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2444A - 클리핑 기능을 이용하는 협업 저작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Google Patents

클리핑 기능을 이용하는 협업 저작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2444A
KR20150132444A KR1020157029416A KR20157029416A KR20150132444A KR 20150132444 A KR20150132444 A KR 20150132444A KR 1020157029416 A KR1020157029416 A KR 1020157029416A KR 20157029416 A KR20157029416 A KR 20157029416A KR 20150132444 A KR20150132444 A KR 20150132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ping
content
collaborative authoring
computing device
enab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9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란 메기도
데이비드 라스무센
피터 레오나드
크리스토퍼 프라틀레이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filed Critical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50132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24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3Arrangements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e.g. for conferences
    • G06F17/24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69Annotation, e.g. comment data or footno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콘텐츠는 클리핑 형태로 캡처될 수 있고 클리핑 메타데이터가 이용되어 다양한 특징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는 다른 소스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 엔진(들)은 추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클리핑에 주석을 달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전문가 네트워크, 메시징 및 이에 필적하는 것들과 같은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이용가능해진 클리핑이 문서에 드래그될 수 있다. 클리핑 서비스는 씩 또는 씬(thick or thin) 클라이언트를 통해 액세스가능한 개개의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에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클리핑 기능을 이용하는 협업 저작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OLLABORATIVE AUTHORING WITH CLIPPING FUNCTIONALITY}
콘텐츠, 특히 텍스트 콘텐츠를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는 포맷 설정, 문법이나 문체 수정, 심지어 동의어/반의어 제안을 통한 단어 교체와 같이 콘텐츠의 양상들을 선택, 수정하기 위한 다수의 컨트롤을 제공한다. 전형적인 시스템에서, 이러한 컨트롤은 개별적으로, 때로는 독립적으로 또는 상호의존적으로 이용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생성 또는 처리하는 콘텐츠의 양상들을 선택 및 수정할 수 있지만, 이 사용자는 그것을 수동으로 행해야 한다.
콘텐츠가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동시에 및/또는 순차적으로 생성 및 처리될 수 있는 협업 환경에서의 콘텐츠 작성 또는 수정은 저자(authors)가 자기 자신의 변경사항뿐만 아니라 다른 변경사항까지도 지속적으로 추적하는 경우에 특히 문제가 될 수 있다. 콘텐츠 생성의 또 다른 양상은 기존 콘텐츠의 사용 또는 재사용이다. 다양한 목적을 위해 콘텐츠 유형의 다양한 조합을 생성하는 경우, 사용자는 다양한 소스로부터의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기를 바랄 수 있다. 그러나, 유형과는 관계없이 기존 콘텐츠를 복사 및 붙여넣기하는 것은 효율적인 메카니즘이 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생성된 콘텐츠에 포함시키는 것은 다수의 수동적인 단계를 수반하기 때문이다. 기존 콘텐츠의 사용은 협업 환경에서는 훨씬 복잡해질 수 있다.
본 요약은 이하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기술될 개념들의 집합을 단순화된 형식으로 소개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요약은 청구대상의 주된 사항 또는 핵심 사항을 밝히기 위한 것이 아니며, 청구대상의 범위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려는 것도 아니다.
실시예들은 클리핑(clippings) 형태로 콘텐츠를 캡처하고 클리핑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특징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는 다른 소스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 엔진(들)은 추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클리핑에 주석을 달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전문가 네트워크, 메시징 및 이에 필적하는 것들과 같은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이용가능해진 클리핑이 문서에 드래그될 수 있다. 클리핑 서비스는 씩 또는 씬(thick or thin) 클라이언트를 통해 액세스가능한 개개의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에 제공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특징 및 장점은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 및 연관된 도면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은 설명을 목적으로 하며 청구항에 기재된 측면들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클리핑 기능을 이용한 협업 저작이 구현될 수 있는 로컬형 및 네트워크형 구성 환경을 나타내는 개념도를 포함한다.
도 2a 및 도 2b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클리핑 기능을 갖는 협업 저작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라 예시적인 협업 저작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스크린샷을 나타낸다.
도 4는 클리핑 창이 제시되어 있는 도 3의 예시적인 협업 저작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스크린샷을 나타낸다.
도 5는 클리핑 창이 공유 클리핑 모드로 있는 도 4의 예시적인 협업 저작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스크린샷을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콘텐츠로의 클리핑의 드래그 앤드 드롭 통합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스크린샷을 나타낸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는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다.
도 8은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동작 환경의 블록도이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라 클리핑 기능을 이용한 협업 저작을 용이하게 하는 프로세스에 대한 논리적 흐름도를 나타낸다.
앞서 간단히 살펴본 바와 같이, 클리핑 기능은 문서 내에서 스테이징 영역(staging area)으로서 동작하는 클리핑 창을 제공받을 수 있고, 웹 서비스를 비롯하여 다양한 소스로부터의 콘텐츠를 통합하는 것과, 검색 엔진 또는 다른 소스로부터의 메타데이터로 클리핑에 주석을 다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드래그 앤드 드롭 저작은 노트 이력(notes history)과 함께 행해질 수 있다. 노트, 클리핑의 협업 및 공유도 가능할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하고 특정 실시예 또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측면은 결합될 수 있고, 다른 측면이 이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구조적 변경이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 취급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범주는 첨부한 청구항 및 이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
실시예들은 개인용 컴퓨터 상의 운영 체제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의 일반적인 문맥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측면들은 또한 다른 프로그램 모듈과 결합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및 다른 유형의 구조를 포함한다. 또한, 당업자라면, 실시예들은 핸드헬드 장치,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또는 프로그램가능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이에 필적하는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다른 컴퓨터 시스템 구성으로 실시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실시예들은 또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링크되는 원격 프로세싱 장치에 의해 태스크들이 수행되는 분산형 컴퓨팅 환경에서도 실시될 수 있다. 분산형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 모두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컴퓨터 구현 프로세스(방법), 컴퓨팅 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와 같은 제조 물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판독가능하고 컴퓨터 또는 컴퓨팅 시스템으로 하여금 예시적인 프로세스(들)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인코딩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장치이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휘발성 컴퓨터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플래시 드라이브, 플로피 디스크 또는 콤팩트 디스크, 및 이에 필적하는 하드웨어 매체 중 하나 이상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플랫폼"이라는 용어는 클리핑 기능을 이용한 콘텐츠 협업을 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컴포넌트의 조합일 수 있다. 플랫폼의 예는 복수의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호스트 서비스, 단일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이에 필적하는 시스템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서버"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보통 네트워크 환경에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팅 장치를 지칭한다. 그러나, 서버는 네트워크 상에서 서버로서 관찰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가상 서버(소프트웨어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들 기술 및 예시적인 동작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하에서 제공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개념도(100)는 클리핑 기능을 이용한 협업 저작이 구현될 수 있는 로컬 및 네트워크 구성 환경을 나타낸다. 개념도(100)에 도시되어 있는 컴퓨팅 장치 및 컴퓨팅 환경은 예시 목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 및 시스템을 이용하는 다양한 로컬, 네트워크 및 이와 유사한 컴퓨팅 환경에서 구현될 수 있다.
개념도(100)는 서버에서 실행되는 협업 저작 애플리케이션(또는 서비스)(110)이 저자(114)와 같은 복수의 저자에 의해 액세스되어 콘텐츠가 개별적으로 또는 협업하여 생성 및 처리되는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을 나타낸다. 협업 저작 애플리케이션(110)은 브라우저에 의해 네트워크(112)를 통해 액세스될 수 있고,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104), 랩탑 컴퓨터(106), 태블릿(108), 스마트폰(116), 스마트 화이트보드(102), 및 이와 유사한 장치 상의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로컬로 설치될 수 있다. 협업 저작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하나 이상의 서버에서 실행되는 호스트 서비스의 일부일 수 있다.
협업 저작 애플리케이션(110)은 저자가 텍스트, 이미지, 그래픽, 내장형 객체(예를 들어, 오디오, 비디오 객체 등)를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 콘텐츠를 생성 및 수정할 수 있게 해준다. 저자는 하나의 일관된 작업으로 결합될 콘텐츠의 별개의 부분들을 생성할 수 있고, 서로의 (또는 자기 자신의) 작업을 수정할 수 있고, 서로의 작업에 대해 코멘트를 제공할 수 있고, 노트(note)를 제공할 수 있고, 코멘트/변경에 대해 응답할 수 있다. 협업 콘텐츠(124,126,128)에 대한 변경, 코멘트, 노트 및 응답의 통지가 다양한 통신 수단을 통해, 예를 들어 이메일(122), 텍스트 메시지, 소셜/전문가 네트워크로의 공개, 블로그, 및 이와 유사한 수단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협업 저작 애플리케이션(110)은 워드 프로세싱 애플리케이션, 프리젠테이션 애플리케이션, 스프레드시트 애플리케이션, 필기 애플리케이션, 및 이에 필적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협업 저작 애플리케이션은 문서 내에서 스테이징 영역으로서 동작하는 클리핑 창을 갖는 클리핑 기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웹 서비스를 포함한 다양한 소스로부터의 콘텐츠를 통합하는 것과, 검색 엔진 또는 다른 소스로부터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클리핑에 주석을 다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클리핑은 드래그 앤드 드롭을 통해 콘텐츠 내에 삽입될 수 있고 또한 다수의 저자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다.
도 1의 예시적인 시스템은 특정 서버, 클라이언트 장치, 애플리케이션 및 상호작용과 함께 설명되었다. 실시예들은 이들 예시적인 구성에 따른 시스템에 국한되지 않는다. 클리핑 기능을 갖는 협업 저작 환경을 제공하는 플랫폼은 보다 적은 또는 보다 많은 컴포넌트를 이용할 수 있고 다른 작업을 수행하는 구성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특정 프로토콜 및/또는 인터페이스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원리를 이용하여 유사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클리핑 기능을 갖는 협업 저작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낸다.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임의의 유형의 콘텐츠(텍스트, 그래픽, 이미지 및/또는 오디오/비디오 객체 등)가 디스플레이된 문서, 웹 페이지, 임의의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같은 다양한 플랫폼 상에서 캡처될 수 있다. 클리핑 아이템 유형은 제3자 플러그-인과 같이 확장가능할 수 있다. 클리핑은 소셜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표준 탐색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브라우징될 수 있고, 참조될 수 있고 및/또는 탐색될 수 있다. 클리핑은 잉크를 비롯한 임의의 입력을 통한 노트로 주석을 달 수 있고 또는 그 노트와 통합될 수 있다. 클리핑은 다양한 플랫폼에서 재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페이지 상에서 수집된 클리핑은 나중에 워드 프로세싱 문서 또는 프리젠테이션 문서에서 사용될 수 있고, 또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공개 또는 메시징을 통해 공유될 수 있다. 클리핑을 지원하는 메타데이터 및 로직은 증강(augmentation)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리핑된 영화 제목은 검색 엔진을 통해 얻어진 총수입, 개봉 날짜, 배우 등과 같은 영화와 연관된 정보로 증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사용 시나리오는 학교/직장 프로젝트 조사, 결혼 준비, 주택 수리 계획, 여행 계획, 차 구입, 영수증 수집, 아이템 목록(예를 들어, 읽은 책, 볼 영화, 살 선물, 냉장 제품), 취미를 위한 정보 수집, 및 이에 필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이아그램(20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콘텐츠 제작시 클리핑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데스크탑, 전화 운영 체제, 태블릿 운영 체제 등과 같은 다양한 클라이언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230)는 예를 들어 파일의 첨부, 웹 검색, 오디오 기록, 비디오 기록, 하이퍼링크 및/또는 이미지 캡처를 통해 클리핑 콘텐츠를 캡처하는 캡처 소스(232)를 포함할 수 있다. 캡처 소스 및 클라이언트를 통해, 클리핑은 캡처될 수 있고, 브라우징될 수 있고, 관리될 수 있며, 주석첨부될 수 있다. 시스템은 또한 다양한 브라우저와 같은 북마크 클리퍼(clipper)(234)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e-리더, 스캐너, 및 소셜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제3자 애플리케이션(236)과, 워드 프로세서, 프리젠테이션 애플리케이션, e-리더 애플리케이션, 스토리텔링 애플리케이션,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고유 애플리케이션(23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고유 애플리케이션(238), 제3자 애플리케이션(236) 및 북마크 클리퍼(234)는 필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통해 필기 서비스(240)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230)는 동일한 API 또는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필기 서비스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시스템은 화이트보드 및 문서 스캔, 웹 페이지 개체 추출, 이미지 개체 추출, 광학 문자 인식, 및 이와 유사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증강 서비스(2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HTML을 이미지로 변환, PDF, 문서, 및 이와 유사한 포맷을 이미지 또는 PDF 포맷으로 변환, 및 이에 필적하는 작업을 위한 변환 서비스(244)를 포함할 수 있다.
필기 서비스(240)는 클라이언트(230)와 직접 상호작용할 수 있는 저장소 제공자(252), 클리핑 서비스(252), 들어오는 통신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이메일/텍스트 모듈, 필기 저장소(258), 인덱서(indexer)(260), 및 클리핑 인덱스 저장소(262)를 포함할 수 있다. 인덱서(260)는 필기 저장소(258) 및 클리핑 인덱스 저장소(262)에 저장된 콘텐츠를 인덱싱하여 저장된 클리핑이 저장된 콘텐츠와 유사하게 탐색되도록 할 수 있다.
필기 서비스(240)는 또한 증강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증강 흐름 프로세서(256) 및 변환 서비스(244)와 연계하여 스마트 포맷 동작을 위한 클리핑 렌더 서비스(clipping render service)(264)를 포함할 수 있다. 필기 서비스(240)는 일부 실시예의 예시적인 구현이다. 클리핑 서비스는 다른 유형의 서비스/애플리케이션에 통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간단한 아이템 기반 액세스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클리핑은 아이템으로 취급되고, 페이지는 하나 이상의 클리핑 및 다른 풍부한 주석을 포함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는 일반적인 유형에 대한 스키마를 갖는 아이템(예를 들어, 제품, 조리법, 사람, 지도, 위치, 기사, 영화, 이벤트 및 이에 필적하는 것들)에 사용될 수 있다. 유형은 확장가능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API는 생성, 판독, 업데이트, 삭제(CRUD) 동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질의 지원(query support)도 제공될 수 있고, 클리핑 렌더링은 HTML, 이미지, 또는 이미지로서의 PDF/doc 등과 같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북마크 클리퍼는 스크립트와 연계하여 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DVI 및 이미지 기반 선택 모델). 웹 콘텐츠를 선택하는 코드는 예를 들어 필기, 워드 프로세싱, 프리젠테이션, 스토리텔링 애플리케이션과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에 따라 태깅을 수행하고 클립을 어디에 적용할지를 지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콘텐츠는 서비스에 제공될 수 있고, 상이한 브라우저에 대해 브라우저 애드-인(browser add-in)이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클리핑을 생성, 취득 또는 질의하기 위한 호출 서비스 API가 제공될 수 있다. 호스팅가능 웹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작업창 애플릿으로 호스팅가능하거나 또는 웹 경험에서 호스팅가능한 클리핑을 브라우징하고 수집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리핑은, 클리핑 수집기(clipping picker)를 끌어들이고, 그들을 브라우징하고, 필터링하고, 선택하고 삽입함으로써 스토리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운영 체제 통합은 공유 기능, 사진 및/또는 파일 수집기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자 애플리케이션은 공유 기능을 통해 클리핑을 공개할 수 있다. 사진 및 파일 수집기 약정을 사용하여 필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클리핑을 끌어올 수 있다.
증강 서비스에서, 검색 엔진 성능은 클리핑을 증강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예는 웹 페이지로부터 주요 개체를 추출하는 것, 웹 페이지로부터 제품, 조리법 등을 추출하는 것, 블로그 사이트로부터 기사 제목, 저자 및 텍스트를 추출하는 것, 이메일로부터 여행 일정표를 추출하는 것, 및 카메라 문서 및/또는 화이트보드 스캔을 추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미지들은 깨끗한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스큐감소되고(deskewed), 콘트라스트 조정되고, 또는 스티치되고(stiched), 아이템들은 카메라 이미지(예를 들어, 바코드, 이와 유사한 라벨)로부터 인식될 수 있다. 확장가능 파이프라인이 사용될 수 있어 다른 것들은 특정 아이템 지원(예를 들어, 소비자 가족 캘린더를 위한 이메일로부터의 캘린더 인식)을 추가할 수 있다.
클리핑 브라우저 경험을 위해, 클리핑은 최적화된 뷰를 제공받을 수 있고, 시각적으로 격자무늬 형태의 브라우징 레이아웃이 제공될 수 있고, "커버 페이지"는 가시적일 수 있고, 탐색가능하며 쉽게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클리핑은 최신정도(recency), 태그, 위치, 또는 이와 유사한 측면에 따라 보여질 수 있다. 클리핑에 대한 주석은 클리핑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다른 경험으로부터, 본래의 클리핑 또는 주석이 달린 버전이 재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이들 모두는 서비스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판독 경험의 경우, 클리핑, 노트 및 주석은 클리핑 서비스에 저장될 수 있다. (워드 프로세싱, 프리젠테이션 또는 이와 유사한 환경에서의) 스토리텔링 및 현대식 저작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클리핑 저장소로부터의 아이템은 스토리, 워드 프로세싱 문서, 프리젠테이션 등에 삽입될 수 있다. 서비스 구성요소 공유를 위해, 소비자 및 스토리텔링은 이메일 수신 파이프(an email in bound pipe)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스토리텔링은 유사한 "증강" 개체 추출을 가질 수 있고 주요 증강 워크플로 엔진을 공유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협업 저작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스크린샷을 나타낸다.
예시적인 스크린샷(300)에서, 사회학적 서류가 하나의 팀에 의해 협업하여 생성되고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생성된 콘텐츠(370)를 편집 컨트롤(372)과 함께 제시한다. 예시적인 스크린샷(300)에서 생성되고 있는 콘텐츠의 편집 뷰는 단일 사용자(374)를 보여주고 있지만,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컨트롤 요소는 협업자를 나열하고 이들과의 통신(예를 들어, 협업자의 코멘트를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보기 창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376)은 (예를 들어, 터치에 의해) 활성화(378) 시 클리핑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나타나게 할 수 있다.
협업 저작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또한 추가의 컨트롤을 제시할 수 있는데, 이 추가의 컨트롤은 예를 들어 코멘트를 제공하고, 콘텐츠를 편집하고, 콘텐츠 또는 저자의 편집본을 공개하는 등의 상이한 모드들 간을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간을 전환하도록 터치 또는 제스처 입력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협업자 및 수정된 콘텐츠와 연관된 정보는 현재 사용자의 선택(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의 컨트롤의 토글링)에 기초하여 숨겨지고/제시될 수 있다.
스크린샷(300)에 도시되어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설명을 위한 것이다. 현재 웹 페이지의 어드레스, 검색 박스, 명령 메뉴, 및 웹 페이지를 나타내는 탭과 같은 표준 요소에 외에, 다른 요소들도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원리를 사용하여 다양한 위치 및 임의의 순서로 제공될 수 있다. 협업 저작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또한 로컬로 설치되고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와 같이 맞춤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클리핑 창이 제시되어 있는 도 3의 예시적인 협업 저작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스크린샷을 나타낸다.
스크린샷(400)은 클리핑 사용자 인터페이스(480)와 함께 생성된 콘텐츠(470) 및 편집 컨트롤을 갖는 협업 저작 서비스의 주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준다. 클리핑 사용자 인터페이스(480)는 웹 서비스를 포함하는 상이한 소스로부터의 콘텐츠를 통합하는 것과 검색 엔진 또는 다른 소스로부터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클리핑에 주석을 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문서 내의 스테이징 영역일 수 있다.
협업 환경에서, 클리핑은 두 가지 모드, 즉 저자 자신의 클리핑(마이 클리핑(my clipping)(484))과 공유 클리핑(모든 이의 클리핑(486))으로 제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스크린샷(400)에서, 저자 자신의 클리핑이 선택된다(490). 클리핑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이미지(494) 및 텍스트(496)와 같은 상이한 유형의 클리핑을 제시한다. 클리핑과 연관된 요약 정보(492)는 클리핑을 누가 그리고 언제 제공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클리핑의 소스(예를 들어, 웹사이트)와 같은 다른 정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컨트롤(482)은 저자가 새로운 클리핑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클리핑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양한 클리핑이 제시될 수 있도록 스크롤가능 또는 플립가능할 수 있다.
도 5는 클리핑 창이 공유 클리핑 모드로 있는 도 4의 예시적인 협업 저작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스크린샷을 나타낸다.
예시적인 스크린샷(50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콘텐츠(570)는 다수의 저자에 의해 협업하여 생성될 수 있다. 클리핑 사용자 인터페이스(580) 상에서 공유 클리핑 뷰를 선택하는 경우(590), 저자는 이미지(594), 텍스트(596) 등과 같은 협업 저장 의해 수집/저장된 클리핑을 제시받을 수 있다. 클리핑 정보(592)가 도시됨에 따라, 각 클리핑마다 저자는 다를 수 있다. 상이한 저자로부터의 클리핑이 공유될 수 있게 함으로써, 협업 저작 경험은 강화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개개의 저자는 다른 저자에 의해 발견된 클리핑을 이용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생성된 콘텐츠 내로의 클리핑의 드래그 앤드 드롭 통합을 보여주는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스크린샷을 나타낸다.
스크린샷(600A)에서, 텍스트 클리핑(606)을 콘텐츠(670) 내로 드래깅하는 사용자 동작(604)이 도시되어 있다. 클리핑이 드래그되는 경우, 본래의 클리핑(606)은 여전히 디스플레이될 수 있지만 과도기 버전(602)은 콘텐츠(670) 내의 사용자 희망 위치로의 클리핑의 이동을 시각화하기 위해 하이라이팅 또는 음영 기법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클리핑이 어디에 삽입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제안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가이드(608)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삽입되면, 삽입된 클리핑 주변의 콘텐츠는 조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기존의 텍스트는 재배열될 수 있고, 기존의 텍스트는 삽입된 이미지 또는 객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삽입된 클리핑은 콘텐츠(670)의 스타일 및 형식에 맞게 재포맷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 클리핑의 폰트 유형, 크기 등은 콘텐츠의 그것에 일치될 수 있다. 이미지 클리핑은 크기조정되거나, 선명해지거나, 흐릿해지거나, 프레임에 맞게 조정되거나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스크린샷(600B)은 일부분(610)으로서 콘텐츠(670)에 통합되는 텍스트 클리핑(606)을 보여준다. 예시적인 시나리오에서, 텍스트 콘텐츠는 별개의 문단으로서 삽입된다. 따라서, 포맷 및 스타일 일치 외에, 콘텐츠 그 자체도 분석될 수 있고 삽입된 클리핑에 대한 적절한 문장/문단이 선택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이미지, 그래픽 및 다른 객체 유형의 클리핑도 콘텐츠(670)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b에서의 예는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구성 및 프리젠테이션과 관련하여 설명되었다. 실시예들은 이들 예시적인 구성에 따른 시스템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클리핑 기능을 갖춘 협업 저작 환경은 다른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프리젠테이션을 이용하는 구성, 및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원리를 사용하는 유사한 방식의 구성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네트워크 환경이다. 협업 저작 환경을 제공하는 플랫폼은 호스트형 서비스와 같은 하나 이상 서버(706)를 통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 플랫폼은 네트워크(714)를 통해 데스크탑 컴퓨터(104), 랩탑 컴퓨터(106), 스마트폰(116) 및 태블릿(108)('클라이언트 장치')와 같은 개별 컴퓨팅 장치 상의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들 중 임의의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은 서버(706) 또는 개별 서버(704) 상에서 실행되는 호스트형 콘텐츠 프로세싱 애플리케이션과의 통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서버들 중 하나 상에서 실행되는 협업 저작 애플리케이션은 전술한 바와 같은 클리핑 기능을 이용한 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협업 저작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 저장소(들)(716)로부터 직접 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702)를 통해 관련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고, 요청된 서비스를 클라이언트 장치(들)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들)(714)는 서버, 클라이언트,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및 통신 매체의 임의의 토폴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은 정적 또는 동적 토폴로지를 가질 수 있다. 네트워크(들)(714)는 기업 네트워크와 같은 보안 네트워크, 무선 개방 네트워크와 같은 비보안 네트워크(unsecure network), 또는 인터넷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들)(714)는 또한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들)(714)는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들)(714)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노드들 사이의 통신을 제공한다. 예컨대, 네트워크(들)(714)는 음향, RF, 적외선 및 기타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리핑 기능을 갖는 협업 저작 환경을 제공하는 플랫폼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팅 장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소스, 및 데이터 분산 시스템의 많은 다른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논의된 네트워크 환경은 단지 예를 들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애플리케이션, 모듈, 또는 프로세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 및 관련 논의는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적절한 컴퓨팅 환경에 대한 간략한 일반적인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컴퓨팅 장치(106)와 같은, 실시예들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예시적인 컴퓨팅 동작 환경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기본 구성으로, 컴퓨팅 장치 통신 기능을 갖춘 임의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처리 장치(812) 및 시스템 메모리(804)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800)는 또한 프로그램 실행시 협업하는 복수의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의 정확한 구성 및 유형에 따라서, 시스템 메모리(804)는 휘발성(예컨대, RAM), 비휘발성(예컨대,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 둘의 일부 조합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804)는 통상적으로, 워싱턴 레드몬드에 위치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WINDOWS®, WINDOWS MOBILE® 또는 WINDOWS PHONE® 운영 체제와 같은 플랫폼의 운영을 제어하는데 적합한 운영 체제(805)를 포함한다. 시스템 메모리(804)는 또한 협업 저작 애플리케이션(822), 저작 모듈(824) 및 클리핑 모듈(826)과 같은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협업 저작 애플리케이션(822)은 다수의 저자에 의한 콘텐츠의 생성 및 편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협업 저작 애플리케이션(822), 저작 모듈(824) 및 클리핑 모듈(826)은 개인적인 또는 공유되는 클리핑을 사용하면서, 저자들이 콘텐츠를 생성/편집할 수 있게 하고, 콘텐츠 생성/편집 과정에 대한 통신할 수 있게 하고, 특정 저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변경에 대해 저자들에게 통지할 수 있게 하고, 공동 저자에게 변경을 통지할 수 있게 하고, 버전 및/또는 노트를 복원 또는 비교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협업 저작 애플리케이션(822), 저작 모듈(824) 및 클리핑 모듈(826)은 별개의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고 호스트형 서비스의 통합 모듈일 수도 있다. 이 기본 구성은 도 8에 점선(802) 내의 컴포넌트들로 도시되어 있다.
컴퓨팅 장치(800)는 부가적인 특징 또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800)는 또한, 예컨대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또는 테이프와 같은 부가적인 데이터 저장 장치(착탈식 및/또는 비착탈식)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적인 저장부는 도 8에 착탈식 저장소(814) 및 비착탈식 저장소(816)로 도시되어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해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착탈식 및 비착탈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804), 착탈식 저장소(814) 및 비착탈식 저장소(816)는 모두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예들이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CD-ROM, DVD(digital versatile disk) 또는 기타 광학 저장부,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부 또는 기타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팅 시스템(800)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임의의 그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팅 장치(800)의 일부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800)는 또한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장치, 터치 입력 장치, 제스처를 검출하는 광학 캡처 장치 및 이에 필적하는 입력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들)(818)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및 그 밖의 다른 유형의 출력 장치와 같은 출력 장치(들)(820)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들 장치는 모두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서 길게 논의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몇몇 실시예는 통신 모듈, 메모리 장치,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는데, 프로세서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들과 연계하여 전술한 방법 또는 이에 필적하는 것을 실행한다.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방법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실행하는 명령어들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의 다양한 구현예로서의 메모리 장치의 예는 앞서 설명되어 있다.
컴퓨팅 장치(800)는 장치가, 예컨대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위성 링크, 셀룰러 링크, 근거리 네트워크, 및 이와 유사한 메커니즘을 통해 다른 장치(826)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 연결부(8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장치(826)는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컴퓨터 장치(들), 웹 서버, 및 이와 유사한 장치(108)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연결부(822)는 통신 매체의 일례이다. 통신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통신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 유선 접속과 같은 유선 매체, 및 음향, RF, 적외선 및 기타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구현예들은 또한 방법을 포함한다. 이들 방법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구조를 포함하는 임의의 수의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가지 그러한 방법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유형의 장치의 기계 동작에 의한 것이다.
다른 선택적 방법은 방법의 개별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수행되고 하나 이상의 인간 조작자가 그 일부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들 인간 조작자는 서로 협업할 필요가 없고, 각자가 프로그램의 일부를 수행하는 머신과 협업하기만 하면 된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클리핑 기능을 갖는 협업 저작을 용이하게 하는 프로세스(900)의 논리적 흐름도를 나타낸다. 이 프로세스(900)는 서버 또는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스(900)는 동작(902)으로 시작되는데, 이 동작에서, 저작 애플리케이션/서비스가 (예를 들어, 통합 클리핑 서비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저자로부터 클리핑을 캡처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선택사항인 동작(904)에서, 저자는 클리핑에 주석을 첨부할 수 있는데, 이 주석은 클리핑 메타데이터에 보존될 수 있다. 동작(906)에서, 클리핑의 모음은 저자들이 클리핑을 검토하고, 공유하고, 분류하고 또한 이에 필적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클리핑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시될 수 있다.
동자(908)에서, 저자는 클리핑 및/또는 주변 콘텐츠의 포맷, 크기, 위치, 스타일 및 그 밖의 다른 측면의 자동화된 매칭과 함께 클리핑을 콘텐츠로 내로 드래그 앤드 드롭하여 삽입된 클리핑 및 콘텐츠의 매끄러운 통합을 제공할 수 있다. 동작(910)에서, 클리핑은 클리핑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공유된 클리핑 뷰 또는 이와 유사한 수단을 통해 공유될 수 있다.
프로세스(900)에 포함된 동작들은 예시 목적으로 설명되었다. 클리핑 기능을 갖는 협업 저작 환경을 제공하는 동작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원리를 사용하여, 보다 적은 또는 보다 많은 단계를 갖는 유사한 프로세스에 의해 또한 다른 동작 순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 예시 및 데이터는 실시예들의 구성요소들의 제작 및 사용에 대한 완전한 설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구조적 특징 및/또는 방법론적 동작에 특정한 언어로 기술되었지만, 첨부한 청구항에 정의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특정 특징 또는 동작들에 반드시 국한될 필요는 없다. 그 보다, 전술한 특정 특징 및 동작들은 청구 대상 및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형식으로 개시되어 있다.

Claims (10)

  1. 협업 저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컴퓨팅 장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행되는 방법으로서,
    클리핑의 캡처 및 수신 중 하나를 가능하게 하는 단계와,
    편집되고 있는 콘텐츠와 함께 클리핑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복수의 클리핑을 제시하는 단계와,
    상기 클리핑 UI로부터 선택된 클리핑을 상기 콘텐츠 내에 자동으로 통합시킴으로써 상기 콘텐츠로의 상기 선택된 클리핑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검색 엔진 및 사용자 노트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상기 클리핑의 주석달기를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협업 저자들 사이에서 네트워크 상에서의 공개 및 메시징 중 하나 이상을 통한 상기 클리핑 및 상기 클리핑의 주석 중 하나 이상의 협업 및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도록 본래의 클리핑 및 상기 클리핑의 주석 버전을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핑과 연관된 노트 이력을 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협업 저작 환경을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로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고, 협업 저작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협업 저작 애플리케이션은
    파일의 첨부, 웹 검색, 오디오 기록, 비디오 기록, 하이퍼링크 선택 및 이미지 캡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캡처 소스를 통한 클리핑의 캡처를 가능하게 하고,
    편집되고 있는 콘텐츠와 함께 클리핑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복수의 클리핑을 제시하고,
    검색 엔진 및 사용자 노트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상기 클리핑의 주석달기를 가능하게 하며,
    상기 클리핑 UI로부터 선택된 클리핑을 상기 콘텐츠 내에 자동으로 통합시킴으로써 상기 콘텐츠로의 상기 선택된 클리핑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협업 저작 애플리케이션은 화이트보드 스캔, 문서 스캔, 웹 페이지 개체 추출, 이미지 개체 추출 및 광학 문자 인식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증강 서비스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팅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고유 및 제3자 애플리케이션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통해 상기 협업 저작 애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하고 하나 이상의 생성, 판독, 업데이트, 삭제(CRUD) 동작을 수행하도록 활성화되는
    컴퓨팅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협업 저작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클리핑을 브라우징 및 선택하기 위한 호스트가능 웹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되는
    컴퓨팅 장치.
  10. 협업 저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장치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파일의 첨부, 웹 검색, 오디오 기록, 비디오 기록, 하이퍼링크 선택 및 이미지 캡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캡처 소스를 통한 클리핑의 캡처를 가능하게 하고,
    편집되고 있는 콘텐츠와 함께 클리핑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복수의 클리핑을 제시하고,
    협업 저자들 사이에서 네트워크 상에서의 공개 및 메시징 중 하나 이상을 통한 상기 클리핑 및 상기 클리핑의 주석 중 하나 이상의 협업 및 공유를 가능하게 하고,
    상기 클리핑 UI로부터 선택된 클리핑을 상기 콘텐츠 내에 자동으로 통합시킴으로써 상기 콘텐츠로의 상기 선택된 클리핑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되,
    상기 통합은 상기 선택된 클리핑 및 상기 삽입된 클리핑 주변의 콘텐츠 중 하나 이상의 조정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장치.
KR1020157029416A 2013-04-15 2014-04-14 클리핑 기능을 이용하는 협업 저작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201501324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63,323 2013-04-15
US13/863,323 US20140310613A1 (en) 2013-04-15 2013-04-15 Collaborative authoring with clipping functionality
PCT/US2014/033906 WO2014172218A1 (en) 2013-04-15 2014-04-14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ollaborative authoring with clipping functiona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2444A true KR20150132444A (ko) 2015-11-25

Family

ID=50771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9416A KR20150132444A (ko) 2013-04-15 2014-04-14 클리핑 기능을 이용하는 협업 저작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310613A1 (ko)
EP (1) EP2987346A1 (ko)
KR (1) KR20150132444A (ko)
CN (1) CN105230051A (ko)
WO (1) WO20141722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4031A1 (ko) * 2016-06-29 2018-01-04 주식회사 유비온 소셜 플랫폼을 이용한 협업기록 동적 생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80191A1 (en) * 2013-06-24 2014-12-25 Autodes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 review collaboration across multiple platforms
US20150134725A1 (en) * 2013-11-13 2015-05-14 Adrian Cesena, Jr. Computer-implemented methods,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systems for virtual application execution
US10824787B2 (en) 2013-12-21 2020-1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horing through crowdsourcing based suggestions
US11514399B2 (en) 2013-12-21 2022-11-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horing through suggestion
JP2015156209A (ja) * 2014-01-17 2015-08-27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
US20150339394A1 (en) * 2014-05-20 2015-11-26 Tasty Time, Inc. Extracting Online Recipes, and Arranging and Generating a Cookbook
US20160232144A1 (en) * 2015-02-06 2016-08-11 Liang Zhou Browser extension allowing web users to draw on live web pages
US10394939B2 (en) * 2015-03-31 2019-08-27 Fujitsu Limited Resolving outdated items within curated content
US10339199B2 (en) * 2015-04-10 2019-07-02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capturing and storing a web page screenshot
KR20170017431A (ko) * 2015-08-06 2017-02-15 이래득 공유창작 콘텐츠 복합거래 생태계 서비스 플랫폼 및 그 방법
US10409901B2 (en) * 2015-09-18 2019-09-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viding collaboration communication tools within document editor
US9998883B2 (en) * 2015-09-30 2018-06-12 Nathan Dhilan Arimilli Glass pane for collaborative electronic communication
US10078627B2 (en) 2015-11-20 2018-09-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llaboration cards for communication related to a collaborated document
US10444946B2 (en) 2016-12-13 2019-10-15 Evernote Corporation Shared user driven clipping of multiple web pages
US11106862B2 (en) * 2017-07-28 2021-08-31 Cisco Technology, Inc. Combining modalities for collaborating while editing and annotating files
US10824329B2 (en) 2017-09-25 2020-11-03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query status information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EP3794432A1 (en) * 2018-05-18 2021-03-24 Re Mago Ltd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propagating cropped images over a web socket connection in a networked collaboration workspace
US10884694B1 (en) * 2018-09-24 2021-01-05 Tableau Software, Inc. Conversational analytics with data visualization snapshots
US10832046B1 (en) * 2018-10-23 2020-11-10 Architecture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document images
US11038955B2 (en) * 2019-06-24 2021-06-15 Screenovate Technologies Ltd. Method and a system for controlling multimedia file on external screen device
US20220091707A1 (en) 2020-09-21 2022-03-24 MBTE Holdings Sweden AB Providing enhanced functionality in an interactive electronic technical manual
US11967317B2 (en) 2021-02-18 2024-04-23 MBTE Holdings Sweden AB Providing enhanced functionality in an interactive electronic technical manual
US11720244B2 (en) * 2021-04-22 2023-08-08 Cisco Technology, Inc. Online conference tools for meeting-assisted content editing and posting content on a meeting board
US11947906B2 (en) 2021-05-19 2024-04-02 MBTE Holdings Sweden AB Providing enhanced functionality in an interactive electronic technical manua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8678B2 (en) * 2002-10-31 2010-10-19 Litera Technology Llc Collaborative document development and review system
US7519573B2 (en) * 2004-08-23 2009-04-14 Fuji Xerox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lipping, repurposing, and augmenting document content
US8352870B2 (en) * 2008-04-28 2013-01-08 Microsoft Corporation Conflict resolution
US20110208822A1 (en) * 2010-02-22 2011-08-25 Yogesh Chunilal Rathod Method and system for customized, contextual, dynamic and unified communication, zero click advertisement and prospective customers search engine
US20130311329A1 (en) * 2012-03-29 2013-11-21 Digimarc Corporation Image-related methods and arrangements
US20140233919A1 (en) * 2013-02-18 2014-08-21 Treasured Stores, LLC Memory Preservation and Life Story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4031A1 (ko) * 2016-06-29 2018-01-04 주식회사 유비온 소셜 플랫폼을 이용한 협업기록 동적 생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72218A1 (en) 2014-10-23
US20140310613A1 (en) 2014-10-16
EP2987346A1 (en) 2016-02-24
CN105230051A (zh) 201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32444A (ko) 클리핑 기능을 이용하는 협업 저작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N105706080B (zh) 扩增并呈现捕获的数据
US8533199B2 (en) Intelligent bookmarks an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same
US9176933B2 (en) Application of multiple content items and functionality to an electronic content item
US7899829B1 (en) Intelligent bookmarks an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same
KR101409673B1 (ko) 지속 저장 포탈
US10255253B2 (en) Augmenting and presenting captured data
US100257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e document version collaboration and management
US20130205195A1 (en) Managing Content from Structured and Unstructured Data Sources
JP2020501208A (ja) 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におけるプロジェクトの管理
US20130212463A1 (en) Smart document processing with associated online data and action streams
US200600415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lipping, repurposing, and augmenting document content
US20200159373A1 (en) User driven clipping based on content type
US11314757B2 (en) Search results modulator
TWI438638B (zh) Integration of Easy Information Aggregate Files
US11468228B2 (en) Content frames for productivity applications
Procopio Instant Google Drive Starter
US11762898B1 (en) Generating and utilizing digital media clips based on contextual metadata from digital environments
US20230315972A1 (en) Generating and utilizing digital media clips based on contextual metadata from digital environments
US20230315971A1 (en) Generating and utilizing digital media clips based on contextual metadata from digital environments
WO2023191905A1 (en) Generating and utilizing digital media clips based on contextual metadata from digital environments
JP2016505923A (ja) 電子リーダーにおけるコンテンツの注記ベースの注釈付けの提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