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4925A - 인사이드 미러의 버튼 심볼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인사이드 미러의 버튼 심볼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4925A
KR20150134925A KR1020140062384A KR20140062384A KR20150134925A KR 20150134925 A KR20150134925 A KR 20150134925A KR 1020140062384 A KR1020140062384 A KR 1020140062384A KR 20140062384 A KR20140062384 A KR 20140062384A KR 20150134925 A KR20150134925 A KR 20150134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ymbol
illumination
mode
butt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5477B1 (ko
Inventor
김원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2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477B1/ko
Priority to US14/563,080 priority patent/US9663029B2/en
Priority to CN201410795335.7A priority patent/CN105083125B/zh
Publication of KR20150134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60Q3/76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spotlighting, e.g. reading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58Rear-view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15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information displays

Abstract

본 발명은 인사이드 미러의 버튼 심볼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리스 인사이드 미러에서 조작버튼의 위치에 대한 시인성, 버튼 조작성 및 버튼 심볼의 주, 야간 시인성을 증대시키면서도 야간 주행시 심볼 조명의 밝기로 인한 시야 방해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인사이드 미러의 버튼 심볼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심볼 조명 버튼 및 긴급 구조 요청을 위한 SOS 버튼을 포함하여 정해진 기능 조작을 위해 구비되는 조작버튼들과, 상기 각 조작버튼들의 위치 표시를 위한 미러 글라스의 심볼들과, 상기 각 심볼의 개별 조명을 위한 조명수단을 가지는 프레임리스 인사이드 미러에서 상기 심볼들의 조명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심볼 조명 오프 모드에서 심볼 조명 버튼의 누름 조작을 인식하여 전체 심볼의 조명을 온(On) 시키는 심볼 조명 온 모드와; 심볼 조명 온 모드에서 심볼 조명 버튼의 누름 조작을 인식하여 전체 심볼의 조명을 오프(Off)시키는 심볼 조명 오프 모드와; 심볼 조명 오프 모드에서 심볼 조명 버튼 및 SOS 버튼을 제외한 다른 조작버튼의 누름 조작을 인식하여 전체 심볼의 조명을 정해진 시간 동안 온(On) 시키는 심볼 조명 임시 온 모드의 심볼 조명 모드 중 조작버튼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이드 미러의 버튼 심볼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인사이드 미러의 버튼 심볼 제어 방법{Control method for button symbol of inside mirror}
본 발명은 인사이드 미러의 버튼 심볼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리스 인사이드 미러에서 조작버튼의 위치에 대한 시인성, 버튼 조작성 및 버튼 심볼의 주, 야간 시인성을 증대시키면서도 야간 주행시 심볼 조명의 밝기로 인한 시야 방해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인사이드 미러의 버튼 심볼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인사이드 미러(Inside Mirror)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윈드실드(Windshield) 상단부에 부착되어 운전자의 후방 시야 확보에 사용되는 미러로서, 최근 차량의 고급화 추세에 따라 단순한 미러 기능에서 벗어나 다양한 기능 및 편의장치 모듈이 인사이드 미러에 내장되고 있다.
이 중 대표적인 것으로서,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방 차량의 전조등 밝기 및 주변 조건 등을 감지하여 미러의 반사율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ECM(Electonic Chromic Mirror) 기능, 고속도로 톨게이트 통과시에 요금을 자동으로 징수하는 전자식 요금 징수 시스템인 ETCS(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기능, 그 밖에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표시 기능 등이 있다.
또한, 북미 지역 차량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주택의 차고문 개폐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편의장치인 홈 링크(Home Link) 시스템이 있다.
상기한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한국 공개특허 제2011-0078721호(2011.07.07), 한국 공개특허 제2010-0123435호(2010.11.24), 한국 공개특허 제2005-0120022(2005.12.22), 일본 공개특허 제2002-264726호(2002.09.18)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인사이드 미러에는 상기한 편의장치와 더불어 차량 내에서 이용할 수 있는 여러 편의장치에 대해 운전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조작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인사이드 미러에 설치되는 조작버튼으로는 ETCS나 텔레매틱스, 홈 링크 시스템과 관련된 조작버튼들이 있고, 그 밖에 ECM 기능과 관련된 조작버튼(ECM 전원 버튼 등)이 있다.
도 1은 조작버튼들이 구비된 일반적인 인사이드 미러의 정면도로서, 도면부호 12는 인사이드 미러(10)의 미러 글라스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사이드 미러(10)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미러의 테두리 부분을 형성하고 있는 미러 하우징(11)의 하단 전면부에 심볼(Symbol)이 표시된 다수 개의 조작버튼(13)들이 설치되고 있다.
여기서, 조작버튼(13)에는 심볼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수단(미도시)이 내장되기도 한다.
도 1에 예시된 미러의 경우, 미러(10)의 테두리 부분(미러 하우징이 형성하는 프레임 부분)이 큰 폭을 가지는 것은 물론, 특히 조작버튼(13)이 설치되는 테두리 부분이 아주 큰 폭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만큼 후방 시야 확보를 위한 미러의 시계면 영역이 축소되는 단점을 가진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프레임리스(Frameless) 인사이드 미러가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는바, 도 2는 프레임리스 인사이드 미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리스 인사이드 미러(10)에서는 미러 하우징(11)이 형성하는 큰 폭의 테두리 부분 없이 미러 전면이 미러 글라스(12)만으로 마감되어 있고, 조작버튼(13)들이 미러 하우징(11) 하부에 배열된다.
예시된 프레임리스 인사이드 미러(10)의 경우, 미러 전면이 미러 글라스(12)만으로 마감되어 있으므로, 조작버튼(13)들을 미러 전면에 설치하기가 어려워 미러 하우징(11) 하부에 배치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운전자가 조작을 위해 원하는 버튼을 찾는데 어려움이 있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러 글라스(12)의 하단부 전면에 각 조작버튼(13)의 위치를 표시하는(조작버튼들의 위치를 구분하여 알려주기 위한) 심볼(Symbol)(14)(아이콘(Icon)이라 하기도 함)들을 별도로 배열하기도 한다.
그러나, 심볼(14)을 조명으로 표시하기 위해 각 심볼 부분 후방의 미러 글라스(12) 내측으로 LED(15)를 포함하는 조명수단을 설치하여 심볼 부분을 조명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미러 글라스(12)의 표면에 버튼 심볼(14)을 위치시킬 경우 야간에 심볼 조명의 밝기로 인해(심볼 조명 상시 점등) 운전자 시야를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즉, 운전자가 미러를 통해 후방 물체를 확인하고자 할 때 심볼 조명에 먼저 눈이 가게 되므로 시야 확보에 방해를 받게 되는 것이다.
또한, 미러 글라스의 하단부 전면에 터치 스크린 형태의 조작버튼들을 설치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터치 스크린 부분이 미러 하단부에 항상 위치해 있게 되므로 미러의 시계면 영역이 터치 스크린의 면적만큼 축소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프레임리스 인사이드 미러에서 각 조작버튼에 대한 심볼을 조명하여 사용자가 조작버튼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버튼 위치에 대한 시인성, 버튼 조작성 및 버튼 심볼의 주, 야간 시인성을 증대시키면서도 야간 주행시 심볼 조명의 밝기로 인한 시야 방해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인사이드 미러의 버튼 심볼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심볼 조명 버튼 및 긴급 구조 요청을 위한 SOS 버튼을 포함하여 정해진 기능 조작을 위해 구비되는 조작버튼들과, 상기 각 조작버튼들의 위치 표시를 위한 미러 글라스의 심볼들과, 상기 각 심볼의 개별 조명을 위한 조명수단을 가지는 프레임리스 인사이드 미러에서 상기 심볼들의 조명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심볼 조명 오프 모드에서 심볼 조명 버튼의 누름 조작을 인식하여 전체 심볼의 조명을 온(On) 시키는 심볼 조명 온 모드와; 심볼 조명 온 모드에서 심볼 조명 버튼의 누름 조작을 인식하여 전체 심볼의 조명을 오프(Off)시키는 심볼 조명 오프 모드와; 심볼 조명 오프 모드에서 심볼 조명 버튼 및 SOS 버튼을 제외한 다른 조작버튼의 누름 조작을 인식하여 전체 심볼의 조명을 정해진 시간 동안 온(On) 시키는 심볼 조명 임시 온 모드의 심볼 조명 모드 중 조작버튼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이드 미러의 버튼 심볼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인사이드 미러의 버튼 심볼 제어 방법에 의하면, 프레임리스 인사이드 미러에서 각 조작버튼에 대한 심볼을 조명하여 사용자가 조작버튼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버튼 위치에 대한 시인성, 버튼 조작성 및 버튼 심볼의 주, 야간 시인성을 증대시키면서도 야간 주행시 심볼 조명의 밝기로 인한 시야 방해 문제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조작버튼들이 구비된 일반적인 인사이드 미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프레임리스 인사이드 미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프레임리스 인사이드 미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프레임리스 인사이드 미러의 버튼 및 심볼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인사이드 미러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버튼의 푸쉬 모드 및 해제 모드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심볼 조명 모드별로 각 버튼을 조작하였을 때 조명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시동 온 시에 심볼 조명 제어를 위한 메인 제어 로직에 진입하기까지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메인 제어 로직에서 버튼 상태(버튼 모드)를 인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프레임리스 인사이드 미러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프레임리스 인사이드 미러의 버튼 및 심볼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인사이드 미러(10)는 프레임리스 인사이드 미러로서, 미러 하우징(11)이 형성하는 큰 폭의 테두리 부분 없이, 미러 전면이 미러 글라스(12)만으로 마감되어 있고, 조작버튼(13)들이 미러 하우징(11) 하부에 배열된다.
또한, 미러 글라스(12)의 하단부 전면에는 각 조작버튼(13)의 위치를 구분하여 알려주기 위한 심볼(14)들이 배열되고, 심볼(14)을 조명으로 표시하기 위해 각 심볼 부분 후방의 미러 글라스(12) 내측으로 LED(15)를 포함하는 조명수단이 설치되어 심볼 부분을 조명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LED(15)는 제어부(도 5에서 도면부호 30임)에 의해 점등(On) 및 소등(Off)이 제어되고, 점등시의 경우에도 제어부(30)의 제어하에 미리 정해진 일반 조명 밝기의 로우라이트(Low-Light) 점등 상태와, 상기 로우라이트에 비해 밝기를 증가시킨 하이라이트(High-Light) 점등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제어된다.
이러한 각 조작버튼(13)의 심볼(14)들은 주간에 운전자가 버튼 위치를 찾는데 이용되며, 특히 야간시에는 조명을 통해 어두운 곳에서도 버튼 위치를 보다 쉽게 찾을 수 있게 해준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인사이드 미러의 미러 하우징 하부에 구비되는 조작버튼들 중 하나로서, 심볼 조명을 온(On)/오프(Off)하기 위해 조작되는 심볼 조명 버튼(ISO Button)(13a)이 구비되며, 상기 심볼 조명 버튼(13a)은 전체 심볼(도 3에서 도면부호 14임, 도 4에서 도면부호 14a~14h임)의 조명을 위한 LED(도 3에서 도면부호 15임) 모두를 일괄적으로 온 시키거나 오프시키는데 이용된다.
또한, 텔레매틱스 유닛(Telematics Unit, TMU)과 ETCS가 장착된 차량에서, 텔레매틱스 및 ETCS 관련 조작버튼들이 구비된다.
텔레매틱스 관련 조작버튼들로는, 텔레매틱스 서비스(길 찾기 서비스 등)를 제공받기 위해 텔레매틱스 센터를 호출할 때(이동통신망을 통한 상담원 연결을 위해) 조작되는 호출(Call) 버튼(13f), 일반 무선 전화 이용을 위해 조작되는 폰(Phone) 버튼(13g), 긴급 구조 요청을 위해 조작되는 SOS 버튼(13b)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ETCS 관련 조작버튼들로서, ETCS 온/오프를 위한 ETCS 전원(Power) 버튼(13c), 잔액 조회를 위한 잔액 조회(Function) 버튼(13d), ETCS 스피커 볼륨 조정을 위한 볼륨(Volume) 버튼(13e)이 구비될 수 있다.
그 밖에 도면상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인사이드 미러(10)에 내장된 ECM 모듈의 선택 작동을 위한 버튼, 즉 ECM 온/오프를 위한 ECM 전원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북미 차량인 경우에는 상기한 텔레매틱스 관련 조작버튼들과 더불어, 홈 링크 시스템 관련 조작버튼(13h)들, 즉 차고문 개폐를 위한 버튼들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조작버튼(13a~13h)들마다 그 위치를 구분하여 알려주기 위한 대응되는 심볼(14a~14h)들이 미러 글라스(도 3에서 도면부호 12임)의 표면에 배열된다.
상기한 조작버튼들과 심볼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프레임리스 인사이드 미러에서의 일 예를 든 것이며, 조작버튼 및 심볼에 대해서는 그 종류 등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 내지 추가가 가능하고, 도 4에 예시된 조작버튼들 및 심볼들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심볼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버튼 조작에 연동하여 심볼 조명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인사이드 미러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심볼 조명 버튼(13a), SOS 버튼(13b), ETCS 전원 버튼(13c), 폰 버튼(13g), 호출 버튼(13f), 잔액 조회 버튼(13d), 볼륨 버튼(13e) 등이 구비될 수 있고, ETCS 모듈(20) 및 ECM 모듈(40), 그리고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31)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ETCS 모듈(20)은 ETCS(전자식 요금 징수 시스템)를 위한 기능이 통합된 유닛으로서, 이는 도면상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ETCS 안테나와 더불어, 카드 소켓과 같이 통행료 징수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정보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또한, ETCS 모듈(20)로부터 발생하는 정보를 음성으로 외부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ECM 모듈(40)은 도면상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ECM 구동을 위한 각종 센서(감광 센서 등) 및 회로를 포함하는 모듈이다.
또한, 심볼 조명을 위한 조명수단, 즉 각 심볼(도 3에서 도면부호 14, 도 4에서 도면부호 14a~14h)별로 조명을 위한 LED(15)가 구비된다.
또한, 차량에는 텔레매틱스 관련 조작버튼들, 즉 SOS 버튼(13b)이나 호출 버튼(13f), 폰 버튼(13g) 등의 조작에 연동하여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텔레매틱스 유닛(50)이 장착되고, 제어부(30)는 운전자 조작에 의한 버튼 상태를 인식하여 ETCS 모듈(20), ECM 모듈(40), 텔레매틱스 유닛(50) 등에 전달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인사이드 미러(10)에서는 복수 개의 조작버튼(13,13a~13h)들이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에 의해 두 버튼이 동시에 눌러질 수 있고, 이를 고려하여 버튼 간에 우선 순위가 미리 정해진다.
이때, 버튼의 우선 순위는 ① SOS 버튼(13b), ② 심볼 조명 버튼(ISO Button)(13a), ③ ETCS 전원 버튼(Power Button)(13c), ④ 나머지 기능 버튼(13d~13h)의 순으로 정해질 수 있다.
이러한 우선 순위가 제어부(30)에 미리 설정됨으로써, 상기 제어부(30)는 다른 우선 순위의 버튼들이 동시에 누름 조작되었을 때 우선 순위가 앞서는 버튼만이 누름 조작(Push)된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운전자가 각 버튼을 누르거나(Push) 또는 누름 해제(Release)한 상태를 로직에 따라 인식하며, 기본적으로 특정 버튼이 일정 시간 이상 눌러졌을 때 버튼 상태(버튼 모드)가 푸쉬 모드(Push mode) 상태인 것으로, 그리고 누름이 해제된 상태로 일정 시간 이상 경과하였을 때 버튼 상태가 릴리즈 모드(Release mode) 상태인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버튼이 눌러지면('Button Push') 시간을 카운트하고(제어부의 로직 내에서 버튼 타이머 동작), 이어 이전의 버튼 모드가 릴리즈 모드일 때 버튼이 설정시간1(예, 50ms) 이상 계속해서 눌러지는 경우(Push Time≥설정시간1인 경우, 여기서 Push Time은 버튼의 누름 유지 시간), 해당 버튼의 상태가 푸쉬 모드 상태인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또한, 운전자가 버튼의 누름을 해제(릴리즈)하면('Button Release') 새로이 시간을 카운트하고, 이어 이전의 버튼 모드가 푸쉬 모드일 때 버튼의 누름 해제(릴리즈) 상태가 설정시간2(예, 200ms) 이상 계속 유지될 경우(Release Time≥설정시간2인 경우, 여기서 Release Time은 버튼의 누름 해제 유지 시간), 버튼 상태를 릴리즈 모드로 전환하여 인식하게 된다.
물론, 해당 버튼의 누름(푸쉬) 유지 상태가 설정시간1 미만이거나, 해당 버튼의 누름 해제(릴리즈) 유지 상태가 설정시간2 미만인 경우, 버튼 모드의 전환 및 인식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버튼 모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나면 카운트된 시간(Push time/Release time)을 초기화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30)는 운전자가 버튼을 눌러 일정 시간 이상의 버튼 누름 상태를 인식한 경우 버튼 상태를 푸쉬 모드로, 운전자가 버튼에서 손을 떼어 일정 시간 이상의 누름 해제 상태를 인식한 경우 버튼 상태를 릴리즈 모드로 인식하게 된다.
또한, 만약 다른 우선 순위의 버튼 복수 개가 동시에 푸쉬 모드 조건으로 조작되었다면(설정시간1 이상 동안 눌러졌다면), 제어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우선 순위가 앞서는 버튼의 상태를 푸쉬 모드로 인식하고, 후 순위 버튼에 대해서는 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것처럼 릴리즈 모드로 인식하게 된다.
요컨대, 선 순위 버튼의 조작만을 인식하고, 후 순위 버튼의 조작에 대해서는 무시하며, 이때 선 순위 버튼 조작에 따른 기능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가 수행된다.
즉, 제어부(30)가 푸쉬 모드로 인식된 버튼 상태를 해당 장치(ETCS 모듈, 텔레매틱스 유닛, 홈 링크 시스템, ECM 모듈 등)에 전달하여 해당 버튼의 조작에 따른 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제어부는 버튼 조작 상태에 따라 심볼 조명을 제어하는데(심볼(14a~14h)의 LED(15)를 제어함), 본 발명에 따른 심볼 조명 모드는 심볼 조명 온(On) 모드, 심볼 조명 오프(Off) 모드, 심볼 조명 임시 온(On) 모드의 3가지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 3가지의 심볼 조명 모드에서 각 버튼을 조작하였을 때 조명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심볼 조명 온 모드는 전체 심볼(14a~14h)의 조명을 온(On)(전체 LED(15) 점등) 상태로 제어하는 모드로서, 심볼 조명의 오프 상태에서 심볼 조명 버튼(13a)을 포함하여 전체 조작버튼 중 임의의 버튼(SOS 버튼(13b) 제외)을 눌러 조작한 경우, 즉 제어부(30)가 임의의 버튼(13a,13c~13h)의 푸쉬 모드를 인식한 경우, 기본적으로 전체 심볼(14a,14b~14h)의 LED(15)를 일반 조명 밝기(로우라이트(Low-Light))로 모두 점등시킨다.
이때, 심볼 조명의 오프 상태에서 심볼 조명 버튼(13a)을 조작한 경우에는 전체 심볼 조명을 모두 온(On) 시키는 심볼 조명 온 모드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나, 심볼 조명 버튼(13a)과 SOS 버튼(13b)을 제외한 다른 버튼(13c~13h)을 조작한 경우에는 후술하는 심볼 조명 임시 온 모드로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또한, 야간시 심볼 조명으로 인한 운전자 시계 방해를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한 심볼 조명 온 모드 상태에서 버튼 조작이 불필요하여 심볼 조명 버튼(13a)을 추가로 조작한 경우라면, 즉 제어부(30)가 심볼 조명 온 모드 상태에서 심볼 조명 버튼(13a)의 푸쉬 모드를 인식하였다면, 후술하는 심볼 조명 오프 모드로 전환하여 전체 심볼(14a~14h)의 LED(15)를 모두 오프(소등)시킨다.
또한, 상기한 심볼 조명 온 모드에서, 운전자가 최우선 순위의 SOS 버튼(13b)과 심볼 조명 버튼(13a)을 제외한 다른 기능 버튼(13c~13h)을 눌러 조작한 경우, 즉 제어부(30)가 다른 기능 버튼(13c~13h)의 푸쉬 모드를 인식한 경우, 해당 기능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버튼 상태 신호를 해당 장치에 전달함), 심볼 조명 온 모드를 유지하면서, 상기 기능 버튼(13c~13h)을 운전자가 누르고 있는 동안 그 기능 버튼의 심볼(14c~14h)만이 하이라이트(High-Light)로 조명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하이라이트 조명은 해당 심볼이 강조될 수 있도록 해당 심볼의 LED 조명 밝기를 별도로 정해진 일반 조명 밝기(로우라이트 밝기)에 비해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다른 버튼의 심볼에 비해 밝게 조명함).
또한, 심볼 조명 온 모드에서, 운전자가 최우선 순위의 SOS 버튼(13b)을 눌러 조작한 경우, 즉 제어부(30)가 SOS 버튼(13b)의 푸쉬 모드를 인식한 경우, SOS 기능(긴급 구조 요청 기능)이 작동되도록 하고(SOS 버튼 상태 신호를 텔레매틱스 유닛에 전달함), 심볼 조명 온 모드를 유지하면서, SOS 버튼(13b)을 누르고 있는 동안 SOS 버튼의 심볼(14b)만이 하이라이트로 조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SOS 버튼(13b)을 제외한 나머지 버튼(13a,13c~13h)들의 심볼(14a,14c~14h)에 대해서는 로우라이트(일반 조명 밝기)로 LED(15)를 점등하여 조명한다(전체 심볼 조명 온 유지).
물론, 심볼 조명 온 모드에서 더 이상의 버튼 조작이 없을 경우 전체 심볼을 로우라이트로 조명하는 심볼 조명 온 모드를 계속해서 유지한다.
이와 같이 운전자는 심볼 조명 오프 상태에서 필요한 경우 간단히 심볼 조명 버튼(13a)을 눌러 전체 버튼(13a~13h)의 심볼(14a~14h)들이 조명되는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전체 심볼 조명을 온 시킬 수 있음).
그리고, 심볼 조명 오프 모드는 전체 심볼(14a~14h)의 조명을 오프(소등) 상태로 제어하는 모드로서, 심볼 조명 오프 모드 상태에서 운전자가 심볼 조명 버튼(13a)을 조작하였다면, 즉 제어부(30)가 심볼 조명 오프 모드 상태에서 심볼 조명 버튼(13a)의 푸쉬 모드를 인식하였다면, 심볼 조명 온 모드로 전환하여 전체 심볼(14a~14h)의 LED(15)를 모두 온(점등)시킨다.
또한, 상기한 심볼 조명 오프 모드에서, 운전자가 최우선 순위의 SOS 버튼(13b)과 심볼 조명 버튼(13a)을 제외한 다른 기능 버튼(13c~13h)을 눌러 조작한 경우, 즉 제어부(30)가 다른 기능 버튼(13c~13h)의 푸쉬 모드를 인식한 경우, 후술하는 심볼 조명 임시 온 모드로 전환한다.
이때, 그 기능 버튼(13c~13h)을 누르고 있는 동안 해당 기능 버튼의 심볼(14c~14h)에 대한 하이라이트 조명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심볼 조명 오프 모드에서, 운전자가 최우선 순위의 SOS 버튼(13b)을 눌러 조작한 경우, 즉 제어부(30)가 SOS 버튼(13b)의 푸쉬 모드를 인식한 경우, SOS 기능(긴급 구조 요청 기능)이 바로 작동되도록 하고, 심볼 조명 오프 모드는 계속 유지하면서, SOS 버튼(13b)을 누르고 있는 동안 SOS 버튼의 심볼(14b)에 대해서는 하이라이트로 조명될 수 있도록 한다.
즉, SOS 버튼(13b)의 심볼(14b)만을 하이라이트로 조명하고, 나머지 버튼의 심볼들에 대해서는 조명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물론, 심볼 조명 오프 모드에서 더 이상의 버튼 조작이 없을 경우 심볼 조명 오프 모드를 계속해서 유지하며, 이를 통해 불필요한 심볼 조명으로 인해 시계 확보에 있어 운전자가 방해를 받는 일이 없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심볼 조명 임시 온 모드는, 심볼 조명 오프 모드에서 SOS 버튼(13b) 및 심볼 조명 버튼(13a)을 제외한 다른 기능 버튼(13c~13h)을 눌러 조작한 경우, 1차적으로 전체 심볼(14a~14h)의 조명을 정해진 시간 동안 온(On) 시키면서, 추가적인 기능 버튼(13c~13h)의 조작을 대기하고 있는 모드로서, 이러한 심볼 조명 임시 온 모드에서 기능 버튼(13c~13h)의 조작이 있게 되면 해당 기능이 작동하게 된다.
즉, 제어부(30)가 심볼 조명 오프 모드에서 다른 기능 버튼(13c~13h)의 푸쉬 모드를 인식한 경우 임시로 설정시간3(예, 10s) 동안 전체 심볼 조명(14a~14h)을 온 시키는 모드이며, 마지막 기능 버튼 조작 후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설정시간3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심볼 조명 오프 모드로 전환한다.
상기한 심볼 조명 임시 온 모드에서 운전자가 심볼 조명 버튼(13a)을 눌러 조작하였다면, 즉 제어부(30)가 심볼 조명 임시 온 모드 상태에서 심볼 조명 버튼(13a)의 푸쉬 모드를 인식하였다면, 바로 심볼 조명 오프 모드로 전환하여 전체 심볼(14a~14h)의 LED(15)를 모두 오프(소등)시킨다.
또한, 상기한 심볼 조명 임시 온 모드에서, 운전자가 최우선 순위의 SOS 버튼(13b)과 심볼 조명 버튼(13a)을 제외한 다른 기능 버튼(13c~13h)을 눌러 조작한 경우, 즉 제어부(30)가 다른 기능 버튼(13c~13h)의 푸쉬 모드를 인식한 경우, 해당 기능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다시 시간을 초기화(Reset)하여 초기화된 시점부터 설정시간3 동안 심볼 조명 임시 온 모드를 유지하면서, 상기 기능 버튼을 운전자가 누르고 있는 동안 그 기능 버튼의 심볼만이 하이라이트(밝기 증가)로 조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심볼 조명 임시 온 모드에서, 운전자가 최우선 순위의 SOS 버튼(13b)을 눌러 조작한 경우, 즉 제어부(30)가 SOS 버튼(13b)의 푸쉬 모드를 인식한 경우, SOS 기능(긴급 구조 요청 기능)이 작동되도록 하고, 다시 시간을 초기화(Reset)하여 초기화된 시점부터 설정시간3 동안 심볼 조명 임시 온 모드를 유지하면서, SOS 버튼(13b)을 누르고 있는 동안 SOS 버튼의 심볼(14b)만이 하이라이트로 조명될 수 있도록 한다.
위에서 심볼 조명 온 모드 및 심볼 조명 임시 온 모드에서 심볼 조명 버튼(13a)을 눌러 조작할 경우, 전체 심볼(14a~14h)의 조명이 모두 오프(전체 LED(15) 오프) 되는 심볼 조명 오프 모드로의 전환이 이루어짐을 설명하였는바, 이와 같이 운전자는 버튼 조작이 불필요할 경우 심볼 조명 버튼(13a)을 눌러 전체 심볼 조명을 오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야간시 불필요한 심볼 조명으로 인해 운전자가 운전 중 시계 확보에 있어 방해를 받는 현상이 해소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심벌 조명 오프 상태에서 원하는 버튼을 찾고자 운전자가 아무 버튼이나 눌러줄 경우, 전체 심벌 조명이 온(전체 LED 온) 되는 심벌 조명 온 모드(심벌 조명 버튼을 눌렀을 경우임) 또는 심벌 조명 임시 온 모드(심벌 조명 버튼과 SOS 버튼을 제외한 나머지 기능 버튼을 눌렀을 경우임)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바, 야간시 전체 심벌의 조명이 들어온 상태에서 운전자가 필요한 버튼을 보다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다만, 심벌 조명 온 모드 및 심벌 조명 임시 모드와 마찬가지로, 심벌 조명 오프 상태라 하더라도 운전자가 매우 긴급한 상황에서 SOS 버튼(13b)을 조작하였다면, 바로 SOS 기능이 이루어지면서, 누름 조작 동안 SOS 버튼 심볼(14b)의 하이라이트 조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심벌 조명 오프 모드 상태에서 SOS 버튼(13b)을 조작하였을 경우에는 SOS 버튼(13b)을 누르고 있는 동안 SOS 버튼의 심볼(14b)에 대해서만 하이라이트 조명이 이루어지고, 나머지 버튼(13a,13c~13h)의 심볼(14a,14c~14h)에 대해서는 조명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심벌 조명 오프 모드에서, 심볼 조명 버튼(13a) 및 SOS 버튼(13b)을 제외한, ETCS, 텔레매틱스, 홈 링크와 관련된 기능 버튼(13c~13h)을 조작한 경우에는, 해당 버튼의 기능 작동 없이 심볼 조명 임시 온 모드로의 모드 전환만이 1차적으로 이루어지고, 이후 심볼 조명 임시 온 모드에서 원하는 기능 버튼을 조작해주어야만 해당 기능의 작동이 이루어지지만, 긴급한 상황에서 누르도록 된 SOS 버튼(13b)의 경우에는 푸쉬 모드가 인식되었을 때 바로 SOS 기능이 작동된다.
또한, 심벌 조명 온 모드에서 심벌 조명 버튼(13a)을 제외한 SOS 버튼(13b) 및 그 밖의 기능 버튼(13c~13h)을 눌러줄 경우, 누름 조작되고 있는 동안 해당 버튼의 심볼(14b~14h)에 대해서 하이라이트 조명이 이루어짐과 더불어, 해당 기능이 즉시 작동하게 되고, 더불어 심벌 조명 온 모드가 계속해서 유지된다.
즉, 누르고 있는 버튼을 제외한 나머지 버튼의 심볼에 대해서는 로우라이트 모드로 전체 LED의 점등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차량 시동 오프 시에는 이전의 심벌 조명 모드가 메모리에 기억되고, 이후 차량 시동 온 시에는 바로 이전의 심벌 조명 모드로 조명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의 설명에서 제어부(30)가 SOS 버튼(13b)에 대해 푸쉬 모드를 인식하였을 때 SOS 기능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설명하였는바, 이는 제어부(30)가 SOS 버튼(13b)이 누름 조작된 상태, 즉 SOS 버튼(13b)의 푸쉬 모드가 인식됨을 텔레매틱스 유닛(50)에 통보하여 긴급 구조 요청의 기능이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제어부(30)가 그 밖의 다른 기능 버튼, 즉 ETCS 전원 버튼(13c), 잔액 조회 버튼(13d), 볼륨 버튼(13e), 폰 버튼(13g), 호출 버튼(13f)의 경우에도 해당 버튼의 푸쉬 모드가 인식됨을 ETCS 모듈(20) 또는 텔레매틱스 유닛(50)에 통보하여 해당 기능이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8은 시동 온 시에 심볼 조명 제어를 위한 메인 제어 로직에 진입하기까지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운전자가 차량 시동을 걸기 위해 시동키를 먼저 ACC 온(On)으로 조작하게 되면, 시스템 초기화 과정을 거쳐 심볼 조명 모드가 설정된다.
이때, 심볼 조명 모드로는 이전의 차량 운행 종료시(시동 오프 시)에 기억된 심볼 조명 모드가 설정되고, 만약 ACC 온 시에 기억된 이전의 모드가 심벌 조명 오프 모드라면, 제어부(30)가 전체 버튼(13a~13h)의 심볼(14a~14h)들을 동시에 정해진 설정시간4(예, 3s) 동안 온 시키는 웰컴(Wellcome) 기능이 수행된다.
즉, 시동 온 시 기억되어 있는 모드가 심벌 조명 오프 모드라 하더라도 설정시간4 동안 전체 심벌 조명들을 잠시 온 시킨 후 오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웰컴 기능이 수행되고 나면 바로 메인 제어 로직으로 진입한다.
또한, 앞서서 기억된 심볼 조명 모드가 만약 심볼 조명 오프 모드가 아닌 경우라면, 예를 들어 ACC 온 시에 기억된 이전의 모드가 전체 심볼 조명들이 모두 온 상태로 있게 되는 심볼 조명 온 모드라면, 바로 메인 제어 로직으로 진입한다.
상기 메인 제어 로직에서는 운전자가 버튼(13a~13h)을 조작할 경우 제어부(30)가 버튼 상태를 인식(각 버튼의 푸쉬 모드/릴리즈 모드를 판별)하여 상술한 로직에 따라 버튼 심볼(14a~14h)에 대한 조명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도 9는 메인 제어 로직에서 버튼 상태(버튼 모드)를 인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로서, 특히 인접한 복수 개의 버튼이 운전자에 의해 동시에 눌러졌을 때 정해진 우선 순위에 따라 버튼의 조작 상태를 인식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기본적으로 하나의 버튼만이 눌러져서 그 버튼의 푸쉬 모드가 인식되었을 경우, 제어부(30)는 해당 버튼의 푸쉬 모드가 인식되었음을 해당 장치(ETCS 모듈이나 텔레매틱스 유닛, 또는 홈 링크 시스템, 또는 ECM 모듈 등 그 밖의 장치)에 통보하여 그 버튼 조작에 따른 기능이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복수 개의 버튼을 동시에 눌렀을 때 버튼의 조작 상태를 인식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순위가 가장 앞서는 최우선 순위의 SOS 버튼(13b)이 다른 버튼들과 동시에 눌러져, 도 6의 버튼 상태 인식 과정(도 9에서 'Button Timer'로 표기된 부분)을 통해 SOS 버튼(13b)의 푸쉬 모드('Push')가 인식(감지)된 경우, 다른 버튼들이 함께 눌러졌다 하더라도 다른 버튼들에 대해서는 모두 릴리즈 모드로 인식한다.
즉, 후 순위의 버튼들에 대해서는 눌러지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SOS 기능만이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운전자가 SOS 버튼(13b)을 누르고 있는 동안 SOS 버튼의 심볼(14b)에 대한 하이라이트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SOS 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동시에 눌러진 복수 개의 버튼 중에 심볼 조명 버튼(ISO Button)(13a)이 있다면, 도 6의 과정('Button Timer')을 통해 선 순위의 심볼 조명 버튼(13a)만을 푸쉬 모드로 인식하고, 다른 버튼들에 대해서는 위와 마찬가지로 릴리즈 모드로 인식하게 된다.
이때, 심볼 조명 버튼(13a)이 눌러져 푸쉬 모드로 인식되었으므로 심볼 조명 버튼의 조작에 따른 기능이 수행되며, 운전자가 심볼 조명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심볼 조명 버튼의 심볼(14a)에 대한 하이라이트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심볼 조명 버튼(13a)를 눌렀을 때 심볼 조명 모드가 심볼 조명 온 모드였다면 심볼 조명 오프 모드로 전환하여 전체 심볼 조명을 오프시키고(전체 LED 오프), 심볼 조명 모드가 심볼 조명 오프 모드였다면 전체 심볼 조명을 온 시킨다(전체 LED 온).
또한, 심볼 조명 모드가 심볼 조명 임시 온 모드였다면 심볼 조명 오프 모드로 전환하여 전체 심볼 조명을 오프시킨다.
아울러, SOS 버튼(13b)과 심볼 조명 버튼(ISO Button)(13a)이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눌러진 복수 개의 버튼 중 ETCS 전원 버튼(Power Button)(13c)이 있다면, 도 6의 과정을 통해 선 순위의 ETCS 전원 버튼(13c)만을 푸쉬 모드로 인식하고, 다른 기능 버튼들에 대해서는 릴리즈 모드로 인식하게 된다.
이때, ETCS 전원 버튼(13c)이 눌러져 푸쉬 모드로 인식되었으므로 ETCS 전원 버튼의 조작에 따른 기능이 수행되며, 운전자가 ETCS 전원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ETCS 전원 버튼의 심볼(14c)에 대한 하이라이트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순위가 앞서는 SOS 버튼, 심볼 조명 버튼, ETCS 전원 버튼이 모두 눌러지지 않고 이들을 제외한 우선 순위가 같은 다른 기능 버튼(13d~13h)들 중 복수 개가 동시에 눌러지는 경우, 이번의 기능 버튼 조작은 무시되고 다시 시작(Start) 단계로 이동한다.
다만, 심볼 조명 오프 모드에서 상기 기능 버튼들이 동시에 눌러졌다면, 이 경우에도 버튼은 눌러진 상태이므로, 운전자가 원하는 버튼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심벌 조명 임시 온 모드와 유사하게 전체 심볼 조명을 설정시간3 동안 온 시킨 후 오프시켜 다시 심볼 조명 오프 모드를 유지한다(이때,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의 심볼 하이라이트 조명은 없음).
또는 그 이전에 다른 기능 버튼이 먼저 눌러진 상태에서 또 다른 기능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 또는 상기 다른 기능 버튼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기능 버튼에 대한 푸쉬 모드가 인식되어 그 기능 버튼의 기능이 작동하고 있는 버튼 액션(Action) 상태에서 다른 기능 버튼(SOS 버튼, 심볼 조명 버튼, ETCS 전원 버튼 제외)이 눌러지는 경우, 나중의 기능 버튼 조작은 무시되고 다시 시작(Start) 단계로 이동한다.
여기서, 특정 버튼의 액션(Action) 상태는, 상기 특정 버튼이 눌러져 그 버튼의 푸쉬 모드 인식 후 그에 따른 기능이 작동하고 있으면서, 그 버튼의 누름 상태가 유지된 상태로 릴리즈(누름 해제) 혹은 우선 순위가 높은 다른 버튼의 누름 조작(푸쉬 조작)을 기다리는 상태를 의미한다.
물론, 버튼 액션 상태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다른 버튼이 눌러져 선 순위 버튼의 푸쉬 모드가 인식되고 나면, 선 순위 버튼의 기능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 인사이드 미러 11 : 미러 하우징
12 : 미러 글라스 13 : 조작버튼
13a : 심볼 조명 버튼(ISO Button)
13b : SOS 버튼
13c : ETCS 전원 버튼(Power Button)
13d : 잔액 조회 버튼(Function Button)
13e : 볼륨 버튼(Volume Button)
13f : 호출 버튼(Call Button)
13g : 폰 버튼(Phone Button)
13h : 홈 링크 시스템 관련 조작버튼
14, 14a ~ 14h : 심볼 15 : LED
20 : ETCS 모듈 30 : 제어부
31 : 메모리 40 : ECM 모듈
50 : 텔레매틱스 유닛(TMU) 60 : 스피커

Claims (12)

  1. 심볼 조명 버튼 및 긴급 구조 요청을 위한 SOS 버튼을 포함하여 정해진 기능 조작을 위해 구비되는 조작버튼들과, 상기 각 조작버튼들의 위치 표시를 위한 미러 글라스의 심볼들과, 상기 각 심볼의 개별 조명을 위한 조명수단을 가지는 프레임리스 인사이드 미러에서 상기 심볼들의 조명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심볼 조명 오프 모드에서 심볼 조명 버튼의 누름 조작을 인식하여 전체 심볼의 조명을 온(On) 시키는 심볼 조명 온 모드와;
    심볼 조명 온 모드에서 심볼 조명 버튼의 누름 조작을 인식하여 전체 심볼의 조명을 오프(Off)시키는 심볼 조명 오프 모드와;
    심볼 조명 오프 모드에서 심볼 조명 버튼 및 SOS 버튼을 제외한 다른 조작버튼의 누름 조작을 인식하여 전체 심볼의 조명을 정해진 시간 동안 온(On) 시키는 심볼 조명 임시 온 모드의 심볼 조명 모드 중 조작버튼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이드 미러의 버튼 심볼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볼 조명 온 모드에서 심볼 조명 버튼 및 SOS 버튼을 제외한 다른 조작버튼의 누름 조작을 인식한 경우, 조작버튼의 누름 조작에 따른 해당 기능의 작동과 더불어, 심볼 조명 온 모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이드 미러의 버튼 심볼 제어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누름 조작되고 있는 조작버튼의 심볼을 다른 버튼의 심볼에 비해 밝게 조명하는 하이라이트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이드 미러의 버튼 심볼 제어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심볼 조명 모드에서 SOS 버튼의 누름 조작을 인식한 경우, 긴급 구조 요청 기능이 바로 작동되도록 하고, 현재의 심볼 조명 모드는 유지하면서, SOS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SOS 버튼의 심볼을 다른 버튼의 심볼에 비해 밝게 조명하는 하이라이트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이드 미러의 버튼 심볼 제어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볼 조명 임시 온 모드에서 심볼 조명 버튼 및 SOS 버튼을 제외한 다른 조작버튼의 누름 조작을 인식한 경우, 조작버튼의 누름 조작에 따른 해당 기능의 작동과 더불어, 다시 정해진 시간 동안 심볼 조명 임시 온 모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이드 미러의 버튼 심볼 제어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누름 조작되고 있는 조작버튼의 심볼을 다른 버튼의 심볼에 비해 밝게 조명하는 하이라이트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이드 미러의 버튼 심볼 제어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볼 조명 임시 온 모드에서 심볼 조명 버튼의 누름 조작을 인식한 경우, 심볼 조명 오프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이드 미러의 버튼 심볼 제어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볼 조명 임시 온 모드에서 전체 심볼의 조명을 정해진 시간 동안 온(On) 시킨 후 심볼 조명 오프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이드 미러의 버튼 심볼 제어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프레임리스 인사이드 미러에 구비되는 상기 버튼들의 우선 순위가 미리 설정되어, 다른 우선 순위의 버튼들이 동시에 누름 조작됨을 인식한 경우, 우선 순위가 앞서는 버튼만이 누름 조작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이드 미러의 버튼 심볼 제어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는 SOS 버튼을 최우선 순위로 하여 심볼 조명 버튼, ETCS(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전원 버튼, 나머지 조작버튼의 순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이드 미러의 버튼 심볼 제어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조작버튼 중 복수 개의 조작버튼이 동시에 누름 조작됨을 인식한 경우, 동시에 인식된 조작버튼의 누름 조작은 무시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이드 미러의 버튼 심볼 제어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조명 심볼 오프 모드에서 상기 나머지 조작버튼 중 복수 개의 조작버튼이 동시에 누름 조작됨을 인식한 경우, 전체 심볼의 조명을 정해진 시간 동안 온 시킨 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이드 미러의 버튼 심볼 제어 방법.













KR1020140062384A 2014-05-23 2014-05-23 인사이드 미러의 버튼 심볼 제어 방법 KR101575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384A KR101575477B1 (ko) 2014-05-23 2014-05-23 인사이드 미러의 버튼 심볼 제어 방법
US14/563,080 US9663029B2 (en) 2014-05-23 2014-12-08 Method of controlling button symbol of inside mirror
CN201410795335.7A CN105083125B (zh) 2014-05-23 2014-12-18 控制车内后视镜的按钮符号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384A KR101575477B1 (ko) 2014-05-23 2014-05-23 인사이드 미러의 버튼 심볼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925A true KR20150134925A (ko) 2015-12-02
KR101575477B1 KR101575477B1 (ko) 2015-12-07

Family

ID=54555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384A KR101575477B1 (ko) 2014-05-23 2014-05-23 인사이드 미러의 버튼 심볼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663029B2 (ko)
KR (1) KR101575477B1 (ko)
CN (1) CN10508312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141A (ko) * 2016-09-27 2018-04-04 주식회사 에스엘미러텍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기반의 제어 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43481B2 (en) * 2010-09-17 2014-02-0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In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integrated indicator symbol
CN107444272B (zh) * 2016-05-31 2020-07-07 沈阳美行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后视镜显示的方法及装置和设备
KR101899995B1 (ko) * 2017-04-27 2018-09-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모니터 작동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룸미러
JP7038643B2 (ja) * 2018-11-26 2022-03-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CN109955786A (zh) * 2019-03-27 2019-07-02 苏州清研微视电子科技有限公司 车载主动安全监控装置
JP7119026B2 (ja) * 2020-06-17 2022-08-16 矢崎総業株式会社 オーバヘッドコンソール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2783A (en) * 1986-05-07 1988-12-20 Electro-Mechanical Products Vehicular function controller having alterable function designators
US7084859B1 (en) * 1992-09-18 2006-08-01 Pryor Timothy R Programmable tactile touch screen displays and man-machine interfaces for improved vehicle instrumentation and telematics
US5285060A (en) * 1992-12-15 1994-02-08 Donnelly Corporation Display for automatic rearview mirror
US5550677A (en) * 1993-02-26 1996-08-27 Donnelly Corporation Automatic rearview mirror system using a photosensor array
US5796094A (en) * 1993-02-26 1998-08-18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headlight control using imaging sensor
US5666028A (en) * 1994-04-06 1997-09-09 Gentex Corporation Automobile headlamp and running light control system
JP3243365B2 (ja) * 1994-04-19 2002-01-07 シャープ株式会社 キー入力装置
US5566224A (en) * 1994-08-29 1996-10-15 Motorola, Inc.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mirrored surface
US5831389A (en) * 1995-01-20 1998-11-03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utomotive room lamp
JPH09123924A (ja) 1995-11-01 1997-05-13 Calsonic Corp ドライビングポジション自動調整システム
US5786772A (en) * 1996-03-22 1998-07-28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blind spot detection display system
US6329925B1 (en) * 1999-11-24 2001-12-11 Donnelly Corporation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added feature modular display
JP3434717B2 (ja) * 1998-11-12 2003-08-11 株式会社村上開明堂 バックミラー用ecパネルの駆動装置
GB9903189D0 (en) * 1999-02-13 1999-04-07 Rover Group A user interface unit for a vehicle
US6614579B2 (en) * 1999-10-22 2003-09-02 Gentex Corporation Proximity switch and vehicle rearview mirror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and having a transparent housing
JP2001213227A (ja) * 2000-02-04 2001-08-07 Koito Mfg Co Ltd 車輌用照明システム
US7224324B2 (en) * 2000-03-27 2007-05-29 Donnelly Corporation Interactive automotive rearvision system
JP2001354087A (ja) 2000-06-12 2001-12-25 Denso Corp 車載用機器の制御装置
JP2002264726A (ja) 2001-03-05 2002-09-18 Denso Corp 車両用ルームミラー
JP4013562B2 (ja) * 2002-01-25 2007-11-28 豊田合成株式会社 照明装置
US7360932B2 (en) * 2004-06-01 2008-04-22 Donnelly Corporation Mirror assembly for vehicle
US7253723B2 (en) * 2003-05-19 2007-08-07 Donnelly Corporation Mirror assembly
US6958495B2 (en) 2003-03-20 2005-10-25 Gentex Corporation Mirror assembly with multi-color illumination
US7302642B2 (en) * 2003-06-03 2007-11-27 Tim Simon, Inc. Thermostat with touch-screen display
US7488099B2 (en) * 2004-04-16 2009-02-10 Gentex Corporation Rearview mirror light
KR20050120022A (ko) 2004-06-18 2005-1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사이드 미러용 표시창의 조도 조절 장치
DE102004048718B3 (de) * 2004-10-06 2006-04-06 Dr.Ing.H.C. F. Porsche Ag Beobachtungseinrichtung für seitliche Bereiche eines Kraftfahrzeugs
US20060082541A1 (en) * 2004-10-19 2006-04-20 Chang-Yuan Wu Input detection device and related method
US7327215B2 (en) * 2004-12-20 2008-02-05 General Motors Corporation Keyless entry with hidden keypad
US20060133099A1 (en) * 2004-12-21 2006-06-22 Cnh America Llc Egress lighting timer
EP1736360A1 (en) * 2005-06-23 2006-12-27 Mazda Motor Corporation Blind-Spot detection system for vehicle
KR200419398Y1 (ko) 2005-10-07 2006-06-20 신 에트케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다용도 차량 내부 백미러
US7817020B2 (en) * 2006-10-17 2010-10-19 Gentex Corporation Optical user interface system for automotive modules
CN101641997A (zh) * 2007-02-28 2010-02-03 奥斯兰姆有限公司 对发光装置的一个或多个驱动设备进行调光控制的电路装置和方法
US7532149B2 (en) * 2007-10-04 2009-05-12 Banko Industries Rearview mirror assembly encompassing a radar detector and/or laser detector
US20090243882A1 (en) * 2008-04-01 2009-10-01 Willie Brown System and method for a manually operated vehicular hazard warning system
US8465161B2 (en) * 2008-10-14 2013-06-18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In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button module
US9487144B2 (en) * 2008-10-16 2016-11-08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Interior mirror assembly with display
US8237909B2 (en) * 2009-02-06 2012-08-07 Gentex Corporation Vehicular rearview mirror assembly including integrated backlighting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KR20100123435A (ko) 2009-05-15 2010-11-24 에스엠알 페턴츠 에스.에이.알.엘. 탈착식 이티씨에스(etcs) 모듈과 후방영상을 제공하는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
US9346403B2 (en) * 2009-10-07 2016-05-24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Rearview mirror assembly
KR20120099671A (ko) * 2009-10-07 2012-09-11 마그나 미러스 오브 아메리카 인크. 무프레임 내부 후사경 조립체
KR20110078721A (ko) 2009-12-31 2011-07-07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룸미러
US9180819B2 (en) * 2010-09-17 2015-11-10 Gentex Corporation In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integrated indicator symbol
US8643481B2 (en) * 2010-09-17 2014-02-0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In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integrated indicator symbol
KR101855250B1 (ko) * 2010-11-03 2018-05-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WO2012176316A1 (ja) * 2011-06-23 2012-12-2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切り替え装置
CN103930931A (zh) * 2011-09-23 2014-07-16 金泰克斯公司 用于后视镜显示的系统和方法
CN202743138U (zh) * 2012-06-28 2013-02-20 健生实业股份有限公司 具有触控按键的车内后视镜
CN104158532A (zh) * 2014-07-25 2014-11-19 广东好帮手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载导航后视镜玻璃的触摸按键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141A (ko) * 2016-09-27 2018-04-04 주식회사 에스엘미러텍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기반의 제어 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83125A (zh) 2015-11-25
CN105083125B (zh) 2019-02-15
KR101575477B1 (ko) 2015-12-07
US20150336506A1 (en) 2015-11-26
US9663029B2 (en) 201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477B1 (ko) 인사이드 미러의 버튼 심볼 제어 방법
CN100568296C (zh) 车辆内设备遥控系统和方法
CN108162982B (zh) 车辆操作功能的提示方法及系统和汽车
US7343234B2 (en) Vehicle control unit and vehicle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US6344793B1 (en) Process for assisting a user of a motor vehicle when operating components of the motor vehicle as well as a pertaining system
US8682536B2 (en) Onboard unit controlling apparatus
CN102923074A (zh) 一种蓝牙车身控制器及控制系统
US10189403B2 (en) Vehicle interior illumination device
US20160229336A1 (en) U-Turn Safety Wireless Signal System
CN111201692B (zh) 信息显示装置、信息显示系统、信息显示方法以及程序
KR100656243B1 (ko) 차량 비상등 원터치 자동 점멸 장치
JP5246954B2 (ja) 車両用照明装置
EP3920563B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in-vehicle system
JP6425029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CN110962772A (zh) 功能切换方法、装置及车辆
US8989781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power-saving method therefor
US10166915B2 (en) Setting aid for a rear-view mirror in a motor vehicle
CN111511599A (zh) 用于运行辅助系统的方法和汽车用辅助系统
CN208300090U (zh) 灯光控制装置及车辆
US20230256902A1 (en) Input device
KR200432704Y1 (ko) 노선차량의 정류장 안내장치
KR200304414Y1 (ko) 원격시동경보기
CN114845441A (zh) 车内照明系统及方法
KR200385810Y1 (ko) 차량용 연락처 표시 장치
KR200351305Y1 (ko) 자동차용 룸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