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626B1 - 플리커-프리를 위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기기 - Google Patents

플리커-프리를 위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626B1
KR102460626B1 KR1020220052878A KR20220052878A KR102460626B1 KR 102460626 B1 KR102460626 B1 KR 102460626B1 KR 1020220052878 A KR1020220052878 A KR 1020220052878A KR 20220052878 A KR20220052878 A KR 20220052878A KR 102460626 B1 KR102460626 B1 KR 102460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capacitor
driving current
period
led ar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0626B9 (ko
Inventor
황종태
최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웰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웰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웰랑
Priority to KR1020220052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6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626B1/ko
Publication of KR102460626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626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5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 H05B45/59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for reducing or suppressing flicker or glow effec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5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 H05B45/54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in a series array of LED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조명 기기는, 교류 전압으로부터 정류된 입력 전압을 생성하는 정류기, 적어도 하나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제1 LED 어레이, 제1 LED 어레이를 통과하는 LED 구동 전류를 인출하는 전류원, 및 입력 전압의 주기 중 충전 구간에서 LED 구동 전류에 의해서 충전되고, 입력 전압의 주기 중 방전 구간에서 LED 구동 전류에 의해서 방전되도록 구성된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리커-프리를 위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기기{DEVICE FOR FLICKER-FREE AND LIGH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조명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플리커-프리(flicker-free)를 위한 장치 및 조명 기기에 관한 것이다.
발광 소자의 일예로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는 양호한 전력소모 및 작은 크기에 기인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에 사용되고 있다. 통과하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LED에서 방출되는 빛의 세기가 좌우될 수 있고, 교류(AC) 전압을 전원으로 하는 조명 기기는 교류 전압으로부터 LED에 적절한 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류 전원으로부터 LED에 효율적으로 전력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고, 교류 전압의 주기 등에 기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플리커(flicker)를 제거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플리커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조명 기기는, 교류 전압으로부터 정류된 입력 전압을 생성하는 정류기, 적어도 하나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제1 LED 어레이, 제1 LED 어레이를 통과하는 LED 구동 전류를 인출하는 전류원, 및 입력 전압의 주기 중 충전 구간에서 LED 구동 전류에 의해서 충전되고, 입력 전압의 주기 중 방전 구간에서 LED 구동 전류에 의해서 방전되도록 구성된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조명 기기는, 충전 구간에서 턴-오프되고, 방전 구간에서 턴-온되어 LED 구동 전류가 통과하는 제1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제1 스위치는, 충전 구간 및 방전 구간 사이 홀드 구간에서 턴-온되어 LED 구동 전류가 통과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조명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하는 제2 LED 어레이, 및 제2 LED 어레이에 병렬 연결된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LED 어레이 및 제2 스위치는, LED 구동 전류가 제2 LED 어레이 또는 제2 스위치를 통과하도록, 제1 LED 어레이 및 전류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조명 기기는, 충전 구간에서 제1 LED 어레이 및 캐패시터 사이에서 LED 구동 전류가 통과하는 제1 다이오드, 및 충전 구간에서 캐패시터 및 전류원 사이에서 LED 구동 전류가 통과하는 제2 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조명 기기는, 방전 구간에서 캐패시터 및 제1 LED 어레이 사이에서 LED 구동 전류가 통과하는 제3 다이오드, 및 방전 구간에서 캐패시터 및 접지 노드 사이에서 LED 구동 전류가 통과하는 제4 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전류원은, 입력 전압에 기초하여 LED 구동 전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조명 기기는, 교류 전압으로부터 정류된 입력 전압을 생성하는 정류기, 제1 노드에서 정류기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제1 LED 어레이, 제2 노드로부터 LED 구동 전류를 인출하는 전류원, 제1 노드, 제2 노드 및 제3 노드에 연결된 캐패시터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캐패시터 회로는, 입력 전압의 주기 중 충전 구간에서 제1 LED 어레이로부터 제3 노드를 통해서 수신되는 LED 구동 전류에 의해서 충전되고, 입력 전압의 주기 중 방전 구간에서 제1 LED 어레이로 제1 노드를 통해서 출력되는 LED 구동 전류에 의해서 방전되도록 구성된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조명 기기는, 제2 노드 및 제3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충전 구간에서 턴-오프되고, 방전 구간에서 턴-온되어 LED 구동 전류가 통과하는 제1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제1 스위치는, 충전 구간 및 방전 구간 사이 홀드 구간에서 턴-온되어 LED 구동 전류를 통과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조명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하는 제2 LED 어레이, 및 제2 LED 어레이와 병렬 연결된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LED 어레이 및 제2 스위치는, LED 구동 전류가 제2 LED 어레이 또는 제2 스위치를 통과하도록, 제1 LED 어레이 및 제3 노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캐패시터 회로는, 제3 노드 및 캐패시터 사이에 연결된 제1 다이오드, 및 제2 노드 및 캐패시터 사이에 연결된 제2 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캐패시터 회로는, 제1 노드 및 캐패시터 사이에 연결된 제3 다이오드, 및 캐패시터 및 접지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4 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전류원은, 입력 전압에 기초하여 LED 구동 전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라, 교류 전압으로부터 정류된 입력 전압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구동하는 방법은, 입력 전압의 주기 중 충전 구간에서, 전류원에 의해서 캐패시터를 통해서 제1 LED 어레이로부터 LED 구동 전류를 인출하는 단계, 및 입력 전압의 주기 중 방전 구간에서, 전류원에 의해서 제1 LED 어레이를 통해서 캐패시터로부터 LED 구동 전류를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구동하는 방법은, 충전 구간에서, 제1 LED 어레이로부터 수신되는 LED 구동 전류가 캐패시터를 통해서 전류원에 흐르도록, 스위치를 턴-오프하는 단계, 및 방전 구간에서, 제1 LED 어레이로부터 수신되는 LED 구동 전류가 전류원으로 직접 흐르도록, 스위치를 턴-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LED를 구동하는 방법은, 충전 구간 및 방전 구간 사이에서, 제1 LED 어레이로부터 수신되는 LED 구동 전류가 전류원으로 직접 흐르도록, 스위치를 턴-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LED를 구동하는 방법은, 입력 전압에 기초하여 LED 구동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조명 기기에 의하면, 플리커가 제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명 기기의 플리커에 기인하는 다양한 문제들이 해소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아니한 효과들 역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명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명 기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명 기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기기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회로도들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전류원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회로도들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류원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기기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블록도들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명 기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기기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회로도들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플리커-프리를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아니하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명 기기(1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의 블록도는 조명 기기(10)에 전력을 제공하는 교류 전압원을 조명 기기(10)와 함께 도시한다. 조명 기기(10)는 교류 전압(VAC)으로부터 제공된 전력에 기초하여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조명 기기(10)는,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실내 조명, 실외 조명, 휴대 조명, 차량 조명 등을 위한 램프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조명 기기(10)는 독립적으로 유통되는 단위로서 램프로부터 제거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명 기기(10)는, 정류기(11), LED 어레이(13), 캐패시터 회로(15), 스위치(SW) 및 전류원(CS)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 기기(10)에 포함된 2이상의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반도체 패키지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류기(11), 캐패시터 회로(15), 스위치(SW) 및 전류원(CS)은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패키지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조명 기기(10)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을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패키지가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정류기(11)는 사인파와 같은 교류 전압(VAC)을 정류함으로써 입력 전압(VIN)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류기(11)는 교류 전압(VAC)을 전파(full-wave) 정류함으로써 입력 전압(VIN)을 생성할 수 있고, 입력 전압(VIN)을 LED 어레이(13)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정류기(11)는 전파 정류기로 가정되나,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는 점이 유의된다.
LED 어레이(13)는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LED 어레이(13)는 단일 LED 또는 직렬 연결된 2이상의 LED들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LED 스트링을 포함할 수 있다. LED 어레이(13)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색온도를 가지는 복수의 LED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일부 실시예들에서 2이상의 상이한 색온도들을 각각 가지는 복수의 LED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어레이(13)는 제1 노드(N1) 및 제3 노드(N3)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제1 노드(N1)를 통해서 입력 전압(VIN)을 수신할 수 있다. LED 구동 전류(ILED)는 제1 노드(N1)로부터 LED 어레이(13)를 통과하여 제3 노드(N3)로 흐를 수 있고, LED 어레이(13)는 LED 구동 전류(ILED)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 세기로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캐패시터 회로(15)는 제1 노드(N1) 및 제3 노드(N3)를 통해서 LED 어레이(13)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노드(N2)를 통해서 전류원(CS)에 연결될 수 있다. 캐패시터 회로(15)는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입력 전압(VIN)이 높은 구간(interval)(즉, 충전 구간)에서, 캐패시터는, 제3 노드(N3), 캐패시터 회로(15) 및 제2 노드(N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LED 구동 전류(ILED)에 의해서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입력 전압(VIN)이 낮은 구간(즉, 방전 구간)에서, 캐패시터는, 캐패시터 회로(15)로부터 제1 노드(N1)를 통해서 출력되는 LED 구동 전류(ILED)에 의해서 방전될 수 있다. 또한, 충전 구간 및 방전 구간 사이에서, 캐패시터는 전하는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류 전압(VAC)의 주기의 1/2 주기로 변동하는 입력 전압(VIN)에도 불구하고, LED 구동 전류(ILED)가 LED 어레이(13)를 연속적으로 통과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LED는 빛을 안정적으로 방출할 수 있으며, 조명 기기(10)에서 플리커(flicker)가 제거될 수 있다.
스위치(SW)는 제3 노드(N3) 및 제2 노드(N2)를 통해서 캐패시터 회로(15)와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충전 구간에서 캐패시터 회로(15)의 캐패시터가 충전되도록, 스위치(SW)는 턴-오프될 수 있다. 또한, 방전 구간에서 캐패시터 회로(15)로부터 출력되어 LED 어레이(13)를 통과한 전류가 전류원(CS)에 제공되도록, 스위치(SW)는 턴-온될 수 있다. 또한, 홀드 구간에서 LED 구동 전류(ILED)가 캐패시터 회로(15)를 우회하도록, 스위치(SW)는 턴-온될 수 있다. 스위치(SW)는 입력 전압(VIN)에 기초하여 턴-온되거나 턴-오프될 수 있다. 스위치(SW)의 예시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전류원(CS)은 제2 노드(N2)로부터 접지 노드로 LED 구동 전류(ILED)를 인출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LED 구동 전류(ILED)는 입력 전압(VIN)의 크기에 따라, 정류기(11)로부터 공급될 수도 있고, 캐패시터 회로(15)의 충전된 캐패시터로부터 공급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전류원(CS)은 일정한 크기의 LED 구동 전류(ILED)를 인출할 수 있고, LED 어레이(13)는 일정한 세기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전류원(CS)의 예시들이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류원(CS)은 제어 신호에 따라 조절가능한 크기를 가지는 LED 구동 전류(ILED)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명 기기(10)는 조명 기기(10)의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디밍(dimming) 신호에 따라 LED 어레이(13)를 통해서 방출되는 빛의 세기가 조절되는 디밍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조명 기기(10)는 디밍 신호를 수신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컨트롤러는 디밍 신호에 기초하여 전류원(CS)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전류원(CS)은, 높은 디밍 레벨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높은 LED 구동 전류(ILED)를 생성할 수 있는 한편, 낮은 디밍 레벨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낮은 LED 구동 전류(ILED)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컨트롤러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같이 프로그램가능(programmable) 컴포넌트,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와 같이 재구성가능(reconfigurable) 컴포넌트 및 하드웨어 IP(intellectual property)와 같이 고정된 기능을 제공하는 컴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명 기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타이밍도는 도 1의 조명 기기(10)에서 입력 전압(VIN), 캐패시터 전압(VC) 및 스위치(SW)의 상태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낸다. 도 2에서, 캐패시터 전압(VC)은 도 1의 캐패시터 회로(15)에 포함된 캐패시터 양단의 전압에 대응할 수 있고, LED 전압(VLED)은 LED 어레이(13) 양단의 전압, 즉 제1 노드(N1) 및 제3 노드(N3) 사이 전압에 대응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입력 전압(VIN)의 주기(T)는 충전 구간(CHG), 방전 구간(DIS) 및 홀드 구간(HL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드 구간(HLD)은 충전 구간(CHG) 및 방전 구간(DIS) 사이에 있을 수 있고, 입력 전압(VIN)의 주기(T)는 2개의 홀드 구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충전 구간(CHG), 방전 구간(DIS) 및 홀드 구간(HLD)에서 LED 어레이(13)를 통과하는 LED 구동 전류(ILED)는 일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플리커가 제거될 수 있다.
시간 t21 내지 시간 t22에서, 충전 구간(CHG)이 발생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t21에서 입력 전압(VIN)이 캐패시터 전압(VC) 및 LED 전압(VLED)의 합을 초과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충전 구간(CHG)이 개시할 수 있다. 충전 구간(CHG)에서 스위치(SW)는 턴-오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LED 구동 전류(ILED)는 정류기(11)로부터 LED 어레이(13) 및 캐패시터 회로(15)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흐를 수 있다. 캐패시터 회로(15)의 캐패시터는 LED 구동 전류(ILED)에 의해서 충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구간(CHG)에서 캐패시터 전압(VC)은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시간 t22 내지 시간 t23에서, 홀드 구간(HLD)이 발생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t22에서 입력 전압(VIN)이 캐패시터 전압(VC) 및 LED 전압(VLED)의 합보다 낮아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홀드 구간(HLD)이 발생할 수 있다. 홀드 구간(HLD)에서 스위치(SW)는 턴-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LED 구동 전류(ILED)는 정류기(11)로부터 LED 어레이(13) 및 스위치(SW)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흐를 수 있고, 캐패시터 전압(VC)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충전 구간(CHG)에 후속하는 홀드 구간(HLD)에서 캐패시터 전압(VC)은, 후술되는 방전 구간(DIS)에 후속하는 홀드 구간(HLD)에서 캐패시터 전압(VC)보다 높을 수 있다.
시간 t23 내지 시간 t24에서, 방전 구간(DIS)이 발생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t23에서 입력 전압(VIN)이 캐패시터 전압(VC)과 교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방전 구간(DIS)이 개시할 수 있다. 방전 구간(DIS)에서 스위치(SW)는 턴-온될 수 있고, LED 구동 전류(ILED)는 캐패시터 회로(15)로부터 LED 어레이(13) 및 스위치(SW)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흐를 수 있다. 캐패시터 회로(15)의 캐패시터는 LED 구동 전류(ILED)에 의해서 방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 구간(DIS)에서 캐패시터 전압(VC)은 점진적으로 하강할 수 있다.
시간 t24 내지 시간 t25에서, 홀드 구간(HLD)이 발생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t24에서 입력 전압(VIN)이 캐패시터 전압(VC)과 교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홀드 구간(HLD)이 개시할 수 있다. 홀드 구간(HLD)에서 스위치(SW)는 턴-온될 수 있고, LED 구동 전류(ILED)는 정류기(11)로부터 LED 어레이(13) 및 스위치(SW)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흐를 수 있고, 캐패시터 전압(VC)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방전 구간(DIS)에 후속하는 홀드 구간(HLD)에서 캐패시터 전압(VC)은, 전술된 충전 구간(CHG)에 후속하는 홀드 구간(HLD)에서 캐패시터 전압(VC)보다 낮을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명 기기(30)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의 회로도는 도 1의 정류기(11)가 생략된 조명 기기(30)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조명 기기(30)는 LED 어레이(33), 캐패시터 회로(35), 스위치(SW) 및 전류원(CS)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에 대한 설명 중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것이다.
LED 어레이(33)는 제1 노드(N1) 및 제3 노드(N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비록 도 3에서 LED 어레이(33)는 하나의 LED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LED 어레이(33)는 2이상의 LED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 점이 유의된다.
캐패시터 회로(35)는 캐패시터(C) 및 제1 내지 제4 다이오드(D1 내지 D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다이오드(D1)는 제3 노드(N3)에 연결된 애노드(anode) 및 캐패시터(C)에 연결된 캐쏘드(cathode)를 가질 수 있다. 제2 다이오드(D2)는 캐패시터(C)에 연결된 애노드 및 제2 노드(N2)에 연결된 캐쏘드를 가질 수 있다. 제3 다이오드(D3)는 캐패시터(C)에 연결된 애노드 및 제1 노드(N1)에 연결된 캐쏘드를 가질 수 있다. 제4 다이오드(D4)는 접지 노드에 연결된 애노드 및 캐패시터(C)에 연결된 캐쏘드를 가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다이오드(D1 내지 D4)는 충전 구간, 방전 구간 및 홀드 구간 각각에서 전류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충전 구간, 방전 구간 및 홀드 구간 각각에서 형성되는 전류 경로의 예시들이 설명될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기기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회로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4a 내지 도 4c의 회로도들은 충전 구간, 홀드 구간 및 방전 구간에서 도 3의 조명 기기(30)에서 흐르는 전류를 각각 나타낸다. 이하에서, 도 4a 내지 도 4c에 대한 설명 중 도 3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것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충전 구간에서 스위치(SW)는 턴-오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충전 구간에서 입력 전압(VIN)은 캐패시터 전압(VC) 및 LED 전압(VLED)의 합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a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LED 구동 전류(ILED)는 정류기(미도시)로부터 제1 노드(N1), LED 어레이(33), 제3 노드(N3), 제2 다이오드(D1), 캐패시터(C), 제2 다이오드(D2)및 제2 노드(N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흐를 수 있다. 캐패시터(C)는 LED 구동 전류(ILED)에 의해서 충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캐패시터 전압(VC)은 점진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홀드 구간에서 스위치(SW)는 턴-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홀드 구간에서 입력 전압(VIN)은 캐패시터 전압(VC)보다 높을 수 있고 캐패시터 전압(VC) 및 LED 전압(VLED)의 합보다 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b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LED 구동 전류(ILED)는 정류기(미도시)로부터 제1 노드(N1), LED 어레이(33), 제3 노드(N3), 스위치(SW) 및 제2 노드(N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흐를 수 있다. 캐패시터(C)는 LED 구동 전류(ILED)와 무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캐패시터 전압(VC)은 유지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방전 구간에서 스위치(SW)는 턴-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방전 구간에서 입력 전압(VIN)은 캐패시터 전압(VC)보다 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c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LED 구동 전류(ILED)는 접지 노드로부터 제4 다이오드(D4), 캐패시터(C), 제3 다이오드(D3), 제1 노드(N1), LED 어레이(33), 제3 노드(N3), 스위치(SW) 및 제2 노드(N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흐를 수 있다. 캐패시터(C)는 LED 구동 전류(ILED)에 의해서 방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캐패시터 전압(VC)은 점진적으로 하강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50)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의 회로도는 도 1 및 도 3의 스위치(SW)의 예시를 나타낸다. 전술된 바와 같이, 도 5의 스위치(50)는 제3 노드(N3) 및 제2 노드(N2)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충전 구간에서 턴-오프될 수 있는 한편, 방전 구간 및 홀드 구간에서 턴-온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50)는 기준 생성기(52), 트랜지스터(Q5), 저항(R5) 및 다이오드(D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의 스위치(SW)가 도 5의 예시에 제한되지 아니하는 점이 유의된다. 이하에서, 도 5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기준 생성기(52)는 제1 기준 전압(VREF1)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 생성기(52)는 제3 노드(N3)의 전압에 기초하여 제1 기준 전압(VREF1)을 생성할 수 있다. 입력 전압(VIN)이 상대적으로 낮은 구간, 즉 방전 구간 및 홀드 구간에서 제2 노드(N2)의 전압이 감소할 수 있고, 트랜지스터(Q5)의 게이트-소스 전압이 문턱 전압보다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전 구간 및 홀드 구간에서 스위치(50)는 턴-온될 수 있고, LED 구동 전류(ILED)가 스위치(50)를 통과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입력 전압(VIN)이 상대적으로 높은 구간, 즉 충전 구간에서 제2 노드(N2)의 전압이 증가할 수 있고, 트랜지스터(Q5)의 게이트-소스 전압이 문턱 전압보다 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 구간에서 스위치(50)는 턴-오프될 수 있고, LED 구동 전류(ILED)는 캐패시터 회로(15)를 통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트랜지스터(Q5)는, 도 5의 전계 효과(field effect) 트랜지스터와 상이한 트랜지스터, 예컨대 접합형(bipolar junction) 트랜지스터일 수도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전류원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회로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6a 내지 도 6d의 회로도들은 도 1의 전류원(CS)의 예시들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류원(CS)은 도 6a 내지 도 6d의 전류원들(60a 내지 60d) 중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전류원(CS)이 도 6a 내지 도 6d의 전류원들(60a 내지 60d)에 제한되지 아니하는 점이 유의된다.
도 6a를 참조하면, 전류원(60a)은 접합형 트랜지스터(Q61), 제너(Zener) 다이오드(ZD61), 제1 저항(R61) 및 제2 저항(R6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저항(R61) 및 제너 다이오드(ZD61)는 접합형 트랜지스터(Q61)의 제어 전극(즉, 베이스)에 바이어스 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회로로 지칭될 수 있다. LED 구동 전류(ILED)는,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22045818925-pat00001
[수학식 1]에서, VZ는 제어 다이오드(ZD61)의 제너 전압이고, VBE는 접합형 트랜지스터(Q61)의 베이스-에미터 전압이며, R62는 제2 저항(R62)의 저항치(resistance)일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전류원(60b)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Q62), 제너 다이오드(ZD62), 제3 저항(R63) 및 제4 저항(R6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3 저항(R63) 및 제너 다이오드(ZD62)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Q62)의 제어 전극(즉, 게이트)에 바이어스 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회로로 지칭될 수 있다. LED 구동 전류(ILED)는, 아래 [수학식 2]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22045818925-pat00002
[수학식 2]에서, VZ는 제어 다이오드(ZD62)의 제너 전압이고, VGS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Q62)의 게이트-소스 전압이며, R64는 제4 저항(R64)의 저항치일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전류원(60c)은 접합형 트랜지스터(Q63), 기준 생성기(62), 증폭기(64) 및 제5 저항(R65)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준 생성기(62)는 LED 구동 전류(ILED) 중 일부에 기초하여 제2 기준 전압(VREF2)을 생성할 수 있다. 증폭기(64)는 제2 기준 전압(VREF2)을 수신하는 비반전(non-inverting) 입력을 가질 수 있고, 접합형 트랜지스터(Q63)의 에미터 및 제5 저항(R65)에 연결된 반전(inverting) 입력을 가질 수 있으며, 접합형 트랜지스터(Q63)의 베이스에 연결된 출력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준 생성기(62) 및 증폭기(64)는, 접합형 트랜지스터(Q63)의 제어 전극(즉, 베이스)에 바이어스 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회로로 지칭될 수 있다. LED 구동 전류(ILED)는, 아래 [수학식 3]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22045818925-pat00003
[수학식 3]에서, R65는 제5 저항(R65)의 저항치일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면, 전류원(60d)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Q64), 기준 생성기(66), 증폭기(68) 및 제6 저항(R66)을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생성기(66)는 LED 구동 전류(ILED) 중 일부에 기초하여 제2 기준 전압(VREF2)을 생성할 수 있다. 증폭기(68)는 제2 기준 전압(VREF2)을 수신하는 비반전 입력을 가질 수 있고,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Q64)의 소스 및 제6 저항(R66)에 연결된 반전 입력을 가질 수 있으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Q64)의 게이트에 연결된 출력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준 생성기(66) 및 증폭기(68)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Q64)의 제어 전극(즉, 게이트)에 바이어스 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회로로 지칭될 수 있다. LED 구동 전류(ILED)는, 아래 [수학식 4]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22045818925-pat00004
[수학식 4]에서, R66은 제6 저항(R66)의 저항치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조명 기기는 디밍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고, 컨트롤러는 다양한 방식으로 LED 구동 전류(ILED)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6a 내지 도 6d의 저항들(R62, R64, R65 및 R66)은 가변 저항들일 수 있고, 컨트롤러는 가변 저항들의 저항치를 조절함으로써 LED 구동 전류(ILED)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컨트롤러는 도 6c 및 도 6d의 기준 생성기들(62, 66)을 제어함으로써 제2 기준 전압(VREF2)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LED 구동 전류(ILED)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류원(70)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의 회로도는 도 1의 전류원(CS)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원(70)은 기준 생성기(72), 증폭기(74), 트랜지스터(Q7) 및 제1 저항(R7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의 전류원들(60a 내지 60d)과 비교할 때, 도 7의 전류원(70)은 입력 전압(VIN)에 따라 가변되는 LED 구동 전류(ILED)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c 및 도 6d에서 제2 기준 전압(VREF2)은 일정한 크기를 가질 수 있는 한편, 도 7에서 제2 기준 전압(VREF2)은 입력 전압(VIN)에 따라 변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생성기(72)는, 제1 노드(N1) 및 접지 노드 사이에서 직렬 연결된 제2 저항(R72) 및 제3 저항(R73)을 포함할 수 있고, 제3 저항(R73)과 병렬 연결된 제1 캐패시터(C7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준 전압(VREF2)은 제2 저항(R72) 및 제3 저항(R73)이 연결된 노드의 전압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기준 전압(VREF2)은 입력 전압(VIN)을 추종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1 캐패시터(C71)에 의해 제2 기준 전압(VREF2)에서 잡음이 제거될 수 있다.
[수학식 4]와 같이, LED 구동 전류(ILED)는 제2 기준 전압(VREF2)에 비례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입력 전압(VIN)을 추종하는 제2 기준 전압(VREF2)에 기인하여 LED 구동 전류(ILED) 역시 입력 전압(VIN)을 추종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명 기기는 개선된 THD(total harmonic distortion)을 가질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기기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블록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8a 및 도 8b의 블록도들은 2개 이상의 LED 어레이들을 포함하는 조명 기기들(80a, 80b)을 나타낸다. 도 8a 및 도 8b는 조명 기기들(80a, 80b)에 전력을 제공하는 교류 전압원을 조명 기기들(80a, 80b)과 함께 도시한다. 이하에서, 도 8a 및 도 8b에 대한 설명 중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것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조명 기기(80a)는 정류기(81), 제1 LED 어레이(83), 제2 LED 어레이(85), 캐패시터 회로(89), 제1 스위치(SW1), 제2 스위치(SW2) 및 전류원(CS)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조명 기기(10)와 비교할 때, 도 8a의 조명 기기(80a)는 제4 노드(N4) 및 제3 노드(N3) 사이에서 상호 병렬 연결된 제2 LED 어레이(85) 및 제2 스위치(SW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LED 어레이(85)는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스위치(SW2)가 턴-오프되는 경우, 제2 LED 어레이(85)를 통과하는 LED 구동 전류(ILED)에 의해서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제2 스위치(SW2)가 턴-온되는 경우, LED 구동 전류(ILED)는 제2 스위치(SW2)를 통과할 수 있고, 제2 LED 어레이(85)는 빛을 방출하지 아니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2 스위치(SW2)는 입력 전압(VIN)이 낮은 구간에서 턴-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LED 어레이(83)가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조명 기기(80b)는 정류기(81), 제1 LED 어레이(83), 제2 LED 어레이(85), 제3 LED 어레이(87), 캐패시터 회로(89), 제1 내지 제3 스위치(SW1 내지 SW3) 및 전류원(CS)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a의 조명 기기(80a)와 비교할 때, 도 8b의 조명 기기(80b)는 제5 노드(N5) 및 제4 노드(N4) 사이에서 상호 병렬 연결된 제3 LED 어레이(87) 및 제3 스위치(SW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LED 어레이(87)는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할 수 있고, 제3 스위치(SW3)가 턴-오프되는 경우, 제3 LED 어레이(87)를 통과하는 LED 구동 전류(ILED)에 의해서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제3 스위치(SW3)가 턴-온되는 경우, LED 구동 전류(ILED)는 제3 스위치(SW3)를 통과할 수 있고, 제3 LED 어레이(87)는 빛을 방출하지 아니할 수 있다. 입력 전압(VIN)이 낮은 구간에서 제3 스위치(SW3)가 턴-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LED 어레이(83) 및 제2 LED 어레이(85)가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전압(VIN)이 더욱 낮은 구간에서 제2 스위치(SW2) 및 제3 스위치(SW3)이 턴-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LED 어레이(83)가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비록 도 8b에서 3개의 LED 어레이들(83, 85, 87)을 포함하는 조명 기기(80b)가 도시되었으나, 조명 기기는 4개 이상의 어레이들을 포함할 수 있는 점이 유의된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명 기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9의 타이밍도는 도 8a 의 조명 기기(80a)에서 입력 전압(VIN), 캐패시터 전압(VC), 제1 LED 전압(VLED1), 제2 LED 전압(VLED2), 제1 스위치(SW1)의 상태 및 제2 스위치(SW2)의 상태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낸다. 도 9에서, 캐패시터 전압(VC)은 도 8a의 캐패시터 회로(89)에 포함된 캐패시터의 양단의 전압에 대응할 수 있고, 제1 LED 전압(VLED1)은 제1 LED 어레이(83)의 양단의 전압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LED 전압(VLED2)은 제2 LED 어레이(85)의 양단의 전압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전압(VX)은 캐패시터 전압(VC), 제1 LED 전압(VLED1) 및 제2 LED 전압(VLED2)의 합에 대응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9에 대한 설명 중 도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것이며, 도 9는 도 8a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입력 전압(VIN)의 주기(T)는 충전 구간(CHG), 제1 홀드 구간(HLD1), 방전 구간(DIS) 및 제2 홀드 구간(HLD2)을 순차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시간 t91 내지 시간 t92에서, 충전 구간(CHG)이 발생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t91에서 입력 전압(VIN)이 전압(VX)를 초과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충전 구간(CHG)이 개시할 수 있다. 충전 구간(CHG)에서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는 턴-오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LED 구동 전류(ILED)는 정류기(11)로부터 제1 LED 어레이(83), 제2 LED 어레이(85) 및 캐패시터 회로(89)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흐를 수 있다. 캐패시터 회로(89)의 캐패시터는 LED 구동 전류(ILED)에 의해서 충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구간(CHG)에서 캐패시터 전압(VC)은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시간 t92 내지 시간 t93에서, 제1 홀드 구간(HLD1)이 발생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t92에서 입력 전압(VIN)이 전압(VX)보다 낮아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홀드 구간(HLD1)이 발생할 수 있다. 제1 홀드 구간(HLD1)에서, 제1 스위치(SW1)는 턴-온될 수 있고, 제2 스위치(SW2)는 턴-오프될수 있다. 이에 따라, LED 구동 전류(ILED)는 정류기(81)로부터 제1 LED 어레이(83), 제2 LED 어레이(85) 및 제1 스위치(SW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흐를 수 있다. 캐패시터 회로(89)의 캐패시터는 LED 구동 전류(ILED)와 무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홀드 구간(HLD1)에서 캐패시터 전압(VC)은 유지될 수 있다.
시간 t93 내지 시간 t95에서, 방전 구간(DIS)이 발생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t93에서 입력 전압(VIN)이 캐패시터 전압(VC)과 교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방전 구간(DIS)이 개시할 수 있다. 방전 구간(DIS)에서 제1 스위치(SW1)가 턴-온될 수 있고, 제2 스위치(SW2)가 턴-오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LED 구동 전류(ILED)는 캐패시터 회로(89)로부터 제1 LED 어레이(83), 제2 LED 어레이(85) 및 제1 스위치(SW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흐를 수 있다. 캐패시터 회로(89)의 캐패시터는 LED 구동 전류(ILED)에 의해서 방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 구간(DIS)에서 캐패시터 전압(VC)은 점진적으로 하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전 구간(DIS) 중에 제2 스위치(SW2)가 턴-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t94에서 캐패시터 전압(VC)이 제1 LED 전압(VLED1) 및 제2 LED 전압(VLED2)의 합보다 낮아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스위치(SW2)가 턴-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LED 구동 전류(ILED)는 캐패시터 회로(89)로부터 제1 LED 어레이(83), 제2 스위치(SW2) 및 제1 스위치(SW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흐를 수 있다.
시간 t95 내지 시간 t97에서, 제2 홀드 구간(HLD2)이 발생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t95서 입력 전압(VIN)이 캐패시터 전압(VC)과 교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홀드 구간(HLD2)이 개시할 수 있다. 제2 홀드 구간(HLD2)에서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는 턴-온될 수 있고, LED 구동 전류(ILED)는 정류기(81)로부터 제1 LED 어레이(83), 제2 스위치(SW2) 및 제1 스위치(SW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흐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홀드 구간(HLD2) 중에 제2 스위치(SW2)가 턴-오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t96에서 캐패시터 전압(VC)이 제1 LED 전압(VLED1) 및 제2 LED 전압(VLED2)의 합보다 높아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스위치(SW2)가 턴-오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LED 구동 전류(ILED)는 정류기(81)로부터 제1 LED 어레이(83), 제2 LED 어레이(85) 및 제1 스위치(SW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흐를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기기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회로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10a 및 도 10b의 회로도들은 도 8b의 정류기(81)가 생략된 조명 기기들(100a, 100b)를 나타낸다. 2개의 LED 어레이들을 포함하는 도 8a 의 조명 기기(80a) 및 4개 이상의 LED 어레이들을 포함하는 조명 기기 역시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대한 설명 중 도 3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것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조명 기기(100a)는 제1 LED 어레이(103), 제2 LED 어레이(105), 제3 LED 어레이(107), 캐패시터 회로(109), 제1 내지 제3 스위치(SW1 내지 SW3), 기준 생성기(102) 및 전류원(CS)을 포함할 수 있다. 캐패시터 회로(109)는 캐패시터(C) 및 제1 내지 제4 다이오드(D1 내지 D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SW1)는 제1 트랜지스터(Q1)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스위치(SW2)는 제2 트랜지스터(Q12) 및 제5 다이오드(D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스위치(SW3)는 제3 트랜지스터(Q13) 및 제6 다이오드(D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트랜지스터(Q11 내지 Q13)는 기준 생성기(102)에 의해서 생성되는 제1 기준 전압(VREF1)을 공통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5 다이오드(D5) 및 제6 다이오드(D6)에 기인하여, 입력 전압(VIN)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동안 제1 내지 제3 트랜지스터(Q11 내지 Q13)이 순차적으로 턴-온될 수 있고, 제1 내지 제3 스위치(SW1 내지 SW3)가 순차적으로 턴-온될 수 있다. 또한, 제5 다이오드(D5) 및 제6 다이오드(D6)에 기인하여, 입력 전압(VIN)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동안 제3 내지 제1 트랜지스터(Q13 내지 Q11)이 순차적으로 턴-오프될 수 있고, 제3 내지 제1 스위치(SW3 내지 SW1)가 순차적으로 턴-오프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조명 기기(100b)는 제1 LED 어레이(103), 제2 LED 어레이(105), 제3 LED 어레이(107), 캐패시터 회로(109), 제1 내지 제3 스위치(SW1 내지 SW3), 기준 생성기(102), 제5 내지 제7 다이오드(D5 내지 D7), 저항(R10) 및 전류원(CS)을 포함할 수 있다. 캐패시터 회로(109)는 캐패시터(C) 및 제1 내지 제4 다이오드(D1 내지 D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스위치(SW1 내지 SW3) 각각은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SW1)는 기준 생성기(102)에 의해서 생성되는 제1 기준 전압(VREF1)을 수신할 수 있고, 제2 스위치(SW2)는 기준 전압(VREF1)으로부터 제5 다이오드(D5)의 순방향(forward) 전압만큼 감소된 전압을 수신할 수 있으며, 제3 스위치(SW3)는 기준 전압(VREF1)으로부터 제5 다이오드(D5) 및 제6 다이오드(D6)의 순방향 전압들만큼 감소된 전압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 전압(VIN)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동안 제1 내지 제3 스위치(SW1 내지 SW3)가 순차적으로 턴-온될 수 있는 한편, 입력 전압(VIN)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동안 제3 내지 제1 스위치(SW3 내지 SW1)가 순차적으로 턴-오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플리커-프리를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리커-프리를 위한 방법은 복수의 단계들(S11 내지 S16)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1 및 단계 S12는 충전 구간(CHG)에서 수행될 수 있고, 단계 S13 및 단계 S14는 홀드 구간(HLD)에서 수행될 수 있고, 단계 S15는 방전 구간(DIS)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단계 S16은 홀드 구간(HLD)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도 8의 단계들(S11 내지 S16)은 입력 전압(VIN)의 주기(T) 동안 수행될 수 있고, 반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11의 방법은 도 3의 조명 기기(3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고, 이하에서 도 11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 S11에서 스위치(SW)가 턴-오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입력 전압(VIN)이 캐패시터 전압(VC) 및 LED 전압(VLED)의 합보다 커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스위치(SW)는 턴-오프될 수 있다.
단계 S12에서, LED 어레이(33)로부터 캐패시터(C)를 통해서 LED 구동 전류(ILED)가 인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a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충전 구간(CHG)에서 LED 구동 전류(ILED)는 전류원(CS)에 의해서, 정류기(미도시)로부터 LED 어레이(33), 제1 다이오드(D1), 캐패시터(C) 및 제2 다이오드(D2)를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캐패시터(C)가 LED 구동 전류(ILED)에 의해서 충전될 수 있다.
단계 S13에서, 스위치(SW)가 턴-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입력 전압(VIN)이 캐패시터 전압(VC) 및 LED 전압(VLED)의 합보다 낮아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스위치(SW)는 턴-온될 수 있다.
단계 S14에서, 정류기(미도시)로부터 LED 어레이(33)를 통해서 LED 구동 전류(ILED)가 인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b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홀드 구간(HLD)에서 LED 구동 전류(ILED)는 전류원(CS)에 의해서, 정류기(미도시)로부터 LED 어레이(33) 및 스위치(SW)를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고, 캐패시터(C)는 LED 구동 전류(ILED)와 무관하게 캐패시터 전압(VC)을 유지할 수 있다.
단계 S15에서, 캐패시터(C)로부터 LED 어레이(33)를 통해서 LED 구동 전류가 인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c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방전 구간(DIS)에서 단계 S13에서 턴-온된 스위치(SW)는 턴-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LED 구동 전류(ILED)는 전류원(CS)에 의해서, 캐패시터(C)로부터 LED 어레이(33) 및 스위치(SW)를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캐패시터(C)는 LED 구동 전류(ILED)에 의해서 방전될 수 있다.
단계 S16에서, 정류기(미도시)로부터 LED 어레이(33)를 통해서 LED 구동 전류가 인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b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홀드 구간(HLD)에서 단계 S13에서 턴-온된 스위치(SW)는 턴-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LED 구동 전류(ILED)는 전류원(CS)에 의해서, 정류기(미도시)로부터 LED 어레이(33) 및 스위치(SW)를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고, 캐패시터(C)는 LED 구동 전류(ILED)와 무관하게 캐패시터 전압(VC)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교류 전압으로부터 정류된 입력 전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정류기;
    적어도 하나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제1 LED 어레이;
    상기 제1 LED 어레이를 통과하는 LED 구동 전류를 인출하도록 구성된 전류원; 및
    상기 입력 전압의 주기 중 충전 구간에서 상기 LED 구동 전류에 의해서 충전되고, 상기 입력 전압의 주기 중 방전 구간에서 상기 LED 구동 전류에 의해서 방전되도록 구성된 캐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LED 구동 전류는, 상기 충전 구간에서 상기 제1 LED 어레이, 상기 캐패시터 및 상기 전류원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상기 방전 구간에서 상기 캐패시터, 상기 제1 LED 어레이 및 상기 전류원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 구간에서 턴-오프되고, 상기 방전 구간에서 턴-온되어 상기 LED 구동 전류를 통과하도록 구성된 제1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조명 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충전 구간 및 상기 방전 구간 사이 홀드 구간에서 턴-온되어 상기 LED 구동 전류를 통과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하는 제2 LED 어레이; 및
    상기 제2 LED 어레이에 병렬 연결된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LED 어레이 및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LED 구동 전류가 상기 제2 LED 어레이 또는 상기 제2 스위치를 통과하도록, 상기 제1 LED 어레이 및 상기 전류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 구간에서 상기 제1 LED 어레이 및 상기 캐패시터 사이에서 상기 LED 구동 전류가 통과하도록 구성된 제1 다이오드; 및
    상기 충전 구간에서 상기 캐패시터 및 상기 전류원 사이에서 상기 LED 구동 전류가 통과하도록 구성된 제2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조명 기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방전 구간에서 상기 캐패시터 및 상기 제1 LED 어레이 사이에서 상기 LED 구동 전류가 통과하도록 구성된 제3 다이오드; 및
    상기 방전 구간에서 상기 캐패시터 및 접지 노드 사이에서 상기 LED 구동 전류가 통과하도록 구성된 제4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조명 기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류원은, 상기 입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LED 구동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기.
  8. 교류 전압으로부터 정류된 입력 전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정류기;
    제1 노드에서 상기 정류기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제1 LED 어레이;
    제2 노드로부터 LED 구동 전류를 인출하도록 구성된 전류원;
    상기 제1 노드, 상기 제2 노드 및 제3 노드에 연결된 캐패시터 회로; 및
    제1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캐패시터 회로는,
    상기 입력 전압의 주기 중 충전 구간에서 상기 제1 LED 어레이로부터 상기 제3 노드를 통해서 수신되는 상기 LED 구동 전류에 의해서 충전되고, 상기 입력 전압의 주기 중 방전 구간에서 상기 제1 LED 어레이로 상기 제1 노드를 통해서 출력되는 상기 LED 구동 전류에 의해서 방전되도록 구성된 캐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제2 노드 및 상기 제3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충전 구간에서 턴-오프되고, 상기 방전 구간에서 턴-온되어 상기 LED 구동 전류를 통과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기.
  9. 삭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충전 구간 및 상기 방전 구간 사이 홀드 구간에서 턴-온되어 상기 LED 구동 전류를 통과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기.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하는 제2 LED 어레이; 및
    상기 제2 LED 어레이와 병렬 연결된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LED 어레이 및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LED 구동 전류가 상기 제2 LED 어레이 또는 상기 제2 스위치를 통과하도록, 상기 제1 LED 어레이 및 상기 제3 노드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기.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 회로는,
    상기 제3 노드 및 상기 캐패시터 사이에 연결된 제1 다이오드; 및
    상기 제2 노드 및 상기 캐패시터 사이에 연결된 제2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 회로는,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캐패시터 사이에 연결된 제3 다이오드; 및
    상기 캐패시터 및 접지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4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기.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류원은, 상기 입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LED 구동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기.
  15. 교류 전압으로부터 정류된 입력 전압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구동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 전압의 주기 중 충전 구간에서, 전류원에 의해서 캐패시터를 통해서 제1 LED 어레이로부터 LED 구동 전류를 인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전압의 주기 중 방전 구간에서, 상기 전류원에 의해서 상기 제1 LED 어레이를 통해서 상기 캐패시터로부터 상기 LED 구동 전류를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LED 구동 전류는, 상기 충전 구간에서 상기 제1 LED 어레이, 상기 캐패시터 및 상기 전류원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상기 방전 구간에서 상기 캐패시터, 상기 제1 LED 어레이 및 상기 전류원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LED를 구동하는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충전 구간에서, 상기 제1 LED 어레이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LED 구동 전류가 상기 캐패시터를 통해서 상기 전류원에 흐르도록, 스위치를 턴-오프하는 단계; 및
    상기 방전 구간에서, 상기 제1 LED 어레이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LED 구동 전류가 상기 전류원으로 직접 흐르도록, 상기 스위치를 턴-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LED를 구동하는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충전 구간 및 상기 방전 구간 사이에서, 상기 제1 LED 어레이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LED 구동 전류가 상기 전류원으로 직접 흐르도록, 상기 스위치를 턴-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LED를 구동하는 방법.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LED 구동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LED를 구동하는 방법.
KR1020220052878A 2022-04-28 2022-04-28 플리커-프리를 위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기기 KR102460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878A KR102460626B1 (ko) 2022-04-28 2022-04-28 플리커-프리를 위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878A KR102460626B1 (ko) 2022-04-28 2022-04-28 플리커-프리를 위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0626B1 true KR102460626B1 (ko) 2022-10-28
KR102460626B9 KR102460626B9 (ko) 2023-03-23

Family

ID=83835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878A KR102460626B1 (ko) 2022-04-28 2022-04-28 플리커-프리를 위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06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9516A (ko) * 2011-12-16 2013-06-26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Led 구동장치
KR20150060455A (ko) * 2013-11-26 2015-06-03 주식회사 디엠비테크놀로지 전원 공급 장치와 그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장치
KR20150141115A (ko) * 2014-06-09 2015-12-17 주식회사 르코어테크놀러지 Led 구동 회로
KR102388810B1 (ko) * 2021-11-08 2022-04-21 주식회사 웰랑 고효율 플리커-프리 조명 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9516A (ko) * 2011-12-16 2013-06-26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Led 구동장치
KR20150060455A (ko) * 2013-11-26 2015-06-03 주식회사 디엠비테크놀로지 전원 공급 장치와 그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장치
KR20150141115A (ko) * 2014-06-09 2015-12-17 주식회사 르코어테크놀러지 Led 구동 회로
KR102388810B1 (ko) * 2021-11-08 2022-04-21 주식회사 웰랑 고효율 플리커-프리 조명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0626B9 (ko)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8582B2 (en) Lighting device
RU2428822C2 (ru) Матрица световых элементов с управляемыми источниками тока и способ действия
JP6113885B2 (ja) 半導体発光素子を適用した照明装置
JP6057906B2 (ja) Led照明装置
US8786194B2 (en) Constant current driving apparatus for LEDs
JP5830610B2 (ja) 発光素子を用いた照明装置のディミングシステム
KR20160007215A (ko) 조명장치 및 발광장치
JP2003100472A (ja) 発光ダイオード用駆動装置
CN108307557B (zh) 用于校正电力谐波的方法和装置
US9167637B2 (en) LED drive circuit
EP2469980A2 (en) Array constant-current multi-driving circuit
KR102460626B1 (ko) 플리커-프리를 위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기기
KR102388810B1 (ko) 고효율 플리커-프리 조명 기기
KR102460625B1 (ko) 플리커-프리를 위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기기
KR102003472B1 (ko) Led 구동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장치
US11224103B2 (en) LED lighting apparatus
KR101964443B1 (ko) Led 구동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장치
KR20160122544A (ko) 밝기 조정 기능을 구비한 led 구동 장치
KR100878852B1 (ko) 교류 구동 led의 조광기
WO2015036551A1 (en)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current regulating element of a lighting load
KR101984927B1 (ko) Led 구동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장치
US20230081551A1 (en) Led driving device with high power efficiency and ligh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80002389U (ko) Led 조명 장치
KR20140107837A (ko)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및 그의 제어 회로
US11632841B1 (en) LED driving device providing high LED utilization and ligh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