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2799A - 광 케이블 피복 탈피 장치 - Google Patents

광 케이블 피복 탈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2799A
KR20150142799A KR1020140070969A KR20140070969A KR20150142799A KR 20150142799 A KR20150142799 A KR 20150142799A KR 1020140070969 A KR1020140070969 A KR 1020140070969A KR 20140070969 A KR20140070969 A KR 20140070969A KR 20150142799 A KR20150142799 A KR 20150142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cable
hole
cutting
cut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중
한종수
김근환
박종태
이준열
Original Assignee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0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2799A/ko
Publication of KR20150142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7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45Removing protective coverings of light guides befor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케이블 피복 탈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몸체, 상기 몸체에 배치되어 있는 탈피부 및 상기 탈피부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몸체의 일면에서 기설정된 길이로 돌출된 탈피 측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 케이블 피복 탈피 장치{Buffer Stripping Apparatus for Optical Cable}
본 발명은 광 케이블 피복 탈피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점퍼코드는 생산공장에서 광 케이블과 완전히 조립되는 제품인 반면,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는 생산 공장에서 광 케이블과 조립되지 않고 현장에서 바로 광 케이블과 조립되며 작업자의 숙련도 등의 상황에 따라 광 커넥터의 성능이 달라질 수 있다.
광 케이블의 피복을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에서 요구하는 길이로 정확하게 탈피 및 절단한 후 노출된 광섬유를 광 커넥터에 연결해야 그 성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다.
그러므로 광 케이블의 피복 탈피길이가 매우 중요하다. 피복 탈피 길이가 짧으면 광손실이 발생하여 통신 장애가 발생하고, 탈피 길이가 긴 경우 현장조립형 광 커넥터의 내부면과 광 케이블의 피복간의 접촉면이 적어져 인장력 약화로 통신 장애가 발생한다. 즉 광 케이블의 탈피 길이에 따라 광 특성 불량 및 기계적 특성 불량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위 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품 포장지에 광 케이블의 피복 탈피길이를 표시하고, 표시에 맞춰 피복에 탈피 부분을 표시한 후 표시된 부분을 탈피하였다. 특히 공간 등의 환경이 열악하거나 전주에서 작업 시 피복에 표시를 한 후 탈피하는 작업에 큰 어려움이 있었다.
특허공개 제10-1995-0038338호 (1995.10.31)
본 발명은 현장에서 광커넥터에 결합되는 광 케이블의 피복에 탈피부분을 표시하고, 정확하게 탈피하여 광섬유를 노출시키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피복 탈피 장치는 몸체, 상기 몸체에 배치되어 있는 탈피부 및 상기 탈피부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몸체의 일면에서 기설정된 길이로 돌출된 탈피 측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는, 일측이 서로 힌지 연결되어 있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위치한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에서 서로 마주보게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 시 접할 수 있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피부는, 상기 제1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절단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절단부재와 마주하는 제2 절단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절단부재와 상기 제2 절단부재가 겹치는 부분에는 케이블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블홀의 둘레면에는 칼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가 닿음으로 인해 상기 제1 및 제2 절단부재의 케이블홀이 완전하게 겹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절단부재는 상기 제1 부재에 분리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절단부재의 일측과 타측에는 직경이 다른 상기 케이블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탈피 장치는, 제1 부재 및 광 케이블이 놓이는 케이블홀이 형성된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일측은 서로 힌지 연결되어 있는 몸체, 상기 제1 부재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상기 광 케이블의 피복에 소정의 표시를 하는 적어도 하나의 탈피부 및 상기 몸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탈피부의 칼날이 상기 케이블홀에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 부재에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일단이 상기 제2 부재에 접할 수 있는 조절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조절부재의 이동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피부는 상기 제1 부재에서 제2 부재를 향해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2 부재에는 상기 케이블홀과 연결된 삽입홀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탈피부는 상기 삽입홀 및 상기 케이블홀에 삽입되면서 상기 광 케이블의 피복에 소정의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탈피 장치는 힌지 연결된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제1 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부재를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탈피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피부는 상기 제1 부재 내부에서 고정핀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2 부재에는 광 케이블이 놓일 수 있는 케이블홀과, 상기 케이블홀과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탈피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유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탈피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삽입홀 및 상기 케이블홀에 삽입되면서 상기 광케이블에 소정의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현장에서 광커넥터와 광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 광 케이블의 피복을 탈피하여 광섬유를 노출시키게 되는데, 이때 광 케이블을 탈피 측정부의 길이에 맞추어 탈피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 절단부재와 제2 절단부재를 이용하여 피복에 탈피 부분을 표시할 수 있다. 탈피 표시 부분을 기준으로 피복을 탈피하므로 종래와 같이 현장에서 제품 포장지에 표시된 탈피 길이에 맞추어 광 케이블에 피복할 부분을 펜으로 표시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환경이 열악한 현장에서도 피복 탈피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 케이블 제조 시 규격에 맞게 피복에 탈피 표시부가 형성되므로 피복을 규격에 맞게 정확하게 탈피하여 광섬유를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광섬유와 광커넥터의 연결이 불량 없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피복 탈피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몸체 일측을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광케이블을 절개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피복 탈피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광 케이블 피복 탈피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몸체에 광 케이블이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Ⅶ-Ⅶ선을 따라 광 케이블 피복 탈피 장치를 자른 단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한 Ⅷ-Ⅷ선을 따라 광 케이블 피복 탈피 장치를 자른 단면도.
도 9는 도 6에 도시한 Ⅸ-Ⅸ 선을 따라 광 케이블 피복 탈피 장치를 자른 단면도.
도 10은 도 4에 도시한 케이블홀에 보조 수용부가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피복 탈피 장치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피복 탈피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몸체 일측을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피복 탈피 장치(1)는 몸체(10), 탈피부(30) 및 탈피 측정부(50)를 포함한다.
몸체(10)는 제1 부재(11), 제2 부재(12), 스토퍼(113, 122) 및 탄성부재(40)를 포함한다.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는 대칭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엇갈려 있는 상태에서 일측이 힌지(20) 연결되어 있다. 힌지(20)는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의 회전 중심이 된다.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는 회전방향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다.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의 타측에는 손잡이(111, 121)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재(11)에는 장착홀(1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장착홀(112)은 제2 부재(12)에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홀(112)의 둘레면에는 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13, 122)는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서로 마주한다.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스토퍼(113, 122)는 서로 닿을 수 있다. 스토퍼(113, 122)가 닿게 되면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다.
탄성부재(40)는 코일스프링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 사이에 위치한다. 탄성부재(40)는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가 서로 멀어지도록 탄성력을 부여한다. 도 1에서 탄성부재(40)가 스토퍼(113, 122)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탄성부재(40)는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에 결합될 수 있다.
탈피부(30)는 제1 절단부재(31) 및 제2 절단부재(32)를 포함하며, 제1 절단부재(31)는 제1 부재(11)에 분리할 수 있도록 나사 결합되어 있고, 제2 절단부재(32)도 제2 부재(12)에 분리할 수 있도록 나사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제2 절단부재(32)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절단부재(31)와 제2 절단부재(32)는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1 절단부재(31)와 제2 절단부재(32)의 일측은 겹칠 수 있다.
제1 절단부재(31)와 제2 절단부재(32)의 일측에는 각각 광 케이블(3)이 위치하는 반원 형태의 케이블홀(33)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절단부재(31)와 제2 절단부재가 겹칠 때 케이블홀(33)의 둘레면은 광 케이블(3)의 외부둘레면에 접할 수 있다. 케이블홀(33)의 둘레면에는 광 케이블(3)을 가압하여 소정의 표시를 하는 칼날(311, 321)이 형성되어 있다. 칼날(311, 321)에 의해 광 케이블(3)에는 소정의 절단 표식이 표시되거나 또는 광 케이블(3)의 피복이 절개될 수 있다.
제1 절단부재(31)의 타측에는 일측에 형성된 케이블홀(33)과 직경이 다른 케이블홀(33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광 케이블(3)의 크기에 따라 제1 절단부재(31)의결합 위치를 변경하여 광 케이블(3)에 소정의 표시를 할 수 있다.
제2 절단부재(32)의 타측에도 일측에 형성된 케이블홀(33)과 직경이 케이블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위 설명과 도면에서 제1 절단부재(31)와 제2 절단부재(32)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에 장착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에 칼날을 가지는 케이블홀이 직접 형성될 수 있다.
탈피 측정부(50)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제1 부재(11)의 장착홀(112)에 나사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탈피 측정부(50)는 광 케이블(3)의 탈피 규격에 따라 교체할 수 있다. 장착홀(112)에 나사가 생략된 경우 탈피 측정부(50)는 장착홀(112)에 억지 끼움 방식이나 볼트너트 결합방식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탈피 측정부(50)의 길이는 광 케이블(3)이 연결되는 광커넥터(도시하지 않음)의 규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탈피 측정부(50)의 외부 둘레면에 광 케이블(3)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눈금(51)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눈금(51)은 생략될 수 있다.
다음은 도 1 및 도 3을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광 케이블 피복 탈피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의 a)는 케이블홀에 광 케이블이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의 b)는 탈피부에 의해 광 케이블이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피복(3b)의 탈피할 길에 맞게 탈피 측정부(50)를 장착홀(112)에 결합한다. 케이블홀(33)에 광 케이블(3)을 위치시키고, 광 케이블(3)의 끝을 탈피 측정부(50)의 끝과 일치시킨다.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의 손잡이(111, 121)를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탄성부재(40)는 압축되고,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는 힌지(20)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 절단부재(31)와 제2 절단부재(32)가 겹쳐져 케이블홀(33)의 칼날(311, 321)은 광 케이블(3)의 피복을 가압하게 된다. 이에 피복은 절개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113, 122)가 서로 닿게 되면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는 더 이상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이에 칼날(311, 321)은 광 케이블(3)의 피복을 더 이상 가압하지 않는다. 이에 광 케이블(3)의 피복 내의 광섬유는 칼날(311, 321)과 접촉되지 않는다.
손잡이(111, 121)를 놓으면 압축된 탄성부재(40)의 탄성력이 복원되어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는 힌지(20)를 기준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겹쳐있던 제1 절단부재(31)와 제2 절단부재(32)의 겹쳐짐은 작아질 수 있다. 이에 케이블홀(33)의 칼날(311, 321)은 광 케이블(3)의 피복에서 떨어질 수 있다. 광 케이블(3)의 피복이 절개된 상태에서 피복의 끝을 당기면 절개된 피복은 탈피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탈피 측정부(50)의 길이에 맞추어 광 케이블(3)을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 사이에 위치시켜 피복을 절단하고 절단된 부분을 탈피함으로써, 현장에서 피복 탈피가 용이하며 탈피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복 절단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피복 탈피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광 케이블 피복 탈피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몸체에 광 케이블이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피복 탈피 장치(2)는 몸체(10), 탈피부(30) 및 조절부(60)를 포함하며, 광 케이블(3)의 피복에 탈피할 위치를 표시한다.
몸체(10)는 소정의 넓이를 가지는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를 포함하며, 제1 부재(11)의 하면과 제2 부재(12)의 상면은 서로 접할 수 있다.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의 일측은 힌지(20) 연결되어 있다.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는 힌지(20)를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제1 부재(11)의 하면과 제2 부재(12)의 상면은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다.
제1 부재(11)에는 배치홀(114a, 114b)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배치홀(114a, 114b)은 제1 부재(1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치홀(114a, 114b)은 5mm 내지 50mm 간격(L)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재(11)의 양측에는 배치홀(114a, 114b)과 연결된 핀홀(115)이 형성되어 있다. 핀홀(115)은 제1 부재(1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재(11)에는 내부를 상하 관통한 승강홀(116)과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관통되어 승강홀(116)과 연결된 조절홀(117)이 형성되어 있다(도 7 참조).
제2 부재(12)의 상면에는 길이방향(B)을 따라 광 케이블(3)이 놓이는 케이블홀(123)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부재(12)의 상면에는 케이블홀(123)과 수직하게 연결된 삽입홀(124a, 124b)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재(11)의 하면과 제2 부재(12)의 상면이 서로 가까워질 때 삽입홀(124a, 124b)과 배치홀(114a, 114b)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광 케이블(3)의 직경이 케이블홀(123)의 직경보다 작으면 광 케이블(3)이 케이블홀(123) 내에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케이블홀(123)에는 광 케이블(3)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보조 수용부(70)가 배치될 수 있다. 보조 수용부(70)에는 광 케이블(3)이 위치할 수 있는 보조 수용홀(71)이 형성되어 있으며 보조 수용부(70)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보조 수용부(70)의 탄성력에 의해 광 케이블(3)은 보조 수용홀(71) 내에서 탄력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도 10 참조).
탈피부(30)는 제1 절단부재(31), 제2 절단부재(32) 및 고정핀(34)을 포함한다. 제1 절단부재(31)와 제2 절단부재(32)는 각각 배치홀(114a, 114b)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절단부재(31)와 제2 절단부재(32)의 간격은 탈피할 광 케이블(3)의 피복 길이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배치홀(114a, 114b)의 간격 또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절단부재(31, 32)가 배치홀(114a, 114b)에 장착될 때 적어도 일부분은 제1 부재(12)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및 제2 절단부재(31, 32)의 돌출된 부분에는 칼날(311, 321)이 형성되어 있다. 칼날(311, 321)은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가 가까워질 때 케이블홀(123) 및 삽입홀(124a, 124b)에 삽입될 수 있으며 광 케이블(3)의 피복에 접할 수 있다(도 8 참조).
칼날(311, 321)은 피복(3b)을 절개하여 소정의 탈피 위치를 표시 하거나 피복(3b)을 절개할 수 있다. 피복의 절개 정도는 칼날(311, 321)이 제1 부재(11)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케이블홀(123) 및 삽입홀(124a, 124b)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도 9 참조).
위 설명과 도면에서 탈피부(30)의 제1 절단부재(31)와 제2 절단부재(32)의 개수가 2개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제1 절단부재(31)와 제2 절단부재(32)의 개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절단부재의 간격은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거나 서로 다른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절단부재의 개수에 따라 배치홀 및 삽입홀의 개수 또한 달라질 수 있다.
고정핀(34)은 핀홀(115)에 삽입되어 제1 절단부재(31), 제2 절단부재(32)를 관통한다. 고정핀(34)에 의해 제1 절단부재(31) 및 제2 절단부재(32)를 제1 부재(11)에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제1 절단부재(31)와 제2 절단부재(32)가 평행을 유지하도록 고정핀(34)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제1 및 제2 절단부재(31, 32)를 제1 부재(11)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위 설명과 도면에서 제1 절단부재(31)와 제2 절단부재(32)가 배치홀(114a, 114b)에 배치되어 고정핀(34)에 의해 고정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절단부재(31)와 제2 절단부재(32)는 제1 부재(11) 내에서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홀(124a, 124b)에도 광케이블(3)의 피복을 절개하는 칼날(도시하지 않음)을 가지는 탈피부(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
조절부(60)는 승강부재(61) 및 고정부재(62)를 포함하며, 광 케이블(3)의 직경에 따라 제1 부재(11)의 하면과 제2 부재(12)의 상면의 간격을 조절하여 칼날(311, 321)이 케이블홀(123) 및 삽입홀(124a, 124b)에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한다.
승강부재(61)는 승강홀(116)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이 제1 부재(11)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광 케이블(3)의 직경에 따라 승강부재(61)의 돌출 정도를 조절하여 칼날(311, 321)이 케이블홀(123) 및 삽입홀(124a, 124b)에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한다.
승강부재(61)의 일측은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가 가까워질 때 제2 부재(12)의 상면에 접할 수 있다. 승강부재(61)의 일측이 제2 부재(12)에 접하면 제1 부재(11) 하면과 제2 부재(12)의 상면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한다.
승강부재(61)가 제1 부재(11)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길수록 제1 부재(11)의 하면과 제2 부재(12)의 상면은 멀어져 칼날(311, 321)이 삽입홀(124a, 124b)에 삽입되는 정도가 적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 승강부재(61)를 원기둥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외부둘레면에 나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승강부재(61)는 승강홀(116)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재(62)는 무두볼트로 형성되어 조절홀(117)에 체결되어 승강부재(61)에 접할 수 있다. 고정부재(62)는 승강부재(61)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고정부재(62)가 접하지 않은 승강부재(61)는 승강홀(116)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승강부재(61)가 제1 부재(11)에 나사 결합되면 고정부재(62)는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조절부(60)는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위에서 설명한 광 케이블 피복 탈피 장치(2)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가 벌어진 상태에서, 케이블홀(123)에 광 케이블(3)을 위치시키고,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를 힌지(20)를 기준으로 회전시켜, 제1 부재(11)의 하면과 제2 부재(12)의 상면이 가까워지도록 한다. 이때 칼날(311, 321)은 케이블홀(123)과 삽입홀(124a, 124b)에 삽입되면서 광 케이블(3)의 피복에 접할 수 있다.
칼날(311, 321)이 피복에 접한 상태에서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를 더욱 가압하면 칼날(311, 312)은 피복(3b)을 가압하게 되고, 피복(3b)은 절개되어 탈피 위치를 나타내는 소정의 표식이 표시된다. 광 케이블(3)의 끝부분과 소정의 표시 사이의 피복을 제거함으로써, 현장에서 피복 탈피가 용이하며 탈피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광 케이블(3)을 케이블홀(123)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를 누르게 되면 칼날(311, 321)이 광 케이블(3)의 피복을 절개하여 피복에 탈피할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현장에서 소정의 표시를 기준으로 피복을 탈피하면 되므로 종래와 같이 현장에서 제품 포장지에 표시된 광 케이블의 피복 탈피길이에 맞추어 펜으로 피복에 탈피 길이를 표시하는 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 아울러, 광 케이블(3)의 피복에 소정의 표시가 형성되므로 표시 후 광 케이블(3)의 피복을 바로 탈피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광 케이블 피복 탈피 장치 10: 몸체
11: 제1 부재 11a: 일면
12: 제2 부재 111, 121: 손잡이
112: 장착홀 113, 122: 스토퍼
114a, 114b: 배치홀 115: 핀홀
116: 승강홀 117: 조절홀
124a, 124b: 삽입홀 20: 힌지
30: 탈피부 31: 제1 절단부재
32: 제2 절단부재 311, 321: 칼날
33, 123: 케이블홀 34: 고정핀
40: 탄성부재 50: 탈피 측정부
60: 조절부 61: 승강부재
62: 고정부재

Claims (8)

  1. 몸체,
    상기 몸체에 배치되어 있는 탈피부 및
    상기 탈피부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몸체의 일면에서 기설정된 길이로 돌출된 탈피 측정부
    를 포함하는 광 케이블 피복 탈피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몸체는
    일측이 서로 힌지 연결되어 있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위치한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에서 서로 마주보게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 시 닿을 수 있는 스토퍼
    를 포함하는
    광 케이블 피복 탈피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탈피부는,
    상기 제1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절단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절단부재와 마주하는 제2 절단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절단부재와 상기 제2 절단부재에는 케이블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블홀의 둘레면에는 칼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가 닿음으로 인해 상기 제1 절단부재 및 제2 절단부재의 케이블홀이 완전하게 겹치지 않는
    광 케이블 피복 탈피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제1 절단부재는 상기 제1 부재에 분리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절단부재의 일측과 타측에는 직경이 다른 상기 케이블홀이 형성되어 있는 광 케이블 피복 탈피 장치.
  5. 제1 부재 및 광 케이블이 놓이는 케이블홀이 형성된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일측은 서로 힌지 연결되어 있는 몸체,
    상기 제1 부재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상기 광 케이블의 피복에 소정의 표시를 하는 적어도 하나의 탈피부 및
    상기 몸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탈피부의 칼날이 상기 케이블홀에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부
    를 포함하는 광 케이블 피복 탈피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 부재에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일단이 상기 제2 부재에 접할 수 있는 조절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조절부재의 이동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광 케이블 피복 탈피 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탈피부는 상기 제1 부재에서 제2 부재를 향해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2 부재에는 상기 케이블홀과 연결된 삽입홀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탈피부는 상기 삽입홀 및 상기 케이블홀에 삽입되면서 상기 광 케이블의 피복에 소정의 표시를 하는 광 케이블 피복 탈피 장치.
  8. 힌지 연결된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제1 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부재를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탈피부
    를 포함하고,
    상기 탈피부는 상기 제1 부재 내부에서 고정핀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2 부재에는 광 케이블이 놓일 수 있는 케이블홀과, 상기 케이블홀과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탈피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유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탈피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삽입홀 및 상기 케이블홀에 삽입되면서 상기 광케이블에 소정의 표시를 하는 광 케이블 피복 탈피 장치.
KR1020140070969A 2014-06-11 2014-06-11 광 케이블 피복 탈피 장치 KR201501427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969A KR20150142799A (ko) 2014-06-11 2014-06-11 광 케이블 피복 탈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969A KR20150142799A (ko) 2014-06-11 2014-06-11 광 케이블 피복 탈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799A true KR20150142799A (ko) 2015-12-23

Family

ID=55082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969A KR20150142799A (ko) 2014-06-11 2014-06-11 광 케이블 피복 탈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279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023B1 (ko) 2016-03-31 2016-09-22 주식회사 비아이티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
KR101690238B1 (ko) 2016-09-02 2016-12-27 정병권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
KR20190006811A (ko) 2017-07-11 2019-01-21 주식회사 성무이엔지 케이블 피복 자동 탈피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023B1 (ko) 2016-03-31 2016-09-22 주식회사 비아이티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
KR101690238B1 (ko) 2016-09-02 2016-12-27 정병권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
KR20190006811A (ko) 2017-07-11 2019-01-21 주식회사 성무이엔지 케이블 피복 자동 탈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59373B (zh) 包覆去除刀、去除刀单元以及光纤包覆去除装置
KR20150142799A (ko) 광 케이블 피복 탈피 장치
CN102713704A (zh) 光纤连接端接系统的光纤连接器
JP2008542841A (ja) 被覆除去性能を向上させるアライメント維持特徴部を備えた被覆除去器具
KR20140004960U (ko) 광섬유 케이블 스트리퍼
NO341080B1 (no) Kappeinnretning for optiske fibre
KR20140088090A (ko) 핫멜트 커넥터 스트리핑 커팅 툴
JP2013195840A (ja) 光ファイバ切断・被覆材除去装置及び光ファイバ切断・被覆材除去方法
US9748747B2 (en) Disposable optical fiber coating removal tool
JP4300230B2 (ja) 光ケーブル分割工具
US20160181773A1 (en) Stripping tool for round cables with thin insulation
KR20110003997A (ko) 사각 광섬유케이블 스트리퍼
CN205027929U (zh) 光纤剥离设备
CN210379745U (zh) 一种电缆剥线装置
KR20110037534A (ko) 광섬유 케이블 탈피 및 절단 장치
KR20180127016A (ko) 전선 피복의 부분 탈피장치
CN107490826B (zh) 一种自承式蝶形引入光缆用开剥钳
JP4441706B2 (ja) ケーブル類用工具装置
JP3106886U (ja)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加工工具
CN112447337B (zh) 电缆剥皮装置及基于其的电缆剥皮方法
KR102101231B1 (ko) 전선이음 커넥터 가압용 공구
JP2017112715A (ja) 外装チューブ切込冶具
WO2022050240A1 (ja) 剥離用工具
JP4311562B2 (ja) 光ケーブル用張力保護線剥取工具
JPS63206705A (ja) 多心光フアイバ心線の個別分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