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3466A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33466A KR20150133466A KR1020140060216A KR20140060216A KR20150133466A KR 20150133466 A KR20150133466 A KR 20150133466A KR 1020140060216 A KR1020140060216 A KR 1020140060216A KR 20140060216 A KR20140060216 A KR 20140060216A KR 20150133466 A KR20150133466 A KR 201501334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era
- mobile terminal
- gesture
- covering
- inpu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동작 모드를 변경하거나 기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는, 사진 촬영을 위한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이동 단말기가 제 1 동작 모드에서 제 2 동작 모드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카메라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동작 모드를 변경하거나 기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기능의 지지를 위해, 이동 단말기에는 카메라가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동 단말기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기초로 사진을 촬영하거나 동영상을 촬영함으로써,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이동 단말기에 포함되어 있는 카메라는 비디오 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 장치로써의 역할밖에 수행하지 못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하나의 입력 장치로서 가정하고, 카메라가 입력 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의 이동 단말기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편의를 증진시킨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카메라를 가리는 제스처를 기초로 동작 상태를 변경하거나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진 촬영을 위한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이동 단말기가 제 1 동작 모드에서 제 2 동작 모드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카메라를 가리는 제스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를 가리는 제스처에 대한 응답으로, 이동 단말기를 제 1 동작 모드에서 제 2 동작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의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 편의를 증진시킨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카메라를 가리는 제스처를 기초로 동작 상태를 변경하거나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를 가리는 제스처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카메라를 가리는 제스처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변환되는 과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진동 모드 및 음향 출력 모드 사이의 변환이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절전 모드 및 일반 모드 사이의 변환이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카메라를 가리는 제스처를 통해 소정의 기능이 실행되는 과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카메라를 가리는 제스처에 대한 응답으로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 사이의 전환 동작이 실행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카메라를 가리는 제스처에 대한 응답으로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상태를 조절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카메라를 가리는 제스처에 대한 응답으로 홈 스크린 화면이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를 가리는 제스처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카메라를 가리는 제스처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변환되는 과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진동 모드 및 음향 출력 모드 사이의 변환이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절전 모드 및 일반 모드 사이의 변환이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카메라를 가리는 제스처를 통해 소정의 기능이 실행되는 과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카메라를 가리는 제스처에 대한 응답으로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 사이의 전환 동작이 실행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카메라를 가리는 제스처에 대한 응답으로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상태를 조절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카메라를 가리는 제스처에 대한 응답으로 홈 스크린 화면이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구성요소 중, 카메라(121), 감지부(140), 디스플레이부(151) 및 제어부(180)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단일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도 있고,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전면 카메라(121a) 및 후면 카메라(121b) 등 둘 이상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도 있다. 후술되는 실시예에서, '카메라(121)'라고 기재한 것은, 카메라(121)가 이동 단말기(100)의 전방에 노출되었는지 또는 후방에 노출되었는지를 불문하고 적용될 수 있는 실시예라 할 것이다. 카메라(121)의 노출 위치가 유의미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면 카메라(121a)' 및 '후면 카메라(121b)'처럼 카메라(121)의 노출 위치를 직접적으로 가리키는 접두어를 사용하거나, '제 1 카메라(121)' 및 '제 2 카메라(121)'처럼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복수의 카메라(121)를 간접적으로 구분하는 접두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에 대한 응답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를 변환시키거나,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먼저, 이동 단말기(100)의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의 입력예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이동 단말기(100)의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후면 카메라(121b)를 가리는 제스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쥔 채로 포인터(예컨대, 손가락)를 통해 후면 카메라(121b)를 가리면, 제어부(180)는 후면 카메라(121b)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분석하거나, 후면 카메라(121b)와 인접한 센서(예컨대, 근접 센서)(이하, 인접 센서라 함)(141a)가 포인터를 감지한 신호를 기초로, 후면 카메라(121b)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후면 카메라(121b)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전체가 갑자기 어두워 지거나, 인접 센서(141a)가 포인터를 발견하는 경우에 있어서, 후면 카메라(121b)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후면 카메라(121b)가 지면에 맞닿는 방향으로, 이동 단말기(100)를 지면에 올려 놓는다면, 사용자가 포인터로 후면 카메라(121b)를 가리는 동작이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후면 카메라(121b)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전체가 갑자기 어두워 지거나, 인접 센서(141a) 주변에 물체가 발견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오입력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180)는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쥐고 있는 상태에서 후면 카메라(121b)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이 갑자기 어두워 지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쥐고 있는 상태에서 인접 센서(141a)가 물체를 발견한 경우에 한하여 후면 카메라(121b)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감지부(140)(예컨대, 그립 센서 또는 압력 센서 등)의 감지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쥐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후면 카메라(121b)와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는 센서(예컨대, 근접 센서)(이하, 원격 센서라 함)(141b)를 통해 후면 카메라(121b)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일예로, 제어부(180)는 도 2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후면 카메라(121b)가 가려졌을 때, 원격 센서(141b)가 자신을 가리는 물체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라면, 후면 카메라(121b)가 포인터에 의해 가려진 것으로 판단하는 반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후면 카메라(121b)가 가려졌을 때, 원격 센서(141b)가 자신을 가리는 물체를 감지한 경우라면, 제어부(180)는 후면 카메라(121b)를 가리는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된 것이 아니라, 이동 단말기(100)가 지면에 놓인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후면 카메라(121b)가 가려졌을 때, 원격 센서(141b)가 물체를 감지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후면 카메라(121b)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전면 카메라(121a)를 가리는 제스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쥔 채로 포인터(예컨대, 손가락)를 통해 전면 카메라(121a)를 가리면, 제어부(180)는 전면 카메라(121a)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분석하거나, 전면 카메라(121a)와 인접한 센서(예컨대, 근접 센서)(이하, 인접 센서라 함)(141a)가 포인터를 감지한 신호를 기초로, 후면 카메라(121b)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어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앞서 후면 카메라(121b)를 가리는 제스처와 마찬가지로,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쥐고 있는 상태에서 전면 카메라(121a)가 가려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전면 카메라(121a)가 가려질 때 전면 카메라(121a)와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는 센서(141b)는 물체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에 전면 카메라(121a)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 각각의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100)가 인접 센서(141a) 및 원격 센서(141b)를 모두 구비하고 있다면, 인접 센서(141a)는 원격 센서(141b)보다 카메라(121)에 더욱 가까이 위치하여야 할 것이다.
다만, 인접 센서(141a) 및 원격 센서(141b)가 반드시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어야 하는 것도 아니라 할 것이다. 예컨대, 카메라(121)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통해 카메라(121)가 가려졌는지를 판단하는 경우라면, 인접 센서(141a)는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을 것이고, 원격 센서(141b)의 감지 신호와 무관하게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경우라면, 원격 센서(141b)는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카메라(121)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카메라(121)가 가려졌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카메라(121)가 상시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카메라(121)와 인접 위치하는 인접 센서(141a)가 물체를 감지하는 경우에 한하여, 카메라(121)가 온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이하의 도면들에서는 편의를 위해, 인접 센서(141a) 및 원격 센서(141b)의 표시는 생략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를 변환시키거나, 소정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후술되는 동작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가 변환되는 과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가 감지되면(S401),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가 변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02).
여기서,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에 따라, 진동 모드 및 음향 출력 모드 사이의 변환이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기(100)가 절전 모드 및 일반 모드 사이의 변환이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5는 진동 모드 및 음향 출력 모드 사이의 변환이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진동 모드란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한 이벤트(예컨대, 메시지 수신, 인커밍 콜 수신, 또는 버튼을 누르는 것 등)에 대한 피드백으로 진동을 출력하도록 설정된 상태이고, 음향 출력 모드란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피드백으로 음향이 출력되도록 설정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음향 출력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5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카메라(121)(도 5의 (a)에서는 후면 카메라(121b)로 예시됨)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도 5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가 진동 모드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의 (a)에서는 상태 표시줄에 이동 단말기(100)가 음향 출력 모드 하에서 동작함을 지시하는 음향 출력 모드 인디케이터(510)가 출력되는 것으로 예시되었고, 도 5의 (b)에서는 상태 표시줄에 이동 단말기(100)가 진동 모드 하에서 동작함을 지시하는 진동 모드 인디케이터(520)가 출력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도 5의 (a) 및 (b)의 역순으로, 이동 단말기(100)가 진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가 음향 출력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절전 모드 및 일반 모드 사이의 변환이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절전 모드란 이동 단말기(100)의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상태로, 절전 모드에 진입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요소 중 일부는 꺼질 수 있다. 대표적으로, 이동 단말기(100)가 절전 모드로 상태에 진입하면, 디스플레이부(151)가 오프될 수 있다. 일반 모드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조작하는 통상적인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 모드 상태에서는 절전 모드 상태에 진입함에 따라 오프되는 구성요소가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이동 단말기(100)가 일반 모드 상태에 진입하면 디스플레이부(151)는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일반 모드 하에서 운용되는 동안, 도 6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카메라(121)(도 6의 (a)에서는 전면 카메라(121a)로 예시됨)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도 6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가 절전 모드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의 (b)에서는 이동 단말기(100)가 절전 모드로 변경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도 6의 (a) 및 (b)의 역순으로, 이동 단말기(100)가 절전 모드로 운용되는 동안,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가 일반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에서는 음향 출력 모드 및 진동 모드 사이의 변환을 위한 제스처가 후면 카메라(121b)를 가리는 것으로 예시하였고, 도 6에서는 절전 모드 및 일반 모드 사이의 변환을 위한 제스처가 전면 카메라(121a)를 가리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도시된 예와 반대로, 전면 카메라(121a)를 가리는 경우 음향 출력 모드 및 진동 모드 사이의 변환이 수행되고, 후면 카메라(121b)를 가리는 경우 일반 모드 및 절전 모드 사이의 변환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의 발생 횟수,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가 유지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가 변환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일예로, 제어부(180)는 카메라(121)(전면 카메라(121a) 또는 후면 카메라(121b))를 가리는 제스처가 N회(N은 자연수) (연속) 발생한 경우에는 음향 출력 모드 및 진동 모드 사이의 변환을 수행하고, 카메라(121)(전면 카메라(121a) 또는 후면 카메라(121b))를 가리는 제스처가 M회(M은 N과 다른 자연수) (연속) 발생한 경우에는 절전 모드 및 진동 모드 사이의 변환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카메라(121)(전면 카메라(121a) 또는 후면 카메라(121b))를 가리는 제스처가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는 음향 출력 모드 및 진동 모드 사이의 변환(또는 절전 모드 및 진동 모드 사이의 변환)을 수행하고,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가 소정 시간보다 짧게 유지되는 경우에는 절전 모드 및 진동 모드 사이의 변환(또는 음향 출력 모드 및 진동 모드 사이의 변환)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7은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를 통해 소정의 기능이 실행되는 과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가 감지되면(S701), 제어부(180)는 소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702).
여기서, 소정 기능이란, 전면 카메라(121a) 및 후면 카메라(121b) 사이의 전환,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의 제어, 홈 스크린 화면으로 이동 등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수행될 수 있는 다양한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에 대한 응답으로 실행될 기능들은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일예로, 사진 촬영을 위한 카메라(12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라면,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에 의해 전면 카메라(121a) 및 후면 카메라(121b) 사이의 전환 동작이 실행될 수 있고, 멀티미디어 파일이 재생 중 이라면,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에 의해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의 제어(예컨대, Play, Pause 등의 조절)가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에 대한 응답으로 전면 카메라(121a) 및 후면 카메라(121b) 사이의 전환 동작이 실행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8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후면 카메라(121b)는 나무를 촬영하도록 놓여 있고, 전면 카메라(121a)는 인물을 촬영하도록 놓여 있는 상태라 가정한다.
사진 촬영을 위한 카메라(12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어부(180)는 후면 카메라(121b) 또는 전면 카메라(121a)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중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도 8의 (b)에서는 후면 카메라(121b)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후면 카메라(121b)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이 출력되는 동안, 도 8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도 8의 (b)에서는 후면 카메라(121b)를 가리는 제스처로 예시됨)가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도 8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이 후면 카메라(121b)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에서 전면 카메라(121a)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의 (b) 및 (c)에 도시된 것과 역순으로, 전면 카메라(121a)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이 출력되는 동안,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이 전면 카메라(121a)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에서 후면 카메라(121b)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으로 전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의 (b)에서는 후면 카메라(121b)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전환(즉, 후면 카메라(121b)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이 전면 카메라(121a)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으로 전환됨)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전면 카메라(121a)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전환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도 8의 (b) 및 (c)에서는 카메라(121)를 1회 가리는 제스처에 의해 영상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카메라(121)가 복수회 가려지는 제스처 또는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가 소정 시간 지속되는 경우에 한하여 영상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전면 카메라(121a) 및 후면 카메라(121b) 중 현재 활성화 상태인 카메라(121)(또는 비활성화 상태인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어야만 영상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일예로, 후면 카메라(121b)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라면(즉, 후면 카메라(121b)가 활성화 상태에 있음), 후면 카메라(121b)를 가리는 제스처(또는 전면 카메라(121a)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어야만 영상의 전환(즉, 디스플레이부(151)의 출력이 후면 카메라(121b)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에서 전면 카메라(121a)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으로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전면 카메라(121a)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라면(즉, 전면 카메라(121a)가 활성화 상태에 있음), 전면 카메라(121a)를 가리는 제스처(도는 후면 카메라(121b)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어야만 영상의 전환(즉, 디스플레이부(151)의 출력이 전면 카메라(121a)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에서 후면 카메라(121b)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으로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에도,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는, 카메라(121)를 1회 가리는 제스처뿐만 아니라, 카메라(121)를 복수회 가리는 제스처 또는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가 소정 시간 지속되는 경우 일 수도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의 형태에 따라 활성화하고자 하는 카메라(121)가 선택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일예로, 제 1 카메라(121) 및 제 2 카메라(121) 중 적어도 하나를 N회(N은 자연수) (연속)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에는 제 1 카메라(121)를 활성화 하고, 제 1 카메라(121) 및 제 2 카메라(121) 중 적어도 하나를 M회(M은 N과 다른 자연수) (연속)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에는 제 2 카메라(121)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전면 카메라(121a) 및 후면 카메라(121b) 중 활성화 되지 않은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사진이 촬영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일예로, 제어부(180)는 전면 카메라(121a)가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후면 카메라(121b)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전면 카메라(121a)를 이용하여 사진이 촬영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후면 카메라(121b)가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면 카메라(121a)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후면 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사진이 촬영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에 대한 응답으로, 촬영 모드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일예로, 제어부(180)는 사진을 촬영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동영상을 촬영하도록 설정하고, 동영상을 촬영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사진을 촬영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9는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에 대한 응답으로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상태를 조절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은, 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 문서 파일 및 이미지 파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문서 파일이나 이미지 파일은 슬라이드 쇼 형태로 재생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9에서는 멀티미디어 파일이 동영상 파일인 것으로 가정한다.
동영상 파일이 재생되는 동안 도 9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도 9의 (a)에서는 후면 카메라(121b)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된 것으로 예시됨)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도 9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동영상 파일이 일시 중지(Pause)(또는 정지(stop))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된 예와 반대로, 동영상 파일의 재생이 일시 중지(또는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동영상 파일의 재생이 재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9의 (a) 에서는 후면 카메라(121b)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에 있어서, 동영상의 재생 상태가 변경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전면 카메라(121a)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에 동영상의 재생 상태가 변경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180)는 전면 카메라(121a)가 가려지는 경우와 후면 카메라(121b)가 가려지는 경우를 구분하여, 전면 카메라(121a)가 가려지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제 1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후면 카메라(121b)가 가려지는 경우는 제 2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일예로, 후면 카메라(121b) 및 전면 카메라(121a)를 가리는 제스처 중 어느 하나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과 매핑되어 있을 수 있고, 다른 하나는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의 일시 중지(또는 정지)와 매핑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후면 카메라(121b)를 가리는 제스처가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과 매핑되어 있고, 전면 카메라(121a)를 가리는 제스처가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의 일시 중지(또는 정지)와 매핑되어 있다면,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중에는 후면 카메라(121b)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어도 아무런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 반면 전면 카메라(121a)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이 일시 중지(또는 중단)될 수 있을 것이다.
도 9의 (a) 및 (b)에서는 카메라(121)를 가림으로써 수행되는 제어 동작이 동영상의 재생 상태를 조절하는 것인 것으로 예시되었다. 이와 달리,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에 대한 응답으로 재생 파일의 변경(예컨대, 다음 재생 파일 또는 이전 재생 파일로의 이동)(슬라이드 쇼 재생의 경우는 다음 페이지 혹은 이전 페이지로의 이동), 재생 속도의 변경 등의 제어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면 카메라(121a) 및 후면 카메라(121b) 중 어느 하나를 가리는 제스처는 다음 재생 파일로의 이동 또는 재생 속도를 증가하는 것과 매핑되어 있을 수 있고, 다른 하나를 가리는 제스처는 이전 재생 파일로의 이동 또는 재생 속도를 감소하는 것과 매핑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카메라(121)가 가려지는 횟수에 따라 수행되는 제어 동작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일예로, 카메라(121)(전면 카메라(121a) 또는 후면 카메라(121b))가 N회(N은 자연수) (연속) 가려지는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재개 및 일시 중지(또는 정지) 동작을 수행하고, 카메라(121)(전면 카메라(121a) 또는 후면 카메라(121b))가 M회(M은 N과 다른 자연수) (연속) 가려지는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재생 파일의 변경 또는 재생 속도의 변경 등의 제어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에 대한 응답으로 홈 스크린 화면이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홈 스크린 화면이란 사용자에게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화면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이 켜진 뒤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잠금이 해제되었을 때 나타나는 최초의 화면 또는 홈 버튼을 눌렀을 때 표시되는 화면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포어그라운드 상태로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도 10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면(도 10의 (a)에서는 후면 카메라(121b)가 가려진 것으로 예시됨), 제어부(180)는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 상태로 전환하고 도 10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홈 스크린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를 통해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 조합된 채로 적용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180)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도 8 내지 도 10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가 적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12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태라면,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에 의해 도 8을 통해 설명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고,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태(또는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멀티미디어 파일이 재생되고 있는 상태)라면,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에 의해 도 9을 통해 설명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며, 카메라(121) 어플리케이션이나 멀티미디어 파일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외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태라면,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에 의해 도 10를 통해 설명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로, 카메라(12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도 8 및 도 10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되거나, 멀티미디어 파일이 재생 중인 상태에서 도 9 및 도 10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때, 도 8 및 도 9을 통해 설명한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와 도 10를 통해 설명한 카메라(121)를 가리는 제스처는 그 횟수 또는 유지 시간 등에 차이를 둘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동작 흐름도)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이동 단말기
121 : 카메라
140 : 감지부
151 : 디스플레이부
180 : 제어부
121 : 카메라
140 : 감지부
151 : 디스플레이부
180 : 제어부
Claims (9)
- 사진 촬영을 위한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이동 단말기가 제 1 동작 모드에서 제 2 동작 모드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카메라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와 인접한 제 1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센서를 가리는 포인터가 감지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 1 센서보다 상기 카메라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 2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센서를 가리는 포인터가 감지되었으나 상기 제 2 센서는 가려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카메라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를 쥐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가 가려졌을 때, 상기 카메라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작 모드 및 상기 제 2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는 음향 출력 모드, 다른 하나는 진동 모드이거나,
상기 제 1 동작 모드 및 상기 제 2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는 절전 모드, 다른 하나는 일반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이동 단말기의 전방을 촬영하기 위한 전면 카메라;
상기 이동 단말기의 후방을 촬영하기 위한 후면 카메라;
상기 전면 카메라 및 상기 후면 카메라 중 활성화 되어 있는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전면 카메라 및 상기 후면 카메라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 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전면 카메라 또는 상기 후면 카메라를 가리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전면 카메라 및 상기 후면 카메라 중 다른 하나가 활성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카메라를 가리는 제스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를 가리는 제스처에 대한 응답으로, 이동 단말기를 제 1 동작 모드에서 제 2 동작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 중 활성화 되어 있는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전면 카메라 및 상기 후면 카메라 중 어느 하나를 가리는 제스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스처에 대하느 응답으로 상기 전면 카메라 및 상기 후면 카메라 중 비활성화 상태인 다른 하나를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0216A KR20150133466A (ko) | 2014-05-20 | 2014-05-20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0216A KR20150133466A (ko) | 2014-05-20 | 2014-05-20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3466A true KR20150133466A (ko) | 2015-11-30 |
Family
ID=54867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60216A KR20150133466A (ko) | 2014-05-20 | 2014-05-20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133466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217648A3 (en) * | 2016-02-19 | 2017-11-29 |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 Imaging apparatus, imaging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CN114554069A (zh) * | 2020-11-24 | 2022-05-27 |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 终端及其任务运行方法和装置、存储介质 |
KR102687940B1 (ko) * | 2024-04-03 | 2024-07-24 | (주)유앤아이트레이딩 | 컨트롤러의 제스처를 인지하여 절전모드로 동작되는 인터랙티브화이트보드 |
-
2014
- 2014-05-20 KR KR1020140060216A patent/KR2015013346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217648A3 (en) * | 2016-02-19 | 2017-11-29 |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 Imaging apparatus, imaging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US10200602B2 (en) | 2016-02-19 | 2019-02-05 |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 Imaging apparatus, imaging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CN114554069A (zh) * | 2020-11-24 | 2022-05-27 |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 终端及其任务运行方法和装置、存储介质 |
KR102687940B1 (ko) * | 2024-04-03 | 2024-07-24 | (주)유앤아이트레이딩 | 컨트롤러의 제스처를 인지하여 절전모드로 동작되는 인터랙티브화이트보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53487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JP7203859B2 (ja) | 画像処理方法及びフレキシブルスクリーン端末 | |
KR20170131104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US20230229254A1 (en) |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User Input | |
JP7495517B2 (ja) | 画像撮影方法と電子機器 | |
KR20180019392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034065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60131720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50142359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006515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
CN109922362A (zh) | 按键响应方法、装置及存储介质 | |
KR102446264B1 (ko) | 이동 단말기 | |
KR20200034528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70140702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80055243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80000511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023212A (ko) |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026177A (ko) | 이어폰부 | |
KR20190037844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50133466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JP7526810B2 (ja) | オーディオ出力方式の切り替え方法及び電子機器 | |
KR20160148959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068534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075579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086161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