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4243A - 분말 정량기 - Google Patents

분말 정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4243A
KR20150144243A KR1020140073164A KR20140073164A KR20150144243A KR 20150144243 A KR20150144243 A KR 20150144243A KR 1020140073164 A KR1020140073164 A KR 1020140073164A KR 20140073164 A KR20140073164 A KR 20140073164A KR 20150144243 A KR20150144243 A KR 20150144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ontainer
discharge
quantifier
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3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예진
Original Assignee
손예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예진 filed Critical 손예진
Priority to KR1020140073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4243A/ko
Publication of KR20150144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2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말 정량기 용기에 관한 것으로, 용기를 뒤집어 배출하는 경우 배출구로 흘리는 분말을 억제하고 배출 대기부로 정량의 분말을 이동시키는 데 있으며, 또한, 사용편리성을 도모한 회전통 정량기와 용기 속에 남는 잔류량을 모두 배출하기 위하며 골고루 분산배출이나 직통배출을 도모하기 위한 기술이다.

Description

분말 정량기 { powder quantizer }
본 발명은 분말 용기의 사용편리성을 도모하는 것으로 분말의 흘림을 억제하고 분말의 정량도를 높이며 최종 시에도 잔여 분말이 통속에 남지 않도록 구조적인 개선사항이며, 회전 분말통을 이용한 분말 정량기의 실시와 복수 배출구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사용편리성을 극대화하는 구조기술에 대한 것이다.
분말은 떨어지면서 공기의 저항을 받아 퍼지는 경향이 있는데 분말 정량기에서는 배출 대기부에 도달하기 전에 배출구로 누출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누출은 창과 같은 갓을 만들어 퍼지는 방향 쪽으로 분말이 나기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용기 내 정량기 트랩구는 분말량에 비해 작은 구명이기 때문에 수직으로 세워도 최종적으로 마지막 분말량까지 모두 배출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은 세웠을 경우 깔때기와 같이 윗부분은 넓고 아랫부분은 좁은 구조로 가이드를 만들어 주면 잔류량 없이 배출이 가능하다.
회전통을 이용한 분말 정량기는 뚜껑을 대신하는 구조와 직통과 분산구 등을 복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회전통을 압력으로 눌러 줌으로써 배출구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분말통의 다양한 활용 측면으로 분말 정량기 외에 직접 여러 개의 홀을 이용하여 직통으로 분말을 배출하는 것과 한 개의 홀로 많은 양의 분말을 배출하는 경우를 복합한 한 것으로 한 개의 용기로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키는데 실시하는 기술이다.
분말 정량기에 있어서 트랩구에서 정량화된 분말은 트랩에 갇히게 된다. 갇힌 분말은 손동작 중 이동로를 통해 배출대기부로 이동하는데 사용 중에는 배출대기부에는 열린 뚜껑이 있어서, 분말이 배출대기부 이동 중 배출구로 누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분말이 누출되면 주위를 더럽히거나 분말 정량에 오차를 크게 하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용기 내 분말을 거의 모두 사용하는 경우 잔류 되는 분말은 없어야 한다. 흔들어 최종적인 분말을 사용한다고 해도 구조가 복잡하면 분말에 잔량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분말 정량기의 최종적인 사용 후 용기 내에 분말이 남아 있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즉, 분말 정량기를 세웠을 경우 깔때기와 같이 윗부분은 넓고 아랫부분은 좁은 구조로 가이드를 만들어 주면 구조적인 방법으로 잔류량 없이 배출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분말 정량기를 고정형으로 하는 경우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뚜껑을 설치해야 한다. 뚜껑은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의 탄성을 이용한 방법을 많이 사용하지만 뚜껑을 열기 위해서는 손톱으로 뚜껑을 열거나 도구를 사용해야 하는데 청결과 사고 발생을 염려해야 한다.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뚜껑이 약하게 되어 떨어질 수 있어 견고한 뚜껑구조가 요구되어 진다.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배출구에 접촉 못 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분말 정량기와 직통의 분산구난 한 개 구명을 가지는 직통구를 가지는 경우 분말 정량기와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복수 설치를 도모하는 것이다. 따라서, 분말 정량기를 회전형으로 개량하면 간단한 압력만으로 개폐가 진행될 수 있다.
분말 정량기 용기는 분말의 사용목적에 따라 분말을 분산시키거나 연속하여 많은 양을 사용하는 경우에 분말 정량기에 기능이 추가되도록 해야 한다.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는 우선 뚜껑을 통해 누출되는 분말은 용기를 잡은 손으로 용기를 뒤집는 동작과 용기 내에 들어있는 분말이 이동하는 과정에 안전판이 갓을 만들어주어 배출구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배출 대기부에 쌓이는 동안 배출구로 누출되는 분말은 존재하지 않고 배출 대기부에서 배출구로 쏟아내는 상황에서도 지장을 주지 않는다.
분말 정량기에서 일정기간 사용 후 완전히 분말을 모두 사용하게 되면 용기 내 분말은 없어야 한다. 분말 정량기는 분말의 수평으로 이동을 고려하기 때문에 분말이 용기 내에 남게 되는 구조가 된다. 최종적인 사용 후 용기 내에 분말이 남아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뒤집었을 때 깔때기와 같이 윗부분은 넓고 아랫부분은 좁은 구조에 연결을 가이드로 만들어 주면 용기 내에 분말이 남지 않고 모두 트랩구로 향하게 된다. 즉, 분말의 잔량이 남지 않게 되는 것이다.
회전 분말 정량기를 사용하는 경우, 뚜껑을 여는 경우 손톱 등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뚜껑을 사용하지 않고 회전 레버의 원리를 이용하여 배출구의 개폐를 구현하는 것이다.
또한, 분산구 또는 직통구를 설치하는 방법은 분말 정량기 반대쪽에 사용하지 않는 공간을 이용하여 반대쪽의 손동작을 통한 외부 유출을 도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용기 내에 있는 분말 따위를 배출하는 경우, 흘림을 방지하고 청결한 환경을 만들며 정량화 정도를 높이고 사용 편리성을 도모하는 결과를 가지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갓 설치
도 2는 갓에 의해 분말이 배출 대기부로 이동
도 3은 용기 형태별 분말 정량기 구성
도 4는 분말 집속기가 구성된 분말 정량기
도 5는 회전 분말 정량기
도 6은 회전 분말 정량기의 분말 배출
도 7은 회전 분말 정량기의 동작순서
도 8은 분산구 또는 직통구가 설치된 일반 분말용기
도 9는 본 고안의 분산구 또는 직통구 실시 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으로는 도 1에서 (1)용기 상부에 (7) 뚜껑이 존재하여 분말을 배출하는 분말 보관 통에 적용된다. 본 고안에 (3) 트랩은 (2) 분말이 들어오면 다시 통으로 돌아가지 못하도록 잡아 두는 역할을 한다. (3) 트랩 내에 잡아둔 분말은 용기가 뒤집어 질 때 (4) 이동로를 통하여 (5) 배출 대기부로 이동하게 된다. (5) 배출 대기부는 (7) 뚜껑과 함께 있어서 (1) 용기가 뒤집어 질 때 외부로 분말을 배출하게 된다. (6) 배출구에는 (7) 뚜껑이 있어서 외부로부터 이물질이나 습기 등에 침투를 방지하도록 한다. (2) 분말은 습기를 흡습하면 덩어리가 지기 때문에 습기의 침투를 막아야 한다.
본 발명의 구조에서 (9) 트랩구의 크기는 배출되는 분말량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외부에는 (8) 조절 손잡이가 있어서 좌우로 이동하면 (9) 트랩구의 구멍크기를 조절할 수가 있어서 배출하고자 하는 분말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 (200) 갓을 설치하여 (5) 배출 대기부까지 분말이 이동하는데 (6) 배출구로 분말의 누출을 방지하는데 적용된다. 따라서, (200) 갓의 방향은 (5) 배출 대기부로 향하기 때문에 (200) 갓에 부딪힌 분말들은 모두 (5) 배출 대기부로 향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① ~ ⑧까지 단계적인 정량배출을 보여 주고 있다. ① ~ ②는 (9) 트랩구에서 정해진 분말량이 (3) 트랩으로 이동하는 것이고 ③ ~ ④는 본 고안의 (200) 갓에 의해서 (5) 배출 대기부로 이동하는 그림이다. 이때 (200) 갓이 없는 경우는 (6) 배출구로 분말에 일부분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분말 집속기가 구성된 분말 정량기에 관한 것이다. 도 3에서 (a) 작은 용기의 분말 정량기에 경우는 (9) 트랩구까지 분말을 가져갈 수 있으나 (b) 큰 용기의 분말 정량기에 있어서는 영역” 1”, 영역” 2”에 많은 잔량이 남아 있을 수 있다. 영역” 3”에 경우는 트랩구와 가깝기 때문에 잔량이 발생하지 않지만 영역” 1”,”2”에 경우는 대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준” B” 영역이 기준” A” 영역보다 넓기 때문에 잔량에 대한 대책을 고안한 것이다. 도 4에서는 (300) 분말집속기가 설치된 분말 정량기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을 뒤집었을 때도 4와 같이 되는데 기준” B”가 기준” A”보다 위에 존재하여 넓은 면적을 가지게 된다. 도 4와 같이 4면에 깔때기와 같이 아래로 향하면 영역” 1”, 영역” 2”에는 분말 잔량이 남지 않게 된다.
도 5는 회전 분말 정량기에 실시 예로서 분말 정량기를 고정형으로 하는 경우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7) 뚜껑을 설치해야 한다. (7) 뚜껑은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의 탄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손톱으로 뚜껑을 열거나 도구를 사용해야 하는데 오염과 사고 발생을 염려해야 한다. 또한,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뚜껑이 약하게 되어 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방법은 배출구에 접촉을 못 하게 하는 것으로 압력만으로 도 5에 (6) 배출구를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닫힘을 실행하는 경우도 동일하게 압력만 가하면 (6) 배출구에 오염이나 접촉 없이 (6) 배출구의 닫힘을 실행할 수 있다. 분말 정량만 사용하는 경우는 (701) 직통구를 막고 내부에 (703) 직통 투입구의 배치로 (6) 배출구의 닫힘에도 외부로 (701) 직통구와 같은 열린 부분을 없앨 수 있다. 이것은 회전분말 정량기와 (1) 용기와의 홀(직통 투입구)의 일치와 어긋남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6) 배출구의 닫힘과 동시에 분사구나 직통구를 활용할 수 있다. 도 6은 회전 분말 정량기의 분말 배출을 보여주고 있다.
용기가 뒤집어 질 때 이동로를 통하여 배출 대기부를 통해 외부로 분말을 배출하는 것이다. 회전분말 정량기와 함께 직통의 분산구 또는 한 개 구멍을 가지는 직통구를 가지는 경우 회전분말 정량기와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복수 설치를 도모할 수 있다. 회전형으로 개량하면 간단한 압력만으로 개폐가 진행될 수 있다. 도 7은 용기를 잡은 손동작에 의해 내부에 분말이 외부로 정량화 배출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8은 일반적인 분말용기를 보여주고 있다. 일반적인 분말용기는 한쪽과 반대쪽에 직통구 또는 분산구를 설치하여 용도화 하였다.
본 고안은 분말 정량기가 설치된 분말용기를 다용도로 사용함을 목적으로 일 측면 반대쪽으로 용기를 잡은 손동작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701) 분산구 또는 (702) 직통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700) 분산구 뚜껑이 있어 외부로부터 오염을 방지하도록 한다. (6) 정량 배출구가 위치한 일 측면 반대쪽에 설치하는 (701) 분산구 또는 (702)는 한 개가 존재할 수 있어 두 개 모두가 존재할 수 있다. 사용은 (700)을 이용한 선택으로 구분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1: 용기
2: 분말
3: 트랩
4: 이동로
5: 배출 대기부
6: 배출구
7: 뚜껑
8: 조절 손잡이
9: 트랩구
10: 조절 손잡이
200: 갓
300: 분말 집속기
301: 분말 이동방향
700: 분산구/직통구 뚜껑
701: 분산구
702: 직통구
703: 직통 투입구

Claims (5)

  1. 용기를 손으로 뒤집어 용기 내에 있는 분말을 배출하는 분말 정량장치에 있어서, 용기 내에 분말의 하중이 미치는 일부분에 일정량에 분말을 가두어 두는 트랩이 존재하고 트랩과 이동로 그리고 최종 분말의 배출을 위해 일정량을 모아두는 배출 대비부를 갖추고 있으며 일정량에 정량 분말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장치.
  2. 제1 청구항에 있어서, 분말이 이동로에서 배출 대기부로 이동하는 도중에 배출구로 누출되는 막기 위하거나 또는 정량 정도를 높이기 위해 배출구에 갓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정량장치.
  3. 제1 청구항에 있어서, 완전히 용기 내에 분말을 배출해도 잔여 분말이 남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용기 내를 트랩 쪽으로 깔때기 형태로 만들어 최종적으로 분말의 잔량이 남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정량장치.
  4. 제1 청구항에 있어서, 배출구에 뚜껑을 사용하지 않고 회전 분말 정량기를 사용하여 뚜껑의 오염을 방지하고 장기 사용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또는 트랩구를 분말의 배출을 위한 직통구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또는 회전 분말 정량기와 용기와의 회전각도에 홀간 일치와 어긋남을 이용하여 분말 이동로를 변환시키는 회전 레버의 원리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정량장치.
  5. 제1 청구항에 있어서, 분말 정량기 배출구가 설치된 일 측면 반대쪽으로 분산구 또는 직통구를 한 개 이상 설치하여 다양한 요구에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정량장치.
KR1020140073164A 2014-06-16 2014-06-16 분말 정량기 KR201501442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164A KR20150144243A (ko) 2014-06-16 2014-06-16 분말 정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164A KR20150144243A (ko) 2014-06-16 2014-06-16 분말 정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243A true KR20150144243A (ko) 2015-12-24

Family

ID=55084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3164A KR20150144243A (ko) 2014-06-16 2014-06-16 분말 정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42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2658A (ko) 2020-02-12 2021-08-2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선, 제스쳐, 또는 음성을 이용한 비접촉 무균 조작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2658A (ko) 2020-02-12 2021-08-2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선, 제스쳐, 또는 음성을 이용한 비접촉 무균 조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8988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크림화장품용기
KR20150142616A (ko) 적하 방지 캡을 구비한 용기
KR200473319Y1 (ko) 이액형 액상용액의 혼합이 가능한 용기
KR20150144243A (ko) 분말 정량기
CN102245483A (zh) 用于存储和分配粉末的系统和方法
WO2019101014A1 (zh) 便携式定容奶粉盒
CN108885221A (zh) 自动分析装置
KR20150144242A (ko) 분말 정량기
KR101174388B1 (ko)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US20160288125A1 (en) Closed System Chemical Handling and Delivery System and Method
US9662618B2 (en) Solid product dispenser
CN208531181U (zh) 一种定量防潮罐
JP2004028842A (ja) 粉粒体の計量装置
AU2014374293A1 (en) Solid product dispenser
KR101523932B1 (ko) 양념통
KR200462326Y1 (ko) 정량 토출이 가능한 분말 용기
KR101560310B1 (ko) 내용물 통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JP2016218048A (ja) 試料導入装置
CN105668034B (zh) 精确定量取种瓶盖及取种方法
CN203714858U (zh) 手摇式配料箱
CN205555079U (zh) 精确定量取种瓶盖
KR102261479B1 (ko) 액체 정량 유출용 캡
KR200488556Y1 (ko) 수분 측정 시스템
KR20160060202A (ko) 색조화장류 내용물 자동 배출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CN205483704U (zh) 用于原位检测溪流挥发气体的采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