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3125A - 컨텐츠 변환 장치, 컨텐츠 변환 방법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컨텐츠 변환 장치, 컨텐츠 변환 방법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3125A
KR20150133125A KR1020150049831A KR20150049831A KR20150133125A KR 20150133125 A KR20150133125 A KR 20150133125A KR 1020150049831 A KR1020150049831 A KR 1020150049831A KR 20150049831 A KR20150049831 A KR 20150049831A KR 20150133125 A KR20150133125 A KR 20150133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
information
content
blu
ray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1504B1 (ko
Inventor
양종호
박봉길
박성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5/00496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178644A1/en
Priority to EP15796321.6A priority patent/EP3138297A4/en
Priority to CN201580027427.3A priority patent/CN106464972B/zh
Priority to US14/716,157 priority patent/US9741396B2/en
Publication of KR20150133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09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for formatting on an optical medium, e.g. DV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04N21/2351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involving encryption of additio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4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reading from or writing on a non-volatile solid state storage medium, e.g. DVD, CD-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encryption, e.g. re-encrypting a decrypted video stream for redistribution in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usage data, e.g. number of copies or viewings allow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컨텐츠 변환 장치, 컨텐츠 변환 방법 및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변환 장치는, 복수의 스트림 데이터로 구성되며 블루레이 디스크에 저장된 컨텐츠를 변환하는 컨텐츠 변환 장치이며, 복사 대상 스트림를 추출하여 신규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포매터(Formatter) 및 컨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 구조에 대한 매니페스트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매니페스트 정보를 기초로 복사 대상 스트림를 결정하며, 블루레이 디스크에서 결정된 복사 대상 스트림를 추출하여 신규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포매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텐츠 변환 장치, 컨텐츠 변환 방법 및 기록매체{CONTENTS CONVERTING APPARATUS, METHOD FOR CONVERTING CONTENT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컨텐츠 변환 장치, 컨텐츠 변환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니페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데이터 구조를 고려하여 스트림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는 컨텐츠 변환 장치, 컨텐츠 변환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술의 발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소비하는 방법은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과거에는 사용자는 단순히 방송국으로부터 수신한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VTR(Video Tape Recorder), DVD(Digital Versatile Disc) player, BD(Blu-ray Disc) player와 같은 AV 기기를 TV와 연결하여 영상 컨텐츠를 소비하였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PC, 스마트폰, 타블렛 PC 등 여러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 컨텐츠를 소비할 수 있다. 하지만, 고품질의 영상 컨텐츠를 인터넷이나 모바일 네트워크로 유통하는 것은 비용과 시간이 많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PC,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기기들이 사용할 수 있는 형식으로, 종래의 영상 컨텐츠 배포 수단인 방송, VTR 테이프, DVD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복사가 허용되는 PC,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에서 소비할 수 있는 형태의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하여, 종래의 영상 컨텐츠 배포 수단이며, 디지털 방식으로 컨텐츠를 기록하고 있는 DVD 디스크나 블루레이 디스크를 활용한다면 ADC(Analog Digital Conversion) 및 AV 압축(AV compression)이 필요하지 않아 적은 비용으로 복사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통상적인 디지털 파일 복사 방법을 사용하면 온전한 영상 컨텐츠가 복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통상적인 디지털 파일 복사 방법은 파일로 인식된 정보의 모든 bit를 복사하여 목적지에 원정보(original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존재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PC에서 파일을 복사하는 방법이 이에 해당한다.
블루레이 디스크에서는 컨텐츠가 사용자에게는 타이틀(title) 단위로 보이지만, 실제 디스크에는 video, audio, sub-picture, text-subtitle, BD Java Code, image 등의 스트림 파일, 스트림의 재생 방법을 지시하는 네비게이션 파일, 디스크에 대한 설명이 있는 메타 데이터(metadata)와 같은 파일이 존재한다. 즉, 사용자에게 보이는 타이틀은 일종의 데이터 재생 항목이고, 실제 재생에 사용되는 데이터는 스트림 파일의 일부나 전부 또는 복수 개의 스트림 파일이 된다. 그러므로, 블루레이 디스크 영상 컨텐츠는 video, audio, sub-picture, text-subtitle, BD Java Code, image의 스트림 파일들과 네비게이션 파일이 함께 해석되어 재현되어야 하는 복합형 디지털 컨텐츠(Compound Digital Content)에 해당한다. 따라서, 단순히 복사하는 것이 아닌 PC, 스마트폰 등에서 재생할 수 있는 포맷으로 컨텐츠를 변환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도 1은 블루레이 디스크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의 정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블루레이 디스크에는 복합형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고, 그 재생 방식은 네비게이션 데이터(navigation data)인 movie object, BD-J object, Play List 와 Play Item 등에 의해서 결정된다. 또한, 도 2는 파일의 관점에서 블루레이 디스크에 저장되는 파일들과 디렉토리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재생 방식이란 재생 대상 파일, 파일 내 재생 범위, 재생범위들의 재생순서 등을 말한다. BD-J object의 경우에는 재생 방식뿐만 아니라 화면에 보여지거나 블루레이 플레이어를 제어하는 것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1과 같은 네비게이션 데이터에 대한 이해 없이, 복합형 컨텐츠를 도 2의 디렉토리 구조와 파일 이름만으로 복사하는 경우에는(파일 복사 방식), 원래 타이틀(title)의 일부만 복사하거나 너무 많은 데이터를 복사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네비게이션 구조를 이해하여 타이틀을 추출(Export)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도 3은 하나의 타이틀이 복수 개의 파일로 구성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경우 Clip 1 과 Clip 2 가 별개의 파일로 저장되어 있으므로, 이들 중 하나만 복사한다면 온전한 영상 타이틀의 재생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두 파일을 모두 복사하더라도 네비게이션 데이터의 일부인 Movie PlayList를 이해하지 못하고 기존 방식으로 파일을 복사한다면, 재생할 때 어떤 파일의 어떤 부분을 어떤 순서로 재생해야 하는지 알 수 없게 된다.
또한, 블루레이 디스크에 저장된 하나의 복합형 컨텐츠 중 일부 스트림만 선택하여 복사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파일 복사방식으로 복사할 수가 없다. 블루레이 디스크 컨텐츠에는 주로 하나의 비디오에 복수 개의 오디오와 그래픽 자막이 멀티플렉싱(multiplexing) 되어 들어 있다. 하지만 일부 오디오는 대사가 아닌 감독의 영화 설명용 오디오일 수 있고, 일부 그래픽 자막은 자막이 아닌 특수한 용도의 그래픽이 저장될 수도 있어서 이들이 필요하지않는 경우에도 선택적으로 복사할 수 없다. 그러므로, 복합형 컨텐츠의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 만을 선택하여 추출(Export)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다.
블루레이 디스크에는 복합형 컨텐츠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복수 개의 타이틀이 존재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하지만 사용자는 메뉴 타이틀을 재생하지 않고서는 어떤 타이틀이 디스크 안에 존재하는지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블루레이 디스크를 재생하지 않고는 어떤 타이틀을 추출해야 하는지 결정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사용자에게 특정한 영상물을 구분하여 추출하는 것을 도와주는 정보 (예를 들어,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주는 메뉴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정보)가 별도로 필요하다.
컨텐츠를 변환하여 추출하는 경우에는 종류별로 하나의 스트림이 아니라 복수 개의 스트림을 추출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한번에 복수 개의 스트림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디코더(Decoder) 구조를 변경해야 하므로, 제조사가 디코더 칩을 대대적으로 수정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장치의 성능에 따라서 한 종류의 스트림 만을 추출하거나 복수 개의 스트림을 추출할 수 있게 하는 정보구조와 방법이 제공되어야 한다.
블루레이 디스크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PC,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의 기기들이 사용할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할 때, 최종적으로 저장하는 파일 형식으로 ISO BMFF (base media file format) 포맷이 많이 사용된다. 그 이유는 ISO BMFF 포맷이 Apple QuickTime 포맷을 근간으로 하여 오랜 시간 IT 장치에서 지원되어 왔기 때문에, 그 포맷을 읽을 수 있는 기기가 많기 때문이다. 그리고 PC, 스마트폰, 테블릿 등에서는 MPEG-2, MPEG-4 비디오 디코더 그리고 MPEG4 AAC 오디오 디코더 등이 많이 지원되므로 ISO BMFF 포맷을 가지면 많은 장치에서 재생이 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블루레이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복합형 컨텐츠는 비디오의 경우 MPEG-2, MPEG-4, VC-1 을 지원하여 IT 장치에서의 재생에 큰 문제가 없지만, 오디오의 경우 AC-3, MLP (Meridian Lossless Packing), DTS 형식의 High Quality 오디오를 지원하기 때문에 통상적인 IT 기기에서는 재생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블루레이 디스크에서 복합형 디지털 컨텐트를 변환하여 출력할 때, 원래 디스크에는 없던 컨텐츠를 추가하여 최종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기능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제 3의 컨텐츠를 추가하는 기능을 통하여, 변환된 결과물이 보다 많은 IT 장치에서 재생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통상적으로 블루레이 디스크의 컨텐츠는 AACS (Advanced Access Content System) 기술로 보호되어 있다. AACS로 보호된 컨텐츠를 다른 미디어로 변환, 추출 및 전송을 하는 경우, 새로운 컨텐츠 보호 체계로 보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블루레이 디스크에 저장된 암호화된 컨텐츠의 암호를 해제하고 새로운 보호 시스템의 방식으로 암호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경우 새로운 암호화를 위한 암호화 키가 필요한데, 이 키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정보가 복합된 디지털 컨텐츠를 다른 미디어로 변환할 때, 네비게이션 구조를 이해한 변환 방식, 복합형 컨텐츠의 일부를 선택하여 추출할 수 있는 변환 방식, 복수 개의 타이틀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타이틀을 선택하여 추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정보 구조, 한 종류씩의 스트림을 처리하는 기존 디코더 구조를 가지는 플레이어에서 변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구조, 원래 디스크에 없던 컨텐츠를 다른 위치에서 확보하여 추가해주는 정보 구조 및 변환 과정에서 사용되는 암호화 키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정보구조를 정의하고, 이를 이용한 컨텐츠 변환 장치, 컨텐츠 변환 방법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스트림 데이터로 구성되며 블루레이 디스크에 저장된 컨텐츠를 변환하는 컨텐츠 변환 장치는, 복사 대상 스트림를 추출하여 신규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포매터(Formatter); 및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 구조에 대한 매니페스트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매니페스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사 대상 스트림를 결정하며, 상기 블루레이 디스크에서 상기 결정된 복사 대상 스트림를 추출하여 신규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상기 포매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루레이 디스크에 기저장된 주소정보를 검색하여 취득하고, 상기 검색된 주소정보에 대응되는 서버로부터 매니페스트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루레이 디스크로부터 상기 블루레이 디스크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ID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컨텐츠 ID에 대응되는 매니페스트 정보를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루레이 디스크에 기저장된 매니페스트 정보를 검색하여 취득할 수 있다.
또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득된 매니페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복수의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에 대응되는 스트림를 상기 복사 대상 스트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사 대상 스트림를 ISODF 또는 MET 포맷의 신규 스트림 데이터로 생성하도록 상기 포매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신규 스트림 데이터를 암호화하도록 상기 포매터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복사 대상 스트림 및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스트림을 결합하여 신규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상기 포매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스트림 데이터로 구성되며 블루레이 디스크에 저장된 컨텐츠를 변환하는 방법은,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 구조에 대한 매니페스트(Manifest)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된 매니패스트 정보를 기초로 복사 대상 스트림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블루레이 디스크에서 상기 결정된 복사 대상 스트림을 추출하여 신규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매니페스트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블루레이 디스크에 기저장된 주소정보를 검색하여 취득하고, 상기 검색된 주소정보에 대응되는 서버로부터 매니페스트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니페스트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블루레이 디스크로부터 상기 블루레이 디스크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ID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한 컨텐츠 ID에 대응되는 매니페스트 정보를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니페스트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블루레이 디스크에 기저장된 매니페스트 정보를 검색하여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사 대상 스트림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취득된 매니페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복수의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에 대응되는 스트림를 상기 복사 대상 스트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규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사 대상 스트림를 ISODF 또는 MET 포맷의 신규 스트림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된 신규 스트림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니페스트 정보는, 사용자에게 복사 대상 스트림를 설명하기 위한 항목소개정보, 복사 대상 스트림을 암호화하기 위한 키 정보 및 복사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복사정보는, 네비게이션 정보, 스트림 정보, 스트림의 위치 정보, 스트림에 접근하는데 사용하는 프로토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니페스트 정보는,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른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복사 우선 순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규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복사 대상 스트림 및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스트림을 결합하여 신규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스트림은 자막, 영상, 음성,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스트림 데이터로 구성되며 블루레이 디스크에 저장된 컨텐츠를 변환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된 기록 매체는, 상기 컨텐츠를 변환하는 방법은,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 구조에 대한 매니페스트(Manifest)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된 매니패스트 정보를 기초로 복사 대상 스트림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블루레이 디스크에서 상기 결정된 복사 대상 스트림을 추출하여 신규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 예를 통하여, 블루레이 디스크에 포함된 컨텐츠를 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 이외의 다른 기기(ex. PC, 스마트폰 등)에서도 재생할 수 있도록 포맷이 변환된 스트림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블루레이 디스크에 저장된 미디어 파일과 네비게이션 정보 구조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블루레이 디스크의 디렉토리와 파일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하나의 컨텐츠가 복수 개의 파일로 구성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변환 방법에 대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변환 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변환 방법 중 Offer Selection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변환 방법 중 BDMV Export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변환 방법 중 DfE Copy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변환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10a 내지 도 1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변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변환 방법은 'CMP Export'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CMP Export란 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와 같은 컨텐츠 변환 장치에서 블루레이 디스크 영화 포맷(BDMV, Blu-ray Disc Movie format)으로 인코딩된 데이터를 추가적인 공급자 제공 데이터(DfE, Data for Export)와 함께 일반 미디어 패키지(CMP, Common Media Package) 파일 포맷으로 변환하는 것을 말한다. CMP 파일은 다른 디지털 생태계(Digital Ecosystem)에서 이용 가능한 파일이다. 예를 들어, CMP 파일은 ISO, AVI 등의 일반적인 PC에서 실행 가능한 포맷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CMP Export로 표현된 컨텐츠 변환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컨텐츠 변환 장치의 일종인 블루레이 플레이어는 블루레이 디스크로부터 컨텐츠 및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변환 장치는 서버로부터 컨텐츠 변환 및 추출에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컨텐츠 변환 장치는 이들을 취합하여 CMP 포맷으로 변환된 신규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MP 파일은 ISODF 또는 MET 포맷일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신규 스트림 데이터는 외부 저장 장치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CMP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CMP로 추출된 영상 컨텐츠를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추출된 영상 컨텐츠를 NAS(Network Attached Storage)에 업로드하여, NAS에 접근이 허용된 특정 사용자들이 영상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만, CMP 파일을 재생할 때는 DRM Playback 라이센스에 의한 검증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무단 해킹으로 인한 문제점은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는 암호화 과정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컨텐츠 변환 방법에 의하여, 사용자는 고화질의 컨텐츠를 용이하게 다른 사용자 또는 자신의 다른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제작자의 입장에서도, 제작자 자신의 개입 없이도 다양한 디지털 생태계로 컨텐츠를 확산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MP Export 과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3가지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Offer Selection', 'BDMV Export', 'DfE Copy'의 과정을 거쳐 블루레이 디스크에 포함된 컨텐츠는 일반적인 IT 기기들에서 재생 가능한 CMP 파일로 변환된다.
우선 'Offer Selection'으로 표현된 과정은 매니페스토 정보를 얻고, 변환하여 추출할 내용에 대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받고, 추출을 위한 인증을 받는 과정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BDMV Export'로 표현된 과정은 BDMV로 인코딩된 데이터를 CMP file로 변환하여 추출하는 과정에 해당한다. 마지막으로, 'DfE Copy'로 표현된 과정은 포맷의 변환이 필요없는 내용을 기존의 파일 복사 방식으로 복사하는 과정에 해당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BDMV Export' 과정과 'DfE Copy' 과정은 병렬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순서에 관계없이 어느 하나가 먼저 진행되어도 무방하다.
정리하면, 'Offer Selection' 과정에서 컨텐츠 변환 장치는 매니페스트 정보를 얻어, 사용자에게 추출할 스트림을 선택하도록 하고, 선택된 스트림을 추출하기 위한 인증을 받는다. 'BDMV Export' 과정에서는 포맷 변환이 필요한 스트림에 대하여, 본 발명의 컨텐츠 변환 방법이 적용되어 컨텐츠가 추출된다. 반면, 'DfE Copy'에서는 기존의 파일 복사 방법으로 복사 가능한 컨텐츠가 복사된다. 이렇게 추출된 컨텐츠들이 병합되어 최종적으로 CMP로 변환된 컨텐츠가 추출된다.
또한, 선택 항목(Offer)과 CMP file은 일대일 대응관계(one-to-one correlation)일 것이 요구된다. 즉, 하나의 항목을 추출하도록 선택한 경우, 변환이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하나의 CMP 파일이 추출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도 5에 도시된 3가지 과정에 대하여는 도 6a 내지 도 8을 통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 및 6b는 CMP Export 과정 중 'Offer Selection'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6b에서 실선은 프로세스 진행을 의미하고, 점선은 데이터 전송을 의미한다. 우선, CMP Export 과정을 시작하면, 처음으로 항목 매니페스트(Offer Manifest) 정보를 취득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컨텐츠 변환 장치는 블루레이 디스크에 저장된 컨텐츠 인증 ID(Content Certificate ID)를 취득하여, 이를 서버에 전송하고 대응되는 항목 매니페스트 정보를 수신한다. 항목 매니페스트 정보는 컨텐츠 변환 장치가 사용자에게 CMP Export 옵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매니페스트 정보는 항목 매니페스트(Offer Manifest) 정보와 이후 설명할 항목 선택(Offer Selection) 정보, 추출 매니페스트(Export Manifes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취득한 항목 매니페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변환 장치는 선택 가능한 항목들을 표시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선택 가능한 항목은 Offer로 표현될 수 있다. 만일 특정 컨텐츠에 대하여 선택 가능한 항목이 없다면, 컨텐츠 변환 장치는 추출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메시지는 'ExportNotAvailable Message'로 불릴 수 있으며, 메시지의 내용은 서버에서 정의될 수 있다. 반대로 선택 가능한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컨텐츠 변환 장치는 선택 가능한 항목들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항목들을 바탕으로 변환하여 추출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기설정된 정보에 의하여 항목에 대한 선택이 사용자 명령의 입력 없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사용자의 선택 또는 기설정된 정보에 의한 선택이 이루어지면, 컨텐츠 변환 장치는 필수적으로 추출되어야 하는 데이터(mandatory export data), 사용자에 의해 무시되지 않은 기본 추출 데이터(defalut export data which has not been overridden by the user) 및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항목 선택 정보(Offer Selection)를 생성한다. 항목 선택 정보를 생성하는 이유는 CMP에 포함될 파일 리스트를 정의하기 위함이다.
컨텐츠 변환 장치는 서버에 항목 선택 정보를 제공하고, 추출 인증(Export Authorization)을 요청한다. 서버는 이러한 요청을 처리하고, 항목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추출 매니페스트(ExportManifest) 정보를 제공한다.
서버로부터 수신한 추출 매니페스트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 변환 장치는 항목 선택 정보에 의해 요청된 추출이 인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인증되지 않았다면, 컨텐츠 변환 장치는 추출이 인증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메시지는 'ExportNotAuthorized Message'로 불릴 수 있으며, 메시지의 내용은 서버에서 정의될 수 있다.
반대로 인증이 된 것으로 판단되면, 컨텐츠 변환 장치는 추출된 CMP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충분한 저장 공간이 있는지 판단한다. 만일 충분한 저장 공간이 없다면, 컨텐츠 변환 장치는 저장 공간이 충분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메시지는 'LackOfStorageSpace Message'로 불릴 수 있으며, 메시지의 내용은 서버에서 정의될 수 있다.
충분한 저장 공간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컨텐츠 변환 장치는 BDMV 컨텐츠와 나란히 저장된 추출 매니페스트 정보에서 특정된 위치로부터, 또는 서버에서 지원하는 URL로부터 OCMP(Original CMP)를 검색(retrieve)한다. OCMP는 컨텐츠 변환 장치의 내부 저장부 또는 컨텐츠 변환 장치와 연결된 외부 저장부에 저장된다.
매니페스트 정보를 구성하는 항목 매니페스트(OfferManifest) 정보, 항목 선택(OfferSelection) 정보, 추출 매니페스트(ExportManifest) 정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항목 매니페스트(Offer Manifest) 정보는 컨텐츠 변환 장치가 사용자가 유효한 항목(valid Offer)을 선택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항목 매니페스트 정보는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이 없다는 것을 알릴 수도 있다. 항목 선택(Offer Selection) 정보는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에 대한 정보를 표현한다. 추출 매니페스트(Export Manifest) 정보는 컨텐츠 변환 장치가 추출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각각의 정보들은 XML 문서(XML document)의 형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항목 매니페스트 (Offer Manifest) 정보의 기능은 항목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제공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항목 매니페스트 정보의 기능은 선택된 항목을 이어지는 컨텐츠 변환 과정에서 이용될 수 있는 형태로 수집(capture)하는 것이다.
특정 블루레이 디스크에 대한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에 의해 인증되어야 하는 CMP 추출 구조(CMP Export Configuration)를 항목(Offer)이라 부른다. 선택이 항목의 선택 여하에 따라 결정되는 추출 옵션을 하위 항목(sub-Offer)라고 부른다. 항목은 '선택적(Optional)'이며, 하위 항목은 '필수적(Required)'이거나 '선택적(Optional)'이다. 항목 매니페스트 정보는 번역을 포함한 언어의 현지화(Language Localization), 항목과 하위 항목, 기선택된 기본 옵션을 포함하는 능력(The ability to include pre-selected default options)을 지원하도록 디자인된다.
컨텐츠 제공 장치는 사용자에게 항목들을 선택하거나 선택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컨텐츠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적인 하위 항목을 선택함이 없이도 컨텐츠 변환 기능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모든 프라이머리 BDMV 영상(primary BDMV video), 기본 BDMV 음성(default BDMV audio), 필수적인 비 BDMV 스트림(mandatory non-BDMV stream)이 자동으로 항목 선택(Offer Selection) 정보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본 BDMV 음성이 아닌 다른 BDMV 음성 스트림을 선택한 경우에는, 항목 선택 정보에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스트림이 포함된다. 항목 선택(Offer Selection) 정보는 CMP를 구성하는 파트들의 리스트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영상 클립, 오디오 스트림, 자막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추출 매니페스트(Export Manifest) 정보는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거나, 블루레이 디스크로부터 추출되어야 하는 OCMP 또는 파트 정보를 제공한다. 추출 매니페스트 정보는 CMP를 어떻게 적절히 구성할 것인가에 대한 단순하고 직접적인 지시를 포함한다. 하지만, 추출 매니페스트 정보는 컨텐츠 변환 장치의 재량으로 남겨놓기 위하여 운영 명령을 명시하지는 않는다. 추출 매니페스트 정보에 포함된 정보는 실행에 있어서의 최대의 융통성(maximum flexibility)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추출 매니페스트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으로 다음의 두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추출 매니페스트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이 아래의 두 가지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첫 번째 방법은 항목 선택 정보로부터 직접 추출 매니페스트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이다. 항목 선택 정보의 XML 문서를 기초로, CMP를 생성하기 위한 파트(예를 들어, 서버에서 다운로드 받을 online DfE, 블루레이 디스크로부터 추출할 DfE, 기본 스트림 등)가 어디에서 와야하는지를 결정한다. 그리고, 결정된 정보가 추출 매니페스트 정보에 쓰인다. 결과적으로 생성된 추출 매니페스트 정보는 선택된 항목에 국한되는 추출 매니페스트 정보가 된다.
두 번째 방법은 파트들의 선택 여부에 관계 없이, 모든 파트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추출 매니페스트 정보로부터 출발하는 방법이다. 이는 항목 선택 정보를 바탕으로 필요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추출 매니페스트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이다. 결과적으로, 두 가지 방법은 동일한 추출 매니페스트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추출 매니페스트 정보는 CMP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하지만, 추출 매니페스트 정보는 인증 또는 암호화 정보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추출 매니페스트 정보를 이용한 추출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타겟 위치에 OCMP를 놓고, 추출 매니페스트 정보에 의해 특정된 소스로부터 파트들을 얻는다. 그리고, CMP의 끝에 ZIP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각 파트를 얻는 순서는 추출 매니페스트 정보에 포함되지 않으며, 최적화를 위해 컨텐츠 변환 장치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a 내지 7c는 CMP Export 과정 중 'BDMV Export'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BDMV Export'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은 도 7c에 도시된 스트림을 재조합(Repackaging)하는 과정이다. 도 7a 내지 7c에서 실선은 프로세스 진행을 의미하고, 점선은 데이터 전송을 의미한다.
우선, 컨텐츠 변환 장치는 BDMV M2TS로부터 추출된 기본 스트림을 위한 재암호화 키(Re-Encryption Key)를 획득한다. 서버로부터 키를 획득하기 위하여, 컨텐츠 변환 장치는 추출 매니페스트 정보에 정의된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재암호화 키는 BDMV로 인코딩된 데이터를 CENC(Common Encryption)을 이용하여 재암호화하는데 사용된다. 이후, 컨텐츠 변환 장치는 서버에서 정의된 요구조건에 부합되는 재암호화 키의 무결성(integrity) 및 진위(authenticity)를 검사한다.
상술한 재암호화 키에 대한 과정과 병렬적으로, 컨텐츠 변환 장치는 BDMV M2TS로부터 추출된 기본 스트림을 위한 DfE를 획득한다. DfE를 얻기 위하여, 컨텐츠 변환 장치는 추출 매니페스트 정보에 정의된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fE는 BDMV 컨텐츠에 있을 수도 있고, 서버에의해 지원되는 위치에 있을 수도 있다. DfE는 두 가지 타입을 가질 수 있다. 하나는 MET(Media Extraction Table)이고, 다른 하나는 ISODF(ISO Base Media File Format Definition Files)이다. 이후, 컨텐츠 변환 장치는 서버에서 정의된 요구조건에 부합되는 DfE의 무결성(integrity) 및 진위(authenticity)를 검사(validate)한다.
컨텐츠 변환 장치는 재암호화 키 획득 및 DfE 획득 과정에서 에러가 검사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컨텐츠 변환 장치는 추출이 유효하지 않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메시지는 'ExportNotValid Message'로 불릴 수 있으며, 메시지의 내용은 서버에서 정의될 수 있다.
반대로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컨텐츠 변환 장치는 BDMV를 처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컨텐츠 변환 장치는 BDMV M2TS로부터 추출할 기본 스트림을 확인(identify)하기 위해서 관련 BDMV 플레이 리스트, 플레이 아이템을 처리(process)한다. 추출 매니페스트 정보는 추출되어야 할 플레이 리스트(PlayList), 플레이 아이템(PlayItem), PID를 정의한다. 참조 클립(M2TS)을 확인하고, 이 클립에서 추출할 기본 스트림을 확인하기 위하여, 컨텐츠 변환 장치는 플레이 리스트를 분석(parse)하여야 한다. 그리고, 컨텐츠 변환 장치는 M2TS 파일로부터 보호(protection)를 제거하기 위하여 CPP(Content Protection Process)를 수행한다.
이후, 컨텐츠 변환 장치는 도 7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트림을 재조합(repackaging)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변환 장치는 비보호(unprotected) M2TS로부터 기본 스트림(elementary streams)을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한다. 추출된 영상 스트림과 음성 스트림은 서로 다른 버퍼에 저장될 수 있다.
컨텐츠 변환 장치는 어떤 BDMV 기본 스트림이 MET 절차(procedure)에 따라 추출될 것인지, ISODF 절차에 따라 추출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변환 장치는 BDMV 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데이터 중 어떤 데이터를 재암호화하고, 어떤 데이터를 암호화하지 않을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컨텐츠 변환 장치는 재암호화하는 것으로 결정된 데이터에 대하여 CENC(Common Encryption)를 진행한다. 추출과 암호화 과정을 모두 거친 이후, 컨텐츠 변환 장치는 추출 매니페스트 정보에 의해 정의된 것과 같이 추출된 데이터를 ISODF에 복사한다.
컨텐츠 변환 장치는 BDMV 인코딩된 M2TS(BDMV encoded M2TS)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프라이머리 음성 BDMV 인코딩된 음성 스트림(Primary Audio BDMV encoded audio stream)을 추출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컨텐츠 변환 장치는 BDMV 인코딩된 M2TS로부터 프라이머리 영상 BDMV 인코딩된 영상 스트림(Primary Video BDMV encoded video stream)을 추출할 수 있어야 한다.
도 8은 CMP Export 과정 중 'DfE Copy'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서 실선은 프로세스 진행을 의미하고, 점선은 데이터 전송을 의미한다.
컨텐츠 변환 장치는 CMP 파일에 직접 복사되어야 하는 DfE를 복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는 'BDMV Export'과정과 병렬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컨텐츠 변환 장치는 추출 매니페스트 정보에서 정의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DfE를 획득할 수 있다. DfE는 BDMV 컨텐츠와 함께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서버에서 지원되는 URL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컨텐츠 변환 장치는 서버에서 정의된 요구조건에 부합되는 DfE의 무결성(integrity) 및 진위(authenticity)를 검사(validate)한다. 만일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컨텐츠 변환 장치는 추출이 유효하지 않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메시지는 'ExportNotValid Message'로 불릴 수 있으며, 메시지의 내용은 서버에서 정의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도 6a 내지 도 8의 과정을 모두 거친 후에 컨텐츠 변환 및 추출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변환 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컨텐츠 변환 장치(100)는 블루레이 디스크 드라이브(BD Drive, 105), 제어부(MCU, 110), 버퍼부(buffer, 115), 디멀티플렉서부(DeMux, 120), 디코더부(Decorder, 125), Gfx 블렌더(Gfx blender, 130), 비디오 출력 모듈(Video output module, 135), 오디오 출력 모듈(Audio output module, 140), 포매터(Formmatter, 145), 메모리 인터페이스 모듈(Memory interface module, 150)을 포함한다.
이 중 블루레이 디스크 드라이브(BD Drive, 105), 제어부(MCU, 110), 버퍼부(buffer, 115), 디멀티플렉서부(DeMux, 120), 디코더부(Decorder, 125), Gfx 블렌더(Gfx blender, 130), 비디오 출력 모듈(Video output module, 135), 오디오 출력 모듈(Audio output module, 140)은 일반적인 블루레이 플레이어가 포함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별도로 하지 않기로 한다.
포매터(145)는 복사를 위해 선택된 파일에서 디멀티플렉스된 개별 스트림을 최종 저장 장치에 저장될 형태로 변환 및 암호화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포매터(145)는 복사 대상 스트림을 추출하여 신규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포매터(145)는 복합형 컨텐츠에서 다수의 스트림을 추출하는 디멀티플렉서 기능을 중복하여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디멀티플렉서부(120)로부터 입력을 받는 것이 아니라 버퍼부(115)로부터 입력을 받게 된다.
메모리 인터페이스 모듈(150)은 내장형 저장 장치, 탈착형 저장 장치, 네트워크로 연결된 저장 공간 등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이다. 포매터에서 생성된 신규 스트림 데이터를 컨텐츠 변환 장치 자체가 아닌 외부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경우에 필요한 구성에 해당한다.
제어부(110)는 전반적인 컨텐츠 변환 장치의 구성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MCU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 구조에 대한 매니페스트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매니페스트 정보를 기초로 복사 대상 스트림을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블루레이 디스크에서 결정된 복사 대상 스트림을 추출하여 신규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포매터(145)를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블루레이 디스크에 기저장된 주소정보를 검색하여 취득하고, 검색된 주소정보에 대응되는 서버로부터 매니페스트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블루레이 디스크로부터 블루레이 디스크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ID를 취득하고, 취득한 컨텐츠 ID에 대응되는 매니페스트 정보를 서버에 요청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블루레이 디스크에 기저장된 매니페스트 정보를 검색하여 취득할 수도 있다. 매니페스트 정보는 서버와 블루레이 디스크에 각각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분리되어 일부는 서버에 일부는 블루레이 디스크에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존에 제작된 블루레이 디스크의 경우에는 매니페스트 정보가 디스크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제어부(110)는 서버로부터 매니페스트 정보를 취득하여야 할 것이다.
제어부(110)는 취득된 매니페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복수의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에 대응되는 스트림을 복사 대상 스트림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a 내지 1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변환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a는 매니페스토 정보가 서버에 존재하는 경우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블루레이 디스크에는 종래와 같이 복합형 데이터인 00001.m2ts와 00002.m2ts 파일이 존재하고 이들을 재생하는 방법인 navigation data 가 존재한다. 그리고, 데이터 구조에 대한 매니페스트 정보가 블루레이 디스크와 떨어진 서버에 존재한다.
서버에 위치하는 매니페스트 정보와 블루레이 디스크를 연결하기 위해서, 디스크에는 매니페스트 정보가 위치하는 주소정보가 필요하고, 서버에서는 현재 매니페스트 정보를 요구하는 클라이언트가 어떤 컨텐츠의 매니페스트 정보를 요구하는지 구분할 수 있는 컨텐츠 ID 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컨텐츠 변환 장치는 먼저 블루레이 디스크에 기저장된 주소정보를 검색하여 주소정보를 취득하고, 주소정보에 대응되는 서버로부터 매니페스트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변환 장치는 블루레이 디스크로부터 블루레이 디스크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ID를 취득하고, 취득한 컨텐츠 ID에 대응되는 매니페스트 정보를 서버에 요청하여 매니페스트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ID는 블루레이 디스크에 컨텐츠를 암호화하기 위해 사용한 유일한 숫자열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 ID는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몇 가지 정보를 조합하여 만들어 사용하거나, 미리 네비게이션 데이터(navigation data)에 삽입할 수 있다. 주소정보는 디스크에 미리 저장하거나(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데이터에 저장), 컨텐츠 변환 장치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미리 기억될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네비게이션 데이터에 컨텐츠 ID 및 주소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실시 예를 도시한다. 따라서, 네비게이션 데이터를 분석하여 서버로부터 매니페스트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컨텐츠 변환 장치는 취득한 매니페스트 정보를 기초로 복사 대상 스트림을 결정한다. 매니페스트 정보는 복사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매니페스트 정보에는 항목소개정보, 복사 정보, 키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항목소개정보는 사용자에게 복사 대상 스트림을 설명하기 위한 정보이다. 항목소개정보에는 항목소개 문자열, 항목 소개를 위한 썸네일 이미지(thumbnail image) 또는 이미지의 위치정보가 포함할 수 있다. 복사정보는 네비게이션 정보, 스트림 정보, 스트림의 위치 정보, 스트림에 접근하는데 사용하는 프로토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사정보에는 네비게이션 데이터인 Playlist(디스크에 저장된 playlist 번호 혹은 playlist 정보 그 자체), 시간구간, 복사할 스트림 정보 등이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Playlist와 시간 구간은 복사할 파일이름과 파일 포인터로 대체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키 정보는 변환과정에서 컨텐츠 보호를 위해서 사용하는 정보이다. 특히, 컨텐츠 보호에 사용되는 암호화 키의 경우 디스크에 저장되면 해킹 공격의 대상이 되므로 서버에 저장되어 노출이 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10a에는 매니페스트 정보로부터 제공될 수 있는 선택 가능한 항목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항목 3을 선택한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가 항목 3을 선택하면, 컨텐츠 변환 장치는 항목 3에 해당하는 00001.m2ts 파일의 0 byte 부터 10 Gbyte 까지를 복사범위로 하여 파일을 독출한다. 제어부는 매니페스트 정보 항목 3에 근거하여 디멀티플렉서부에게 V1, A2, S2 스트림을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명령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포매터에게 V1, A2, S2 스트림을 저장하기 위한 파일 형식(예를 들어, ISO 파일)으로 변환하여 저장할 것을 명령하고 암호화를 위한 키들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V1, A2, S2 스트림을 포함하는 신규 스트림 데이터가 생성된다.
도 10b는 매니페스토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UI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컨텐츠 변환 장치는 매니페스트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선택하는데 도움이 되는 소개 부분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불어 음성에 영어 자막으로 구성된 영화 파일을 추출하고 싶은 경우, 사용자는 항목 3을 선택하면 된다.
또한, 도 10c에는 상술한 동작이 컨텐츠 변환 장치의 각 구성 요소 중 어디에서 실행되는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항목 3이 선택된 경우에, 해당되는 00001.m2ts 파일이 블루레이 디스크로부터 추출되어 버퍼(115)에 저장된다. 디멀티플렉스부(120)는 m2ts 파일을 디멀티플렉스하여 V1, A2 등 스트림을 추출한다. 포매터(145)는 매니페스트 정보를 참조하여 V1, A2, S2를 포함하는 iso 포맷의 파일을 생성한다.
도 11a 및 11b는 매니페스트 정보가 블루레이 디스크와 서버에 나뉘어 존재하는 경우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매니페스트 정보는 사용자가 복사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하는 정보(Manifest info part 1)와 복사를 수행하는 장치가 복사를 위해 필요한 정보(Manifest info part 2)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니페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키 정보는 보안을 위하여 디스크가 아닌 서버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니페스트 정보가 분할되어 다른 위치에 저장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도 11에 설명된 컨텐츠 변환 방법은 도 10에서 설명한 것과 대응되는 동작을 통해 컨텐츠 변환 및 추출과정이 진행된다.
도 12는 복사 우선 순위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복사 우선 순위 정보는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른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정보로 매니페스트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호도뿐만 아니라 컨텐츠 업체의 의도를 반영할 수도 있다. 도 12에서는 항목 1의 두 가지 오디오(영어, 한국어) 중에서 한국어를 option으로 선언하고 있다. 따라서, 컨텐츠 변환 장치는 간소한 TV용 기본 메뉴를 만들 때, 자신의 복사능력이 하나의 오디오만을 복사할 수 있다면, 도 12와 같이 영어만을 메뉴에 출력하여야 한다. 이 경우는 오디오를 수정할 수 있는 수정 메뉴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하지만 컨텐츠 변환 장치의 복사능력이 두 개의 스트림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이라면, 기본 메뉴에 두 개의 언어 옵션(영어, 한국어)를 모두 표시할 수 있다.
우선 순위 정보는 1(우선순위 가장 높음)부터 증가하는 숫자로 표현할 수도 있지만, 특정 스트림이 선택적인 복사의 대상임을 알리는 optional flag 혹은 역으로 특정 스트림이 반드시 복사되어야 함을 알리는 mandatory flag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크에 저장된 manifest info part1의 항목1 에서 optional 이라고 표시된 한국어 스트림을 배제하고 영어 오디오 스트림을 복사할 수 있음을 메뉴를 구성하여 TV로 출력하고 있다.
도 13a 및 13b는 블루레이 디스크에 없는 별도의 스트림을 다운로드하여 디스크에 있는 내용과 함께 신규 데이터 스트림으로 생성하는 실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컨텐츠 변환 장치는 추출된 복사 대상 스트림과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스트림을 결합하여 신규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는 자막, 영상, 음성,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13a 및 13b을 참조하면, 일본어 음성 스트림을 별도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함께 생성되는 스트림에 포함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기존에 출시된 블루레이 디스크에서 영상을 추출하고, 새로이 제공되는 언어에 대하여 자막이나 음성 스트림을 별도로 다운로드 받아 신규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도 1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별도의 다운로드 컨텐츠를 위한 버퍼가 마련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디스크에서 스트림을 읽어오는 속도보다 인터넷에서 다운로드하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디스크에서 스트림을 읽기 이전에 다운로드가 완료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도 14a 및 14b는 멀티 앵글의 경우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비디오가여러 개의 앵글을 가지고 있는 멀티 앵글 비디오라면 복사 대상 앵글을 하나씩 지정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멀티앵글 스트림에서 앵글은 PlayItem마다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Playlist를 이용하여 멀티앵글을 포함하는 복합형 컨텐츠를 복사하는 경우, 복사하고자 하는 앵글의 번호는 PlayItem의 개수만큼 존재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하여, 사용자는 블루레이 디스크에 저장된 고화질 컨텐츠를 네트워크나 이동식 메모리를 통하여 쉽게 전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암호화된 고화질 컨텐츠를 다양한 디지털 생태계에서 재생할 수 있게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변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CD-ROM 등과 같이, 단말기에서 판독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컨텐츠 변환 장치 105: BD Drive
110: 제어부(MCU) 115: buffer
120: DeMux 125: Decoder
130: Gfx blender 135: Video output module
140: Audio output module 145: Formatter
150: Memory interface module

Claims (20)

  1. 복수의 스트림 데이터로 구성되며, 블루레이 디스크에 저장된 컨텐츠를 변환하는 컨텐츠 변환 장치에 있어서,
    복사 대상 스트림를 추출하여 신규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포매터(Formatter); 및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 구조에 대한 매니페스트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매니페스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사 대상 스트림을 결정하며, 상기 블루레이 디스크에서 상기 결정된 복사 대상 스트림를 추출하여 신규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상기 포매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변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루레이 디스크에 기저장된 주소정보를 검색하여 취득하고, 상기 검색된 주소정보에 대응되는 서버로부터 매니페스트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변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루레이 디스크로부터 상기 블루레이 디스크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ID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컨텐츠 ID에 대응되는 매니페스트 정보를 서버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변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루레이 디스크에 기저장된 매니페스트 정보를 검색하여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변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득된 매니페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복수의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에 대응되는 스트림를 상기 복사 대상 스트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변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사 대상 스트림를 ISODF 또는 MET 포맷의 신규 스트림 데이터로 생성하도록 상기 포매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변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신규 스트림 데이터를 암호화하도록 상기 포매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변환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복사 대상 스트림 및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스트림을 결합하여 신규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상기 포매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변환 장치.
  9. 복수의 스트림 데이터로 구성되며, 블루레이 디스크에 저장된 컨텐츠를 변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 구조에 대한 매니페스트(Manifest)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된 매니패스트 정보를 기초로 복사 대상 스트림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블루레이 디스크에서 상기 결정된 복사 대상 스트림을 추출하여 신규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변환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페스트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블루레이 디스크에 기저장된 주소정보를 검색하여 취득하고, 상기 검색된 주소정보에 대응되는 서버로부터 매니페스트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변환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페스트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블루레이 디스크로부터 상기 블루레이 디스크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ID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한 컨텐츠 ID에 대응되는 매니페스트 정보를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변환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페스트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블루레이 디스크에 기저장된 매니페스트 정보를 검색하여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변환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 대상 스트림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취득된 매니페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복수의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에 대응되는 스트림를 상기 복사 대상 스트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변환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사 대상 스트림를 ISODF 또는 MET 포맷의 신규 스트림 데이터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변환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신규 스트림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변환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페스트 정보는,
    사용자에게 복사 대상 스트림를 설명하기 위한 항목소개정보, 복사 대상 스트림을 암호화하기 위한 키 정보 및 복사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복사정보는, 네비게이션 정보, 스트림 정보, 스트림의 위치 정보, 스트림에 접근하는데 사용하는 프로토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변환 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페스트 정보는,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른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복사 우선 순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변환 방법.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복사 대상 스트림 및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스트림을 결합하여 신규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변환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스트림은 자막, 영상, 음성,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변환 방법.
  20. 복수의 스트림 데이터로 구성되며, 블루레이 디스크에 저장된 컨텐츠를 변환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변환하는 방법은,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 구조에 대한 매니페스트(Manifest)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된 매니패스트 정보를 기초로 복사 대상 스트림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블루레이 디스크에서 상기 결정된 복사 대상 스트림을 추출하여 신규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KR1020150049831A 2014-05-19 2015-04-08 컨텐츠 변환 장치, 컨텐츠 변환 방법 및 기록매체 KR101661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4964 WO2015178644A1 (en) 2014-05-19 2015-05-18 Converting apparatus, contents convert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EP15796321.6A EP3138297A4 (en) 2014-05-19 2015-05-18 Converting apparatus, contents convert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N201580027427.3A CN106464972B (zh) 2014-05-19 2015-05-18 转换设备、内容转换方法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US14/716,157 US9741396B2 (en) 2014-05-19 2015-05-19 Converting apparatus, contents convert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00149P 2014-05-19 2014-05-19
US62/000,149 2014-05-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125A true KR20150133125A (ko) 2015-11-27
KR101661504B1 KR101661504B1 (ko) 2016-09-30

Family

ID=54847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831A KR101661504B1 (ko) 2014-05-19 2015-04-08 컨텐츠 변환 장치, 컨텐츠 변환 방법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138297A4 (ko)
KR (1) KR101661504B1 (ko)
CN (1) CN106464972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23251A1 (en) * 2010-07-20 2012-01-26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composition of media
US20120033944A1 (en) * 2010-08-09 2012-02-09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40057659A (ko) * 2011-09-07 2014-05-1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다중 소스들로부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4168B2 (ja) * 1998-02-03 2005-12-07 三菱電機株式会社 状態検出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H11328849A (ja) * 1998-05-15 1999-11-30 Sony Corp データ記録装置
CN1653548A (zh) * 2002-05-17 2005-08-10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存储信息的设备和方法
US7818764B2 (en) * 2002-06-20 2010-10-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blocked content
JP4983297B2 (ja) * 2007-02-21 2012-07-25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ータ複製装置
JP4894718B2 (ja) * 2007-10-25 2012-03-14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変換方法、およびデータ変換装置、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再生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23251A1 (en) * 2010-07-20 2012-01-26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composition of media
US20120033944A1 (en) * 2010-08-09 2012-02-09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40057659A (ko) * 2011-09-07 2014-05-1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다중 소스들로부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64972B (zh) 2019-12-10
CN106464972A (zh) 2017-02-22
KR101661504B1 (ko) 2016-09-30
EP3138297A1 (en) 2017-03-08
EP3138297A4 (en) 2018-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0343B2 (en) Electronic apparatus, reproducing method and program
JP646514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記録媒体、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468468B2 (ja) コンテンツ記録装置、及びコンテンツ記録方法
US891797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55005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記録媒体、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460470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移動方法
US895515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870593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661504B1 (ko) 컨텐츠 변환 장치, 컨텐츠 변환 방법 및 기록매체
JP200712858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記録媒体、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54932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9741396B2 (en) Converting apparatus, contents convert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1608576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5159327B2 (ja) 記録装置
JP658998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記録媒体、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WO2006025380A1 (ja) 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41978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or, and recording medium
JP201602751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記録媒体、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17157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0178268A (ja) コンテンツ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WO2015075860A1 (ja)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201516705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媒体、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8011091A (ja)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