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9212A - Intermodal system including moving section - Google Patents

Intermodal system including moving s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9212A
KR20150129212A KR1020140055413A KR20140055413A KR20150129212A KR 20150129212 A KR20150129212 A KR 20150129212A KR 1020140055413 A KR1020140055413 A KR 1020140055413A KR 20140055413 A KR20140055413 A KR 20140055413A KR 20150129212 A KR20150129212 A KR 20150129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rain
loading space
moving
mov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4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87851B1 (en
Inventor
박정수
양동완
김도학
이진용
한정석
Original Assignee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5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851B1/en
Publication of KR20150129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2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8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16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 B61D3/18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8Loading land vehicles using endless conveyors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train for loading a vehicle, which has a loading space (2) wherein a vehicle (1) is loaded, comprises: an entrance (100) for the vehicle (1) to enter the loading space (2); and a moving unit (200) reciprocally moving between the loading space (2) and a platform (3) wherein a train is stopped in a state that the vehicle (1) is parked in an upper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can be parked in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having a moving unit even if a train does not arrive, thereby minimizing time required for loading a vehicle by enabling preparation to load a vehicle.

Description

이동부를 포함하는 차량 적재용 열차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이동방법{INTERMODAL SYSTEM INCLUDING MOVING SECTIO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본 발명은 건설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을 적재하는 열차에 효율적으로 차량을 적재하기 위해 플랫폼과 열차 내부의 적재공간을 왕복하는 판 형상의 이동부를 포함하는 차량 적재용 열차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적재 및 이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field,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loading train including a platform and a moving part that reciprocates between a platform and a loading space inside a train for efficiently loading a vehicle on a train To a method of loading and moving a vehicle.

개인 차량의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차량의 광역 이동시 고속도로의 정체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As the spread of private vehicles becomes more common, there is a problem of stagnation of expressways in the wide-area movement of vehicles.

이러한 고속도로의 정체 문제의 해결을 위해 버스 전용 차로의 도입, 고속도로의 확충 및 고속열차의 도입 등의 방안이 수행되어 왔지만, 차량수가 급진적으로 증가되고 있고 환승 또는 렌탈의 불편함으로 인해 개인 소유 차량을 이용한 이동이 여전히 선호되는 추세이므로 고속도로의 정체 문제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congestion on the highway, the introduction of a bus lane, the expansion of a highway and the introduction of a high-speed train have been carried out. However, since the number of vehicles is increasing rapidly and the inconvenience of transfer or rental, As the movement is still favored, the congestion problem of highways is expected to continue.

또한, 고속도로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없는 섬 지역 등으로의 이동을 위해 선박에 의한 차량의 수송 또는 교량의 건설 등이 추진되고 있지만, 선박의 경우 이동시간이 길고 수용할 수 있는 차량의 수가 한정적인 문제점이 있고, 교량의 경우 제주도와 같이 육지에서의 이격 거리가 먼 섬의 경우에는 교량 건설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In addition, although transportation of a vehicle by a ship or construction of a bridge is being promoted in order to move to an island area that can not be moved by using a highway, the number of vehicles that can be accommodated is limit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construct bridges in the case of islands that are far from the land as in Jeju Island.

상술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정체 현상이 없고 접근성이 용이한 열차와 같은 이종의 교통수단에 차량을 적재하여 이동시키는 인터모달 방식의 차량 이동 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다. In order to effectively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re has been proposed an intermodal vehicle moving system in which a vehicle is loaded and moved to a different type of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 train free from stagnation and easy accessibility.

다만, 인터모달 방식의 차량 이동 시스템은 이종의 교통 수단을 융합하여 시스템이 구현되므로 차량의 적재하는 과정의 불편함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However, the intermodal vehicle moving system has a disadvantage of inconveniencing the loading process because the system is implemented by fusing different types of transportation means.

특히 차량을 열차 내부로 적재함에 있어, 제한된 출구를 통해 적재가 이루어지므로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정 위치에의 차량 적재가 수행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Particularly, when the vehicle is loaded into a train, it takes a long time to load the vehicle through a limited exit, and it is difficult to load the vehicle in a predetermined position.

또한, 차량의 적재를 위해서는 열차가 플랫폼에 정차되는 것이 전제되므로, 열차 도착 전에는 차량의 적재를 위한 사전 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어, 차량 적재에 소요되는 시간이 장시간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it is premised that the train is stopped on the platform for the loading of the vehicl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perform a preliminary work for loading the vehicle before arrival of the train, which requires a long time to load the vehicle.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의 차량 이동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출발지의 열차역에서 열차에 차량을 적재하고 열차를 이용하여 목적지까지 이동한 후 차량을 목적지에 하차시키는 인터모달 방식의 차량 이동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차량 적재용 열차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vehicle movemen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rmodal vehicle in which a vehicle is loaded on a train at a starting train st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loading train for effectively implementing a vehicle moving system of the above-described typ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재하고자 하는 차량을 열차의 적재공간의 정위치에 효과적으로 적재가 가능하도록 이동부에 의해 차량 적재가 수행되는, 차량 적재용 열차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이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loading train and a method of moving a vehicle using the same, in which vehicle loading is performed by a moving unit so that a vehicle to be loaded can be effectively loa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 loading space of a train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차의 도착 전이라도 이동부가 구비된 일정한 주차구역에 차량을 주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적재 준비를 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적재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차량 적재용 열차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이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parking space in which a vehicle can be parked in a constant parking area equipped with a moving part even before arrival of a train so that preparation for loading of the vehicle can be started, And a method of moving a vehic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1)이 적재되는 적재공간(2)이 구비된 열차에 있어서, 상기 차량(1)이 상기 적재공간(2)으로 출입되기 위한 출입구(100); 및 상기 차량(1)이 상부에 주차된 상태에서 상기 적재공간(2)과 열차가 정차된 플랫폼(3) 사이를 왕복하는 이동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용 열차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ain provided with a loading space (2) in which a vehicle (1) is loaded, comprising: an entrance (100) for allowing the vehicle (1) to enter and exit the loading space (2); And a moving part (200) that reciprocates between the loading space (2) and the platform (3) where the train is stopped in a state where the vehicle (1) is parked at the top. / RTI >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1)이 적재되는 적재공간(2)이 구비된 열차에 있어서, 상기 차량(1)이 상기 적재공간(2)으로 출입되기 위한 출입구(100); 및 상기 차량(1)이 상부에 주차된 상태에서 열차가 정차된 플랫폼(3)에서 상기 적재공간(2)으로 이동되며, 상기 차량(1)을 상기 적재공간(2)에 하차시킨 후 상기 적재공간(2) 외부로 배출되는 이동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용 열차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ain provided with a loading space (2) in which a vehicle (1) is loaded, comprising: an entrance (100) for allowing the vehicle (1) to enter and exit the loading space (2); (1) is moved from the platform (3) where the train is stopped to the loading space (2) while the vehicle (1) is parked at the top, And a moving part (200) which is discharged out of the space (2).

여기서, 상기 출입구(100)에 대응되는 상기 플랫폼(3)의 위치에 상기 이동부(2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용 열차일 수 있다.
Here, the moving part 20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of the platform 3 corresponding to the entrance 100.

또한, 상기 적재공간(2)의 하부에는 상기 이동부(200)가 인입되는 인입공간(3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용 열차일 수 있다.
A loading space 300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space 2 to receive the moving unit 200.

또한, 상기 이동부(200)를 이동시키는 구동모터(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용 열차일 수 있다.
The driving motor 400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motor 400 for moving the moving part 200. [

또한, 상기 인입공간(300)으로 인입된 상기 이동부(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동부 고정부재(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용 열차일 수 있다.
And a moving part fixing member (500) for preventing the moving part (200) drawn into the receiving space (300) from coming off.

또한, 상기 이동부(200)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차량(1)이 이동부(2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 고정부재(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용 열차일 수 있다.
And a vehicle fixing member (600)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oving part (200) to prevent the vehicle (1)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moving part (200) Lt; / RTI >

또한, 상기 인입공간(300)의 상부는 상기 적재공간(2)을 향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용 열차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inlet space 300 is opened toward the loading space 2.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1)이 적재되는 적재공간(2)이 구비된 열차에 있어서, 상기 차량(1)이 상기 적재공간(2)으로 출입되기 위한 출입구(100); 및 상기 출입구(100)에 대응되는 상기 플랫폼(3)의 위치에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차량(1)이 주차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회전판(7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용 열차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ain provided with a loading space (2) in which a vehicle (1) is loaded, comprising: an entrance (100) for allowing the vehicle (1) to enter and exit the loading space (2); And a rotation plate (700) formed at a position of the platform (3) corresponding to the entrance (100) and rotated in a parked state of the vehicle (1)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열차에 구비된 적재공간(2)에 차량(1)을 적재하여 출발지에서 소정의 목적지까지 이동시키는 열차를 이용한 차량의 이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1)을 상기 출발지의 플랫폼(3a) 상에 형성된 주차구역(4a)에 주차시키는 제1 단계(S100); 상기 차량(1)을 상기 적재공간(2)에 승차시키는 제2 단계(S200); 및 상기 차량(1)을 상기 목적지의 플랫폼(3b) 상에 형성된 주차구역(4b)에 하차시키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하되, 상기 주차구역(4a, 4b)은 상기 적재공간(2)과 상기 플랫폼(3a, 3b) 사이를 왕복하는 이동부(200)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를 이용한 차량의 이동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oving a vehicle using a train, the method comprising loading the vehicle (1) in a loading space (2) provided in a train and moving it from a starting point to a predetermined destination, A first step (S100) for parking in a parking zone (4a) formed on the platform (3a) of the starting point; A second step (S200) of getting the vehicle (1) to the loading space (2); And a third step S300 of lowering the vehicle 1 to a parking zone 4b formed on the destination platform 3b, wherein the parking zones 4a and 4b are located in the loading space 2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a moving part (200) which reciprocates between the platform (3a, 3b) and the platform (3a, 3b).

여기서, 상기 제2 단계(S200)는, 상기 차량(1)이 상기 적재공간(2)으로 출입되기 위한 출입구(100)를 상기 주차구역(4a)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플랫폼(3a) 상부에 위치한 상기 이동부(200)를 상기 적재공간(2)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를 이용한 차량의 이동방법일 수 있다.
The second step S200 includes the steps of positioning the entrance 100 for the vehicle 1 to enter and exit the loading space 2 so as to correspond to the parking zone 4a; And moving the moving part (200) located on the platform (3a) to the loading space (2).

또한, 상기 제2 단계(S200)는, 상기 적재공간(2)에 상기 차량(1)을 적재한 후, 상기 이동부(200)를 상기 플랫폼(3a) 상부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를 이용한 차량의 이동방법일 수 있다.
The second step S200 further includes moving the moving unit 200 to a position above the platform 3a after the vehicle 1 is loaded in the loading space 2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directed to a method of moving a vehicle using a train.

또한, 상기 제2 단계(S200)는, 상기 인입공간(300)으로 인입된 상기 이동부(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동부 고정부재(500)에 의해 상기 이동부(200)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를 이용한 차량의 이동방법일 수 있다.
The second step S200 includes fixing the moving part 200 by the moving part fixing member 500 which prevents the moving part 200 from being pulled into the receiving space 300,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moving the vehicle using the train.

또한, 상기 제1 단계(S200)는, 상기 이동부(200)의 상면에는 상기 차량(1)의 이탈을 방지하는 차량 고정부재(60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를 이용한 차량의 이동방법일 수 있다.
In the first step S200, a vehicle fixing member 600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oving unit 200 to prevent the vehicle 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vehicle. .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열차에 구비된 적재공간(2)에 차량(1)을 적재하여 출발지에서 소정의 목적지까지 이동시키는 열차를 이용한 차량의 이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1)을 출발지의 플랫폼(3a) 상에 형성된 주차구역(4a)에 주차시키는 제1 단계(S100); 상기 차량(1)을 상기 적재공간(2)에 승차시키는 제2 단계(S200); 및 상기 차량(1)을 목적지의 플랫폼(3b) 상에 형성된 주차구역(4b)에 하차시키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하되, 상기 주차구역(4a, 4b)은 상기 출입구(100)에 대응되는 상기 플랫폼(3)의 위치에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차량(1)이 위치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회전판(70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를 이용한 차량의 이동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oving a vehicle using a train, the method comprising loading the vehicle (1) in a loading space (2) provided in a train and moving it from a departure point to a predetermined destination, (S100) parking the parking space (4a) formed on the platform (3a) of the departure location; A second step (S200) of getting the vehicle (1) to the loading space (2); And a third step S300 of lowering the vehicle 1 to a parking area 4b formed on a platform 3b of the destination, wherein the parking areas 4a and 4b are located at the entrance 100 An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700) which is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platform (3) and rotates in a state where the vehicle (1) is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do.

여기서, 상기 제2 단계(S200)는, 상기 회전판(700)을 상기 차량(1)이 상기 출입구(100)를 향하도록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차량(1)을 상기 적재공간(2)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를 이용한 차량의 이동방법일 수 있다.
Here, the second step S200 may include rotating the rotating plate 700 so that the vehicle 1 faces the entrance 100; And moving the vehicle (1) to the loading space (2).

또한, 상기 적재공간(2) 및 상기 플랫폼(3a, 3b)은 복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를 이용한 차량의 이동방법일 수 있다.
Also, the loading space 2 and the platforms 3a and 3b may be formed in a multi-layered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하고자 하는 차량을 열차의 적재공간의 정위치에 효과적으로 적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vehicle to be loaded can be effectively loa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loading space of the train.

본 발명에 따르면 열차의 도착 전이라도 이동부가 구비된 일정한 주차구역에 차량을 주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적재 준비를 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적재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ark the vehicle in a certain parking area provided with a moving part even before the arrival of a train,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start preparations for loading the vehicle, thereby minimizing the time required for loading th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인터모달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가 도착하기 전의 플랫폼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가 도착한 후의 플랫폼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및 열차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가 도착하기 전의 플랫폼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가 도착한 후의 플랫폼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횡방향 적재와 종방향 적재를 비교하는 도면.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intermoda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platform before a train arrive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platform after a train arrive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platform and a 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a platform before a train arriv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a platform after a train arriv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comparing lateral loading and longitudinal loading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를 포함하는 차량 적재용 열차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이동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more fully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shown. Thes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element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first, second, etc. used hereinafter are merely reference numerals for distinguishing between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fined by terms such as first, second, no.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term " coupled " is used not only in the case of direct physical contact between the respectiv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contact relation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but also means that other constituent elements are interposed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Use them as a concept to cover each contact.

본 발명은 두 교통수단을 결합한 인터모달 시스템을 이용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인터모달 시스템이란 출발지에서 차량(1)을 열차에 적재하고, 소정의 목적지까지 열차로 차량을 이동시킨 후 목적지에서 차량을 하차시키는 시스템을 의미한다(도 1).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intermodal system combining two transportation means. Specifically, the intermodal system is a system in which a vehicle 1 is loaded on a train at a departure point, a vehicle is moved to a predetermined destination by a train, System (Fig. 1).

인터모달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이동방법은 정체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열차를 이용하여 광역 이동을 수행하므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이동시간이 짧고 일정하며,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차량을 감소시키는 반사적 효과를 갖는다. The moving method of the vehicle using the intermodal system has a reflex effect of reducing the vehicle using the highway because the travel time from the start point to the destination is short and constant since the vehicle performs the wide movement using the train which does not cause the congestion phenomenon.

또한, 제주도와 같은 도서지역까지 해저 또는 교량을 이용한 철로를 형성시키는 경우 기상여건과 관계없이 도서지역으로의 화물, 차량 등의 물류이동 서비스를 가능토록 한다. In addition, if a subway or bridged railway is formed up to the island area such as Jeju Island,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logistics services such as cargo and vehicles to the island area regardless of weather conditions.

다만, 열차에 차량(1)을 승하차 시키는 과정이 복잡하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는바,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율적인 차량 적재 시스템 및 방식을 제공한다.
However, since the process of getting on and off the vehicle 1 on the train is complicated and takes a long ti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icient vehicle loading system and method that can solve such a probl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1)에 따른 차량 적재용 열차는 기본적으로 차량(1)이 적재되는 적재공간(2)이 구비된 열차에 있어서, 차량(1)이 적재공간(2)으로 출입되기 위한 출입구(100) 및 차량(1)을 적재한 상태에서 적재공간(2)과 열차가 정차된 플랫폼(3) 사이를 왕복하는 이동부(200)를 포함한다(도 4). A vehicle loading trai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 1) is basically a train provided with a loading space 2 on which a vehicle 1 is loaded, in which a vehicle 1 is placed in a loading space 2 And a moving part 200 reciprocating between the loading space 2 and the platform 3 where the train is stopped in a state where the entrance 100 for entering and exiting and the vehicle 1 are loaded (FIG. 4).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1)을 운행하여 열차에 적재하는 것이 아니라, 열차가 도착하기 전이라도 이동부(200) 상부에 차량을 주차하면, 열차가 도착한 후 이동부가 차량(1)이 상부에 주차된 상태에서 적재공간(2)으로 이동하므로, 자동적인 차량(1)의 적재가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is park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ving part 200 even before the train arrives, rather than running the vehicle 1 on the train, the moving part vehicle 1 is moved upward It is possible to load the automatic vehicle 1 because it moves from the parked state to the loading space 2.

이동부(200) 상부에 차량(1)이 주차된 상태에서, 이동부(200)가 출발지의 플랫폼(3a)에서 적재공간(2)으로 이동하면 차량(1)의 적재가 완료되는 것으로 이동부(200)가 차량(1)과 함께 열차에 적재된 상태에서 열차가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When the moving part 200 moves from the platform 3a of the departure place to the loading space 2 in a state where the vehicle 1 is parked on the moving part 200, the loading of the vehicle 1 is completed, It is possible for the train to move in a state where the vehicle 200 is loaded on the train together with the vehicle 1. [

이 경우 열차가 목적지에 도착하면 목적지의 플랫폼(3b)으로 이동부가(200)가 이동하면, 이동부(200) 상부에 주차된 차량(1)도 이동부(200)와 함께 목적지의 플랫폼으로 이동된다.
In this case, when the train arrives at the destination, when the moving part 200 moves to the platform 3b of the destination, the parked vehicle 1 also moves to the destination platform together with the moving part 200 do.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실시예2)에 따르면, 이동부(200)는 차량(1)이 상부에 주차된 상태에서 열차가 정차된 출발지의 플랫폼(3a)에서 적재공간(2)으로 이동되며, 차량(1)을 적재공간(2)에 하차시킨 후 적재공간(2) 외부로 배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part 200 moves from the platform 3a of the departure place where the train is stopped to the loading space 2 when the vehicle 1 is parked at the upper part And the vehicle 1 may be taken out of the loading space 2 after getting off the loading space 2.

적재공간(2) 외부로 배출된 이동부(200)는 출발지의 플랫폼(3a)으로 다시 이동되거나, 별도의 이동부(200) 수납공간으로 이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moving part 200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loading space 2 may be moved back to the platform 3a of the starting place or may be moved to the storing space of another moving part 200. [

이 경우 열차는 이동부(200)가 제외된 차량(1)이 적재된 상태에서 열차가 이동된다. In this case, the train is moved in a state where the vehicle 1 with the moving part 200 removed is loaded.

열차가 목적지에 도착하면 목적지의 플랫폼(3b)이나 별도의 이동부(200) 수납공간에서 적재공간(2)으로 이동부(200)가 이동되고, 이동부(200) 상부에 차량(1)이 주차되면 이동부(200)는 다시 목적지의 플랫폼(3b)으로 이동된다.
When the train arrives at the destination, the moving part 200 is moved from the destination platform 3b or the separate storage space of the moving part 200 to the loading space 2, When the vehicle is parked, the moving unit 200 is moved to the destination platform 3b agai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적재용 열차의 이동부(200)는 플랫폼(3)과 적재공간(2) 사이를 왕복하므로 적재공간(2)을 외부로 연결하는 출입구(100)에 대응되는 플랫폼(3)의 위치에 이동부(20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The moving part 200 of the vehicle loading trai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iprocates between the platform 3 and the loading space 2 and thus the moving part 200 corresponding to the entrance 100 connecting the loading space 2 to the out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ving part 200 is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platform 3 (Fig. 3).

이동부(200)는 판형의 강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부(200)는 구동모터(400)에 의해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moving part 200 can be formed of a plate-shaped steel material, and the moving part 200 can be moved by the driving motor 400.

구동모터(400)와 이동부(200)는 톱니, 체인 등의 구동모터(400)의 회전운동을 이동부(200)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다양한 연결구조를 취할 수 있다. The driving motor 400 and the moving unit 200 can take various connecting structures that can convert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driving motor 400 such as a tooth or a chain into a linear motion of the moving unit 200. [

구동모터(400)는 이동부(200)의 하부 또는 적재공간(2)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동부(200) 및 적재공간(2)에 2 이상의 구동모터(400)가 동시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driving motor 400 may be provided below the moving part 200 or below the loading space 2 and at least two driving motors 400 may be provided in the moving part 200 and the loading space 2 It is possible.

적재공간(2)의 하부에는 이동부(200)가 인입되는 인입공간(300)이 형성될 수 있다(도 4). In the lower part of the loading space 2, a receiving space 300 through which the moving part 200 is inserted can be formed (FIG. 4).

인입공간(300)에 인입되는 이동부(200)의 상부에는 차량(1)이 주차된 상태이므로, 인입공간(300)의 상부는 적재공간(2)을 향해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entry space 300 is opened toward the loading space 2 because the vehicle 1 is park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ving part 200 which is drawn into the entry space 30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적재용 열차는 인입공간(300)으로 인입된 상기 이동부(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동부 고정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4). The vehicle loading 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oving part fixing member 500 for preventing the moving part 200 from being pulled into the receiving space 300 ).

이동부 고정부재(500)는 인입공간(300)의 토출부를 폐쇄하거나, 이동부(200)와 임시적으로 결합되는 방식으로 인입공간에서의 이동부(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moving part fixing member 500 can close the discharging part of the receiving space 300 or prevent the moving part 200 from departing from the receiving space in such a manner as to be temporarily coupled with the moving part 2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차량 적재용 열차는 이동부(200)의 상면에 형성되며, 차량(1)이 이동부(2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 고정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4). The vehicle loading 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vehicle fixing member 60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part 200 and preventing the vehicle 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oving part 200 (Fig. 4).

차량(1)은 이동부(200) 상면에서 주차된 상태에서 이동부(200)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므로, 관성력에 의해 차량(1)이 이동부(200)에서 이탈될 수 있고, 이동부(200)의 진동에 의해 차량(1)이 이동부(200)에서 이탈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이동부(200) 상면에 차량 고정부재(600)를 포함하여, 상술된 차량(1)의 이동부(200)에서의 이탈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Since the vehicle 1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200 in the parked sta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part 200, the vehicle 1 can be separated from the moving part 200 by the inertia for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vehicle 1 may be separated from the moving part 200 due to the vibration of the vehicle 1 by the vibration of the vehicle 1,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departure from the moving part 200. [

차량 고정부재(600)는 이동부(200) 상면에서 도출되어 차량(1)의 하부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형성되거나, 이동부(200)의 상면을 일부 함몰하여 차량(1)의 바퀴가 함몰부에 인입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vehicle fixing member 600 may b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vehicle fixing member 600 is led ou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unit 200 and fixes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1 or may be formed by partially de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unit 200,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공간(2) 및 플랫폼(3)은 복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loading space 2 and the platform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multi-layered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실시예 3)에 따른 차량 적재용 열차는 차량(1)이 적재공간(2)으로 출입되기 위한 출입구(100) 및 출입구(100)에 대응되는 플랫폼(3)의 위치에 형성되며, 상부에 차량(1)이 주차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회전판(700)을 포함할 수 있다(도 5). The vehicle loading trains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struc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vehicle 1 is provided with the entrance 100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loading space 2 and the platform 3 corresponding to the entrance 100 And may include a rotating plate 700 that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and rotates while the vehicle 1 is parked (FIG. 5).

회전판(700)의 상부에 차량이 주차된 상태에서 차량(1)의 정면부가 출입구(100)을 마주보도록 회전판(700)을 회전하면, 차량(1)이 출입구(100)를 통해 적재공간(2)으로 용이하게 인입되는 것이 가능하다(도 6). When the vehicle 1 is rotated on the rotating plate 700 such that the front portion of the vehicle 1 faces the entrance 100 while the vehicle is park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ry plate 700, ) (Fig. 6).

이 경우 적재공간(2)에는 열차의 운행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차량(1)이 적재되게 되므로, 열차의 운행방에 평행하게 차량(1)을 적재하는 경우보다 더 많은 차량을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다(도 7).
In this case, since the vehicle 1 is loaded in the loading space 2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train, it is possible to load more vehicles than when the vehicle 1 is loaded in parallel with the running room of the train (Fig. 7).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적재용 열차에 차량을 적재하여 이동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loading and moving a vehicle on a vehicle loading 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1)에 따른 차량의 이동방법은 열차에 구비된 적재공간(2)에 차량(1)을 적재하여 출발지에서 소정의 목적지까지 이동시키는 열차를 이용한 차량의 이동방법으로서, 차량(1)을 출발지의 플랫폼(3a) 상에 형성된 주차구역(4a)에 주차시키는 제1 단계(S100), 차량(1)을 적재공간(2)에 승차시키는 제2 단계(S200) 및 차량(1)을 목적지의 플랫폼(3b) 상에 형성된 주차구역(4b)에 하차시키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of moving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moving a vehicle using a train that moves a vehicle 1 from a departure place to a predetermined destination by loading it in a loading space 2 provided in a train A first step S100 of parking the vehicle 1 in the parking zone 4a formed on the platform 3a of the departure place, a second step S200 of riding the vehicle 1 in the loading space 2, And a third step S300 of lowering the vehicle 1 to the parking zone 4b formed on the platform 3b of the destination.

여기서, 주차구역(4a, 4b)은 적재공간(2)과 플랫폼(3a, 3b) 사이를 왕복하는 이동부(20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arking spaces 4a and 4b are preferab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part 200 which reciprocates between the loading space 2 and the platforms 3a and 3b.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방법은 열차가 플랫폼에 도착하기 전이라도, 차량(1)을 주차구역(4a)에 주차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열차에 차량(1)을 적재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method of moving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ark the vehicle 1 in the parking zone 4a even before the train arrives at the platform so that the time for loading the vehicle 1 on the train can be shortened There are advantages.

구체적으로, 제2 단계(S200)는 차량(1)이 적재공간(2)으로 출입되기 위한 출입구(100)를 상기 주차구역(4a)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키는 단계, 플랫폼(3a) 상부에 위치한 이동부(200)를 상기 적재공간(2)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cond step S200 includes the steps of positioning the entrance 100 for the vehicle 1 to enter and exit the loading space 2 to correspond to the parking zone 4a, (200) to the loading space (2).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실시예 2)에 따른 차량의 이동방법의 제2 단계(S200)는 차량(1)이 적재공간(2)으로 출입되기 위한 출입구(100)를 상기 주차구역(4a)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키는 단계, 플랫폼(3a) 상부에 위치한 이동부(200)를 상기 적재공간(2)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적재공간(2)에 차량(1)을 적재한 후 이동부(200)를 플랫폼(3a) 상부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step S200 of the vehicle mov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ve the entry / exit port 100 for the vehicle 1 into / out of the loading space 2 into the parking space 4a Moving the moving part 200 located on the platform 3a to the loading space 2 after loading the vehicle 1 in the loading space 2, ) Onto the platform (3a).

여기서, 적재공간(2)에 차량(1)을 적재한 후 이동부(200)를 플랫폼(3a) 상부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적재공간(2)에 차량(1)을 적재한 후 이동부(200)를 이동부 수납공간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로 치환되는 것이 가능하다.
Here, the step of moving the moving part 200 to the upper part of the platform 3a after the vehicle 1 is loaded in the loading space 2 may be performed after the vehicle 1 is loaded in the loading space 2, ) To the moving part accommodating spa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이동방법의 제2 단계(S200)는, 인입공간(300)으로 인입된 이동부(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동부 고정부재(500)에 의해 이동부(200)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step S200 of the moving method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ve the moving part 200 by the moving part fixing member 500 which prevents the moving part 200, And then fixing the part 200. [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실시예 3)에 따른 차량의 이동방법은 열차에 구비된 적재공간(2)에 차량(1)을 적재하여 출발지에서 소정의 목적지까지 이동시키는 열차를 이용한 차량의 이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1)을 출발지의 플랫폼(3a) 상에 형성된 주차구역(4a)에 주차시키는 제1 단계(S100), 차량(1)을 적재공간(2)에 승차시키는 제2 단계(S200) 및 차량(1)을 목적지의 플랫폼(3b) 상에 형성된 주차구역(4b)에 하차시키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of moving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moving a vehicle using a train that moves a vehicle 1 from a departure place to a predetermined destination by loading it in a loading space 2 provided in a train A first step S100 of parking the vehicle 1 in the parking area 4a formed on the platform 3a of the departure place, a second step S100 of parking the vehicle 1 in the loading space 2, Step S200 and a third step S300 of lowering the vehicle 1 to the parking zone 4b formed on the platform 3b of the destination.

여기서, 주차구역(4a, 4b)은 출입구(100)에 대응되는 상기 플랫폼(3)의 위치에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차량(1)이 위치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회전판(70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arking spaces 4a and 4b are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platform 3 corresponding to the entrance 100 and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700 rotated with the vehicle 1 positioned thereon .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출입구
200 : 이동부
300 : 인입공간
400 : 구동모터
500 : 이동부 고정부재
600 : 차량 고정부재
700 : 회전판
100: Entrance
200:
300: entry space
400: drive motor
500: moving part fixing member
600:
700: Spindle

Claims (17)

차량(1)이 적재되는 적재공간(2)이 구비된 열차에 있어서,
상기 차량(1)이 상기 적재공간(2)으로 출입되기 위한 출입구(100); 및
상기 차량(1)이 상부에 주차된 상태에서 상기 적재공간(2)과 열차가 정차된 플랫폼(3) 사이를 왕복하는 이동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용 열차.
In a train provided with a loading space (2) on which a vehicle (1) is loaded,
An entrance (100) for the vehicle (1) to enter and exit the loading space (2); And
A moving part 200 that reciprocates between the loading space 2 and the platform 3 where the train is stopped in a state where the vehicle 1 is parked at an upper part thereof;
Wherein the vehicle is a train.
차량(1)이 적재되는 적재공간(2)이 구비된 열차에 있어서,
상기 차량(1)이 상기 적재공간(2)으로 출입되기 위한 출입구(100); 및
상기 차량(1)이 상부에 주차된 상태에서 열차가 정차된 플랫폼(3)에서 상기 적재공간(2)으로 이동되며, 상기 차량(1)을 상기 적재공간(2)에 하차시킨 후 상기 적재공간(2) 외부로 배출되는 이동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용 열차.
In a train provided with a loading space (2) on which a vehicle (1) is loaded,
An entrance (100) for the vehicle (1) to enter and exit the loading space (2); And
The vehicle is moved from the platform 3 where the train is stopped to the loading space 2 while the vehicle 1 is parked at the top and the vehicle 1 is taken off to the loading space 2, (2) a moving part 200 which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rein the vehicle is a trai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100)에 대응되는 상기 플랫폼(3)의 위치에 상기 이동부(2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용 열차.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oving part (200) is formed at a position of the platform (3) corresponding to the entrance (10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공간(2)의 하부에는 상기 이동부(200)가 인입되는 인입공간(3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용 열차.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loading space (300) in which the moving part (200) is drawn is formed in a lower part of the loading space (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200)를 이동시키는 구동모터(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용 열차.
5. The method of claim 4,
A driving motor 400 for moving the moving unit 200;
Further comprising: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traveling on a trai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공간(300)으로 인입된 상기 이동부(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동부 고정부재(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용 열차.
6. The method of claim 5,
A moving part fixing member 500 for preventing the moving part 200 which is pulled into the receiving space 300 from coming off
Further comprising: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traveling on a trai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200)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차량(1)이 이동부(2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 고정부재(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용 열차.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vehicle fixing member 600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oving part 200 to prevent the vehicle 1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moving part 200;
Further comprising: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traveling on a trai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공간(300)의 상부는 상기 적재공간(2)을 향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용 열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n upper portion of the entry space (300) is opened toward the loading space (2).
차량(1)이 적재되는 적재공간(2)이 구비된 열차에 있어서,
상기 차량(1)이 상기 적재공간(2)으로 출입되기 위한 출입구(100); 및
상기 출입구(100)에 대응되는 상기 플랫폼(3)의 위치에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차량(1)이 주차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회전판(7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용 열차.
In a train provided with a loading space (2) on which a vehicle (1) is loaded,
An entrance (100) for the vehicle (1) to enter and exit the loading space (2); And
A rotating plate 700 formed at a position of the platform 3 corresponding to the entrance 100 and rotated in a parked state of the vehicle 1;
Wherein the vehicle is a train.
열차에 구비된 적재공간(2)에 차량(1)을 적재하여 출발지에서 소정의 목적지까지 이동시키는 열차를 이용한 차량의 이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1)을 상기 출발지의 플랫폼(3a) 상에 형성된 주차구역(4a)에 주차시키는 제1 단계(S100);
상기 차량(1)을 상기 적재공간(2)에 승차시키는 제2 단계(S200); 및
상기 차량(1)을 상기 목적지의 플랫폼(3b) 상에 형성된 주차구역(4b)에 하차시키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하되,
상기 주차구역(4a, 4b)은 상기 적재공간(2)과 상기 플랫폼(3a, 3b) 사이를 왕복하는 이동부(200)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를 이용한 차량의 이동방법.
1. A method of moving a vehicle using a train for loading the vehicle (1) in a loading space (2) provided in a train and moving from a starting point to a predetermined destination,
A first step S100 of parking the vehicle 1 in a parking zone 4a formed on the platform 3a of the departure location;
A second step (S200) of getting the vehicle (1) to the loading space (2); And
And a third step (S300) of lowering the vehicle (1) to a parking zone (4b) formed on the destination platform (3b)
Wherein the parking zones 4a and 4b are formed on a top surface of the moving unit 200 which reciprocates between the loading space 2 and the platforms 3a and 3b.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S200)는,
상기 차량(1)이 상기 적재공간(2)으로 출입되기 위한 출입구(100)를 상기 주차구역(4a)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플랫폼(3a) 상부에 위치한 상기 이동부(200)를 상기 적재공간(2)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를 이용한 차량의 이동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second step S200,
Positioning the entrance (100) for the vehicle (1) to enter and exit the loading space (2) to correspond to the parking zone (4a); And
Moving the moving part (200) located on the platform (3a) to the loading space (2);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S200)는,
상기 적재공간(2)에 상기 차량(1)을 적재한 후, 상기 이동부(200)를 상기 플랫폼(3a) 상부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를 이용한 차량의 이동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In the second step S200,
Moving the moving part (200) to an upper part of the platform (3a) after loading the vehicle (1) in the loading space (2);
Wherein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s of: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S200)는,
상기 인입공간(300)으로 인입된 상기 이동부(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동부 고정부재(500)에 의해 상기 이동부(200)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를 이용한 차량의 이동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In the second step S200,
Fixing the moving part (200) by a moving part fixing member (500) for preventing the moving part (200) drawn into the receiving space (300) from coming off;
Wherein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s of: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S200)는,
상기 이동부(200)의 상면에는 상기 차량(1)의 이탈을 방지하는 차량 고정부재(60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를 이용한 차량의 이동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In the first step S200,
And a vehicle fixing member (600)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oving part (200) to prevent the vehicle (1) from coming off.
열차에 구비된 적재공간(2)에 차량(1)을 적재하여 출발지에서 소정의 목적지까지 이동시키는 열차를 이용한 차량의 이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1)을 출발지의 플랫폼(3a) 상에 형성된 주차구역(4a)에 주차시키는 제1 단계(S100);
상기 차량(1)을 상기 적재공간(2)에 승차시키는 제2 단계(S200); 및
상기 차량(1)을 목적지의 플랫폼(3b) 상에 형성된 주차구역(4b)에 하차시키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하되,
상기 주차구역(4a, 4b)은 상기 출입구(100)에 대응되는 상기 플랫폼(3)의 위치에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차량(1)이 위치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회전판(70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를 이용한 차량의 이동방법.
1. A method of moving a vehicle using a train for loading the vehicle (1) in a loading space (2) provided in a train and moving from a starting point to a predetermined destination,
A first step S100 of parking the vehicle 1 in a parking zone 4a formed on the platform 3a of the departure location;
A second step (S200) of getting the vehicle (1) to the loading space (2); And
And a third step (S300) of lowering the vehicle (1) to a parking zone (4b) formed on a platform (3b) of the destination,
The parking spaces 4a and 4b are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platform 3 corresponding to the entrance 100 and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700 rotated with the vehicle 1 positioned thereon Wherein the step of moving the vehicle comprises the steps of: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S200)는,
상기 회전판(700)을 상기 차량(1)이 상기 출입구(100)를 향하도록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차량(1)을 상기 적재공간(2)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를 이용한 차량의 이동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In the second step S200,
Rotating the rotating plate (700) so that the vehicle (1) faces the entrance (100); And
Moving the vehicle (1) into the loading space (2);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공간(2) 및 상기 플랫폼(3a, 3b)은 복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를 이용한 차량의 이동방법.
1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6,
Wherein the loading space (2) and the platforms (3a, 3b) are formed in a multi-layered structure.
KR1020140055413A 2014-05-09 2014-05-09 Intermodal system including moving section KR1015878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413A KR101587851B1 (en) 2014-05-09 2014-05-09 Intermodal system including moving s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413A KR101587851B1 (en) 2014-05-09 2014-05-09 Intermodal system including moving s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212A true KR20150129212A (en) 2015-11-19
KR101587851B1 KR101587851B1 (en) 2016-01-25

Family

ID=54843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413A KR101587851B1 (en) 2014-05-09 2014-05-09 Intermodal system including moving s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85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18554A1 (en) * 2019-10-11 2021-04-11 Crain Mobility S R L INTEGRATED MOBILITY SYSTEM
KR102543279B1 (en) * 2022-05-26 2023-06-1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Energy Management Method Using Railways Loaded With Electric Vehicl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596B1 (en) 2016-10-24 2018-06-2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Vehicle Transport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Railway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2159A (en) * 2009-11-10 2011-05-26 Fujio Nakaso Vehicle loading/unloading apparatus for car-train
JP2011111149A (en) * 2009-11-21 2011-06-09 Bunichi Iwamoto Traffic system in which co2 emission is reduced and expressway is made toll-free by operating expressway trai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2159A (en) * 2009-11-10 2011-05-26 Fujio Nakaso Vehicle loading/unloading apparatus for car-train
JP2011111149A (en) * 2009-11-21 2011-06-09 Bunichi Iwamoto Traffic system in which co2 emission is reduced and expressway is made toll-free by operating expressway trai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18554A1 (en) * 2019-10-11 2021-04-11 Crain Mobility S R L INTEGRATED MOBILITY SYSTEM
WO2021070100A1 (en) * 2019-10-11 2021-04-15 Crain Mobility S.R.L. Integrated mobility system
KR102543279B1 (en) * 2022-05-26 2023-06-1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Energy Management Method Using Railways Loaded With Electric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7851B1 (en) 201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68412A1 (en) Vehicl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nd vehicle operation management method
US9026357B2 (en) Electric bus and electric bus battery exchange system
CN112687123B (en) Automatic parking system
KR101587851B1 (en) Intermodal system including moving section
JP7065765B2 (en) Vehicle control systems, vehicle control methods, and programs
JP2000510269A (en) Individual track transportation system using route reservation method and branch stop method
JP2011141606A (en) On-road communication system and traffic signal controller
US5237931A (en) Transportation system for city transportation with traction cable and railroad system having a central routing control and electronic calling systems in the stations
US8616135B2 (en) Transit vehicle for ferrying roadway vehicles, passengers, cargo and commuters
JP2021071787A (en) Automatic parking system
CN105292132A (en) Docking type rail transi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19117461A (en) Server apparatus and vehicle allocation method
US11465696B2 (en) Autonomous traveling vehicle
US9010251B2 (en) Urban transport installation using track ropes
JP2011111149A (en) Traffic system in which co2 emission is reduced and expressway is made toll-free by operating expressway train
CN207988614U (en) A kind of machinery garage below road
JP2006282385A (en) Method and device for delivering/receiving container to/from visitor chassis in container terminal
CN112339799B (en) Single turnout pass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1585541B1 (en) Platform structure for intermodal system
JPH02175463A (en) Cyber highway system
JP2002173021A (en) Rolling stock and transport system using it
KR101585538B1 (en) Modularity intermodal system
CN205706913U (en) A kind of automobile transportation system
CN208789662U (en) A kind of suspension type rail transit system vehicle goes out Input System
CN107963084A (en) The public transport that a kind of dynamic is tak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