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2120A - 맥관 여과 장치 - Google Patents

맥관 여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2120A
KR20150132120A KR1020157023342A KR20157023342A KR20150132120A KR 20150132120 A KR20150132120 A KR 20150132120A KR 1020157023342 A KR1020157023342 A KR 1020157023342A KR 20157023342 A KR20157023342 A KR 20157023342A KR 20150132120 A KR20150132120 A KR 20150132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device
elongate member
elongate
lumen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3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단 엘 프리드만
Original Assignee
더블유.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트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블유.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트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더블유.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트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32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21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1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 A61F2/013Distal protection devices, i.e. devices placed distally in combination with another endovascular procedure, e.g. angioplasty or ste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7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27Type of occlusion
    • A61B17/1204Type of occlusion temporary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9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 A61B17/1210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68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having a mesh structure
    • A61B17/1217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having a mesh structure having a pre-set deployed three-dimension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68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having a mesh structure
    • A61B17/12177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having a mesh structure comprising additional materials, e.g. thrombogenic, having filaments, having fibers or being co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2017/1205Introd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66Radiopaque markers visible in an X-ray im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1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 A61F2/013Distal protection devices, i.e. devices placed distally in combination with another endovascular procedure, e.g. angioplasty or stenting
    • A61F2002/015Stop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1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 A61F2002/018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made from tubes or sheets of material, e.g. by etching or laser-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63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230/0073Quadric-shaped
    • A61F2230/0078Quadric-shaped hyperboloi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63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230/0073Quadric-shaped
    • A61F2230/008Quadric-shaped paraboloid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Abstract

본 문서는 맥관 여과 장치 및 그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맥관 여과 장치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갖는 벽과 루멘을 구비하는 세장형 부재를 포함한다. 맥관 여과 장치는 또한 다수의 세장형 연장부를 갖는 다공성 멤브레인 백 부분을 포함하며, 다수의 세장형 연장부는 세장형 부재의 개구를 통해 그리고 세장형 부재의 루멘을 통해 연장하며, 세장형 부재의 근위 영역에서 루멘을 벗어난다.

Description

맥관 여과 장치{VASCULAR FILTRATION DEVICE}
본 발명은 환자 내의 도관에서 전개될 수 있는 여과 장치를 포함하는 전개가능한 여과 장치 및 장치를 제조 및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개가능한 여과 장치는 인체 내의 도관을 통해 유동하는 체액을 여과하는 데 유용하다. 전개가능한 여과 장치의 일 예는 필터 재료의 시트에 의해 덮여지고 지지 와이어의 원위 단부에 고정된 와이어 프레임을 포함한다. 장치는 혈관을 통해 전달 카테터를 전진시키고 전달 카테터의 루멘을 통해 장치를 전진시키고 장치가 카테터의 루멘을 벗어나게 하여 혈관 내에 배치함으로써 전달 카테터를 사용하여 혈관 내의 위치로 전달된다. 와이어 프레임은 종종 형상 기억 특성을 포함하며, 그래서, 장치가 카테터의 루멘을 벗어날 때 와이어 프레임의 형상 기억 특성이 장치가 확장되어 혈관 내에서 전개 구조를 취하게 한다. 장치의 필터 재료는 혈관을 통해 유동하는 혈액에 의해 전달되는 파편(예를 들어, 색전 파편)이 혈관을 통해 위치의 하류로 그리고 추가로 혈관구조 내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중재 맥관 시술(예를 들어, 트랜스카테터 또는 수술 맥관구조 시술) 동안, 색전 파편[예를 들어, 혈전, 클롯(clot), 플라크 등]이 그 소스로부터 해방되고, 소스의 하류에 위치된 맥관구조의 관류를 방해할 수 있다. 맥관 관류의 이러한 방해는 세포 허혈 및/또는 혈관 괴사를 초래할 수 있다. 전개가능한 여과 보호부는 중재 시술 동안 해방된 색전을 포획할 수 있고, 따라서, 중재 맥관 시술과 연계된 색전 합병증(예를 들어, 색전성 뇌졸중)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맥관 여과 장치는 세장형 부재와 멤브레인 부재를 포함한다. 세장형 부재는 세장형 부재의 벽의 하나 이상의 개구 및 세장형 부재의 근위 영역으로부터 연장하고 하나 이상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는 루멘을 갖는다. 멤브레인 부재는 백(bag) 부분과 백 부분의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를 포함한다. 백 부분은 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한다. 백 부분의 원위 영역은 세장형 부재의 원위 부분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장형 연장부 각각은 백 부분과 일체이고, 하나 이상의 개구를 통해, 그리고, 세장형 부재의 루멘을 통해 연장하며, 세장형 부재의 근위 영역에서 루멘을 벗어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와 백 부분은 단일 시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와 백 부분은 ePTFE 재료의 시트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는 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는 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지 않는다. 세장형 부재는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의 세장형 연장부의 수와 같은 수의 세장형 부재의 벽 내의 개구를 포함하고, 여기서, 각 세장형 연장부는 세장형 부재의 벽의 분리된 개구를 통과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장형 부재는 세장형 부재의 벽의 세 개의 개구를 포함하고, 멤브레인 부재는 백 부분의 세 개의 세장형 연장부를 포함한다. 백 부분의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는 백 부분의 근위 부분으로부터 연장한다.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는 백 부분의 근위 부분의 주연부 주변에서 대략 등거리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에 대한 근위방향 지향력의 인가는 근위 부분의 주연부 주변에 분산된 힘을 부여할 수 있다. 세장형 부재는 성형가능한 선단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성형가능한 선단 부분은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세장형 부재는 관형 부재일 수 있으며, 루멘은 관형 부재의 중앙 루멘일 수 있다. 세장형 부재는 관형 부재일 수 있으며, 루멘은 관형 부재의 벽 내에 형성될 수 있다. 관형 부재는 관형 부재의 벽 내에 형성된 루멘과는 다른 중앙 루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장형 부재는 중실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루멘은 중실 코어의 외부 표면의 홈에 의해 형성된다. 맥관 여과 장치는 중실 코어 위에 하나 이상의 재료 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루멘은 중실 코어의 외부 표면의 홈과 하나 이상의 재료 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세장형 부재는 가이드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세장형 부재는 하이포튜브(hypotube)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에 대한 근위방향 지향력의 인가는 백 부분이 세장형 부재의 외부 표면에 대하여 접혀지게 할 수 있다.
맥관 여과 장치는 일 실시예에 따라서 백 부분의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의 일 세장형 연장부의 원위방향 병진의 양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제1 정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정지 부재는 세장형 부재의 근위 영역의 근위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정지 부재는 세장형 부재의 근위 영역의 원위 및 세장형 부재의 벽의 하나 이상의 개구의 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정지 부재는 백 부분의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의 세장형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매듭을 포함할 수 있다. 맥관 여과 장치는 백 부분의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의 일 세장형 연장부의 근위방향 병진의 양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제2 정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공성 멤브레인은 맥관 여과 장치가 환자의 혈관 내에 전개될 때 혈액이 다공성 멤브레인을 통과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색전 파편이 다공성 멤브레인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맥관 여과 장치는 백 부분의 표면과 접촉하여 배치된 하나 이상의 지주(stru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멤브레인 부재는 하나 이상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맥관 여과 장치는 형상 기억 특성을 포함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맥관 여과 장치는 세장형 부재와 멤브레인 부재를 포함한다. 세장형 부재는 세장형 부재의 벽 내의 복수의 개구와, 복수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면서 세장형 부재의 근위 영역으로부터 연장하는 루멘을 갖는다. 멤브레인 부재는 백 부분과 백 부분의 세장형 연장부를 포함한다. 백 부분은 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한다. 백 부분의 원위 영역은 세장형 부재의 원위 부분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장형 연장부 각각은 백 부분과 일체이며, 복수의 개구 중의 개구를 통해 그리고 루멘을 통해 연장하고, 세장형 부재의 근위 영역의 루멘을 벗어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맥관 여과 장치는 세장형 부재와 멤브레인 부재를 포함한다. 세장형 부재는 세장형 부재의 벽의 복수의 개구와 복수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면서 세장형 부재의 근위 영역으로부터 연장하는 루멘을 갖는다. 멤브레인 부재는 백 부분과 백부분의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를 포함한다. 백 부분은 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한다. 백 부분의 원위 영역은 세장형 부재의 원위 부분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장형 연장부 각각은 백 부분과 일체이며, 복수의 개구의 일 개구를 통해 그리고 루멘을 통해 연장하며, 세장형 부재의 근위 영역에서 루멘을 벗어난다. 일부 실시예에서, 맥관 여과 장치는 형상 기억 특성을 포함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맥관 여과 장치는 세장형 부재와 멤브레인 부재를 포함한다. 세장형 부재는 세장형 부재의 벽의 하나 이상의 개구와 세장형 부재의 근위 영역으로부터 연장하면서 하나 이상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는 루멘을 갖는다. 멤브레인 부재는 백 부분과 백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테더(tether)를 포함한다. 백 부분은 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한다. 백 부분의 원위 영역은 세장형 부재의 원위 부분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더 각각은 하나 이상의 개구의 일 개구를 통해 그리고 루멘을 통해 연장하며, 세장형 부재의 근위 영역에서 루멘을 벗어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테더의 각 테더는 백 부분에 봉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맥관 여과 장치는 제1 세장형 부재, 제2 세장형 부재 및 멤브레인 부재를 포함한다. 제1 세장형 부재는 제1 세장형 부재의 벽의 하나 이상의 개구와 제1 세장형 부재의 근위 영역으로부터 연장하면서 하나 이상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는 루멘을 갖는다. 멤브레인 부재는 백 부분과 백 부분의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를 포함한다. 제2 세장형 부재는 백 부분의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의 각 세장형 연장부에 부착되는 원위 단부를 포함한다. 제2 세장형 연장부의 원위 단부는 제1 세장형 부재의 루멘 내에 배치된다. 제2 세장형 부재의 근위 단부는 제1 세장형 부재의 근위 영역의 근위로 연장한다. 백 부분은 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한다. 백 부분의 원위 영역은 제1 세장형 부재의 원위 부분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장형 연장부 각각은 백 부분과 일체이며, 하나 이상의 개구의 일 개구를 통해 연장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이식가능한 필터는 필터 요소, 복수의 가요성 테더 및 설정 배향에서 원위 단부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필터 요소는 폐쇄된 원위 단부와 개방된 근위 단부를 갖는다. 복수의 가요성 테더는 근위 단부와 연계된다. 테더는 필터 요소를 통한 유체의 유동에 응답하여 필터 요소가 개방될 수 있게 하도록 원위 단부의 설정 배향에 대해 연장하게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맥관 여과를 제공하는 방법은 맥관 여과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백 부분의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에 근위방향 지향력을 인가하는 단계로서, 힘의 인가는 세장형 부재에 대해 백 부분이 접혀지게 하는, 인가 단계; 힘의 인가를 유지하면서 혈관 내의 전개 부위로 세장형 부재의 원위 부분을 전진시키는 단계; 및 힘의 인가를 중단시키는 단계로서, 혈관을 통한 혈액 유동이 백 부분이 관형 부재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팽창하게 하는, 힘의 인가를 중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맥관 여과 장치는 세장형 부재로서 세장형 부재의 벽의 하나 이상의 개구와, 하나 이상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면서 세장형 부재의 근위 영역으로부터 연장하는 루멘을 갖는 세장형 부재; 및 백 부분과 백 부분의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부재를 포함한다. 백 부분은 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한다. 백 부분의 원위 영역은 세장형 부재의 원위 부분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장형 연장부 각각은 백 부분과 일체이며, 하나 이상의 개구의 일 개구를 통해 그리고 루멘을 통해 연장하며, 세장형 부재의 근위 영역에서 루멘을 벗어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혈관 여과를 제공하는 방법은 루멘을 통해 맥관 여과 장치의 상류의 위치로 치료 장치를 전진시키는 단계; 및 치료 장치를 사용하여 중재 맥관 시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치료 장치는 혈전제거 장치일 수 있고, 중재 맥관 시술은 혈전 절제 시술일 수 있다. 치료 장치는 아테렉토미(atherectomy) 장치일 수 있고, 중재 맥관 시술은 아테렉토미 시술일 수 있다. 치료 장치는 스텐트일 수 있고, 중재 맥관 시술은 스텐트 시술일 수 있다. 치료 장치는 혈관성형 벌룬일 수 있고, 중재 맥관 절차는 혈관성형 시술일 수 있다. 맥관 여과 장치 및 치료 장치는 각각 혈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혈관은 제1 및 제2 분기 혈관을 포함할 수 있고, 맥관 여과 장치는 제2 분기 혈관에서 전개될 수 있으며, 방법은 루멘을 통해 제1 분기 혈관으로 치료 장치를 전진시키는 단계와, 치료 장치를 사용하여 중재 맥관 시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백 부분으로부터 맥관 여과 장치에 의해 수집된 파편을 흡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바와 같은 맥관 여과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맥관 여과 장치는 와이어 프레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바와 같은 이식가능한 필터는 와이어프레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맥관 여과 장치는 세장형 부재와 멤브레인 부재를 포함한다. 세장형 부재는 세장형 부재의 벽의 하나 이상의 개구와, 하나 이상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면서 세장형 부재의 근위 영역으로부터 연장하는 루멘을 갖는다. 멤브레인 부재는 백 부분과, 백 부분의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를 포함한다. 백 부분은 멤브레인을 포함한다. 백 부분의 원위 영역은 세장형 부재의 원위 부분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장형 연장부 각각은 백 부분과 일체이며, 하나 이상의 개구를 통해 그리고 세장형 부재의 루멘을 통해 연장하고, 세장형 부재의 근위 영역에서 루멘을 벗어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맥관 여과 장치는 관 폐색기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멤브레인은 실질적으로 비다공성일 수 있다. 멤브레인은 혈액에 대해 실질적으로 비침투성일 수 있다. 맥관 여과 장치는 일시적 관 폐색기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맥관 여과 장치는 세장형 부재와 멤브레인 부재를 포함한다. 세장형 부재는 세장형 부재의 제1 원위 영역의 벽 내의 하나 이상의 개구와, 세장형 부재의 근위 영역으로부터 연장하고 하나 이상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는 루멘을 갖는다. 멤브레인 부재는 백 부분과 백 부분의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를 포함한다. 백 부분은 다공성 멤브레인, 부착 영역 및 입부(mouth) 영역을 포함한다. 백의 부착 영역은 세장형 부재의 제2 원위 부분에 부착되고, 입부 영역은 상기 부착 영역의 원위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장형 연장부 각각은 백 부분과 일체이며, 하나 이상의 개구의 일 개구를 통해 그리고 세장형 부재의 루멘을 통해 연장하고, 세장형 부재의 근위 영역에서 루멘을 벗어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맥관구조 여과는 혈액 순환에서 역방향(retrograde) 전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a는 전달 구성의 여과 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전개 구성의 도 1a의 여과 장치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c는 전달 구성에서 여과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d는 전개 구성에서 도 1c의 여과 장치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환자 내의 도관에서 도시되어 있는 도 1a 및 도 1b의 여과 장치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여과 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절단 평면 4-4에서 도 3의 여과 장치의 세장형 부재의 근위 단부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여과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절단 평면 6-6에서 도 5의 여과 장치의 근위 단부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a 및 도 1b의 여과 장치를 포함하는 절단 평면 7-7에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치료 키트의 일 실시예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환자 내의 도관에 도시되어 있는 도 7의 치료 키트의 상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치료 키트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환자 내의 도관에 도시되어 있는 도 9a 및 도 9b의 치료 키트의 상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는 환자 내의 대동맥 또는 정맥 또는 일반적으로는 혈관 같은 도관에 전달되거나 그 내부로 전개될 수 있는 여과 장치(100)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1c 및 도 1d는 혈관 내로 전달되어 혈관 내로 전개될 수 있는 여과 장치(18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a 및 도 1c는 전달 구성의 여과 장치(100, 180)를 , 도 1b 및 도 1d는 전개 구성의 여과 장치(100, 180)를 도시하고 있다. 예로서,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중재 시술, 맥관 시술 또는 수술 시술 이전, 도중 또는 이후 혈관을 통해 유동하는 혈액 또는 기타 유체를 여과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색전 파편 또는 다른 파편은 시술에 의해 또는 시술을 위한 준비에 의해 혈류 내로 변위될 수 있으며,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여과 장치의 전개 위치를 초과하여 파편이 전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혈액 또는 기타 유체를 여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가이드와이어와 통합된 원위 여과 요소를 제공할 수 있다.
장치 또는 장치 구성요소에 관하여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근위" 및 "원위"는 각각 장치의 허브 또는 시술자에 더 근접한(그리고, 장치의 선단으로부터 더 먼) 방향과 장치의 선단에 더 근접한(그리고, 장치의 허브 또는 시술자로부터 더 먼) 방향을 각각 지칭한다.
혈관 내에서 전개될 때,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하류 맥관구조의 관류를 위해 혈액이 장치를 통해 통과할 수 있게 하며, 혈액에 의해 운반되는 적어도 사전결정된 크기를 갖는 입자를 포획 또는 포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장치 내에 또는 장치에 의해 형성된 체적 내에 색전을 포획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색전은 흡인될 수 있거나 다른 방식으로 여과 장치(100 또는 180)의 내부로부터 또는 장치에 의해 형성된 체적 내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혈관 내에서 전개되어 유지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포획된 색전과 함께 혈관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혈관의 하류로 그리고 환자의 맥관구조 내로 더 깊이 물질 또는 파편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면서, 장치를 통과하는 혈액의 하류 조직 관류를 여전히 허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순환 내로 순방향 전진되도록 구성되고,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순환 내로 역방향 전진되도록 구성된다.
이 때문에, 하류 혈관을 색전 폐색할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에 추가로, 하류 조직은 대동맥 내의 전개 위치를 위한 산소 운반 혈액을 계속 공급받을 수 있고, 그래서 세포 부상이 방지 또는 최소화된다. 예로서, 정맥 내에서의 전개를 위해, 색전 파편은 심장으로의 혈액의 순환 및 복귀를 실질적으로 교란시키지 않고 포획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말초 혈관, 심장 혈관, 폐 혈관, 두개내 혈관 또는 다른 유형의 혈관을 통해 유동하는 혈액을 여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대동맥 또는 정맥 내의 혈액을 여과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비제한적으로, 여과 장치(100 또는 180)가 그 동안에 원위 여과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절차의 실시예는 환자가 급성 허혈 뇌졸중이 발병한 직후의 기계적 혈전제거 시술을 포함하는 혈전제거 시술, 아테렉토미 시술, 스텐트 시술, 혈관성형 시술, 코일링 시술, 심정맥 혈전 시술, 하지 허혈 시술, 신장 중재(예를 들어, 스텐트형성, 혈관성형 또는 코일링), 복제 정맥 그라프트 시술 또는 다른 중재, 맥관 또는 수술 시술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런 시술은 클롯, 폐색, 상해, 혈전, 플라크 누적 등 같은 상태나 손상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간결성을 위해, 절차의 이런 실시예에 대한 언급은 이하에서, 일반적으로 "중재 맥관 시술"이라 지칭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중재 맥관 시술의 개시 이전에 혈관 내의 전달 부위로 전달될 수 있으며, 혈관 내에서 전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중재 맥관 시술 동안 전달 및 전개될 수 있다. 전개 구성에서, 예로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여과 장치의 일부(예를 들어, 여과 장치의 림 또는 림 부분)는 혈관의 벽에 대해 밀봉 또는 압박되도록, 그리고, 실질적으로 여과 장치(100 또는 180) 또는 장치의 부분과 혈관의 벽 사이에서 파편 또는 물질의 통과를 방지하도록 혈관의 벽의 내부 표면을 적절히 배치할 수 있다. 혈액은 여과 장치(100 또는 180)에 의해 형성된 개구 또는 입부(예를 들어, 입부 영역)에 진입할 수 있고, 여과 장치(100 또는 180)를 통과할 수 있지만, 파편은 여과 장치(100 또는 180)에 의해 더 하류로 이동하는 것이 억제되고 전개된 여과 장치에 의해 형성된 영역 내에 포획될 수 있다. 따라서, 중재 맥관 시술 동안 방출되어 혈관을 통해 유동하는 혈액에 의해 운반될 수 있는 파편(예를 들어, 색전 파편) 또는 물질은 전개된 여과 장치(100 또는 180)의 위치(예를 들어, 그 원위)의 하류로 유동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중재 맥관 시술의 완료 이후, 여과 장치(100 또는 180) 및 여과 장치에 의해 수집된 임의의 물질 또는 파편은 추가로 상세히 후술될 바와 같이 전달 부위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에 의해 수집된 파편은 여과 장치의 제거 이전에 전달 부위로부터 흡인(예를 들어, 흡인 카테터에 의해)될 수 있거나 다른 방식으로 제거될 수 있다. 예로서, 파편 또는 물질은 여과 장치(100 또는 180) 내부로부터 또는 장치에 의해 파편 또는 물질이 포획되거나 수집될 수 있는 장치에 의해 형성된 체적 또는 영역 내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파편은 예로서 중재 맥관 시술이 이루어지는 동안 또는 시술의 종결 이후에 제거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이런 파편의 통과로부터 초래될 수 있는 합병증(예를 들어, 색전 뇌졸중 또는 폐 색전증)의 위험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의 전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혈관을 통해 유동하는 신체의 순환 계통으로부터의 유체(예를 들어, 혈액)에 의해 보조될 수 있다. 신체의 순환 계통으로부터의 유체는 예로서 순환 계통의 혈압에 의해 혈관을 통해 유동할 수 있다. 혈관을 통한 혈액의 유동은 여과 장치(100 또는 180)와 연계된 긴장의 교번과 조합하여 혈관 내의 여과 장치(100 또는 180)의 적어도 일부의 대체로 외향 반경 방향(예를 들어, 장치의 지지 튜브 또는 지지 와이어 참조)으로의 확장 또는 전이를 조장할 수 있으며, 각각 도 1a 및 도 1c에 도시되어 있는 전달 구성으로부터 도 1b 및 도 1d에 도시되어 있는 전개 구성으로 여과 장치(100 또는 180)가 전이되게 할 수 있다.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이 방식으로 전개될 때, 여과 장치(100 또는 180)의 일부는 혈관의 내부 벽 표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밀봉되거나 압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의 전개는 혈관을 통한 유체 유동과 여과 장치(100 또는 180)와 연계된 긴장의 교번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형상 기억 특성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여과 장치의 전개는 예로서 형상 기억 특성에 의해 보조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유리하게 매우 낮은 전달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전통적 혈관 필터 장치에 비해 더 소수의 전달 구성요소에 의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의 전달, 전개 및 제거는 일부 실시예에서 전달 카테터 또는 전달 외피를 사용하지 않고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예로서 시술 이전, 도중 또는 이후 더 소수의 전달 구성요소가 사용되거나 교환될 수 있기 때문에 중재 맥관 시술 또는 원위 여과 시술의 특정 양태를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여과 장치는 맥관구조의 비틀림 특성 또는 혈관의 작은 크기 중 어느 하나에 기인하여 기존에는 접근이 너무 어려웠던 위치에 원위 여과부가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와이어나 금속 프레임 같은 특정 구조 구성요소나 일부 전형적 혈관 필터 장치에 포함되는 형상 기억 특성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의 전개는 예로서, 와이어 프레임이나 금속 프레임의 확장에 의존하지 않을 수 있으며, 사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와이어 프레임이나 금속 프레임을 포함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예로서 형상 기억 특성을 갖는 프레임 또는 지지 구조를 포함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식염수, 혈액 또는 혈액 대체물 같은 신체의 순환 계통의 외측으로부터의 유체가 여과 장치(100 또는 180)의 상류의 혈관 내로 주입될 수 있다. 주입된 유체는 혈관을 통해 유동하는 순환 계통 유체(예를 들어, 혈액)를 보충할 수 있으며, 여과 장치(100 또는 180)를 전개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여과 장치(100 또는 180)의 전개를 돕기 위해 유체를 주입하는 것은 장치가 예로서 혈압이 비교적 낮은 혈관 내에서 전개될 때 유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류 또는 혈압은 장치의 전개를 돕지만, 일부 실시예에서(예를 들어, 신경혈관에서) 혈류 및 혈압은 조합하여 여과 장치(100 또는 180)의 전개를 돕는다.
주입된 유체는 예로서 주입된 유체의 주입 이전에 환자의 신체의 외측에서 백, 용기 또는 전달 장치(예를 들어, 주사기)에 저장될 수 있다. 혈관 내에서 유동하는 순환 계통 유체와 주입된 유체는 여과 장치(100 또는 180)와 연계된 긴장의 교번과 조합하여 혈관 내에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의 적어도 일부의 반경 방향으로의 외향 확장 또는 전이를 조장할 수 있으며, 도 1a 및 도 1c에 도시되어 있는 전달 구성으로부터 각각 도 1b 및 도 1d에 도시되어 있는 전개 구성으로 여과 장치(100 또는 180)가 전이되게 할 수 있다. 여과 장치(100 또는 180)가 이 방식으로 전개될 때, 여과 장치(100 또는 180)의 일부는 혈관의 내부 벽 표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밀봉 또는 압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체의 주입은 장치가 전개되는 동안, 그리고, 또한, 장치가 혈관 내에 전개되어 유지되는 동안 양자 모두에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체의 주입은 장치가 전개되어 있는 동안 제공될 수 있고, 그후 중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입 유체는 사용되지 않으며, 장치는 장치와 연계된 긴장의 교번과 순환 계통 유체 유동에 기초하여 전개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여과 장치(100 또는 180)의 일부에 긴장을 인가함으로써 전달 구성으로 배치되거나 전달 구성에서 유지될 수 있다. 더 상세히 후술된 바와 같이, 여과 장치(100 또는 180)의 일부는 환자의 신체의 외측 근위 위치로 연장할 수 있으며, 이 부분은 임상 시술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예로서, 임상 시술자는 전달 구성으로 여과 장치(100 또는 180)를 배치 또는 유지하기 위해 근위 위치로 연장하는 여과 장치(100 또는 180)의 부분에 긴장(예를 들어, 근위방향 지향 힘을 인가함으로써)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인가된 긴장은 여과 장치의 원위 부분(예를 들어, 장치의 여과 표면)이 전달 튜브 또는 다른 전달 요소의 외부 표면에 대해 위치설정(예를 들어, 그에 대해 긴밀하게 당겨짐)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개 이후 파편을 포획하는 여과 장치의 부분을 포함하는 여과 장치(100 또는 180)의 원위 부분은 여과 장치가 전달 구성으로 유지될 때 전달 튜브, 가이드와이어 또는 다른 전달 요소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장치의 일부에 대해 인가된 긴장은 장치의 원위 부분을 전달 구성으로 유지하기 때문에,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여과 장치가 전달 부위로 전달되는 동안 전달 카테터 또는 외피의 루멘 내에 위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의 외부 표면은 전달 부위에서 여과 장치의 전개 직전에 그리고 장치가 전달 부위에 접근할 때를 포함하여, 여과 장치가 전달 부위로 전달되는 동안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혈관을 통해 유동하는 혈액과 완전히 접촉하여) 혈관 내에 노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가 전달 구성으로 유지되고 전달 부위로 전달되는 동안 혈관의 내부 벽과 여과 장치(100 또는 180)의 외부 표면 사이에 위치된 전달 시스템의 어떠한 요소도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전달 카테터 또는 외피를 사용하지 않고 혈관 내의 전달 부위로 전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의 일부가 장착되는 전달 튜브는 전달의 초기 부분 동안 전달 카테터 또는 외피의 루멘을 통과할 수 있고, 전달의 후반 부분 동안 예로서, 전달 부위로의 접근 동안 루멘을 벗어날 수 있다. 더 상세히 후술될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예로서 카테터를 교환할 필요 없이 시술의 하류 또는 원위의 위치에서 여과를 이행하기 위해 중재 맥관 시술 이전, 도중 또는 이후에 부가 치료 장치(예를 들어, 흡입 카테터, 약물 전달 카테터, 벌룬 요법 장치, 절단 요소 등)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여과 장치(100 또는 180)의 실시예는 세장형 부재(102) 및 멤브레인 부재(10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멤브레인 부재(104)의 일부는 세장형 부재(102)의 일부에 고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장형 부재(102)는 튜브(106) 및 튜브(106)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연장하여 세장형 부재(102)의 원위 단부 부분을 형성하는 선단부(108)를 포함한다. 튜브(106)는 근위 단부(110)를 포함하고, 선단부(108)는 원위 단부(116)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선단부(108) 또는 선단부의 일부는 튜브(106)의 일체형 또는 단일본체 연장부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선단부(108) 및 튜브(106)는 동일한 재료의 시트 또는 튜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도 1c 및 도 1d에 도시되어 있는 여과 장치(180)의 선단부(108)는 튜브(106)의 일체형 연장부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 여과 장치(100)의 선단부(108)의 일부는 또한 튜브(106)의 일체형 연장부이다. 여과 장치(100)의 선단부(108)는 또한 코일(114)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코일(114)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선단부(108) 둘레에 감겨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선단부(108)는 튜브(106)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도 1c 및 도 1d에 도시되어 있는 여과 장치(180) 같은 코일(114)을 포함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선단부(108) 또는 선단부의 일부의 외경은 그 원위 단부(116) 부근에서 더 작은 외경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이런 테이퍼형성은 일부 실시예에서 선단부(108)의 전체 길이를 따라 또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선단부(108)의 원위 부분만을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선단부(108)는 튜브(106)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대략 동일한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선단부(108)는 그 원위 단부(116) 부근에서 더 큰 외경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런 확장은 일부 실시예에서 선단부(108)의 전체 길이를 따라 또는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선단부(108)의 원위 부분만을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선단부(108)를 포함하지 않는다.
도 1a 및 도 1b는 코일(114)의 단부 부근으로 연장하는 선단부(108)의 원위 단부(116)를 도시하고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선단부(108)의 원위 단부(116)는 단지 코일(114)의 대략 중간점으로 또는 코일(114)의 길이를 따른 특정 위치로(예를 들어, 코일(114)의 길이의 약 10%, 20%, 25%, 30%, 40%, 60%, 70%, 75%, 80% 또는 90%의 위치로) 연장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의 선단부(108)는 백(122)의 원위 부분을 초과하여 원위방향으로 특정 거리 연장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선단부(108)는 일부 실시예에서 백(122)의 원위 부분을 약 5 mm, 10 mm, 20 mm, 30 mm, 40 mm, 50 mm 또는 더 많이 초과하여 연장할 수 있다. 유사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코일(114)은 백(122)의 원위 부분을 원위방향으로 특정 거리(예를 들어, 약 5 mm, 10 mm, 20 mm, 30 mm, 40 mm, 50 mm 또는 그이상) 연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선단부(108)의 원위 단부(116)는 전달 부위로의 여과 장치의 실질적 비외상성 전달을 돕거나 여과 장치의 전달 동안 주변 혈관 벽에 대한 외상을 최소화하는 둥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술자가 전달 부위로의 여과 장치(100)의 전달 동안 주변 혈관 벽에 대한 외상을 최소화하는 형태로 선단부(108)를 최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선단부(108) 또는 선단부의 일부가 성형가능(예를 들어 굴곡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코일(114)은 성형가능할 수 있다.
세장형 부재(102)의 튜브(106)는 튜브(106)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루멘(118)을 형성한다. 튜브(106)는 튜브(106)의 측벽에 하나 이상의 개구(120)를 더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개구(120)는 튜브(106)와 선단부(108)가 만나는 전이 영역(112) 부근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d에 도시되어 있는 여과 장치(100 및 180)의 실시예는 세 개의 개구(120)를 포함할 수 있지만 단 두 개의 개구만이 도면에서 가시적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튜브(106)는 더 많거나 더 소수의(예를 들어, 1, 2, 4, 5, 6, 7, 8 또는 그 이상의) 개구(120)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개구(120)는 튜브(106) 상이 아닌 선단부(108)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개구(120)는 튜브(106)의 원주 둘레에서 서로 대략 등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개구(120)는 등거리로 이격되지 않을 수 있거나 튜브(106)의 원주 둘레에서 서로 비균등하게 이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개구(120)는 세장형 부재(102)의 선단부(108)의 원위 단부(116)로부터 약 10 mm 내지 약 50 mm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개구(120)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약 0.004 in 내지 약 0.020 in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개구는 세장형 부재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 개구는 길이를 따라 오프셋되거나 엇갈려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개구의 부분집합은 선단부로부터 제1 거리에 있고, 개구의 제2 부분집합은 선단부로부터 제2 거리에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는 비원형 형상(예를 들어, 정사각형, 타원형, 직사각형, 다이아몬드형, 삼각형 등)을 포함하는 개구를 형성하는 튜브를 가지는 세장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개구(120)는 더 상세히 후술될 바와 같이, 세장형 부재(102)의 멤브레인 부재(104)에 대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도록 크기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코일(114)의 일부는 개구(120)를 근위방향으로 초과하여 연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코일(114)의 근위 부분은 튜브(106)의 원위 부분과 중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장형 부재(102)는 혈관을 통해 삽입되도록 구성된 가이드와이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장형 부재(102)는 전달 튜브를 포함한다. 일반적 실시예에서, 세장형 부재(102)의 치수는 여과 장치(100 또는 180)가 그 내부에서 전개되는 특정 도관의 크기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0.010" 가이드 와이어 또는 0.014" 가이드 와이어는 신경혈관 또는 두개내 시술 또는 용례 동안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0.035 가이드 와이어는 심혈관, 말초 혈관 또는 다른 유형의 맥관 시술 또는 용례 동안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장형 부재(102)는 여과 장치(100 또는 180)가 예로서 심장 판막 또는 대동맥 장치 시술 동안 현저히 더 큰 혈관[예를 들어, 그레이트 아치(great arch)]에서 수행되는 시술 동안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장형 부재(102)(예를 들어, 가이드 와이어)는 혈관성형 벌룬, 아테렉토미 장치, 절단 벌룬, 스텐트, 흡입 장치, 약물 전달 장치 등 같은 부가 또는 치료 장치의 세장형 부재(102)를 따른 전달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장형 부재(102)의 튜브(106)는 예로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의 전개를 돕도록 유체의 주입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위한 환자의 신체 외부로부터 주입된 유체의 전달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 루멘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추가적 루멘은 예로서 튜브(106)의 벽의 하나 이상의 개구(도시 생략)에서 유체가 루멘을 벗어나는 여과 장치의 상류의 위치로 주입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입된 유체는 안티-클롯 보조제(예를 들어, 헤파린) 같은 치료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부가 또는 치료 장치가 여과 장치의 사용 동안 세장형 부재(102)의 루멘(118)을 통해(또는 적절한 경우 하나 이상의 추가적 루멘을 통해) 통과될 수 있다.
세장형 부재(102)는 다양한 생체친화성 물질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튜브(106), 선단부(108) 또는 양자 모두는 니티놀(NiTi), 스테인레스 강, L605 스틸, 폴리머 재료(예를 들어,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PEBAX), 폴리이미드, 나일론 및 PTFE)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생체친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튜브(106, 선단부(108) 또는 양자 모두는 하이포튜브로부터 절단(예를 들어, 레이저 절단)될 수 있다. 하이포튜브는 예로서 가이드와이어-굴곡 프로파일을 포함하도록 절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개구(120)는 튜브(106)의 측벽으로 레이저 절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선단부(108)는 튜브(106)의 연장부일 수 있으며(예를 들어, 선단부(108)는 튜브(106)의 원위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튜브(106)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선단부(108)는 튜브(106)에 부착될 수 있으며, 튜브(106)의 원위 단부는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알려진 표준 기술을 사용하여 선단부(108)의 근위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튜브(106), 선단부(108) 또는 양자 모두는 안티-클롯 코팅(예를 들어, 헤파린) 또는 친수성 윤활 코팅 또는 소수성 윤활 코팅으로 코팅(예를 들어, 침지 코팅)될 수 있다. 예시적 윤활 코팅은 비제한적으로 실리콘 기반 및 폴리우레탄 기반 윤활 코팅을 포함한다.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d를 계속 참조하면, 멤브레인 부재(104)는 백(122)과 백(122)으로부터 근위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테더(124)를 포함한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멤브레인 부재(104)는 세 개의 테더(124)를 포함하지만 단지 두 개만이 도면에서 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는 다른 수(예를 들어, 1, 2, 4, 5, 6, 7, 8 또는 그 이상)의 테더(124)를 갖는 멤브레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더(124)의 수는 튜브(106)의 개구(120)의 수와 같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혈관 또는 다른 도관(138)의 내부 벽에 대한 백(122)의 배치는 테더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백(122)의 원위 부분은 세장형 부재(102)의 선단부(108)의 영역에 부착된다.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d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백(122)은 선단부(108)의 원위 단부(116) 부근에 부착된다. 백(122)의 원위 부분은 예로서 접착제에 의해 또는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다른 부착 방법에 의해 선단부(108)[또는 대체로 세장형 부재(102)]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122)의 원위 부분은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FEP) 접착제 재료, 시아노아크릴레이트에 의해 또는 접착제 또는 용접부로서 기능하도록 튜브의 외부층을 용융시킴으로써 세장형 부재(102)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선단부(108)의 원위 부분은 백(122)의 원위 부분을 초과하여 원위방향으로 연장하고, 백(122)은 원위 단부(116)로부터 사전결정된 거리에서 선단부(108)에 부착된다.
도 1b 및 도 1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여과 장치(100 또는 180)의 전개 구성에서, 백(122)은 여과 표면을 제공하고, 여과 장치(100 또는 180)의 전개 위치를 초과하여 또는 그 하류로 유동하는 혈액은 백(122)의 여과 표면을 통과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122)은 공극(도시 생략)을 포함하고, 이 공극은 혈액(혈액 구성요소, 예를 들어, 혈구 및 혈소판 포함)의 통과를 허용하고 백(122)을 통해 유동하는 혈액에 의해 운반되는 파편(예를 들어, 색전 파편) 또는 재료의 통과를 방지하도록 크기설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122)의 공극은 약 30 미크론(30 um) 내지 120 미크론(um),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110 미크론의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그래서, 혈액에 의해 운반되는, 그리고, 이 사전결정된 크기를 초과하는 파편, 재료 또는 입자가 백(122)의 공극을 통과하는 것으로부터 방지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122)은 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122)은 미소 공극 멤브레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은 비다공성이며, 혈액의 통과도 파편의 통과도 허용하지 않는다. 일부 이런 실시예에서, 장치는 관 폐색기로서 작용하며, 백을 통한 파편이나 혈액의 통과를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더(124)(또는 테더의 일부)는 또한 백(122)을 참조로 상술한 바와 같이 공극(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더(124)는 공극을 포함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더(124)는 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더(124)는 미소공극 멤브레인을 포함한다.
백(122)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122)은 전개되었을 때 대체로 원추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122)은 전개시 일반적으로 배스킷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122)은 전개시 대체로 우산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백(122)은 전개시 대체로 소켓 형상 또는 바람개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백(122)의(또는 백의 일부의) 단면은 실질적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개시, 백(122)은 혈관 벽의 형상에 대체로 합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의 림 또는 림 부분은 전개 구성에서 혈관 벽에 덧붙여지도록 구성되며, 그래서, 전개 위치를 초과하여 통과하는 임의의 혈액 또는 재료는 백의 여과 표면(예를 들어, 백의 공극)을 통과하여야 한다. 백의 림 또는 림 부분은 대체로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대체로 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 혈관 또는 다른 도관의 벽에 대해 효과적으로 밀봉 또는 압박될 수 있다. 백의 베이스 영역 또는 근위 부분은 일반적으로 백의 림을 형성할 수 있으며, 혈액(그리고, 혈액에 의해 운반되는 재료)이 내부로 유동할 수 있는 백의 개구 또는 입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역방향 방식으로 사용되도록 구성되며, 즉, 장치는 혈류의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 목표 부위로 전달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역방향 용도를 위한 장치 구성은 하나 이상의 장치 구성요소의 상대적 위치의 반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의 개구 또는 입부와 하나 이상의 테더는 백이 세장형 부재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지점에 대해 떨어져 있다. 일부 이런 실시예에서, 백의 원위 부분의 제1 직경(백의 개구 또는 입부 부근)으로부터 백의 근위 부분(예를 들어, 백이 세장형 부재에 부착되는 위치)의 비교적 작은 직경으로 테이퍼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122) 또는 백의 일부는 테이퍼진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전개 구성에 있을 때, 백(122)은 대체로 원추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백은 대체로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백의 직경은 백의 근위 부분의 비교적 큰 직경(백의 개구 또는 입부 부근)으로부터 백의 원위 부분(예를 들어, 백이 선단부(108)에 부착되는 위치)의 비교적 더 작은 직경까지 테이퍼진다.
백(122)은 전개시 장치의 체적 또는 장치의 내부를 형성하고, 여기서, 색전 파편 또는 다른 재료가 포획 또는 수집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백(122)의 원위 부분은 세장형 부재(102)의 선단부(108)의 원위 단부(116) 부근의 선단부(108)의 영역에 고정 부착될 수 있다. 장치의 내부 또는 장치의 내부 체적은 백의 입부에 의해 근위 단부에서, 선단부(108)에 부착된 백의 부분에 의해 원위 단부에서, 그리고, 백의 여과 표면에 의해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표면의 형상은 여과 장치(100)가 내부에서 전개되는 혈관 또는 기타 도관의 벽의 내부 표면에 대한 배치력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예로서,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백(122)을 통해 혈액 또는 기타 유체가 유동할 때, 백(122)의 테이퍼진 표면 상에 부여되는 힘은 혈관 벽에 대해 백의 일부(예를 들어, 백의 림 부분)를 조장 또는 압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이퍼진 여과 표면을 통해 유동하는 유체는 여과 표면의 내부 측부 상에 외향 반경방향 힘을 작용하여 혈관의 벽의 내부 표면에 대해 백(122)의 근위 단부 영역을 밀고 따라서 혈관 내의 원하는 위치에 여과 장치(100)를 유지하는 것을 돕는 경향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은 테이퍼지지 않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122)은 10 mm 내지 약 100 mm, 일부 실시예에서, 약 10 mm 내지 약 50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122)의 길이는 세장형 부재(102)의 선단부(108)의 길이에 의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선단부(108)의 길이는 백(122)의 길이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122) 또는 백의 가장 넓게 전개된 부분(예를 들어, 백의 림 부분)의 직경은 여과 장치(100 또는 180)가 내부에서 전개되는 혈관 또는 다른 도관의 내경에 따라 크기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멤브레인 부재(104)의 하나 이상의 테더(124)는 각각 개별적으로 튜브(106) 내의 하나 이상의 개구(120)를 통과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더(124)는 세장형 부재(102)의 튜브(106)의 원주 둘레의 개구(120)의 간격과 일치하도록 백(122)의 원주 둘레에서 이격(예를 들어, 서로 등거리로 또는 비균등하게)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백(122)의 원위 부분은 하나 이상의 개구(120)와 하나 이상의 테더(124)를 정렬하는 방식으로 세장형 부재(102)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둘 이상의 테더가 단일 개구를 통과한다. 6개 테더를 갖는 일 실시예에서, 테더 1 및 테더 2는 제1 개구를 통과할 수 있고, 테더 3 및 테더 4는 제2 개구를 통과할 수 있으며, 테더 5 및 테더 6은 제3 개구를 통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테더(124)는 튜브(106)의 루멘(118)을 통해 연장하고, 튜브의 근위 단부(110)에서 또는 그 부근에서 튜브(106)를 벗어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테더(124)는 임상 시술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더(124)는 튜브의 근위 단부를 통해 루멘(118)을 벗어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더(124)는 튜브(106)의 근위 단부(110) 부근에서 튜브(106)의 측벽의 하나 이상의 개구를 통해 루멘(118)을 벗어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더(124)는 집합적으로 루멘(118) 내측에 테더 다발(130)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더(124)는 집합적으로 튜브(106)의 근위 단부에서 테더 다발(130)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서, 테더(124)는 테더 다발(130)을 형성하기 위해 전체 테더 길이의 일부에 걸쳐 비틀려지거나 말려질 수 있다. 테더 다발(130)은 튜브(106)의 근위 단부(110)의 외부로 연장할 수 있거나, 일부 실시예에서, 튜브(106)의 근위 단부(110) 부근의 튜브(106)의 측벽의 하나 이상의 개구 외부로 연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테더(124) 또는 테더 다발(130)은 튜브(106)의 근위 단부 부근의 튜브(106)의 측벽의 하나 이상의 개구에 인접하고, 튜브(106)의 외부의 부재(예를 들어, 링 또는 다른 고정 구조)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테더(124) 또는 테더 다발(130)은 환자의 신체 외부의 튜브(106)를 벗어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테더(124) 또는 테더 다발은 루멘 내의 와이어에 부착되며, 따라서, 전개를 돕기 위한 와이어의 원위방향 추진(순방향 용도를 위함) 또는 근위방향 당김(역방향 용도를 위함)을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임상 시술자 또는 기계 구성요소에 의한 방식 같이 긴장이 하나 이상의 테더(124) 또는 테더 다발(130)에 적용될 수 있거나 근위방향 지향력을 제공함으로써 튜브(106) 외부의 부재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근위방향 지향력은 백(122)이 세장형 부재(102)에 대해(예를 들어, 세장형 부재(102)의 선단부(108)에 대해) 접혀지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서, 긴장이 하나 이상의 테더(124) 또는 테더 다발(130)에 인가될 때 세장형 부재(102)의 외부 표면에 대해(예를 들어, 선단부(108)의 외부 표면에 대해) 백(122)의 내부 표면이 당겨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테더(124) 또는 테더 다발(130)에 긴장을 인가함으로써,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예로서, 전달 구성 또는 절첩 구성으로 배치 또는 유지될 수 있다.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장치가 전달 구성으로 유지될 때 매우 낮은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일부 실시예에서 비틀린 맥관 또는 매우 작은 혈관을 가로지르는 데 유리할 수 있다. 예로서, 외부 카테터 또는 외피를 사용하지 않고 낮은 전달 프로파일과 가용 전달 기술에 의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여과 장치는 혈관의 작은 크기 또는 맥관의 비틀린 특성 중 어느 하나에 기인하여 접근이 기존에는 너무 어려웠던 위치 또는 용례를 위해 원위 여과가 사용될 수 있게 한다.
하나 이상의 테더(124) 또는 테더 다발(130)에 대한 긴장의 인가가 중단될 때, 하나 이상의 테더(124)의 결과적 이완은 백(122) 또는 백(122)의 하나 이상의 부분이 세장형 부재(102)에 관하여 대체로 반경방향 외향 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122) 또는 백(122)의 일부는 마찬가지로 미소하게 원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여과 장치(100 또는 180)가 예로서 혈관을 통한 유체의 유동에 의해 보조될 때 혈관의 내부 벽에 대해 백(122) 또는 백(122)의 일부(예를 들어, 림 또는 림 부분)를 압박하는 것과 연계하여 도 1b 및 도 1d에 도시되어 있는 전개된 구성을 여과 장치(100 또는 180)가 취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관을 통한 유체의 유동은 신체의 순환 계통의 결과로서 유동하는 혈액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관을 통한 유체의 유동은 혈관 내로 주입될 수 있는 식염수, 혈액 또는 혈액 대체물 같은 신체의 순환 계통의 외부로부터의 유체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관을 통한 유체 유동은 신체의 순환 계통의 외부로부터 주입된 유체와 신체의 순환 계통의 결과로서 유동하는 혈액의 조합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 테더(124)는 백(122)의 전이 영역(132)을 포함하거나 그로부터 연장한다. 일반적으로, 백의 전이 영역(132)은 백(122)의 주 본체와 테더(124) 사이에 배치된다. 전이 영역(132)은 백(122)이 혈관 또는 다른 도관의 벽에 배치될 수 있는 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길이와 형상을 갖는다. 예로서, 전이 영역(132)의 길이가 감소될 때, 백(122)은 혈관 또는 외부 도관의 벽을 더 양호하게 배치할 수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이 영역(132)은 약 1 mm 내지 약 10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여과 장치(100 또는 180)의 실시예에서, 전이 영역(132)은 삼각형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 전이 영역은 다른 형상(예를 들어, 오각형 형상)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이 영역(132)은 포함되지 않으며, 테더(124)는 백(122)의 림으로부터 연장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이 영역(132)과 개구(120) 사이의 테더 부분의 길이(즉, 개구(120)를 초과한 테더(124)의 부분)는 전개 구성에 있을 때 여과 장치(100 또는 180)가 전개되는 혈관 또는 다른 도관의 직경의 대략 2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다양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테더(124)는 세장형 부재(102)의 튜브(106)의 길이를 따라 병진가능할 수 있으며 이는 전달 구성 또는 전개 구성을 취하는 여과 장치를 도울 수 있다. 특히, 도 1a 및 도 1c를 참조하면, 긴장은 테더(124)가 세장형 부재(102)의 개구(120)를 통해 근위방향으로 당겨져 백(122)이 세장형 부재(102)의 선단부(108)의 외부 표면에 대해 접혀지게 하도록 테더 다발(130)에 적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테더 다발(130)은 시술자에 의해 근위방향으로 팽팽하게 당겨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저 프로파일 전달 구성을 취할 수 있고, 하위 프레임을 포함하는 여과 장치를 절첩시키기 위해 다른 방식에서는 필요할 수 있는 전달 카테터를 사용하지 않고 전달 부위로 전달될 수 있다. 전달 구성에서, 테더(124)는 팽팽해질 수 있고, 백(122)은 세장형 부재의 선단부(108)에 대해(예를 들어, 도 1a의 선단부(108)의 코일(114)에 대해 또는 도 1c의 선단부(108)에 대해) 절첩될 수 있다. 전달 구성으로 있는 동안 부위로 최초 전달되는 것에 추가로, 장치를 전달 구성으로 배치하고 그후 필요에 따라 재배치 또는 수축시키도록 테더 다발(130)을 다시 긴장시킴으로써 전개 이후 혈관 내에서 재배치되거나 혈관으로부터 수축될 수도 있다.
특히, 도 1b 및 도 1d를 참조하면, 테더 다발(130)은 개구(120)를 통해 원위방향으로 테더(124)가 이동할 수 있게 하도록 팽팽한 위치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백(122)과 세장형 부재(102) 사이에서 유체가 유동할 때, 유체가 백(122)에 힘을 작용하여 여과 장치(100)가 전개 구성을 취할 때까지 백(122)의 여과 표면이 선단부(108)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하게 한다. 따라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의 전개는 프레임의 형상 기억 특성이나 프레임의 확장에 의존하지 않을 수 있다. 전개 구성에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혈관 또는 다른 도관을 통해 유동하는 혈액에 의해 운반되는 색전 파편 및 다른 파편이나 물질을 여과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멤브레인 부재(104)의 다양한 구성요소는 다양한 생체친화성 재료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백(122) 및 테더(124)는 중합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백(122)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 재료 및 테더(124)는 그 각각의 내용이 모든 목적을 위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7,049,380호, 제7,462,675호 및 제8,048,440호 중 하나 이상에 설명된 것 같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확장 PTFE(ePTFE), 실리콘, 폴리에스테르 또는 엘라스토머 플루오로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122)과 테더(124)는 재료의 단일 시트로부터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테더(124)를 백(122)에 부착하는 것을 포함하지 않는 멤브레인 부재(104)를 위한 용이한 제조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재료의 단일 시트는 시트의 에지로부터 백(122)의 근위 단부를 마킹하는 시트의 위치로 연장하는 슬릿을 제공하도록 절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릿 사이의 재료는 그후 자체를 중심으로 비틀려지고 열처리되어(예를 들어, 가열된 다이를 사용하여) 테더(124)를 형성하는 개별 섬유를 제공할 수 있다. 테더(124)는 일체형 또는 단일체 방식으로 백(122)을 형성하는 시트의 부분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일 시트는 맨드릴 둘레에 감겨지고 열처리되어 튜브를 생성하며, 이 튜브는 그후 지주로 슬릿형성, 비틀림 및 가열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대안적으로 백(122) 및 테더(124)는 별개의 재료로 형성되고, 후속하여 서로에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백(122)은 PTFE 또는 ePTFE 부재일 수 있으며, 테더(124)는 백(122)에 봉합되는 폴리에스터 세장형 부재일 수 있다.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d를 계속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세장형 부재(102)의 길이를 따른 사전지정된 위치를 초과하여 원위방향으로 테더(124)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정지 부재(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정지 부재(134)는 테더 다발(130)의 근위 단부 영역(136)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정지 부재(134)는 튜브(106)의 근위 단부(110)의 원위방향으로 통과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정지 부재(134) 및 튜브(106)는 백(122)의 근위 단부가 원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에 대한 제한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테더 다발(130)이 팽팽하게 당겨질 때 튜브(106)의 근위 단부(110)와 정지 부재(134) 사이의 거리는 테더 다발(130) 상의 긴장이 해제될 때 테더(124)가 얼마나 멀리 이동할 수 있는지에 대한 상한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한계는 예로서, 전개 동안 백(122)이 외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정지 부재(134)의 위치에 기초하여, 백은 자체적으로 완전히 외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거나, 예로서, 특정 외번 백분율을 초과하여 외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정지 부재(134)는 백(122)의 부분적 외번을 허용하도록 위치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정지 부재(134)는 백(122)의 실질적으로 임의의 외번을 방지하도록 위치설정될 수 있다. 테더(124) 또는 테더 다발(130)은 정지 부재(134)가 튜브의 근위 단부(110)에 접하여 테더(124) 또는 테더 다발이 루멘(118)을 통해 원위방향으로 추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때까지 루멘(118)을 통해 원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더(124)는 함께 매듭지어질 수 있거나 테더 다발(130)이 자체적으로 매듭지어져서 매듭의 형태로 정지 부재(134)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매듭은 튜브(106)의 루멘(118)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테더 다발(130)은 루멘(118) 내에서 원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테더(124)의 원위 부분은 정지 부재(134)가 튜브(106)의 근위 단부(110)에 접할 때까지 원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예를 들어, 각각의 개구(120)를 통해).
대안적 형태의 정지 부재(134)도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더 다발(130)은 단일 섬유를 형성하도록 근위 단부 영역(136)을 따라 융합될 수 있고, 와셔 등 같은 정지 부재는 테더 다발(130)의 근위 단부 영역(136)에 크림핑, 클램핑, 접착제 부착 또는 다른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정지 부재(134)는 테더 다발(130)의 융합된 근위 단부 영역(136)에 부착될 수 있는 비드(예를 들어, 폴리머 비드)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서, 정지 부재(134)는 튜브(106)의 루멘(118)의 직경보다 큰 직경이나 폭을 가질 수 있다.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d의 정지 부재(134)는 테더 다발(130)의 근위 단부 영역(136)에서 테더 다발(130) 상에 위치되며,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정지 부재(134)는 튜브(도시 생략)의 루멘(118) 내에 테더 다발(130)(또는 테더(124) 또는 테더 다발)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테더(124)의 원위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개구(120)보다 더 크게 크기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테더의 각 테더(124)는 이런 대안적 정지 부재(134)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대응 개구(120)보다 크게 개별적으로 크기설정될 수 있지만, 테더(124) 또는 테더 다발(130)이 (예를 들어, 루멘 내에 걸리지 않고) 여전히 튜브(106)의 루멘(118)을 통해 병진될 수 있기에 충분히 작다. 테더(124)는 대응 개구(120)의 내부 에지에 하나 이상의 대안적 정지 부재(134)가 접하여 테더(124)가 대응 개구(120)를 통해 원위방향으로 추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때까지 개구(120)를 통해 원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런 대안적 정지 부재(134)는 일 실시예에 따라서 각각의 테더(124)의 매듭으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다른 유형의 상술한 정지 부재 중 하나일 수 있다. 일반적 실시예에서, 대안적 정지 부재(134)는 튜브(106) 내의 개구(1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이나 폭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유형의 테더(124)의 이동 한계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루멘(118)은 테더(124), 테더 다발(130) 또는 테더(124)나 테더 다발(130) 상의 정지 부재의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탭 또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테더 다발(130) 또는 개별 테더(124)를 따른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다수의 정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수의 정지 부재 각각은 세장형 부재(102)의 특정 특징부(예를 들어, 근위 단부(110), 개구(120) 또는 루멘(118)(도시 생략) 내의 탭 또는 돌출부)를 초과한 특정 정지 부재의 전이부를 극복하기 위해 서로 다른 양의 힘을 필요로 하도록 크기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는 특정 위치를 초과하여 근위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테더(124)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원위 정지 부재(도시 생략)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원위 정지 부재는 개별 테더(124) 상에 위치될 수 있거나, 일부 경우에, 전이 영역(132) 상에 위치될 수 있고, 튜브(106)의 개구(120)의 위치를 초과한 근위방향 병진을 방지하도록 개구(120)보다 더 큰 크기일 수 있다. 이런 원위방향 정지 부재는 테더(124) 또는 테더 다발(130)이 예로서 시술자에 의해 팽팽하게 당겨질 때 백(122)의 우발적 신장 또는 파열을 방지할 수 있다. 테더(124)는 원위 정지 부재가 대응 개구(120)의 외부 에지에 접하고 테더(124)가 대응 개구(120)를 통해 추가로 근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때까지 개구(120)를 통해 근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더(124)는 자체적으로 매듭지어져서 매듭의 형태로 원위 정지 부재를 제공할 수 있거나, 상술한 다른 유형의 정지 부재 중 하나일 수 있다. 일반적 실시예에서, 원위 정지 부재는 튜브(106) 내의 개구(1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이나 폭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개별 테더(124) 또는 테더 다발(130)의 길이를 따른 다른 위치에 위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정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튜브(106)는 튜브(106)를 따른 다양한 위치에서 테더 다발(130) 또는 개별 테더(124)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설계된 하나 이상의 정지 부재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정지 부재는 예로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의 부분적 전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예로서, 백(122)의 부분적 확장을 촉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정지 부재(1354)는 다양한 생체친화성 재료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정지 부재(134), 대안적 정지 부재 또는 원위 정지 부재는 PTFE, ePTFE, 실리콘, 엘라스토머 플루오로폴리머,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정지 부재(134)는 튜브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예로서, 전달 및 전개 동안 여과 장치의 대응 부분이 가시화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마커는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일 수 있다. 예로서, 하나 이상의 방사선 불투과성 밴드 또는 마커가 테더(124)의 길이를 따라 특정 위치에 배치되어 테더의 위치의 가시화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방사선 불투과성 밴드 또는 마커는 백(122)의 림 부분에 또는 백(122)의 근위 에지를 따라서 같이 백(122) 상에 포함될 수 있으며, 예로서, 전개된 필터의 입부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는 금 밴드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멤브레인 부재(104)의 영역은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이 주입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사선 불투과성 도트는 백(122)의 여과 표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마커는 그 가시화 특성이 시간에 걸쳐 또는 특정 유체 성분의 존재시에 쇠퇴하는 일시적 마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하나 이상의 정지 부재와 하나 이상의 마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마커는 정지부 대신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정지 부재(134)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여과 장치(100 또는 180)가 전달 구성을 취할 때를 나타내도록(예를 들어, 장치의 재배치 또는 수축을 위해) 또는 장치가 전개 구성을 취할 때(예를 들어, 여과 장치의 실질적 전개가 달성될 때)를 나타내도록 관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마커를 대신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122)은 예로서, 백(122)의 여과 표면의 위치를 따라 배치된 하나 이상의 지주(도시 생략)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런 지주는 백의 내부 표면을 따라 또는 백의 외부 표면을 따라 또는 양자 모두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지주는 백(122)의 근위 단부 부근 및/또는 백(122)의 원위 단부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주는 백(122)의 종방향 길이를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예를 들어, 나선형 형상, 시누소이달 형상, 지그재그 형상, 체커보드 형상 등)을 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주는 여과 장치(100 또는 180)가 전개가 허용될 때 사전결정된 형상을 백(122)이 달성하는 것을 돕는 형상 기억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지주를 포함하지 않는다.
지주를 포함하는 여과 장치의 실시예에서, 지주는 니티놀(NiTi), L605 스틸,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다른 적절한 생체친화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주는 FEP 같은 접착제 물질로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접착제 물질로 백(122)의 외부 표면 또는 내부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 또는 180)는 세장형 부재(102)의 선단부(108)에 멤브레인 부재(104)를 부착함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122)의 원위 단부는 선단부(108)의 원위 단부(116)에 융합(예를 들어, 용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122)의 원위 단부는 FEP, 생체친화성 에폭시 또는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알려진 다른 접착제 물질 같은 접착제 물질을 사용하여 선단부(108)의 원위 단부(116)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122)의 원위 단부는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종래의 열처리 기술을 사용하여 선단부(108)의 원위 단부(116)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멤브레인 부재(104)는 선단부(108)에 부착되기 이전에 테더(124)(상술한 바와 같이)를 형성하도록 사전절단 및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멤브레인 부재(104)는 선단부(108)에 부착된 이후 테더(124)(상술한 바와 같이)를 형성하도록 절단 및 구성될 수 있다.
테더(124)의 형성 이후, 테더(124)는 세장형 부재(102)의 튜브(106)의 개구(120)를 통해 통과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더 다발(130)은 테더 다발(130)의 근위 단부 영역(136)(예를 들어, 테더(124)가 튜브(106)의 루멘(118)을 벗어나는 위치)을 따라 단일 섬유로 융합될 수 있다. 테더 다발(130)의 근위 단부 영역(136)은 후속하여 자체적으로 매듭형성되어 정지 부재(134)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지주는 선단부(108)에 멤브레인 부재(104)를 부착하기 이전에 백(122)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더(124)들이 튜브(106) 내의 개구(120)를 통해 테더(124)를 통과시키기 이전에 상술한 바와 같이 그들 자체로 매듭형성되어 원위 정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른 형태의 원위 정지부는 튜브(106) 내의 개구(120)를 통해 테더(124)를 통과시키기 이전 또는 이후에 테더(124)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는 세장형 부재(102)에 멤브레인 부재(104)를 결합하기 이전 또는 이후 중 어느 하나에 멤브레인 부재(104)에 추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더(124)는 튜브(106)의 루멘(118)을 통해 전체에 걸쳐 연장하지 않는다. 테더(124)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튜브의 대응 개구(120)를 통해 백(122)으로부터 연장할 수 있지만, 튜브의 루멘(118) 내에서, 테더(124) 각각은 튜브의 근위 단부(110)를 근위방향으로 초과하여 그리고, 루멘(118)을 통해 연장하는 와이어 또는 다른 세장형 부재(도시 생략)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 와이어 또는 다른 세장형 부재는 튜브의 근위 단부(110)의 근위의 위치에서 정지 부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테더(124)가 부착되는 와이어 또는 다른 세장형 부재는 시술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예로서, 시술자는 와이어에 근위방향으로 지향된 힘을 인가하여 테더(124)를 팽팽하게 당기고 상술한 바와 같이 개별 테더 또는 테더 다발(130)을 시술자가 조작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선단부(108)에 대해 백(122)을 절첩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조작자는 와이어 상의 긴장을 해제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테더 다발(130) 또는 테더(124)에 대한 긴장을 해제하는 것과 유사하게 테더(124) 및 백(122)에 이완을 부여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시술자는 장치의 전개를 돕기 위해 백(122)과 테더(124)에 대한 이완을 제공하도록 와이어에 원위방향으로 지향된 힘을 인가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환자 내의 도관(138) 내에 배치되는 여과 장치(100)를 예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관(138)은 혈관일 수 있다. 특히 도 2a를 참조하면, 여과 장치(100)의 테더 다발(130)은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근위방향으로 팽팽히 당겨짐으로써 백(122)이 선단부(108)의 외부 표면에 대해 접혀지게 하여 여과 장치(10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전달 구성을 취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달 구성에 의해 제공되는 낮은 프로파일은 대안적 여과 장치의 필터 구성요소(예를 들어, 프레임)를 구속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전달 카테터 같은 카테터를 사용하지 않고 전달 부위(140)로 여과 장치(100)가 전달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대안적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는 전달 카테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더(124) 상에 배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원위 정지 부재(도시 생략)는 사전지정된 위치를 근위방향으로 초과하여 테더 다발(130)이 당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달 구성에서, 여과 장치(100)는 도관(138)을 통해 여과 장치(100)를 전진시킴으로써 전달 부위(140)(예를 들어, 도관(138)의 길이를 따른 특정 위치)로 전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의 원위 단부는 멤브레인 부재(104)의 백(122)은 전개될 때 도관(138)을 통해 유동하는 유체에 의해 운반되는 파편(예를 들어, 색전 파편)을 여과할 수 있도록 도관(138)을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방향(도 2a 및 도 2b의 화살표 참조)으로 도관(138)을 통해 전진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파편은 전달 부위(140)의 하류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도 2b를 참조하면, 여과 장치(100)가 전달 부위(140)에 위치될 때,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테더 다발(130)은 그 팽팽한 근위 위치로부터 해제될 수 있으며, 이는 테더 다발(130)과 개별 테더(124)에 이완을 부여할 수 있다. 테더(124)의 이완은 도관(138) 내에서 유동하는 유체가 백(122)의 입부에 진입하고 백(122)의 내부 표면 상에 힘을 부여할 수 있도록 세장형 부재(102)에 대해 백(122)의 근위 단부가 더 느슨하게 끼워질 수 있게 한다. 도관(138)을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힘은 백(122)의 내부 표면 또는 여과 표면 상에 힘을 작용할 수 있고, 세장형 부재(102)의 선단부(108)의 표면으로부터 백의 여과 표면이 연장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더 다발(130)은 정지 부재(134)가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튜브(106)의 근위 단부(110)에 접할 때까지 튜브(106)의 루멘(118) 내에서 원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여과 장치(100)는 도관(138)을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힘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개될 수 있다. 장치의 전개는 일부 대안적 여과 장치의 필터의 근간이 되는 확장가능한 프레임에 비해 일 실시예에 따라서 프레임 또는 형상 기억 특성에 의존하지 않을 수 있다. 전개 부위(140)에서 전개되고 나면, 여과 장치(100)는 도관(138)을 통해 유동하는 유체에 의해 운반되는 파편을 여과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122)의 전개는 백(122)의 내부 표면을 따라 배치되는 지주의 연장부에 의해 보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 상의 하나 이상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는 여과 장치(100)의 전달, 전개 또는 사용 동안 여과 장치(100)의 상태를 시술자가 관찰할 수 있게 한다.
여과 주기 이후(예를 들어, 중재 맥관 시술의 완료 이후), 여과 장치(100)는 도관(138)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더 다발(130)은 다시 팽팽하게 근위방향으로 당겨짐으로써 백(122)이 세장형 부재의 선단부(108)에 대해 견고히 당겨지게 함으로써 여과 장치(100)가 다시 전달 구성을 취하게 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백(122) 내에 수집된 임의의 파편은 백(122)에 의해 선단부(108)의 표면에 대해 추진될 수 있으며, 백의 입부는 임의의 파편이 백의 입부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절첩될 수 있다. 여과 주기 동안 수집된 파편의 양에 따라서, 백(122)은 전달 구성 사전여과에 비해 선단부(108)의 표면으로부터 미소하게 융기될 수 있다. 백(122) 내의 수집된 파편과 여과 장치(100)는 그후 전달 부위(140)로부터 근위방향으로 후퇴될 수 있으며, 테더 다발(130) 상의 긴장을 유지하면서 세장형 부재(102)를 인출함으로써 도관(138)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는 세장형 부재의 벽 내의 채널을 통해 종방향으로 멤브레인 부재의 테더를 안내하는 세장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도 3은 세장형 부재(202)의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벽(207)에서 각각의 채널(219)을 통해 멤브레인 부재(104)의 개별 테더(124)를 안내하는 세장형 부재(202)와 여과 장치(200)의 멤브레인 부재(104)를 포함하는 여과 장치(200)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단순성을 위해, 세 개의 채널(219) 중 단지 두 개만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세장형 부재(202)는 원위 단부(212) 및 근위 단부(210)에 의해 형성된다.
도 4는 세장형 부재(202)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장형 부재(202)의 벽(207)은 벽(207)의 일부를 따라 그리고 그를 통해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채널(219)과 세장형 부재의 중심을 통해 루멘(218)을 형성한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세 개의 채널(219)이 도시되어 있지만, 채널(219)의 임의의 적절한 수(1, 2, 4, 5, 6, 7, 8 또는 그 이상)가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219)은 세장형 부재(202)의 원주를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등거리로 이격될 수 있고, 멤브레인 부재(104)의 테더(124)의 간격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219)은 세장형 부재(202)의 원주를 중심으로 등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채널(219)은 테더(124)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크기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장형 부재(202)는 약 0.020 in 내지 약 0.0150 in의 외경과 약 0.003 in 내지 약 0.040 in의 벽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장형 부재(202)는 약 0.300 in까지의 외경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는 각각 다른 수(예를 들어, 1, 2, 4, 5, 6, 7, 8 또는 그 이상)의 채널과 대응하는 테더를 구비하는 멤브레인 부재와 세장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219)은 세장형 부재(202)의 근위 단부(210)로부터, 벽(207)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세장형 부재(202)의 벽(207) 내의 채널(219)로 연장하는 각각의 개구(220)까지 연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장형 부재(202)는 맥관(예를 들어, 혈관)을 통해 삽입되도록 구성된 카테터(예를 들어, 마이크로카테터)일 수 있다. 일반적 실시예에서, 세장형 부재(202)의 치수는 여과 장치(200)가 전개될 특정 도관의 크기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세장형 부재(202)는 니티놀(NiTi), 스테인레스 스틸, L605 스틸, 폴리머 재료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생체친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장형 부재(202)는 하이포튜브로부터 절단(예를 들어, 레이저 절단)될 수 있다. 하이포튜브는 예로서, 가이드와이어-굴곡 프로파일을 포함하도록 절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개구(220)는 세장형 부재(202)의 측벽 내로 레이저 절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219)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알려진 표준 기술을 사용하여 세장형 부재(202)의 벽(207)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계속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멤브레인 부재(104)의 백(122)의 원위 단부는 세장형 부재(202)의 원위 단부(212)에 부착된다. 테더(124)는 백(122)으로부터 개구(220)로, 그리고, 세장형 부재(202)의 벽(207) 내의 채널(219)을 통해 연장한다. 테더(124)의 근위 단부 영역(136)은 정지 부재(134)를 형성하도록 매듭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더(124)는 정지 부재(134)가 세장형 부재(202)의 근위 단부(210)에 접하고 임의의 추가적 원위방향으로 백(122) 및 테더(124)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때까지 채널(219) 내에서 원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200)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상술된 다양한 정지 부재 중 임의의 것 같은 다른 정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200)는 상술한 중재 맥관 시술 중 임의의 것을 수행하는 동안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부가, 치료 또는 처치 장치는 여과 장치(200)의 사용 동안 세장형 부재(202)의 루멘[예를 들어, 루멘(218)]을 통해 통과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는 세장형 부재의 외부 에지 영역을 따라 멤브레인 부재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안내하는 세장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도 5는 세장형 부재(302)를 둘러싸는 랩핑(303)과 세장형 부재(302)의 하나 이상의 외부 에지 영역을 따라 멤브레인 부재(304)의 테더(324)를 안내하는 세장형 부재(302)와, 멤브레인 부재(304)를 포함하는 여과 장치(300)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멤브레인 부재(304)는 멤브레인 부재(304)가 세 개의 테더 대신 두 개의 테더(324)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면 여과 장치(100, 180, 200)의 멤브레인 부재(104)와 구성 및 기능이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세장형 부재(302)는 샤프트(306)와, 세장형 부재(302)의 원위 단부 영역을 형성하도록 샤프트(306)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연장하는 선단부(308)를 포함한다. 샤프트(306)는 근위 단부(310)를 포함하고, 선단부는 원위 단부(31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코일(314)이 포함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코일(314)은 포함되지 않는다.
도 6은 여과 장치(300)의 근위 단부 영역(근위방향을 지향)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샤프트(306)는 중실 코어(307)를 가지며, 샤프트(306)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코어(307)로 연장하는 두 개의 대향한 채널(319)을 형성한다. 도 6 및 도 7의 여과 장치(300)의 실시예에서, 채널(319)은 둥근 단면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는 다른 단면 형상(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채널을 구비한 세장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306)는 가이드와이어일 수 있으며, 채널(319)은 가이드와이어의 종방향 길이를 따라 연삭되는 홈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이드와이어는 스테인레스 스틸 가이드와이어이다. 랩핑(303)은 랩핑 및 홈이 채널(319)을 형성하도록 샤프트(306) 위로 랩핑되는 필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랩핑(303)은 세장형 부재(302)의 샤프트(306)의 외부 표면 둘레에 감겨지고 그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홈은 채널(319)이 테더(324)를 수용할 수 있게 하면서 채널 내에서의 테더(324)의 병진을 허용하는 폭 및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는 다른 수(예를 들어, 1, 3, 4, 5, 6, 7, 8 또는 그 이상)의 채널 및 대응하는 테더를 구비하는 멤브레인 부재 및 세장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장형 부재(302)는 혈관을 통해 삽입되도록 구성된 가이드와이어일 수 있다. 일반적 실시예에서, 세장형 부재(302)의 치수는 여과 장치(300)가 전개되는 특정 도관의 크기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예로서, 세장형 부재(302)의 치수는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0.010", 0.014" 또는 0.035" 사이즈 가이드와이어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역시 도 5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선단부(308)는 여과 장치(100)의 선단부(108)와 구조 및 기능이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멤브레인 부재(304)의 백(322)의 원위 단부는 선단부(308)의 원위 단부(312)에 부착된다. 테더(324)는 각각의 채널(319)을 따라서, 그리고, 샤프트(306)의 근위 단부(310)를 지나서 백(322)으로부터 근위방향으로 연장한다. 테더(324)의 근위 단부 영역(336)은 정지 부재(334)를 형성하도록 매듭형성될 수 있다. 다른 유형의 정지 부재도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더(324)가 채널(319) 내에서 원위방향으로 이동할 때, 정지 부재(334)는 샤프트(306)의 근위 단부(310)에 접할 수 있으며, 테더(324) 및 백(322)이 추가로 원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300)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다른 정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랩핑(303)은 랩핑(303)의 원위 단부 영역을 따라 배치되고 채널(319) 내로의 테더(324)의 통과를 허용하는 슬릿 또는 개구(도시 생략)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랩핑은 테더(324)의 채널(319) 내로의 통과를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스카이브(skive)(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더(324)는 랩핑(303)의 원위 단부에서 채널(319)에 진입할 수 있다. 랩핑(303)은 PTFE, ePTFE, 폴리에스터, 폴리이미드, PEBAX(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나일론 또는 PET 같은 하나 이상의 다양한 생체친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랩핑(303)은 상술한 바와 같이 FEP 또는 다른 적절한 접착제 같은 접착제에 의해 세장형 부재(302)의 외부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300)는 여과 장치(100 또는 180)를 참조로 설명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절첩 및 전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300)의 구성은 카테터를 사용하지 않고 전개 부위로 여과 장치(300)가 전달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300)는 카테터 내부에 전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300)는 상술한 중재 맥관 절차 중 임의의 것을 수행하면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는 여과 장치 및 치료 도구의 전달 부위로의 동시적 전진을 가능하게 하는 치료 키트에 포함될 수 있다. 예로서, 도 7은 본 명세서에 상술된 시술 중 임의의 시술 같은 중재 맥관 시술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치료 키트(401)의 실시예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치료 키트(401)는 일부 실시예에서 마이크로카테터일 수 있는 세장형 부재(402), 여과 장치(100)(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여과 장치 중 임의의 것), 그리고, 치료 도구(403)를 포함한다. 세장형 부재(402)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근위 단부(도시 생략)와 원위 단부(412)에 의해 형성된다. 세장형 부재(402)는 여과 장치(100)의 통로를 위해 크기설정된 벽 루멘(407) 및 처리 도구(403)의 통과를 위해 크기설정된 작동 루멘(418)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작동 루멘(418)은 약 0.027"의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세장형 부재(402)는 0.054" 카테터와 유사하거나 대등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장형 부재(402)의 구성은 혈관 또는 다른 도관 내에서의 처리 도구(403) 및 여과 장치(100)의 동시적 전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처리 도구(403)는 혈전제거 장치, 혈관성형 벌룬, 스텐트, 아테렉토미 장치, 절단 벌룬, 흡입 장치, 약물 전달 장치 또는 다른 유형의 치료 장치일 수 있으며, 와이어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치료 도구(403) 및 여과 장치(100)의 원위 단부는 각각 작동 루멘(418)과 벽 루멘(407)의 외부로 원위방향으로 전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여과 장치(100)는 벽 루멘(407)을 통한, 그리고, 그후, 세장형 부재(402)의 원위방향 단부(412)의 원위방향으로의 여과 장치(100)의 세장형 부재(102)의 전진에 의해 전진될 수 있다. 치료 도구(403)는 작동 루멘(418)을 통해, 그리고, 세장형 부재(402)의 원위 단부(412)의 원위방향으로 전진될 수 있는 와이어(445)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 및 치료 도구(403)가 세장형 부재(402)의 원위 단부(412)로부터 연장될 수 있는 최대 거리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고정되거나 조절가능할 수 있다.
도 8은 환자의 도관(438)(예를 들어, 혈관) 내의 치료 키트(401)를 예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치료 키트(401)의 세장형 부재(402)는 도관(438) 내의 분기점(437)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분기점(437)으로부터 도관(438)은 치료 시술(예를 들어, 혈전제거 시술)이 수행될 수 있는 제1 도관(439)과 원위 여과가 수행될 수 있는 제2 도관(441)으로 원위방향으로 분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도관(439)은 치료 목표인 혈전을 수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는 제2 도관(441) 내의 전달 부위(440)로 원위로 전진될 수 있으며, 여과 장치(100)는 그후 도 1b 및 도 2b를 참조로 상술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여과를 이행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원위 여과가 제2 도관(441)에서 이행되고 나면, 치료 도구(403)는 제1 도관(439) 내의 치료 부위(443)로 원위방향으로 전진될 수 있고, 여기서, 치료 도구(403)는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알려진 표준 기술을 사용하여 치료 부위(443)에서 치료 절차를 수행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분기된 혈관의 측면 분기부를 여과함으로써, 클롯 회수 동안 측면 분기부로 소실될 수 있는 색전은 예로서 환자의 맥관구조 내로 추가로 통과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대안적으로 여과 장치(100)는 치료 부위(443)의 원위의 제1 도관 내에서 전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치료 키트는 제2 벽 루멘(407)(예를 들어, 세장형 부재(402)의 대향 측부 상의)과 제2 벽 루멘(407)을 통해 전진될 수 있는 제2 여과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여과 장치는 치료 부위(443)의 원위의 제1 도관(439) 내로 전달 및 전개되어 제1 도관(439) 내의 원위 여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2 여과 장치는 제2 도관(441) 내로 전달 및 전개되어 측부 분기부의 여과를 제공할 수 있다. 치료 도구는 그후 제1 도관(439) 내의 치료 부위(443)로 전진될 수 있고, 여기서, 치료 도구(403)는 치료 시술을 수행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절차의 완료 이후, 치료 도구(403)는 와이어(445)를 당기는 것에 의한 것 같이 작동 루멘(418) 내로 후퇴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여과 장치(100)는 이러한 프로세스 동안 전개되어 유지될 수 있고, 그래서, 세장형 부재(402) 내로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도구(403)로부터 방면될 수 있는 임의의 파편이 하나 이상의 여과 장치에 의해 포획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여과 장치(100)는 전달 구성으로 접혀질 수 있고 벽 루멘(407) 내로 후퇴될 수 있으며, 여과 주기 동안 수집된 임의의 파편(예를 들어 색전 파편)을 운반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흡인 카테터(예를 들어, 작동 루멘(418)을 통해 전달됨)는 여과 장치를 인출하기 이전에 여과 장치로부터 파편을 흡인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 및 치료 도구(403)가 벽 도관(407) 및 작동 루멘(418) 각각 내부로 수축된 이후, 치료 키트(401)는 분기점(437)으로부터 근위방향으로 수축되고 도관(438)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100)는 치료 도구(403)가 작동 루멘(418) 내로 수축되기 이전에 벽 루멘(407) 내로 수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치료 도구(403) 및 여과 장치(100)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세장형 부재(402)가 도관(438)으로부터 제거되기 이전에 세장형 부재(402)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예를 들어, 그로부터 근위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치료 키트는 세장형 부재에 부착되는 여과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도 9a 및 도 9b는 환자 내부의 도관에서 전개될 수 있는 여과 장치(500)의 전달 구성 및 전개 구성 각각을 위해 도시되어 있는 치료 키트(501)의 일 실시예의 원위 단부를 예시한다. 치료 키트(501)는 세장형 부재(502), 여과 장치(500) 및 전개 장치(505)를 포함한다. 치료 키트(501)는 세장형 부재(502)의 루멘을 통과하도록 크기설정된 치료 도구(도시 생략)를 추가로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세장형 부재(502)는 근위 단부(도시 생략) 및 원위 단부 영역(512)에 의해 형성된다. 세장형 부재(502)는 여과 장치(500), 전개 장치(505) 및 선택적으로 치료 도구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크기설정된 루멘(518)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장형 부재(502)는 카테터(예를 들어, 마이크로카테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500)는 멤브레인 부재(504), 멤브레인 부재(504)의 일부 아래의 하나 이상의 지주 및 멤브레인 부재(504)로부터 근위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테더(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멤브레인 부재(504)는 특정 혈액 성분(예를 들어, 혈구 및 혈소판)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구성되지만, 멤브레인 부재(504)를 통해 유동하는 혈액에 의해 운반되는 파편(예를 들어, 색전 파편)의 통과를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멤브레인 부재(504)는 개구(520)를 포함할 수 있고, 더 상세히 후술될 바와 같이 이 개구를 통해 전개 장치(505)의 일부가 통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테더가 세장형 부재(50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세장형 부재(502)로부터 여과 장치(5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테더가 세장형 부재(502)의 벽을 통해 종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테더가 세장형 부재(502)의 루멘(518)을 통해 연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테더는 여과 장치(500)가 세장형 부재(502)의 루멘(518)을 통해 근위방향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전개 장치(505)(도 9a 참조)의 외부 표면을 향해 하나 이상의 지주(507) 및 멤브레인 부재(504)가 접혀지게 하도록 시술자에 의해 근위방향으로 팽팽하게 당겨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지주(507)는 프레임이 구속되어 있지 않을 때 사전지정된 형상으로 하나 이상의 지주(507)가 확장될 수 있게 하는 형상 기억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지주(507)는 NiTi, 스테인레스 스틸, L605 스틸, 폴리머 재료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생체친화성 재료 같은 하나 이상의 다양한 생체친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500)는 다양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여과 장치(500)의 원위 단부가 세장형 부재(502)의 루멘(518) 내에 배치되고 구속될 때, 여과 장치(500)는 전달 구성(도 9a 참조)을 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멤브레인 부재(504) 및 하나 이상의 지주(507)가 세장형 부재(502)의 원위 단부 영역(512)을 지나쳐서 연장할 때, 하나 이상의 지주(607)는 여과 장치(500)가 전개 구성(도 9b 참조)을 취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개 장치(505)는 샤프트(506)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연장하는 선단부(508) 및 샤프트(50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샤프트(506)는 하나 이상의 지주(507)의 근위 에지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좌대(509)를 형성한다. 여과 장치(500)는 전개 장치(505)를 원위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세장형 부재(502)의 루멘(518) 내에서 원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선단부(508)는 멤브레인 부재(504)의 개구(520)를 통과하도록 크기설정되고, 하나 이상의 지주(507)가 확장될 때(도 9b 참조), 하나 이상의 지주(507)를 위치설정하도록(예를 들어, 전개 장치(505)의 중심 축과 하나 이상의 지주(507)를 중심에 정렬시키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선단부(508)는 샤프트(506)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선단부(508)는 여과 장치(500)가 전개 구성(도 9a 참조)을 취할 때, 세장형 부재(502)의 원위 단부 영역(512)을 지나쳐 연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선단부(508)는 선단부(508)가 도관 내의 치료 키트(501)의 항행을 도울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성형가능할 수 있다(예를 들어, 굴곡가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개 장치(505)는 가이드와이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개 장치(505)는 계단식 가이드와이어일 수 있다. 전개 장치(505)는 NiTi, 스테인레스 스틸, L605 스틸, 폴리머 재료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생체친화성 재료 같은 하나 이상의 생체친화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은 도 8의 도관(438) 내의 치료 키트(501)를 예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달 구성의 여과 장치(500)를 운반하는 치료 키트(501)의 세장형 부재(502)는 분기점(437)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달 장치(505)는 제2 도관(441) 내에서 원위방향 전달 부위(440)까지 여과 장치(500)를 원위방향으로 전진시키도록 이동될 수 있다. 세장형 부재(502)의 루멘(518)을 벗어날 때, 하나 이상의 지주(507)와 멤브레인 부재(504)는 여과 장치(500)가 원위 여과를 이행하기 위해 전개 구성을 취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장치 및/또는 방법의 구조 및 기능의 세부사항과 함께 다양한 대안을 포함하는 다수의 특성 및 장점이 상술한 설명에서 기술되었다. 본 내용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이 때문에, 모든 것을 설명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 이내의 조합을 포함하여 첨부 청구범위에 표현된 용어의 넓은 일반적 의미에 의해 표시되는 전체 범주까지 특히, 구조, 재료, 요소, 구성요소, 형상, 크기 및 부품 배열에 관하여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첨부된 청구범위의 개념 및 범주로부터 벗어난 이들 다양한 변형에 관하여, 이들은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그림 및 도면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모든 참조문헌, 공보 및 특허는 그 전문이 참조로 통합되어 있다.
100: 여과 장치 102: 세장형 부재
104: 멤브레인 부재 106: 튜브
108: 선단부 110: 근위 단부
112: 전이 영역 114: 코일
116: 원위 단부 180: 여과 장치

Claims (50)

  1. 맥관 여과 장치로서,
    세장형 부재로서, 세장형 부재의 벽의 하나 이상의 개구와, 하나 이상의 개구와 유체 연통되면서 세장형 부재의 근위 영역으로부터 연장하는 루멘을 구비하는 세장형 부재, 및
    백 부분과 백 부분의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부재
    를 포함하고,
    백 부분은 멤브레인을 포함하며, 백 부분의 원위 영역은 세장형 부재의 원위 부분에 부착되고, 세장형 연장부 각각은 백 부분과 일체이며, 하나 이상의 개구 중의 일 개구를 통해, 그리고, 세장형 부재의 루멘을 통해 연장하며, 세장형 부재의 근위 영역에서 루멘을 벗어나는 것인 맥관 여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백 부분은 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것인 맥관 여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 및 백 부분은 재료의 단일 시트로부터 형성되는 것인 맥관 여과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 및 백 부분은 ePTFE 재료의 시트로부터 형성되는 것인 맥관 여과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는 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것인 맥관 여과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는 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지 않는 것인 맥관 여과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세장형 부재는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의 세장형 연장부 수와 동일한 수의 개구를 세장형 부재의 벽에 포함하고, 각 세장형 연장부는 세장형 부재의 벽의 별개의 개구를 통과하는 것인 맥관 여과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세장형 부재는 세장형 부재의 벽 내에 세 개의 개구를 가지고, 멤브레인 부재는 백 부분의 세 개의 세장형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인 맥관 여과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백 부분의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는 백 부분의 근위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것인 맥관 여과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는 백 부분의 근위 부분의 주연부 둘레에 대략 등거리로 이격 배치되는 것인 맥관 여과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에 대한 근위방향 지향력의 인가는 근위 부분의 주연부 둘레에 분산된 힘을 부여하는 것인 맥관 여과 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세장형 부재는 성형가능한 선단부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맥관 여과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성형가능한 선단부 부분은 코일을 포함하는 것인 맥관 여과 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세장형 부재는 관형 부재이고, 루멘은 관형 부재의 중앙 루멘인 것인 맥관 여과 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세장형 부재는 관형 부재이고, 루멘은 관형 부재의 벽 내에 형성되는 것인 맥관 여과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관형 부재는 관형 부재의 벽 내에 형성된 루멘과는 다른 중앙 루멘을 포함하는 것인 맥관 여과 장치.
  17. 제2항에 있어서, 세장형 부재는 중실 코어를 포함하고, 루멘은 중실 코어의 외부 표면의 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맥관 여과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중실 코어 위의 재료의 층을 더 포함하고, 루멘은 중실 코어의 외부 표면의 홈과 상기 재료의 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맥관 여과 장치.
  19. 제2항에 있어서, 세장형 부재는 가이드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인 맥관 여과 장치.
  20. 제2항에 있어서, 세장형 부재는 하이포튜브를 포함하는 것인 맥관 여과 장치.
  21.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에 대한 근위방향 지향력의 인가는 백 부분이 세장형 부재의 외부 표면에 대해 절첩되게 하는 것인 맥관 여과 장치.
  22. 제2항에 있어서, 백 부분의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의 일 세장형 연장부의 원위방향 병진의 양을 제한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제1 정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맥관 여과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제1 정지 부재는 세장형 부재의 근위 영역의 근위에 배치되는 것인 맥관 여과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제1 정지 부재는 세장형 부재의 근위 영역의 원위 및 세장형 부재의 벽의 하나 이상의 개구의 근위에 배치되는 것인 맥관 여과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제1 정지 부재는 백 부분의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연장부에 매듭을 포함하는 것인 맥관 여과 장치.
  26. 제2항에 있어서, 백 부분의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 중 일 세장형 연장부의 근위방향 병진의 양을 제한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제2 정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맥관 여과 장치.
  27. 제2항에 있어서, 다공성 멤브레인은 맥관 여과 장치가 환자의 혈관 내에서 전개될 때에 혈액이 다공성 멤브레인을 통과할 수 있게 하도록 동작할 수 있고, 색전 파편이 다공성 멤브레인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것인 맥관 여과 장치.
  28. 제2항에 있어서, 백 부분의 표면과 접촉하여 배치된 하나 이상의 지주(strut)를 더 포함하는 맥관 여과 장치.
  29. 제2항에 있어서, 멤브레인 부재는 하나 이상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더 포함하는 것인 맥관 여과 장치.
  30. 제2항에 있어서, 맥관 여과 장치는 형상 기억 특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인 맥관 여과 장치.
  31. 제2항에 있어서, 맥관 여과 장치는 와이어 프레임을 포함하지 않는 것인 맥관 여과 장치.
  32. 제1항에 있어서, 멤브레인은 실질적으로 비다공성인 것인 맥관 여과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멤브레인은 혈액에 대해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인 것인 맥관 여과 장치.
  34. 제32항에 있어서, 맥관 여과 장치는 관 폐색기로서 작용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것인 맥관 여과 장치.
  35. 맥관 여과 장치로서,
    세장형 부재로서, 세장형 부재의 벽의 하나 이상의 개구와,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면서 세장형 부재의 근위 영역으로부터 연장하는 루멘을 갖는 세장형 부재, 및
    백 부분과 백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테더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부재
    를 포함하고,
    백 부분은 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며, 백 부분의 원위 영역은 세장형 부재의 원위 부분에 부착되고, 테더 각각은 하나 이상의 개구의 일 개구를 통해 그리고 루멘을 통해 연장하며, 세장형 부재의 근위 영역에서 루멘을 벗어나는 것인 맥관 여과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복수의 테더의 각 테더는 백 부분에 봉합되는 것인 맥관 여과 장치.
  37. 맥관 여과 장치로서,
    제1 세장형 부재로서, 제1 세장형 부재의 벽의 하나 이상의 개구와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면서 제1 세장형 부재의 근위 영역으로부터 연장하는 루멘을 구비하는 제1 세장형 부재,
    백 부분과 백 부분의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부재로서, 백 부분은 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백 부분의 원위 영역은 제1 세장형 부재의 원위 부분에 부착되고, 세장형 연장부 각각은 백 부분과 일체이며, 하나 이상의 개구의 일 개구를 통해 연장하는 것인 멤브레인 부재, 및
    백 부분의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의 각 세장형 연장부에 부착되는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제2 세장형 부재로서, 제2 세장형 부재의 원위 단부는 제1 세장형 부재의 루멘 내에 배치되고, 제2 세장형 부재의 근위 단부는 제1 세장형 부재의 근위 영역의 근위로 연장하는 것인 제2 세장형 부재
    를 포함하는 맥관 여과 장치.
  38. 이식가능한 필터로서,
    폐쇄된 원위 단부와 개방된 근위 단부를 구비하는 필터 요소,
    근위 단부와 연계된 복수의 가요성 테더, 및
    원위 단부를 설정된 배향으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
    을 포함하고,
    테더는, 필터 요소를 통한 유체의 유동에 응답하여 필터 요소가 개방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원위부의 설정된 배향에 대해 연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이식가능한 필터.
  39. 제38항에 있어서, 필터는 와이어 프레임을 포함하지 않는 것인 이식가능한 필터.
  40. 맥관 여과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세장형 부재로서, 세장형 부재의 벽의 하나 이상의 개구와,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면서 세장형 부재의 근위 영역으로부터 연장하는 루멘을 구비하는 세장형 부재와, 멤브레인 부재로서, 백 부분과 백 부분의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를 포함하고, 백 부분은 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며, 백 부분의 원위 영역은 세장형 부재의 원위 부분에 부착되고, 세장형 연장부 각각은 백 부분과 일체이며 하나 이상의 개구 중 일 개구를 통해 그리고 루멘을 통해 연장하며 세장형 부재의 근위 영역에서 루멘을 벗어나는 멤브레인 부재를 포함하는 맥관 여과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와,
    백 부분의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에 근위방향 지향력을 인가하는 단계로서, 힘의 인가는 세장형 부재에 대한 백 부분의 절첩을 유발하는 것인 인가 단계와,
    힘의 인가를 유지하면서, 혈관 내의 전개 부위로 세장형 부재의 원위 부분을 전진시키는 단계, 그리고
    힘의 인가를 중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혈관을 통한 혈액 유동이, 백 부분이 세장형 부재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게 확장되도록 하는 것인 맥관 여과를 제공하는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맥관 여과 장치의 상류의 위치로 루멘을 통해 치료 장치를 전진시키는 단계와, 치료 장치를 사용하여 중재 맥관 시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맥관 여과를 제공하는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치료 장치는 혈전제거 장치이고, 중재 맥관 시술은 혈전제거 시술인 것인 맥관 여과를 제공하는 방법.
  43. 제41항에 있어서, 치료 장치는 아테렉터미(atherectomy) 장치이고, 중재 혈관 시술은 아테렉토미 시술인 것인 맥관 여과를 제공하는 방법.
  44. 제41항에 있어서, 치료 장치는 스텐트이고, 개입 맥관 시술은 스텐트 시술인 것인 맥관 여과를 제공하는 방법.
  45. 제41항에 있어서, 치료 장치는 혈관성형 벌룬이고, 중재 맥관 시술은 혈관성형 시술인 것인 맥관 여과를 제공하는 방법.
  46. 제41항에 있어서, 맥관 여과 장치 및 치료 장치는 각각 혈관 내에 위치되는 것인 맥관 여과를 제공하는 방법.
  47. 제40항에 있어서, 혈관은 제1 및 제2 분기 혈관을 포함하고, 맥관 여과 장치는 제2 분기 혈관 내에서 전개되며,
    제1 분기 혈관 내의 위치로 루멘을 통해 치료 장치를 전진시키는 단계와, 치료 장치를 사용하여 중재 맥관 시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맥관 여과를 제공하는 방법.
  48. 제40항에 있어서, 백 부분으로부터 맥관 여과 장치에 의해 수집된 파편을 흡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맥관 여과를 제공하는 방법.
  49. 맥관 여과 장치로서,
    세장형 부재로서, 세장형 부재의 제1 원위 영역의 벽 내의 하나 이상의 개구와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면서 세장형 부재의 근위 영역으로부터 연장하는 루멘을 구비하는 세장형 부재, 및
    멤브레인 부재로서, 백 부분과, 백 부분의 복수의 세장형 연장부를 포함하고, 백 부분은 다공성 멤브레인, 부착 영역 및 입부(mouth) 영역을 포함하고, 백의 부착 영역은 세장형 부재의 제2 원위 부분에 부착되고, 입부 영역은 상기 부착 영역의 원위에 위치되며, 세장형 연장부 각각은 백 부분과 일체이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의 일 개구를 통해 그리고 세장형 부재의 루멘을 통해 연장하며, 세장형 부재의 근위 영역에서 루멘을 벗어나는 멤브레인 부재
    를 포함하는 맥관 여과 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혈류 순환을 역방향 전진시키도록 구성되는 맥관 여과 장치.
KR1020157023342A 2013-03-15 2014-03-10 맥관 여과 장치 KR201501321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98289P 2013-03-15 2013-03-15
US61/798,289 2013-03-15
US14/201,551 US10143545B2 (en) 2013-03-15 2014-03-07 Vascular filtration device
US14/201,551 2014-03-07
PCT/US2014/022372 WO2014150144A2 (en) 2013-03-15 2014-03-10 Vascular filtra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2120A true KR20150132120A (ko) 2015-11-25

Family

ID=51531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3342A KR20150132120A (ko) 2013-03-15 2014-03-10 맥관 여과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10143545B2 (ko)
EP (1) EP2967805A2 (ko)
JP (1) JP6619326B2 (ko)
KR (1) KR20150132120A (ko)
CN (1) CN105050538A (ko)
AU (1) AU2014237479A1 (ko)
CA (1) CA2900795A1 (ko)
HK (1) HK1216000A1 (ko)
WO (1) WO201415014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127A (ko) * 2018-08-29 2020-03-1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풍선 카테터처럼 사용 가능한 스텐트 카테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88843B2 (en) 2011-01-28 2014-11-18 Middle Peak Medical, Inc.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ranscatheter treatment of valve regurgitation
US8845717B2 (en) 2011-01-28 2014-09-30 Middle Park Medical, Inc. Coaptation enhancement implant, system, and method
US10166098B2 (en) 2013-10-25 2019-01-01 Middle Peak Medic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catheter treatment of valve regurgitation
WO2016089451A1 (en) * 2014-12-02 2016-06-09 Legacy Ventures LLC Clot retrieval system
JP6714518B2 (ja) 2014-06-18 2020-06-24 ポラレス・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弁膜逆流の治療のための僧帽弁インプラント
JP6740140B2 (ja) 2014-06-24 2020-08-12 ポラレス・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インプラントを固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726762B2 (ja) * 2016-04-19 2020-07-22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Boston Scientific Scimed,Inc. 滲出バルーン装置
CN110234295B (zh) 2017-01-20 2023-10-24 W.L.戈尔及同仁股份有限公司 栓子过滤系统
WO2018168832A1 (ja) * 2017-03-13 2018-09-20 東レ株式会社 フィルターデバイス
US10478303B2 (en) 2017-03-13 2019-11-19 Polares Medical Inc.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ranscatheter treatment of valvular regurgitation
US10653524B2 (en) 2017-03-13 2020-05-19 Polares Medical Inc.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ranscatheter treatment of valvular regurgitation
CN111134900B (zh) * 2019-12-19 2021-10-22 先健科技(深圳)有限公司 血液转流装置
US11464634B2 (en) * 2020-12-16 2022-10-11 Polares Medical Inc.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ranscatheter treatment of valvular regurgitation with secondary anchors
US11759321B2 (en) 2021-06-25 2023-09-19 Polares Medical Inc.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ranscatheter treatment of valvular regurgitation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6515B1 (en) * 1996-09-13 2003-08-12 Scimed Life Systems, Inc. Guide wire insertion and re-insertion tools and methods of use
US5954745A (en) * 1997-05-16 1999-09-21 Gertler; Jonathan Catheter-filter set having a compliant seal
US5848964A (en) * 1997-06-06 1998-12-15 Samuels; Shaun Lawrence Wilkie Temporary inflatable filter device and method of use
US6245088B1 (en) * 1997-07-07 2001-06-12 Samuel R. Lowery Retrievable umbrella sieve and method of use
US5941896A (en) 1997-09-08 1999-08-24 Montefiore Hospital And Medical Center Filter and method for trapping emboli during endovascular procedures
US6395014B1 (en) * 1997-09-26 2002-05-28 John A. Macoviak Cerebral embolic protection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s
US6361545B1 (en) * 1997-09-26 2002-03-26 Cardeon Corporation Perfusion filter catheter
US6652554B1 (en) * 1999-01-04 2003-11-25 Mark H. Wholey Instrument for thromboembolic protection
US7049380B1 (en) 1999-01-19 2006-05-23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Thermoplastic copolymer of tetrafluoroethylene and perfluoromethyl vinyl ether and medical devices employing the copolymer
US20030150821A1 (en) * 1999-07-16 2003-08-14 Bates Mark C. Emboli filtration system and methods of use
US6142987A (en) * 1999-08-03 2000-11-07 Scimed Life Systems, Inc. Guided filter with support wire and methods of use
US6171328B1 (en) * 1999-11-09 2001-01-09 Embol-X, Inc. Intravascular catheter filter with interlocking petal design and methods of use
US6695813B1 (en) * 1999-12-30 2004-02-24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Embolic protection devices
US6893451B2 (en) * 2000-11-09 2005-05-17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Apparatus for capturing objects beyond an operative site utilizing a capture device delivered on a medical guide wire
US20020161395A1 (en) 2001-04-03 2002-10-31 Nareak Douk Guide wire apparatus for prevention of distal atheroembolization
US6616682B2 (en) * 2001-09-19 2003-09-09 Jomed Gmbh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tal protection during a medical procedure
US20030144686A1 (en) * 2002-01-30 2003-07-31 Embol-X, Inc. Distal filtration devices and methods of use during aortic procedures
US20030176884A1 (en) * 2002-03-12 2003-09-18 Marwane Berrada Everted filter device
US6887258B2 (en) * 2002-06-26 2005-05-03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Embolic filtering devices for bifurcated vessels
US20040024448A1 (en) 2002-08-05 2004-02-05 Chang James W. Thermoplastic fluoropolymer-coated medical devices
US7174636B2 (en) * 2002-09-04 2007-02-13 Scimed Life Systems, Inc. Method of making an embolic filter
AU2003286740A1 (en) 2002-10-29 2004-05-25 James C. Peacock Iii Embolic filter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DE602004018282D1 (de) * 2003-03-17 2009-01-22 Ev3 Endovascular Inc Stent mit laminierter dünnfilmverbund
EP1607045A4 (en) 2003-03-27 2011-02-16 Univ Nihon WIRE FOR INTRODUCTION TO A BIOLOGICAL CHANNEL
US20040193208A1 (en) 2003-03-27 2004-09-30 Scimed Life Systems, Inc. Radiopaque embolic protection filter membrane
US7371248B2 (en) 2003-10-14 2008-05-13 Medtronic Vascular, Inc. Steerable distal protection guidewire and methods of use
WO2005042081A1 (en) 2003-10-28 2005-05-12 Peacock James C Iii Embolic filter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9254213B2 (en) * 2004-01-09 2016-02-09 Rubicon Medical, Inc. Stent delivery device
US8403976B2 (en) 2004-04-08 2013-03-26 Contego Medical Llc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device with integral embolic filter
JP4982047B2 (ja) 2005-01-28 2012-07-25 佐藤 誠 閉塞型睡眠時無呼吸症候群解消器
JP2009517124A (ja) * 2005-11-26 2009-04-30 コンテゴ メディカル エルエルシー 一体型塞栓フィルタを有する経皮経管的血管形成装置
US7837702B2 (en) * 2005-12-21 2010-11-23 Nexeon Medsystems, Inc. Interventional catheter for retrograde use having embolic protection capability and methods of use
WO2007126931A2 (en) * 2006-03-31 2007-11-08 Ev3 Inc. Embolic protection devices having radiopaque markers
US7442207B2 (en) * 2006-04-21 2008-10-28 Medtronic Vascular, Inc.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cardiac valve regurgitation
US20080255606A1 (en) * 2007-04-16 2008-10-16 Medtronic Vascular, Inc. Filtering device for use within a body lumen
US20090099590A1 (en) * 2007-10-11 2009-04-16 Lalith Hiran Wijeratne Embolic protection device having a filter frame with integral distal strain relief
US20090138037A1 (en) * 2007-10-27 2009-05-28 Salviac Limited Strain limiting tether for a catheter
US20100191273A1 (en) * 2009-01-23 2010-07-29 Salviac Limited Embolic protection device with no delivery catheter or retrieval catheter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100262219A1 (en) * 2009-04-14 2010-10-14 Frimerman Aharon Device for angioplasty with an embolization protection component and method therefor
US8956385B2 (en) 2009-04-14 2015-02-17 Aharon FRIMERMAN Integrated distal embolization protection apparatus for endo-luminal devices such as balloon, stent or tavi apparatus
WO2011144240A1 (en) 2010-05-20 2011-11-24 Joline Gmbh & Co. Kg Embolic protection catheter
JP5642171B2 (ja) 2010-06-03 2014-12-17 株式会社グツドマン 塞栓物捕捉用の医療器具及びその製造方法
US8852272B2 (en) * 2011-08-05 2014-10-07 Mitraltech Ltd. Techniques for percutaneous mitral valve replacement and seal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127A (ko) * 2018-08-29 2020-03-1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풍선 카테터처럼 사용 가능한 스텐트 카테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67805A2 (en) 2016-01-20
HK1216000A1 (zh) 2016-10-07
AU2014237479A1 (en) 2015-08-13
US11020212B2 (en) 2021-06-01
WO2014150144A2 (en) 2014-09-25
US10143545B2 (en) 2018-12-04
JP2016511093A (ja) 2016-04-14
CA2900795A1 (en) 2014-09-25
US20190099253A1 (en) 2019-04-04
CN105050538A (zh) 2015-11-11
WO2014150144A3 (en) 2014-12-24
US20140277088A1 (en) 2014-09-18
US20210259821A1 (en) 2021-08-26
JP6619326B2 (ja)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59821A1 (en) Vascular filtration device
JP7191339B2 (ja) 改善された塞栓防御デバイスおよび方法
JP7237997B2 (ja) インターベンション治療中の神経保護のための付属装置
US7591832B2 (en) Expandable guide sheath and apparatus with distal protection and methods for use
US7762995B2 (en) Expandable guide sheath and apparatus and methods using such sheaths
JP5656637B2 (ja) 関節運動する取出装置
US8388628B2 (en) Expandable sheath for delivering instruments and agents into a body lumen and methods for use
US6951570B2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deploying a filter from a filter device
US6962598B2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providing embolic protection
EP4181800A2 (en) Devices and methods for aspiration of thrombus
US20030004540A1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deploying an embolic protection filter
CA2197609A1 (en) A perfusion device for maintaining blood flow in a vessel while isolating an anastomosis
JP4219806B2 (ja) 塞栓防止用フィルタを展開す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装置
CN110234295B (zh) 栓子过滤系统
CN115192282A (zh) 医疗装置的递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