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5482A - 컴퓨터 본체 받침대 - Google Patents

컴퓨터 본체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5482A
KR20150145482A KR1020140075191A KR20140075191A KR20150145482A KR 20150145482 A KR20150145482 A KR 20150145482A KR 1020140075191 A KR1020140075191 A KR 1020140075191A KR 20140075191 A KR20140075191 A KR 20140075191A KR 20150145482 A KR20150145482 A KR 20150145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computer
main body
holder member
compute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7657B1 (ko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장근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대 filed Critical 장근대
Priority to KR1020140075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657B1/ko
Publication of KR20150145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4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or fastening typewriters or computer equip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컴퓨터 본체 받침대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컴퓨터 본체 받침대는: 책상의 상판 저면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에 구비되고, 컴퓨터 본체가 안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지프레임에 구비되어 컴퓨터 본체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 및 지지프레임의 위치를 변경하는 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컴퓨터 본체 받침대{SUPPORT APPARATUS FOR COMPUTER MAIN BODY}
본 발명은 컴퓨터 본체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 본체 받침대는 책상의 하부에 구비되는 컴퓨터 본체를 깔끔하게 정리하여 보관할 수 있고, 컴퓨터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컴퓨터 본체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용 책상은 컴퓨터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모니터, 컴퓨터본체 및 키보드 등이 적절히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컴퓨터 책상은 책상상판에 모니터가 구비되고, 책상의 상판 또는 내측 바닥면에 컴퓨터본체가 구비되거나, 책상의 내부 일측에 컴퓨터본체가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책상의 선단에는 키보드가 삽입 또는 인출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이 보편적이다.
한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51206호(등록일:2004.05.11)에는 "학원용 컴퓨터 책상"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책상의 하부에 컴퓨터의 본체를 고정할 수 있어 정리 보관이 용이한 컴퓨터 본체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컴퓨터 본체의 위치 가변이 용이하여 다양한 책상에 적용 배치는 물론,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며, 다양한 사이즈의 컴퓨터를 고정할 수 있는 컴퓨터 본체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본체 받침대는: 책상의 상판 저면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되고, 컴퓨터 본체가 안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컴퓨터 본체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위치를 변경하는 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방지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컴퓨터 본체의 상면에 접촉되는 제1홀더부재 및 상기 제1홀더부재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컴퓨터 본체의 측면에 접촉되는 제2홀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홀더부재는 상기 컴퓨터 본체의 상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홀더부재에는 상기 컴퓨터 본체의 측면에 접하는 연질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질패드는 상기 제2홀더부재로부터 수평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부는 상기 상판 저면에 결합되는 레일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플레이트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플레이트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방향을 변경하는 방향전환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부재 및 상기 회전축부재와 상기 슬라이드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컴퓨터 본체를 감싸 유동을 방지하는 리어유동방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어유동방지부는 상기 본체의 후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을 기준으로 90도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 또는 고정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본체 받침대는 책상의 하부에 컴퓨터의 본체를 바닥으로 이격시켜 고정할 수 있어 정리 보관이 용이하고, 유동방지부에 의해 흔들림을 방지함으로써,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어 전원코드가 빠지거나, 내부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동방지부가 이동 가능한 구조를 지니므로 다양한 크기의 컴퓨터 본체를 고정할 수 있어 호환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변부에 의해 컴퓨터 본체의 위치 가변이 용이하여 다양한 책상에 적용 배치는 물론,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본체 받침대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본체 받침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본체 받침대의 유동방지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본체 받침대에 본체가 홀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본체 받침대의 가변부와 방향전환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본체 받침대의 가변부에 의한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본체 받침대의 방향전환부에 의한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본체 받침대의 리어유동방지부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본체 받침대가 책상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본체 받침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본체 받침대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본체 받침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본체 받침대의 유동방지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본체 받침대에 본체가 홀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본체 받침대의 가변부와 방향전환부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본체 받침대의 가변부에 의한 작동을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본체 받침대의 방향전환부에 의한 작동을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본체 받침대의 리어유동방지부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본체 받침대가 책상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본체 받침대(100)는 지지프레임(110), 베이스플레이트(120), 유동방지부(130) 및 가변부(160)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110)은 책상의 상판 저면에 구비된다. 상판 저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폴(Pole)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플레이트(120)는 지지프레임(11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책상의 상판과 이격 배치되고, 컴퓨터 본체가 안착된다. 이때, 베이스플레이트(120)는 바닥면과도 이격 배치된다. 베이스플레이트(120)에는 굴절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10)에 접하는 결합플랜지(122)가 구비되며, 결합플랜지(122)가 지지프레임(110)에 볼트 결합되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플레이트(120)가 볼트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용접 또는 일체로 이루어지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유동방지부(130)는 지지프레임(110)에 구비되어 베이스플레이트(120)에 안착되는 컴퓨터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으로, 지지프레임(110)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컴퓨터 본체의 상면에 접촉되는 제1홀더부재(140) 및 제1홀더부재(140)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컴퓨터 본체의 측면에 접촉되는 제2홀더부재(150)를 포함한다. 즉, 유동방지부(130)인 제1홀더부재(140)와 제2홀더부재(150)가 유동되어 컴퓨터 본체의 둘레면에 접하므로 컴퓨터 본체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지지프레임(110)에는 제1홀더부재(140)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드홈부(112)가 형성되고, 제1홀더부재(140)에는 슬라이드홈부(112)에 결합되는 슬라이드편(142)이 구비된다.
따라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홀더부재(140)는 슬라이드홈부(112)와 슬라이드편(142)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여 컴퓨터 본체의 높이에 대응되게 이동된다. 그리고, 슬라이드편(142)에는 제1조임나사(144)가 구비되어 제1조임나사(144)의 회전에 의해 제1홀더부재(140)는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2홀더부재(150)는 제1홀더부재(140)에 구비되어 수평이동된다. 제2홀더부재(150)는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홀더부재(140)에는 제2홀더부재(150)가 슬라이드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블럭(146)이 구비된다.
그리고, 제2홀더부재(150)는 컴퓨터 본체의 상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형성되고, 제2홀더부재(150)에는 컴퓨터 본체의 측면에 접하는 연질패드(155)가 구비된다.
또한, 제1홀더부재(140)에는 장홀(148)이 형성되고, 제2홀더부재(150)에는 장홀(148)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2조임나사(152)가 구비되어 제2조임나사(152)의 회전에 의해 제2홀더부재(15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홀더부재(140)의 상하이동과 제2홀더부재(150)의 수평이동에 의해 컴퓨터 본체의 둘레를 파지할 수 있어 컴퓨터 본체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연질패드(155)는 제2홀더부재(150)로부터 수평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연질패드(155)는 나사축(156)에 의해 제2홀더부재(150)에 나사 결합되며, 나사축(156)에는 조임손잡이(157)가 구비되어 조임손잡이(157)의 회전에 의해 연질패드(155)가 수평이동되어 컴퓨터 본체의 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가변부(160)는 지지프레임(110)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으로서, 상판 저면에 결합되는 레일플레이트(162) 및 지지프레임(110)에 구비되어 레일플레이트(16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플레이트(165)를 포함한다. 레일플레이트(162)의 가장자리는 'ㄷ'자 단면형상의 레일(163)이 형성되고, 슬라이드플레이트(165)의 가장자리는 레일(163)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슬라이드플레이트(165)의 가장자리에 플라스틱 재질의 미끄럼부재(167)가 구비된다. 이는 슬라이드플레이트(165)의 슬라이드 이동 시 금속마찰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고 원활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레일플레이트(162)에는 슬라이드플레이트(165)의 이동구간을 제한하는 제한블럭(164)이 구비된다. 제한블럭(164)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며, 슬라이드플레이트(165)의 이동방향에 대응되도록 레일플레이트(162)의 양단에 고정된다.
슬라이드플레이트(165)에는 지지프레임(110)의 방향을 변경하는 방향전환부(170)가 더 구비된다. 방향전환부(170)는 지지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부재(172) 및 회전축부재(172)와 슬라이드플레이트(165)를 결합하는 체결부재(174)를 포함한다. 따라서, 지지프레임(110)은 회전축부재(172)를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컴퓨터 본체의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10)에는 컴퓨터 본체를 감싸 유동을 방지하는 리어유동방지부(180)가 더 구비된다. 리어유동방지부(180)는 컴퓨터 본체의 후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고, 지지프레임(110)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지지프레임(110)을 기준으로 90°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 또는 고정해제된다.
지지프레임(110)에는 리어유동방지부(180)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리어슬라이드홈부(114)가 형성되고, 리어슬라이드홈부(114)에는 리어슬라이드편(182)이 구비되며, 리어유동방지부(180)의 단부에는 리어슬라이드편(182)과 접하는 작동편(184)이 구비된다.
즉,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슬라이드홈부(112)에는 리어슬라이드편(182)과 작동편(184)이 구비되고, 작동편(184))과 리어슬라이드홈부(112) 사이에 리어슬라이드편(182)이 개재되는 것이다. 그리고, 작동편(184)에는 가압돌기(185)가 형성되고, 리어슬라이드편(182)에는 가압돌기(185)와 대응되는 수용홈(183)이 형성된다. 따라서, 리어유동방지부(180)의 회전시 작동편(184)이 회전되므로 가압돌기(185)가 수용홈(183)에서 이탈되므로 리어슬라이드편(182)과 작동편(184)은 이격되어 리어슬라이드홈부(112)의 내측면에 가압되므로 리어유동방지부(18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리어유동방지부(180)를 반대로 회전시키면, 가압돌기(185)와 수용홈(183)이 일치되므로 리어유동방지부(180)는 리어슬라이드홈부(112)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본체 받침대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본체 받침대(100)의 조립을 살펴보면, 레일플레이트(162)는 상판의 저면에 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폴형상의 지지프레임(110)의 상부에는 회전축부재(172)와 체결부재(174)에 의해 슬라이드플레이트(165)가 결합된다. 이후, 지지프레임(110)의 일면에는 유동방지부(130)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면에는 리어유동방지부(180)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지지프레임(110)의 하단에는 컴퓨터 본체가 안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120)가 결합된다.
상기한 상태로 슬라이드플레이트(165)를 레일플레이트(16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조립이 완성된다.
컴퓨터 본체는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상부에 안착된다. 베이스플레이트(120)는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게 위치되므로 바닥을 청소할 경우, 컴퓨터 본체의 접촉없이 청소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홀더부재(140)와 제2홀더부재(150)를 이동시켜 베이스플레이트(120)에 안착된 컴퓨터 본체를 흔들리지 않게 고정한다. 즉,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홀더부재(140)를 슬라이드홈부(112)와 슬라이드편(142)을 이용하여 상하로 이동시켜 제1홀더부재(140)가 컴퓨터 본체의 상면을 접하도록 하고, 제2홀더부재(150)를 가이드블럭(146)으로부터 수평이동시켜 컴퓨터 본체의 측면에 접하도록 한 후, 제1,2조임나사(144,152)를 이용하여 각각의 제1홀더부재(140)와 제2홀더부재(150)의 위치를 고정하면 된다.
이처럼 제1홀더부재(140)와 제2홀더부재(150)의 접촉에 의해 컴퓨터 본체는 고정되므로, 외부 충격으로부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어 전원코드의 이탈 및 본체 내부의 부품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홀더부재(140)와 제2홀더부재(150)가 이동되는 구조에 의해 다양한 사이즈의 컴퓨터 본체를 유동없이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제2홀더부재(150)에는 연질패드(155)가 구비되어 제2홀더부재(150)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컴퓨터 본체 접촉시 본체의 외관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컴퓨터 본체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지지프레임(110)은 가변부(160)와 방향전환부(170)에 의해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살펴보면, 도 5 내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10)의 상단에 구비되는 슬라이드플레이트(165)가 상판 저면에 고정된 레일플레이트(162)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므로 책상 하부에 구비되는 컴퓨터 본체를 전측으로 또는 후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플레이트(165)와 지지프레임(110)은 회전축부재(17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써, 지지프레임(110)을 회전시켜 컴퓨터 본체가 향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컴퓨터 본체를 놓고 싶은 위치로 변경할 수 있어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리어유동방지부(180)에 의해 컴퓨터 본체는 더욱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리어유동방지부(180)는 컴퓨터 본체의 후면을 파지하여 컴퓨터 본체의 유동을 방지한다.
그리고, 리어유동방지부(180)는 90°회전에 의해 고정 또는 고정해제가 이루어져 베이스플레이트(120)로부터 컴퓨터 본체의 인출 작업이 용이하다. 즉,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유동방지부(180)의 회전에 의해 고정 또는 고정해제되게 되는데, 리어유동방지부(180)를 상부로 회전시키 고정이 해제되면, 리어슬라이드홈부(114)를 따라 리어유동방지부(180)를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한 상태에서 90°회전시키면 이동된 위치에 리어유동방지부(180)를 고정할 수 있다. 이는, 작동편(184)의 가압돌기(185)가 리어슬라이드편(182)의 수용홈(183)에 수용되거나, 이탈되는 것에 의해 가능하며, 이로 인해 리어유동방지부(180의 위치 재설정이 용이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본체 받침대에 의하면, 책상의 하부에 컴퓨터의 본체를 바닥으로 이격시켜 고정할 수 있어 정리 보관이 용이하고, 유동방지부에 의해 컴퓨터 본체를 흔들림 없이 고정할 수 있으며, 유동방지부가 이동 가능한 구조를 지니므로 다양한 크기의 컴퓨터 본체를 고정할 수 있고, 가변부에 의해 컴퓨터 본체의 위치 가변이 용이하여 다양한 책상에 적용 배치는 물론,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컴퓨터 본체 받침대 110 : 지지프레임
112 : 슬라이드홈부 120 : 베이스플레이트
122 : 결합플랜지 130 : 유동방지부
140 : 제1홀더부재 142 : 슬라이드편
144 : 제1조임나사 146 : 가이드블럭
148 : 장홀 150 : 제2홀더부재
152 : 제2조임나사 155 : 연질패드
156 : 나사축 157 : 조임손잡이
160 : 가변부 162 : 레일플레이트
163 : 레일 164 : 제한블럭
165 : 슬라이드플레이트 167 : 미끄럼부재
170 : 방향전환부 172 : 회전축부재
174 : 체결부재 180: 리어유동방지부
182 : 리어슬라이드편 183: 수용홈
184 : 작동편 185: 가압돌기

Claims (9)

  1. 책상의 상판 저면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되고, 컴퓨터 본체가 안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컴퓨터 본체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위치를 변경하는 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컴퓨터 본체의 상면에 접촉되는 제1홀더부재; 및
    상기 제1홀더부재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컴퓨터 본체의 측면에 접촉되는 제2홀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 받침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홀더부재는 상기 컴퓨터 본체의 상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홀더부재에는 상기 컴퓨터 본체의 측면에 접하는 연질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 받침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패드는 상기 제2홀더부재로부터 수평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 받침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는,
    상기 상판 저면에 결합되는 레일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플레이트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 받침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플레이트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방향을 변경하는 방향전환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 받침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부재; 및
    상기 회전축부재와 상기 슬라이드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 받침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컴퓨터 본체를 감싸 유동을 방지하는 리어유동방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 받침대.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유동방지부는 상기 본체의 후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을 기준으로 90도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 또는 고정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 받침대.
KR1020140075191A 2014-06-19 2014-06-19 컴퓨터 본체 받침대 KR101637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191A KR101637657B1 (ko) 2014-06-19 2014-06-19 컴퓨터 본체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191A KR101637657B1 (ko) 2014-06-19 2014-06-19 컴퓨터 본체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482A true KR20150145482A (ko) 2015-12-30
KR101637657B1 KR101637657B1 (ko) 2016-07-07

Family

ID=55087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191A KR101637657B1 (ko) 2014-06-19 2014-06-19 컴퓨터 본체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6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800B1 (ko) * 2021-12-13 2022-06-10 권순영 다양한 형태의 컴퓨터 본체를 수납할 수 있는 받침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907B1 (ko) * 2005-01-07 2005-04-19 함미선 선반 체결용 클램프
KR200409319Y1 (ko) * 2005-11-21 2006-02-24 박상덕 컴퓨터 본체 보관대
KR101189832B1 (ko) * 2012-03-05 2012-10-10 장근대 컴퓨터 본체 받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907B1 (ko) * 2005-01-07 2005-04-19 함미선 선반 체결용 클램프
KR200409319Y1 (ko) * 2005-11-21 2006-02-24 박상덕 컴퓨터 본체 보관대
KR101189832B1 (ko) * 2012-03-05 2012-10-10 장근대 컴퓨터 본체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800B1 (ko) * 2021-12-13 2022-06-10 권순영 다양한 형태의 컴퓨터 본체를 수납할 수 있는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7657B1 (ko) 201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45932A1 (en) Dispatch desk with focal length adjustability
KR20160100175A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US20170273454A1 (en) Ergonomic keyboard and peripheral positioning system
KR101656614B1 (ko) 모니터 거치장치
US20130075564A1 (en) Screw clamp having pivotal anchoring board
US7128313B1 (en) Support system of a tabletop vise
KR101637657B1 (ko) 컴퓨터 본체 받침대
US20130313952A1 (en) Removable carrier for a hard disk drive
KR101726499B1 (ko) 슬라이딩 모니터거치대를 갖는 컴퓨터용 책상
KR101097179B1 (ko) 실험실습대
WO2016011799A1 (zh) 平板电脑夹头
US8807052B2 (en) Keyboard and trackpad support apparatus
KR20110009612U (ko) 휴대용 전자장치의 보호 케이스 프레임
JP5258830B2 (ja) 遊技機用肘掛
KR101189832B1 (ko) 컴퓨터 본체 받침대
JP6207235B2 (ja) クランプ機構
JP7348012B2 (ja) デスク
JP2006522402A (ja) 調節式キーボードスタンド
KR101483407B1 (ko) 탁자 상판의 각도 조절장치
RU2809152C2 (ru) Держатель сетки и комплект сетки для игры в настольный теннис с держателем сетки
KR20180001849U (ko) 휴대용선풍기흡착판
JP2014008175A (ja) 昇降テーブル
KR101903555B1 (ko) 배선장치를 갖는 가구
KR20130008402A (ko) 선 정리장치가 구비된 컴퓨터 카트
JP2018067079A (ja) ディスプレイ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