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7144A - 지하온실의 작물 이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온실의 작물 이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7144A
KR20150137144A KR1020140064133A KR20140064133A KR20150137144A KR 20150137144 A KR20150137144 A KR 20150137144A KR 1020140064133 A KR1020140064133 A KR 1020140064133A KR 20140064133 A KR20140064133 A KR 20140064133A KR 20150137144 A KR20150137144 A KR 20150137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portion
planter
greenhouse
partition
compartmen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4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6831B1 (ko
Inventor
송기세
이종훈
Original Assignee
송기세
이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세, 이종훈 filed Critical 송기세
Priority to KR1020140064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831B1/ko
Publication of KR20150137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69Greenhouses with double or multiple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2009/1484Glaz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재배용 시설에 관한 것으로, 수직한 다수의 지주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사면형의 천정부가 마련되고, 상기 천정부에는 단열유리가 끼워지는 격실모듈; 상기 격실모듈의 일측에 투명한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다수의 지주프레임 사이에 끼워져 상하로 전개되거나 접히도록 마련되는 격벽; 평판 형상의 용기로 마련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 내측에 식재판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랜터; 상기 격실모듈 내 지면 상에 설치되고, 상기 플랜터가 이송되도록 마련되는 컨베이어롤러; 및 상기 다수의 격실모듈이 종횡으로 결합되어 지하에 매립됨으로써 마련되도록 하되, 상기 천정부의 높이가 지표면과 동일하게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온실의 작물 이송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온실의 작물 이송 시스템에 따르면, 격벽에 의해 격리된 구획을 조성할 수 있어 상이한 생육조건을 갖는 작물들을 동시에 재배할 수 있고, 플랜터 내에서 발아, 육묘, 생장, 선별 및 출하준비 단계가 일괄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플랜터를 컨베이어롤러를 이용하여 각 단계별로 최적화된 생육조건이 조성되어 있는 격실모듈로 이송하게 되므로 노동력이 절감되고 작물의 안전한 생육이 가능하다. 또한 격실이 모듈화되어 제공됨으로써 손쉽게 시공이 가능하며, 부지의 면적에 따라 격실모듈을 조절하여 온실을 시공할 수 있어 경제성이 높다.

Description

지하온실의 작물 이송 시스템{Plant conveyer system in under ground greenhouse}
본 발명은 식물재배용 시설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지하에 설치됨으로써 벽체에 의한 열손실을 줄일 수 있고, 구간별 격실 운용이 가능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작물 재배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지하온실에 있어서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될수 있는 플랜터가 구비되는 지하온실의 작물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식물재배시설로 이용되고 있는 비닐하우스나 유리온실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식물 생장에 필요한 실내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동절기나 간절기에도 식물 재배를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태양광을 이용하는 이러한 시설물은 단열성이 나쁘기 때문에 태양광을 채광할 수 없는 동절기 야간이나 악천후 시에는 일정한 실내 기온을 유지하기 위해 별도의 난방설비를 갖추고 난방용 연료를 투입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기술로서, 국내 공개특허 제10-2005-0047151호(출원인 : 공번아)는 지상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쌓여지는 축열벽과, 축열벽의 양측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측벽과, 축열벽의 상단으로부터 측벽의 상단을 따라 설치되는 투명천장과, 축열벽의 상부에 설치되어 태양에너지를 수집하는 집열기와, 집열기에서 수집된 열에너지를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과 열교환하는 축열기와, 축열벽 내부에 매장되어 공급관을 통애 축열기로부터 온수를 공급받아 축열벽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가열수단 내의 물을 다시 회수관을 통해 축열기로 회류시키는 순환폄프와, 실내온도를 감지하여 설정값 이하일 때 순환펌프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난방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인용기술은 축열벽과 축열기를 이용해 주간에 태양열을 축열한 후 야간에 방출시킴으로써 비닐하우스 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기술로서, 일반적인 비닐하우스 형태에서 일 측면에 축열벽을 세우고 축열 시스템을 구비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한편 국내 공개특허 제10-2010-0119533호(출원인 : 송준호)는 규격화된 모듈화 이동형 소형 온실;과 그 온실에 필요한 부자재(흙, 모종기, 멀칭판, 보온캡, 방충캡, 차광캡, 센싱부속, 조광캡, 냉풍구, 온풍구, 가습구, 살수구, 극한용 보호팩, 수평대, 영상감시카메라)와 이를 장착한 온실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중앙에서 수집할 수 있는 수단과 조작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고 그 온실을 이동.적재.적절한 높이로 옮길 수 있는 이송수단;과 그 온실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할 태양열시스템(집열, 축열, 가열, 냉방, 전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온실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인용기술은 작물을 생육하는 소형의 용기형 온실이 구비되고, 상기 온실을 이송하는 수단으로서 이송부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인용기술은 온실 자체를 이동가능한 소형의 용기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작물의 부피에 따라서는 적용이 불가능하고, 이송형 온실 내의 생육조건을 개별적으로 조절 및 관리해야 한다는 점에서 생센성 및 관리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하에 매립됨으로써 단열효과가 뛰어나고, 천정을 통해 태양광을 채광할 수 있어 기존의 비닐하우스 내지 유리온실과 동일한 방식으로 식물재배가 가능하며, 격리 가능한 격실이 제공되어 작물의 종류에 따라 재배조건을 다양하게 유지할 수 있는 지하온실이 제공된다.
또한 지하온실 내에서 생육되는 작물의 입하, 경작 및 출하가 동일한 플랜터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온실 내의 격실 사이에 플랜터를 이송할 수 있는 이송 컨베이어가 마련되는 지하온실의 작물 이송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직한 다수의 지주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사면형의 천정부가 마련되고, 상기 천정부에는 단열유리가 끼워지는 격실모듈; 상기 격실모듈의 일측에 투명한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다수의 지주프레임 사이에 끼워져 상하로 전개되거나 접히도록 마련되는 격벽; 평판 형상의 용기로 마련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 내측에 식재판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랜터; 상기 격실모듈 내 지면 상에 설치되고, 상기 플랜터가 이송되도록 마련되는 컨베이어롤러; 및 상기 다수의 격실모듈이 종횡으로 결합되어 지하에 매립됨으로써 마련되도록 하되, 상기 천정부의 높이가 지표면과 동일하게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온실의 작물 이송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격벽은, 태양광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주프레임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격벽롤로부터 풀리거나 감기도록 마련되고, 상기 격벽의 양 측 모서리부는, 상기 지주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지하온실의 작물 이송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격실모듈은, 상기 천정부의 전면측 모서리를 따라 평행하게 단부가 형성되고, 단부의 끝이 하향되게 꺾여 연장되도록 마련되거나, 상기 천정부의 후면측 모서리를 따라 평행하게 단부가 형성되고, 단부의 끝이 상향되게 꺾여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 및 상기 천정부는, 수평면에 대해 5 ~ 10°의 경사를 갖는 사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천정부의 후면 모서리는, 상기 후면 모서리를 따라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우수받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온실의 작물 이송 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상기 플랜터는, 측면 일측에 다수로 배수공이 마련되고, 상기 컨베이어롤러는, 양 측 단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샤프트안착공에 다수의 롤러샤프트가 결합되도록 마련되고, 저면에 배수창이 형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롤러샤프트에 다수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결합되고, 이격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롤러; 상기 롤러샤프트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홈; 및 상기 롤러의 내주연에 상기 결합홈에 교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지하온실의 작물 이송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온실의 작물 이송 시스템에 따르면, 지하에 온실이 설치되고, 태양광을 수광하는 투명한 천정부가 마련됨으로써 보온성이 우수하고 풍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격벽에 의해 격리된 구획을 조성할 수 있어 상이한 생육조건을 갖는 작물들을 동시에 재배할 수 있어 다품종 소량생산형의 온실을 별도의 추가 시설 없이 조성할 수 있다.
플랜터 내에서 발아, 육묘, 생장, 선별 및 출하준비 단계가 일괄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플랜터를 컨베이어롤러를 이용하여 각 단계별로 최적화된 생육조건이 조성되어 있는 격실모듈로 이송하게 되므로 노동력이 절감되고 작물의 안전한 생육이 가능하다.
또한 격실이 모듈화되어 제공됨으로써 손쉽게 시공이 가능하며, 부지의 면적에 따라 격실모듈을 조절하여 온실을 시공할 수 있어 경제성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인 지하온실의 작물 이송 시스템의 격실모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지하온실의 작물 이송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지하온실의 작물 이송 시스템 중 컨베이어롤러 및 플랜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컨베이어롤러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지하온실의 작물 이송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 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은 격실모듈(110), 격벽(113) 및 다수의 격실모듈로 조립되는 지하온실(100)로 구성될 수 있다.
격실모듈(110)은 다각기둥의 형상, 구체적으로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는 입체구조로 마련되고, 수직한 다수의 지주프레임(112)과, 이에 의해 지지되는 천정부(11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천정부(111)는 장방형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단열유리가 끼워져 태양광을 체광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지주프레임(112)은 천정부(111)의 직각모서리를 지지하는 네 개의 수직하게 연장되는 지주로 마련되며, 이에 따라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저면이 지중에 고정되도록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격실모듈(110)의 일 측면에는 격벽(113)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격벽(113)은 4개의 지주프레임(112) 중 격실모듈(110)의 후면부에 위치하는 두 개의 지주프레임(112) 사이에 양 측단이 끼워져 상하로 전개되거나 접히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주프레임(112)은 격벽(113)의 양 측단이 끼워져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112c)이 형성된다.
격벽(113)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격벽(113)으로 각각의 격실(110)이 차단되더라도 햇빛이 투과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격벽(113)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홈(112c)이 마련되는 양 측 지주프레임(112)의 상단에 양 측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격벽롤(113a)에 권취되거나 전개될 수 있도록 마련됨으로써, 공간적인 효율성을 높힐 수 있다. 이에 따라 격벽(113)은 격벽롤(113a)에 권취될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격실모듈(110)이 도 2에서와 같이 종횡으로 연결되었을 시 하방으로 전개되어 격실 간 기류 이동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종횡으로 다수가 결합된 격실모듈(110)은 지하에 매립되고, 상단의 천정부(111)가 지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격실모듈(110)의 측면부는 지하에 매설됨으로써 외기에 의한 열전달이 차단되어 단열효율을 높힐 수 있으며, 천정부(111)를 통해 태양광을 전달받을 수 있으므로 보온효과가 크다.
한편 천정부(111)에는 단열유리창(111a)이 끼워져 채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단열유리창(111a)이 끼워지는 천정부(111)는 수평면에 대해서 5 ~ 10°의 경사도를 갖는 사면형으로 마련됨으로써, 우수가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따르면, 격실모듈(110)은 각 격실모듈(110)의 전면 상단과 후면 상단 일측에 결합부(111a, 111b)가 마련되어 상호 교합될 수 있다. 예컨대 격실모듈(110) 후면 측에 형성되는 결합부(111a)는 천정부(111)의 후면 측 모서리를 따라 평행하게 돌출되는 단부가 형성되고, 단부의 끝이 하향되게 꺾여 소정의 높이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격실모듈(110) 전면 측에 형성되는 결합부(111b)는 천정부(111)의 전면 측 모서리를 따라 평행하게 돌출되는 단부가 형성되고, 단부의 끝이 상향되게 꺾여 소정의 높이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위와 같이 형성된 각각의 결합부(111a, 111b)는 다수의 격실모듈(110)이 전후로 결합될 시 상호 교합됨으로써 격실모듈(110)이 안정되게 연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된 결합부(111a, 111b)는 전술한 천정부(111)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우수가 천정부(111)의 후단에 형성되는 우수받이홈(112d)을 따라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격실모듈(110) 사이로 흘러들어 온실(100) 내측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우수받이홈(112d)은 천정부(111)의 후단을 따라 형성되는 상단면과 일측 벽으로 구성되며, 격실모듈(110)이 서로 결합되었을 시 타 격실모듈(110)의 천정부(111) 일측 모서리에 의해 우수받이홈(112d)의 타측 벽이 구비됨으로써 우수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로 결합된 격실모듈(110)은 그 천정부(111)가 지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하에 매립되고, 출입하기 위한 진출입로(300)가 마련됨으로써 지하온실(100)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비된 지하온실(100)은 각각의 격실모듈(110)에 마련되는 격벽(113)으로 격실을 형성함으로써, 작물의 생장단계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생육조건을 갖춘 온실을 운용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플랜터(120)는 트레이(121) 및 식재판(122)으로 구성될 수 있고, 컨베이어롤러(130)는 롤러(131), 프레임부(132) 및 롤러샤프트로 구성될 수 있다.
플랜터(120)는 작물이 식재된 별도의 화분이 수용되거나, 플랜터(120) 자체에 배지와 함께 작물이 재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랜터(120)는 평판 형상의 용기로 마련되는 트레이(121)와, 트레이(121)의 내측 저면에 안착되고, 격자형으로 마련되어 식물의 근부나 배지가 고정될 수 있는 식재판(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트레이(121)의 측면 일측 또는 양측에는 다수의 배수공(122a)이 형성되어 양액이나 급수된 물이 빠져나갈 수 있다.
컨베이어롤러(130)는 플랜터(120)가 이송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플랜터(120)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격실모듈(110)이 고정되는 온실 바닥면에 안착되어 격실모듈(110) 간에 플랜터(120)를 이송하는 수단으로 마련된다. 프레임부(132)는 롤러(131) 및 롤러샤프트(133)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양 측 단부가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단부에 샤프트안착공(132b)이 마련되어 롤러샤프트(133)가 끼워져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샤프트안착공(132b) 내경 측에는 레디얼 베어링(b)이 설치될 수 있다.
롤러(131)는 롤러샤프트(133)가 끼워지는 내경 측에 결합돌기(131a)가 형성되어 롤러샤프트(133)의 외경 측에 형성되는 결합홈(133a)에 교합됨으로써 롤러(131)가 샤프트 상에서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온실의 작물 이송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지하온실(100)을 설치하고자 하는 부지는 격실모듈(110)이 설치될 수 있도록 격실모듈(110)의 높이와 동일하게 지면을 굴착한 후 벽면을 단열처리하여 마감한다.
격실모듈(110)은 도 2에서와 같이 종횡으로 결합하여 상술한 지하온실 부지 내에 설치한다. 격실모듈(110)을 설치한 후에 컨베이어롤러(130)를 설치한다. 컨베이어롤러(130)는 격실모듈(110)이 설치된 지하온실의 바닥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때 격실모듈(110)은 격벽(113)에 의해 차단될 수 있으므로, 컨베이어롤러(130)는 각각의 격실모듈(110)이 차지하는 면적 이하의 면적을 갖도록 함으로써 각 격실모듈(110) 내에 설치되는 컨베이어롤러(130) 사이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13)을 전개했을 시 각 격실모듈(110) 사이가 완전히 차단되고, 컨베이어롤러(130)에 의해 격벽(113)의 승강이 간섭되지 않도록 컨베이어롤러(130) 사이에 최소 격벽(113)의 두께만큼 이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지하온실(100)이 설치된 후에는 플랜터(120)에 작물의 모종이나 종자를 식재한 후 컨베이어롤러(130)를 이용해 지하온실(100) 내로 입하되도록 한다.
지하온실(100)은 격벽(113)에 의해 각각의 구간별로 격리된 식재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예컨대 종자 내지 모종을 입하하여 재배하는 발아·육묘단계의 구간에서는 태양광을 차단하고 습도 및 온도 조건을 발아와 육묘에 최적화되도록 조성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환경은 격벽(113)에 의해 해당 격실모듈(110) 내에서만 유지가 되므로, 타 격실모듈(110)에서는 다른 식재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발아·육묘단계를 거친 작물은 플랜터(120)에 식재된 상태로 컨베이어벨트(130)에 의해 다음 단계의 격실모듈(110)로 이송될 수 있다. 예컨대 발아되고 일정한 크기로 성장한 작물은 착근·생장단계에 맞는 온도 및 습도 환경이 조성되어 있는 격실모듈(110)로 이송되어 재배될 수 있다. 플랜터(120)를 격실 사이로 이동할 시에는 격실 사이를 차단하고 있는 격벽(113)을 권취함으로써 플랜터(120)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플랜터로 작물을 옮겨 심을 필요 없이 기존의 플랜터(120)를 그대로 이용하여 격실 사이를 이동하므로 편리할 뿐만 아니라, 작물이 안전하게 생육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랜터(120) 내에서 발아, 육묘, 생장, 선별 및 출하준비 단계가 일괄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플랜터(120)를 컨베이어롤러(130)를 이용하여 각 단계별로 최적화된 생육조건이 조성되어 있는 격실모듈(110)로 이송하게 되므로 노동력이 절감되고 작물의 안전한 생육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지하온실
110 : 격실모듈 111 : 천정부
111a : 단열유리창 112 : 지주프레임
112a, 112b : 결합부 112c : 가이드홈
112d : 우수받이홈 113 : 격벽
113a : 격벽롤 120 : 플랜터
121 : 트레이 122 : 식재판
130 : 컨베이어롤러 131 : 롤러
131a : 결합돌기 132 : 프레임부
132a : 배수창 132b : 샤프트안착홈
133 : 롤러샤프트 133a : 결합홈

Claims (4)

  1. 수직한 다수의 지주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사면형의 천정부가 마련되고, 상기 천정부에는 단열유리가 끼워지는 격실모듈;
    상기 격실모듈의 일측에 투명한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다수의 지주프레임 사이에 끼워져 상하로 전개되거나 접히도록 마련되는 격벽;
    평판 형상의 용기로 마련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 내측에 식재판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랜터;
    상기 격실모듈 내 지면 상에 설치되고, 상기 플랜터가 이송되도록 마련되는 컨베이어롤러; 및
    상기 다수의 격실모듈이 종횡으로 결합되어 지하에 매립됨으로써 마련되도록 하되, 상기 천정부의 높이가 지표면과 동일하게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온실의 작물 이송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태양광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주프레임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격벽롤로부터 풀리거나 감기도록 마련되고,
    상기 격벽의 양 측 모서리부는,
    상기 지주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지하온실의 작물 이송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실모듈은,
    상기 천정부의 전면측 모서리를 따라 평행하게 단부가 형성되고, 단부의 끝이 하향되게 꺾여 연장되도록 마련되거나, 상기 천정부의 후면측 모서리를 따라 평행하게 단부가 형성되고, 단부의 끝이 상향되게 꺾여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 및
    상기 천정부는,
    수평면에 대해 5 ~ 10°의 경사를 갖는 사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천정부의 후면 모서리는,
    상기 후면 모서리를 따라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우수받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온실의 작물 이송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랜터는,
    측면 일측에 다수로 배수공이 마련되고,
    상기 컨베이어롤러는,
    양 측 단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샤프트안착공에 다수의 롤러샤프트가 결합되도록 마련되고, 저면에 배수창이 형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롤러샤프트에 다수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결합되고, 이격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롤러;
    상기 롤러샤프트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홈; 및
    상기 롤러의 내주연에 상기 결합홈에 교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지하온실의 작물 이송 시스템.
KR1020140064133A 2014-05-28 2014-05-28 지하온실의 작물 이송 시스템 KR101646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133A KR101646831B1 (ko) 2014-05-28 2014-05-28 지하온실의 작물 이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133A KR101646831B1 (ko) 2014-05-28 2014-05-28 지하온실의 작물 이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144A true KR20150137144A (ko) 2015-12-09
KR101646831B1 KR101646831B1 (ko) 2016-08-09

Family

ID=54873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133A KR101646831B1 (ko) 2014-05-28 2014-05-28 지하온실의 작물 이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8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6351B1 (ko) 2022-11-25 2023-08-11 농업회사법인 노아 주식회사 지하매립형 온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792B1 (ko) * 2006-12-11 2008-03-04 한용수 강화 수지패널 온실하우스
KR101022025B1 (ko) * 2010-08-17 2011-03-16 조장은 식물 재배 장치
JP2011125233A (ja) * 2009-12-15 2011-06-30 Itsubo Business Kk 農産物生産建屋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792B1 (ko) * 2006-12-11 2008-03-04 한용수 강화 수지패널 온실하우스
JP2011125233A (ja) * 2009-12-15 2011-06-30 Itsubo Business Kk 農産物生産建屋構造
KR101022025B1 (ko) * 2010-08-17 2011-03-16 조장은 식물 재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6831B1 (ko) 201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8156B2 (en) Interlocking plant propagation and display tray and method of use and assembly
US5101593A (en) Portable greenhouse working on solar system
CN104429694B (zh) 一种家庭果蔬生产系统
US20130326950A1 (en) Vertical Agricultural Structure
AU2019316712B2 (en) Horticultural apparatus and methods
KR100921605B1 (ko) 재배효율을 향상시킨 수평형 작물 재배장치
KR101618955B1 (ko) 다중격실이 구비되는 지하온실
KR101646831B1 (ko) 지하온실의 작물 이송 시스템
JP6547199B1 (ja) 栽培施設用冷暖房装置
KR101574894B1 (ko) 단열차단막이 구비되는 지하온실
KR102145499B1 (ko) 스마트 자립형 모종 배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종 배양 방법
JP6437026B2 (ja) 冬虫夏草の育成方法
KR100672778B1 (ko) 농업용 열교환 합성수지
JPH01235524A (ja) 完全制御型植物工場
KR20150068625A (ko) 밀폐형 자동화 벼 발아 육묘 설비 시스템
KR200357431Y1 (ko)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
JP2007195478A (ja) 茸類栽培用施設
EP3453253B1 (en) Plantable roof tile
KR20090124475A (ko) 농업용 하우스와 그 설치방법
CN212164586U (zh) 适合养殖的温室大棚
JP2014023433A (ja) 野菜栽培設備、野菜栽培方法及び野菜栽培用ラック
KR101262230B1 (ko) 철재 하우스형 식물 공장
KR102510366B1 (ko) 반지하 비닐하우스
KR101619937B1 (ko) 창문 융합형 식물공장 시스템
CA1332508C (en) Portable green house working on sola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