또는 방사형 그래프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g) 단계에서, 상기 8가지 도형 검사유형에 따른 심리검사 결과정보는, 성격유형에 따라 내향적 동그라미는 친화형 성격, 외향적 동그라미는 사교형 성격, 세모는 도전형 성격, 네모는 분석형 성격, 내향 S자는 창조형 성격, 5각형은 진취형 성격, 육각형은 수용형 성격 및 외향 S자는 자율형을 성격유형의 특성으로 분류하고, 상기 각 도형의 성격유형에 관련된 문항의 합산 점수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g) 단계에서, 상기 심리 결과정보는, 각 도형 유형에 따른 관련 문항의 합산점수를 테이블 정보와, 각 도형 유형에 따른 문항의 합산점수에 관한 막대 그래프 또는 방사형 그래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문항은 정서심리와 관련된 다수개의 정서심리 문항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정서심리 문항은, 외로움, 그리움, 분노심, 적개심, 억울함, 두려움, 부담감, 질투심, 열등감, 공포심 및 무기력감과 관련된 문항으로 분류된 것일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심리검사 결과정보는, 상기 4개의 도형을 포함하는 도형 유형으로 분류하고, 상기 각 도형 유형에 대응되어 관련된 상기 정서심리 문항들의 합산점수를 표시하는 테이블 정보와, 상기 각 도형 유형에 대응되어 관련된 상기 정서심리 문항의 합산점수에 관한 막대 그래프 또는 방사형 그래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심리검사 결과정보는, 상기 도형 유형별 대인관계 특성, 적합진로 및 추천직업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한 도형에 따른 심리 또는 성격유형 및 심리문항에서 나타난 도형의 유형 정보 등을 통해 컴퓨터 등의 온라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자신의 성격유형, 정서심리, 진로 및 심리적 개선사항 등의 다양하고 폭넓은 심리 상담정보를 얻을 수 있는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의 제공으로, 자기분석과 타인에 대한 이해 능력을 향상시키고, 커뮤니케이션/대인관계 의사소통기술 향상시키고, 조직 활성화를 위한 도형심리 팀 빌딩을 도모할 수 있으며, 조직 및 개인코칭 상담도구로 활용할 수 있고, 개인의 직업 및 직무탐색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수 및 교사를 위한 교육과정 콘텐츠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에서 고객 단말기를 통해 문항도형을 표시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에서 입력 그림 데이터에 대한 심리 및 성격 특성을 나타내는 기하 심리결과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에서 입력 그림 데이터에 대한 심리 및 성격 특성을 나타내는 셀프코칭 질문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에서 문항검사에 적용되는 다수의 문항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에서 문항검사에 적용되는 다수의 문항 중 정서심리 문항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에서 서비스 모델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각 도형에 따른 성격특성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의 태극모델에서 제공하는 심리검사 결과 정보 중 그래프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의 미라클모델에서 제공하는 심리검사 결과 정보로서, 테이블 정보와 방사형 그래프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의 아리랑모델에서 제공하는 심리검사 결과 정보로서 테이블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의 아리랑모델에서 제공하는 심리검사 결과 정보로서 방사형 그래프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에서 제공되는 각 도형에 따른 개발 포인트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에서 제공되는 적합진로적성탐색 정보로서 테이블 및 그래프 정보를 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적합진로적성탐색 정보로서 추천직업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을 통해 나타나는 효과로서 도형심리 검사 서비스의 활용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소자 및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은, 고객 단말기와 심리분석 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가 고객 단말기를 통해 심리분석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S100); (b)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동그라미, 세모, 네모 및 S 문자가 표시된 4가지 도형으로 구성된 문항도형을 상기 고객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S200); (c) 상기 사용자가 상기 문항도형에서 하나의 도형을 선택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를 통해 제시된 답안공간에 크기나 위치에 관계없이 3번 그려 입력하는 단계(S300); (d)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도형을 상기 4가지 도형별 및 도형의 배치에 따른 유형으로 입력 데이터를 분류하는 단계(S400); (e)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유형별 분석 데이터와 상기 분류된 입력 데이터와 매칭하고 기하심리 검사 결과를 상기 사용자 고객 단말기로 표시하는 단계(S500); (f) 상기 사용자가 검사유형을 선택하고,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선택한 검사유형에 따른 문항을 상기 고객 단말기에 표시하고, 상기 각 문항의 해당 정도를 나타내는 점수에 체크하여 입력하는 단계(S600); 및 (g)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입력된 문항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분류된 성격유형을 나타내는 상기 4가지 도형을 포함하는 다수의 도형유형으로 분류하고, 상기 각 검사유형에 따라 상기 각 도형에 점수가 표시된 심리검사 결과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S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고객 단말기와 심리분석 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이란, 일반적인 웹서버와 개인용 PC가 인터넷 등을 통해 연결된 네트워크 시스템을 말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사용자 클라이언트 단말이 서버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고,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에 등록하여 상기 서비스를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제공받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말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동그라미, 세모, 네모 및 S자 형 도형은 가장 기본적이고 간단한 도형으로, 그림 심리분석 분야에서 오랜동안 도형별 심리 및 성격 특성이 다르다는 점에 기인하여, 오랜동안의 임상 결과를 토대로 선택된 4가지 기본도형(동그라미, 세모, 네모, S자형 도형)을 기반으로 도형 심리검사 또는 분석에 사용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가 PC에서 심리분석 서버가 제공하는 심리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특정한 4가지 도형을 포함한 다수의 도형 유형별 분석결과를 고객 단말기를 통해 제공하고, 다수의 문항 검사를 통해 입력된 점수를 통해 자동으로 관련된 도형유형의 점수 결과를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성격유형, 의사소통방식 및 정서심리 등의 심리검사 결과정보를 제공하여, 기하학적인 도형의 형태에 따라 각기 다른 성격유형과 선천적으로 타고난 기질을 파악하여 올바른 자기인식과 타인에 대한 이해를 돕고 건강한 인격성장을 지원하는 검사 서비스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에서 고객 단말기를 통해 문항도형을 표시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고객 단말기를 통해 심리분석 서버에 사용자 등록한 후, 심리분석 서비스를 실행하게 되면, 기하 도형심리 분석을 위해 도 2에 예시된 도형문항이 고객 단말기를 통해 나타나게 된다. 고객 단말기에 표시된 바와 같이, 동그라미, 세모, 네모 및 S자형 도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시된 답안공간에 위치와 배열에 상관없이 3번 그려 입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객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특정된 4개의 도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3번 그리게 되면, 사용자별로 도형의 종류 및 그 배치 및 위치가 각각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는 사용자의 심리 및 성격 유형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이와 같은 사용자가 입력한 도형을 통한 기하 도형심리 그림검사는 현재 사용자의 무의식과 마음의 상태, 기분, 감정 등을 반영하므로 그려 입력할 때마다 그림의 모양 배치가 달라질 수 있으나, 그림 패턴에 따라 가지고 있는 특성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사용자의 현재 마음 상태 또는 심리를 파악함에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그리고, (d) 단계로서, 심리분석 서버가 입력된 그림 데이터가 도형별 및 도형 배치에 따른 유형으로 입력데이터를 분류하고, (e) 단계로서,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유형별 분석 데이터와 상기 분류된 입력 데이터와 매칭하고 기하심리 검사 결과를 상기 사용자 고객 단말기로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에 사용되는 심리분석 서버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미리 저장된 도형별 및 배치에 따른 그림에 따른 성격의 특성을 설명한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가 고객 단말기를 통해 입력한 그림 입력 데이터와 매칭시켜, 가장 유사한 형태의 결과 데이터를 고객 단말기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도형의 배치에 따른 심리 및 성격 특성은 10가로 분류하는데, 보다 정밀한 특성 분석을 위하여 더 많은 분류도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0가지 도형 배열 또는 배치에 따른 분류는, 단순형(simpl type), 트래버스 타입(traverse type), 중복타입(overlap type), 몰입형(concentration type), 타워형(tower type), 천재타입(genius type), 드문타입(seldom type), 생활사건형(life shock type), 무기력/편집 타입, 다운정서(down)형으로 분류하여 이에 따른 해당 결과정보를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에서 입력 그림 데이터에 대한 심리 및 성격 특성을 나타내는 기하 심리결과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순형(simple)인 경우, 도형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형태로서, 심리 특성은 "자신의 장점을 충분히 발휘하고 있지 못하며, 표면적, 평면적 현상에 머물러 있는 상태 ~ 이하생략"이라거나,(도 3의 (a)) 트래버스형(traverse type)은 도형이 외곽점에 붙여 연결하는 배치로서, "두뇌가 매우 총명하고 우수합니다. 객관적이며 논리적이고 분석능력이 뛰어납니다. ~ 이하생략"으로 나타내어 그림 데이터를 입력한 사용자의 현재 심리 상태 또는 성격특성을 설명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도 3의 (b))
그 외에도, 도형의 종류 및 배치에 따른 다수의 심리분석 결과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그림 데이터와 매칭시켜 가장 유사한 결과를 고객 단말기를 통해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심리분석 서버에 등록한 사용자의 다양한 그림 입력 정보에 알맞는 적정한 심리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에서 입력 그림 데이터에 대한 심리 및 성격 특성을 나타내는 셀프코칭 질문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코칭 질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각 도형의 유형에는 해당하는 심리 및 성격 특성이 존재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해당 도형 유형을 입력한 사용자의 주 관심사 및 고민하는 문제와 이에 대한 개선을 위한 적절한 자가 질문을 표시하여 제공하여 스스로 질문하고 답해 봄으로써, 셀프 힐링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4의 (a) 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단순형 네모 도형을 입력한 사용자의 주 관심사(Issue)는 공동체, 지식, 자금, 학업 등 개발과 관련된 문제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더 얻고 싶은 지식은 무엇인가요?, 그것을 배우면 무엇이 달라지나요?, 그것을 배우는데 장애가 되는 것은 무엇인가요? 등"의 자가 질문을 제시하고, 도 4의 (b) 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단순형 에스(S)자형 도형을 입력한 사용자의 주 관심사(Issue)는 영성, 이성, 예술성, 건강 등 긍정성과 관련된 문제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가장 큰 관심사는 무엇입니까?, 지나친 관심에서 포기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요?, 등"의 자가 질문을 제시하여 사용자의 셀프힐링 및 상담 기능 유도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f) 단계는 사용자가 고객 단말기를 통해 표시된 3가지 유형의 검사유형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선택한 검사유형에 따른 문항을 상기 고객 단말기에 표시하여 상기 각 문항의 해당 정도를 나타내는 점수에 체크하여 입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에서 문항검사에 적용되는 다수의 문항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심리 및 성격 특성을 나타내는 형용사적 표현이 담긴 다수의 문항과, 각각의 문항에 따라 해당 정도를 나타내는 점수를 체크할 수 있는 체크 점수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들어, 1번 문항에서 "친절한"이란 문항을 예시하고, 이에 대한 해당 정도를 1,2,3,4,5의 점수 중 하나를 선택 또는 체크하도록 되어 있고, 1점의 경우 "전혀 그렇지 않다", 2점의 경우 "그렇지 않다", 3점의 경우 "보통이다", 4점의 경우 "그렇다", 5점의 경우 "매우 그렇다"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문항은 개인의 능력을 평가하거나 좋고 나쁜 성격을 진단하는 검사가 아니라 선천적인 기질적 특성을 알아보는 비진단 검사 도구로서, 총 116개의 문항으로, 성격유형을 나타내는 것은 1번 부터 48번 까지, 의사소통방식 유형을 나타내는 것은 49번 부터 96번 까지, 성격의 내/외향성을 나타내는 것은 97번 부터 116번 까지 예시하고 있으며, 그 예시는 다음과 같다.
<성격유형>
1. 친절한 2. 주도적인 3. 신중한 4. 미적 감각을 추구하는 5. 협조적인 6. 적극적인 7. 분석적인 8. 예술적인 9. 따뜻한 10. 지도력 있는 11. 진지한 12. 호기심 많은 13. 우호적인 14. 지배적인 15. 정확한 16. 이상주의적인 17. 남을 배려하는 18. 열성적인 9. 규칙을 잘 지키는 20. 상상력이 풍부한 21. 다정다감한 22. 진취적인 23. 보수적인 24. 틀에 얽매이지 않는 25. 관대한 26. 자신감 있는 27. 세심한 28. 자유분방한 29. 이해심 많은 30. 시도하는 31. 합리적인 32. 감정에 민감한 33. 동정심 많은 34. 활동적인 35. 일관성 있는 36. 재주가 많은 37. 원만한 38. 제시하는 39. 깊이 알고자 하는 40. 감성적인 41. 수용적인 42. 목표를 향해 전진하는 43. 조용한 44. 창의적인 45. 여유가 있는 46. 추진력 있는 47. 상식적인 48. 추상적인
<의사소통방식 유형>
49. 나는 처음 보는 사람에게 먼저 말을 건네는 편이다. 50. 나는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의견을 강하게 주장하는 편이다. 51. 나는 내가 말을 하기보다는 상대방의 말을 더 많이 듣는 편이다. 52. 나는 대화하기 전에 실수하면 어떡하나 걱정이 먼저 앞선다. 53. 나는 여러 사람이 모인 가운데 대화를 주도한다. 54. 나는 설득력이 있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55. 나는 상대방의 입장과 감정을 잘 공감하고 배려하는 편이다. 56. 나는 이성적이고 차분하며 냉정하게 생각한다. 57. 나는 내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한다. 58. 나는 대화할 때 간접화법보다는 직선적인 화법을 사용한다. 59. 나는 상대방으로부터 비난 받지 않으려고 먼저 비위를 맞추는 편이다. 60. 나는 객관적으로 수용되지 않는 일에는 조목조목 따지는 편이다. 61. 나는 다양한 경험에 개방적이다. 62. 나는 할말을 하지 못하면 화가 나고 스트레스를 받는다. 63. 타인의 요청이나 부탁을 거절하기 어렵고 부정적인 감정표현을 하기 어렵다. 64. 나는 상대방의 잘못을 쉽게 받아들이기 어렵다. 65. 나의 음성은 중 고음이며 가볍고 빠른 속도로 말을 한다. 66. 나는 부정적인 감정도 솔직하게 표현한다. 67. 나는 규칙을 선호하고 논리적이고 분석적인 대화방법을 선호한다. 68. 나의 감정이나 생각을 쉽게 드러내지 않는다. 69. 나는 나 자신이나 타인에 대해 편안하게 느낀다 다음 각 문항 중 자신의 의사소통방식과 관련이 많을수록 높은 숫자에 표시하세요. 70. 나는 다른 사람이 말하는 것을 끝까지 듣기 어려워 중간에 말을 자른다. 71. 나는 대화할 때 너무 진지하고 융통성이 적은 편이다. 72. 나의 음성은 가늘고 낮으며 기운이 없어 보인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73. 나는 타인의 평가에 구애 받지 않고 내 의견을 말하는 편이다. 74. 나는 과정보다 결론을 듣기 원하며 서론을 생략하고 본론으로 들어간다. 75. 나는 단정적인 언어보다는 결론을 뒤로 미루는 경향이 있다. 76. 나는 화가 나면 신경질적이고 예민한 반응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77. 나는 타인의 말을 듣기보다 내가 훨씬 더 많은 말을 하는 편이다 78. 나는 내 의견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화가 나고 감정이 불편해진다. 79. 나는 작성된 원고대로 의견을 말하는 것이 편하다. 80. 나는 나 자신이 가치 없는 것 같아 우울하게 느낄 때가 있다. 81. 나는 대화할 때 곤란하면 농담이나 유머를 시도하여 상황을 바꾸려고 노력한다. 82. 나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부탁을 받았을 때 내가 원하지 않으면 거절한다. 83. 나는 어떤 일이 잘못되면 나의 잘못으로 돌리는 경향이 있다. 84. 나는 다른 사람의 결점이나 잘못에 대하여 비판하는 경향이 있다. 85. 나는 누가 나의 의견에 반대하여도 감정이 크게 상하지 않는다. 86. 나의 음성은 묵직하고 강하며 말의 속도는 빠른 편이다. 87. 나는 지나치게 타인의 감정을 의식한다. 88. 나는 생각이 자주 바뀌고 여러 가지 행동을 해서 산만하다는 말을 듣는다. 89. 나는 대화할 때 음성이 크고 말이 많아 시끄럽다는 이야기를 자주 듣는다. 90. 나는 지시적이고 공격적인 말투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91. 나의 의견에 타인이 반대하면 어떡하나 불안하여 의견을 말하기가 두렵다. 92. 나는 나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어렵고 혼자라고 느낄 때가 종종 있다. 93. 나는 분위기가 침체되거나 지루해지면 화제를 바꾸어 분위기를 바꾸려 한다. 94. 나는 타인과 말을 할 때 마치 싸우는 듯 한 인상을 준다. 95. 나의 음성은 낮고 느리며 또박또박 말을 하는 편이다. 96. 나는 불편한 상황에서 안절부절 못하거나 가만히 있지를 못한다.
<내/외향성>
97. 활동적인 98. 사교적인 99. 열성적인 100. 폭 넓은 101. 말이 많은 102. 외부활동선호 103. 함께 활동하는 104. 표현이 자유로운 105. 다양한 호기심 106. 먼저 말을 건네는 107. 깊이 있는 108. 내부활동선호 109. 신중한 110. 조용한 111. 생각이 깊은 112. 말이 적은 113. 혼자 있는 게 편안한 114. 자신의 공간선호 115. 한가지 일에 집중하는 116. 조심성 있는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에서 문항검사에 적용되는 다수의 문항 중 정서심리 문항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간의 감정 및 정서와 관련된 문항을 예시하고, 이에 해당하는 정도를 1 내지 10의 점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체크하도록 제시하여 보다 깊고 정확한 사용자의 심리, 성격, 적성 등의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정서심리와 관련된 11개의 문항을 예시한다.
<정서심리>
1. 낙천적이며 사람들을 편안하게 해주려고 노력하고 현재의 삶을 즐기는 현실형이다. 새로운 일에 호기심이 많아 시작을 잘 하지만 마무리가 부족하다. 사람을 좋아하다 보니 늘 함께하고 싶어 하며 의존적이지만 사람들에게 상처 줄까 봐 떠나려고 한다.
2. 이상주의적이며 감수성이 풍부하고 사람을 잘 챙긴다. 자기 것에 대한 애착이 강하고 일에 대한 애정이 많다. 대인관계가 넓고 대화를 즐기며 세심하고 자상하다. 부드럽고 친절하며 미련이 많다. 때로 우유부단하다.
3. 추진력과 결단력이 있으며 열정적이고 뒷 끝이 없다. 에너지 넘치는 열정이 때로는 분노로 폭발하여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어떤 사안에 대하여 민감하며 마음에 맞지 않을 때 짜증을 쉽게 내고 잘 삐지며 긴장감을 느끼게 한다.
4. 한 가지 일을 향해 집중하며 목표 지향적이고 위기상황에 대처 능력이 뛰어나다. 성격이 급하고 논쟁을 즐기며 감정표현이 극단적이다. 싫은 꼴을 보기 어려워 지적해야 직성이 풀린다. 시작하면 이겨야 하고 끝장을 봐야한다.
5. 의리와 정의감이 있으며 매사에 확실하다. 장단점을 잘 파악하고 조직관리 능력이 탁월하다. 할 말이 있으면 마음에 담아두지 않고 바로 한다. 항상 옳다는 인정을 받기 원한다. 자신이 통제해야 편하다.
6. 실패를 두려워하다 보니 매사에 신중하고 안정된 것을 선호한다. 자신의 감정이나 욕구, 아이디어를 충분히 표현하지 않고 다른 사람의 욕구에 따른다. 예의 바르고 끈기가 있다. 타인의 평가에 대해 민감하고 결정하는 일이 어렵고 힘들다.
7. 매사에 열심이 있고 맡은 일에 책임을 다하며 성실하다. 잘 하려고 노력하며 할 일이 늘 쌓여있다. 과묵하고 든든하다. 위축되어 있고 늘 긴장하며 갈등을 회피하고 자신의 요구사항이 있어도 표현이 어렵거나 회피하며 냉정하게 거절하지 못한다.
8. 최고가 되려고 한다. 자존심이 강하다. 감수성이 예민하다. 다른 사람을 인정하지 않는다. 대인관계에 있어서 잘 삐지고 샘이 많다. 다른 사람들에게 가장 우선순위가 되고 싶어한다.
9.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가 높고 논리적이고 분석적이어서 잘못이나 실수에 대해 반성한다. 비교분석을 잘하고 끊임없이 자기를 개발하며 맡은 일에 대해서 책임감이 강하다. 완벽주의 성향인 이들은 잘하려고 애를 쓰지만 실패에 대한 두려움으로 쉽게 포기하고 만다.
10. 창의적이며 기획력이 뛰어나고 상상력과 아이디어가 풍부하다. 빈틈없이 치밀하고 꼼꼼하며 시작한 일에 대해서는 끝장을 본다. 겉은 차갑고 냉정하며 이성적으로 보이지만 내면은 따뜻하고 여리다. 그러나 카리스마 강한 리더십이 있어서 주변사람들을 따르게 한다.
11. 의욕이 없고 목표가 없다. 욕심이 없고 초연하다. 매사에 흥미가 없다. 새로운 일이나 새로운 사람을 만나는 일에 관심이 별로 없다. 운동이나 여가활동을 즐기지 않는다. 입맛이 없고 잠을 잘못 잔다.
이와 같은 11개의 성서심리 문항은, 외로움, 그리움, 분노심, 억울함, 두려움, 질투심, 열등감, 공포심 및 무기력감과 관련된 문항으로 분류할 수 있고, 각 문항의 해당정도를 나타내는 점수를 통해, 자신이 상기 나열된 감정 또는 정서가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 스스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에서 서비스 모델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형 및 서비스에 따라 3가지 모델을 제시하고, 각각의 모델에서 기본적인 도형인 동그라미, 세모, 네모, S자형 도형을 포함하여 성격유형 심리분석 서비스를 포함한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태극모델은 상기 4가지 도형을 바탕으로, 성격유형 기하심리 검사결과와 성격유형과 관련된 48가지 문항과 매칭시켜, 각 도형에 해당하는 정도의 점수 결과를 테이블 정보 및 그래프 정보로 표시하여 제공하게 된다. 그 외에도 상기 도형에 해당하는 문항 점수 결과에 따라 성격적 특성, 커리어 개발 포인트, 진로 및 직업정성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미라클모델은 상기 4가지 도형을 포함하여 오각형 및 육각형 도형을 포함하는 6가지 타입의 기하심리 검사결과와 상기 48가지 문항과 의사소통방식과 관련된 48가지 문항을 매칭시켜 각 도형에 해당하는 정도의 점수 결과를 테이블 정보 및 그래프 정보로 표시하여 제공하게 된다. 또한, 성격적 특성, 의사소통방식 개발포인트와 진로 및 직업정성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아리랑 모델은 상기 미라클모델의 도형과 더불어 성격의 내/외향성을 나타내는 동일한 중심으로 2개의 원형이 그려진 외향 동그라미와 S자 도형을 중심으로 수직으로 교차시킨 모양의 외향 S자형 도형을 포함는 8가지 타입의 기하심리 검사결과와 상기 성격유형과 관련된 48가지 문항과 의사소통방식과 관련된 48가지 문항 및 성격의 내/외향성과 관련된 20문항을 매칭시켜 각 도형에 해당하는 정도의 점수 결과를 테이블 정보 및 그래프 정보로 표시하여 제공하게 된다. 또한 성격적 특성, 의사소통방식 개발포인트, 진로 및 직업정성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 외에도 아리랑 모델은 정서심리와 관련된 22개 문항을 포함시켜 상기 8가지 도형에 매칭시켜 정서적 안정을 위한 조언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각 도형에 따른 성격특성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가지 도형 중 동그라미는 내향 동그라미의 성격특성으로, "부드러운 봉사자"로 표현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침착하고 조용하며 차분하다. 긍정적이고 낙천적이며 즐거운 삶을 추구한다. 부드럽고 따뜻하게 감정표현을 잘 한다. 등" 성격적 특성 정보를 표시하여 제공하고, 8가지 도형을 포함하는 아리랑 모델에 적용되는 외향 동그라미는 성격적 특성으로, "탁월한 커뮤니케이터"로 표현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사교적이고, 활발하여 둥글둥글하여 주변사람들과 잘 사귄다. 다툼이나 분쟁이 적고 인간 관계를 중요하게 여기므로 늘 주변에 친구가 많다. 등" 성격적 특성 정보를 표시하여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48가지 문항의 해당정도 점수 결과에 따라 나타나는 각 도형의 성격적 특성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각 도형에 해당 정도를 점수 결과를 알 수 있고, 그 점수 결과를 통해 도 8에서 예시된 성격적 특성 정보를 확인하여 자신이 갖고 있는 성격적 특성의 분포 정도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한 심리검사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의 태극모델에서 제공하는 심리검사 결과 정보 중 그래프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태극모델은 동그라미, 세모, 네모, S자형 도형의 4가지 도형을 기반으로 그래프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데, 48가지 문항의 점수 결과를 바탕으로 각 도형의 점수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와(도 9의 (a)), 각 도형의 성격 특성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고 판단할 수 있는 방사형 그래프(도 9의 (b))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사형 그래프는, 중심에서 대칭으로 각 도형을 배치하고, 각각의 도형에 해당하는 점수의 포인트를 표시하고, 그 포인트를 연결하게 되면 다각형이 형성되고, 각각 도형의 해당 점수에 따라 다각형이 치우쳐져 있는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자신이 동그라미의 개방성, 세모의 도전성, S자의 유연성 및 네모의 정확성 중 어느 쪽으로 치우쳐 있는지 또는 결여되어 있는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의 미라클모델에서 제공하는 심리검사 결과 정보로서, 테이블 정보와 방사형 그래프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라클모델은 동그라미, 세모, 네모, S자형, 오각형 및 육각형의 6가지 도형을 기반으로, 성격유형과 관련된 48가지 문항과 의사소통방식과 관련된 48가지 문항에 대한 해당 정도의 점수 결과를 테이블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테이블 정보의 점수 결과에 따라 방사형 그래프로 표시함으로써, 각 도형에 따른 성격특성 및 의사소통방식의 특성을 방사형 그래프에 표시된 포인트 다각형의 치우쳐진 상태로 쉽고 포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의 아리랑모델에서 제공하는 심리검사 결과 정보로서 테이블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의 아리랑모델에서 제공하는 심리검사 결과 정보로서 방사형 그래프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리랑모델에서 제공되는 테이블 정보는 미라클모델의 도형과 성격의 내/외향성을 나타내는 외향성 동그라미 및 외향성 S자형이 추가된 8가지 도형을 기반으로, 성격유형과 관련된 48가지 문항, 의사소통방식과 관련된 48가지 문항 및 내/외향성과 관련된 22가지 문항 총118 문항의 해당정도를 나타내는 점수의 결과를 각 도형별로 표시한 정보를 성격유형, 의사소통방식 및 내/외향성으로 구분하여 제공된다.
그리고,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 정보를 바탕으로, 원의 중심에서 최 외각 둘레에 사방으로 배치된 8가지 도형 각각에 해당하는 점수의 포인트를 표시하고 연결하는 방사형 그래프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폭넓고 깊이 있게 자신의 성격적 특성, 의사소통방식 특성 등의 심리 결과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에서 제공되는 각 도형에 따른 개발 포인트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각 모델의 검사유형에 따라 나타난 각 도형의 문항 점수 결과를 확인하고, 각각의 해당 점수에 따라 취약하거나 개선해야할 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동그라미의 경우, 개발 포인트는 "감정이 격할 때 틈을 두고 천천히 말한다." "하려는 말이나 계획을 미리 문장화하고 구체화한다." "무엇이든 먼저 계획을 세우고 반드시 실천한다." 등의 개선 또는 개발해야할 구체적 사항들을 제시함으로써, 본 발명의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자기개발과 내외적 성장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에서 제공되는 적합진로적성탐색 정보로서 테이블 및 그래프 정보를 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적합진로적성탐색 정보로서 추천직업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합진로적성탐색 정보는 각 도형에 해당 정도를 나타내는 점수가 표시된 테이블 정보와, 각 도형에 따라 배치된 진로적성을 방사형 그래프로 나타내어 자신이 어떤 진로적성에 알맞는지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향 S자형과 동그라미 위치 쪽에 포인트 다각형이 치우쳐 있는 경우라면, 자율적 활동을 원하고, 사람이 좋아해서 관계중심적인 일을 하고 싶은 진로적성이 있으므로, 상담가, 회계사 등의 전문가로서 자율적이면서 사람을 통한 관계중심적 직업 적성에 알맞을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접합진로 및 추천직업 정보는, 동그라미(외향)의 경우 언어능력이 높은 편이어서 인문, 사회계열, 언어계열, 서비스, 경영 영역, 마케팅 분야에 적합하고, 추천직업으로 "상담자, 교사, 기업교육강사, 건강관리사, 스포츠에이전트, 변호사 등"이 있고, 세모의 경우 추진능력이 높은 편이어서 사회/공학계열, 경영, 행정, 법무행정, 경찰행정 분야에 적합하고, 추천직업으로 "CEO, 마케팅, 기획, 전략부서, 기업컨설턴트, 노무사, 정치인, 경찰관, 판.검사 등"이 있음을 표시하여 제공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을 통해 나타나는 효과로서 도형심리 검사 서비스의 활용예를 나타낸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활용예로서, 자기분석과 타인에 대한 이해 능력을 향상시키고, 커뮤니케이션/대인관계 의사소통기술 향상시키고, 조직 활성화를 위한 도형심리 팀 빌딩을 도모할 수 있으며, 조직 및 개인코칭 상담도구로 활용할 수 있고, 개인의 직업 및 직무탐색 도구로 활용할 수 있고, 교수 및 교사를 위한 교육과정 콘텐츠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 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고객 단말기와 심리분석 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가 고객 단말기를 통해 심리분석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동그라미, 세모, 네모 및 S 문자가 표시된 4가지 도형으로 구성된 문항도형을 상기 고객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가 상기 문항도형에서 하나의 도형을 선택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를 통해 제시된 답안공간에 크기나 위치에 관계없이 3번 그려 입력하는 단계;
    (d)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도형을 상기 4가지 도형별 및 도형의 배치에 따른 유형으로 입력 데이터를 분류하는 단계;
    (e)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유형별 분석 데이터와 상기 분류된 입력 데이터와 매칭하고 기하심리 검사 결과를 상기 사용자 고객 단말기로 표시하는 단계;
    (f) 상기 사용자가 검사유형을 선택하고,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선택한 검사유형에 따른 문항을 상기 고객 단말기에 표시하고, 상기 각 문항의 해당 정도를 나타내는 점수에 체크하여 입력하는 단계; 및
    (g)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입력된 문항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분류된 성격유형을 나타내는 상기 4가지 도형을 포함하는 다수의 도형유형으로 분류하고, 상기 각 검사유형에 따라 상기 각 도형에 점수가 표시된 심리검사 결과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형별 분석 데이터는,
    단순형, 트래버스형, 중복형, 몰입형, 타워형, 천재형, 드문형, 생활사건형, 무기력 또는 편집형, 다운(down) 정서형의 10가지 타입으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하 심리 검사 결과는,
    상기 유형별 분석 데이터와 함께 상기 유형별 분석 데이터에 따른 셀프코칭 질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항은,
    일반 성격유형과 관련된 48개의 문항과, 의사소통방식과 관련된 48개의 문항과, 외향 및 내향의 성격유형과 관련된 22개의 문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각 문항에 대하여 고객 단말기상에 표시되는 상기 문항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해당 정도를 나타내는 5개의 점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검사유형은, 상기 4가지 도형의 성격유형 결과를 나타내는 태극모델과, 상기 태극모델의 결과와 의사소통유형 결과를 나타내는 6가지 도형의 성격유형 결과를 나타내는 미라클모델과, 상기 미라클모델 결과와 성격의 내/외향성 검사결과를 나타내는 8가지 도형 성격유형 결과를 나타내는 아리랑모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6가지 도형 검사유형에 따른 심리검사 결과정보는 의사소통방식에 따라 동그라미는 정감형, 세모는 지배형, 네모는 객관형, S자는 논리형, 오각형은 이성형 및 육각형은 수용형으로 분류하여 테이블 정보로 표시하고, 상기 각 의사소통유형에 관련된 문항의 합산 점수를 막대 그래프 또는 방사형 그래프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에서,
    상기 8가지 도형 검사유형에 따른 심리검사 결과정보는, 성격유형에 따라 내향적 동그라미는 친화형 성격, 외향적 동그라미는 사교형 성격, 세모는 도전형 성격, 네모는 분석형 성격, 내향 S자는 창조형 성격, 5각형은 진취형 성격, 육각형은 수용형 성격 및 외향 S자는 자율형을 성격유형의 특성으로 분류하고, 상기 각 도형의 성격유형에 관련된 문항의 합산 점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에서,
    상기 심리 결과정보는, 각 도형 유형에 따른 관련 문항의 합산점수를 테이블 정보와, 각 도형 유형에 따른 문항의 합산점수에 관한 막대 그래프 또는 방사형 그래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항은 정서심리와 관련된 다수개의 정서심리 문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서심리 문항은,
    외로움, 그리움, 분노심, 적개심, 억울함, 두려움, 부담감, 질투심, 열등감, 공포심 및 무기력감과 관련된 문항으로 분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검사 결과정보는,
    상기 4개의 도형을 포함하는 도형 유형으로 분류하고, 상기 각 도형 유형에 대응되어 관련된 상기 정서심리 문항들의 합산점수를 표시하는 테이블 정보와, 상기 각 도형 유형에 대응되어 관련된 상기 정서심리 문항의 합산점수에 관한 막대 그래프 또는 방사형 그래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검사 결과정보는,
    상기 도형 유형별 대인관계 특성, 적합진로 및 추천직업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


KR1020140075071A 2014-06-19 2014-06-19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 KR101661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071A KR101661698B1 (ko) 2014-06-19 2014-06-19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071A KR101661698B1 (ko) 2014-06-19 2014-06-19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844A true KR20150145844A (ko) 2015-12-31
KR101661698B1 KR101661698B1 (ko) 2016-10-05

Family

ID=55128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071A KR101661698B1 (ko) 2014-06-19 2014-06-19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698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1071A (zh) * 2018-04-18 2018-09-07 广东惠禾科技发展有限公司 心理健康评估方法及装置
KR101975981B1 (ko) 2018-07-27 2019-05-08 이도균 유아 성격 유형 검사장치
KR101977559B1 (ko) * 2018-04-25 2019-05-10 오명철 상황별 심리상담을 위한 질문지를 이용한 개인기질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0004261A1 (ja) * 2018-06-27 2020-01-02 株式会社人総研 視覚アプローチ適性検査システム
WO2020004267A1 (ja) * 2018-06-27 2020-01-02 株式会社人総研 視覚アプローチ適性検査方法
WO2020004266A1 (ja) * 2018-06-27 2020-01-02 株式会社人総研 視覚アプローチ適性検査方法
WO2020004268A1 (ja) * 2018-06-27 2020-01-02 株式会社人総研 視覚アプローチ適性検査方法
WO2020004265A1 (ja) * 2018-06-27 2020-01-02 株式会社人総研 視覚アプローチ適性検査システム
WO2020004263A1 (ja) * 2018-06-27 2020-01-02 株式会社人総研 視覚アプローチ適性検査システム
WO2020004262A1 (ja) * 2018-06-27 2020-01-02 株式会社人総研 視覚アプローチ適性検査システム
WO2020004264A1 (ja) * 2018-06-27 2020-01-02 株式会社人総研 視覚アプローチ適性検査システム
KR102187210B1 (ko) 2020-06-22 2020-12-04 주식회사 플랙스 영상 일기를 이용한 심리 상태 분석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475B1 (ko) 2021-09-17 2021-11-17 (주)창의발레소예 모바일 기반 아동 정서행동 심리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30064870A (ko) 2021-11-04 2023-05-11 김훈 온라인 음악 활동을 통한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심리분석 방법
KR20230121192A (ko) 2022-02-09 2023-08-18 이웅장 스포츠 선수 심리 평가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5483A (ja) * 1998-04-02 1999-10-19 Aesop:Kk 心理状態分析装置
KR101046269B1 (ko) 2009-10-28 2011-07-04 마인드프리즘 주식회사 개인 심리 진단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97025B1 (ko) 2009-11-17 2012-11-06 재단법인한국색채연구소 색채를 이용한 아동 성향 분석용 그림 카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5483A (ja) * 1998-04-02 1999-10-19 Aesop:Kk 心理状態分析装置
KR101046269B1 (ko) 2009-10-28 2011-07-04 마인드프리즘 주식회사 개인 심리 진단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97025B1 (ko) 2009-11-17 2012-11-06 재단법인한국색채연구소 색채를 이용한 아동 성향 분석용 그림 카드

Cited B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1071A (zh) * 2018-04-18 2018-09-07 广东惠禾科技发展有限公司 心理健康评估方法及装置
KR101977559B1 (ko) * 2018-04-25 2019-05-10 오명철 상황별 심리상담을 위한 질문지를 이용한 개인기질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022629A (ko) * 2018-06-27 2021-03-03 가부시키가이샤 진소켄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방법
WO2020004268A1 (ja) * 2018-06-27 2020-01-02 株式会社人総研 視覚アプローチ適性検査方法
KR20210022630A (ko) * 2018-06-27 2021-03-03 가부시키가이샤 진소켄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방법
WO2020004266A1 (ja) * 2018-06-27 2020-01-02 株式会社人総研 視覚アプローチ適性検査方法
KR20210022624A (ko) * 2018-06-27 2021-03-03 가부시키가이샤 진소켄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
WO2020004265A1 (ja) * 2018-06-27 2020-01-02 株式会社人総研 視覚アプローチ適性検査システム
WO2020004263A1 (ja) * 2018-06-27 2020-01-02 株式会社人総研 視覚アプローチ適性検査システム
KR20210022625A (ko) * 2018-06-27 2021-03-03 가부시키가이샤 진소켄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
WO2020004264A1 (ja) * 2018-06-27 2020-01-02 株式会社人総研 視覚アプローチ適性検査システム
CN112740247A (zh) * 2018-06-27 2021-04-30 株式会社人总研 视觉方法才能检验系统
CN112673389A (zh) * 2018-06-27 2021-04-16 株式会社人总研 视觉方法才能检验系统
KR20210022623A (ko) * 2018-06-27 2021-03-03 가부시키가이샤 진소켄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
WO2020004267A1 (ja) * 2018-06-27 2020-01-02 株式会社人総研 視覚アプローチ適性検査方法
WO2020004261A1 (ja) * 2018-06-27 2020-01-02 株式会社人総研 視覚アプローチ適性検査システム
WO2020004262A1 (ja) * 2018-06-27 2020-01-02 株式会社人総研 視覚アプローチ適性検査システム
KR20210022627A (ko) * 2018-06-27 2021-03-03 가부시키가이샤 진소켄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
KR20210022626A (ko) * 2018-06-27 2021-03-03 가부시키가이샤 진소켄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
KR20210025043A (ko) * 2018-06-27 2021-03-08 가부시키가이샤 진소켄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방법
CN112543947A (zh) * 2018-06-27 2021-03-23 株式会社人总研 视觉方法才能检验系统
CN112567405A (zh) * 2018-06-27 2021-03-26 株式会社人总研 视觉方法才能检验方法
CN112567404A (zh) * 2018-06-27 2021-03-26 株式会社人总研 视觉方法才能检验方法
CN112567406A (zh) * 2018-06-27 2021-03-26 株式会社人总研 视觉方法才能检验系统
CN112585636A (zh) * 2018-06-27 2021-03-30 株式会社人总研 视觉方法才能检验方法
KR101975981B1 (ko) 2018-07-27 2019-05-08 이도균 유아 성격 유형 검사장치
KR102187210B1 (ko) 2020-06-22 2020-12-04 주식회사 플랙스 영상 일기를 이용한 심리 상태 분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1698B1 (ko)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1698B1 (ko)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
Banyard et al. Psychology: Theory and application
Hebson et al. Too emotional to be capable? The changing nature of emotion work in definitions of ‘capable teaching’
McCuaig Dangerous carers: Pastoral power and the caring teacher of contemporary Australian schooling
Eirín-Nemiña et al. Professional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Vorkapić et al.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personality traits and life satisfaction between future preschool and primary school teachers?
Algera Task characteristics
Huber Exploring hiring practitioner preferences for and assessment practices of prospective candidates
Nartgun et al. Teacher Views Regarding Workaholism and Occupational Professionalism.
Yeganeh Mindful experiential learning
Weinstein Learning and lawyering across personality types
Deri et al. Techniques for the diagnosis and measurement of intergroup attitudes and behavior.
KR20160010233A (ko)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Beebe et al. A concise public speaking handbook
Barki et al. Guidance and counselling: A manual
Lorr et al. The structure of values: Conceptions of the desirable
Anvari et al. Using personality traits and a spatial ability test to identify talented aspiring designers in User-Centred Design methodologies
Mensah Assessing multicultural competence of counsellors in public universities in Ghana
Addicott Exploring the shared meaning of being at one’s best in work
De Alwi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Perceived Career Choice of the University Students in Sri Lanka
Birkinshaw Spiritual formation in secondary education: An investigation into how children use collective worship within secondary education
Rai et al. Learning Stypes of Male and Female Students of Nepal
Wołońciej et al. Vocational interests of youth in Ecuador. Inventory of the Occupational Preferences of Youth
Sait Judge-target trait similarity and accuracy: Does it'take one to know one'?
RAHAYU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Y TYPES AND SPEAKING ACHIEVEMENT OF FOURTH SEMESTER STUDENTS AT ENGLISH EDUCATION DEPARTMENT OF STATE ISLAMIC UNIVERSITY OF SULTAN SYARIF KASIM RIA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