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7889A -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롤러식 보빈 받침대 - Google Patents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롤러식 보빈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7889A
KR20150127889A KR1020140054037A KR20140054037A KR20150127889A KR 20150127889 A KR20150127889 A KR 20150127889A KR 1020140054037 A KR1020140054037 A KR 1020140054037A KR 20140054037 A KR20140054037 A KR 20140054037A KR 20150127889 A KR20150127889 A KR 20150127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obbin
electric discharge
main body
discharge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창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엔에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엔에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엔에스디
Priority to KR1020140054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7889A/ko
Publication of KR20150127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78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8Wire electrodes
    • B23H7/10Supporting, winding or electrical connection of wire-electr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11/00Auxiliary apparatus o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7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f yarn-winding mach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롤러식 보빈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빈 회전시 받침 롤러와 보빈 간에 슬립(미끄럼)현상이 발생하면서 보빈의 표면에 마모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슬립 및 마모를 방지하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롤러식 보빈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롤러식 보빈 받침대는 본체와; 본체의 선단에 구비되는 전방 롤러와; 본체의 후단에 구비되는 후방 롤러; 로 구성된 보빈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전방 롤러와 후방 롤러는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방 롤러는 좌우에 각각 구비하여 개별적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양 측판의 정원도가 일치하지 않더라도 보빈의 양 측판을 각각의 롤러가 받침으로써 마모가 발생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지 않고 주변이 깨끗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롤러식 보빈 받침대{bobbin supporter of electric discharge machine}
본 발명은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롤러식 보빈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빈 회전시 받침 롤러와 보빈 간에 슬립(미끄럼)현상이 발생하면서 보빈의 표면에 마모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슬립 및 마모를 방지하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롤러식 보빈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빈 받침대는 중량이 많이 나가는 보빈을 안정되게 안치시키면서 보빈을 회전시켜 보빈에 감긴 와이어를 방전 가공기로 지속적으로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보빈 받침대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전후방에 평행하게 축설되며 공회전하는 한 쌍의 전방 롤러(2) 및 후방 롤러(3)와, 후방 롤러(3)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M)와, 보빈(6)에 감긴 와이어(W)를 원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다수의 안내 롤러(R)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빈 받침대에 안착되는 보빈(6)은 원통의 드럼(7)과 드럼(7)의 양단에 확장된 원형의 측판(8)이 구비되어 측판(8) 사이의 드럼(7) 둘레에 와이어(W)가 감겨 보관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보빈 받침대는 전방 롤러(2)와 후방 롤러(3) 위에 보빈(6)이 안착되고, 방전 가공기에서 와이어(W)를 당기면 보빈(6)이 회전하는데 보빈(6)의 하단이 후방 방향으로 회전하며 와이어(W)가 풀린다. 이때, 모터(M)가 후방 롤러(3)를 회전시킴으로써 보빈(6)의 회전을 도와 와이어(W)의 연신을 방지한다.
이 과정에서 보빈(6)의 양측에 구비된 원형의 측판(8)은 전방 롤러(2) 및 후방 롤러(3)와 접촉을 하며 보빈(6)이 회전하게 되는데, 대부분의 양 측판(8)은 정원도가 동일하지 못하고 불량함에 따라 어느 한쪽의 측판(8)이 부분적으로 전방 롤러(2)와 슬립(미끄럼)현상이 발생하면서 측판(8)의 마모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보빈(6)의 마모가 시작되면 양 측판(8)의 불균형은 점차 심해지고 이로 인해 마모 속도 및 정도가 점차 빨라져 결국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면서 주변에 마모된 가루로 인해 지저분해지고 정전기로 인해 주변 장비에 달라붙는 등의 이유로 자주 청소해야 하며 마모된 보빈(6)은 재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Y1 20-1985-0002582(1985.10.24)
이에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보빈의 양 측판의 정원도가 동일하지 않더라도 롤러와의 슬립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롤러식 보빈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롤러식 보빈 받침대는,
본체와; 본체의 선단에 구비되는 전방 롤러와; 본체의 후단에 구비되는 후방 롤러; 로 구성된 보빈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전방 롤러와 후방 롤러는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방 롤러는 좌우에 각각 구비하여 개별적으로 회전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그 일측에 모터가 설치되고, 모터와 후방 롤러를 연결하여 모터에 의해 후방 롤러가 회전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방 롤러는 좌우 각각 구비하여 개별적으로 회전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그 배면에 지지판을 설치하고, 지지판에 다수의 안내 롤러를 설치하여 보빈의 와이어가 안내 롤러를 따라 순차적으로 안내되어 공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롤러식 보빈 받침대는 양 측판의 정원도가 일치하지 않더라도 보빈의 양 측판을 서로 연동되지 않는 각각의 롤러가 받침으로써 마모가 발생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지 않고 주변이 깨끗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롤러식 보빈 받침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식 보빈 받침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식 보빈 받침대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롤러식 보빈 받침대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롤러식 보빈 받침대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롤러식 보빈 받침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식 보빈 받침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식 보빈 받침대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롤러식 보빈 받침대는 본체(10)에 전방 롤러(20)와 후방 롤러(30)를 이격시켜 평행하게 설치하되, 전방 롤러(20)는 좌우에 각각 구비하여 개별적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본체(10)는 하단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받침판(11)과, 받침판(11)의 양단 전후방에 구비되는 축받이(12)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체(10)의 상부에는 보빈(6)의 와이어(W)를 방전 가공기로 안내하는 다수의 안내 롤러(R)가 설치된다.
상기 축받이(12)는 수평의 축공(13)이 형성되는데, 축공(13)은 전방과 후방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네 개가 구비된다. 전방의 축공(13)과 후방의 축공(13)에는 축(S)이 설치되며, 설치된 전방의 축(S)과 후방의 축(S)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다.
전방에 설치된 축(S)의 양측에는 동일한 사이즈의 전방 롤러(20)가 각각 설치된다. 전방 롤러(20)는 원통으로 이루어지며 전방 롤러(20)와 축(S) 간에는 베어링에 의해 조립되어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전방 롤러(20)는 양측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서로 연동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한편, 후방에 설치된 축(S)에는 기다란 원통의 후방 롤러(30)가 설치된다. 이러한 후방 롤러(30)는 축(S)과 일체화되어 축(S)과 같이 회전하며, 축(S)과 축받이(12)의 축공(13) 간에 베어링을 설치하여 축받이(12)로부터 후방 롤러(30)가 원활하게 회전한다. 그리고 본체(10)의 일측에 모터(M)를 설치하고 모터(M) 축과 후방 롤러(30) 축(S)을 연결하여 모터(M)의 구동에 의해 후방 롤러(30)가 강제 회전하도록 하여 중량체인 보빈(6)의 회전을 돕는다. 여기서 모터(M)와 후방 롤러(30) 간의 연결은 벨트와 풀리 또는 기어 등의 동력전달장치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후방 롤러(30)가 감속되며 회전하도록 한다. 아울러 후방 롤러(30)의 외주연에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코팅층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방 롤러(30)에 코팅층이 형성되면 보빈(6)의 측판(7)과 후방 롤러(30) 간의 접지력이 좋아 짐으로써 회전력 전달이 향상된다.
결국, 전방 롤러(20)는 좌우 각각 따로 회전하고, 후방 롤러(30)는 좌우 일체로 회전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보빈 받침대에 보빈(6)을 안착시키면 보빈(6)의 양 측판(8)이 전방 롤러(20)와 후방 롤러(30)에 안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방전 가공기와 보빈 받침대의 모터가 구동하면 방전 가공기에서 와이어(W)를 당기는 힘과 후방 롤러(30)의 회전에 의해 보빈(6)이 회전하고 와이어(W)를 풀며 공급한다. 이 과정에서 보빈(6)의 양 측판(8)이 정원도가 불량하다 하더라도 측판(8)을 받치는 양 전방 롤러(20)가 개별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슬립현상 없이 원활한 구름접촉을 한다. 따라서 측판(8)의 마모가 발생하지 않고 보빈(6)은 소음 및 진동 없이 회전하며 와이어(W)를 공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롤러식 보빈 받침대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 롤러(30)도 전방 롤러(20)와 같이 좌우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후방 롤러(30)와 축(S) 간에 베어링을 설치함으로써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여기서 모터(M)는 어느 한쪽의 후방 롤러(3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전방 롤러(20) 및 후방 롤러(30) 네 개가 서로 개별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슬립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롤러식 보빈 받침대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배면에 지지판(14)이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판(14)에는 다수의 안내 롤러(R)가 설치되고, 이들 안내 롤러(R)에 와이어(W)가 정해진 순서를 따라 순차적으로 감겨 공급한다. 제일 마지막에 감기는 안내 롤러(R)는 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와이어(W)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보빈 받침대에 지지판(14) 및 안내 롤러(R)를 설치하면 와이어(W)의 장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와이어를 공급할 수 있다.
6 : 보빈 7 : 드럼 8 : 측판
10 : 본체 11 : 받침판 12 : 축받이
13 : 축공 14 : 지지판 20 : 전방 롤러
30 : 후방 롤러 M : 모터 R : 안내 롤러
S : 축 W : 와이어

Claims (4)

  1. 본체(10)와; 본체(10)의 선단에 구비되는 전방 롤러(20)와; 본체(10)의 후단에 구비되는 후방 롤러(30);로 구성된 보빈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전방 롤러(20)와 후방 롤러(30)는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방 롤러(20)는 좌우에 각각 구비하여 개별적으로 회전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롤러식 보빈 받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그 일측에 모터(M)가 설치되고, 모터(M)와 후방 롤러(30)를 연결하여 모터(M)에 의해 후방 롤러(30)가 회전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롤러식 보빈 받침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롤러(30)는 좌우 각각 구비하여 개별적으로 회전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롤러식 보빈 받침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그 배면에 지지판(14)을 설치하고, 지지판(14)에 다수의 안내 롤러(R)를 설치하여 보빈(6)의 와이어(W)가 안내 롤러(R)를 따라 순차적으로 안내되어 공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롤러식 보빈 받침대.
KR1020140054037A 2014-05-07 2014-05-07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롤러식 보빈 받침대 KR201501278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037A KR20150127889A (ko) 2014-05-07 2014-05-07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롤러식 보빈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037A KR20150127889A (ko) 2014-05-07 2014-05-07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롤러식 보빈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889A true KR20150127889A (ko) 2015-11-18

Family

ID=54838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037A KR20150127889A (ko) 2014-05-07 2014-05-07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롤러식 보빈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78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20420A (zh) * 2017-11-20 2018-02-23 湖州中洲电磁线有限公司 一种漆包线收线机
KR102271339B1 (ko) 2020-12-04 2021-06-30 주식회사 아영정밀 와이어 방전가공기 공급보빈에 권취된 와이어의 잔량 측정표시장치 및 그 측정표시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20420A (zh) * 2017-11-20 2018-02-23 湖州中洲电磁线有限公司 一种漆包线收线机
KR102271339B1 (ko) 2020-12-04 2021-06-30 주식회사 아영정밀 와이어 방전가공기 공급보빈에 권취된 와이어의 잔량 측정표시장치 및 그 측정표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27889A (ko)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롤러식 보빈 받침대
KR20130005946A (ko) 케이블 견인장치
JP5626692B2 (ja) モーターコイル巻線機のコイル整列供給装置
CN210182142U (zh) 一种用于数据线加工的绞合装置
KR101622623B1 (ko) 케이블 드럼
KR20120122667A (ko) 무대장치
CN110660532B (zh) 一种用于多芯电缆的成缆设备
CN102290154A (zh) 束线机节距调节装置
KR101188728B1 (ko) 레이스 기계의 원사 자동 송출 장치
CN207173036U (zh) 一种辊筒旋转传送式烘架
US2167087A (en) Pipe cleaning apparatus
JP6244586B2 (ja) 撚線製造方法及び撚線機
KR20160064154A (ko) 플라스틱 필름을 감기 위한 와인딩 머신 내의 릴의 전동화 그룹
KR101425617B1 (ko) 로터리타입 케이블 조인트
JP2010037981A (ja) 送液装置
KR101237156B1 (ko) 해초류 종묘사의 배출이 용이한 회권기
FI125579B (en) Brush the machine reel
JP3208797U (ja) ケーブル延線補助具
JP2013035113A (ja) 可動配線配管接続装置
KR101505638B1 (ko) 전선 케이블을 펴기 위한 전선 인장 장치
JP7403766B2 (ja) 架台装置及び線状材引出装置
KR101569873B1 (ko) 연사기의 백트위스트장치
JP2015136262A (ja) ケーブル搬送装置
KR101159909B1 (ko) 수직롤 그리스 주유용 거치장치
CN110255279B (zh) 一种放线架及放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