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4162A - 층간 엘리베이터 운행 구조 및 방법 - Google Patents

층간 엘리베이터 운행 구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4162A
KR20150144162A KR1020140072938A KR20140072938A KR20150144162A KR 20150144162 A KR20150144162 A KR 20150144162A KR 1020140072938 A KR1020140072938 A KR 1020140072938A KR 20140072938 A KR20140072938 A KR 20140072938A KR 20150144162 A KR20150144162 A KR 20150144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inter
floor
walkway
ex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식
Original Assignee
안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태식 filed Critical 안태식
Priority to KR1020140072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4162A/ko
Publication of KR20150144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1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Extraordinary structures, e.g. with suspended or cantilever parts supported by masts or tower-like structures enclosing elevators or stairs;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 엘리베이터 운행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빌딩 내부에 구성되는 비상구의 층간 분기면 상에서 엘리베이터의 정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격층으로 엘리베이터 입출구를 구성하여 격층으로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운행시간을 줄여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빌딩 내부에 구성되는 비상구 상하층 사이의 층간 분기면에 인접하여 상하의 수직으로 형성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비상구 상하층 사이의 층간 분기면에 접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벽면에 형성되어 탑승객의 승하차가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입출구;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입출구 상에 정차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지되 격층으로 정차하는 엘리베이터; 및 층간 분기면으로부터 상하의 경사진 형태로 분기되어 상하층 각각에 연결되는 경사면 구조의 보행로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엘리베이터 승강로 상에서 승강되는 엘리베이터를 격층의 엘리베이터 입출구 상에 정차시키는 방식으로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층간 엘리베이터 운행 구조 및 방법{Elevator service between layers of the structure and method}
본 발명은 층간 엘리베이터 운행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빌딩 내부에 구성되는 비상구의 층간 분기면 상에서 엘리베이터의 정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격층으로 엘리베이터 입출구를 구성하여 격층으로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층간 엘리베이터 운행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또는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사람이나 물건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로, 이러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고층 건물뿐만 아니라 지하철이나 육교 및 지하도와 같은 다양한 시설물에 설치되어 동력을 통해 탑승자나 화물을 보다 용이하게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건축물 내부의 이송로에 설치된 안내레일을 따라 사람이나 화물을 상하로 승강을 통해 이송시킴으로써 고층을 보다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역사는 기원전부터 여러 가지 형태로 시작되었다.
다시 말해서, 깊은 우물에서 물을 퍼 올리기 위해 두레박에 밧줄을 매달아 회전하는 원형바퀴에 걸어 손으로 밧줄을 당김으로써 두레박을 끌어올리거나 무겁고 커다란 석재(石材)를 고정 도르래(풀리)에 밧줄을 묶어 높은 곳으로 끌어올리는 장치 등은 엘리베이터의 원시적 형태로 볼 수 있다.
한편, BC 20년경 아르키메데스가 밧줄과 도르래를 이용한 엘리베이터를 최초로 고안했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나폴레옹은 여왕의 의자에 밧줄을 매달아 상하로 작동시켜 여왕이 계단을 이용하지 않고 건물의 층간(層間)을 이동할 수 있게 했다고 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가 실용화된 것은 19세기에 들어 와서인데, 처음에는 수력이나 수압이 이용되었으며, 단계적으로 증기기관을 거쳐 현재의 전동기(電動機)에 의한 구동방식이 일반화되었다 특히, 전동기에 의한 엘리베이터는 1880년 독일의 지멘스(Giemens AG)가 제작하여 만하임에서 열린 박람회에 출품한 것이 시작이라 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1914년 조선호텔에 설치된 것이 처음이다.
현재, 고층빌딩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대체적으로 빌딩의 각 층에서 승하차가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고층빌딩의 모든 층에 엘리베이터에 오르고 내릴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입출구가 구성되어 승차와 하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모든 층을 운행하는 구조로 구성되기 때문에 승강시 매층마다 탑승객이 오르고 내리다 보면 운행시간이 길어져 장시간 기다려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열리고 닫히는 시간의 지체가 많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모든 층을 운행하는 구조로 구성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를 기다려야 하는 대기시간이 길다는 문제와 함께 엘리베이터의 이동시간이 길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든 층을 운행하는 구조로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모든 층을 운행하여 매층마다 탑승객이 오르고 내리기 때문에 전층 운행에 따른 에너지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든 층을 운행하는 구조로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각각의 모든 층에 정차하는 엘리베이터 구간과 비상구가 별도로 구성되기 때문에 대부분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상하층이 거의 분리된 상태라 할 수 있어 상하층의 교류에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33739호(2014.03.19.자 공개)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46063호(2013.05.07.자 공개)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38579호(2005.04.27.자 공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빌딩 내부에 구성되는 비상구의 층간 분기면 상에서 엘리베이터의 정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격층으로 엘리베이터 입출구를 구성하여 격층으로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운행시간을 줄여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층간 엘리베이터 운행 구조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빌딩 내부에 구성되는 비상구의 층간 분기면 상에서 엘리베이터의 정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격층으로 엘리베이터 입출구를 구성하여 격층으로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운행에 따른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빌딩 내부에 구성되는 비상구의 층간 분기면 상에서 엘리베이터의 정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격층으로 엘리베이터 입출구를 구성하여 격층으로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시 비상구를 통해 상하층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상하층의 교류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빌딩 내부에 구성되는 비상구의 층간 분기면 상에서 엘리베이터의 정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격층으로 엘리베이터 입출구를 구성하여 격층으로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운행 중간층의 공간이나 사무실 공간의 전용면적 증가를 통해 활용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비상구에 형성되는 보행로를 평면형의 완경사로 형성함으로써 화재나 기타 재난 사고시 일반인은 물론 노약자나 장애인의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엘리베이터 운행 구조는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또는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사람이나 물건을 이송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운행 구조에 있어서, 빌딩 내부에 구성되는 비상구 상하층 사이의 층간 분기면에 인접하여 상하의 수직으로 형성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비상구 상하층 사이의 층간 분기면에 접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벽면에 형성되어 탑승객의 승하차가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입출구;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입출구 상에 정차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지되 격층으로 정차하는 엘리베이터; 및 층간 분기면으로부터 상하의 경사진 형태로 분기되어 상하층 각각에 연결되는 경사면 구조의 보행로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엘리베이터는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회로의 설정 변경에 따라 모든 구간의 층간 분기면 상에 구성된 엘리베이터 입출구 각각에 정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보행로는 계단식 보행로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보행로는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이동이 가능한 평면상으로 이루어진 평면식 보행로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인 층간 엘리베이터 운행 방법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또는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사람이나 물건을 이송하기 위한 엘리베이터를 운행하기 위해 방법에 있어서, 빌딩 내부에 구성되는 비상구 상하층 사이의 층간 분기면에 인접하여 상하의 수직으로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구성하되 층간 분기면에 접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벽면에 탑승객의 승하차가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입출구를 구성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 상에서 승강되는 엘리베이터를 격층의 엘리베이터 입출구 상에 정차시키는 방식으로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층간 분기면으로부터 상하의 경사진 형태로 분기되어 상하층 각각에 연결되는 계단식 또는 평면식으로 이루어진 경사면 구조의 보행로를 구성하여 층간 분기면 상의 엘리베이터 입출구로 승하차 하는 탑승객으로 하여금 상시 보행로를 통해 상하층으로 도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빌딩 내부에 구성되는 비상구의 층간 분기면 상에서 엘리베이터의 정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격층으로 엘리베이터 입출구를 구성하여 격층으로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운행시간을 줄여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있다는 효과가 발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빌딩 내부에 구성되는 비상구의 층간 분기면 상에서 엘리베이터의 정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격층으로 엘리베이터 입출구를 구성하여 격층으로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운행에 따른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빌딩 내부에 구성되는 비상구의 층간 분기면 상에서 엘리베이터의 정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격층으로 엘리베이터 입출구를 구성하여 격층으로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시 비상구를 통해 상하층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상하층의 교류를 증가시킬 수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빌딩 내부에 구성되는 비상구의 층간 분기면 상에서 엘리베이터의 정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격층으로 엘리베이터 입출구를 구성하여 격층으로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운행 중간층의 공간이나 사무실 공간의 전용면적 증가를 통해 활용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가 있다.
더구나,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비상구에 형성되는 보행로를 평면형의 완경사로 형성함으로써 화재나 기타 재난 사고시 일반인은 물론 노약자나 장애인의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엘리베이터 운행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보인 빌딩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엘리베이터 운행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보인 다른 구조의 빌딩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엘리베이터 운행 구조 및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엘리베이터 운행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보인 빌딩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엘리베이터 운행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보인 다른 구조의 빌딩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엘리베이터 운행 구조(100)는 빌딩(10)의 비상구(30)측에 인접한 엘리베이터 승강로(110)를 구성하여 엘리베이터(130)를 통해 빌딩(10) 내의 상하층으로 이동시 상시 비상구(30)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130)의 승하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130)를 통해 빌딩(10) 내의 상하층으로 이동시 상시 비상구(30)를 이용한 승하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엘리베이터 운행 구조(10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빌딩(10) 내부의 사무실 공간(20)과는 별도로 분리 구성되는 비상구(30) 상하층 사이의 층간 분기면(32)에 인접하여 상하의 수직으로 형성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110), 비상구(30) 상하층 사이의 층간 분기면(32)에 접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110) 벽면에 형성되어 탑승객의 승하차가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입출구(120), 엘리베이터 승강로(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입출구(120) 상에 정차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지되 격층으로 정차하는 엘리베이터(130) 및 층간 분기면(32)으로부터 상하의 경사진 형태로 분기되어 상하층 각각에 연결되는 경사면 구조의 보행로(14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엘리베이터 운행 구조(10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빌딩(10) 내의 비상구(30)에 인접하여 엘리베이터(130)의 승강이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승강로(110)를 구성하여 엘리베이터(130)를 통해 빌딩(10) 내의 상하층으로 이동시 상시 비상구(30)를 통해 엘리베이터(130)의 승하차가 이루어진 다음 보행로(140)를 통해 도보로 상층이나 하층의 사무실 공간(20)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엘리베이터 운행 구조(100)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사무실 공간(20)의 층간 중심에 해당하는 비상구(30)의 층간 분기면(32) 각각의 엘리베이터 승강로(110) 벽면에 엘리베이터(130)의 승하차가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입출구(120)를 형성하게 되면 빌딩(10) 전체 층수에 비해 하나가 적은 엘리베이터 입출구(1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빌딩(10) 전체 층수에 비해 하나가 적은 엘리베이터 입출구(120)를 형성하여 각각의 엘리베이터 입출구(120)에 엘리베이터(130)의 정차가 모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면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엘리베이터 입출구(120) 상에 엘리베이터(130)의 정차시 격층으로 정차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인 대기시간이나 운행시간이 긴 문제점과 에너지 비효율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엘리베이터 운행 구조(100)에 있어 엘리베이터(130)의 운행시 필요에 따라 모든 엘리베이터 입출구(120) 상에 정차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엘리베이터(130)를 격층의 엘리베이터 입출구(120)에 정차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엘리베이터(130)의 운행시간과 대기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점이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양호하다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130)를 격층의 엘리베이터 입출구(120)에 정차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은 도 1 및 도 2 에서와 같이 지하 2층에 지상 15층의 빌딩(10)을 기준으로 살펴볼 때 엘리베이터 입출구(120)는 총 16개로 형성할 수 있지만, 엘리베이터(130)를 격층으로 정차되도록 구성하게 되면 8개 구간의 엘리베이터 입출구(120)에서만 엘리베이터(130)를 정차시킬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엘리베이터 운행 구조(100)에서 엘리베이터 입출구(120)는 모든 층간에 설치되지만 입출이 가장 많은 지상 1층과 2층의 층간에 설치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지상 3층과 4층의 층간, 지상 5층과 6층의 층간, 지상 7층과 8층의 층간, 지상 9층과 10층의 층간, 지상 11층과 12층의 층간, 지상 13층과 14층의 층간 및 지하 1층과 지하 2층의 층간에 구성된 격층의 엘리베이터 입출구(120)에서만 엘리베이터(130)의 정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지상 2층과 3층의 층간, 지상 4층과 5층의 층간, 지상 6층과 7층의 층간, 지상 8층과 9층의 층간, 지상 10층과 11층의 층간, 지상 12층과 13층의 층간 및 지상 1층과 지하 1층의 층간에 구성된 엘리베이터 입출구(120)는 엘리베이터(130)의 정차가 이루어지지 않고 그냥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지상 3층과 4층의 층간, 지상 5층과 6층의 층간, 지상 7층과 8층의 층간, 지상 9층과 10층의 층간, 지상 11층과 12층의 층간, 지상 13층과 14층의 층간 및 지하 1층과 지하 2층의 층간에 구성된 격층의 엘리베이터 입출구(120)에서만 엘리베이터(130)의 정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하차하는 탑승객은 비상구(30)의 승하차가 이루어지는 층간에서 상하층으로 구성되는 경사면 형태의 보행로(140)를 통해 상하층으로 이동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격층의 엘리베이터 입출구(120)에서만 엘리베이터(130)의 정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상하층으로 이동시 보행로(140)를 통해 도보로 상하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목적하고자 하는 상하층의 교류를 보다 원활하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엘리베이터 운행 구조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110)는 탑승객이나 화물을 상하층으로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130)의 승강이 이루어지는 구간으로, 이러한 엘리베이터 승강로(11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빌딩(10) 내부에 사무실 공간(20)과는 별도로 분리 구성되는 비상구(30) 상하층 사이의 층간 분기면(32)에 인접하여 상하의 수직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승강로(110)를 빌딩(10) 내부에 사무실 공간(20)과는 별도로 분리 구성되는 비상구(30) 상하층 사이의 층간 분기면(32)에 인접하여 구성함으로써 엘리베이터(130)를 이용하여 상하층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탑승객은 상기 비상구(30)를 통해 엘리베이터(130)를 승하차 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 승강로(110)는 빌딩(10) 내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측면형 설계 구조 또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중앙형 설계 구조로 구성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엘리베이터 입출구(120)는 탑승객의 승하차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엘리베이터 입출구(12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구(30) 상하층 사이의 층간 분기면(32)에 접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110) 벽면에 형성되어 탑승객의 승하차가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입출구(120)는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사무실 공간(20)의 층간 중심에 해당하는 비상구(30)의 층간 분기면(32) 각각의 엘리베이터 승강로(110) 벽면에 엘리베이터(130)의 승하차가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입출구(120)를 전부 구성할 수가 있다.
다만,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층간 분기면(32) 각각의 엘리베이터 승강로(110) 벽면에 엘리베이터(130)의 승하차가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입출구(120)를 전부 구성하게 되면 빌딩(10) 전체 층수에 비해 하나가 적은 엘리베이터 입출구(120)가 구성되기 때문에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과 크게 다르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엘리베이터 입출구(120) 상에 엘리베이터(130)의 정차시 격층으로 정차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엘리베이터(130)의 정차가 이루어지는 격층의 엘리베이터 입출구(120) 만이 도어가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필요에 따라 엘리베이터(130)는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회로의 설정 변경을 통해 모든 구간의 층간 분기면(32) 상에 구성된 엘리베이터 입출구(120) 각각에 정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면 모든 엘리베이터 입출구(120)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엘리베이터(130)는 탑승객이나 화물을 상하층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엘리베이터(13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승강로(11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입출구(120) 상에 정차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지되 격층으로 정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엘리베이터(130)는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모든 구간의 층간 분기면(32) 상에 구성된 엘리베이터 입출구(120) 각각에 정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대기시간이나 운행시간 및 에너지 효율에 대한 문제점으로부터 시작한 본 발명의 기술이 목적하는 바를 실현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입출구(120) 상에 엘리베이터(130)의 정차시 격층으로 정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입출구(120) 상에 엘리베이터(130)의 정차시 격층으로 정차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면 안전을 위해 엘리베이터(130)의 정차가 이루어지는 격층의 엘리베이터 입출구(120) 만이 도어가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엘리베이터(130)의 정차가 이루어지지 않는 구간의 엘리베이터 입출구(120) 도어는 상시 폐쇄되어 있어야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보행로(140)는 엘리베이터(130)에 탑승하고자 하는 탑승객이나 엘리베이터(130)로부터 하차하고자 하는 탑승객이 비상구(30)의 층간 분기면(32)으로부터 상하층으로 도보를 통해 이동하고자 하는 통로로, 이러한 보행로(14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 분기면(32)으로부터 상하의 경사진 형태로 분기되어 상하층 각각에 연결되는 경사면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보행로(140)는 계단식 보행로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이동이 가능한 평면상으로 이루어진 평면식 보행로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빌딩(10) 내부에 구성되는 비상구(30) 상하층 사이의 층간 분기면(32)에 인접하여 상하의 수직으로 엘리베이터 승강로(110)를 구성하되 층간 분기면(32)에 접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110) 벽면에 탑승객의 승하차가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입출구(120)를 구성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승강로(110) 상에서 승강되는 엘리베이터(130)를 격층의 엘리베이터 입출구(120) 상에 정차시키는 방식으로 엘리베이터(130)의 운행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엘리베이터 승강로(110) 상에서 승강되는 엘리베이터(130)를 격층의 엘리베이터 입출구(120) 상에 정차시키는 방식으로 엘리베이터(130)의 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130) 대기시간이나 운행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어 보다 많은 수의 탑승객이나 물동량을 이동시킬 수가 있게 되어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층간 분기면(32)으로부터 상하의 경사진 형태로 분기되어 상하층 각각에 연결되는 계단식 또는 평면식으로 이루어진 경사면 구조의 보행로(140)를 구성함으로써 층간 분기면(32) 상의 엘리베이터 입출구(120)로 승하차 하는 탑승객으로 하여금 상시 보행로(140)를 통해 상하층으로 도보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상하층 상호간의 교류를 증대시킬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엘리베이터(130)의 운행을 비상구(30)와 연계시켜 운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하층 간의 상호 교류가 증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 엘리베이터(130)의 비운행 중간층의 공간과 사무실 공간의 전용면적 증가를 통해 활용면적을 증대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러한 활용면적의 증대는 체력단련실, 탈의실, 휴계실, 독서실, 대기실, 놀이실 및 음악 감상실 등으로 활용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엘리베이터(130)의 운행에 따른 대기시간이나 운행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많은 수의 탑승객이나 물동량을 이동시킬 수가 있어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 빌딩 20. 사무실 공간
30. 비상구 32. 층간 분기면
100. 층간 엘리베이터 운행 구조 110. 엘리베이터 승강로
120. 엘리베이터 입출구 130. 엘리베이터
140. 보행로

Claims (6)

  1.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또는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사람이나 물건을 이송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운행 구조에 있어서,
    빌딩 내부에 구성되는 비상구 상하층 사이의 층간 분기면에 인접하여 상하의 수직으로 형성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상기 비상구 상하층 사이의 층간 분기면에 접하는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 벽면에 형성되어 탑승객의 승하차가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입출구;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입출구 상에 정차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지되 격층으로 정차하는 엘리베이터; 및
    상기 층간 분기면으로부터 상하의 경사진 형태로 분기되어 상하층 각각에 연결되는 경사면 구조의 보행로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엘리베이터 운행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는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회로의 설정 변경에 따라 모든 구간의 상기 층간 분기면 상에 구성된 상기 엘리베이터 입출구 각각에 정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엘리베이터 운행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로는 계단식 보행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엘리베이터 운행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로는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이동이 가능한 평면상으로 이루어진 평면식 보행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엘리베이터 운행 구조.
  5.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또는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사람이나 물건을 이송하기 위한 엘리베이터를 운행하기 위해 방법에 있어서,
    빌딩 내부에 구성되는 비상구 상하층 사이의 층간 분기면에 인접하여 상하의 수직으로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구성하되 상기 층간 분기면에 접하는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 벽면에 탑승객의 승하차가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입출구를 구성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 상에서 승강되는 상기 엘리베이터를 격층의 상기 엘리베이터 입출구 상에 정차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엘리베이터를 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엘리베이터 운행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분기면으로부터 상하의 경사진 형태로 분기되어 상하층 각각에 연결되는 계단식 또는 평면식으로 이루어진 경사면 구조의 보행로를 구성하여 상기 층간 분기면 상의 상기 엘리베이터 입출구로 승하차 하는 탑승객으로 하여금 상시 상기 보행로를 통해 상하층으로 도보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엘리베이터 운행 방법.
KR1020140072938A 2014-06-16 2014-06-16 층간 엘리베이터 운행 구조 및 방법 KR201501441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938A KR20150144162A (ko) 2014-06-16 2014-06-16 층간 엘리베이터 운행 구조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938A KR20150144162A (ko) 2014-06-16 2014-06-16 층간 엘리베이터 운행 구조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162A true KR20150144162A (ko) 2015-12-24

Family

ID=55084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938A KR20150144162A (ko) 2014-06-16 2014-06-16 층간 엘리베이터 운행 구조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416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8579A (ko) 2001-10-29 2005-04-27 코네 코퍼레이션 엘리베이터 시스템
KR20130046063A (ko) 2011-10-27 2013-05-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대기승객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 방법
KR20140033739A (ko) 2012-09-10 2014-03-19 롯데정보통신 주식회사 운행 효율을 높이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8579A (ko) 2001-10-29 2005-04-27 코네 코퍼레이션 엘리베이터 시스템
KR20130046063A (ko) 2011-10-27 2013-05-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대기승객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 방법
KR20140033739A (ko) 2012-09-10 2014-03-19 롯데정보통신 주식회사 운행 효율을 높이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036537A (ja) 個々に移動可能なエレベータケージを有するエレベータ設備、およびそのようなエレベータ設備の動作方法
CN106414297B (zh) 使用电梯系统的方法以及电梯系统
KR20150144162A (ko) 층간 엘리베이터 운행 구조 및 방법
JP6071160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102408053B (zh) 多层升降机
KR101108095B1 (ko) 초고층 건물용 승강장치
KR20190108528A (ko)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
CN108249256B (zh) 一种循环电梯
CN209082856U (zh) 旧楼加装电梯逃生通道
KR101445225B1 (ko) 경성 레일 코어 이용 다방향, 다중 이송 유닛 및 시스템
JP5280955B2 (ja) 中高層建築物用エレベータ
CN210313041U (zh) 一种用于老楼改造的电梯
JP2006027808A (ja) エレベータ装置
CN211169413U (zh) 双层节能电梯
KR20170038472A (ko) 순환식 엘리베이터 운행 시스템 및 방법
CN212478638U (zh) 一种平层入户式旧楼加装电梯结构
Bhatia Building elevator systems
CN112678650A (zh) 双层节能电梯
KR101805984B1 (ko) 숙박시설용 건축구조물
CN112469655B (zh) 多轿厢电梯系统和建筑结构物
CN113666221A (zh) 一种楼道间微型电梯方案
CN108083070A (zh) 楼道电动扶梯
JP2010126277A (ja) エレベータのドア敷居照明装置
JP2011057445A (ja) ダブルカゴエレベータ装置
RU69508U1 (ru) Винтовой эскала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