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8587A - 미디어 파일 공유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 Google Patents

미디어 파일 공유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8587A
KR20150138587A KR1020140066343A KR20140066343A KR20150138587A KR 20150138587 A KR20150138587 A KR 20150138587A KR 1020140066343 A KR1020140066343 A KR 1020140066343A KR 20140066343 A KR20140066343 A KR 20140066343A KR 20150138587 A KR20150138587 A KR 20150138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file
frame
file
external device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철 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키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키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키노
Priority to KR1020140066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8587A/ko
Publication of KR20150138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5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미디어 파일 공유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미디어 파일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기가 업로드한 미디어 파일을 저장하며, 외부 장비로부터 미디어 파일에 대한 스트리밍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외부 장비가 미디어 파일에 대한 스트리밍 전송 요청 권한이 있는지를 판단하며, 외부 장비가 미디어 파일에 대한 스트리밍 전송 요청 권한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외부 장비에 상기 미디어 파일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을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만의 개성을 담은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을 제작 및 편집하는데 그치지 않고, 이와 같은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을 다른 장소에 설치된,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외부 장비, 또는 다른 서비스에서도 스트리밍 전송을 통해 활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미디어 파일 공유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Media File Sharing Mehtod, and Managing Server Used Therein}
본 발명은 미디어 파일 공유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자신만의 개성을 담은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을 제작 및 편집하는데 그치지 않고, 이와 같은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을 다른 장소에 설치된,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외부 장비, 또는 다른 서비스에서도 스트리밍 전송을 통해 활용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관리 서버에 업로드한 미디어 파일에 대한 접속 권한을 갖는 외부 장비 및 서비스를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 소유의 미디어 파일에 대한 정당한 권원 없는 자의 전송 및 배포로 인해 사용자의 저작권이 침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미디어 파일 공유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에 관한 것이다.
미디어 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스마트 폰 등의 이동 단말기의 기술 혁신에 따라, 미디어 콘텐츠 산업의 소비자들은 자신의 스마트 폰이나, 개인용 PC 등에 선호하는 음악 파일, 뮤직 비디오 파일 등의 미디어 파일을 소장하고 있다.
아울러, 미디어 파일에 대한 편집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들은 해당 미디어 파일은 단순히 소장하는데 그치지 않고 다양한 편집 기법을 활용하여 자신만의 콘텐츠를 생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용자가 제작하였거나, 보유하고 있는 멀티 미디어 파일을 노래방 등의 다른 장소에서도 사용자가 재생 및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를 가능토록 지원하는 시스템은 현재 개발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자신만의 개성을 담은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을 제작 및 편집하는데 그치지 않고, 이와 같은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을 다른 장소에 설치된,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외부 장비, 또는 다른 서비스에서도 스트리밍 전송을 통해 활용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관리 서버에 업로드한 미디어 파일에 대한 접속 권한을 갖는 외부 장비 및 서비스를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 소유의 미디어 파일에 대한 정당한 권원 없는 자의 전송 및 배포로 인해 사용자의 저작권이 침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미디어 파일 공유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파일 공유 방법은,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미디어 파일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업로드한 미디어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외부 장비로부터 상기 미디어 파일에 대한 스트리밍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외부 장비가 상기 미디어 파일에 대한 스트리밍 전송 요청 권한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외부 장비가 상기 미디어 파일에 대한 스트리밍 전송 요청 권한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상기 외부 장비에 상기 미디어 파일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파일 등록 요청에는 상기 미디어 파일에 대한 스트리밍 전송 요청 권한을 갖는 외부 장비의 정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디어 파일은, 제1 미디어 파일, 및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에 대응되는 제2 미디어 파일을 포함하는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디어 파일은,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에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이 인접하여 결합되는 구조의 데이터부; 및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의 총 개수 정보와, 상기 제2 미디어 파일의 총 개수 정보를 나타내는 헤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 및 상기 제2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각 프레임의 출력 조절값을 나타내는 프레임 헤더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미디어 파일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업로드한 미디어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부는, 외부 장비로부터 상기 미디어 파일에 대한 스트리밍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외부 장비가 상기 미디어 파일에 대한 스트리밍 전송 요청 권한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증부가, 상기 외부 장비가 상기 미디어 파일에 대한 스트리밍 전송 요청 권한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상기 외부 장비에 상기 미디어 파일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디어 파일 등록 요청에는 상기 미디어 파일에 대한 스트리밍 전송 요청 권한을 갖는 외부 장비의 정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디어 파일은, 제1 미디어 파일, 및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에 대응되는 제2 미디어 파일을 포함하는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디어 파일은,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에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이 인접하여 결합되는 구조의 데이터부; 및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의 총 개수 정보와, 상기 제2 미디어 파일의 총 개수 정보를 나타내는 헤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 및 상기 제2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각 프레임의 출력 조절값을 나타내는 프레임 헤더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만의 개성을 담은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을 제작 및 편집하는데 그치지 않고, 이와 같은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을 다른 장소에 설치된,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외부 장비, 또는 다른 서비스에서도 스트리밍 전송을 통해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관리 서버에 업로드한 미디어 파일에 대한 접속 권한을 갖는 외부 장비 및 서비스를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 소유의 미디어 파일에 대한 정당한 권원 없는 자의 전송 및 배포로 인해 사용자의 저작권이 침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의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의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편집 장치(300)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편집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파일 공유 시스템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파일 공유 시스템 상의 관리 서버(500)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파일 공유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은 보컬만 저장된 보컬 MP3 파일인 제1 미디어 파일(오디오 파일), 보컬에 대응되는 반주만 저장된 MR(Music Recorded) MP3 파일인 제2 미디어 파일(오디오 파일), 뮤직 비디오 등의 영상과 같은 반주 및 보컬의 배경 동영상 파일인 제3 미디어 파일(비디오 파일)이 합성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제1 미디어 파일, 제2 미디어 파일, 및 제3 미디어 파일이 합성된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은 헤더부(100) 및 데이터부(200)로 이루어져 있으며, 데이터부(200)는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 제2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 및 제3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이 인접하여 결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미디어 파일의 첫번째 프레임(data 1-1)의 뒤에는 이에 대응되는 제2 미디어 파일의 첫번째 프레임(data 2-1)이 인접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제2 미디어 파일의 첫번째 프레임(data 2-1) 뒤에는 제1 미디어 파일의 첫번째 프레임(data 1-1) 및 제2 미디어 파일의 첫번째 프레임(data 2-1)에 대응되는 제3 미디어 파일의 첫번째 프레임(data 3-1)이 결합되어 있다.
그 다음에는 제1 미디어 파일의 두번째 프레임(data 1-2), 이에 대응되는 제2 미디어 파일의 두번째 프레임(data 2-2) 및 제3 미디어 파일의 두번째 프레임(data 3-2)이 인접하여 연결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의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의 헤더부(100)에는 파일유형정보(File Type), 합성된 비디오 파일의 총 개수 정보(Video Track Number), 합성된 오디오 파일의 총 개수 정보(Audion Track Number), 합성된 비디오 파일의 코덱 정보(Video Codec), 합성된 오디오 파일의 코덱 정보(Audio Codec), 데이터부(200)의 총 프레임 개수 정보(Total Frame Number), 및 각 프레임별 크기정보(Frame Size)가 저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파일유형정보(File Type)는 일반 멀티미디어 파일과 구분되는 파일 유형임을 표시하며, 합성된 비디오 파일의 코덱 정보(Video Codec)는 MP4, MEPG4, H.264, WMV 등이 될 수 있고, 합성된 오디오 파일의 코덱 정보(Audio Codec)는 MP3, AAC, OGG, WMA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헤더부(100)에 저장되어 있는 각 프레임별 크기정보(Frame Size)는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이 재생되는 경우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30초 건너띄기 등을 실행하는 경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의 데이터부(200)를 구성하는 제1 미디어 파일 내지 제3 미디어 파일에서의 각 프레임에는 각 프레임별로 프레임 헤더부(250)가 구비되어 있으며, 프레임 헤더부(250)에는 각 프레임의 트랙 정보(Track Number), 각 프레임의 트랙 유형(Track Type), 각 프레임에 대한 출력 조절값(Adjust Value), 각 프레임의 크기 정보(Frame Size)가 저장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의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도 3에서의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은 도 1에서의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에 비디오 파일인 제4 미디어 파일이 추가된 형태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프레임 헤더부(250)의 세부 구조를 살펴보면, 각 프레임의 트랙 정보(Track Number)는 해당 프레임의 도 1에서의 미디어 파일 넘버(1,2,3 등)를 의미하며, 각 프레임의 트랙 유형(Track Type)은 비디오(V) 또는 오디오(A)와 같은 해당 프레임의 미디어 파일의 종류를 의미하고, 각 프레임에 대한 출력 조절값(Adjust Value)은 0부터 1의 범위 내에서 정해지는 값으로서, 예를 들어, 출력 조절값이 0.7인 경우에는 해당 프레임에 대한 출력을 70%로 조절함으로 의미하며, 출력 조절값이 0인 경우에는 해당 프레임에 대한 출력을 0%으로 하고, 출력 조절값이 1인 경우에는 해당 프레임의 출력을 100%로 함을 의미한다.
아울러, 데이터부(200)의 각각의 프레임 헤어부에 포함되어 있는 각 프레임의 크기 정보들은 데이터부(200)에 구비된 헤더부(100)에 저장된 각 프레임별 크기정보(Frame Size)와 일치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편집 장치(300)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편집 장치(300)는 입력부(310), 멀티플렉서부(320), 저장부(330), 재생부(340), 편집부(350), 출력부(360), 변환부(370), 및 송신부(380)를 포함한다.
먼저,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편집 장치(300)의 입력부(310)에는 사용자의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편집 장치(300)에 대한 각종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 패널, 외부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마이크 단자 등의 오디오 입력 단자, 외부 비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비디오 입력 단자가 구비되어 있다.
그 이외에도 입력부(310)를 통해 일반 오디오 데이터 및 일반 비디오 데이터가 입력되며, 멀티플렉서부(320)는 이들 일반 오디오 데이터 및 일반 비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1에서와 같은 구조의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을 생성한다.
한편, 저장부(330)에는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된 일반 오디오 데이터, 일반 비디오 데이터, 및 멀티플렉서부(320)가 생성한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이 저장된다.
재생부(340)는 저장부(330)에 저장된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에서의 각각의 트랙들을 독립적으로 동시에 재생시키게 되며, 재생부(340)에 의해 독립적으로 재생된 트랙들은 출력부(360)를 통해 동시에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아울러, 편집부(350)는 입력부(3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특정 오디오 트랙 또는 특정 비디오 트랙에서의 특정 프레임에 대한 출력 조절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해당 출력 조절 명령에 따른 출력 조절값을 생성하고, 해당 프레임의 프레임 헤더부(250)에 생성된 출력 조절값을 기록한다.
구체적으로 출력 조절값은 '0'부터 '1'까지의 값으로 생성되며, 사용자가 특정 오디오 트랙 또는 특정 비디오 트랙에서의 특정 프레임의 출력값을 100%의 최대 출력으로 조절한 경우에는 출력 조절값은 '1'로 생성되고, 사용자가 출력값을 0%로 조절한 경우에는 출력 조절값은 '0'으로 생성된다.
한편, 변환부(370)는 저장부(330)에 저장되어 있는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을 일반 재생 장치에서도 재생될 수 있는 일반 멀티 미디어 파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송신부(380)는 변화부에 의해 변환 생성된 일반 멀티 미디어 파일을 외부 장비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편집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편집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편집 장치(300)의 입력부(310)를 통해 도 1에서의 제1 미디어 파일(오디오 파일), 제2 미디어 파일(오디오 파일), 제3 미디어 파일(비디오 파일)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일반 오디오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의 일반 비디오 데이터가 입력되며(S410), 입력된 데이터들은 저장부(330)에 저장된다.
그 다음, 멀티플렉서부(320)는 도 1에서의 제1 미디어 파일 내지 제3 미디어 파일 등을 멀티플렉싱 처리함으로써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며, 생성된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은 저장부(330)에 저장된다(S420).
한편, 두 개의 일반 오디오 데이터와 두 개의 일반 비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의 구조는 도 3에서와 같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사용자는 전술한 S420 단계에서 생성된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에 오디오 트랙 또는 비디오 트랙을 추가하기 위해 입력부(310)를 통해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를 입력한다(S430).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편집 장치(300)의 입력 단자에 연결된 마이크를 통해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에 포함된 노래를 부름으로써, 자신의 목소리를 오디오 신호로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며,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편집 장치(300)의 입력 단자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에 포함된 노래의 배경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비디오 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장치의 편집부(350)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도 1에서의 제1 미디어 파일 내지 제3 미디어 파일과 같은 형식의 미디어 파일을 추가로 생성하고, 추가로 생성된 미디어 파일을 도 1에서의 형식에 따라, 전술한 S420 단계에서 기 생성된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에 반영함으로써, 수정된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을 생성하고, 수정 생성된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은 저장부(330)에 저장된다(S440).
한편, 사용자는 입력부(310)의 입력 패널을 통해 전술한 S440 단계에서 수정 생성된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의 재생 명령을 입력하고, 그에 따라 재생부(340)는 수정 생성된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을 재생한다(S450).
구체적으로,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편집 장치(300)의 재생부(340)는, 수정 생성된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오디오 트랙에서의 각 프레임 데이터를 파싱(parsing)한 후, 이를 믹싱함으로써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며, 수정 생성된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비디오 트랙에서의 각 프레임 데이터를 파싱(parsing)한 후, 이를 믹싱함으로써 비디오 파일을 재생한다.
이에 사용자는 출력부(360)를 통해 출력되는,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비디오 파일 및 오디오 파일을 시청하면서, 각각의 비디오 트랙 및/또는 각각의 오디오 트랙에 대한 출력 조절 명령을 입력부(310)의 입력 패널을 통해 입력한다(S460).
구체적으로, 도 3에서의 Mp3 frame Data 1-1(제1 오디오 파일), Mp3 frame Data 2-1(제2 오디오 파일), Mp4 frame Data 3-1(제1 비디오 파일), Mp4 frame Data 4-1(제2 비디오 파일)로 이루어지는 재생 구간에서의 재생이 실행되는 동안에, 사용자가 제1 오디오 파일의 출력을 0으로 조절하고, 제2 오디오 파일의 출력을 100%로 조절하며, 제1 비디오 파일의 출력을 0으로 조절하고, 제2 비디오 파일의 출력을 100%로 조절하였다면, 도 3에서와 같이 편집부(350)는 Mp3 frame Data 1-1(제1 오디오 파일)에 대한 출력 조절값을 0으로 생성 및 기록하고, Mp3 frame Data 2-1(제2 오디오 파일)에 대한 출력 조절값을 1로 생성 및 기록하고, Mp4 frame Data 3-1(제1 비디오 파일)에 대한 출력 조절값을 0으로 생성 및 기록하고, Mp4 frame Data 4-1(제2 비디오 파일)에 대한 출력 조절값을 1로 생성 및 기록하게 된다(S470).
전술한 S470 단계에서와 같이, 편집부(350)에 의해 생성된 출력 조절값이 기록된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은 저장부(330)에 저장되며, 이는 추후 사용자의 입력 패널을 통한 제어 명령에 따라 재생부(340)를 통해 재생된다(S480).
구체적으로,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편집 장치(300)의 재생부(340)는, 출력 조절값이 기록된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오디오 트랙에서의 각 프레임 데이터를 파싱(parsing)한 후, 이를 믹싱 재생함에 있어서 각 프레임 데이터의 프레임 헤더부(250)에 기록된 출력 조절값에 따라 출력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출력 조절값이 0으로 기록된 Mp3 frame Data 1-1(제1 오디오 파일)은 출력하지 않고, 출력 조절값이 1로 기록된 Mp3 frame Data 2-1(제2 오디오 파일)은 100%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출력 조절값이 0으로 기록된 Mp4 frame Data 3-1(제1 비디오 파일)은 출력하지 않고, 출력 조절값이 1로 기록된 Mp4 frame Data 4-1(제2 비디오 파일)은 100% 출력되도록 한다.
한편, Mp4 frame Data 3-1(제1 비디오 파일)의 출력 조절값이 0.3으로 기록되고, Mp4 frame Data 4-1(제2 비디오 파일)은 출력 조정값이 0.7로 기록되었다면, 해당 재생 구간에서 Mp4 frame Data 3-1(제1 비디오 파일)에 의한 영상 출력과 Mp4 frame Data 4-1(제2 비디오 파일)에 의한 영상 출력의 비율은 3:7로서 두가지의 영상이 겹쳐서 출력되게 된다.
한편, 전술한 S460 단계에서 Mp3 frame Data 1-1(제1 오디오 파일), Mp3 frame Data 2-1(제2 오디오 파일), Mp4 frame Data 3-1(제1 비디오 파일), Mp4 frame Data 4-1(제2 비디오 파일)로 이루어지는 재생 구간(제1 구간) 다음에 이어지는 재생 구간인, Mp3 frame Data 1-2(제1 오디오 파일), Mp3 frame Data 2-2(제2 오디오 파일), Mp4 frame Data 3-2(제1 비디오 파일), Mp4 frame Data 4-2(제2 비디오 파일)로 이루어지는 재생 구간(제2 구간)에서의 출력 조절값을 추가로 조절함으로써, 사용자는 특정 오디오 또는 비디오 파일의 출력 상태를 연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Mp3 frame Data 1-1(제1 오디오 파일의 제1 구간)의 출력 조절값을 0으로 설정한 후에, Mp3 frame Data 1-2(제1 오디오 파일의 제2 구간)의 출력 조절값을 0.5로 설정하고, Mp3 frame Data 1-3(제1 오디오 파일의 제3 구간)을 1로 설정하는 경우에, 전술한 S480단계에서의 재생시에 제1 구간 내지 제3 구간을 거치는 동안 제1 오디오 파일은 출력 정도가 0에서 100%로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아울러, 사용자가 Mp4 frame Data 4-1(제2 비디오 파일의 제1 구간)의 출력 조절값을 1로 설정한 후에, Mp4 frame Data 4-2(제2 비디오 파일의 제2 구간)의 출력 조절값을 0.5로 설정하고, Mp4 frame Data 4-3(제2 비디오 파일의 제3 구간)의 출력 조절값을 0으로 설정하는 경우에, 전술한 S480단계에서의 재생시에 제1 구간 내지 제3 구간을 거치는 동안 제2 비디오 파일은 출력 정도가 100%에서 0%로 점진적으로 감소하면서 출력부(360)의 화면에서의 FADE OUT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Mp4 frame Data 3-1(제1 비디오 파일의 제1 구간)의 출력 조절값을 0으로 설정한 후에, Mp4 frame Data 3-2(제1 비디오 파일의 제2 구간)의 출력 조절값을 0.5로 설정하고, Mp4 frame Data 3-3(제1 비디오 파일의 제3 구간)의 출력 조절값을 1로 설정하는 경우에, 전술한 S480단계에서의 재생시에 제1 구간 내지 제3 구간을 거치는 동안 제1 비디오 파일은 출력 정도가 0%에서 100%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면서 출력부(360)의 화면에서의 FADE IN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전술한 S430 단계 내지 S440 단계를 생략하고, 전술한 S420 단계에서 저장부(330)에 저장된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에 오디오 트랙 또는 비디오 트랙의 추가 생성의 과정을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전술한 S450 단계 내지 S470 단계를 바로 실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S470 단계에서 저장부(330)에 저장된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은 일반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는 실행될 수 없는 파일 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S470 단계에서 저장부(330)에 저장된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을 재생부(340)를 통해 재생하고(S480), 변환부(370)는 출력부(360)를 통해 최종적으로 믹싱되어 출력되는 오디오 출력 신호 및 비디오 출력 신호를 캡처 처리함으로써 일반적인 멀티 미디어 동영상 파일(MP4, AVI, WMV 등)로 변환하게 된다(S490).
즉,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는 자신만의 편집 내용이 적용된 동영상 UCC를 제작할 수 있게 되며, 제작된 동영상 UCC는 Youtube, SNS, 인터넷 사이트 등의 게시를 위해 송신부(380)를 통해 외부 기기로 송신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식의 미디어 파일을 일종의 클라우드 서버인 관리 서버(500)를 이용하여 복수의 장소에서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파일 공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파일 공유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600), 관리 서버(500), 및 외부 장비(7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600)는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식의 미디어 파일을 저장하고 있으며, 관리 서버(500)에 사용자가 지정하는 미디어 파일을 업로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600)는 유/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개인용 PC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상술한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편집 장치(300)가 사용자 단말기(600)로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관리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기(600)로부터 업로드된 미디어 파일을 저장하고 있으며, 외부 장비(700)로부터 해당 미디어 파일의 스트리밍 전송 요청이 있는 경우에, 외부 장비(700)에 전송 요청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전송 요청 권한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외부 장비(700)에 미디어 파일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외부 장비(700)는 노래방에 설치되어 있는 노래방 기기 등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600)를 통해 관리 서버(500)에 자신의 미디어 파일을 업로드한 사용자가 해당 미디어 파일이 실행되기를 희망하는 다양한 종류의 미디어 재생 장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외부 장비(700)는 관리 서버(500)와의 통신을 위한 유/무선 통신 모듈이 구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외부 장비(700)는 폐쇄형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서버가 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 경우에 사용자는 관리 서버(500)에 업로드한 자신의 미디어 파일을 자신이 가입한 폐쇄형 SNS 서비스를 통해 실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파일 공유 시스템 상의 관리 서버(500)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파일 공유 시스템 상의 관리 서버(500)는 수신부, 저장부, 재생부, 인증부, 편집부, 및 송신부를 포함한다.
먼저, 관리 서버(500)의 수신부는 사용자 단말기(600)로부터 미디어 파일 등록 요청을 수신하며, 외부 장비(700)로부터는 해당 미디어 파일에 대한 스트리밍 전송 요청을 수신한다.
한편 관리 서버(500)의 저장부에는 사용자 단말기(600)가 업로드한 미디어 파일과, 해당 미디어 파일에 대한 스트리밍 전송 요청 권한을 갖는 외부 장비(700)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인증부는 미디어 파일에 대한 스트리밍 전송을 요청한 외부 장비(700)가 전송을 요청할 권한이 있는 외부 장비(700)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아울러, 관리 서버(500)의 인증부가 해당 외부 장비(700)가 상기 미디어 파일에 대한 스트리밍 전송 요청 권한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관리 서버(500)의 재생부는 외부 장비(700)로부터 전송이 요청된 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며, 관리 서버(500)의 송신부는 미디어 파일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외부 장비(700)에 송신한다.
아울러, 관리 서버(500)의 편집부는, 상술한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편집 장치(300)에서의 편집부(35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600)를 통해 관리 서버(500)에, 특정 오디오 트랙 또는 특정 비디오 트랙에서의 특정 프레임에 대한 출력 조절 명령을 송신함에 따라, 관리 서버(500)의 수신부가 사용자 단말기(600)로부터 출력 조절 명령을 수신하게 되면, 편집부는 해당 출력 조절 명령에 따른 출력 조절값을 생성하고, 해당 프레임의 프레임 헤더부(250)에 생성된 출력 조절값을 기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파일 공유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파일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600)에 저장되어 있는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등의 다양한 미디어 파일 중에서 다른 외부 장비(700)에서도 실행되기를 희망하는 미디어 파일을 선택하고, 선택된 미디어 파일을 관리 서버(500)에 업로드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600)는 해당 미디어 파일의 데이터와 함께 미디어 파일 등록 요청 메시지를 관리 서버(500)에 송신하게 되며, 이에 따라 관리 서버(500)의 수신부는 사용자 단말기(600)로부터 미디어 파일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S810).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미디어 파일 등록 요청 메시지에는 사용자의 계정 정보(계정 아이디, 패스워드)가 포함되어 있으며, 관리 서버(500)에 업로드되는 미디어 파일에 대한 스트리밍 전송 요청 권한을 갖는 외부 장비(700)의 정보(즉, 접근 권한 정보)가 추가로 포함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관리 서버(500)의 인증부는 사용자 단말기(600)로부터 수신된 계정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업로드 권한을 인증하게 되며, 관리 서버(500)의 저장부에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미디어 파일과 해당 미디어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 정보가 해당 사용자의 계정별로 저장되게 된다(S830).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미디어 파일의 업로드가 완료된 경우에, 관리 서버(500)는 해당 미디어 파일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를 사용자 단말기(600)에 송신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특정 미디어 파일에 대한 스트리밍 전송 요청 권한을 갖는 외부 장비(700)의 정보인, 접근 권한 정보는 해당 외부 장비(700)의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가 됨이 바람직할 것이며, 그 이외에도 해당 외부 장비(700)가 노래방 기기 등인 경우에는 제품 일련 번호 등의 고유 번호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관리 서버(500)에 업로드한 미디어 파일이 실행되기를 희망하는 외부 장비(700)(예를 들면, 사용자가 친구들과 방문하기로 예정되어 있는 노래방에 설치된 노래방 기기)의 IP 주소를 해당 미디어 파일의 접근 권한 정보로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관리 서버(500)에 자신의 미디어 파일을 업로드한 사용자는 친구들과 예정되어 있던 노래방에 방문하게 된 경우에, 노래방에 설치되어 있는 노래방 기기인 외부 장비(700)의 입력 패널을 통해 관리 서버(500)에 업로드되어 있는 미디어 파일의 URL을 입력한 다음, 외부 장비(700)에 구비되어 있는 '파일 재생' 버튼을 클릭한다.
이에 외부 장비(700)는 관리 서버(500)에 해당 미디어 파일에 대한 스트리밍 전송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며, 관리 서버(500)의 수신부는 외부 장비(700)로부터 스트리밍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S850).
한편, 관리 서버(500)에 수신된 스트리밍 전송 요청 메시지에는 외부 장비(700)의 IP 주소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관리 서버(500)의 인증부는 해당 외부 장비(700)의 IP 주소 정보가, 미디어 파일과 매칭되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접근 권한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스트리밍 전송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외부 장비(700)의 IP 주소 정보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접근 권한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관리 서버(500)의 인증부는 해당 외부 장비(700)에 의한 스트리밍 전송 요청을 인증하지 않으며, 관리 서버(500)의 송신부를 통해 해당 외부 장비(700)에 미디어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이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한편, 스트리밍 전송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외부 장비(700)의 IP 주소 정보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접근 권한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관리 서버(500)의 인증부는 해당 외부 장비(700)에 의한 스트리밍 전송 요청을 인증한다(S870).
이와 같이, 관리 서버(500)의 인증부가 외부 장비(700)에 대한 스트리밍 전송 요청을 인증하게 되면, 관리 서버(500)의 재생부는 해당 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며, 관리 서버(500)의 송신부는 미디어 파일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외부 장비(700)에 송신하게 된다(S890).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방문한 노래방에 설치된 노래방 기기인 외부 장비(700)를 통해, 미리 업로드해둔 자신만의 미디어 파일을 스트리밍 재생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관리 서버(500)의 인증부가 외부 장비(700)에 의한 스트리밍 전송 요청을 인증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설정해둔 접근 권한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을 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업로드한 미디어 파일의 이용 범위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해당 미디어 파일에 대한 저작권 침해의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관리 서버(500)에 업로드되는 미디어 파일은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은 보컬만 저장된 보컬 MP3 파일인 제1 미디어 파일(오디오 파일)과, 보컬에 대응되는 반주만 저장된 MR(Music Recorded) MP3 파일인 제2 미디어 파일(오디오 파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미디어 파일(오디오 파일), 제2 미디어 파일(오디오 파일), 및 뮤직 비디오 등의 영상과 같은 반주 및 보컬의 배경 동영상 파일인 제3 미디어 파일(비디오 파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1 미디어 파일(오디오 파일), 제2 미디어 파일(오디오 파일), 제3 미디어 파일(비디오 파일), 및 또 다른 비디오 파일인 제4 미디어 파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관리 서버(500)에 업로드되는 미디어 파일이 다양한 형식의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인 경우에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600)를 통해 관리 서버(500)에, 특정 오디오 트랙 또는 특정 비디오 트랙에서의 특정 프레임에 대한 출력 조절 명령을 송신함으로써, 관리 서버(500)의 편집부가 해당 출력 조절 명령에 따른 출력 조절값을 생성하고, 해당 프레임의 프레임 헤더부(250)에 생성된 출력 조절값을 저장부에 기록하도록 함으로써,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에 대한 편집 작업을 관리 서버(500) 상에서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헤더부, 200: 본체부,
250: 프레임 헤더부, 300: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편집 장치,
500: 관리 서버, 600: 사용자 단말기,
700: 외부 장비.

Claims (8)

  1.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미디어 파일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업로드한 미디어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외부 장비로부터 상기 미디어 파일에 대한 스트리밍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외부 장비가 상기 미디어 파일에 대한 스트리밍 전송 요청 권한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외부 장비가 상기 미디어 파일에 대한 스트리밍 전송 요청 권한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상기 외부 장비에 상기 미디어 파일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디어 파일 공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파일 등록 요청에는 상기 미디어 파일에 대한 스트리밍 전송 요청 권한을 갖는 외부 장비의 정보가 포함된 것인 미디어 파일 공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파일은,
    제1 미디어 파일, 및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에 대응되는 제2 미디어 파일을 포함하는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인 것인 미디어 파일 공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파일은,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에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이 인접하여 결합되는 구조의 데이터부; 및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의 총 개수 정보와, 상기 제2 미디어 파일의 총 개수 정보를 나타내는 헤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 및 상기 제2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각 프레임의 출력 조절값을 나타내는 프레임 헤더부가 구비된 것인 미디어 파일 공유 방법.
  5.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미디어 파일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업로드한 미디어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부는, 외부 장비로부터 상기 미디어 파일에 대한 스트리밍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외부 장비가 상기 미디어 파일에 대한 스트리밍 전송 요청 권한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증부가, 상기 외부 장비가 상기 미디어 파일에 대한 스트리밍 전송 요청 권한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상기 외부 장비에 상기 미디어 파일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관리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파일 등록 요청에는 상기 미디어 파일에 대한 스트리밍 전송 요청 권한을 갖는 외부 장비의 정보가 포함된 것인 관리 서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파일은,
    제1 미디어 파일, 및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에 대응되는 제2 미디어 파일을 포함하는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인 것인 관리 서버.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파일은,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에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이 인접하여 결합되는 구조의 데이터부; 및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의 총 개수 정보와, 상기 제2 미디어 파일의 총 개수 정보를 나타내는 헤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 및 상기 제2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각 프레임의 출력 조절값을 나타내는 프레임 헤더부가 구비된 것인 관리 서버.

KR1020140066343A 2014-05-30 2014-05-30 미디어 파일 공유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201501385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343A KR20150138587A (ko) 2014-05-30 2014-05-30 미디어 파일 공유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343A KR20150138587A (ko) 2014-05-30 2014-05-30 미디어 파일 공유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131A Division KR20160096575A (ko) 2016-08-01 2016-08-01 미디어 파일 공유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587A true KR20150138587A (ko) 2015-12-10

Family

ID=54978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343A KR20150138587A (ko) 2014-05-30 2014-05-30 미디어 파일 공유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85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0704B2 (en) Generation and use of user-selected scenes playlist from distributed digital content
KR101518294B1 (ko)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이 기록된 기록 매체,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편집 방법, 및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편집 장치
US20080134866A1 (en) Filter for dynamic creation and use of instrumental musical tracks
US20080172704A1 (en) Interactive audiovisual editing system
JP2007306570A (ja) 一時停止点を使用するデータリソースのアクセス
JP2014082582A (ja) 視聴装置、コンテンツ提供装置、視聴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
KR20160096575A (ko) 미디어 파일 공유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US8843961B2 (en) Multiple resolution audio and video systems, methods of production, delivery and uses thereof
KR20150138587A (ko) 미디어 파일 공유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100991264B1 (ko) 전자 단말기의 음원 재생 배포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1199360A (ja) コンテンツ配信装置、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JP4858602B2 (ja) 記録媒体及び再生装置
JP5746865B2 (ja) リッチメディア提供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030014902A (ko) 인터넷을 이용한 동영상 관리시스템
JP2019191877A (ja) Qrコード(登録商標)を用いてコンテンツストリーミングサービスを提供し、ユーザのデータ統計を管理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63835B2 (ja) 再生制御装置、再生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506463B1 (ja) 音楽所有者のデジタル保管庫
WO2022163023A1 (ja) コンテンツ修正装置、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コンテンツ修正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4826677B2 (ja) 記録媒体及び再生装置
JP625610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プレイリスト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80232501A1 (en) Digital vault for music owners
JP5094907B2 (ja) 記録媒体及び再生装置
JP2014513364A (ja) コンテンツ利用方法、コンテンツ利用装置、モバイル端末機、及び記録媒体
JP4462373B2 (ja) 記録媒体及び再生装置
JP2011039257A (ja) おみやげライ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453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801

Effective date: 2018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