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8137A -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8137A
KR20150128137A KR1020140055018A KR20140055018A KR20150128137A KR 20150128137 A KR20150128137 A KR 20150128137A KR 1020140055018 A KR1020140055018 A KR 1020140055018A KR 20140055018 A KR20140055018 A KR 20140055018A KR 20150128137 A KR20150128137 A KR 20150128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air
ventilation
uni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상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5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8137A/ko
Publication of KR20150128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81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순환 후 공급되는 환기(Return Air) 및 실외에서 공급되는 외기(Outdoor Air)가 혼합된 혼합기 또는 상기 외기만으로 이루어진 전외기를, 승온 또는 감온한 급기(Supply Air)를 상기 실내에 제공하고, 상기 환기의 풍량을 조절하는 제1 팬 모듈(FAN Module)을 제어하는 제 1 팬 구동부 및 상기 급기의 풍량을 조절하는 제2 팬 모듈(FAN Module)을 제어하는 제 2 팬 구동부를 포함하는 공조 유닛 및 상기 환기 및 상기 급기의 온도 또는 압력의 차이를 바탕으로, 제어 신호를 상기 제 1 및 구동부 또는 제 2 팬 구동부에 인가하여, 상기 제1 팬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팬 또는 상기 제2 팬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Air-conditioner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기 및 급기의 온도 또는 압력의 차이를 바탕으로 환기의 풍량 및 급기의 풍량을 제어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압축기 또는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서 동작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에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으며, 요청되는 운전 상태에 따라,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여, 냉방 또는 난방모드로 운전된다.
공기조화기는 냉매의 흐름에 따라 냉방운전되거나 난방운전되는데, 냉방운전시, 실외기의 압축기에서 실외기의 열교환기를 거쳐 고온고압의 액체냉매가 실내기로 공급되면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냉매가 팽창되어 기화되면서 주변공기의 온도가 내려가 실내기 팬이 회전동작함에 따라 실내로 냉기가 토출되고, 난방운전 시 실외기의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가 실내기로 공급되면,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가 액화되어 방출된 에너지에 의해 따뜻해진 공기가 실내기팬의 동작에 따라 실내로 토출된다.
최근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온도를 제어하는데 그치지 않고,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실내온기를 환기 시키는 환기시스템과 결합하는 추세이다. 특히 창문이 없거나 또는 작은 사이즈의 창문이 설치되는 빌딩에서는 냉난방과 환기 시스템을 결합한 형태의 시스템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온도가 목표치에 도달한 경우에도 설정된 풍량에 따라 급기가 공급되어 불필요한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급기 팬 및 환기 팬을 구동하는 구동부에 포함된 인버터의 기동 주파수를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없어 풍량제어에 불편함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환기 및 급기의 온도 또는 압력의 차이를 바탕으로 환기의 풍량 및 급기의 풍량을 제어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 순환 후 공급되는 환기(Return Air) 및 실외에서 공급되는 외기(Outdoor Air)가 혼합된 혼합기 또는 상기 외기만으로 이루어진 전외기를, 승온 또는 감온한 급기(Supply Air)를 상기 실내에 제공하고, 상기 환기의 풍량을 조절하는 제1 팬 모듈(FAN Module)을 제어하는 제 1 팬 구동부 및 상기 급기의 풍량을 조절하는 제2 팬 모듈(FAN Module)을 제어하는 제 2 팬 구동부를 포함하는 공조 유닛 및 상기 환기 및 상기 급기의 온도 또는 압력의 차이를 바탕으로, 제어 신호를 상기 제 1 및 구동부 또는 제 2 팬 구동부에 인가하여, 상기 제1 팬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팬 또는 상기 제2 팬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공기조화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환기 온도와 급기 온도의 차이를 바탕으로 제1 팬 모듈 및 제2 팬 모듈의 풍량을 조절하므로 실내 온도가 목표치에 도달하면 풍량을 감소시켜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급기 풍량과 환기 풍량에 걸리는 정압을 이용하여 제1 팬 모듈 및 제2 팬 모듈을 제어하여 균일한 풍량을 실내에 공급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에 포함된 인버터의 기동 주파수를 단계별로 설정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풍량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공조 유닛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관리자, 사용자, 설치자는 중복 또는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 사용자, 설치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유저(user)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팬의 회전 속도 및 제2 팬 모듈(56)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팬의 회전 속도는 풍량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조 유닛(1), 실외기(2), 제어기(4), 인터페이스 유닛(5)을 포함한다.
공조 유닛(1)은 실내로 공급되는 급기(Supply Air), 실내를 순환하고 돌아오는 환기(Return Air),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기(Outdoor Air),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의 양을 조절하고, 열교환 된 급기(Supply Air)가 실내에 공급되도록 한다.
실외기(2)는 설정에 따라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로 동작되어 공조 유닛(1)으로 냉매를 공급한다. 이때, 실외기(2)는 공조 유닛(1)에서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열원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라,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외기 이외에도 다른 열원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트펌프, 지열판 등을 통해 열원의 공급이 가능하다.
실외기(2)는 유입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압의 기체 냉매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기(미도시),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와 액체 냉매를 분리하여 기화되지 않은 액체냉매가 압축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 중 오일을 회수하는 오일분리기(미도시), 외기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냉매를 응축하거나 증발되도록 하는 실외 열교환기(미도시), 실외 열교환기의 열교환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실외 열교환기로 공기를 유입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실외기팬(미도시), 실외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냉매의 유로를 변경하는 사방밸브(미도시), 압력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센서(미도시), 온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미도시), 실외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다른 유닛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구성을 포함한다. 실외기는 그 외 다수의 센서, 밸브, 과냉각 장치 등을 더 포함하나, 그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기(4)는 공조 유닛(1)의 구동 및, 순환하는 공기의 정도를 제어하고 설정된 온도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기(4)는 실외기(2)와 통신하여 실외기에 목표온도를 설정하거나 실외기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기(4)는 부하의 정도에 따라 실외기가 추가로 동작하거나 동작중인 실외기의 일부가 동작 정지하도록 한다.
인터페이스 유닛(5)은 제어기(4)에 연결되어 제어기의 입력부 및 출력부로써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 유닛(5)은 제어기(4)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공조 유닛 또는 실외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5)은 공조 유닛 또는 실외기에 대한 제어 메뉴를 제공하고, 제어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어기(4)로 전송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5)은 그래픽 기반의 모니터링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공조 유닛(1) 또는 실외기(2)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건물의 크기 및 규모에 따라 공조 유닛(1) (1a 내지 1c)이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그에 대응하여 실외기(2) (2a 내지 2c)를 포함하는 열원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공조 유닛(1)에는 각각 공조 유닛(1)의 용량에 대응하는 정도의 실외기(2)가 연결된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 공조 유닛(1)에 포함되는 팬의 수를 변경할 수 있다. 공조 유닛(1)에 포함되는 각 팬은 모듈화 되어 조립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공조 유닛(1)은 필요에 따라,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관리자 또는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팬을 추가하거나 또는 제거할 수 있다. 팬의 수를 변경함으로써 순환되는 공기의 총량이 가변될 수 있다.
공조 유닛(1)은 덕트(3) (3a 내지 3c)로 연결되어 실내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한다. 각 실별, 실내온도는 실에 설치되는 센서를 통해 측정 가능하다. 덕트(3)의 끝단, 즉, 실내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 또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공조 유닛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조 유닛(1)은 흡기 모듈(100), 혼합기 모듈(200), 열교환 모듈(300) 및 급기 모듈(400)을 포함한다. 여기서, 각각의 모듈은 필요에 따라 추가 또는 제거가 가능하다. 흡기 모듈(100), 혼합기 모듈(200), 열교환 모듈(300) 및 급기 모듈(400)은, 일렬로 배치되어 서로 연결되고, 누기를 차단시킬 수 있도록 서로 밀착시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공조대상은 실내를 가정하여 설명하나 이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흡기 모듈(100)은 환기를 흡입하는 흡입구(54)를 구비하고, 흡입된 환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구비한다. 흡기 모듈(100)은 실내와 연결된다. 이때, 환기는 실내를 순환한 후 공급되는 공기이다. 흡기 모듈(100)은 실내로부터 환기를 흡입하여 혼합기 모듈(200)에 공기를 공급한다. 흡기 모듈(100)은 실내로부터 환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1 팬 모듈(56) 및 제1 팬 모듈(56)을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부(4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각각의 팬들은 각각 제1 팬 모터 (57)에 연결되어 제어기(4)의 제어명령에 따라 회전동작하고, 그에 따라 공기가 유동한다. 여기서, 제1 팬 모듈(56)은 적어도 하나의 팬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팬 모터(57)는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혼합기 모듈(200)은 흡기 모듈(100)과 연결되어 흡기 모듈(100)로부터 환기를 공급받는다. 혼합기 모듈(200)은 환기와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외기를 혼합한다. 구체적으로, 혼합기 모듈(200)은 환기 중 0~100%를 외부로 배출하고, 100~0%의 외기를 흡입한다. 이때,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배기라고 명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혼합기 모듈(200)은 배기를 배출한만큼 외기를 흡입한다. 예를들어, 30%의 배기를 배출하면, 30%의 외기를 흡입한다. 이경우, 혼합기 모듈(200)은 흡기 모듈(100)로부터 공급받은 공기와 실외에서 공급받은 외기를 7:3으로 혼합한다. 이때, 환기와 외기가 혼합된 공기를 혼합기라 명명할 수 있다. 혼합기의 혼합비율은 공기의 청정도나 에너지 효율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한편, 혼합기 모듈(200)은 환기, 외기 또는 혼합기 중의 오염물을 제거하는 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혼합기 모듈(200)은 외기 댐퍼(51), 배기 댐퍼(52), 혼합기 댐퍼(53)을 포함한다.
외기 댐퍼(51)는 외기의 유입 정도를 조절한다.
배기 댐퍼(52)는 배기의 유출 정도를 조절한다.
혼합기 댐퍼(53)는 환기 중 일부 또는 전체가 급기로 공급되도록 조절한다. 외기 댐퍼(51), 배기 댐퍼(52) 및 혼합기 댐퍼(53)는 제어기(4)의 제어 명령에 의해 개도가 조절된다.
혼합기 댐퍼(53) 및 외기 댐퍼(51), 배기 댐퍼(52)는 각각 상호 연동하여 개폐된다. 이때, 제1 팬 모듈(56) 및 제2 팬 모듈(58)이 회전동작함에 따라 공기가 유동하고, 상기 각각의 댐퍼(51,52,53)의 개도정도에 따라 공기의 유로가 결정된다. 이경우, 공조 유닛의 내부 압력에 따라 배기와 외기가 조절된다.
예를 들어, 환기의 70%가 급기로 공급되도록 혼합기 댐퍼(53)가 약 67도 오픈되면, 배기 댐퍼(52)는 23도 오픈되어 30%의 환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외기 댐퍼(51)는 23도 오픈되어 외기가 공급된다. 환기의 70%가 급기로 공급되고, 30%가 배기로 배출되는 경우, 내부의 압력에 의해 배기가 배출된 만큼 외기가 30% 공급되어 급기는 70%의 환기와 30%의 외기로 구성된 혼합기가 된다.
또한, 혼합기 댐퍼(53)가 닫히고, 배기 댐퍼(52)가 90도 오픈, 외기 댐퍼(51)가 90도 오픈되는 경우, 환기는 모두 배기로써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로부터 외기 100%의 공기가 실내로 공급된다. 이하, 외기(Exhaust Air)가 100% 급기로써 공급되는 것을 전외기라 한다.
한편, 공조 유닛(1)이 환기 모듈(100)을 포함하지 않고, 혼합기 모듈(200), 열교환 모듈(300) 및 급기 모듈(400)로 구성되는 경우, 순환되어 돌아오는 환기 없이 외기만이 급기로써 공급되는 전외기로써 동작할 수도 있다.
열교환 모듈(300)은 혼합기 모듈(200)과 연결되어 혼합기 모듈(200)로부터 혼합기를 공급받는다. 열교환 모듈(300)은 혼합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난방운전 또는 냉방운전을 수행한다. 열교환 모듈(300)은 열교환기(60) 및 팽창밸브(61)를 포함한다. 실외기(2)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는 팽창밸브를 통해 열교환기(60)로 유입된다. 열교환기(300)를 통과하는 혼합기는 열교환되어 소정 온도의 공기가 된다. 이때, 열교환기(60)는 수랭식, 공랭식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결합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급기 모듈(400)은 열교환 모듈(300)과 연결되어 열교환 모듈(300)로부터 승온 또는 감온된 혼합기를 공급받는다. 이때, 열교환 모듈(300)로부터 승온 또는 감온된 혼합기를 급기로 명명할 수 있다. 급기 모듈(400)은 급기를 실내로 공급한다. 급기 모듈(400)은 실내로 급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2 팬 모듈(58) 및 제2 구동부(4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각각의 팬들은 각각 제2 팬 모터(59)에 연결되어 제어기(4)의 제어명령에 따라 회전동작하고 그에 따라 공기가 유동한다. 여기서, 제2 팬 모듈(58)은 적어도 하나의 팬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팬 모터(59)는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제어기(4)는 급기방식 또는 환기방식 중 어느 하나의 설정에 따라, 급기부에서 공급되는 급기의 온도를 실내온도로써 제어할 수 있고, 또는 순환되어 돌아오는 환기의 온도를 실내온도로 하여 온도를 제어한다. 즉, 급기방식인 경우 급기(Supplay Air)의 온도가 목표온도가 되도록 하여 공급하고, 환기방식인 경우 환기의 온도를 기준으로 목표온도에 따른 온도제어를 수행한다.
인터페이스 유닛(5)은 제어기(4)로 데이터를 입력하고, 제어기(4)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공조 유닛(1)의 동작상태 및 공기흐름을 모니터링 화면으로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400)는 공조 유닛(1), 실외기(2), 제어기(4), 인터페이스 유닛(5), 환기 온도 감지부(430), 환기 압력 감지부(435), 급기 온도 감지부(440), 급기 압력 감지부(445)를 포함한다.
공조 유닛(1)은 외기 댐퍼(51), 배기 댐퍼(52), 혼합기 댐퍼(53), 제1 팬 모듈(56),제1 구동부(427), 제2 팬 모듈(58) 및 제2 구동부(429)를 포함한다.
공조 유닛(1)은 혼합기를 승온 또는 감온 하여 실내에 제공한다. 여기서 혼합기는 실내 순환 후 공급되는 환기 및 실외에서 공급되는 외기를 혼합한 공기이다.
외기 댐퍼(51)는 제어기(4)의 제어를 받아, 외기의 유입 정도를 조절한다. 이때, 제어기(4)는 제어 명령을 통해 외기 댐퍼(51)의 개도를 조절한다.
배기 댐퍼(52)는 제어기(4)의 제어를 받아, 배기의 유출 정도를 조절한다. 이때, 제어기(4)는 제어 명령을 통해 배기 댐퍼(52)의 개도를 조절한다.
혼합기 댐퍼(53)는 제어기(4)의 제어를 받아, 환기 중 일부 또는 전체가 급기로 공급되도록 조절한다. 이때, 제어기(4)는 제어 명령을 통해 혼합기 댐퍼(53)의 개도를 조절한다.
제1 팬 모듈(56)은 환기의 풍량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1 팬 모듈(56)은 적어도 하나의 팬을 포함한다.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각각의 팬들은 각각 제1 팬 모터(도 3의 57)에 의해 회전 구동력을 전달 받는다. 여기서, 제1 팬 모터(도 3의 57)는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구동력에 의해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은 회전한다. 제1 팬 모듈(56)은 제1 팬 모터(도 3의 57)에서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에 기초하여 환기의 풍량을 제어한다.
제1 구동부(427)는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각각의 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팬 모터(도 3의 57)에 전원을 인가한다. 여기서, 제1 구동부(427)는 복수일 수 있으며,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제1 구동부(427)는 제1 팬 모터(도 3의 57)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과 주파수를 변환시키는 제1 인버터(4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부(427)는 제1 인버터(426)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또는 주파수를 변환시켜 제1 팬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제2 팬 모듈(58)은 급기의 풍량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2 팬 모듈(58)은 적어도 하나의 팬을 포함한다.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각각의 팬들은 각각 제1 팬 모터(도 3의 59)에 의해 회전 구동력을 전달 받는다. 여기서, 제2 팬 모터(도 3의 59)는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구동력에 의해 제2 팬 모듈(58)은 회전한다. 제2 팬 모듈(58)은 제2 팬 모터(도 3의 59)에서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에 기초하여 급기의 풍량을 제어한다.
제2 구동부(429)는 제2 팬 모듈(58)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도 3의 59)에 전원을 인가한다. 여기서, 제2 구동부(427)는 복수일 수 있으며,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제2 구동부(429)는 제2 팬 모터(도 3의 59)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과 주파수를 변환시키는 제2 인버터(4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부(429)는 제2 인버터(428)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또는 주파수를 변환시켜 제2 팬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실외기(2)는 설정에 따라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로 동작되어 공조 유닛(1)으로 냉매를 공급한다.
환기 온도 감지부(430)는 공조 유닛(1)에 설치된다. 환기 온도 감지부(430)는 실내 순환 후 공급되는 환기의 온도를 감지한다. 환기 온도 감지부(430)는 감지된 환기 온도값을 제어기(4)로 전송한다.
환기 압력 감지부(435)는 공조 유닛(1)에 설치된다. 환기 압력 감지부(435)는 실내 순환 후 공급되는 환기의 압력을 감지한다. 여기서, 압력은 정압일 수 있다. 환기 압력 감지부(435)는 감지된 환기 압력값을 제어기(4)로 전송한다.
급기 온도 감지부(440)는 공조 유닛(1)에 설치된다. 급기 온도 감지부(440)는 실내에 공급되는 급기의 온도를 감지한다. 급기 온도 감지부(440)는 감지된 급기 온도값을 제어기(4)로 전송한다.
급기 압력 감지부(445)는 공조 유닛(1)에 설치된다. 급기 압력 감지부(445)는 실외에서 공급되는 급기의 압력을 감지한다. 여기서, 압력은 정압일 수 있다. 급기 압력 감지부(445)는 감지된 급기 압력값을 제어기(4)로 전송한다.
제어기(4)는 환기 및 급기의 온도 또는 압력의 차이를 바탕으로 제어 신호를 제1 구동부(427) 및 제2 구동부(429)에 인가하여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팬 또는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인터페이스 유닛(5)은 제어기(4)에 연결되어 제어기의 입력부 및 출력부로써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 유닛(5)은 제어기(4)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공조 유닛 또는 실외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5)은 공조 유닛 또는 실외기에 대한 제어 메뉴를 제공하고, 제어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어기(4)로 전송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5)은 그래픽 기반의 모니터링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공조 유닛(1) 또는 실외기(2)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기(4)는 입력부(451), 통신부(452), 출력부(453), 메모리(454)를 포함한다.
입력부(451)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입력부(451)는 터치 패드, 물리적 버튼, 다이얼, 슬라이더 스위치, 클릭 휠 등, 외부로부터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출력부(453)의 디스플레이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이경우, 터치 스크린은 입력부(451) 및 출력부(453)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 유닛(5)이 제어기(4)에 장착 또는 분리된 상태에서, 입력부(451)로써 동작할 수도 있다.
통신부(452)는 제어기(4)와 외부의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452)는 유선 또는 무선의 복수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연결된 기기와 통신한다. 통신부(452)는 인터넷 접속을 통해 외부의 서버(미도시) 또는 원격의 단말(미도시)과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452)는 공조 유닛(1)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감지부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452)는 환기 온도 감지부(430), 환기 압력 감지부(435), 급기 온도 감지부(440) 및 급기 압력 감지부(445)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지부를 환기 온도 감지부(430), 환기 압력 감지부(435), 급기 온도 감지부(440) 및 급기 압력 감지부(445)로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이를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실시예에 따라, 배기 온도 감지부, 배기 압력 감지부, 외기 온도 감지부, 외기 압력 감지부, 환기 습도 감지부, 외기 습도 감지부, 배기 습도 감지부, 급기 습도 감지부, CO2감지부, 연기 감지부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경우, 통신부(452)는 상기 각각의 감지부에서 감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452)는 수신된 데이터를 프로세서(455)로 전송한다.
통신부(452)는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452)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RF(Radio Frequency)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52)는 전자기 신호인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회로는 전기 신호와 전자기 신호를 상호변환하고, 전자기 신호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 및 기타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452)는 공조 유닛(1) 또는 실외기(2) 각각의 운전 정보를 수신한다. 통신부(452)는 수신한 운전 정보를 프로세서(455)에 전송한다.
출력부(453)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또는 빛을 방출하여 시각적인 표시를 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453)는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 유닛(5)이 제어기(4)에 장착 또는 분리된 상태에서, 출력부(453)로써 동작할 수도 있다.
메모리(454)는 제어기(4)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통신부(452)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공조 유닛(1) 또는 실외기(2)를 제어 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 입력부(451)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 데이터, 출력부(453)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453)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상 메모리 장치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55)는 공조 유닛(1) 또는 실외기(2)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프로세서(455)는 통신부(452)를 통해 실외기(2)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실외기(2)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실외기(2)의 동작상태에 따라 공조 유닛(1)을 제어한다.
또한, 프로세서(455)는 통신부(452)를 통해 감지부(예를 들면, 환기 온도 감지부(430), 환기 습도 감지부(435), 외기 온도 감지부(440), 외기 습도 감지부(445))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조 유닛(1)을 제어한다.
또한, 프로세서(455)는 각종 연산을 수행한다.
또한, 프로세서(455)는 통신부(452)를 통해 공조 유닛(1) 또는 실외기(2)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프로세서(455)는 입력부(451)에서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프로세서(455)는 수신된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공조 유닛(1) 또는 실외기(2)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프로세서(455)는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 또는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여 제어한다. 이때, 복수의 단계별 회전 속도에 대한 각각의 기동 주파수는 입력부(451)의 입력 신호에 의해 정해진다. 여기서, 기동 주파수는 제1 구동부(427)에 포함된 제1 인버터(426)에서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을 구동하는 제1 모터(도 3의 57)에 공급되는 전원의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기동 주파수는 제2 구동부(429)에 포함된 제2 인버터(428)에서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을 구동하는 제2 모터(도 3의 59)에 공급되는 전원의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 및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는 강풍, 중풍, 약풍의 3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이경우, 강풍의 기동 주파수는 50~60Hz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중풍의 기동 주파수는 40~50Hz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약풍의 기동 주파수는 30~40Hz의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관리자 또는 사용자는 입력부(451)를 통해 강풍, 중풍 및 약풍의 기동 주파수를 입력한다. 이때, 입력부(451)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한 입력 신호를 프로세서(455)로 인가한다. 프로세서(455)는 수신된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강풍, 중풍, 약풍의 기동 주파수를 설정한다.
한편, 프로세서(455)는 통신부(452)를 통해 환기 온도 감지부(430)로부터 측정된 환기 온도값을 수신한다. 프로세서(455)는 통신부(452)를 통해 급기 온도 감지부(440)로부터 측정된 급기 온도값을 수신한다. 프로세서(455)는 상기 환기 온도값 및 상기 급기 온도값의 차이에 따라,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 또는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455)는 제1 인버터(426) 또는 제2 인버터(428)의 기동 주파수의 값을 조절하여,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 또는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455)는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기동 주파수의 값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455)는 복수로 설정된 단계를 변경하여,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 및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 또는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에 따라, 설정 단계는 강풍, 중풍, 약풍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455)는 상기 환기 온도값 및 상기 급기 온도값의 차이에 따라,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 또는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를 강풍, 중풍 또는 약풍으로 변경할 수 있다.
환기의 온도값이 급기의 온도값보다 큰 경우, 프로세서(455)는 환기의 온도값 및 급기의 온도값의 차이에 대응하여,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도록 제어한다. 이경우, 프로세서(455)는 제2 구동부(429)에 포함된 제2 인버터(428)의 주파수를 높여,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455)는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의 단계를 높여,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환기의 온도값이 급기의 온도값보다 큰 경우, 프로세서(455)는 환기의 온도값 및 급기의 온도값의 차이에 대응하여,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가 느려지도록 제어한다. 이경우, 프로세서(455)는 제1 구동부(427)에 포함된 제1 인버터(426)의 주파수를 낮춰,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가 느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455)는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의 단계를 낮춰,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가 느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환기의 온도값이 급기의 온도값보다 작은 경우, 프로세서(455)는 환기의 온도값 및 급기의 온도값의 차이에 대응하여 제2 팬 모듈에 포함된 팬(58)의 회전 속도가 느려지도록 제어한다. 이경우, 프로세서(455)는 제2 구동부(429)에 포함된 제1 인버터(426)의 주파수를 낮춰,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가 느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455)는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의 단계를 낮춰,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가 느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환기의 온도값이 급기의 온도값보다 작은 경우, 프로세서(455)는 환기의 온도값 및 급기의 온도값의 차이에 대응하여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도록 제어한다. 이경우, 프로세서(455)는 제1 구동부(427)에 포함된 제1 인버터(426)의 주파수를 높여,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455)는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의 단계를 높여,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455)는 통신부(452)를 통해 환기 압력 감지부(435)로부터 측정된 환기 압력값을 수신한다. 프로세서(455)는 통신부(452)를 통해 급기 압력 감지부(445)로부터 측정된 급기 압력값을 수신한다. 프로세서(455)는 상기 환기 압력값 및 상기 급기 압력값의 차이에 따라,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 및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455)는 제1 인버터(426) 또는 제2 인버터(428)의 기동 주파수의 값을 조절하여,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 또는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455)는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기동 주파수의 값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455)는 복수로 설정된 단계를 변경하여,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 및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 또는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에 따라, 설정 단계는 강풍, 중풍, 약풍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455)는 상기 환기 압력값 및 상기 급기 압력값의 차이에 따라,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 또는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를 강풍, 중풍 또는 약풍으로 변경할 수 있다.
환기의 압력값이 급기의 압력값보다 큰 경우, 프로세서(455)는 환기의 압력값 및 급기의 압력값의 차이에 대응하여,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도록 제어한다. 이경우, 프로세서(455)는 제2 구동부(429)에 포함된 제2 인버터(428)의 주파수를 높여,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455)는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의 단계를 높여,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환기의 압력값이 급기의 압력값보다 큰 경우, 프로세서(455)는 환기의 압력값 및 급기의 압력값의 차이에 대응하여,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가 느려지도록 제어한다. 이경우, 프로세서(455)는 제1 구동부(427)에 포함된 제1 인버터(426)의 주파수를 낮춰,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가 느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455)는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의 단계를 낮춰,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가 느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환기의 압력값이 급기의 압력값보다 작은 경우, 프로세서(455)는 환기의 압력값 및 급기의 압력값의 차이에 대응하여,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가 느려지도록 제어한다. 이경우, 프로세서(455)는 제2 구동부(429)에 포함된 제1 인버터(426)의 주파수를 낮춰,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가 느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455)는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의 단계를 낮춰,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가 느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환기의 압력값이 급기의 압력값보다 작은 경우, 프로세서(455)는 환기의 압력값 및 급기의 압력값의 차이에 대응하여,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도록 제어한다. 이경우, 프로세서(455)는 제1 구동부(427)에 포함된 제1 인버터(426)의 주파수를 높여,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455)는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의 단계를 높여,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로세서(455)는 입력부(451)에서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S610). 프로세서(455)는 수신된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공조 유닛(1) 또는 실외기(2)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프로세서(455)는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 및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여 제어한다(S620). 이때, 복수의 단계별 회전 속도에 대한 각각의 기동 주파수는 입력부(451)의 입력 신호에 의해 정해진다. 여기서, 기동 주파수는 제1 구동부(427)에 포함된 제1 인버터(426)에서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을 구동하는 제1 모터(도 3의 57)에 공급되는 전원의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기동 주파수는 제2 구동부(429)에 포함된 제2 인버터(428)에서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을 구동하는 제2 모터(도 3의 59)에 공급되는 전원의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 및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는 강풍, 중풍, 약풍의 3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이경우, 강풍의 기동 주파수는 50~60Hz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중풍의 기동 주파수는 40~50Hz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약풍의 기동 주파수는 30~40Hz의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관리자 또는 사용자는 입력부(451)를 통해 강풍, 중풍 및 약풍의 기동 주파수를 입력한다. 이때, 입력부(451)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한 입력 신호를 프로세서(455)로 인가한다. 프로세서(455)는 수신된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강풍, 중풍, 약풍의 기동 주파수를 설정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 되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455)는 통신부(452)를 통해 환기 온도 감지부(430)로부터 측정된 환기 온도값을 수신한다(S710). 프로세서(455)는 통신부(452)를 통해 급기 온도 감지부(440)로부터 측정된 급기 온도값을 수신한다(S710). 프로세서(455)는 상기 환기 온도값 및 상기 급기 온도값의 차이에 따라 제1 팬 모듈(56) 및 제2 팬 모듈(58)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만약, 환기의 온도값이 급기의 온도값보다 큰 경우(S720), 프로세서(455)는 환기의 온도값 및 급기의 온도값의 차이에 대응하여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도록 제어한다(S730). 또는, 환기의 온도값이 급기의 온도값보다 큰 경우(S720), 프로세서(455)는 환기의 온도값 및 급기의 온도값의 차이에 대응하여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가 느려지도록 제어한다(S730). 이때,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 및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인버터(426) 및 제2 인버터(428)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또는 주파수를 통해 제어한다.
만약, 환기의 온도값이 급기의 온도값보다 작은 경우(S740), 프로세서(455)는 환기의 온도값 및 급기의 온도값의 차이에 대응하여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가 느려지도록 제어한다(S750). 또는, 환기의 온도값이 급기의 온도값보다 작은 경우(S740), 프로세서(455)는 환기의 온도값 및 급기의 온도값의 차이에 대응하여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도록 제어한다(S750). 이때,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 및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인버터(426) 및 제2 인버터(428)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또는 주파수를 통해 제어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455)는 통신부(452)를 통해 환기 압력 감지부(435)로부터 측정된 환기 압력값을 수신한다(S810). 프로세서(455)는 통신부(452)를 통해 급기 압력 감지부(445)로부터 측정된 급기 압력값을 수신한다(S810). 프로세서(455)는 상기 환기 압력값 및 상기 급기 압력값의 차이에 따라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 및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만약, 환기의 압력값이 급기의 압력값보다 큰 경우(S820), 프로세서(455)는 환기의 압력값 및 급기의 압력값의 차이에 대응하여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도록 제어한다(S830). 또는, 환기의 압력값이 급기의 압력값보다 큰 경우(S820), 프로세서(455)는 환기의 압력값 및 급기의 압력값의 차이에 대응하여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가 느려지도록 제어한다(S830). 이때,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 및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인버터(426) 및 제2 인버터(428)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또는 주파수를 통해 제어한다.
만약, 환기의 압력값이 급기의 압력값보다 작은 경우(S840), 프로세서(455)는 환기의 압력값 및 급기의 압력값의 차이에 대응하여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가 느려지도록 제어한다(S850). 또는, 환기의 압력값이 급기의 압력값보다 작은 경우(S840), 프로세서(455)는 환기의 압력값 및 급기의 압력값의 차이에 대응하여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도록 제어한다(S850). 이때,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 및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회전 속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인버터(426) 및 제2 인버터(428)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또는 주파수를 통해 제어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팬 모듈(56), 제2 팬 모듈(58)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팬 모듈(56) 및 제2 팬 모듈(58)은 적어도 하나의 팬을 포함한다. 제1 팬 모듈(56) 및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되는 팬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제1 팬 모듈(56) 및 제2 팬 모듈(58)이 4개의 팬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기(4)는 제1 구동부(427)를 제어한다. 제1 구동부(427)는 제1 팬 모터(57a, 57b, 57c, 57d)에 전원을 인가한다. 제어기(4)는 제1 구동부(427)에 포함된 제1 인버터(426)의 주파수를 제어하여,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56a, 56b, 56c, 56d)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각각의 팬들(56a, 56b, 56c, 56d)은 각각 제1 팬 모터(57a, 57b, 57c, 57d)에 의해 회전 구동력을 전달 받는다. 상기 회전 구동력에 의해,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각각의 팬들(56a, 56b, 56c, 56d)은 회전한다. 제1 팬 모듈(56)은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각각의 팬들(56a, 56b, 56c, 56d)의 회전에 의해 환기의 풍량을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기(4)는 제2 구동부(429)를 제어한다. 제2 구동부(429)는 제2 팬 모터(59a, 59b, 59c, 59d)에 전원을 인가한다. 제어기(4)는 제2 구동부(429)에 포함된 제2 인버터(428)의 주파수를 제어하여,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58a, 58b, 58c, 58d)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각각의 팬들(58a, 58b, 58c, 58d)은 각각 제2 팬 모터(59a, 59b, 59c, 59d)에 의해 회전 구동력을 전달 받는다. 상기 회전 구동력에 의해,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각각의 팬들(58a, 58b, 58c, 58d)은 회전한다. 제2 팬 모듈(58)은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각각의 팬들(58a, 58b, 58c, 58d)의 회전에 의해 환기의 풍량을 제어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팬 모듈 및 제2 팬 모듈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 유닛의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유닛(5)은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룬 터치스크린(210, touch screen)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하고, 공기 조화기 운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운전 정보는 사용자가 인지하기 쉽게 그래픽으로 구현되고, 인터페이스 유닛(5)은 상기 운전 정보를 그래픽으로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210)에는 제1 팬 모듈(56) 및 제2 팬 모듈(58) 설정을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 이때, 제1 팬 모듈(56) 및 제2 팬 모듈(58) 설정 화면은, 메인 화면(360)에서 시스템 설정(313)가 선택된 후, 시스템 설정4(364)가 선택되어 표시되는 것으로 예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팬 모듈(56) 및 제2 팬 모듈(58) 설정 화면은 팬 제어 기준(387) 선택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팬 제어 기준(387) 선택 영역에서, 사용자는 풍량 기준 또는 압력(정압) 기준으로 팬 제어를 할지 선택할 수 있다.
제1 팬 모듈(56) 및 제2 팬 모듈(58) 설정 화면은 압력(정압) 제어관련 옵션 선택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압력(정압) 제어관련 옵션 선택 영역에서, 사용자는 정압기반 제어 주기 및 정압제어 기준 정압을 설정할 수 있다.
제1 팬 모듈(56) 및 제2 팬 모듈(58) 설정 화면은, 제1 인버터(426) 또는 제2 인버터(428)의 기동 주파수를 설정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팬 또는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팬의 회전 속도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단계는 강풍, 중풍, 약풍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1 팬 모듈(56, 환기 팬 모듈) 또는 제2 팬 모듈(58, 급기 팬 모듈)의 기동 주파수가 설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 공조 유닛
2 : 실외기
3 : 덕트
4 : 제어기
5 : 인터페이스 유닛
51 : 외기 댐퍼
52 : 배기 댐퍼
53 : 혼합기 댐퍼
56 : 제1 팬 모듈
57 : 제1 팬 모터 모듈
58 : 제2 팬 모듈
59 : 제2 팬 모터 모듈
60 : 열교환기
61 : 팽창밸브
100 : 흡기 모듈
200 : 혼합기 모듈
300 : 열교환 모듈
400 : 급기 모듈
427 : 제1 구동부
429 : 제2 구동부
430 : 환기 온도 감지부
435 : 환기 압력 감지부
440 : 급기 온도 감지부
445 : 급기 압력 감지부
451 : 입력부
452 : 통신부
453 : 출력부
454 : 메모리
455 : 프로세서

Claims (14)

  1. 실내 순환 후 공급되는 환기(Return Air) 및 실외에서 공급되는 외기(Outdoor Air)가 혼합된 혼합기 또는 상기 외기만으로 이루어진 전외기를, 승온 또는 감온한 급기(Supply Air)를 상기 실내에 제공하고,
    상기 환기의 풍량을 조절하는 제1 팬 모듈(FAN Module)을 제어하는 제 1 팬 구동부 및 상기 급기의 풍량을 조절하는 제2 팬 모듈(FAN Module)을 제어하는 제 2 팬 구동부를 포함하는 공조 유닛; 및
    상기 환기 및 상기 급기의 온도 또는 압력의 차이를 바탕으로, 제어 신호를 상기 제 1 및 구동부 또는 제 2 팬 구동부에 인가하여, 상기 제1 팬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팬 또는 상기 제2 팬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터치 입력 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공조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팬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팬 및 상기 제2 팬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팬의 회전 속도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여 제어하고,
    단계별 회전 속도에 대한 각각의 기동 주파수는 상기 입력부의 입력 신호에 의해 정해지는 공기조화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환기 온도 감지부; 및
    상기 급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급기 온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환기의 온도 및 상기 급기의 온도의 차이에 따라 상기 제1 팬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팬 및 상기 제2 팬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의 온도가 상기 급기의 온도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환기의 온도 및 상기 급기의 온도의 차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팬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팬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도록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의 온도가 상기 급기의 온도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환기의 온도 및 상기 급기의 온도의 차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팬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팬의 회전 속도가 느려지도록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의 온도가 상기 급기의 온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환기의 온도 및 상기 급기의 온도의 차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팬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팬의 회전 속도가 느려지도록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의 온도가 상기 급기의 온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환기의 온도 및 상기 급기의 온도의 차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팬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팬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도록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환기 압력 감지부; 및
    상기 급기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급기 압력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환기와 상기 급기의 압력의 차이에 따라 상기 제1 팬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팬 및 상기 제2 팬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의 압력이 상기 급기의 압력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환기의 압력 및 상기 급기의 압력의 차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팬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팬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도록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의 압력이 상기 급기의 압력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환기의 압력 및 상기 급기의 압력의 차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팬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팬의 회전 속도가 느려지도록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의 압력이 상기 급기의 압력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환기의 압력 및 상기 급기의 압력의 차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팬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팬의 회전 속도가 느려지도록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의 압력이 상기 급기의 압력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환기의 압력 및 상기 급기의 압력의 차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팬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팬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도록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13. 실내 순환 후 공급되는 환기 및 실외에서 공급되는 외기가 혼합된 혼합기 또는 상기 외기만으로 이루어진 전외기를 승온 또는 감온한 급기를 상기 실내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환기 및 상기 급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환기 및 급기의 온도의 차이를 바탕으로, 상기 환기의 풍량을 조절하는 제1 팬 모듈을 제어하는 제1 팬 구동부 및 상기 급기의 풍량을 조절하는 제2 팬 모듈을 제어하는 제2 팬 구동부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 팬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팬 또는 상기 제2 팬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 방법.
  14. 실내 순환 후 공급되는 환기 및 실외에서 공급되는 외기가 혼합된 혼합기 또는 상기 외기만으로 이루어진 전외기를 승온 또는 감온한 급기를 상기 실내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환기 및 상기 급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환기 및 급기의 압력의 차이를 바탕으로, 상기 환기의 풍량을 조절하는 제1 팬 모듈을 제어하는 제1 팬 구동부 및 상기 급기의 풍량을 조절하는 제2 팬 모듈을 제어하는 제2 팬 구동부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 팬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팬 또는 상기 제2 팬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 방법.
KR1020140055018A 2014-05-08 2014-05-08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501281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018A KR20150128137A (ko) 2014-05-08 2014-05-08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018A KR20150128137A (ko) 2014-05-08 2014-05-08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137A true KR20150128137A (ko) 2015-11-18

Family

ID=54838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018A KR20150128137A (ko) 2014-05-08 2014-05-08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813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328B1 (ko) * 2016-05-24 2017-01-18 에이스공조(주) 에너지 절감형 공기조화기의 자동 제어방법
KR20230056083A (ko) * 2021-10-19 2023-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328B1 (ko) * 2016-05-24 2017-01-18 에이스공조(주) 에너지 절감형 공기조화기의 자동 제어방법
KR20230056083A (ko) * 2021-10-19 2023-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72907A2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WO2010131336A1 (ja) 空気調和装置
JP5507231B2 (ja) 空気調和機
KR10194810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92998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40129779A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KR102123428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시스템
KR20150128137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7002918B2 (ja) 換気システム、空調システム、換気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083731A (ja) 空気調和機の換気風量制御方法
JPH10232040A (ja) 空調システム装置
KR20150102202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JP2014173795A (ja) 換気システム
JP6563120B2 (ja) 空気調和装置
KR20120019279A (ko) 칠러를 위한 디멘드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25834A (ko)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50128135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7198636A (ja) 一体型空気調和機
KR102580538B1 (ko) 공기조화기
KR102114310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WO2020075219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20040067263A (ko) 에어컨의 취침 운전 제어 방법
JP2008039333A (ja) 空気調和装置
KR101635558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WO2019244208A1 (ja) 送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