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3952A - 지하매설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하매설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3952A
KR20150133952A KR1020140060620A KR20140060620A KR20150133952A KR 20150133952 A KR20150133952 A KR 20150133952A KR 1020140060620 A KR1020140060620 A KR 1020140060620A KR 20140060620 A KR20140060620 A KR 20140060620A KR 20150133952 A KR20150133952 A KR 20150133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information
dedicated pad
pad
specific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0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5739B1 (ko
Inventor
홍인식
윤상조
강병모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코위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코위드원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60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739B1/ko
Publication of KR20150133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5/00Tags attached to, or associated with, an object, in order to enable detection of the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4Display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매설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지하매설물의 특정 위치에 매설되어 지하매설물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정 형태를 갖는 전용 패드와, 전용 패드의 특정 형태 및 위치 정보를 통해 지하매설물 정보를 확인하는 탐지기로 시스템을 구성하여, 지하매설물의 특징에 대응하여 매설된 전용 패드를 탐지하고, 전용 패드의 형태를 생성하며, 전용 패드의 위치 정보로부터 지하매설물 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용 패드만을 인식하면 되므로 관리 프로그램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다양한 지하매설물에 대한 분석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전용 패드의 다양한 형태와 지하매설물의 정보를 매칭시킴으로써 단순한 형태의 변화를 다양한 정보와 연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지하매설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UNDERGROUND UTILITIES}
본 발명은 지하매설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매설물에 대응하여 매설된 전용 패드의 인식을 통해 지하매설물의 정보를 확인하는 지하매설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상하수도관, 도시가스관, 전기선로 및 통신선로 등의 산업기반시설의 대부분이 지중에 매립되고 있으며, 이에 이러한 지하매설물에 대한 관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하매설물에 대한 통일된 관리 방안이 제안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지하매설물의 파손시 위치나 상태를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적절한 대처가 어려운 실정이다. 즉, 도로를 따라 매설되는 지하매설물은 비교적 관리가 용이할 수 있으나, 지하매설물이 논, 밭 등에 매설되는 경우에는 위치 파악이 어렵고, 지하매설물의 파손이나 누수발생시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 복구하기도 어렵다.
기존 지하매설물을 탐지하는 기법으로서, 전자파나, 초음파, 초고주파 등을 전파시킨 후 매질 및 지하매설물을 통해 전파되어온 파장 변화를 탐지하는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탐지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장비를 필요로 할 뿐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지하매설물에 대한 분석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97084호(공고일 2010.11.29.)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매설물에 대응하여 매설된 전용 패드의 인식을 통해 지하매설물의 정보를 확인하는 지하매설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하매설물 관리 시스템은, 지하매설물의 특정 위치에 매설되어 상기 지하매설물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정 형태를 갖는 전용 패드; 및 상기 전용 패드의 특정 형태 및 위치 정보를 통해 지하매설물 정보를 확인하는 탐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탐지기는, 전자기장을 형성시키는 송신부; 상기 전자기장에 대응하여 상기 전용 패드로부터 생성된 특정 주파수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 모듈; 상기 특정 주파수에 대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수행하고, 상기 특정 주파수가 상기 전용 패드로부터 생성된 것인지를 확인하며, 상기 전용 패드의 형태를 분석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지하매설물 정보를 독출하는 제어부; 운용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및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데이터 처리 과정에 대한 출력이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상기 탐지기는,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지하매설물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지하매설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특정 주파수에 대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수행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상기 특정 주파수가 상기 전용 패드로부터 생성된 것인지를 확인하는 전용 패드 확인부; 상기 전용 패드의 형태(이미지)를 생성하는 형태 생성부;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하매설물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지하매설물 관리 방법은, (a) 지하매설물의 특징에 대응하여 매설된 전용 패드를 탐지하는 단계; (b) 상기 전용 패드의 형태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용 패드의 위치 정보로부터 지하매설물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a) 이전에 상기 매설된 전용 패드의 위치 정보 및 해당 지하매설물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단계 (b)는, 래스터 스캔(Raster Scan) 방식을 이용하며, 상기 탐지기의 전방진행속도, 좌우스윙폭, 상기 전용 패드로부터 생성된 특정 주파수 및 진폭을 이용하여 상기 전용 패드의 형태(이미지)를 생성한다.
상기 단계 (c)에서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지하매설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하매설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전용 패드만을 인식하면 되므로 관리 프로그램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다양한 지하매설물에 대한 분석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용 패드의 다양한 형태와 지하매설물의 정보를 매칭시킴으로써 단순한 형태의 변화를 다양한 정보와 연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탐지기의 제어회로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용 패드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매설물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베이스화된 전용 패드 정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용 패드의 형태를 생성하는 기법의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지하매설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하매설물 관리 시스템은 크게, 지하매설물의 특정 위치에 대응하여 지중에 매설되는 전용 패드(1)와, 전용 패드(1)를 탐지함과 아울러 형태(형상)를 분석하여 해당 지하매설물의 정보를 출력하는 탐지기(2)를 포함한다.
전용 패드(1)는 특정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2차원(평면) 또는 3차원(입체)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전용 패드(1)는 관리를 필요로 하는 새들분수전, 밸브 등의 위치에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용 패드(1)는 금속성 재질로 제조되며, 일례로서 알루미늄을 이용할 수 있다.
탐지기(2)는 전용 패드(1)로부터 발생된 특정 주파수를 분석함과 아울러, 전용 패드(1)의 형태를 분석하고, 전용 패드(1)의 형태로부터 지하매설물의 1차적인 정보를 확인하고, 이어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해당 위치의 지하매설물의 2차적인 정보를 확인한다. 탐지기(2)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지하매설물 관리 시스템은, 지하매설물의 특정 위치에 전용 패드(1)의 매설이 이루어지게 되며, 탐지기(2)를 이용하여 전용 패드(1)를 탐지한다. 전용 패드(1)는 탐지기(2)로부터 전파된 전자기장에 대응하여 특정 주파수를 생성하며, 이에 탐지기(2)에서는 특정 주파수에 대한 처리를 통해 전용 패드(1) 여부를 확인한다. 이어서, 탐지기(2)에서는 전용 패드(1)의 형태를 분석하여 지하매설물의 매설방향 및 종류 등을 포함하는 1차적인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망 등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위치의 지하매설물 정보를 2차적으로 확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탐지기의 제어회로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탐지기(2)는, 전자기장을 형성시키는 송신부(21)와, 전자기장에 대응하여 전용 패드(1)로부터 생성된 특정 주파수를 수신하는 수신부(22)와,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 모듈(23)과, 특정 주파수에 대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수행하고, 특정 주파수가 전용 패드(1)로부터 생성된 것인지를 확인하며, 전용 패드(1)의 형태를 분석하고,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지하매설물 정보를 요청 또는 독출하는 제어부(24)와, 특정 주파수에 대한 디지털 변환 프로그램, 전용 패드 판정 프로그램, 이미지 생성 프로그램 등을 포함하는 운용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저장이 이루어지는 메모리(25)와,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데이터 처리 과정에 대한 출력이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26)를 포함한다.
이 때, 송신부(21)는 탐지를 위한 특정 주파수(반송파)의 세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용 패드(1) 탐색시 다양한 반송파를 분석하여 지하매설물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메모리(25)에는 위치 정보에 매칭된 지하매설물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에, 본 발명에서는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지하매설물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는 통신부(27)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탐지기(2)에 통신부(27)가 마련된 경우에는 지하매설물 정보는 원격의 데이터베이스(28)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탐지기(2)는, 전용 패드(1) 탐지를 위해 송신부(21)를 통해 전자기장을 지면으로 전파하며, 이에 전용 패드(1)로부터 생성된 특정 주파수를 수신부(22)에서 수신한다. 이에 제어부(24)에서는 특정 주파수에 대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수행하고, 특정 주파수가 전용 패드(1)로부터 생성된 것인지를 확인하며, 전용 패드(1)의 형태를 분석한다. 이 때, 메모리(25)에 지하매설물 정보가 저장된 경우에는 GPS 모듈(23)로부터 생성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위치의 지하매설물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6)에 출력한다. 한편, 통신부(27)를 이용하여 지하매설물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28)로부터 해당 위치의 지하매설물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24)는, 수신부(22)를 통해 수신된 특정 주파수에 대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수행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41)와, 특정 주파수가 전용 패드(1)로부터 생성된 것인지를 확인하는 전용 패드 확인부(242)와, 전용 패드(1)의 형태(이미지)를 생성하는 형태 생성부(243)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지하매설물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부(24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어부(24)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41)에서 특정 주파수에 대한 디지털 변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한다. 이어서, 전용 패드 확인부(242)에서는 전용 패드 판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용 패드(1) 여부를 확인한다. 전용 패드(1)의 확인이 이루어지면, 형태 생성부(243)에서는 이미지 생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용 패드(1)의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후, GPS 모듈(23)로부터 생성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지하매설물 정보의 요청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용 패드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용 패드(1)는 지하매설물의 상부에 매설되게 되며, 지하매설물의 주요 위치, 즉 새들분수전, 밸브 등의 위치에 매설된다.
한편, 전용 패드(1)는 지하매설물의 주요 위치의 특징 정보를 포함하는 형태(형상)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용 패드(1)는, 정사각형, 2배긴 직사각형, 3배 긴 직사각형, 원형, 관로분배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매설시 방향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지하매설물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매설물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지하매설물의 특징에 대응하는 전용 패드(1)를 지하매설물의 특정 위치 상부에 매설한다(S1).
이어서, 매설된 전용 패드(1)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 작업이 이루어진다(S2). 일례로서 도 6과 같이 데이터베이스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추후 검색시 해당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매설되어 있는 지하매설물 정보와 시공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화에는 본 발명에서 제시한 탐지기(2)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외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장비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와 지하매설물 정보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 후, 지하매설물의 관리를 위해 탐지기(2)를 구동시켜 전용 패드(1) 근처에 이르게 되면(S3), 전용 패드(1)로부터 특정 주파수가 생성되고(S4), 이에 탐지기(2)에서 이를 감지하여 신호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특정 주파수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S5), 이 디지털 신호의 분석을 통해 해당 디지털 신호가 전용 패드(1)로부터 생성된 것인지 확인한다(S6).
전용 패드(1) 여부의 확인 결과, 전용 패드(1)가 아닐 경우에는 전용 패드 미검출 메시지를 출력하고(S7), 전용 패드(1)일 경우에는 전용 패드(1)의 형태(이미지)를 생성한다(S8). 전용 패드(1) 이미지의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지하매설물의 종류 및 설치 방향을 등을 1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구체적인 지하매설물 정보는, 위치 정보를 통해 자체적으로 마련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지하매설물 정보를 독출하거나, 통신망을 통해 지하매설물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한다(S9).
여기서, 전용 패드(1) 탐지시, GPS 모듈(23)로부터 생성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 데이터베이스화된 전용 패드(1)들의 위치 정보를 출력시키도록 함으로써, 탐지기(2) 구동시 주변에 매설된 전용 패드(1)를 디스플레이부(26)에 출력시켜 초기 작업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작업 범위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용 패드의 형태를 생성하는 기법의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용 패드(1)의 확인이 이루어지면, 래스터 스캔(Raster Scan) 방식을 이용하여 전용 패드(1)의 이미지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래스터 스캔 방식은, 탐지기(2)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직교방향으로 스캔이 이루어진다. 즉, 탐지기(2)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행해지는 좌우스윙에 대응하여 스캔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좌우스윙에 상관없이 자체 스캔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때, 탐지기(2)의 좌우스윙폭과 디스플레이부(26)의 화면폭을 고려하여 비율변환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최종적으로 비율변환에 따라 생성된 각 라인의 스팟(Spot)들을 연결하여 전용 패드(1)의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에 탐지기(2)의 전방진행속도, 좌우스윙폭, 감지된 특정 주파수 및 진폭을 이용하여 최종 전용 패드(1)의 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탐지기(2)의 통신부(27) 및 디스플레이부(26)를 연동하여 전용 패드(1)로부터 지하매설물 정보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스마트폰, 전용단말 등을 포함하는 이동단말을 연계시켜 지하매설물 정보를 실시간 확인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몇 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1 : 전용 패드 2 : 탐지기
21 : 송신부 22 : 수신부
23 : GPS 모듈 24 : 제어부
241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242 : 전용 패드 확인부
243 : 형태 생성부 244 : 정보 요청부
25 : 메모리 26 : 디스플레이부
27 : 통신부 28 : 데이터베이스

Claims (8)

  1. 지하매설물의 특정 위치에 매설되어 상기 지하매설물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정 형태를 갖는 전용 패드; 및
    상기 전용 패드의 특정 형태 및 위치 정보를 통해 지하매설물 정보를 확인하는 탐지기를 포함하는 지하매설물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지기는,
    전자기장을 형성시키는 송신부;
    상기 전자기장에 대응하여 상기 전용 패드로부터 생성된 특정 주파수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 모듈;
    상기 특정 주파수에 대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수행하고, 상기 특정 주파수가 상기 전용 패드로부터 생성된 것인지를 확인하며, 상기 전용 패드의 형태를 분석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지하매설물 정보를 독출하는 제어부;
    운용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및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데이터 처리 과정에 대한 출력이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지하매설물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탐지기는,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지하매설물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지하매설물 정보를 수신하는 지하매설물 관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특정 주파수에 대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수행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상기 특정 주파수가 상기 전용 패드로부터 생성된 것인지를 확인하는 전용 패드 확인부;
    상기 전용 패드의 형태(이미지)를 생성하는 형태 생성부;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하매설물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부를 포함하는 지하매설물 관리 시스템.
  5. (a) 지하매설물의 특징에 대응하여 매설된 전용 패드를 탐지하는 단계;
    (b) 상기 전용 패드의 형태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용 패드의 위치 정보로부터 지하매설물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하매설물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이전에 상기 매설된 전용 패드의 위치 정보 및 해당 지하매설물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하매설물 관리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래스터 스캔(Raster Scan) 방식을 이용하며,
    상기 탐지기의 전방진행속도, 좌우스윙폭, 상기 전용 패드로부터 생성된 특정 주파수 및 진폭을 이용하여 상기 전용 패드의 형태(이미지)를 생성하는 지하매설물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지하매설물 정보를 수신하는 지하매설물 관리 시스템.
KR1020140060620A 2014-05-20 2014-05-20 지하매설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75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620A KR101575739B1 (ko) 2014-05-20 2014-05-20 지하매설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620A KR101575739B1 (ko) 2014-05-20 2014-05-20 지하매설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952A true KR20150133952A (ko) 2015-12-01
KR101575739B1 KR101575739B1 (ko) 2015-12-11

Family

ID=54882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0620A KR101575739B1 (ko) 2014-05-20 2014-05-20 지하매설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57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869B1 (ko) * 2020-07-06 2021-03-10 주식회사 에너솔라 배관 탐지수단
KR102322701B1 (ko) * 2021-04-07 2021-11-09 주식회사 지아이에스21 Uf코드패드부와 지하시설물 측정용 ai로봇모듈을 통한 현장지능형 지하시설물 안전관리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606B1 (ko) * 2018-12-28 2019-06-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이프라인 상태 탐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206Y1 (ko) * 2004-06-25 2004-09-07 아람테크 주식회사 지하 시설물 탐색 시스템
KR101321596B1 (ko) * 2013-08-13 2013-10-28 (주)건양엔지니어링 태블릿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현장정보 관리 시스템의 운용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869B1 (ko) * 2020-07-06 2021-03-10 주식회사 에너솔라 배관 탐지수단
KR102322701B1 (ko) * 2021-04-07 2021-11-09 주식회사 지아이에스21 Uf코드패드부와 지하시설물 측정용 ai로봇모듈을 통한 현장지능형 지하시설물 안전관리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5739B1 (ko) 201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4851B1 (en) Electronic marker devices and systems
US11073632B1 (en) Locat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ing frequency suites for utility detection
CN101526626B (zh) 一种探测载流导体的探测装置及对其探测操作的验证方法
CN105276381A (zh) 用于使传感器同步以进行信号检测的系统、方法及设备
US20110181289A1 (en) Locator assembly for detecting, locating and identifying buried objects and method of use
Dziadak et al. Model for the 3D location of buried assets based on RFID technology
US201900042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ally marking, locating and virtually displaying buried utilities
US20190383619A1 (en) Magnetic positioning system
CN104239922A (zh) 基于射频识别技术的管线标识与实时测深系统
KR101602358B1 (ko) 지아이에스 기반 지하시설물 위치정보 제공시스템
KR102162818B1 (ko) 영상장치를 이용한 실시간 지하시설물 시공측량 방법 및 이에 기반한 지하시설물 수치도면 제작 장치
WO2011118947A2 (ko)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 및 그 정보 처리 방법
KR101575739B1 (ko) 지하매설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7748390A (zh) 一种电缆检测方法及系统
KR101388131B1 (ko) 전기장을 이용한 지하매설 상하수도관의 위치 측정 장치
KR102336715B1 (ko) 누수 여부 탐지 시스템
JPH11109044A (ja) 閉鎖領域内の公益輸送手段の位置を発見する方法と装置
KR102322701B1 (ko) Uf코드패드부와 지하시설물 측정용 ai로봇모듈을 통한 현장지능형 지하시설물 안전관리장치 및 방법
CN115248454A (zh) 一种基于电子标识器的地下管道定位系统及方法
KR20210103436A (ko) 전파를 이용한 지중선 및 매설배관 탐지 장치 및 방법
JP2005526970A (ja) 過渡的な渦電流を誘導しかつ測定することによって、媒体に埋込まれた物体の位置を特定するための時間領域誘導方法および装置
KR102275063B1 (ko) 누수 여부 탐지 시스템
Karaa et al. Decision analysis of preferred methods for locating underground conduits
CN218938521U (zh) 一种地下电性源金属管线探测装置
KR101857131B1 (ko) 감시자산 위치 추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