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4095A -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4095A
KR20150134095A KR1020140060987A KR20140060987A KR20150134095A KR 20150134095 A KR20150134095 A KR 20150134095A KR 1020140060987 A KR1020140060987 A KR 1020140060987A KR 20140060987 A KR20140060987 A KR 20140060987A KR 20150134095 A KR20150134095 A KR 20150134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etection unit
unit
infrared
fire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0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7683B1 (ko
Inventor
정동영
정광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디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디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디글로벌
Priority to KR1020140060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683B1/ko
Publication of KR20150134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5Display details
    • G08B5/226Display details with alphanumeric or graphic display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에 감시창이 있는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적외선 감지센서나 자외선 감지센서 또는 적외선 및 자외선 감지센서를 통해 화재시 발생하는 화염으로부터 적외선이나 자외선 또는 적외선 및 자외선 영역에 해당하는 파장을 감지한 후 이를 신호증폭회로를 통해 증폭시켜 화재파장 DB와 비교해 화재를 감지하는 제1화재 감지부;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열화상 이미지화한 후 온도분포도로 출력해 화재온도분포 DB의 화재시 해당 색상 픽셀수와 비교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제2화재 감지부; 상기 제1화재 감지부 및 제2화재 감지부에서 모두 화재라 판별될 때에만 화재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불꽃감지기에 의한 화재판별 알고리즘 및 영상에 의한 화재판별 알고리즘을 융합해 다차원적으로 화재요인을 분석하여 정확한 화재판별을 할 수 있는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Multi-dimensional fire sensing system}
본 발명은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불꽃감지기에 의한 화재판별 알고리즘 및 영상에 의한 화재판별 알고리즘을 융합해 다차원적으로 화재요인을 분석하여 정확한 화재판별을 할 수 있는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70120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외선 감지센서 및 적외선 감지센서가 내장되어 화재 발생시 불꽃의 자외선과 적외선 파장을 감지하는 불꽃감지장치의 구조이다.
이러한 기존의 불꽃감지기는 전자파 또는 온열기에서 발생하는 적외선에 오동작할 우려가 있으며 불꽃감지시 화재 초기의 적절한 대처를 위한 현장 상황 정보제공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불꽃감지기는 분진이나 먼지 등에 의해 감시창이 오염되면 화재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 및 적외선 파장이 감시창을 제대로 통과하지 못해 화재감지성능이 급격히 감소되는 위험이 있고, 이를 해결하고자 감지기 내부에서 투과창을 향해 적외선파장을 발생시켜 반사되는 적외선 파장량을 수광하여 오염 정도를 분석하였으나 이는 정확한 오염의 정도를 직접 확인할 수는 없고 간접적인 자료를 분석하여 오염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기 때문에 오염감시에 한계가 존재하게 된다.
또한, CCTV영상 기반의 화재감지방법은 화재감지 정확도가 낮고 오작동이 자주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화재 특성별 막대한 데이터가 필요하며 색상, 밝기, 움직임, 패턴, 연기 등 화재의 외형적 특성만을 화재발생요인 분석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외부환경에 의한 오작동이 잦다는 문제점도 있다. 예를 들면 움직임이 많은 장소에서나 불꽃의 변화량이 적은 가솔린 및 목재 화재시, 그리고 빠르게 움직이는 연기가 발생할 시에는 화재감지 성능이 현격히 저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불꽃감지기에 의한 화재판별 알고리즘 및 영상에 의한 화재판별 알고리즘을 융합해 다차원적으로 화재요인을 분석해 정확한 화재판별을 할 수 있는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시창의 오염상태를 카메라를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재원인 분석, 화재위치 파악, 화재 확산 예측, 감지기 오작동 분석을 정확하게 할 수 있고, 화재 알람시 즉각적으로 현장상황 파악이 가능하여 적절한 화재진압 방법을 찾을 수 있는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불꽃감지기의 광학, 전기전자기술과 영상기술을 복합적으로 이용해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감지 성능이 극대화되고 화재 발생 후, 신속하고 적절한 대처가 가능한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반영상과 화재 영상을 자동으로 구분 저장하여 관리 및 유지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화재발생 후 손쉽게 화재 영상을 검색 없이 찾을 수 있는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재감지시 관리자에게 자동으로 문자 및 화재 동영상을 전송하여 무인상태일 때도 항상 화재 감시 및 관리가 가능한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는, 전면에 감시창이 있는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적외선 감지센서나 자외선 감지센서 또는 적외선 및 자외선 감지센서를 통해 화재시 발생하는 화염으로부터 적외선이나 자외선 또는 적외선 및 자외선 영역에 해당하는 파장을 감지한 후 이를 신호증폭회로를 통해 증폭시켜 화재파장 DB와 비교해 화재를 감지하는 제1화재 감지부;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열화상 이미지화한 후 온도분포도로 출력해 화재온도분포 DB의 화재시 해당 색상 픽셀수와 비교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제2화재 감지부; 상기 제1화재 감지부 및 제2화재 감지부에서 모두 화재라 판별될 때에만 화재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는, 상기 제1화재 감지부 또는 제2화재 감지부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감시창 내부에 형성된 가시광선 카메라를 통해 불꽃이나 연기의 움직임 같은 화재의 외형적 특징을 촬영해 화재 외형적 특성 DB와 비교해 화재를 감지하거나, 주기적으로 작동되어 상기 감시창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제3화재 감지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감시창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오염물질제거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화재 감지부에서는 화재를 감지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2화재 감지부에서는 화재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3화재 감지부를 통해 감시창의 오염도를 감지하여 감시창이 투명하다면 상기 제1차 감지부에 오류가 발생한 것이므로 화재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관리자에게 상기 제1차 감지부의 오류를 알리며, 상기 감시창이 오염되었다면 화재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오염물질제거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화재 감지부에서는 화재를 감지하였지만 상기 제2화재 감지부에서는 화재를 감지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3화재 감지부를 통해 촬영된 불꽃이나 연기의 움직임 같은 화재의 외형적 특징을 화재 외형적 특성 DB와 비교하여 화재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화재 감지부 및 제3화재 감지부에서 촬영된 영상은 일반영상과 화재영상을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화재 감지시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자동으로 문자 및 화재 동영상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화재 감지부와 제2화재 감지부에서 모두 화재라 판별될 때에만 화재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1모드, 상기 제1화재 감지부만 작동시켜 제1화재 감지부에서 화재라 판별될 때 화재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2모드, 상기 제2화재 감지부만 작동시켜 제2화재 감지부에서 화재라 판별될 때 화재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3모드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1모드, 제2모드, 제3모드 중에서 선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경고 메시지를 주의, 경보, 화재의 3단계로 나누고, 상기 적외선 카메라 또는 가시광선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화재판별 요소인 화재시 해당 색상의 픽셀수 또는 불꽃이나 연기의 움직임 패턴과 상기 화재온도분포 DB 또는 화재 외형적 특성 DB의 차이 정도를 상기 3단계에 따라 나누어 설정하는 화재민감도 설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 카메라 또는 가시광선 카메라에서 화재로 감지되는 영역을 자동으로 찾아 초점을 두는 포커싱 동작이나 화재 화면을 중앙에 자동으로 위치시키는 트래킹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카메라 구동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불꽃감지기에 의한 화재판별 알고리즘 및 영상에 의한 화재판별 알고리즘을 융합해 다차원적으로 화재요인을 분석하여 정확한 화재판별을 할 수 있는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감시창의 오염상태를 카메라를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원인 분석, 화재위치 파악, 화재 확산 예측, 감지기 오작동 분석을 정확하게 할 수 있고, 화재 알람시 즉각적으로 현장상황 파악이 가능하여 적절한 화재진압 방법을 찾을 수 있는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불꽃감지기의 광학, 전기전자기술과 영상기술을 복합적으로 이용해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감지 성능이 극대화되고 화재 발생 후, 신속하고 적절한 대처가 가능한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영상과 화재 영상을 자동으로 구분 저장하여 관리 및 유지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화재발생 후 손쉽게 화재 영상을 검색 없이 찾을 수 있는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감지시 관리자에게 자동으로 문자 및 화재 동영상을 전송하여 무인상태일 때도 항상 화재 감시 및 관리가 가능한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 케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화재 감지부의 블록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화재 감지부의 블록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3화재 감지부의 블록도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재판별부의 블록도이다.
도 4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재 DB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100)의 케이스(150)는 전면에 감시창(15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적외선 감지센서(111)나 자외선 감지센서(112) 중 한 가지만 형성되거나 두 가지 모두 형성되고, 적외선 카메라(121) 및 가시광선 카메라(131)가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100)은 제1화재 감지부(110), 제2화재 감지부(12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화재 감지부(110)는 적외선 감지센서(111), 자외선 감지센서(112) 신호증폭회로(113) 및 파장 비교부(114)를 포함한다.
적외선 감지센서(111) 및 자외선 감지센서(112)는 전면에 감시창(151)이 있는 케이스(150) 내부에 설치되고, 화재시 발생하는 화염으로부터 적외선 및 자외선 영역에 해당하는 파장을 감지한다.
신호증폭회로(113)는 상기 적외선 감지센서(111) 및 자외선 감지센서(112)로부터 감지된 파장을 증폭시켜 구형파로 변환시킨다.
파장 비교부(114)는 상기 신호증폭회로(113)에서 구형파로 변환된 파장을 입력받아 화재파장 DB(141a)의 화재시 파장 패턴과 비교하여 화재를 감지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2화재 감지부(120)는 적외선 카메라(121), 열화상 이미지 변환부(122) 및 온도분포 비교부(123)를 포함한다.
적외선 카메라(121)는 상기 케이스(150) 내부에 설치되고 항상 감시구역의 적외선 영상을 촬영한다.
열화상 이미지 변환부(122)는 상기 적외선 카메라(121)에서 촬영된 적외선 영상을 영화상 이미지화한 후 온도분포도로 출력한다.
온도분포 비교부(123)는 상기 온도분포도와 화재온도분포 DB(141b)의 화재시 해당 색상 픽셀수와 비교하여 화재를 감지한다.
제어부(140)는 화재 DB(141), 화재판별부(142)를 포함한다.
도 4e를 참조하면, 화재 DB(141)는 화재파장 DB(141a), 화재온도분포 DB(141b) 및 화재 외형적 특성 DB(141c)를 포함한다.
화재판별부(142)는 상기 제1화재 감지부(110) 및 제2화재 감지부(120)에서 모두 화재라 판별될 때에만 화재경고 메시지 출력부(144)를 통해 화재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때 화재경고 메시지는 경고음 또는 경고등 등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 출력부(144)는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자동으로 문자 및 화재 동영상을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제1화재 감지부(110)에서는 화재를 감지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2화재 감지부(120)에서만 화재를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제3화재 감지부(130)를 통해 감시창(151)의 오염도를 감지하여 감시창(151)이 투명하다면 상기 제1차 감지부(110)에 오류가 발생한 것이므로 화재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관리자에게 상기 제1차 감지부(110)의 오류를 알리며, 상기 감시창(151)이 오염되어 있다면 화재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오염물질제거부(152)를 작동시킨다.
상기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100)은 제3화재 감지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제3화재 감지부(130)는 가시광선 카메라(131), 외형적 특성 비교부(132) 및 감시창 오염도 관측부(133)를 포함한다.
가시광선 카메라(131)는 상기 케이스(15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화재 감지부(110) 또는 제2화재 감지부(120)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작동을 시작해 감지구역의 불꽃이나 연기의 움직임 같은 화재의 외형적 특성을 촬영한다.
외형적 특성 비교부(132)는 상기 가시광선 카메라(131)에 의해 촬영된 화재의 외형적 특성을 화재 외형적 특성 DB(141c)의 비교하여 화재를 감지한다.
감시창 오염도 관측부(133)는 상기 가시광선 카메라(131)를 주기적으로 작동시켜 상기 감시창(151)의 오염도를 감지한다.
상기 제1화재 감지부(110)에서는 화재를 감지하였지만 상기 제2화재 감지부(120)에서는 화재를 감지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3화재 감지부(130)를 통해 촬영된 불꽃이나 연기의 움직임 같은 화재의 외형적 특징을 화재 외형적 특성 DB(141c)와 비교하여 화재를 판단한다.
상기 케이스(150)는 오염물질제거부(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오염물질제거부(152)는 상기 케이스(150)의 외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140)에 형성된 오염물질제거부 구동부(147)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감시창(151)의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오염물질제거부(152)는 감시창(151)으로 압축공기를 불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압축공기 발생장치 또는 회전하면서 감시창(151)을 청소하는 브러쉬 또는 물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물 공급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영상 저장부(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저장부(143)는 일반영상 저장부(143a) 및 화재영상 저장부(143b)를 포함하여 상기 제2화재감지부(120) 및 제3화재감지부(130)에서 촬영된 영상을 일반영상과 화재영상으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화재민감도 설정부(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재민감도 설정부(145)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경고 메시지를 주의, 경보, 화재의 3단계로 나누고, 상기 적외선 카메라(121) 또는 가시광선 카메라(131)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화재판별 요소인 화재시 해당 색상의 픽셀수 또는 불꽃이나 연기의 움직임 패턴과 상기 화재온도분포 DB(141b) 또는 화재 외형적 특성 DB(141c)의 차이 정도를 상기 3단계에 따라 나누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카메라 구동부(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구동부(146)는 상기 적외선 카메라(121) 또는 가시광선 카메라(131)에서 화재로 감지되는 영역을 자동으로 찾아 초점을 두는 포커싱 동작이나 화재 화면을 중앙에 자동으로 위치시키는 트래킹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 화재판별부(142)는 제1모드(142a), 제2모드(142b) 및 제3모드(14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모드(142a)는 상기 제1화재 감지부(110)와 제2화재 감지부(120)에서 모두 화재라 판별될 때에만 화재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
제2모드(142b)는 상기 제1화재 감지부(110)만 작동시켜 제1화재 감지부(110)에서 화재라 판별될 때 화재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
제3모드(142c)는 상기 제2화재 감지부(120)만 작동시켜 제2화재 감지부(120)에서 화재라 판별될 때 화재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
사용자는 상기 제1모드(142a), 제2모드(142b) 및 제3모드(142c) 중 선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다차원 화재감지기
110 제1화재 감지부
111 적외선 감지센서 112 자외선 감지센서
113 신호증폭회로 114 파장 비교부
120 제2화재 감지부
121 적외선 카메라 122 열화상 이미지 변환부
123 온도분포 비교부
130 제3화재 감지부
131 가시광선 카메라 132 외형적 특성 비교부
133 감시창 오염도 관측부
140 제어부
141 화재 DB 141a 화재파장 DB
141b 화재온도분포 DB 141c 화재 외형적 특성 DB
142 화재판별부 142a 제1모드
142b 제2모드 142c 제3모드
143 영상저장부 143a 일반영상 저장부 143b 화재영상 저장부
144 화재 경고메시지 출력부
145 화재민감도 설정부
146 카메라 구동부
147 오염물질제거부 구동부
150 케이스
151 감시창
152 오염물질제거부

Claims (10)

  1. 전면에 감시창이 있는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적외선 감지센서나 자외선 감지센서 또는 적외선 및 자외선 감지센서를 통해 화재시 발생하는 화염으로부터 적외선이나 자외선 또는 적외선 및 자외선 영역에 해당하는 파장을 감지한 후 이를 신호증폭회로를 통해 증폭시켜 화재파장 DB와 비교해 화재를 감지하는 제1화재 감지부;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열화상 이미지화한 후 온도분포도로 출력해 화재온도분포 DB의 화재시 해당 색상 픽셀수와 비교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제2화재 감지부;
    상기 제1화재 감지부 및 제2화재 감지부에서 모두 화재라 판별될 때에만 화재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재 감지부 또는 제2화재 감지부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감시창 내부에 형성된 가시광선 카메라를 통해 불꽃이나 연기의 움직임 같은 화재의 외형적 특징을 촬영해 화재 외형적 특성 DB와 비교해 화재를 감지하거나, 주기적으로 작동되어 상기 감시창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제3화재 감지부; 를 더 포함하는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감시창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오염물질제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재 감지부에서는 화재를 감지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2화재 감지부에서는 화재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3화재 감지부를 통해 감시창의 오염도를 감지하여 감시창이 투명하다면 상기 제1차 감지부에 오류가 발생한 것이므로 화재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관리자에게 상기 제1차 감지부의 오류를 알리며, 상기 감시창이 오염되었다면 화재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오염물질제거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재 감지부에서는 화재를 감지하였지만 상기 제2화재 감지부에서는 화재를 감지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3화재 감지부를 통해 촬영된 불꽃이나 연기의 움직임 같은 화재의 외형적 특징을 화재 외형적 특성 DB와 비교하여 화재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화재 감지부 및 제3화재 감지부에서 촬영된 영상은 일반영상과 화재영상을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화재 감지시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자동으로 문자 및 화재 동영상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화재 감지부와 제2화재 감지부에서 모두 화재라 판별될 때에만 화재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1모드, 상기 제1화재 감지부만 작동시켜 제1화재 감지부에서 화재라 판별될 때 화재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2모드, 상기 제2화재 감지부만 작동시켜 제2화재 감지부에서 화재라 판별될 때 화재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3모드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1모드, 제2모드, 제3모드 중에서 선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경고 메시지를 주의, 경보, 화재의 3단계로 나누고, 상기 적외선 카메라 또는 가시광선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화재판별 요소인 화재시 해당 색상의 픽셀수 또는 불꽃이나 연기의 움직임 패턴과 상기 화재온도분포 DB 또는 화재 외형적 특성 DB의 차이 정도를 상기 3단계에 따라 나누어 설정하는 화재민감도 설정부; 를 더 포함하는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 카메라 또는 가시광선 카메라에서 화재로 감지되는 영역을 자동으로 찾아 초점을 두는 포커싱 동작이나 화재 화면을 중앙에 자동으로 위치시키는 트래킹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카메라 구동부; 를 더 포함하는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
KR1020140060987A 2014-05-21 2014-05-21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 KR101607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987A KR101607683B1 (ko) 2014-05-21 2014-05-21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987A KR101607683B1 (ko) 2014-05-21 2014-05-21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095A true KR20150134095A (ko) 2015-12-01
KR101607683B1 KR101607683B1 (ko) 2016-03-30

Family

ID=54882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0987A KR101607683B1 (ko) 2014-05-21 2014-05-21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683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88344A (zh) * 2017-12-26 2018-07-17 李文清 一种高效的森林火灾预警系统
KR101979247B1 (ko) * 2018-08-09 2019-05-16 주식회사 에프에스 지능적 공간 안전 모니터링 장치 및 그 시스템
CN110097732A (zh) * 2019-05-08 2019-08-06 江西省天眼科技有限公司 一种火焰探测监控装置及其处理方法
CN111696307A (zh) * 2020-06-10 2020-09-22 深圳泽保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探测火灾的光学探测装置
KR102160591B1 (ko) * 2019-07-24 2020-09-2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 상황 감지 모델을 위한 화재 상황 생성 시스템 및 그 최적화 방법
US11270575B2 (en) 2018-12-07 2022-03-08 Carrier Corporation Method of optical alignment and verification of field of view integrity for a flame detector and system
CN115641688A (zh) * 2022-11-03 2023-01-24 中铁第一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火灾极早期探测预警报警系统及方法
KR102540812B1 (ko) * 2022-06-30 2023-06-13 주식회사 노벨테크놀로지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접속반 화재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2550377B1 (ko) * 2022-10-17 2023-07-03 주식회사 에이비스 화재 감지가 가능한 영상 감시장치
EP4328554A1 (en) * 2022-07-14 2024-02-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hermal camera and infrared sensor based flame de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067B1 (ko) * 2008-06-19 2009-10-07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자가진단형 불꽃감지기
KR101098969B1 (ko) * 2010-08-06 2011-12-28 주식회사 금륜방재산업 태양광에 연동하여 감도 자동조절되는 화재감지기
KR101148799B1 (ko) * 2011-09-21 2012-05-24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적외선 열영상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88344A (zh) * 2017-12-26 2018-07-17 李文清 一种高效的森林火灾预警系统
US10872511B2 (en) 2018-08-09 2020-12-22 FS, Inc. Intelligent space safety monitoring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EP3608888A1 (en) * 2018-08-09 2020-02-12 FS, Inc. Intelligent space safety monitoring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KR101979247B1 (ko) * 2018-08-09 2019-05-16 주식회사 에프에스 지능적 공간 안전 모니터링 장치 및 그 시스템
US11270575B2 (en) 2018-12-07 2022-03-08 Carrier Corporation Method of optical alignment and verification of field of view integrity for a flame detector and system
CN110097732A (zh) * 2019-05-08 2019-08-06 江西省天眼科技有限公司 一种火焰探测监控装置及其处理方法
KR102160591B1 (ko) * 2019-07-24 2020-09-2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 상황 감지 모델을 위한 화재 상황 생성 시스템 및 그 최적화 방법
CN111696307A (zh) * 2020-06-10 2020-09-22 深圳泽保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探测火灾的光学探测装置
KR102540812B1 (ko) * 2022-06-30 2023-06-13 주식회사 노벨테크놀로지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접속반 화재 감시 장치 및 방법
EP4328554A1 (en) * 2022-07-14 2024-02-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hermal camera and infrared sensor based flame detection
US11990017B2 (en) 2022-07-14 2024-05-2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hermal camera and infrared sensor based flame detection
KR102550377B1 (ko) * 2022-10-17 2023-07-03 주식회사 에이비스 화재 감지가 가능한 영상 감시장치
CN115641688A (zh) * 2022-11-03 2023-01-24 中铁第一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火灾极早期探测预警报警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7683B1 (ko)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7683B1 (ko) 다차원 화재감지시스템
US11326955B2 (en) Intelligent flame thermogram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infrared
US6937743B2 (en) Process and device for detecting fires based on image analysis
KR101148799B1 (ko) 적외선 열영상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방법
CN111033231A (zh) 用于量化气体泄漏的系统和方法
US8754942B2 (en)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fires and/or signs of fire
US20110058037A1 (en) Fire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fire detection
CN102708647A (zh) 图像和多波段红外紫外复合型火灾探测系统及方法
JP2019203879A (ja) 光学式気体撮像カメラ用の気体のマルチスペクトル定量・識別方法
CN104036611A (zh) 一种火灾探测报警的方法及其探测报警器
JP6250101B2 (ja) 監視カメラ
JP2007179266A (ja) 減光式煙感知器及び減光式煙感知システム
US9202115B2 (en) Even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image analysis
KR101679148B1 (ko) 깊이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시 방법
JPWO2019044898A1 (ja) ガス検知システム
JP2010256194A (ja) 侵入検知装置
JP2013207709A (ja) 監視カメラ装置
KR20140109671A (ko) 카메라의 명암 영상신호를 이용한 화염 검출방법
JP2008042652A (ja) 監視カメラ装置
KR101021058B1 (ko) 자가진단형 불꽃감지기
JP4690823B2 (ja) 火災検出装置
JP5902006B2 (ja) 監視カメラ
KR102520798B1 (ko) 열화상 상태 모니터링 센서
KR100920067B1 (ko) 자가진단형 불꽃감지기
JPH09293185A (ja) 対象検知装置および対象検知方法および対象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