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0154A -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0154A
KR20150130154A KR1020140057372A KR20140057372A KR20150130154A KR 20150130154 A KR20150130154 A KR 20150130154A KR 1020140057372 A KR1020140057372 A KR 1020140057372A KR 20140057372 A KR20140057372 A KR 20140057372A KR 20150130154 A KR20150130154 A KR 20150130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power
power generation
energy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길
최호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7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0154A/ko
Priority to EP15166166.7A priority patent/EP2945254B1/en
Priority to ES15166166T priority patent/ES2811902T3/es
Priority to US14/703,529 priority patent/US10186874B2/en
Priority to CN201510323216.6A priority patent/CN105098809B/zh
Priority to JP2015098268A priority patent/JP6193915B2/ja
Publication of KR20150130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1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4Generation forecast, e.g. methods or systems for forecasting future energy gene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10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6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via a high-tension dc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4/00Circuit arrangements for mains or distribution networks not specified as ac or d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2203/20Simulating, e g planning, reliability check, modelling or computer assisted design [C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8The renewable source being 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6Power conversion electric or electronic asp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60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or generators via a high voltage DC link [HVC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20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e.g. CAD, simulation, modelling, system secu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 Wind Motor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전 에너지 시스템에 연계된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정 시간 동안 풍력발전장치에서 발전되는 에너지를 인가 받고, 상기 인가 받은 에너지를 기초하여 풍력 발전량을 측정하는 풍력 발전량 예측부; 상기 예측된 풍력 발전량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 동안 상기 풍력발전장치에서 발전하는 에너지량 및 그에 대응되는 송전 용량을 결정하는 발전 가능량 예측부; 상기 발전 에너지량 및 송전 용량에 기초하여 에너지저장장치의 충방전량을 결정하는 충방전량 결정부; 및 상기 발전 가능량 예측부에서 예측되는 발전 에너지량 및 송전 용량에 기초하여 전력변환 장치에 에너지를 출력하고, 상기 전력변환 장치의 정상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of High voltage direct current system}
본 발명은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전 에너지 시스템에 연계된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풍력발전은 풍력 터빈을 이용하여 바람(풍력)을 전력으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풍력 발전은 풍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풍속 변화 등의 풍력 발전을 하기 위한 여러 가지 조건 등이 가변적이어서 그 풍력 발전으로 출력되는 발전량이 일정하지 않아 전력 이용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풍력 발전의 출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에너지 저장장치를 구성하고, 일정량의 출력으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방법들은 풍력 발전량의 변화, 전력수요의 변동, 수요 변동에 따른 전력요금 변동, 무효전력의 사용량 변화 등 계통의 상황은 고려되지 않은 방식이다. 따라서 계통의 안정성은 일부 유지될 수 있지만, 계통에서 요구하는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없고, 전력공급의 최적화도 제공할 수 없다.
본 발명은 풍력 발전 및 전력저장장치가 연계된 전력 시스템에서 그 전력 시스템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정 시간 동안 풍력발전장치에서 발전되는 에너지를 인가 받고, 상기 인가 받은 에너지를 기초하여 풍력 발전량을 측정하는 풍력 발전량 예측부; 상기 예측된 풍력 발전량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 동안 상기 풍력발전장치에서 발전하는 에너지량 및 그에 대응되는 송전 용량을 결정하는 발전 가능량 예측부; 상기 발전 에너지량 및 송전 용량에 기초하여 에너지저장장치의 충방전량을 결정하는 충방전량 결정부; 및 상기 발전 가능량 예측부에서 예측되는 발전 에너지량 및 송전 용량에 기초하여 전력변환 장치에 에너지를 출력하고, 상기 전력변환 장치의 정상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라 풍력 발전 및 전력저장장치가 연계된 전력 시스템에서 전력 시스템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전압 직류 송전(High voltage direct current transmission, HVDC transmission)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노폴라 방식의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이폴라 방식의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랜스포머 3상 밸브 브릿지의 결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의 제어 파트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의 제어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파트",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전압 직류 송전(high voltage direct current transmission, HVDC transmission)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VDC 시스템(100)은 발전 파트(101), 송전 측 교류 파트(110), 송전 측 변전 파트(103), 직류 송전 파트(140), 수요 측 변전 파트(105), 수요 측 교류 파트(170), 수요 파트(180), 및 제어 파트(190)를 포함한다. 송전 측 변전 파트(103)는 송전 측 트랜스포머 파트(120), 송전 측 교류-직류 컨버터 파트(130)를 포함한다. 수요 측 변전 파트(105)는 수요 측 직류-교류 컨버터 파트(150), 수요 측 트랜스포머 파트(160)를 포함한다.
발전 파트(101)는 3상의 교류 전력을 생성한다. 발전 파트(101)는 복수의 발전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전 파트(101)는 풍력발전일 수 있다.
송전 측 교류 파트(110)는 발전 파트(101)가 생성한 3상 교류 전력을 송전 측 트랜스포머 파트(120)와 송전 측 교류-직류 컨버터 파트(130)를 포함하는 DC 변전소에 전달한다.
송전 측 트랜스포머 파트(120)는 송전 측 교류 파트(110)를 송전 측 교류-직류 컨버터 파트(130) 및 직류 송전 파트(140)로부터 격리한다(isolate).
송전 측 교류-직류 컨버터 파트(130)는 송전 측 트랜스포머 파트(120)의 출력에 해당하는 3상 교류 전력를 직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직류 송전 파트(140)는 송전 측의 직류 전력을 수요 측으로 전달한다.
수요 측 직류-교류 컨버터 파트(150)는 직류 송전 파트(140)에 의해 전달된 직류 전력을 3상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수요 측 트랜스포머 파트(160)는 수요 측 교류 파트(170)를 수요 측 직류-교류 컨버터 파트(150)와 직류 송전 파트(140)로부터 격리한다.
수요 측 교류 파트(170)는 수요 측 트랜스포머 파트(160)의 출력에 해당하는 3상 교류 전력을 수요 파트(180)에 제공한다.
제어 파트(190)는 발전 파트(101), 송전 측 교류 파트(110), 송전 측 변전 파트(103), 직류 송전 파트(140), 수요 측 변전 파트(105), 수요 측 교류 파트(170), 수요 파트(180), 제어 파트(190), 송전 측 교류-직류 컨버터 파트(130), 수요 측 직류-교류 컨버터 파트(15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특히, 제어 파트(190)는 송전 측 교류-직류 컨버터 파트(130)와 수요 측 직류-교류 컨버터 파트(150) 내의 복수의 밸브의 턴온 및 턴오프의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밸브는 싸이리스터 또는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파트(190)는 풍력 발전의 발전량을 예상하고, 상기 발전량에 기초한 발전 가능량에 대한 예측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의 충방전량에 대한 예측 및 그에 따른 발전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노폴라 방식의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을 보여준다.
특히, 도 2는 단일의 극의 직류 전력을 송전하는 시스템을 보여준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일의 극은 양극(positive pole)임을 가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송전 측 교류 파트(110)는 교류 송전 라인(111)과 교류 필터(113)를 포함한다.
교류 송전 라인(111)은 발전 파트(101)가 생성한 3상의 교류 전력을 송전 측 변전 파트(103)로 전달한다.
교류 필터(113)는 변전 파트(103)이 이용하는 주파수 성분 이외의 나머지 주파수 성분을 전달된 3상 교류 전력에서 제거한다.
송전 측 트랜스포머 파트(120)는 양극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트랜스포머(121)를 포함한다. 양극을 위하여 송전 측 교류-직류 컨버터 파트(130)는 양극 직류 전력을 생성하는 교류-양극 직류 컨버터(131)를 포함하고, 이 교류-양극 직류 컨버터(131)는 하나 이상의 트랜스포머(121)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3상 밸브 브릿지(131a)를 포함한다.
하나의 3상 밸브 브릿지(131a)가 이용되는 경우, 교류-양극 직류 컨버터(131)는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6개의 펄스를 가지는 양극 직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그 하나의 트랜스포머(121)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Y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고, Y-델타(Δ)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다.
2개의 3상 밸브 브릿지(131a)가 이용되는 경우, 교류-양극 직류 컨버터(131)는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12개의 펄스를 가지는 양극 직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2개 중 하나의 트랜스포머(121)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Y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고, 나머지 하나의 트랜스포머(121)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Δ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다.
3개의 3상 밸브 브릿지(131a)가 이용되는 경우, 교류-양극 직류 컨버터(131)는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18개의 펄스를 가지는 양극 직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양극 직류 전력의 펄스의 수가 많을수록, 필터의 가격이 낮아질 수 있다.
직류 송전 파트(140)는 송전 측 양극 직류 필터(141), 양극 직류 송전 라인(143), 수요 측 양극 직류 필터(145)를 포함한다.
송전 측 양극 직류 필터(141)는 인덕터(L1)와 커패시터(C1)를 포함하며, 교류-양극 직류 컨버터(131)가 출력하는 양극 직류 전력을 직류 필터링한다.
양극 직류 송전 라인(143)는 양극 직류 전력의 전송을 위한 하나의 DC 라인을 가지고, 전류의 귀환 통로로는 대지가 이용할 수 있다. 이 DC 라인 상에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가 배치될 수 있다.
수요 측 양극 직류 필터(145)는 인덕터(L2)와 커패시터(C2)를 포함하며, 양극 직류 송전 라인(143)을 통해 전달된 양극 직류 전력을 직류 필터링한다.
수요 측 직류-교류 컨버터 파트(150)는 양극 직류-교류 컨버터(151)를 포함하고, 양극 직류-교류 컨버터(151)는 하나 이상의 3상 밸브 브릿지(151a)를 포함한다.
수요 측 트랜스포머 파트(160)는 양극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3상 밸브 브릿지(151a)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트랜스포머(161)를 포함한다.
하나의 3상 밸브 브릿지(151a)가 이용되는 경우, 양극 직류-교류 컨버터(151)는 양극 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6개의 펄스를 가지는 교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그 하나의 트랜스포머(161)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Y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고, Y-델타(Δ)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다.
2개의 3상 밸브 브릿지(151a)가 이용되는 경우, 양극 직류-교류 컨버터(151)는 양극 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12개의 펄스를 가지는 교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2개 중 하나의 트랜스포머(161)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Y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고, 나머지 하나의 트랜스포머(161)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Δ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다.
3개의 3상 밸브 브릿지(151a)가 이용되는 경우, 양극 직류-교류 컨버터(151)는 양극 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18개의 펄스를 가지는 교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교류 전력의 펄스의 수가 많을수록, 필터의 가격이 낮아질 수 있다.
수요 측 교류 파트(170)는 교류 필터(171)와 교류 송전 라인(173)을 포함한다.
교류 필터(171)는 수요 파트(180)가 이용하는 주파수 성분(예컨데, 60Hz) 이외의 나머지 주파수 성분을, 수요 측 변전 파트(105)가 생성하는 교류 전력에서 제거한다.
교류 송전 라인(173)은 필터링된 교류 전력을 수요 파트(180)에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폴라 방식의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을 보여준다.
특히, 도 3은 2개의 극의 직류 전력을 송전하는 시스템을 보여준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2개의 극은 양극(positive pole)과 음극(negative pole)임을 가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송전 측 교류 파트(110)는 교류 송전 라인(111)과 교류 필터(113)를 포함한다.
교류 송전 라인(111)은 발전 파트(101)가 생성한 3상의 교류 전력을 송전 측 변전 파트(103)로 전달한다.
교류 필터(113)는 변전 파트(103)이 이용하는 주파수 성분 이외의 나머지 주파수 성분을 전달된 3상 교류 전력에서 제거한다.
송전 측 트랜스포머 파트(120)는 양극을 위한 하나 이상의 트랜스포머(121)를 포함하고, 음극을 위한 하나 이상의 트랜스포머(122)를 포함한다. 송전 측 교류-직류 컨버터 파트(130)는 양극 직류 전력을 생성하는 교류-양극 직류 컨버터(131)와 음극 직류 전력을 생성하는 교류-음극 직류 컨버터(132)를 포함하고, 교류-양극 직류 컨버터(131)는 양극을 위한 하나 이상의 트랜스포머(121)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3상 밸브 브릿지(131a)를 포함하고, 교류-음극 직류 컨버터(132)는 음극을 위한 하나 이상의 트랜스포머(122)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3상 밸브 브릿지(132a)를 포함한다.
양극을 위하여 하나의 3상 밸브 브릿지(131a)가 이용되는 경우, 교류-양극 직류 컨버터(131)는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6개의 펄스를 가지는 양극 직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그 하나의 트랜스포머(121)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Y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고, Y-델타(Δ)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다.
양극을 위하여 2개의 3상 밸브 브릿지(131a)가 이용되는 경우, 교류-양극 직류 컨버터(131)는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12개의 펄스를 가지는 양극 직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2개 중 하나의 트랜스포머(121)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Y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고, 나머지 하나의 트랜스포머(121)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Δ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다.
양극을 위하여 3개의 3상 밸브 브릿지(131a)가 이용되는 경우, 교류-양극 직류 컨버터(131)는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18개의 펄스를 가지는 양극 직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양극 직류 전력의 펄스의 수가 많을수록, 필터의 가격이 낮아질 수 있다.
음극을 위하여 하나의 3상 밸브 브릿지(132a)가 이용되는 경우, 교류-음극 직류 컨버터(132)는 6개의 펄스를 가지는 음극 직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그 하나의 트랜스포머(122)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Y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고, Y-델타(Δ)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다.
음극을 위하여 2개의 3상 밸브 브릿지(132a)가 이용되는 경우, 교류-음극 직류 컨버터(132)는 12개의 펄스를 가지는 음극 직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2개 중 하나의 트랜스포머(122)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Y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고, 나머지 하나의 트랜스포머(122)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Δ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다.
음극을 위하여 3개의 3상 밸브 브릿지(132a)가 이용되는 경우, 교류-음극 직류 컨버터(132)는 18개의 펄스를 가지는 음극 직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음극 직류 전력의 펄스의 수가 많을수록, 필터의 가격이 낮아질 수 있다.
직류 송전 파트(140)는 송전 측 양극 직류 필터(141), 송전 측 음극 직류 필터(142), 양극 직류 송전 라인(143), 음극 직류 송전 라인(144), 수요 측 양극 직류 필터(145), 수요 측 음극 직류 필터(146)를 포함한다.
송전 측 양극 직류 필터(141)는 인덕터(L1)와 커패시터(C1)를 포함하며, 교류-양극 직류 컨버터(131)가 출력하는 양극 직류 전력을 직류 필터링한다.
송전 측 음극 직류 필터(142)는 인덕터(L3)와 커패시터(C3)를 포함하며, 교류-음극 직류 컨버터(132)가 출력하는 음극 직류 전력을 직류 필터링한다.
양극 직류 송전 라인(143)는 양극 직류 전력의 전송을 위한 하나의 DC 라인을 가지고, 전류의 귀환 통로로는 대지가 이용할 수 있다. 이 DC 라인 상에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가 배치될 수 있다.
음극 직류 송전 라인(144)는 음극 직류 전력의 전송을 위한 하나의 DC 라인을 가지고, 전류의 귀환 통로로는 대지가 이용할 수 있다. 이 DC 라인 상에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가 배치될 수 있다.
수요 측 양극 직류 필터(145)는 인덕터(L2)와 커패시터(C2)를 포함하며, 양극 직류 송전 라인(143)을 통해 전달된 양극 직류 전력을 직류 필터링한다.
수요 측 음극 직류 필터(146)는 인덕터(L4)와 커패시터(C4)를 포함하며, 음극 직류 송전 라인(144)을 통해 전달된 음극 직류 전력을 직류 필터링한다.
수요 측 직류-교류 컨버터 파트(150)는 양극 직류-교류 컨버터(151)와 음극 직류-교류 컨버터(152)를 포함하고, 양극 직류-교류 컨버터(151)는 하나 이상의 3상 밸브 브릿지(151a)를 포함하고, 음극 직류-교류 컨버터(152)는 하나 이상의 3상 밸브 브릿지(152a)를 포함한다.
수요 측 트랜스포머 파트(160)는 양극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3상 밸브 브릿지(151a)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트랜스포머(161)를 포함하고, 음극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3상 밸브 브릿지(152a)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트랜스포머(162)를 포함한다.
양극을 위하여 하나의 3상 밸브 브릿지(151a)가 이용되는 경우, 양극 직류-교류 컨버터(151)는 양극 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6개의 펄스를 가지는 교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그 하나의 트랜스포머(161)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Y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고, Y-델타(Δ)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다.
양극을 위하여 2개의 3상 밸브 브릿지(151a)가 이용되는 경우, 양극 직류-교류 컨버터(151)는 양극 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12개의 펄스를 가지는 교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2개 중 하나의 트랜스포머(161)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Y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고, 나머지 하나의 트랜스포머(161)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Δ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다.
양극을 위하여 3개의 3상 밸브 브릿지(151a)가 이용되는 경우, 양극 직류-교류 컨버터(151)는 양극 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18개의 펄스를 가지는 교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교류 전력의 펄스의 수가 많을수록, 필터의 가격이 낮아질 수 있다.
음극을 위하여 하나의 3상 밸브 브릿지(152a)가 이용되는 경우, 음극 직류-교류 컨버터(152)는 음극 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6개의 펄스를 가지는 교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그 하나의 트랜스포머(162)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Y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고, Y-델타(Δ)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다.
음극을 위하여 2개의 3상 밸브 브릿지(152a)가 이용되는 경우, 음극 직류-교류 컨버터(152)는 음극 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12개의 펄스를 가지는 교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2개 중 하나의 트랜스포머(162)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Y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고, 나머지 하나의 트랜스포머(162)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Δ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다.
음극을 위하여 3개의 3상 밸브 브릿지(152a)가 이용되는 경우, 음극 직류-교류 컨버터(152)는 음극 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18개의 펄스를 가지는 교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교류 전력의 펄스의 수가 많을수록, 필터의 가격이 낮아질 수 있다.
수요 측 교류 파트(170)는 교류 필터(171)와 교류 송전 라인(173)을 포함한다.
교류 필터(171)는 수요 파트(180)가 이용하는 주파수 성분(예컨데, 60Hz) 이외의 나머지 주파수 성분을, 수요 측 변전 파트(105)가 생성하는 교류 전력에서 제거한다.
교류 송전 라인(173)은 필터링된 교류 전력을 수요 파트(180)에 전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와 3상 밸브 브릿지의 결선을 보여준다.
특히, 도 4는 양극을 위한 2개의 트랜스포머(121)와 양극을 위한 2개의 3상 밸브 브릿지(131a)의 결선을 보여준다. 음극을 위한 2개의 트랜스포머(122)와 음극을 위한 2개의 3상 밸브 브릿지(132a)의 결선, 양극을 위한 2개의 트랜스포머(161)와 양극을 위한 2개의 3상 밸브 브릿지(151a)의 결선, 음극을 위한 2개의 트랜스포머(162)와 음극을 위한 2개의 3상 밸브 브릿지(152a)의 결선, 양극을 위한 1개의 트랜스포머(121)와 양극을 위한 1개의 3상 밸브 브릿지(131a), 양극을 위한 1개의 트랜스포머(161)와 양극을 위한 1개의 3상 밸브 브릿지(151a)의 결선 등은 도 4의 실시예로부터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으므로, 그 도면과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서, Y-Y 형상의 결선을 가지는 트랜스포머(121)를 상측 트랜스포머, Y-Δ 형상의 결선을 가지는 트랜스포머(121)를 하측 트랜스포머, 상측 트랜스포머에 연결되는 3상 밸브 브릿지(131a)를 상측 3상 밸브 브릿지, 하측 트랜스포머에 연결되는 3상 밸브 브릿지(131a)를 하측 3상 밸브 브릿지라고 부르도록 한다.
상측 3상 밸브 브릿지와 하측 3상 밸브 브릿지는 직류 전력을 출력하는 2개의 출력단인 제1 출력단(OUT1)과 제2 출력단(OUT2)을 가진다.
상측 3상 밸브 브릿지는 6개의 밸브(D1-D6)를 포함하고, 하측 3상 밸브 브릿지는 6개의 밸브(D7-D12)를 포함한다.
밸브(D1)는 제1 출력단(OUT1)에 연결되는 캐소드와 상측 트랜스포머의 2차측 코일의 제1 단자에 연결되는 애노드를 가진다.
밸브(D2)는 밸브(D5)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와 밸브(D6)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애노드를 가진다.
밸브(D3)는 제1 출력단(OUT1)에 연결되는 캐소드와 상측 트랜스포머의 2차측 코일의 제2 단자에 연결되는 애노드를 가진다.
밸브(D4)는 밸브(D1)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와 밸브(D6)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애노드를 가진다.
밸브(D5)는 제1 출력단(OUT1)에 연결되는 캐소드와 상측 트랜스포머의 2차측 코일의 제3 단자에 연결되는 애노드를 가진다.
밸브(D6)는 밸브(D3)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를 가진다.
밸브(D7)는 밸브(D6)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와 하측 트랜스포머의 2차측 코일의 제1 단자에 연결되는 애노드를 가진다.
밸브(D8)는 밸브(D11)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와 제2 출력단(OUT2)에 연결되는 애노드를 가진다.
밸브(D9)는 밸브(D6)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와 하측 트랜스포머의 2차측 코일의 제2 단자에 연결되는 애노드를 가진다.
밸브(D10)는 밸브(D7)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와 제2 출력단(OUT2)에 연결되는 애노드를 가진다.
밸브(D11)는 밸브(D6)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와 하측 트랜스포머의 2차측 코일의 제3 단자에 연결되는 애노드를 가진다.
밸브(D12)는 밸브(D9)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와 제2 출력단(OUT2)에 연결되는 애노드를 가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의 제어 파트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파트(190)는 풍력 발전량 예측부(192), 발전 가능량 예측부(194), 충방전량 결정부(196) 및 제어부(19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풍력 발전량 예측부(192)는 소정 시간 동안 풍력 발전량을 예측할 수 있다. 풍력 발전량 예측부(192)는 풍력 발정장치에서 풍향 및 풍속에 영향에 의하여 생성하는 전기에너지를 취득하고, 풍력 발전량을 예측할 수 있다.
발전 가능량 예측부(194)는 상기 풍력 발전량 예측부(192)에서 예측하는 풍력 발전량으로부터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를 기초하여 소정 시간(기간)동안의 생성될 수 있는 전기 에너지의 양을 예측할 수 있다. 발전 가능량 예측부(194)는 예측되는 전기 에너지양에 따라 송전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충방전량 결정부(196)은 발전 가능량 예측부(194)에서 예측되는 에너지 발전 가능량 및 송전 용량에 기초하여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량 및 방전량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98)는 송전 측 교류 파트(110)로부터 인가되는 AC전압 및 전류를 감지하고, 풍력 발전량 예측부(192)를 제어하여 풍력 발전량을 예측(산출)할 수 있다. 상기 풍력 발전량 예측에 기초가 되는 AC전압 및 전류는 풍력발전장치가 작동하여 풍력에너지가 블레이드를 회전시켜 회전축에 연결된 발전기를 회전시켜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에 대한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198)와 별도로 풍력 발전량 예측부(192), 발전 가능량 예측부(194) 및 충방전량 결정부(196)를 별도의 장치로 구분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상기의 구성부는 제어부(198)에 포함되는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장치의 구성은 한정되지 않지 않으며 구성 방법에 따라 유동적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의 제어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98)는 송전 측 교류 파트(110)로부터 인가되는 AC전압 및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S610)
제어부(198)는 상기 측정되는 AC전압 및 전류를 기초하여 풍력 발전량 예측부(192)에서 풍력 발전량을 예측할 수 있다. 즉, 상기 풍력 발전량 예측은 풍력 발전 장치로부터 인가되는 풍력 발전량을 측정하고(S620) 상기 측정된 풍력 발전량을 수집된 시간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98)는 발전 가능량 예측부(194)를 제어하여, 소정 수집 시간 동안 수집되는 풍력 발전량에 따라 발전 가능량을 추출할 수 있다.(S630)
제어부(198)는 상기 발전 가능량을 기초하여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량을 결정할 수 있다.(S640) 상세하게, 제어부(198)는 충방전량 결정부(196)를 기초하여 소정 시간(기간) 동안 송전 용량을 고려한 에너지저장장치의 충전 및 방전량을 결정할 수 있다.(S640)
제어부(198)는 충방전 제어값이 결정되면, 에너지 저장 장치에 저장되는 에너지를 송전하는 송전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S650) 즉, 제어부(198)는 소정 시간 동안 동일하게 또는 시점 마다 상이한 송전 용량을 가지도록 에너지저장장치의 충방전량을 발전 가능량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충방전량에 따라 소정 시간(기간) 동안 송전하기 위한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98)는 상기 결정된 송전 용량에 대응되게 에너지저장장치에 저장된 에너지를 출력하여 전력변환 장치의 가동을 확인할 수 있다.(S660)
제어부(198)는 전력변환장치의 가동에 따라 출력되는 DC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고, (S670) 상기 측정된 전압 및 전류값이 기준 전압 및 전류값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전력변환장치의 정상 가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98)는 전력변환 장치의 구동에 따라 출력되는 DC전압 및 전류값에 따라 송전 전력 지령치(가동 전력량)를 확인할 수 있다.(S680) 상세하게, 제어부(198)는 상기 측정된 DC전압 및 전류값에 따른 전력량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전력변환 장치의 정상 가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98)는 확인된 송전 전력량을 기초하여 정상적인 전력 변환 장치의 가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69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소정 시간 동안 풍력발전장치에서 발전되는 에너지를 인가 받고, 상기 인가 받은 에너지를 기초하여 풍력 발전량을 측정하는 풍력 발전량 예측부;
    상기 예측된 풍력 발전량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 동안 상기 풍력발전장치에서 발전하는 에너지량 및 그에 대응되는 송전 용량을 결정하는 발전 가능량 예측부;
    상기 발전 에너지량 및 송전 용량에 기초하여 에너지저장장치의 충방전량을 결정하는 충방전량 결정부; 및
    상기 발전 가능량 예측부에서 예측되는 발전 에너지량 및 송전 용량에 기초하여 전력변환 장치에 에너지를 출력하고, 상기 전력변환 장치의 정상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 발전량 예측부는
    송전측 교류파트로부터 AC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전압 및 전류량에 기초하여 풍력발전장치의 풍력 발전량을 예측하는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충방전량 결정부에서 소정 시간 동안 동일하게 또는 상이한 송전 용량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송전용량에 기초하여 전력 변환 장치의 가동을 확인하고, 상기 전력변환 장치의 가동에 따른 전력량을 기초하여 상기 전력 변환 장치의 정상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변환 장치 가동에 따라 출력되는 직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직류 전압 및 전류값에 기초하여 가동 전력량을 확인하는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 제어 장치.
KR1020140057372A 2014-05-13 2014-05-13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 제어 장치 KR20150130154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372A KR20150130154A (ko) 2014-05-13 2014-05-13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 제어 장치
EP15166166.7A EP2945254B1 (en) 2014-05-13 2015-05-04 High-voltage direct current transmission system control device
ES15166166T ES2811902T3 (es) 2014-05-13 2015-05-04 Dispositivo de control de sistema de transmisión de corriente continua de alto voltaje
US14/703,529 US10186874B2 (en) 2014-05-13 2015-05-04 Predicting high-voltage direct current transmission in a wind turbine system
CN201510323216.6A CN105098809B (zh) 2014-05-13 2015-05-12 高压直流输电系统控制装置
JP2015098268A JP6193915B2 (ja) 2014-05-13 2015-05-13 高電圧直流送電システムの制御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372A KR20150130154A (ko) 2014-05-13 2014-05-13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154A true KR20150130154A (ko) 2015-11-23

Family

ID=53174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372A KR20150130154A (ko) 2014-05-13 2014-05-13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86874B2 (ko)
EP (1) EP2945254B1 (ko)
JP (1) JP6193915B2 (ko)
KR (1) KR20150130154A (ko)
CN (1) CN105098809B (ko)
ES (1) ES281190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79443B2 (en) 2014-05-16 2016-10-25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information to services in a network environment
US9379931B2 (en) 2014-05-16 2016-06-28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information to services in a network environment
US10417025B2 (en) 2014-11-18 2019-09-17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to chain distributed applications in a network environment
US9762402B2 (en) 2015-05-20 2017-09-12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the assignment of service functions for service chains in a network environment
DE102015212562A1 (de) * 2015-07-06 2017-01-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Energieerzeugungsanlage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KR101768087B1 (ko) * 2015-11-27 2017-08-16 한국전력공사 Hvdc 전력 상승 제어기 및 이를 포함하는 hvdc 시스템
CN105515010B (zh) * 2015-12-30 2018-11-02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合作对策的二级电压协调控制方法及系统
US10720771B2 (en) 2016-05-18 2020-07-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urrent/voltage control apparatus
CN106356883B (zh) * 2016-10-24 2018-11-27 南方电网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多端柔性直流输电控制方法
RU180946U1 (ru) * 2017-08-02 2018-07-02 Андрей Николаевич Красненко Подстанция двухтрансформаторная комплектная
CN108767895B (zh) * 2018-05-25 2021-05-18 国网四川省电力公司经济技术研究院 考虑资源约束的送端系统水风光配套电源容量优化方法
CN110323738B (zh) * 2019-06-20 2023-03-28 国网新疆电力有限公司经济技术研究院 一种用于确定直流输电系统承载新能源能力的方法及系统
CN110829479A (zh) * 2019-10-30 2020-02-21 浙江大学 一种海上风电场高频不控整流直流输电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35253B2 (en) * 2000-12-29 2018-11-20 Abb Schweiz A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nhancing commercial value of electrical power produced from a renewable energy power production facility
EP1400000B1 (en) 2001-06-22 2007-08-08 Psymetrix Limited Method of monitoring a high voltage grid power system
JP4102278B2 (ja) * 2003-03-19 2008-06-18 三菱電機株式会社 風力発電システム
WO2005108784A1 (ja) * 2004-05-07 2005-11-1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風力発電評価システム、風力発電機のための予測制御サービスシステム
CN101278453B (zh) * 2005-08-30 2012-09-05 Abb研究有限公司 具有甩负荷和功率变换器的风车功率流控制设备和方法
US9702923B2 (en) * 2007-09-17 2017-07-11 Pål Even Gaarder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electric power transmission, disturbances and forecasts
JP4551921B2 (ja) * 2007-09-27 2010-09-29 株式会社日立エンジニアリング・アンド・サービス 蓄電システム併設型風力発電システム
DE102009048509A1 (de) * 2009-10-09 2011-04-14 Abb Technology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mittlung einer Eingangsspannung an einer Ortsnetzstation eines Stromnetzes
CN102687033B (zh) * 2009-10-30 2014-11-12 日本碍子株式会社 二次电池的控制方法和电力储藏装置
JP2011229205A (ja) 2010-04-15 2011-11-10 Japan Wind Development Co Ltd 蓄電池併設型自然エネルギー発電システムに用いる電力管理制御システム
JP2012039821A (ja) * 2010-08-10 2012-02-23 Toshiba Corp 発電システムの電力変動緩和装置および電力変動緩和方法
JP2012075224A (ja) 2010-09-28 2012-04-12 Shikoku Res Inst Inc 再生可能エネルギーの蓄電システム
US9118215B2 (en) * 2010-10-05 2015-08-25 Alencon Acquistion Co., Llc High voltage energy harvesting and conversion renewable energy utility size electric power systems and visual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s for said systems
US9350166B2 (en) * 2010-10-05 2016-05-24 Alencon Acquisition Co., Llc High voltage energy harvesting and conversion renewable energy utility size electric power systems and visual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s for said systems
US9627889B2 (en) * 2011-05-12 2017-04-18 Alencon Acquisition Co., Llc. High voltage energy harvesting and conversion renewable energy utility size electric power systems and visual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s
EP2528184B1 (en) 2011-05-25 2014-09-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C-transmission link
CA2844443C (en) * 2011-07-20 2021-01-26 Inventus Holdings, Llc Dispatchable renewable energy generation, control and storage facility
US8918225B2 (en) * 2012-02-16 2014-12-23 Spyros J. Lazaris Renewable energy-based electricity grid infrastructure and method of grid infrastructure automation and operation
US20120150679A1 (en) * 2012-02-16 2012-06-14 Lazaris Spyros J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power transmission to an intelligent electricity grid from a multi-resource renewable energy installation
US20120144828A1 (en) * 2012-02-16 2012-06-14 Lazaris Spyros J Multi-resource renewable energy installation and method of maximizing operational capacity of same
US9200621B2 (en) * 2012-02-16 2015-12-01 Spyros James Lazaris Transmission system for delivery of dynamic demand response in a renewable energy-based electricity grid infrastructure
EP2688191A1 (en) * 2012-07-17 2014-01-22 ABB Research Ltd. Multi terminal HVDC control
JP5882156B2 (ja) 2012-07-23 2016-03-09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力制御装置
JP5800771B2 (ja) * 2012-08-10 2015-10-28 株式会社日立パワーソリューションズ 風力発電システム、風力発電制御装置および風力発電制御方法
US9450415B2 (en) * 2012-08-31 2016-09-20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ual-fed induction generator in response to high-voltage grid events
US8933571B2 (en) * 2012-10-17 2015-01-13 Zinovy D Grinblat Method and system for fully utilizing wind energy in a wind energy generating system
US9490724B2 (en) * 2013-01-07 2016-11-08 Aeg Power Solutions Bv Methods for controlling electrical inverters and electrical inverters and systems using the same
US9299107B2 (en) * 2013-03-13 2016-03-29 Convergent Energy + Power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f an energy storage device
US9746861B2 (en) * 2014-05-12 2017-08-29 Stmicroelectronics International N.V. Stand-alone DC power system for networks not connected to the gr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93915B2 (ja) 2017-09-06
CN105098809A (zh) 2015-11-25
CN105098809B (zh) 2019-07-23
EP2945254A1 (en) 2015-11-18
US20150333525A1 (en) 2015-11-19
ES2811902T3 (es) 2021-03-15
US10186874B2 (en) 2019-01-22
JP2015218730A (ja) 2015-12-07
EP2945254B1 (en)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30154A (ko)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 제어 장치
KR101666712B1 (ko)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CN106068608B (zh) 混合高压直流转换器系统
KR101604906B1 (ko)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
KR101630510B1 (ko)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KR20150130148A (ko) 계기용 변압기의 편차 보상 방법
US10270250B2 (en) Insulation design apparatus of high voltage direct current transmission system
KR101578292B1 (ko) 계기용 변압기의 편차 보상 방법
KR101578291B1 (ko) Hvdc 시스템
JP2010110056A (ja) 配電システム
KR101659252B1 (ko)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50130863A (ko)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60053873A (ko)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50130864A (ko)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60039332A (ko)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
JP2006280137A (ja) 周波数変換システム
KR101622458B1 (ko) Hvdc 시스템의 컨버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356661B1 (ko) 송전 시스템
KR101717349B1 (ko)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의 상정고장 해석장치 및 방법
KR101707735B1 (ko) Hvdc 시스템의 컨버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9102547A1 (ja) 電力変換システム
KR101677801B1 (ko) Hvdc 시스템의 컨버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50130161A (ko)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14027744A (ja) マイクロ水車用発電機主回路およびマイクロ水車発電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441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727

Effective date: 2018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