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0843A - 차량의 에어백 - Google Patents

차량의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0843A
KR20150130843A KR1020140057985A KR20140057985A KR20150130843A KR 20150130843 A KR20150130843 A KR 20150130843A KR 1020140057985 A KR1020140057985 A KR 1020140057985A KR 20140057985 A KR20140057985 A KR 20140057985A KR 20150130843 A KR20150130843 A KR 20150130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steering wheel
folded
deployed
crash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석훈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7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0843A/ko
Publication of KR20150130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8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석 에어백 모듈에 관한것으로서, 차량의 실내 전면에 설치되는 크래쉬 패드 및 상기 크래쉬 패드의 클러스터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스티어링 휠을 덮도록 전개되는 쿠션이 실장된 에어백 모듈;을 포함하여, 스티어링 휠에 구비되던 리모컨 스위치의 공간을 확보하게 되어 상기 스티어링 휠에서 운전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리모킨 기능의 다양화를 추구할 수 있으며, 상기 스티어링 휠의 제조공정이 단순화되어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 휠의 경량화가 가능하고, 에어백 전개시 스티어링 휠의 텔레스코픽 및 틸트 기능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스티어링 휠의 작동으로 인한 회전 및 위치 변경에 관계없이 일정한 형상으로 쿠션이 전개되는 효과가 있는 운전석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에어백 {An Airbag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석에 설치되는 에어백 모듈의 전개성을 향상시키고, 승객을 보호하는 차량의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석 및 조수석으로부터 전방에, 계기판 클러스터, 오디오장치, 디스플레이장치, 공조컨트롤장치, 글로브박스 및 조수석에어백장치가 설치되는 크래쉬 패드(Crash Pad)에 배치된다.
상기 크래쉬 패드의 상측에는 소프트한 폼(foam) 재질로 형성된 크래쉬패드가 장착되어, 상기 크래쉬 패드의 상측 스킨면을 형성한다.
특히, 상기 운전석 에어백은 상기 스티어링 휠 림(RIM)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운전석 에어백의 내부에는 쿠션을 전개시키도록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가 구비되어 장착된다. 상기 운전석 에어백을 상기 스티어링 휠 내부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티어링 휠 내부에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스티어링 휠 림은 운전의 편의를 위해서 일정이상의 크기가 될 수 없어, 상기 스티어링 휠의 내부 공간은 좁게 형성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상기 스티어링 휠에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다양한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리모컨(Remote Control)을 배치하고, 상기 운전석 에어백을 위치하게 되면, 상기 스티어링 휠의 디자인은 극히 제한적인 설계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의 차량에는 운전자의 편의를 위하여 틸트(Tilt) 및 텔레스코픽(Telescopic) 기능이 장착되는데, 상기 틸트는 일반적으로 운전석이 상, 하로 조절될 때 상기 스티어링 휠(50)을 가변하여 운전자에게 피로감을 줄여주도록 장착된다.
또, 상기 텔레스코픽은 드라이빙 포지션(Driving Position)에 따라 스티어링 샤프트(Steering Shaft)가 신축하여 상기 스티어링 휠의 전후 위치가 바뀌어 마찬가지로 운전자에게 피로감을 줄이도록 구비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텔레스코픽은 일반적으로 텔레스코픽 스티어링(Telescopic steering)이라고도 불린다.
따라서, 상기 스티어링휠의 틸트(Tilt) 및 텔레스코픽(Telescopic) 기능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휠 위치가 변경되거나 상기 스티어링휠이 운전 중 회전하게 되면 공인 시험때와 다른 형태로 쿠션이 전개되어 예상하지 못했던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운전석 에어백으로 인한 스티어링 휠 림의 공간확보와, 그로 인한 다양한 기능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는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스티어링 휠의 디장인에도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스티어링 휠에 설치된 틸트 및 텔레스코픽의 기능을 동시에 만족하면서도 운전석 에어백의 전개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에어백은, 차량의 실내 전면에 설치되는 크래쉬 패드 및 상기 크래쉬 패드의 클러스터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스티어링 휠을 덮도록 전개되는 쿠션이 실장된 에어백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백 모듈은, 상기 쿠션이 복수회 접혀져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쿠션을 전개시키도록 고압의 가스가 분출되는 인플레이터와, 상기 클러스터와 근접하여 상기 크래쉬 패드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은 초기전개시 절개부를 따라 전개되고, 만개시에 상기 스티어링 휠을 덮는다.
또한, 상기 쿠션의 전개시 상기 스티어링 휠이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은 내부에 챔버부가 형성되어 상기 챔버부에 의해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부는 복수개로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는 격벽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쿠션의 전개방향을 향할 수록 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에는 상기 챔버부 간에 가스가 연통되도록 연통부가 형성될 수있다.
또한, 상기 쿠션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일단과 전개방향의 타단을 테더로 연결하여, 상기 쿠션의 전개시 상기 스티어링 휠을 덮도록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더는 복수개로 상기 쿠션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쿠션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의 내부 측벽 둘레면을 따라 테더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에는 상기 쿠션의 방향을 결정하도록 접철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철부는, 상기 스티어링 휠과 가깝게 설치되어 상기 쿠션이 상기 스티어링 휠을 향하여 접힐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철부는, 상기 스티어링 휠과 반대편에 설치되어 상기 쿠션이 접히고, 상기 쿠션의 만개시 상기 접철부도 팽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철부는, 상기 쿠션과 동일재질로 설치되어, 상기 쿠션의 내압 상승시 상기 접철부가 상기 쿠션 외부로 돌출하도록 상기 쿠션에 접철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래쉬 패드에는 테어라인이 형성되어 상기 쿠션이 전개시 파단되고, 상기 테어라인의 파단으로 상기 크래쉬 패드에 상기 쿠션을 가이드하도록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운전석 에어백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로, 본 발명의 운전석 에어백에 따르면, 스티어링 휠에 구비되던 리모컨 스위치의 공간을 확보하게 되어 상기 스티어링 휠에서 운전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리모킨 기능의 다양화를 추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로, 본 발명의 운전석 에어백에 따르면, 상기 스티어링 휠의 제조공정이 단순화되어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 휠의 경량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셋째로, 본 발명의 운전석 에어백에 따르면, 쿠션 전개시 스티어링 휠의 텔레스코픽 및 틸트 기능 작동시에도 쿠션이 정상 전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로, 본 발명의 운전석 에어백에 따르면, 상기 스티어링 휠의 작동으로 인한 회전 및 위치 변경에 관계없이 일정한 형상으로 쿠션이 전개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운전석 에어백이 장착된 크래쉬 패드의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에 A-A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쿠션이 제1 실시예에 의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쿠션 전개시 스티어링 휠의 변화를 나태는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쿠션이 제2 실시예에 의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2의 쿠션이 제3 실시예에 의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2의 쿠션이 제4 실시예에 의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2의 쿠션이 제5 실시예에 의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도 2의 쿠션이 제6 실시예에 의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운전석 에어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 운전석 에어백이 장착된 크래쉬 패드의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쿠션이 제1 실시예에 의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쿠션 전개시 스티어링 휠의 변화를 나태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쿠션이 제2 실시예에 의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도 6은 도 2의 쿠션이 제3 실시예에 의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2의 쿠션이 제4 실시예에 의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도 8은 도 2의 쿠션이 제5 실시예에 의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도 2의 쿠션이 제6 실시예에 의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바람직한 운전석 에어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운전석 에어백의 경우이다.
도 1은 본 발명 운전석 에어백이 장착된 크래쉬 패드의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차량의 실내 전면에 설치되는 크래쉬 패드(10) 및 상기 크래쉬 패드(10)의 클러스터(12)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스티어링 휠(50)을 덮도록 전개되는 쿠션(30)이 실장된 에어백 모듈(20)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쿠션이 제1 실시예에 의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쿠션 전개시 스티어링 휠의 변화를 나태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을 도 2 및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크래쉬 패드(10)는 차량의 실내 전면에 전면유리의 하측에 설치된다. 상기 크래쉬 패드(10)에는 차량 실내로 공조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에어벤트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크래쉬 패드(10)의 일측에는 차량의 조향을 결정하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s; 50)이 설치된다. 상기 스티어링 휠(50)과 근접하여 운전자가 차량의 상태를 알 수 있는 클러스터(Cluster;12)가 장착된다. 상기 스티어링 휠(50)은 쿠션(30)의 전개시 상기 스티어링 휠(50)이 유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티어링 휠(50)은 상기 쿠션(30)의 전개시 틸트(Tilt) 및 텔레스코픽(Telescopic) 등의 기능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 휠(50)은 상기 쿠션(30)의 전개에 방해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스티어링 휠(50)이 좌측에 배치되는 것으로하여 설명하나, 상기 스티어링 휠(5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에어백 모듈(20)의 위치도 변화할 수 있다.
상기 크래쉬 패드(10)에는 승객 등을 보호하고자 에어백 모듈(20)이 설치된다. 상기 에어백 모듈(20)의 쿠션(30)은 상기 크래쉬 패드(10)의 일면을 통과하여 승객을 향하여 전개되어 보호된다. 상기 크래쉬 패드(10)에는 상기 에어백 모듈(20)이 설치되는 위치에 테어라인(14)이 형성된다.
상기 테어라인(14)은 승객과 근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테어라인(14)은 상기 쿠션(30)의 전개시 파단되고, 상기 테어라인(14)의 파단으로 상기 크래쉬 패드(10)의 일부분이 전면유리를 향하여 뜯어지게된다. 상기 전면유리를 향하여 뜯어진 상기 크래쉬 패드(10)의 일부분은 상기 쿠션(30)을 가이드하도록 절개부(18)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절개부(18)는 상기 테어라인(14)과 대응되게 형성된 힌지부(16)에 의해 전면유리로 소정각도 회동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16)는 상기 에어백 모듈(20)이 설치되는 방향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18)가 상기 쿠션(30)의 전개력에 의해 전면유리를 향하여 전개되되, 상기 쿠션(30)의 전개력에 의한 파단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테어라인(12)보다 강성이 강하다.
상기 에어백 모듈은(20)은 상기 쿠션(30)이 복수회 접혀져 배치되는 하우징(22)과, 상기 쿠션(30)을 전개시키도록 고압의 가스가 분출되는 인플레이터(24)와, 상기 클러스터(12)와 근접하여 상기 크래쉬 패드(10)의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22)은 상기 쿠션(30)이 복수회 접혀져 배치되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2)은 개구된 부분이 상기 크래쉬 패드(10)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22)은 일면이 상기 클러스터(12)의 상측과 접하도록 설치되고, 타면이 상기 크래쉬 패드(10)와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22)에는 상기 인플레이터(24)가 쿠션(30)과 함께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22)은 상기 크래쉬 패드(10)에 장착시 볼팅 및 후크결합등에 의하여 결합되되, 상기 쿠션(30)이 상기 크래쉬(10)에 타격할때의 전개력에 의해 분리 및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인플레이터(24)는 상기 쿠션(30)을 전개시키도록 고압의 가스가 분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인플레이터(24)는 상기 쿠션(30)에 실장되어 상기 하우징(22)에 고정된다.
상기 쿠션(30)은 복수회 접혀져 상기 하우징(22)에 배치된다. 상기 쿠션(30)에는 상기 인플레이터(24)가 실장되어 상기 하우징(22)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상기 하우징(22)이 상기 쿠션(30)에 실장되어 고정되는 것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상기 쿠션(30)은 초기전개시 상기 절개부(16)를 따라 전개되고, 만개시에 상기 스티어링 휠(50)을 덮도록 전개된다. 이때, 만개된 상기 쿠션(30)의 지름(β)은 상기 스티어링 휠(50)의 지름(α)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쿠션(30)은 상기 스티어링 휠(50)을 향하여 전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쿠션(30)은 제1 판넬과 제2 판넬이 구비되어, 재봉에의해 봉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판넬은 전개시에 스티어링 휠(50)과 근접하고, 상기 제2 판넬은 전개시에 승객을 향한 면을 말한다. 상기 제2 판넬은 상기 제1 판넬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 판넬의 전개로 인해 상기 하측판넬이 상기 스티어링 휠(50)을 향하여 굽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쿠션(30)은 제1 판넬이 상기 절개부(16)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스티어링 휠(50) 방향으로 전개되어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50)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판넬과 제2 판넬만을 언급하며 설명하나, 복수개의판넬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판넬과 상기 제2 판넬의 사이에 메인판넬이 구비되어 봉제되므로서 쿠션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쿠션이 제2 실시예에 의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어백을 도 5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쿠션(130)은 상기 하우징(122)에 고정된 일단과 전개방향의 타단을 테더(160)로 연결하여, 상기 쿠션(130)의 전개시 상기 스티어링 휠(150)을 덮도록 방향을 꺽게 된다. 상기 테더(160)는 복수개로 상기 쿠션(130)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쿠션(13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테더(160)는 상기 쿠션의 전개시의 총길이보다 짧게 복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쿠션(130)에 구비된 인플레이터(124)와 근접하여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쿠션(130)의 만개시의 단부에 타측이 연결된다.
도 6는 도 2의 쿠션이 제3 실시예에 의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제3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쿠션(230)은 내부에 챔버부(260)가 형성되어 상기 챔버부(260)에 의해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챔버부(260)는 복수개로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챔버부(260)는 격벽(165)에 의하여 구획된다. 상기 격벽(265)은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쿠션(23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격벽(265)의 크기는 서로 다르게 구비되어, 복수개의 상기 격벽(265)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격벽이 상기 쿠션(230)의 전개방향의 단부와 가깝게 배치되어 설치된다. 상기 쿠션(230)의 전개방향을 향할 수록 커질 수 있다. 상기 격벽(265)에는 상기 챔버부(260) 간에 가스가 연통되도록 연통부(265a)가 형성되어, 상기 쿠션(230)이 전개되고, 이때,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스티어링 휠(250)을 향하여 굽어지게 되어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250)에 의한 상해를 줄일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쿠션이 제4 실시예에 의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제4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쿠션(330)의 내부 측벽 둘레면을 따라 테더(360)가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실시예에서의 상기 쿠션(330)의 제1 판넬에, 상기 테더(36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 판넬의 둘레면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쿠션(330)의 만개시 상기 테더(360)의 일측이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연결된다.
상기 테더(360)는 상기 제1 판넬에 봉제된다. 상기 테더(360)가 상기 쿠션(330)의 만개시의 단부에 소정각도 경사지게 연결되어 상기 쿠션(330)의 전개성이 향상되고, 상기 테더(360)가 제1 판넬에 봉제됨으로 승차자(운전자)의 상해를 줄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제5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쿠션(430)에는 상기 쿠션(430)의 방향을 결정하도록 접철부(4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접철부(460)는, 상기 스티어링 휠(450)과 가깝게 설치되어 상기 쿠션(430)이 상기 스티어링 휠(450)을 향하여 접힐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실시예에서의 상기 쿠션(430)의 제1 판넬에, 상기 접철부(460)가 설치된다. 상기 접철부(460)는, 상기 제1 판넬의 내측 또는 외측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 판넬에 상기 접철부(460)의 설치시, 상기 제1 판넬을 상기 접철부(460)와 함게 폴딩하여 봉제하여 강성을 높이면서, 상기 쿠션(430)이 상기 스티어링 휠(450)을 향하도록 전개된다.
도 9는 도 2의 쿠션이 제6 실시예에 의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여 제6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접철부(560)는, 상기 스티어링 휠(550)과 반대편에 설치되어 상기 쿠션(530)이 접히고, 상기 쿠션(530)의 만개시 상기 접철부(560)도 팽창할 수 있다. 상기 접철부(560)는, 상기 쿠션(530)과 동일재질로 설치되어, 상기 쿠션(530)의 내압 상승시 상기 접철부(560)가 상기 쿠션(530) 외부로 돌출하도록 상기 쿠션에 접철홀(530a)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실시예서의 상기 쿠션(530)의 제2 판넬에, 상기접철부(560)가 폴딩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 판넬에는 접철홀(530a)이 형성되어 상기 접철부(560)가 돌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에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클러스터(12)가 크래쉬 패드(10)에 장착된다. 상기 클러스터(12)와 상기 크래쉬 패드(12)의 사이에 에어백 모듈(20)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에어백 모듈(20)은 상기 크래쉬 패드(10)의 상측에 고정된다.
따라서, 차량에서 충돌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에어백 모듈(20)의 인플레이터(24)에 가스를 분출하도록 신호를 보낸다. 상기 인플레이터(24)는 가스를 분출하여 쿠션(30)을 전개시키게 된다.
도 3은 도 2의 쿠션이 제1 실시예에 의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쿠션(30)은 상기 크래쉬 패드(10)를 일부분을 타격하면 테어라인(14)이 파단되어 절개부(18)가 상측으로 일부 벌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절개부(18)와 상기 크래쉬 패드(10)의 사이로 상기 쿠션(30)이 전개된다.
상기 절개부(18)의 내면을 따라 상기 쿠션(30)이 가이드되어 상기 절개부(18)에 의해 상기 쿠션(30)이 전면 유리를 향하여 전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스티어링 휠(50)을 향하여 전개된다.
따라서, 상기 쿠션(30)의 만개시 상기 스티어링 휠(50)을 전면을 덮게 되어, 승객(운전자)가 상기 스티어링 휠(50)에 충돌하지 아니하고, 상기 쿠션(30)에 충격하여 보호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쿠션이 제2 실시예에 의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면, 차량에서 충돌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에어백 모듈(120)의 인플레이터(124)에 가스를 분출하도록 신호를 보낸다. 상기 인플레이터(124)는 가스를 분출하여 쿠션(130)을 전개시키게 된다.
상기 쿠션(130)은 상기 크래쉬 패드(110)를 일부분을 타격하면 테어라인(114)이 파단되어 절개부(118)가 상측으로 일부 벌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절개부(118)와 상기 크래쉬 패드(110)의 사이로 상기 쿠션(130)이 전개된다.
상기 절개부(118)의 내면을 따라 상기 쿠션(130)이 가이드되어 상기 절개부(118)에 의해 상기 쿠션(130)이 전면 유리를 향하여 전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테더(160)가 상기 쿠션(130)이 상측으로 전개되는 것을 상기 스티어링 휠(150)을 향하여 전개되도록 상기 쿠션(130)의 단부를 당기게 되어 상기 스티어링 휠(150)의 전면을 덮게 된다.
도 6는 도 2의 쿠션이 제3 실시예에 의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를 참조하여 제3 실시예를 설명하면, 차량에서 충돌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에어백 모듈(220)의 인플레이터(224)에 가스를 분출하도록 신호를 보낸다. 상기 인플레이터(224)는 가스를 분출하여 쿠션(230)을 전개시키게 된다.
상기 쿠션(230)은 상기 크래쉬 패드(210)를 일부분을 타격하면 테어라인(214)이 파단되어 절개부(218)가 상측으로 일부 벌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절개부(218)와 상기 크래쉬 패드(210)의 사이로 상기 쿠션(230)이 전개된다.
상기 쿠션(230)의 전개시 상기 쿠션(230)의 내부에 구비된 격벽(265)에 의해 상기 쿠션(230)이 상기 스티어링 휠(250)을 향하여 전개된다. 상기 쿠션(230) 내부의 상기 챔버부(260)는 서로 다른 내압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챔버부(260)는 상기 쿠션(230)의 전개방향을 향할수록 면적이 넓어져 상기 쿠션(230)이 상기 스티어링 휠(250) 전면을 덮도록 전개된다.
도 7은 도 2의 쿠션이 제4 실시예에 의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제4 실시예를 설명하면, 차량에서 충돌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에어백 모듈(320)의 인플레이터(324)에 가스를 분출하도록 신호를 보낸다. 상기 인플레이터(324)는 가스를 분출하여 쿠션(330)을 전개시키게 된다.
상기 쿠션(530)은 상기 크래쉬 패드(310)를 일부분을 타격하면 테어라인(314)이 파단되어 절개부(318)가 상측으로 일부 벌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절개부(318)와 상기 크래쉬 패드(310)의 사이로 상기 쿠션(330)이 전개된다.
상기 테더(360)는 상기 쿠션(330)의 내부 측벽 둘레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스티어링 휠(350)을 덮도록 전개된다.
도 8은 도 2의 쿠션이 제5 실시예에 의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여 제5 실시예를 설명하면, 차량에서 충돌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에어백 모듈(420)의 인플레이터(424)에 가스를 분출하도록 신호를 보낸다. 상기 인플레이터(424)는 가스를 분출하여 쿠션(430)을 전개시키게 된다.
상기 쿠션(530)은 상기 크래쉬 패드(410)를 일부분을 타격하면 테어라인(414)이 파단되어 절개부(418)가 상측으로 일부 벌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절개부(418)와 상기 크래쉬 패드(410)의 사이로 상기 쿠션(430)이 전개된다.
상기 쿠션(430)의 전개시 접철부(460)에 의해 상기 쿠션(460)의 내측, 즉 상기 스티어링 휠(450)의 향한 쿠션의 판넬이 운전석을 향한 쿠션의 판넬보다 짧게 형 전개되도록하여 상기 쿠션(430)이 상기 스티어링 휠(450)을 향하여 전개된다.
도 9는 도 2의 쿠션이 제6 실시예에 의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여 제6 실시예를 설명하면, 차량에서 충돌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에어백 모듈(520)의 인플레이터(524)에 가스를 분출하도록 신호를 보낸다. 상기 인플레이터(524)는 가스를 분출하여 쿠션(530)을 전개시키게 된다.
상기 쿠션(530)은 상기 크래쉬 패드(510)를 일부분을 타격하면 테어라인(514)이 파단되어 절개부(518)가 상측으로 일부 벌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절개부(518)와 상기 크래쉬 패드(510)의 사이로 상기 쿠션(530)이 전개된다.
상기 쿠션(530)에 운전석을 향한 쿠션 판넬에 접철부(560)가 상기 쿠션(530)의 전개로 폴딩이 풀리면서 접철홀(560a)을 통하여 상기 접철부(560)가 돌출되도록 전개 된다. 따라서, 상기 접철부(560)에 의해 운전석 승객을 보호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다른 구성의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각각의 실시예를 통합하여 하나의 쿠션에 구비하여 장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크래쉬 패드 20: 에어백 모듈
30: 쿠션 50: 스티어링 휠

Claims (16)

  1. 차량의 실내 전면에 설치되는 크래쉬 패드;
    상기 크래쉬 패드의 클러스터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스티어링 휠을 덮도록 전개되는 쿠션이 실장된 에어백 모듈;을 포함하는 운전석 에어백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모듈은,
    상기 쿠션이 복수회 접혀져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쿠션을 전개시키도록 고압의 가스가 분출되는 인플레이터와,
    상기 클러스터와 근접하여 상기 크래쉬 패드의 상측에 설치되는 운전석 에어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초기전개시 절개부를 따라 전개되고, 만개시에 상기 스티어링 휠을 덮는 운전석 에어백.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의 전개시 상기 스티어링 휠이 유동하는 운전석 에어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내부에 챔버부가 형성되어 상기 챔버부에 의해 방향이 결정되는 운전석 에어백.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는 복수개로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운전석 에어백.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격벽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쿠션의 전개방향을 향할 수록 커지는 운전석 에어백.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는 상기 챔버부 간에 가스가 연통되도록 연통부가 형성되는 운전석 에어백.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일단과 전개방향의 타단을 테더로 연결하여, 상기 쿠션의 전개시 상기 스티어링 휠을 덮도록 방향을 결정하는 운전석 에어백.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는 복수개로 상기 쿠션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쿠션의 측면에 설치되는 운전석 에어백.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의 내부 측벽 둘레면을 따라 테더가 설치되는 운전석 에어백.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에는 상기 쿠션의 방향을 결정하도록 접철부가 설치되는 운전석 에어백.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상기 스티어링 휠과 가깝게 설치되어 상기 쿠션이 상기 스티어링 휠을 향하여 접히는 운전석 에어백.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상기 스티어링 휠과 반대편에 설치되어 상기 쿠션이 접히고, 상기 쿠션의 만개시 상기 접철부도 팽창하는 운전석 에어백.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상기 쿠션과 동일재질로 설치되어, 상기 쿠션의 내압 상승시 상기 접철부가 상기 쿠션 외부로 돌출하도록 상기 쿠션에 접철홀이 형성되는 운전석 에어백.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쉬 패드에는 테어라인이 형성되어 상기 쿠션이 전개시 파단되고, 상기 테어라인의 파단으로 상기 크래쉬 패드에 상기 쿠션을 가이드하도록 절개부가 형성되는 운전석 에어백.

KR1020140057985A 2014-05-14 2014-05-14 차량의 에어백 KR201501308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985A KR20150130843A (ko) 2014-05-14 2014-05-14 차량의 에어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985A KR20150130843A (ko) 2014-05-14 2014-05-14 차량의 에어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843A true KR20150130843A (ko) 2015-11-24

Family

ID=54845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985A KR20150130843A (ko) 2014-05-14 2014-05-14 차량의 에어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08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27168A1 (de) * 2022-02-14 2023-08-16 ZF Automotive Germany GmbH Gassack für einen fahrersitzplatz eines fahrzeugs sowie gassackmodul, fahrzeuginsassensicherheitssystem und fahrzeug mit einem solchen gassac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27168A1 (de) * 2022-02-14 2023-08-16 ZF Automotive Germany GmbH Gassack für einen fahrersitzplatz eines fahrzeugs sowie gassackmodul, fahrzeuginsassensicherheitssystem und fahrzeug mit einem solchen gassack
WO2023152360A1 (de) * 2022-02-14 2023-08-17 Zf Automotive Germany Gmbh Gassack für einen fahrersitzplatz eines fahrzeugs sowie gassackmodul, fahrzeuginsassensicherheitssystem und fahrzeug mit einem solchen gass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7593B2 (en) Roof airbag device for vehicle
JP5572597B2 (ja) 乗員保護装置
US8414017B2 (en) Roof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US8480124B2 (en) Seat bolster chamber
US7584987B2 (en) Housing structure of an airbag
CN105035016A (zh) 翼形驾驶员安全气囊
KR101585096B1 (ko)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
KR101720979B1 (ko)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
KR102310283B1 (ko) 차량의 커튼 에어백 장치
KR101781384B1 (ko)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US10246039B2 (en) Airbag device
US8888128B1 (en) Airbag for vehicle
US8613469B2 (en) Airbag device
JP2016153262A (ja) エアバッグ装置
US8226116B2 (en) Vehicle airbag system
KR20150130843A (ko) 차량의 에어백
CN112550203A (zh) 车辆的安全气囊装置
JPH07277128A (ja) エアバッグ装置
JP4572770B2 (ja) 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GB2532976A (en) A curtain airbag for a motor vehicle
JP2006159970A (ja) 車両外置きエアバッグ装置
JP7083909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210142318A (ko)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JP2016521652A (ja) 歩行者保護システム及びエアバッグ
KR20180024871A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