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3310A - 배터리 교체용 리어 커버 부분 분리 구조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 Google Patents

배터리 교체용 리어 커버 부분 분리 구조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3310A
KR20150133310A KR1020140059451A KR20140059451A KR20150133310A KR 20150133310 A KR20150133310 A KR 20150133310A KR 1020140059451 A KR1020140059451 A KR 1020140059451A KR 20140059451 A KR20140059451 A KR 20140059451A KR 20150133310 A KR20150133310 A KR 20150133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attery
main body
out hole
rea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수
이은석
Original Assignee
김찬수
이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수, 이은석 filed Critical 김찬수
Priority to KR1020140059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3310A/ko
Publication of KR20150133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3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8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ortable, e.g. battery opera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13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resilient memb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43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comprising a frame housing mating with two lids wherein the PCB is flat mounted on the fram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교체용 리어 커버 부분 분리 구조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모바일 기기의 주몸체를 구성하며 배면의 배터리 수용홈(14)에는 배터리(16)가 안착된 메인 바디(10); 상기 메인 바디(10)의 배면측에서 개별적으로 개폐되는 리어 오픈커버(24)가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16)를 뒤에서 보호하도록 상기 메인 바디(10)의 배면에 결합되며, 상기 리어 오픈커버(24)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16)를 상기 메인 바디(10)로부터 꺼낼 수 있도록 하는 리어 커버(20)를 포함하며, 상기 리어 커버(20)는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가로 방향 분리 가이드선을 기준으로 리어 커버(20)와 상기 리어 오픈커버(24)가 분할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분리 가이드선에 의해 상기 리어 오픈커버(24)를 상기 리어 커버(20)로부터 개별적으로 오픈하여 상기 메인 바디(10) 배면측의 상기 배터리(16)를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교체용 리어 커버 부분 분리 구조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Mobile terminal with improved convenient battery exchange structure}
본 발명은 배터리 교체용 리어 커버 부분 분리 구조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 뒤쪽의 리어 커버 전체를 들어내지 않고 리어 커버의 일부만을 열어서 배터리 등의 교환이 가능한 새로운 배터리 교체용 리어 커버 부분 분리 구조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smart phone)와 같은 모바일 기기에는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battery)에 의해 통화가 가능하게 되는데, 이러한 배터리는 그 성능 및 잔류전압에 따라 휴대폰의 수신율과 통화거리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은 수명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성능이 저하되거나 전압이 규정치 이하로 떨어진 경우에 통상적으로 충전장치에 의해 일정한 시간 동안 전압을 공급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충전이 완료된 배터리를 재사용하게 된다.
휴대폰 등의 모바일 기기용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예를 들어 전용 충전기를 고정 전원(예를 들어, 건물에 구비된 전원 소켓 등)에 연결하고, 전용 충전기에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를 접속하는 방법이 있다.
한편, 모바일 기기의 뒤쪽을 덮어서 보호하는 리어 커버를 열고 배터리를 빼서 충전장치에 배터리를 안치시킨 상태에서 충전하는 경우도 많다. 배터리를 모바일 기기에서 빼내서 충전할 경우에는 반드시 모바일 기기 배면의 리어 커버를 분리하게 된다.
또한, 배터리는 시간이 지나면 소진되는 소모품으로서 일정 기간이 지나면 배터리를 교체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배터리를 교체할 때에도 필수적으로 모바일 기기의 리어 커버를 분리하여야 한다.
그런데, 모바일 기기에서 뒤쪽의 리어 커버를 분리하기가 쉽지 않다는 데에 문제가 있다. 리어 커버는 안쪽면에 구비된 돌기가 모바일 기기에 구비된 돌기홈에 끼워짐으로써 모바일 기기 뒤쪽을 막아서 보호하게 되어 있는데, 모바일 기기 내부의 배터리를 꺼내기 위해서 리어 커버 전체를 모바일 기기로부터 분리해서 열어주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많이 초래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최근의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는 점점 두께가 슬림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인데, 이처럼 슬림화된 모바일 기기에서 리어 커버 전체를 분리하는 작업이 더 어렵고 불편한 단점이 있다. 즉, 지금까지는 모바일 기기의 리어 커버를 부분적으로 열어서 배터리 교체 작업 등에서 편리함을 기할 수 있는 수단은 나와 있지 않은 실정이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4-0018486호(2014.02.13 공개)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30307호(2003.10.07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11-0109668호(2011.10.06 공개)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4063호(2013.07.04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에 배터리의 교체 등을 위하여 모바일 기기 뒤쪽의 리어 커버 전체를 몽땅 분리해야만 하는 실정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모바일 기기의 뒤쪽을 보호하고 있는 리어 커버 전체를 들어내지 않고 리어 커버에 형성된 배터리 교체홀에 리어 오픈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리어 오픈커버만을 열어서 배터리 등의 교체 작업이 가능하므로, 배터리 교체시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등의 여러 가지 유익한 기능이 발휘되는 새로운 배터리 교체용 리어 커버 부분 분리 구조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기기의 주몸체를 구성하며 배면의 배터리 수용홈에는 배터리가 안착된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배면측에서 결합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터리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배터리 인출홀이 구비된 리어 커버; 상기 리어 커버의 상기 배터리 인출홀을 개폐하여 상기 배터리를 뒤에서 보호하며 상기 배터리 인출홀에서 분리시 상기 배터리를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꺼낼 수 있도록 하는 리어 오픈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용 리어 커버 부분 분리 구조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가 제공된다.
상기 리어 오픈커버의 둘레부는 상기 리어 커버의 상기 배터리 인출홀의 내주면과 마주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리어 오픈커버의 둘레부는 상면에서 저면으로 갈수록 중심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슬랜팅 콘택트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리어 커의 상기 배터리 인출홀 내주면은 상면에서 저면으로 갈수록 중심부에서 바깥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슬랜팅 서포트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리어 오픈커버가 상기 메인 바디의 상기 배터리 인출홀을 막아주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슬랜팅 콘택트면이 상기 슬랜팅 서포트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어 오픈커버는 둘레부에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리어 커버의 상기 배터리 인출홀 주위의 저면에 걸려져서 상기 리어 오픈커버가 상기 배터리 인출홀을 닫아놓은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어 오픈커버의 상기 슬랜팅 콘택트면과 상기 리어 커버의 상기 슬랜팅 서포트면은 상기 리어 오픈커버에 의해 상기 배터리 인출홀을 닫아주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접촉되며, 상기 슬랜팅 콘택트면과 상기 리어 커버의 상기 슬랜팅 서포트면 중에서 하나의 면에는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면에는 걸림홈이 구비되어,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홈의 삽입 결합에 의해 상기 리어 오픈커버가 상기 리어 커버의 상기 배터리 인출홀을 막아주도록 록킹된다.
상기 리어 오픈커버와 상기 리어 커버의 상기 배터리 인출홀 사이에는 오목홈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랜팅 콘택트면과 상기 배터리 인출홀의 상기 슬랜팅 서포트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에 구비된 실링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리어 커버와 상기 리어 오픈커버의 뒤쪽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의 배면에 결합된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 커버에는 상기 리어 오픈커버에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기기에서는 배터리를 교체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기존과 달리 리어 커버 전체를 메인 바디에서 분리하는 것이 아니고 리어 오픈커버 부분만을 열어주면 리어 커버의 배터리 인출홀이 열리게 되고, 이러한 리어 오픈커버가 분리되어 열려 있는 배터리 인출홀을 통해서 배터리가 메인 바디의 배면측으로 노출되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교체 작업 등에 있어서 아주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리어 오픈커버를 닫아놓은 상태에서는 리어 커버의 경사진 슬랜팅 서포트면이 리어 오픈커버의 경사진 슬랜팅 콘택트면을 아래에서 지지하고 있으므로, 리어 오픈커버가 외부에서 누르는 힘에 의해 리어 커버 아래로 함몰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제위치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리어 오픈커버가 리어 커버에 결합되어 닫힌 상태에서 걸림돌기가 리어 오픈커버의 닫힘 상태를 견고하게 지지하므로 리어 오픈커버가 메인 바디의 배터리를 닫아서 보호하는 상태를 견실하게 유지하는 효과도 있다. 리어 오픈커버와 리어 커버의 배터리 인출홀 사이의 결합 상태를 보다 견실하게 유지하여 제품 신뢰성을 보다 높이는 것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교체용 리어 커버 부분 분리 구조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의 리어 커버와 리어 오픈커버를 분해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리어 커버와 리어 오픈커버가 결합된 모바일 기기의 배면측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종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리어 커버의 주요부인 리어 오픈커버를 열어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기기와 플립형 리어 커버 및 리어 오픈커버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주요부의 결합된 상태를 배면측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리어 오픈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기기의 리어 오픈커버와 보호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주요부인 모바일 기기와 리어 오픈커버 및 보호 커버의 결합된 상태를 배면측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교체용 리어 커버 부분 분리 구조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는 주몸체를 이루는 메인 바디(10)의 배면에 형성된 배터리 수용홈(14)에 배터리(16)가 결합되고, 메인 바디(10)의 배면에는 리어 커버(20)가 결합되되, 리어 커버(20)에는 배터리 인출홀(22)이 구비되고, 리어 커버(20)의 배터리 인출홀(22)에는 리어 오픈커버(24)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리어 오픈커버(24)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메인 바디(10)에서 배터리(16)를 꺼낼 수 있으므로, 배터리(16) 교체시 등에 편의성이 보다 향상된 것에 주요 특징이 있는 발명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 모바일 기기라 함은 스마트폰은 물론이고 배터리(16)(8)를 전원으로 하는 모든 종류의 휴대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함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상기 메인 바디(10)는 모바일 기기의 주몸체(본체)이다. 메인 바디(1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2)(액정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메인 바디(10)의 배면에는 배터리 수용홈(14)에 배터리(16)가 안착된 구조를 이룬다. 또한, 메인 바디(10)의 배면에는 유심칩(USIM chip)이 구비된다.
상기 리어 커버(20)는 메인 바디(10)(예를 들어, 스마트폰 주몸체)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는 패널 구조이다. 리어 커버(20)는 결합돌기와 돌기홈의 맞걸림 결합에 의해 메인 바디(10)의 배면측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메인 바디(10)의 둘레부를 따라 복수개의 결합홈이 구비되고, 리어 커버(20)의 안쪽면(구체적으로, 리어 커버(20)의 테두리부 안쪽면)에 결합돌기가 구비되어, 리어 커버(20)의 결합돌기가 메인 바디(10)의 결합홈에 후크식으로 맞물림 결합됨으로써 리어 커버(20)가 메인 바디(10)의 배면측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리어 커버(20)는 주로 메인 바디(10) 배면에 구비된 유심칩을 보호하게 된다. 리어 커버(20)에 구비된 카메라홀을 통해서는 카메라가 노출된다. 물론, 상기 결합돌기를 돌기홈에서 분리하면 리어 커버(20)를 필요에 따라 분리할 수도 있다.
상기 리어 커버(20)에는 배터리(16)의 설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전후면으로 관통된 배터리 인출홀(22)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배터리 인출홀(22)은 사각홀 구조이다. 이때, 리어 커버(20)의 배터리 인출홀(22) 내주면은 리어 오픈커버(24)의 둘레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리어 오픈커버(24)의 둘레부(배터리 인출홀(22)의 내주면과의 콘택트면)는 상면에서 저면으로 갈수록 중심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슬랜팅 콘택트면(24CF)으로 구성되고, 상기 리어 커버(20)의 배터리 인출홀(22) 내주면(리어 오픈커버(24)의 둘레부와 접촉되는 콘택트면)은 상면에서 저면으로 갈수록 중심부에서 바깥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슬랜팅 서포트면(22SF)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리어 오픈커버(24)가 메인 바디(10)의 배면측에서 열리지 않고 리어 커버(20)의 배터리 인출홀(22)을 닫아놓도록 결합된 상태에서는 리어 오픈커버(24)의 둘레부에 슬랜팅 콘택트면(24CF)이 리어 커버(20)의 배터리 인출홀(22) 내주면에 구비된 슬랜팅 서포트면(22SF)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리어 커버(20)의 배터리 인출홀(22) 내주면의 슬랜팅 서포트면(22SF)이 리어 오픈커버(24)의 슬랜팅 콘택트면(24CF)을 아래에서 받치고 있는 상태가 되어서 리어 오픈커버(24)가 리어 커버(20)의 배터리 인출홀(22)을 닫은 상태에서 리어 커버(20) 아래로 함몰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리어 오픈커버(24)는 걸림돌기(CP)에 의해 리어 커버(20)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리어 오픈커버(24)가 걸림돌기(CP)에 의해 리어 커버(20)의 배터리 인출홀(22)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가 된다면 리어 오픈커버(24)에 의해 메인 바디(10) 배면측의 배터리(16)를 막아주도록 리어 오픈커버(24)가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에서는 걸림홈(PG)에 걸림돌기(CP)가 맞결합되는 방식으로 리어 오픈커버(24)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리어 커버(20)의 배터리 인출홀(22) 내주면에 걸림홈(PG)이 구비되고, 상기 리어 오픈커버(24)의 둘레부에 상기 걸림돌기(CP)가 구비되어, 리어 오픈커버(24)가 리어 커버(20)의 배터리 인출홀(22)을 닫은 상태에서 걸림돌기(CP)가 리어 커버(20)의 걸림홈(PG)에 끼워져 들어가는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리어 오픈커버(24)의 닫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리어 오픈커버(24)를 열어주는 힘이 작용할 때에는 상기 걸림돌기(CP)가 걸림홈(PG)으로부터 이탈되므로 리어 오픈커버(24)를 리어 커버(20)와 별도로 열어주는데에 있어서 장애는 없게 된다. 특히, 리어 커버(20)와 리어 오픈커버(24)는 합성수지로 구성되어서 적절하게 벤딩될 수 있는 자체 탄성력이 있으므로, 상기 걸림돌기(CP)가 걸림홈(PG)으로부터 이탈되면서 리어 오픈커버(24)를 리어 커버(20)와 별도로 열어줄 때에 방해가 되는 일은 더욱 없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리어 오픈커버(24)가 닫힌 상태(즉, 메인 바디(10) 배면측의 배터리 인출홀(22)을 막아준 상태)에서는 걸림돌기(CP)가 걸림홈(PG)에 결합됨으로써 리어 오픈커버(24)의 닫힘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고, 리어 오픈커버(24)를 사용자가 손으로 열어주려 할 때에는 걸림돌기(CP)가 걸림홈(PG)으로부터 이탈되므로 필요할 때에 손쉽게 리어 오픈커버(24)를 열어서 메인 바디(10) 배면측의 배터리(16)를 리어 커버(20)의 배터리 인출홀(22)을 통해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CP)와 걸림홈(PG)은 여러 가지 형상이 가능하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오픈커버(24)의 슬랜팅 콘택트면(24CF)의 하단부에 걸림돌기(CP)를 형성하고, 리어 커버(20)의 슬랜팅 서포트면(22SF) 하단부에 걸림홈(PG)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돌기(CP)가 걸림홈(PG)의 밑에서 걸려지도록 함으로써 리어 오픈커버(24)가 리어 커버(20)에 닫힌 상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CP)에는 곡면부가 구비되고, 걸림홈(PG)의 진입단(즉, 걸림돌기(CP)가 내려오면서 진입하기 시작하는 부분)에도 곡면부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걸림돌기(CP)가 내려오면서 걸림홈(PG)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곡면부들로 인하여 걸림돌기(CP)가 걸림홈(PG) 밑으로 보다 원활하게 내려와서 걸려지는 한편, 걸림돌기(CP)가 걸림홈(PG)의 위로 이탈되는 과정에서도 상기 곡면부들로 인하여 걸림돌기(CP)가 걸림홈(PG)에서 보다 원활하게 이탈될 수 있다. 한편,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CP)와 걸림홈(PG)이 각각 리어 오픈커버(24)의 슬랜팅 콘택트면(24CF)과 리어 커버(20)의 슬랜팅 서포트면(22SF) 경로상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리어 오픈커버(24)와 걸림돌기(CP)가 내려오면서 리어 커버(20)의 슬랜팅 서포트면(22SF) 경로상의 걸림홈(PG)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리어 커버(20)의 슬랜팅 서포트면(22SF)에 걸림돌기(CP)가 형성되고 리어 오픈커버(24)의 슬랜팅 콘택트면(24CF)에 걸림홈(PG)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4의 (b)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도 걸림돌기(CP)에 곡면부가 형성되고 걸림홈(PG)은 진입단에 곡면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곡면부들도 도 4의 (a)에 도시된 실시예들의 곡면부들과 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리어 커버(20)의 일측에 폴딩 작동편(16)을 매개로 일측이 연결된 프론트 커버(14)를 구비하여, 프론트 커버(14)가 폴딩 작동편(16)에 의해 열리고 닫히면서 메인 바디(10)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2)를 열고 닫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기기에서는 배터리(16)를 교체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기존과 달리 리어 커버(20) 전체를 메인 바디(10)에서 분리하는 것이 아니고 리어 오픈커버(24) 부분만을 열어주면 리어 커버(20)의 배터리 인출홀(22)이 열리게 되고, 이러한 리어 오픈커버(24)가 분리되어 열려 있는 배터리 인출홀(22)을 통해서 배터리(16)가 메인 바디(10)의 배면측으로 노출되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배터리(16)를 교체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16) 교체 작업 등에 있어서 아주 편리한 효과가 있다. 리어 커버(20)에 의해 메인 바디(10)의 배면측을 닫아서 배터리(16)를 보호하고 있다가 리어 오픈커버(24) 부분만을 별도로 열어주면 간단하게 배터리(16)를 빼내고 새로운 배터리(16)를 갈아 끼울 수 있으므로, 기존에 비하여 배터리(16) 교체 작업에 있어서 상당한 편리성을 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리어 오픈커버(24)를 닫아놓은 상태에서는 리어 커버(20)의 경사진 슬랜팅 서포트면(22SF)이 리어 오픈커버(24)의 경사진 슬랜팅 콘택트면(24CF)을 아래에서 지지하고 있으므로, 리어 오픈커버(24)가 외부에서 누르는 힘에 의해 리어 커버(20) 아래로 함몰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제위치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리어 커버(20)의 슬랜팅 서포트면(22SF)이 리어 오픈커버(24)를 아래에서 떠받치고 있는 셈이 되어서 리어 오픈커버(24)가 바깥에서 누르는 힘에 의해 리어 커버(20)의 저면(안쪽면) 아래로 이탈되어 함몰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리어 오픈커버(24)가 리어 커버(20)의 바깥면과 동일한 면으로 닫혀 있는 상태에서 걸림돌기(CP)가 닫힌 상태를 견고하게 지지하므로 리어 오픈커버(24)가 메인 바디(10)의 배터리(16)를 닫아서 보호하는 상태를 견실하게 유지하는 효과도 있다. 즉, 리어 오픈커버(24)가 걸림돌기(CP)에 의해 견고하게 닫혀 있는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하면서 필요시 걸림돌기(CP)가 걸림홈(PG)에서 이탈될 수 있어서 원할 때에는 언제든지 리어 오픈커버(24)를 열어 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리어 오픈커버(24)는 둘레부에 오목홈(G)이 더 구비된다. 오목홈(G)은 리어 오픈커버(24)의 둘레부를 오목하게 따낸 홈 구조이다. 물론, 리어 오픈커버(24)의 둘레부와 인접한 리어 커버(20)의 배터리 인출홀(22) 주위에 오목홈(G)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오목홈(G)에 손가락(좀더 구체저긍로 손톱)을 끼운 상태에서 리어 오픈커버(24)를 보다 쉽게 열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리어 커버(20)에도 둘레부에 오목홈(G)이 구비된다. 리어 오픈커버(24)의 오목홈(G)과 마찬가지로 리어 커버(20)의 오목홈(G)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리어 커버(20)를 보다 쉽게 열어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기기의 배면측에 결합되는 플립형 리어 커버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모바일 기기에 플립형 리어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배면측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플립형 리어 커버의 주요부인 리어 오픈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 리어 커버(20)에 폴딩 기준부(29a)를 기준으로 프론트 커버(29)가 연결되어 프론트 커버(29)가 모바일 기기의 전면에서 플립(폴딩)되면서 모바일 기기의 전면을 덮어주는 것을 채용한 것이다. 폴딩 기준부(29a)는 플렉시블한 재질(굽혀질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서, 폴딩 기준부(29a)를 기준으로 프론트 커버(29)가 리어 커버(20) 쪽으로 접혀지고 리어 커버(20)에서 앞쪽으로 펴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리어 커버(20)가 리어 고정커버(22)와 리어 오픈커버(24)로 구성되어, 리어 오픈커버(24)만을 별도로 열어줄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도 상기한 실시예들의 효과는 그대로 발휘됨은 당연하다.
한편, 도 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기기의 보호 커버(40)를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보호 커버(40)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모바일 기기의 배면측에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보호 커버(40)가 리어 커버(20)의 뒤쪽에 결합되는데, 보호 커버(40)에 리어 오픈커버(24)와 대응되는 사이즈의 구멍(42)을 형성(사각형 구멍(42)을 형성)하여, 상기 리어 오픈커버(24)가 보호 커버(40)의 구멍(42)을 통해서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은 보호 커버(40)에 의해 리어 커버(20)를 추가로 보호하면서도 리어 오픈커버(24)만을 손쉽게 열 수 있도록 한다는 구성에서 특징이 있다.
한편,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리어 커버(20)와 리어 오픈커버(24)의 결합 접촉부위에 실링밴드가 개재된 상태가 확대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리어 오픈커버(24) 둘레부의 슬랜팅 콘택트면(24CF)과 상기 배터리 인출홀(22)의 슬랜팅 서포트면(22SF)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에 구비된 실링밴드(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실링밴드(32)가 슬랜팅 콘택트면(24CF)이나 슬랜팅 서포트면(22SF)에 오목하게 밴드 안착홈을 형성하고, 밴드 안착홈에 실링밴드(32)가 접착제 등의 부착수단으로 안착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에서와 같이 실링밴드(32)가 구비되면, 상기 리어 오픈커버(24)와 리어 커버(20)의 배터리 인출홀(22) 사이의 접촉면 사이의 밀봉 구조가 더 기밀해지므로 리어 커버(20)의 배터리 인출홀(22)과 리어 오픈커버(24) 사이로 외부 수분이 침투하는 등의 밀봉 기능에 있어서 보다 우수하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메인 바디 12. 디스플레이부
14. 배터리 수용홈 16. 배터리
20. 리어 커버 22. 배터리 인출홀
22SF. 슬랜팅 서포트면 24. 리어 오픈커버
24CF. 슬랜팅 콘택트면 29. 프론트 커버
29a. 폴딩 기준부 40. 보호 커버
42. 구멍 CP. 걸림돌기
PG. 걸림홈

Claims (7)

  1. 모바일 기기의 주몸체를 구성하며 배면의 배터리 수용홈(14)에는 배터리(16)가 안착된 메인 바디(10);
    상기 메인 바디(10)의 배면측에서 결합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터리(16)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배터리 인출홀(22)이 구비된 리어 커버(20);
    상기 리어 커버(20)의 상기 배터리 인출홀(22)을 개폐하여 상기 배터리(16)를 뒤에서 보호하며 상기 배터리 인출홀(22)에서 분리시 상기 배터리(16)를 상기 메인 바디(10)로부터 꺼낼 수 있도록 하는 리어 오픈커버(2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용 리어 커버 부분 분리 구조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오픈커버(24)의 둘레부는 상기 리어 커버(20)의 상기 배터리 인출홀(22)의 내주면과 마주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리어 오픈커버(24)의 둘레부는 상면에서 저면으로 갈수록 중심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슬랜팅 콘택트면(24CF)으로 구성되고, 상기 리어 커의 상기 배터리 인출홀(22) 내주면은 상면에서 저면으로 갈수록 중심부에서 바깥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슬랜팅 서포트면(22SF)으로 구성되며, 상기 리어 오픈커버(24)가 상기 메인 바디(10)의 상기 배터리 인출홀(22)을 막아주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슬랜팅 콘택트면(24CF)이 상기 슬랜팅 서포트면(22SF)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용 리어 커버 부분 분리 구조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오픈커버(24)는 둘레부에 걸림돌기(CP)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돌기(CP)는 상기 리어 커버(20)의 상기 배터리 인출홀(22) 주위의 저면에 걸려져서 상기 리어 오픈커버(24)가 상기 배터리 인출홀(22)을 닫아놓은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용 리어 커버 부분 분리 구조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오픈커버(24)의 상기 슬랜팅 콘택트면(24CF)과 상기 리어 커버(20)의 상기 슬랜팅 서포트면(22SF)은 상기 리어 오픈커버(24)에 의해 상기 배터리 인출홀(22)을 닫아주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접촉되며, 상기 슬랜팅 콘택트면(24CF)과 상기 리어 커버(20)의 상기 슬랜팅 서포트면(22SF) 중에서 하나의 면에는 걸림돌기(CP)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면에는 걸림홈(PG)이 구비되어, 상기 걸림돌기(CP)와 상기 걸림홈(PG)의 삽입 결합에 의해 상기 리어 오픈커버(24)가 상기 리어 커버(20)의 상기 배터리 인출홀(22)을 막아주도록 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용 리어 커버 부분 분리 구조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오픈커버(24)와 상기 리어 커버(20)의 상기 배터리 인출홀(22) 사이에는 오목홈(G)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용 리어 커버 부분 분리 구조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랜팅 콘택트면(24CF)과 상기 배터리 인출홀(22)의 상기 슬랜팅 서포트면(22SF)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에 구비된 실링밴드(3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용 리어 커버 부분 분리 구조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커버(20)와 상기 리어 오픈커버(24)의 뒤쪽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10)의 배면에 결합된 보호 커버(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 커버(40)에는 상기 리어 오픈커버(24)에 대응하는 구멍(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용 리어 커버 부분 분리 구조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KR1020140059451A 2014-05-19 2014-05-19 배터리 교체용 리어 커버 부분 분리 구조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KR201501333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451A KR20150133310A (ko) 2014-05-19 2014-05-19 배터리 교체용 리어 커버 부분 분리 구조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451A KR20150133310A (ko) 2014-05-19 2014-05-19 배터리 교체용 리어 커버 부분 분리 구조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310A true KR20150133310A (ko) 2015-11-30

Family

ID=54867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451A KR20150133310A (ko) 2014-05-19 2014-05-19 배터리 교체용 리어 커버 부분 분리 구조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33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29449A1 (en) Luggage Having Charging Port
US20090314400A1 (en) Protective Cover With Power Supply Uni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H06165396A (ja) バッテリパックの充電器
KR200476233Y1 (ko) 휴대폰 케이스
US20190342433A1 (en) Battery replacement techniques and enhancement features for a mobile computing device
US20200006717A1 (en) Mobile terminal protection assembly, mobile terminal protection frame, and battery case
KR101502766B1 (ko) 분리형 배터리가 적용되는 스마트워치
KR200478820Y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81425Y1 (ko) 휴대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US20150303967A1 (en) Housing-protecting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794164B1 (ko) 휴대단말기용 보조 배터리
KR20150133310A (ko) 배터리 교체용 리어 커버 부분 분리 구조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KR101423640B1 (ko)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KR101495775B1 (ko)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 배터리용 충전장치
KR200480607Y1 (ko) 휴대폰 거치 보조 배터리
KR20150133309A (ko) 배터리 교체의 편리성을 기한 모바일 기기
KR101369297B1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570719B1 (ko)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KR20110109668A (ko) 커넥터 커버가 부착된 핸드폰 케이스
US20150280769A1 (en)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20170000026U (ko) 보조 배터리 겸용 충전기
KR20130081145A (ko) 휴대 단말기
KR20170003319U (ko) 보조 배터리팩 수납을 겸용한 휴대폰 단말기 수납 케이스
KR101620745B1 (ko) 태양전지판이 내장된 스마트폰 케이스
CN209787249U (zh) 一种带可折叠支架的手机保护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