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4851A -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4851A
KR20150144851A KR1020140073430A KR20140073430A KR20150144851A KR 20150144851 A KR20150144851 A KR 20150144851A KR 1020140073430 A KR1020140073430 A KR 1020140073430A KR 20140073430 A KR20140073430 A KR 20140073430A KR 20150144851 A KR20150144851 A KR 20150144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zziness
patient
unit
motion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3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7455B1 (ko
Inventor
서명환
이준호
오승하
권치헌
안중우
구윤서
김성완
김희찬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140073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455B1/ko
Priority to US15/319,716 priority patent/US10881319B2/en
Priority to PCT/KR2015/005988 priority patent/WO2015194808A1/ko
Publication of KR20150144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98Electrooculography [EOG], e.g. detecting nystagmus; Electroretinography [ER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1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or recording eye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Gait analy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지럼증 치료 장치는, 어지럼증을 앓고 있는 환자의 어지럼증의 종류를 입력받는 입력부, 어지럼증의 종류에 따른 치료 방안을 저장하는 저장부, 입력된 상기 어지럼증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어지럼증의 종류에 대한 치료 방안을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가 검색한 상기 어지럼증의 종류에 대한 상기 치료 방안을 상기 환자에게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장치{APPARATUS FOR DIAGNOSING AND TREATING VERTIGO}
본 발명은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진(ophthalmodonesis)을 기초로 어지럼증의 종류를 진단하고, 진단된 어지럼증의 종류에 따라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발 방지를 위한 재활 방안 등을 제안하며, 환자가 치료/재활 운동을 수행한 경우 환자의 안진을 재측정한 결과 또는 환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결과를 기초로 환자가 정확하게 치료/재활 운동을 수행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제공하는, 휴대 가능한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지럼증(dizziness)이란 자신이나 주위 사물이 정지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움직이는 듯한 느낌을 받는 모든 증상을 통칭하는 용어이며, 이러한 어지럼증은 크게 생리적 어지럼증과 병적 어지럼증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 중, 병적 어지럼증의 대부분은 인체의 반고리관 내에 이석(otolith)이 침착되어 발생되는 질환인 양성 발작성 위치성 어지럼증(이석증,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이하 BPPV로 지칭)과, 전정 신경에 발생한 염증으로 발생되는 질환인어지럼증(dizziness)이란 자신이나 주위 사물이 정지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움직이는 듯한 느낌을 받는 모든 증상을 통칭하는 용어이며, 이러한 어지럼증은 크게 생리적 어지럼증과 병적 어지럼증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 중, 병적 어지럼증의 대부분은 인체의 반고리관 내에 이석(otolith)이 침착되어 발생되는 질환인 양성 발작성 위치성 어지럼증(이석증,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이하 BPPV로 지칭)과, 전정 신경에 발생한 염증으로 발생되는 질환인 전정 신경염으로 인한 어지럼증(Vestibular Neuristis, 이하 VN으로 지칭)이 차지하고 있다.
BPPV와 VN이 발생되면 환자는 일상 생활이 불가능할 정도의 극심한 어지러움을 느끼게 된다. 어지럼증이 발생 했을 때 어지럼증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치료/완화 방안이 제공될 수 있고 환자가 이러한 치료/완화 방안을 수행할 수 있다면, 어지럼증 증상은 완화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어지럼증에 대한 치료/완화 방안은 어지럼증의 종류가 BPPV인지 VN인지 여부에 따라 달라지고, 특히 BPPV인 경우에는 이석의 위치가 반고리관 중 어디인지 여부에 따라 상이하므로, 어지럼증에 대한 치료/완화 방안은 어지럼증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
선행 특허문헌1은 어지럼증 발생시 치료/완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 특허문헌1은 어지럼증의 종류가 BPPV이면서 이석이 발생한 위치가 특정된 경우에만 치료 방안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을 뿐, 어지럼증의 종류에 따라 치료/완화 방안을 다르게 제공하는 장치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하고 있지 않다.
한편, 어지럼증을 진단 받은 환자는, 어지럼증의 재발 방지를 위한 재활 방안을 책자로 제공받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재활 방안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환자는 책자에서 안내하는 재활 방안에 따라 정확하게 머리와 몸을 위치시키고 움직여야 한다.
그러나, 환자는 자신이 책자에서 안내하는 재활 방안에 따라 정확하게 머리와 몸을 위치시키며 움직이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다. 더군다나, 노약자나 고령자의 경우에는 단독으로 해당 재활 방안을 수행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책자를 통해 해당 재활 방안을 습득하는 것 자체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환자에게 책자보다는 더 직관적인 방법으로 해당 재활 방안을 안내할 수 있으면서, 환자에게 자신이 정확하게 해당 재활 방안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평가하여 알려줄 수 있는 장치/방법이 요구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어지럼증에 대한 치료/완화 방안은 어지럼증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종래에는 어지럼증의 종류에 대한 진단은 대부분 병원에서 제공되었기 때문에, 어지럼증 발생시 환자는 어지럼증을 참고 병원으로 내방해야만 어지럼증의 종류를 진단받고 치료/완화 방안의 안내를 받을 수 있었으므로, 어지럼증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웠다.
이에, 어지럼증이 발생한 즉시 환자가 병원에 내방하지 않고도 환자에게 즉각적으로 어지럼증의 종류에 대한 진단을 제공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진단된 어지럼증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치료/완화 방안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가 요구된다.
미국등록특허 제7,490,611호 (2009.02.17.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어지럼증의 종류에 따라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발 방지를 위한 재활 방안을 달리하여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어지럼증의 종류에 따라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을 달리하여 제공함에 있어, 환자가 현재 겪고 있는 어지럼증의 증상을 기초로 어지럼증의 종류를 진단하고 진단된 결과에 따라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을 달리하여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어지럼증의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을 환자에게 보다 직관적으로 제공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어지럼증의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을 환자가 정확하게 수행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제공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지럼증 치료 장치는 어지럼증을 앓고 있는 환자의 어지럼증의 종류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어지럼증의 종류에 따른 치료 방안을 저장하는 저장부, 입력된 상기 어지럼증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어지럼증의 종류에 대한 치료 방안을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는 연산부 및 검색된 상기 어지럼증의 종류에 대한 상기 치료 방안을 상기 환자에게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음성, 사진 또는 동영상 중 어느 하나의 형태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을 조합한 형태로 상기 치료 방안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 및 상기 움직임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환자의 상기 움직임이 상기 치료 방안에서 제시하는 제1 움직임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평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움직임 감지부는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평가부가 평가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가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환자의 상기 움직임이 상기 제1 움직임과 일치할 때까지 평가를 반복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평가부가 반복하여 평가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지럼증의 종류는 전정 신경염(Vestibular Neuritis)으로 인한 어지럼증 또는 양성 발작성 위치성 어지럼증(Benign Paroxismal Positional Vertigo)을 포함하고, 상기 어지럼증의 종류가 상기 양성 발작성 위치성 어지럼증인 경우, 상기 상기 양성 발작성 위치성 어지럼증은 이석(otolith)이 위치한 반고리관의 위치를 기초로 더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장치는 어지럼증을 앓고 있는 환자의 안구로부터 안진(ophthalmodonesis)을 검출하는 안진 검출부, 검출된 상기 안진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어지럼증의 종류를 진단하는 진단부, 상기 어지럼증의 종류에 따른 치료 방안을 저장하는 저장부, 진단된 상기 어지럼증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어지럼증의 종류에 대한 치료 방안을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는 연산부 및 검색된 상기 어지럼증의 종류에 대한 상기 치료 방안을 상기 환자에게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진 검출부는 안구의 각막과 망막 간의 전위차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진 검출부는 안구의 움직임을 영상으로 촬영하는 촬영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안진과 상기 환자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어지럼증의 종류를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안진 검출부가 상기 안진을 검출하기에 앞서, 상기 환자에게 안진 검출을 위한 제1 움직임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 및 상기 움직임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환자의 상기 움직임이 상기 제1 움직임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평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평가부가 평가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가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환자의 상기 움직임이 상기 제1 움직임과 일치할 때까지 평가를 반복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평가부가 반복하여 평가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움직임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환자의 상기 움직임이 상기 치료 방안에서 제시하는 제2 움직임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평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평가부가 평가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가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환자의 상기 움직임이 상기 제2 움직임과 일치할 때까지 평가를 반복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평가부가 반복하여 평가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진 검출부는 상기 치료 방안이 상기 환자에 의해 수행된 후, 상기 환자로부터 안진을 재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장치는 재검출된 상기 안진을 기초로, 상기 환자에 의해 수행된 상기 치료 방안의 결과를 평가하는 평가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는 재검출된 상기 안진 또는 상기 치료 방안의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부가 상기 안진과 상기 환자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진단한 상기 어지럼증의 종류는, 전정 신경염(Vestibular Neuritis)으로 인한 어지럼증 또는 양성 발작성 위치성 어지럼증(Benign Paroxismal Positional Vertigo)을 포함하고, 상기 어지럼증의 종류가 상기 양성 발작성 위치성 어지럼증인 경우 상기 상기 양성 발작성 위치성 어지럼증은 이석(otolith)이 위치한 반고리관의 위치를 기초로 더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지럼증 환자는 어지럼증이 발생한 즉시 어지럼증의 종류를 진단받을 수 있고, 진단된 어지럼증의 종류에 따라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을 달리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어지럼증 환자는 어지럼증의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을 보다 직관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해당 어지럼증의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을 정확하게 수행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지럼증 진단/치료 장치를 환자가 착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지럼증 진단/치료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지럼증 진단/치료 장치에 포함된, 안진 검출부에 대한 예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지럼증 진단/치료 장치에 포함된,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지럼증 진단/치료 장치에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지럼증 진단/치료 장치에서의 제어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지럼증 진단/치료 장치를 환자가 착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지럼증 진단/치료 장치(1000)는 환자(10)가 착용 가능한 형태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환자는 어지럼증 발생시 어지럼증에 대한 진단 및 치료 방안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어지럼증 진단/치료 장치(10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 형상(또는 고글 형상, 이하에서는 안경 형상을 지칭)과 보청기 형상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안경 형상의 구성은 환자(10)의 안구 움직임으로부터 안진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보청기 형상의 구성은 검출된 안진을 기초로 어지럼증의 종류를 진단하는 기능, 진단된 어지럼증의 종류에 따른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을 도출하고 도출된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을 음성(301)이나 기타 다른 방법 등으로 출력하는 기능, 환자(1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기능, 환자(10)의 움직임이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에서 제시하는 움직임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경우에 따라서는 보청기 형상의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 중 전부 또는 일부는 안경 형상의 구성이 대신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안경 형상과 보청기 형상이 결합된 형태의 제1 실시예는 하나의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은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즉, 어지럼증 진단/치료 장치가 환자(10)의 안진을 검출하고, 검출된 안진을 기초로 어지럼증의 종류를 진단하며, 이에 따라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을 제공한다면, 도 1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모든 형태의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사상은 안경 형상과 보청기 형상이 하드웨어적으로 분리되고 무선으로 연결된 형태의 실시예, 안경 형상과 헤어밴드(hairband)형상이 결합된 형태의 실시예, 안경 형상으로만 구현된 실시예(예를 들면, 구글(社)의 구글 글래스 형태) 또는 그 밖의 다른 모든 형태의 실시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형태의 제1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어지럼증 진단/치료 장치(1000)는 휴대 가능한 형태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어지럼증 진단/치료 장치(1000)는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와 같은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10)는 어지럼증이 발생한 즉시 휴대하고 있는 어지럼증 진단/치료 장치(1000)를 이용해서 어지럼증의 종류에 대한 진단을 제공받음과 동시에, 그에 따른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지럼증 진단/치료 장치(1000)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개념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지럼증 진단/치료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지럼증 진단/치료 장치(1000)는 안진 검출부(900), 움직임 감지부(200), 제어부(100) 또는 출력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진 검출부(900)는 안진을 검출하여 제어부(100)로 전달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안진이란 안구의 떨림을 지칭하는 것으로, VN 환자에서는 머리 위치에 상관없이 자발적으로 수평 회선 방향 고정 안진(Horizontal Rotatory Direction Fixed Nystagmus)이 발생되며 BPPV 환자에서는 중력 방향에 대한 머리 자세에 따라 안진이 발생된다. 따라서, 검출된 안진은 어지럼증의 종류 진단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검출된 안진은 환자(10)가 정확하게 치료/재활 운동을 수행하였는지 여부, 즉 치료/재활 운동의 효과(결과)를 평가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환자(10)가 제안된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에 따라 치료/재활 운동을 수행한 경우, 안진 검출부(900)는 환자의 안진을 재검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재검출된 안진은, 예를 들면 의사에게 제공됨으로써, 환자가 수행한 치료/재활 운동의 효과(결과)를 평가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다만, 안진을 재검출하는 특징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특징일 수 있다.
이러한 안진을 검출하기 위하여, 안진 검출부(9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10)의 눈 주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전극(910)을 포함할 수 있다. 안진 검출부(900)는 이러한 다수의 전극(910)을 이용하여 각막과 망막 사이의 전위차의 변동을 측정하여 안진을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각막과 망막 사이의 전위차 변동을 측정하여 안진을 검출하는 방법은 전기안진검사(Electronystagmography, ENG)로 지칭되며, 이러한 전기안진검사의 결과 및 환자(10)의 머리 위치를 기초로 어지럼증의 종류가 VN인지 BPPV인지 여부 및 BPPV인 경우 이석의 위치가 반고리관 중 어디인지 여부가 진단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안진검사의 결과 및 환자(10)의 머리 위치를 기초로 어지럼증의 종류를 진단하는 기술은 해당 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에 해당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수의 전극(910)을 포함하는 안진 검출부(900)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수의 전극(910)은 도 3에 도시된 연결부(920)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로 도 1에 도시된 안진 검출부(9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환자(10)의 눈 주위에서 각막과 망막 사이의 전위차 변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환자(10)의 피부와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다수의 전극(910)의 개수 및 위치, 그리고 연결부(920)와의 연결 상태 등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와 상이한 형태의 다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안진 검출부가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안진을 검출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안진 검출부(900)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기안진검사에 따라 다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것은 하나의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은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사상은 눈의 움직임을 영상으로 포착함으로써 안진을 검출하는 비디오안진검사(Videonystagmography, VNG)를 안진 검출부(900)에 적용한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안진 검출부(90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눈의 움직임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디오안진검사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전기안진검사를 이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어지럼증의 종류가 VN인지 BPPV인지 여부 및 BPPV인 경우 이석의 위치가 반고리관 중 어디인지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다만, 비디오안진검사의 결과 및 환자(10)의 머리 위치를 기초로 어지럼증의 종류를 진단하는 기술은 해당 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에 해당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움직임 감지부(200)는 환자(10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자료를 제어부(1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지럼증의 종류를 진단하기 위하여 안진을 검출하기에 앞서 환자(10)가 특정 움직임을 취해야 하는 경우, 움직임 감지부(200)는 환자(10)가 취한 움직임을 감지하여 해당 움직임에 대한 자료를 제어부(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환자(10)가 어지럼증의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을 수행하는 경우, 움직임 감지부(200)는 환자(1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해당 움직임에 대한 자료를 제어부(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움직임 감지부(200)는 환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자이로(gyro)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센서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와 다른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움직임 감지부(200)는 이러한 센서를 통하여 예를 들면 환자의 이동 방향, 이동 속도, 이동 가속도, 이동 각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어지럼증은 환자(10)의 머리 움직임과 관련성이 있다는 점에서, 움직임 감지부(20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10)의 머리 부분에 가깝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어지럼증 치료/완화 장치(1000)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안경 형상과 보청기 형상이 하드웨어적으로 분리되고 무선으로 연결된 형태의 실시예인 경우, 움직임 감지부(200)는 머리 부분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안경 형상에 포함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300)는 환자(10)에게 움직임에 대한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지럼증의 종류를 진단하기 위하여 환자(10)가 특정 움직임을 취해야 할 경우, 출력부(300)는 특정 움직임을 메시지로 전달하거나, 또는 환자(10)의 움직임이 특정 움직임에 일치하는지 여부를 메시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환자(10)가 어지럼증의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을 수행하는 경우, 출력부(300)는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에서 제시하는 움직임을 메시지로 전달하거나, 또는 환자(10)의 움직임이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에서 제시하는 움직임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메시지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메시지는 환자(10)가 용이하게 인식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특히, 노약자/고령자도 용이하게 인식 가능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므로, 예를 들면, 해당 메시지는 음성이나 사진 또는 동영상의 형태, 또는 음성과 사진 및 동영상 중 적어도 둘 이상이 조합된 형태 등 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해당 메시지가 음성을 포함할 경우 출력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메시지가 사진이나 동영상을 포함할 경우 출력부(300)는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면, 소형 액정디스플레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출력부(300)는 도 1에 도시된 어지럼증 치료/완화 장치(1000)의 형태와 같이 어지럼증 치료/완화 장치(1000)에 포함된 다른 구성과 물리적으로 결합된 형태일 수 있지만, 출력부(300)에서 전달하는 메시지가 환자(10)에게 용이하게 인식 가능하기만 하면 된다는 점에서 반드시 이러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출력부(300)는 스피커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면서 도 1에 도시된 어지럼증 치료/완화 장치와는 분리된, 별도의 장치로 구현 가능하다.
제어부(100)는 안진 검출부(900)로부터 전달된 안진과 움직임 감지부(200)로부터 전달된 환자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환자(10)의 어지럼증의 종류를 진단하고, 진단된 어지럼증의 종류에 따라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을 도출하며, 도출된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이 출력부(300)를 통해 환자(10)에게 전달되도록 하고, 해당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에 따라 환자(10)가 움직였는지 여부를 움직임 감지부(200)로부터 전달된 환자(10)의 움직임 또는 안진 검출부(900)에 의해 재검출된 환자(10)의 안진을 기초로 평가하며, 이러한 평가 결과를 저장하여 추후 의사 등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00)에 대한 블록도인 도 4를 함께 참조하면서 제어부(1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0)는 진단부(110), 연산부(120), 평가부(130) 또는 저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00)는 진단부(120)를 통해 환자(10)의 어지럼증의 종류를 진단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진단부(120)는 도 2b에 도시된 안진 검출부(900)가 전달하는 안진과, 도 2b에 도시된 움직임 감지부(200)가 전달하는 환자(10)의 움직임을 기초로 어지럼증의 종류를 진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단부(120)는 머리 위치에 상관없이 자발적으로 수평 회선 방향 고정 안진이 발생된다고 전달받으면 VN으로 진단하며, 움직임 감지부(200)로부터 전달되는 머리 위치에 따라 안진이 발생되면 BPPV로 진단하되 머리 위치와 안진을 기초로 이석의 위치가 반고리관 중 어디에 있는지 여부도 함께 진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진단부(120)에는 안진과 환자(10)의 머리 움직임을 기초로 환자(10)의 어지럼증의 종류를 세분하여 진단하기 위한 방법이 구현되어 있는데, 여기서 안진을 기초로 VN과 BPPV를 진단하고 또한 BPPV의 경우 반고리관 중 이석의 위치까지 진단하는 방법은 해당 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진단부(120)에 의해 진단된 어지럼증의 종류를 입력받아서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부(100)에 포함된 연산부(120)는 진단부(120)로부터 입력된 어지럼증의 종류를 기초로, 저장부(130)에 저장된 해당 어지럼증에 대한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을 검색하여 도출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면, 예를 들면 진단부(120)에 의해 뒤반고리관에 이석이 발생한 BPPV로 진단된 경우, 연산부(120)는 뒤반고리관에 이석이 발생한 BPPV를 치료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는 머리의 회전 방향이나 상체의 움직임 등을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30)에 저장된 어지럼증의 종류에 따른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은 추후에 추가, 삭제 및 변경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어부(100)는 도출된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에 따른 움직임이 환자(10)에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어지럼증의 종류를 진단하기 위하여 환자(10)가 특정 움직임을 취해야 할 경우, 해당하는 특정 움직임이 환자(10)에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00)는 도출된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에 따른 움직임 또는 환자(10)가 취해야 하는 특정 움직임이 환자(10)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출력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평가부(130)를 통해 해당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에 따라 환자(10)가 움직였는지 여부를 평가할 수 있으며, 평가부(130)에 의한 평가 결과 등이 저장부(140)에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추후 의사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평가부(130)는 재검출된 환자(10)의 안진을 기초로 환자(10)가 수행한 해당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이 해당 어지럼증을 개선시킨 정도, 즉 효과(결과)를 평가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살펴보면, 환자(10)가 치료/재활 운동을 수행한 경우, 도 2b에 도시된 안진 검출부(900)는 환자(10)의 안진을 재검출할 수 있으며, 평가부(130)는 재검출된 안진을 기초로 환자(10)가 수행한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의 효과(결과)를 평가할 수 있다. 이 때, 안진 검출부(900)에 의해 재검출된 안진 또는 평가부에 평가된 효과는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평가부(130)는 도 2b에 도시된 움직임 감지부(200)로부터 전달된 환자(10)의 움직임과 연산부(120)가 도출한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에 따른 움직임을 비교하여, 환자(10)가 해당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에 따라 정확하게 움직였는지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100)는 어지럼증의 종류를 진단하기 위하여 환자(10)가 특정 움직임을 취해야 할 경우, 환자(10)가 특정 움직임에 따라 정확하게 움직였는지 여부를 평가부(130)를 통해 평가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평가부(130)는 움직임 감지부(200)로부터 전달된 환자(10)의 움직임에 대한 자료와 어지럼증의 종류를 진단하기 위하여 환자가 취해야 하는 특정 움직임을 비교하여, 환자(10)가 특정 움직임에 따라 움직였는지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여기서, 평가부(130)에 의한 평가는 예를 들면 출력부(300)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환자(10)가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에 따라 취한 움직임이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에서 제시하는 움직임과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환자(10)가 어지럼증의 종류를 진단하기 위하여 취한 움직임이 요구되는 움직임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평가부(130)는 출력부(300)를 통해 실시간으로 이를 환자에게 알려줄 수 있으며, 따라서 환자(10)는 즉시 자신이 취한 움직임이 정확한지 여부를 피드백 받고 이에 대하여 교정할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만, 평가부(130)에 의한 평가가 출력부(300)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것은 하나의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와 달리 환자가 원하는 시점, 환자의 주치의가 원하는 시점 또는 미리 정의된 특정 시점 등 기타 임의의 시점에 평가부(130)에 의한 평가가 출력부(300) 또는 기타 다른 방법으로 제공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지럼증 진단/치료 장치에 포함된 제어부(100), 움직임 감지부(200), 출력부(300) 및 안진 검출부(900)가 하나의 하드웨어 상에서 결합된 형태인 것을 전제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제1 실시예는 하나의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은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사상은 어지럼증 진단/치료 장치에 포함된 구성요소가 각각 별개의 하드웨어로 분리되어 구성되면서 분리된 각 하드웨어는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사상은 움직임 감지부와 안진 검출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로 구성되고 출력부와 제어부가 결합되어 또 다른 하나의 하드웨어로 구성되며 각각의 하드웨어는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형태의 실시예, 움직임 감지부와 안진 검출부 및 출력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로 구성되고 제어부만이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되고 각각의 하드웨어는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형태의 실시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제어부, 움직임 감지부, 출력부 및 안진 검출부가 하나의 하드웨어 상에서 결합된 형태인 제1 실시예를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지럼증 진단/치료 장치에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환자(10)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지럼증 진단/치료 장치(1000)를 착용할 경우, 제어부(100)는 머리 위치에 따라 안진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출력부(300)를 통해 환자에게 머리의 움직임과 관련된 명령을 출력할 수 있으며(S100), 다만 이러한 명령이 출력되는 단계가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움직임 감지부(200)는 환자(10)의 움직임(특히, 머리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어부(100)로 제공할 수 있다 (S110).
또한 제어부(100)에 포함된 평가부(130)는 환자(10)가 명령에 따라 정확하게 움직였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 만약, 환자(10)가 정확하게 움직이지 않았다면,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어부(130)는 출력부(300)를 통해 환자(10)가 정확하게 움직이지 않았다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환자(10)가 정확하게 움직이지 않았다는 메시지는, 평가부(300)가 환자(10)의 움직임을 반복하여 평가한 결과 정확하게 움직인 것으로 평가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다만, 평가부(130)에 의해 평가되고 출력부(300)에 의해 이러한 평가가 출력되는 단계가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안진 검출부(900)는 환자(10)로부터 안진을 검출하여 제어부(100)에 포함된 진단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S120).
진단부(110)는 환자(10)의 움직임에 따른 안진을 기초로 환자(10)의 어지럼증의 종류를 진단할 수 있다(S130). 여기서, 진단부(120)는 예를 들면 머리 위치에 상관없이 자발적으로 수평 회선 방향 고정 안진이 발생된다고 전달받으면 VN으로 진단(S200)하며, 움직임 감지부(200)로부터 전달되는 머리 위치에 따라 안진이 발생되면 BPPV로 진단하되 머리 위치와 안진을 기초로 이석의 위치가 반고리관 중 어디에 있는지 여부도 함께 진단(S300)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진단된 어지럼증의 종류를 출력부(300)를 통해 환자(10)에게 제공할 수 있으나 이러한 단계가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어부(100)에 포함된 연산부(120)는 진단된 어지럼증의 종류를 기초로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을 도출할 수 있으며(S210, S310), 도출된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에 따른 움직임은 출력부(300)를 통해 환자(10)에게 제공될 수 있다(S220, S320).
또한, 움직임 감지부(200)는 환자(10)가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에 따라 움직임을 취할 경우, 해당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어부(100)로 전달할 수 있다(S230, S330).
또한, 제어부(100)에 포함된 평가부(300)는 움직임 감지부(200)로부터 전달된 환자(10)의 움직임에 대한 자료와 연산부(120)가 도출한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에 따른 움직임을 비교하여, 환자(10)가 해당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에 따라 정확하게 움직였는지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S240, S340). 다만, 이러한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와 환자(10)의 움직임을 평가하는 단계가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평가부(300)는 안진 검출부(900)에 의하여 재검출된 환자(10)의 안진을 기초로 환자(10)가 수행한 해당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에 대한 효과(결과)를 평가할 수 있으며, 다만 이러한 단계가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평가 결과는 출력부(300)를 통해 환자(10)에게 제공될 수 있다(S250, S350). 여기서, 평가부(130)에 의한 평가는 출력부(300)를 통해 예를 들면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환자(10)가 취한 움직임이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에서 제시하는 움직임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평가부(130)는 출력부(300)를 통해 실시간으로 이를 환자에게 알려줄 수 있으며, 따라서 환자(10)는 즉시 자신이 취한 움직임의 정확성 여부에 대하여 피드백을 받고 이에 대하여 교정할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평가 결과가 제공되는 단계는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지럼증 진단/치료 장치가 안진 검출부(900)를 포함하고 있고, 이러한 안진 검출부(900)를 통해 환자(10)로부터 안진을 검출하고 이를 기초로 어지럼증의 종류를 진단하며, 진단된 어지럼증의 종류에 따라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을 달리 제공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는 하나의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은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사상은 안진 검출부를 통해 환자로부터 안진을 검출하고 이를 기초로 어지럼증의 종류를 진단하여 어지럼증의 종류에 따라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을 달리 제공하는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외부로부터 어지럼증의 종류를 입력받고 입력된 어지럼증의 종류에 따라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을 달리 제공하는 제2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실시예에 따른 어지럼증 치료 장치는 안진 검출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어지럼증 치료 장치에 포함된 제어부는 어지럼증의 종류를 진단하는 진단부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외부로부터 어지럼증의 종류를 입력받기 위한 구성(예를 들면 입력부, 다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음)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기타 다른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입력된 어지럼증의 종류에 따라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을 달리 제공하는 것 역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어지럼증 환자는 어지럼증이 발생한 즉시 휴대 가능한 어지럼증의 진단/치료 장치를 이용하여 어지럼증의 종류를 진단받을 수 있고 진단된 어지럼증의 종류에 따라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을 달리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어지럼증 환자는 어지럼증의 진단/치료 장치에 포함된 출력부를 통해 어지럼증의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을 보다 직관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어지럼증의 진단/치료 장치에 포함된 평가부와 출력부를 통해 해당 어지럼증의 치료/완화 방안이나 재활 방안을 정확하게 수행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환자
1000: 어지럼증 진단/측정 장치
100: 제어부
200: 움직임 감지부
300: 출력부
900: 안진 검출부

Claims (22)

  1. 어지럼증을 앓고 있는 환자의 어지럼증의 종류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어지럼증의 종류에 따른 치료 방안을 저장하는 저장부;
    입력된 상기 어지럼증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어지럼증의 종류에 대한 치료 방안을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는 연산부; 및
    검색된 상기 어지럼증의 종류에 대한 상기 치료 방안을 상기 환자에게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어지럼증 치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음성, 사진 또는 동영상 중 어느 하나의 형태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을 조합한 형태로 상기 치료 방안을 출력하는
    어지럼증 치료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 및
    상기 움직임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환자의 상기 움직임이 상기 치료 방안에서 제시하는 제1 움직임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평가부를 더 포함하는
    어지럼증 치료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감지부는,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어지럼증 치료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평가부가 평가한 결과를 출력하는
    어지럼증 치료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환자의 상기 움직임이 상기 제1 움직임과 일치할 때까지 평가를 반복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평가부가 반복하여 평가한 결과를 출력하는
    어지럼증 치료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지럼증의 종류는 전정 신경염(Vestibular Neuritis)으로 인한 어지럼증 또는 양성 발작성 위치성 어지럼증(Benign Paroxismal Positional Vertigo)을 포함하고,
    상기 어지럼증의 종류가 상기 양성 발작성 위치성 어지럼증인 경우, 상기 상기 양성 발작성 위치성 어지럼증은 이석(otolith)이 위치한 반고리관의 위치를 기초로 더 분류되는,
    어지럼증 치료 장치.
  8. 어지럼증을 앓고 있는 환자의 안구로부터 안진(ophthalmodonesis)을 검출하는 안진 검출부;
    검출된 상기 안진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어지럼증의 종류를 진단하는 진단부;
    상기 어지럼증의 종류에 따른 치료 방안을 저장하는 저장부;
    진단된 상기 어지럼증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어지럼증의 종류에 대한 치료 방안을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는 연산부; 및
    검색된 상기 어지럼증의 종류에 대한 상기 치료 방안을 상기 환자에게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안진 검출부는,
    안구의 각막과 망막 간의 전위차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포함하는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안진 검출부는,
    안구의 움직임을 영상으로 촬영하는 촬영 수단을 포함하는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안진과 상기 환자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어지럼증의 종류를 진단하는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안진 검출부가 상기 안진을 검출하기에 앞서, 상기 환자에게 안진 검출을 위한 제1 움직임을 출력하는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 및
    상기 움직임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환자의 상기 움직임이 상기 제1 움직임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평가부를 더 포함하는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평가부가 평가한 결과를 출력하는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환자의 상기 움직임이 상기 제1 움직임과 일치할 때까지 평가를 반복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평가부가 반복하여 평가한 결과를 출력하는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환자의 상기 움직임이 상기 치료 방안에서 제시하는 제2 움직임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평가부를 더 포함하는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평가부가 평가한 결과를 출력하는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환자의 상기 움직임이 상기 제2 움직임과 일치할 때까지 평가를 반복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평가부가 반복하여 평가한 결과를 출력하는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장치.
  2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안진 검출부는,
    상기 치료 방안이 상기 환자에 의해 수행된 후, 상기 환자로부터 안진을 재검출하는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장치는,
    재검출된 상기 안진을 기초로, 상기 환자에 의해 수행된 상기 치료 방안의 결과를 평가하는 평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재검출된 상기 안진 또는 상기 치료 방안의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장치.
  2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가 상기 안진과 상기 환자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진단한 상기 어지럼증의 종류는,
    전정 신경염(Vestibular Neuritis)으로 인한 어지럼증 또는 양성 발작성 위치성 어지럼증(Benign Paroxismal Positional Vertigo)을 포함하고,
    상기 어지럼증의 종류가 상기 양성 발작성 위치성 어지럼증인 경우, 상기 상기 양성 발작성 위치성 어지럼증은 이석(otolith)이 위치한 반고리관의 위치를 기초로 더 분류되는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장치.
KR1020140073430A 2014-06-17 2014-06-17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장치 KR101647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430A KR101647455B1 (ko) 2014-06-17 2014-06-17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장치
US15/319,716 US10881319B2 (en) 2014-06-17 2015-06-15 Apparatus for diagnosing and treating dizziness
PCT/KR2015/005988 WO2015194808A1 (ko) 2014-06-17 2015-06-15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430A KR101647455B1 (ko) 2014-06-17 2014-06-17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851A true KR20150144851A (ko) 2015-12-29
KR101647455B1 KR101647455B1 (ko) 2016-08-24

Family

ID=54935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3430A KR101647455B1 (ko) 2014-06-17 2014-06-17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81319B2 (ko)
KR (1) KR101647455B1 (ko)
WO (1) WO2015194808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835A (ko) * 2018-04-04 2019-10-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어지럼증 스코어 계산 장치 및 방법
KR102041460B1 (ko) * 2018-09-03 2019-11-0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두부의 움직임이 필요없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어지럼증 진단 장치
KR20200063480A (ko) * 2018-11-28 2020-06-0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휴대용 안진기 및 이의 캘리브레이션 방법
KR20200067398A (ko) * 2018-12-04 2020-06-1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가상현실 기반의 휴대용 안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진 방법
WO2021071346A1 (ko) * 2019-10-10 2021-04-1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어지럼증 증상 완화 장치 및 방법
US11594332B2 (en) 2017-04-28 2023-02-28 Dzmed, Inc.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self-diagnosis and treatment of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204B1 (ko) 2017-03-28 2022-02-0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어지럼증 재활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GB2574580B (en) * 2018-05-25 2023-03-29 Uea Enterprises Ltd Portable wearable eye movement monitoring system, device and monitoring method
KR102204112B1 (ko) 2018-12-05 2021-01-1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동공과 홍채를 이용한 이석증 질병예측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WO2021141850A1 (en) * 2020-01-06 2021-07-15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Wearable nystagmus detection device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CN111191639B (zh) * 2020-03-12 2024-03-08 上海志听医疗科技有限公司 基于眼震的眩晕类型识别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GB202017933D0 (en) * 2020-11-13 2020-12-30 Imperial College Innovations Ltd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treating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CN113440101B (zh) * 2021-02-01 2023-06-23 复旦大学附属眼耳鼻喉科医院 一种基于集成学习的眩晕诊断装置及系统
KR20230095682A (ko) * 2021-12-22 2023-06-2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측정을 통한 어지럼증 진단방법, 장치,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CN114617529B (zh) * 2022-05-12 2022-08-26 上海志听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眼罩设备的眼球眩晕数据识别方法及系统
CN115099355A (zh) * 2022-07-08 2022-09-23 中山大学孙逸仙纪念医院 一种基于XGBoost算法的眩晕病因诊断模型的构建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8090A (ja) * 2000-01-19 2001-07-24 Japan Science:Kk 診療処置決定装置、方法および記録媒体
US20030116166A1 (en) * 1999-10-26 2003-06-26 Anthony Philip F. Head apparatus and assistant device for the treatment of BPPV
US20110176106A1 (en) * 2006-05-01 2011-07-21 Christopher Paul Lewkowski Portable ey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20120089049A1 (en) * 2010-10-06 2012-04-12 Laboratorio De Otoneurologia Head tilt respons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50455A9 (en) * 2002-07-03 2015-06-04 Epley Research, Llc Stimulus-evoked vestibular evalu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20100268125A9 (en) * 2002-07-03 2010-10-21 Epley Research, L.L.C. Head-stabilized medical apparatus, system and methodology
US7892180B2 (en) * 2002-11-18 2011-02-22 Epley Research Llc Head-stabilized medical apparatus, system and methodology
CA2546829C (en) 2006-05-12 2009-08-11 Matthew Alexander Bromwich Device for the treatment of vertigo
US20080058681A1 (en) * 2006-08-30 2008-03-06 Casali Henry Eloy S Portable system for monitoring the position of a patient's head during videonystagmography tests (VNG) or electronystagmography (ENG)
US20110275959A1 (en) * 2006-08-30 2011-11-10 Henry Eloy Sand Casali Portable system for monitoring the position of a patient's head during videonystagmography tests (vng) or electronystagmography (eng)
US20100280372A1 (en) * 2009-05-03 2010-11-04 Pieter Poolman Observation device and method
US8911090B2 (en) * 2009-06-30 2014-12-16 University of Pittsburgh—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System for at-home eye movement monitoring
WO2011075573A1 (en) * 2009-12-18 2011-06-23 Scion Neurostim, Llc Devices and methods for vestibular and/or cranial nerve stimulation
WO2012083106A1 (en) * 2010-12-16 2012-06-21 Scion Neurostim, Llc Combination treatments
WO2011143655A1 (en) * 2010-05-14 2011-11-17 Advitech,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on and control of the effects of spatial disorientation
WO2013124416A1 (en) * 2012-02-23 2013-08-29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 Calcineurin inhibitor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lesional vestibular disorders
CN103777351A (zh) * 2012-10-26 2014-05-0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多媒体眼镜
US20150005587A1 (en) * 2013-06-27 2015-01-01 Yinhong Qu Goggles for emergency diagnosis of balance disord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6166A1 (en) * 1999-10-26 2003-06-26 Anthony Philip F. Head apparatus and assistant device for the treatment of BPPV
JP2001198090A (ja) * 2000-01-19 2001-07-24 Japan Science:Kk 診療処置決定装置、方法および記録媒体
US20110176106A1 (en) * 2006-05-01 2011-07-21 Christopher Paul Lewkowski Portable ey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20120089049A1 (en) * 2010-10-06 2012-04-12 Laboratorio De Otoneurologia Head tilt respons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등록특허 제7,490,611호 (2009.02.17. 등록)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4332B2 (en) 2017-04-28 2023-02-28 Dzmed, Inc.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self-diagnosis and treatment of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KR20190115835A (ko) * 2018-04-04 2019-10-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어지럼증 스코어 계산 장치 및 방법
KR102041460B1 (ko) * 2018-09-03 2019-11-0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두부의 움직임이 필요없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어지럼증 진단 장치
KR20200063480A (ko) * 2018-11-28 2020-06-0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휴대용 안진기 및 이의 캘리브레이션 방법
KR20200067398A (ko) * 2018-12-04 2020-06-1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가상현실 기반의 휴대용 안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진 방법
WO2021071346A1 (ko) * 2019-10-10 2021-04-1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어지럼증 증상 완화 장치 및 방법
KR20210042572A (ko) * 2019-10-10 2021-04-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어지럼증 증상 완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94808A1 (ko) 2015-12-23
KR101647455B1 (ko) 2016-08-24
US20180049663A1 (en) 2018-02-22
US10881319B2 (en) 202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7455B1 (ko)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장치
US20180220932A1 (en) Chest measuring device, scoliosis correction system, system for remotely diagnosing spine, and wearable measuring device
US9782122B1 (en) Pain quantification and management system and device, and method of using
JP7247319B2 (ja) 頭部、脊椎および身体の健康をモニタリング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704442B1 (ko) Vr 기기를 이용한 시력측정시스템
CN105997092B (zh) 前庭测试装置
US202100932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action measurement
WO2014015378A1 (en) A mobile computing device, application server,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system for calculating a vitality indicia, detecting an environmental hazard, vision assistance and detecting disease
US88450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monitoring and dynamic treatment of oculomotor conditions
US20180206773A1 (en) Dynamic assessment and rehabilitation system for vertigo patients and the application method thereof
US20190014981A1 (en) Visual and mental testing using virtual reality hardware
KR102344493B1 (ko) 인공 지능 기반의 스마트 안진 검사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60134396A (ko) 웨어러블 약통과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상태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상태관리방법
US20240021303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treating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KR20220121755A (ko) 척추측만증 자세교정장치, 자세교정방법 및 자세교정시스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102732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안진 측정 장치
KR102328858B1 (ko) 두위 모니터링 장치
KR20180092498A (ko) 자세 제어부를 포함하는 안압 측정 장치 및 안압 측정 방법
Issarti et al. Corneal modeling and Keratoconus identification
KR102624293B1 (ko)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6695171B2 (ja) 点眼容器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KR102284799B1 (ko)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안진 검사 장치
KR102204112B1 (ko) 동공과 홍채를 이용한 이석증 질병예측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US20230363637A1 (en) Remote subjective refraction techniques
Bhatti et al. A prototype head-motion monitoring system for in-home vestibular rehabilitation thera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