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1115A - Led 구동 회로 - Google Patents

Led 구동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1115A
KR20150141115A KR1020140167656A KR20140167656A KR20150141115A KR 20150141115 A KR20150141115 A KR 20150141115A KR 1020140167656 A KR1020140167656 A KR 1020140167656A KR 20140167656 A KR20140167656 A KR 20140167656A KR 20150141115 A KR20150141115 A KR 20150141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voltage
circuit
switch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희
이맹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르코어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르코어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르코어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150081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1158A/ko
Publication of KR20150141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1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AC 다이렉트형 LED 구동 회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LED 구동 회로는 복수의 LED가 연결될 LED 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AC 다이렉트형 LED 구동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LED 어레이에 연결되는 복수(2이상)의 스위치들과 상기 스위치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LED 구동 전류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제어 유닛, 및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교류(AC) 전압의 정류 전압을 수신하여 상기 커패시터를 충전하고, 상기 충전된 커패시터로부터 상기 LED 어레이로 방전 전류를 공급하는 스위처블 필 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LED 구동 회로{Driving Circuit For Light Emitting Diode}
본 발명은 LED 구동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AC 전원으로 LED 조명을 직접 구동하는 AC 다이렉트형 LED 구동 회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 절약의 하나의 방안으로서 기존의 비효율적인 광원 대신 효율이 좋은 LED(Light Emitting Diode) 방식의 광원이 도입되는 추세이다.
LED 조명을 구동하는 방식에는 크게 교류(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한 후 DC 전원을 이용하여 LED를 구동하는 AC-DC 변환형 구동 방식과 교류(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지 않고 AC 전원으로 LED를 직접 구동하는 AC 다이렉트형 구동 방식이 있다.
한편, LED 조명의 품질 요소 중 하나로서 퍼센트 플리커(percent flicker) 지수가 있다. 퍼센트 플리커는 LED 조명의 플리커(깜박거림)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 중의 하나이다.
도 1은 퍼센트 플리커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퍼센트 플리커는 수학식 1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PF는 퍼센트 플리커를 나타내고, A, B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밝기의 한 싸이클 내에서 최대 밝기 값 및 최소 밝기 값을 나타낸다.
수학식 1과 같이 산출되는 퍼센트 플리커는 낮을수록 LED 조명의 품질은 향상되므로, LED 조명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플리커를 줄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LED 조명의 플리커(깜박거림)을 줄일 수 있는 AC 다이렉트형 LED 구동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인 과제는 LED 구동 회로의 칩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AC 다이렉트형 LED 구동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 회로는 복수의 LED가 연결될 LED 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AC 다이렉트형 LED 구동 회로에 관한 것으로, 상기 LED 어레이에 연결되는 복수(2이상)의 스위치들과 상기 스위치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LED 구동 전류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제어 유닛; 및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교류(AC) 전압의 정류 전압을 수신하여 상기 커패시터를 충전하고, 상기 충전된 커패시터로부터 상기 LED 어레이로 방전 전류를 공급하는 스위처블 필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유닛은 디머의 연결 유무를 자동으로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처블 필 회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퍼센트 플리커 구동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처블 필 회로는 제1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1 저항; 및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되며, 그 게이트는 상기 퍼센트 플리커 구동 회로에 연결되는 제1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제2 노드와 접지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위처블 필 회로는 상기 제2 노드와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 회로는 제1 내지 제k(k는 2이상의 정수) LED 그룹이 직렬로 연결된 LED 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AC 다이렉트형 LED 구동 회로에 관한 것으로, 상기 LED 어레이의 입력 노드와 상기 LED 어레이 사이의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LED 어레이에 연결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LED 어레이에 연결되는 m(2이상의 정수)의 다채널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다채널 스위치 회로; 상기 다채널 스위치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LED 구동 전류 제어회로; 및 교류(AC) 전압의 정류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스위치를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스위치 구동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스위치는 NMOS 트랜지스터, PMOS 트랜지스터 또는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BJT)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 회로는 제1 내지 제k(k는 2이상의 정수) LED 그룹이 직렬로 연결된 LED 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AC 다이렉트형 LED 구동 회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1 내지 제k(k는 2이상의 정수) LED 그룹의 각 출력 노드와 전압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내지 제k 다채널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다채널 스위치 회로; 및 상기 다채널 스위치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LED 구동 전류 제어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k 다채널 스위치들은 브레이크다운 전압(breakdown voltage) 종류가 2개 이상인 스위치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압 노드는 접지 전압 노드이고, AC 전원(201)에 가까운 다채널 스위치일 수록 브레이크다운 전압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 회로는 복수의 LED들이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된 LED 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AC 다이렉트형 LED 구동 회로에 관한 것으로, 상기 LED 어레이에 연결되는 복수(2이상)의 스위치들과 상기 스위치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LED 구동 전류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제어 유닛; 및 상기 복수의 LED들 사이의 노드들 중 제1 중간 노드에 연결되어 상기 LED 어레이의 제1 LED 그룹을 통해서 충전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패시터를 충전시키고, 상기 제1 LED 그룹으로 흐르는 방전 전류를 제어하는 스위치 필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 회로는, 제1 내지 제k(k는 2이상의 정수) LED 그룹이 직렬로 연결된 LED 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AC 다이렉트형 LED 구동 회로에 있어서, 상기 LED 어레이의 입력 노드와 제1 내지 제k(k는 2이상의 정수) LED 그룹 중 제p(p는 1보다 크고 k이하의 정수) LED 그룹의 전단의 중간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LED 어레이에 연결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LED 어레이에 연결되는 m(2이상의 정수)의 다채널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다채널 스위치 회로; 상기 다채널 스위치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LED 구동 전류 제어회로; 및 교류(AC) 전압의 정류 전압과 상기 LED 어레이의 턴온(turn-on)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스위치를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스위치 구동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 회로는, 복수의 LED들이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된 LED 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AC 다이렉트형 LED 구동 회로에 있어서, 상기 LED 어레이에 연결되는 복수(2이상)의 스위치들과 상기 스위치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LED 구동 전류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제어 유닛; 교류(AC) 전압의 정류 전압에 기초하여, 듀티 평균 전압을 생성하는 듀티 검출기; 및 상기 듀티 평균 전압을 듀티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LED 구동 전류 제어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기준 전압을 생성하는 기준 전압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LED 조명의 플리커(깜박거림)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THD(전고조파왜곡율, Total Harmonic Distortion)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LED 구동 회로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퍼센트 플리커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AC 다이렉트형 LED 구동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C 다이렉트형 LED 구동 시스템에서의 LED 입력 전압 및 전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LED 구동 시스템의 보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퍼센트 플리커 구동 회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디머 검출 회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9은 도 7에 도시된 디머 검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신호 파형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도 6에 도시된 LED 조명 구동 회로가 디머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와 개략적인 파형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각각 도 6에 도시된 LED 조명 구동 회로가 디머에 연결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및 개략적인 파형도이다.
도 14는 도 4에 도시된 LED 구동 시스템의 보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LED 구동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신호 파형도이다.
도 16은 도 4에 도시된 LED 구동 시스템의 보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 시스템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각각 도 18에 도시된 제1 커패시터(CC1)의 충전시 동작 및 방전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1은 도 18에 도시된 LED 구동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파형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3 및 도 24는 각각 도 18에 도시된 제1 스위치(SW1)의 온 및 오프되었을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5는 도 22에 도시된 LED 구동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파형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AC 다이렉트형 LED 구동 시스템(10)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C 다이렉트형 LED 구동 시스템(10)에서의 LED 입력 전압 및 전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LED 구동 시스템(10)은 정류기(110), LED 어레이(190), 스위치 회로(140) 및 LED 구동 전류 제어 회로(150)를 포함한다.
정류기(110)는 교류(AC) 전압(Vac)을 정류하여 출력한다. 정류기(110)로부터 출력되는 정류 전압이 도 3의 (a)에 도시된 LED 입력 전압이다.
교류(AC) 전압(Vac)은 상용 교류 전압(예컨대, 110V, 220V 등)일 수 있다.
LED 어레이(190)는 다수의 LED들(191 ~194)을 포함한다.
스위치 회로(140)는 LED 어레이(190)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스위치들(141~144)을 포함할 수 있다. LED 구동 전류 제어 회로(150)는 스위치들(141~144)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LED 어레이(190)에 흐르는 LED 구동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의 AC 다이렉트형 LED 구동 시스템(10)에서 LED 어레이(190)의 입력단에 인가되는 LED 입력 전압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의 주기적인 신호일 수 있다.
LED 어레이(190)로 입력되는 LED 입력 전류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입력 전압의 상승에 따라 계단형으로 증가하고, LED 입력 전압의 상승에 따라 계단형으로 감소하는 신호일 수 있다.
한편,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의 LED 구동 시스템(10)에서는 LED 입력 전류가 흐르지 않는 구간이 존재한다. LED 입력 전류가 흐르지 않는 구간에서는 LED 어레이(190)가 전부 오프(off)되어 LED 휘도가 0이 된다. 이에 따라, 플리커 현상이 심해진다.
즉, 도 2에 도시된 LED 구동 회로에 따르면, LED가 완전히 꺼지는 구간이 존재하므로, 퍼센트 플리커는 100%가 된다. 따라서, 도 2의 LED 구동 회로는 퍼센트 플리커 특성이 상당히 취약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 시스템(2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LED 구동 시스템(20)은 정류기(210), 스위처블 필 회로(switchable fill circuit, 220), 제어 유닛(230) 및 LED 어레이(29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LED 구동 회로는 LED 어레이(290)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로서, 좁게는 제어 유닛(230)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넓게는 LED 구동 시스템(20)에서 교류(AC) 전원(201)과 디머(도 5의 205)를 제외한 모든 회로를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정류기(210)는 교류(AC) 전원(201)로부터 교류(AC) 전압(Vac)을 수신하여 잡음 필터링 및 정류하여 정류 전압(Vrac)을 출력한다. 교류(AC) 전압(Vac)은 상용 교류 전압(예컨대, 110V, 220V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위처블 필 회로(220)는 정류 전압(Vrac)을 수신하여 LED 어레이(290)로 LED 전류를 제공한다.
LED 어레이(290)는 직렬, 병렬 혹은 직렬과 병렬이 혼합된 형태로 연결된 다수의 LED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230)은 다채널 스위치 회로(240), LED 구동 전류 제어 회로(250) 및 스위처블 필 제어회로(260)를 포함한다.
다채널 스위치 회로(240)는 LED 어레이(290)에 연결되는 m(2이상의 정수)개의 스위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LED 구동 전류 제어 회로(250)는 다채널 스위치 회로(240)의 스위치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LED 어레이(290)에 흐르는 구동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스위처블 필 제어회로(260)는 스위처블 필 회로(220)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 시스템(2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LED 구동 시스템(20')은 디머(205), 정류기(210), 스위처블 필 회로(switchable fill circuit, 220), 제어 유닛(230) 및 LED 어레이(290)를 포함한다.
도 5의 LED 구동 시스템(20')은 도 4의 LED 구동 시스템(20)과 유사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차이점 위주로 기술한다.
도 4의 LED 구동 회로는 디머(dimmer)에 연결되지 않고, 직접 AC 전원(201)으로부터 교류 전압(Vac)을 수신하여 사용하는데 반하여, 도 5의 LED 구동 회로는 디머(205)에 연결되어, 디머(205)를 통과한 디밍 교류 전압(Vdac)를 수신하여 사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디머(205)는 LED 조명의 밝기(휘도, brightness)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C 전원(201)과 정류기(2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디머(205)는 교류(AC) 전압(Vac)의 각 싸이클에서 일부분(한 싸이클을 100%라 할 때, 예컨대, 10%에 해당하는 구간)을 제거(이를 페이즈 컷이라 함)함으로써, LED 조명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의 정류기(210)는 페이즈컷 디머(205)에 의해 페이즈 컷된 교류(AC) 전압(Vdac)을 수신하여 전파 정류하여 정류 전압(Vrac)을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LED 구동 시스템(20)의 보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20A)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정류기(210)는 교류 전압(Vac)을 전파 정류하여 정류 전압(Vrac)을 생성할 수 있다. 정류기(210)는 브릿지 다이오드(bridge diode)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디머(205)가 도시되지 않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AC 전원(201)과 정류기(210)사이에 디머(205)가 구비될 수도 있다.
스위처블 필 회로(220A)는 제1 저항(R1), 커패시터(CC), 및 제1 트랜지스터(TP1)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트랜지스터(TP1)는 고전압(HV) PMOS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위처블 필 회로(220A)는 다이오드(D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이오드(D1)는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TP1)에 기생적으로 존재하는 다이오드일 수도 있고, 외장 부품으로 별도로 구비된 다이오드일 수도 있다.
제1 저항(R1)은 제1 노드(N1)와 제2 노드(N2)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커패시터(CC)는 제2 노드(N3)와 접지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P1) 역시 제1 노드(N1)와 제2 노드(N2)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제1 트랜지스터(TP1)의 게이트는 퍼센트 플리커 구동회로(26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P1)의 드레인(drain)과 소오스(source) 사이에는 외장 부품으로 다이오드(D1)가 연결되거나 제1 트랜지스터(TP1)의 기생적으로 존재하는 다이오드(D1)가 이용될 수 있다.
LED 어레이(290)는 직렬로 연결된 제1 내지 제k(2이상의 정수) LED 그룹(291-1~291-k, k는 2이상의 정수)을 포함할 수 있다. 각 LED 그룹(291-1~291-k)은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LED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의 LED들을 포함하는 경우, 하나의 LED 그룹 내에서 복수의 LED 들은 직렬, 병렬 또는 직렬과 병렬이 혼합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 유닛(230A)은 다채널 스위치 회로(240), LED 구동 전류 제어 회로(250) 및 퍼센트 플리커 구동회로(261)를 포함한다. 퍼센트 플리커 구동회로(261)는 스위처블 필 제어회로(260)의 일 실시예이다.
다채널 스위치 회로(240)는 LED 어레이(290)에 연결되는 m(2이상의 정수)개의 스위치들(241, 24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는, k는 4이고, m은 2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LED 구동 전류 제어 회로(250)는 상기 스위치들(241, 24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LED 어레이(290)에 흐르는 구동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퍼센트 플리커 구동회로(261)는 정류 전압(Vrac)에 기초하여 디머(205)의 연결 유무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제1 트랜지스터(TP1)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한다. 예컨대, 퍼센트 플리커 구동회로(261)는 디머(205)의 연결 유무를 판단하여, 디머(205)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와 디머(205)가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따라, 스위처블 필 회로(220A)가 다르게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제어 유닛(230A)은 하나의 IC(integrated Circuit) 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 트랜지스터(TP1)은 IC 칩 내에 내장될 수도 있고, 외장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6의 LED 구동 회로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퍼센트 플리커 구동 회로(261)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디머 검출 회로(31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며 도 9은 도 7에 도시된 디머 검출 회로(3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신호 파형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퍼센트 플리커 구동 회로(261)는 디머 검출 회로(Dimmer detection circuit, 310) 및 트랜지스터 제어 회로(PMOS control circuit, 320)를 포함한다.
디머 검출 회로(310)는 디머(도 5의 205)가 연결되어 있는지 유무를 검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LED 구동 회로는 AC 전원을 직접 수신할 수도 있지만, 디머(도 5의 205)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디머 검출 회로(310)는 정류 전압(Vrac)에 기초하여 디머(도 5의 205)의 유무를 자동으로 검출한다.
디머 검출 회로(310)는 듀티 검출기(duty detector, 311), 평균 전압 생성기(average voltage generator, 313) 및 비교기(315)를 포함할 수 있다.
듀티 검출기(311)는 정류 전압(Vrac)을 제1 기준 전압(Vref1)과 비교하여 듀티 검출 신호(DR)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기준 전압(Vref1)은 0 이상이고 양의 피크(peak) 전압(Vp)이하의 전압으로서, 미리 정해진 전압일 수 있다.
정류 전압(Vrac)이 제1 기준 전압(Vref1)보다 높은 경우 듀티 검출 신호(DR)이 하이 레벨(high level)을 가지고, 정류 전압(Vrac)이 제1 기준 전압(Vref1)보다 낮은 경우 듀티 검출 신호(DR)이 로우 레벨(low level)을 가질 수 있다.
평균 전압 생성기(313)는 듀티 검출 신호(DR)의 평균 레벨에 해당하는 듀티 평균 전압(Va_duty)을 생성한다.
비교기(315)는 듀티 평균 전압(Va_duty)을 듀티 기준 전압(Vref2)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디머 검출 신호(DD)로서 출력한다.
듀티 기준 전압(Vref2)은 듀티율(duty ratio)이 미리 정해진 값일 때의 듀티 평균 전압일 수 있다. 예컨대, 듀티 기준 전압(Vref2)은 듀티 검출 신호(DR)의 듀티율이 95%일 때의 듀티 평균 전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기(315)는 듀티 평균 전압(Va_duty)이 듀티 기준 전압(Vref2)보다 크면 로직 하이레벨(1)의 디머 검출 신호(DD)를 출력하고, 듀티 평균 전압(Va_duty)이 듀티 기준 전압(Vref2)보다 작으면 로직 로우레벨(0)의 디머 검출 신호(DD)를 출력할 수 있다.
듀티 검출기(311)는 듀티 평균 전압(Va_duty)이 듀티 기준 전압(Vref)보다 큰 경우, 디머에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듀티 평균 전압(Va_duty)이 듀티 기준 전압(Vref)보다 작은 경우에는 디머에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 제어 회로(320)는 디머 검출 신호(DD)를 수신하여, 트랜지스터 제어 신호(CP)를 발생하여, 제1 트랜지스터(TP1)의 게이트로 인가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트랜지스터 제어 회로(320)는 레벨 쉬프터(level shifter)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에서 교류 전압(Vac)의 한 주기(P1)가 나타나 있으며, 이후 설명의 편의상 한 주기(P1)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교류 전압(Vac)은 양의 피크(peak) 전압(Vp)과 음의 피크 전압(-Vp)을 가지는 정현파의 파형을 나타낼 수 있다. 양의 피크 전압(Vp)과 음의 피크 전압(-Vp)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디머(205)가 리딩 에지 디머로 구현된다고 가정하면, 교류 전압(Vac)의 양의 방향과 음의 방향 각각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일정 구간을 커팅할 수 있다. 다만, 실제적인 디머(205)는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양의 방향과 음의 방향의 파형을 커팅하는 각각의 일정 구간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디머(205)를 통과한 디밍 교류 전압(Vdac)의 양의 방향의 피크 전압(Vp1)과 음의 방향의 피크 전압(-Vp2)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정류기(210)는 디밍 교류 전압(Vdac)을 전파 정류하여 디밍 교류 전압(Vdac)의 정류 전압(Vrac)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정류기(210))는 브릿지 다이오드(bridge diode)로 구현될 수 있다.
정류 전압(Vrac)은 디밍 교류 전압(Vdac)을 전파 정류한 형태로 나타나며, 이에 따라 양의 방향의 교류 전압(Vac)에 따른 피크 전압(Vp1)과 음의 방향의 교류 전압(Vac)에 따른 피크 전압(Vp2)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도 6에 도시된 LED 조명 구동 회로가 디머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와 개략적인 파형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디머 검출 회로(310)의 검출 결과, 디머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트랜지스터 제어 회로(320)는 스위처블 필 회로(220A)의 제1 트랜지스터(TP1)를 오프(off)시킨다.
제1 트랜지스터(TP1)가 오프상태일 때, 제1 저항(R1)을 통하여 커패시터(CC)로 충전 경로(charging path)가 형성되어, 커패시터(CC)로 충전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제1 저항(R1)을 통하여 충전되므로, RC 시정수로 인하여 충전 시간은 느리다.
커패시터(CC)가 충전되어 제2 노드(N2)의 전압이 제1 노드(N1)의 전압보다 높아지면, 커패시터(CC)로부터 다이오드(D1)를 통하여 LED 어레이(290)로 방전 경로(discharging path)가 형성되어 방전 전류가 흐른다.
이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C 전원의 정류 전압(Vrac)가 LED 입력 전압(N2 노드의 전압)보다 큰 구간에서는 커패시터(CC)가 충전되고 충전 전류가 흐른다.
한편, 정류 전압(Vrac)이 LED 입력 전압(N2 노드의 전압)보다 작은 구간에서는 커패시터(CC)로부터 LED 어레이(290)로 방전된다. 따라서, 커패시터 충전 구간과 커패시터 방전 구간간의 LED 어레이(290)로 흐르는 구동 전류의 차이는 크지 않다. 이에 따라, LED 밝기(휘도)가 0 인 구간은 존재하지 않으며, 커패시터 충전 구간과 커패시터 방전 구간간의 밝기 차이도 크지 않다. 따라서, 퍼센트 플리커가 상당히 줄어들다.
THD(전고조파왜곡율)는 제1 저항(R1) 값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THD를 일정 값(예컨대, 30%)이하가 되도록 제1 저항(R1)의 저항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머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커패시터(CC)를 충전할 수 있는 구간이 충분하다. 따라서, 디머가 연결되어 있지 않을 때는, 제1 저항(R1)을 THD를 일정 값(예컨대, 30%)이하로 하고 퍼센트 플리커 역시 일정 값(예컨대, 10%)이하가 되도록 하는 저항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각각 도 6에 도시된 LED 조명 구동 회로가 디머에 연결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및 개략적인 파형도이다.
디머 검출 회로(310)의 검출 결과, 디머(205)가 연결되어 있으면, 트랜지스터 제어 회로(320)는 스위처블 필 회로(220A)의 제1 트랜지스터(TP1)를 온(on)시킨다.
제1 트랜지스터(TP1)가 온상태이므로, 제1 저항(R1) 및 제1 트랜지스터(TP1)를 통하여 커패시터(CC)로 충전 전류가 흐른다. 제1 트랜지스터(TP1)의 저항이 제1 저항(R1)에 비하여 작기 때문에, 충전 전류는 대부분 제1 트랜지스터(TP1)를 통하여 커패시터(CC)로 흐른다.
따라서, 제1 트랜지스터(TP1)가 오프인 경우에 비하여, 충전 시간이 빠르다.
커패시터(CC)가 충전되어 제2 노드(N2)의 전압이 제1 노드(N1)의 전압보다 높아지면, 다이오드(D1)를 통하여 LED 어레이(290)로 방전 전류가 흐른다.
디머(205)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디머(205)로 인하여 듀티율이 낮으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패시터를 충전할 수 있는 구간(TC1)이 짧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를 온(on)시켜 커패시터를 빨리 충전시킨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머(205) 출력의 정류 전압(Vrac)가 LED 입력 전압(N2 노드의 전압)보다 큰 구간에서는 커패시터(CC)가 충전되고, 정류 전압(Vrac)가 LED 입력 전압(N2)보다 작은 구간에서는 커패시터(CC)로부터 LED 어레이(290)로 방전된다.
따라서, 커패시터 충전 구간과 커패시터 방전 구간간의 LED 어레이(290)로 흐르는 구동 전류는 거의 일정하다. 이에 따라, LED 밝기(휘도)가 0 인 구간은 존재하지 않으며, 커패시터 충전 구간과 커패시터 방전 구간간의 밝기도 거의 일정하다. 따라서, 퍼센트 플리커가 상당히 낮아진다.
도 14는 도 4에 도시된 LED 구동 시스템(20)의 보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20B)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LED 구동 시스템(20B)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신호 파형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LED 구동 시스템(20B)은 정류기(210), 스위처블 필 회로(220B), 제어 유닛(230B) 및 LED 어레이(290)을 포함한다.
도 14에서는 디머(205)가 도시되지 않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AC 전원(201)과 정류기(210)사이에 디머(205)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 유닛(230B)은 다채널 스위치 회로(240), LED 구동 전류 제어 회로(250) 및 스위치 구동회로(263)를 포함한다. 스위치 구동회로(263)는 스위처블 필 제어회로(260)의 일 실시예이다.
정류기(210) 및 LED 어레이(290)는 도 6에 도시된 정류기(210) 및 LED 어레이(29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의 실시예에서, 스위처블 필 회로(220B)는 제1 노드(N1)와 제3 노드(N3) 사이에 연결되는 스위치(TP2)를 포함한다. 제1 노드(N1)는 정류기(210)의 출력 노드 또는 LED 어레이(290)의 입력 노드일 수 있다. 제3 노드(N3)는 LED 어레이(290)의 LED 어레이(290) 사이의 노드(이하, 중간 노드라 칭함)일 수 있다. LED 어레이(290) 사이의 노드(중간 노드)란 LED 어레이(290)에서 LED 어레이(290)의 입력 노드 또는 출력 노드가 아닌 노드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노드(N1)는 LED 어레이(290)의 제1 LED 그룹(291-1)의 입력과 연결되고, 제3 노드(N3)는 제1 내지 제k LED 그룹 중 제1 LED 그룹(291-1)을 제외한 나머지 LED 그룹(291-2~291-k)의 어느 하나의 입력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노드(N3)는 상기 제1 내지 제k(2이상의 정수) LED 그룹들(291-1~291-k) 중 제j LED 그룹(191-j)의 입력과 연결된다. 이 때, j는 2 이상 k 이하의 정수이다. 그리고, 제j LED 그룹과 제(j-1) LED 그룹 사이에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도 14의 실시예에서는, k는 4이고, 제3 노드(N3)는 제3 LED 그룹(291-3)의 입력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TP2)는 고전압(HV) PMOS 트랜지스터(이하, PMOS 트랜지스터(TP2)를 제2 트랜지스터(TP2)라 함)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스위치(TP2)는 NMOS 트랜지스터 또는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BJT)로 구현될 수 있다.
스위치 구동회로(263)는 정류 전압(Vrac)에 기초하여 제2 트랜지스터(TP2)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한다.
스위치 구동회로(263)는 정류 전압(Vrac)이 스위칭 기준 전압(Vref3) 보다 크면 제2 트랜지스터(TP2)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TP2)가 오프(off) 상태이면, 제1 내지 제4 LED 그룹(291-1~291-4) 중 전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스위치(TP2)가 연결된 노드, 즉 제3 노드(N3) 이전의 제1 내지 제2 LED 그룹(291-1, 291-2)는 동작하고, 제3 노드(N3) 이후의 제3 내지 제4 LED 그룹(291-3, 291-4) 중 적어도 하나는 동작한다.
한편, 정류 전압(Vrac)이 스위칭 기준 전압(Vref3) 보다 작으면 스위치 구동회로(263)는 제2 트랜지스터(TP2)를 온(on)시킬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TP2)가 온(on) 상태이면, 전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제3 노드(N3) 이전의 제1 내지 제2 LED 그룹(291-1, 291-2)는 동작하지 않고, 제3 노드(N3) 이후의 제3 내지 제4 LED 그룹(291-3, 291-4) 중 적어도 하나는 동작한다.
스위칭 기준 전압(Vref2)은 교류 전압(Vac)의 피크 전압(Vp)의 1/2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간 1에서는 제2 트랜지스터(TP2)는 온(on)되고, 제3 LED 그룹용 스위치(241)가 턴온된다. 이에 따라, LED 구동 전류는 AC 전원(201), 제2 트랜지스터(TP2), 제3 LED 그룹(291-3) 및 제3 LED 그룹용 스위치(241)를 통해 그라운드로 흐른다.
구간 2에서는, 제2 트랜지스터(TP2)는 온(on)되고, 제3 LED 그룹용 스위치(241)는 턴오프되며, 제4 LED 그룹용 스위치(242)는 턴온된다. 이에 따라, LED 구동 전류는 AC 전원(201), 제2 트랜지스터(TP2), 제3 LED 그룹(291-3), 제4 LED 그룹(291-4) 및 제4 LED 그룹용 스위치(242)를 통해 그라운드로 흐른다.
구간 3에서는, 제2 트랜지스터(TP2)는 오프(off)되고, 제3 LED 그룹용 스위치(241)는 턴온된다. 이에 따라, LED 구동 전류는 AC 전원(201), 제1 LED 그룹 내지 제3 LED 그룹(291-1~291-3) 및 제3 LED 그룹용 스위치(241)를 통해 그라운드로 흐른다.
구간 4에서는, 제2 트랜지스터(TP2)는 오프(off)되고, 제3 LED 그룹용 스위치(241)는 턴오프되며, 제4 LED 그룹용 스위치(242)는 턴온된다. 이에 따라, LED 구동 전류는 AC 전원(201), 제1 LED 그룹 내지 제4 LED 그룹(291-1~291-4) 및 제4 LED 그룹용 스위치(242)를 통해 그라운드로 흐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LED 어레이(290)의 입력 노드(N1)와 중간 노드(N3) 사이에, 정류 전압(Vrac)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스위치(TP2)를 구비함으로써, 다채널 스위치(241, 242)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의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LED 구동 시스템에서는 스위치 회로(140)는 각 LED 그룹(191~194)의 출력 노드에 연결되는 스위치를 필요로 한다. LED 그룹(191~194)의 수에 따라 스위치(141~144)의 수도 결정되며, 따라서, 많은 수의 스위치가 필요하다.
반면, 도 14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 LED 그룹(191~194)의 출력 노드 마다 다채널 스위치(241, 242)가 연결될 필요가 없다. 예컨대, 제3 노드(N3) 이후의 LED 그룹들, 예컨대, 제3 내지 제4 LED 그룹(291-3, 291-4)의 출력 노드 각각에만 다채널 스위치(241, 242)가 연결되면 되고, 제3 노드(N3) 이전의 LED 그룹들, 즉 제1 내지 제2 LED 그룹(291-1, 291-2)의 각 출력 노드와 접지 사이에는 다채널 스위치가 연결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다채널 스위치(241, 242)의 수가 1/2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LED 구동 회로의 IC 칩 사이즈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6은 도 4에 도시된 LED 구동 시스템(20)의 보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20C)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LED 구동 시스템(20C)은 정류기(210), 스위처블 필 회로(220C), 제어 유닛(230C) 및 LED 어레이(290)을 포함한다.
도 16에서는 디머(205)가 도시되지 않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AC 전원(201)과 정류기(210)사이에 디머(205)가 구비될 수 있다.
스위처블 필 회로(220C)는 도 6에 도시된 스위처블 필 회로(220A)와 도 14에 도시된 스위처블 필 회로(220B)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어 유닛(230C) 역시 퍼센트 플리커 구동회로(261) 및 스위치 구동회로(263)를 모두 포함한다. 퍼센트 플리커 구동회로(261) 및 스위치 구동회로(263)는 스위처블 필 제어회로(260)의 일 실시예이다.
상기 차이점 외에 LED 구동 시스템(20C)의 구성 및 동작은 도 6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 시스템(30)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LED 구동 시스템(30)은 정류기(210), 제어 유닛(330) 및 LED 어레이(290)를 포함한다.
도 17에서는 디머(205)가 도시되지 않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AC 전원(201)과 정류기(210)사이에 디머(205)가 구비될 수 있다.
정류기(210) 및 LED 어레이(29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 유닛(330)은 다채널 스위치 회로(340), 및 LED 구동 전류 제어 회로(350)를 포함한다.
다채널 스위치 회로(340)는 LED 어레이(290)에 연결되는 m(2이상의 정수)개의 스위치들(341~34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의 실시예에서는, 다채널 스위치 회로(340)는 각 LED 그룹(291~294)의 출력 노드와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내지 제4 다채널 스위치(341~344)를 포함한다. 따라서, k와 m은 동일하게 4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채널 스위치 회로(340)는, 브레이크다운 전압(BV: breakdown voltage) 종류가 2개 이상인 스위치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다채널 스위치 회로(340)는 BV가 서로 다른 스위치들(341~344)을 사용한다. AC 전원(201)에서 LED 전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갈 수록 BV가 작은 스위치가 사용된다.
예컨대, 제1 다채널 스위치(341)의 BV는 제2 다채널 스위치(342)의 BV 보다 크고, 제2 다채널 스위치(342)의 BV는 제3 스위치(343)의 BV 보다 크며, 제3 다채널 스위치(343)의 BV는 제4 다채널 스위치(344)의 BV 보다 크다.
제1 내지 제4 다채널 스위치(341~344)는 각각 NMOS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위치의 BV가 작으면 셀 피치(cell pitch, source에서 drain까지 size)가 감소하기 때문에 칩 사이즈가 감소한다. 따라서, LED 구동 회로의 사이즈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 도 6, 및 도 18을 참조하면, LED 구동 시스템(30)은 정류기(210), 스위치 필 회로(switch fill circuit, 300), 제어 유닛(230D) 및 LED 어레이(290)를 포함한다. 정류기(210), 및 LED 어레이(29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정류기(210), 및 LED 어레이(29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스위치 필 회로(300)는 제1 다이오드(DD1), 제2 다이오드(DD2), 제3 다이오드(DD3), 및 제1 커패시터(CC1)를 포함한다. 스위치 필 회로(300)는 제어 유닛(230D)과 하나의 IC 칩으로 구현될 수 있고, 외장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1 다이오드(DD1)는 제1 중간 노드(ND1)와 제1 커패시터(CC1) 사이에 연결되고, 제1 커패시터(CC1)에서 제1 중간 노드(ND1)로의 방전 전류(discharging current)를 방지한다.
제2 다이오드(DD2)는 입력 노드(IN)와 제1 커패시터(CC1) 사이에 연결되고, 제1 커패시터(CC1)에서 제1 LED 그룹(291-1)으로 방전 경로를 형성시켜준다. 제3 다이오드(DD3)는 제1 커패시터(CC1)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고, 제1 커패시터(CC1)의 방전시 방전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전류 경로를 제공한다. 제3 다이오드(DD3)의 등가 저항은 트랜지스터(310)의 등가 저항보다 낮을 수 있다.
제어 유닛(230D)은 다채널 스위치 회로(240), 및 LED 구동 전류 제어 회로(250) 외에 트랜지스터(310), 및 트랜지스터 구동 회로(320)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310)는 트랜지스터 구동 회로(320)의 제어에 따라 제1 커패시터(CC1)의 충전시 충전 전류를 흐르도록 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 구동 회로(320)는 상기 충전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접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 구동 회로(320)는 커패시터(CC1)의 충전 여부를 검출(예컨대, 충전 전압(Vcap)과 제1 중간 노드(MN1)의 전압을 비교)하여 충전시에만 트랜지스터(310)가 턴온(turn-on)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트랜지스터 구동 회로(320)는 모든 시간에서 트랜지스터(310)가 턴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이 경우 제3 다이오드(DD3)의 등가 저항은 트랜지스터(310)의 등가 저항보다 낮으므로 방전 전류는 제3 다이오드(DD3)를 통해 흐르게 된다.
도 19 및 도 20은 각각 도 18에 도시된 제1 커패시터(CC1)의 충전시 동작 및 방전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1은 도 18에 도시된 LED 구동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파형도이다.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도 18에서 제1 중간 노드(MN1)의 전압은 입력 노드(IN)의 전압에서 제1 LED 그룹(291-1)의 턴온 전압을 감산한 전압에 해당한다.
제1 중간 노드(MN1)의 전압이 제1 커패시터(CC1)의 충전 전압(Vcap)보다 높을 경우, 제1 중간 노드(MN1)로부터 제1 커패시터(CC1)로 제1 전류(I1)가 흐르게 된다. 제1 전류(I1)는 트랜지스터(310)를 거쳐 트랜지스터 구동 회로(320)로 흐르게 된다. 제1 전류(I1)는 제1 커패시터(CC1)의 충전 전류에 해당한다.
제1 중간 노드(MN1)의 전압이 제2 내지 제4 LED 그룹(291-2~291-4)의 턴온 전압보다 높을 경우, 제4 LED 그룹용 스위치(242)가 턴온되어 제2 전류(I2)가 제2 내지 제4 LED 그룹(291-2~291-4), 및 제4 LED 그룹용 스위치(242)를 통해 흐를 수 있다. 도 19에는 제2 전류(I2)가 제4 LED 그룹용 스위치(242)를 통해 흐르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 중간 노드(MN1)의 전압에 따라 제2 또는 제3 LED 그룹용 스위치(242)가 턴온될 수도 있다.
도 20에서, 제1 중간 노드(MN1)의 전압이 제1 커패시터(CC1)의 충전 전압(Vcap)보다 낮을 경우, 제1 커패시터(CC1)로부터 입력 노드(IN)로 제3 전류(I3)가 흐르게 된다. 즉, 제1 커패시터(CC1)의 충전 전압(Vcap)이 입력 전압(Vin)보다 높을 경우, 제3 전류(I3)를 통해 제1 커패시터(CC1)의 충전 전압(Vcap)이 입력 노드(IN)의 전압 레벨을 높이게 된다.
입력 노드(MN1)의 전압에 따라 제1 내지 제4 LED 그룹(291-2~291-4) 중 적어도 하나가 턴온될 수 있다.
즉, 제1 LED 그룹(291-1)을 턴온시킨 전류인 제1 전류(I1)를 이용해 제1 커패시터(CC1)가 충전될 수 있고, 충전 전압(Vcap)에 비해 입력 전압(Vin)이 감소할 경우 충전 전압(Vcap)이 입력 노드(IN)의 전압을 상승 시킴으로써 제1 내지 제4 LED 그룹(291-2~291-4) 중 적어도 하나를 턴온시킬 수 있다.
도 21에서와 같이 제1 중간 노드(MN1)의 전압이 제1 커패시터(CC1)의 충전 전압(Vcap)보다 높은 충전 구간(A 구간)에서는 제1 중간 노드(MN1)로부터 제1 커패시터(CC1)로 제1 전류(I1)가 흘러 제1 커패시터(CC1)를 충전시킨다.
제1 커패시터(CC1)의 충전 전압(Vcap)이 입력 노드(IN)의 전압보다 높은 방전 구간(B 구간)에서는 제1 커패시터(CC1)로부터 입력 노드(IN)로 제3 전류(I3)가 흘러 입력 전압(Vin)의 하강 속도를 낮출 수 있다.
스위치 필 회로(300)가 연결되지 않았다고 가정하면, 입력 전압(Vin)은 정류 전압(Vrac)이 B 구간에서 하강함에 따라 0V까지 동일하게 하강된다. 그러나, 스위치 필 회로(300)가 제1 커패시터(CC1)의 충전 전압(Vcap)이 입력 전압(Vin)의 하강을 방지하여, 도 21에서는 B 구간에서도 제1 내지 제3 LED 그룹(191-1~191-3)이 턴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B 구간에서 스위치 필 회로(300)가 연결되지 않을 경우 제1 내지 제4 LED 그룹(191-1~191-4)이 단계적으로 모두 턴오프되어 플리커 현상이 심해질 수 있으나, 스위치 필 회로(300)로 인해 B 구간에서도 제1 내지 제3 LED 그룹(191-1~191-3)이 턴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플리커 현상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B 구간에서 입력 전압(Vin)의 하강 기울기는 제1 커패시터(CC1)의 축적 용량에 의존하며, 상기 축적 용량이 클수록 플리커 현상이 감소되나 IC 칩의 사이즈가 커지게 되므로, 설계 목적에 부합하는 축적 용량을 가진 제1 커패시터(CC1)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 도 18, 및 도 22를 참조하면, LED 구동 시스템(40)은 디머(205), 정류기(210), 제1 스위치(SW1), 제어 유닛(230E) 및 LED 어레이(290')를 포함한다. 디머(205), 및 정류기(210) 는 도 5에 도시된 디머(205), 및 정류기(210) 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디머(205)는 AC 전원(201)과 정류기(210)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교류(AC) 전압(Vac)의 각 싸이클에서 일부분을 제거(또는 페이즈 컷)함으로써, LED 조명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스위치(SW1)는 입력 노드(IN)와 LED 어레이(290')의 제2 중간 노드(MN2) 사이에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스위치(SW1)는 입력 노드(IN)와 제1 중간 노드(MN1) 또는 제3 중간 노드(MN3) 사이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25에 도시된 제2 전압(V2)은 다른 전압(예컨대, 제1 중간 노드(MN1)에 연결될 경우 제2 내지 제4 LED 그룹(291-2~291-4)의 턴온 전압)으로 변경될 수 있다.
제1 스위치(SW1)는 고전압(HV) PMOS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 스위치(SW1)는 NMOS 트랜지스터 또는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BJT)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위치(SW1)는 제어 유닛(230E)과 하나의 IC 칩으로 구현될 수 있고, 외장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어 유닛(230E)은 다채널 스위치 회로(240), 및 LED 구동 전류 제어 회로(250) 외에 스위치 구동 제어 회로(410)를 포함한다.
스위치 구동 제어 회로(410)는 교류(AC) 전압의 정류 전압(Vrac)과 LED 어레이(290')의 턴온 전압에 기초하여, 제1 스위치(SW1)를 온(on) 또는 오프(off)시킬 수 있다. 여기서, LED 어레이(290')의 턴온 전압은 제1 내지 제4 LED 그룹(291-1~291-4)을 모두 턴온시킬 수 있는 전압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 구동 제어 회로(410)는 정류 전압(Vrac)과 LED 어레이(290')의 턴온 전압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스위치(SW1)를 제어한다. 정류 전압(Vrac)이 LED 어레이(290')의 턴온 전압보다 낮을 경우, 스위치 구동 제어 회로(410)는 제1 스위치(SW1)를 턴온시킬 수 있다.
정류 전압(Vrac)이 LED 어레이(290')의 턴온 전압보다 높을 경우, 스위치 구동 제어 회로(410)는 제1 스위치(SW1)를 턴오프시킬 수 있다.
LED 어레이(290')는 제2 LED 그룹(291-2)과 제3 LED 그룹(291-3) 사이에 연결되어 제1 스위치(SW1)로부터 제2 LED 그룹용 스위치(243)로 흐르는 전류를 흐름을 방지하는 제4 다이오드(DD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류 전압(Vrac)이 제1 내지 제2 LED 그룹(291-1~291-2)의 턴온 전압보다 낮을 경우, LED 구동 전류 제어 회로(250)는 제1 내지 제4 LED 그룹용 스위치(244, 243, 241, 242)를 전부 오프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LED 구동 시스템(40)은 도 18에 도시된 스위치 필 회로(300), 트랜지스터(310), 및 트랜지스터 구동 회로(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LED 그룹용 스위치(244)는 생략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LED 구동 시스템(40)은 듀티 검출 회로(510), 및 기준 전압 제어 회로(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는 각각 도 18에 도시된 제1 스위치(SW1)의 온 및 오프되었을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5는 도 22에 도시된 LED 구동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파형도이다.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도 23에서 정류 전압(Vrac)이 LED 어레이(290')의 턴온 전압보다 높을 경우, 스위치 구동 제어 회로(410)는 제1 스위치(SW1)를 턴오프시킨다.
제1 스위치(SW1)가 턴오프되면, 제1 스위치(SW1)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류 전압(Vrac)가 LED 어레이(290')의 턴온 전압보다 높음에 따라, 제4 LED 그룹용 스위치(242)가 턴온되어 제5 전류(I5)가 제1 내지 제4 LED 그룹(291-1~291-4), 및 제4 LED 그룹용 스위치(242)를 통해 흐를 수 있다.
도 24에서 정류 전압(Vrac)이 LED 어레이(290')의 턴온 전압보다 낮을 경우, 스위치 구동 제어 회로(410)는 제1 스위치(SW1)를 턴온시킨다.
제1 스위치(SW1)가 턴온되면, 제2 LED 그룹용 스위치(243)가 턴온되어 제6 전류(I6)가 제1 및 제2 LED 그룹(291-1, 291-2), 및 제2 LED 그룹용 스위치(243)를 통해 흐를 수 있다.
또한, 턴온된 제1 스위치(SW1)를 통해 흐르는 제7 전류(I7)는 제4 다이오드(DD4)로 인해 제2 LED 그룹용 스위치(243) 방향으로 흐르지 않고, 제4 LED 그룹용 스위치(242)가 턴온되어 제7 전류(I7)가 제3 및 제4 LED 그룹(291-3, 291-4), 및 제4 LED 그룹용 스위치(242)를 통해 흐를 수 있다.
즉, 턴온된 제1 스위치(SW1)가 연결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정류 전압(Vrac)이 LED 어레이(290')의 턴온 전압보다 낮으므로 제3 및 제4 LED 그룹(291-3, 291-4) 또는 제4 LED 그룹(291-3, 291-4)이 턴오프된다.
그러나, 턴온된 제1 스위치(SW1)로 인해 입력 노드(IN)로부터 제2 중간 노드(MN2)로의 직접적인 전류 경로가 존재하게 되어, 정류 전압(Vrac)이 제3 및 제4 LED 그룹(291-3, 291-4)의 턴온 전압(제1 및 제2 LED 그룹(291-1, 291-2)의 턴온 전압과 같다고 가정함)보다 높은 이상 제3 및 제4 LED 그룹(291-3, 291-4)도 턴온될 수 있다.
도 25에서와 같이 정류 전압(Vrac)은 디머(205)의 페이즈 컷 동작에 의해, 디머 오프 구간(Dimmer Off)과 디머 온 구간(Dimmer On)을 갖는다. 즉, 정류 전압(Vrac)은 원래의 정류 전압 파형에서 디머 오프 구간(Dimmer Off)이 제거된 파형을 갖는다.
디머 온 구간(Dimmer On)이 시작되는 시점(t0)부터 시점(t1)까지, 정류 전압(Vrac)은 LED 어레이(290')의 턴온 전압인 제1 전압(V1)보다 높으므로, 제1 스위치(SW1)는 턴오프되어 제5 전류(I5)가 제1 내지 제4 LED 그룹(291-1~291-4), 및 제4 LED 그룹용 스위치(242)를 통해 흐른다.
시점(t1)부터 시점(t2)까지, 정류 전압(Vrac)은 LED 어레이(290')의 턴온 전압인 제1 전압(V1)보다 낮으나 제1 및 제2 LED 그룹(291-1, 291-2)의 턴온 전압인 제2 전압(V2)보다는 높다. 따라서, 제1 스위치(SW1)는 턴온되어 제6 전류(I6) 또는 제7 전류(I7)가 제1 내지 제4 LED 그룹(291-1~291-4)을 통해 흐른다.
시점(t2)부터 시점(t3)까지, 정류 전압(Vrac)은 제2 전압(V2)보다도 낮으므로, LED 구동 전류 제어 회로(250)는 제1 내지 제4 LED 그룹용 스위치(244, 243, 241, 242)를 전부 오프시켜, 제1 내지 제4 LED 그룹(291-1~291-4)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시점(t4)에서 시점(t7)까지의 LED 구동 시스템(40)의 동작은 시점(t0)에서 시점(t3)까지의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LED 구동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7, 도 9, 도 18, 도 22,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LED 구동 시스템(50)은 디머(205), 정류기(210), 스위치 필 회로(300), 제어 유닛(230F) 및 LED 어레이(290)를 포함한다. 디머(205), 정류기(210), 및 LED 어레이(290)는 도 22에 도시된 디머(205), 정류기(210), 및 도 18에 도시된 LED 어레이(29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스위치 필 회로(300), 트랜지스터(310), 및 트랜지스터 구동 회로(320)는 도 18에 도시된 구성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어 유닛(230F)은 다채널 스위치 회로(240), LED 구동 전류 제어 회로(250), 트랜지스터(310), 및 트랜지스터 구동 회로(320) 외에 듀티 검출 회로(510), 및 기준 전압 제어 회로(520)를 포함한다.
듀티 검출기(510)는 교류(AC) 전압의 정류 전압(Vrac)에 기초하여, 듀티 평균 전압(va_duty)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듀티 검출기(510)는 정류 전압(Vrac)을 제1 기준 전압(Vref1)과 비교하여 듀티 검출 신호(DR)를 생성하는 듀티 검출기(311), 및 듀티 검출 신호(DR)의 평균 레벨에 해당하는 듀티 평균 전압(Va_duty)을 생성하는 평균 전압 생성기(31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듀티 검출기(510)는 도 8에 도시된 듀티 검출기(311)와 평균 전압 생성기(31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기준 전압 제어 회로(520)는 듀티 평균 전압(Va_duty)을 제3 듀티 기준 전압(Vref3)과 비교하여, LED 구동 전류 제어회로(250)를 제어하기 위한 기준 전압(RV)을 생성한다. 제3 듀티 기준 전압(Vref3)은 도 27의 제1 듀티(DT1)에 해당된다.
구체적으로, 기준 전압 제어 회로(520)는 듀티 평균 전압(Va_duty)이 제3 듀티 기준 전압(Vref3)보다 낮을 경우, 도 27의 제1 기울기(GR1)를 가지는 직선에 해당하는 LED 어레이(290)의 LED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는 기준 전압(RV)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기준 전압 제어 회로(520)는 듀티 평균 전압(Va_duty)이 제3 듀티 기준 전압(Vref3)보다 높을 경우, 도 27의 제2 기울기(GR2)를 가지는 직선에 해당하는 LED 어레이(290)의 LED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는 기준 전압(RV)을 생성할 수 있다.
LED 구동 전류 제어 회로(250)는 LED 어레이(290)의 LED 전류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LED 전류가 적을수록 LED 어레이(290)의 휘도는 낮아질 수 있으나 입력 전압(Vin) 대비 턴온되는 LED 그룹의 개수는 증가될 수 있다. 예컨대, 입력 전압(Vin)이 제1 내지 제3 LED 그룹(291-1~291-3)의 턴온 전압보다는 크고, 제1 내지 제4 LED 그룹(291-1~291-4)의 턴온 전압보다는 작을 때, 상기 LED 전류의 크기를 낮춤으로 인해 3개가 아닌 4개의 LED 그룹이 턴온될 수 있다.
도 27에서, 만일 디머(205)의 동작으로 인해 정류 전압(Vrac)에서 페이즈 컷되는 구간이 길거나, 스위치 필 회로(300)의 제1 커패시터(CC1)의 축적 용량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도 21의 B 구간과 같은 방전 구간에서 급격한 기울기로 입력 전압(Vin)이 감소하게 된다. 이 경우, 도 27에 도시된 일반적인 듀티와 LED 전류의 관계에 따른 직선에 따라 LED 전류가 공급될 경우, 제1 내지 제4 LED 그룹(291-1~291-4) 중 일부 그룹(예컨대, 291-4)이 턴오프될 수 있다(LED 부분 점등).
그러나, LED 구동 전류 제어 회로(250)가 기준 전압(RV)에 따라, 제3 듀티 기준 전압(Vref3)에 대응하는 제1 듀티(DT1)의 이하의 듀티에서는 제1 기울기(GR1)에 따른 LED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고, 제1 듀티(DT1)의 이상의 듀티에서는 제2 기울기(GR2)에 따른 LED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할 경우, 제1 내지 제4 LED 그룹(291-1~291-4)이 전부 턴온될 수 있다. 물론, 제1 내지 제4 LED 그룹(291-1~291-4)의 휘도는 감소할 수 있으나, 턴오프되는 그룹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플리커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
제3 듀티 기준 전압(Vref3), 제1 기울기(GR1), 및 제2 기울기(GR2)는 제1 내지 제4 LED 그룹(291-1~291-4)의 턴온 전압을 고려하여, 턴오프되는 그룹이 발생하지 않도록 실험적으로 결정되는 값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LED 구동 시스템(50)은 도 22에 도시된 제1 스위치(SW1), 및 스위치 구동 제어 회로(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LED 구동 시스템: 10, 20, 20A, 20B, 30, 40, 50
디머: 205
정류기: 210
스위처블 필 회로: 220, 220A, 220B, 220C
제어 유닛: 230, 230A, 230B, 230C, 330
LED 어레이: 190, 290
다채널 스위치 회로: 240, 340
LED 구동 전류 제어 회로: 250, 350
스위처블 필 제어회로: 260
퍼센트 플리커 구동회로: 261
스위치 구동회로: 263

Claims (24)

  1. 복수의 LED가 연결될 LED 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AC 다이렉트형 LED 구동 회로에 있어서,
    상기 LED 어레이에 연결되는 복수(2이상)의 스위치들과 상기 스위치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LED 구동 전류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제어 유닛; 및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교류(AC) 전압의 정류 전압을 수신하여 상기 커패시터를 충전하고, 상기 충전된 커패시터로부터 상기 LED 어레이로 방전 전류를 공급하는 스위처블 필 회로를 포함하는 LED 구동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디머의 연결 유무를 자동으로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처블 필 회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퍼센트 플리커 구동 회로를 더 포함하는 LED 구동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처블 필 회로는
    제1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1 저항; 및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되며, 그 게이트는 상기 퍼센트 플리커 구동 회로에 연결되는 제1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제2 노드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LED 구동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처블 필 회로는
    상기 제2 노드와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LED 구동 회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퍼센트 플리커 구동 회로는
    상기 정류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디머의 연결 유무를 검출하는 디머 검출 회로; 및
    상기 디머 검출 회로의 검출 결과, 상기 디머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스위처블 필 회로의 제1 트랜지스터를 오프(off)시키고 저항을 통해 상기 커패시터를 충전시키고, 상기 디머 검출 회로의 검출 결과, 상기 디머가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스위처블 필 회로의 제1 트랜지스터를 온(on)시켜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를 통해서 상기 커패시터를 충전시키는 트랜지스터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LED 구동 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머 검출 회로는
    상기 정류 전압을 제1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듀티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듀티 검출기; 및
    상기 듀티 검출 신호의 평균 레벨에 해당하는 듀티 평균 전압을 생성하는 평균 전압 생성기; 및
    상기 듀티 평균 전압을 듀티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디머 검출 신호로서 출력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LED 구동 회로.
  7. 제1 내지 제k(k는 2이상의 정수) LED 그룹이 직렬로 연결된 LED 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AC 다이렉트형 LED 구동 회로에 있어서,
    상기 LED 어레이의 입력 노드와 상기 LED 어레이 사이의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LED 어레이에 연결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LED 어레이에 연결되는 m(2이상의 정수)의 다채널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다채널 스위치 회로;
    상기 다채널 스위치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LED 구동 전류 제어회로; 및
    교류(AC) 전압의 정류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스위치를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스위치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LED 구동 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는
    NMOS 트랜지스터, PMOS 트랜지스터 또는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BJT)로 구현되는 LED 구동 회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구동회로는
    상기 정류 전압이 스위칭 기준 전압 보다 크면 상기 제1 스위치를 오프(off)시키고,
    상기 정류 전압이 상기 스위칭 기준 전압 보다 작으면 상기 제1 스위치를 온(on)시키는 LED 구동 회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m(2이상의 정수)의 다채널 스위치들은
    상기 제1 내지 제k(k는 2이상의 정수) LED 그룹 중 전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스위치가 연결된 노드 이후의 LED 그룹의 각 출력 노드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내지 제k(k는 2이상의 정수) LED 그룹 중 전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스위치가 연결된 노드 이전의 LED 그룹의 각 출력 노드와 접지 사이에는 연결되지 않는 LED 구동 회로.
  11. 제1 내지 제k(k는 2이상의 정수) LED 그룹이 직렬로 연결된 LED 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AC 다이렉트형 LED 구동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k(k는 2이상의 정수) LED 그룹의 각 출력 노드와 전압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내지 제k 다채널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다채널 스위치 회로; 및
    상기 다채널 스위치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LED 구동 전류 제어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k 다채널 스위치들은 브레이크다운 전압(breakdown voltage) 종류가 2개 이상인 스위치들로 구성되는 LED 구동 회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노드는 접지 전압 노드이고,
    AC 전원에 가까운 다채널 스위치일수록 브레이크다운 전압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 회로.
  13. 복수의 LED들이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된 LED 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AC 다이렉트형 LED 구동 회로에 있어서,
    상기 LED 어레이에 연결되는 복수(2이상)의 스위치들과 상기 스위치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LED 구동 전류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제어 유닛; 및
    상기 복수의 LED들 사이의 노드들 중 제1 중간 노드에 연결되어 상기 LED 어레이의 제1 LED 그룹을 통해서 충전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패시터를 충전시키고, 상기 제1 LED 그룹으로 흐르는 방전 전류를 제어하는 스위치 필 회로를 포함하는 LED 구동 회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커패시터의 충전시 트랜지스터를 통해 상기 커패시터를 충전시키는 충전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LED 구동 회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필 회로는
    상기 커패시터를 충전시키는 충전 전류가 상기 제1 LED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의 방향으로 흐르는 역류를 방지하는 제1 다이오드;
    상기 제1 LED 그룹의 애노드에 연결되어 방전 전류 경로를 형성해 주는 제2 다이오드; 및
    상기 커패시터와 접지에 연결되는 제3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LED 구동 회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필 회로는 상기 커패시터 및 상기 커패시터와 접지에 연결하는 제3 다이오드만을 포함하는 LED 구동 회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 노드의 전압이 상기 커패시터의 충전 전압보다 높을 경우, 상기 커패시터는 충전되고,
    상기 충전 전압이 상기 LED 어레이의 입력 노드의 전압보다 높을 경우, 상기 커패시터는 방전되는 LED 구동 회로.
  18. 제1 내지 제k(k는 2이상의 정수) LED 그룹이 직렬로 연결된 LED 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AC 다이렉트형 LED 구동 회로에 있어서,
    상기 LED 어레이의 입력 노드와 제1 내지 제k(k는 2이상의 정수) LED 그룹 중 제p(p는 1보다 크고 k이하의 정수) LED 그룹의 전단의 중간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LED 어레이에 연결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LED 어레이에 연결되는 m(2이상의 정수)의 다채널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다채널 스위치 회로;
    상기 다채널 스위치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LED 구동 전류 제어회로; 및
    교류(AC) 전압의 정류 전압과 상기 LED 어레이의 턴온(turn-on)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스위치를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스위치 구동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LED 구동 회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구동 제어 회로는,
    상기 정류 전압이 상기 턴온 전압보다 낮을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를 온시키고,
    상기 정류 전압이 상기 턴온 전압보다 높을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LED 구동 회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LED 구동 제어회로는,
    상기 정류 전압이 상기 제1 LED 그룹 내지 제(p-1) LED 그룹의 턴온 전압보다 낮을 경우 상기 다채널 스위치들 전부를 오프시키는 LED 구동 회로.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LED 어레이는,
    상기 제p LED 그룹과 제(p-1) LED 그룹 사이에 연결되는 제4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LED 구동 회로.
  22. 복수의 LED들이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된 LED 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AC 다이렉트형 LED 구동 회로에 있어서,
    상기 LED 어레이에 연결되는 복수(2이상)의 스위치들과 상기 스위치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LED 구동 전류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제어 유닛;
    교류(AC) 전압의 정류 전압에 기초하여, 듀티 평균 전압을 생성하는 듀티 검출기; 및
    상기 듀티 평균 전압을 듀티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LED 구동 전류 제어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기준 전압을 생성하는 기준 전압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LED 구동 회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듀티 검출기는,
    상기 정류 전압을 제1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듀티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듀티 검출기; 및
    상기 듀티 검출 신호의 평균 레벨에 해당하는 상기 듀티 평균 전압을 생성하는 평균 전압 생성기를 포함하는 LED 구동 회로.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LED 구동 전류 제어 회로는 상기 기준 전압에 따라, 특정 듀티 이하의 듀티에서는 제1 기울기에 따른 LED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고, 상기 특정 듀티 이상의 듀티에서는 제2 기울기에 따른 LED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기울기는 상기 제2 기울기보다 작은 LED 구동 회로.
KR1020140167656A 2014-06-09 2014-11-27 Led 구동 회로 KR201501411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441A KR20150141158A (ko) 2014-06-09 2015-06-09 Led 구동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9676 2014-06-09
KR1020140069676 2014-06-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115A true KR20150141115A (ko) 2015-12-17

Family

ID=548337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656A KR20150141115A (ko) 2014-06-09 2014-11-27 Led 구동 회로
KR1020150081441A KR20150141158A (ko) 2014-06-09 2015-06-09 Led 구동 회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441A KR20150141158A (ko) 2014-06-09 2015-06-09 Led 구동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150141115A (ko)
WO (1) WO201519064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96395A (zh) * 2016-10-04 2018-04-10 沛亨半导体股份有限公司 用于交流发光二极管灯具的集成电路及其控制方法
CN107949092A (zh) * 2016-10-12 2018-04-20 东莞艾笛森光电有限公司 低频闪的发光二极管驱动电路
KR102460626B1 (ko) * 2022-04-28 2022-10-28 주식회사 웰랑 플리커-프리를 위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54428B2 (en) * 2015-06-24 2017-01-24 Iml International Low-flicker light-emitting diode lighting device
GB2576478A (en) * 2018-05-22 2020-02-26 John Powell David Removal of voltage fluctuation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955A (ko) * 2010-01-28 2011-08-03 유수엽 엘이디 조도 제어 장치
KR20130015609A (ko) * 2011-08-04 2013-02-14 삼성전기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1956269B1 (ko) * 2011-12-14 2019-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TW201352055A (zh) * 2012-06-01 2013-12-16 Jinone Inc Led小串之控制裝置
KR101490332B1 (ko) * 2012-10-22 2015-02-05 주식회사 디엠비테크놀로지 Direct AC LED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96395A (zh) * 2016-10-04 2018-04-10 沛亨半导体股份有限公司 用于交流发光二极管灯具的集成电路及其控制方法
CN107896395B (zh) * 2016-10-04 2019-07-16 沛亨半导体股份有限公司 用于交流发光二极管灯具的集成电路及其控制方法
CN107949092A (zh) * 2016-10-12 2018-04-20 东莞艾笛森光电有限公司 低频闪的发光二极管驱动电路
CN107949092B (zh) * 2016-10-12 2020-09-22 东莞艾笛森光电有限公司 低频闪的发光二极管驱动电路
KR102460626B1 (ko) * 2022-04-28 2022-10-28 주식회사 웰랑 플리커-프리를 위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90646A1 (ko) 2015-12-17
KR20150141158A (ko) 2015-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98195B (zh) 照明用电源以及照明器具
US9591709B2 (en) Illumination apparatus includ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iodes
US9775206B2 (en) LED AC drive circuit
KR20150141158A (ko) Led 구동 회로
TWI580303B (zh) 具有調光偵測的發光二極體驅動器系統
US9848470B2 (en) LED driving circuit using double bridge diode and LED illumination device comprising same
CN104604333A (zh) 通过分支开关根据输入电压电平控制发光二极管的装置和方法
EP3209096B1 (en) Led driver circuit having improved flicker performance and led lighting device including same
KR101702387B1 (ko) Led 구동 집적회로 및 그 구동 방법
US8669709B2 (en) Solid state lighting driver with THDi bypass circuit
US10306730B1 (en) Light state regulation controller,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CN106714411B (zh) 开关调光电路
KR20160053527A (ko) 플리커가 개선된 led 구동회로 및 조명장치
US9730287B2 (en) Lighting apparatus and dimming regulation circuit thereof
KR20160144937A (ko) Led 구동 회로
JP6063515B2 (ja) 複数の駆動ステージを有する低フリッカ発光ダイオード点灯装置
KR102239083B1 (ko) 조명 장치 구동 회로 및 방법
CN103796373A (zh) 具有箝位装置的发光二极管照明系统
KR101635549B1 (ko) Led 구동 집적회로 및 그 구동 방법
KR20160137010A (ko) 엘이디 조명장치의 시간 구간별 전원 공급 제어장치
KR20160014757A (ko) Led 구동 집적회로 및 그 구동 방법
KR20160112452A (ko) 플리커 성능이 개선된 led 구동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led 조명장치
KR101696384B1 (ko) Led구동 장치
KR20160071827A (ko) 플리커 성능이 개선된 led 구동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led 조명장치
US988754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ve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