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3545A -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3545A
KR20150133545A KR1020140060473A KR20140060473A KR20150133545A KR 20150133545 A KR20150133545 A KR 20150133545A KR 1020140060473 A KR1020140060473 A KR 1020140060473A KR 20140060473 A KR20140060473 A KR 20140060473A KR 20150133545 A KR20150133545 A KR 20150133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walkie
talkie
voice data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0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3324B1 (ko
Inventor
정영민
Original Assignee
(주)오픈벡스
정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픈벡스, 정영민 filed Critical (주)오픈벡스
Priority to KR1020140060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324B1/ko
Publication of KR20150133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키토키메뉴항목을 지원하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워키토키 모드를 공유할 수신자가 선택되고 워키토키메뉴항목이 선택되면 워키토키 모드로 전환 시킨 후 입력된 음성신호에 대한 음성데이터를 전송하는 발신자 단말장치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발신자 단말장치와 수신자 단말장치에 제공하며, 음성데이터를 제공받아 워키토키모드 수락요청메시지와 함께 수신자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및 워키토키모드 수락요청메시지와 음성데이터를 수신하고 워키토키모드 수락요청메시지에 응하여 수락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모드를 워키토키 모드로 전환 시키고 음성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수신자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통화 품질을 개선하고, 네트워크 상태에 의한 음성신호의 끊김 현상, 연결 지연 및 노이즈 유입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Walkie-talkie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 system and metho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본 발명은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워키토키메뉴항목을 지원하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워키토키 모드를 공유할 적어도 한명 이상의 수신자를 선택하고, 발신자의 음성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변환시켜 수신자 단말장치로 제공한 후 수신자 단말장치에서 캐싱방식으로 재생되도록 하는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테블릿 PC(Personal Computer)와 같은 휴대단말기는 음성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현재, 실시간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현재 (주)카카오에서는 이동통신사가 가설해 놓은 데이터망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 사용자들끼리 음성을 주고받도록 하는 보이스톡(Voice Talk)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주)카카오에서 제공되는 보이스톡은 데이터 통신을 위해 마련되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수신자 휴대단말기로 스트리밍(streamming) 전송하는 방식에 의해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WiFi 망, 3G 및 4G 데이터망을 이용하여 송신자 휴대단말기와 수신자 휴대단말기가 상호 음성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보이스톡은 데이터 망을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송 수신하므로, 음성신호의 끊김 현상, 연결 지연, 노이즈 유입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통화품질이 좋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정확한 의사전달이 요구되는 경우 이용하기 곤란한 측면이 있다. 한편, 송신자의 음성이 정확히 전달된 이후, 수신자의 음성을 들어야 하는 업무에서는 푸쉬-투-토크(Push To Talk) 타입의 서비스가 이용될 수 있다. 푸쉬-투-토크(Push To Talk) 타입의 서비스는 송신자 휴대단말기가 수신자 휴대단말기로 음성신호를 전송 후, 수신자 휴대단말기에서 송신자 휴대단말기로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형태로 음성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 10-2003-0073893는 무선 인스턴트 메신저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문자열 교환은 물론 TRS를 사용하는 무전기 형태의 다자간 음성통신 서비스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무선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실시간 음성정보 전송방법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공개특허 10-2003-0073893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스트리밍 전송하므로, (주)카카오에서 제공하는 보이스톡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음성신호의 끊김 현상, 연결 지연 및 노이즈 유입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73893호[발명의 명칭 : 무선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실시간 음성정보 전송방법]
본 발명은 워키토키 메뉴항목을 지원하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워키토키 모드를 공유할 적어도 한명 이상의 수신자를 선택하고, 발신자의 음성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변환시켜 수신자 단말장치로 제공한 후 수신자 단말장치에서 캐싱방식으로 재생되도록 하는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발신자 단말장치를 통해 워키토키 공유 수신자가 선택되고 음성데이터가 공유 수신자 단말장치로 전송되면 수신자 단말장치로는 접속대기 상태를 수신 알림신호로 제공하고, 발신자 단말장치로는 발신 대기음을 제공하는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녹취기능을 제공하여 발신자 또는 수신자의 조작에 따라 녹취기능이 선택되면 음성데이터를 전송시간에 연결시켜 순차적으로 작성된 녹취목록에 연결시켜 음성데이터를 저장하는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워키토키메뉴항목을 지원하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워키토키 모드를 공유할 수신자가 선택되고 워키토키메뉴항목이 선택되면 워키토키 모드로 전환 시킨 후 입력된 음성신호에 대한 음성데이터를 전송하는 발신자 단말장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발신자 단말장치와 수신자 단말장치에 제공하며, 음성데이터를 제공받아 워키토키모드 수락요청메시지와 함께 수신자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및 워키토키모드 수락요청메시지와 음성데이터를 수신하고 워키토키모드 수락요청메시지에 응하여 수락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모드를 워키토키 모드로 전환 시키고 음성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수신자 단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로서, 발신자 단말장치는 다이얼 표시화면 또는 수신자 프로필 제공 화면을 통해 워키토키메뉴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로서, 발신자 단말장치는 수신자 단말장치로부터 수락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수신자 단말장치와의 접속 대기 상태에 대한 발신 대기음을 발생시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로서, 수신자 단말장치는 워키토키모드 수락요청메시지에 대한 수락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발신자 단말장치와의 접속 대기 상태를 수신 알림신호로 알려줄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로서, 수신 알림신호는 워키토키모드 수락요청메시지에 대한 수락신호 또는 거절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로서, 발신자 단말장치는 음성데이터에 발신자 정보, 수신자 정보, 음성데이터의 전송시간, 수신자가 포함된 그룹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수신자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로서, 발신자 단말장치 또는 수신자 단말장치는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데이터를 저장시킨 후 수신이 완료되는 시점에 재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로서, 발신자 단말장치 또는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또는 수신자 단말장치는 발신자 또는 수신자의 조작에 따라 녹취 기능이 설정되면 송 수신되는 음성데이터를 저장하고 음성데이터에 연결되어 전송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작성되는 워키토키 녹취목록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수신자 단말장치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은 수신자의 조작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입력되지 않으면 현재 모드를 슬리핑(sleeping) 모드로 전환시키고 슬리핑 모드에서 워키토키 모드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발신자 단말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되어진 수신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발신자 단말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워키토키 메뉴항목이 선택되면 현재 모드를 워키토키 모드로 전환 시킨 후 음성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발신자 단말장치는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변환시킨 후 저장된 수신자 정보에 연결시켜 전송하는 단계, 발신자 단말장치는 수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수신자 단말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발신자 단말장치는 수신자 단말장치로부터 음성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음성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로서, 수신자 정보는 수신자 전화번호, 수신자 전화번호에 연결되어 발행된 가상번호, 수신자가 포함된 그룹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로서, 음성데이터는 수신자 정보, 수신자가 포함된 그룹정보, 음성데이터의 전송시간, 발신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로서, 발신자 단말장치는 수신자 정보를 다이얼 표시화면 또는 수신자 프로필 제공화면을 통해 화면상에 출력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수신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로서, 발신자 단말장치는 수신자 단말장치로부터 워키토키 모드를 공유하기 위한 수락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수신자 단말장치와의 접속 대기 상태에 대한 발신 대기음을 발생시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로서, 발신자 단말장치는 수신자 단말장치로부터 음성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녹취 기능이 설정되면 음성데이터를 저장하고 음성데이터에 연결되어 전송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작성되는 워키토키 녹취목록을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수신자 단말장치는 수신자의 조작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입력되지 않으면 현재 모드를 슬리핑(sleeping) 모드로 전환시키고 슬리핑 모드에서 워키토키 모드가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워키토키 메뉴항목을 지원하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워키토키 모드를 공유할 적어도 한명 이상의 수신자를 선택하고, 발신자의 음성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변환시켜 수신자 단말장치로 제공한 후 수신자 단말장치에서 캐싱방식으로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통화 품질을 개선하고, 네트워크 상태에 의한 음성신호의 끊김 현상, 연결 지연 및 노이즈 유입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발신자 단말장치를 통해 워키토키 공유 수신자가 선택되고 음성데이터가 공유 수신자 단말장치로 전송되면 수신자 단말장치로는 접속대기 상태를 수신 알림신호로 제공하고, 발신자 단말장치로는 발신 대기음을 제공함으로써, 수신자는 워키토키로 통화라인이 형성됨을 미리 인지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발신자의 경우 수신자 단말장치와의 연결상태를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녹취기능을 제공하여 발신자 또는 수신자의 조작에 따라 녹취기능이 선택되면 음성데이터를 전송시간에 연결시켜 순차적으로 작성된 녹취목록에 연결시켜 음성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수신자 또는 발신자가 수신되거나 발송되었던 워키토키 모드에서의 대화내용을 시간이 지난 후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참조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음성신호 입력에 따른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참조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녹취목록 작성에 따른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참조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단말장치는,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현재, 이러한 장치로서,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태블릿(Tablet)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장치가 있으나, 이 외에도 음성통신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장치라면 단말장치라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단말장치를 발신자 단말장치와 수신자 단말장치로 구분하여 기재한다. 그러나 발신자 단말장치와 수신자 단말장치는 어느 쪽에서 음성데이터를 전송하는가에 따른 구분일 뿐, 발신자 단말장치와 수신자 단말장치의 역할은 상호 전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앱(App)은 휴대단말기에 설치되어 구동하는 프로그램으로서, 통상적으로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단말장치에 설치되는 앱, 단말장치에 설치되는 시스템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단말기에서 설치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 : Software Development Kit)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는 이종의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서도 보이스 토크 파일의 상호 송 수신과 재생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단말장치에 설치되는 앱을 이용하여 음성메시지를 제어하는 방법을 위주로 기재되나, 반드시 앱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발신자 단말장치(100)와,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200)와, 수신자 단말장치(300)로 이루어진다.
발신자 단말장치(100)는 워키토키메뉴항목을 지원하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으며, 워키토키메뉴항목을 지원하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다이얼 표시화면 또는 수신자 프로필 제공 화면 또는 수신자 선택 그룹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워키토키메뉴항목을 클릭하면 워키토키 모드로 전환 시킨 후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음성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안내하며, 생성되는 음성데이터에 발신자 정보, 수신자 정보, 음성데이터의 전송시간, 수신자가 포함된 그룹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한다.
발신자 단말장치(100)는 수신자 단말장치(300)로부터 수락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수신자 단말장치와의 접속 대기 상태에 대한 발신 대기음을 출력시킨다.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제공부(210), 워키토키모드 수락요청메시지 생성부(230), 워키토키 모드 제어부(230), 저장부(240)로 이루어진다.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제공부(2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응하여 워키토키메뉴항목을 지원하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발신자 단말장치(100)와 수신자 단말장치(300)에 제공한다.
워키토키모드 수락요청메시지 생성부(230)는 워키토키 모드를 공유하기 위해서 수신자 단말장치(300)에 음성데이터와 함께 전송되는 워키토키모드 수락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워키토키 모드 제어부(230)는 발신자 단말장치(100)로부터 음성데이터를 제공받아 워키토키모드 수락요청메시지와 함께 수신자 단말장치(300)에 전송하고, 수신자 단말장치(300)의 수락신호를 전달받아 발신자 단말장치(100)와 수신자 단말장치(300)간의 워키토키 모드 세션을 제어한다.
저장부(240)는 송수신된 음성데이터를 저장하며, 발신자 단말장치(100)와 수신자 단말장치(300)의 녹취목록에 음성데이터를 연결시켜 저장하고 있으며, 워키토키 모드 제어부(230)는 발신자 또는 수신자의 조작에 따라 저장부(240)에 저장된 녹취목록 및 음성데이터를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새로 설치한 단말장치 또는 녹취목록 및 음성데이터가 별도로 저장되어 있지 않은 단말장치에 녹취목록 및 음성데이터를 다운로드시켜 필요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200)는 수신자 단말장치(300)로부터 수락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발신자 단말장치(100)가 접속 대기 상태에 대한 발신 대기음 제공하여 출력한다.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200)는 수신자 단말장치(300)로부터 수락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발신자 단말장치(100)가 접속 대기 상태에 대한 발신 대기음을 출력시키도록 한다.
수신자 단말 장치(300)는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워키토키모드 수락요청메시지와 음성데이터를 수신하며, 워키토키모드 수락요청메시지에 응하여 수락신호를 입력하면 현재 모드를 워키토키 모드로 전환시킨 후 수신이 완료된 음성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며, 수신자의 조작에 따라 녹취 기능이 설정되면 음성데이터의 전송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작성되는 워키토키 녹취목록을 생성하고 녹취목록에 음성데이터를 연결시켜 저장하고, 수신자의 조작에 따라 녹취목록 중 하나의 목록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음성데이터가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제공된다. 또는 수신자 단말장치(300)는 수신자의 조작에 따라 녹취목록이 전체 또는 일부 선택되는 경우 시간 순으로 이어지는 음성신호가 출력된다. 이러한 과정은 발신자 단말장치(100)에서도 동일하게 수행된다.
수신자 단말 장치(300)는 워키토키모드 수락요청메시지에 대한 수락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발신자 단말장치와의 접속 대기 상태를 수신 알림신호로 알려주며, 워키토키모드 수락요청메시지에 대한 수락신호 또는 거절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수신 알람신호를 출력한다.
수신자 단말장치(300)에 설치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은 수신자의 조작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입력되지 않으면 현재 모드를 슬리핑(sleeping) 모드로 전환시키고 슬리핑 모드에서 워키토키 모드가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수신자 단말장치(300)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은 수신자 단말장치(300)의 이어폰 커넥터에 이어폰 잭이 연결되어 있는지를 체크한 후 이어폰에 구비된 통화버튼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워키토키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수신자가 말하는 음성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변환시켜 발신자 단말장치(100) 및 그 밖의 다른 수신자 단말장치(300)로 전송되도록 한다.
그리고 수신자 단말장치(300)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은 통화버튼 선택신호가 다시 한번 입력되면 현재 모드를 워키토키 발신모드에서 슬리핑 모드에서의 워키토키 수신모드로 전환시킨다.
이러한 동작원리는 자동차의 핸즈프리장치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운전자(수신자)가 자동차의 핸즈프리장치에 수신자 단말장치(300)인 스마트폰을 장착시킨 후 워키토키 모드에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스마트폰이 슬리핑 모드에서 전환되나, 워키토키 모드는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발신자 단말장치(100)나 그 밖의 다른 수신자 단말장치(300)에서 수신되는 음성데이터를 수신받아 재생시킨다. 이 경우도 이어폰과 마찬가지로 핸즈프리에 구비된 통화버튼을 누르게 되는 경우 워키토키 모드가 활성화되어 음성신호를 발신할 수도 있고 수신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발신자 단말장치(100)는 발신자의 조작에 따라 수신자 정보가 선택되면 이를 저장(S110)하고, 발신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다이얼 표시화면 또는 수신자 프로필 제공 화면 또는 수신자 선택 그룹화면을 제공(S111)한다. 여기서 수신자 정보는 수신자 전화번호, 수신자 전화번호에 연결되어 발행된 가상번호, 수신자가 포함된 그룹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다이얼 표시화면 또는 수신자 프로필 제공 화면 또는 수신자 선택 그룹화면은 워키토키 메뉴항목을 포함하고 있다.
발신자 단말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워키토키 메뉴항목이 선택되면 현재 모드를 워키토키 모드로 전환(S120)시킨 후 음성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121)하여 음성신호가 입력될 경우 음성신호를 음성데이털 변환(S130)시킨 후 발신자 정보, 수신자 정보, 음성데이터의 전송시간, 수신자가 포함된 그룹정보 등을 포함시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발신자 단말장치(100)는 수신자 단말장치(300)로부터 워키토키모드 수락요청메시지에 대한 수락신호가 수신(S141)될 때까지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발신 대기음 또는 저장된 발신 대기음을 출력(S140)한다.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200)는 음성데이터를 전송받아 워키토키모드 수락요청메시지를 생성(S240)하며, 워키토키모드 수락요청메시지와 음성데이터를 수신자 단말장치(300)로 전송한다.
수신자 단말장치(300)는 워키토키모드 수락요청메시지와 음성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 알람신호를 출력(S351)하여 수신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수신 알림신호는 수락요청메시지에 대응 수신자의 수락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지속(S350)되며, 이때 발신자 단말장치(100)는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발신 대기음을 출력한다.
수신자 단말장치(300)는 워키토키모드 수락요청메시지에 대한 수신자의 조작에 따라 수락신호 또는 거절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신 알람신호를 출력한다.
수신자 단말장치(300)는 수신자의 조작에 따라 수락신호가 입력되면 이 수락신호를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하는 한편 현재 모드를 워키토키 모드로 전환(S360)하여 저장 완료된 음성데이터를 음성신호로 출력(S361)한다.
그리고 수신자 단말장치(3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녹취 기능이 설정되면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데이터를 전송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저장되는 워키토키 녹취목록을 생성시키고, 이 워키토키 녹취목록에 음성데이터를 연결시켜 저장되도록 한다. 이러한 녹취기능은 발신자 단말장치(100)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녹취목록 생성 프로세스 또한 수신자 단말장치(300)에서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렇게 발신자 단말장치(100) 및 수신자 단말장치(300), 또는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200), 또는 발신자 단말장치(100) 및 수신자 단말장치(300) 및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200)에 녹취목록이 생성되어 저장되면, 필요시 발신자 또는 수신자는 목록으로부터 원하는 시점의 음성데이터만 선택하여 재생시켜 들을 수 있으며, 녹취목록 중 일정 그룹 또는 복수개의 음성데이터를 선택하면 시간순으로 음성데이터를 재생시켜 음성신호로 출력시킨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참조 도면이다.
먼저, 도 4는 발신자 단말장치(100)에서 프로필 화면(110)을 통해 수신자 정보를 저장하고 워키토키메뉴항목(140)을 선택하여 음성데이터를 저장된 수신자 정보에 연결시켜 전송하는 일 예에 대한 참조 도면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발신자 단말장치(100)는 수신자 단말장치(300)로부터 수락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수신자 단말장치(300)와의 접속 대기 상태에 대한 발신 대기음을 출력시킨다. 그리고 수신자 단말장치(300)는 워키토키 모드 공유를 신청한 발신자 정보를 포함한 워키토키 수락요청메시지를 화면(310)상에 출력한다. 이때 워키토키 수락요청메시지에는 수락신호 입력버튼(340)과 거절신호 입력버튼(350)이 포함되어 있다.
도 5는 발신자 단말장치(100)에서 다이얼 화면(120)을 통해 수신자 정보를 저장하고 워키토키메뉴항목(140)을 선택하여 음성데이터를 저장된 수신자 정보에 연결시켜 전송하는 일 예에 대한 참조 도면을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발신자 단말장치(100)는 수신자 단말장치(300)로부터 수락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수신자 단말장치(300)와의 접속 대기 상태에 대한 발신 대기음을 출력시킨다. 그리고 수신자 단말장치(300)는 워키토키 모드 공유를 신청한 발신자 정보를 포함한 워키토키 수락요청메시지를 화면(320)상에 출력한다. 이때 워키토키 수락요청메시지에는 수락신호 입력버튼(340)과 거절신호 입력버튼(350)이 포함되어 있다.
도 6은 발신자 단말장치(100)에서 그룹선택 화면(130)을 통해 개인 또는 여러 사람을 선택하여 수신자 그룹정보를 저장하고 워키토키메뉴항목(140)을 선택하여 음성데이터를 저장된 수신자 정보에 연결시켜 전송하는 일 예에 대한 참조 도면을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발신자 단말장치(100)는 수신자 단말장치(300)로부터 수락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수신자 단말장치(300)와의 접속 대기 상태에 대한 발신 대기음을 출력시킨다. 그리고 수신자 단말장치(300)는 워키토키 모드 공유를 신청한 발신자 정보를 포함한 워키토키 수락요청메시지를 화면(330)상에 출력한다. 이때 워키토키 수락요청메시지에는 수락신호 입력버튼(340)과 거절신호 입력버튼(350)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발신자 단말장치(100)의 그룹선택 화면(130)과 수신자 단말장치(300)의 발신자 그룹정보 화면(330)에서 그룹에 포함된 일부 수신자로부터 수락신호가 입력될 경우 워키토키 모드 세션 상태를 연결 중이거나 연결되거나 연결거부로 표시하여 발신자와 수신자가 실시간으로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음성신호 입력에 따른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참조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자 단말장치(100)는 워키토키 모드에서 음성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음성신호 입력영역을 표시하고 음성신호 입력영역이 터치 상태일 때, 사용자의 음성신호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를 생성하며 음성신호 입력영역이 터치-오프(Touch-Off)될 때, 음성데이터 생성을 중단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설정된 수신자 정보에 연결시켜 전송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녹취목록 작성에 따른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참조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설정되는 녹취 기능에 의해 발신자 단말장치(100)와 수신자 단말장치(300) 사이에 송수신되는 음성데이터에 연결되어 음성데이터가 전송되는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녹취목록이 생성된다. 이러한 녹취목록은 녹취기능을 선택한 단말장치에서만 생성되거나 선택한 단말장치 및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200)에 생성되어 저장된다. 이때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200)에는 녹취기능이 선택된 단말장치가 발신자 단말장치(100)인지 또는 수신자 단말장치(300)인지의 여부에 따라 발신자 단말장치 녹취목록과 수신자 단말장치 녹취목록을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이때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200)에 저장된 녹취목록을 통해 음성신호를 확인하거나 또는 다운로드받고자 하는 경우 본인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거쳐 제공받을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생성된 녹취목록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대화내용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대화내용에 연결된 음성데이터를 음성신호로 출력하며, 음성신호에 대한 재생이 완료되면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다음 음성신호가 이어서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장치 등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파일이 포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장치, 멀티미디어 네트워크 서비스서버 등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 및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 및 설치한 스마트 카드 등의 외장 메모리가 화면을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등에 장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발신자 단말장치 110 : 프로필 화면
120 : 다이얼 화면 130 : 그룹선택 화면
140 : 워키토키메뉴항목 160 : 발신자 단말장치 녹취목록
200 :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300 : 수신자 단말장치
310 : 발신자 프로필정보 화면 320 : 발신자 다이얼정보 화면
330 : 발신자 그룹정보 화면 340 : 수락신호 입력버튼
350 : 거절신호 입력버튼 360 : 수신자 단말장치 녹취목록

Claims (17)

  1. 워키토키메뉴항목을 지원하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워키토키 모드를 공유할 수신자가 선택되고 상기 워키토키메뉴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워키토키 모드로 전환 시킨 후 입력된 음성신호에 대한 음성데이터를 전송하는 발신자 단말장치;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발신자 단말장치와 수신자 단말장치에 제공하며, 상기 음성데이터를 제공받아 워키토키모드 수락요청메시지와 함께 상기 수신자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워키토키모드 수락요청메시지와 상기 음성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워키토키모드 수락요청메시지에 응하여 수락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모드를 상기 워키토키 모드로 전환 시키고 상기 음성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수신자 단말장치;
    를 포함하는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단말장치는
    다이얼 표시화면 또는 상기 수신자 프로필 제공 화면을 통해 상기 워키토키메뉴항목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단말장치는
    상기 수신자 단말장치로부터 수락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상기 수신자 단말장치와의 접속 대기 상태에 대한 발신 대기음을 발생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 단말장치는
    상기 워키토키모드 수락요청메시지에 대한 상기 수락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상기 발신자 단말장치와의 접속 대기 상태를 수신 알림신호로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알림신호는
    상기 워키토키모드 수락요청메시지에 대한 상기 수락신호 또는 거절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단말장치는
    상기 음성데이터에 상기 발신자 정보, 상기 수신자 정보, 상기 음성데이터의 전송시간, 상기 수신자가 포함된 그룹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상기 수신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단말장치 또는 상기 수신자 단말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데이터를 저장시킨 후 수신이 완료되는 시점에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단말장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또는 상기 수신자 단말장치는
    상기 발신자 또는 상기 수신자의 조작에 따라 녹취 기능이 설정되면 송수신되는 상기 음성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음성데이터에 연결되어 전송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작성되는 워키토키 녹취목록을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 단말장치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은 수신자의 조작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입력되지 않으면 현재 모드를 슬리핑(sleeping) 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슬리핑 모드에서 워키토키 모드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10. 발신자 단말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수신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 단말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워키토키 메뉴항목이 선택되면 현재 모드를 워키토키 모드로 전환 시킨 후 음성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 단말장치는 상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변환시킨 후 상기 저장된 수신자 정보에 연결시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 단말장치는 상기 수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수신자 단말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자 단말장치는 상기 수신자 단말장치로부터 음성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음성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 정보는 상기 수신자 전화번호, 상기 수신자 전화번호에 연결되어 발행된 가상번호, 상기 수신자가 포함된 그룹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데이터는 상기 수신자 정보, 수신자가 포함된 그룹정보, 상기 음성데이터의 전송시간, 발신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단말장치는
    상기 수신자 정보를 다이얼 표시화면 또는 상기 수신자 프로필 제공화면을 통해 화면상에 출력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상기 수신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단말장치는
    상기 수신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워키토키 모드를 공유하기 위한 수락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상기 수신자 단말장치와의 접속 대기 상태에 대한 발신 대기음을 발생시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단말장치는
    상기 수신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음성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녹취 기능이 설정되면 상기 음성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음성데이터에 연결되어 전송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작성되는 워키토키 녹취목록을 함께 저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 단말장치는
    수신자의 조작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입력되지 않으면 현재 모드를 슬리핑(sleeping) 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슬리핑 모드에서 워키토키 모드가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17. 제 10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140060473A 2014-05-20 2014-05-20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673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473A KR101673324B1 (ko) 2014-05-20 2014-05-20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473A KR101673324B1 (ko) 2014-05-20 2014-05-20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545A true KR20150133545A (ko) 2015-11-30
KR101673324B1 KR101673324B1 (ko) 2016-11-08

Family

ID=54867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0473A KR101673324B1 (ko) 2014-05-20 2014-05-20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3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1444A (ko) 2019-03-19 2020-09-29 주식회사 와우인포텍 로컬 무선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893A (ko) 2002-03-13 2003-09-19 박종태 무선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실시간 음성정보 전송 방법
KR20060011640A (ko) * 2004-07-30 2006-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Ptt통화내용 저장 및 재생방법
KR20060046997A (ko) * 2004-11-12 2006-05-1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그룹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화 연결음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060105900A (ko) * 2005-04-01 2006-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푸시-투-토크 단말기의 오디오 저장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893A (ko) 2002-03-13 2003-09-19 박종태 무선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실시간 음성정보 전송 방법
KR20060011640A (ko) * 2004-07-30 2006-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Ptt통화내용 저장 및 재생방법
KR20060046997A (ko) * 2004-11-12 2006-05-1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그룹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화 연결음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060105900A (ko) * 2005-04-01 2006-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푸시-투-토크 단말기의 오디오 저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324B1 (ko) 201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0116B2 (en) Duplex audio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ccessory
US8797999B2 (en) Dynamically adjustable communications services and communications links
US8548509B2 (en)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ally generating and sending text messages
US8169462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storing video chatting lo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40273974A1 (en) Handling multiple voice calls in multiple sim mobile phone
CN113411793A (zh) 一种蓝牙通信的方法及终端
CN102132543A (zh) 多电话环境中的远程用户接口
JP2013511194A (ja) モバイル端末機、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914117B1 (ko) 휴대 단말들 간에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43641B1 (ko) 통신 기능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20136552A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CN105657868A (zh) 移动终端及其接口控制方法
CN105208089A (zh) 信息显示方法、装置及系统
CN105704106B (zh) 一种可视化ivr实现方法及移动终端
KR20110039672A (ko) 휴대용 단말기의 디엘엔에이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1673324B1 (ko)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6184589B2 (ja) 携帯端末のボイストーク制御方法
US8385962B1 (en) Push-to-talk voice messages
KR10072492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PTT(Push―To―Talk)방식의 통화 알림 장치및 방법
CN210380947U (zh) 一种分布式通话装置
KR20110108503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5677292A (zh) 一种wifi无损音乐播放器控制方法及系统
KR101945174B1 (ko) Ptt 통신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1400762B1 (ko) 통화 중 메세지 송수신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CN111866293B (zh) 移动终端及通信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