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7199A - 물품 거치대 - Google Patents

물품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7199A
KR20150137199A KR1020140064511A KR20140064511A KR20150137199A KR 20150137199 A KR20150137199 A KR 20150137199A KR 1020140064511 A KR1020140064511 A KR 1020140064511A KR 20140064511 A KR20140064511 A KR 20140064511A KR 20150137199 A KR20150137199 A KR 20150137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inge
movable
hold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4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9964B1 (ko
Inventor
곽수만
Original Assignee
(주)에이스 힌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스 힌지텍 filed Critical (주)에이스 힌지텍
Priority to KR1020140064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964B1/ko
Publication of KR20150137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관절 구조를 이루며 책이나 휴대용 기기 등의 물품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의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물품 하중에 따른 가동 프레임의 회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관절형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한 특징적인 구성은, 고정 구조물에 설치가 이루어지는 베이스 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제 1 힌지 연결부로 연결이 이루어지는 가동 프레임과; 상기 가동 프레임의 타단에서 제 2 힌지 연결부를 통해 연속 연결이 이루어지는 연결 프레임들;을 갖는 관절형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 연결부는 상기 가동 프레임의 타단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에 대응하여 상기 가동 프레임의 선회 운동을 제한하고, 사용자의 힘에 대응하여 상기 가동 프레임의 상하 방향 선회 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제 1 브레이크유닛을 구비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물품 거치대{GOODS SUPPORTER}
본 발명은 물품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태블릿 PC를 포함하여 VESA 브래킷이 없는 모니터 또는 책 등의 경량 물품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물품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블릿 PC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는, 경량으로 휴대가 용이하다는 장점과, 장소에 관계없이 동영상 시청, 전자책 열람, 문서 작성 및 통신 등 다양한 기능을 탑재하고 있어 그 이용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 뿐만 아니라 책 등의 물품은, 경량일지라도 사용자가 오랜 시간 들고 사용하기가 어렵고, 사용시에 사용자의 양손을 부자연스럽게 할 뿐 아니라 양손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 물품을 거치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이들 물품은 그 크기가 다양하고, 그 두께 또한 다양한 형식을 취하고 있다.
특히, 상술한 휴대용 전자기기 중 최근에 상품화되고 있는 태플릿 PC 등은 VESA 브래킷이 없는 것이 생산되고 있고, 이렇게 VESA 브래킷이 없는 물품의 거치를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5219호를 출원한 바 있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에 의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5219호의VESA 브래킷이 없는 태플릿 PC의 거치 뿐 아니라 일반적인 책 등의 물품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물품 거치대를 개발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5219호(2013.07.29)
본 발명은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5219호의 기술에 더하여 일반적인 책의 거치와 더불어 책의 책장 넘김이 용이하도록 하는 물품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은, 물품의 배면을 받쳐 지지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 중심 부위에 전방으로 돌출하여 놓이는 연장부를 갖는 브래킷과; 두 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브래킷의 양측에서 브래킷에 대응하는 일단 부위가 힌지유닛에 의해 연결되어 자연상태에서 대응하는 상기 본체 하부 가장자리에 탄력적으로 밀착되고, 타단 부위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한 형상을 이루도록 선회 가능한 한 쌍의 가동 받침대를 구비한 하부 홀더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홀더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기 본체의 상부로 돌출한 부위는 물품의 상측 가장자리 전면 부위가 걸쳐지게 하측으로 돌출한 형상 부위를 갖는 상부 홀더;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홀더의 상하 슬라이딩 위치를 결정하는 잠금부유닛;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본체는 물품의 배면에 대면하며, 하부 중심 부위에 장착홀을 형성한 전면 플레이트와; 상기 전면 플레이트에 대하여 후방에서 결합되는 후면 플레이트;로 구성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전후면 플레이트들 사이에 설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힌지홀을 형성한 연장부가 상기 장착홀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하며, 상기 하부 홀더는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한 상기 브래킷의 연장부에 힌지유닛으로 연결하며,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연장부의 힌지홀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1 힌지축과; 중심 부위가 상기 제 1 힌지축에 감기고, 양단은 상기 본체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각 하부 홀더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하부 홀더가 탄력적으로 상기 본체 하부의 가장자리에 근접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홀더의 타단에는 상기 하부 홀더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절첩이 이루어지는 걸침돌기를 더 힌지 연결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본체를 구성하는 상기 전후면 플레이트는 상호 결합시 상측으로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 홀더는, 상기 전후면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에 대응하는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을 형성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하강하고, 중심 부위에 상기 가이드 레일과 나란한 방향으로 래크가 형성되며, 상측 부위가 상기 본체의 상부로 돌출하여 전방으로 굽은 절곡부를 갖는 가동 프레임;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잠금부유닛은, 일단이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제 2 힌지축으로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래크에 대응하여 치합이 이루어지는 폴과; 상기 폴의 설치 위치 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폴이 상기 래크에 치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본체의 후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슬라이딩 홀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반하는 사용자의 힘이 작용으로부터 상기 폴이 상기 래크에 대한 치합이 해제되게 구비한 버튼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 프레임 상단에는 일단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중간 부위는 상측으로 돌출한 만곡된 형상을 이루며, 타단 부위는 일단과 같이 하향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책이 놓이는 것에 대응하여 책의 펼쳐진 중간 부위에 걸쳐질 수 있도록 하는 훅을 더 구비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공개된 바 있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5219호와 마찬가지로 VESA 브래킷을 없는 태블릿 PC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와 더불어 책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활용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물품으로서 책을 거치할 경우, 하부 홀더가 책장의 넘김 방향을 따라 탄력적으로 지지함에 따라 책을 고정 지지하는 상태에서 책장의 넘김까지 가능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도록 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훅의 설치는 책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사용자가 정한 시간에 책의 진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품 거치대의 각 구성과 이들 구성의 조립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각 구성의 조립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각 구성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이도이다.
도 4는 상부 홀더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 조립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 중 방향의 기준은 본체의 전면이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 명명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 하며, 본체의 전면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 및 좌측과 우측을 겸하여 양측이라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품 거치대(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품의 배면을 받쳐 지지하는 본체(12a, 12b)와; 본체(12a, 12b)의 하부 중심 부위에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돌출한 연장부(34)를 갖는 브래킷(32)과; 두 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브래킷(32)에 각 일단이 각각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본체(12a, 12b)의 하부 가장자리에 근접하거나 전방으로 향하도록 선회하는 하부 홀더(30)와; 본체(12a, 12b)에 설치되어 하부 홀더(30)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며, 본체(12a, 12b)의 상부로 돌출한 부위는 물품의 상측 가장자리 전면 부위가 걸쳐지게 하측으로 돌출한 형상 부위를 갖는 상부 홀더(50); 및 본체(12a, 12b)에 설치되며, 상부 홀더(50)의 상하 슬라이딩 위치를 결정하는 잠금부유닛;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물품 거치대(10)의 구성 중 본체(12a, 12b)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면 플레이트(12a)와 전면 플레이트(12b)가 상호 대응하여 볼트(B)의 체결 방식 또는 보스와 돌기의 끼움 방식 등 통상의 결합방법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구성을 이룬다.
또한, 전후면 플레이트(12a, 12b)의 결합에 따른 상측 부위에는, 후술하는 상부 홀더(50)가 내측과 외측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는 개구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전후면 플레이트(12a, 12b) 중 적어도 전면 플레이트(12b)의 하부 중심 부위에 내외측으로 관통하는 장착홀(18)이 형성된다.
더불어, 상술한 후면 플레이트(12a)에는, 도 1 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잠금부유닛의 구성 중 버튼(16)의 작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홀(14)이 형성된다.
상술한 브래킷(32)은, 전후면 플레이트(12a, 12b)의 결합 과정 전에 그 내측 즉, 전후면 플레이트(12a, 12b) 사이에서 전면 플레이트(12b)의 전면에 형성된 장착홀(18)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힌지홀(36)을 형성한 연장부(34)가 전면 플레이트(12b)의 전방으로 돌출하게 설치된다.
또한, 하부 홀더(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2a, 12b)의 전방으로 돌출한 연장부(34) 즉, 브래킷(32)을 기반으로 하는 힌지유닛에 연결되어 한 쌍이 각각 본체(12a, 12b) 하부의 좌측과 우측으로 상호 벌어진 배치를 이루는 가동 받침대(42a, 42b)를 구비한다.
이들 가동 받침대(42a, 42b)는, 이미 설계에 따른 길이를 갖는 형상의 것으로, 본체(12a, 12b)의 중심 방향에 있는 각 일단부는 제 1 힌지축(38)에 힌지 연결을 위한 각각의 관통홀(h, h')을 형성하고 있으며, 타단부는 제 1 힌지축(38)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본체(12a, 12b)의 하부 가장자리에 탄력적으로 밀착 또는 근접하거나 본체(12a, 12b)의 전방으로 돌출한 형상을 이루도록 선회 가능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힌지유닛은, 제 1 힌지축(38)에 중심 부위가 감기고, 양단은 본체(12a, 12b)의 양측에 배치된 각 가동 바침대(42a, 42b)에 연결되는 코일 스프링(40)을 구비한다.
이러한 코일 스프링(40)은, 각 단부에 연결되는 가동 받침대(42a, 42b)로 하여금 대응하는 본체(12a, 12b)의 하부 가장자리 부위에 탄력적으로 밀착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술한 한 쌍의 가동 받침대(42a, 42b)는, 도면과 상술한 설명에서, 하나의 제 1 힌지축(38)을 중심으로 본체(12a, 12b)의 중심 방향에 있는 각 단부가 상하 배치로 상호 교차하고, 코일 스프링(4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 가동 받침대(42a, 42b)는 브래킷(32)에 힌지홀과 힌지축 및 코일 스프링을 각각에 대응하는 구성으로 구비토록 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능히 이해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또한, 코일 스프링(40)은 양측 가동 받침대(42a, 42b)를 탄력적으로 회전 대응하는 본체(12a, 12b)의 하부 가장자리 부위에 탄력적으로 밀착되게 하는 구성으로서, 이는 다양한 형상의 판스프링 또는 가동 받침대(42a, 42b)와 본체(12a, 12b) 사이의 간격을 탄력적으로 좁히도록 하는 인장 코일스프링 또는 고무 밴드 등의 수단을 대체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여기서, 가동 받침대(42a, 42b)의 타단이 선회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대응하는 본체(12a, 12b)의 하부 가장자리에 탄력적으로 밀착되게 한 특징적 기술 사상은, 물품 거치대(10)에 놓이는 물품이 책인 경우 책장을 좌측에서 추측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넘기는 과정에서 책장의 손상 내지 파손이 없이 넘길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자연 상태에서 책장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술한 가동 받침대(42a, 42b)의 타단 부위에는, 물품이 책인 경우에 대응하여 책장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돌기(44)의 일단이 힌지 연결된다.
이러한 돌기(44)는, 책이 아닌 태블릿 PC 등의 물품을 거치하고자 할 때에, 도 3의 화살표로 표현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동하게 됨으로써 물품이 놓이는 가동 받침대(42a, 42b)의 받침면(S') 아래로 접히고, 물품이 책인 경우 다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가동 받침대(42a, 42b)의 상측으로 돌출한 형상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책장의 표면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브래킷(32)의 연장부와 제 1 힌지축(38)과 코일 스프링(40) 및 이들과 연결관계에 있는 가동 받침대(42a, 42)의 일단부 부위는, 외부로 노출될 경우 상품적 가치가 회손될 수 있으므로, 본체(12a, 12b)의 전면에 놓이는 상술한 부위는 그 외곽을 덮도록 하는 커버(46)에 의해 가려진다.
이때, 커버(46)의 상면(S)은, 물품의 하부를 받쳐 지지하기 위한 부위로서, 가동 받침대(42a, 42b)의 받침면(S')과 동일한 높이에 있도록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동 받침대(42a, 42b)의 전방 부위는, 태블릿 PC의 베젤 부위 또는 책의 하측 가장자리 부위가 전방으로 미끄러지거나 돌출하지 않도록 상술한 받침면(S')보다 더 높은 단턱을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술한 본체(12a, 12b)의 전면 중심 부위에는, 물품이 책인 것에 대응하여 책의 본딩 부위(묶음 부위)가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도록 하는 정렬홈(20)을 더 형성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상부 홀더(50)는, 전후면 플레이트(12a, 12b)의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 구조물로서, 본체(12a, 12b)의 상측 방향으로 형성된 개구에 대응하는 상하 방향 배치의 가이드 레일(54)이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52)을 구비한다.
또한, 상부 홀더(50)는, 가이드 레일(54)의 안내를 받아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며, 중심 부위에 가이드 레일(54)과 나란한 방향으로 래크(76)를 형성하고 있는 가동 프레임(74)을 구비한다.
이러한 가동 프레임(74)의 상부는 본체(12a, 12b)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그 상단 부위는 본체(12a, 12b)의 전방으로 향하도록 굽은 형상의 절곡부(78)를 이루며, 이 절곡부(78)에는 물품의 상부 가장자리 부위에 대응하는 상부 홀더바(80)가 구비된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54)에 대응하는 가동 프레임(74)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가동 프레임(74)의 승하강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 슈(82)가 더 구비토록 함이 바람직하고, 이에 더하여 본체(12a, 12b)와 베이스 프레임(52)의 안정적인 설치를 위한 덧판(84) 등이 부가적으로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가동 프레임(74)의 슬라이딩 이동에 대하여, 상술한 베이스 프레임(52)에는 가동 프레임(74)의 슬라이딩 이동 위치를 단속하기 위한 잠금부유닛을 구비한다.
상술한 잠금부유닛은, 후면 플레이트(12a)에 형성된 가이드 홀(14)에 대응하는 베이스 프레임(52)에 동일 또는 동일 범주의 형상과 크기를 갖는 록킹홀(56)이 형성되고, 이 록킹홀(56)의 주연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힌지홀(58)이 형성되며, 제 2 힌지홀(58)과 록킹홀(56)을 최단으로 잇는 방향의 일측에는 제 3 힌지홀(60)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힌지홀(58)에는 제 2 힌지축(66)으로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술한 가동 프레임(74)에 형성된 래크(76)와 치합이 이루어지는 폴(64)이 설치된다.
상술한 제 3 힌지홀(60)에는, 제 3 힌지축(72)으로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술한 폴(64)이 래크(76)와 치합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70)가 설치된다.
더불어, 폴(64)의 길이 방향 중간 부위 즉, 상술한 록킹홀(56)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상술한 버튼(16)과 볼트(B) 등의 통상의 고정수단으로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가동 프레임(74)은 자연 상태에서 탄성부재(70)의 탄성력에 의한 폴(64)과의 치합이 이루어져 슬라이딩이 방지되고, 상술한 버튼(16)을 통한 사용자의 조작이 탄성부재(70)의 탄성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질 경우, 폴(64)은 래크(76)의 치합이 해제됨으로써 가동 프레임(74)의 승하강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상태에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물품의 하부를 받쳐 지지하는 하부 홀더(30)에 대하여 물품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홀더(50)가 높낮이를 조절토록 함으로써 물품의 상부와 하부의 각각 대응하는 가장자리 부위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물품이 책인 경우 책장을 넘기는 사용자의 행위가 있는 경우, 가동 받침대(42a, 42b)는 책장의 넘김 방향(일 예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넘기는 방향 일 때)에 따라 본체(12a, 12b) 전면 방향으로 스위블 운동이 이루어지면서 해당 책장이 자연스럽게 넘어가도록 하고, 반대쪽으로 이동된 책장은 해당 위치의 걸침돌기(44)의 상측을 통해 하측으로 끼워짐으로써 다시 지지되는 관계를 이룬다.
그리고, 상부 홀더(50)의 상측 부위에는, 물품이 책인 경우에 대응하여 책의 접힘이 있는 부위 즉, 본딩 부위(묶음 부위)의 상측 중심에 대하여 책갈피 형식으로 끼워 초기의 책장이 펼쳐진 부위를 지지하는 고정훅(88)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훅(88)은 가동 프레임(74) 또는 가동 프레임(74)의 후면 상부를 덮도록 한 뒷판 덮개(86)에 회전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10: 물품 거치대 12a, 12b: 본체
14: 가이드 홀 16: 버튼
18: 장착홀 20: 정렬홈
30: 하부 홀더 32: 브래킷
34: 연장부 36: 제 1 힌지홀
38: 제 1 힌지축 40: 코일 스프링
42a, 42b: 가동 받침대 44: 돌기
46: 커버 50: 상부 홀더
52: 베이스 프레임 54: 가이드 레일
56: 록킹홀 58: 제 2 힌지홀
60: 제 3 힌지홀 62: 지지돌기
64: 폴 66: 제 2 힌지축
68: 체결홀 70: 탄성부재
72: 제 3 힌지축 74: 가동 프레임
76: 래크 78: 절공부
80: 상부 홀더바 82: 가이드 슈
84: 덧판 86: 뒷판 덮개
88: 고정훅

Claims (5)

  1. 물품의 배면을 받쳐 지지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 중심 부위에 전방으로 돌출하여 놓이는 연장부를 갖는 브래킷과;
    두 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브래킷의 양측에서 브래킷에 대응하는 일단 부위가 힌지유닛에 의해 연결되어 자연상태에서 대응하는 상기 본체 하부 가장자리에 탄력적으로 밀착되고, 타단 부위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한 형상을 이루도록 선회 가능한 한 쌍의 가동 받침대를 구비한 하부 홀더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홀더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기 본체의 상부로 돌출한 부위는 물품의 상측 가장자리 전면 부위가 걸쳐지게 하측으로 돌출한 형상 부위를 갖는 상부 홀더;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홀더의 상하 슬라이딩 위치를 결정하는 잠금부유닛;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물품의 배면에 대면하며, 하부 중심 부위에 장착홀을 형성한 전면 플레이트와; 상기 전면 플레이트에 대하여 후방에서 결합되는 후면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전후면 플레이트들 사이에 설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힌지홀을 형성한 연장부가 상기 장착홀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 홀더는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한 상기 브래킷의 연장부에 힌지유닛으로 연결되며,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연장부의 힌지홀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1 힌지축과; 중심 부위가 상기 제 1 힌지축에 감기고, 양단은 상기 본체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각 가동 받침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가동 받침대가 대응하는 상기 본체 하부의 가장자리에 근접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거치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받침대의 타단에는 상기 가동 받침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절첩이 이루어지는 걸침돌기가 힌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거치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구성하는 상기 전후면 플레이트는 상호 결합시 상측으로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 홀더는, 상기 전후면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에 대응하는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을 형성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하강하고, 중심 부위에 상기 가이드 레일과 나란한 방향으로 래크가 형성되며, 상측 부위가 상기 본체의 상부로 돌출하여 전방으로 굽은 절곡부를 갖는 가동 프레임;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잠금부유닛은, 일단이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제 2 힌지축으로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래크에 대응하여 치합이 이루어지는 폴과; 상기 폴의 설치 위치 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폴이 상기 래크에 치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본체의 후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슬라이딩 홀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반하는 사용자의 힘이 작용으로부터 상기 폴이 상기 래크에 대한 치합이 해제되게 구비한 버튼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거치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프레임 상단에는 일단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중간 부위는 상측으로 돌출한 만곡된 형상을 이루며, 타단 부위는 일단과 같이 하향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책이 놓이는 것에 대응하여 책의 펼쳐진 중간 부위에 걸쳐질 수 있도록 하는 훅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거치대.
KR1020140064511A 2014-05-28 2014-05-28 물품 거치대 KR101599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511A KR101599964B1 (ko) 2014-05-28 2014-05-28 물품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511A KR101599964B1 (ko) 2014-05-28 2014-05-28 물품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199A true KR20150137199A (ko) 2015-12-09
KR101599964B1 KR101599964B1 (ko) 2016-03-07

Family

ID=54873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511A KR101599964B1 (ko) 2014-05-28 2014-05-28 물품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9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840B1 (ko) 2020-08-12 2021-01-07 (주)태성메디 의료 물품 재고 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1251A (ja) * 1989-07-18 1991-03-05 Nec Off Syst Ltd ロール紙供給機構
KR20110005476U (ko) * 2009-11-26 2011-06-01 윤필용 이동식 책 스탠드
KR20130085219A (ko) 2012-01-19 2013-07-29 (주)에이스 힌지텍 모니터 지지 브래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1251B2 (ja) * 1992-03-23 2000-06-12 日鐵溶接工業株式会社 低水素系被覆アーク溶接棒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1251A (ja) * 1989-07-18 1991-03-05 Nec Off Syst Ltd ロール紙供給機構
KR20110005476U (ko) * 2009-11-26 2011-06-01 윤필용 이동식 책 스탠드
KR20130085219A (ko) 2012-01-19 2013-07-29 (주)에이스 힌지텍 모니터 지지 브래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9964B1 (ko) 201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0148B2 (en) Artist's easel attachable to a door
US20140076748A1 (en) Device for storing tablet computer and support the same in at least two erected/standing positions
US20160138753A1 (en) Document and electronic device holder
KR100774940B1 (ko) 절첩식 책상 칸막이
KR20120053993A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JP6427868B2 (ja) 携帯情報機器のサポート装置及びテーブル
KR101599964B1 (ko) 물품 거치대
WO2017020340A1 (zh) 一种多级移动终端承载机构
KR20210007656A (ko) 서랍형 받침대 수납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독서대
KR20120082247A (ko)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KR20140058852A (ko) 다기능 받침대로 활용 가능한 독서대
KR20110004902U (ko) 모니터 받침 겸용 독서대
KR20130027147A (ko) 태블릿 pc의 거치고정장치
KR200495398Y1 (ko) 휴대용 독서대
KR20150064301A (ko) 전자 교탁
US20150173220A1 (en) Cradle for Electronic Devices
KR101375876B1 (ko) 서랍식 독서 거치대가 구비된 책상
TWI526075B (zh) A support device and a display having a support device
KR200419242Y1 (ko) 절첩식 책상 칸막이
KR200483021Y1 (ko) 독서대
KR20060090951A (ko) 강의용 책상
TWM453336U (zh) 電子裝置固定架
CN204739369U (zh) 手机与平板电脑放置支架
JP6804751B2 (ja) 収容体、サーバーラック
KR200476202Y1 (ko) 휴대용 독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