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4846A -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eps)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및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 - Google Patents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eps)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및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4846A
KR20150134846A KR1020140062182A KR20140062182A KR20150134846A KR 20150134846 A KR20150134846 A KR 20150134846A KR 1020140062182 A KR1020140062182 A KR 1020140062182A KR 20140062182 A KR20140062182 A KR 20140062182A KR 20150134846 A KR20150134846 A KR 20150134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fastening
density eps
pane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8341B1 (ko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김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훈 filed Critical 김태훈
Priority to KR1020140062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341B1/ko
Publication of KR20150134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1/3205Structures with a longitudinal horizontal axis, e.g. cylindrical or prismatic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7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comprised of a number of panels or blocs connected together forming a self-supporting structure
    • E04B2001/3276Panel connection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EPS)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와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으로 제조된 패널로 제작되어 경량이면서도 견고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건축할 수 있는 조립식 하우스와, 이러한 조립식 하우스를 건설하는데 사용되는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과 경량콘크리트로 구성된 고밀도 EPS패널 및 이들을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결합판과 체결나사로 구성된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에 관한 것이며, 소정의 두께로 제작되고 상하좌우의 외부 단부와 인접한 곳에는 외부표면과 내부표면을 관통하는 나사체결파이프가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고밀도 EPS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로 실현 가능하고, 고밀도 EPS패널의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여 지속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와, 발포폴리스틸렌과 경량콘크리트가 복합으로 사용되어 고밀도 EPS패널의 생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면서도, 이러한 고밀도 EPS패널은 건축물의 용도에 맞게 단열성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와 자체강성을 지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EPS)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및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Prefabricated house and member of prefabricated house that use EPS panel}
본 발명은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EPS)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와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으로 제조된 패널로 제작되어 경량이면서도 견고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건축할 수 있는 조립식 하우스와, 이러한 조립식 하우스를 건설하는데 사용되는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과 경량콘크리트로 구성된 고밀도 EPS패널 및 이들을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결합판과 체결나사로 구성된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에 관한 것이다.
조립식 하우스는 건식공법으로 건축물을 건설하는 방밥 중 하나이며, 건축에 사용되는 각종 부재들은 공장에서 생산된 뒤 건축현장에서는 이들 부재들이 조립만 되는 형태로 제작된다.
이중 돔이나 터널형태로 제작되는 건축물은 군대나 건설회사 등에서 사용하는 임시 숙소로 사용되기도 하고, 각종 전시회 등에서 전시시설로 사용되기도 하는 한편, 농업용 재배시설로 사용되기도 한다.
조립식 하우스는 샌드위치패널과 같은 부재로 제작되기도 하나, 근래에는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이하, 고밀도 EPS라 함)를 이용해 일정크기의 패널을 제작한 후 이들 EPS패널을 결합시켜 건축물을 제작하고, 외부면을 드라이비트 공법 등으로 마감하여 건축물을 완성하기도 한다.
이때, 고밀도 EPS패널은 센드위치패널과는 다르게 자체강성이 충분하여 두께가 100㎜ 이상으로 제작되면 별도의 철구조물 없이도 건축물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들 고밀도 EPS패널을 연속해서 결합시키는 것만으로도 건축물을 완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별도의 골조를 시공하지 않아도 되므로 신속하면서도 저렴한 건축물을 제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더욱이 고밀도 EPS패널을 이용해 완성된 건축물의 단면이 반원모양인 돔 형상 또는 터널 형상인 경우에는 구조적으로 내진 및 내풍성능도 증가하여 태풍,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로부터 안전한 장점이 있다. 또한, 고밀도 EPS패널의 특성상 열전달을 완벽히 차단하여 내부의 온도, 습도 등을 인위적으로 조절하기에 매우 용이한 장점도 있다.
이처럼 구조적으로 안전하고 골조로 사용되는 철구조물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는 고밀도 EPS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은 거주용으로 사용할 경우 시공비가 저렴하면서도 에너지 소비효율이 낮은 제로하우스로 제작이 용이하다. 농업시설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계절에 상관없이 저렴한 에너지 비용으로 다양한 식물을 재배할 수 있어 농가의 재배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기존 고밀도 EPS패널은 돔 및 터널 형상의 건축물에 맞게 라운드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두께는 150㎜ 전후로 제작된다. 이웃하는 고밀도 EPS패널과의 결합은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체결나사에 의해 체결된다.
체결나사를 이용하는 경우는 이웃하는 패널들의 사이에 결합용 금속판을 덧대고 양측의 패널과 금속판이 분리되지 않게 나사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작업이 이루졌다.
그러나 금속판의 형상이 정형화되어 있지 않고, 패널에도 별도의 나사체결부가 존재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체결나사를 체결하는 것은 오로지 작업자의 숙련도에만 의존할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고밀도 EPS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을 현장에서 시공하는 작업은 이론처럼 신속하게 이루어지지는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군대 및 건설현장에서 간이숙소로 사용된 조립식 하우스들은 사용목적이 완료되면 해체하여 다른 장소로 이동 및 설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기존에 접착제와 정형화되지 않은 금속판 및 체결나사를 이용해 조립되었던 관계로 해체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더욱이 정형화 되지 않은 금속판과 체결나사로 결합되었던 고밀도 EPS패널은 기존에 체결나사가 설치되었던 부분은 체결나사를 설치함과 동시에 나사산에 의해 파손된다. 따라서 다시 시공할 때 기존의 체결나사가 설치되었던 자리에는 다시 체결나사를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여러 이유들로 인해 기존의 고밀도 EPS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는 이동설치의 횟수에 제약이 따르거나, 이동설치가 불가능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고밀도 EPS패널이 철구조물과 같은 골조의 도움 없이 자제적인 강성으로 건축물을 형성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두께가 확보되어야만 한다. 고밀도 EPS패널을 충분한 두께로 제작하는 경우 열차단효과가 증가하여 궁극적으로는 에너지 소비효비율을 낮추는 장점은 있으나, 고밀도 EPS패널을 제작하는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단열에 충분한 두께의 고밀도 EPS패널을 제작하면서도 자체적인 강성도 확보하여 저렴하면서도 견고한 고밀도 EPS패널을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처럼 고밀도 EPS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와 조립식 하우스용 패널은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보급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시공과 해체의 편의성 및 제작비용의 절감에 대해 해결해야 할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허출원 제10-2008-7003371(출원일 2008, 02, 12) 특허등록 제10-1068693호(등록일 2011, 9, 22)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고 지속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고밀도 EPS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및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고밀도 EPS패널을 발포폴리스틸렌과 다른 소재를 복합으로 제작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건축물의 용도에 맞는 단열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더불어, 기존 고밀도 EPS패널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무게와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기존보다 저렴하게 조립식 하우스를 제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더불어, 고밀도 EPS패널의 결합과 해체를 신속/용이하게 하는 것은 물론, 반복적으로 설치와 해체가 가능한 조립식 하우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을 이용해 제작되는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에 있어서, 소정의 두께로 제작되고 상하좌우의 외부 단부와 인접한 곳에는 외부표면과 내부표면을 관통하는 나사체결파이프가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고밀도 EPS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로 실현 가능하다.
더불어, 고밀도 EPS패널은 상단과 일측 측면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하단과 타측 측면에는 결합돌기가 삽입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을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로 실현 가능하다.
더불어, 고밀도 EPS패널에는 측면의 결합홈에서 중앙으로 중공부가 형성되고, 중공부에는 내부에 기포가 형성된 경량콘크리트블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을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로 실현 가능하다.
더불어, 나사체결파이프는 고밀도 EPS패널의 외부표면과 내부표면에 접하는 곳에 나사머리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하는 나사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을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로 실현 가능하다.
더불어, 고밀도 EPS패널들은 이웃하는 나사체결파이프에 결합되는 결합판에 의해 체결되고, 결합판은 고밀도 EPS패널의 외부에 접하는 평행판과, 평행판의 양단에서 나사체결파이프의 나사삽입부로 삽입되고 단부에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L'자 모양으로 절곡된 나사체결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을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로 실현 가능하다.
더불어, 나사체결파이프는 일측에서 내부 중앙까지 직선방향으로 삽입슬롯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삽입슬롯과 'T'자 모양으로 직각을 이루는 체결슬롯이 형성되며, 나사체결파이프에 삽입되는 체결나사는 양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나사체결파이프의 체결슬롯에 삽입되어 이동 및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을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로 실현 가능하다.
더불어, 결합판의 나사체결판은 체결나사의 나사머리와 접촉되는 부분과 나사체결파이프의 나사삽입부의 단턱에 접촉되는 부분 양측으로 돌출되는 수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을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로 실현 가능하다.
더불어, 고밀도 EPS패널이 반원형상으로 적층되고, 적층된 패널들이 서로 분리되지 않게 결합되어 돔 또는 터널 형상으로 제작되는 조립식 하우스에 있어서, 상단과 일측 측면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하단과 타측 측면에는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하좌우의 외부 단부와 인접한 곳에는 외부표면에서 내부표면으로 관통하고 양 단부에는 나사삽입부가 형성된 나사체결파이프가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측면의 결합홈 부분으로 관통되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중공부의 내부에는 경량콘크리트블럭이 형성된 고밀도 EPS패널과, 고밀도 EPS패널들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고밀도 EPS패널의 외부에 접하는 평행판과, 평행판의 양단에서 파이프의 나사삽입부로 삽입되며 단부에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L'자 모양으로 절곡형성된 나사체결판으로 형성된 결합판과, 고밀도 EPS패널의 나사체결파이프에 삽입되고, 나사체결판을 나사체결파이프의 나사삽입부에 고정시켜 고밀도 EPS패널들이 서로 고정되게 하는 체결나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을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로 실현 가능하다.
더불어, 나사체결파이프는 일측에서 내부 중앙까지 직선방향으로 삽입슬롯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삽입슬롯과 'T'자 모양으로 직각을 이루는 체결슬롯이 형성되며, 나사체결파이프에 삽입되는 체결나사는 양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중앙의 측면에는 나사체결파이프의 체결슬롯에 삽입되어 이동 및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을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로 실현 가능하다.
본 발명은 고밀도 EPS패널의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여 지속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발포폴리스틸렌과 경량콘크리트가 복합으로 사용되어 고밀도 EPS패널의 생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면서도, 이러한 고밀도 EPS패널은 건축물의 용도에 맞게 단열성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와 자체강성을 지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 고밀고 EPS패널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무게와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기존보다 저렴하게 제작되어 조립식 하우스를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고밀도 EPS패널의 결합과 해체를 용이하게 하여 반복적으로 설치와 해체가 가능한 조립식 하우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밀도 EPS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고밀도 EPS패널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1 내지 도 2의 고밀도 EPS패널의 부분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밀도 EPS패널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사체결파이프 및 체결나사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를 도시한 사시도 대용 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가 결합된 조립식 하우스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대용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은 경량이면서 고강도 소재로서 별도의 골조 없이도 신속하게 건축물을 제작할 수 있는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EPS)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및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조립식 하우스의 부재는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EPS)패널(이하, 고밀도 EPS패널이라 함)과 고밀도 EPS패널을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결합판 및 체결나사로 형성된다.
고밀도 EPS패널은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하좌우의 외부 단부와 인접하는 곳에는 외부 표면과 내부표면을 관통하는 나사체결파이프가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나사체결파이프는 이웃하는 고밀도 EPS패널들을 신속하게 결합 및 분리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서, 나사체결파이프가 형성된 경우에는 나사체결파이프의 내부로 체결나사를 삽입한 뒤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어, 숙련공이 아니더라도 일정한 작업속도로 고밀도 EPS패널의 결합 및 분리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나사체결파이프를 고밀도 EPS패널의 상하좌우의 단부에 인접한 곳에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완성된 고밀도 EPS패널의 표면을 천공 후 나사체결파이프를 삽입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제조공정의 편의성을 위해 고밀도 EPS패널을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성형틀(미도시됨)에 나사체결파이프를 위치시킨 뒤 고밀도 EPS패널을 발포형성시키면 고밀도 EPS패널의 내부에 나사체결파이프가 일체로 견고하게 위치되게 할 수 있다.
고밀도 EPS패널의 형상은 건축물의 단면이 반원형상이 되도록 연속되는 아치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각의 고밀도 EPS패널은 결합판과 체결나사에 의해 결합된다 하여도 조립시에 자체적인 결합구조에 의해 건축물의 모양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 작업에 더 유리하다.
이를 위해 고밀도 EPS패널의 상단과 일측 측면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단과 타측 측면에는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고밀도 EPS패널의 상하좌우의 단부에 서로 이웃하는 고밀도 EPS패널과 끼움결합되는 결합돌기와 결함홈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도 고밀도 EPS패널의 결합만으로도 건축물의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건축물의 조립시 EPS패널만을 결합하여 건축물의 형상을 완성한 뒤에 나사체결파이프에 결합판과 체결나사만을 결합시키면 보다 신속하게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처럼 형성된 고밀도 EPS패널은 다른 건축부재에 비해 가볍고 견고하면서도 단열효과가 뛰어난 특징이 있다. 그러나 고밀도 EPS패널이 건축물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필요 이상의 다열성능을 발휘하는 두께로 제작되는 경우가 있다. 즉, 자체적이 단열성능이 높아 더 얇게 제작되어도 무관한 경우에도 건축물의 구조를 고려하여 단열성능을 초과하는 두께로 제작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단열성능을 초과하는 두께로 제작된 고밀도 EPS패널은 소재비가 증가하여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고밀도 EPS패널을 다른 재료와 혼합하여 필요한 단열성능과 강도는 유지하되 제조원가는 절감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고밀도 EPS패널의 측면에는 결합홈에서 중앙으로 중공부가 형성되고, 중공부에는 경량콘크리트블럭이 형성된다.
경량콘크리트블록은 이미 대중화되어 있는 발포시멘트를 이용해 형성시키는 것으로서, 기포의 량과 분포를 조절할 수 있어 부피와 비중을 일정범위에서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고밀도 EPS패널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결합홈의 측면에서 중앙으로 관통되는 중공부를 형성시키고, 고밀도 EPS패널의 성형이 끝난 뒤 중공부에 발포시멘트몰탈을 부어 고착시켜 경량콘크리트블록을 형성시킨다.
이처럼 형성된 경량콘크리트블록은 기포에 의해 형성된 다량의 기공으로 인해 고밀도 EPS패널과 유사한 질량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고밀도 EPS 소재의 사용을 억제하면서도 고밀도 EPS패널의 두께와 강도는 증가시키고 단열성능은 최적의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고밀도 EPS패널은 체결나사와 결합판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되는 것으로서, 체결나사의 신속한 결합과 분리를 위해 고밀도 EPS패널에는 나사체결파이프가 형성된다.
또한, 나사체결파이프는 양측 단부인 고밀도 EPS패널의 외부표면과 내부표면에 접하는 곳에 나사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나사삽입부는 나사체결파이프와 단턱으로 연결되여 확공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높이는 체결나사의 나사머리가 내부로 완전히 삽입될 정도의 높이이면 된다.
나사삽입부를 형성시키는 것은 조립식 하우스를 영구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외부에 마감재를 도포하는 경우와 미관을 고려한 것으로서, 외부에 마감재를 도포하는 경우에는 마감재가 균일한 두께로 도포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미관을 고려한 경우에는 고밀도 EPS패널들의 외부로 체결나사의 나사머리가 돌출되어 있으면 미관상 좋지 않은 느낌을 줄 수 있어 나사머리가 최대한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고밀도 EPS패널들은 이웃하는 나사체결파이프에 결합되는 결합판과 체결나사에 의해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결합판은 금속판 또는 플라스틱판을 성형하여 제작하는 것으로서, 평행판과 나사체결판을 주요 구성품으로 한다.
평행판은 고밀도 EPS패널의 외부에 접하는 것으로서, 소정의 길이로 제작되어 양측 고밀도 EPS패널의 나사체결파이프 사이에서 결합력을 발생시키면서 양측 고밀도 EPS패널이 분리되지 않게 하는 기능을 한다.
나사체결판은 중앙에 나사공이 형성된 것으로서, 고밀도 EPS패널의 나사체결파이프에 결합되는 체결나사와 결합된다. 따라서 나사체결파이프의 단부에 나사삽입부가 형성된 경우에는 나사체결판 역시 나사삽입부의 형상과 대응되게 'L'자 모양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모양이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나사체결판에는 수밀부가 형성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 건축물로 사용되는 조립식 하우스는 외부의 빗물 등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철저히 차단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고밀도 EPS패널들은 다수의 나사체결파이프에 의해 내부와 외부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관통된 곳으로 외부의 빗물들이 유입될 여지가 충분하다.
이를 고려하여 신속하면서도 별도의 구성 없이도 이를 차단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결합판의 나사체결판에 수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수밀부는 체결나사의 나사머리와 접촉되는 부분과 나사체결파이프의 나사삽입부 단턱에 접촉되는 부분 양측으로 돌출되는 원형의 띠 형상으로 다능하다.
즉, 상부로 돌출되는 수밀부는 나사머리와 접촉되면서 압착되어 수밀을 형성시키고, 하부로 돌출되는 수밀부는 나사체결파이프의 나사삽입부의 단턱과 접촉되어 수밀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수밀부는 나사삽입부에 체결나사가 결합되면서 압착되어 모양이 변형되면서 수밀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나사체결파이프는 일측에서 내부 중앙까지 직선방향으로 삽입슬롯이 형성될 수 있고, 나사체결파이프의 중앙에는 삽입슬롯과 'T'자 모양으로 직각을 이루면 연결되는 체결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체결나사는 양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나사체결파이프의 삽입슬롯 및 체결슬롯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나사체결파이프에 삽입슬롯과 체결슬롯을 형성시키고 체결나사의 측면에 고정돌기를 형성시킨 것은 나사체결을 더욱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체결나사의 측면에 위치한 고정돌기를 삽입슬롯에 일치시킨 뒤 일정 깊이까지 체결나사를 이동시키고 체결나사를 측면으로 회전시키면 고정돌기는 체결슬롯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체결나사는 고정돌기가 체결슬롯에 위치하는 동안에는 별도의 지지구 없이도 나사체결파이프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즉, 작업자는 별도의 고정구 없이도 고밀도 EPS패널의 다수의 나사체결파이프 내부로 다수의 체결나사를 설치시킨 후 순서대로 체결나사에 암나사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체결나사는 고정돌기가 체결슬롯의 내부에서 유동이 제한되므로 일측의 암나사만을 회전시켜도 체결나사는 고정되어 있어, 손쉽게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작업자는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와 외부를 번갈아오가면서 작업할 필요 없이 내부 또는 외부에서 체결나사의 고정을 완성한 뒤 다른 편으로 이동하여 작업을 마무리하면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을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하우스는 고밀도 EPS패널과 결합판 및 체결나사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먼저 조립식 하우스가 설치되는 곳에는 기초바닥이 형성되어 있어야 하고, 완성된 바닥에는 단면의 형상이 반원모양인 조립식 하우스가 설치된다.
조립식 하우스를 구성하는 고밀도 EPS패널은 단면의 형상이 반원형상인 것이며, 이웃하는 고밀도 EPS패널과 결합되어 돔 또는 터널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고밀도 EPS패널은 상단과 일측 측면에 외부로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하단과 타측 측면에는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고밀도 EPS패널은 이웃하는 것들이 서로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끼움결합되어 건축물의 형상을 유지하게 일정한 크기로 가조립된다.
또한, 고밀도 EPS패널들은 상하좌우의 외부 단부와 인접한 곳에 외부면과 내부면을 관통하는 나사체결파이프가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나사체결파이프의 양단부에는 나사삽입부가 형성된다. 고밀도 EPS패널의 내부는 측면의 결합홈 부분으로 관통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중공부의 내부에는 경량콘크리트블록이 형성된다.
고밀도 EPS패널들의 연결은 평행판과 나사삽입부로 삽입되는 'L'자 모양으로 절곡형성된 나사체결판으로 구성된 결합판과 체결나사의 체결로 가능하다.
이처럼 내부에 경량콘크리트블록이 형성된 조립식 하우스는 고밀도 EPS패널의 단열성능으로 인해 에너지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와 경량콘크리트블록이 고밀도 EPS패널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고밀도 EPS패널에 형성된 나사체결파이프에 결합판과 체결나사를 신속하게 체결시킬 수 있어 빠른 시간에 조립식 하우스를 완성할 수 있고, 해체 시에도 체결되었던 체결나사를 분리한 뒤 결합판과 체결나사를 나사체결파이프에서 분리하기만 하면 손쉽게 조립식 하우스를 해체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장소로 고밀도 EPS패널과 결합판 및 체결나사를 이동시켜 조립식 하우스를 설치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나사체결파이프에는 일측에서 재부 중앙까지 직선방향으로 삽입슬롯이 형성될 수 있고, 중앙에는 삽입슬롯과 'T'자 모양으로 직각을 이루는 체결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체결나사는 양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중앙의 측면에는 삽입슬롯 및 체결슬롯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나사체결파이프에 삽입슬롯과 체결슬롯이 형성되고, 체결나사의 측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되면, 체결나사는 별도의 고정구 없이도 나사체결파이프에 삽입되어 체결슬롯에 의해 고정된다.
작업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고밀도 EPS패널을 호 형상으로 적층시켜 결합돌기와 결합홈에 의해 가결합되게 한 후 나사체결파이프에 체결나사만을 설치한다. 이때, 체결나사는 나사체결파이프의 체결슬롯에 고정돌기가 체결되어 나사체결파이프를 이탈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결합판의 양측을 체결나사에 결합시킨 뒤 암나사를 체결시켜 조립식 하우스의 설치를 완료한다.
반대로 설치된 조릅식 하우스를 해체하는 경우에는 공구를 가지고 체결나사에 결합된 암나사만을 일제히 분리한다. 암나사가 분리된 상태에서도 고밀도 EPS패널들은 서로의 결합돌기 및 결합홈이 끼움결합되어 있어 붕괴되지 않고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일정 단위로 고밀도 EPS패널을 분리한 뒤 바닥에서 고밀도 EPS패널을 하나씩 분리하면 되고, 최종적으로 나사체결파이프에서 체결나사를 분리하는 것으로 해체가 완료된다.
지금까지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첨부된 도면과 본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고, 그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에 대한 균등물들은 모두 본 특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만 한다.
1: 조립식 하우스 10: 고밀도 EPS패널
11: 결합돌기 12: 결합홈
101: 외부표면 102: 내부표면
103: 중공부 110: 경량콘크리트블럭
20: 나사체결파이프 210: 나사삽입부
221: 삽입슬롯 222: 체결슬롯
30: 결합판 310: 평행판
320: 나사체결판 321: 나사공
323: 수밀부 40: 체결나사
41: 나사머리 42: 나사산
43: 고정돌기

Claims (9)

  1.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을 이용해 제작되는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에 있어서,
    소정의 두께로 제작되고, 상하좌우의 외부 단부와 인접한 곳에는 외부표면과 내부표면을 관통하는 나사체결파이프가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고밀도 EPS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고밀도 EPS패널은 상단과 일측 측면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하단과 타측 측면에는 결합돌기가 삽입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을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
  3. 제 2항에 있어서,
    고밀도 EPS패널에는 측면의 결합홈에서 중앙으로 중공부가 형성되고, 중공부에는 내부에 기포가 형성된 경량콘크리트블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을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
  4.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사체결파이프는 고밀도 EPS패널의 외부표면과 내부표면에 접하는 곳에 나사머리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하는 나사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을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
  5. 제 4항에 있어서,
    고밀도 EPS패널들은 이웃하는 나사체결파이프에 결합되는 결합판에 의해 체결되고,
    결합판은 고밀도 EPS패널의 외부에 접하는 평행판과, 평행판의 양단에서 나사체결파이프의 나사삽입부로 삽입되고 단부에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L'자 모양으로 절곡된 나사체결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을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
  6. 제 4항에 있어서,
    나사체결파이프는 일측에서 내부 중앙까지 직선방향으로 삽입슬롯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삽입슬롯과 'T'자 모양으로 직각을 이루는 체결슬롯이 형성되며,
    나사체결파이프에 삽입되는 체결나사는 양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나사체결파이프의 체결슬롯에 삽입되어 이동 및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을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
  7. 제 5항에 있어서,
    결합판의 나사체결판은 체결나사의 나사머리와 접촉되는 부분과 나사체결파이프의 나사삽입부의 단턱에 접촉되는 부분 양측으로 돌출되는 수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을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
  8. 고밀도 EPS패널이 반원형상으로 적층되고, 적층된 패널들이 서로 분리되지 않게 결합되어 돔 또는 터널 형상으로 제작되는 조립식 하우스에 있어서,
    상단과 일측 측면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하단과 타측 측면에는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하좌우의 외부 단부와 인접한 곳에는 외부표면에서 내부표면으로 관통하고 양 단부에는 나사삽입부가 형성된 나사체결파이프가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측면의 결합홈 부분으로 관통되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중공부의 내부에는 경량콘크리트블럭이 형성된 고밀도 EPS패널과,
    고밀도 EPS패널들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고밀도 EPS패널의 외부에 접하는 평행판과, 평행판의 양단에서 파이프의 나사삽입부로 삽입되며 단부에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L'자 모양으로 절곡형성된 나사체결판으로 형성된 결합판과,
    고밀도 EPS패널의 나사체결파이프에 삽입되고, 나사체결판을 나사체결파이프의 나사삽입부에 고정시켜 고밀도 EPS패널들이 서로 고정되게 하는 체결나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을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9. 제 8항에 있어서,
    나사체결파이프는 일측에서 내부 중앙까지 직선방향으로 삽입슬롯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삽입슬롯과 'T'자 모양으로 직각을 이루는 체결슬롯이 형성되며,
    나사체결파이프에 삽입되는 체결나사는 양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중앙의 측면에는 나사체결파이프의 체결슬롯에 삽입되어 이동 및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을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KR1020140062182A 2014-05-23 2014-05-23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eps)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및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 KR101618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182A KR101618341B1 (ko) 2014-05-23 2014-05-23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eps)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및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182A KR101618341B1 (ko) 2014-05-23 2014-05-23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eps)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및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846A true KR20150134846A (ko) 2015-12-02
KR101618341B1 KR101618341B1 (ko) 2016-05-04

Family

ID=54883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182A KR101618341B1 (ko) 2014-05-23 2014-05-23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eps)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및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3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90784A (zh) * 2017-06-05 2017-08-25 赣州市航发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新型水泥涵道
CN111088853A (zh) * 2019-12-31 2020-05-01 中山大学 可快速装拆的复合材料穹顶屋
KR20210022927A (ko) * 2019-08-21 2021-03-04 김재성 돔 부재를 이용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7441A (ko) 2021-03-11 2022-09-20 장세웅 경량빔 프레임을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KR102536953B1 (ko) 2021-03-11 2023-05-26 장세웅 체결장치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KR102561911B1 (ko) 2021-06-17 2023-08-01 주식회사 승신건설 폴리우레아가 도포된 유리섬유 강화형 조립식 하우스
KR102542221B1 (ko) 2021-06-23 2023-06-23 주식회사 승신건설 조립식 하우스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133Y1 (ko) * 2003-03-21 2003-06-25 배영진 건축용 조립판넬의 구조
KR200437459Y1 (ko) * 2007-01-15 2007-12-03 (주)비아엔지니어링 차음성능이 우수한 경량 콘크리트 패널의 연결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90784A (zh) * 2017-06-05 2017-08-25 赣州市航发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新型水泥涵道
KR20210022927A (ko) * 2019-08-21 2021-03-04 김재성 돔 부재를 이용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 및 그 시공방법
CN111088853A (zh) * 2019-12-31 2020-05-01 中山大学 可快速装拆的复合材料穹顶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341B1 (ko) 201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341B1 (ko)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eps)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및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
JP4903860B2 (ja) 組立て式仕切り構造
KR101177916B1 (ko) 돔형 구조물
US20140250819A1 (en) Wall building system and method
JP5854320B2 (ja) 隣地空無し外断熱石貼りrc建築工法
US20100199586A1 (en) Insulation system for cement walls
KR101910173B1 (ko) 조립식 모듈, 조립식 주택 및 조립식 주택 시공방법.
KR101663035B1 (ko) 큐브형태의 블럭을 이용한 자가 조립형 주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11880B1 (ko)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의 제작방법
KR102159837B1 (ko) 건축용 불연성 클램프
KR20180011629A (ko) 조립식 벽체 및 조립식 벽체를 이용한 건축 방법
KR20090046140A (ko) 단위구조체로 이루어진 조립식 한옥
KR101681848B1 (ko) 고효율 모듈러 하우스용 조립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하우스 시공 방법
JP2006029024A (ja) ユニットルームのコーナー支柱及びこのコーナー支柱を用いた壁パネル接続構造
KR101792193B1 (ko) 하우스 시공방법
KR20130051177A (ko) 조립식 단위벽체틀을 위한 문틀프레임
KR100933040B1 (ko) 조립식 결합구조를 이용한 건축물
KR102036415B1 (ko) 외부가 비정형 곡률인 건축물의 곡면형성을 위한 면 및 점 제어 방법
KR100444155B1 (ko) 구형 조립식건축물 및 그 건축방법
JP2007247395A (ja) 外断熱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体の製造法
KR20150119829A (ko) 일체형 돔 구조물 및 축조 방법
JP2006183440A (ja) 壁パネル接続構造及びユニットルーム
US8511017B2 (en) Interlocking building system
AU2014100553A4 (en) A method
RU2525459C2 (ru) Блок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