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2318A -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2318A
KR20210142318A KR1020200059001A KR20200059001A KR20210142318A KR 20210142318 A KR20210142318 A KR 20210142318A KR 1020200059001 A KR1020200059001 A KR 1020200059001A KR 20200059001 A KR20200059001 A KR 20200059001A KR 20210142318 A KR20210142318 A KR 20210142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eployed
driver
panel
airbag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중근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9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2318A/ko
Priority to US17/320,043 priority patent/US20210354648A1/en
Publication of KR20210142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3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티어링휠부에 구비된 하우징부에 장착되는 인플레이터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내장되고, 상기 인플레이터부에서 토출되는 가스에 의해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 쿠션부는 전개된 상태에서 운전자를 향하는 방향에 배치되는 제1 패널부와, 상기 제1 패널부와 마주하게 구비되고 전개된 상태에서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에 배치되며, 전개 시에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일부 영역이 확장되는 제2 패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AIR BAG DEVICE FOR DRIVER}
본 발명은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보호 영역과 지지력이 증대된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 전방에는 차륜을 조향하는 스티어링 휠이 배치되고, 스티어링 휠에는 자동차 사고 발생시 팽창 전개되어 운전자를 보호하는 운전석용 에어백이 설치된다.
운전석용 에어백은 내부의 가스압에 의해 팽창되어, 운전자의 머리부 및 가슴부를 조기에 구속함으로써, 운전자의 머리부 및 가슴부가 스티어링 휠과 충돌하여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한다.
스티어링 휠에 구비되는 림은 일반적으로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개 시에 에어백 쿠션이 스티어링 휠을 통해 충분히 지지되게 마련된다. 최근 디스플레이 시인성 향상 등 다양한 목적으로 스티어링 휠의 림이 원형이 아닌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고 있다. 그런데 이 경우 스티어링 휠에 의한 운전석 에어백의 지지력 부족으로 승객의 상해가 악화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형상의 스티어링 휠에 대응할 수 있도록 운전석용 에어백을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4129758호(2008. 05. 30. 등록, 발명의 명칭: 에어백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백 쿠션부의 전개 시에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패널의 일부 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확장되게 구비되어, 에어백 쿠션부에 의한 보호 영역과 지지력을 증대시키고 다양한 형상의 스티어링휠부에 대응 가능한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는 스티어링휠부에 구비된 하우징부에 장착되는 인플레이터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내장되고, 상기 인플레이터부에서 토출되는 가스에 의해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 쿠션부는 전개된 상태에서 운전자를 향하는 방향에 배치되는 제1 패널부와, 상기 제1 패널부와 마주하게 구비되고 전개된 상태에서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에 배치되며, 전개 시에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일부 영역이 확장되는 제2 패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패널부는 패널본체부와, 상기 패널본체부의 일부 영역으로서 전개 시에 차량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확장되는 확장부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부가 상기 하우징부에 폴딩된 상태에서 다단으로 접혀서 포개진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전개 시에 펼쳐짐으로써 확장되는 접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휠부는 상기 하우징부가 구비되는 허브부와, 상기 허브부의 둘레의 일부 영역에 구비된 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부를 중심으로 한 원주방향의 영역 중 상기 림부가 구비된 영역을 지지영역이라 하고 상기 림부가 구비되지 않은 영역을 비지지영역이라 할 때, 상기 확장부는 전개 시에 상기 비지지영역에 대응한 위치에 위치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접철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패널본체부 또는 인접한 다른 상기 접철부와 서로 포개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에어백 쿠션부가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확장부의 크기는, 상기 접철부의 개수와 크기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널부와 상기 제2 패널부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결합되고, 전개되는 상기 에어백 쿠션부를 구속하게 구비되는 테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는 에어백 쿠션부의 전개 시에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제2 패널부의 일부 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확장되게 구비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스티어링휠부에 대응할 수 있고, 에어백 쿠션부에 의한 보호 영역과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는 스티어링휠부의 림부가 원형 링이 아닌 경우에도, 추가적인 부품 없이 에어백 쿠션부의 지지력을 충분히 확보하여 승객의 상해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가 장착된 스티어링휠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쿠션부를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패널부를 도시한 것으로 접철부가 접철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6의 접철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100)가 장착된 스티어링휠부(1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100)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100)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100)는 인플레이터부(200)와 에어백 쿠션부(300)를 포함한다.
인플레이터부(200)는 스티어링휠부(10)에 구비된 하우징부(15)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스티어링휠부(10)는 중앙부에 배치되는 허브부(11)와, 허브부(11)의 둘레에 구비되고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부(12)와, 림부(12)를 허브부(11)에 연결하는 스포크(1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15)는 스티어링휠부(10)의 허브부(11)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림부(12)는 허브부(11)의 둘레에 원형 링 형성될 수도 있고, 원형 링 형상 중 일부가 제거된 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림부(12)는 운전 시에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상단부의 일부가 제거된 형태인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1 참조). 또한 예를 들어 사용상의 편의성이나 미관상의 이유로, 림부(12)는 하단부나 측부가 절개된 형태일 수도 있고, 원형이 아닌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인플레이터부(200)는 하우징부(15)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플레이터부(200)는 충돌감지센서(미도시)를 통해 충돌이 감지되는 경우 작동되어 가스를 토출할 수 있다.
에어백 쿠션부(300)는 하우징부(15)에 내장되고, 인플레이터부(200)에서 토출되는 가스에 의해 전개되어 승객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백 쿠션부(300)는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가스 공급에 의해 팽창되어 승객과 접촉됨으로써 승객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에어백 쿠션부(300)는 인플레이터부(200)에 결합되고 하우징부(15)에 폴딩된 상태로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인플레이터부(200)에서 가스가 토출되면 에어백 쿠션부(300)가 하우징부(15)의 덮개부분을 파쇄하면서 외부로 전개되어 승객을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에어백 쿠션부(300)는 제1 패널부(310)와 제2 패널부(330)를 포함한다. 제1 패널부(310)는 전개된 상태에서 운전자를 향하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패널부(330)는 제1 패널부(310)와 마주하게 구비되고 전개된 상태에서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에 배치되며, 전개 시에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일부 영역이 확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패널부(310)와 제2 패널부(330)는 서로 포개진 상태에서 봉제되어 챔버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패널부(330)는 인플레이터부(200)와 연결되어 챔버로 가스를 유입시키는 유입홀(337)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홀(337)을 통해 가스가 유입되면, 제1 패널부(310)와 제2 패널부(330) 사이의 챔버가 팽창되면서 에어백 쿠션부(300)가 전개될 수 있다. 전개된 에어백 쿠션부(300)는 제2 패널부(330)가 스티어링휠부(10)에 의해 지지되어 제1 패널부(310)에 접촉되는 운전자를 보호하게 된다.
그런데 스티어링휠부(10)에 구비된 림부(12)가 원형이 아닌 경우, 팽창된 에어백 쿠션부(300)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부족하여 승객이 상해를 입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림부(12)가 상단부의 일부가 절개된 형태의 호 형상인 경우, 팽창된 에어백 쿠션부(300)는 림부(12)에 의한 상단부 지지력이 부족하게 되어, 승객의 머리나 목 등에 상해를 입힐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에어백 쿠션부(300)의 전개 시에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제2 패널부(330)의 일부 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확장되게 함으로써, 부족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림부(12)가 상단부가 제거된 형태의 호 형상인 경우, 제2 패널부(330)의 상단부의 일부 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확장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림부(12)에 의해 지지되지 못하는 제2 패널부(330)의 상단부의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쿠션부(300)를 도시한 측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패널부(330)를 도시한 것으로 접철부(334)가 접철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도 6의 접철부(334)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2 패널부(330)는 패널본체부(331)와, 접철부(334)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본체부(331)는 제2 패널부(330)를 이루는 몸체로서 유입홀(337)이 관통될 수 있다. 패널본체부(331)는 제1 패널부(310)를 이루는 몸체인 패널몸체부(311)와 서로 봉제될 수 있다.
접철부(334)는 패널본체부(331)의 일부 영역으로서 전개 시에 차량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확장되는 확장부(333)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접철부(334)는 에어백 쿠션부(300)가 하우징부(15)에 폴딩된 상태에서 다단으로 접혀서 포개진 형태로 구비되고, 에어백 쿠션부(300)의 전개 시에 펼쳐짐으로써 확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확장부(333)는 패널본체부(331)의 일부 영역을 의미하고, 확장부(333)는 다단으로 접힌 상태 또는, 팽창되어 확장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접철부(334)는 확장부(333)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접철부(334)는 하나로 구비되는 경우 다른 패널본체부()와 서로 포개질 수 있다. 또한 접철부(334)가 복수로 구비된 경우 복수의 접철부(334) 중 인접한 다른 접철부(334)가 서로 포개어져서 다단으로 접철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고(도 4 내지 도 6 참조), 전개 시에 펼쳐질 수 있다(도 7 참조).
예를 들어 스티어링휠부(10)의 림부(12)가 허브부(11)의 둘레의 일부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허브부(11)를 중심으로 한 원주방향의 영역 중, 림부(12)가 구비된 영역을 지지영역(A1)이라 하고, 림부(12)가 구비되지 않은 영역을 비지지영역(A2)이라 한다. 팽창 시에 에어백 쿠션부(300)는, 지지영역(A1)에서 림부(12)에 의해 충분히 지지될 수 있으나, 비지지영역(A2)에서는 림부(12)가 없으므로 지지력이 부족할 수 있다.
여기서 확장부(333)는 전개 시에 비지지영역(A2)에 대응한 위치에 위치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개 시에 확장부(333)는 비지지영역(A2)에서 차량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림부(12)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 팽창될 수 있다. 확장부(333)가 추가로 팽창되어 스티어링휠부(10)의 비지지영역(A2)을 커버함으로써, 에어백 장치(100)의 지지력을 증대시켜서 승객을 보호할 수 있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부(334)는 복수 개가 연속적으로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접철부(334) 중 어느 하나는 서로 인접한 다른 접철부(334)에 상호 포개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인접한 접철부(334)들이 서로 포개져서 접철된 상태로, 에어백 쿠션부(300)가 폴딩될 수 있다.
이후 에어백 쿠션부(300)가 팽창되어 운전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전개될 때, 접철부(334)들이 펼쳐지면서 확장부(333)가 차량의 전방으로 확장될 수 있다.
여기서 확장부(333)의 부피는 조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백 쿠션부(300)가 전개된 상태에서 확장부(333)의 크기는, 접철부(334)의 개수와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즉 접철부(334)는 패널본체부(331)의 일부를 접어서 형성할 수 있고, 접는 횟수와 접는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접철부(334)의 개수와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철부(334)의 개수와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팽창된 상태에서의 확장부(333)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테더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테더부(400)는 제1 패널부(310)와 제2 패널부(33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결합되고,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부(300)를 구속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테더부(400)는 제1 패널부(310)의 제2 패널부(330)를 향하는 면과, 제2 패널부(330)의 제1 패널부(310)를 향하는 면에 양 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테더부(400)는 에어백 쿠션부(300)가 팽창될 때 운전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부(300)를 구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더부(400)는 상부 테더부재(410)와 하부 테더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테더부재(410)의 일단부는 유입홀(337)을 기준으로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테더부재(420)의 일단부는 유입홀(337)을 기준으로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테더부(400)의 결합 위치와 구성은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에어백 쿠션부(300)를 적절히 구속할 수 있다면 다양하게 변형실시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는 에어백 쿠션부의 전개 시에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제2 패널부의 일부 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확장되게 구비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스티어링휠부에 대응할 수 있고, 에어백 쿠션부에 의한 보호 영역과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는 스티어링휠부의 림부가 원형 링이 아닌 경우에도, 추가적인 부품 없이 에어백 쿠션부의 지지력을 충분히 확보하여 승객의 상해를 개선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스티어링휠부 11: 허브부
12: 림부 13: 스포크
15: 하우징부 A1: 지지영역
A2: 비지지영역 100: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200: 인플레이터부 300: 에어백 쿠션부
310: 제1 패널부 311: 패널몸체부
330: 제2 패널부 331: 패널본체부
333: 확장부 334: 접철부
337: 유입홀 400: 테더부
410: 상부 테더부재 420: 하부 테더부재

Claims (6)

  1. 스티어링휠부에 구비된 하우징부에 장착되는 인플레이터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내장되고, 상기 인플레이터부에서 토출되는 가스에 의해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 쿠션부는
    전개된 상태에서 운전자를 향하는 방향에 배치되는 제1 패널부; 및
    상기 제1 패널부와 마주하게 구비되고 전개된 상태에서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에 배치되며, 전개 시에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일부 영역이 확장되는 제2 패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널부는
    패널본체부; 및
    상기 패널본체부의 일부 영역으로서 전개 시에 차량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확장되는 확장부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부가 상기 하우징부에 폴딩된 상태에서 다단으로 접혀서 포개진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전개 시에 펼쳐짐으로써 확장되는 접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휠부는 상기 하우징부가 구비되는 허브부와, 상기 허브부의 둘레의 일부 영역에 구비된 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부를 중심으로 한 원주방향의 영역 중 상기 림부가 구비된 영역을 지지영역이라 하고 상기 림부가 구비되지 않은 영역을 비지지영역이라 할 때, 상기 확장부는 전개 시에 상기 비지지영역에 대응한 위치에 위치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패널본체부 또는 인접한 다른 상기 접철부와 서로 포개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부가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확장부의 크기는, 상기 접철부의 개수와 크기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부와 상기 제2 패널부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결합되고, 전개되는 상기 에어백 쿠션부를 구속하게 구비되는 테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KR1020200059001A 2020-05-18 2020-05-18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KR2021014231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001A KR20210142318A (ko) 2020-05-18 2020-05-18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US17/320,043 US20210354648A1 (en) 2020-05-18 2021-05-13 Airbag device for drivers se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001A KR20210142318A (ko) 2020-05-18 2020-05-18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318A true KR20210142318A (ko) 2021-11-25

Family

ID=78512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001A KR20210142318A (ko) 2020-05-18 2020-05-18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10354648A1 (ko)
KR (1) KR202101423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8853A (ko) 2022-05-12 2023-11-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쿠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8853A (ko) 2022-05-12 2023-11-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쿠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54648A1 (en)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9337A (en) Air bag device
US5253892A (en) Air bag
US7631891B2 (en) Driver-side airbag device
JP3406277B2 (ja) エアバッグ装置
US6923483B2 (en) Bumper airbag and system
JP2003170796A (ja) エアバッグ
JP2018020737A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WO2012099636A1 (en) Seat bolster chamber
JP2007511419A (ja) エアバッグ
US6918868B2 (en) Inflatable restraint system for an air bag
EP2145803B1 (en) Low volume driver airbag
US20210354648A1 (en) Airbag device for drivers seat
JPH1071923A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US20090189371A1 (en) Airbag folding arrangement
US20060138761A1 (en) Airbag and airbag apparatus
KR100520755B1 (ko) 다중 챔버형 에어백
JP4092279B2 (ja) エアバッグ装置
US7416209B2 (en) Airbag apparatus
KR20150022257A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JPH07156733A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
US8833798B2 (en) Airbag device
JP4591190B2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2023067054A (ja) エアバッグ
JP2512969Y2 (ja) エアバッグ装置
GB2387148A (en) Low aggression slotted air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