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1918A - 동기 정류기 제어장치 및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동기 정류기 제어장치 및 전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31918A KR20150131918A KR1020140168789A KR20140168789A KR20150131918A KR 20150131918 A KR20150131918 A KR 20150131918A KR 1020140168789 A KR1020140168789 A KR 1020140168789A KR 20140168789 A KR20140168789 A KR 20140168789A KR 20150131918 A KR20150131918 A KR 201501319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tching
- unit
- voltage
- clock signal
-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기 정류기 제어장치 및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장치는, 전기적으로 절연된 1차측과 2차측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1차측으로 입력된 전원을 스위칭하여 상기 2차측으로 전달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2차측에 형성되고, 상기 2차측으로 전달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의 스위칭에 동기된 정류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전원 공급부의 스위칭 전환 시점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앞선 시점에 정류 스위칭 동작을 전환하는 동기 정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장치는, 전기적으로 절연된 1차측과 2차측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1차측으로 입력된 전원을 스위칭하여 상기 2차측으로 전달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2차측에 형성되고, 상기 2차측으로 전달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의 스위칭에 동기된 정류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전원 공급부의 스위칭 전환 시점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앞선 시점에 정류 스위칭 동작을 전환하는 동기 정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동기 정류기 제어장치 및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가정, 사무실, 공장 등의 다양한 공간에서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되는 컴퓨터, 디스플레이 장치, 각종 제어 장치 등 여러 종류의 전자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들은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되는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내부 또는 외부에 필요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가 필수적으로 채용된다.
전원장치는 일반적으로 전력 변환 효율, 소형화 등의 이점으로 인해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상술한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방식의 전원장치는 1차측에 입력된 전원을 스위칭하고, 스위칭된 전원을 트랜스포머(transformer)를 통해 2차측에 전달하며, 2차측에서는 전달받은 전원을 정류하여 사용에 적절한 직류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전원장치의 경우, 2차측 정류단에 1차측 스위칭에 동기된 스위칭 방식의 동기 정류기(synchronous rectifier, SR)를 이용하여 도통 손실을 최소화하는 동기 정류형 전원장치를 채택할 수 있다.
이러한 동기 정류형 전원장치의 경우, 1차측 스위칭 오프에 동기되어 동기 정류기는 스위칭 온 되고, 1차측 스위칭 온에 동기 되어 동기 정류기는 스위칭 오프 되어야 하나, 동기 정류기의 스위칭이 지연됨에 따라 1차측 스위칭 온 동안에 동기 정류기가 스위칭 온 되는, 이른바 오버랩(overlap)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는 출력 전원을 불안정하게 하고, 동기 정류기 또는 기타 다른 소자들의 절연을 붕괴시킬 수 있다.
이러한 오버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데드타임 제어기술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다양한 이유(예를 들어 1차측 스위칭 주파수의 변동 등)로 인해 데드타임(dead time, 동기 정류기 오프 시점과 1차측 스위칭 온 시점 간의 시간 간격)이 변동되는 경향이 있어, 이에 따라 전원시스템 안정 및 그 효율에 있어 최적의 데드타임으로 고정 제어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1차측 스위칭 온 시간을 예측하여 2차측 동기 정류기를 미리 스위칭 오프시키되, 고정된 데드타임으로 동기 정류기를 제어할 수 있는 동기 정류기 제어장치 및 전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1차측의 스위칭 전환 시점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앞선 시점에 2차측의 동기 정류기 스위칭 동작이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동기 정류기 제어장치 및 전원장치가 제공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듀얼 신호파형(1차측 스위칭 정보가 반영된 신호파형과 고정 데드타임이 반영된 신호파형)을 이용하여 동기 정류기의 스위칭 전환 시점을 결정하는 동기 정류기 제어장치 및 전원장치가 제공됨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출력 전원의 안정화 및 소자의 절연 붕괴를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력 변환 효율의 저하를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불연속 전도 모드(Discontinuous Conduction Mode; DCM)시 뿐 아니라 연속 전도 모드(ontinuous conduction mode; CCM)시에도 추가 회로 없이 출력 전원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범위가 상술한 효과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 정류기 제어부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럭 생성부에 대한 신호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럭 생성부의 개략적인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 시점 결정부의 개략적인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 정류기 제어부의 주요 부분에 대한 신호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치의 데드타임을 기존 전원장치에서의 데드타임과 비교한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 정류기 제어부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럭 생성부에 대한 신호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럭 생성부의 개략적인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 시점 결정부의 개략적인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 정류기 제어부의 주요 부분에 대한 신호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치의 데드타임을 기존 전원장치에서의 데드타임과 비교한 그래프.
본 발명에 따른 동기 정류기 제어장치 및 전원장치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치(100)의 개략적인 회로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120) 및 동기 정류부(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된 1차측과 2차측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120)는 상기 1차측 및 2차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동기 정류부(130)는 상기 2차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부(110) 및 신호 피드백부(140)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정류부(110)는 상기 1차측에 형성될 수 있고, 신호 피드백부(140)는 상기 1차측 및 2차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정류부(110)는 입력된 교류 전원(AC)를 정류하여 전원 공급부(12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전원 공급부(120)의 앞단에는 링크 캐패시터(Clink)가 구비되어 정류된 전원을 안정화시켜 전원 공급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20)는, 1차측으로 입력된 전원을 스위칭하여 2차측으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PWM 제어부(121), 스너버 회로(122), 트랜스포머(T1) 및 전원 스위치(SW)를 포함할 수 있다.
PWM 제어부(121)는, 신호 피드백부(140)로부터의 피드백 정보에 따라 전원 스위치(SW)의 스위칭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스너버 회로(122)는, 캐패시터(C), 저항(R) 및 다이오드(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전원 스위치(SW)의 스위칭 온/오프에 의해 발생되는 잉여 전원을 소비하여 스위칭시 발생되는 스파이크 전압을 억제할 수 있다.
트랜스포머(T1)는 상기 1차측에 형성된 1차 권선(P)과, 상기 1차 권선(P)과 자기 결합하여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를 형성하고, 상기 권선비에 따라 1차 권선(P)에 입력된 전원의 전압 레벨을 가변하여 상기 2차측에 공급하는 2차 권선(S)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스위치(SW)는 1차 권선(P)의 일단에 연결되어, PWM 제어부(121)의 제어에 따라 1차 권선(P)에 입력된 전원을 스위칭 온/오프하여 전원을 변환시킬 수 있다.
동기 정류부(130)는 2차 권선(S)으로부터의 전원을 정류하여 캐패시터(Cout)를 통해 안정화시킨 후 출력 전원(VOUT)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앞서, 동기 정류부(130)는 전원 스위치(SW)의 스위칭에 동기되어 동기 정류기(SR)의 스위칭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는 동기 정류기 제어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동기 정류기 제어부(131)는, 2차 권선(S)으로 전달된 전원을 검출 저항(SRsen)에 의해 검출한 검출 전압(Vsen)에 기초하여 전원 스위치(SW)의 스위칭에 동기된 구동 신호(GSR)를 동기 정류기(SR)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동기 정류기 제어부(131)는 바이어스 전원(Vbias)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
동기 정류기 제어부(131)는, 검출 저항(SRsen)에 의해 검출된 전압(Vsen)에 기초하여 동기 정류기(SR)의 스위칭 온/오프를 제어하되, 전원 스위치(SW)의 스위칭 온/오프를 미리 예측하고 이에 따른 동기 정류기(SR)의 오프 시점을 고려하여 동기 정류 스위치(SR)를 미리 구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동기 정류기 제어부(131)는, 동기 정류기(SR)를 구동하는 데 있어, 1차측 스위칭 정보가 반영되는 신호파형과 함께 고정 데드타임이 반영된 신호파형을 생성할 수 있으며, 함께 생성된 듀얼 신호파형을 이용하여 동기 정류기(SR)의 스위칭 전환 시점(본 실시예에서는 스위칭 오프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동기 정류기 제어부(131)는 고정된 데드타임으로 동기 정류기(SR)를 제어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 정류기 제어부(131)의 개략적인 블럭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동기 정류기 제어부(1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럭 생성부(131a), 오프 시점 결정부(131b) 및 구동부(131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클럭 생성부(131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클럭 생성부(131a-1) 및 제2 클럭 생성부(131a-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럭 생성부(131a)에 대한 신호 파형을 나타낼 수 있는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클럭 생성부(131a-1)는, 2차 권선(S)으로부터 출력된 전원을 검출한 검출 전압(Vsen)을 모니터링하여, 전원 공급부(120)의 전원 스위치(SW)의 스위칭 오프에서 스위칭 온으로 전환되는 시점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클럭 생성부(131a-1)는, 인지된 상기 전환 시점에 따라 제 1 클럭신호(VDCH1)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클럭신호(VDCH1)는 1차측 스위칭 정보를 반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클럭 생성부(131a-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클럭신호(VDCH2)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클럭신호(VDCH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클럭 신호(VDCH1)에서의 하이(high) 구간을 미리 설정된 시간(Td)만큼 지연시킨 클럭신호일 수 있다.
이때 지연 시간(Td)은, 전원시스템의 안정(즉 오버랩 현상 방지)에 필요한 최소한의 데드타임과 동일한 시간 길이로 설정될 수 있는 바, 결국 상기 지연 시간(Td)의 설정에 따라서 데드타임이 고정되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오프 시점 결정부(131b)는, 상기 클럭 생성부(131a)로부터의 제1 및 제2 클럭신호(VDCH1, VDCH2)에 따라 동기 정류기(SR)의 스위칭 오프 시점(ΦCE)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31c)는, 상기 오프 시점 결정부(131b)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칭 오프 시점(ΦCE)에 따라 동기 정류기(SR)의 스위칭 동작을 구동시키는 구동신호(GSR)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럭 생성부(131a)의 개략적인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클럭 생성부(131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클럭 생성부(131a-1) 및 제2 클럭 생성부(131a-2)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클럭 생성부(131a-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부(131a-1-1) 및 제1 클럭신호 생성부(131a-1-2)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부(131a-1-1)는 2차 권선(S)으로부터 출력된 전원의 전압 레벨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검출 전압(Vsen)은 전원 스위치(SW)의 스위칭에 따라 양의 전압 레벨과 음의 전압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검출부(131a-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비교기를 채용함으로써 검출 전압(Vsen)의 전압 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VREF1)인 시점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준전압(VREF1)인 시점이라 함은, 전원 스위치(SW)의 스위칭이 온에서 오프로 또는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되는 시점, 즉 전원 스위치(SW)의 스위칭 전환 시점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준전압(VREF1)의 레벨로서 4V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라운드 노이즈가 발생되지 않을 정도의 전압 레벨이라면 그 어떠한 전압 레벨도 상기 기준전압(VREF1)의 레벨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1 클럭신호 생성부(131a-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부(131a-1-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토대로 제1 클럭신호(VDCH1)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의 제1 클럭신호 생성부(131a-1-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스위치(SW)의 스위칭 오프에서 스위칭 온으로 전환되는 라이징 엣지 시점에서 제1 클럭신호(VDCH1)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상기 제1 클럭신호(VDCH1)는 오프 시점 결정부(131b)에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클럭 생성부(131a-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지연부(131a-2-1) 및 제2 클럭신호 생성부(131a-2-2)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간 지연부(131a-2-1)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클럭신호 생성부(131a-1-2)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 클럭 신호(VDCH1)에서의 하이 구간을 미리 설정된 시간(Td)만큼 지연시킬 수 있다.
이때의 지연 시간(Td)은, 앞서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시스템의 안정에 필요한 최소한의 데드타임과 동일한 시간 길이로 설정될 수 있는 바, 결국 상기 지연 시간(Td)의 설정에 따라서 데드타임이 고정되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2 클럭신호 생성부(131a-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간 지연부(131a-2-1)를 통해 상기 제1 클럭신호(VDCH1)에서의 하이 구간을 데드타임(즉 지연 시간(Td))만큼 지연시킨 제2 클럭신호(VDCH1)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상기 제2 클럭신호(VDCH2) 역시 오프 시점 결정부(131b)에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 시점 결정부(131b)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 정류 제어부(131)의 주요 부분에 대한 신호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오프 시점 결정부(131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전류 변환부(131b-1), 제1 램프(ramp)파 신호 생성부(131b-2), 제2 램프파 신호 생성부(131b-3), 전압-전압 변환부(131b-4), 홀드전압 생성부(131b-5) 및 비교부(131b-6)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전압-전류 변환부(131b-1)는,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VREF2)을 전류로 변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램프파 신호 생성부(131b-2)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클럭신호(VDCH1)에 따라 전압-전류 변환부(131b-1)로부터의 전류를 충방전하여 제1 램프파 신호(VOSC1)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램프파 신호 생성부(131b-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류미러(mir1)와 제1 충방전부(CD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류미러(mir1)는 상기 전압-전류 변환부(131b-1)로부터의 전류를 미러링할 수 있다.
또한 제1 충방전부(CD1)는, 상기 제1 전류미러(mir1)에 의해 미러링된 전류를, 1차측 스위칭 정보가 반영된 제1 클럭신호(VDCH1)에 따라 스위칭하여 제1 캐패시터(CR1)에 충방전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제1 램프파 신호(VOSC1)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램프파 신호 생성부(131b-2)에서 출력되는 제1 램프파 신호(VOSC)는, 1차측 스위칭 정보, 예를 들어 1차측 스위칭 주파수 또는 주기 등의 정보를 반영하는 램프 파형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램프파 신호 생성부(131b-3)는, 제2 클럭신호(VDCH2)에 따라 전압-전류 변환부(131b-1)로부터의 전류를 충방전하여 제2 램프파 신호(VOSC2)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램프파 신호 생성부(131b-3)는, 제2 전류미러(mir2)와 제2 충방전부(CD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전류미러(mir2)는, 상기 전압-전류 변환부(131b-1)로부터의 전류를 미러링할 수 있다.
또한 제2 충방전부(CD2)는, 상기 제2 전류미러(mir2)에 의해 미러링된 전류를, 지연 시간(Td, 즉 고정 데드타임)이 반영된 제2 클럭신호(VDCH2)에 따라 스위칭하여 제2 캐패시터(CR2)에 충방전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제2 램프파 신호(VOSC2)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도 6을 참조하면, 제2 캐패시터(CR2)는, 상기 제1 램프파 신호 생성부(131b-2)의 제1 캐패시터(CR1)와 동일한 주기(Tc)로 완전 방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램프파 신호(VOSC2)는, 제1 램프파 신호(VOSC1)보다 지연 시간(Td)만큼 늦게 램프 파형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제2 램프파 신호(VOSC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피크 전압이 제1 램프파 신호(VOSC1)의 피크 전압(Vp)보다 지연 시간(Td, 즉 고정 데드타임)에 비례하여 낮아지게 된다.
다음으로 전압-전압 변환부(131b-4)는, 제2 램프파 신호 생성부(131b-3)로부터의 제2 램프파 신호(VOSC2)의 전압 레벨을 변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홀드전압 생성부(131b-5)는, 전압-전압 변환부(131b-4)에 의해 전압 레벨이 변환된 램프파 신호에 기초하여 홀드전압(VHOLD)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홀드전압 생성부(131b-5)는,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하는 복수의 스위치(S1, S2)에 의해, 변환된 전압 레벨을 갖는 램프파 신호(VSAM1, VSAM2)의 전압을 캐패시터(C1, C2)에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는 고정 데드타임(즉 지연 시간 Td)이 반영된 제2 클럭신호(VDCH2)에 따라 생성될 수 있으며, 제2 클럭 신호(VDCH2)를 1/2 분주하고 위상을 반대로 설정하여 각각 스위치(S1, S2)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홀드전압 생성부(131b-5)는, 변환된 전압 레벨을 갖는 램프파 신호(VSAM1, VSAM2)의 전압을 홀드전압(VHOLD)으로 설정하여 이를 비교부(131b-6)로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비교부(131b-6)는, 상기 홀드전압(VHOLD)과 제1 램프파 신호(VOSC1)의 전압 레벨을 비교하는 경우, 예를 들어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램프파 신호(VOSC1)보다 그 피크 전압이 낮은 제2 램프파 신호(VOSC2)로부터 생성된 홀드전압(VHOLD)과 제1 램프파 신호(VOSC1)의 전압 레벨을 비교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스위치(SW)의 스위칭 동작이 스위칭 오프에서 스위칭 온으로 전환되는 시점(제1 클럭신호(VDCH1)의 라이징 엣지 시점)보다 미리 설정된 지연 시간(Td), 즉 고정 데드타임만큼 앞선 시점을 동기 정류기의 스위칭 오프 시점(도 6의 ΦCE에서의 라이징 엣지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상기 동기 정류기 제어부(130)의 구동부(131c)는, 상기와 같은 동기 정류기의 스위칭 오프 시점(ΦCE)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GSR)를 생성함으로써, 고정된 데드타임으로 동기 정류기(SR)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동기 정류기 제어부(131)는, 1차측 스위칭 정보가 반영된 신호파형과 함께 고정 데드타임이 반영된 신호파형을 생성하는, 이른바 듀얼 신호파형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듀얼 신호파형을 이용하여 동기 정류기(SR)의 스위칭 전환 시점(본 실시예에서는 스위칭 오프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동기 정류기 제어부(131)는, 고정된 데드타임으로 동기 정류기(SR)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본 실시예에서의 데드타임을 기존 전원장치에서의 데드타임과 비교한 도 7을 통해서도 분명히 확인할 수 있다.
즉 기존 전원장치(A)의 경우, 도 7을 참조하면, 1차측 스위칭 주파수 등이 변동함에 따라 그 데드타임이 크게 변동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치(B)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측 스위칭 주파수 등이 변동한다 하더라도 데드타임이 거의 일정하게 고정 유지되고 있음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시스템 안정에 필요한 최소한의 데드타임을 고정 설정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하게 긴 데드타임으로 인한 전력 변환 효율의 저하를 현저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의 동기 정류기 제어부(131)는, 전원시스템 안정에 필요한 데드타임을 고정 설정할 수 있으므로, 전원 스위치(SW)가 스위칭 온 되기 전에 동기 정류기(SR)를 스위칭 오프시켜 연속 전도 모드에서 전원 변환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전원 스위치(SW)와 동기 정류기(SR)가 동시에 스위칭 온되는 상황, 이른바 오버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더하여, 불연속 전도 모드에서는 검출 저항(SRsen)에서 음의 전압이 검출된 시점 또는 결정된 스위칭 오프 타임 중 빠른 시점의 신호를 선택하여 동기 정류기(SR)를 스위칭 오프시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전원을 안정화시키고, 소자의 절연 붕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1차측 스위칭 온 시간을 예측하여 2차측 동기 정류기를 미리 스위칭 오프시킬 수 있으므로, 불연속 전도 모드시 뿐 아니라 연속 전도 모드시에도 추가 회로 없이 출력 전원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들에 도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기능들은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되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전용 하드웨어의 이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이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일부가 공유될 수 있는 복수의 개별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용어 "제어부"의 명시적 이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제한 없이, 마이크로 프로세서(MC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비휘발성 저장장치를 묵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항들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표현된 요소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임의의 방식을 포괄하고, 이러한 요소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요소들의 조합, 또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수행하기 위해 적합한 회로와 결합된,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소프트 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원리들의 '일 실시예'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이 실시예와 관련되어 특정 특징, 구조, 특성 등이 본 발명의 원리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현 '일 실시예에서'와,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해 개시된 임의의 다른 변형례들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 또는 ‘연결하는’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소자 및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를 통해 개시된 모든 실시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원장치
110: 정류부
120: 전원 공급부 121: PWM 제어부
122: 스너버 회로 130: 동기 정류부
131: 동기 정류기 제어부 131a: 클럭 생성부
131b: 오프 시점 결정부 131c: 구동부
140: 신호 피드백부
120: 전원 공급부 121: PWM 제어부
122: 스너버 회로 130: 동기 정류부
131: 동기 정류기 제어부 131a: 클럭 생성부
131b: 오프 시점 결정부 131c: 구동부
140: 신호 피드백부
Claims (40)
- 전기적으로 절연된 1차측과 2차측을 갖는 전원장치의 2차측에 형성되고, 상기 2차측으로 전달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1차측의 스위칭에 동기된 정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1차측의 스위칭 전환 시점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앞선 시점에 정류 스위칭 동작을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동기 정류기 제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의 스위칭 오프에서 스위칭 온으로 전환되는 시점보다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앞선 시점에 상기 정류 스위칭 동작을 스위칭 온에서 스위칭 오프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동기 정류기 제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정류기 제어장치는,
상기 1차측의 스위칭 전환 시점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클럭 생성부;
상기 클럭 생성부로부터의 클럭 신호에 따라 정류 스위칭 동작의 스위칭 오프 시점을 결정하는 오프 시점 결정부; 및
상기 오프 시점 결정부의 스위칭 오프 시점에 따라 상기 정류 스위칭 동작을 구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동기 정류기 제어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생성부는,
상기 2차측으로 전달된 전원의 전압 레벨을 검출하여 상기 1차측의 스위칭 오프에서 스위칭 온으로 전환되는 시점에 따라 제1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제1 클럭 생성부; 및
상기 제1 클럭신호의 하이 구간을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지연시켜 제2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제2 클럭 생성부;
를 포함하는 동기 정류기 제어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럭 생성부는,
상기 2차측으로 전달된 전원의 전압 레벨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결과를 토대로 상기 1차측의 스위칭 오프에서 스위칭 온으로 전환되는 시점에 상기 제1 클럭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1 클럭신호를 상기 오프 시점 결정부에 출력하는 제1 클럭신호 생성부;
를 포함하는 동기 정류기 제어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럭 생성부는,
상기 제1 클럭신호의 하이 구간을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시간 지연부; 및
상기 시간 지연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토대로 상기 제2 클럭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2 클럭신호를 상기 오프 시점 결정부에 출력하는 제2 클럭신호 생성부;
를 포함하는 동기 정류기 제어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 시점 결정부는,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을 전류로 변환하는 전압-전류 변환부;
상기 제1 클럭신호에 따라 상기 전압-전류 변환부로부터의 전류를 충방전하여 제1 램프파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램프파 신호 생성부;
상기 제2 클럭신호에 따라 상기 전압-전류 변환부로부터의 전류를 충방전하여 제2 램프파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램프파 신호 생성부;
상기 제2 램프파 신호 생성부로부터의 상기 제2 램프파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환하는 전압-전압 변환부;
상기 전압-전압 변환 변환부에 의해 전압 레벨이 변환된 상기 제2 램프파 신호에 기초하여 홀드전압을 생성하는 홀드전압 생성부; 및
상기 홀드전압 생성부로부터의 홀드전압과 상기 제1 램프파 신호의 전압 레벨을 비교하여 스위칭 오프 시점을 결정하는 비교부;
를 포함하는 동기 정류기 제어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파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전압-전류 변환부로부터의 전류를 미러링하는 제1 전류미러; 및
상기 제1 전류미러에 의해 미러링된 전류를 상기 제1 클럭신호에 따라 제1 캐패시터에 충방전시켜 상기 제1 램프파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충방전부;
를 포함하는 동기 정류기 제어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램프파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전압-전류 변환부로부터의 전류를 미러링하는 제2 전류미러; 및
상기 제2 전류미러에 의해 미러링된 전류를 상기 제2 클럭신호에 따라 제2 캐패시터에 충방전시켜 상기 제2 램프파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충방전부;
를 포함하는 동기 정류기 제어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캐패시터는 상기 제1 캐패시터와 동일한 주기로 완전 방전되는 동기 정류기 제어장치.
- 전기적으로 절연된 1차측과 2차측을 갖는 전원장치의 2차측에 형성되고, 상기 1차측의 스위칭 전환 시점을 검출하여 정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되, 검출된 상기 1차측의 스위칭 전환 시점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앞선 시점에 정류 스위칭 동작을 전환하도록 제어하며, 듀얼 신호파형을 토대로 상기 정류 스위칭 동작의 전환 시점을 결정하는 동기 정류기 제어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의 스위칭 오프에서 스위칭 온으로 전환되는 시점보다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앞선 시점에 상기 정류 스위칭 동작을 스위칭 온에서 스위칭 오프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동기 정류기 제어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정류기 제어장치는,
상기 1차측의 스위칭 전환 시점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클럭 생성부;
상기 클럭 생성부로부터의 클럭 신호에 따라 정류 스위칭 동작의 스위칭 오프 시점을 결정하는 오프 시점 결정부; 및
상기 오프 시점 결정부의 스위칭 오프 시점에 따라 상기 정류 스위칭 동작을 구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동기 정류기 제어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생성부는,
상기 2차측으로 전달된 전원의 전압 레벨을 검출하여 상기 1차측의 스위칭 오프에서 스위칭 온으로 전환되는 시점에 따라 제1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제1 클럭 생성부; 및
상기 제1 클럭신호의 하이 구간을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지연시켜 제2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제2 클럭 생성부;
를 포함하는 동기 정류기 제어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럭 생성부는,
상기 2차측으로 전달된 전원의 전압 레벨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결과를 토대로 상기 1차측의 스위칭 오프에서 스위칭 온으로 전환되는 시점에 상기 제1 클럭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1 클럭신호를 상기 오프 시점 결정부에 출력하는 제1 클럭신호 생성부;
를 포함하는 동기 정류기 제어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럭 생성부는,
상기 제1 클럭신호의 하이 구간을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시간 지연부; 및
상기 시간 지연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토대로 상기 제2 클럭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2 클럭신호를 상기 오프 시점 결정부에 출력하는 제2 클럭신호 생성부;
를 포함하는 동기 정류기 제어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 시점 결정부는,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을 전류로 변환하는 전압-전류 변환부;
상기 제1 클럭신호에 따라 상기 전압-전류 변환부로부터의 전류를 충방전하여 제1 램프파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램프파 신호 생성부;
상기 제2 클럭신호에 따라 상기 전압-전류 변환부로부터의 전류를 충방전하여 제2 램프파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램프파 신호 생성부;
상기 제2 램프파 신호 생성부로부터의 상기 제2 램프파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환하는 전압-전압 변환부;
상기 전압-전압 변환 변환부에 의해 전압 레벨이 변환된 상기 제2 램프파 신호에 기초하여 홀드전압을 생성하는 홀드전압 생성부; 및
상기 홀드전압 생성부로부터의 홀드전압과 상기 제1 램프파 신호의 전압 레벨을 비교하여 스위칭 오프 시점을 결정하는 비교부;
를 포함하는 동기 정류기 제어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파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전압-전류 변환부로부터의 전류를 미러링하는 제1 전류미러; 및
상기 제1 전류미러에 의해 미러링된 전류를 상기 제1 클럭신호에 따라 제1 캐패시터에 충방전시켜 상기 제1 램프파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충방전부;
를 포함하는 동기 정류기 제어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램프파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전압-전류 변환부로부터의 전류를 미러링하는 제2 전류미러; 및
상기 제2 전류미러에 의해 미러링된 전류를 상기 제2 클럭신호에 따라 제2 캐패시터에 충방전시켜 상기 제2 램프파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충방전부;
를 포함하는 동기 정류기 제어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캐패시터는 상기 제1 캐패시터와 동일한 주기로 완전 방전되는 동기 정류기 제어장치.
- 전기적으로 절연된 1차측과 2차측을 갖는 전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1차측으로 입력된 전원을 스위칭하여 상기 2차측으로 전달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2차측에 형성되고, 상기 2차측으로 전달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의 스위칭에 동기된 정류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전원 공급부의 스위칭 전환 시점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앞선 시점에 정류 스위칭 동작을 전환하는 동기 정류부;
를 포함하는 전원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정류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스위칭 오프에서 스위칭 온으로 전환되는 시점보다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앞선 시점에 상기 정류 스위칭 동작을 스위칭 온에서 스위칭 오프로 전환하는 전원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정류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스위칭 전환 시점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클럭 생성부;
상기 클럭 생성부로부터의 클럭 신호에 따라 정류 스위칭 동작의 스위칭 오프 시점을 결정하는 오프 시점 결정부; 및
상기 오프 시점 결정부의 스위칭 오프 시점에 따라 상기 정류 스위칭 동작을 구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전원장치.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생성부는,
상기 2차측으로 전달된 전원의 전압 레벨을 검출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의 스위칭 오프에서 스위칭 온으로 전환되는 시점에 따라 제1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제1 클럭 생성부; 및
상기 제1 클럭신호의 하이 구간을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지연시켜 제2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제2 클럭 생성부;
를 포함하는 전원장치.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럭 생성부는,
상기 2차측으로 전달된 전원의 전압 레벨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전원 공급부의 스위칭 오프에서 스위칭 온으로 전환되는 시점에 상기 제1 클럭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1 클럭신호를 상기 오프 시점 결정부에 출력하는 제1 클럭신호 생성부;
를 포함하는 전원장치.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럭 생성부는,
상기 제1 클럭신호의 하이 구간을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시간 지연부; 및
상기 시간 지연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토대로 상기 제2 클럭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2 클럭신호를 상기 오프 시점 결정부에 출력하는 제2 클럭신호 생성부;
를 포함하는 전원장치.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 시점 결정부는,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을 전류로 변환하는 전압-전류 변환부;
상기 제1 클럭신호에 따라 상기 전압-전류 변환부로부터의 전류를 충방전하여 제1 램프파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램프파 신호 생성부;
상기 제2 클럭신호에 따라 상기 전압-전류 변환부로부터의 전류를 충방전하여 제2 램프파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램프파 신호 생성부;
상기 제2 램프파 신호 생성부로부터의 상기 제2 램프파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환하는 전압-전압 변환부;
상기 전압-전압 변환 변환부에 의해 전압 레벨이 변환된 상기 제2 램프파 신호에 기초하여 홀드전압을 생성하는 홀드전압 생성부; 및
상기 홀드전압 생성부로부터의 홀드전압과 상기 제1 램프파 신호의 전압 레벨을 비교하여 스위칭 오프 시점을 결정하는 비교부;
를 포함하는 전원장치.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파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전압-전류 변환부로부터의 전류를 미러링하는 제1 전류미러; 및
상기 제1 전류미러에 의해 미러링된 전류를 상기 제1 클럭신호에 따라 제1 캐패시터에 충방전시켜 상기 제1 램프파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충방전부;
를 포함하는 전원장치.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램프파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전압-전류 변환부로부터의 전류를 미러링하는 제2 전류미러; 및
상기 제2 전류미러에 의해 미러링된 전류를 상기 제2 클럭신호에 따라 제2 캐패시터에 충방전시켜 상기 제2 램프파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충방전부;
를 포함하는 전원장치.
-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캐패시터는 상기 제1 캐패시터와 동일한 주기로 완전 방전되는 전원장치.
- 전기적으로 절연된 1차측과 2차측을 갖는 전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1차측으로 입력된 전원을 스위칭하여 상기 2차측으로 전달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2차측에 형성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의 스위칭 전환 시점을 검출하여 정류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며, 검출된 상기 전원 공급부의 스위칭 전환 시점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앞선 시점에 정류 스위칭 동작을 전환하되, 듀얼 신호파형을 토대로 상기 정류 스위칭 동작의 전환 시점을 결정하는 동기 정류부;
를 포함하는 전원장치.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정류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스위칭 오프에서 스위칭 온으로 전환되는 시점보다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앞선 시점에 상기 정류 스위칭 동작을 스위칭 온에서 스위칭 오프로 전환하는 전원장치.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정류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스위칭 전환 시점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클럭 생성부;
상기 클럭 생성부로부터의 클럭 신호에 따라 정류 스위칭 동작의 스위칭 오프 시점을 결정하는 오프 시점 결정부; 및
상기 오프 시점 결정부의 스위칭 오프 시점에 따라 상기 정류 스위칭 동작을 구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전원장치.
-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생성부는,
상기 2차측으로 전달된 전원의 전압 레벨을 검출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의 스위칭 오프에서 스위칭 온으로 전환되는 시점에 따라 제1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제1 클럭 생성부; 및
상기 제1 클럭신호의 하이 구간을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지연시켜 제2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제2 클럭 생성부;
를 포함하는 전원장치.
-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럭 생성부는,
상기 2차측으로 전달된 전원의 전압 레벨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전원 공급부의 스위칭 오프에서 스위칭 온으로 전환되는 시점에 상기 제1 클럭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1 클럭신호를 상기 오프 시점 결정부에 출력하는 제1 클럭신호 생성부;
를 포함하는 전원장치.
-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럭 생성부는,
상기 제1 클럭신호의 하이 구간을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시간 지연부; 및
상기 시간 지연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토대로 상기 제2 클럭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2 클럭신호를 상기 오프 시점 결정부에 출력하는 제2 클럭신호 생성부;
를 포함하는 전원장치.
-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 시점 결정부는,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을 전류로 변환하는 전압-전류 변환부;
상기 제1 클럭신호에 따라 상기 전압-전류 변환부로부터의 전류를 충방전하여 제1 램프파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램프파 신호 생성부;
상기 제2 클럭신호에 따라 상기 전압-전류 변환부로부터의 전류를 충방전하여 제2 램프파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램프파 신호 생성부;
상기 제2 램프파 신호 생성부로부터의 상기 제2 램프파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환하는 전압-전압 변환부;
상기 전압-전압 변환 변환부에 의해 전압 레벨이 변환된 상기 제2 램프파 신호에 기초하여 홀드전압을 생성하는 홀드전압 생성부; 및
상기 홀드전압 생성부로부터의 홀드전압과 상기 제1 램프파 신호의 전압 레벨을 비교하여 스위칭 오프 시점을 결정하는 비교부;
를 포함하는 전원장치.
-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파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전압-전류 변환부로부터의 전류를 미러링하는 제1 전류미러; 및
상기 제1 전류미러에 의해 미러링된 전류를 상기 제1 클럭신호에 따라 제1 캐패시터에 충방전시켜 상기 제1 램프파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충방전부;
를 포함하는 전원장치.
-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램프파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전압-전류 변환부로부터의 전류를 미러링하는 제2 전류미러; 및
상기 제2 전류미러에 의해 미러링된 전류를 상기 제2 클럭신호에 따라 제2 캐패시터에 충방전시켜 상기 제2 램프파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충방전부;
를 포함하는 전원장치.
-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캐패시터는 상기 제1 캐패시터와 동일한 주기로 완전 방전되는 전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SI201530118T SI2945271T1 (en) | 2014-05-16 | 2015-05-15 | Synchronous rectifier and power adapter |
EP15167815.8A EP2945271B1 (en) | 2014-05-16 | 2015-05-15 | Control device of synchronous rectifier and power supply |
US14/713,482 US9595879B2 (en) | 2014-05-16 | 2015-05-15 | Control device of synchronous rectifier and power supply |
CN201510253291.XA CN105099235B (zh) | 2014-05-16 | 2015-05-18 | 电源和同步整流器的控制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59269 | 2014-05-16 | ||
KR1020140059269 | 2014-05-1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1918A true KR20150131918A (ko) | 2015-11-25 |
KR102260300B1 KR102260300B1 (ko) | 2021-06-03 |
Family
ID=54845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68789A KR102260300B1 (ko) | 2014-05-16 | 2014-11-28 | 동기 정류기 제어장치 및 전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030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880266A (zh) * | 2018-07-17 | 2018-11-23 | 深圳市富满电子集团股份有限公司 | 同步整流电路、芯片及隔离型同步整流控制电路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936575B2 (en) * | 2008-06-24 | 2011-05-03 |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 Synchronous rectifier control using load condition determination |
US20120300520A1 (en) * | 2011-05-24 | 2012-11-29 | Chengdu Monolithic Power Systems Co., Ltd. | Switching mode power supply with synchronous rectifying control circuit |
US20130229832A1 (en) * | 2012-03-02 | 2013-09-05 | Apple Inc. | Controlling a flyback converter for use with a computer system |
JP2014011814A (ja) * | 2012-06-27 | 2014-01-20 | Fuji Electric Co Ltd |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
-
2014
- 2014-11-28 KR KR1020140168789A patent/KR10226030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936575B2 (en) * | 2008-06-24 | 2011-05-03 |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 Synchronous rectifier control using load condition determination |
US20120300520A1 (en) * | 2011-05-24 | 2012-11-29 | Chengdu Monolithic Power Systems Co., Ltd. | Switching mode power supply with synchronous rectifying control circuit |
US20130229832A1 (en) * | 2012-03-02 | 2013-09-05 | Apple Inc. | Controlling a flyback converter for use with a computer system |
JP2014011814A (ja) * | 2012-06-27 | 2014-01-20 | Fuji Electric Co Ltd |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880266A (zh) * | 2018-07-17 | 2018-11-23 | 深圳市富满电子集团股份有限公司 | 同步整流电路、芯片及隔离型同步整流控制电路 |
CN108880266B (zh) * | 2018-07-17 | 2024-03-12 | 富满微电子集团股份有限公司 | 同步整流电路、芯片及隔离型同步整流控制电路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60300B1 (ko) | 2021-06-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581815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regulating power conversion systems with output detection and synchronized rectifying mechanisms | |
TWI625924B (zh) | 具有同步整流器之功率轉換器之二次側控制的控制電路 | |
US8736237B2 (en) | Controller with punctuated switching control circuit | |
EP2339726B1 (en) | Power factor corrector with high power factor at low load or high mains voltage conditions | |
US10014785B2 (en) | Insulation type switching power source apparatus | |
US9627987B2 (en) | Flyback converter operating by synchronous rectification with transient protection, primary side control circuit therei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5181014B2 (ja) | 回路レギュレータ及びその同期タイミングパルス発生回路 | |
US9537404B2 (en) | AC-DC power supply input voltage detection and monitoring | |
US9331589B2 (en) | Primary feedback switching power converter controller with intelligent determination of and response to output voltage drops due to dynamic load conditions | |
US9564813B2 (en) | Switching power-supply device | |
KR20160134562A (ko) | 과전류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역률 보상 회로 | |
KR20120131521A (ko) | 전력 공급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
US20160181934A1 (en) | Insulated synchronous rectification dc/dc converter | |
KR20170000901A (ko) | 동기 정류기 및 이의 제어 회로 | |
US11703550B2 (en) | Resonance voltage attenuation detection circuit, semiconductor device for switching power, and switching power supply | |
KR102143254B1 (ko) | 플라이백 컨버터의 pwm 제어장치 | |
Li et al. | Primary-side controller IC design for quasi-resonant flyback LED driver | |
KR102260300B1 (ko) | 동기 정류기 제어장치 및 전원장치 | |
US20160087519A1 (en) | Switching Power-Supply Device | |
KR102230495B1 (ko) | 전원 공급 장치 | |
US8866452B1 (en) | Variable minimum input voltage based switching in an electronic power control system | |
KR101816290B1 (ko) | 전원 공급 시스템 | |
JP2016052207A (ja) | 高効率力率改善回路およ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 |
KR20090021464A (ko) | 주파수 클램핑 제어를 이용한 전원장치 | |
JP2010268548A (ja) | 電源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気機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