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5876A - 화면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화면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5876A
KR20150135876A KR1020140062987A KR20140062987A KR20150135876A KR 20150135876 A KR20150135876 A KR 20150135876A KR 1020140062987 A KR1020140062987 A KR 1020140062987A KR 20140062987 A KR20140062987 A KR 20140062987A KR 20150135876 A KR20150135876 A KR 20150135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sub
adhesive
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9454B1 (ko
Inventor
설성욱
Original Assignee
(주) 이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이레아 filed Critical (주) 이레아
Priority to KR1020140062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454B1/ko
Publication of KR20150135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Anti-st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4Scratch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호 필름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층의 상단 표면상에 하드 코팅층이 형성되는 제 1 서브 어셈블리막; PP(PolyPropylene) 필름층의 상단 표면상에 프라이머층이 형성되고, 상기 PP 필름층의 하단 표면상에 자가 점착층이 형성되는 제 2 서브 어셈블리막; 및 상기 PET 필름층의 하단 표면과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단 표면을 접착하는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면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Display pretection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e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고 기능의 스크랫치가 요구되는 제품에 적용가능한 화면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편광판, TV, 노트북 컴퓨터,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관련 기기는 운송, 보관 또는 제조시, 대기 중의 먼지나 이물질 등에 의해 발생되는 오염과 표면 손상(scratch)을 방지하기 위해 기능성 보호 필름을 화면에 부착한 상태로 취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최신 디스플레이 기기의 경우, 제품을 생산, 포장할 때부터 최종 소비자에게 공급할 때까지 흠결없는 깨끗한 화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청정도 관리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표면의 청정도 및 동작특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보호 필름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확산판 및 도광판과 같은 복합 시트 제품은 원가 절감 및 품질 향상을 위하여 구조를 단순화하여 지속적인 원가 절감을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품의 단순화 공정시 도광판이나 프리즘 시트 같은 제품 표면에 요철을 부여하여 도광판의 굴절율을 조절함으로써 복합시트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한편, 패턴이 들어간 도광판 및 프리즘용 복합시트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필름의 점착력이 높아야만 점착력이 구현되고 필름과 기재와의 들뜸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패턴 도광판용 보호필름이나 프리즘 시트용 보호필름으로,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단일층에 아크릴 및 고무 계통의 점착체가 코팅되거나, 또는 외층에는 이형코팅을 점착층에는 높은 점착제를 각각 코팅한후에 경화시킨 제품을 사용하였다.
예컨대, 폴리올레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수지 기재의 일측면에 러버(RUBBER)층이나 아크릴 점착층을 중첩하여 보호필름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기능성 점착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그라비아 코팅법, 롤 코팅법 등의 공정을 추가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왔다.
또한,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에틸렌계 중합체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기재의 단면에 점착층을 구비하여 보호필름을 형성하였으나, 이 경우에도 점착층을 추가로 코팅해야 하는 공정이 요구된다. 이는 고온 고습에서 점착제의 온도 변화에 의한 경시 변화 및 점착제의 전이전사 및 스톱 라인(STOP LINE) 발생등의 문제가 있어 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 기술로서 코팅이 필요없는 자기 점착성 필름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기재층으로,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 수지(Ethylene Vinyl Acetate, EVA)를 자기점착층으로 하여 보호필름을 생산한 경우도 있다. 이러한 필름은 다층 캐스트 및 블로운 성형장치를 사용하여 한 번의 공정으로 제작할 수 있다.
그런데, PP(PolyPropylene) 수지 계열의 필름 표면이 스크랫치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부연하면, 스타일러스 펜 등으로 화면을 터치할 경우 화면상에 스크랫치 자국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스크랫치 자국을 방지하기 위해 글라스 보호 필름이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글라스 보호 필름의 경우 UV(Ultraviolet Ray) 코팅을 하게 되므로 재료비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무게가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비닐아세테이트와 같은 극성 분자는 고온 및 고습에 민감하며 특히 70 ℃이상의 높은 온도에서 점착력이 2배 이상 높아지며 90℃ 이상에서는 점착력이 10배 이상 높아져 필름의 박리 특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전사에 의하여 필름의 외면에 먼지 및 이물질이 부착되어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추가로 발견되고 있다.
도 1은 위에서 기술된 방식 중 하나의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층(110)의 상단 표면에 하드 코팅층(120)이 놓이고, PET 필름층(110)의 하단 표면에 대전 처리층(130), 아크릴 점착층(140), PET 라이너(150)가 순서대로 놓인다.
또한, PET 라이너(150)를 제거하고 디스플레이에 부착시 아크릴 로우 점착층(140)이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전사되는 불량이 발생한다.
또한, PET 필름층(110)의 표면상에 아크릴 점착층(140)이 쉽게 접착되지 않으므로 사이에 대전 처리층(130)이 구성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아크릴 점착층(140)의 경우 PET 라이너(150)를 제거하여 디스플레이 표면에 부착될때 표면 건조시간이 많이 들게 된다. 이로 인해, 기포, 주름 등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332315호 2.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316707호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에 부착시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전사되지 않으면서도 건조 시간이 필요없는 화면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전 처리층을 제거하면서도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과 접착이 잘 이루어지고 동시에 대전 방지 기능을 강화한 화면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에 부착시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전사되지 않으면서도 건조 시간이 필요없는 화면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화면 보호 필름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층의 상단 표면상에 하드 코팅층이 형성되는 제 1 서브 어셈블리막;
PP(PolyPropylene) 필름층의 상단 표면상에 프라이머층이 형성되고, 상기 PP 필름층의 하단 표면상에 자가 점착층이 형성되는 제 2 서브 어셈블리막; 및
상기 PET 필름층의 하단 표면과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단 표면을 접착하는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P 필름층은 대전 방지 기능을 위한 CPP(Casting PolyPropylene)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P 필름층과 자가 점착층은 열처리에 의해 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가 점착층은 메탈로센, 고무계열수지 및 PP 수지가 혼합되는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탈로센, 고무계열수지 및 PP 수지의 혼합 비율은 23%: 8%: 69%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층은 액체 상태의 아크릴우레탄이 상기 PP 필름층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는 마이크로 그라비아 방식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 코팅층, PET 필름층, 접착제층, 프라이머층, PP 필름층 및 자가 점착층의 두께는 각각 2미크론, 18미크론, 3미크론, 3미크론 45미크론 및 20미크론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층의 상단 표면상에 하드 코팅층이 형성되는 제 1 서브 어셈블리막를 생성하는 제 1 서브 어셈블리막 생성 단계; PP(PolyPropylene) 필름층의 상단 표면상에 프라이머층이 형성되고, 상기 PP 필름층의 하단 표면상에 자가 점착층이 형성되는 제 2 서브 어셈블리막를 생성하는 제 2 서브 어셈블리막 생성 단계; 및 상기 PET 필름층의 하단 표면과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단 표면을 접착하는 서브 어셈블리막 접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 1 서브 어셈블리막 생성 단계는, PET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PET 필름의 상단 표면상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서브 어셈블리막 생성 단계는, PP 필름 및 자가 점착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PP 필름 및 자가 점착 필름을 열처리하여 융합하는 단계; 및 융합된 필름층의 상단 표면상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어셈블리막 접착 단계는, 상기 제 1 서브 어셈블리막 및 제 2 서브 어셈블리막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PET 필름층의 하단 표면과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단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PET 필름층의 하단 표면과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단 표면을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크릴 점착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자가 점착 방식을 이용하므로 디스플레이에 부착시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전사되지 않으면서도 건조 시간이 필요없어 전사에 의하여 필름의 외면에 먼지 및 이물질이 부착되어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대전 처리층을 제거하고 대전 방지 기능이 있는 CPP(Casting PolyPropylene)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대전 방지 기능이 강화되며 비용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CPP 필름의 상단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시킴으로써 PET 필름과의 접착이 잘 이루어지는 이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화면 보호 필름의 구조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호 필름의 구조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PET 필름층(211)과 하드 코팅층(213)으로 구성되는 제 1 서브 어셈블리막(210)을 형성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PP 필름층, 자가 점착층(223) 및 프라이머층(230)으로 구성되는 제 2 서브 어셈블리막(250)을 형성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의 공정에 의해 형성된 제 1 서브 어셈블리막(210)과 제 2 서브 어셈블리막(250)을 접착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고 할 때에는 다른 부분의 전체 면(또는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 뿐만 아니라 가장 자리 일부에는 형성되지 않은 것을 뜻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호 필름의 구조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면 보호 필름(200)은, 제 1 서브 어셈블리막(210), 평판형 디스플레이 표면에 부착되는 제 2 서브 어셈블리막(220), 제 1 서브 어셈블리막(210)과 제 2 서브 어셈블리막(250)을 접착하는 접착제층(240)으로 구성된다.
제 1 서브 어셈블리막(210)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층(211)의 상단 표면상에 하드 코팅층(213)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PET 필름층(211)은 PET 필름으로서 이를 성형하는 공법으로는 레신(Resin) 응용후 에어(air) 기압차로 버블 성형하는 블로우 방식과 압출 T-Die로 압출 성형(casting)하는 방식등이 있다.
하드 코팅층(213)은 PET 필름층(211)의 상단 표면상에 UV(UtraViolet) 코팅을 하여 생성된다. 예를 들면, 표면경도 4H 고경도 UV 경화형 하드 코팅제를 PET 필름층(211)의 상단 표면상에 도포하여 건조하면 하드 코팅층(213)이 생성된다.
제 2 서브 어셈블리막(250)은 PP(PolyPropylene) 필름층(221)의 상단 표면상에 프라이머층(230)이 형성되고, 상기 PP 필름층(221)의 하단 표면상에 자가 점착층(223)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PP 필름층(221)은 대전 방지 기능을 위한 CPP(Casting PolyPropylene)필름이 될 수 있다. PP 필름층(221)은 PP 필름으로서 이를 성형하는 공법으로는 레신(Resin) 응용후 에어(air) 기압차로 버블 성형하는 블로우 방식과 압출 T-Die로 압출 성형(casting)하는 방식등이 있다.
이러한 PP 필름층(221)과 자가 점착층(223)을 열처리로 융합하여 베이스층(220)을 형성한다. 부연하면, 필름 고체 형태인 PP 필름과 자가 점착 필름을 약 140℃ 내지 150℃도에서 용융시켜 융합한다.
자가 점착층(223)은 메탈로센, 고무계열수지 및 PP 수지가 혼합되는 필름 형태이다. 메탈로센은 사이클로펜타다이엔과 전이금속이 샌드위치 구조로 결합한 새로운 유기금속화합물인 비스(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 금속의 총칭하여 부르는 용어이다.
대부분의 메탈로센은 승화성이 있으며, 페로센의 경우 열적으로 매우 안정하여 470℃까지 가열해도 분해되지 않는다. 알코올·에테르 등 대부분의 유기용매에 녹지만 물에는 녹지 않는다. 또한 대부분의 산성용액에서는 분해하여 사이클로펜타다이엔을 발생한다. 친전자성반응이 일어나기 쉽고, 프리델크래프츠반응에 의한 아실화·알킬화가 일어나며 설폰화도 일어날 수 있다.
메탈로센 개개의 명칭은 각 금속원소명의 어미에 cene를 붙인다. 예를 들면, 코발토센(cobaltocene:Co)·오스모센(osmocene:Os)·루테노센(ruthenocene:Ru) 등으로 불린다.
이러한 자가 점착층(223)의 장점은 아크릴 점착제와 같은 건조를 건조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또한, 자가 점착 방식을 이용하므로 디스플레이에 부착시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전사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메탈로센, 고무계열수지 및 PP 수지가 혼합되는 혼합 비율을 23%: 8%: 69%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베이스층(220)에 프라이머층(230)이 형성된다. 프라이머층(230)은 베이스층(220)과 제 1 서브 어셈블리막(210)간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가교제 기능을 위한 것이다.
프라이머층(230)은 PP 필름층(221)의 상단 표면상에 액체상태의 아크릴 우레탄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물론, 도포는 마이크로 그라비아 방식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접착제층(240)은 제 1 서브 어셈블리막(210)과 제 2 서브 어셈블리막(250)을 서로 접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접착제가 제 1 서브 어셈블리막(210)과 제 2 서브 어셈블리막(250)의 표면에 도포된다. 접착제로는 우레탄 계열의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호 필름(200)은 다음과 같은 두께로 제조된다.
레이어 두께(단위: ㎛)
하드 코팅층 2
PET 필름층 18
접착제층 3
프라이머층 3
PP 필름층 45
자가 점착층 20
위 도 2에 도시된 화면 보호 필름(200)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층의 상단 표면상에 하드 코팅층이 형성되는 제 1 서브 어셈블리막을 생성하는 단계, PP(PolyPropylene) 필름층의 상단 표면상에 프라이머층이 형성되고, 상기 PP 필름층의 하단 표면상에 자가 점착층이 형성되는 제 2 서브 어셈블리막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PET 필름층의 하단 표면과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단 표면을 접착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된다. 이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PET 필름층(211)과 하드 코팅층(213)으로 구성되는 제 1 서브 어셈블리막(210)을 형성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PET 필름을 준비한다(단계 S310).
준비된 PET 필름의 상단 표면상에 하드 코팅제를 도포하여 하드 코팅층(320)을 형성한다(단계 S320). 물론, PET 필름은 레신(Resin) 응용후 에어(air) 기압차로 버블 성형하는 블로우 방식과 압출 T-Die로 압출 성형(casting)하는 방식등에 의해 미리 성형된 시중의 완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PET 필름을 제조하는 중에 하드 코팅층(320)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CPP 필름층, 자가 점착층(223) 및 프라이머층(230)으로 구성되는 제 2 서브 어셈블리막(250)을 형성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PP 필름 및 자가 점착 필름을 준비한다(단계 S410).
준비된 PP 필름 및 자가 점착 필름을 열처리하여 융합한다(단계 S420). 융합과정은 PP 필름과 자가 점착 필름을 각각 다른 롤러에 걸어서 약 140℃ 내지 150℃도에서 용융시켜 서로 융합한다
이러한 융합 과정에 의해, 자가 점착층(223)과 PP 필름층(221)으로 구성된 베이스층(220)이 형성된다.
이후, PP 필름층(221)의 상단 표면상에 액체상태의 아크릴우레탄을 도포하여 프라이머층(230)을 형성한다(단계 S430).
물론, 프라이머층(230)을 형성하기 위해 아크릴우레탄을 도포할때 도포하는 방식으로는 마이크로 그라비아 방식, 그라비아 방식, 롤 코팅 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도 3 및 도 4의 공정에 의해 형성된 제 1 서브 어셈블리막(210)과 제 2 서브 어셈블리막(250)을 접착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3의 공정에 의해 생성된 제 1 서브 어셈블리막(210)과 도 4의 공정에 의해 생성된 제 2 서브 어셈블리막(250)을 준비한다(단계 S510).
상기 제 1 서브 어셈블리막(210)의 하단 표면 즉, PET 필름층(211)의 하단 표면과 상기 제 2 서브 어셈블리막(250)의 상단 표면 즉, 프라이머층의 상단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한다(단계 S520). 물론, 양쪽면에 접착제를 하지 않고, 상기 제 1 서브 어셈블리막(210)의 하단 표면에만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왜냐하면, 프라이머층(230) 자체가 접착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접척제가 도포되면, 이후 상기 PET 필름층의 하단 표면과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단 표면을 접착하여 화면 보호 필름을 완성한다(단계 S530).
200: 화면 부호 필름
210: 제 1 서브 어셈블리막
211: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층
213: 하드 코팅층
221: PP(PolyPropylene) 필름층
223: 프라이머층
240: 접착제층
250: 제 2 서브 어셈블리막

Claims (12)

  1.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층의 상단 표면상에 하드 코팅층이 형성되는 제 1 서브 어셈블리막;
    PP(PolyPropylene) 필름층의 상단 표면상에 프라이머층이 형성되고, 상기 PP 필름층의 하단 표면상에 자가 점착층이 형성되는 제 2 서브 어셈블리막; 및
    상기 PET 필름층의 하단 표면과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단 표면을 접착하는 접착제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P 필름층은 대전 방지 기능을 위한 CPP(Casting PolyPropylene)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P 필름층과 자가 점착층은 열처리에 의해 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점착층은 메탈로센, 고무계열수지 및 PP 수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 필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로센, 고무계열수지 및 PP 수지의 혼합 비율은 23%: 8%: 6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액체 상태의 아크릴우레탄이 상기 PP 필름층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 필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는 마이크로 그라비아 방식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 필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팅층, PET 필름층, 접착제층, 프라이머층, PP 필름층 및 자가 점착층의 두께는 각각 2미크론, 18미크론, 3미크론, 3미크론 45미크론 및 20미크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 필름.
  9.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층의 상단 표면상에 하드 코팅층이 형성되는 제 1 서브 어셈블리막를 생성하는 제 1 서브 어셈블리막 생성 단계;
    PP(PolyPropylene) 필름층의 상단 표면상에 프라이머층이 형성되고, 상기 PP 필름층의 하단 표면상에 자가 점착층이 형성되는 제 2 서브 어셈블리막를 생성하는 제 2 서브 어셈블리막 생성 단계; 및
    상기 PET 필름층의 하단 표면과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단 표면을 접착하는 서브 어셈블리막 접착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어셈블리막 생성 단계는,
    PET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PET 필름의 상단 표면상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 어셈블리막 생성 단계는,
    PP 필름 및 자가 점착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PP 필름 및 자가 점착 필름을 열처리하여 융합하는 단계; 및
    융합된 필름층의 상단 표면상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어셈블리막 접착 단계는,
    상기 제 1 서브 어셈블리막 및 제 2 서브 어셈블리막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PET 필름층의 하단 표면과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단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PET 필름층의 하단 표면과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단 표면을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140062987A 2014-05-26 2014-05-26 화면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79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987A KR101579454B1 (ko) 2014-05-26 2014-05-26 화면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987A KR101579454B1 (ko) 2014-05-26 2014-05-26 화면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876A true KR20150135876A (ko) 2015-12-04
KR101579454B1 KR101579454B1 (ko) 2015-12-22

Family

ID=54867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987A KR101579454B1 (ko) 2014-05-26 2014-05-26 화면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4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9346A (en) * 2022-06-01 2023-12-06 Arrival Uk Ltd Composite Sheet and Par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087B1 (ko) 2016-06-24 2023-1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908026B1 (ko) * 2017-05-16 2018-12-18 (주)이녹스첨단소재 디스플레이 보호필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3702A (ja) * 1999-03-18 2000-09-26 Dainippon Printing Co Ltd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貼付陰極線管
JP2010069692A (ja) * 2008-09-18 2010-04-02 Japan Polypropylene Corp プロピレン系表面保護用フィルム
KR20130080596A (ko) * 2012-01-05 2013-07-15 율촌화학 주식회사 점착 보호필름
KR101316707B1 (ko) 2012-12-24 2013-10-10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사출도광판 보호용 자기점착성 보호 필름
KR101332315B1 (ko) 2012-12-21 2013-11-25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고점착성 메탈로센 보호 필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3702A (ja) * 1999-03-18 2000-09-26 Dainippon Printing Co Ltd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貼付陰極線管
JP2010069692A (ja) * 2008-09-18 2010-04-02 Japan Polypropylene Corp プロピレン系表面保護用フィルム
KR20130080596A (ko) * 2012-01-05 2013-07-15 율촌화학 주식회사 점착 보호필름
KR101332315B1 (ko) 2012-12-21 2013-11-25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고점착성 메탈로센 보호 필름
KR101316707B1 (ko) 2012-12-24 2013-10-10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사출도광판 보호용 자기점착성 보호 필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9346A (en) * 2022-06-01 2023-12-06 Arrival Uk Ltd Composite Sheet and Par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9454B1 (ko) 201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17438B (zh) 表面保护膜以及带表面保护膜的光学膜
JP5890534B2 (ja) 画像表示装置用両面粘着シート、離形フィルム付画像表示装置用両面粘着シート及びこれらを用いてなる画像表示装置
JP6035599B2 (ja) 両面粘着フィルム
TWI587187B (zh) 帶有裝飾材料的基材以及其製造方法、觸控面板以及資訊顯示裝置
WO2011090004A1 (ja) 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体
JP6350653B2 (ja) 画像表示装置用両面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TWI545018B (zh) Stripping film bonding double - sided adhesive ta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4175312A1 (ja) 転写材料、転写層付き基材及びタッチパネル、そ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情報表示装置
KR101579454B1 (ko) 화면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6163082A (ja) 光学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液晶表示装置
TW201903437A (zh) 光學膜、剝離方法及光學顯示面板之製造方法
JP2014178922A (ja) タッチパネル用積層体およびタッチパネル用積層体の製造方法
CN108329861A (zh) 一种应用于曲面显示屏的热定型保护膜
US20210333911A1 (en) Touch Display Device
KR101627566B1 (ko) 평판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60242B1 (ko) 내충격성과 방수 기능을 포함한 모바일 기기 모듈 고정용 점착 필름
CN202826624U (zh) 一种抗高温湿耐候性pet保护膜
JP2015025107A (ja) 箔表示体シートの製造方法と箔表示体シート
JP2012013846A (ja) ロール状偏光板のセ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
JP2012013852A (ja) ロール状偏光板のセ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
EP3950291A1 (en) Glass resin layered body production method
CN218710145U (zh) 屏幕保护膜
JP2012013848A (ja) ロール状偏光板のセ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
JP6553800B1 (ja) 保護フィルム、粘着層付き保護フィルム、及び保護フィルム付き透明フィルム
JP2007101651A (ja) 箔バリ低減性に優れた反射防止加工用転写材とこれを用いた反射防止膜付き透明パネ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