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3917A - Hot grill for roasting - Google Patents

Hot grill for roas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3917A
KR20150133917A KR1020140060427A KR20140060427A KR20150133917A KR 20150133917 A KR20150133917 A KR 20150133917A KR 1020140060427 A KR1020140060427 A KR 1020140060427A KR 20140060427 A KR20140060427 A KR 20140060427A KR 20150133917 A KR20150133917 A KR 20150133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meat
discharge
plate
ro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04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20485B1 (en
Inventor
전동인
배진호
Original Assignee
일신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신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신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0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485B1/en
Publication of KR20150133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9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4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sting grill. More specifically, a roasting grill comprises: a grill made of a metal material; a roasting part formed to protrude upward in order for meat to be placed on the grill; and a discharging part formed to be recessed downward in order for oil generated from the meat placed on the roasting part to be collected and discharged. The roasting part includes: one or more protrusion parts which are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ill, and are repeatedly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distance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grill; and one or more penetration grooves which are positioned at the spaced distance between the protrusion parts, and are formed to penetr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ill. Therefore, the roasting grill is capable of: preventing meat or the like from being burned as heat is uniformly transmitted in the process of grilling meat by using a heat source such as roasting charcoal or a gas burner; enabling quick cooking by directly transmitting heat to the meat while allowing the meat to be saturated with the flavor transferred from charcoal; and facilitating the discharge of oil generated from the meat and enabling smooth cooking of vegetables, kimchi, etc.

Description

구이용 불판{HOT GRILL FOR ROASTING}{HOT GRILL FOR ROASTING}

본 발명은 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이용 숯불 또는 가스 버너 등의 열원을 이용하여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열이 고르게 전달되어 고기 등이 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기에서 발생된 기름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며, 야채 및 김치 등의 조리를 원활히 할 수 있는 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ill for grilling,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grill for grilling,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a phenomenon in which meat is roasted using a heat source such as a charcoal grill or a gas burner,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oil, and to facilitate the cooking of vegetables, kimchi,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구이용 불판은 숯불 또는 가스 버너 등의 상부에 안착시켜 고기와 야채 등 각종 식재료를 조리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Generally, baking pan is placed on top of charcoal or gas burner to cook various kinds of food such as meat and vegetables.

이와 같은 구이용 불판의 종류 또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기름기가 많은 고기를 불에 직접 구워서 섭취하는 것을 선호하는 한국인의 성향상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많은 기름이 발생하게 되며, 이를 적절히 배출하면서도 고기가 타지 않도록 하고 또한 고기와 더불어 각종 야채 및 김치 등을 익혀서 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많은 구이용 불판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었다.These types of baking dish are also used in a variety of ways. In the process of baking the meat of a Korean who prefer to consume oily baked meat directly to the fire, a lot of oil will be produced. In addition, a lot of grilling banners were used to cook meat and various vegetables and kimchi.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5957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833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59558호 등을 참조하면, 종래 사용되던 구이용 불판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각종 식재료를 가열하는 불판 및 상기 불판에서 낙하하는 기름을 모으기 위한 수집부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불판에 경사를 주거나 또는 홈을 뚫어 고기에서 발생되는 기름을 보다 쉽게 모이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For example, referring to Korean Utility Model No. 20-2008-0005957,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10-0008334, and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0059558, etc., conventionally used baking board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a collecting part for collecting oil falling from the blanket, and the like, and it is general that the blanket is inclined or punched to more easily collect the oil generated from the meat.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불판에서 고기를 익히다보면 불판 표면의 많은 면적에 고기가 눌려 붙거나 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심한 연기발생과 더불어 새로운 불판으로 수시로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교체된 불판을 세척하는데 많은 시간, 비용 및 노동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meat is ripened from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bullfighting, there are inconveniences that the meat is pressed or burned over a large area of the bullfighting surface, and it is inconvenient to replace it frequently with a new bullfight along with generation of severe smoke. There is a problem that much time, cost, and labor are required.

또한, 종래 사용되던 구이용 불판은 숯불 또는 가스 버너 등에서 전달되는 열기가 불판을 1차적으로 가열한 후 달구어진 불판 위에 고기 및 식재료 등을 올려놓아 2차적으로 익히는 방식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불판을 가열하기 위한 시간이 오래 소요될 뿐만 아니라, 불판 외곽으로 빠져나가는 열기 등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baking dish used in the past is mostly cooked by heating the baking dish firstly heated by charcoal or gas burner, and then placing meat and ingredients on the baking dish, Not only takes a long time but also has a problem of unnecessary waste such as heat exiting to the outside of the fire plate.

뿐만 아니라, 종래 사용되던 불판 중에는 불판 상에 별도의 야채 및 김치를 익히기 위한 공간이 나누어져 있지 않아 불판 위에서 고기를 익히는 것과 동시에 야채 및 김치 등을 올려놓아 같이 굽는 과정에서 양념이 타거나 불판에 눌러붙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고, 또한 고기에서 발생된 기름기가 야채 및 김치 등에 너무 많이 고이거나 또는 아예 닿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면서 적절한 조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the space for cooking vegetables and kimchi on the plate is not divided among the plate which is used conventionally, and the meat is cooked on the plate and the vegetables and kimchi are placed on the plate, And the grease produced in the meat is too much or too little to be applied to vegetables and kimchi,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proper cooking can not be performed.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이용 숯불 또는 가스 버너 등의 열원을 이용하여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열이 고르게 전달되어 고기 등이 타는 현상을 방지하고, 직접적으로 열이 전달되어 빠른 조리가 가능함과 동시에 숯불에서 전달되는 향이 고기에 배일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기에서 발생된 기름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고 야채 및 김치 등의 조리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king device and a cooking device which prevent heat from being transmitted through a heat source, such as a charcoal grill or a gas burner, It is possible to cook quickly and at the same time, the flavor delivered from the charcoal can be fed to the meat, facilitating the discharge of oil generated from the meat, and facilitating the cooking of vegetables and kimchi.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구이용 불판의 구성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불판; 상기 불판에 고기가 놓여지도록 상부를 항하여 돌출 형성된 구이부; 및 상기 구이부에 놓여진 고기에서 발생된 기름을 모아 배출하도록 하부를 향하여 함몰 형성된 배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구이부는, 상기 불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상기 불판의 너비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채로 반복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이격된 거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불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rill pan, comprising: a pan made of a metal; A roughened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top so that the meat is placed on the top plate; And a discharge portion formed downward to collect and discharge the oil generated from the meat placed on the roasting portion; Wherein the roughening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projecting portion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rcelain plate and repeatedly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breadth direction of the porcelain plate; And at least one through-hole located between the spaced distances of the protrusions and formed to penetr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ll plate; And a control unit.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불판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구이부에 놓여진 고기에서 발생된 기름을 상기 불판의 하부로 배출하는 기름 배출홈; 상기 기름 배출홈으로 흐르는 기름을 상기 불판의 외부로 배출하는 동시에 상기 불판의 측면으로 기름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기름 낙하 포인트; 상기 불판의 상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상기 기름 배출홈을 중심으로 하여 원형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채로 반복 형성된 하나 이상의 부채꼴 돌출산; 상기 부채꼴 돌출산의 이격된 거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구이부에서 전달된 기름을 상기 기름 배출홈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배출 유도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charge portion may include an oil discharge groove formed at an end of the discharge plate and discharging oil generated from the meat placed on the discharge portion to a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plate; An oil dropping point for discharging oil flowing into the oil discharge groove to the outside of the hotplate and preventing oil from leaking to the side of the hotplate; At least one fan-shaped stone projection protruding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flat plate and repeatedly formed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circular shape around the oil discharge groove; A discharge inducing portion located between the spaced distances of the fan-shaped protrusions and guiding the oil delivered from the roasting portion to flow into the oil discharge groove; And a control unit.

나아가 상기 구이부는 상기 불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2/3 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불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1/3 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bulge portion is formed to have a length of 2/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lb, and the discharge portion is formed to have a length of 1/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lb.

본 발명인 구이용 불판은, 상기 불판의 각 측면에 외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상기 불판의 좌우 방향 움직임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안착 프랜지; 및 상기 불판의 하부 각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불판의 내부를 향하여 함몰 형성되어 상기 불판의 전후 방향 움직임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안착 홈;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며, 상기 구이부에 형성된 안착 프랜지의 높이가 상기 배출부에 형성된 안착 프랜지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구이부에 형성된 안착 홈의 깊이가 상기 배출부에 형성된 안착 홈의 깊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rill pan, comprising: at least one seating flange extending outwardly from each side of the pan mat to prevent lateral movement of the pan mat; And at least one receiving groove formed on each of the lower side surfaces of the zigzag plate and recessed toward the inside of the zigzag plate to prevent movement of the zigzag plate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The height of the seating flange formed on the roughening portion is formed to be relatively larger than the height of the seating flange formed on the discharge portion and the depth of the seating groove formed in the roughening portion is formed in the discharge portion It is more preferable to be formed to be relatively smaller than the depth of the seating groove.

한편, 상기 돌출부는, 상기 불판의 상부에 고기를 안정적으로 놓을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돌출산; 상기 돌출산의 양 측면으로 굴곡 형성되어 상기 돌출산으로부터 전달된 기름이 흐를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오일 로드; 상기 오일 로드의 끝단에 상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오일 로드를 따라 흐르는 기름의 유출을 방지하는 경사면;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돌출부의 양측 끝단은 하부의 너비가 상부의 너비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어 하부를 향하여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trusions may b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stably place meat on the top of the plate, An oil rod bending at both sides of the styrenic acid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oil delivered from the styrenic acid can flow; An inclined surface protruding upward from an end of the oil rod to prevent oil flowing along the oil rod from flowing out; The widths of the lower portions of the protrusions are formed to be relative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portion and are formed to have a constant slope toward the lower portion.

또한, 상기 돌출산의 폭은 3mm, 높이는 2.8mm 이고, 하나의 돌출산 중심과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돌출산 중심 사이의 이격된 거리가 15mm 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돌출부 하부 끝단의 폭은 11.6mm 이고, 상기 관통홈의 폭은 3.4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stone birth is 3 mm, the height is 2.8 mm, the spaced distance between one stone birth center and the other stone birth center adjacent to the stone is 15 mm, the width of the lower end of the projection is 11.6 mm And the width of the through-hole is 3.4 mm.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관통홈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열 및 불판(돌출부)에서 간접적으로 전달되는 열이 복합적으로 고기에 전달되면서 조리 속도를 확실히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사용되던 불판에 비하여 고기가 불판에 닿는 면적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고기가 불판에 눌러붙거나 심하게 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above structure is that not only the heat transmitted directly through the through groove and the heat indirectly transmitted from the hot plate (protruding portion) are transmitted to the meat in a complex mann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meat is pressed against the plate and / or burned out by adjusting the area of the meat to the plate.

또한, 관통홈을 통하여 숯불의 향 및 열이 직접적으로 고기에 가해지기 때문에 고기의 냄새를 없애는 한편 숯불의 향을 가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cense and heat of the charcoal fire are directly applied to the meat through the through groov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mell of meat can be eliminated and the charcoal fire can be added.

또한, 고기를 조리하는 구이부와 야채 및 김치 등을 조리하는 배출부를 구분함으로써 불판이 타거나 재료가 섞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이부에서 전달되는 기름을 적절히 배출하는 한편 야채 및 김치 등에 일정하게 스며들게 할 수 있으므로 보다 맛있고 효과적인 조리가 가능하다.
In addition, by separating the grilling portion for cooking meat and the discharging portion for cooking the vegetables and the kimchi,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urning of the grill and mixing of materials, and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discharge the oil delivered from the grilling portion, So that more delicious and effective cooking is possible.

도1 은 본 발명인 구이용 불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2 는 본 발명인 구이용 불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3 은 본 발명인 구이용 불판을 도시한 저면도.
도4 는 본 발명인 구이용 불판을 도시한 측면도.
도5 는 본 발명인 구이용 불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6 은 도2 의 A-A' 에 따른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7 은 본 발명인 구이용 불판을 이용하여 고기를 굽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8 및 도9 는 본 발명인 구이용 불판을 화롯대에 안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king dish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 baking pan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view showing a baking pan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baking pan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baking pan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partial enlargement view according to AA 'of FIG. 2;
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rocess of baking meat using the grill for ba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and FIG. 9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process for seating a roast bull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a roulette whee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구이용 불판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a baking p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 은 본 발명인 구이용 불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2 는 본 발명인 구이용 불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3 은 본 발명인 구이용 불판을 도시한 저면도, 도4 는 본 발명인 구이용 불판을 도시한 측면도, 도5 는 본 발명인 구이용 불판을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king pa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the baking pa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ottom view of the baking pa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of the baking pan of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baking pa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구이용 숯불 또는 가스 버너 등을 이용하여 고기 및 야채 등의 식재료를 굽기 위한 불판(10)에 관한 것이며, 특히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불판들은 불판 표면의 많은 면적에 고기가 눌려 붙거나 타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심한 연기가 발생되고 또한, 불판을 가열하기 위한 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낭비되는 열기가 많았으며, 불판 위에서 고기를 익히는 것과 동시에 야채 및 김치 등을 조리할 시 적절한 조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는 문제들이 있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plate (10) for baking meat and vegetables such as charcoal or a gas burner for baking, and in particular, the fire plates used in the past have a problem in that meat is pressed or burned over many areas of the fire plate surface And it is time consuming and heavy to smoke, and it takes a lot of time to heat the plate and wasted heat, and when the meat is cooked on the plate and vegetables and kimchi are cooked, There were problems that arise.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구이용 숯불 또는 가스 버너 등의 열원을 이용하여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열이 고르게 전달되어 고기 등이 타는 현상을 방지하고, 직접적으로 열이 전달되어 빠른 조리가 가능함과 동시에 숯불에서 전달되는 향이 고기에 배일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기에서 발생된 기름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고 야채 및 김치 등의 조리를 원활히 할 수 있는 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phenomenon that the heat is uniformly transferred during the process of grilling meat by using a heat source such as a charcoal grill or a gas burner for baking, and the heat is transmitted directly to the cooked foo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sting board capable of facilitating the discharge of oil generated from meat and facilitating cooking of vegetables and kimchi.

도1 내지 도5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구이용 불판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불판(10); 상기 불판(10)에 고기가 놓여지도록 상부를 항하여 돌출 형성된 구이부(20); 및 상기 구이부(20)에 놓여진 고기에서 발생된 기름을 모아 배출하도록 하부를 향하여 함몰 형성된 배출부(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구이부(20)는, 상기 불판(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상기 불판(10)의 너비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채로 반복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21); 및 상기 돌출부(21)의 이격된 거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불판(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홈(22);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to 5, a baking pa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lameboard 10 made of a metal; A bulge portion 20 protruding upward to place meat on the bullion 10; And a discharge part 30 formed downward to collect and discharge the oil generated from the meat placed on the roasting part 20; Wherein the roughening part 20 includes at least one projecting part 21 projec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rcelain plate 10 and repeatedly spaced apart from the breadboard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breadth direction of the porcelain plate 10 ); And at least one penetrating groove (22) located between the spaced distances of the protrusion (21) and formed to penetr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llion (10); And a control unit.

상기 불판(10)은 도면상에 직사각형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불판이 사용되는 환경 및 조리되는 식재료에 따라 정사각형,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크기 또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Although the breadboard 10 is shown as being rectangular in the drawing, various shapes such as a square, a circle, and an ellipse can be used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breadboard is used and the food to be cooked.

한편, 본 발명에 관한 원활한 설명을 위하여 상기 불판(10)에 식재료를 올려놓을 수 있는 방향을 불판(10)의 상부 및 그 반대 방향을 불판(10)의 하부로 지칭하고, 배출부(30)가 위치하는 방향을 불판(10)의 전방 및 구이부(20)가 위치하는 방향을 불판(10)의 후방으로 지칭하며, 도2 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불판(10)의 상부에서 바라본 방향을 기준으로 불판(10)의 좌측 및 불판(10)의 우측을 지칭하기로 한다.In order to facilitat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od material can be placed on the flame 10 is referred to as the lower portion of the flame 10,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lb 10 is positioned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lb 20 is positioned are referred to as the rear of the bulb 10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lb 10 is viewed from the top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The left side of the flat plate 10 and the right side of the flat plate 10 will be referred to.

즉,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고기 및 야채 등의 식재료를 올려놓을 수 있는 불판(10)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불판(10)의 상부면 중 고기를 올려놓을 수 있는 구이부(20)와 야채 및 김치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배출부(30)로 구획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lanket 10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capable of placing food such as meat and vegetables therein. And a discharge portion 30 on which the vegetable and kimchi can be placed.

종래 사용되던 일부 불판에서는 본 발명과 같은 구이부(20) 및 배출부(30)가 구분되지 않은 채로 고기 및 야채 등을 한꺼번에 조리하는 경우가 많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재료들의 맛이 혼합되거나 또는 각종 양념 등이 타면서 고기와 함께 불판에 눌러붙는 문제들이 발생하였다.There is a case where meat and vegetables are cooked at the same time without separating the roasting portion 20 and the discharging portion 30 as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back burned, there were problems of pushing on the fire with meat.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고기만을 올려놓아 빠르고 맛있게 구울 수 있는 구이부(20)를 상기 불판(10)의 후방에 형성하는 한편, 상기 구이부(20)에서 발생된 기름의 일부는 배출하는 동시에 야채 및 김치 등을 올려놓아 고기와는 별도로 익힐 수 있으며 고기에서 발생된 기름이 적절히 스며들 수 있도록 하는 배출부(30)를 상기 불판(10)의 전방에 형성하였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roasting portion 20 is provided behind the fireplace 10 to allow quick and delicious baking by placing only meat, while a part of the oil generated in the roasting portion 20 is discharged, A kimchi and the like are put on the meat so that they can be cooked separately from the meat, and a discharge part (30) is formed in front of the meat plate (10) so that the oil generated from the meat can be appropriately permeated.

상기 구이부(20)는 돌출부(21)와 관통홈(22)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데,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21)는 상기 불판(10)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길게 형성되고 상기 불판(10)의 상부를 향하여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돌출부(21)가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다수 개가 상기 불판(10)의 너비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채로 반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2, the protrusion 21 protrudes from the front of the bulb 10, and the protrusion 21 protrudes from the front of the bulb 10, And a plurality of such projections 21 are preferab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ulb 10, Is repeatedly formed.

또한, 상기 관통홈(22)은 상기 다수 개의 돌출부(21)가 이격된 거리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불판(10)의 너비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채로 반복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1)와 마찬가지로 불판(10)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길게 형성된다.The protrusions 2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otrusions 10 so that the protrusions 2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s formed to be long from the front of the breadboard 10 to the rear.

상기 관통홈(22)과 관련된 상세한 사항은 첨부된 도3 을 참조하면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Details regarding the through-hole 22 can be grasped more precisely with reference to FIG.

즉, 상기 관통홈(22)은 상기 불판(10)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두께를 관통하는 빈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불판(10)의 하부(저면)을 도시한 도3 에서도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상기 불판(10)의 상부를 도시한 도2 에서는 상기 관통홈(22)과 상기 돌출부(21)가 연속적으로 반복되며 형성된다.That is, since the through-hole 22 is formed as an empty space penetrating the thickness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readboard 10, the lower portion (bottom face) of the breadboard 10 is also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FIG. 2 show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ulb 10, the through-hole 22 and the protrusion 21 are continuously and repeatedly formed.

따라서, 불판(10)의 하부에 위치한 숯불 또는 가스 버너 등에서 발생된 열기가 상기 관통홈(22)을 통과하면서 고기를 직접적으로 가열할 수 있으므로 조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숯불의 향과 연기가 고기에 직접 닿을 수 있으므로 고기의 냄새를 없애거나 더욱 좋은 향을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since the heat generated from the charcoal or gas burner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hot plate 10 can be directly heated by passing through the through grooves 22, the cooking time can be shortened, Since the smoke can directly touch the meat, it has the effect of eliminating the smell of the meat and giving a better fragrance.

한편 상기 배출부(30)는, 상기 불판(10)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구이부(20)에 놓여진 고기에서 발생된 기름을 상기 불판(10)의 하부로 배출하는 기름 배출홈(31); 상기 기름 배출홈(31)으로 흐르는 기름을 상기 불판(10)의 외부로 배출하는 동시에 상기 불판(10)의 측면으로 기름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기름 낙하 포인트(32); 상기 불판(10)의 상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상기 기름 배출홈(31)을 중심으로 하여 원형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채로 반복 형성된 하나 이상의 부채꼴 돌출산(33); 상기 부채꼴 돌출산(33)의 이격된 거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구이부(20)에서 전달된 기름을 상기 기름 배출홈(31)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배출 유도부(3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charge unit 30 includes an oil discharge groove 31 formed at an end of the plate 10 to discharge the oil generated from the meat placed on the pipe 20 to a lower portion of the plate 10. An oil drop point 32 for discharging the oil flowing into the oil discharge groove 31 to the outside of the bull market 10 and preventing the oil from leaking to the side of the bull market 10; At least one fan-shaped stone bearing 33 protruding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fire plate 10 and repeatedly formed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circular shape about the oil discharge groove 31; A discharge inducing part 34 located between the spaced distances of the fan-shaped stone bearing 33 and guiding the oil delivered from the roasting part 20 to flow into the oil discharge groove 31; And a control unit.

즉, 상기 구이부(20)에 고기가 놓여서 조리가 되면 고기에서 발생된 기름이 흐르게 되는데, 상기 배출부(30)는 이와 같은 기름을 한곳으로 모으면서 불판(10)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하게 되며, 이와 더불어 상기 구이부(20)와는 별도로 구획된 상기 배출부(30)에 야채 및 김치 등을 별도로 익히는 과정에서 고기에서 발생된 기름이 적절히 스며들게 하여 야채 및 김치 등의 맛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the meat is placed on the roasting portion 20 and cooked, the oil generated from the meat flows, and the discharging portion 30 collects the oil in one place and discharges the oil to the outside of the rice flour 10 In addition, vegetables, kimchi, and the like are separately cooked in the discharge part (30) separately from the grilling part (20), so that the oil generated from the meat is appropriately impregnated to further improve the taste of vegetables and kimchi have.

상기 구이부(20) 중에서 상기 돌출부(21)를 따라 흐르는 기름은 상기 배출부(30) 중 배출 유도부(34)를 따라 불판(10)의 전방으로 모이게 되며, 이와 같이 모인 기름을 불판(10) 상부에 형성된 기름 배출홈(31)을 통하여 불판(10) 하부에 형성된 기름 낙하 포인트(32)로 전달하게 된다.The oil flowing along the projecting portion 21 of the burning portion 20 is collected along the discharge inducing portion 34 of the discharge portion 30 toward the front of the burning plate 10, To the oil drop point 32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fire plate 10 through the oil discharge groove 31 formed in the upper part.

상기 기름 낙하 포인트(32)로 떨어진 기름은 불판(10) 외부에 위치하는 별도의 그릇(미도시) 등으로 배출할 수 있는데, 상기 기름 낙하 포인트(32)는 도5 및 도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가 불판(10) 하부를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된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출되는 기름이 기름 낙하 포인트(32)의 측면으로 흐르거나 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기름을 다시 기름 낙하 포인트(32)의 중앙으로 모아서 불판(1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The oil dropped to the oil drop point 32 can be discharged through a separate bowl (not shown) or the like located outside the fire board 10, and the oil drop point 32 is formed as shown in FIGS. 5 and 6 Likewise, since the central portion is formed in a projecting shape protruding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furnace plate 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charged oil from flowing or leaking to the side of the oil dropping point 32, And can be collected at the center of the drop point 32 and discharged outside the bullion 10.

상기 배출부(30)는 전반적으로 중심부가 불판(10)의 하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에 따라 고기에서 발생된 기름을 상기 기름 배출홈(31) 및 기름 낙하 포인트(32)로 보다 쉽고 빠르게 모이고 배출되도록 하였다.The discharge portion 30 is generally formed such that the central portion thereof is recessed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flame 10 so that the oil generated in the meat is discharged to the oil discharge groove 31 and the oil drop point 32, So that it can be collected and discharged more easily and quickly.

또한, 상기 배출부(30)의 상부면에는 불판(10)의 상부를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된 부채꼴 돌출산(33)이 형성되는데, 상기 기름 배출홈(31)을 중심으로 하여 다수 개의 부채꼴 돌출산(33)이 원형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채로 배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ion 30, a fan-shaped protrusion 33 protruding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ebox 10 is formed. The fa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projections 33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circular shape.

따라서, 상기 배출부(30)에 야채 및 김치 등을 올려놓으면 볼록하게 돌출된 상기 부채꼴 돌출산(33)에 대부분의 면이 접촉하게 되며, 상기 배출 유도부(34)를 따라 흐르는 기름의 일부가 야채 및 김치 등에 일정하게 닿으면서 흡수될 수 있으므로 조리 효율이 좋고 식재료의 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뛰어난 맛을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when vegetables and kimchi are placed on the discharge portion 30, most of the surfaces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vexly protruded discharge 33, and a part of the oil flowing along the discharge induction portion 34 comes into contact with the vegetable And kimchi, so that the cooking efficiency is good, the burning of the ingredients can be prevented, and more excellent taste can be obtained.

이와 같은 구이부(20) 및 배출부(30)의 적절한 구성을 위하여 상기 구이부(20)는 상기 불판(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2/3 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30)는 상기 불판(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1/3 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불판(10)의 크기 또는 조리되는 재료의 종류에 따라 상기 구이부(20) 및 배출부(30)의 크기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order to properly configure the bulge portion 20 and the discharge portion 30, the bulge portion 20 is formed to have a length of 2/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lb 10, The length of the burning portion 20 and the length of the discharge portion 30 may be vari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burning plate 10 or the type of the material to be cooked. It is natural that the size can be set in various ways.

본 발명인 구이용 불판은, 상기 불판(10)의 각 측면에 외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상기 불판(10)의 좌우 방향 움직임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안착 프랜지(40); 및 상기 불판(10)의 하부 각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불판(10)의 내부를 향하여 함몰 형성되어 상기 불판(10)의 전후 방향 움직임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안착 홈(50);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rill blanket comprising: at least one seating flange (40) extending outwardly on each side of the blanket (10) to prevent lateral movement of the blanket (10); And at least one seating groove 50 formed at each side of the bottom plate 10 to be recessed toward the inside of the plate to prevent the back plate 10 from moving back and forth. And further comprising:

즉, 도2 및 도4 를 참조하면, 상기 안착 프랜지(40)는 상기 불판(10)의 상부 각 측면에 적어도 2개씩 각각 형성되어 상기 불판(10)을 별도의 화롯대 또는 버너의 상부 등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특히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이부(20)에 형성된 안착 프랜지(40)(후방의 안착 프랜지(40))의 높이가 상기 배출부(30)에 형성된 안착 프랜지(40)(전방의 안착 프랜지(40))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구이부(20)에 놓여진 고기에서 발생된 기름이 상기 배출부(30)로 자연스럽게 흘러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2 and 4, at least two seating flanges 40 are formed on each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flat plate 10 so that the flat plate 10 can be stably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urner 4, the height of the seating flange 40 (rear seating flange 40) formed on the flange portion 20 is formed in the discharge portion 30 The oil generated in the meat placed on the roasting portion 20 flows smoothly into the discharging portion 3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ischarging portion 30 by being relatively larger than the height of the seating flange 40 (front seating flange 40) Respectively.

또한, 상기 불판(10)의 하부 각 측면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안착 홈(50)이 형성되어 상기 불판(10)이 화롯대 또는 버너의 상부 등에서 전후 방향으로 흔들리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안착 프랜지(40)와 유사하게 상기 구이부(20)에 형성된 안착 홈(50)의 깊이가 상기 배출부(30)에 형성된 안착 홈(50)의 깊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구이부(20)로부터 상기 배출부(30)를 향하여 기름 배출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two seating grooves 50 are formed on each lower side of the flame 10 so that the flame 10 does not shake or move in the fore and aft direction at the top of the flame or the burner, The depth of the seating groove 50 formed in the roughened portion 20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epth of the seating groove 50 formed in the discharge portion 30 similar to the seating flange 40, (20) to the discharge portion (30).

한편, 상기 돌출부(21)는, 상기 불판(10)의 상부에 고기를 안정적으로 놓을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돌출산(23); 상기 돌출산(23)의 양 측면으로 굴곡 형성되어 상기 돌출산(23)으로부터 전달된 기름이 흐를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오일 로드(24); 상기 오일 로드(24)의 끝단에 상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오일 로드(24)를 따라 흐르는 기름의 유출을 방지하는 경사면(25);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otruding portion 21 includes a stern feeding 23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stably place meat on the top of the stall 10; An oil rod (24) curved at both sides of the styrenic acid (23)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oil delivered from the styrenic acid (23) can flow; An inclined surface 25 protruding upward from an end of the oil rod 24 to prevent oil flowing along the oil rod 24 from flowing out; And a control unit.

즉, 도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21)가 상기 불판(10)의 너비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돌출산(23) 역시 규칙적으로 배치되며, 따라서 구이부(20)에 놓여진 고기가 상기 돌출산(23)에 닿아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게 하는 한편 뜨겁게 달구어진 돌출산(23)에 의하여 열의 전달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고기가 잘 익혀지게 된다.6, since the protrusions 21 are repeatedly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lat plate 10, the protrusions 23 are also regularly arranged, So that the meat can be stably placed by touching the stallion 23 while facilitating the transfer of heat by the stalled stallion 23.

또한, 구이부(20)에 올려진 고기가 상기 돌출산(23)에 가장 먼저 닿기 때문에 고기에서 발생된 기름 역시 상기 돌출산(23)에 가장 먼저 닿게 되는데, 상기 돌출산(23)의 양 옆으로 둥글게 굴곡진 형상의 오일 로드(24)를 형성함으로써 고기에서 발생된 기름이 오일 로드(24)의 중심으로 모일 수 있다.Since the meat put on the roasting portion 20 first touches the styrenic acid 23, the oil generated from the meat also comes first to the styrenic acid 23, The oil generated in the meat can be collected at the center of the oil rod 24 by forming the oil rod 24 having a rounded shape.

상기 불판(10)은 상기 안착 프랜지(40) 및 안착 홈(50)의 상이한 크기로 인한 경사를 가지게 되므로 상기 오일 로드(24)에 모인 기름은 오일 로드(24)를 따라 불판(1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자연스럽게 흐르면서 상기 배출부(30)에 위치하는 배출 유도부(34), 기름 배출홈(31) 및 기름 낙하 포인트(32) 등을 거쳐 불판(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Since the flat plate 10 has an inclination due to a different size of the seating flange 40 and the seating groove 50, the oil collected in the oil rod 24 flows along the oil rod 24 to the rear The oil discharge groove 31 and the oil dropping point 32 located in the discharge portion 30 while flowing naturally from the discharge port 30 to the outside of the fire plate 10 through the discharge inducing portion 34,

이와 같은 기름 배출 과정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오일 로드(24)의 끝단은 불판(10)의 상부를 향하여 구부러진(올라선) 형상의 경사면(25)을 형성하였는데, 이에 따라 오일 로드(24)에 기름이 빠르게 모이더라도 상기 돌출부(21)의 외부 즉, 관통홈(22)으로 흐르면서 임의로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하였으며, 오일 로드(24)만을 따라 흐르면서 기름 배출홈(31)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In order to smoothly perform the oil discharge process, the end of the oil rod 24 is formed with a sloped surface 25 which is curved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furnace plate 10, So that the oil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oil discharge groove 31 while flowing only along the oil rod 24 while being prevented from being arbitrarily discharged while flowing into the outside of the protrusion 21, that is, the through groove 22, Respectively.

나아가, 상기 돌출부(21)의 양측 끝단은 하부의 너비가 상부의 너비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어 하부를 향하여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불판(10) 하부에서 상기 관통홈(22)을 통하여 전달되는 열기 및 향이 고기의 많은 부위에 퍼지면서 닿을 수 있으므로 고기가 타거나 눌러붙는 현상을 방지하고 고기의 냄새를 없애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both end portions of the projecting portion 21 are formed such that the width of the lower portion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portion and is formed to have a constant slope toward the lower portion. Since the heat and the fragrance transmitted through the cooking cavity 22 can be spread over many parts of the meat, the mea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urned or pressed and the smell of the meat can be eliminated.

또한, 도7 을 참조하면,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보다 효과적인 기능을 위하여 상기 돌출산(23)의 폭(b)은 3mm, 높이(c)는 2.8mm 이고, 하나의 돌출산(23) 중심과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돌출산(23) 중심 사이의 이격된 거리(a)가 15mm 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돌출부(21) 하부 끝단의 폭(e)은 11.6mm 이고, 상기 관통홈(22)의 폭(f)은 3.4mm 인 것이 바람직하다.7, for the more effectiv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eadth b of the stone birth 23 is 3 mm, the height c is 2.8 mm, the center of one stone birth 23,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a between the centers of the other adjacent stitch abdomen 23 is 15 mm and the width e of the lower end of the projecting portion 21 is 11.6 mm, The width f is preferably 3.4 mm.

상기 돌출산(23) 사이의 이격된 거리(a=15mm)로 인하여 불판(10) 상부에 고기를 안정적으로 올려놓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돌출산(23)과 인접하는 다른 돌출산(23) 사이의 이격된 구간에서 쳐지는 고기의 부위가 적어 고기에서 발생된 기름이 오일 로드(24)를 따라 흐르면서 배출되기가 더욱 용이하다.Not only the meat can be stably placed on the top of the plate 10 due to the distance (a = 15 mm) between the stomachs 23 but also the other stomachs 23 adjacent to the stomach 23 So that the oil generated in the meat flows along the oil rod 24 and is discharged easily.

또한, 상기 돌출산(23)의 폭(b=3mm) 및 높이(c=2.8mm)로 인하여 불판(10)에 전달된 열기를 고기에 효과적으로 전달하면서 고기를 익힐 수 있고, 고기와 돌출산(23)이 접촉함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면장력을 무시하고 고기에서 발생된 기름이 상기 오일 로드(24)를 따라 온전히 흐르기에 용이하며, 고기를 모두 구웠을 경우 고기의 일부 구역에만 접촉한 흔적 또는 약하게 탄 흔적이 반복되는 줄무늬가 나타나게 되므로 시각적으로 맛있게 보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breadth (b = 3 mm) and height (c = 2.8 mm) of the stone discharge 23, the heat transferred to the plate 10 can be effectively transferred to the meat, 23), it is easy for the oil generated from the meat to flow completely along the oil rod 24, and when the meat is completely roasted, Repeated stripes of traces appear, which can be visually delicious.

뿐만 아니라, 상기 돌출부(21)의 전체 높이(d=6.5mm)와 하부 끝단의 폭(e=11.6mm)으로 인하여, 돌출산(23)의 해당 면적이 가지는 주물의 특성상 열 보관과 전달로 인해 고기를 타지 않으면서 보다 빨리 익히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관통홈(22)의 폭(f=3.4mm)으로 인하여 숯불의 향과 열이 고기에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돌출산(23) 및 오일 로드(24)가 아닌 예외적으로 다른 곳에서 흐르는 기름이 상기 관통홈(22)으로 직접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casting of the area of the stone discharge 23 due to the total height (d = 6.5 mm) of the projection 21 and the width of the lower end (e = 11.6 mm) The incense and heat of the charcoal fire can be most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meat due to the width (f = 3.4 mm) of the through groove 2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il flowing from the oil rod 24 and the oil flowing from the oil rod 24 to the through groove 22 from being directly dropp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10 : 불판
20 : 구이부 21 : 돌출부
22 : 관통홈 23 : 돌출산
24 : 오일 로드 25 : 경사면
30 : 배출부 31 : 기름 배출홈
32 : 기름 낙하 포인트 33 : 부채꼴 돌출산
34 : 배출 유도부
40 : 안착 프랜지
50 : 안착 홈
10: The fire
20: bulge portion 21: protrusion
22: through groove 23: stone birth
24: oil rod 25: inclined surface
30: discharge portion 31: oil discharge groove
32: Oil drop point 33: Fan stomach birth
34:
40: Seated flange
50: seat groove

Claims (10)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불판(10);
상기 불판(10)에 고기가 놓여지도록 상부를 항하여 돌출 형성된 구이부(20); 및
상기 구이부(20)에 놓여진 고기에서 발생된 기름을 모아 배출하도록 하부를 향하여 함몰 형성된 배출부(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구이부(20)는, 상기 불판(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상기 불판(10)의 너비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채로 반복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21); 및 상기 돌출부(21)의 이격된 거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불판(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홈(22);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10) made of a metal material;
A bulge portion 20 protruding upward to place meat on the bullion 10; And
A discharge unit 30 formed to be downwardly recessed to collect and discharge the oil generated from the meat placed on the roasting unit 20; And,
The roughening part 20 includes at least one projecting part 21 protru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rcelain plate 10 and repeatedly spaced apart from the porcelain plate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breadth direction of the porcelain plate 10. And at least one penetrating groove (22) located between the spaced distances of the protrusion (21) and formed to penetr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llion (10); Wherein the baking plate is made of a met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30)는,
상기 불판(10)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구이부(20)에 놓여진 고기에서 발생된 기름을 상기 불판(10)의 하부로 배출하는 기름 배출홈(31);
상기 기름 배출홈(31)으로 흐르는 기름을 상기 불판(10)의 외부로 배출하는 동시에 상기 불판(10)의 측면으로 기름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기름 낙하 포인트(32);
상기 불판(10)의 상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상기 기름 배출홈(31)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채로 반복 형성된 하나 이상의 부채꼴 돌출산(33);
상기 부채꼴 돌출산(33)의 이격된 거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구이부(20)에서 전달된 기름을 상기 기름 배출홈(31)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배출 유도부(3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charge portion (30)
An oil discharge groove 31 formed at an end of the zigzag 10 to discharge the oil generated from the meat placed on the zigzag 2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zigzag 10;
An oil drop point 32 for discharging the oil flowing into the oil discharge groove 31 to the outside of the bull market 10 and preventing the oil from leaking to the side of the bull market 10;
At least one fan-shaped stone bearing 33 protruding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fire plate 10 and repeatedly spaced apart from the oil discharge groove 3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discharge inducing part 34 located between the spaced distances of the fan-shaped stone bearing 33 and guiding the oil delivered from the roasting part 20 to flow into the oil discharge groove 31; Wherein the baking plate is made of a meta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부(20)는 상기 불판(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2/3 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불판(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1/3 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bulge portion 20 is formed to have a length of 2/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lb 10 and the discharge portion is formed to have a length of 1/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lb 10 The grilling dislik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판(10)의 각 측면에 외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상기 불판(10)의 좌우 방향 움직임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안착 프랜지(40); 및 상기 불판(10)의 하부 각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불판(10)의 내부를 향하여 함몰 형성되어 상기 불판(10)의 전후 방향 움직임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안착 홈(50);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seating flange (40) extending outwardly from each side of the flat plate (10) to prevent lateral movement of the flat plate (10); And at least one seating groove 50 formed at each side of the bottom plate 10 to be recessed toward the inside of the plate to prevent the back plate 10 from moving back and forth. Wherein the baking baking board further compris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부(20)에 형성된 안착 프랜지(40)의 높이가 상기 배출부에 형성된 안착 프랜지(40)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eight of the seating flange (40) formed on the roughening portion (2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height of the seating flange (40) formed on the discharge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부(20)에 형성된 안착 홈(50)의 깊이가 상기 배출부에 형성된 안착 홈(50)의 깊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depth of the seating groove (50) formed in the roughening portion (20)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a depth of the seating groove (50) formed in the discharg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1)는,
상기 불판(10)의 상부에 고기를 안정적으로 놓을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돌출산(23);
상기 돌출산(23)의 양 측면으로 굴곡 형성되어 상기 돌출산(23)으로부터 전달된 기름이 흐를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오일 로드(24);
상기 오일 로드(24)의 끝단에 상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오일 로드(24)를 따라 흐르는 기름의 유출을 방지하는 경사면(25);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2.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jecting portion (21)
(23)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stably place meat on the upper part of the bull bar (10);
An oil rod (24) curved at both sides of the styrenic acid (23)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oil delivered from the styrenic acid (23) can flow;
An inclined surface 25 protruding upward from an end of the oil rod 24 to prevent oil flowing along the oil rod 24 from flowing out; Wherein the baking plate is made of a met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1)의 양측 끝단은 하부의 너비가 상부의 너비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어 하부를 향하여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both ends of the protrusion (21) are formed such that the width of the lower portion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portion, and is formed so as to have a constant inclination toward the lower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산(23)의 폭은 3mm, 높이는 2.8mm 이고, 하나의 돌출산(23) 중심과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돌출산(23) 중심 사이의 이격된 거리가 1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8. The method of claim 7,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one stone birth 23 and the center of the other stone birth 23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one stone birth 23 is 15 mm and the width of the stone birth 23 is 3 mm and the height is 2.8 mm.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1) 하부 끝단의 폭은 11.6mm 이고, 상기 관통홈(22)의 폭은 3.4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width of the lower end of the projecting portion (21) is 11.6 mm, and a width of the through groove (22) is 3.4 mm.
KR1020140060427A 2014-05-20 2014-05-20 Hot grill for roasting KR1016204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427A KR101620485B1 (en) 2014-05-20 2014-05-20 Hot grill for roas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427A KR101620485B1 (en) 2014-05-20 2014-05-20 Hot grill for roas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917A true KR20150133917A (en) 2015-12-01
KR101620485B1 KR101620485B1 (en) 2016-05-13

Family

ID=54882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0427A KR101620485B1 (en) 2014-05-20 2014-05-20 Hot grill for roas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48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747A (en) * 2019-10-28 2020-01-10 양상철 A Roasting Bed
KR20210075581A (en) 2019-12-13 2021-06-23 양상철 A Double Layer Type of a Cooking Be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752B1 (en) 2019-08-23 2020-11-24 주식회사 동서에너지 Roasting plat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785Y1 (en) * 2001-05-08 2001-10-15 이흥규 Roast plate
KR200461125Y1 (en) * 2009-08-03 2012-06-22 박용일 A barbecue gril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747A (en) * 2019-10-28 2020-01-10 양상철 A Roasting Bed
KR20210075581A (en) 2019-12-13 2021-06-23 양상철 A Double Layer Type of a Cooking B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0485B1 (en) 2016-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7914A (en) Cooking grill assembly
KR200433479Y1 (en) device of the gridiron for radiation-roast
KR101620485B1 (en) Hot grill for roasting
KR101078690B1 (en) A Grill
KR200444353Y1 (en) Universal roaster
KR101060025B1 (en) Grilled meat
KR101986822B1 (en) Grill type multi-purpose grill pan
KR200431912Y1 (en) Double-palte typed roaster
US20020152900A1 (en) Radiant heat sausage cook plate
KR20180006074A (en) Grill Roaster that a smoked taste to the heated iron plate
KR20160086624A (en) Grill Type Roaster for Home Use
KR101714763B1 (en) Roast system
KR20120006289A (en) Roast plate
KR20100098772A (en) Safe grill
KR101547581B1 (en) Meat grill panel with improved oil drop protection function and heat efficiency function
KR20120114207A (en) A triple grill dividing nutritive and harmful substance
KR101775149B1 (en) A meat roast plate
KR20090086679A (en) Device for broilling and a grill meat by the fire
KR200401810Y1 (en) a grill
KR100817530B1 (en) Stone roaster having fat discharge structure
KR20130138432A (en) Grilled plate with heating holes perforated on both sides of the kankan
KR200355889Y1 (en) A roaster to roast meat
KR102224962B1 (en) Roaster for a charcoal fire
KR102286120B1 (en) Grill Plate For Cook
JP3142998U (en) Smokeless grilled food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