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612U - 휴대용 전자장치의 보호 케이스 프레임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장치의 보호 케이스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612U
KR20110009612U KR2020100009871U KR20100009871U KR20110009612U KR 20110009612 U KR20110009612 U KR 20110009612U KR 2020100009871 U KR2020100009871 U KR 2020100009871U KR 20100009871 U KR20100009871 U KR 20100009871U KR 20110009612 U KR20110009612 U KR 201100096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ase
electronic device
frame
support cover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8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9930Y1 (ko
Inventor
스티븐 첸
Original Assignee
이-리드 일렉트로닉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리드 일렉트로닉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리드 일렉트로닉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201000098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930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6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6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9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9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Handles; G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장치의 보호 케이스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호 케이스 본체, 지지덮개부 및 회전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호 케이스 본체는 그 내부 주변테두리부에 U형 수용부를 형성하여 전자장치 본체를 수용 장착하고, 보호 케이스 본체의 하부 덮개부는 전자장치의 배면을 커버한다; 회전축부는 두 개의 회전축구조의 조립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회전축구조의 일단은 보호 케이스 본체의 일측변에 고정되고, 타단은 지지덮개부 측부에 고정됨으로써, 지지덮개부가 360도보다 작은 각도로 조절되는 조절공간을 갖도록 한다. 사용자는 지지덮개부를 전방으로 회전시켜 전자장치의 스크린을 보호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지지덮개부를 상기 전자장치에서 직립되도록 조정하여 화면을 잘 볼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지지덮개부가 완전히 본호 케이스 본체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하거나, 또는 회전시켜 손잡이로 사용하도록 하는 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장치의 보호 케이스 프레임{Protective cover support rack for poratable electronic devices}
본 고안은 휴대용 전자장치의 보호 케이스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전자장치의 스크린을 보호하거나 또는 사용상의 요구에 따라 스탠딩 위치를 유지하게 할 수 있으며, 신속하게 전자장치를 수납시킬 수 있고 쉽게 전개시켜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등 다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보호 케이스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는 대형컴퓨터에서 시작되어 퍼스널 컴퓨터, 넷북으로 발전되었고, 다시 스마트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등 터치 센서에 의한 휴대용 전자장치(1)(도 1에 도시됨)로 발전되었다. 이들 휴대용 전자장치는 터치 스크린의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컴퓨터 스크린 상에서 직접 다음 작동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손가락 조작으로 스크린(10) 상의 영상과 문자를 확대시키거나 축소시킨다. 그런데 이와 같이 손가락으로 직접 스크린(10) 상에서 인터페이스를 조작하게 될 경우, 사용자와 스크린(10) 사이의 간격이 더욱 가까워지게 된다. 종래의 컴퓨터 사용자와 스크린 사이에 키보드가 장착되어 명령어를 선택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터치 스크린에 의해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휴대용 전자창치(1)는 더 편리하고 간편하다. 더우기 휴대용 전자장치(1)는 단순한 플레이트 구조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스크린을 문질러서 원하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장치(1)는 구조가 단순하고 외관이 정교하여, 사용자를 쉽게 유인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외부 표면은 긁히거나 더러워지기 쉬워 외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현재 시장에는 각종 재질로 제작된 휴대용 전자장치의 보호 케이스가 출시되었는데, 이들 보호 케이스는 일반적으로 전자장치의 배면을 커버하고, 스크린부분에는 개구를 형성하여 조작이 가능 하도록 함으로써, 전자장치의 표면 외관을 보호한다. 그 밖에, 대부분의 휴대용 전자장치는 단일 플레이트 구조를 취하고 있어 별도의 지지장치가 없다. 태블릿 PC 등 비교적 큰 장치의 경우 사용자는 한 손으로 컴퓨터를 떠받치고, 다른 한 손으로는 조작하게 된다. 컴퓨터를 탁자나 무릎에 올려놓을 경우라도 모두 사용자의 손바닥으로 컴퓨터를 지지해야,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스크린의 최적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사용자 입장에서는 사용이 많이 불편하고, 장시간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팔에 통증을 느끼게 된다. 또한 휴대용 전자장치는 일반적으로 손을 사용하여 조작하기 때문에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야 하는 이외에,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잘 받쳐주어야 하기 때문에, 오래 쥐고 있을 경우 손 부위에 통증이 느껴질 수 있다. 더욱이 휴대용 전자장치(1)는 제품의 미관 향상을 위해 일반적으로 광택이 나는 유선형으로 설계되기 때문에, 손으로 지지하게 어렵다.
또한, 일반적인 태블릿 PC는 사용자가 주로 손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10인치 스크린의 태블릿 PC는 그 크기가 통상 18㎝X24㎝이고, 무게는 최소 500g 이상이 된다. 한 손으로는 태블릿 PC의 일측을 붙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컴퓨터의 터치스크린을 조작하도록 하는데, 스크린의 일측을 붙잡은 한 손으로 컴퓨터의 무게를 견뎌야 하기 때문에, 손 부분에 하중 부담이 증가되어, 사용자의 팔 부위에 피로와 부담을 가중시키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휴대용 전자장치의 사용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인데, 본 고안자의 적극적인 연구개발로 마침내 본 고안의 설계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보호 케이스 프레임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본 고안의 목적은 전자장치의 스크린을 보호하고, 스크린을 쉽게 볼 수 있도록 하며, 장착이 용이한 보호 케이스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제공하는 전자장치의 보호 케이스 프레임은 보호 케이스 본체, 지지덮개부 및 회전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호 케이스 본체는 그 내부 주변 테두리부에 U형 수용부를 형성하여 전자장치 본체가 수용 장착될 수 있도록 하고, 보호 케이스 본체의 하부 덮개부는 전자장치의 배면을 커버하도록 한다. 회전축부는 두 개의 회전축구조의 조립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회전축구조의 일단은 보호 케이스 본체의 일측변에 고정되고, 타단은 지지덮개부 측부에 고정됨으로써, 지지덮개부가 360도보다 작은 각도로 조절되는 조절공간을 갖도록 한다. 사용자는 지지덮개부를 전방으로 회전시켜 전자장치의 스크린을 보호할 수 있으며, 또한 지지덮개부를 전자장치에 직립되도록 조정하여 화면을 잘 볼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지지덮개부가 완전히 보호 케이스 본체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하거나, 또는 지지덮개부를 회전시켜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보호 케이스 본체는, 상부 덮개부와 하부 덮개부를 구비하는데, 상기 상부 덮개부는 경성재질(예를 들어, 합성수지, ABS, PC, 금속재료)로 제작하여 우수한 지지강도를 구비하도록 하고, 또한 전자장치의 중량을 견디도록 한다. 반면 하부 덮개부는 연성재질(예를 들어, 고무, 가죽재질)로 제작하여, 탄력적으로 전자장치가 상기 보호 케이스 본체 내에 쉽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본 고안의 지지덮개부는, 그 측부에 회전축구조가 고정되고, 타측에는 지지개구공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쉽게 지탱할 한다. 상기 지지개구공의 폭은 3센티미터보다 크고, 길이는 8센티미터보다 크다. 즉, 상기 지지덮개부가 바깥쪽으로 회전되어 수평위치 또는 수평위치에 근사하게 되었을 때, 사용자가 손가락을 뻗어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팔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시키고,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본 고안의 회전축부는, 두 개의 회전축구조의 조립에 의해 형성된 것인데, 상기 두 개의 회전축구조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저항식 회전축이 된다, 스프링을 이용하여 이동슬라이딩부를 탄력지지하여, 지지덮개부가 360도보다 작은 각도로 조절되는 조절공간을 갖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각도에서도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외력의 작용이 없는 상황에서, 스프링에 의한 탄력압박의 힘이 전자장치와 전체 보호 케이스 프레임의 중량보다 크게 됨으로써, 지지덮개부의 각도가 움직이지 않고 유지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입체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입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회전축 구조의 입체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회전축 구조의 국부 조립 단면도(1)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회전축 구조의 국부 조립 단면도(2)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지지덮개부의 회전각도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작동설명도이다(1).
도 9는 본 고안의 작동설명도이다(2).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입체 분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작동설명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보호 케이스 본체(2), 지지덮개부(3) 및 회전축부(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호 케이스 본체(2)는 상부 덮개부(21)와 하부 덮개부(22)를 구비하되, 상부 덮개부(21)에는 프레임(211)과 투시창(2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호 케이스 본체(2)의 내부 주변테두리부에는 U형 수용부(A)가 형성되어 전자장치(5) 본체를 수용 장착한다. 상기 보호 케이스 본체(2)의 하부 덮개부(22)는 상기 전자장치(5)의 배면을 커버하는데, 상기 하부 덮개부(22)에는 하나 이상의 수납개구(2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덮개부(3)는, 그 측부(31) 양단 각각에 축연결공(32)이 구비되는데, 상기 측부(31)의 측변테두리부로부터 덮개판(30)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덮개판(30)에는 지지개구공(301)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부(4)는 두 개의 회전축구조(40)의 조립에 의해 형성된 것인데, 상기 회전축구조(40)의 일단은 상기 보호 케이스 본체(2) 일측변(D)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덮개부(3) 측부(31)의 축연결공(32)에 고정된다.
전술한 본 고안의 보호 케이스 본체(2)는 상부 덮개부(21)와 하부 덮개부(22)가 조립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상부 덮개부(21) 주변테두리부의 수직방향으로 제 1 측면프레임(212)(도 5에 도시됨)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측면프레임(212)의 끝단에는 제 1 걸림부(213)가 형성된다. 반면 상기 하부 덮개부(22) 주변테두리부의 수직방향으로 제 2 측면프레임(221)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측면프레임(221)의 끝단에는 제 2 걸림부(222)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걸림부(213)와 서로 끼움결합된 후, 상기 전자장치(5)를 수용 장착시키는 U형 수용부(A)를 형성한다;
전술한 본 고안의 회전축부(4)는, 두 개의 회전축구조(40)가 조립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전축구조(40)는 저항식 회전축이 되는데, 고정지지부(41), 고정슬라이딩부(42), 이동슬라이딩부(43), 스프링(44), 축로드(45) 및 너트(46)가 조립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지지부(41)는 L형 측판(410)의 하부테두리로부터 연장된 평판(414)을 구비하는데, 일측에는 축공(411)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411)의 일측으로는 수평홈(412)이 연장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수평결구(413)가 형성된다. 상기 평판(414) 상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415)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슬라이딩부(42)는, 관통공(421)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데, 그 일측으로 두 개의 서로 대응되는 돌출부(422,423)가 형성되어 각각 상기 수평홈(412) 및 수평결구(413)에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고정슬라이딩부(42)의 타단으로는 호형으로 돌기된 제 1 접합면(424)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슬라이딩부(43)는, 관통공(431)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데, 그 일측으로는 호형으로 돌기된 제 2 접합면(432)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슬라이딩부(42)의 제 1 접합면(424)과 대응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44)은, 그 일단은 상기 이동슬라이딩부(43)를 탄력지지하고, 타단은 상기 축로드(45)의 단면(455)을 탄력 지지한다.
상기 축로드(45)는, 그 일측으로 직사각형 로드(451)가 구비되는데, 상기 직사각형 로드(451)의 끝단에는 나사산(452)가 형성되어 상기 너트(46)와 나사결합된다. 상기 축로드(45)의 타측에는 편형 고정헤드(453)가 구비되는데, 그 위에 장형홈(454)이 형성된다.
전술한 본 고안의 보호 케이스 본체(2)는, 그 측변(D)에 상기 회전축부(4)와 축결합하는 두 개의 고정부(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두 개의 고정부(C)는 각각 상부 덮개부(21)의 일측변(214)에 형성된 두 개의 상부체(215)와 상기 하부 덮개부(22)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두 개의 하부체(223)와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체(223)는 평면(224)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지지부(41)의 평판(414)과 결합한다. 상기 평면(224) 상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225)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관통공(225)은 상기 하부체(215)의 나사공(216)과 대응되어 볼트(B)로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다.
전술한 본 고안의 지지덮개부(3)는, 그 축연결공(32)의 전단에는 원형공(331)이 형성되어 있고, 후단에는 편형공(332)의 관통공이 연장되어, 축로드(45)에 형성된 편형 고정헤드(453)의 일단이 삽입되는데, 볼트(B)를 상기 편형공(332) 측방의 나사공(323)에 삽입하여 이들을 고정시킨다.
조립시, 우선 회전축구조(40)의 축로드(45)에 형성된 편형 고정헤드(453)의 일단을 상기 지지덮개부(3)의 축연결공(32)에 삽입하고, 볼트(B)를 나사공(323)에 삽입하고, 다시 상기 고정지지부(41)를 상부체(215), 하부체(223) 사이에 장착한 후, 볼트(B)로 나사 고정시킨다(도 5, 도6에 도시됨).
전술한 조립과정을 통해서, 상기 지지덮개부(3)가 360도보다 작은 각도로 조절되는 조절공간을 갖도록 한다(도 7에 도시됨). 상기 두 개의 회전축구조(40)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저항식 회전축이 되는데, 상기 스프링을 이용하여 이동슬라이딩부(43)를 탄력지지하여, 상기 이동슬라이딩부(43)의 제 2 접합면(432)이 상기 고정슬라이딩부(42)의 제 1 접합면(424)에 밀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 접합면(424)과 제 2 접합면(432)에는 호형으로 돌출된 표면이 형성되어, 외력의 작용이 없는 상황에서, 상기 스프링에 의한 탄력압박의 힘이 전자장치와 전체 보호 케이스 프레임의 중량보다 크게 됨으로써, 지지덮개부가 어느 각도로 회전되더라도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지지덮개부(3)를 지지해 준다.
사용자는 본 고안의 지지덮개부(3)를 전방으로 회전시켜 전자장치(5)의 스크린을 보호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지지덮개부(3)를 상기 전자장치(5)에 직립되도록 조정할 수 있으며(도 8에 도시됨), 또한 상기 지지덮개부(3)가 바깥으로 회전되어 수평위치에 근사하게 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지지개구공(301)으로 손가락을 뻗어 전자장치를 지지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스크린(51)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도 9에 도시됨).
도 10과 도 11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상기 보호 케이스 본체(2')의 하부 덮개부(22')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두 개의 수납개구(226')가 형성되어, 두 개의 지지덮개부(3,3')와 결합됨으로서, 손가락으로 상기 지지덮개부(3')를 쉽게 열어 젖힐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납개구(226')의 상부가 소개구(227')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덮개부(3')가 닫혀있을 때 쉽게 열 수 있도록 한다.
2: 보호 케이스 본체 21: 상부 덮개부
22: 하부 덮개부 210: 투시창
211: 프레임 212: 제1 측면 프레임
213: 제1 걸림부 214: 일측변
215: 상부체 216: 나사공
221: 제2 측면 프레임 222: 제2 걸림부
223: 하부체 224: 평면
225: 곤통공 226: 수납개구
3, 3': 지지덮개부 30: 덮개판
31: 측부 32: 축연결공
331: 원형공 332: 편형공
A: U형 수용부 C: 고정부
D: 측변
4: 회전축부 40: 회전축 구조
41: 고정 지지부 42: 고정 슬라이딩부
43: 이동 슬라이딩부 44: 스프링
45: 축로드 46: 너트
410: L형 측판 411: 축공
412: 수평홈 413: 수평결구
414: 평판 421: 곤통공
422, 423: 돌출부 424: 접합면
451: 직사각형 로드 452: 나사산
453: 편형 고정헤드 454: 장형홈
455: 단면 5: 전자장치
51: 터치스크린

Claims (7)

  1. 보호 케이스 본체, 지지덮개부 및 회전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장치의 보호 케이스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보호 케이스 본체는, 프레임과 투시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호 케이스 본체의 내부 주변테두리부에는 U형 수용부가 형성되어, 전자장치가 수용 장착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덮개부는, 그 측부 양단 각각에 축연결공이 구비되는데, 상기 측부의 측변 테두리부로부터 덮개판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부는, 두 개의 회전축구조의 조립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상기 회전축구조의 일단은 상기 보호 케이스 본체의 일측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덮개부 측부의 축연결공에 고정되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보호 케이스 프레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덮개부에는 지지개구공이 형성되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보호 케이스 프레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 케이스 본체는 상부 덮개부와 하부 덮개부가 조립되어 형성되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보호 케이스 프레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 케이스 본체에는 그 측변에 상기 회전축부와 축결합하는 두 개의 고정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두 개의 고정부는 각각 상기 보호 케이스 본체의 일측변에 형성된 두 개의 상부체와 상기 보호 케이스 본체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두 개의 하부체와 조립되어 형성되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보호 케이스 프레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회전축구조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저항식 회전축이 되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보호 케이스 프레임.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부 주변 테두리부의 수직방향으로 제 1 측면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측면프레임의 끝단에는 제 1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덮개부 주변 테두리부의 수직방향으로 제 2 측면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측면프레임의 끝단에는 제 2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걸림부와 서로 끼움결합된 후, 상기 U형 수용부를 형성하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보호 케이스 프레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 케이스 본체에 수납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덮개부를 수용하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보호 케이스 프레임.


KR2020100009871U 2010-04-02 2010-09-20 휴대용 전자장치의 보호 케이스 프레임 KR2004599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871U KR200459930Y1 (ko) 2010-04-02 2010-09-20 휴대용 전자장치의 보호 케이스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9205897 2010-04-02
KR2020100009871U KR200459930Y1 (ko) 2010-04-02 2010-09-20 휴대용 전자장치의 보호 케이스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612U true KR20110009612U (ko) 2011-10-10
KR200459930Y1 KR200459930Y1 (ko) 2012-04-20

Family

ID=45596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871U KR200459930Y1 (ko) 2010-04-02 2010-09-20 휴대용 전자장치의 보호 케이스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93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146Y1 (ko) * 2011-11-09 2014-02-07 서채원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
KR200483752Y1 (ko) 2016-05-09 2017-06-20 김주민 아킬레스건 강화 운동용 나막신
CN112583969A (zh) * 2020-12-22 2021-03-30 深圳市蓝禾技术有限公司 带支撑功能的保护壳
KR102289663B1 (ko) * 2020-11-30 2021-08-18 현재향 인공지능 스마트 액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3346A1 (en) * 2018-05-04 2019-11-07 Matscitechno Licensing Company Electronic device protect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827U (ko) * 1998-06-17 2000-01-15 윤종용 액정 모니터
KR100425088B1 (ko) * 2000-09-26 2004-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용 힌지어셈블리
KR20040032160A (ko) * 2002-10-01 2004-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회동 가능한 스탠드가 구비된 lcd 모니터
KR20050040599A (ko) * 2003-10-29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제품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146Y1 (ko) * 2011-11-09 2014-02-07 서채원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
KR200483752Y1 (ko) 2016-05-09 2017-06-20 김주민 아킬레스건 강화 운동용 나막신
KR102289663B1 (ko) * 2020-11-30 2021-08-18 현재향 인공지능 스마트 액자
CN112583969A (zh) * 2020-12-22 2021-03-30 深圳市蓝禾技术有限公司 带支撑功能的保护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9930Y1 (ko) 201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1099B2 (en) Protective cover support rack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8824134B2 (en) Tablet electronic device
KR200459930Y1 (ko) 휴대용 전자장치의 보호 케이스 프레임
KR100992436B1 (ko) 태블릿pc용 케이스
US8424160B2 (en) Asymmetrical resistant hinge set
JP3168009U (ja) 調整式携帯式電子装置用保護カバー
US8132670B1 (en) Protective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WI504336B (zh) 轉軸模組及使用其之電子裝置
US9052873B2 (en) Electronic apparatus
US10406671B2 (en) Apparatus for gripping handheld devices
TWI524770B (zh) 支撐裝置
US20130134267A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Tablet Personal Computers
KR102037673B1 (ko) 사용자 기기의 외장 커버
US20130015088A1 (en) Protective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10299231A1 (en) Rotatable Cases For Electronic Devices
CN201663778U (zh) 可携式电子装置的护套支撑架
TWI496529B (zh) Can stand the electronic device
CN105874400A (zh) 用于便携式计算装置的支架
US9152184B2 (en) Hybrid computer
US20120050970A1 (en) Electronic apparatus
TWM391815U (en) Sheath supporting fram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3160815U (ja) ポータブル電子装置の保護カバーサポートフレーム
KR20120015749A (ko)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태블릿pc용 케이스
JP2002032028A (ja) 画像表示装置
KR101379165B1 (ko) 태블릿 컴퓨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