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1898A -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1898A
KR20150141898A KR1020150081160A KR20150081160A KR20150141898A KR 20150141898 A KR20150141898 A KR 20150141898A KR 1020150081160 A KR1020150081160 A KR 1020150081160A KR 20150081160 A KR20150081160 A KR 20150081160A KR 20150141898 A KR20150141898 A KR 20150141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attern
unit
wire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야또 구라사와
고지 이시자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ublication of KR20150141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8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일 실시 형태의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가 배열된 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영역과 평행한 검출면에 배치된 도전성의 세선편으로 구성되는 전극 패턴을 갖는 상기 검출면에의 물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전극을 구비한다. 상기 전극 패턴은, 3개의 상기 세선편의 단부가 접속되는 접속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SENSOR-EQUIPPED DISPLAY DEVICE}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4년 6월 10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2014-119630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체의 접촉 혹은 접근을 검출하는 센서('터치 패널'이라 불리는 경우도 있음)를 구비한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가 실용화되고 있다. 센서의 일례로서, 유전체를 개재하여 마주하는 검출 전극과 구동 전극 사이의 용량 변화에 기초하여 물체의 접촉 등을 검출하는 정전 용량형 센서가 있다.
표시 영역에서 물체의 접촉 등을 검출하기 위해서, 검출 전극 및 구동 전극은, 표시 영역과 겹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된 검출 전극 및 구동 전극이 표시 영역에 포함되는 화소와 간섭하여, 소위 무아레(moire)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무아레의 발생을 방지 내지는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표시 장치의 기본 구성 및 등가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표시 장치의 부화소의 등가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표시 장치의 일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상기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센서에 의한 센싱의 원리(상호 용량 검출 방식)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센서에 의한 센싱의 원리(자기 용량 검출 방식)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센서에 의한 센싱의 원리(자기 용량 검출 방식)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상기 자기 용량 검출 방식에 있어서의 센서의 구동 방법의 구체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센서의 검출 전극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표시 영역에 배치된 단위 화소 및 전극 패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표시 영역에 배치된 단위 화소 및 전극 패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극 패턴을 구성하는 단위 패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극 패턴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전극 패턴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전극 패턴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7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전극 패턴에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8은,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전극 패턴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9는,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전극 패턴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0은,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전극 패턴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1은,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전극 패턴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2는,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전극 패턴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3은, 변형예 1에 따른 표시 영역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4는, 변형예 2에 따른 표시 영역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일반적으로,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가 배열된 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영역과 평행한 검출면에 배치된 도전성의 세선편으로 구성되는 전극 패턴을 갖는 상기 검출면에의 물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전극을 구비한다. 상기 전극 패턴은, 3개의 상기 세선편의 단부가 접속되는 접속점을 포함한다.
몇 가지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개시는 어디까지나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에 있어서, 발명의 주지를 유지한 적절한 변경으로서 용이하게 상도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는,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도면은 설명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실제의 형태에 비해 각 부의 폭, 두께, 형상 등에 대하여 모식적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있지만,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본 발명의 해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와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표시 장치가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 장치는,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표시 장치 등의 자발광형 표시 장치, 혹은 전기 영동 소자 등을 갖는 전자 페이퍼형 표시 장치 등, 각종 플랫 패널형 표시 장치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기, 휴대 전화 단말기, 노트북 타입의 퍼스널 컴퓨터, 게임 기기 등의 다양한 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 DSP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패널 PNL, 액정 표시 패널 PNL을 구동하는 구동 IC 칩 IC1, 정전 용량형 센서 SE, 센서 SE를 구동하는 구동 IC 칩 IC2, 액정 표시 패널 PNL을 조명하는 백라이트 유닛 BL, 제어 모듈 CM, 플렉시블 배선 기판 FPC1, FPC2, FPC3 등을 구비한다.
액정 표시 패널 PNL은, 제1 기판 SUB1과, 제1 기판 SUB1에 대향 배치된 제2 기판 SUB2와, 제1 기판 SUB1과 제2 기판 SUB2의 사이에 끼움 지지된 액정층(후술하는 액정층 LQ)을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기판 SUB1을 어레이 기판으로, 제2 기판 SUB2를 대향 기판으로, 각각 바꿔 말할 수 있다. 액정 표시 패널 PNL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액티브 에리어) DA를 구비한다. 이 액정 표시 패널 PNL은, 백라이트 유닛 BL로부터의 백라이트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투과 표시 기능을 구비한 투과형이다. 액정 표시 패널 PNL은, 투과 표시 기능 외에, 외광을 선택적으로 반사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반사 표시 기능을 구비한 반투과형이어도 된다.
백라이트 유닛 BL은, 제1 기판 SUB1의 배면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백라이트 유닛 BL로서는,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LED)를 이용한 것 등 다양한 형태가 적용 가능하다. 액정 표시 패널 PNL이 반사 표시 기능만을 구비한 반사형인 경우, 액정 표시 장치 DSP는 백라이트 유닛 BL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센서 SE는, 복수의 검출 전극 Rx를 구비한다. 이들 검출 전극 Rx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패널 PNL의 표시면의 상방에 있어서, 표시면과 평행한 검출면(X-Y 평면)에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각 검출 전극 Rx는, 대략 X 방향으로 연장되고, Y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검출 전극 Rx는, Y 방향으로 연장되고 X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어도 되며, 섬 형상으로 형성되고 X 방향 및 Y 방향으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X 방향 및 Y 방향은, 서로 직교하고 있다.
구동 IC 칩 IC1은, 액정 표시 패널 PNL의 제1 기판 SUB1 위에 탑재되어 있다. 플렉시블 배선 기판 FPC1은, 액정 표시 패널 PNL과 제어 모듈 CM을 접속하고 있다. 플렉시블 배선 기판 FPC2는, 센서 SE의 검출 전극 Rx와 제어 모듈 CM을 접속하고 있다. 구동 IC 칩 IC2는, 플렉시블 배선 기판 FPC2 위에 탑재되어 있다. 플렉시블 배선 기판 FPC3은, 백라이트 유닛 BL과 제어 모듈 CM을 접속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액정 표시 장치 DSP의 기본 구성 및 등가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액정 표시 장치 DSP는, 액정 표시 패널 PNL 등 외에, 표시 영역 DA의 외측의 비표시 영역 NDA에 있어서, 소스선 구동 회로 SD, 게이트선 구동 회로 GD, 공통 전극 구동 회로 CD 등을 구비한다.
액정 표시 패널 PNL은, 표시 영역 DA에 있어서, 복수의 부화소 SPX를 구비한다. 복수의 부화소 SPX는, X 방향 및 Y 방향을 따라 i×j(i, j는 양의 정수)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설치된다. 각 부화소 SPX는, 예를 들어 적색, 녹색, 청색, 백색 등의 색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각각 서로 다른 색에 대응하는 복수의 부화소 SPX에 의해, 컬러 화상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인 단위 화소 PX가 구성된다. 또한, 액정 표시 패널 PNL은, 표시 영역 DA에 있어서, j개의 게이트선 G(G1∼Gj), i개의 소스선 S(S1∼Si), 공통 전극 CE 등을 구비한다.
게이트선 G는, X 방향으로 대략 직선적으로 연장되고, 표시 영역 DA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게이트선 구동 회로 GD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게이트선 G는, Y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소스선 S는, Y 방향으로 대략 직선적으로 연장되고, 표시 영역 DA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소스선 구동 회로 SD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소스선 S는, X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게이트선 G와 교차하고 있다. 게이트선 G 및 소스선 S는, 반드시 직선적으로 연장되지 않아도 되며, 그들의 일부가 굴곡하고 있어도 된다. 공통 전극 CE는, 표시 영역 DA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공통 전극 구동 회로 CD에 접속되어 있다. 이 공통 전극 CE는, 복수의 부화소 SPX에서 공용된다. 공통 전극 CE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부화소 SPX의 등가 회로도이다. 각 부화소 SPX는, 스위칭 소자 PSW, 화소 전극 PE, 공통 전극 CE, 액정층 LQ 등을 구비한다. 스위칭 소자 PSW는, 예를 들어 박막 트랜지스터로 형성되어 있다. 스위칭 소자 PSW는, 게이트선 G 및 소스선 S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스위칭 소자 PSW는, 톱 게이트형 혹은 보텀 게이트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스위칭 소자 PSW의 반도체층은, 예를 들어 폴리실리콘에 의해 형성되지만, 아몰퍼스 실리콘이나 산화물 반도체 등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화소 전극 PE는, 스위칭 소자 PSW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화소 전극 PE는, 공통 전극 CE와 대향하고 있다. 공통 전극 CE 및 화소 전극 PE는, 유지 용량 CS를 형성한다.
도 4는, 액정 표시 장치 DSP의 일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액정 표시 장치 DSP는, 전술한 액정 표시 패널 PNL 및 백라이트 유닛 BL 외에, 제1 광학 소자 OD1 및 제2 광학 소자 OD2 등도 구비한다. 도시한 액정 표시 패널 PNL은, 표시 모드로서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에 대응한 구성을 갖고 있지만, 다른 표시 모드에 대응한 구성을 갖고 있어도 된다.
액정 표시 패널 PNL은, 제1 기판 SUB1, 제2 기판 SUB2, 및 액정층 LQ를 구비한다. 제1 기판 SUB1과 제2 기판 SUB2는 소정의 셀 갭을 형성한 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액정층 LQ는, 제1 기판 SUB1과 제2 기판 SUB2 사이의 셀 갭에 형성되는 공간에 유지되어 있다.
제1 기판 SUB1은, 유리 기판이나 수지 기판 등의 광 투과성을 갖는 제1 절연 기판(10)을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기판 SUB1은, 제1 절연 기판(10)의 면 중 제2 기판 SUB2에 대향하는 면에, 소스선 S, 공통 전극 CE, 화소 전극 PE, 제1 절연막(11), 제2 절연막(12), 제3 절연막(13), 제1 배향막 AL1 등을 구비한다.
제1 절연막(11)은, 제1 절연 기판(10)의 위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히 설명하지 않지만, 제1 절연 기판(10)과 제1 절연막(11)의 사이에는, 게이트선 G,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전극 및 반도체층 등이 배치되어 있다. 소스선 S는, 제1 절연막(11)의 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위칭 소자 PSW의 소스 전극이나 드레인 전극 등도 제1 절연막(11)의 위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절연막(12)은, 소스선 S 및 제1 절연막(11)의 위에 배치되어 있다. 공통 전극 CE는, 제2 절연막(12)의 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공통 전극 CE는, 인듐 주석 산화물(lndium Tin Oxide: ITO)이나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IZO) 등의 투명한 도전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공통 전극 CE 위에 금속층 ML이 형성되고, 공통 전극 CE를 저저항화하고 있지만, 금속층 ML은 생략하여도 된다.
제3 절연막(13)은, 공통 전극 CE 및 제2 절연막(12)의 위에 배치되어 있다. 화소 전극 PE는, 제3 절연막(13)의 위에 형성되어 있다. 각 화소 전극 PE는, 인접하는 소스선 S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고, 공통 전극 CE와 대향하고 있다. 또한, 각 화소 전극 PE는, 공통 전극 CE와 대향하는 위치에 슬릿 SL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화소 전극 PE는, 예를 들어 ITO나 IZO 등의 투명한 도전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 배향막 AL1은, 화소 전극 PE 및 제3 절연막(13)을 덮고 있다.
한편, 제2 기판 SUB2는, 유리 기판이나 수지 기판 등의 광 투과성을 갖는 제2 절연 기판(20)을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 기판 SUB2는, 제2 절연 기판(20)의 제1 기판 SUB1에 대향하는 측에, 블랙 매트릭스 BM, 컬러 필터 CFR, CFG, CFB, 오버코트층 OC, 제2 배향막 AL2 등을 구비한다.
블랙 매트릭스 BM은, 제2 절연 기판(20)의 내면에 형성되고, 각 부화소 SPX를 구획하고 있다.
컬러 필터 CFR, CFG, CFB는, 각각 제2 절연 기판(20)의 내면에 형성되고, 그들의 일부가 블랙 매트릭스 BM에 겹쳐 있다. 컬러 필터 CFR은, 적색의 부화소 SPXR에 배치된 적색 컬러 필터이며, 적색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컬러 필터 CFG는, 녹색의 부화소 SPXG에 배치된 녹색 컬러 필터이며, 녹색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컬러 필터 CFB는, 청색의 부화소 SPXB에 배치된 청색 컬러 필터이며, 청색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는, 단위 화소 PX가 적색, 녹색, 청색에 각각 대응하는 부화소 SPXR, SPXG, SPX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단, 단위 화소 PX는, 상기의 3개의 부화소 SPXR, SPXG, SPXB의 조합에 의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위 화소 PX는, 부화소 SPXR, SPXG, SPXB에 백색의 부화소 SPXW를 부가한 4개의 부화소 SPX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백색 혹은 투명한 컬러 필터가 부화소 SPXW에 배치되어도 되고, 부화소 SPXW의 컬러 필터 그 자체를 생략하여도 된다. 또는, 백색 대신에 다른 색, 예를 들어 황색의 부화소를 배치하여도 된다.
오버코트층 OC는, 컬러 필터 CFR, CFG, CFB를 덮고 있다. 오버코트층 OC는, 투명한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2 배향막 AL2는, 오버코트층 OC를 덮고 있다.
검출 전극 Rx는, 제2 절연 기판(20)의 외면측에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의 검출면은, 제2 절연 기판(20)의 외면측에 위치한다. 이 검출 전극 Rx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 및 도 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검출 전극 Rx 및 공통 전극 CE는, 표시 영역 DA의 법선 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되고, 제3 절연막(13), 제1 배향막 AL1, 액정층 LQ, 제2 배향막 AL2, 오버코트층 OC, 컬러 필터 CFR, CFG, CFB, 제2 절연 기판(20)과 같은 유전체를 사이에 두고 대향한다.
제1 광학 소자 OD1은, 제1 절연 기판(10)과 백라이트 유닛 BL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광학 소자 OD2는, 검출 전극 Rx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광학 소자 OD1 및 제2 광학 소자 OD2는, 각각 적어도 편광판을 포함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위상차판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 DSP에 탑재되는 정전 용량형 센서 SE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센서 SE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센서 SE는, 제1 기판 SUB1의 공통 전극 CE 및 제2 기판 SUB2의 검출 전극 Rx에 의해 구성된다. 즉, 공통 전극 CE는, 표시용 전극으로서 기능함과 함께, 센서 구동용 전극으로서도 기능한다.
액정 표시 패널 PNL은, 상기의 공통 전극 CE 및 검출 전극 Rx 외에, 리드선 L을 구비한다. 공통 전극 CE 및 검출 전극 Rx는, 표시 영역 DA에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공통 전극 CE는, 복수의 분할 전극 C를 구비한다. 각 분할 전극 C는, 표시 영역 DA에 있어서 Y 방향에 대략 직선적으로 연장됨과 함께, X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검출 전극 Rx는, 표시 영역 DA에 있어서 X 방향으로 대략 직선적으로 연장됨과 함께, Y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즉, 여기에서는, 검출 전극 Rx는, 분할 전극 C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들 분할 전극 C 및 검출 전극 Rx는, 상기와 같이, 각종 유전체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FFS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 DSP에 있어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구동 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액정층 LQ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오프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오프 상태는, 화소 전극 PE와 공통 전극 CE의 사이에 전위차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 상당한다. 이와 같은 오프 상태에서는, 액정층 LQ에 포함되는 액정 분자는, 제1 배향막 AL1 및 제2 배향막 AL2의 배향 규제력에 의해 X-Y 평면 내에서 일 방향으로 초기 배향하고 있다. 백라이트 유닛 BL로부터의 백라이트 광의 일부는, 제1 광학 소자 OD1의 편광판을 투과하고, 액정 표시 패널 PNL에 입사한다. 액정 표시 패널 PNL에 입사한 광은, 편광판의 흡수축과 직교하는 직선 편광이다. 이와 같은 직선 편광의 편광 상태는, 오프 상태의 액정 표시 패널 PNL을 통과했을 때 거의 변화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액정 표시 패널 PNL을 투과한 직선 편광의 대부분이, 제2 광학 소자 OD2의 편광판에 의해 흡수된다 (흑표시).
계속해서, 액정층 LQ에 전압이 인가된 온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온 상태는, 화소 전극 PE와 공통 전극 CE의 사이에 전위차가 형성된 상태에 상당한다. 즉, 공통 전극 CE에 코먼 구동 신호가 공급되고, 이에 의해 공통 전극 CE가 코먼 전위로 설정된다. 또한, 화소 전극 PE에 코먼 전위에 대하여 전위차를 형성하는 영상 신호가 공급된다. 이들에 의해, 온 상태에서는, 화소 전극 PE와 공통 전극 CE의 사이에 프린지 전계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온 상태에서는, 액정 분자는, X-Y 평면 내에서, 초기 배향 방향과는 다른 방위로 배향된다. 온 상태에서는, 제1 광학 소자 OD1의 편광판의 흡수축과 직교하는 직선 편광은, 액정 표시 패널 PNL에 입사하고, 그 편광 상태는, 액정층 LQ를 통과할 때 액정 분자의 배향 상태에 따라서 변화한다. 이로 인해, 온 상태에 있어서는, 액정층 LQ를 통과한 적어도 일부의 광은, 제2 광학 소자 OD2의 편광판을 투과한다(백표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노멀리 블랙 모드가 실현된다.
분할 전극 C의 개수나 사이즈,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분할 전극 C는, Y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X 방향으로 대략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나아가, 공통 전극 CE는, 분할되지 않고, 표시 영역 DA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형성된 단수 개의 평판 전극이어도 된다.
검출 전극 Rx가 배치되는 검출면 내에서, 인접하는 검출 전극 Rx의 사이에는, 더미 전극 DR이 배치되어 있다. 더미 전극 DR은, 검출 전극 Rx와 동일하게, X 방향으로 대략 직선적으로 연장된다. 이와 같은 더미 전극 DR은, 리드선 L 등의 배선에는 접속되지 않고, 전기적으로 플로팅 상태에 있다. 더미 전극 DR은, 물체의 접촉 혹은 접근의 검출에는 기여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더미 전극 DR은, 물체를 검출한다는 관점에서는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더미 전극 DR을 설치하지 않으면, 액정 표시 패널 PNL의 화면이 광학적으로 불균일해질 우려가 있다. 그로 인해, 더미 전극 DR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드선 L은, 비표시 영역 NDA에 배치되고, 검출 전극 Rx와 일대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리드선 L의 각각은, 검출 전극 Rx로부터의 센서 출력값을 출력한다. 리드선 L은, 예를 들어 검출 전극 Rx와 마찬가지로, 제2 기판 SUB2에 배치되어 있다.
액정 표시 장치 DSP는, 또한 비표시 영역 NDA에 배치된 공통 전극 구동 회로 CD를 구비한다. 분할 전극 C의 각각은, 공통 전극 구동 회로 CD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공통 전극 구동 회로 CD는, 분할 전극 C에 대하여, 각 부화소 SPX를 구동하기 위한 코먼 구동 신호(제1 구동 신호), 및 센서 SE를 구동하기 위한 센서 구동 신호(제2 구동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예를 들어 공통 전극 구동 회로 CD는, 표시 영역 DA에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구동 시에 코먼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검출면에의 물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검출하는 센싱 구동 시에 센서 구동 신호를 공급한다.
플렉시블 배선 기판 FPC2는, 리드선 L의 각각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검출 회로 RC는, 예를 들어 구동 IC 칩 IC2에 내장되어 있다. 이 검출 회로 RC는, 검출 전극 Rx로부터의 센서 출력값에 기초하여, 액정 표시 장치 DSP에의 물체의 접촉 혹은 접근을 검출한다. 또한, 검출 회로 RC는, 물체가 접촉 혹은 접근한 개소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검출 회로 RC는, 제어 모듈 CM에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액정 표시 장치 DSP가 물체의 접촉 혹은 접근을 검출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분할 전극 C와 검출 전극 Rx의 사이에는, 용량 Cc가 존재한다. 공통 전극 구동 회로 CD는, 분할 전극 C의 각각에 소정의 주기로 펄스 형상의 센서 구동 신호 Vw를 공급한다. 도 6의 예에서는, 이용자의 손가락이 특정한 검출 전극 Rx와 분할 전극 C가 교차하는 위치에 근접하여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검출 전극 Rx에 근접하고 있는 이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용량 Cx가 발생한다. 분할 전극 C에 펄스 형상의 센서 구동 신호 Vw가 공급되었을 때, 특정한 검출 전극 Rx로부터는, 다른 검출 전극으로부터 얻어지는 펄스보다도 레벨이 낮은 펄스 형상의 센서 출력값 Vr이 얻어진다. 이 센서 출력값 Vr은, 리드선 L을 개재하여 검출 회로 RC에 공급된다.
검출 회로 RC는, 센서 구동 신호 Vw가 분할 전극 C에 공급되는 타이밍과, 각 검출 전극 Rx로부터의 센서 출력값 Vr에 기초하여, X-Y 평면(검출면) 내에서의 손가락의 2차원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또한, 용량 Cx는, 손가락이 검출 전극 Rx에 가까운 경우와, 먼 경우에서 서로 다르다. 이로 인해, 센서 출력값 Vr의 레벨도 손가락이 검출 전극 Rx에 가까운 경우와, 먼 경우에서 서로 다르다. 따라서, 검출 회로 RC는, 센서 출력값 Vr의 레벨에 기초하여, 센서 SE에 대한 손가락의 근접도(센서 SE의 법선 방향의 거리)를 검출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센서 SE의 검출 방식은, 예를 들어 상호 용량(Mutual-Capacitive) 방식 또는 상호 용량 검출(Mutual-Capacitive Sensing) 방식 등이라 불린다. 센서 SE의 검출 방식은, 이 상호 용량 검출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식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센서 SE는, 이하에 설명하는 검출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검출 방식은, 예를 들어 자기 용량(Self-Capacitive) 방식, 또는 자기 용량 검출(Self-Capacitive Sensing) 방식 등이라 불린다.
도 7 및 도 8은, 자기 용량 검출 방식에 있어서, 액정 표시 장치 DSP가 물체의 접촉 혹은 접근을 검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검출 전극 Rx는, 섬 형상으로 형성되고, 표시 영역 DA에 있어서 X 방향 및 Y 방향으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리드선 L의 일단부는, 검출 전극 Rx와 일대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리드선 L의 타단부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예와 동일하게, 검출 회로 RC가 내장된 구동 IC 칩 IC2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배선 기판 FPC2에 접속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의 예에서는, 이용자의 손가락이 특정한 검출 전극 Rx에 근접하여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검출 전극 Rx에 근접하고 있는 이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용량 Cx가 발생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 회로 RC는, 검출 전극 Rx의 각각에 소정의 주기로 펄스 형상의 센서 구동 신호 Vw(구동 전압)를 공급한다. 이 센서 구동 신호 Vw에 의해, 검출 전극 Rx 자체가 갖는 용량이 충전된다.
센서 구동 신호 Vw를 공급한 후,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 회로 RC는, 검출 전극 Rx의 각각으로부터 센서 출력값 Vr을 판독한다. 이 센서 출력값 Vr은, 예를 들어 검출 전극 Rx 자체의 용량에 축적된 전하량에 상당한다. 이와 같은 센서 출력값 Vr은, X-Y 평면(검출면) 내에 배열된 각 검출 전극 Rx 중, 손가락과의 사이의 용량 Cx가 발생하고 있는 검출 전극 Rx와, 그 밖의 검출 전극 Rx에서 서로 다른 값으로 된다. 따라서, 검출 회로 RC는, 각 검출 전극 Rx의 센서 출력값 Vr에 기초하여, X-Y 평면 내에서의 손가락의 2차원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자기 용량 검출 방식에 있어서의 센서 SE의 구동 방법의 구체예에 대해,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도면의 예에 있어서는, 1 프레임(1F) 기간 중 표시 동작 기간 Pd에 행해지는 표시 동작과, 표시 동작 기간 Pd로부터 벗어난 검출 동작 기간 Ps에 행해지는 입력 위치 정보의 검출 동작이 반복하여 행해진다. 검출 동작 기간 Ps는, 예를 들어 표시 동작이 휴지되는 블랭킹 기간이다.
표시 동작 기간 Pd에 있어서는, 게이트선 구동 회로 GD가 게이트선 G에 제어 신호를 공급하고, 소스선 구동 회로 SD가 소스선 S에 영상 신호 Vsig를 공급하고, 공통 전극 구동 회로 CD가 공통 전극 CE(분할 전극 C)에 코먼 구동 신호 Vcom(코먼 전압)을 공급하여, 액정 표시 패널 PNL이 구동된다.
검출 동작 기간 Ps에는, 액정 표시 패널 PNL에의 제어 신호, 영상 신호 Vsig 및 코먼 구동 신호 Vcom의 입력이 휴지되고, 센서 SE가 구동된다. 센서 SE를 구동 할 때, 검출 회로 RC가 검출 전극 Rx에 센서 구동 신호 Vw를 공급하고, 검출 전극 Rx에 발생한 정전 용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센서 출력값 Vr을 판독하고, 센서 출력값 Vr에 기초하여 입력 위치 정보를 연산한다. 이 검출 동작 기간 Ps에 있어서, 공통 전극 구동 회로 CD는, 검출 전극 Rx에 공급하는 센서 구동 신호 Vw와 동일 파형을 갖는 전위 조정 신호 Va를 센서 구동 신호 Vw와 동기하여 공통 전극 CE에 공급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동일 파형이란, 센서 구동 신호 Vw와 전위 조정 신호 Va가, 위상, 진폭 및 주기에 관하여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전위 조정 신호 Va를 공통 전극 CE에 공급함으로써, 검출 전극 Rx와 공통 전극 CE 사이의 부유 용량(기생 용량)이 제거되어, 정확한 입력 위치 정보의 연산이 가능해진다.
도 10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검출 전극 Rx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의 예에 있어서는, 검출 전극 Rx1, Rx2, Rx3이 Y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검출 전극 Rx1은, 리드선 L1을 개재하여 패드 PD1과 접속되어 있다. 검출 전극 Rx2는, 리드선 L2를 개재하여 패드 PD2와 접속되어 있다. 검출 전극 Rx3은, 패드 PD3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패드 PD1∼PD3은, 플렉시블 배선 기판 FPC2에 접속되어 있다. 검출 전극 Rx1∼Rx3은, 예를 들어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된 세선편(후술하는 세선편 T)을 메쉬 형상으로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단, 검출 전극 Rx1∼Rx3은, 도 10에 도시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각 실시예에 나타내는 구성 등 다양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검출 전극 Rx1∼Rx3, 리드선 L1, L2 및 패드 PD1∼PD3은, X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하여 배치되어 있다. X 방향으로 인접하는 검출 전극 Rx1∼Rx3과 검출 전극 Rx1∼Rx3의 사이에는, 더미 전극 DR이 배치되어 있다. 더미 전극 DR은, 예를 들어 검출 전극 Rx1∼Rx3과 동일하게,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된 세선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10의 예에 있어서, 더미 전극 DR을 구성하는 세선편은, 검출 전극 Rx1∼Rx3과 마찬가지의 메쉬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단, 더미 전극 DR을 구성하는 세선편은 서로 접속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검출 전극 Rx1∼Rx3, 리드선 L1, L2 및 패드 PD1∼PD3 등에도 접속되고 있지 않고, 전기적으로 플로팅 상태에 있다. 이와 같이, 검출 전극 Rx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 더미 전극 DR을 배치함으로써, 액정 표시 패널 PNL의 화면을 광학적으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검출 전극 Rx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검출 전극 Rx의 구조는, 전술한 상호 용량 검출 방식 및 자기 용량 검출 방식 등의 검출 방식에 의하지 않고 적용 가능하다.
검출 전극 Rx는, 도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세선편(후술하는 세선편 T)을 조합하여 구성되는 전극 패턴(후술하는 전극 패턴 PT)을 갖는다. 세선편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티타늄(Ti), 은(Ag), 몰리브덴(Mo), 텅스텐(W), 구리(Cu), 크롬(Cr),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합금, 산화물, 질화물 등의 금속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세선편의 폭은, 각 화소의 투과율을 현저하게 저하시키지 않고, 또한 단선하기 어려울 정도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서, 세선편의 폭은, 3㎛ 이상 또한 10㎛ 이하의 범위 내에서 결정된다. 세선편은, 예를 들어 도전편, 금속편, 쇄편, 혹은 단위편, 나아가 도전선, 금속선, 세선, 혹은 단위선이라 칭하는 경우도 있다.
표시 영역 DA에 있어서의 화소 배열 및 검출 전극 Rx의 전극 패턴의 일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는, 표시 영역 DA에 배치된 단위 화소 PX의 일부와, 검출 전극 Rx의 전극 패턴 PT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 단위 화소 PX는, X 방향 및 Y 방향을 따라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다. 도 11에 있어서의 각 단위 화소 PX는, 적색, 녹색, 청색의 부화소 SPXR, SPXG, SPXB로 구성되어 있다. 적색, 녹색, 청색의 부화소 SPXR, SPXG, SPXB는, 모두 Y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한편, 도 12에 있어서의 각 단위 화소 PX는, 적색, 녹색, 청색, 백색의 부화소 SPXR, SPXG, SPXB, SPXW로 구성되어 있다. 적색, 녹색, 청색, 백색의 부화소 SPXR, SPXG, SPXB, SPXW는, 모두 Y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극 패턴 PT는, 도 13에 도시한 단위 패턴 U1을 복수 포함한다. 이 단위 패턴 U1은, 제1 연장 방향 DT1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세선편 Ta(Ta1, Ta2, Ta3, Ta4)와, 제1 연장 방향 DT1과 교차하는 제2 연장 방향 DT2를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세선편 Tb(Tb1, Tb2)에 의해 닫힌 윤곽의 패턴이다. 도시한 예에 있어서는, 제1 연장 방향 DT1로부터 제2 연장 방향 DT2까지의 반시계 방향의 각도가 예각이며, 단위 패턴 U1이 평행사변형이다. 단, 제1 연장 방향 DT1 및 제2 연장 방향 DT2가 이루는 상기 각도는 둔각이어도 되고, 직각이어도 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전극 패턴 PT는, X 방향 및 Y 방향의 각각과 교차하는 제1 배열 방향 DU1 및 제2 배열 방향 DU2를 따라 단위 패턴 U1을 배열하여 구성된다. 단, 제1 배열 방향 DU1 및 제2 배열 방향 DU2 중 어느 한쪽이 X 방향 및 Y 방향 중 어느 한쪽과 일치하여도 되고, 제1 배열 방향 DU1 및 제2 배열 방향 DU2가 각각 X 방향 및 Y 방향과 일치하여도 된다.
전극 패턴 PT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단위 패턴 U1의 윤곽은, 1개의 세선편 T를 공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열 방향 DU1으로 연속되는 2개의 단위 패턴 U1에 있어서는, 그 경계에 배치되는 1개의 세선편 Ta가, 한쪽의 단위 패턴 U1에서는 세선편 Ta2로서 사용되고, 다른 쪽의 단위 패턴 U1에서는 세선편 Ta3으로서 사용됨으로써, 이들 단위 패턴 U1의 윤곽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배열 방향 DU2으로 연속되는 2개의 단위 패턴 U1에 있어서는, 그 경계에 배치되는 1개의 세선편 Ta가, 한쪽의 단위 패턴 U1에서는 세선편 Ta1로서 사용되고, 다른 쪽의 단위 패턴 U1에서는 세선편 Ta4로서 사용됨으로써, 이들 단위 패턴 U1의 윤곽이 형성되어 있다.
전극 패턴 PT는, 3개의 세선편 T의 단부가 접속되는 접속점을 다수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단위 패턴 U1끼리가 공유하는 세선편 Ta 또는 세선편 Tb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접속점 CP1에 있어서는, 2개의 세선편 Ta와, 1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되어 있다.
접속점 CP1에 있어서는, 2개의 세선편 Ta가 직선 형상으로 접속되고, 1개의 세선편 Tb가 이들 세선편 Ta와 180°를 제외한 각도로 접속된다. 따라서, 접속점 CP1은, 이들 3개의 세선편 T가 대략 T자형으로 분기하는 형상을 이룬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접속점 CP1은, 3개의 단위 패턴 U1의 윤곽이 접하는 위치이기도 하다. 즉, 접속점 CP1은, 3개의 단위 패턴 U1의 각각에 포함되는 3개의 세선편 T(2개의 세선편 Ta와 1개의 세선편 Tb)의 단부가 접속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전극 패턴 PT는, 접속점 CP1과 같이 세선편 T가 3방향으로 분기하는 접속점 외에, 세선편 T가 2방향으로 분기하는 접속점 CP2를 포함한다. 이 접속점 CP2는, 복수의 단위 패턴 U1로 공유되지 않은 세선편 Ta 또는 세선편 Tb의 한쪽의 단부에서 드러나는 것으로서, 1개의 세선편 Ta와 1개의 세선편 Tb의 단부끼리가 접속되는 접속점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극 패턴 PT는, 4개 이상의 세선편 T가 접속되는 접속점을 포함하지 않는다.
도 11 및 도 12는, 전극 패턴 PT의 설명을 위해서, 표시 영역 DA의 일부와, 1개의 검출 전극 Rx의 전극 패턴 PT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실제로는, 도 5, 도 7,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전극 패턴 PT를 포함하는 검출 전극 Rx가 표시 영역 DA에 겹쳐서 복수 배치되고, 표시 영역 DA의 어느 쪽의 위치에 있어서도 손가락 등의 접촉 혹은 근접이 검출 가능하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서는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인접하는 검출 전극 Rx의 사이에는, 도 5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미 전극 DR이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검출 전극 Rx가 X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Y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 이들 검출 전극 Rx로서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전극 패턴 PT를 X 방향을 따라 띠 형상으로 절단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검출 전극 Rx가 Y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X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 이들 검출 전극 Rx로서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전극 패턴 PT를 Y 방향을 따라 띠 형상으로 절단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경우,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접속점 CP2가 발생하지 않도록 전극 패턴 PT를 절단하여도 된다.
또한, 도 7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검출 전극 Rx가 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이들 검출 전극 Rx로서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전극 패턴 PT를 X 방향 및 Y 방향을 따라 절단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접속점 CP2가 발생하지 않도록 전극 패턴 PT를 절단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세선편 T를 투광성이 낮은 금속 재료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세선편 T의 배치 위치에 있어서 표시 영역 DA로부터의 광이 차단된다. 특히, 복수의 세선편 T가 접속되는 접속점에 있어서는, 세선편 T가 밀하게 존재하기 때문에 많은 광이 차단된다.
종래,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도전 세선을 교차시킨 메쉬 형상의 전극 패턴이 있다. 이 전극 패턴에 있어서는, 2개의 도전 세선이 교차하는 4방향 분기의 교점('4개의 세선편의 접속점'이라 할 수도 있음)이, 각 도전 세선 위에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4방향 분기의 교점에 있어서는, 도전 세선이 밀하게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표시 영역에는 직선 형상으로 배열되는 4방향 분기의 교점군에 대응한 명암 모양이 발생하고, 이 명암 모양과 각 부화소의 간섭에 기인하여 시인성이 높은 무아레가 발생하기 쉽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극 패턴 PT와 같이, 세선편 T가 3방향으로 분기하는 접속점은, 상기의 4방향 분기의 교점에 비하여 단위 면적당 포함되는 세선편 T(도전 세선)의 비율이 낮아진다. 따라서, 이 접속점에 의해 발생하는 명암 모양과 각 부화소 SPX의 간섭에 의해 무아레가 발생하였다고 해도, 이 무아레는 상기의 4방향 분기의 교점군에 기인한 무아레보다도 시인되기 어려운 것으로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세선편 T로 닫힌 단위 패턴 U1에 의해 전극 패턴 PT가 구성되고, 또한 인접하는 단위 패턴 U1이 적어도 1개의 세선편 T를 공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검출 전극 Rx의 단선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즉, 이와 같은 전극 패턴 PT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단위 패턴 U1 중 어느 한 부분이 단선하였다고 해도, 다른 루트에 의해 이 단선 개소에 인접하는 세선편 T의 전기적인 접속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액정 표시 장치 DSP의 센싱에 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센서 SE를 구성하는 검출 전극 Rx와 센서 구동 전극(공통 전극 CE)을 유전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층에 설치하고 있다. 가령, 검출 전극 Rx와 센서 구동 전극을 동일한 층에 설치한 경우에는, 이들 검출 전극 Rx와 센서 구동 전극의 사이에서 전식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있어서는 그와 같은 전식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술한 상호 용량 검출 방식 등과 같이, 액정 표시 패널 PNL의 내부에 설치된 공통 전극 CE를 표시용 전극으로서 이용함과 함께 센서 구동 전극으로서도 이용하는 경우에는, 센싱 전용의 센서 구동 전극을 별도로 액정 표시 장치 DSP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가령, 센싱 전용의 센서 구동 전극을 설치한 경우에는, 이 센서 구동 전극과 검출 전극 Rx 혹은 표시 영역 DA와의 간섭에 의해 무아레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그와 같은 무아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공통 전극 CE가 투명한 도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통 전극 CE와 표시 영역 DA 또는 검출 전극 Rx와의 간섭에 기인한 무아레의 발생을 방지 내지는 저감할 수 있다.
이들 외에도, 본 실시 형태로부터는 다양한 바람직한 작용이 얻어진다.
전극 패턴 PT의 형상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 전극 패턴 PT에 관한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2 실시 형태)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극 패턴 PT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극 패턴 PT는, 도 14의 좌측에 나타내는 단위 패턴 U2a, U2b를 조합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전극 패턴 PT는, 제1 배열 방향 DU1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 패턴 U2a와, 이 제1 배열 방향 DU1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 패턴 U2b를, 제2 배열 방향 DU2를 따라 교대로 배치한 패턴이다. 단위 패턴 U2a는, 세선편 Ta1, Ta2, Ta3, Ta4, Tb1, Tb2로 닫힌 평행사변형 패턴이다. 단위 패턴 U2b는, 세선편 Ta5, Ta6, Tb3, Tb4, Tb5, Tb6으로 닫힌 평행사변형 패턴이다. 단위 패턴 U2a와 단위 패턴 U2b는, 제1 배열 방향 DU1을 따르는 축, 및 제2 배열 방향 DU2를 따르는 축에 관하여 선 대칭의 형상이다.
전극 패턴 PT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단위 패턴 U2a, 인접하는 2개의 단위 패턴 U2b 및 인접하는 단위 패턴 U2a, U2b의 윤곽은, 1개의 세선편 T를 공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열 방향 DU1으로 연속되는 2개의 단위 패턴 U2a에 있어서는, 그 경계에 배치되는 1개의 세선편 Ta가, 한쪽의 단위 패턴 U2a에서는 세선편 Ta2로서 사용되고, 다른 쪽의 단위 패턴 U2a에서는 세선편 Ta3으로서 사용됨으로써, 이들 단위 패턴 U2a의 윤곽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배열 방향 DU1으로 연속되는 2개의 단위 패턴 U2b에 있어서는, 그 경계에 배치되는 1개의 세선편 Tb가, 한쪽의 단위 패턴 U2b에서는 세선편 Tb4로서 사용되고, 다른 쪽의 단위 패턴 U2b에서는 세선편 Tb5로서 사용됨으로써, 이들 단위 패턴 U2b의 윤곽이 형성되어 있다.
단위 패턴 U2a는, 4개의 단위 패턴 U2b와 인접한다. 단위 패턴 U2a의 윤곽은, 이들 4개의 단위 패턴 U2b의 윤곽과 세선편 Ta1, Ta4, Tb1, Tb2를 공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위 패턴 U2b는, 4개의 단위 패턴 U2a와 인접한다. 단위 패턴 U2b의 윤곽은, 이들 4개의 단위 패턴 U2a의 윤곽과 세선편 Ta5, Ta6, Tb3, Tb6을 공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전극 패턴 PT는, 3개의 세선편 T의 단부가 접속되는 접속점을 다수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2개의 단위 패턴 U2a, 인접하는 2개의 단위 패턴 U2b, 및 인접하는 단위 패턴 U2a, U2b가 공유하는 세선편 Ta, Tb의 양단부에는, 2개의 세선편 Ta와 1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되는 접속점 CP1a 및 1개의 세선편 Ta와 2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되는 접속점 CP1b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점 CP1a, CP1b에 있어서는, 2개의 세선편 T가 직선 형상으로 접속됨과 함께, 1개의 세선편 T가 이들 2개의 세선편 T와 180°를 제외한 각도로 접속된다. 따라서, 접속점 CP1a, CP1b는, 3개의 세선편 T가 대략 T자형으로 분기하는 형상을 이룬다.
예를 들어, 접속점 CP1a의 하나는, 단위 패턴 U2a의 세선편 Ta2 및 단위 패턴 U2b의 세선편 Ta5인 2개의 세선편 Ta와, 단위 패턴 U2a의 세선편 Tb2이며 단위 패턴 U2b의 세선편 Tb3인 1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되는 접속점이다.
예를 들어, 접속점 CP1b의 하나는, 단위 패턴 U2a의 세선편 Ta4이며 단위 패턴 U2b의 세선편 Ta5인 1개의 세선편 Ta와, 단위 패턴 U2a의 세선편 Tb2 및 단위 패턴 U2b의 세선편 Tb5인 2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되는 접속점이다.
도 14에 도시한 접속점 CP1a, CP1b는, 2개의 단위 패턴 U2a와 1개의 단위 패턴 U2b, 혹은 1개의 단위 패턴 U2a와 2개의 단위 패턴 U2b가 접하는 위치이기도 하다.
도 14에 있어서는, 전극 패턴 PT의 일부로서 3개의 세선편 T가 접속되는 접속점만을 포함하는 패턴을 도시하고 있지만, 전극 패턴 PT는 3 이외의 개수의 세선편 T가 접속되는 접속점을 포함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1 및 도 12의 예와 동일하게, 전극 패턴 PT의 단부에 있어서 복수의 단위 패턴 U2a, U2b로 공유되지 않은 세선편 Ta, Tb의 단부에는, 1개의 세선편 Ta와 1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된 2방향 분기의 접속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도 14의 예에서는, 세선편 Ta, Tb가 예각 또는 둔각으로 접속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세선편 Ta, Tb가 직각으로 접속되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
도 15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전극 패턴 PT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극 패턴 PT는, 도 15의 좌측에 나타내는 단위 패턴 U3a, U3b를 조합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전극 패턴 PT는, 제1 배열 방향 DU1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 패턴 U3a와, 이 제1 배열 방향 DU1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 패턴 U3b를, 제2 배열 방향 DU2를 따라 교대로 배치한 패턴이다. 단위 패턴 U3a는, 세선편 Ta1, Ta2, Ta3, Ta4, Tb1, Tb2, Tb3, Tb4로 닫힌 육각형의 패턴이다. 단위 패턴 U3b는, 세선편 Ta5, Ta6, Ta7, Ta8, Tb5, Tb6, Tb7, Tb8로 닫힌 육각형의 패턴이다. 단위 패턴 U3a와 단위 패턴 U3b는, 소정의 축에 관하여 선 대칭의 형상이다. 단위 패턴 U3a에 있어서 세선편 Ta3, Tb2가 구성하는 내각 θ1 및 단위 패턴 U3b에 있어서 세선편 Ta6, Tb7이 구성하는 내각 θ2는, 모두 180°보다 크다 (θ1, θ2>180°).
전극 패턴 PT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단위 패턴 U3a, 인접하는 2개의 단위 패턴 U3b 및 인접하는 단위 패턴 U3a, U3b의 윤곽은, 적어도 1개의 세선편 T를 공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열 방향 DU1으로 연속되는 2개의 단위 패턴 U3a에 있어서는, 그 경계에 배치되는 1개의 세선편 Ta가, 한쪽의 단위 패턴 U3a에서는 세선편 Ta2로서 사용되고, 다른 쪽의 단위 패턴 U3a에서는 세선편 Ta4로서 사용됨으로써, 이들 단위 패턴 U3a의 윤곽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배열 방향 DU1으로 연속되는 2개의 단위 패턴 U3b에 있어서는, 그 경계에 배치되는 1개의 세선편 Ta가, 한쪽의 단위 패턴 U3b에서는 세선편 Ta5로서 사용되고, 다른 쪽의 단위 패턴 U3b에서는 세선편 Ta7로서 사용됨으로써, 이들 단위 패턴 U3b의 윤곽이 형성되어 있다.
단위 패턴 U3a는, 4개의 단위 패턴 U3b와 인접한다. 단위 패턴 U3a의 윤곽은, 이들 4개의 단위 패턴 U3b의 윤곽과 세선편 Ta1, Ta3, Tb1, Tb2, Tb3, Tb4를 공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위 패턴 U3b는, 4개의 단위 패턴 U3a와 인접한다. 단위 패턴 U3b의 윤곽은, 이들 4개의 단위 패턴 U3a의 윤곽과 세선편 Ta6, Ta8, Tb5, Tb6, Tb7, Tb8을 공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전극 패턴 PT는, 3개의 세선편 T의 단부가 접속되는 접속점을 다수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2개의 단위 패턴 U3a, 인접하는 2개의 단위 패턴 U3b, 및 인접하는 단위 패턴 U3a, U3b가 공유하는 세선편 Ta, Tb의 단부에는, 2개의 세선편 Ta와 1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되는 접속점 CP1a 및 1개의 세선편 Ta와 2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되는 접속점 CP1b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점 CP1a, CP1b에 있어서는, 2개의 세선편 T가 직선 형상으로 접속됨과 함께, 1개의 세선편 T가 이들 2개의 세선편 T와 180°를 제외한 각도로 접속된다. 따라서, 접속점 CP1a, CP1b는, 3개의 세선편 T가 대략 T자형으로 분기하는 형상을 이룬다.
예를 들어, 접속점 CP1a의 하나는, 단위 패턴 U3a의 세선편 Ta1 및 단위 패턴 U3b의 세선편 Ta5인 2개의 세선편 Ta와, 단위 패턴 U3a의 세선편 Tb1이며 단위 패턴 U3b의 세선편 Tb7인 1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되는 접속점이다.
예를 들어, 접속점 CP1b의 하나는, 단위 패턴 U3b의 세선편 Ta5인 1개의 세선편 Ta와, 단위 패턴 U3a의 세선편 Tb3 및 단위 패턴 U3a의 세선편 Tb4(또한 단위 패턴 U3b의 세선편 Tb5)인 2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되는 접속점이다.
도 15에 도시한 접속점 CP1a, CP1b는, 2개의 단위 패턴 U3a와 1개의 단위 패턴 U3b, 혹은 1개의 단위 패턴 U3a와 2개의 단위 패턴 U3b가 접하는 위치이기도 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극 패턴 PT는, 도 15에 일례를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세선편 Ta와 1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되는 2방향 분기의 접속점 CP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접속점 CP2의 하나는, 단위 패턴 U3a의 세선편 Ta3 및 세선편 Tb1의 단부끼리가 접속되는 접속점이다.
또한, 도 11 및 도 12의 예와 동일하게, 전극 패턴 PT의 단부에 있어서 복수의 단위 패턴 U3a, U3b로 공유되지 않은 세선편 Ta, Tb의 단부에는, 1개의 세선편 Ta와 1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된 2방향 분기의 접속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 15의 예에서는, 세선편 Ta, Tb가 예각 또는 둔각으로 접속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세선편 Ta, Tb가 직각으로 접속되어도 된다.
(제4 실시 형태)
도 16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전극 패턴 PT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극 패턴 PT는, 도 16의 좌측에 나타내는 단위 패턴 U4a, U4b를 조합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전극 패턴 PT는, 제1 배열 방향 DU1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 패턴 U4a와, 이 제1 배열 방향 DU1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 패턴 U4b를, 제2 배열 방향 DU2를 따라 교대로 배치한 패턴이다. 단위 패턴 U4a는, 세선편 Ta1, Ta2, Ta3, Ta4, Ta5, Ta6, Tb1, Tb2, Tb3, Tb4로 닫힌 육각형의 패턴이다. 단위 패턴 U4b는, 세선편 Ta7, Ta8, Ta9, Ta10, Tb5, Tb6, Tb7, Tb8, Tb9, Tb10으로 닫힌 육각형의 패턴이다. 단위 패턴 U4a, U4b는, 제1 배열 방향 DU1을 따르는 축에 관하여 선 대칭의 형상이다. 단위 패턴 U4a에 있어서 세선편 Ta2, Tb3이 구성하는 내각 θ1, 및 단위 패턴 U4b에 있어서 세선편 Ta9, Tb6이 구성하는 내각 θ2는, 모두 180°보다 크다(θ1, θ2>180°).
전극 패턴 PT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단위 패턴 U4a, 인접하는 2개의 단위 패턴 U4b 및 인접하는 단위 패턴 U4a와 단위 패턴 U4b의 윤곽은, 적어도 1개의 세선편 T를 공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열 방향 DU1으로 연속되는 2개의 단위 패턴 U4a에 있어서는, 그 경계에 배치되는 1개의 세선편 Ta가, 한쪽의 단위 패턴 U4a에서는 세선편 Ta1로서 사용되고, 다른 쪽의 단위 패턴 U4a에서는 세선편 Ta6으로서 사용됨으로써, 이들 단위 패턴 U4a의 윤곽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배열 방향 DU1으로 연속되는 2개의 단위 패턴 U4b에 있어서는, 그 경계에 배치되는 1개의 세선편 Tb가, 한쪽의 단위 패턴 U4b에서는 세선편 Tb5로서 사용되고, 다른 쪽의 단위 패턴 U4b에서는 세선편 Tb10으로서 사용됨으로써, 이들 단위 패턴 U4b의 윤곽이 형성되어 있다.
단위 패턴 U4a는, 4개의 단위 패턴 U4b와 인접한다. 단위 패턴 U4a의 윤곽은, 이들 4개의 단위 패턴 U4b의 윤곽과 세선편 Ta2, Ta3, Ta4, Ta5, Tb1, Tb2, Tb3, Tb4를 공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위 패턴 U4b는, 4개의 단위 패턴 U4a와 인접한다. 단위 패턴 U4b의 윤곽은, 이들 4개의 단위 패턴 U4a의 윤곽과 세선편 Ta7, Ta8, Ta9, Ta10, Tb6, Tb7, Tb8, Tb9를 공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전극 패턴 PT는, 3개의 세선편 T의 단부가 접속되는 접속점을 다수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2개의 단위 패턴 U4a, 인접하는 2개의 단위 패턴 U4b 및 인접하는 단위 패턴 U4a, U4b가 공유하는 세선편 Ta, Tb의 단부에는, 2개의 세선편 Ta와 1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되는 접속점 CP1a 및 1개의 세선편 Ta와 2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되는 접속점 CP1b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점 CP1a, CP1b에 있어서는, 2개의 세선편 T가 직선 형상으로 접속됨과 함께, 1개의 세선편 T가 이들 2개의 세선편 T와 180°를 제외한 각도로 접속된다. 따라서, 접속점 CP1a, CP1b는, 3개의 세선편 T가 대략 T자형으로 분기하는 형상을 이룬다.
예를 들어, 접속점 CP1a의 하나는, 단위 패턴 U4a의 세선편 Ta5(또한 단위 패턴 U4b의 세선편 Ta8) 및 단위 패턴 U4a의 세선편 Ta6인 2개의 세선편 Ta와, 단위 패턴 U4b의 세선편 Tb8인 1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되는 접속점이다.
예를 들어, 접속점 CP1b의 하나는, 단위 패턴 U4a의 세선편 Ta4이며 단위 패턴 U4b의 세선편 Ta7인 1개의 세선편 Ta와, 단위 패턴 U4a의 세선편 Tb2 및 단위 패턴 U4a의 세선편 Tb5인 2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되는 접속점이다.
도 16에 도시한 접속점 CP1a, CP1b는, 2개의 단위 패턴 U4a와 1개의 단위 패턴 U4b, 혹은 1개의 단위 패턴 U4a와 2개의 단위 패턴 U4b가 접하는 위치이기도 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극 패턴 PT는, 도 16에 일례를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세선편 Ta와 1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되는 2방향 분기의 접속점 CP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접속점 CP2의 하나는, 단위 패턴 U4a의 세선편 Ta3 및 세선편 Tb4의 단부끼리가 접속되는 접속점이다.
또한, 도 11 및 도 12의 예와 동일하게, 전극 패턴 PT의 단부에 있어서 복수의 단위 패턴 U4a, U4b로 공유되지 않은 세선편 Ta, Tb의 단부에는, 1개의 세선편 Ta와 1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된 2방향 분기의 접속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 16의 예에서는, 세선편 Ta, Tb가 예각 또는 둔각으로 접속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세선편 Ta, Tb가 직각으로 접속되어도 된다.
(제5 실시 형태)
도 17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전극 패턴 PT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극 패턴 PT는, 도 17의 좌측에 나타내는 단위 패턴 U5a, U5b를 조합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전극 패턴 PT는, 제1 배열 방향 DU1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 패턴 U5a와, 이 제1 배열 방향 DU1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 패턴 U5b를, 제2 배열 방향 DU2를 따라 교대로 배치한 패턴이다. 단위 패턴 U5a는, 세선편 Ta1, Ta2, Tb1, Tb2, Tb3, Tb4로 닫힌 평행사변형의 패턴이다. 단위 패턴 U5b는, 세선편 Ta3, Ta4, Ta5, Ta6, Tb5, Tb6으로 닫힌 평행사변형의 패턴이다. 단위 패턴 U5a, U5b는, 제1 배열 방향 DU1을 따르는 축 및 제2 배열 방향 DU2를 따르는 축에 관하여 선 대칭의 형상이다.
전극 패턴 PT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단위 패턴 U5a, 인접하는 2개의 단위 패턴 U5b 및 인접하는 단위 패턴 U5a와 단위 패턴 U5b의 윤곽은, 1개의 세선편 T를 공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열 방향 DU1으로 연속되는 2개의 단위 패턴 U5a에 있어서는, 그 경계에 배치되는 1개의 세선편 Tb가, 1개의 단위 패턴 U5a에서는 세선편 Tb1로서 사용되고, 다른 쪽의 단위 패턴 U5a에서는 세선편 Tb4로서 사용됨으로써, 이들 단위 패턴 U5a의 윤곽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배열 방향 DU1으로 연속되는 2개의 단위 패턴 U5b에 있어서는, 그 경계에 배치되는 1개의 세선편 Ta가, 한쪽의 단위 패턴 U5b에서는 세선편 Ta3으로서 사용되고, 다른 쪽의 단위 패턴 U5b에서는 세선편 Ta6으로서 사용됨으로써, 이들 단위 패턴 U5b의 윤곽이 형성되어 있다.
단위 패턴 U5a는, 4개의 단위 패턴 U5b와 인접한다. 단위 패턴 U5a의 윤곽은, 이들 4개의 단위 패턴 U5b의 윤곽과 세선편 Ta1, Ta2, Tb2, Tb3을 공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위 패턴 U5b는, 4개의 단위 패턴 U5a와 인접한다. 단위 패턴 U5b의 윤곽은, 이들 4개의 단위 패턴 U5a의 윤곽과 세선편 Ta4, Ta5, Tb5, Tb6을 공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전극 패턴 PT는, 3개의 세선편 T의 단부가 접속되는 접속점을 다수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2개의 단위 패턴 U5a, 인접하는 2개의 단위 패턴 U5b 및 인접하는 단위 패턴 U5a, U5b가 공유하는 세선편 Ta, Tb의 단부에는, 2개의 세선편 Ta와 1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되는 접속점 CP1a 및 1개의 세선편 Ta와 2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되는 접속점 CP1b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점 CP1a, CP1b에 있어서는, 2개의 세선편 T가 직선 형상으로 접속됨과 함께, 1개의 세선편 T가 이들 2개의 세선편 T와 180°를 제외한 각도로 접속된다. 따라서, 접속점 CP1a, CP1b는, 3개의 세선편 T가 대략 T자형으로 분기하는 형상을 이룬다.
예를 들어, 접속점 CP1a의 하나는, 단위 패턴 U5b의 세선편 Ta3 및 단위 패턴 U5b의 세선편 Ta4(또한 단위 패턴 U5a의 세선편 Ta2)인 2개의 세선편 Ta와, 단위 패턴 U5a의 세선편 Tb2인 1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되는 접속점이다.
예를 들어, 접속점 CP1b의 하나는, 단위 패턴 U5a의 세선편 Ta2이며 단위 패턴 U5b의 세선편 Ta4인 1개의 세선편 Ta와, 단위 패턴 U5a의 세선편 Tb4 및 단위 패턴 U5b의 세선편 Tb6인 2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되는 접속점이다.
도 17에 도시한 접속점 CP1a, CP1b는, 2개의 단위 패턴 U5a와 1개의 단위 패턴 U5b, 또는 1개의 단위 패턴 U5a와 2개의 단위 패턴 U5b가 접하는 위치이기도 하다.
도 17에 있어서는, 전극 패턴 PT의 일부로서 3개의 세선편 T가 접속되는 접속점만을 포함하는 패턴을 도시하고 있지만, 전극 패턴 PT는 3 이외의 개수의 세선편 T가 접속되는 접속점을 포함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1 및 도 12의 예와 동일하게, 전극 패턴 PT의 단부에 있어서 복수의 단위 패턴 U5a, U5b로 공유되지 않은 세선편 Ta, Tb의 단부에는, 1개의 세선편 Ta와 1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된 2방향 분기의 접속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 17의 예에서는, 세선편 Ta, Tb가 예각 또는 둔각으로 접속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세선편 Ta, Tb가 직각으로 접속되어도 된다.
(제6 실시 형태)
도 18은,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전극 패턴 PT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극 패턴 PT는, 도 18의 좌측에 나타내는 단위 패턴 U6을, 제1 배열 방향 DU1 및 제2 배열 방향 DU2를 따라 배열하여 구성된다. 단위 패턴 U6은, 세선편 Ta1, Ta2, Ta3, Ta4, Ta5, Ta6, Ta7, Ta8, Tb1, Tb2, Tb3, Tb4, Tb5, Tb6으로 닫힌 십이각형의 패턴이다. 단위 패턴 U6에 있어서 세선편 Ta3, Tb3이 구성하는 내각 θ1, 세선편 Ta4, Tb5가 구성하는 내각 θ2, 세선편 Ta5, Tb2가 구성하는 내각 θ3 및 세선편 Ta6, Tb4가 구성하는 내각 θ4는, 모두 180°보다 크다(θ1, θ2, θ3, θ4>180°).
전극 패턴 PT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단위 패턴 U6의 윤곽은, 적어도 1개의 세선편 T를 공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열 방향 DU1으로 연속되는 2개의 단위 패턴 U6에 있어서는, 그 경계에 배치되는 2개의 세선편 Ta와 1개의 세선편 Tb가, 한쪽의 단위 패턴 U6에서는 세선편 Ta1, Ta3, Tb3으로서 사용되고, 다른 쪽의 단위 패턴 U6에서는 세선편 Ta6, Ta8, Tb4로서 사용됨으로써, 이들 단위 패턴 U6의 윤곽이 형성되어 있다.
전극 패턴 PT는, 3개의 세선편 T의 단부가 접속되는 접속점을 다수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단위 패턴 U6이 공유하는 세선편 Ta, Tb의 단부에는, 2개의 세선편 Ta와 1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되는 접속점 CP1이 형성되어 있다.
접속점 CP1에 있어서는, 2개의 세선편 Ta가 직선 형상으로 접속됨과 함께, 1개의 세선편 Tb가 이들 2개의 세선편 T와 180°를 제외한 각도로 접속된다. 따라서, 접속점 CP1은, 3개의 세선편 T가 대략 T자형으로 분기하는 형상을 이룬다.
예를 들어, 접속점 CP1의 하나는, 제1 단위 패턴 U6의 세선편 Ta2 및 세선편 Ta3인 2개의 세선편 Ta와, 제1 단위 패턴 U6에 인접하는 제2 단위 패턴 U6의 세선편 Tb2인 1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되는 접속점이다.
도 18에 도시한 접속점 CP1은, 3개의 단위 패턴 U6이 접하는 위치이기도 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극 패턴 PT는, 도 18에 일례를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세선편 Ta와 1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되는 2방향 분기의 접속점 CP2를 포함한다. 또한, 도 11 및 도 12의 예와 동일하게, 전극 패턴 PT의 단부에 있어서 복수의 단위 패턴 U6으로 공유되지 않은 세선편 Ta, Tb의 단부에는, 1개의 세선편 Ta와 1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된 2방향 분기의 접속점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점 CP2의 1개는, 단위 패턴 U6의 세선편 Ta5 및 세선편 Tb1의 단부끼리가 접속되는 접속점이다.
또한, 도 18의 예에서는, 세선편 Ta, Tb가 예각 또는 둔각으로 접속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세선편 Ta, Tb가 직각으로 접속되어도 된다.
(제7 실시 형태)
도 19는,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전극 패턴 PT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극 패턴 PT는, 도 19의 좌측에 나타내는 단위 패턴 U7을, 제1 배열 방향 DU1 및 제2 배열 방향 DU2를 따라 배열하여 구성된다. 단위 패턴 U7은, 세선편 Ta1, Ta2, Ta3, Ta4, Tb1, Tb2, Tb3, Tb4로 닫힌 육각형의 패턴이다. 단위 패턴 U7에 있어서 세선편 Ta2, Tb2가 구성하는 내각 θ는, 180°보다 크다(θ>180°).
전극 패턴 PT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단위 패턴 U7의 윤곽은, 적어도 1개의 세선편 T를 공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열 방향 DU1으로 연속되는 2개의 단위 패턴 U7에 있어서는, 그 경계에 배치되는 1개의 세선편 Ta와 1개의 세선편 Tb가, 한쪽의 단위 패턴 U7에서는 세선편 Ta2, Tb2로서 사용되고, 다른 쪽의 단위 패턴 U7에서는 세선편 Ta4, Tb4로서 사용됨으로써, 이들 단위 패턴 U7의 윤곽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접속점 CP1a의 하나는, 제1 단위 패턴 U7의 세선편 Ta1 및 이 제1 단위 패턴 U7에 인접하는 제2 단위 패턴 U7의 세선편 Ta2인 2개의 세선편 Ta와, 제1 단위 패턴 U7의 세선편 Tb3이며 제2 단위 패턴 U7의 세선편 Tb1인 1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되는 접속점이다.
예를 들어, 접속점 CP1b의 하나는, 제1 단위 패턴 U7의 세선편 Ta3인 1개의 세선편 Ta와, 제1 단위 패턴 U7의 세선편 Tb1(또한 제1 단위 패턴 U7에 인접하는 제2 단위 패턴 U7의 세선편 Tb3) 및 제2 단위 패턴 U7의 세선편 Tb4인 2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되는 접속점이다.
전극 패턴 PT는, 3개의 세선편 T의 단부가 접속되는 접속점을 다수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단위 패턴 U7이 공유하는 세선편 Ta, Tb의 단부에는, 2개의 세선편 Ta와 1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되는 접속점 CP1a 및 1개의 세선편 Ta와 2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되는 접속점 CP1b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점 CP1a, CP1b에 있어서는, 2개의 세선편 T가 직선 형상으로 접속됨과 함께, 1개의 세선편 T가 이들 2개의 세선편 T와 180°를 제외한 각도로 접속된다. 따라서, 접속점 CP1a, CP1b는, 3개의 세선편 T가 대략 T자형으로 분기하는 형상을 이룬다.
도 19에 도시한 접속점 CP1a, CP1b는, 3개의 단위 패턴 U7이 접하는 위치이기도 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극 패턴 PT는, 도 19에 일례를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세선편 Ta와 1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되는 2방향 분기의 접속점 CP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접속점 CP2에 1개는, 단위 패턴 U7의 세선편 Ta2 및 세선편 Tb2의 단부끼리가 접속되는 접속점이다. 또한, 도 11 및 도 12의 예와 동일하게, 전극 패턴 PT의 단부에 있어서 복수의 단위 패턴 U7로 공유되지 않은 세선편 Ta, Tb의 단부에는, 1개의 세선편 Ta와 1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된 2방향 분기의 접속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 19의 예에서는, 세선편 Ta, Tb가 예각 또는 둔각으로 접속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세선편 Ta, Tb가 직각으로 접속되어도 된다.
(제8 실시 형태)
도 20은,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전극 패턴 PT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극 패턴 PT는, 도 20의 좌측에 나타내는 단위 패턴 U8a, U8b를 조합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전극 패턴 PT는, 제1 배열 방향 DU1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 패턴 U8a와, 이 제1 배열 방향 DU1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 패턴 U8b를, 제2 배열 방향 DU2를 따라 교대로 배치한 패턴이다. 단위 패턴 U8a는, 세선편 Ta1, Ta2, Ta3, Ta4, Tb1, Tb2, Tb3, Tb4로 닫힌 육각형의 패턴이다. 단위 패턴 U8b는, 세선편 Ta5, Ta6, Ta7, Ta8, Tb5, Tb6, Tb7, Tb8로 닫힌 육각형의 패턴이다. 단위 패턴 U8a와 단위 패턴 U8b는, 제2 배열 방향 DU2을 따르는 축에 관하여 선 대칭의 형상이다. 단위 패턴 U8a에 있어서 세선편 Ta2, Tb2가 구성하는 내각 θ1 및 단위 패턴 U8b에 있어서 세선편 Ta7, Tb7이 구성하는 내각 θ2는, 모두 180°보다 크다 (θ1, θ2>180°).
전극 패턴 PT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단위 패턴 U8a, 인접하는 2개의 단위 패턴 U8b, 및 인접하는 단위 패턴 U8a와 단위 패턴 U8b의 윤곽은, 적어도 1개의 세선편 T를 공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열 방향 DU1으로 연속되는 2개의 단위 패턴 U8a에 있어서는, 그 경계에 배치되는 1개의 세선편 Ta와 1개의 세선편 Tb가, 한쪽의 단위 패턴 U8a에서는 세선편 Ta2, Tb2로서 사용되고, 다른 쪽의 단위 패턴 U8a에서는 세선편 Ta4, Tb4로서 사용됨으로써, 이들 단위 패턴 U8a의 윤곽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배열 방향 DU1으로 연속되는 2개의 단위 패턴 U8b에 있어서는, 그 경계에 배치되는 1개의 세선편 Ta와 1개의 세선편 Tb가, 한쪽의 단위 패턴 U8b에서는 세선편 Ta5, Tb5로서 사용되고, 다른 쪽의 단위 패턴 U8b에서는 세선편 Ta7, Tb7로서 사용됨으로써, 이들 단위 패턴 U8b의 윤곽이 형성되어 있다.
단위 패턴 U8a는, 4개의 단위 패턴 U8b와 인접한다. 단위 패턴 U8a의 윤곽은, 이들 4개의 단위 패턴 U8b의 윤곽과 세선편 Ta1, Ta3, Tb1, Tb3을 공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위 패턴 U8b는, 4개의 단위 패턴 U8a와 인접한다. 단위 패턴 U8b의 윤곽은, 이들 4개의 단위 패턴 U8a의 윤곽과 세선편 Ta6, Ta8, Tb6, Tb8을 공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전극 패턴 PT는, 3개의 세선편 T의 단부가 접속되는 접속점을 다수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2개의 단위 패턴 U8a, 인접하는 2개의 단위 패턴 U8b 및 인접하는 단위 패턴 U8a, U8b가 공유하는 세선편 Ta, Tb의 단부에는, 2개의 세선편 Ta와 1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되는 접속점 CP1a 및 1개의 세선편 Ta와 2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되는 접속점 CP1b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점 CP1a, CP1b에 있어서는, 2개의 세선편 T가 직선 형상으로 접속됨과 함께, 1개의 세선편 T가 이들 2개의 세선편 T와 180°를 제외한 각도로 접속된다. 따라서, 접속점 CP1a, CP1b는, 3개의 세선편 T가 대략 T자형으로 분기하는 형상을 이룬다.
예를 들어, 접속점 CP1a의 하나는, 단위 패턴 U8a의 세선편 Ta3(또한 단위 패턴 U8b의 세선편 Ta6) 및 단위 패턴 U8a의 세선편 Ta4인 2개의 세선편 Ta와, 단위 패턴 U8b의 세선편 Tb1인 1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되는 접속점이다.
예를 들어, 접속점 CP1b의 하나는, 단위 패턴 U8a의 세선편 Ta1인 1개의 세선편 Ta와, 단위 패턴 U8a의 세선편 Tb3(또한 단위 패턴 U8b의 세선편 Tb6) 및 단위 패턴 U8b의 세선편 Tb5인 2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되는 접속점이다.
도 20에 도시한 접속점 CP1a, CP1b는, 2개의 단위 패턴 U8a와 1개의 단위 패턴 U8b, 또는 1개의 단위 패턴 U8a와 2개의 단위 패턴 U8b가 접하는 위치이기도 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극 패턴 PT는, 도 20에 일례를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세선편 Ta와 1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되는 2방향 분기의 접속점 CP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접속점 CP2에 1개는, 단위 패턴 U8a의 세선편 Ta2 및 세선편 Tb2의 단부끼리가 접속되는 접속점이다. 또한, 도 11 및 도 12의 예와 동일하게, 전극 패턴 PT의 단부에 있어서 복수의 단위 패턴 U8a, U8b로 공유되지 않은 세선편 Ta, Tb의 단부에는, 1개의 세선편 Ta와 1개의 세선편 Tb가 접속된 2방향 분기의 접속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 20의 예에서는, 세선편 Ta, Tb가 예각 또는 둔각으로 접속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세선편 Ta, Tb가 직각으로 접속되어도 된다.
(제9 실시 형태)
도 21은,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전극 패턴 PT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극 패턴 PT는, 도 21의 좌측에 나타내는 단위 패턴 U9a, U9b를 조합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전극 패턴 PT는, 제1 배열 방향 DU1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 패턴 U9a와, 이 제1 배열 방향 DU1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 패턴 U9b를, 제2 배열 방향 DU2를 따라 교대로 배치한 패턴이다.
단위 패턴 U9a, U9b는, 세선편 Ta, Tb 외에, 세선편 Tc, Td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세선편 Tc는, 제1 연장 방향 DT1 및 제2 연장 방향 DT2와 교차하는 제3 연장 방향 DT3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된다. 세선편 Td는, 제1 연장 방향 DT1, 제2 연장 방향 DT2 및 제3 연장 방향 DT3과 교차하는 제4 연장 방향 DT4를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된다. 단위 패턴 U9a는, 세선편 Ta1, Ta2, Ta3, Tb1, Tc1, Tc2, Td1, Td2로 닫힌 칠각형의 패턴이다. 단위 패턴 U9b는, 세선편 Ta4, Tb2, Tb3, Tb4, Tc3, Tc4, Td3, Td4로 닫힌 칠각형의 패턴이다. 단위 패턴 U9a와 단위 패턴 U9b는, 제2 배열 방향 DU2를 따르는 축에 관하여 선 대칭의 형상이다. 단위 패턴 U9a에 있어서 세선편 Ta2, Td1이 구성하는 내각 θ1 및 단위 패턴 U9b에 있어서 세선편 Tb3, Tc3이 구성하는 내각 θ2는, 모두 180°보다 크다(θ1, θ2>180°).
전극 패턴 PT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단위 패턴 U9a, 인접하는 2개의 단위 패턴 U9b, 및 인접하는 단위 패턴 U9a와 단위 패턴 U9b의 윤곽은, 적어도 1개의 세선편 T를 공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열 방향 DU1으로 연속되는 2개의 단위 패턴 U9a에 있어서는, 그 경계에 배치되는 1개의 세선편 Ta가, 한쪽의 단위 패턴 U9a에서는 세선편 Ta1로서 사용되고, 다른 쪽의 단위 패턴 U9a에서는 세선편 Ta3으로서 사용됨으로써, 이들 단위 패턴 U9a의 윤곽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배열 방향 DU1으로 연속되는 2개의 단위 패턴 U9b에 있어서는, 그 경계에 배치되는 1개의 세선편 Tb가, 한쪽의 단위 패턴 U9b에서는 세선편 Tb2로서 사용되고, 다른 쪽의 단위 패턴 U9b에서는 세선편 Tb4로서 사용됨으로써, 이들 단위 패턴 U9b의 윤곽이 형성되어 있다.
단위 패턴 U9a는, 4개의 단위 패턴 U9b와 인접한다. 단위 패턴 U9a의 윤곽은, 이들 4개의 단위 패턴 U9b의 윤곽과 세선편 Ta2, Tb1, Tc1, Tc2, Td1, Td2를 공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위 패턴 U9b는, 4개의 단위 패턴 U9a와 인접한다. 단위 패턴 U9b의 윤곽은, 이들 4개의 단위 패턴 U9a의 윤곽과 세선편 Ta4, Tb3, Tc3, Tc4, Td3, Td4를 공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전극 패턴 PT는, 3개의 세선편 T의 단부가 접속되는 접속점을 다수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2개의 단위 패턴 U9a, 인접하는 2개의 단위 패턴 U9b 및 인접하는 단위 패턴 U9a, U9b가 공유하는 세선편 Ta, Tb의 단부에는, 1개의 세선편 Ta와 2개의 세선편 Td가 접속되는 접속점 CP1a, 1개의 세선편 Tb와 2개의 세선편 Tc가 접속되는 접속점 CP1b, 1개의 세선편 Ta와 1개의 세선편 Tb와 1개의 세선편 Tc가 접속되는 접속점 CP1c, 및 1개의 세선편 Ta와 1개의 세선편 Tb와 1개의 세선편 Td가 접속되는 접속점 CP1d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점 CP1a, CP1b에 있어서는, 2개의 세선편 T가 직선 형상으로 접속됨과 함께, 1개의 세선편 T가 이들 2개의 세선편 T와 180°를 제외한 각도로 접속된다. 따라서, 접속점 CP1a, CP1b는, 3개의 세선편 T가 대략 T자형으로 분기하는 형상을 이룬다.
한편, 접속점 CP1c, CP1d에 있어서는, 3개의 세선편 T의 각각의 비직선 형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접속점 CP1c, CP1d는, 이들 3개의 세선편 T가 대략 Y자형으로 분기하는 형상을 이룬다.
1개의 세선편 Ta와 2개의 세선편 Td가 접속되는 접속점 CP1a의 예로서, 하기를 들 수 있다. 접속점 CP1a의 하나는, 단위 패턴 U9a의 세선편 Ta1인 1개의 세선편 Ta와, 단위 패턴 U9a의 세선편 Td2(또한 단위 패턴 U9b의 세선편 Td4) 및 단위 패턴 U9b의 세선편 Td3인 2개의 세선편 Td가 접속되는 접속점이다.
1개의 세선편 Tb와 2개의 세선편 Tc가 접속되는 접속점 CP1b의 예로서, 하기를 들 수 있다. 접속점 CP1b의 하나는, 단위 패턴 U9b의 세선편 Tb2인 1개의 세선편 Tb와, 단위 패턴 U9a의 세선편 Tc1 및 단위 패턴 U9a의 세선편 Tc2(또한 단위 패턴 U9b의 세선편 Tc4)인 2개의 세선편 Tc가 접속되는 접속점이다.
1개의 세선편 Ta와 1개의 세선편 Tb와 1개의 세선편 Tc가 접속되는 접속점 CP1c의 예로서, 하기를 들 수 있다. 접속점 CP1c의 하나는, 단위 패턴 U9a의 세선편 Ta1인 1개의 세선편 Ta와, 단위 패턴 U9b의 세선편 Tb3인 1개의 세선편 Tb와, 단위 패턴 U9a의 세선편 Tc2(또한 단위 패턴 U9b의 세선편 Tc4)인 1개의 세선편 Tc가 접속되는 접속점이다.
1개의 세선편 Ta와 1개의 세선편 Tb와 1개의 세선편 Td가 접속되는 접속점 CP1d의 예로서, 하기를 들 수 있다. 접속점 CP1d의 하나는, 단위 패턴 U9a의 세선편 Ta2인 1개의 세선편 Ta와, 단위 패턴 U9b의 세선편 Tb2인 1개의 세선편 Tb와, 단위 패턴 U9a의 세선편 Td2(또한 단위 패턴 U9b의 세선편 Td4)인 1개의 세선편 Td가 접속되는 접속점이다.
도 21에 도시한 접속점 CP1a, CP1b, CP1c, CP1d는, 2개의 단위 패턴 U9a와 1개의 단위 패턴 U9b, 혹은 1개의 단위 패턴 U9a와 2개의 단위 패턴 U9b가 접하는 위치이기도 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극 패턴 PT는, 도 21에 일례를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세선편 Ta와 1개의 세선편 Td가 접속되는 2방향 분기의 접속점 CP2a 및 1개의 세선편 Tb와 1개의 세선편 Tc가 접속되는 2방향 분기의 접속점 CP2b를 포함한다. 또한, 도 11 및 도 12의 예와 동일하게, 전극 패턴 PT의 단부에 있어서 복수의 단위 패턴 U9a, U9b로 공유되지 않은 세선편 Ta, Tb, Tc, Td의 단부에는, 세선편 Ta, Tb, Tc, Td 중 어느 것이든 2개가 접속된 2방향 분기의 접속점이 발생할 수 있다.
1개의 세선편 Ta와 1개의 세선편 Td가 접속되는 2방향 분기의 접속점 CP2a의 예로서, 하기를 들 수 있다. 접속점 CP2a의 하나는, 단위 패턴 U9a의 세선편 Ta2 및 세선편 Td1의 단부끼리가 접속되는 접속점이다.
1개의 세선편 Tb와 1개의 세선편 Tc가 접속되는 2방향 분기의 접속점 CP2b의 예로서, 하기를 들 수 있다. 접속점 CP2a의 하나는, 단위 패턴 U9a의 세선편 Tb1 및 세선편 Tc1의 단부끼리가 접속되는 접속점이다.
(제10 실시 형태)
도 22는,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전극 패턴 PT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극 패턴 PT는, 도 22의 좌측에 나타내는 단위 패턴 U10a, U10b, U10c, U10d를 조합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전극 패턴 PT는, 제1 배열 방향 DU1을 따라 교대로 배열하는 단위 패턴 U10a, U10b와, 이 제1 배열 방향 DU1을 따라 교대로 배열하는 단위 패턴 U10c, U10d를, 제2 배열 방향 DU2를 따라 교대로 배치한 패턴이다.
단위 패턴 U10a, U10b, U10c, U10d는, 세선편 Ta, Tb 외에, 세선편 Tc, Td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세선편 Tc는, 제1 연장 방향 DT1 및 제2 연장 방향 DT2와 교차하는 제3 연장 방향 DT3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된다. 세선편 Td는, 제1 연장 방향 DT1, 제2 연장 방향 DT2 및 제3 연장 방향 DT3과 교차하는 제4 연장 방향 DT4를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된다.
단위 패턴 U10a는, 세선편 Ta1, Ta2, Tb1, Tb2, Tc1, Tc2로 닫힌 육각형의 패턴이다. 단위 패턴 U10b는, 세선편 Ta3, Ta4, Tc3, Tc4, Td1, Td2로 닫힌 육각형의 패턴이다. 단위 패턴 U10c는, 세선편 Tb3, Tb4, Tc5, Tc6, Td3, Td4로 닫힌 육각형의 패턴이다. 단위 패턴 U10d는, 세선편 Ta5, Ta6, Tb5, Tb6, Td5, Td6으로 닫힌 육각형의 패턴이다. 단위 패턴 U10a와 단위 패턴 U10b, 단위 패턴 U10c와 단위 패턴 UlOd, 단위 패턴 U10a와 단위 패턴 U10d, 단위 패턴 U10b와 단위 패턴 U10c의 각각은, 모두 소정의 축에 관하여 선 대칭의 형상이다. 단위 패턴 U10a에 있어서 세선편 Ta2, Tc2가 구성하는 내각 θ1, 단위 패턴 U10b에 있어서 세선편 Ta3, Tc3이 구성하는 내각 θ2, 단위 패턴 U10c에 있어서 세선편 Tb3, Td3이 구성하는 내각 θ3 및 단위 패턴 U10d에 있어서 세선편 Tb6, Td6이 구성하는 내각 θ4는, 모두 180°보다 크다(θ1, θ2, θ3, θ4>180°).
전극 패턴 PT에 있어서는, 단위 패턴 U10a, U10b, U10c, U10d 중, 동일한 단위 패턴이 인접하지 않는다. 즉, 단위 패턴 U10a는 단위 패턴 U10b, U10c, U10d와 인접하고, 단위 패턴 U10b는 단위 패턴 U10a, U10c, U10d와 인접하고, 단위 패턴 U10c는 단위 패턴 U10a, U10b, U10d와 인접하며, 단위 패턴 U10d는 단위 패턴 U10a, U10b, U10c와 인접한다. 인접하는 단위 패턴의 윤곽은, 적어도 1개의 세선편 T를 공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열 방향 DU1으로 연속되는 단위 패턴 U10a와 단위 패턴 U10b에 있어서는, 그 경계에 배치되는 1개의 세선편 Tc가, 단위 패턴 U10a에서는 세선편 Tc2로서 사용되고, 단위 패턴 U10b에서는 세선편 Tc3으로서 사용됨으로써, 이들 단위 패턴 U10a, U10b의 윤곽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배열 방향 DU2으로 연속되는 단위 패턴 U10a와 단위 패턴 U10c에 있어서는, 그 경계에 배치되는 1개의 세선편 Tc가, 단위 패턴 U10a에서는 세선편 Tc1로서 사용되고, 단위 패턴 U10c에서는 세선편 Tc6으로서 사용됨으로써, 이들 단위 패턴 U10a, U10c의 윤곽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배열 방향 DU2으로 연속되는 단위 패턴 U10a와 단위 패턴 U10d에 있어서는, 그 경계에 배치되는 1개의 세선편 Ta가, 단위 패턴 U10a에서는 세선편 Ta2로서 사용되고, 단위 패턴 U10d에서는 세선편 Ta5로서 사용됨으로써, 이들 단위 패턴 U10a, U10d의 윤곽이 형성되어 있다.
전극 패턴 PT는, 3개의 세선편 T의 단부가 접속되는 접속점을 다수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 패턴 U10a, U10b, U10c, U10d 중 어느 것이든 2개가 공유하는 세선편 Ta, Tb, Tc, Td의 단부에는, 세선편 Ta, Tb, Tc가 1개씩 접속되는 접속점 CP1a, 세선편 Ta, Tc, Td가 1개씩 접속되는 접속점 CP1b, 세선편 Ta, Tb, Td가 1개씩 접속되는 접속점 CP1c 및 세선편 Tb, Tc, Td가 1개씩 접속되는 접속점 CP1d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점 CP1a, CP1b, CP1c, CP1d에 있어서는, 3개의 세선편 T의 각각이 비직선 형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접속점 CP1a, CP1b, CP1c, CP1d는, 이들 3개의 세선편 T가 대략 Y자형으로 분기하는 형상을 이룬다.
세선편 Ta, Tb, Tc가 1개씩 접속되는 접속점 CP1의 예로서, 하기를 들 수 있다. 접속점 CP1a의 하나는, 단위 패턴 U10b의 세선편 Ta3 또한 단위 패턴 U10d의 세선편 Ta6인 1개의 세선편 Ta와, 단위 패턴 U10a의 세선편 Tb1 또한 단위 패턴 U10d의 세선편 Tb6인 1개의 세선편 Tb와, 단위 패턴 U10a의 세선편 Tc2 또한 단위 패턴 U10b의 세선편 Tc3인 1개의 세선편 Tc가 접속되는 접속점이다.
세선편 Ta, Tc, Td가 1개씩 접속되는 접속점 CP1b의 예로서, 하기를 들 수 있다. 접속점 CP1b의 하나는, 단위 패턴 U10a의 세선편 Ta1 또한 단위 패턴 U10b의 세선편 Ta4인 1개의 세선편 Ta와, 단위 패턴 U10a의 세선편 Tc1 또한 단위 패턴 U10c의 세선편 Tc6인 1개의 세선편 Tc와, 단위 패턴 U10b의 세선편 Td1 또한 단위 패턴 U10c의 세선편 Td4인 1개의 세선편 Td가 접속되는 접속점이다.
세선편 Ta, Tb, Td가 1개씩 접속되는 접속점 CP1c의 예로서, 하기를 들 수 있다. 접속점 CP1c의 하나는, 단위 패턴 U10b의 세선편 Ta3 또한 단위 패턴 U10d의 세선편 Ta6인 1개의 세선편 Ta와, 단위 패턴 U10c의 세선편 Tb4 또한 단위 패턴 U10d의 세선편 Tb5인 1개의 세선편 Tb와, 단위 패턴 U10b의 세선편 Td1 또한 단위 패턴 U10c의 세선편 Td4인 1개의 세선편 Td가 접속되는 접속점이다.
세선편 Tb, Tc, Td가 1개씩 접속되는 접속점 CP1d의 예로서, 하기를 들 수 있다. 접속점 CP1d의 하나는, 단위 패턴 U10c의 세선편 Tb4 또한 단위 패턴 U10d의 세선편 Tb5인 1개의 세선편 Tb와, 단위 패턴 U10b의 세선편 Tc4 또한 단위 패턴 U10c의 세선편 Tc5인 1개의 세선편 Tc와, 단위 패턴 U10b의 세선편 Td2 또한 단위 패턴 U10d의 세선편 Td5인 1개의 세선편 Td가 접속되는 접속점이다.
도 22에 도시한 접속점 CP1a, CP1b, CP1c, CP1d는, 단위 패턴 U10a, U10b, U10c, U10d 중 어느 것이든 3개가 접하는 위치이기도 하다.
도 11 및 도 12의 예와 동일하게, 전극 패턴 PT의 단부에 있어서 단위 패턴 U10a, U10b, U10c, U10d 중 어느 것이든 복수로 공유되지 않은 세선편 Ta, Tb, Tc, Td의 단부에는, 세선편 Ta, Tb, Tc, Td 중 어느 것이든 2개가 접속된 2방향 분기의 접속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2 내지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전극 패턴 PT에 포함되는 접속점은, 주로 3방향 분기의 접속점이다. 따라서, 이들 실시 형태에 따른 전극 패턴 PT를 사용함으로써,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무아레의 발생을 방지 내지는 저감할 수 있다.
그 밖에, 제2 내지 제10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이 얻어진다.
또한, 제2 내지 제5, 제8 내지 제10 실시 형태와 같이, 복수 종류의 단위 패턴 U로 전극 패턴 PT를 구성하거나, 제3, 제4, 제6 내지 제10 실시 형태와 같이, 180°를 초과한 내각을 적어도 1개 갖는 사각형을 제외한 다각형의 윤곽 단위 패턴 U로 전극 패턴 PT를 구성하거나 함으로써, 전극 패턴 PT가 복잡한 것으로 되어, 센서 SE의 검출 성능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검출면에 있어서 공통 전극 CE와 세선편 T의 비대향 영역이 넓은 반경에 걸쳐서 확대되면, 그 부분에 있어서 이용자의 손가락 등의 근접이 검출되기 어려워지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전극 패턴 PT가 상기와 같이 복잡하면, 넓은 반경에 걸치는 비대향 영역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센서 SE의 검출 성능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0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여러 종류의 세선편 T를 사용하여 여러 종류의 단위 패턴을 구성하고, 이들 단위 패턴을 사용하여 전극 패턴 PT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접속점이 직선 형상으로 배열되기 어렵다. 이와 같은 전극 패턴 PT를 사용하여 액정 표시 장치 DSP를 구성함으로써, 표시 영역 DA와 전극 패턴 PT의 간섭에 기인한 무아레를 방지 내지는 저감하는 효과를 보다 한층 높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10 실시 형태에 있어서, 더미 전극 DR로서는, 예를 들어 각 실시 형태에 따른 전극 패턴 PT와 마찬가지의 패턴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더미 전극 DR에 있어서의 패턴을 전기적으로 플로팅 상태로 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더미 전극 DR에 포함되는 각 세선편의 단부끼리가 비접속이 되도록 상기 패턴을 형성하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 개시한 구성은, 적절히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하에, 몇 가지 변형예를 나타낸다.
(변형예 1)
표시 영역 DA에 있어서의 화소 배열의 형태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도 23을 이용하여 표시 영역 DA에 있어서의 화소 배열의 다른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3에 도시한 표시 영역 DA에 있어서는, 적색의 부화소 SPXR, 녹색의 부화소 SPXG, 청색의 부화소 SPXB가 X 방향 및 Y 방향을 따라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부화소 SPXR, SPXG, SPXB는, X 방향 및 Y 방향의 각각에 있어서, 동일한 색에 대응하는 것이 연속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1개의 단위 화소 PX는, X 방향으로 연속되는 부화소 SPXR 및 부화소 SPXG와, 이 부화소 SPXR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화소 SPXB에 의해 구성된다.
이와 같은 표시 영역 DA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이 얻어진다.
(변형예 2)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도 24를 사용하여 표시 영역 DA에 있어서의 화소 배열의 또 다른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4에 도시한 표시 영역 DA에 있어서는, 적색의 부화소 SPXR, 녹색의 부화소 SPXG, 청색의 부화소 SPXB, 백색의 부화소 SPXW가 X 방향 및 Y 방향을 따라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 표시 영역 DA는, 2종류의 단위 화소 PX1, PX2를 포함한다. 단위 화소 PX1은, X 방향으로 배열되는 부화소 SPXR, SPXG, SPXB에 의해 구성된다. 단위 화소 PX2는, X 방향으로 배열되는 부화소 SPXR, SPXG, SPXW에 의해 구성된다. 단위 화소 PX1, PX2는, X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배치된다.
또한, 단위 화소 PX1, PX2는, Y 방향에 있어서도 교대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표시 영역 DA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이 얻어진다.
변형예 2에서는 백색의 부화소를 사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백색 대신에, 예를 들어 황색의 부화소를 사용하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외에도, 상기 실시 형태 혹은 그 변형예로서 개시한 각 구성을 기초로 하여, 당업자가 적절히 설계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모든 구성도,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예를 들어, 전극 패턴 PT는 상기 실시 형태 혹은 그 변형예에서 개시한 기술 사상에 기초하여 설계된 부분을 포함하면 되며, 실제의 제품은 그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나 근소한 설계 변경에 기인하여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혹은 그 변형예에 있어서 설명한 형태에 의해 초래되는 다른 작용 효과에 대하여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명백한 것, 또는 당업자에 있어서 적절히 상도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는, 당연히 본 발명에 의해 초래되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각 실시 형태로부터 얻어지는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의 예를 이하에 부기한다.
[1] 복수의 화소가 배열된 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영역과 평행한 검출면에 배치된 도전성의 세선편으로 구성되는 전극 패턴을 갖는 상기 검출면에의 물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전극
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 패턴은, 3개의 상기 세선편의 단부가 접속되는 접속점을 포함하는,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이다.
[2] 상기 접속점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세선편 중 2개가 직선 형상으로 접속되는, 상기 [1]에 기재된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이다.
[3] 상기 접속점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세선편이 각각 비직선 형상으로 접속되는, 상기 [1]에 기재된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이다.
[4] 상기 전극 패턴은, 복수의 상기 세선편으로 닫힌 윤곽의 단위 패턴을 복수 포함하고,
인접하는 상기 단위 패턴의 윤곽은, 적어도 1개의 상기 세선편을 공유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이다.
[5] 상기 전극 패턴은, 복수의 상기 세선편으로 닫힌 윤곽의 복수 종류의 단위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종류의 단위 패턴의 윤곽은, 각각 서로 다른 형상인, 상기 [1]에 기재된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이다.
[6] 상기 접속점에 있어서, 3개의 상기 단위 패턴의 윤곽이 접하는, 상기 [4] 또는 [5]에 기재된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이다.
[7] 상기 단위 패턴의 윤곽은, 사각형을 제외한 다각형인, 상기 [4] 또는 [5]에 기재된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이다.
[8] 상기 단위 패턴의 윤곽은, 180°보다도 큰 내각을 적어도 1개 갖는 상기 [7]에 기재된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이다.
[9] 상기 검출 전극과의 사이에서 용량을 형성하는 구동 전극과,
상기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면에의 물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검출하는 검출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세선편은, 금속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 전극은, 투광성 재료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표시 영역의 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검출 전극과 다른 층에 배치되며, 유전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검출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이다.
[10]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검출 전극과의 사이에서 용량을 형성하는 공통 전극과, 상기 부화소마다 설치됨과 함께 절연막을 개재하여 상기 공통 전극과 대향하는 화소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면에의 물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검출하는 검출 회로와,
상기 부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 신호 및 상기 용량을 형성하여 상기 검출면에의 물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상기 검출 회로에 검출시키기 위한 제2 구동 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공통 전극에 공급하는 구동 회로
를 더 구비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이다.

Claims (10)

  1. 복수의 화소가 배열된 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영역과 평행한 검출면에 배치된 도전성의 세선편으로 구성되는 전극 패턴을 갖는 상기 검출면에의 물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전극
    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 패턴은, 3개의 상기 세선편의 단부가 접속되는 접속점을 포함하는,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점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세선편 중 2개가 직선 형상으로 접속되는,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점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세선편이 각각 비직선 형상으로 접속되는,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은, 복수의 상기 세선편으로 닫힌 윤곽의 단위 패턴을 복수 포함하고,
    인접하는 상기 단위 패턴의 윤곽은, 적어도 1개의 상기 세선편을 공유하는,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은, 복수의 상기 세선편으로 닫힌 윤곽의 복수 종류의 단위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종류의 단위 패턴의 윤곽은, 각각 서로 다른 형상인,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점에 있어서, 3개의 상기 단위 패턴의 윤곽이 접하는,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패턴의 윤곽은, 사각형을 제외한 다각형인,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패턴의 윤곽은, 180°보다도 큰 내각을 적어도 1개 갖는,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전극과의 사이에서 용량을 형성하는 구동 전극과,
    상기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면에의 물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검출하는 검출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세선편은, 금속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 전극은, 투광성 재료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표시 영역의 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검출 전극과 다른 층에 배치되고, 유전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검출 전극과 대향하는,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검출 전극과의 사이에서 용량을 형성하는 공통 전극과, 상기 부화소마다 설치됨과 함께 절연막을 개재하여 상기 공통 전극과 대향하는 화소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면에의 물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검출하는 검출 회로와,
    상기 부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 신호, 및 상기 용량을 형성하여 상기 검출면에의 물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상기 검출 회로에 검출시키기 위한 제2 구동 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공통 전극에 공급하는 구동 회로
    를 더 구비하는,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
KR1020150081160A 2014-06-10 2015-06-09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 KR201501418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19630A JP2015232819A (ja) 2014-06-10 2014-06-10 センサ付き表示装置
JPJP-P-2014-119630 2014-06-1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163A Division KR20180005270A (ko) 2014-06-10 2018-01-02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898A true KR20150141898A (ko) 2015-12-21

Family

ID=547695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160A KR20150141898A (ko) 2014-06-10 2015-06-09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
KR1020180000163A KR20180005270A (ko) 2014-06-10 2018-01-02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163A KR20180005270A (ko) 2014-06-10 2018-01-02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355752A1 (ko)
JP (1) JP2015232819A (ko)
KR (2) KR20150141898A (ko)
CN (1) CN105320377B (ko)
TW (1) TWI59540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389A (ko) * 2016-08-30 2018-03-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80092313A (ko) * 2017-01-03 2018-08-17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92004A1 (en) * 2013-05-16 2016-03-31 Mitsubishi Paper Mills Limited Conductive pattern and electrode pattern of single-layer capacitive touchscreen
CN104298409B (zh) * 2014-09-16 2017-05-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摸屏和显示装置
JP6646451B2 (ja) 2016-01-14 2020-02-1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カバー部材及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6539214B2 (ja) 2016-01-19 2019-07-0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センサ付き表示装置
US20170269728A1 (en) * 2016-03-15 2017-09-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hombic mesh electrode matrix having periodic electrodes
JP6903476B2 (ja) * 2017-04-20 2021-07-1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6857563B2 (ja) * 2017-07-04 2021-04-1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検出装置及び表示装置
JP6500945B2 (ja) * 2017-07-31 2019-04-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
JP2019032637A (ja) 2017-08-07 2019-02-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08415615B (zh) * 2018-04-28 2020-07-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金属网格、触摸屏和显示装置
US10990222B2 (en) * 2019-04-29 2021-04-27 Google Llc Calibration of trackpad
CN110262693B (zh) * 2019-06-21 2022-07-15 友达光电(昆山)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033B1 (ko) * 2008-02-28 2017-03-15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터치 스크린 센서
JP5174575B2 (ja) * 2008-07-31 2013-04-03 グンゼ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JP5643774B2 (ja) * 2009-02-26 2014-12-1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低視認性の重ね合わせられた微小パターンを有する、タッチスクリーンセンサ及びパターン基材
TWI407340B (zh) * 2009-12-22 2013-09-01 Au Optronics Corp 觸控顯示面板
JP5542427B2 (ja) * 2009-12-25 2014-07-0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US8717312B2 (en) * 2010-07-26 2014-05-06 Au Optronics Corporation Touch sensing device
JP5722573B2 (ja) * 2010-08-24 2015-05-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
US20120153970A1 (en) * 2010-12-21 2012-06-21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Capacitive touch sensing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reof
KR20140009287A (ko) * 2011-01-18 2014-01-22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도전성 필름 및 그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
JP2012198740A (ja) * 2011-03-22 2012-10-18 Panasonic Corp タッチパネルおよび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表示装置
US20120242606A1 (en) * 2011-03-23 2012-09-27 Synaptics Incorporated Trace design for reduced visibility in touch screen devices
JP5659073B2 (ja) * 2011-04-22 2015-01-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検出器付き表示パネル、および電子機器
JP5777094B2 (ja) * 2011-07-14 2015-09-09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センサおよび位置検出装置
JP5809475B2 (ja) * 2011-07-29 2015-11-11 三菱製紙株式会社 光透過性導電材料
KR20130027747A (ko) * 2011-09-08 2013-03-18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US9338878B2 (en) * 2011-09-13 2016-05-10 Gunze Limited Touch panel
JP5809117B2 (ja) * 2011-10-05 2015-11-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電シート、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
KR20140028468A (ko) * 2012-08-29 2014-03-10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US20160092004A1 (en) * 2013-05-16 2016-03-31 Mitsubishi Paper Mills Limited Conductive pattern and electrode pattern of single-layer capacitive touchscreen
US8736571B1 (en) * 2013-06-04 2014-05-27 Atmel Corporation Mesh design for touch sensors
TWM477620U (zh) * 2013-11-20 2014-05-01 Liyitec Inc 具視覺調和效果的觸控面板線電阻感應電極結構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389A (ko) * 2016-08-30 2018-03-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80092313A (ko) * 2017-01-03 2018-08-17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00058585A (ko) * 2017-01-03 2020-05-27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232819A (ja) 2015-12-24
CN105320377B (zh) 2018-08-07
TWI595400B (zh) 2017-08-11
US20150355752A1 (en) 2015-12-10
KR20180005270A (ko) 2018-01-15
TW201602884A (zh) 2016-01-16
CN105320377A (zh) 2016-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5270A (ko)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
US11726592B2 (en) Sensor device and sensor-equipped display device including detection electrode
KR101719058B1 (ko)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
KR101657393B1 (ko) 정전 용량형 센서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719897B1 (ko) 센서가 구비된 표시 장치 및 센서 장치
KR102170521B1 (ko)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JP2016004281A (ja) センサ付き表示装置
JP6117138B2 (ja) センサ付き表示装置
JP6446492B2 (ja) センサ付き表示装置、表示装置用の駆動回路、及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