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3226A -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3226A
KR20150133226A KR1020157029410A KR20157029410A KR20150133226A KR 20150133226 A KR20150133226 A KR 20150133226A KR 1020157029410 A KR1020157029410 A KR 1020157029410A KR 20157029410 A KR20157029410 A KR 20157029410A KR 20150133226 A KR20150133226 A KR 20150133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anchoring body
shape
intervertebral disc
configu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9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9681B1 (ko
Inventor
토르넬 마르크 세라이마
바르가스 살바도르 야스
알론소 아나 로드리게스
페레르 몬트세라트 차를레스-아리스
유이스 치코로카
라리아 파블로 클라벨
Original Assignee
네오스 서저리 에스. 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오스 서저리 에스. 엘. filed Critical 네오스 서저리 에스. 엘.
Publication of KR20150133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2Intervertebral or spinal discs, e.g.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1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made of inflatable pockets or chambers filled with fluid, e.g. with hydrog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003Material related properties of the prosthesis or of a coating on the prosthesis
    • A61F2002/3006Properties of materials and coating materials
    • A61F2002/30092Properties of materials and coating materials using shape memory or superelastic materials, e.g. nitin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108Shapes
    • A61F2002/30199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002/302Three-dimensional shapes toroidal, e.g.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383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made by laterally inserting a protrusion, e.g. a rib into a complementarily-shaped groove
    • A61F2002/30387Dovetai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433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using additional screws, bolts, dowels, rivets or washers e.g. connecting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81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ving a pocket filled with fluid, e.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002/4415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elements of the prosthesis being arranged in a chain lik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2Intervertebral or spinal discs, e.g. resilient
    • A61F2002/4435Support means or repair of the natural disc wall, i.e. annulus, e.g. using plates, membranes or mes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2Intervertebral or spinal discs, e.g. resilient
    • A61F2002/444Intervertebral or spinal discs, e.g. resilient for replacing the nucleus pulpos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61F2220/0016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with sharp anchoring protrusions, e.g. barbs, pins, spikes

Abstract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1, 100) 는, 상기 추간 디스크에 인접한 상기 척추뼈들 중의 하나의 척추뼈내로 전진되어 고정되기에 적합한 앵커링 본체 (2, 102), 및 고정 결합 위치에서 상기 앵커링 본체 (2, 102) 에 부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추간 디스크의 외부 고리 (annulus) 의 내부 공간에서 수핵을 유지하거나 대체하도록 되어 있는 보형물 (3, 103, 203, 303) 을 포함하고, 상기 보형물이 상기 외부 고리의 구멍을 향하고 상기 구멍을 통하는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상기 앵커링 본체는 상기 보형물을 상기 결합 위치에 지지하거나 배치하고, 상기 보형물은 적어도 하나의 작용 부분 (4) 을 포함하고, 상기 작용 부분은, 상기 외부 고리의 상기 내부 공간내로의 배치중에 상기 작용 부분을 상기 외부 고리의 상기 구멍을 통해 안으로 삽입시키기에 적합한 제 1 배치 형상 (A), 및 상기 작용 부분이 상기 외부 고리의 상기 내부 공간에서 배치 위치를 취하는 때에 상기 외부 고리의 상기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색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수핵의 적어도 일부를 대체하기에 적합한 적어도 제 2 작동 형상 (B) 을 취하고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DEVICE FOR REPAIRING AN INTERVERTEBRAL DISC}
본 발명은 추간 디스크 보수에 사용하기 위한 뼈이식가능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두 척추뼈들 사이에 배치되는 추간 디스크가 손상되는 경우, 디스크가 내부에서 둘러싸는 수핵이 손상 영역을 통해 디스크 밖으로 스며나와 디스크 탈출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탈출증은 주변 부위의 신경을 접촉하는 탈출증의 결과로서 통증을 초래한다. 주변 신경에 대한 손상이 또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디스크내의 수핵을 유지하고 그럼으로써 재탈출을 방지하기 위해 탈출증을 제거하고 디스크의 손상된 영역을 보수하는 것이 필요하다.
추간 디스크의 파열로 인한 수핵의 누설을 유지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미국 공개 번호 US2008/0082168 는 보수할 디스크의 바로 위와 아래의 척추뼈들에 형성된 각각의 천공을 통해 진행하는 루프들을 형성하는 복수의 스트립에 의해 제 위치에 고정되는 척추 디스크의 파열에 대하여 적용되는 밴드로 이루어지는 디바이스를 개시하고 있다. 이는, 디바이스의 삽입 이전에 천공이 만들어져야 하며, 이로 인해 디바이스를 이식하는 프로세스가 복잡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식의 어려움에 더하여, 디바이스는 천공을 통해 스트립들을 통과시키는 것 뿐만아니라 후속하여 스트립들을 묶고 이 모두를 밴드의 장력을 잃지 않고서 행함에 있어서도 의사의 숙련을 필요로 한다.
국제공개 WO2010/40107 은 탈출된 디스크를 커버링하는 패치형 메쉬를 적용함으로써 탈출된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는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메쉬는 후크 또는 패스너 형태의 요소들에 의해 보수될 디스크의 바로 위와 아래의 척추뼈들에 앵커링된다. 메쉬는 보수 영역에서의 도입을 위해 접혀지고 후속하여 앵커링될 수 있다. 시스템은 먼저 메쉬를 갖고 이어서 후크 또는 패스너가 고정되는 동안에 메쉬의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데, 이는 정확한 고정을 어렵게 만든다.
봉합을 이용하여 추간 디스크의 손상된 영역을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또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국제공개 WO2006/119034 는 봉합 쓰레드 및 추간 디스크에서의 이의 고정을 위한 한 세트의 앵커들에 의해 형성되는 디바이스를 개시하고 있다. 디바이스는 쓰레드의 앵커들을 디스크를 통해 고정시키는 팽창가능한 지지체를 디스크내에 도입함으로써 추간 디스크의 손상된 영역을 봉합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들 앵커는 봉합체를 디스크에 고정시키고 따라서 손상된 영역을 폐쇄할 수 있게 한다. 디스크의 손상된 영역이 그의 상단 또는 하단에 가까운 경우, 디바이스는 국제공개 WO2010/045179 에 기재된 대안의 변형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손상된 영역에 인접한 척추뼈에 봉합체를 앵커링하기 위한 포인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봉합체에 의해 형성되는 이러한 디바이스와 관련된 문제점은, 이들이 매우 강성적이지 않으며 따라서 정확히 삽입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것이다. 또한, 봉합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해질 수, 심지어 파손될 수 있는데, 이는 예를 들어 디스크의 손상된 영역이 커지면, 고정되는 디스크의 영역이 부여하기 때문이다.
국제공개 WO02058599 은 디스크의 손상된 영역을 충전하는 스토퍼로서 작용하는 팽창가능한 플러그 및 플러깅된 디스크에 인접한 척추뼈에 스토퍼를 고정하여 플러그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허용하는, 스토퍼를 앵커링하기 위한 앵커링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또 다른 타입의 뼈이식가능한 디바이스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를 이식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신체에 만들어진 개구가 도입을 위해 추간 공간의 크기로 되는 것이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디바이스는 최소 침습 방식으로 이식될 수 없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또한, 디스크의 손상된 영역에 플러그를 도입시킨 후에 의사에 의해 디바이스를 척추뼈에 고정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데, 이는 고정 작업중에 플러그를 정확한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추간 디스크 보수에 사용하기 위한 공지된 뼈이식가능한 디바이스에 대한 대안을 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형이고, 최소 침습 수술을 필요로 하는 추간 디스크의 파열을 보수하기 위한 뼈이식가능한 디바이스를 개시하는 것이다.
또한, 디바이스가 척추뼈로부터 신경이 차지하는 공간을 향해 돌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예를 들어 척추염과 같은 퇴행성 변화의 결과로서 추간 공간의 감소로 인해 추간 공간에 발생할 수 있는 변동에 적응될 수 있는 추간 디스크의 파열을 보수하기 위한 뼈이식가능한 디바이스를 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추간 디스크에 인접한 척추뼈들 중의 하나의 척추뼈내로 전진되어 고정되기에 적합한 앵커링 본체, 및 결합 위치에서 상기 앵커링 본체에 부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추간 디스크의 외부 고리 (annulus) 의 내부 공간에서 수핵을 유지하거나 대체하도록 되어 있는 보형물을 포함하고, 상기 보형물이 상기 외부 고리의 구멍을 향하고 상기 구멍을 통하는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상기 앵커링 본체는 상기 보형물을 상기 결합 위치에 지지하거나 배치하고, 상기 보형물은 적어도 하나의 작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작용 부분은, 상기 외부 고리의 상기 내부 공간내로의 배치중에 상기 작용 부분을 상기 외부 고리의 상기 구멍을 통해 안으로 삽입시키기에 적합한 제 1 배치 형상, 및 상기 작용 부분이 상기 외부 고리의 상기 내부 공간에서 배치 위치를 취하는 때에 상기 외부 고리의 상기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색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수핵의 적어도 일부를 대체하기에 적합한 적어도 제 2 작동 형상을 취하고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상기 앵커링 본체는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결정하는 세장형 형상을 갖고, 상기 보형물은 신경이 차지하는 공간을 향하여 척추뼈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상기 결합 위치에서 상기 앵커링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연장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앵커링 본체를 척추뼈에 고정하는 때에 보형물은 앵커링 본체에 이미 결합된다. 다른 구현예들에 따르면, 앵커링 본체가 척추뼈에 고정된 후에 보형물이 앵커링 본체에 결합된다. 임의의 경우에, 추간 공간 안으로의 삽입을 위한 삽입 조작중에 보형물의 작용 부분은 상기 앵커링 본체에 의해 채택된 위치에 의해 조절되거나 안내된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디바이스가 추간 공간의 파열을 폐색하기 위한 것인 경우에, 작용 부분이 기본적으로 (by default) 작동 형상을 채택하는 경향이 있도록 보형물의 작용 부분은 필요한 특성들을 구비하고, 보형물의 상기 작용 부분은 상기 보형물의 상기 작용 부분이 그의 배치 형상을 채택하도록 강제하는 유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보형물의 상기 작용 부분이 추간 공간내에 삽입되면 상기 유지 수단은 그의 유지 기능이 불가능해지도록 조작될 수 있거나 제거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유지 수단은 상기 보형물의 상기 작용 부분을 그의 배치 형상에 유지하기 위해 상기 보형물의 상기 작용 부분을 바인딩한다. 상기 유지 수단은, 예를 들어, 끈들 또는 매듭들에 의해 상기 보형물의 상기 작용 부분을 그의 배치 형상에서 체결하는 때에 협력작동하는 쓰레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간 공간의 파열을 폐색하기 위한 경우, 배치 형상은 소형의 형상이고, 작동 형상은 상기 배치 형상과 관련하여 팽창된 형상인 것이 관심사이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상기 보형물의 상기 작용 부분은, 가요성 멤브레인이 접혀지는 제 1 의 소형의 배치 형상으로부터 가요성 멤브레인이 펼쳐지는 제 2 의 팽창된 작동 형상으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능력을 상기 보형물의 상기 작용 부분에 부여하는 탄성 및 형상 기억 특성을 갖는 프레임에 지지되는 가요성 멤브레인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멤브레인에 아치형 형상을 부여하도록 팽창하는 나선 형상의 실모양 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일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제 1 형상에 의해 결정된 배치 위치로부터 일종의 팬으로 팽창하고 상기 멤브레인에 아치형 형상을 부여하는 나선 형상의 실모양 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앵커링 본체는 앵커링 벡터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보형물의 상기 작용 부분은 제 1 소형 형상에서 기다란 구조를 채택한다. 이러한 구현예들에서, 상기 보형물의 상기 작용 부분이 상기 앵커링 본체로부터 매달려서 앵커링 벡터와 동일 평면이 되게 배향되도록, 상기 앵커링 본체와 보형물은 서로 결합되도록 준비될 수도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상기 앵커링 본체 및 상기 보형물은 상기 앵커링 본체가 척추뼈에 고정된 후에 서로 결합되도록 준비된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상기 앵커링 본체는 상기 보형물의 연결 부분을 상기 앵커링 본체에 단단히 도입시킬 수 있는 마우스를 규정하는, 바람직하게는 외부 쓰레딩을 갖는 튜브형태의 길이방향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 홈을 구비하여서, 상기 보형물의 상기 작용 부분에 부착된, 상기 보형물의 상기 연결 부분의 연장부가 상기 튜브의 측벽을 통해 상기 앵커링 본체로부터 나올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앵커링 본체의 쓰레딩은, 앵커링 본체로부터 돌출하고 압력하에 척추뼈내로의 삽입을 허용하는 치형부 세트와 같은 다른 앵커링 수단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상기 튜브내에 수용된 상기 보형물의 상기 연결 부분은, 상기 연결 부분과 상기 앵커링 본체 사이의, 따라서 상기 앵커링 본체에 대한 상기 보형물의 제어된 유격을 허용하도록 상기 튜브의 상기 측벽의 내면을 슬라이딩하는 지지 표면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튜브의 상기 마우스 안으로 삽입될 수 있는 마개 부분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앵커링 본체의 길이방향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튜브의 형태이다. 이러한 구현예들에서, 쓰레드, 케이블 등의 제 1 단부는 마우스를 향하여 그리고 마우스 밖으로 그 내부 공동을 통해 연장하는 쓰레드, 케이블 등으로 앵커링 본체의 길이방향 부분에서 고정된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쓰레드, 케이블 등은 디바이스의 이식중에 환자로부터 나올 수 있도록 충분한 거리를 연장한다. 보형물의 상기 연결 부분 및 적절하다면 상기 마개 부분은 상기 제 1 단부에 대향하는 보충 쓰레드의 자유 단부를 삽입시킬 수 있는 각각의 관통 구멍을 구비한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상기 앵커링 본체는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연장하는 스크류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보형물은 상기 길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상기 앵커링 본체에 결합된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보형물이 수핵의 전부 또는 일부를 대체하기 위한 것인 경우, 상기 보형물의 작용 부분의 배치 형상은 실질적으로 직선형인 형상이고, 상기 작동 형상은 그 외부 윤곽이 손상된 인간의 추간 디스크의 공동에서 이용할 수 있는 공간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는 원환, 편자형 아치 또는 나선 형상 중의 하나이다. 보형물의 다른 배치와 작동 형상도 고려된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보형물의 상기 작용 부분은, 탄성 및/또는 형상 기억 특성을 가진 와이어 또는 금속 스트랜드와 같은 이식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진 코어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 또는 금속 스트랜드는 적어도 하나의 버퍼링 요소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링된다.
여기에 개시된 타입의 뼈이식가능한 디바이스의 이점은, 디바이스가 최소 침습 수술 절차를 사용하여 이식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디바이스는 또한, 예를 들어 척추염과 같은 퇴행성 변화의 결과로서 추간 공간의 감소로 인해 추간 공간에 발생할 수 있는 변동에 적응할 수도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따른 디바이스의 분해도이다;
도 3 은 인공 삽입물의 작용 부분이 연관된 추간 공간으로의 삽입 이전에 배치 형상으로 유지되어 있는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4 는 구성요소들이 안전한 결합 위치에 있고 환자에게 적절하게 이식된 상태의 도 1 및 도 2 에 따른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6c 는 본래의 추간 공간의 붕괴가 발생한 때의 본 발명의 제 3 변형예의 거동을 설명하는 시퀀스를 나타낸다;
도 7a 및 7b 는 이식 환경에서 도 6a 내지 6c 에 따른 본 발명의 변형예의 거동을 나타낸다;
도 8a 내지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들을 나타낸다;
도 11a 및 도 11b 는 이식 환경에서 다른 실시형태들의 거동을 설명하는 시퀀스를 나타낸다;
도 12 및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4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4 및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5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6 내지 도 23 은 손상된 인간의 추간 디스크의 수핵을 대체하는데 공간적으로 적합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보형물의 각 작용 부분에 대한 또 다른 형상을 나타낸다;
도 24a 및 도 24b 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에 적합한 보형물의 작용 부분에 대한 다른 형태의 실현예를 나타낸다.
도 1 은 작동 위치에서의 추간 디스크 보수 디바이스 (1) 의 구현을 도시한다. 디바이스 (1) 는 제 1 의 날카로운 또는 팁형상 단부 (2a) 와 제 2 단부 (2b) 를 갖는, 헤드가 없는 스크류 (28) 의 형태로 구성된 앵커링 본체 (2) 를 포함한다. 보형물 (3) 은 앵커링 본체 (2) 에 결합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형물 (3) 은 앵커링 본체 (2) 의 측면으로부터 매달리도록 지지되고, 척추뼈에서의 이식중에 전방 방향으로, 즉 앵커링 본체 (2) 의 전방 이동 방향으로 배향되는,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작용 부분 (4) 을 포함한다.
이러한 변형예는 앵커링 본체 (2) 를 척추뼈에 앵커링 또는 나사결합시키는데 적절하기 때문에, 앵커링 본체 (2) 가 척추뼈에 고정된 후에 앵커링 본체 (2) 와 보형물 (3) 은 서로 결합하도록 준비된다. 이를 위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링 본체 (2) 는, 고정 결합 위치에 도달하기 까지 보형물 (3) 의 연결 부분 (17) 을 그 안에 단단히 도입시킬 수 있게 하는 앵커링 본체 (2) 의 제 2 단부 (2b) 의 마우스 (16) 로부터 말단으로 연장하는 튜브 (14) 형태의 길이방향 부분을 포함한다. 튜브 (14) 는, 보형물 (3) 의 작용 부분 (4) 에 부착되는 보형물 (3) 의 연결 부분 (17) 의 연장부 (19) 를 안내하도록 조립 홈 (18) 을 갖는다. 연결 부분 (17) 의 연장부 (19) 는 홈 (18) 을 통해 연장되어, 튜브 (14) 의 측벽 (20) 을 통해 앵커링 본체 (2) 로부터 나온다.
도 1 및 도 4 에 도시된 위치에서, 보형물 (3) 의 어떠한 부분도 앵커링 본체 (2) 의 후방 부분 또는 제 2 단부 (2b) 를 통해 연장하지 않고 따라서 척추뼈의 후방 벽과 나란히 있는 신경을 방해하지 않도록, 보형물 (3) 은 앵커링 본체 (2) 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한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튜브 (14) 의 마우스 (16) 는 특정 조임 토크를 앵커링 본체 (2) 에 전달하는데 적합한 공구 (미도시) 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앵커링 본체 (2) 는 앵커링 본체 (2) 에 토크를 부여하는데 사용되는 공구의 팁의 궤적과는 상이한 궤적을 따르는 스크류 (28) 를 이식할 목적으로 그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가요적이다.
이러한 구현예들은, 앵커링 본체 (2) 가 수술중에 X 레이를 촬영하는 것을 통상적으로 포함하는 적절한 수단 및 기구의 도움으로 최적한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될 수 있는 점에서, 척추뼈에서 앵커링 본체 (2) 를 나사결합하는 작업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정밀성은, 보형물이 앵커링 본체 (2) 의 튜브 (14) 및 조립 홈 (18) 에 의해 안내되는 동안에 작용 부분 (4) 을 디스크의 손상된 부분에 삽입하는 작업중의 보형물 (3) 의 적절한 위치결정을 보장한다. 앵커링 본체 (2) 의 나사결합 방향은 수평선과 각도 α (예를 들어 도 7a 및 7b 참조) 를 형성하는 앵커링 벡터 (d1) 에 의해 결정되는 방향이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각도 α 는 약 15 도 내지 약 35 도, 바람직하게는 약 20 도 내지 약 30 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1) 는, 보형물 (3) 이 앵커링 본체 (2) 와 적절하게 결합되면 튜브 (14) 의 마우스 (16) 안으로 삽입될 수 있는 마개 부분 (22) 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 는 보형물 (3) 의 작용 부분 (4) 이 팽창된 작동 형상 (B) 을 채택하고 있는 상태의 보형물 (3) 을 나타낸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보형물 (3) 을 앵커링 본체 (2) 에 결합하는 중에 그리고 이것을 추간 공간 안으로 삽입하는 중에 보형물 (3) 의 작용 부분 (4) 이 팽창된 작동 형상에 대하여 소형의 배치 형상 (A) 을 채택하고 유지하도록 디바이스 (1) 가 준비되는데, 이는 유리하게는 이러한 삽입이 예를 들어 캐뉼라 (35) 를 통하여 최소 침습 방식으로 환자에 실행되게 하고 보형물의 작용 부분 (4) 이 추간 디스크의 작은 간극을 갖는 개구 또는 좁은 개구를 통하여 추간 공간 안으로 삽입되게 한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도 1, 도 2 및 도 4 의 예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형물 (3) 의 작용 부분 (4) 은 프레임 (12) 에 지지된 가요성 멤브레인 (10) 을 포함하는데, 상기 프레임 (12) 은, 멤브레인 (도 3 에는 미도시됨) 이 접혀지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의 소형의 배치 형상 (A) 으로부터 멤브레인 (10) 이 펼쳐지는 도 1, 도 2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의 팽창된 작동 형상 (B) 으로 자동으로 진행하는 능력을 보형물 (3) 의 작용 부분 (4) 에 부여하는 탄성 및/또는 형상 기억 특성을 갖는다. 보형물 (3) 의 작용 부분 (4) 은 기본적으로 상기 팽창된 작동 형상 (B) 을 채택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보형물 (3) 의 작용 부분 (4) 은 보형물을 그의 소형의 배치 형상 (A) 에 강제하거나 또는 다르게는 구속하는 유지 수단 (8) 을 구비할 수도 있다. 유지 수단 (8) 은 보형물의 작용 부분 (4) 이 추간 공간에 삽입되면 유지 기능이 불가능해지도록 조작될 수 있는데, 이는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보형물 (3) 이 앵커링 본체 (2) 에 결합되면 발생한다.
도 1 내지 4 의 예에서, 프레임 (12) 은 도 3 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제 1 의 소형의 배치 형상 (A) 에 의해 결정된 압축 위치로부터 팽창하는 실모양 요소 (13) 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팽창시에, 프레임 (12) 은 도 1, 도 2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치형 또는 만곡 형상을 멤브레인 (10) 에 부여한다. 팽창은 프레임 (12) 을 니티놀과 같은 형상 기억 특성을 갖는 탄성 재료로 모델링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적절한 열처리에 의해 채택하는 경향이 있는 팽창된 형상을 프레임 (12) 에 사전에 준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프레임 (12) 은 복수의 코일들을 포함하는 나선형 형상을 갖는다. 도 1 내지 3 의 예에서, 프레임은 세 개의 코일을 포함한다. 그러나, 더 많은 수의 코일을 갖는 나선 형상들의 사용이 고려된다. 또한, 프레임 (12) 은, 일 단부에 연결된 로드들의 세트 또는 리브들과 같은, 압축 위치 및 팽창 위치를 채택하는 것을 허용하고 우산과 같이 확장될 수 있는 다른 형상들을 갖는 것이 고려된다.
도 3a 의 예에서는, 보형물 (3) 의 작용 부분 (4) 의 제 1 배치 형상 (A) 은 세장형이다. 앵커링 본체 (2) 의 측벽 (20) 에서의 조립 홈 (18) 의 사용에 의해 앵커링 본체 (2) 와 보형물 (3) 을 결합하는 해법은, 앵커링 본체 (2) 의 앵커링 벡터 (d1) 와 동일 평면이 되도록 작용 부분 (4) 이 배향되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도 7a 및 7b 참조) 보형물 (3) 이 앵커링 본체 (2) 로부터 매달리는 것을 용이하게 만든다. 도시된 예에서, 앵커링 벡터 (d1) 는 스크류 (28) 의 길이방향 축선과 일치한다.
도 3a 에서, 유지 수단 (8) 은 보형물 (3) 의 작용 부분 (4) 이 그의 소형의 배치 형상 (A) 을 유지하도록 보형물의 작용 부분을 바인딩한다. 유지 수단 (8) 은 끈들 또는 매듭들에 의해 보형물 (3) 의 작용 부분 (4) 을 그의 소형의 형상 (A) 에서 체결하는 때에 협력작동하는, Vicryl ™ 와 같은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봉합 쓰레드와 같은 쓰레드 (9)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소형의 배치 형상으로부터의 보형물의 팽창을 이루기 위해, 작용 부분 (4) 이 추간 공간내에 정확하게 배치되는 경우에 쓰레드 (9) 가 절단될 수도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는 끈들 또는 매듭들이 보형물 (3) 의 작용 부분 (4) 에 관한 쓰레드 (9) 의 바인딩 효과를 제거하도록 조작될 수도 있다. 보형물의 작용 부분 (4) 을 그의 소형의 배치 형상 (A) 에 유지하기 위해 슬리브, 캐뉼라 또는 비슷한 유형의 디바이스의 사용이 또한 이용될 수도 있다.
도 3b 는, 보형물 (3) 의 작용 부분 (4) 을 수용하는 유지 수단 (8) 이 보형물 (3) 의 작용 부분 (4) 을 그의 소형의 배치 형상 (A) 에 유지하기 위해 캐뉼라 (35) 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보형물 (3) 의 작용 부분 (4) 은 상기 캐뉼라 (35) 에 수용되고, 캐뉼라 (35) 의 단부가 추간 공간에 정확하게 위치되면 전용 공구에 의해 작용 부분을 푸싱함으로써 예를 들어 그 단부들 중의 하나와 같은 상기 캐뉼라 (35) 의 오버추어를 통해 배출되도록 준비된다.
캐뉼라 (35) 는 또한, 보형물 (3) 의 작용 부분 (4) 에 부착되는, 보형물 (3) 의 연결 부분 (17) 의 연장부 (19) 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배치된 길이방향 홈 (36) 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형물 (3) 의 작용 부분 (4) 은, 그의 제조중에, 작용 부분 (4) 을 캐뉼라 (35) 에 정확하게 프리-차징하는 것을 허용하는 특수한 기계에 의해 보형물 (3) 의 작용 부분 (4) 을 압축하여 캐뉼라 (35) 에 수용된다. 따라서 보형물 (3) 의 작용 부분 (4) 은 유리하게는 캐뉼라에 이미 배치되고 개방하도록 준비된 살균 패키지로 의사에게 제공되어, 보형물의 도입 전에 의사가 보형물 (3) 을 추가로 조작할 필요없이 환자에 바로 이식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슬리브 또는 캐뉼라는 그의 팽창된 형상을 취할 수 있도록 보형물 (3) 의 작용 부분 (4) 을 해제하기 위해 제거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 따르면, 보형물의 작용 부분 (4) 은 그의 팽창된 형상을 취할 수 있도록 보형물 (3) 의 작용 부분 (4) 을 해제하기 위해 유지 수단으로부터 추출된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프레임 (12) 은 보형물의 작용 부분 (4) 에게 그의 팽창된 상태에서 일반적으로 낙하산과 비슷한 형상을 부여하는 팬처럼 펼쳐진다. 이러한 형상은 보형물의 작용 부분 (4) 이 디바이스 (1) 의 이식시에 존재하는 추간 공간에 대해 적응할 수 있게 한다. 이는 또한, 작용 부분 (4) 이 추간 디스크의 붕괴의 결과로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할 수도 있는 더 작은 추간 공간에 대해 적응할 수 있게 한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예에서, 보형물 (3) 의 연결 부분 (17) 을 작용 부분 (4) 과 연결하는 연장부 (19) 는 연결 부분 (17) 과 단일 부분을 형성하는 약간 구부러진 아암에 의해 형성된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아암은 아암을 프레임 (12) 의 부분에, 예를 들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코일들에 연결하는 클램프 (29), 클립 또는 비슷한 체결 수단에 의해 일 단부에서 종료된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아암은 가요성을 갖는다. 아암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실모양 요소 (13) 의 연장과 같은, 프레임 (12) 의 부분의 연장에 의해 또한 형성될 수도 있다. 아암은 임의의 다양한 생체적합성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료로 구성된다.
아암이 보형물 (3) 의 작용 부분 (4) 을 추간 공간내에서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는데 요구되는 형상은 추간 디스크의 상당한 붕괴의 결과로서 매우 작은 추간 공간에 대한 보형물 (3) 의 적응을 방해하는 장애가 될 수 있다. 도 6a, 6b 및 6c 에 도시된 것의 작동 특성에 따른 구현예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도 6a 내지 6c 의 순서는 보형물 (3) 의 연결 부분 (17) 이 보형물 (3) 과 앵커링 본체 (2) 간의 결합에 있어서 어떠한 유격을 허용하는데 적합한 디바이스 (1) 의 변형예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실제적으로, 이러한 변형예는 앵커링 본체 (2) 에 대한 보형물 (3) 의 관절식 부착을 허용하여서, 보형물 (3) 은 도 6a 내지 6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링 본체 (2) 에 관하여 다양한 각도 배향을 얻을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앵커링 본체 (2) 의 튜브 (14) 내측에 수용된 보형물 (3) 의 연결 부분 (17) 은 연결 부분 (17) 과 앵커링 본체 (2) 사이에 제어된 유격을 허용하도록 튜브 (14) 의 측벽 (20) 의 내면 (20a) 을 슬라이딩하는 지지 표면 (21) 을 구비한다. 도 6a 내지 6c 의 예에서, 지지 표면 (21) 은 반구형 캡의 형태로 구성되고, 스톱부로서 작용하는 전방 부분에 돌출부 (30) 를 포함하여서, 연결 부분 (17) 의 돌출부 (30) 가 도 6a 에 도시된 단부 위치에 도달하는 때에 돌출부 (30) 가 튜브 (14) 의 측벽 (20) 의 내면 (20a) 에 맞닿음으로 인해 연결 부분 (17) 과 그의 연장부 (19) 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한다.
도 7a 및 7b 는, 도 6a 내지 6c 의 디바이스 (1) 가 디바이스 (1) 의 서비스중에 변할 수도 있는 두 개의 척추뼈 사이의 유용 추간 공간 (7) 에 적응하는 방식을 설명하고 있다. 도 7a 및 7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1) 는 유리하게는, 앵커링 본체 (2) 에 관하여 변하도록 연결 부분 (17) 및 그의 연장부 (19) 의 각도 위치를 허용한다. 또한, 보형물 (3) 의 작용 부분 (4) 이 연장부 (19) 와 결합하는 방식은 보형물 (3) 의 작용 부분 (4) 의 팽창의 정도에 변화를 허용한다.
도 5 는 예를 들어 도 1 및 2 의 변형예와 도 6a 내지 6c 의 전술한 변형예 양자에 호환가능한 특징을 나타낸다. 도 5 의 구현예에서, 쓰레드 (23), 케이블 등의 말단 단부는 쓰레드가 마우스 (16) 를 향하여 앵커링 본체 (2) 의 관형 부분 (14) 을 통해 근위 연장하는 상태로 앵커링 본체 (2) 에 고정된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쓰레드 (23) 는 디바이스 (1) 의 이식중에 환자로부터 나올 수 있도록 충분한 거리를 연장한다.
앵커링 본체 (2) 에 결합하도록 의도된 디바이스 (1) 의 부품들, 예를 들어 연결 부분 (17) 및 마개 부분 (22) 은 각각의 관통 구멍 (24, 25) 을 구비하는데, 이들 관통 구멍을 통해서는 쓰레드 (23) 의 자유 단부가 삽입되어서, 앵커링 본체 (2) 에 대한 보형물 (3) 의 결합 이전에 그리고 도중에 쓰레드 (23) 는 각 부분들을 서로에 대해 안내하는 작용을 한다. 부품들 (17 및 22) 은 예를 들어 쓰레드 (23) 를 따라서 슬라이딩되어서, 앵커링 본체 (2) 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 위치로 유도된다. 또한 쓰레드 (23) 는 앵커링 본체 (2) 에 의한 위치결정 및 결합 조작 동안에 부품들이 실수로 환자 내측에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앵커링 본체 (2) 에 부품들을 위치결정하고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공구는 또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드 (23) 의 자유 단부를 수용하는 개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현예들에서, 쓰레드 (23) 는 앵커링 본체 (2) 에 부품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공구를 적절한 위치에 안내하는 작용을 하고, 또한 위치결정 및 결합 조작중에 부품들이 실수로 공구로부터 탈락되는 때에 부품들을 회수하는 것을 돕는 작용을 한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쓰레드 (23) 는 예를 들어 Vicryl ™ 와 같은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다.
도 8a, 8b 및 8c 는 보형물 (3) 의 작용 부분 (4) 의 대안의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대안의 실시형태에서, 프레임 (12) 은 도 8a 내지 8c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코일 또는 스프링처럼 형성된 나선 형상의 실모양 요소 (13) 를 포함한다. 실모양 요소 (13) 는 도 8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멤브레인 (10) 을 구비한다. 가요성 멤브레인 (10) 은 예를 들어 나선 형상의 실모양 요소 (13) 를 통과시키는 채널을 구비하는 메쉬일 수 있다.
상기 가요성 멤브레인 (10) 은, 나선 형상의 실모양 요소 (13) 가 제 1 의 소형의 배치 형상 (A) 에 의해 결정된 압축 위치로부터 팽창하는 때에 가요성 멤브레인 (10) 이 관형의 원통형 구성을 채택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나선 형상의 실모양 요소 (13) 를 형성하는 말단 코일들 중의 하나는 선행 코일이 연장부 (19) 를 가로지르는 동안에 작용 부분 (14) 의 연장부 (19) 를 임브레이싱한다. 이러한 구성은 작용 부분 (4) 이 손상된 디스크에 배치되고 수핵이 가요성 멤브레인 (10) 을 푸싱하는 때에 보존 효과를 제공하여서 보형물 (3) 의 보존 효과를 향상시킨다.
도 6a 내지 7b 에서 이전에 설명한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작용 부분 (4) 은 앵커링 본체의 튜브 내측에 수용되고 보형물 (3) 과 앵커링 본체 (2) 간의 결합에 유리한 일정한 유격을 허용하는 연결 부분 (17) 을 또한 구비하며, 따라서 보형물 (3) 이 앵커링 본체 (2) 의 튜브 내측에 수용되는 때에, 연결 부분은 튜브의 측벽의 내면을 슬라이딩하여 연결 부분 (17) 과 앵커링 본체 사이에 제어된 유격을 허용하는 지지 표면을 구비한다. 또한 지지 표면 (21) 은 반구형 캡의 형태로 구성되고, 스톱부로서 작용하는 전방 부분에 돌출부 (30) 를 포함하여서, 돌출부 (30) 가 튜브의 측벽의 내면에 맞닿음으로 인해 연결 부분 (17) 과 그의 연장부 (19) 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한다.
도 8a, 8b 및 8c 의 실시형태는 도 7a 내지 7b 에서 이전에 설명한 실시형태와 비슷하게 유용 추간 공간에 또한 적합하며, 유리하게는 앵커링 본체 (2) 에 관하여 변하도록 연결 부분 (17) 및 그의 연장부 (19) 의 각도 위치를 허용한다.
나선 형상의 실모양 요소 (13) 는 도 8a 내지 8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의 단부들이 평행 평면에 접하는 타원형의 나선을 포함할 수 있다.
나선 형상의 실모양 요소 (13) 의 더 양호한 압축을 허용하기 위하여, 보형물의 작용 부분이 그의 소형의 배치 형상 (A) 을 채택하는 때에 가요성 멤브레인 (10) 은 나선 형상의 실모양 요소 (13) 의 코일들 사이에서 예를 들어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정확하게 접혀져야 한다. 이러한 접음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가요성 멤브레인 (10) 은, 나선 형상의 실모양 요소 (13) 에 배치되면, 예를 들어 가요성 멤브레인 (10) 이 도 8c 에 도시된 형상을 채택하게 하는 열처리에 의해 축소되어야 한다.
도 9 는 가변 피치를 갖는 타원형 나선처럼 형성된 나선 형상의 실모양 요소 (13) 를 제공함으로써 나선 형상의 실모양 요소 (13) 의 양호한 압축을 허용하는 보형물 (3) 의 작용 부분 (4) 의 대안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며, 따라서 나선 형상의 실모양 요소 (13) 의 상이한 코일들은 인접 코일들 중의 적어도 하나내에서 소형의 배치 형상 (A) 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0 은, 도 5 에서 이전에 설명하였지만 도 8a 내지 8c 의 보형물 (3) 의 작용 부분 (4) 을 이용하는 배열체를 나타낸다.
도 11a 및 11b 는 앵커링 본체 (2) 가 이미 배치된 추간 공간 (7) 안으로의 보형물 (3) 의 배치를 설명하고 있다. 도 11a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앵커링 본체 (2) 는, 소형의 배치 형상 (A) 으로 유지되는 동안에 예를 들어 도 1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뉼라 (35) 내에 배치되는 때에 앵커링 본체 (2) 에 결합되는 작용 부분 (4) 을 위한 안내 보조구로서 작용하는 쓰레드 (23) 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쓰레드 (23) 는 또한, 상기 쓰레드 (23) 를 통하여 슬라이딩하고 보형물 (3) 의 연결 부분 (17) 및 마개 부분 (22) 에 삽입될 수 있어서, 앵커링 본체 (2) 에 배치되는 때에 보형물 (3) 및 마개 부분 (22) 을 위한 강성 가이드로서 작용하는 관형 와셔 (37) 를 포함할 수 있다.
쓰레드 (23) 는 또한, 보형물 (3) 의 연결 부분 (17) 및 마개 부분 (22) 을 앵커링 본체 (2) 를 향하여 정확하게 지향시킬 수 있도록, 앵커링 본체 (2) 가 척추뼈에 정확히 부착되는 때에 연결 부분 (17) 및 마개 부분 (22) 을 통하여 배치되어야 한다. 연결 부분 (17) 및 마개 부분 (22) 을 통하여 쓰레드 (23) 를 통과시키기 위하여, 유리하게는 쓰레드 (23) 는, 니들처럼 작용하여서 의사로 하여금 보형물 (3) 의 연결 부분 (17) 및 마개 부분 (22) 을 통하여 쓰레드 (23) 를 통과시킬 수 있게 하는 말단의 강성적인 실모양 부분을 구비한다.
앵커링 본체 (2) 에 보형물 (3) 을 배치하고 나중에 마개 부분 (22) 을 부착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보형물 (3) 과 앵커링 본체 (2) 는, 예를 들어, 마개 부분 (22) 을 앵커링 본체 (2) 에 나사결합하여 보형물 (3) 을 도 1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하는 동안에 마개 부분 (22) 을 유지할 수 있는 공구, 예를 들어 스크류드라이버의 보조 팁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관형 와셔 (37) 는 쓰레드 (23) 와 함께 절단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 으로 돌아가면, 보형물 (3) 이 앵커링 디바이스 (2) 와 사전에 부착된 상태에서 앵커링 본체 (2) 를 목표 척추뼈에 고정하는데 특히 적합한 또 다른 구현예의 추간 디스크 보수 디바이스가 도시되어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앵커링 본체 (2) 는 길이방향 축선 (Y) 을 따라 연장하는 스크류 (28) 의 형태로 구성되고, 보형물 (3) 은 전술한 길이방향 축선 (Y) 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앵커링 본체 (2) 에 결합된다.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28) 는 양자의 부분들이 대응 외부 나사산 (31a, 31b) 을 구비하는 두 개의 부분들 (28a, 28b) 로 분할될 수도 있다. 전방 부분 (28a) 은 후방 부분 (28b) 과의 연결을 위한 관형 단부 연결 섹션 (32) 을 포함하는데, 연결 부분 (32) 의 외부 표면 (33) 은 나사산이 없다. 보형물 (3) 의 환형 형상의 연결 부분 (17') 은 스크류 (28) 의 전방 부분 (28a) 의 연결 부분 (32) 의 관형 단부에 의해 단단히 트래버싱되어 외부 표면 (33) 에 조립되는데, 단단함의 정도는 보형물 (3) 이 마찰에 의해 스크류 (28) 에 대해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지만 수동으로 인가된 힘이 적용되는 때에는 스크류 (28) 를 중심으로 하는 보형물 (3) 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선택된다. 연결 섹션 (32) 의 관형 단부는 스크류 (28) 의 제 2 부분 (28b) 에 그러한 목적으로 형성된 로드 (34) 또는 상보적인 연결 튜브의 커플링을 수용할 수도 있어서, 이를 형성하는 부품들이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절하게 결합되면, 형상 (A) 으로 도시된 보형물의 작용 부분 (4) 이 스크류 (28) 의 길이방향 축선 (Y) 과 동일한 평면에 배향될 수도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작용 부분 (4) 은 길이방향 축선 (Y) 을 따라 놓이지 않은 평면에 배향된다.
도 12 및 도 13 그리고 여기에 개시된 다른 구현예들의 앵커링 본체 (2) 를 이식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연결 부분 (17) 을 보형물 (3) 에 접합하는 연장부 (19) 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홈, 노치 또는 다른 타입의 공동 또는 개구가 목표 척추뼈에 형성될 수도 있다. 홈, 노치 또는 다른 타입의 공동 또는 개구는 스크류 (28) 가 목표 척추뼈에 고정됨에 따라 연장부 (19) 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데, 이 공간은 도 7a 및 7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 (19) 로 하여금 앵커링 본체 (2) 에 관련하여 변하는 각도 배향을 취할 수 있게 하는데 적합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디바이스 (1) 의 이식동안에, 척추뼈 안으로의 스크류 (28) 의 초기 전진후에 목표 척추뼈에 형성된 홈에 연장부 (19) 가 적절하게 위치하면, 스크류 (28) 는 보형물 (3) 의 배향을 변화시키지 않고서 최종 앵커 위치까지 계속 전진할 수도 있다. 스크류 (28) 가 최종 앵커 위치까지 전진함에 따라 보형물 (3) 은 디스크의 핵에 적절하게 이식될때 까지 스크류 (28) 의 전방 이동에 의해 전방으로 향한다. 이식되면, 보형물 (3) 의 작용 부분 (4) 은 전술한 구현예들과 비슷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전술한 설명에서, 다양한 구현예들의 보형물 (3) 은 보형물 (3) 이 디스크의 핵내에 적절하게 이식되면 추간 디스크의 고리형 벽/고리의 손상된 부분의 폐쇄를 달성하는데 적합한 작용 팽창 형상을 취하는데 적합한 작용 부분 (4) 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작용 부분 (4) 은 멤브레인 (10) 을 지지하는 복수의 고리들을 형성하도록 배열된 하나 이상의 필라멘트 (13) 로 만들어진 프레임 (12)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그러한 보형 구성에 결코 제한되지 않고 또한 임의의 수의 다른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설명에서는, 디스크가 압축 부하하에 있을 때에 힘을 흡수하는 기능을 하는 수핵의 기능을 보완하거나 전부 대체하기 위해 추간 디스크의 핵 안으로 도입되도록 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버퍼링 요소들을 가지는 보형물을 포함하는 추간 디스크 보수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수핵의 일부만이 디스크로부터 탈출하거나 제거된 상황에서는, 하나 이상의 버퍼링 요소들을 포함하는 보형물은 수핵의 힘 흡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 핵내에 이식될 수도 있다. 수핵의 모두 또는 실질적으로 모두가 핵에서 제거된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버퍼링 요소들은 수핵의 힘 흡수 기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체하기 위해 핵 내에 이식될 수도 있다.
도 16 은 앵커링 본체 (102) 에 결합된 보형물 (103) 을 포함하는 추간 보수 디바이스 (100) 를 나타낸다. 전술한 구현예들과 같이, 앵커링 본체 (102) 는 디바이스 (100) 를 앵커링시킬 목적으로 목표 척추뼈의 뼈 덩어리 안으로 나사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스크류 (128) 를 포함한다. 도 12 의 구현예에서, 보형물 (103) 은 하나 이상의 가요성 와이어와 같은 하나 이상의 가요성 요소 (126) 로 이루어지는 코어 (26) 에 의해 상호결합된 복수의 이격 버퍼링 요소들 (127) 을 작용 부분으로서 포함한다. 가요성 와이어 이외의 가요성 요소들이 또한 고려된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와이어 (126) 의 근위 단부는 강성의 또는 반강성의 연장부 (119) 에 의해 앵커링 본체 (102) 와 결합된다. 연장부 (119) 는 이전에 설명한 커넥터 (17) 와 비슷한 커넥터에 의해 앵커링 본체 (102) 에 결합될 수도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와이어 (126) 의 근위 단부 (125) 는 연장부 (119) 를 사용하지 않고서 앵커링 본체 (102) 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현예들에서, 와이어의 말단 단부 (125) 는 그 자체로 앵커링 본체 (102) 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는, 이전에 설명한 커넥터 (17) 와 비슷한 커넥터를 통해 앵커링 본체 (102) 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가요성 요소 (126) 는 버퍼링 요소들 (127) 각각에 결합되는 단일 구조체 또는 코어 (26) 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가요성 요소 (126) 는 버퍼링 요소들 (127) 각각에 제공된 통로를 통해 통과하는 반면, 다른 구현예들에서는 가요성 요소 (126) 는 버퍼링 요소들 각각의 표면에 부착된다. 도 12 의 구현예에서, 버퍼링 요소들 (127) 은 가요성 요소 (126) 에 이격 관계로 유지된다. 이격 관계는 접착제 또는 다른 고정제의 사용에 의해 가요성 요소 (126) 에 버퍼링 요소들 (127) 을 고정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가요성 와이어 (126) 상의 반경방향 연장 부재들 (미도시) 형태의 스톱부들은 버퍼링 요소들을 서로 이격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도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버퍼링 요소들 (127) 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는 가요성 요소 (126) 의 길이를 따라 슬라이딩이 자유롭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가요성 요소 (126) 는 니티놀과 같은 탄성 및 형상 기억 특성을 갖는 생체적합성 재료를 포함한다. 형상 기억 재료의 사용은 유리하게는, 보형물 (103) 의 작용 부분 또는 부분들이 디스크의 핵 안으로 삽입되면 미리 정해진 형태를 달성할 수 있게끔 보형물 (103) 을 설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예를 들어, 보형물 (103) 이 핵 내에서 나선형 구성을 취하는 미리 정해진 형태를 포함한다. 이는 또한, 예를 들어 보형물 (103) 이 핵의 내측 횡방향 벽 표면들에 적응되는 만곡 형상을 취하는 미리 정해진 형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말굽 아치 또는 원형 형상과 같은 다른 미리 정해진 형태들이 또한 고려된다. 가요성 요소 (126) 는 핵의 공간 안으로 삽입됨에 따라 그 자체로 만곡하는 능력을 또한 부여받을 수도 있다.
버퍼링 요소들 (127) 은 중실, 중공일 수도 있거나, 그 내부에 겔, 하이드로겔, 중합 액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버퍼링 요소들 (127) 은 폴리우레탄으로 만들어지며, 보수할 디스크의 하부 및 상부 척추뼈 사이에서의 단단한 끼워맞춤을 위한 것이다. 다른 구현들예에 따르면, 버퍼링 요소들 (127) 는 팽창가능한 구조이다. 이러한 구현예들에서, 가요성 부재 (126) 는, 버퍼링 요소들 (127) 의 내부와 유체 연통하고 그 안에 겔, 하이드로겔, 중합 액체 등을 주입하는데 적합한 하이포튜브와 같은 관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 의 구현예들에서, 버퍼링 요소들 (127) 은 구형의 구성을 갖는데, 이 구성의 기하하적 형상은 양호한 피로 강도를 제공한다. 도 12 및 13 의 구현예들에서는 보형물에 다양한 수의 버퍼링 요소들 (127) 및/또는 다양한 크기의 버퍼링 요소들 (127) 이 장착될 수도 있는 것이 또한 관찰될 수 있다. 후자와 관련하여, 도 12 및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근위의 버퍼링 요소 (127) 는 보형물 (103) 을 삽입시키는 디스크의 개구를 막는 목적의 다른 것들보다도 더 클 수도 있다. 이 때문에, 가장 근위의 버퍼링 요소 (127) 는 디스크의 개구를 막는데 적합한 임의의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도 10 및 11 의 구현예들 참조). 디스크의 공동이 수핵을 결여하는 경우, 가장 근위의 버퍼링 요소 (127) 는 개구를 막도록 되어있을 필요는 없지만, 대신에 보형물 (103) 이 보형물을 디스크의 내부 공간 안으로 도입시키는 개구 밖으로 통과하는 것을 저지하거나 또는 적어도 억제하도록 되어 있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 따르면, 보형물 (103) 은 앵커링 본체 (102) 를 사용하지 않고서 추간 디스크의 내부에 이식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형물 (103) 에는 디스크 안으로의 이식시에 디스크의 내부 공간내에서 그의 위치를 유지하는 수단이 부여될 수도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디스크의 내부 공간내에서의 이식시에 보형물 (103) 을 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스테이플, 재봉, 또는 다른 고정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가요성 요소 (126) 는 약 1.0 mm 내지 3.0 mm 범위의 직경을 가지며, 약 40 mm 내지 약 115 mm 범위의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가요성 요소 (126) 의 가요성은 그 길이를 따라 변한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가요성 요소 (126) 의 말단 부분은 앵커링 본체 (102) 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근위 부분보다 더 가요적이다. 이러한 구현예들에서, 더 가요적인 말단 부분은 보형물 (103) 이 디스크의 내부 공간에 더 용이하게 적합해 질 수 있게 만드는 한편, 덜 가요적인 부분은 압축력이 디스크에 가해지는 때에 보형물 (103) 이 디스크의 내부 공간 밖으로 강제되는 것에 저항하는 어느 정도의 강성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가요성 요소 (126) 의 가장 근위의 세그먼트 (128) 에는 좌굴에 저항하기 위해 가요성 요소 (126) 의 다른 부분들에 비해 더 큰 강성이 부여된다. 이는 역시, 압축력이 디스크에 가해지는 때에 보형물 (103) 이 디스크의 내부 공간 밖으로 강제되는 것에 저항한다.
도 14 및 15 는 디바이스의 이식 이전에 배출 작업을 거친 손상된 추간 디스크의 핵의 일부를 대체하는데 적합한 추간 디스크 보수 디바이스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14 및 15 의 예에서, 보형물 (203) 은 세장형 가요성 부재 (226) 에 배치된 복수의 이격 버퍼링 요소들 (227) 을 포함한다. 가요성 부재 (226) 에는 보형물의 근위 단부에 위치한 마개 부재 (230) 가 또한 결합된다. 마개 부재 (230) 는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형물의 이식중에 디스크의 개구를 통해 마개 부재 (230) 의 전달을 허용하는데 적합한 제 1 의 소형의 형상 (A) 을 취하도록 되어 있다.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형물이 디스크의 내부 공간에 성공적으로 이식되면, 마개 부재 (230) 는 제 2 의 팽창 형상 (B) 을 취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마개 부재 (230) 의 홈 (240) 은 제 1 의 소형의 상태를 취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가장 근위의 요소 (230) 는, 디스크의 개구를 막는데 그리고/또는 보형물이 보형물 (203) 을 디스크의 내부 공간 안으로 도입시키는 개구 밖으로 통과하는 것을 저지하거나 또는 적어도 억제하는데 적합한 임의의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마개 부재 (230) 는 폴리우레탄 재료를 포함하고,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의 팽창 형상 (B) 을 취하는 때에 초승달 형상을 취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현예 뿐만아니라 다른 구현예에서는, 마개 부재 (230) 는 버퍼링 요소로서 또한 기능할 수도 있음이 이해된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마개 부재 (230) 는 전술한 보형물 (3) 의 작용 부분 (4) 과 비슷한 프레임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4 내지 17 의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구형 형상의 버퍼링 요소들이 개시되어 있다. 도 18 및 19 는 원통형, 다각형 및 사다리꼴 형상의 형태인 버퍼링 요소들 (327) 을 갖는 이식가능한 보형물을 도시한다. 이들 형상의 이점은, 이러한 형상이 버퍼링 요소들 (327) 과 척추뼈 사이에 더 큰 접촉 표면을 제공하여, 손상된 디스크의 붕괴를 방지하기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보형물 (303) 은 또한, 구형 형상의 버퍼링 요소들을 갖는 보형물과 비교하여 디스크의 내부 공동 안으로의 보형물의 삽입을 수용하기 위해 제거되는 핵으로부터 덩어리를 덜 필요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버퍼링 요소들 (327) 은 팽창가능하여서 보형물 (303) 의 이식을 더 용이하게 만드는 수축 상태로 도입될 수 있음이 또한 고려된다. 도 19 의 구현예와 관련하여, 버퍼링 요소들 (327) 은 서로 더 가까이 배치되며, 또한 보형물이 만곡 형상을 채택하는 때에 서로 끼워맞춤하는 각각의 상보적인 인접 표면들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는 버퍼링 요소들 (327) 과 척추뼈 사이에 더 큰 접촉 표면을 제공하고, 또한 추간 디스크 안으로 삽입되는 때에 보형물이 만곡 형상을 취하는 것을 부가적으로 용이하게 한다.
도 20 및 21 은 보형물 (403) 이 슬리브처럼 세장형 가요성 요소 (426) 를 감싸는 커버 또는 케이스에 의해 실제적으로 형성된 단일 버퍼링 요소 (427) 를 포함하는 대안예를 나타낸다. 추간 디스크의 내부에 버퍼링 요소 (427) 를 도입한 후에는 강도를 부여하기 위해 커버 또는 케이스의 내부가 충전 재료, 즉 겔, 하이드로겔, 중합 액체, 또는 소형 입자들, 즉 마이크로스피어들로 충전될 수 있는 것이 또한 고려된다. 충전 재료들은 캐뉼라 또는 시린지를 통하여 추간 디스크의 내부에 배치되면 버퍼링 요소 (427) 안으로 주입될 수 있다. 도 20 및 21 에 도시된 구현예들에서, 버퍼링 요소 (427) 는 매끄러운 외부 표면을 갖는다. 그러나, 다른 구현예들에서, 외부 표면은 돌기 또는 다른 형상의 형태의 고르지 않은 표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1 은 보형물 (3) 을 삽입시키는 디스크의 개구를 막기 위한 핀형 또는 돌기형 연장부 (427a) 를 그의 근위 단부에 구비한 슬리브 형태의 버퍼링 요소 (427) 에 의해 덮힌 가요성 요소 (426) 의 길이방향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2 는 코어 (26) 가 수개의 버퍼링 요소들 (127) 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힌 대안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상기 버퍼링 요소들 (127) 은 코어 (26) 의 커버 (129) 안에 배치된다. 따라서, 커버 (129) 는 버퍼링 요소들 (127) 을 구비하고, 또한 코어 (26) 는 커버 (129) 를 통해 단단하게 삽입될 수 있는데, 커버 (129) 는 코어 (26) 가 채택하는 형상을 따르도록 배치된다.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버퍼링 요소 (127) 는 탄성적일 수 있거나, 또는 강도를 부여하기 위해 겔, 하이드로겔, 중합 액체와 같은 재료, 또는 소형 입자들, 즉 마이크로스피어들로 충전될 수 있으며, 커버 (129) 는 상기 버퍼링 요소들 (127) 을 감쌀 수 있다. 버퍼링 요소들 (127) 은 예를 들어 도 16 내지 21 의 실시형태들에 도시된 버퍼링 요소들처럼 형성된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 (129) 는 임의의 가요성 재료, 예를 들어 중합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버퍼링 요소들 (127) 은 예를 들어 상기 커버 (129) 의 챔버들을 충전함으로써 또는 요소들을 감싸는 것에 의해 상기 커버의 제조의 일부로서 얻어질 수 있는, 상기 커버 (129) 의 다른 형상 부분들 또는 돌기 형태의 고르지 않은 표면일 수 있다.
도 23 은 버퍼링 요소들 (127) 을 구비하는 커버 (129) 가 예를 들어 추간 디스크의 내부에서 캐뉼라 (35) 를 통해 배치된 도 22 에 도시된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캐뉼라 (35) 는 도 3b 에 이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할 수 있으며, 보형물 (3) 의 연결 부분 (17) 의 연장부 (19) 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배치된 길이방향 홈 (36) 을 갖는다. 보형물 (3) 의 버퍼링 요소들 (127) 은 캐뉼라 (35) 내에 배치되는 때에 압축될 수 있어서, 버퍼링 요소들은 해제되는 때에 팽창한다.
도 24a 및 24b 는 버퍼링 요소들 (527) 이 실질적으로 환형 형상을 포함하는 다른 구현예들을 나타낸다. 버퍼링 요소 (527) 는 핵 보형물로서 추간 디스크의 내부에 삽입되어 수핵 디스크 전체를 대체할 수도 있다. 제 1 의 소형 형상 (A) 에서 핵 보형물 (527) 은 이식 프로세스중에 제 1 형상 (A) 을 유지하면서 예를 들어 캐뉼라를 통해 삽입되는데 적합한, 도 2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되어 실질적으로 직선형이다. 핵 보형물은 추간 공간에 완전히 도입되면 도 2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의 팽창 형상 (B) 을 채택하여, 수핵 디스크가 이전에 차지한 공간을 충전한다.
핵 보형물은 예를 들어 생체적합성 가요성 재료로 탄성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어서, 변형되어 제 1 의 소형의 형상 (A) 을 채택한 후에는 제 2 의 팽창 형상 (B) 을 채택하도록 자동적으로 복귀할 수 있다. 버퍼링 요소 (527) 는 중실, 중공일 수도 있거나, 또는 그 내부에 겔, 하이드로겔, 중합 액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버퍼링 요소 (527) 는 폴리우레탄으로 만들어지고, 또한 보수할 디스크의 하부 및 상부 척추뼈 사이의 단단한 끼워맞춤을 위한 것이다. 다른 구현예들에 따르면, 버퍼링 요소 (527) 는 팽창가능한 구조이다. 이러한 구현예들에서, 가요성 부재 (526) 는, 버퍼링 요소들 (527) 의 내부와 유체 연통하고 겔, 하이드로겔, 중합 액체 등을 안에 주입하는데 적합한 튜브와 같은 관형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7 내지 24b 에 도시된 모든 보형물은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의 실시형태들에서 설명한 절차를 통해 척추뼈에 위치된 앵커링 본체에 고정 결합 위치에서 부착될 수 있다.

Claims (31)

  1. 한 쌍의 척추뼈들 사이에 배치된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1, 100) 로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추간 디스크에 인접한 상기 척추뼈들 중의 하나의 척추뼈내로 전진되어 고정되기에 적합한 앵커링 본체 (2, 102), 및
    상기 앵커링 본체 (2, 102) 에 고정 결합 위치에서 부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추간 디스크의 외부 고리 (annulus) 의 내부 공간에서 수핵을 유지하거나 대체하도록 되어 있는 보형물 (prosthesis: 3, 103, 203, 303)
    을 포함하고,
    상기 보형물이 상기 외부 고리의 구멍을 향하며 상기 구멍을 통하는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상기 앵커링 본체는 상기 보형물을 상기 결합 위치에 지지하거나 배치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보형물은 적어도 하나의 작용 부분 (4) 을 포함하고, 상기 작용 부분은, 상기 외부 고리의 상기 내부 공간내로의 배치중에 상기 작용 부분을 상기 외부 고리의 상기 구멍을 통해 안으로 삽입시키기에 적합한 제 1 배치 형상 (A), 및 상기 작용 부분이 상기 외부 고리의 상기 내부 공간에서 배치 위치를 취하는 때에 상기 외부 고리의 상기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색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수핵의 적어도 일부를 대체하기에 적합한 적어도 제 2 작동 형상 (B) 을 취하고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링 본체는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결정하는 세장형 형상을 갖고,
    상기 보형물 (3) 은 상기 결합 위치에서 상기 앵커링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형물 (3) 의 상기 작용 부분 (4) 은 기본적으로 (by default) 상기 작동 형상 (B) 을 채택하는 경향이 있고, 상기 보형물 (3) 의 상기 작용 부분 (4) 은 상기 보형물의 상기 작용 부분이 상기 제 1 배치 형상 (A) 을 채택하도록 강제하는 유지 수단 (8) 을 구비하고, 상기 보형물의 상기 작용 부분이 추간 공간내에 삽입되면 상기 유지 수단은 그의 유지 기능이 불가능해지도록 조작될 수 있거나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 (8) 은 상기 보형물의 상기 작용 부분을 그의 배치 형상 (A) 에 유지하기 위해 상기 보형물 (3) 의 상기 작용 부분 (4) 을 바인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 (8) 은 끈들 또는 매듭들에 의해 상기 보형물 (3) 의 상기 작용 부분 (4) 을 그의 배치 형상 (A) 에서 체결하는 때에 협력작동하는 쓰레드 (9)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은 캐뉼라 (35) 를 포함하고, 상기 보형물 (3) 의 상기 작용 부분 (4) 은 상기 캐뉼라의 오버추어 (overture) 에 수용되고 상기 오버추어를 통해 배출되도록 준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형상 (A) 은 소형의 형상이고, 상기 작동 형상 (B) 은 상기 배치 형상 (A) 과 관련하여 팽창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형물 (3) 의 상기 작용 부분 (4) 은, 가요성 멤브레인이 접혀지는 제 1 의 소형의 배치 형상 (A) 으로부터 상기 가요성 멤브레인이 펼쳐지는 제 2 의 팽창된 작동 형상 (B) 으로 자동으로 진행하는 능력을 상기 보형물의 상기 작용 부분에 부여하는 탄성 및 형상 기억 특성을 갖는 프레임 (12) 에 지지되는 가요성 멤브레인 (1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12) 은 나선 형상의 실모양 요소 (1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 형상의 실모양 요소 (13) 는 상기 제 1 의 소형의 배치 형상 (A) 에 의해 결정된 압축 위치로부터 팬형의 구조로 팽창하고 상기 멤브레인 (10) 에 아치형 형상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 형상의 실모양 요소 (13) 는 상기 제 1 의 소형의 배치 형상 (A) 에 의해 결정된 압축 위치로부터 관형의 구조로 팽창하고 상기 멤브레인 (10) 에 관형 형상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나선 형상의 실모양 요소 (13) 는 타원형 나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원형 나선은 가변 피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의 단부들이 평행한 평면들에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15. 제 9 항 내지 제 1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형물의 상기 작용 부분이 그의 소형의 배치 형상 (A) 을 채택하는 때에 상기 가요성 멤브레인 (10) 은 상기 나선 형상의 실모양 요소 (13) 에서 안쪽으로 또는 바깥쪽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16.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멤브레인 (10) 은 상기 나선 형상의 실모양 요소 (13) 를 통과시키는 채널을 구비한 메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링 본체 (2) 는 앵커링 벡터 (d1) 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보형물 (3) 의 상기 작용 부분 (4) 은 상기 제 1 배치 형상 (A) 에서 기다란 구조를 채택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보형물은, 상기 보형물의 상기 작용 부분이 상기 앵커링 본체로부터 매달려서 앵커링 벡터 (d1) 와 동일 평면이 되도록, 상기 고정 결합 위치에서 부착되는 때에 상기 앵커링 본체에 의해 지지되고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링 본체 (2) 및 상기 보형물 (3) 은 상기 앵커링 본체 (2) 가 척추뼈들 중의 하나의 척추뼈에 고정된 후에 서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링 본체 (2) 는 상기 보형물 (3) 의 연결 부분 (17) 을 상기 앵커링 본체에 단단히 도입시킬 수 있는 마우스 (16) 를 규정하는 튜브 (14) 형태의 길이방향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 (14) 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 홈 (18) 을 구비하여서, 상기 보형물 (3) 의 상기 작용 부분 (4) 에 부착된, 상기 보형물 (3) 의 상기 연결 부분 (17) 의 연장부 (19) 가 상기 튜브의 측벽 (20) 을 통해 상기 앵커링 본체로부터 나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14) 내에 수용된 상기 보형물 (3) 의 상기 연결 부분 (17) 은, 상기 연결 부분 (17) 과 상기 앵커링 본체 사이의, 따라서 상기 앵커링 본체 (2) 에 대한 상기 보형물 (3) 의 제어된 유격을 허용하도록 상기 튜브 (14) 의 상기 측벽 (20) 의 내면 (20a) 을 슬라이딩하는 지지 표면 (21)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14) 의 상기 마우스 (16) 안으로 삽입될 수 있는 마개 부분 (22)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부분 (22) 은 상기 튜브 (14) 의 상기 마우스 (16) 안으로 나사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부분 (22) 은 상기 보형물 (3) 의 상기 연결 부분 (17) 에 역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24. 제 19 항 내지 제 2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충 쓰레드 (23), 케이블 등이 상기 디바이스의 이식중에 환자로부터 나올 수 있도록 충분한 거리를 연장하고 상기 마우스 (16) 를 향하여 그 내부 공동을 통해 연장하면서 상기 앵커링 본체 (2) 의 튜브 (14) 형태의 상기 길이방향 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보형물 (3) 의 상기 연결 부분 (17) 및 적절하다면 상기 마개 부분 (22) 은 상기 보충 쓰레드의 자유 단부를 삽입시킬 수 있는 각각의 관통 구멍 (24, 25)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 쓰레드 (23) 는 말단의 강성적인 실모양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 쓰레드 (23)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보형물 (3) 의 상기 연결 부분 (17) 및/또는 상기 마개 부분 (22) 에 삽입될 수 있는 관형 와셔 (37)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27.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링 본체 (2) 는 길이방향 축선 (Y) 을 따라 연장하는 스크류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보형물 (3) 은 상기 길이방향 축선 (Y) 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상기 앵커링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2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형상 (A) 은 실질적으로 직선형인 형상이고, 상기 작동 형상 (B) 은 그 외부 윤곽이 손상된 인간의 추간 디스크의 공동에서 이용할 수 있는 공간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는 원환, 편자형 아치 또는 나선 형상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형물 (3) 의 상기 작용 부분 (4) 은, 적어도 하나의 버퍼링 요소 (127, 227, 327, 427, 527) 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링된, 탄성 및 형상 기억 특성을 가진 이식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진 코어 (2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수개의 버퍼링 요소 (127, 227, 327, 527) 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31. 제 29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 요소 (127, 227, 327, 427, 527) 는 상기 코어 (26) 의 커버 (129)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KR1020157029410A 2013-03-15 2014-03-12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KR1022396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159635.5 2013-03-15
EP13159635.5A EP2777628B1 (en) 2013-03-15 2013-03-15 Device for repairing an intervertebral disc
PCT/EP2014/054894 WO2014140136A1 (en) 2013-03-15 2014-03-12 Device for repairing an intervertebral disc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226A true KR20150133226A (ko) 2015-11-27
KR102239681B1 KR102239681B1 (ko) 2021-04-13

Family

ID=47913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9410A KR102239681B1 (ko) 2013-03-15 2014-03-12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782266B2 (ko)
EP (2) EP2777628B1 (ko)
JP (1) JP6526578B2 (ko)
KR (1) KR102239681B1 (ko)
CN (1) CN105142576B (ko)
AU (1) AU2014230790B2 (ko)
BR (1) BR112015022570B1 (ko)
CA (1) CA2904435C (ko)
ES (1) ES2622157T3 (ko)
MX (1) MX366515B (ko)
PL (1) PL2967896T3 (ko)
RU (1) RU2644942C2 (ko)
WO (1) WO20141401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40669A (zh) * 2014-11-09 2016-06-08 祝桂涛 三d生物力传导人工假体
CN105796165B (zh) * 2014-12-30 2018-09-11 陈晓东 椎间盘的纤维环用修补器
ES2862529T3 (es) * 2015-08-11 2021-10-07 Sc Medica Dispositivo de mantenimiento de un espacio intervertebral
US10342663B2 (en) * 2016-12-19 2019-07-09 Perumala Corporation Disc and vertebral defect packing tape
US9974655B1 (en) * 2016-12-19 2018-05-22 Perumala Corporation Disc and vertebral defect packing tap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60482A2 (en) * 2004-12-01 2006-06-0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ystems, devices and methods of treatment of intervertebral disorders
US20060293753A1 (en) * 2002-08-19 2006-12-28 Lanx, Llc Corrective artificial disc
WO2008094217A1 (en) * 2007-01-31 2008-08-07 Ouroboros, Inc. Mechan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artificial disc replacement
US20120316648A1 (en) * 1999-08-18 2012-12-13 Intrinsic Therapeutics, Inc. Intervertebral disc reinforcement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21020A1 (de) * 1993-04-21 1994-10-26 SULZER Medizinaltechnik AG Zwischenwirbelprothese und Verfahren zum Implantieren einer derartigen Prothese
US7273497B2 (en) * 1999-05-28 2007-09-25 Anova Corp. Methods for treating a defect in the annulus fibrosis
US8323341B2 (en) * 2007-09-07 2012-12-04 Intrinsic Therapeutics, Inc. Impaction grafting for vertebral fusion
US7553329B2 (en) * 1999-08-18 2009-06-30 Intrinsic Therapeutics, Inc. Stabilized intervertebral disc barrier
US7615076B2 (en) 1999-10-20 2009-11-10 Anulex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the intervertebral disc annulus
US7951201B2 (en) * 1999-10-20 2011-05-31 Anulex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the intervertebral disc annulus
US7503936B2 (en) * 2000-08-30 2009-03-17 Warsaw Orthopedic, Inc. Methods for forming and retaining intervertebral disc implants
US6733531B1 (en) * 2000-10-20 2004-05-11 Sdgi Holdings, Inc. Anchoring devices and implants for intervertebral disc augmentation
EP1328222B1 (en) 2000-10-27 2005-03-30 SDGI Holdings, Inc. Annulus repair system
FR2829689B1 (fr) * 2001-09-14 2004-06-25 Frederic Fortin Prothese de nucleus et son dispositif d'insertion ainsi que son procede de mise en place
RU2212865C1 (ru) * 2002-03-11 2003-09-27 Чертков Александр Кузьмич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мплантации протеза межпозвонкового диска поясничного отдела
US20040210310A1 (en) * 2002-12-10 2004-10-21 Trieu Hai H. Implant system and method for intervertebral disc augmentation
GB2420502B (en) * 2003-07-25 2007-01-31 Impliant Ltd Elastomeric spinal disc nucleus replacement
US20050131406A1 (en) * 2003-12-15 2005-06-16 Archus Orthopedics, Inc. Polyaxial adjustment of facet joint prostheses
GB0406835D0 (en) * 2004-03-26 2004-04-28 Pearsalls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implants
US20050278023A1 (en) * 2004-06-10 2005-12-15 Zwirkoski Paul A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a cavity
JP4990133B2 (ja) * 2004-07-08 2012-08-01 コストルツィオーニ ストルメンチ オフタルミチ シー.エス.オー. エス.アール.エル. 角膜内皮の検査用の反射顕微鏡および同顕微鏡の操作方法
EP1778134A1 (en) * 2004-07-27 2007-05-02 Synthes USA Supplementation or replacement of a nucleus pulposus, of an intervertebral disc
US20060089646A1 (en) * 2004-10-26 2006-04-27 Bonutti Peter M Devices and methods for stabilizing tissue and implants
CN101132748B (zh) * 2005-03-01 2010-06-16 斯拜恩塞尔有限公司 椎间盘修复
US7582114B2 (en) * 2005-03-03 2009-09-01 Cervical Xpand, Llc Intervertebral stabilizer, methods of use, and instrumentation therefor
US20060247776A1 (en) * 2005-05-02 2006-11-02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Systems and methods for augmenting intervertebral discs
US7442210B2 (en) * 2005-06-15 2008-10-28 Jerome Segal Mechan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artificial disc replacement
AU2006331503B2 (en) * 2005-12-22 2012-09-06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Coiled intragastric member for treating obesity
US20070150063A1 (en) * 2005-12-22 2007-06-28 Depuy Spine, Inc. Devices for intervertebral augmentation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ir delivery
US20070162132A1 (en) * 2005-12-23 2007-07-12 Dominique Messerli Flexible elongated chain implant and method of supporting body tissue with same
WO2007084427A2 (en) * 2006-01-13 2007-07-26 Anova Corporation Percutaneous cervical disc reconstruction
US7635389B2 (en) * 2006-01-30 2009-12-22 Warsaw Orthopedic, Inc. Posterior joint replacement device
US7811326B2 (en) * 2006-01-30 2010-10-12 Warsaw Orthopedic Inc. Posterior joint replacement device
US8864832B2 (en) * 2007-06-20 2014-10-21 Hh Spinal Llc Posterior total joint replacement
US20080082168A1 (en) 2007-07-31 2008-04-03 Marc Peterman Surgical scaffold to enhance fibrous tissue response
US8118873B2 (en) * 2008-01-16 2012-02-21 Warsaw Orthopedic, Inc. Total joint replacement
WO2010040107A1 (en) 2008-10-02 2010-04-08 Life Spine, Inc. Repair system for spinal disc herniation
US8163022B2 (en) * 2008-10-14 2012-04-24 Anulex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the intervertebral disc annulus
WO2011109363A1 (en) * 2010-03-01 2011-09-09 Anulex Technologies, Inc. System for intervertebral disc bulge reduction
RU2465870C1 (ru) * 2011-02-28 2012-11-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Эндокарбон" Протез межпозвоночного диск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16648A1 (en) * 1999-08-18 2012-12-13 Intrinsic Therapeutics, Inc. Intervertebral disc reinforcement systems
US20060293753A1 (en) * 2002-08-19 2006-12-28 Lanx, Llc Corrective artificial disc
WO2006060482A2 (en) * 2004-12-01 2006-06-0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ystems, devices and methods of treatment of intervertebral disorders
WO2008094217A1 (en) * 2007-01-31 2008-08-07 Ouroboros, Inc. Mechan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artificial disc replac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4230790A1 (en) 2015-10-08
CA2904435C (en) 2021-01-19
KR102239681B1 (ko) 2021-04-13
BR112015022570A2 (pt) 2017-07-18
WO2014140136A1 (en) 2014-09-18
MX366515B (es) 2019-07-08
JP6526578B2 (ja) 2019-06-05
JP2016509911A (ja) 2016-04-04
AU2014230790B2 (en) 2018-05-10
EP2967896B1 (en) 2017-01-11
US9782266B2 (en) 2017-10-10
CN105142576A (zh) 2015-12-09
RU2015140602A (ru) 2017-04-28
ES2622157T3 (es) 2017-07-05
EP2777628A1 (en) 2014-09-17
PL2967896T3 (pl) 2017-07-31
MX2015012858A (es) 2016-06-10
BR112015022570B1 (pt) 2021-10-26
EP2967896A1 (en) 2016-01-20
US20160015521A1 (en) 2016-01-21
RU2644942C2 (ru) 2018-02-14
CN105142576B (zh) 2017-04-12
CA2904435A1 (en) 2014-09-18
EP2777628B1 (en)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6513B2 (en) Prosthetic spinal disk nucleus
US8080061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bone
US6099552A (en) Gastrointestinal copression clips
KR20150133226A (ko) 추간 디스크를 보수하기 위한 디바이스
EP3193738B1 (en) Bio-absorbable wound closure device
US9724101B2 (en) Lumen occluding device, delivery catheter and method
US20230114987A1 (en) Annulus repai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