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0662A - 매트-대면 물품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매트-대면 물품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0662A
KR20150140662A KR1020157026646A KR20157026646A KR20150140662A KR 20150140662 A KR20150140662 A KR 20150140662A KR 1020157026646 A KR1020157026646 A KR 1020157026646A KR 20157026646 A KR20157026646 A KR 20157026646A KR 20150140662 A KR20150140662 A KR 20150140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mat
finish
cementitious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6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쉬시 두베이
얀페이 펭
데이빗 알. 블랙번
Original Assigne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집섬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집섬 컴파니 filed Critical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집섬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50140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06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12Mechanical treatment, e.g. roughening, deforming,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9/00Machines or methods for applying the material to surfaces to form a permanent layer thereon
    • B28B19/0015Machines or methods for applying the material to surfaces to form a permanent layer thereon on 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9/00Machines or methods for applying the material to surfaces to form a permanent layer thereon
    • B28B19/0092Machines or methods for applying the material to surfaces to form a permanent layer thereon to webs, sheets or the like, e.g. of paper, cardboard

Abstract

매트-대면 시멘트질 물품 복합재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매트-대면 물품 (예를들면, 보드)이 형성되고 마감 조성물 (예를들면, 소수성)이 인가되어 복합재이 형성된다. 하나의 양태에서, 매트-대면 석고 물품은 시멘트질 코어 제1 표면에 인접한 내면 및 반대측 매트 외면을 가지는 매트를 포함한다. 수성 시멘트질 마감 조성물은 매트 외면에 적용되어 매트-대면 시멘트질 물품 복합재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마감 복합재는 적합하게 마감재 롤러를 포함하는 롤러 조립체로 인가된다.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마감재 롤러는 불균일 표면을 포함하고, 이는 예를들면, 자체에 형성되는 홈들 또는 함몰부들 (예를들면, 원주 또는 길이방향)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매트-대면 물품 제조 방법{METHOD OF PREPARING MAT-FACED ARTICLE}
본 특허 출원은 2013.3.15자 출원된 미국정규특허출원번호 제13/837,041호의 우선권 이익을 주장하며, 상기 문헌은 본원에 전체가 참고문헌으로 통합된다.
시멘트질 물품, 예컨대 석고 보드 및 시멘트 보드는, 다양한 적용 분야에서 유용하고, 이 중 일부에서는 내수성이 요구된다. 전통적인 페이퍼-대면 시멘트질 물품은 다습 조건 또는 실외 노출에서 언제나 양호하게 구현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분야에서, 때로는 페이퍼 대신 유리 또는 중합체 -기반 섬유 매트로 대면되는 시멘트질 물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어 재료 자체의 내수성을 개선시키는 시멘트질 코어에 첨가제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멘트질 물품, 예컨대 석고 보드 및 시멘트 보드 제조 공정은, 전형적으로 시멘트질 슬러리를 제1 대면 재료 상에 적층시키고 습식 슬러리를 동일 유형의 제2 대면 재료로 덮는 단계가 포함되어, 시멘트질 슬러리는 두 대면 재료들 사이에 개재된다. 이후, 건조하여 과잉수를 슬러리에서 제거한다. 시멘트질 슬러리는 고화되어 고체 물품이 생성된 후 최종 건조된다.
시멘트질 물품의 제조 공정은, 따라서, 때로는 건조 공정에서 과잉수가 시멘트질 슬러리에서 빠져나가기에 충분히 투과성 대면 재료를 요구한다. 단점은 섬유성 매트 대면 재료의 투과성으로 물이 매트에 침투하여 사용 중 시멘트질 코어와 접촉하므로 시멘트질 물품의 내수성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물 침투 저항성이 충분한 매트-대면 시멘트질 물품 (예를들면, 보드)을 제조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이러한 물 침투 저항성 물품 제조 방법의 개선이 요구된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매트-대면 시멘트질 물품 복합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은 매트-대면 석고 물품 제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는 시멘트질 코어에 인접한 내면 및 반대측 외면을 가진다. 수성 시멘트질 마감 조성물은 외측면에 인가되어 매트-대면 시멘트질 물품 복합재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마감 조성물은 롤러 조립체로 인가된다. 롤러 조립체는 마감 조성물을 섬유매트 외면에 적층하는 마감재 롤러를 포함한다. 예를들면, 마감재 롤러는, 예컨대 마감재 롤러 표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에 의한 불균일 (uneven)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도 1A는 원주 홈들이 형성되고 소수성 마감재 조성물을 매트-대면 시멘트질 보드에 인가하는 마감재 롤러를 포함하는 롤러 조립체의 개략 측면도이고, 상기 조립체는 본 발명의 실시태양들에 의한 직행 (direct) 마감재 방향이다.
도 1B는 도 1A의 라인 1B-1B를 따라 취한 롤러 조립체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2A는 원주 홈들이 형성되고 소수성 마감재 조성물을 매트-대면 시멘트질 보드에 인가하는 마감재 롤러를 포함하는 롤러 조립체의 개략 측면도이고, 상기 조립체는 본 발명의 실시태양들에 의한 역행 (reverse) 마감재 방향이다.
도 2B는 도 2A의 라인 2B-2B를 따라 취한 롤러 조립체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3은 수위 하강 (인치) 대 시간 (일) 그래프이고, 스크레이핑 (scraping)이 그릿을 포함하는 소수성 마감재를 가지는 유리 매트 석고 패널의 물 침투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비교 목적용 수위 하강 (인치) 대 시간 (일) 그래프이고,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는 마감재 롤러로 소수성 마감재을 인가한 유리 매트 석고 패널에 대한 부적합한 내수성을 보인다.
도 5는 비교 목적으로 실시예 3의 샘플 3A의 물 흡수성 시험 후 물 방울 존재로 확인되는 부적합한 내수성을 보이는 사진이다.
도 6은 비교 목적용 25X 배율의 광학 현미경 사진으로, 불량한 내수성에 이르는 유리 매트 패널의 소수성 마감재에 있는 바람직하지 않은 간극의 존재를 보인다.
도 7은 수위 하강 (인치) 대 시간 (일) 그래프이고, 본 발명의 실시태양들에 의한 불균일 표면을 가지는 마감재 롤러로 인가된 소수성 마감재를 가지는 유리 매트 석고 패널에 대한 개선된 내수성을 보인다.
도 8A 및 8B는 실시예 4 (도 8A)의 샘플 4F 및 실시예 4 (도 8B)의 샘플 4A의 소수성 마감재를 보이는25X 배율의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도 9는 수위 하강 (인치) 대 시간 (일) 그래프이고, 본 발명의 실시태양들에 의한 불균일 표면을 가지는 마감재 롤러로 인가된 소수성 마감재를 가지는 유리 매트 석고 패널에 대한 개선된 내수성을 보인다.
도 10A, 10B, 및 10C는 실시예 5의 샘플 5A (도 10A), 실시예 5의 샘플 5C (도 10B), 및 실시예 5의 샘플 5E (도10C)의 소수성 마감재를 보이는20X 배율의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도 11A 및 11B는 복합재 물품에 대한 상대습도값 대 총 오븐 내 시간 (초)의 그래프이고, 건조 온도 및 기간 변화 효과를 보인다.
도 12는 수위 하강 (인치) 대 시간 (일) 그래프이고, 소수성 마감재를 가지는 유리 매트 석고 패널의 내수성에 대한 건조 온도 및 기간 변화 효과를 보인다.
본 발명은 매트-대면 시멘트질 물품 복합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태양들에 의하면, 복합재인, 매트-대면 물품 (예를들면, 보드)이 형성된다. 마감 조성물 (예를들면, 소수성)이 물품에 도포되어 물품 복합재를 형성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매트-대면 석고 물품은 시멘트질 코어에 인접한 내면 및 반대측 외면을 가지는 매트를 포함한다. 수성 시멘트질 마감 조성물은 외측면에 인가되어 매트-대면 시멘트질 물품 복합재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마감 복합재는 마감재 롤러를 포함하는 롤러 조립체로 적합하게 인가된다.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마감재 롤러는 불균일 표면, 예를들면, (예를들면, 원주 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홈들 또는 함몰부들을 가진다.
마감 조성물을 매트-대면 보드 (예를들면, 석고 보드)에 인가하는 하나의 예시적 실시태양이 도 1A-1B에 도시되고, 이는 롤러 조립체 (100)의 직행 인가 방향을 보이고 따라서 하기와 같이 마감재 롤러 (110)는 매트-대면 보드 (112) 이동 방향과 동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마감재 롤러 (110) 표면은 보드가 이동될 때 이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와 대조적으로, 도 2A-2B와 연관되어 하기되는 역행 마감 구성에서, 마감재 롤러는 역행되어 보드와 접촉하는 표면은 보드 이동 방향과 반대로 움직이다.
롤러 조립체 (100)는 또한 독터 롤러 (114)를 포함하고 이는 마감재 롤러 (110)와 체결된다. 롤러 (110, 114)는 보드가 이동하는 건물 마루 또는 테이블에서 장착된 기둥에 회전되고 연장되도록 축이 받쳐지는 브래킷에 장착된다. 단독 또는 양 롤러들 (110, 114)은 모터로 구동된다.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마감재 롤러 (110) 및 독터 롤러 (114)는, 예를들면, 독립적, 변속, 구동 어셈블리에 의해 구동된다. 이러한 구성은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필요하다면 마감재 롤러 (110) 속도 및 독터 롤러 (114) 속도를 독립적으로 변속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태양들에서, 롤러들 (110, 114) 중 하나는 구동되고 다른 롤러 (110, 114)는 아이들 상태이지만 구동 롤러와 체결되어 구동 롤러에 따라서 회전된다.
독터 롤러 (114)는 마감재 롤러 (110)와 체결된다. 특히, 독터 롤러 (114)는 마감재 롤러 (110)와 조합되어 이들 사이이 트로프 (trough)를 형성하여, 여기에 마감 조성물이 도입된다. 직행 마감 또는 역행 마감 구성 (하기) 모두에서 마감재 롤러 (110) 및 독터 롤러 (114)는 일반적으로 역-회전하고, 즉,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마감재 롤러 (110) 및 독터 롤러 (114)가 체결되면 두 롤러들 사이 간격에 슬러리를 유출시키지 않고 유지할 수 있다. 독터 롤러 (114) 위치를 마감재 롤러 (110)에 대하여 조정한다. 이 결과 좁은 간격이 두 롤러들 사이에 형성되고, 이들 사이에 통과되는 슬러리 함량을 조절할 수 있고, 따라서 마감 조성물 도포 함량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특히 직행 마감 구성에서, 이러한 간격은 실제로 본 분야에서 이해되는 음의 값 즉 억지끼워맞춤이므로, 독터 롤러 (114)는 마감재 롤러 (110) 표면과 접혹하고 압착하고 있다는 것이다.
도 1B에서 최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재 롤러 (110)는 마감재 롤러 (110) 표면에 원주 배열되는 홈들 (116)을 포함한다. 직행 인가 방향에서, 독터 롤러 (114)는 마감 조성물 보유 마감재 롤러 (110) 표면적이 최소화되도록 마감재 롤러 (110) 상류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마감 조성물을 보유하는 마감재 롤러 (110) 부분의 표면적 증가(예를들면, 90°, 100°, 120° 이상 등)은 바람직하지 않게 마감재 인가 변동을 키운다는 것을 알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 (112) 상면 (118)은 마감재 롤러 (110)에 인접하다. 바닥 롤러 (120)는 보드 (112) 바닥면 (122) 아래에 배치된다. 보드는 일반적으로 통과 라인 높이, 즉, 바닥 롤러 (120) 상부와 동일 높이에서 롤러 컨베이어, 체인 컨베이어, 벨트 컨베이어, 또는 기타 등에 의해 지지된다. 예를들면, 바닥 롤러 (120)는 임의선택적으로 보드를 롤러 조립체 (100)에서 출입하도록 다른 롤러들과 연동된다.
마감 조성물은 마감재 롤러 (110) 및 독터 롤러 (114) 사이에 분배되고 조성물을 마감재 롤러 (110) 및 독터 롤러 (114) 사이 및 마감재 롤러 (110) 표면에 공급하여 보드 (112) 상면 (118)을 도포한다. 마감 조성물 슬러리의 최상면 (124)은 독터 롤러 (114) 및 마감재 롤러 (110) 사이에 형성된다. 최상면은 본 분야에서 이해될 수 있는 센서 예컨대 레이저 콘트롤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마감재 롤러 (110) 표면은 마감 조성물을 보드 (112)로 유인하여 마감 조성물을 상면 (118)에 침착하여 마감재 (126)를 적층하고 복합재 (128)를 형성한다. 바닥 롤러 (120)는 하부 지지를 제공하고 일반적으로 마감재 롤러 (110)와 정렬된다.
마감 조성물을 매트-대면 보드 (예를들면, 석고 보드)에 인가하는 또 다른 예시적 실시태양이 도 2A-2B에 도시되고, 롤러 조립체 (200)의 역행 인가 방향을 보이고 따라서 마감재 롤러 (210)는 매트-대면 보드 (212) 이동 방향과 반대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롤러 조립체 (200)는 독터 롤러 (214)를 포함하고 이는 마감재 롤러 (210)와 역방향으로 체결된다. 도 2B에서 최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재 롤러 (210)는 롤러 (210) 표면에서 원주 배열되는 홈들 (216)을 포함한다. 그러나,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적용에 따라, 역행 방향의 실시태양들에서 홈들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들면, 강재 표면 롤러 (210)은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홈이 형성되지 않지만, 고무로 형성되는 마감재 롤러 (210) 실시태양들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홈들 (216)은 고무 롤러 (210)에 사용되어 롤러 (210)는 더 많은 슬러리를 보드에 운반하고 인가하며 고무 유연성으로 홈들 (216)에 노적된 임의의 슬러리를 짜낼 수 있다.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홈들에 누적되는 임의의 슬러리를 없애기 더욱 어렵기 때문에 강재 표면은 홈이 형성되지 않는다.
역행 인가 방향에서, 독터 롤러 (214)는 마감 조성물을 보유하는 마감재 롤러 (210)의 표면적이 최소화되도록 마감재 롤러 (210) 하류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 (212) 상면 (218)은 마감재 롤러 (210)에 인접하다. 바닥 롤러 (220)는 보드 (212) 바닥면 (222) 아래에 배치된다. 바닥 롤러 (220)는, 예를들면, 고무 또는 탄성 재료 예컨대 네오프렌으로 덮여, 바닥면 (222)에 견인력을 획득하여, 마감재 롤러 (210)의 마찰력에도 불구하고 바람직한 속도 및 바람직한 방향으로 보드가 이동되도록 한다.
마감 조성물은 마감재 롤러 (210) 및 독터 롤러 (214) 사이에 분배된다. 마감 조성물 슬러리의 최상면 (224)이 독터 롤러 (214) 및 마감재 롤러 (210) 사이에 형성된다. 마감재 롤러 (210)는 마감 조성물을 상면 (218)에 인가하고 마감재 (226)를 적층하고 복합재 (228)를 형성한다. 도 2A-2B에서 제시된 실시태양의 다른 양태들, 예컨대 롤러 구동기, 이의 장착, 및 다른 바닥 롤러들의 존재는, 상기된 바와 같이 도 1A-1B에 대하여 제시된 설명과 유사하다.
일반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양 실시태양들에서, 독터 롤러 (114) 및 마감재 롤러 (110)의 최고 높이는 전형적으로 같고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의 축으로), 독터 롤러 (114, 214)의 최저 높이는 마감 처리 물품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마감 처리 대상 표면보다 높아야 하므로 독터 롤러 (114, 214)는 마감재 롤러 (110, 210)보다 직경이 작다. 홈들 (116, 216)은 임의의 적합한 구성일 수 있다. 예를들면, 마감재 롤러 (110, 210)는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홈들을 형성하는 톱니나사 (buttress thread)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톱니나사 구성을 포함하는 실시태양들에서, 롤러의 길이방향 인치 당 임의의 적합한 톱니나사 수 (count)가 적용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실시태양들에서, 롤러 조립체에서각각의 롤러 편은 독립적으로 구동되고 및 변속되어 양호한 마감작업 동조가 가능하다. 본원에 언급된 바와 같이, 바닥 롤러는 임의선택적으로 보드를 제조라인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에 사용되는 대규모 롤러들의 일부일 수 있다. 예를들면,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일련의 롤러들이 하나의 드라이브로 구동되고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면, 체인, 벨트, 또는 기타 등으로). 그러나,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바닥 롤러는 다른 이송 롤러들과는독립적으로 변속될 수 있어 본 발명의 실시태양들 롤러 조립체의 바닥 롤러를 더욱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예를들면, 보드 속도에 상응하도록 롤러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태양들에 의하면 바닥 롤러는 마감재 롤러 대향 지지 롤러이다. 예를들면, 바닥 롤러는 바람직하게는 마감 조성물로 처리되는 보드를 바람직한 높이 (통과 라인 높이)에서 유지하면서도 또한 견인력을 개선하여 보드를 적당한 방향에서 실질적으로 일정 속도로 제조라인으로 구동시킨다. 바닥 롤러는 보드 외면에서 균일한 마감재 두께가 되도록 더욱 작용한다. 예를들면, 롤러는 마감재가 인가되는 보드에서 롤러 미끄러짐 가능성을 줄인다. 이러한 미끄러짐은 바람직하지 않게 인가 마감 조성물 두께 변동으로 이어진다.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바닥 롤러에 대한 대안으로, 플레이트 예컨대 앤빌 플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마감재 롤러 축 및 바닥 롤러 축은 동일 수직면에 있지 않고, 옵셋되고, 예를들면, ± 약 3 인치 (∼7.6 cm)까지 벗어나서, 보드 말단에서 균일한 도포가 가능하게 한다.
마감재 롤러 및 바닥 롤러 사이 수직 간격은 이들 사이에 상이한 이격을 수용하도록, 예를들면, 상이한 보드 두께를 수용하도록 조정된다.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바닥 롤러는 정치되지만 마감재 롤러는 상향 또는 하향 이동되어 간격을 조정한다. 그러나,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고, 예컨대 바닥 롤러 높이를 조정 또는 마감재 롤러 및 바닥 롤러 모두를 조정할 수 있다.
독터 롤러는 전형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합한 금속으로 형성된다. 예를들면,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금속은 강재 예컨대 스테인레스 강재이고 마감 조성물이 통상 수성 슬러리일 때 부식을 방지한다. 표면은 크롬 또는 기타 등으로 도금처리되어 독터 롤러는 가능한 청결한 상태로 유지된다.
마감재 롤러의 조성은, 예를들면, 직행 마감 또는 역행 마감 구성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들면, 직행 마감 구성의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마감재 롤러는 예컨대 하나 이상 고무 또는 탄성 재료 예컨대 네오프렌,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단량체 (EDPM) 고무, 또는 기타 등으로 형성되는유연한 커버가 있는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마감 처리 대상 물품, 예컨대 매트-대면 보드는, 예를들면, 표면 결함으로 인하여 완전히 평탄하지 않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태양들에 의하면, 커버 (예를들면, 고무 재료로 제조)는 보드 또는 다른 물품에 있는 표면 결함과 일치하여 더욱 균일한 마감을 가능하게 한다. 고무는 압축성 및 장기 마모 수명으로 인하여 이러한 목적으로 바람직한 재료이다. 또한 쉽게 세척 가능한 재료이다. 직행 마감 구성의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강재 마감재 롤러를 사용하면 덜 바람직하다. 예를들면, 표면 결함이 일반적인 경우, 강재 마감재 롤러는 표면과 일치하기가 어렵다. 인가 마감재는 보드 표면에서 함몰부가 있는 지점에서 더욱 두꺼운 마감재 및 보드 표면에서 돌출부가 있는 지점에서 더욱 얇은 마감재와 같이 변동일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예컨대 일부 역행 마감재 구성에서, 마감재 롤러는 마모를 줄이기 위하여 금속 예컨대 강재로 제작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마감재 롤러가 보드 이동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 마감재 롤러는 마감재 롤러가 더욱 유연한 재료 예컨대 고무인 경우 운전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은 마모 특성을 보인다. 또한, 고무 마감재 롤러는 때로는 과도한 견인력을 발휘하여 보드는 바람직하지 않게 뒤로 밀릴 수 있다.
홈들은, 존재하는 경우, 임의의 적합한 구성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홈들은 바람직하게는 마감재가 인가될 수 있는 더욱 넓은 표면적을 제공한다. 홈들은 다양한 실시태양들에서 고무 커버 및/또는 금속 롤러에 절삭될 수 있고,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고무는 더욱 용이하게 세척되므로 고무로 덮인 마감재 롤러 실시태양들에서 홈들이 특히 유익하다.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마감재 롤러는 톱니나사 형태를 포함하여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홈들을 형성한다. 톱니나사 구성을 포함하는 실시태양들에서, 롤러의 길이방향 인치 당 임의의 적합한 톱니나사 수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마감재 롤러는 길이 인치 당 약 4 내지 약 50개의 톱니나사를 가지고, 예컨대 인치 당 약 8 내지 약 12개의 톱니나사, 인치 당 예를들면, 약 10개의 톱니나사를 가진다.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마감재 롤러는 길이방향 축을 가지고 홈(들)은 서로 직교하거나 또는 거의 축에 수직인 원주에 형성된다. 홈들은 임의의 적합한 깊이, 예컨대 약 0.001 인치 (≒0.003 cm) 내지 약 0.25 인치 (≒0.64 cm), 예를들면, 약 0.05 인치 (≒0.13 cm) 내지 약 0.20 인치 (≒0.51 cm)를 가진다. 홈들은 임의의 적합한 폭, 예를들면, 약 0.001 인치 내지 약 0.25 인치, 예컨대 약 0.08 인치 (≒0.2 cm) 내지 약 0.120 인치 (≒0.3 cm)을 가진다.
롤러 크기는 변할 수 있다. 예를들면, 마감재 롤러 반경은 마감 처리 대상 물품 라인 속도, 및 마감 조성물 점도에 따라 달라진다. 마감재 롤러 길이는 마감 처리 대상 패널 폭에 따라 달라지고 보통 롤러 길이는 제품 폭보다 어느 정도, 예를들면, 10% 내지 15% 길어, 예를들면, 제품이 전체 폭에 걸쳐 마감 처리된다. 독터 롤러 반경은 마감재 롤러 반경, 독터 롤러 속도, 마감재 점도, 기타 등에 따라 달라진다.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독터 롤러는 마감재 롤러보다 더욱 작은 직경을 가지고 따라서 축은 마감재 롤러 축과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이되, 바닥면은 패널 상면 (218) 위에 유지된다. 독터 롤러 길이는 보통 마감재 롤러 길이와 동일하고, 이들 롤러 말단에는 댐들이 구비되어, 슬러리가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마감재 롤러는 보통 강재로 제작되고, 임의의 적합한 경도의 하나 이상 커버를 가진다.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마감재 롤러의 경도는 독터 롤러보다 더욱 유연하게 선택되어 롤러들이 체결될 때 독터 롤러는 마감재 롤러를 압착하여 침착되는 마감 조성물 함량 조절에 유익하다. 예를들면, 커버(들)로 인하여 마감재 롤러의 경도는 쇼어-A에 의해 결정될 때 약 100 경도계 (Durometer) 이하, 예컨대 약 70 경도계 쇼어-A 이하, 예를들면, 약 40 경도계 쇼어-A이고, 독터 롤러는 바람직하게는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마감재 롤러의 선택 값보다 더욱 높은 경도 값을 가진다. 바람직하다면,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표면 경도를 줄이면서도 강성의 코어를 유지하기 위하여 마감재 롤러 커버(들)은 네오프렌, EPDM,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직행 마감재 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마감재 롤러는 보드 결함표면에 일치되도록 고무로 형성되어, 더욱 균일한 마감재 두께를 얻는다. 역행 마감재 구성에서,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커버 없는 롤러, 예를들면, 크롬 -도금의 매끄러운 강재 마감재 롤러가 사용되어 더욱 높은 내마모성을 제공하면서도, 또한 보드 (218) 상면에 대한 마찰력을 최소화하고, 롤러 표면에 부착되는 마감재 함량을 최소화한다.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독터 롤러 및 마감재 롤러의 인접 표면들 사이 간격은 억지끼워 맞춤식이고 따라서 본 분야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간격은 음수이다. 음수란, 예를들면, 마감재 롤러 및 독터 롤러의 최외각 반경의 합과, 이들 두 롤러 축들 사이 실제 거리와 차이인 억지끼움 정도를 나타낸다. 마감재 롤러가 일반적으로 독터 롤러보다 더욱 유연한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롤러들이 이러한 방식으로 위치할 때독터 롤러는 마감재 롤러를 압착한다. 마감작업 조성물 점도, 롤러 속도, 마감작업 수용 표면 특성, 및 직행 또는 역행 롤러 구성 여부 등의 인자에 따라 독터 롤러 및 마감재 롤러 사이 간격이 조정된다. 직행 롤러 마감에서, 마감재 롤러 및 독터 롤러는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이들 간격이 약 -0.020 인치 (≒-0.051 cm) 내지 약 +0.030 인치 (≒+0.076cm), 예컨대 약 -0.010 인치 (≒-0.025 cm) 내지 약 +0.020 인치 (≒+0.051cm), 예를들면, 약 -0.005 인치 (≒-0.013 cm) 내지 약 +0.015 인치 (≒+0.038cm)이 되도록 배치된다. 역행 마감 구성에서, 간격은 유사하게, 예를들면,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약 0.000 인치 (≒0.000 cm) 내지 약 +0.015 인치 (≒+0.038 cm)이다.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롤러 조립체는 마감재 롤러 및 바닥 롤러 사이 간격이 실질적으로 평균 패널 두께 내외로, 예를들면, 약 -0.080 인치 (≒-0.203 cm) 내지 약 +0.005 인치 (≒+0.013 cm), 예컨대 약 -0.050 인치 (≒-0.127 cm) 내지 약 0 인치 (≒0 cm), 예를들면, 약 -0.035 인치 (≒-0.089 cm) 내지 약 -0.010 인치 (≒-0.025 cm)로 조정된다. 역행 마감 구성에서, 간격은 약간 더 크고, 예를들면 약 0.000 인치 (≒0.000 cm)이다. 이러한 범위는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듯 조건이 변하면 바람직한 마감 특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마감 작업에서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은 슬러리 유동학, 보드 표면 특성, 또는 주변 조건을 포함한다.
임의의 적합한 마감 조성물이 시멘트질 물품, 예를들면, 섬유매트 외면에 인가되어 물품 복합재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마감재는 소수성이다. 예를들면, 일부 실시태양들에 의한 소수성 마감재는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통합되고, 2013.3.15자 출원된, “ 소수성 마감재를 포함하는 시멘트질 물품” 명칭의 공동-양도된 미국특허출원 13/834,556에 기재된 바와 같이 C급 플라이애쉬, 성막 중합체, 및 실란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의 다양한 실시태양들에서 사용 가능한 마감 조성물의 다른 실시예는, 예를들면, 미국특허 8,070,895; 및 미국특허공개 2010/0143682에 기재된다.
마감 조성물은, 2013.3.15자 출원된, “ 소수성 마감재를 포함하는 시멘트질 물품” 명칭의 공동-양도된 미국특허출원 13/834,556, 미국특허 8,070,895; 및 미국특허공개 2010/014368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제조된다. 예를들면, 마감 조성물은 시멘트질 재료 (예를들면, 플라이애쉬 또는 기타 등), 및 필요하다면 첨가제들을 포함하는 슬러리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슬러리는 혼합기에서 형성된다. 혼합기는 바람직하다면 연속하는 임의의 적합한 혼합 변수들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혼합 작업은 이축 혼합기, 예를들면, 연속, 동방향-회전 중첩 이축 혼합기로 연속 혼합된다.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마감 조성물은 원재료에서 주로 거친 입자 존재로 인하여 그릿를 함유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릿이 존재하면, 그릿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면,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슬러리의 하나 이상 성분들, 또는 전체 슬러리를 약 12 메쉬 내지 약 100 메쉬, 예컨대 약 20 메쉬 내지 약 60 메쉬, 예를들면, 약 30 메쉬 내지 약 40 메쉬의 스크린을 통과시킬 수 있다.
마감 조성물은 임의의 적합한 중량 또는 밀도, 또는 습식 마감재 두께로 도포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마감 조성물 함량은 약 10 lb/msf (0.05 kg/m2)내지 약 200 lb/msf (.98 kg/m2), 예컨대 약 80 lb/msf (0.39 kg/m2) 내지 약 180 lb/msf (0.88 kg/m2), 예를들면, 약 80 lb/msf 내지 약 150 lb/msf (0.73 kg/m2), 약 120 lb/msf (0.58 kg/m2) 내지 약 160 lb/msf (0.78 kg/m2), 또는 약 120 lb/msf 내지 약 140 lb/msf (0.68 kg/m2)로 적용될 수 있다. 습식 마감재 두께는 조성물에 따라, 예를들면, 더욱 균일한 외관을 달성하기 위해 달라질 수 있고 당업자에 의해 인정되는 바와 같이 매트에 담지되는 마감재 정도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마감 조성물은 마감재 롤러 아래에서 2회 이하로 통과되면서 인가된다.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마감 조성물은 마감재 롤러 하부에 단지 1회 통과하면서 도포된다.
하나의 양태에서, 마감 조성물은 복합재 내수성을 훼손할 수 있는 미도포 영역이 거의 없도록 매트 전체에 걸쳐 덮이도록 충분히 인가된다. 바람직하게는, 물품 복합재는 48 인치 (120 cm) 정수압이 48 시간 적용되고, 약 1/32 인치 (약 0.08 cm) 이하의 수위 하강이 있는 ANSI A118.10 (ASTM D4068에 의함) 및/또는 변형 ANSI A118.10에 의거한 방수 시험을 통과하는 보드로 형성된다.
마감재 인가 후, 건조된다. 도포 마감재는 기건 (즉, 무가열) 또는 가마 (가열)를 포함한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건조된다. 마감재가 매트 외면에 인가되기 전에 시멘트질 물품이 (가마에 의해) 완전히 건조될 수도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가 없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따라서,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마감재 롤러는 석고 보드 제조 공정에 부가되어 시멘트질 보드는 마감 처리되고 가마에 들어가고, 오프-라인에서 마감재 및 건조 작업이 필요 없이실질적으로 마감 처리된 제품으로 가마에서 반출된다.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마감재 롤러가 마감 조성물을 적용한 후 마감재는 오프-라인 공정에서 별도의 건조기로 건조된다. 예를들면, 적용된 마감재는 방사 가열 및/또는 대류 가열로 건조된다. 이러한 실시태양들에서, 임의의 충분한 가열 시간 및 지속 시간이 적용된다. 예를들면, 가열은 약 200°F (≒93°C) 내지 약 600°F (≒316°C), 예컨대 약 350°F (≒177°C) 내지 약 450°F (≒233°C)로 제공된다. 지속 시간은 온도 및 기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예를들면, 약 15 초 내지 약 120 초, 예컨대 약 45 초 내지 약 75 초일 수 있다.
바람직하다면,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물품은 표면 온도가 적어도 약 80°F (≒27°C) (예를들면, 약 100°F (≒38°C)가 될 때까지 예비 가열된 후, 마감 조성물을 인가한다.
섬유매트는 임의의 적합한 타입의 중합체 또는 무기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적합한 섬유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유리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아라미드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예를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비닐 알코올 (PVOH),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PVAc), 셀룰로오스 섬유 (예를들면, 면직물, 레이온, 기타 등), 및 기타 등, 및 이들 조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매트의 섬유는 소수성 또는 친수성, 마감 처리 또는 마감 미처리될 수 있다. 물론, 섬유 선택은 부분적으로 시멘트질 물품이 사용되는 분야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들면, 시멘트질 물품이 내열성 또는 내화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사용되는 경우, 적합한 내열성 또는 내화성 섬유가 섬유매트에서 사용되어야 한다.
섬유매트는 직물 또는 부직물이다; 그러나, 부직 매트가 바람직하다. 부직 매트는 결합제로 혼합된 섬유들을 포함한다. 결합제는 매트 산업에서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결합제일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로는, 제한되지 않지만, 요소 포름알데히드,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스테아레이트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아크릴 변성 또는 혼합된 요소 포름알데히드 또는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스티렌 아크릴 중합체, 및 기타 등, 및 이들 조합물을 포함한다. 적합한 섬유매트는 시멘트질 물품용 대면 재료로 사용되는 상업적으로 입수되는 매트를 포함한다.
더욱 설명하면, 적합한 유리 섬유 매트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약 80-90 % (예를들면, 약 83 %)의 16 미크론 직경, 1/2-인치 내지 1-인치 길이 (약 1.2-2.5 cm 길이)의 연속 장섬유 및 약 2.7 명목 미크론 직경 (Micro-Strand® Type 481, Johns Manville 제조)의 약 10-20 % (예를들면, 약 17 %) 생분해성 극세섬유를 포함하고 평량은 약 24 lbs/msf이다. 하나의 적합한 유리 섬유 매트는 DuraGlass® 8924G Mat이고, Johns Manville에서 제조된다. 유리 매트용 결합제는 임의의 적합한 결합제, 예를들면, 스티렌 아크릴 결합제일 수 있고, 매트 중량 기준으로 약 28% (±3%)이다. 유리 매트는 착색 안료, 예를들면, 녹색 안료 또는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다.
시멘트질 물품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으로 제조되고, 본 발명은 시멘트질 물품 제조 방식에 따라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섬유매트-대면 시멘트질 물품 제조방법의 실시태양들은 (a) 중합체 또는 무기섬유를 포함하는 제1 섬유매트에 시멘트질 슬러리를 적층하는 단계, 및 (b) 시멘트질 슬러리를 고화시켜, 섬유매트-대면 시멘트질 물품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섬유매트는 제1 섬유매트와 같이 시멘트질 코어 슬러리 반대측 표면에 인가될 수 있다.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본 발명에 의한 시멘트질 물품 제조방법은 본 분야에서 알려진 섬유매트-대면 시멘트질 물품 제조에 적용되는 기존 석고 보드 제조라인에서 수행될 수 있다. 간략하게, 공정은 전형적으로 섬유매트 재료를 컨베이어, 또는 컨베이어에 인접한 작업대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어 혼합기의 토출관 (예를들면, 본 분야에서 알려진 게이트-캐니스터-부트 (gate-canister-boot) 구성, 또는 미국특허 6,494,609 및 6,874,930에서 기재된 구성) 아래에 배치된다. 시멘트질 슬러리 성분들을 토출관을 포함한 혼합기에 공급하고, 교반하여 시멘트질 슬러리를 형성한다. 기포를 토출관 (예를들면, 예를들면, 미국특허 5,683,635 및 6,494,609에 기재된 바와 같이 게이트)에 첨가한다. 시멘트질 슬러리는 섬유매트 대면 재료에 토출된다. 슬러리를, 필요하다면, 섬유매트 대면 재료 상에서 펼치고 임의선택적으로 섬유매트 또는 다른 타입의 대면 재료 (예를들면, 페이퍼, 포일, 플라스틱, 기타 등)일 수 있는 제2 대면 재료로 덮는다. 제공되는 습식 시멘트질 조합체는 성형 스케이션으로 이송되고 여기에서 물품은 바람직한 두께로 규격화되고, 하나 이상 절단 스테이션으로 이송되고 여기에서 바람직한 길이로 절단되어 시멘트질 물품이 제공된다. 시멘트질 물품은 고화되고, 임의선택적으로, 과잉수는 건조 공정에서 제거된다 (예를들면, 기건 또는 시멘트질 물품을 가마로 운반). 각각의 상기 단계, 및 공정 및 이러한 단계를 수행하는 장비는 본 분야에서 알려져 있다. 또한 시멘트질 물품 예컨대 석고 및 시멘트 보드 제조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조밀 층의 슬러리를 대면 재료에 적층한 후 주요 슬러리를 적층하고, 적층된 슬러리로부터 대형 간극 또는 에어포켓을 제거하기 위하여 진동을 이용하는 것은 일반적이다. 또한, 본 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강성 에지가 때로 사용된다. 이들 단계 또는 요소 (조밀 슬러리 층, 진동, 및/또는 강성 에지)는 임의선택적으로 본 발명과 연관하여 적용될 수 있다.
물품의 시멘트질 코어는 임의의 적합한 첨가제들과 함께 수경 시멘트를 함유하거나 이로부터 유도되는 임의의 재료, 물질, 또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시멘트질 코어로 사용 가능한 재료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포틀랜드 시멘트, 소렐 시멘트, 슬랙 시멘트, 플라이애쉬 시멘트, 칼슘 알루미나 시멘트, 수용성 황산칼슘 무수물,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 황산칼슘 베타-반수화물, 천연, 합성 또는 화학적 변성 황산칼슘 반수화물, 황산칼슘 이수화물 (“석고,” “경화 석고,” 또는 “수화 석고”), 및 이들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황산칼슘 재료”란 상기 황산칼슘의 임의의 형태를 언급하는 것이다.
첨가제들은 시멘트질 물품, 예컨대 석고 보드 또는 시멘트 보드을 생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첨가제들일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들은, 제한되지 않지만, 구조적 첨가제들 예컨대 광물면, 연속 또는 절단 유리 섬유 (섬유유리라고도 칭함), 펄라이트, 점토, 질석, 탄산칼슘, 폴리에스테르, 및 종이섬유, 및 화학 첨가제들 예컨대 발포제, 충전제, 촉진제, 당, 강화제 (enhancing agent) 예컨대 인산염, 포스폰산염, 붕산염 및 기타 등, 지연제, 결합제 (예를들면, 전분 및 라텍스), 착색제, 살진균제, 살생제, 및 기타 등을 포함한다. 이들 및 다른 첨가제 일부 사용 실시예는 예시로써, 미국특허 6,342,284, 6,632,550, 6,800,131, 5,643,510, 5,714,001, 및 6,774,146, 및 미국특허공개 2004/0231916 A1, 2002/0045074 A1 및 2005/0019618 A1에 기술된다.
바람직하게는, 시멘트질 코어는 황산칼슘 재료, 포틀랜드 시멘트, 또는 이들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필요하다면,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시멘트질 코어는 또한 소수성 제제 (agent), 예컨대 실리콘-기반 재료 (예를들면, 실란, 실록산, 또는 실리콘-수지 매트릭스)를, 코어 재료 내수성 개선에 적합한 함량으로 포함한다. 또한 시멘트질 코어는 실록산 촉매, 예컨대 산화마그네슘 (예를들면, 소살 산화마그네슘), 플라이애쉬 (예를들면, C급 플라이애쉬), 또는 이들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록산 및 실록산 촉매는 임의의 적합한 함량으로, 본 발명의 내수성 시멘트질 물품 제조 방법, 또는 예를들면, 미국특허공개 2006/0035112 A1 또는 2007/0022913 A1에 기재된 방법에 대하여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임의의 적합한 방법으로 첨가된다. 바람직하게는, 시멘트질 코어는 또한 강도-개선 첨가제들, 예컨대 인산염 (예를들면, 미국특허 6,342,284, 6,632,550, 및 6,800,131 및 미국특허공개 2002/0045074 A1, 2005/0019618 A1, 및 2007/0022913 A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폴리인산염) 및/또는 예비-혼합 불안정 및 안정 비누 (예를들면, 미국특허 5,683,635 및 5,643,510에 기재)를 포함한다. 시멘트질 코어는 종이 또는 유리 섬유를 포함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종이 및/또는 유리 섬유는 실질적으로 부재이다 (예를들면, 약 1 wt.% 미만, 약 0.5 wt.% 미만, 약 0.1 wt.% 미만, 또는 약 0.05 wt.% 미만으로 종이 및/또는 유리 섬유 포함, 또는 이러한 섬유를 불포함). 본원 목적상, 코어는 본 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하나 이상 조밀 스킴 코트 및/또는 강성 에지를 포함한다.
매트-대면 시멘트질 물품 복합재는 코어 반대측 표면에 제2 섬유매트를 더욱 포함하고, 코어는 임의선택적으로 하나 또는 양 매트의 매트 내면과 접촉하는 스킴 코트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태양들에서, 제1 마감 조성물에 대하여 상기된 바와 같은 제2 롤러 조립체로 제2 마감 조성물이 제2 섬유매트 외면에 인가된다. 예를들면, 제2 마감재 롤러는 제2 마감 조성물을 제1 섬유매트가 배치되는 반대측 표면에 있는 제2 섬유매트 외면에 침착하기 위한 불균일 표면을 가진다. 제1 및 제2 매트들, 제1 및 제2 마감 조성물들, 및 제1 및 제2 롤러 조립체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료 또는 구성일 수 있다.
시멘트질 물품은 원하는 적용 분야에 적합한 임의의 유형 또는 형태일 수 있다. 시멘트질 물품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임의의 크기 및 형상의 석고 패널 및 시멘트 패널을 포함한다.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설명하지만, 물론, 어떠한 방식으로도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하기 실시예들의 마감 조성물은 하기 표 1에서 제시된다.
표 1
성분 Wt.%
플라이애쉬 C 급 66.40%
아크릴 중합체 - FORTON VF 774 액체 중합체 32.81%
착색제 - Ajack Black SC 0.13%
옥틸 트리에톡시실란 - Prosil 9202 0.66%
하기 실시예에서, 변형 ANSI A118.10 시험 (ASTM D4068 참고)은 2-인치 직경, 48 인치 높이의 중공 플라스틱 관을 시험 패널 상면에 단단히 고정하고 밀봉하는 시험 설정을 포함한다. 관에 수도물을 48 인치 상단까지 채웠다. 시간 함수로서 수위 하강을 관찰하여 기록하고, 물 누출 및 누출 지점을 관찰하였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소수성 마감재 조성물 중 그릿이 이러한 마감재를 함유한 물품의 내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인다.
그릿이 포함된 소수성 마감재를 포함하는 4 피트 (1.2 m) X 8 피트 (2.4 m) 유리-매트 대면 석고 보드 (패널)를 제작하였다. 현장 취급 조건을 모사하여 패널을 유사 조성물의 또 다른 4 피트 X 8 피트 유리 매트 패널 위에서 끌었다. 에지들을 정렬하여 패널들을 적층하고, 8 피트 에지 한 곳을 아래 보드로부터 약 2 피트 (약 0.6 m) 들어올린 후, 이 에지를 수평으로 2 피트 움직여, 아래 패널 면의 다른 8 피트 에지 절반에 걸쳐 끌렸다. 긁힌 영역에서 패널 간 접촉부는 영구 마커가 형성되고 온전 영역은 영구 마커가 없었다.
시험 보드의 온전 영역에서2종의 대조 샘플을 휘하였다. 또한 시험 보드의 스크레이핑이 발생된 지점에서 2 샘플을 취하였다. 샘플 치수는 12 인치 (31 cm) X 12 인치 (31 cm)이었다. 각각의 샘플에 대하여 상기 변형 ANSI A118.10에 의거한 내수성을 시험하였다. 결과를 도 3에 도시한다. 긁힌 샘플 1은 시험 개시10 분 후에 물 누출을 보였다. 대조적으로, 대조 샘플은 5 일까지 물 누출이 없었다.
본 실시예는 소수성 마감재 조성물에서 그릿 입자는 바람직하지 않게 마감재 함유 보드의 내수성을 훼손할 수 있다는 것을 보인다. 예를들면, 통상 취급에서 발생되는 바와 같이 보드가 또 다른 보드에 의해 긁히면, 그릿이 빠지고 마감재에 구멍을 남겨 내수성은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
실시예 2 - 비교
본 실시예는 비교 목적으로 고무 또는 발포 블레이드 (스퀴지), 발포 스트립, 또는 흙손으로 강도 및 조성이 다른 마감 조성물을 석고 보드의 대면 유리 매트에 인가하는 것을 예시한다.
고무 블레이드에 있어서, 연성 고무 마루 스퀴지, 강성 고무 마루 스퀴지, 검 고무 마루 스퀴지, 및 이중 폐쇄 셀 발포 마루 스퀴지를 각각 사용하였다. 소수성 마감재 조성물을 유리-매트 대면 석고 보드의 매트 외면에 부었다. 각각의 시험에서, 상기 선택된 스퀴지를 사용하여 마감 조성물을 보드 표면에 밀어 펼쳤다. 상기 변형 ANSI A118.10 시험에 의하면, 마감 미처리 소규모 영역 및 바람직하지 않은 핀홀들이 관찰되었고 내수성은 충분하지 않았다. 바람직한 마감재 중량은 스퀴지 1회 통과로 달성되지 않았다. 또한, 일부 마감 조성물은 인가 과정에서 에지에 넘쳐 흘렀다. 발포 댐 (dam)을 보드 에지에 사용하여 슬러리를 담을 수 있지만 이러한 댐은 시스템을 복잡하게 하고 매트 마모로 인하여 비효과적일 수 있다.
또 다른 시험에서, 평탄면에 장착된 발포 스트립으로 마감 조성물을 매트-대면 석고 보드 외면에 펼쳤다. 폐쇄 셀 및 개방 셀 배향들을 포함한 조성, 두께 및 강도가 다른상이한 발포품을 시도하였다. 소수성 마감재 조성물을 유리-매트 대면 석고 보드의 매트 외면에 부었다. 각각의 시험에서, 발포 스트립을 이용하여 마감 조성물을 보드 표면에 밀어 펼쳤다. 개방 셀 (cell) 발포품은 바람직하지 않게 일부 마감 조성물을 흡착하고 이는 발포 구조체 내부에서 경화되거나 말라, 결과적으로 불균일 마감재 분포를 보였다. 다양한 발포 스트립으로 인가할 때 일부 마감 조성물은 보드 에지에 넘쳐 흘렀다.
흙손으로도 시험하였다. 시험 흙손은“Magic Trowel”로서 TexMaster Tools에서 상업적으로 입수된다. 흙손은 효과적으로 바람직한 마감재 중량을 달성하였다. 그러나, 2회 마감이 필요하고 마감 사이 건조가 필요하여 시간이 소요되고 효율적이지 않아 만족스럽지 않았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블레이드, 발포 스트립 및 흙손을 사용하면 완전히 만족스럽지 않다는 것을 보인다. 예를들면, 마감재 슬러리 유출이 해결되어야 하고, 블레이드, 발포 스트립, 또는 흙손에서 1회 이상의 마감재 인가가 필요하므로 제조 공정이 복잡하게 된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비교 목적으로 매끄러운 (예를들면, 홈이 부재) 표면을 가지는 마감재 롤러를 이용하여 석고 보드의 유리 매트 면에 마감 조성물을 인가한다.
표 1의 마감 조성물을 유리-매트 대면 석고 보드의 매트 외면에 부었다. 6개의 샘플을 롤러 조립체의 마감재 롤러 및 독터 롤러의 설정을 변경하면서 시험하였다. 마감재 롤러를 바닥 롤러에 대하여 다양한 높이로 조정하였다. 독터 롤러를 마감재 롤러에 대하여 다양한 간격으로 조정하였다. 샘플들을 통과 횟수를 달리하여 시험하였다. 두 샘플 (3A 및 3D)에서는 마감재 롤러를 시험한 후 제2 단계로 스퀴지를 적용하였다. 샘플 중 하나 (3E)는 예비 가열하였다. 6개의 샘플에 대한 마감재 상태를 하기 2A 및 2B에 제시한다. 괄호 내는 미터법으로 환산된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표 2A
샘플 방법 예열 마감 횟수 2회 통과 전 지연(min) 3회 통과 전 지연 (min) 1회 통과 독터 설정
(인치)
1회 통과 높이 설정
(인치)
3A 직행 + 스퀴지 아니오 1 0.038 (0.097 cm) 0.485
(1.23 cm)
3B 직행 아니오 2 10 0.045 (0.114 cm) 0.480
(1.21 cm)
3C 직행 아니오 2 1 0.035 (0.089 cm) 0.520
(1.32 cm)
3D 직행 + 스퀴지 아니오 2 16 0.045
0.500
3E 직행 2 10 0.040
(0.102 cm)
0.495
(1.26 cm)
3F 직행 아니오 3 0 0 0.030 (0.076 cm) 0.500
표 2B
샘플 2회 통과 독터 설정
(인치)
2회 통과 높이 설정
(인치)
3회 통과 독터 설정
(인치)
3회 통과 높이 설정
(인치)
슬러리 Wt 1회 통과, (lbs/msf) 첨가 슬러리 2회 통과, (lbs/msf) 최종 슬러리 Wt, (lbs/msf)
3A 55 (0.27 kg/m2) 55
3B 0.030 (0.076 cm) 0.500 (1.270 cm) 53 (0.26 kg/m2) 27 (0.13 kg/m2) 80 (0.39 kg/m2)
3C 0.035
(0.089 cm)
0.500 73 (0.36 kg/m2)
3D 0.030
0.500 50 (0.24 kg/m2) 20 (0.09 kg/m2) 70 (0.34 kg/m2)
3E 0.040
(0.102 cm)
0.495 (1.26 cm) 50 20 70
3F 0.030
0.500 0.030 (0.076 cm) 0.500 80
인가 후, 샘플들에 대하여 상기 변형 ANSI A118.10 시험을 진행하였다. 결과를 하기 도 4 및 표 3 에 제시한다. 표 3에 수위 하강이 인치 단위로 제공되고 괄호 내는 센티미터로 환산한 것이다.
표 3
3A 3B 3C 3D 3E 3F
2 -44.750 (113.67 cm) -4.000 (25.81 cm) -38.125 (96.838 cm) -40.000 (101.60 cm) -23.250 (59.055 cm) -46.750 (118.745 cm)
5 -48.000
(-121.92 cm)
-4.188
(-10.64 cm)
-45.063
(-114.46 cm)
-43.000
(-109.22 cm)
-24.375
(-61.913 cm)
-48.000
(-121.92 cm)
27 -48.00
(-121.9 cm)
-6.38
(-16.2 cm)
-48.00
(-121.9 cm)
-43.50
(-110.5 cm)
-30.00
(-76.20 cm)
-48.00
(-121.9 cm)
결과로부터, 샘플들은 변형 ANSI A118.10 시험을 통과하지 못하였다. 모든 샘플들은 48 인치 (120 cm) 칼럼에 물을 채우고2 분 후 수위 하강하였다. 2 일에는, 모든 샘플은 46.75 인치 (118.8 cm)까지 물이 상당히 누출되었다. 샘플 3A 및 3C의 경우, 분리된 물 방울들이 패널 복합재 (마감재 보유) 상부에 각자14 분 및 3.5 분에 보였다. 설명된 바와 같이, 도 5는 샘플 3A에서 물 방울 존재를 보인다. 도 6은, 샘플 3C에 대한 25X 광학 사진이고, 마감재가 인가된 후 상당한 개수의 간극이 여전히 개방된 것을 보이고, 부적합한 샘플 내수성을 설명한다. 또한 조성물로부터 고체보다 더 높은 비율의 액체가 패널로 전달될 때, 유리 매트가 필터로 작용하여 많은 고체 재료가 패널에 침착되기 보다는 롤러에 잔류하므로 바람직하지 않은 여과 효과가 있었다.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태양들에 의한 균일 표면을 가지는 마감재 롤러를 이용하여 석고 보드의 유리 매트 면에 마감 조성물을 인가한것을 설명한다.
마감 조성물을 유리-매트 대면 석고 보드의 매트 외면에 부었다. 7개의 샘플을 롤러 조립체의 마감재 롤러 및 독터 롤러의 설정을 변경하면서 시험하였다. 일부 구성은 직행 마감재 방향이고 다른 구성은 역행 마감재 방향으로 설정되었다. 마감재 롤러를 바닥 롤러에 대하여 다양한 높이로 조정하였다. 독터 롤러를 마감재 롤러에 대하여 다양한 간격으로 조정하였다. 샘플들을 통과 횟수를 달리하여 시험하였다. 두 샘플 (4B 및 4G)에서는 마감재 롤러를 시험한 후 제2 단계로 스퀴지를 적용하였다. 7개의 샘플에 대한마감재 상태를 하기 4A 및 4B에 제시한다. 괄호 내는 미터법으로 환산된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표 4A
샘플 방법 마감 횟수 1회 통과 독터 설정
(인치)
1회 통과 높이 설정
(인치)
2회 통과 독터 설정
(인치)
4A 역행 1 0.005
(0.012 cm)
0.485 (1.23 cm)
4B 역행 + 스퀴지 1 0.005 0.485
4C 역행 1 0.005 0.470 (1.19 cm)
4D 역행 1 0.005 0.470
4E 직행 2 0.015 (0.038 cm) 0.490 (1.25 cm) 0.020
(0.051 cm)
4F 직행 + 역행 2 0.015 0.450 (1.14 cm) 0.003
(0.008 cm)
4G 직행 + 역행 + 스퀴지 2 0.015 0.450 0.001
(0.003 cm)
표 4B
샘플 2회 통과 높이 설정
(인치)
마감재 중량 1회 통과
(lb/msf)
마감재 중량 2회 통과
(인치)
총 마감재 중량
(lb/msf)
4A 123.0
(0.601 kg/m2)
123.0
4B 138.0
(0.674 kg/m2)
138.0
4C 160.0
(0.781 kg/m2)
160.0
4D 83.0
(0.405 kg/m2)
83.0
4E 0.490
(1.25 cm)
54.0
(0.26 kg/m2)
0.042 (0.107 cm) 96
(0.47 kg/m2)
4F 0.480
(1.22 cm)
51.0
(0.25 kg/m2)
0.086 (0.218 cm) 137
(0.669 kg/m2)
4G 0.485
(1.23 cm)
54.0 0.082 (0.208 cm) 136
(0.664 kg/m2)
인가 후, 샘플들에 대하여 상기 변형 ANSI A118.10 시험을 진행하였다. 결과를 하기 도 7 및 표 5 에 제시한다. 표 5에 수위 하강이 인치 단위로 제공되고 괄호 내는 센티미터로 환산한 것이다.
표 5
4A 4B 4C 4D 4E 4F 4G
2 -0.094
(-0.239 cm)
0.000 0.000 -0.750 (-1.91 cm) -0.063
(-0.160 cm)
-0.563
(-1.43 cm)
0.00
5 -0.125
(-0.318 cm)
0.000 0.000 -0.938 (-2.38 cm) -0.125
(-2.38 cm)
-1.125
(-2.858 cm)
0.00
27 -0.19
(-0.48 cm)
-0.13
(-0.33 cm)
-0.13 (-0.33 cm) -2.00
(-5.08 cm)
-0.25
(-0.64 cm)
-1.38
(-3.51 cm)
-0.125
(-0.318 cm)
결과로부터, 충분한 마감재 중량으로 내수성은 일반적으로 효과적이었다. 샘플 4D는 시험 개시 2분 후 물 누출을 보이지만, 더욱 낮은 마감재 중량 (83 lb/MSF)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도 8A-8B는 샘플 4F 및 4A각자에 대한25X 배율의 광학 사진이다. 샘플 4A는 매우 작은 핀홀들을 가지고 성공적이었다. 샘플 4F는 물 누출 가능성이 있는 일부 보다 큰 핀돌을을 가졌다.
본 실시예는 역행 방향1회 통과 마감재 인가 및 직행 방향 2회 통과 마감재 인가는 목표 마감재 중량 및 양호한 내수성을 달성하였다. 그러나, 역행 마감 방향 및 다중 롤러 통과는 덜 바람직한 실시태양들이다. 역행 마감의 예측 단점들은 롤러 조립체의 마모 및 균열 및 패널 선단 및 마감재 롤러의 슬러리 간의 상호작용, 및 바람직하지 않은 패널 말단에서의 유출로 인한 패널 선단에서의 불완전한 마감재 중량 가능성이다. 이러한 단점들은, 그러나, 마감재 롤러를 통과하는패널 말단-대-말단을 유지하면 해결될 수 있다. 한편, 다중 마감은 다중 롤러 조립체 사용으로 인해 복잡성을 높이고, 제1 마감재가 건조된 후 연속 층이 인가되므로 효율이 훼손된다. 제2 회 인가 전에 중간 건조 단계를 생략함으로써 공정 단계 수를 줄이고 처리량을 최대화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실시예 5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태양들에 의한 1회-마감 (1 층) 직행 마감 구성에서 불균일 표면을 가지는 마감재 롤러를 이용하여 석고 보드의 유리 매트 면에 마감 조성물을 인가한것을 설명한다. 마감재 롤러의 홈들은 원주상에 인치 당10개의 톱니나사로 배열된다. 마감재 롤러의 경도는 44 경도계-쇼어 A이고, EPDM으로 덮여있다.
마감 조성물을 유리-매트 대면 석고 보드의 매트 외면에 부었다. 5개의 샘플을 롤러 조립체의 마감재 롤러 및 독터 롤러의 설정을 변경하면서 시험하였다. 대부분의 구성은 직행 마감 방향이고 하나의 시험이 역행 마감 방향 (샘플 5E)으로 설정된다. 마감재 롤러를 바닥 롤러에 대하여 다양한 높이로 조정하였다. 독터 롤러를 마감재 롤러에 대하여 다양한 간격으로 조정하였다. 샘플들을 통과 횟수를 달리하여 시험하였다. 마감재 인가 전 하나의 샘플 (5C)을 예열하였고, 하나는 후-가열 처리되었고 (5D), 하나 외에 모든 샘플을 기건하고, 하나의 샘플은 오븐에서 건조하였다. 5개의 샘플에 대한마감재 상태를 하기 6A 및 6B에 제시한다. 속도비는 바닥 롤러에 대한 마감재 롤러 속도를 나타낸다. 괄호 내는 미터법으로 환산된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온도는 화씨로 나타내되 섭씨는 괄호 처리하였다.
표 6A
샘플 방법 비고 샘플 직전 온도
(°F)
평균 두께
(인치)
1회 통과 독터 설정
(인치)
5A 직행 대죠 60 (15.6°C) 0.507
(1.289 cm)
-0.004
(-0.010 cm)
5B 직행 고점도 60 0.512
(1.30 cm)
-0.004
5C 직행 예열 158 (70°C) 0.508
(1.29 cm)
-0.004
5D 직행 후-가열 60 0.507 -0.004
5E 역행 역행 60 0.507 0.004
(0.010 cm)
표 6B
샘플 1회 통과 높이 (인치) 속도비 최종 습식 마감재 wt, (lbs/msf) 마감재 롤러 간격 (인치)
5A 0.490 (1.25 cm) 1 120 (0.59 kg/m2) -0.017
(-0.043 cm)
5B 0.490 1 110 (0.54 kg/m2) -0.022
(-0.056 cm)
5C 0.490 1 110 -0.018
(-0.046 cm)
5D 0.490 1 100 (0.49 kg/m2) -0.017
5E 0.506 (1.29 cm) 3 130 0.64 kg/m2) 0.000
인가 후, 샘플들에 대하여 상기 변형 ANSI A118.10 시험을 진행하였다. 결과를 하기 도 9 및 표 7에 제시한다. 표 7에 수위 하강이 인치 단위로 제공되고 괄호 내는 센티미터로 환산한 것이다.
표 7
5A 5B 5C 5D 5E
2 0 0 0 0 0
5 0 0 0 0 0
27 -0.125
(-0.318 cm)
-0.063
(-0.160 cm)
0 -0.063 -0.063
결과로부터, 원주 형성 홈의 마감재 롤러는 직행 방향의 마감재 롤러에서 단일 통과로 바람직한 마감재 중량을 달성하는데 성공적이었다. 톱니나사는 더욱 긴 수명을 제공하는데 유용하리라 예상된다. 50 경도계-쇼어 A의 경도로 인하여 마감재 롤러는 패널 표면의 본질적인 불규칙성에 일치하고, 따라서 균일한 마감재 두께를 제공한다. 마감재를 패널에 침착한 후 롤러는 임의의 여과 효과 없이 실질적으로 청결하였다.
모든 샘플들이 9 일까지는 물 누출을 보이지 않으므로 본 실시예는 내수성에 대하여 성공적이라는 것을 보인다. 시험26 일 후, 최대 수위 하강이 0.125 인치 (0.318 cm)로 모든 샘플들은 우수한 내수성을 보였다. 도 10A-C는 샘플 5A, 5C 및 5E 각자의 20X 배율의 광학 사진이다. 샘플 5A는 일부 핀홀들을 가지지만, 마감재가 침투되어 간극을 덮는 것으로 판단된다. 샘플 5C 및 5E 마감재는 양호한 표면 커버를 제공하고 거의 또는 전혀 핀홀들이 없다.
실시예 6
본 실시예는 (즉, 마감재가 매트-대면 석고 보드의 매트 외면에 인가된 후) 복합재 물품에서 마감 조성물의 건조를 설명한다.
건조는 오븐에서 대류 가열로 수행되었다. 샘플 6A-6H인 8개의 샘플들에 대하여 다양한 건조 시간 및 유지 시간에서 시도하였다. 일련의 시험에서, 오븐 온도는 200°F (93°C), 300°F (149°C), 400°F (204°C), 및 500°F (260°C)이었다. 2개의 샘플들에서는, 즉, 샘플 6G 및 6H에서는, 물품을 예열한 후 마감재를 인가하였다. 각각의 샘플에 대하여 가열 시간 및 온도를 기록하고 표 8 에 제시한다. 온도는 화시로 제공되고 괄호내에서는 섭씨이다.
표 8
샘플 예열 유지 (초) 오븐 온도 (°F)
6A 0 200 (93°C)
6B 0 200
6C 0 300 (149°C)
6D 0 300
6E 0 400 (204°C)
6F 0 400
6G 45 400
6H 45 400
패널 건도는 수분계 (GE Protimeter)로 측정하고, 60 이하를 건조 상태로 간주한다. 다양한 온도 및 시간에서 샘플에 대한 상대습도 결과는 도 11A 및 11B에 도시된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0°F (93°C) 또는 300°F (149°C)에서 건조는 90 초 이상 소요되고, 이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이고, 더욱 긴 건조기 시간 또는 더욱 낮은 라인 속도, 이에 따라 높은 자본 및/또는 운전 비용으로 인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00°F (204°C)에서는 75 초에 건식 마감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성공적이었다. 500°F (260°C)에서는 건조 마감이 너무 빨라 내수성에 유해한 블리스터링 (blistering)이 초래된다는 것을 알았다.
마감재 도포 전 패널 예열로 마감재 건조가 더욱 신속하게 진행되고, 에너지가 덜 투입되고 건조기에서 체류 시간이 짧아진다. 이러한 측면에서, 석고 코어를 통한 패널 가열이 마감 처리 대상 표면만을 가열하는 것보다 더욱 효과적이다는 것을 알았다.
샘플들에 대하여 상기 변형 ANSI A118.10 시험을 진행하였다. 결과를 하기 도 12 및 표 9 에 제시한다. 괄호내에서는 미터법 환산이 제공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9
6E 6F 6G 6H
2 0 -0.25
(-0.64 cm)
0 0
5 -0.188
(-0.4778 cm)
-0.313
(-0.795 cm)
-0.031
(-0.079 cm)
-0.125
27 -2.5
(-6.35 cm)
-0.5 (-1.3 cm) -0.125
(-0.318 cm)
-0.313
(-0.795 cm)
용어 “a”, “an”, 및 “the” 및 본 발명 기재 문맥에서 (특히 하기 청구범위 문맥에서) 유사한 지시어는, 달리 표시되거나 이에 명백하게 반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하나 이상 나열 항목들 (예를들면, “A 및 B중 적어도 하나”)이 수반되는 "적어도 하나”라는 용어는, 달리 표시되거나 이에 명백하게 반하지 않는 한, 나열 항목들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항목 (A 또는 B) 또는 둘 이상의 나열 항목들의 임의의 조합 (A 및 B)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 “구성하는”, “가지는”, “포함하는” 및 “함유하는” 이란 달리 표기되지 않는 한 확장 가능 용어로 해석되어야 한다 (즉, “제한적이지는 않지만 포함되고”의 의미). 본원에서 값들의 범위들의 설명은, 여기에 별도로 지시되지 않으면, 단지 범위 내에 있는 각각의 개별적인 값을 개별적으로 언급하는 간단한 전달법으로서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며, 각각의 개별적인 값은 여기에 개별적으로 기술되는 것처럼 명세서에 포함된다. 여기에 설명된 모든 방법들은 여기에 별도로 지시되지 않거나 문맥상 분명하게 모순되지 않는 한 임의의 적당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 제공되는 어떤 및 모든 실시예들, 또는 예시적인 언어(예를 들어, "와 같은")의 사용은 단지 본 발명을 더 잘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별도로 주장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한정을 하지 않는다. 명세서의 언어는 본 발명의 실시에 필수적인 것으로서 어떤 청구되지 않은 요소들을 지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발명자들에게 인지된 최선의 방법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본원에 기재된다. 본 분야의 기술자들은 상기 명세서를 독해한 후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변형이 이들에게 명백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기술자들이 이러한 변형을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예상하고, 본 발명자들은 본원에 특정하게 기재된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한 법률이 허용되는 바와 같이 본원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언급된 주제의 모든 변경들 및 균등론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달리 표기되거나 달리 명백하게 문맥상 모순되지 않는 한, 모든 가능한 변형들에서 상기 요소들의 임의의 조합은 본 발명에 의해 포괄되는 것이다.

Claims (10)

  1. 매트-대면 시멘트질 물품 복합재 제조방법으로서,
    (a)매트-대면 석고 물품 제조 단계, 상기 매트는 시멘트질 코어 제1 표면에 인접한 내면 및 반대측 매트 외면을 가지고; 및
    (b)수성 시멘트질 마감 조성물을 상기 매트 외면에 인가하여 상기 매트-대면 시멘트질 물품 복합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대면 시멘트질 물품 복합재는 상기 코어 반대측 제2 표면에 제2 매트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코어는 임의선택적으로 하나 또는 양 매트의 상기 매트 내면과 접촉하는 스킴 코트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조성물은 상기 마감 조성물을 상기 섬유매트의 상기 외면에 침착하는 마감재 롤러를 포함하는 롤러 조립체로 인가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 롤러는 불균일한 표면을 가지는,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 롤러는 길이방향 인치 당 약 4 내지 약 50개의 톱니나사를 가지는, 방법.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조립체는 상기 외면의 반대측인 상기 물품의 제2 표면과 체결되는 바닥 롤러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마감재 롤러는 상기 물품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법.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 롤러는 역행으로 회전하여 상기 물품와 접촉하는 표면은 상기 물품이 이동될 때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법.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조립체는 독터 롤러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독터 롤러는 상기 마감재 롤러와 조합하여 이를 사이에 트로프를 형성하고, 상기 독터 마감재 롤러 회전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ANSI A118.10 (ASTM D4068에 의함) 및/또는 변형 ANSI A118.10에 의한48 인치 정수압이 48 시간 동안 인가되고, 수위 하강은 약 1/32 인치 이하인 방수 시험을 통과하는 보드로 형성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2 섬유매트 외면에 제2 마감 조성물을 제2 롤러 조립체로 인가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조립체는 제2 마감 조성물을 상기 제1 섬유매트가 배치되는 코어 표면 반대측인 상기 제2 섬유매트 외면에 침착하는 불균일 표면을 가지는 마감재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매트들, 상기 제1 및 제2 마감 조성물들, 및 상기 제1 및 제2 롤러 조립체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방법.
KR1020157026646A 2013-03-15 2014-03-12 매트-대면 물품 제조 방법 KR201501406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37,041 2013-03-15
US13/837,041 US20140261954A1 (en) 2013-03-15 2013-03-15 Method of preparing mat-faced article
PCT/US2014/024234 WO2014150788A1 (en) 2013-03-15 2014-03-12 Method of preparing mat-faced art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662A true KR20150140662A (ko) 2015-12-16

Family

ID=50981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6646A KR20150140662A (ko) 2013-03-15 2014-03-12 매트-대면 물품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40261954A1 (ko)
EP (1) EP2969440A1 (ko)
JP (1) JP2016515057A (ko)
KR (1) KR20150140662A (ko)
AU (1) AU2014235603A1 (ko)
CA (1) CA2904994A1 (ko)
MX (1) MX2015011652A (ko)
WO (1) WO20141507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5692B2 (en) 2015-03-13 2018-12-18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Hydrophobic finish compositions with extended flow time retention and building products made thereof
CA3022415C (en) 2016-04-29 2021-10-26 Certainteed Gypsum, Inc. Building assembly containing a water barrier coating film and method of making the building assembly
WO2017196644A1 (en) 2016-05-13 2017-11-16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Mat-faced board and method for producing board
US10207475B2 (en) 2016-05-13 2019-02-19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Mat-faced board
US10844595B2 (en) 2017-06-30 2020-11-24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Exterior cementitious panel with multi-layer air/water barrier membrane assembly and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1225793B2 (en) 2018-04-27 2022-01-18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Fly ash-free coating formulation for fibrous mat tile backerboard
CA3058058A1 (en) 2018-10-19 2020-04-19 National Gypsum Properties, Llc Antimicrobial coating for building panel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88456A (en) * 1938-02-17 1940-01-30 Laucks I F Inc Apparatus for grooving rubber applicator rolls
US2343363A (en) * 1942-01-13 1944-03-07 John E Black Glue spreader, surface coater, and the like
US4816091A (en) * 1987-09-24 1989-03-28 Miller Robert G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reinforced cementious panel webs
EP0738183A4 (en) 1993-12-13 1997-08-06 Henkel Corp FOAMING COMPOSITION AND METHOD
CA2158820C (en) 1994-09-23 2004-11-23 Steven W. Sucech Producing foamed gypsum board
US5683635A (en) 1995-12-22 1997-11-04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Method for preparing uniformly foamed gypsum product with less foam agitation
GB2316693B (en) * 1996-08-29 2000-05-31 Bpb Plc Building board
US6342284B1 (en) 1997-08-21 2002-01-29 United States Gysum Company Gypsum-containing product having increased resistance to permanent deformation and method and composition for producing it
US6632550B1 (en) 1997-08-21 2003-10-14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Gypsum-containing product having increased resistance to permanent deformation and method and composition for producing it
US7435369B2 (en) * 2001-06-06 2008-10-14 Bpb Plc Method for targeted delivery of additives to varying layers in gypsum panels
US6494609B1 (en) 2001-07-16 2002-12-17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Slurry mixer outlet
US7037864B2 (en) * 2001-08-22 2006-05-02 Denis Faucher Integral waterproofing membrane
US6774146B2 (en) 2002-08-07 2004-08-10 Geo Specialty Chemicals, Inc. Dispersant and foaming agent combination
US7049251B2 (en) * 2003-01-21 2006-05-23 Saint-Gobain Technical Fabrics Canada Ltd Facing material with controlled porosity for construction boards
KR20050116378A (ko) 2003-03-19 2005-12-12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집섬 컴파니 세트 석고의 인터라킹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음향 판넬 및그 제조방법
US7892472B2 (en) 2004-08-12 2011-02-22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Method of making water-resistant gypsum-based article
US7803226B2 (en) 2005-07-29 2010-09-28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Siloxane polymerization in wallboard
US8070895B2 (en) 2007-02-12 2011-12-06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Water resistant cementitious articl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CA2741845A1 (en) 2008-10-30 2010-05-06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Mat-faced cementitious articl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US8329308B2 (en) * 2009-03-31 2012-12-11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Cementitious articl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4235603A1 (en) 2015-10-15
WO2014150788A1 (en) 2014-09-25
JP2016515057A (ja) 2016-05-26
US20140261954A1 (en) 2014-09-18
MX2015011652A (es) 2016-02-05
EP2969440A1 (en) 2016-01-20
CA2904994A1 (en) 201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40662A (ko) 매트-대면 물품 제조 방법
US10767368B2 (en) Plastic coated composite building boards and method of making same
EP2117828B1 (en) Water resistant cementitious articl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US10676927B2 (en) Lightweight cementitious panel possessing high durability
US7932193B2 (en) Coated mat products, laminates and method
EP2355976B1 (en) Gypsum board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RU2703392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корированной стеновой или напольной панели
AU2004284423A1 (en) Interior wallboard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70141304A1 (en) Perforated board formed from cementitious material and process and system for producing same
MX2007013242A (es) Tabique para paredes interiores y metodo para elaborarlas.
CA2802068A1 (en) Method for constructing composite building boards using dissolvable films
DK164579B (da) Fremgangsmaade og apparat til fremstilling af en armeret cementplade samt cementplade fremstillet ved fremgangsmaaden
JP7339279B2 (ja) 繊維マットタイルバッカーボードのためのフライアッシュを含まないコーティング配合物
EP3508650B1 (en) A fiber mat, method of making the fiber mat, and bituminous roofing product
CA2924051C (en) Lightweight cementitious panel possessing high durability
RU2344936C2 (ru) Стеновая плита для внутренних работ и способ ее производ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