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5579A - 다기능 펜 - Google Patents

다기능 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5579A
KR20150145579A KR1020140075739A KR20140075739A KR20150145579A KR 20150145579 A KR20150145579 A KR 20150145579A KR 1020140075739 A KR1020140075739 A KR 1020140075739A KR 20140075739 A KR20140075739 A KR 20140075739A KR 20150145579 A KR20150145579 A KR 20150145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ght
light emitting
emitting unit
t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진원
Original Assignee
허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진원 filed Critical 허진원
Priority to KR1020140075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5579A/ko
Publication of KR20150145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5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04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more than one obj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8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measuring, computing or indicating devices
    • B43K29/087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measuring, compu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indicating time, e.g. with calendars or wa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1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illumin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30Semiconductor la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펜에 집약시킨 다기능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펜의 몸체를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 측에 위치하며, 발광(發光)할 수 있는 발광부; 상기 몸체부와 상기 발광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발광부가 발광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단에 체결되고,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를 내재하여 지지하는 소켓부; 상기 소켓부 내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발광부를 통해 경과된 시간을 알 수 있도록 상기 발광부의 발광상태를 제어하는 타이머제어부; 상기 몸체부와 상기 소켓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타이머제어부에 타이머값-시간에 따른 발광조건값을 말한다 -을 설정하여 주는 타이머설정부;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고, 상기 발광부가 발광할 수 있도록 전기적 접속을 제어하는 스위치부 : 및 상기 소켓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면서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외부로 발산될수 있도록 보조하는 투명캡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펜, 타이머, 랜턴 및 레이저 포인터 각각을 따로 구비해야하는 휴대의 번거로움이 해소되므로 휴대의 편의성이 증대되며, 사용 또한 간편하기 때문에 이용의 편리성 또한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다기능 펜{Multi Functional Pen}
본 발명은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펜을 통해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여러 기능을 통합한 다기능 펜(Multi Functional Pen)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펜은 글씨를 쓰기 위한 필기구의 일종으로서 통상 잉크를 이용한 펜심을 통해 잉크가 소비되면서 글씨가 쓰여지도록 돕는 물건이다. 이러한 펜은 사람들이 쉽게 접할 수 있으며 또한 종종 이용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널리 사용하는 물건이기도 하다.
펜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지만 통상 기본적인 용도는 필기구로서 글씨를 쓰거나 어떤 표시를 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펜에 관련하여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소개되어져 왔다. 그 중 펜에 대한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21374호 (고안의 명칭 : 학습 보조용 펜. 이하 선행기술 1), 대한민국 공개실용 20-2009-0010724호 (고안의 명칭 : 타이머가 구비된 펜. 이하 선행기술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0-0132397호 (발명의 명칭 : 타이머 볼펜. 이하 선행기술 3)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5-0081902호 (발명의 명칭 : 후레쉬 겸용 펜. 이하 선행기술 4) 등이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 1 내지 3에 따르면 수험생등과 같이 펜을 사용하면서 시간을 수시로 체크해야하는 경우에 유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안되었으며, 선행기술 4의 경우에는 펜의 휴대성을 고려하여 후레쉬(또는 랜턴)의 기능을 보강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 1 내지 4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선행기술 1 내지 3에 따르면, 시간을 체크하기 위하여 펜에 구비된 타이머를 볼 때 특정시야각도에서만 확인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펜을 열심히 사용하다가 시간을 확인 체크하기 위하여 펜대를 중심으로 돌려봐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선행기술 4에 따르면, 랜턴 또는 후레쉬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지만, 시간을 측정할 수 없으므로 시간을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위한 것으로, 하나의 펜으로 시간관리가 용이하면서 타이머 이외에도 다른 기능들도 하나로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펜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펜의 몸체를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 측에 위치하며, 발광(發光)할 수 있는 발광부; 상기 몸체부와 상기 발광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발광부가 발광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단에 체결되고,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를 내재하여 지지하는 소켓부; 상기 소켓부 내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발광부를 통해 경과된 시간을 알 수 있도록 상기 발광부의 발광상태를 제어하는 타이머제어부; 상기 몸체부와 상기 소켓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타이머제어부에 타이머값-시간에 따른 발광조건값을 말한다 -을 설정하여 주는 타이머설정부;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고, 상기 발광부가 발광할 수 있도록 전기적 접속을 제어하는 스위치부 : 및 상기 소켓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면서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외부로 발산될수 있도록 보조하는 투명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투명캡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투명캡부가 삽입되면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광된 빛을 집광시켜주는 집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는 다수개의 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개의 LED는 파랑, 빨강, 녹색 또는 백색의 LED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타이머제어부에 설정된 상기 타이머값에 대하여 소정의 시간만큼 남았을 때 상기 발광부의 상기 LED중에서 제1색상의 빛이 발광되되, 상기 제1색상은 파랑, 빨강, 녹색 및 백색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타이머제어부에 설정된 상기 타이머값에 해당되는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1색상과는 다른 제2색상의 빛이 다수개의 상기 LED들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발광되되, 상기 제2색상은 파랑, 빨강, 녹색 및 백색 중에서 상기 제1색상과는 다른 어느 하나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가 발광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통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면 상기 발광부가 발광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발광부는 다수개의 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다수개의 상기 LED가 발광하는 빛의 색상은 파랑, 빨강, 녹색 및 백색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타이머설정부는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소켓부의 중심축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는 링(ring)형태의 다이얼러(dialer)로서, 그 외주면에 시간간격을 나타내는 눈금 및 제1기준눈금이 표시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 일부분에는 제2기준눈금이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다이얼러의 상기 제1기준눈금과 상기 제2기준눈금사이의 눈금개수에 해당되는 시간만큼을 상기 타이머제어부에 상기 타이머값으로서 설정하여 주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는 레이저발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투명캡부의 일측단의 단면은 오목한 형상이되, 상기 레이저발광체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의 광축이 통과하는 부분은 광축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 형상으로 되어 레이저의 직진성을 보조 또는 보장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발광부의 상기 레이저발광체가 발광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통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면 상기 레이저발광체로부터 레이저가 발광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타이머값이 설정된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다이얼러가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소켓부에 대하여 등속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다이얼러 내측에 태엽이 마련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펜은 하나의 펜으로 타이머의 기능과 랜턴으로서의 기능 및 레이저포인터로서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펜, 타이머, 랜턴 및 레이저 포인터 각각을 따로 구비해야하는 휴대의 번거로움이 해소되므로 휴대의 편의성이 증대되며, 사용 또한 간편하기 때문에 이용의 편리성 또한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펜의 발광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펜의 타이머설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펜에서, 다기능펜에 집광부를 더 포함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펜은 몸체부(10), 발광부(100), 전원공급부(200), 소켓부(300), 타이머제어부(미도시), 타이머설정부(500), 스위치부(600) 및 투명캡부(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집광부(7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몸체부(10)는 다기능펜을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다기능펜의 몸체를 형성한다. 통상의 펜처럼 필기시 그립(grip)감이 좋도록 소정의 굵기로 길게 형성되며, 몸체부(10)를 잡고 필기를 할 수 있도록 몸체부(10)의 내측에는 펜심(즉, 필기 가능하도록 잉크 및 펜촉이 결합된 심)이 내장된다. 소재는 플라스틱 같이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발광부(100)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3을 더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펜의 발광부(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발광부(100)는 몸체부(10)의 일 측에 위치하며, 전원을 공급받아서 발광(發光)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부(100)는 LED(110R, 110G, 110B, 110W)와 레이저발광체(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부(100)는 다수개의 LED(110R, 110G, 110B, 110W)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다수개의 LED(110R, 110G, 110B, 110W)는 파랑LED(110B), 빨강LED(110R), 녹색LED(110G) 또는 백색의 LED(110W)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란색의 빛을 방출하는 LED(110B), 빨간색의 빛을 방출하는 LED(110R), 녹색의 빛을 방출하는 LED(110G) 그리고 백색의 빛을 방출하는 LED(110W)의 조합으로 배치되어 구성된 것을 들을 수 있다.
파란색의 빛을 방출하려면 파란색의 빛을 방출하는 LED(110B)만 발광되고 나머지 LED(110R, 110G, 110W)는 소등된 상태를 유지한다. 빨간색의 빛 또는 녹색의 빛만 방출하려면 마찬가지로 해당 색의 빛의 LED만 발광되고 나머지 색상의 LED는 소등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발광색 제어는 후술할 타이머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백색으로 발광시키려면 백색의 LED(110W)만 발광시킬 수도 있으며, 파란색의 LED(110B), 빨간색의 LED(110R), 녹색의 LED(110G)를 동등하게 함께 발광시킬 수도 있다. 빛의 삼원색이 섞이면 백색이 되므로 백색으로 발광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LED(110R, 110G, 110B, 110W)의 발광을 통해 랜턴(lantern)과 같은 조명이나 야광봉과 같은 발광봉 또는 타이머로서 잔여시간을 알려주는 표시등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좀 더 설명하자면, 후술할 스위치부(600)를 통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면 발광부(100)의 LED(110R, 110G, 110B, 110W)가 발광을 하게 된다. 여기서 스위치부(600)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져서 타이머제어부(미도시)로 On 신호가 전달되고, 타이머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LED(110R, 110G, 110B, 110W)가 발광하게 될 때 LED가 발광하는 빛의 색상은 파랑 빨강, 녹색 및 백색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색으로 발광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랜턴으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발광부(100)는 레이저발광체(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레이저발광체(120)가 발광할 수 있도록 스위치부(600)를 통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면 타이머제어부로 On 신호가 전달된다. 그리고 타이머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레이저발광체(120)로부터 레이저가 발광된다.
따라서, 레이저포인터로서 사용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전원공급부(200)는 몸체부(10)와 발광부(100) 사이에 위치하며, 발광부(100)가 발광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00)는 후술할 스위치부(600)와 연결되어 스위치부(600)의 단락을 통한 전기적접속신호(on/off)를 받는다. 그리고 후술할 타이머제어부와 발광부(100)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광부(100)에서 빛이 발광될 수 있도록 하며, 타이머제어부가 발광부(1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00)로서 배터리를 이용할 수도 있는데, 수은전지처럼 박형의 소형 배터리인 것이 펜의 크기와 휴대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수은전지를 활용할 경우 전기적접속을 보조할 수 있도록 전도성있는 스프링부재(205)를 수은전지의 한쪽에 배치함으로써, 타이머제어부 또는 스위치부(600)와 전기적 접속이 되도록 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소켓부(300)는 몸체부(10)의 일측 단에 체결된다. 그리고 발광부(100) 및 전원공급부(200)를 내재하여 지지한다. 소켓부(300)의 재질은 몸체부(10)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플라스틱 같은 소재로서 튼튼하고 내구성이 있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켓부(300)는 발광부(100) 및 전원공급부(200)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케이스 역할을 한다. 그리고, 발광부(100)와 전원공급부(200) 다음에 타이머제어부(미도시)를 내장하여 타이머제어부를 지지한다.
소켓부(300)의 타측은 몸체부(10)의 일측단에 체결된다. 그리고 소켓부(300)와 몸체부(10) 사이에 후술할 타이머설정부(500)가 위치하게 된다.
바람직한 배치형태로, 도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소켓부(300)의 타측의 중심에는 타이머설정부(500)를 지나가는 중심축이 있다. 이 중심축은 몸체부(10)와 체결된다.
그리고 타이머설정부(500)는 이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태엽(550)이 중심축에 체결되어 후술할 타이머설정부(500)의 다이얼러가 등속도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켓부(300)의 일측 단에는 후술할 투명캡부(700)가 결합된다.
다음으로 타이머제어부(미도시)는 소켓부(300) 내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전원공급부(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발광부(100)를 통해 경과된 시간을 알 수 있도록 발광부(100)의 발광상태를 제어한다.
타이머제어부에 설정된 타이머값에 대하여 소정의 시간만큼 남았을 때 발광부(100)의 LED(110R, 110G, 110B, 110W) 중에서 제1색상의 빛이 발광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설정된 타이머값이 50분이라고 제1색상의 빛이 발광될 소정의 시간을 5분으로 설정해 놓았다면, 타이머값을 설정한 때로부터 45분이 경과할 때 제1색상의 빛이 발광하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제1색상은 파랑, 빨강, 녹색 및 백색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색상으로 설정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앞서 설명한 발광부(100)의 LED(110R, 110G, 110B, 110W)의 발광색 중에서 어느 한 가지의 발광색을 제1색상의 빛으로 타이머제어부에 미리 설정해 놓는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1색상을 녹색으로 설정해 놓았다면 50분의 타이머값이 설정된 후 45분 경과 시점에 녹색의 LED가 발광하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타이머제어부에 설정된 타이머값에 해당되는 시간이 경과되면, 제1색상과는 다른 제2색상의 빛이 다수개의 LED(110R, 110G, 110B, 110W)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발광된다. 여기서, 제2색상은 파랑, 빨강, 녹색 및 백색 중에서 제1색상과는 다른 어느 하나인 색상이다.
예를 들어, 타이머값으로 50분이 설정되었고, 미리 셋팅된 소정의 시간이 5분이라면, 45분 경과시점에 제1색상의 빛이 발광부(100)의 LED로부터 발광된다. 그리고 50분이 경과되는 시점에 제2색상의 빛이 발광부(100)의 LED로부터 발광된다. 여기서 제1색상의 빛이 녹색이었다면, 제2색상의 빛은 녹색이 아닌 빨간색으로 발광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발광색의 발광조건을 타이머제어부가 제어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발광되는 빛의 색상이 변경됨으로써 사용자는 미리 설정해두었던 타이머값에 해당하는 시간이 경과되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4를 더 참조하여 타이머설정부(5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펜의 타이머설정부(5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머설정부(500)는 몸체부(10)와 소켓부(300)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타이머제어부에 타이머값을 설정하여 준다.
여기서, 타이머설정부(500)는 몸체부(10) 또는 소켓부(300)의 중심축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는 링(ring) 형태의 다이얼러(dialer)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타이머설정부(500)인 다이얼러의 외주면에 시간간격을 나타내는 눈금(513) 및 제1기준눈금(510)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부(10)의 외주면 일부분에는 제2기준눈금(520)이 표시되어 있다. 다이얼러의 제1기준눈금(510)과 제2기준눈금(520)사이의 눈금(513)개수에 해당되는 시간만큼을 타이머제어부에 타이머값으로서 설정하여 주게 된다.
예를 들어, 한 눈금(513)이 1분이고, 제1기준눈금(510)과 제2기준눈금(520) 사이의 눈금(513)개수가 40개라면 타이머값은 40분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기준눈금(510)과 제2기준눈금(520)이 같은 선(line)상에 있게 되면 두 기준눈금(510,520) 사이에 눈금의 개수는 0 이므로 잔여시간은 0분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잔여시간이라 함은 타이머값에 해당하는 설정시간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뺀 나머지의 남은 시간을 말한다. 즉, 45분의 설정시간에서 40분이 경과되었다면 5분이 잔여시간이 된다.
그리고, 다이얼러의 내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태엽(550)이 마련된다. 다이얼러를 돌림으로써 타이머값이 설정되면서 태엽(550)이 감기게 된다. 이와 동시에 타이머값이 타이머제어부에 설정(입력)된다.
그리고 태엽(550)이 풀리면서 다이얼러는 다시 원위치(제1기준눈금(510)과 제2기준눈금(520)이 일직선상에 놓이게 되는 위치를 말한다.)로 등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태엽(5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내측의 태엽(550)이 풀리면서 기어를 회전시키게 되고, 태엽(550)의 기어와 중간기어가 맞물려 회전하면서 다이얼러 내측면의 기어에 맞물리게 되어 다이얼러가 등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광부(100)를 통해서 잔여시간을 알 수도 있지만, 타이머설정부(500)의 다이얼러의 눈금(513)을 보고도 잔여시간을 알 수도 있게 된다.
다음으로, 스위치부(600)는 몸체부(10)에 장착된다. 그리고 발광부(100)가 발광할 수 있도록 전기적 접속을 제어한다.
스위치부(600)의 예로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는데, 펜의 크기를 고려하여 버튼식 스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부(600)에 의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게 되면 발광부(100)의 LED(110R, 110G, 110B, 110W)가 발광하게 되어 랜턴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즉, 스위치부(600)의 버튼을 누르면 전기적접속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타이머제어부는 발광부(100)의 LED(110R, 110G, 110B, 110W)가 발광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LED가 발광하는 빛의 색상은 파랑, 빨강, 녹색 및 백색 중에서 어느 하나의 빛으로 발광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 또한 가능하며, 이러한 설정은 타이머제어부에 미리 설정시켜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투명캡부(700)는 소켓부(300)의 일 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발광부(1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투명캡부(700)는 발광부(100)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러한 투명캡부(700)의 재질로는 투과율이 좋은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로서 내구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투명캡부(700)의 일측단의 단면은 오목한 형상이지만 가운데 부분은 평평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레이저발광체(120)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의 광축이 통과하는 부분은 광축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 형상으로 되어 레이저의 직진성을 보조 또는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집광부(75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펜에서, 다기능펜에 집광부(750)를 더 포함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더 참조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광부(750)는 투명캡부(700)의 일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투명캡부(700)가 집광부(750)의 가운데 중심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홀이 집광부(750)에 형성되어 있으며, 투명캡부(700)가 삽입되면 발광부(100)로부터 발광된 빛이 집광될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효과적인 집광을 위하여 오목한 형상의 내측면에는 반사경과 같이 빛 반사가 잘 이루어지도록 표면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펜을 활용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시험장소에서 시험 시작 직전에 시험시간을 다기능펜의 타이머제어부에 설정해놓기 위하여, 다기능펜의 몸체(10, 도 1참조)를 잡고 타이머설정부(500, 도1 참조)의 다이얼러를 시험시간만큼 돌려서 설정하여 준다. 예를 들어, 시험시간이 60분이라면 다이얼러를 돌려서 제1기준눈금(510, 도2 참조)과 제2기준눈금(520, 도2 참조)사이의 눈금개수(513, 도4 참조)가 60분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돌려준다. 하나의 눈금(513, 도4 참조)이 1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60개의 눈금(513, 도4 참조)만큼 다이얼러를 회전시켜준다는 것이다.
그리고 시험 치르는 동안에 다이얼러는 제1기준눈금(510, 도2 참조)과 제2기준눈금(520, 도2 참조) 사이의 눈금개수(513, 도4 참조)가 분당 1눈금씩 감소되도록 등속도로 회전한다. 여기서 다이얼러의 등속 회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태엽(550, 도4 참조)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와 별도로 타이머제어부 내에서도 설정된 시간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계산한다.
60분의 설정시간에서 55분이 경과되면 잔여시간은 5분이 되고, 이와 동시에 타이머제어부에 미리 셋팅되어 있는 소정의 시간이 5분이라면, 제1기준눈금(510, 도2 참조)과 제2기준눈금(520, 도2 참조) 사이의 눈금(513, 도4 참조)의 개수는 5개가 된다. 이와 동시에 타이머제어부에 미리 셋팅되어 있는 소정의 시간이 5분이 되었으므로 제1색상의 빛이 발광부(100, 도2 참조)의 LED(110R, 110G, 110B, 110W, 도3 참조))를 통해 발광된다. 제1색상의 빛이 파란색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잔여시간이 5분 남은 시점에 파란색의 LED가 발광된다.
이와 같이 다이얼러의 눈금과 발광부의 LED를 통해 잔여시간을 수험생은 금방 확인할 수 있다. 종래의 다른 타이머펜은 표시되는 부분을 확인할 수 있는 시야각이 제한적이었으므로 잔여시간을 확인하기 위하여 펜을 돌려서 시선이 시야각 이내로 들어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이머펜은 전방위에서 금방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잔여시간파악이 좀 더 용이하다.
잔여시간이 0분이 되는 시점 즉, 설정시간이 모두 경과되면, 제1기준눈금(510, 도2 참조)과 제2기준눈금(520, 도2 참조)이 일직선상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발광부(100, 도2 참조)에서는 제2색상의 빛이 발광된다. 타이머제어부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2색상의 빛이 빨간색으로 되어 있었다면, 잔여시간이 0분이 되는 순간에 빨간색의 LED가 발광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험생은 시험시간이 다 되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사용예를 들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펜을 야간에 발광봉 또는 랜턴처럼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주변이 어두운 상황에서 다기능 펜의 버튼부(600, 도1 참조)를 눌러주면 타이머제어부가 버튼부(600, 도1 참조)의 전기적 접속신호에 따라 특정색상의 LED만 발광될 수도 있으며, 모든 LED가 발광하여 백색의 빛이 발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버튼을 한번 누르면 파란색 LED만 발광하며, 버튼을 연속으로 두 번 누르면 빨간색 LED만 발광하고, 버튼을 연속적으로 세 번 누르면 백색의 LED 또는 모든 LED가 발광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발광되면 투명캡부(700, 도1 참조)를 통해 LED 로부터 빛이 발광되어 나오게 되며 야광봉 또는 조명봉처럼 빛나게 된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여 야간의 콘서트 행사장 같은 장소에서 다기능펜의 LED를 발광시켜서 흔들어주면 야광봉을 흔들어주는 것과 같은 시각적 효과를 줄 수 있다. 또는 야간의 도로상에서 적색의 LED만 발광시키면 지시봉 또는 경고봉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랜턴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발광되는 빛을 좀 더 효과적으로 집광시켜주기 위해 집광부(750, 도5 참조)를 투명캡부(700, 도5 참조)에 끼워서 결합시킨다. 그리고 버튼부(600, 도1 참조)를 눌러주면, 타이머제어부가 버튼부의 전기적 접속신호에 따라 LED를 발광시키게 된다. 그리고 발광된 빛이 집광부(750, 도5 참조)의 보조를 받아 빛이 한 방향으로 발광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한 방향으로 발광하게 되므로 휴대용 랜턴으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리젠테이션 장소에서 필기하며 토의하는 중에 게시판에 게시된 어떤 부분을 가리키기 위하여 버튼부(600, 도1 참조)를 길게 눌러주면 타이머제어부가 버튼부의 전기적 접속신호에 따라 발광부(100, 도1 참조)의 레이저발광체(120, 도3 참조)가 발광하도록 한다. 레이저발광체(120, 도3 참조)로부터 레이저가 발광되면 레이저의 특성상 직진되므로 레이저포인터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명한 활용 예를 곁들어 설명한 것 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펜은 하나의 펜으로 타이머의 기능과 랜턴으로서의 기능 및 레이저포인터로서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펜, 타이머, 랜턴 및 레이저 포인터 각각을 따로 구비해야하는 휴대의 번거로움이 해소되므로 휴대의 편의성이 증대되며, 사용 또한 간편하기 때문에 이용의 편리성 또한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몸체부
100 : 발광부 110R : 빨강색 LED
110B : 파란색 LED 110G : 녹색LED
110W : 백색 LED 120 : 레이저발광체
200 : 전원공급부 300 : 소켓부
500 : 타이머설정부 510 : 제1기준눈금
513 : 시간간격을 나타내는 눈금 520 : 제2기준눈금
550 : 태엽 600 : 스위치부
700 : 투명캡부 750 : 집광부

Claims (12)

  1.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펜의 몸체를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 측에 위치하며, 발광(發光)할 수 있는 발광부;
    상기 몸체부와 상기 발광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발광부가 발광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단에 체결되고,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를 내재하여 지지하는 소켓부;
    상기 소켓부 내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발광부를 통해 경과된 시간을 알 수 있도록 상기 발광부의 발광상태를 제어하는 타이머제어부;
    상기 몸체부와 상기 소켓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타이머제어부에 타이머값-시간에 따른 발광조건값을 말한다 -을 설정하여 주는 타이머설정부;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고, 상기 발광부가 발광할 수 있도록 전기적 접속을 제어하는 스위치부 : 및
    상기 소켓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면서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외부로 발산될수 있도록 보조하는 투명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캡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투명캡부가 삽입되면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광된 빛을 집광시켜주는 집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다수개의 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개의 LED는 파랑, 빨강, 녹색 또는 백색의 LED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제어부에 설정된 상기 타이머값에 대하여 소정의 시간만큼 남았을 때 상기 발광부의 상기 LED중에서 제1색상의 빛이 발광되되,
    상기 제1색상은 파랑, 빨강, 녹색 및 백색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제어부에 설정된 상기 타이머값에 해당되는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1색상과는 다른 제2색상의 빛이 다수개의 상기 LED들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발광되되,
    상기 제2색상은 파랑, 빨강, 녹색 및 백색 중에서 상기 제1색상과는 다른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가 발광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통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면 상기 발광부가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다수개의 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다수개의 상기 LED가 발광하는 빛의 색상은 파랑, 빨강, 녹색 및 백색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설정부는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소켓부의 중심축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는 링(ring)형태의 다이얼러(dialer)로서, 그 외주면에 시간간격을 나타내는 눈금 및 제1기준눈금이 표시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 일부분에는 제2기준눈금이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다이얼러의 상기 제1기준눈금과 상기 제2기준눈금사이의 눈금개수에 해당되는 시간만큼을 상기 타이머제어부에 상기 타이머값으로서 설정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레이저발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캡부의 일측단의 단면은 오목한 형상이되, 상기 레이저발광체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의 광축이 통과하는 부분은 광축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 형상으로 되어 레이저의 직진성을 보조 또는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의 상기 레이저발광체가 발광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통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면 상기 레이저발광체로부터 레이저가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펜.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값이 설정된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다이얼러가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소켓부에 대하여 등속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다이얼러 내측에 태엽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펜.
KR1020140075739A 2014-06-20 2014-06-20 다기능 펜 KR201501455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739A KR20150145579A (ko) 2014-06-20 2014-06-20 다기능 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739A KR20150145579A (ko) 2014-06-20 2014-06-20 다기능 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579A true KR20150145579A (ko) 2015-12-30

Family

ID=55087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739A KR20150145579A (ko) 2014-06-20 2014-06-20 다기능 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55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2401A (zh) * 2020-06-12 2020-10-09 福建捷联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多功能的电子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2401A (zh) * 2020-06-12 2020-10-09 福建捷联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多功能的电子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7111B2 (en) Multi-functional precious stone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WO2006133029A3 (en) Combination red dot sight and range indicator apparatus
US8206290B2 (en) Medical inspection device
US20200371041A1 (en) Gemstone testing apparatus
JP2012215569A (ja) 携帯型色計測デバイス
US10837915B2 (en) Gemstone testing apparatus
US6377054B1 (en) Test device for electrical voltages with integrated illumination unit
JP2009524904A5 (ko)
KR20150145579A (ko) 다기능 펜
KR101468543B1 (ko) 응원도구
US20110044064A1 (en) Flash light for a bicycle with the function of direction and elevation indication
JP2013045206A (ja) 電子ペン
JP2009180899A (ja) レーザポインタ
US20090129065A1 (en) Pen with magnifier
EP3901575B1 (en) Level
JP4649633B2 (ja) 検眼装置
WO2017063112A1 (zh) 一种胎压测试器
US10393366B2 (en) Torque wrench provided with illumination structure and indicated graduations
KR20170085696A (ko) 스마트폰 연동 눈 보호용 조명 시스템
WO2008105262A1 (ja) 指針式計器装置
US20080074863A1 (en) Electroluminescent illuminated gauge and components and methods therefor
US20150375379A1 (en) Torque wrench having transparent window illumination structure
CN210720551U (zh) 测电笔
KR101160309B1 (ko) 아날로그 표시 장치
CN210720550U (zh) 测电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