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4608A -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4608A
KR20150144608A KR1020140073661A KR20140073661A KR20150144608A KR 20150144608 A KR20150144608 A KR 20150144608A KR 1020140073661 A KR1020140073661 A KR 1020140073661A KR 20140073661 A KR20140073661 A KR 20140073661A KR 20150144608 A KR20150144608 A KR 20150144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wall
hole
side wall
rail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3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1826B1 (ko
Inventor
이상국
고홍재
이홍섭
김상범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3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826B1/ko
Publication of KR20150144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방향으로 높이조절가능한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상부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높이조절부를 갖춘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와; 우측 수평 장홀을 형성하고 있는 제1 측벽과, 이 제1 측벽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우측 수평 장홀을 형성하고 있는 제2 측벽, 높이조절부과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 암나사산부를 갖춘 플레이트, 및 이 플레이트 상부면에 나란하게 배열된 하나 이상의 레일을 포함한 승강부; 레일 상에 안착되어 있는 좌측 격벽; 하단부에 레일 홈과 몸체에 관통공을 갖추고, 좌측 격벽과 서로 대향되게 레일 상에 활주가능하게 안착되어 있는 우측 격벽; 및 제1 측벽의 우측 수평 장홀과 우측 격벽의 관통공 및 제2측벽의 우측 수평 장홀에 삽입되는 우측 바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 {Tray for loading battery cell}
본 발명은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널리 알려져 있듯이,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 및 방전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지로서,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등의 동력원으로 적용되고 있다.
고출력 대용량의 전지를 필요로 하는 전기자동차 등에는 중대형 배터리 모듈을 채용하게 되는데, 높은 집적도를 제공하는 동시에 용량 대비 중량이 적게 나가는 각형 배터리 모듈 혹은 파우치형 배터리 모듈 등이 중대형 배터리 모듈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중대형 배터리 모듈은 충방전 가능한 다수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지는데, 중대형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셀의 충전 및/또는 방전시 배터리 셀의 전극 탭과 이차전지용 충방전기와의 전극 접촉을 보장할 수 있는 트레이를 공정 중에 필요로 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23874호(특허문헌 1)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배터리 모듈과 이의 제조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배터리 셀은 충전 및/또는 방전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나란히 적층된 상태로 충방전기와 전극 접촉되어야 하는데, 다수의 배터리 셀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동시에 충방전기와 신뢰할 수 있는 전극 접촉을 보장할 수 있는 트레이에 대한 내용은 찾아볼 수 없는 게 사실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23874호
본 발명은 다수의 배터리 셀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적재하면서 배터리 셀의 크기와 형상을 고려하여 충방전기에 전극 접촉을 가능하게 하는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고정식 좌측 격벽과 가변식 우측 격벽을 안착시키고 수직방향으로 높이조절가능한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높이조절부를 갖춘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와; 일측에 수평 장홀을 형성하고 있는 제1 측벽과, 이 제1 측벽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일측에 수평 장홀을 형성하고 있는 제2 측벽, 높이조절부의 상단부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부를 갖춘 플레이트, 및 플레이트 상부면에 나란하게 배열된 하나 이상의 레일을 갖춘 승강부; 레일 상에 안착되어 있는 좌측 격벽; 하단부에 레일 홈과 몸체에 관통공을 갖추고, 좌측 격벽과 서로 대향되게 레일 상에 활주가능하게 안착되어 있는 우측 격벽; 및 제1 측벽의 일측 수평 장홀과 상기 우측 격벽의 관통공 및 상기 제2측벽의 일측 수평 장홀을 가로지르는 우측 바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높이조절부는 이의 하단부에 베어링을 갖춰 상기 베이스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 볼트 타입의 높이조절부는 이의 외주면에 숫나사산과 상단부에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볼트 타입의 높이조절부는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형성한 관통부와 나사체결되어 승강부의 지지 뿐만아니라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측벽과 제2 측벽의 일측 수평 장홀은 레일의 최상단부보다 높게 형성되어 우측 바아와 레일의 접촉을 최소화시켜 가변식 우측 격벽의 원활한 활주를 돕는다.
제1 측벽과 제2 측벽의 일측 수평 장홀은 우측 격벽의 관통공과 동일 높이에 형성된다.
우측 바아는 이의 양단부에 숫나사산부를 형성하고 이 숫나사산부에 인접하게 돌기부를 포함하여, 승강부로부터 우측 바아의 분리를 방지하면서 우측 바아의 위치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우측 바아는 너트를 수단으로 하여 상기 제1 측벽과 제2 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가변식 좌측 격벽과 가변식 우측 격벽을 레일 상에 안착시킨 승강부를 수직방향으로 높이조절가능한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에 관한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좌측 격벽은 레일 상에서 활주가능하도록 하단부에 레일 홈과 몸체에 관통공을 포함하는 한편, 제1 측벽과 제2 측벽은 각각 타측에도 수평 장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측벽의 타측 수평 장홀과 좌측 격벽의 관통공 및 제2 측벽의 타측 수평 장홀을 가로지르는 좌측 바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좌측 바아는 이의 양단부에 숫나사산부를 형성하고 이 숫나사산부에 인접하게 돌기부를 포함하여, 승강부로부터 좌측 바아의 분리를 방지하면서 좌측 바아의 위치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좌측 바아는 너트를 수단으로 하여 제1 측벽과 제2 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좌측 격벽 및/또는 우측 격벽의 안착을 돕는 레일을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게 플레이트 상에 배치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전술된 고정식 좌측 격벽과 가변식 우측 격벽 및/또는 가변식 좌측 격벽과 가변식 우측 격벽을 채용한 승강부의 높이조절을 블록 타입의 높이조절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높이조절부는 베이스 상에서 하나 이상의 블록을 적층시켜 승강부와 베이스 사이에 소정의 이격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블록은 속이 비어 있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의 상부는 볼록부를 포함한다.
베이스는 이의 상부면에 블록의 안착을 돕도록 돌출부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기로, 관통공과 높이조절부는 일직선 상으로 정렬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수의 배터리 셀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로 적재/수납시킬 수 있는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 셀의 크기와 형상에 상관없이 다수의 배터리 셀을 수직방향으로 입설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는 충방전기에 대해 배터리 셀의 높이를 가변시켜 충방전기와 배터리 셀의 전극 탭 간의 전극 접촉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에서 상승된 승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트레이의 분해 사시도로서, 승강부 구조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부 좌측 격벽을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원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5a는 승강부의 하강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b는 승강부의 상승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는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장점, 특징, 그리고 이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1)는 베이스(100)와, 이 베이스(100)를 기준으로 승하강할 수 있는 승강(昇降)부(200), 승강부(200)의 좌측에 일렬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좌측 격벽(310), 및 승강부(200)의 우측에 일렬로 배치되되, 좌측 격벽(310)과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우측 격벽(320)으로 이루어져 있다.
베이스(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의 상부면에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승강부(200)의 안착을 돕는다.
이를 위해, 베이스(100)는 이의 상부면에 수직방향으로 입설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높이조절부(110)를 구비한다. 높이조절부(110)는 이의 하단부에 베어링부(120)를 배치하는데, 이 베어링(120)은 높이조절부(110)와 베이스(100)를 상호 연결하는 구성부재이다.
구체적으로, 베어링(120)은 높이조절부(110)를 베이스(100)의 상부면 상에 위치고정시키고, 높이조절부(110)의 축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동시에 높이조절부(110)의 회전을 돕는다.
도시되었듯이, 승강부(200)는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배치되되, 베이스(100)의 높이조절부(110)를 관통시켜 높이조절가능하게 위치선정된다. 개략적으로, 승강부(200)는 높이조절부(110)의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강제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강부(200)의 수직이동은 본 발명의 배터리 셀 트레이에 적재된 다수의 배터리 셀(C)의 크기와 형태를 고려하여 충방전기(미도시)와의 전극 접촉을 신뢰할 수 있게 지지가능하게 한다.
승강부(200)는 플레이트(210)와, 이 플레이트(210)의 일 가장자리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 측벽(211), 플레이트(210)의 일 가장자리와 대향되게 배치된 타 가장자리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2 측벽(212), 및 플레이트(210) 상부면에 나란하게 배열된 하나 이상의 레일(213)을 구비한다.
하나 이상의 레일(213)은 제1 및 제2 측벽(211,212) 사이에서 제1 및 제2 측벽(211,212)와 나란하게 플레이트(210)의 상부면에 배열되는바, 레일(213)은 상호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 하나 이상의 레일(213)은 인접하게 배치된 2개의 좌측 혹은 우측 격벽(310,320) 사이에 배터리 셀을 수용할 수 있게 배터리 셀의 두께만큼 이격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승강부(200)는 볼트 타입의 높이조절부(110)를 통과시키는 관통부(214)를 플레이트(210)에 형성한다. 따라서, 관통부(214)와 높이조절부(110)를 일직선 상으로 정렬시켜, 높이조절부(110)의 상단부가 관통부(214)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기로, 승강부(200)의 관통부(214)는 그 내주면 둘레에 너트와 유사하게 암나사산을 형성하며, 높이조절부(110)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숫나사산과 나사체결된다.
제1 측벽(211)은 측면 가장자리 일측에 인접하게 수평 장홀(211b)을 형성하는데, 수평 장홀(211b)은 레일(213)의 최상단부보다 높게 배치되도록 한다.
이와 대응되게, 제2 측벽(212)은 측면 가장자리 일측에 인접하게 수평 장홀(212b)를 형성하는데, 이 수평 장홀(212b)도 레일(213)의 최상단보다 높고 수평 장홀(211b)와 동일 높이 혹은 동일 수준(level)으로 배치되는 한편 수평 장홀(211b)와 동일 크기 및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배터리 셀의 폭 두께에 맞춰 고정식 좌측 격벽(310)과 가변식 우측 격벽(320) 간의 이격 거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우측 격벽(320)이 승강부(200)의 레일(213) 상에서 활주가능하도록 안착된다. 즉, 우측 격벽(320)이 레일(213)을 따라 좌우 활주이동을 하여 좌측 격벽(310)과의 폭 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측 격벽(310)은 승강부(200)의 플레이트(210), 구체적으로 레일(213)과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좌측 격벽을 대신하여 우측 격벽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좌측 격벽(310)은 레일(213)과 단일 부품으로 형성되어 상호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도시된 우측 격벽(320)만을 레일(2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활주하여 승강부(200) 상에 탑재될 배터리 셀(미도시)의 폭 크기에 맞춰 우측 격벽(320)과 좌측 격벽(31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우측 격벽(320)은 몸체에 관통공(321)을 형성하고 관통공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하단부에 레일 홈(323)을 형성한다. 관통공(321)은 제1 측벽(211)의 일측 수평 장홀(211b)과 제2 측벽(212)의 일측 수평 장홀(212b)과 동일 높이 혹은 동일 수준으로 형성된다. 덧붙여서, 우측 격벽(320)의 레일 홈(323)은 레일(213) 상에 안착되어, 우측 격벽(320)의 좌우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을 돕는다.
본 발명은 우측 격벽(320)을 레일(213) 상으로 미끄럼이동을 도우면서 승강부(200)와의 분리를 방지하는 우측 바아(420;bar)를 구비한다.
우측 바아(420)는 제1 측벽(211)의 일측 수평 장홀(211b)로부터 다수의 우측 격벽(320)의 관통공(321)을 지나 제2 측벽(212)의 일측 수평 장홀(212b)을 가로질러 배치된다. 물론, 우측 바아(420)의 활주거리는 제1 측벽(211)의 수평 장홀(211b)과 제2 측벽(212)의 수평 장홀(212b)의 크기에 종속된다.
우측 바아(420)는 이의 양 단부에 숫나사산부(421)를 형성하고, 이 우측 바아의 숫나사산부(421)에 나사체결될 너트(422)를 구비한다. 우측 바아(420)는 제1 측벽(211)과 하나 이상의 우측 격벽(320)을 통해 제2 측벽(212)까지 길이연장되는데, 우측 바아(420)를 승강부(200)에서 분리되지 않고 우측 격벽(320)을 고정시키기 위해 너트(422)를 통해 우측 바아(420)의 숫나사산부(421)를 죄인다. 또한, 우측 바아(420)는 2개의 숫나사산부(421)에 인접하게 돌기부(423)를 각각 구비한다. 2개의 돌기부(423)는 제1 측벽(211)과 제2 측벽(212)의 이격 거리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은 거리만큼 떨어져 있어, 우측 바아(420)가 승강부(2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의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우측 격벽(320)을 레일(도 2 참조) 상에서 좌우방향으로 활주이동하여 배터리 셀(C;점선으로 표시됨)의 폭 크기에 맞춰 배터리 셀의 우측에 밀착시켜 배터리 셀(C)을 확실하게 지지보유할 수 있다.
가변식 우측 격벽(320)은 제1 측벽(211)의 일측에 형성된 수평 장홀(211b)의 크기에 상응되어 활주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원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5a는 승강부의 하강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b는 승강부의 상승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높이조절부(110)는 베어링(120)을 매개로 하여 베이스(100)의 상부면에서 축지지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수직방향으로 입설되어 있다. 높이조절부(110)는 승강부(200)의 플레이트(210)의 관통부(214)를 관통해 플레이트(210)의 상부면으로 돌출되도록 길이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높이조절부(110)는 몸체 둘레에 숫사나산부를 형성한 볼트, 예컨대 무두 볼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높이조절부(110)의 상단부에는 홈(112)을 형성한다. 홈(112)은 드라이버 혹은 렌치 등을 수단으로 하여 높이조절부(110)를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특히, 높이조절부(110)의 숫나사산부는 플레이트(210)의 관통부(214)에 나사체결되어 있다. 관통부(214)는 내주면 둘레에 암나사산을 형성하여 높이조절부(110)과 나사체결될 수 있다.
작업자가 볼트 타입의 높이조절부(1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높이조절부(110)가 지속적으로 조여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승강부(200)가 하강하게 된다. 이와 달리, 작업자가 높이조절부(110)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높이조절부(110)가 풀려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승강부(200)는 상승하여 베이스(10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될 수 있게 된다.
덧붙여서, 승강부(200)가 높이조절부(110)의 타방향으로 지속적인 회전을 통해 높이조절부(1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높이조절부(110)의 상단부에 인접하게 축방향과 직교되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113)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스토퍼(113)는 승강부(200)의 상승을 제한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1')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1)에서 좌측 격벽(310)의 장착방식을 제외하고는 매우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명료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 배제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배터리 셀의 폭 크기에 맞춰 가변식 좌측 격벽(310')과 가변식 우측 격벽(320) 간의 이격 거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좌측 격벽(310')과 우측 격벽(320)은 승강부(200)의 레일(213) 상에 활주가능하게 안착된다.
제1 측벽(211)은 측면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타측(좌측) 수평 장홀(211a)과 일측(우측) 수평 장홀(211b)를 형성하는데, 수평 장홀(211a,211b)은 레일(213)의 최상단부보다 높게 배치되도록 한다.
이와 대응되게, 제2 측벽(212)은 측면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타측 수평 장홀(212a)과 일측 수평 장홀(212b)을 형성하는데, 이 수평 장홀(212a,212b)도 레일(213)의 최상단보다 높고 수평 장홀(211a,211b)와 동일 높이 혹은 동일 수준(level)으로 배치되는 한편 수평 장홀(211a,211b)와 동일 크기 및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측 및 우측 격벽(310',320)는 전술되었듯이 레일(213) 상에 안착되고, 레일(213)의 길이방향을 따라 활주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좌측 격벽(310')은 관통공(311)을 형성하고 하단부에 레일 홈(미도시)을 형성하고 있다. 관통공(311)은 제1 측벽(211)의 타측 수평 장홀(211a)과 제2 측벽(212)의 타측 수평 장홀(212a)과 동일 높이 혹은 동일 수준으로 형성된다.
좌측 격벽(310)의 레일 홈(313)은 레일(213) 상에 안착되어, 좌측 격벽(310)의 좌우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을 돕는다.
본 발명은 좌측 및 우측 격벽(310',320)를 레일(213) 상으로 미끄럼이동을 도우면서 승강부(200)와의 분리를 방지하는 좌측 및 우측 바아(410,420)를 구비한다.
좌측 바아(410)는 제1 측벽(211)의 타측 수평 장홀(211a)으로부터 좌측 격벽(310)의 관통공(321)을 지나 제2 측벽(212)의 타측 수평 장홀(212a)을 가로지러 배치된다. 물론, 좌측 바아(410)의 활주이동은 제1 측벽(211)의 타측 수평 장홀(211a)과 제2 측벽(212)의 타측 수평 장홀(212a)의 크기에 종속된다. 우측 바아(420)의 활주이동도 제1 측벽(211)의 일측 수평 장홀(211b)과 제2 측벽(212)의 일측 수평 장홀(212b)의 크기에 종속된다.
좌측 바아(410)는 이의 양 단부에 숫나사산부(411)를 형성하고, 이 좌측 바아의 숫나사산부(411)에 나사체결될 너트(412)를 구비한다. 좌측 바아(41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측벽(211)과 하나 이상의 좌측 격벽(310)을 통해 제2 측벽(212)까지 길이연장되는데, 좌측 바아(410)를 승강부(200)에서 분리되지 않고 좌측 격벽(310')을 안착시키기 위해 너트(412)를 통해 좌측 바아(410)의 숫나사산부(411)를 죄인다. 또한, 좌측 바아(410)는 2개의 숫나사산부(411)에 인접하게 돌기부(413)를 각각 구비한다. 2개의 돌기부(413)는 제1 측벽(211)과 제2 측벽(212)의 이격 거리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은 거리만큼 떨어져 있어, 좌측 바아(420)가 승강부(2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의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승강부(200) 상에 좌우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안착된 가변식 좌측 격벽(310')과 가변식 우측 격벽(320)을 레일(도 2 참조) 상에서 개별적으로 좌우방향으로 활주이동하여 배터리 셀(C;점선으로 표시됨)의 우측과 좌측에 밀착시켜 배터리 셀(C)을 확실하게 지지보유할 수 있다.
좌측 격벽(310')과 우측 격벽(320)은 제1 측벽(211)의 수평 장홀(211a,211b)의 크기에 상응되어 활주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1")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1,1')의 높이 조절방식을 제외하고는 매우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명료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 배제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1,1')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의 상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볼트 타입의 높이조절부(110)를 반시계방향 혹은 시계반향으로 회전시켜 승강부(200)를 상승 및/또는 하강하게 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볼트 타입의 높이조절부(110)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유형의 높이조절부를 채용할 수 있음을 확인시켜줄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1")는 베이스(110) 상에 하나 이상의 블록(130)을 적층시켜 기 설치된 충방전기(미도시)와의 전극 접촉을 가능하도록 승강부(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블록(130)은 전반적으로 속이 비어 있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의 상부에는 수직상방으로 뻗어 있는 볼록부(131)를 형성하고 있다. 이 볼록부(131)는 위에 적층될 블록(130)의 하부에 끼워 넣어져 적층을 돕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1")는 볼록(130)을 사용한 블록 타입의 높이조절부를 갖추고 있다.
덧붙여서, 베이스(110)의 상부면에는 돌출부(111)를 구비한다. 돌출부(111)는 최하단에 배치될 블록(130)의 하부에 끼워 넣어질 수 있다.
또한, 승강부(200)는 블록(130)과 대응되는 위치에 블록(130)의 볼록부(131)를 수용할 수 있는 관통부(214')를 구비한다. 관통부(241')는 최상단에 적층될 블록(130)의 볼록부(131)를 수용하여 승강부(200)를 베이스(100) 상에서 안착될 수 있게 돕는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는 볼트 타입의 높이조절부, 블록 타입의 높이조절부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베이스를 기준으로 하여 승강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1', 1" -----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
100 ----- 베이스,
200 ----- 승강부,
310, 310' ----- 좌측 격벽,
320 ----- 우측 격벽,
410, 420 ----- 바아(bar).

Claims (17)

  1. 하나 이상의 높이조절부를 갖춘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와;
    일측에 수평 장홀을 형성하고 있는 제1 측벽과, 상기 제1 측벽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일측에 수평 장홀을 형성하고 있는 제2 측벽,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단부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부를 갖춘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 상부면에 나란하게 배열된 하나 이상의 레일을 갖는 승강부;
    상기 레일 상에 안착되어 있는 좌측 격벽;
    하단부에 레일 홈과 몸체에 관통공을 갖추고, 상기 좌측 격벽과 서로 대향되게 상기 레일 상에 활주가능하게 안착되어 있는 우측 격벽; 및
    상기 제1 측벽의 일측 수평 장홀과 상기 우측 격벽의 관통공 및 상기 제2측벽의 일측 수평 장홀을 가로지르는 우측 바아;로 이루어져 있는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이의 하단부에 베어링을 갖춰 상기 베이스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이의 외주면에 숫나사산과 상단부에 홈을 형성하는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암나사산을 형성하고 있는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과 제2 측벽의 일측 수평 장홀은 상기 레일의 최상단부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는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과 제2 측벽의 일측 수평 장홀은 상기 우측 격벽의 관통공과 동일 높이에 형성되는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측 바아는 이의 양단부에 숫나사산부를 형성하고 상기 숫나사산부에 인접하게 돌기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우측 바아는 너트를 수단으로 하여 상기 제1 측벽과 제2 측벽에 고정되는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측 격벽은 상기 레일 상에서 활주가능하도록 하단부에 레일 홈과 몸체에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벽과 제2 측벽은 각각 타측에도 수평 장홀을 형성하는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의 타측 수평 장홀과 상기 좌측 격벽의 관통공 및 상기 제2 측벽의 타측 수평 장홀을 가로지르는 좌측 바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바아는 이의 양단부에 숫나사산부를 형성하고 상기 숫나사산부에 인접하게 돌기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바아는 너트를 수단으로 하여 상기 제1 측벽과 제2 측벽에 고정되는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하나 이상의 블록을 적층시켜 이루어진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속이 비어 있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의 상부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이의 상부면에 돌출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과 상기 높이조절부는 일직선 상으로 정렬되는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
KR1020140073661A 2014-06-17 2014-06-17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 KR102091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661A KR102091826B1 (ko) 2014-06-17 2014-06-17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661A KR102091826B1 (ko) 2014-06-17 2014-06-17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608A true KR20150144608A (ko) 2015-12-28
KR102091826B1 KR102091826B1 (ko) 2020-03-20

Family

ID=55084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3661A KR102091826B1 (ko) 2014-06-17 2014-06-17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826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6939A (ko) * 2016-09-05 2018-03-14 주식회사 엘지화학 트레이
WO2019004567A1 (ko) * 2017-06-29 2019-0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품질검사용 지그장치
KR20190008698A (ko) * 2017-07-17 2019-01-2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셀 공용 트레이
CN110474006A (zh) * 2019-09-11 2019-11-19 昆山聚创新能源科技有限公司 软包电池托盘
KR20200006412A (ko) * 2018-07-10 2020-01-20 (주)이티에스 이차전지셀을 위한 셀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셀트레이
WO2020162661A1 (ko) * 2019-02-07 2020-08-13 (주)상아프론테크 카세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
KR20200097178A (ko) * 2019-02-07 2020-08-18 (주)상아프론테크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
KR20200097174A (ko) * 2019-02-07 2020-08-18 (주)상아프론테크 트레이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
KR20200130530A (ko) * 2019-05-08 2020-11-19 주식회사 에스아이티 배터리 운반용 랙
CN111987263A (zh) * 2020-08-31 2020-11-24 湖州快驴科技有限公司 一种固定电芯模组的结构
CN111987262A (zh) * 2020-08-31 2020-11-24 湖州快驴科技有限公司 一种点焊工艺的软包电芯模组
WO2021194236A1 (ko) * 2020-03-26 2021-09-30 (주)에이프로 가압 활성화 장치
KR102351343B1 (ko) * 2021-08-09 2022-01-17 주식회사 에스아이티 배터리 충방전 공정용 트레이
CN114126973A (zh) * 2019-10-11 2022-03-01 株式会社Lg新能源 电池运输设备
EP4016661A4 (en) * 2019-10-08 2022-10-12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TRANSFER DEVICE
KR20230027589A (ko) * 2021-08-19 2023-02-28 주식회사 한일하이테크 배터리 운반 트레이
KR102570025B1 (ko) * 2023-06-01 2023-08-24 주식회사 에스아이티 간격조절이 편리한 배터리셀 운반트레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592B1 (ko) 2020-12-23 2021-10-26 주식회사 비씨시스템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8257A (ko) * 2008-01-14 2009-07-17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에스에스디(ssd) 테스트 핸들러의 테스트 트레이
KR20100044418A (ko) * 2008-10-22 2010-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지셀 장착 장치
KR20110029869A (ko) * 2009-09-16 2011-03-23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Ssd용 운반-시험 겸용 트레이
KR20110091061A (ko) * 2010-02-05 2011-08-11 (주)엠플러스 이차 전지용 소킹 팔레트
JP4890656B1 (ja) * 2011-06-02 2012-03-07 松定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電源素子保持器具及び電源素子保持トレイ
KR101173185B1 (ko) * 2012-05-18 2012-08-10 (주)대흥정밀산업 이차전지용 가압 트레이
KR20120137685A (ko) * 2011-06-13 2012-12-24 안혁 이차전지 검사용 트레이
KR20130123874A (ko) 2012-05-04 2013-11-1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8257A (ko) * 2008-01-14 2009-07-17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에스에스디(ssd) 테스트 핸들러의 테스트 트레이
KR20100044418A (ko) * 2008-10-22 2010-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지셀 장착 장치
KR20110029869A (ko) * 2009-09-16 2011-03-23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Ssd용 운반-시험 겸용 트레이
KR20110091061A (ko) * 2010-02-05 2011-08-11 (주)엠플러스 이차 전지용 소킹 팔레트
JP4890656B1 (ja) * 2011-06-02 2012-03-07 松定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電源素子保持器具及び電源素子保持トレイ
KR20120137685A (ko) * 2011-06-13 2012-12-24 안혁 이차전지 검사용 트레이
KR20130123874A (ko) 2012-05-04 2013-11-1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1173185B1 (ko) * 2012-05-18 2012-08-10 (주)대흥정밀산업 이차전지용 가압 트레이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6939A (ko) * 2016-09-05 2018-03-14 주식회사 엘지화학 트레이
US10957943B2 (en) 2017-06-29 2021-03-23 Lg Chem, Ltd. Jig device for inspecting quality of secondary battery
WO2019004567A1 (ko) * 2017-06-29 2019-0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품질검사용 지그장치
KR20190002180A (ko) * 2017-06-29 2019-01-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품질검사용 지그장치
KR20190008698A (ko) * 2017-07-17 2019-01-2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셀 공용 트레이
KR20200006412A (ko) * 2018-07-10 2020-01-20 (주)이티에스 이차전지셀을 위한 셀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셀트레이
WO2020162661A1 (ko) * 2019-02-07 2020-08-13 (주)상아프론테크 카세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
KR20200097178A (ko) * 2019-02-07 2020-08-18 (주)상아프론테크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
KR20200097174A (ko) * 2019-02-07 2020-08-18 (주)상아프론테크 트레이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
KR20200130530A (ko) * 2019-05-08 2020-11-19 주식회사 에스아이티 배터리 운반용 랙
CN110474006A (zh) * 2019-09-11 2019-11-19 昆山聚创新能源科技有限公司 软包电池托盘
EP4016661A4 (en) * 2019-10-08 2022-10-12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TRANSFER DEVICE
CN114126973A (zh) * 2019-10-11 2022-03-01 株式会社Lg新能源 电池运输设备
EP4032823A4 (en) * 2019-10-11 2022-11-23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TRANSPORT DEVICE
CN114126973B (zh) * 2019-10-11 2023-12-05 株式会社Lg新能源 电池运输设备
WO2021194236A1 (ko) * 2020-03-26 2021-09-30 (주)에이프로 가압 활성화 장치
CN111987262A (zh) * 2020-08-31 2020-11-24 湖州快驴科技有限公司 一种点焊工艺的软包电芯模组
CN111987262B (zh) * 2020-08-31 2022-07-08 湖州快驴科技有限公司 一种点焊工艺的软包电芯模组
CN111987263B (zh) * 2020-08-31 2022-09-20 湖州快驴科技有限公司 一种固定电芯模组的结构
CN111987263A (zh) * 2020-08-31 2020-11-24 湖州快驴科技有限公司 一种固定电芯模组的结构
KR102351343B1 (ko) * 2021-08-09 2022-01-17 주식회사 에스아이티 배터리 충방전 공정용 트레이
KR20230027589A (ko) * 2021-08-19 2023-02-28 주식회사 한일하이테크 배터리 운반 트레이
KR102570025B1 (ko) * 2023-06-01 2023-08-24 주식회사 에스아이티 간격조절이 편리한 배터리셀 운반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1826B1 (ko) 2020-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44608A (ko)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
US9786881B2 (en) Battery pack and power supply unit
US10319968B2 (en) Battery pack
US20120028511A1 (en) Attachment system for lines, in particular for cables for wind turbines
CN110247126B (zh) 混合元件、混合元件的系列和蓄电池
US20180205107A1 (en) Jig having variable structure depending on size of receiving portion of case
NZ525966A (en) Battery cell tray assembly and system
US11050115B2 (en) Tray for accommodating secondary battery
KR102214216B1 (ko) 배터리 운반용 랙
KR20160021347A (ko)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벤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EP2821688A1 (en) Support structure for liquid cargo storage tank
US9595702B2 (en) Battery module
EP2775546A1 (en) Exhaust structure of battery case
EP3806233B1 (en) Pouch forming device
CN100449822C (zh) 蓄电池用液口塞
KR102517397B1 (ko) 이차전지
KR102119110B1 (ko) 2차 전지 셀의 다단 적층 이송용 장치
KR102505151B1 (ko) 이차 전지 포장용 트레이
ES2470040T3 (es) Recipientes para baterías que tienen nervios en las paredes laterales
KR20200070923A (ko) 이차전지 극판 적재 분리형 매거진
US20140262910A1 (en) Multi-level bakery tray
US11545715B2 (en) Reversible battery tray
US20220355968A1 (en) Tray for loading battery cap
US20220140430A1 (en) End plate securing structure and battery device
EP2236368B1 (en) Lift tru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