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6580A - 미리 정해진 양의 열을 저장하고 방출하도록 구성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열 교환기 - Google Patents

미리 정해진 양의 열을 저장하고 방출하도록 구성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열 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6580A
KR20150136580A KR1020150073067A KR20150073067A KR20150136580A KR 20150136580 A KR20150136580 A KR 20150136580A KR 1020150073067 A KR1020150073067 A KR 1020150073067A KR 20150073067 A KR20150073067 A KR 20150073067A KR 20150136580 A KR20150136580 A KR 20150136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heat
component
dynamic component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3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멜 아조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filed Critical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Publication of KR20150136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5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0066Multi-circuit heat-exchangers, e.g. integrating different heat exchange sections in the same unit or heat-exchangers for more than two fluids
    • F28D7/0075Multi-circuit heat-exchangers, e.g. integrating different heat exchange sections in the same unit or heat-exchangers for more than two fluids with particular circuits for the same heat exchange medium, e.g. with the same heat exchange medium flowing through sections having different heat exchange capacities or for heating or cooling the same heat exchange medium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4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28D9/00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both heat-exchange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034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iquid heat storag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동적 구성요소와 정적 구성요소 사이의 열 교환을 위한 열 교환기(10, 110, 21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열 교환기(10, 110, 210)는 용기(11) 및 이 용기(11) 내에 피포된 열 교환기 코어(12, 112, 212)를 포함하고, 상기 열 교환기 코어(12, 112, 212)는 제 1 동적 구성요소를 제 1 유입구로부터 제 1 배출구 쪽으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튜브(20)를 포함하고, 상기 정적 구성요소는 상기 튜브에 인접하고, 상기 열 교환기 코어(12, 112, 212)의 내부에 위치되며, 또한 상기 정적 구성요소는 제 1 동적 구성요소와 정적 요소 사이에 열 교환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양의 열을 저장하고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미리 정해진 양의 열을 저장하고 방출하도록 구성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열 교환기{HEAT EXCHANGER COMPRISING A COMPONENT ADAPTED FOR STORING AND RELEASING A PREDETERMINED QUANTITY OF HEAT}
본 발명은 열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일례로, 자동차용 열 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오일이 안에서 사용되는 엔진 또는 변속기의 작동을 개선할 목적의 엔진 오일 또는 변속기 오일과 같은 오일을 냉각 또는 가열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양의 열을 저장하고 방출할 수 있도록 동적 구성요소(dynamic component)와 정적 구성요소(static component) 사이에서의 열 교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열 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산업에서 사용되는 열 교환기, 더 구체적으로는 엔진 오일 또는 변속기 오일과 같은 오일을 냉각시키도록 구성된 열 교환기는, 일반적으로, 엔진 오일이나 변속기 오일로부터 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열 교환용 요소들을 내부에 내장하는 하우징 또는 케이싱과, 유체와 같은 제 2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열 교환용 요소들은 예를 들면 복수의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열 교환기의 내부에 위치한 튜브들은 열 교환기 코어 내에 존재할 수 있고, 서로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튜브들은 하나 또는 다수의 열로 서로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튜브들은 튜브 안의 엔진 오일이나 변속기 오일과 같은 제 1 유체를 이 제 1 유체를 위한 제 1 유입구로부터 상기 제 1 유체와 연관된 제 1 배출구 쪽으로 안내할 수 있다.
엔진 오일이나 변속기 오일과 같은 제 1 유체와, 제 2 구성요소, 예컨대 제 2 유체 사이에 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 1 유체를 그의 유입구에서부터 그의 배출구 쪽으로 안내하는 데 사용되는 튜브들을 제 2 구성요소 근처에 위치시켜서 제 2 구성요소가 제 1 유체와 열을 교환할 수 있게 한다.
엔진 오일이나 변속기 오일의 온도는 자동차의 엔진 또는 변속기가 동작하는 동안 자동차의 연료 소비에 사소하지 않게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내연 기관의 냉간 시동이 오늘날까지 계속되고 있는데, 이는 유럽 기준 사이클 또는 새로운 유럽 운전 사이클(New European Driving Cycle, NEDC1)에서 취약점을 구성한다. 실제로, 냉간 시동 시의 추가적인 연료 소비는 탄화수소 형태의 오염물 배출을 동반하면서 15% 내지 20% 증가했다. 이러한 추가적 연료 소비는, 엔진 오일이나 변속기 오일의 온도가 최적의 작동 온도에 도달하기까지는 증가하는 과정을 거친다는 점에서 보면, 특히나, 냉간 시동 시에 엔진의 요소들과 변속기의 요소들 간에 대량의 마찰이 존재한다는 것을 가지고 설명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엔진이 추가적인 연료 소비 모드에서 작동해야만 하는 시간 길이를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엔진을 냉간 시동한 후에 엔진 오일이나 변속기 오일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다수의 해결책이 제안되었다.
그 결과, 종래 기술에서 익숙해진 대부분의 해결책들은 엔진을 냉간 시동한 바로 직후에 엔진 오일의 온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부품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부품들의 추가에는 자동차의 엔진실 내에서 활용할 수 있는 특정 공간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부품들을 구현하는 것은 허용되는 제조 한계가 주어져 있는 상황에서는 항상 달성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추가적인 연료 소비를 제한하기 위해서는, 변속기에서 사용되는 오일의 온도를 증가시키는 단계 동안에 변속기에 존재하는 마찰을 특별히 제한할 수 있는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열 교환기는 엔진을 냉간 시동할 때에 오일 온도를 증가시키는 단계 동안 오일의 온도, 특히, 변속기에 사용되는 오일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연 기관의 기존 요소들의 작동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런 이유로 해서, 엔진실 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은 변경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 1 동적 구성요소와 정적 구성요소 사이의 열 교환을 위한 열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의 열 교환기는 용기 및 이 용기 내에 피포된 열 교환기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열 교환기 코어는 제 1 동적 구성요소를 제 1 유입구로부터 제 1 배출구 쪽으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정적 구성요소는 상기 튜브에 인접하고, 상기 열 교환기 코어의 내부에 위치되며, 또한 상기 정적 구성요소는 미리 정해진 양의 열을 저장하고 방출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 제 1 동적 구성요소와 제 1 정적 요소 사이에 열 교환이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용어 "구성요소(component)"는 미리 정해진 양의 열을 저장하고 다른 구성요소와 열을 교환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물질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동적 구성요소(dynamic component)"라는 표현은 유체와 같은 물질, 즉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를 향해서, 예를 들어,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고 이에 의해 동적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유체와 같은 물질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정적 구성요소(static component)"라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열 교환이 가능한 동안에 동일한 위치를 취하도록 구성된 물질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 교환기는 동적 구성요소를 위한 유입구로부터 배출구를 향해 이동하는 동적 구성요소 형태의 오일, 특히 변속기 오일을 냉각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동적 구성요소가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에서 이동하는 동안 제 1 동적 구성요소는 정적 구성요소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즉, 정적 구성요소는 움직이지 않지만, 오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변속기 오일과 같은 제 1 동적 구성요소와 열을 교환할 수 있어서, 이에 의해 오일, 특히 변속기 오일이 냉각된다.
소정의 시간 길이에 걸쳐, 소정량의 열이 상기 정적 구성요소의 내부에 저장된다. 정적 구성요소의 내부에 열을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그 열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열 교환기는, 단열 기능을 보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정적 구성요소의 내부에 소정 기간 동안 열을 보존하도록 구성된 케이싱 또는 용기를 포함한다.
실제로, 이것은 엔진이 작동하고 있을 때에 열 교환기가 소정량의 열을 저장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냉간 시동 시에 오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변속기 오일의 온도를 증가시키는 단계 동안, 오일은 다시 열 교환기의 내부에서 그 오일과 관련된 유입구로부터 배출구 쪽으로 안내된다. 열 교환기의 내부에 존재하는 정적 구성요소는 제 1 동적 구성요소, 보다 구체적으로는 엔진 오일 또는 변속기 오일과 열을 교환할 수 있다. 온도가 증가하는 이 단계 동안에, 본 발명의 열 교환기는, 종래 기술에서 일반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것처럼 엔진 오일 또는 변속기 오일을 냉각시키는 데에 이용되지 않는다. 사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 교환기는 엔진 오일 또는 변속기 오일의 온도를 가능한 급속히 증가시키는 데에 이용된다.
상기의 지견을 참작할 때, 오일, 특히 변속기 오일을 냉각하기 위해 필요했던 종래 기술에 따른 열 교환기는 오일, 특히 변속기 오일의 온도 증가가 가능한 급속히 이루어지게 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변경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동적 구성요소는 유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적 구성요소는 상변화 물질(PCM: phase-changing material)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변화 물질(PCM)의 상변화 온도는 60℃에서 95℃ 사이, 바람직하게는 70℃에서 90℃ 사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변화 물질은 공정(eutectic)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 교환기 코어는 제 2 동적 구성요소를 제 2 유입구로부터 제 2 배출구 쪽으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튜브는 상기 제 1 동적 구성요소를 이것의 유입구로부터 배출구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튜브에 인접하고 상기 열 교환기 코어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 1 동적 구성요소와 상기 제 2 동적 구성요소 사이에 열 교환이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동적 구성요소와 제 2 동적 구성요소를 안내하는 튜브들은 제 1 동적 구성요소의 순환이 제 2 동적 구성요소의 순환에 거스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 교환기 코어는 제 1 동적 구성요소와 정적 구성요소 사이에 열 교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제 1 구역과, 제 1 동적 구성요소와 제 2 동적 구성요소 사이에 열 교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제 2 구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표, 목적 및 특징들과 이점들은 아래의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열 교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을 숙독함으로써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 교환기를 분해 사시도로 상세하게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열 교환기를 분해 사시도로 상세하게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열 교환기를 분해 사시도로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 교환기가 통합되어 있는 냉각 회로의 개략도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 교환기만 통합되어 있는 냉각 회로의 개략도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에 따른 열 교환기가 통합되어 있는 냉각 회로의 개략도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 교환기(10)를 분해 사시도로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열 교환기(10)는 용기(11)와, 이 용기(11) 내에 피포된 열 교환기 코어(12)를 포함한다. 도 1은 용기(11)의 일부만을 개시하고 있다. 열 교환기 코어(12)는 적어도 제 1 구성요소와 제 2 구성요소 사이에 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다수의 요소(element)들을 포함한다.
도 1에 따르면, 열 교환기 코어(12)는 유체와 같은 제 1 구성요소 또는 제 1 동적 구성요소를 제 1 구성요소에 관련된 유입구에서부터 제 1 구성요소에 관련된 배출구 쪽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제 1 요소(20) 또는 제 1 튜브(20)를 포함한다. 제 1 튜브(20)는 모듈형 구조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하는 판 적층체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공간에 대응한다. 이 판들에서, 상기 공간은 인접한 두 판들 사이에 위치된 빈 공간에 의해 형성된다. 종래 기술에서, 이러한 유형의 구조는 열 교환기 내에서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있어서 익숙한 것이다.
또한, 열 교환기 코어(12)는 미리 정해진 양의 열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정적 구성요소를 각각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 2 요소들을 포함한다. 제 2 요소(21)는 제 1 요소(20)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제 1 동적 구성요소와 두 개의 인접하는 제 1 요소(20)들 사이에 존재하는 제 2 정적 구성요소 사이에 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 1 요소(2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또한, 정적 구성요소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의 도움을 받아서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적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변화 물질(MCP: materiau a changement de phase)을 포함한다. 이런 유형의 물질은 종종 영어 용어인 "상변화 물질(phase changing material)" 또는 PCM을 사용하여 나타내기도 한다.
도 1에 도시된 PCM은 오일과 같은 제 1 동적 구성요소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원을 구성할 목적을 가지고서 상변화 온도를 70℃ 내지 90℃ 범위 내에 있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PCM의 용량에 관한 제 1 기준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PCM은 큰 열저장 용량을 보장할 수 있다. PCM은 또한 열전달의 방식과 관련된 제 2 조건에 따라서도 선택될 수 있다. 사실, PCM은 잠열의 전달을 허용해야 한다. PCM은, 예를 들어, 391 kJ/m3의 잠열을 제공하는 공정(eutectic)을 포함한다. PCM은 유기, 무기 또는 복합물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요소(20, 21)를 이용함으로써, 제 1 요소(20)의 내부에서 오일과 같은 유체 형태의 제 1 동적 구성요소가 순환하는 동안에 상기 유체의 온도가 제 2 요소(21)보다 높은 경우, 제 2 요소(21) 내부에 미리 정해진 양의 열이 저장될 수 있도록, 제 1 요소(20)의 내부에 위치한 유체와 제 2 요소 사이에 미리 정해진 양의 열 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 2 요소(21)는 제 1 요소(20)의 내부에 존재하는 유체로부터 미리 정해진 양의 열을 빼내기 위해 사용되며, 이렇게 함으로써, 유체가 제 1 요소(20) 내부에서 이동할 때에 그 유체를 냉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동시에, 정적 구성요소에 의해 제 2 요소(21)의 내부에 저장된 미리 정해진 양의 열은, 다른 방식으로, 즉 제 1 요소(20)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유체가 정적 구성요소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가질 때에 상기 제 1 요소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유체를 가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 2 요소(21)에 인접한 제 1 요소(20)를 포함하는 구역은 도 1에 참조 부호 A로 나타낸 바와 같은 "열저장 구역"에 대응한다. 상기 구역(A)은 또한 미리 정해진 양의 열을 저장할 수 있다. 열 교환기(10) 내부에서 순환하는 오일과 같은 유체의 온도가 비교적 낮은 경우, 상기 구역(A)은 오일의 온도를 급속히 높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각 요소(22, 23) 또는 제 2 튜브(22, 23) 이외에 열 교환기 코어(12)도 제공된다. 냉각 요소(22, 23)는 유체와 같은 제 2 동적 구성요소를 상기 제 2 동적 구성요소에 관련된 유입구로부터 제 2 동적 구성요소에 관련된 배출구 쪽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제 2 동적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글리콜 물" 타입의 유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유체는 열 교환기 내의 오일과 같은 유체를 냉각시키도록 구성되어 사용된다. 냉각 요소(22, 23)는 제 2 동적 구성요소에 대한 제 1 동적 구성요소의 유동에 거스르는 순환을 허용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냉각 요소(22)와, 인접한 제 1 요소(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역(B)을 형성한다. 이와 유사하게, 냉각 요소(23)와, 인접한 제 1 요소(20)는 구역(C)을 형성한다. 구역(B)과 구역(C)은 특히 제 1 동적 구성요소를 제 2 동적 구성요소에 의해 냉각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열 교환기(10)는 이 열 교환기(10) 내에서 두 가지 기능이 수행될 수 있게 구성된다. 열 교환기(10)의 첫 번째 기능은 오일과 같은 제 1 동적 구성요소의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일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변속기 오일이다. 열 교환기(10)의 두 번째 기능은 구역(A) 내에 미리 정해진 양의 열을 저장하는 것과 관련된 것으로, 그 열을 열 교환기(10)의 내부에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 교환기(10)의 내부에서 순환하는 오일의 온도에 따라, 오일은 구역(A) 및/또는 구역(B) 및/또는 구역(C)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서, 열 교환기(10)의 열 교환기 코어(12)의 각기 다른 구역(A), 구역(B) 및 구역(C)의 작동을 고려하고 또한 열 교환기 코어(12)의 모듈형 구조를 고려할 때, 상기 각기 다른 구역(A), 구역(B) 및 구역(C)의 각각의 크기는 적층된 플레이트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열 교환기 코어(112)를 포함하는 열 교환기(11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따른 열 교환기(110)는 열 교환기 코어(112)의 유효 부피의 25%를 나타내는 구역(AA)을 포함한다. 구역(BB)과 구역(CC)은 제 1 동적 구성요소를 냉각하기 위한 열 교환기 코어(112)의 유효 부피의 75%를 차지한다. 따라서, 구역(BB)과 구역(CC)의 작동 용량은 상기 유효 부피에 해당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열 교환기 코어(212)를 포함하는 열 교환기(21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따른 열 교환기(210)는 열 교환기(210)의 열 교환기 코어(212)의 유효 부피의 100%를 나타내는 구역(AAA)을 포함한다. 따라서 구역(AAA)의 작동 용량은 상기 유효 부피에 해당한다.
도 1, 도 2,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열 교환기(10, 110, 210)는 다른 유형의 냉각 회로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 따르면, 자동 변속기(40)를 포함하는 자동차는 냉각 회로를 포함하는데, 특히, 펌프(도시되지 않음), 본 발명에 따른 열 교환기(10, 110), 오일을 냉각하도록 구성된 열 교환기(50), 유체를 제어하는 밸브(60) 형태의 수단, 및 자동 변속기(40)를 포함하는 냉각 회로를 포함한다.
냉각 사이클의 과정에서, 미리 정해진 온도에 있는 오일은 자동 변속기(40)로부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 교환기(10)의 방향으로, 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열 교환기(110)의 방향으로 안내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열 교환기(10, 110)는 무엇보다도 오일을 냉각시키기 위해 이용되고, 이어서, 상기 열 교환기(10, 110) 내부에 미리 정해진 양의 열을 저장하는 데 이용된다. 필요한 경우, 오일은 열 교환기(50)에 의한 보충적 단계 동안에 냉각될 수 있고, 상기 열 교환기(50)는 오일을 냉각하도록 구성된 종래 기술의 임의의 유형의 열 교환기이다. 열 교환기(10, 110, 50) 각각의 내부에서 순환하는 오일의 양은 밸브(60)에 의해 조절된다.
미리 정해진 양의 오일이 열 교환기(10, 110) 내부에 저장된 때에, 열 교환기(10, 110)는 오일의 온도를 증가시키는 단계 동안에 이용될 수 있다. 그러면 열 교환기(10, 110)는 자동 변속기(40)에서 유래된 오일의 온도를 제한된 시간 길이 내에서 바람직한 온도를 향해 증가하게 한다. 밸브(60)는, 오일과 열 교환기(50) 사이에서의 임의의 열 교환을 피하기 위해, 예를 들어, 상기 오일의 온도가 증가하는 기간 동안에 이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교환기(10, 110)는, 한편으로는 오일을 냉각하는 기능과 다른 한편으로는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에 따라 오일을 가열하는 기능으로 이루어진 이중 기능을 갖는 열 교환기(10, 110)에 자동 변속기(40)가 연결되어 있는 냉각 회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도 3과 관련된 열 교환기(210)를 포함하는 냉각 회로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이 냉각 회로도 자동 변속기(40)와 종래 기술의 열 교환기(50)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열 교환기(210)는 자동 변속기(40)가 작동하는 동안에 오일을 냉각하거나 가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열 교환기(110, 210)의 내부에 미리 정해진 양의 에너지를 저장하는 데 필요한 활용 가능한 체적의 변경을 허용하는 두 가지 예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는 점을 주지해야 한다. 그러한 체적의 변경은 엔진실 내의 필요한 체적을 변경하는 것과는 관련되지 않는다.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열 교환기 코어의 체적 및 오일을 냉각하기 위한 열 교환기 코어의 체적과 관련하여, 저장의 30% 또는 40% 및 냉각의 70% 또는 60% 등과 같은 그 밖의 다른 비율을 적용할 수 있다.
10, 110, 210 : 열 교환기
11 : 용기
12, 112, 212 : 코어
20 : 튜브

Claims (8)

  1. 제 1 동적 구성요소와 정적 구성요소 사이의 열 교환을 위한 열 교환기(10, 110, 210)로서,
    용기(11) 및 이 용기(11) 내에 피포된 열 교환기 코어(12, 112, 212)를 포함하고, 상기 열 교환기 코어(12, 112, 212)는 제 1 동적 구성요소를 제 1 유입구로부터 제 1 배출구 쪽으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튜브(20)를 포함하고, 상기 정적 구성요소는 상기 튜브에 인접하고, 상기 열 교환기 코어(12, 112, 212)의 내부에 위치되며, 또한 상기 정적 구성요소는 제 1 동적 구성요소와 정적 요소 사이에 열 교환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양의 열을 저장하고 방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교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동적 구성요소가 유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교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정적 구성요소가 상변화 물질(PC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교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물질(PCM)의 상변화 온도는 60℃에서 95℃ 사이, 바람직하게는 70℃에서 90℃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교환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물질은 공정(eutecti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교환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기 코어(12, 112)는 제 2 동적 구성요소를 제 2 유입구로부터 제 2 배출구 쪽으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튜브(22, 23)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튜브(22, 23)는 상기 제 1 동적 구성요소를 제 1 유입구로부터 제 1 배출구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 1 튜브에 인접하고 상기 열 교환기 코어(10, 110)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 1 동적 구성요소와 제 2 동적 구성요소 사이에 열 교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교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적 구성요소 및 상기 제 2 동적 구성요소를 안내하기 위한 상기 제 1 튜브 및 제 2 튜브(22, 23)는 제 1 동적 구성요소의 순환이 제 2 동적 구성요소의 순환에 거스를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교환기.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열 교환기 코어(12, 112)는 제 1 동적 구성요소와 정적 구성요소 사이에 열 교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제 1 구역(A; AA)과, 제 1 동적 구성요소와 제 2 동적 구성요소 사이에 열 교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제 2 구역(B, C; BB; C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교환기.
KR1020150073067A 2014-05-27 2015-05-26 미리 정해진 양의 열을 저장하고 방출하도록 구성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열 교환기 KR201501365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54759 2014-05-27
FR1454759A FR3021734B1 (fr) 2014-05-27 2014-05-27 Echangeur de chaleur comprenant un composant adapte pour stocker et liberer une quantite determinee de chaleu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580A true KR20150136580A (ko) 2015-12-07

Family

ID=51298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3067A KR20150136580A (ko) 2014-05-27 2015-05-26 미리 정해진 양의 열을 저장하고 방출하도록 구성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열 교환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950027A1 (ko)
KR (1) KR20150136580A (ko)
FR (1) FR30217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5510B2 (en) 2017-12-29 2021-09-21 Vito Nv Storage integrated heat exchanger
WO2020011398A1 (de) * 2018-07-11 2020-01-16 Linde Aktiengesellschaft Wärmetauscher und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ärmetauscher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26728B2 (ja) * 2006-07-21 2011-07-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蓄熱装置
JP4231518B2 (ja) * 2006-10-24 2009-03-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熱交換装置
US7980293B2 (en) * 2008-03-21 2011-07-1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wo fluid thermal storage device to allow for independent heating and cooling
US7859845B2 (en) * 2008-12-18 2010-12-28 The Boeing Company Phase change material cooling system
US20100300140A1 (en) * 2009-05-28 2010-12-02 Delphi Technologies, Inc. Air Conditioning System for Cooling the Cabin of a Hybrid-Electric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50027A1 (fr) 2015-12-02
FR3021734B1 (fr) 2019-03-22
FR3021734A1 (fr) 2015-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52469C1 (ru) Система охлажде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2019026322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rmal battery control
US9947452B2 (en) Electrical device with emergency cooling system
EP2801492B1 (en) Vehicle heating/cooling system with consolidated heating/cooling core
EP2090762A1 (en) Heat accumulation system for vehicle
US20130140017A1 (en) Heat Exchanger for Vehicle
EP2085584A1 (en) Heat storage system for vehicle
US9696064B2 (en) Thermo-magnetism cycle apparatus
KR102038207B1 (ko) 열교환기를 위한 상변화 물질의 저장소를 갖는 튜브
CN105822375A (zh) 车辆中的热力系统
KR20140101379A (ko) 축열기
EP3147617B1 (en) Heat exchanger
KR20150136580A (ko) 미리 정해진 양의 열을 저장하고 방출하도록 구성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열 교환기
SE502957C2 (sv) Värmelagringsanordning vid en vätskekyld förbränningsmotor
CN105822456A (zh) 车辆中的热力系统
JP2016528420A (ja) 内燃機関において燃料を供給する熱管理システムのための熱交換器
KR20170128559A (ko) 특히, 자동차용 열 배터리 및 대응 용도
JP2019124393A (ja) 蓄熱装置
CN109564069B (zh) 用于热交换器的热交换和调节的方法
WO2018088168A1 (ja) 磁気ヒートポンプ装置
JP2013217508A (ja) 蓄熱システムおよび蓄熱システムの蓄熱方法
KR20160014547A (ko) 제 1 열교환기 및 제 2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열교환 장치
US20160332506A1 (en) Motor vehicle heat transfer system
JP2005226619A (ja) 熱交換器
JP6940017B2 (ja) 固体冷媒による冷却モジュール及び固体冷媒による冷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