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8076A - 사각지대 시각확보가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 Google Patents

사각지대 시각확보가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8076A
KR20150128076A KR1020140054860A KR20140054860A KR20150128076A KR 20150128076 A KR20150128076 A KR 20150128076A KR 1020140054860 A KR1020140054860 A KR 1020140054860A KR 20140054860 A KR20140054860 A KR 20140054860A KR 20150128076 A KR20150128076 A KR 20150128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vehicle
protruding
center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소연
Original Assignee
김소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소연 filed Critical 김소연
Priority to KR1020140054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8076A/ko
Publication of KR20150128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80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B60R1/08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using a single wide field mirror or an association of rigidly connected 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외부 측방에 장착되어 도로주행 중 차선변경시 측후방의 교통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시켜주는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측후방 상황을 시각적으로 확인시켜주는 미러부(10); 및 자동차의 양쪽 측면으로부터 연계 설치되어 미러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프레임(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미러부(10)는 도로주행 중인 자동차의 측후방 교통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중앙경(11);과, 중앙경의 하단 영역에 맞닿으면서 후방으로 일정각 젖혀지도록 배치시켜 중앙경으로부터 종 방향에 대해 상이한 곡률의 경사면이 구축되게 하여 도로주행 중인 자동차의 하방 영역을 광범위하게 디스플레이하는 하방경(12);과, 하방경과 중앙경의 일측면에 맞닿으면서 후방으로 일정각 젖혀지도록 배치시켜 중앙경으로부터 횡 방향에 대해 상이한 곡률의 경사면이 구축되게 하여 도로주행 중인 자동차의 측방 영역을 광범위하게 디스플레이하는 측방경(13);으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사각지대 시각확보가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미러{SIDE MIRROR FOR DEAD ZONE PREVENTION IN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의 외부 측방에 장착되어 도로주행 중 차선변경시 측후방의 교통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시켜주는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정해진 각도의 범위 내에서만 시각확보가 이루어지던 종래 기술을 개선하여 보다 광범위한 시각확보를 달성하고자 차량의 측후방은 물론, 나아가 하방 및 측방에 대해서도 보다 원활한 방식으로 시각확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종래 사각지대로 구분되던 영역을 적극 해소할 수 있게 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주행 중에 차선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변경코자하는 차선의 후방을 사이드미러를 통해서 반드시 확인하여야만 하고, 아울러 사이드미러에 잡히지 않는 사각 지대에 차량이 있는지의 유무를 확인한 다음, 후방 차량과의 간격이 충분히 확보되었다고 판단되었을 때에 비로소 차선을 변경하게 된다.
두 차선 이상을 계속해서 변경하려 할 경우에 운전자는 전방 차량과의 간격을 적당히 계속 유지하면서도 사이드미러 상으로는 후방 차량과의 상황을 계속 주시하며 차선의 변경을 시도하여야 한다. 이렇게 여러 차선을 변경하고 할 때 특히, 운전자가 빠른 속도를 내며 주행하게 되는 추월 차선 측으로 차선을 변경할 때에는 보다 빠른 속도로 차선을 변경하고자 차량의 속도를 급가속함으로써 빠른 속도로 주행 중인 추월 차선에서 전방 차량과 후방 차량과의 간격을 적당하게 유지해 주어야만 한다. 이때, 급속히 추월 차선 측으로 차선을 변경하여 진행하기 위해서 운전자는 사이드미러 상의 와이드 뷰 미러를 장착하여 미러 상으로 확인하며 차선 변경을 하면 되지만, 와이드 뷰 미러가 없는 대다수의 차량들은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몸을 좌측으로 틀어서 추월 차선 측에 위치한 후방 차량들의 진행 상황을 확인하며 차선 변경을 시도해왔다. 이런 이유로 차선 변경을 할 때마다 운전자의 운전 자세는 흐트러질 수밖에 없어 좋지 못한 운전자세 및 습관이 몸에 베이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사이드미러는 차량의 양측 도어 전방부에 장착되어 좌우 회전시나 후진시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도어 측면에 대해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고, 통상 반원 형상의 미러 커버에 반사 거울이 부착된 구조를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반사 거울은 그 반사 각도를 원하는 방향으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구조의 사이드미러는 주지한 바와 같이 사각지대가 발생하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극히 한정적인 각도에 대해서만 시각확보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교통사고가 빈번한 현 시점에서 가장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후방은 물론 하방 및 측면에 대해서도 보다 광범위한 시각확보가 이루어질 수 있는 미러부를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그리고, 이러한 미러부의 운용을 가장 적합하게 유도할 수 있는 수용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 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용 사이드미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미러는 자동차의 측후방 상황을 시각적으로 확인시켜주는 미러부(10); 및 자동차의 양쪽 측면으로부터 연계 설치되어 미러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프레임(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미러부(10)는 도로주행 중인 자동차의 측후방 교통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중앙경(11);과, 중앙경의 하단 영역에 맞닿으면서 후방으로 일정각 젖혀지도록 배치시켜 중앙경으로부터 종 방향에 대해 상이한 곡률의 경사면이 구축되게 하여 도로주행 중인 자동차의 하방 영역을 광범위하게 디스플레이하는 하방경(12);과, 하방경과 중앙경의 일측면에 맞닿으면서 후방으로 일정각 젖혀지도록 배치시켜 중앙경으로부터 횡 방향에 대해 상이한 곡률의 경사면이 구축되게 하여 도로주행 중인 자동차의 측방 영역을 광범위하게 디스플레이하는 측방경(13);으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측방경(13)은 중앙경(11)의 일측면에 맞닿으면서 후방으로 젖혀지도록 배치하되 측방경 하단을 중앙경 하단과 일치되는 높이에 이르도록 구비하여 중앙경과 동일선상에서 연접되게 하고, 상기 하방경(12)은 중앙경과 측방경의 하부에 해당하는 영역만큼 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시켜 중앙경과 측방경의 하단에 연접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방경(12)과 측방경(13)은 중앙경(11)을 기점으로 각각 5~15°의 범위 내에서 후방으로 젖혀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프레임(20)은 미러부(10)의 각 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중앙경(11)과 측방경(13) 상단에 연접되면서 돌출 배치되는 상부돌출면(21);과 하방경(12) 또는 하방경과 측방경(13) 하단에 연접되면서 돌출 배치되는 하부돌출면(22);과, 중앙경(11)과 하방경(12) 일측 단부에 연접되면서 돌출 배치되는 측부돌출면(23);과, 측방경(13) 또는 측방경과 하방경(12) 타측 단부에 연접되면서 돌출 배치되는 라운드돌출면(24);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돌출면(21); 하부돌출면(22); 측부돌출면(23); 라운드돌출면(24);은 각각 해당 단부의 형상이 미러부를 기점으로 일정 경사면을 가지면서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하부돌출면(22)과 라운드돌출면(24)은 각각 상부돌출면(21)과 측부돌출면(23)에 비해 그 돌출 거리를 짧게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후방과 함께 측방 및 하방에 대해서도 일괄적으로 시각확보가 가능해짐에 따라 사각지대가 없이 자동차를 주행할 수 있게 되므로 안전사고로부터 적극적으로 보호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측방경과 후방경의 부가 채용으로 인해 하나의 사이드미러만으로도 도로주행 중 차선변경시 광범위한 측후방 및 하방의 교통 상태 또는 상황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바, 정해진 각도의 범위 내에서만 한정적으로 시각확보가 이루어지던 종래 기술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부여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사이드미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사이드미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이드미러를 상세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이드미러를 상세 도시한 측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외부 측방에 장착되어 도로주행 중 차선변경시 측후방의 교통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시켜주는 사이드미러(1)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특히, 정해진 각도의 범위 내에서만 시각확보가 이루어지던 종래 기술을 개선하여 보다 광범위한 시각확보를 달성하고자 차량의 측후방은 물론, 나아가 하방 및 측방에 대해서도 보다 원활한 방식으로 시각확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종래 사각지대로 구분되던 영역을 적극 해소할 수 있게 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주된 특징이 있다.
자동차에는 자동차의 진행 방향으로부터 운전자가 후방의 교통 상황 및 자동차의 흐름을 파악함은 물론, 후진시에도 후방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통상 미러가 장착된다. 이러한 미러는 크게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후방의 흐름을 파악하는 룸미러와, 자동차의 외측 양단에 설치되어 후방의 양측 상황을 비추는 사이드미러로 나눌 수 있으며, 이중 사이드미러는 자동차의 진행 중 차선을 변경하거나 고속도로의 진입시 후방 차량의 흐름을 운전자가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며, 후진시에는 후방의 양 측면의 사항을 비추는 매우 중요한 미러로서 운전자가 운행 중 전방 시야와 번갈아 가면서 볼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사이드미러는 자동차의 특성상 그 크기가 한정될 수밖에 없고, 이에 후방의 상황을 폭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소정 돌출된 곡률반경을 갖는 볼록미러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울러, 운전자 체형에 맞추어 미러의 반사각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미러를 보호하는 하우징과 해당 미러는 볼 조인트 등으로 연결되어 소정각 자유로이 회동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는바, 이와 관련하여서는 이미 공지된 바와 같으므로 더 이상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사이드미러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이드미러(1)는 자동차의 측후방 상황을 시각적으로 확인시켜주는 미러부(10); 및 자동차의 양쪽 측면으로부터 연계 설치되어 미러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프레임(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미러부(10)는 통상의 것과 같이 반사경의 형태로 제공되는 구성요소로, 더욱 세부적으로는 도로주행 중인 자동차의 측후방 교통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중앙경(11);과, 중앙경의 하단 영역에 맞닿으면서 후방으로 일정각 젖혀지도록 배치시켜 중앙경으로부터 종 방향에 대해 상이한 곡률의 경사면이 구축되게 하여 도로주행 중인 자동차의 하방 영역을 광범위하게 디스플레이하는 하방경(12);과, 하방경과 중앙경의 일측면에 맞닿으면서 후방으로 일정각 젖혀지도록 배치시켜 중앙경으로부터 횡 방향에 대해 상이한 곡률의 경사면이 구축되게 하여 도로주행 중인 자동차의 측방 영역을 광범위하게 디스플레이하는 측방경(13);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방경(12)과 측방경(13)은 중앙경(11)으로부터 각 방향 연접되게 연장 형성되어 자동차의 하방과 측방 상황을 보다 확실하게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바, 확대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각각 중앙경을 기준으로 일정각 꺾어 서로 다른 곡률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하방경(12)은 중앙경(11)으로부터 후방에 대해 절곡된 형태로 위치될 수 있도록 중앙경(11)과 연접되는 지점으로부터 해당 중앙경을 기점으로 5~15°의 범위 내에서 후방으로 젖혀지게 하고, 아울러 상기 측방경 또한 중앙경과 연접되는 지점으로부터 해당 중앙경을 기점으로 5~15°의 범위 내에서 후방으로 젖혀지게 한다. 상기에서 각도 제한을 두는 것은 운전자의 시야에 혼돈 내지 방해되지 않는 정도에서 가장 이상적인 시각확보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바, 이러한 각도를 벗어나 중앙경과의 절곡각이 형성될 경우에는 자동차 주행과 상관없는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우려가 있으며, 자칫 운전자가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전혀 확인할 수 없게 하거나 또는 오히려 또 다른 사각지대를 형성할 우려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사이드미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사이드미러(1)는 보다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예컨대 도 2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측방경(13)은 중앙경(11)의 일측면에 맞닿으면서 후방으로 젖혀지도록 배치하되 측방경 하단을 중앙경 하단과 일치되는 높이에 이르도록 구비하여 중앙경과 동일선상에서 연접되게 하고, 상기 하방경(12)은 중앙경과 측방경의 하부에 해당하는 영역만큼 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시켜 중앙경과 측방경의 하단에 연접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는, 운전자의 취향 및 선호도에 따라 사이드미러의 구성을 보다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확인시켜주기 위함으로, 이를 제외한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이드미러를 상세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사이드미러를 상세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미러부를 가장 적합하고 효율적으로 위치 고정할 수 있도록 소정의 수용프레임(20)이 구비되는바, 이러한 수용프레임을 그 구조 및 위치에 따라 크게 상부돌출면(21); 하부돌출면(22); 측부돌출면(23); 라운드돌출면(24);으로 구분하였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수용프레임(20)은 미러부(10)의 각 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중앙경(11)과 측방경(13) 상단에 연접되면서 돌출 배치되는 상부돌출면(21);과 하방경(12) 또는 하방경과 측방경(13) 하단에 연접되면서 돌출 배치되는 하부돌출면(22);과, 중앙경(11)과 하방경(12) 일측 단부에 연접되면서 돌출 배치되는 측부돌출면(23);과, 측방경(13) 또는 측방경과 하방경(12) 타측 단부에 연접되면서 돌출 배치되는 라운드돌출면(24);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상부돌출면(21); 하부돌출면(22); 측부돌출면(23); 라운드돌출면(24);은 각각 해당 단부의 형상이 미러부를 기점으로 일정 경사면을 가지면서 만곡되게 형성함으로써 측방경 및 하방경이 디스플레이하는 영역에 방해되지 않게 하였다. 즉, 상기 각 면을 돌출되면서도 완만한 만곡된 형상이 되게 함에 따라 미러부를 내측에 함몰된 형태로 수용 가능하므로 해당 미러부를 보호할 수 있는 적합한 구조가 되게 할 뿐만 아니라, 각 면 단부에 형성된 만곡된 영역으로 하여금 확대 디스플레이되는 하방과 측방의 상황을 가림없이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돌출면(22)과 라운드돌출면(24)은 각각 상부돌출면(21)과 측부돌출면(23)에 비해 그 돌출 거리를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실시 예를 통해 구현되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사이드미러는 후방과 함께 측방 및 하방에 대해서도 일괄적으로 시각확보가 가능해짐에 따라 사각지대가 없이 자동차를 주행할 수 있게 되므로 안전사고로부터 적극적으로 보호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바, 측방경과 후방경의 부가 채용으로 인해 하나의 사이드미러만으로도 도로주행 중 차선변경시 광범위한 측후방 및 하방의 교통 상태 또는 상황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정해진 각도의 범위 내에서만 한정적으로 시각확보가 이루어지던 종래 기술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부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10. 미러부 11. 중앙경
12. 하방경 13. 측방경
20. 수용프레임 21. 상부돌출면
22. 하부돌출면 23. 측부돌출면
24. 라운드돌출면

Claims (5)

  1. 자동차의 측후방 상황을 시각적으로 확인시켜주는 미러부(10); 및 자동차의 양쪽 측면으로부터 연계 설치되어 미러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프레임(20);이 구비되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에 있어서,
    상기 미러부(10)는 도로주행 중인 자동차의 측후방 교통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중앙경(11);과, 중앙경의 하단 영역에 맞닿으면서 후방으로 일정각 젖혀지도록 배치시켜 중앙경으로부터 종 방향에 대해 상이한 곡률의 경사면이 구축되게 하여 도로주행 중인 자동차의 하방 영역을 광범위하게 디스플레이하는 하방경(12);과, 하방경과 중앙경의 일측면에 맞닿으면서 후방으로 일정각 젖혀지도록 배치시켜 중앙경으로부터 횡 방향에 대해 상이한 곡률의 경사면이 구축되게 하여 도로주행 중인 자동차의 측방 영역을 광범위하게 디스플레이하는 측방경(13);으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사각지대 시각확보 기능이 있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경(13)은 중앙경(11)의 일측면에 맞닿으면서 후방으로 젖혀지도록 배치하되 측방경 하단을 중앙경 하단과 일치되는 높이에 이르도록 구비하여 중앙경과 동일선상에서 연접되게 하고, 상기 하방경(12)은 중앙경과 측방경의 하부에 해당하는 영역만큼 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시켜 중앙경과 측방경의 하단에 연접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각지대 시각확보 기능이 있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방경(12)과 측방경(13)은 중앙경(11)을 기점으로 각각 5~15°의 범위 내에서 후방으로 젖혀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지대 시각확보 기능이 있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프레임(20)은 미러부(10)의 각 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중앙경(11)과 측방경(13) 상단에 연접되면서 돌출 배치되는 상부돌출면(21);과 하방경(12) 또는 하방경과 측방경(13) 하단에 연접되면서 돌출 배치되는 하부돌출면(22);과, 중앙경(11)과 하방경(12) 일측 단부에 연접되면서 돌출 배치되는 측부돌출면(23);과, 측방경(13) 또는 측방경과 하방경(12) 타측 단부에 연접되면서 돌출 배치되는 라운드돌출면(24);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돌출면(21); 하부돌출면(22); 측부돌출면(23); 라운드돌출면(24);은 각각 해당 단부의 형상이 미러부를 기점으로 일정 경사면을 가지면서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사각지대 시각확보 기능이 있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돌출면(22)과 라운드돌출면(24)은 각각 상부돌출면(21)과 측부돌출면(23)에 비해 그 돌출 거리를 짧게 한 것에 특징이 있는 사각지대 시각확보 기능이 있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KR1020140054860A 2014-05-08 2014-05-08 사각지대 시각확보가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KR201501280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860A KR20150128076A (ko) 2014-05-08 2014-05-08 사각지대 시각확보가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860A KR20150128076A (ko) 2014-05-08 2014-05-08 사각지대 시각확보가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076A true KR20150128076A (ko) 2015-11-18

Family

ID=54838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860A KR20150128076A (ko) 2014-05-08 2014-05-08 사각지대 시각확보가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80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5506A1 (ko) * 2017-08-17 2019-02-21 (주)에이디지옵틱스 복합 비구면 단일 광학면을 갖는 차량용 실외 후사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5506A1 (ko) * 2017-08-17 2019-02-21 (주)에이디지옵틱스 복합 비구면 단일 광학면을 갖는 차량용 실외 후사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4657B2 (en) Vehicular imaging device
US5424875A (en) Motor vehicle safety mirror
JP2002274262A (ja) 広角バックミラー
US8545071B2 (en) Device for viewing front-lateral area of vehicle
CN111788085A (zh) 信息显示装置
US72643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visibility of vehicle
US20100195228A1 (en) Functional field of view for blind spot mirrors
JP2014169086A (ja) リヤアンダーミラー
CN1863692A (zh) 整体式后视镜
KR20150128076A (ko) 사각지대 시각확보가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US8177283B2 (en) Glass for a vehicle dashboard
US20220390083A1 (en) Lighting module for lateral part of a vehicle
US9290126B2 (en) Exterior rearview mirror
JP5022455B2 (ja) ミラー装置
CN100497045C (zh) 增大车辆外侧后视镜装置的镜子中的视野的方法和实施该方法的车辆
KR200391565Y1 (ko) 승용차용 변곡면 사이드 미러
ES2270692B1 (es) Sistema retrovisor completamente integrado en el interior del automovil.
KR200239140Y1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JP6178624B2 (ja) 車両のリヤアンダミラー
KR200248494Y1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KR200368012Y1 (ko) 시야 확보용 미러가 구비된 차량 보조석의 햇빛가리개
KR200288548Y1 (ko) 사각지대가 해소된 자동차 사이드미러
KR101585101B1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
JP2016107948A (ja) 車両用視認装置
JP5948753B2 (ja) 車両用ミラー及びこの車両用ミラーを備えた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