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2544A - 밝기 조정 기능을 구비한 led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밝기 조정 기능을 구비한 led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2544A
KR20160122544A KR1020150052584A KR20150052584A KR20160122544A KR 20160122544 A KR20160122544 A KR 20160122544A KR 1020150052584 A KR1020150052584 A KR 1020150052584A KR 20150052584 A KR20150052584 A KR 20150052584A KR 20160122544 A KR20160122544 A KR 20160122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ghtness
unit
led
curren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봉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노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노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노덴
Priority to KR1020150052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2544A/ko
Publication of KR20160122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5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H05B33/0806
    • H05B33/083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Y02B20/34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LED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전류검출부의 양단에 기설정된 고정된 전압값을 가지도록 기준전압을 설정하며 전류검출부와 병렬로 연결된 가변저항소자의 저항 크기를 변경하여 LED부로 흐르는 전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LED부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LED부의 밝기를 조절시 LED부에 흐르는 전원을 직류값으로 변경하여 발생할 수 있는 깜박거림 등의 노이즈 피해를 줄일 수 있는 LED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밝기 조정 기능을 구비한 LED 구동 장치{LED driving apparatus controling brightness based on resistance}
본 발명은 밝기 조정 기능을 구비한 LED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LED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전류검출부의 양단에 기설정된 고정 크기의 전압값을 가지도록 기준전압을 설정하며 전류검출부와 병렬로 연결된 가변저항소자의 저항 크기를 변경하여 LED부로 흐르는 전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LED부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LED부의 밝기를 조절시 밝기 비교 전압을 직류값으로 변경하여 발생할 수 있는 깜박거림 등의 노이즈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밝기 조정 기능을 구비한 LED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명이 반영구적이면서도 소비전력이 매우 낮은 LED(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조명장치가 다양하게 소개되고 있다. LED는 다른 열변환 발광소자에 비해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있으며, 전력소모가 작고, 그 수명도 길다. 현재, LED 기술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고, 다양한 색상의 고효율, 고휘도의 LED가 출시되고 있다. LED 하나는 점광원으로 작용하지만, 복수의 LED가 모이면 선광원이나 면광원을 형성하여 조명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
LED를 이용한 조명등은 무엇보다 낮은 전력소모로 인해 에너지 절감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각종 유해물질이 포함되고 수명이 짧은 기존의 전등을 대체함에 따라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LED 조명등은 다수의 LED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LED부를 구비하는데, LED부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직렬 접속된 LED의 순방향 동작 전압 합보다 큰 전압을 LED부로 인가하여야 한다.
미국등록특허 US6989807(이하, 종래기술1)에는 실시간으로 전압이 변동하는 교류입력전압에서 직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LED 그룹에 병렬로 연결된 순차구동부를 조절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변동하는 전압에서 LED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언급되어 있다. 이와 같은 LED의 교류 직접 구동 방식(AC Direct drive)은 상용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정류시키고 정류된 직류 전원을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기(Switch mode power supply, SMPS)를 통해 일정한 크기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LED로 공급하는 대신 정류된 직류 전원을 그대로 LED로 공급하여 LED를 구동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미국등록특허 US6989807에 개시되어 있는 LED 구동장치는 교류입력전압에 따라 흐르는 전류를 계산하고 계산한 전류 크기를 기준으로 순차구동부의 기준전압을 스텝별로 설정하여 해결하였다.
도 1을 참고로 종래기술1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전원부(10)로부터 정류부(20)로 상용교류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정류부(20)는 정현파의 직류전원으로 상용교류전원을 정류한다. 정류부(20)는 정현파의 정류전원을 LED부(30)로 공급하는데, LED부(30)를 구성하는 모든 LED(LED1~LEDn)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LED부(30)를 구성하는 일부 LED만이 발광된다. 도 1에서는 4개의 LED로 구성된 LED부가 개시되어 있으나, LED를 구성하는 LED의 수는 변경될 수 있다.
즉, 전류검출부(50)는 LED부(30)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데 LED부(30)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크기가 변하는 전압을 비교신호로 생성하며, 오차신호 생성부(80)는 밝기 조정부(70)에서 입력된 기준전압과 비교신호를 비교하여 오차신호를 생성한다. 복수의 순차구동 제어부(90)는 기설정된 기준신호와 오차신호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전원부(10)에서 LED부(30)로 충분한 전압이 공급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여 LED부(30)의 LED1~LED4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원부(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높아지면, LED부(30)에 흐르는 전류도 증가되고, 전류검출부(50)에서 검출된 오차신호가 복수의 순차구동 제어부(90)로 출력된다. 그리고 순차구동 제어부(90)에서는 오차신호가 기설정된 기준신호를 초과(즉 LED부(30)의 특정 LED에 발광을 위한 충분한 전압이 공급될 수 있는 상태)하면, 순차구동 제어부(90)가 연결된 LED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해당 LED를 발광시킨다. 즉 전원부(10)로부터 LED부(30)로 공급되는 전원이 높아지면, 높아지는 전압에 따라 순차구동 제어부(90)가 연결된 LED1, LED2, LED3, LED4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LED1, LED2, LED3, LED4가 순차적으로 발광되도록 한다.
이와는 반대로 전원부(10)로부터 LED부(30)로 공급되는 전원이 낮아지면, 낮아지는 전압에 따라 순차구동 제어부(90)가 연결된 LED1, LED2, LED3, LED4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해당 LED4, LED3, LED2, LED1가 순차적으로 오프되도록 한다.
여기서 LED부(30)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밝기 조정부(70)는 입력된 사용자의 밝기 조정 신호에 따라 LED부(30)를 해당하는 밝기로 조정하기 위한 기준전압을 생성한다. 오차 생성부(80)는 반전단자(-)와 비반전단자(+) 사이의 임피던스가 무한대인 OP앰프이므로, 전류검출부(50)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은 밝기 조정부(70)의 기준전압과 동일하게 제어된다. 따라서 밝기 조정 신호에 따라 기준전압의 크기를 조절하여 전류검출부(50)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조절하여 전류검출부(50)를 흐르는 전류의 크기, 즉 LED부(30)를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LED부(30)의 밝기를 조절한다.
그러나 LED부(30)의 밝기를 어둡게 제어하고자 낮은 전압으로 기준전압을 생성하는 경우, 낮은 기준전압에 작은 크기의 노이즈가 발생하더라도 플리커(flicker)가 발생하는 등 노이즈 마진이 작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LED부(30)의 밝기를 플리커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LED 구동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LED 구동 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플리커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LED부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는 LED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전류검출부에 병렬로 가변저항소자를 연결하여 기준전압을 일정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LED부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노이즈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플리커 등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LED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LED부의 밝기를 조절시 밝기 비교 전압을 직류값으로 변경하여 LED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깜박거림 등의 노이즈 피해를 줄일 수 있는 LED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LED 구동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전원부로부터 입력전압을 공급받아 정류전압을 출력하는 정류부와, 하나 이상의 LED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정류부로부터 공급되는 정류전압을 이용하여 발광하는 LED부와, LED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LED부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와, 기준전압을 입력받아 LED부의 각 LED의 발광 또는 오프 구동을 제어하는, 기준전압과 전류검출부의 양단에 걸리는 비교 전압 사이의 오차신호를 증폭 출력하는 오차증폭부와, 전류검출부와 병렬로 연결되는 가변저항소자를 구비하며, 전류검출부와 가변저항소자의 저항 크기로 LED부를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입력된 밝기 조정 신호에 따라 변경하는 밝기 조정부를 포함하며, 기준전압은 기설정된 고정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밝기 조정부는 전류 검출부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가변저항소자와, LED부에 흐르는 전류를 분기하는 밝기 전류검출부와, 밝기 전류검출부의 양단에 걸리는 밝기 비교 전압과 밝기 조정 신호를 입력받아 밝기 비교 전압과 밝기 조정 신호 사이의 밝기 오차 신호를 증폭 출력하는 밝기 오차증폭부를 포함하며, 밝기 오차 신호에 따라 가변저항소자의 저항값이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밝기 조정부는 밝기 전류 검출부의 양단에 걸리는 밝기 비교 전압을 적분하여 직류값으로 변환 생성하는 제1 직류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밝기 조정부는 밝기 오차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밝기 오차 신호를 적분하여 직류값으로 변환 생성하는 제2 직류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가변저항소자는 게이트 단자가 밝기 오차증폭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 직류 생성부는 밝기 전류 검출부의 양단에 걸리는 밝기 비교 전압을 적분하는 콘덴서이며, 제2 직류 생성부는 상기 밝기 오차증폭부의 밝기 오차 신호를 적분하는 콘덴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LED 구동 장치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LED 구동 장치는 전류검출부에 병렬로 가변저항소자를 연결하여 기준전압을 일정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LED부의 밝기를 제어함으로써, 노이즈로 인해 플리커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LED 구동 장치는 LED부의 밝기를 조절시 LED부에 흐르는 전원을 직류값으로 변경함으로써, LED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깜박거림 등의 노이즈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LED 구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ED 구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밝기 조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LED 구동장치의 회로도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밝기 조정부의 회로도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밝기 조절이 가능한 LED 구동장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밝기 조절이 가능한 LED 구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전원부(110)로부터 정류부(120)로 상용 교류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정류부(120)는 상용 교류전원을 정현파의 직류전원으로 정류한다. 정류부(120)는 정현파의 정류전원을 LED부(130)로 공급하는데, LED부(130)를 구성하는 모든 LED(LED1~LEDn)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전압이 인가되지 않는다면, LED부(130)를 구성하는 일부 LED만이 발광된다.
즉, 전류검출부(150)는 LED부(130)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데 LED부(130)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크기가 변하는 비교전압을 생성한다. 오차 증폭부(180)는 기준전압(Vref1)을 비교전압과 비교하여 오차신호를 생성하며, 복수의 순차구동 제어부(190)는 기설정된 기준신호(Vref2)와 오차신호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전원부(110)에서 LED부(130)로 충분한 전압이 공급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여 LED부(130)의 LED1~LED4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원부(110)로부터 공급되는 동작 전압이 높아지면, LED부(130)에 흐르는 전류도 증가되고, 오차 증폭부(180)는 전류검출부(150)에서 검출된 비교전압과 기준전압(Vref1)의 차에 해당하는 오차신호를 복수의 순차구동 제어부(190)로 출력된다. 그리고 순차구동 제어부(190)에서는 오차신호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즉 LED부(130)의 특정 LED에 발광을 위한 충분한 전압이 공급될 수 있는 상태)하면, 순차구동 제어부(190)가 연결된 LED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해당 LED를 발광시킨다. 즉 전원부(110)로부터 LED부(130)로 공급되는 동작전압이 높아지면, 높아지는 동작전압에 따라 순차구동 제어부(190)가 연결된 LED1, LED2, LED3, LED4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LED1, LED2, LED3, LED4가 순차적으로 발광되도록 한다.
이와는 반대로 전원부(110)로부터 LED부(130)로 공급되는 동작전압이 낮아지면, 낮아지는 동작전압에 따라 순차구동 제어부(50)가 연결된 LED1, LED2, LED3, LED4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해당 LED4, LED3, LED2, LED1가 순차적으로 오프되도록 한다.
여기서 오차 증폭부(180)의 제1 단자에는 기설정된 고정된 크기의 기준전압(Vref1)이 입력되며 제2 단자에는 전류검출부(150)의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제1 단자와 제2 단자 사이는 무한대의 임피던스를 가져 제1 단자와 제2 단자는 서로 동일한 전압으로 제어된다. 한편, 밝기 조정부(170)는 가변저항소자를 구비하며, 가변저항소자는 전류검출부(150)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LED부(130)의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밝기 조정 신호가 밝기 조정부(170)로 입력되는 경우, 밝기 조정부(170)는 가변저항소자의 크기를 밝기 조정 신호에 상응하도록 변경하며, 고정된 값의 기준 전압(Vref1)의 상태에서 가변저항소자와 전류검출부(150)의 저항 크기 합으로 LED부(130)를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여 LED부(130)의 밝기를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밝기 조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로 살펴보면, LED(130)를 흐르는 전류가 분기되어 밝기 전류 검출부(173)로 입력되며, 밝기 전류 검출부(173)에서 검출된 전류는 직류 변환부(175)에서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직류로 변환된다. LED부(130)에 인가되는 전원은 정류된 정현파의 직류전원이며 직류 변환부(175)는 정현파의 직류전원을 적분하여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직류전원으로 변환한다. 직류 변환부(175)는 변환된 직류전원을 밝기 비교 전압으로 생성하여 밝기 오차 증폭부(177)로 제공한다.
밝기 오차 증폭부(177)는 입력되는 밝기 조정 신호와 밝기 비교 전압 사이의 오차 신호를 생성하며, 가변저항부(171)는 오차 신호에 상응하도록 저항 크기를 변경한다. 여기서 가변저항부(171)는 전류검출부(150)와 병렬로 연결되어 가변되는 저항의 크기에 따라 LED부(130)를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여 LED부(130)의 밝기를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LED 구동장치 회로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밝기 조정부 회로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류검출부(150)는 복수의 LED(LED1~LED4)가 직렬로 연결된 LED부(130)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D)으로 구성되고, 오차 증폭부(180)는 전류검출부(150)의 출력단이 반전단자(-)에 연결되고 비반전단자(+)에 기설정된 고정된 값의 기준전압(Vref1)이 입력되는 비교기(EA1)로 구성되며, 순차구동 제어부(190)는 오차 증폭부(180)의 출력단이 비반전단자(+)에 연결되고 반전단자(-)에 기설정된 기준신호(Vref2)가 연결되는 복수의 비교기(EA2~EA4)와, 복수의 비교기(EA2~EA4)의 반전단자(-)에 연결되는 기설정된 기준신호(Vref2)의 전압을 조정하는 복수의 저항(R1~R3)과, 복수의 비교기(EA2~EA4)의 출력단이 게이트 단자에 연결되고 드레인 단자가 LED부(130)의 각 LED의 에노드에 각각 연결되고 소스 단자가 직렬로 연결되어 LED부(130)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복수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그 이외에, 회로 설계에 따라 드레인단자와 소스 단자가 LED부(130)의 각 LED의 에노드와 케소드에 각각 연결될 수도 있음)(FET, Field EffectTransistor)(Q1~Q3)로 구성된다. 여기서 비교기(EA1~EA4)는 OP 앰프(Operational Amplifie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 3의 회로 구동을 설명하면, 사용자로부터 LED부(130)의 밝기를 조정하기 위한 밝기 조정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밝기 조정부(170)는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가변저항소자의 저항 크기를 밝기 조정 신호에 상응하도록 변경한다. 가변저항소자와 전류검출부(150)는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 가변저항소자와 전류검출부(150)로 이루어진 저항 크기의 합, 즉 A로 표시되어 있는 부분과 B라고 표시되어 있는 부분 사이의 저항 크기를 조정하여 LED부(130)로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한다.
여기서 비교기(EA1)는 OP 앰프로 비반전 단자와 반전 단자 사이의 임피던스는 무한대이며, 반전 단자의 전압은 서로 비반전 단자의 기준전압(Vref1)으로 동일하게 제어되며 전류검출부(150)는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저항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가변저항소자의 저항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LED부(130)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밝기 조절 신호에 따라 밝기 조정부(170)의 가변저항소자의 저항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기준전압의 크기를 변경하지 않은 상태에서 LED부(130)로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여 LED부(130)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고로 밝기 조정부(170) 회로도의 일 예를 살펴보면, LED부(130)을 흐르는 전류는 분기되어 전류 검출부(150)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가변저항소자(171)를 거쳐 밝기 전류 검출부(173)로 입력된다. 여기서 가변저항소자(171)는 게이트 단자가 밝기 오차증폭부(177)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소스 단자로 분기 전류가 입력되며 소스 단자가 밝기 전류 검출부(173)에 연결되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그 이외에, 회로 설계에 따라 드레인단자와 소스 단자가 각각 분기 전류와 밝기 전류 검출부(173)에 연결될 수 있음(FET, Field EffectTransistor))로 구성될 수 있다.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게이트 단자로 입력되는 밝기 오차 신호의 세기에 따라 저항크기가 변경되는 가변저항소자로 동작한다.
분기 전류는 정현파의 직류 전원이며 제1 직류 변환부(175)는 밝기 전류 검출부(173)의 양단에 걸리는 밝기 비교 전압을 적분하여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직류값으로 변환 생성한다. 밝기 오차증폭부(177)는 밝기 조정 신호와 밝기 비교 전압을 비교하여 밝기 오차 신호를 증폭하고 밝기 오차 신호를 가변저항소자(171)로 출력하여 가변저항소자(171)의 저항 크기를 변경한다.
이와 같이, 제1 직류 변환부(175)는 밝기 전류 검출부(173)를 흐르는 정현파의 직류 전원을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직류 전원으로 적분함으로써, 내부적으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적분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노이즈로 인한 플리커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밝기 조정부는 제2 직류 변환부(17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제2 직류 변환부(175)는 밝기 오차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밝기 오차 신호를 적분하여 직류값으로 변환하여 변환한 직류값으로 가변저항소자의 저항 크기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제2 직류 변환부(175)에서 2차적으로 밝기 오차 신호를 적분함으로써, 내부적으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으며 노이즈로 인한 플리커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직류 변환부(175)와 제2 직류 변환부(179)는 콘덴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110: 전원부
20, 120: 정류부
30, 130: LED부
40, 150: 전류 검출부
50, 190: 순차적 구동 제어부
70, 170: 밝기 조정부
180: 오차 증폭부
171: 가변저항소자 173: 밝기 전류 검출부
175: 직류 변환부 177: 밝기 오차증폭부

Claims (7)

  1.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입력전압을 공급받아 정류전압을 출력하는 정류부;
    하나 이상의 LED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정류부로부터 공급되는 정류전압을 이용하여 발광하는 LED부;
    상기 LED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LED부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
    기준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LED부의 각 LED의 발광 또는 오프 구동을 제어하는, 상기 기준전압과 상기 전류검출부의 양단에 걸리는 비교 전압 사이의 오차신호를 증폭 출력하는 오차증폭부; 및
    상기 전류검출부와 병렬로 연결되는 가변저항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전류검출부와 상기 가변저항소자의 저항 크기로 상기 LED부를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입력된 밝기 조정 신호에 따라 변경하는 밝기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은 기설정된 고정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밝기 조정부는
    상기 전류 검출부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가변저항소자;
    상기 LED부에 흐르는 전류를 분기하는 밝기 전류검출부; 및
    상기 밝기 전류검출부의 양단에 걸리는 밝기 비교 전압과 상기 밝기 조정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밝기 비교 전압과 상기 밝기 조정 신호 사이의 밝기 오차 신호를 증폭 출력하는 밝기 오차증폭부를 포함하며,
    상기 밝기 오차 신호에 따라 상기 가변저항소자의 저항값이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밝기 조정부는
    상기 밝기 전류 검출부의 양단에 걸리는 밝기 비교 전압을 적분하여 직류값으로 변환 생성하는 제1 직류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밝기 조정부는
    상기 밝기 오차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밝기 오차 신호를 적분하여 직류값으로 변환 생성하는 제2 직류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저항소자는
    게이트 단자가 상기 밝기 오차증폭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류 생성부는 상기 밝기 전류 검출부의 양단에 걸리는 밝기 비교 전압을 적분하는 콘덴서이며, 상기 제2 직류 생성부는 상기 밝기 오차증폭부의 밝기 오차 신호를 적분하는 콘덴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장치.
KR1020150052584A 2015-04-14 2015-04-14 밝기 조정 기능을 구비한 led 구동 장치 KR201601225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584A KR20160122544A (ko) 2015-04-14 2015-04-14 밝기 조정 기능을 구비한 led 구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584A KR20160122544A (ko) 2015-04-14 2015-04-14 밝기 조정 기능을 구비한 led 구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544A true KR20160122544A (ko) 2016-10-24

Family

ID=57256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584A KR20160122544A (ko) 2015-04-14 2015-04-14 밝기 조정 기능을 구비한 led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254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42600B2 (en) 2017-09-05 2020-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D driving apparatus and lighting apparatus
KR20200139494A (ko) * 2019-06-04 2020-12-14 (주)포인트텍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동기식 ac 직결형 발광 다이오드 구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42600B2 (en) 2017-09-05 2020-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D driving apparatus and lighting apparatus
KR20200139494A (ko) * 2019-06-04 2020-12-14 (주)포인트텍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동기식 ac 직결형 발광 다이오드 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0350B1 (ko)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의 제어 회로
US6683419B2 (en) Electrical control for an LED light source, including dimming control
TWI452932B (zh) 發光元件用的調光器
JP6404810B2 (ja) 発光ダイオード(led)を駆動するための回路及び方法
TWI510131B (zh) 發光元件驅動電路及其控制方法
KR101111387B1 (ko) Led 조명용 통합 전원 집적 회로
KR101698948B1 (ko) 복수의 구동단 및 선로/부하 레귤레이션 제어를 구비한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KR102085725B1 (ko)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40086480A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JP6389460B2 (ja) 電源装置
KR20170019943A (ko) 조명 장치
KR101521608B1 (ko)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및 그 구동회로
KR102248090B1 (ko) 발광 소자 구동 장치
US9825703B2 (en)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122544A (ko) 밝기 조정 기능을 구비한 led 구동 장치
KR101752444B1 (ko) 교류 발광 장치를 위한 조광 장치
JP2021086763A (ja) 点灯装置
US11445586B2 (en) Adaptive power balancing in LED lamps
KR102003472B1 (ko) Led 구동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장치
KR100946685B1 (ko) Led 구동 장치
KR101459505B1 (ko)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KR101682932B1 (ko) 발광다이오드 조명용 전류 제어장치
KR101984927B1 (ko) Led 구동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장치
KR20110035837A (ko) 발광 장치를 위한 조광 장치
KR20140107837A (ko)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및 그의 제어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