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7839A - 에너지 저장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에너지 저장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7839A
KR20150127839A KR1020120068058A KR20120068058A KR20150127839A KR 20150127839 A KR20150127839 A KR 20150127839A KR 1020120068058 A KR1020120068058 A KR 1020120068058A KR 20120068058 A KR20120068058 A KR 20120068058A KR 20150127839 A KR20150127839 A KR 20150127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nergy storage
power information
storage de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8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9272B1 (ko
Inventor
문희수
김창욱
박재혁
김상훈
이승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8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272B1/ko
Priority to US13/837,584 priority patent/US9478990B2/en
Priority to EP13002271.8A priority patent/EP2680389B1/en
Priority to CN201310168342.XA priority patent/CN103516056B/zh
Priority to JP2013099494A priority patent/JP2014007945A/ja
Publication of KR20150127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7839A/ko
Priority to US15/274,760 priority patent/US1035548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1Energy harvesting or scaven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40Synchronising a generator for connection to a network or to another gener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70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energy generation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3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renewable energy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4Energy storage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12Energy storage unit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systems or standby or emergency generators, e.g. in the last power distribution sta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팩과, 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내부 전력망으로부터 교류 전원을 입력받거나, 내부 전력망으로 교류 전원을 출력하는 접속부와, 서버로부터 저장할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저장할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내부 전력망으로부터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거나, 서버로부터 내부 전력망에 출력할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출력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팩에 저장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에너지 저장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Energy storage device,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석유나 석탄과 같은 기존 에너지 자원의 고갈이 예상되면서 이들을 대체할 대체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태양광, 풍력,소수력 등을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공급하거나 에너지를 저장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 장치가 사용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팩과, 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내부 전력망으로부터 교류 전원을 입력받거나, 내부 전력망으로 교류 전원을 출력하는 접속부와, 서버로부터 저장할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저장할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내부 전력망으로부터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거나, 서버로부터 내부 전력망에 출력할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출력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팩에 저장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에너지 재생 장치에서 생성되는 재생 전력 정보와, 내부 전력망에 공급되는 상용 전력 정보를 수신하며, 내부 전력망에서 소비되는 부하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부하 전력 정보, 상용 전력 정보, 재생 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내부 전력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저장 장치에 저장할 전력 정보 또는 에너지 저장 장치에서 내부 전력망으로 출력할 전력 정보를 연산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연산된 저장할 전력 정보 또는 출력할 전력 정보를 에너지 저장 장치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방법은, 서버로부터 저장할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저장할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내부 전력망으로부터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변환된 직류 전원을 저장하는 단계와, 서버로부터 내부 전력망에 출력할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출력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변환된 교류 전원을 내부 전력망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방법은, 에너지 재생 장치에서 생성되는 재생 전력 정보와, 내부 전력망에 공급되는 상용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내부 전력망에서 소비되는 부하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부하 전력 정보, 상용 전력 정보, 재생 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내부 전력망을 통해, 에너지 저장 장치에 저장할 전력 정보 또는 에너지 저장 장치에서 내부 전력망으로 출력할 전력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와, 연산된 저장할 전력 정보 또는 출력할 전력 정보를 에너지 저장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에너지 저장장치는,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저장할 전력 정보 또는 출력할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내부 전력망으로부터의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저장하거나, 저장된 직류 전원을 변환하여 내부 전력망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너지 저장장치 내에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에너지 저장장치의 변환부는,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거나, 배터리팩에 저장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별도의 dc/dc 컨버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간단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에너지 저장 장치에 전원이 온 되는 경우, 에너지 저장장치는 서버와 페어링을 수행함으로써, 서버로부터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서버는, 에너지 저장장치에 전원이 온 되는 경우, 전원이 온 된 에너지 저장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함으로써, 동일 내부 전력망 내에 구비되는 에너지 저장장치를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서버는, 복수의 에너지 저장장치에 대해, 서로 다른 복수의 무선 채널을 할당함으로써, 각 에너지 저장장치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서버는, 에너지 재생 장치에서 생성되는 재생 전력 정보와, 내부 전력망에 공급되는 상용 전력 정보, 내부 전력망에서 소비되는 부하 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내부 전력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저장 장치에 저장할 전력 정보 또는 에너지 저장 장치에서 내부 전력망으로 출력할 전력 정보를 연산하고, 연산된 저장할 전력 정보 또는 출력할 전력 정보를 에너지 저장장치로 송신함으로써, 내부 전력망에 접속되는 에너지 저장장치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서버는, 에너지 재생 장치에서 생성되는 재생 전력 정보와, 내부 전력망에 공급되는 상용 전력 정보, 내부 전력망에서 소비되는 부하 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내부 전력망의 외부로 출력할 전력을 연산하고, 연산된 출력 전력 정보를, 내부 전력망에 접속되는 전력 분배부로 송신함으로써, 외부로 해당 전력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시스템 구성도의 일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시스템 구성도의 일예이다.
도 3은 도 1의 전력 공급 시스템 내에 각 장치들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의 일예이다.
도 4는 도 1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에너지 저장장치에 배터리팩의 부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에너지 저장장치에 배터리팩의 부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회로도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배터리팩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서버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7b는 도 12 또는 도 13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시스템 구성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시스템(10)은, 에너지 재생장치로부터 재생되는 재생 전력, 및 상용 발전소(900)로부터의 상용 전력 등을, 전력 분배부(600)를 통해, 내부 전력망(50)으로 공급한다.
또한, 전력 공급 시스템(10)은, 에너지 재생장치로부터 재생되는 재생 전력의 일부 또는 에너지 저장장치에 저장된 저장 전력의 일부를, 전력 분배부(600)를 통해, 전력 거래소(80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공급 시스템(10) 하에서의 에너지 재생장치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태양광 모듈, 풍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풍력 발전 모듈, 지열 등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열 발전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에너지 재생장치로, 각 건물 내에, 간단히 설치 가능한, 태양광 모듈(200)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시스템(10)은, 건물 내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확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집합 건물 내에, 각 가정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이거나, 일정 지역 내에, 복수의 건물들 각각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력 공급 시스템(10)이, 단일 건물 내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인 것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이에 따라, 도 1의 전력 공급 시스템(10)은, 내부 전력망(50), 복수의 에너지 저장장치(100a,100b,...100e), 태양광 모듈(photovaltic module)(200), 전력 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정션 박스(300), 서버(500), 전력 분배부(6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복수의 부하들(700a,700b,...700e)이, 내부 전력망(50)에 연결된 각 접속 단자들(70a,70b,...70e)을 통해, 내부 전력망(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예시한다.
또한, 복수의 에너지 저장장치들(100a,100b,...100e)이, 내부 전력망(50)에 연결된 각 접속 단자들(60a,60b,...60e)을 통해, 내부 전력망(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예시한다.
복수의 에너지 저장장치들(100a,100b,...100e)은, 충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내부 전력망(50)에서의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이를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내부에 구비되거나 부착되는 배터리팩에 직류 전원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에너지 저장장치들(100a,100b,...100e)은, 방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저장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내부 전력망(50)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한편, 복수의 에너지 저장장치들(100a,100b,...100e)의 동작 및 내부 구성은,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에너지 저장장치들(100a,100b,...100e)의 충전 모드와 방전 모드가, 서버(500)로부터의 저장 가능한 전력 정보, 또는 내부 전력망(50)에 출력할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서버(500)는, 각 에너지 저장장치들(100a,100b,...100e)과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500)는, 전력 분배부(600)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500)는, 태양광 모듈(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교류 전원을 출력하는 정션 박스(300)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 외 서버(500)는, 각 부하들(700a,700b,...700e)과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500)는, 각 에너지 저장장치들(100a,100b,...100e) 중 전원이 온 된 상태의 에너지 저장장치들과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서버(500)는, 전원이 온 되는 에너지 저장장치로부터,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무선 채널 할당 신호 등을 포함하는 페어링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서버(500)는, 전원이 온 된 에너지 저장장치와 페어링이 완료된 경우, 할당된 무선 채널을 통해,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의 무선 데이터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RF 방식, WiFi 방식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서버(500)가 WiFi 방식을 통해, 각 에너지 저장장치들(100a,100b,...100e), 각 부하들(700a,700b,...700e), 전력 분배부(600) 또는 정션 박스(300)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한다.
한편, 서버(500)는, 각 에너지 저장장치들(100a,100b,...100e)의 충전 모드와 방전 모드 동작 제어를 위해, 에너지 재생 장치에서 생성되는 재생 전력 정보와, 내부 전력망(50)에 공급되는 상용 전력 정보를 수신하며, 내부 전력망(50)에서 소비되는 부하 전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500)는, 태양광 모듈(200)에서 생성되는 재생 전력 정보를, WiFi 통신을 통해, 정션 박스(300) 또는 전력 분배부(6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서버(500)는, 전력 분배부(600)로부터, WiFi 통신을 통해, 내부 전력망(50)에 공급되는 상용 전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서버(500)는, 각 부하들(700a,700b,...700e)로부터, WiFi 통신을 통해, 각 부하에서 소비되는 부하 전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서버(500)는, 각 에너지 저장장치들(100a,100b,...100e)로부터, WiFi 통신을 통해, 각 에너지 저장장치의 배터리팩에 저장된 전력 정보 또는, 추가로 저장 가능한 전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500)는, 재생 전력 정보, 상용 전력 정보, 부하 전력 정보, 추가 저장 가능한 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각 에너지 저장장치들(100a,100b,...100e)이 충전 모드로 동작할 것을 결정하고, 충전 모드에서, 각 에너지 저장장치들(100a,100b,...100e)에 저장한 전력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또는, 서버(500)는, 재생 전력 정보, 상용 전력 정보, 부하 전력 정보, 추가 저장 가능한 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방전 모드로 동작할 것을 결정하고, 방전 모드에서, 각 에너지 저장장치들(100a,100b,...100e)에서 내부 전력망(50)으로 출력할 전력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500)는, WiFi 통신을 통해, 연산된 저장할 전력 정보 또는 출력할 전력 정보를, 각 에너지 저장장치들(100a,100b,...100e)에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500)는, 도 1의 전력 공급 시스템 하에서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버일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데이터 통신이 수행가능한 무선 네트워크 서버, 즉 무선 공유기일 수 있다.
한편, 서버(500)는, 내부 네트워크 외에,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NAS(network access server)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외부에서, 휴대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를 이용하여, 서버(500)에 원격 접속하여, 서버(5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술한, 서버(500)의 동작 등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서버(500)는, 전력 거래소(8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500)는, 전력 거래소(800)로부터, 전력 거래소(600)에서 공급되는 상용 전력의 전력 가격 정보, 피크 타임 전력 수급 정보 등을 수신할 수도 있다.
또는, 서버(500)는, 전력 분배부(600)를 통해, 전력 거래소(600)에서 공급되는 상용 전력의 전력 가격 정보, 피크 타임 전력 수급 정보 등을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태양광 모듈(200)은, 태양광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태양광 모듈(200)은, 태양전지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태양전지 모듈은, 복수의 태양 전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복수의 태양전지의 하면과 상면에 위치하는 제1 밀봉재(미도시)와 제2 밀봉재(미도시), 제1 밀봉재의 하면에 위치하는 후면 기판(미도시) 및 제2 밀봉재의 상면에 위치하는 전면 기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태양전지는,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화하는 반도체 소자로써, 실리콘 태양전지(silicon solar cell),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compound semiconductor solar cell) 및 적층형 태양전지(tandem solar cell), 염료감응형 또는 CdTe, CIGS형 태양전지 등일 수 있다.
그리고, 각 태양전지는, 전기적으로 직렬 또는 병렬 또는 직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정션 박스(300)는, 태양전지 모듈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입력받아, 전력 변환을 수행하여, 교류 전원을 출력한다. 이를 위해, 정션 박스(300)는, 바이패스 다이오드(미도시), dc/dc 컨버터(미도시), 평활 커패시터, 인버터(미도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그 외, 정션 박스(300)는, 서버(500)와의 통신을 위해,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션 박스(300)는,생성되는 태양광 전력 정보를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정션 박스(300)는, 서버(500)로부터, 태양광 전력 조절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되는 태양광 전력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에서는, 정션 박스(300)에서 출력되는 태양광 전력이, 전력 분배부(600)를 거쳐, 내부 전력망(50)에 공급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전력 분분배부(600)가, 태양광 전력 정보를 서버(5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에서는 정션 박스(300)가 태양광 모듈(200)에 별도로 분리되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와 달리, 태양광 모듈(200)의 배면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시스템 구성도의 일예이다.
도 2의 전력 공급 시스템(10)은, 도 1의 전력 공급 시스템(10)과 거의 동일하나, 다만, 정션 박스(300)에서 출력되는 태양광 전력이, 전력 분배부(600)가 아닌 내부 전력망(50)에, 바로 직접 공급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따라서, 태양광 전력 정보는, 전력 분배부(600)가 아닌, 정션 박스(300)에서 서버(50)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1의 전력 공급 시스템 내에 각 장치들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의 일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력 공급 시스템(10) 내의 각 장치들 중, 서버(500)는 거실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에너지 저장장치(100a)는 거실에, 제2 에너지 저장장치(100b)는 안방에, 제3 에너지 저장장치(100c)는 작은 방에, 제4 에너지 저장장치(100d)는 화장실에, 제5 에너지 저장장치(100e)는 부엌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각 에너지 저장장치들(100a,100b,...100e)은,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접속 단자들(60a,60b,...60e)을 통해, 내부 전력망(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제1 부하(700a)인 TV는 거실에, 제2 부하(700b)인 냉장고는 부엌에, 제3 부하(700c)인 세탁기는 베란다에, 제4 부하(700d)인 에어컨은 작은방에, 제5 부하(700e)인 조리기기는 부엌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각 부하들(700a,700b,...700e)은,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접속 단자들(70a,70b,...70e)을 통해, 내부 전력망(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전력 분배부(600)는, 현관 출입문에 배치될 수 있으며, 태양광 모듈(200)은 건물 지붕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정션 박스(300)는, 전력 분배부 인근에,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거실에 배치되는 서버(500)는, 각 에너지 저장장치들(100a,100b,...100e)과, WiFi 통신을 통해,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500)는, 각 부하들(700a,700b,...700e)과 WiFi 통신을 통해,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500)는, 전력 분배부(600) 또는 정션 박스(300)와 WiFi 통신을 통해,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에너지 저장장치에 배터리팩의 부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100)는, 육면체 형상으로서 일면에 개구된 케이스(110)와, 각 배터리팩의 접속 단자와, 결합하는, 접속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ㄷ자 일체형 구조로서, 개구(hole)가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우측면(105)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배터리팩들(400a,...,400e)은,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우측면(105)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접속부(130)는, 각 배터리팩들(400a,...,400e)의 접속 단자들과 결합하도록, 힌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제2 배터리팩(400b)의 정극성 전원 단자(431a), 부극성 전원 단자(431b), 및 제어신호 단자(431c) 등과 결합하도록, 제2 정극성 전원 접속부(131a), 부극성 전원 접속부(131b), 및 제어신호 접속부(131c)가, 힌지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각 배터리팩들(400a,...,400e)을 에너지 저장장치(100)와 용이하게 탈착 또는 부착시키기 위해, 각 배터리팩들(400a,...,400e)의 전면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서는, 제2 배터리팩(400b)에 손잡이(415a,415b)가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5는, 제1 배터리팩(400a)이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우측면(105)의 최하단에 부착된 상태에서, 제2 배터리팩(400b)이 제1 배터리팩(400a) 상에, 부착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가 제2 배터리팩(400b)의 손잡이(415a,415b)를 잡고,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우측면(105)으로, 제2 배터리팩(400b)을 밀어 넣는 경우, 제2 배터리팩(400b)의 정극성 전원 단자(431a), 부극성 전원 단자(431b), 및 제어신호 단자(431c)는,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정극성 전원 접속부(131b), 부극성 전원 접속부(131b), 및 제어신호 접속부(131b)에 결합된다.
한편, 도 4에서는,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우측면에, 5개의 배터리팩(400a,...,400e)이 에너지 저장장치(100)에 결합가능한 것을 예시하나, 이와 달리 다양한 개수의 설정이 가능하다.
한편, 에너지 저장장치(100) 내부에는 도 8 또는 도 9의 내부 회로들이 배치되므로,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폭(W2)이 배터리팩의 폭(W1) 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에서는, 제1 배터리팩(400a)의 바로 위에, 제2 배터리팩(400b)이 부착되는 것을 예시하나, 이와 달리, 제1 배터리팩(400a)이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측면 중 최하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배터리팩(400b)이 제1 배터리팩(400a)와 이격되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2 배터리팩(400b)이 제1 배터리팩(400a)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므로,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측면에, 빈 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미도시)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지지부재는, 배터리팩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손잡이 형상, 각 접속 단장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는,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측면에, 결합되지 않은 배터리팩 대신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도 1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에너지 저장장치에 배터리팩의 부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6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외관은, 도 4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외관과 유사하나, 도 6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케이스(110) 내에, 배터리팩을 구획하는 격벽들(120a,120b,120c,120d)이 배치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이러한 격벽들(120a,120b,120c,120d)은, 각 배터리팩들(400a,...,400e)이 에너지 저장 장치의 우측면에 부착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격벽들(120a,120b,120c,120d)은, 에너지 저장장치(100)에 부착되는 각 배터리팩들(400a,...,400e)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도 1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9는 도 8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회로도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에너지 저장장치(100)는, 제1 접속부(305), 전력 변환부(310), 제어부(320), 스위칭부(3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5), 탈부착 감지부(340), 제2 접속부(130), 탈부착 가능한 배터리팩(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속부(305)는, 교류 전원 단자(305a,305b)만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에너지 저장장치(100)는, 내부 전력망(50)으로부터 교류 전원을 입력받고, 내부 전력망(50)으로 교류 전원을 출력한다. 이에 따라, 직류 전원 단자는 필요 없으며, 교류 전원 단자(305a,305b만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교류 전원 단자(305a,305b는, 도 1의 에너지 공급 시스템 하에서의, 내부 전력망(50)으로부터의 교류 전원을 입력받거나, 내부 전력망(50)으로 에너지 저장장치(100)에서 변환된 교류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전력 변환부(310)는, 제1 접속부(305)를 통해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변환된 직류 전원은, 스위칭부(330)와 제2 접속부(130)를 거쳐, 배터리팩(4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전력 변환부(310)는, 배터리팩(400)에 저장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변환된 교류 전원은, 제1 접속부(305)를 거쳐, 상술한 내부 전력망(5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력 변환부(310)는, 양방향 dc/a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스위칭부(330)는, 전력 변환부(310)와 제2 접속부(130) 사이에 배치되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스위칭부(330)는, 전력 변환부(310)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제2 접속부(130)로 공급하거나, 제2 접속부(130)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전력 변환부(310)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스위칭부(330)는, 착탈 가능한 배터리팩(400)의 개수에 대응하여, 스위칭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배터리팩(400a)에 대응하는 제1 스위칭 소자(330a)와, 제2 배터리팩(400b)에 대응하는 제1 스위칭 소자(330b)를 예시하나, 그 외, 제3 내지 제5 배터리팩(400c,400d,400e)에 대응하는 제3 내지 제5 스위칭 소자(330c,330d,330e)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5)는, 서버(5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에너지 저장장치(100)에 전원이 온 되는 경우, 페어링 요청 신호를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500)로부터 할당되는 무선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페어링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5)는, 페어링 종료 후, 서버(500)로부터 저장 가능한 전력 정보, 또는 내부 전력망(50)에 출력할 전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5)는, 페어링 종료 후, 서버(500)로, 배터리팩(400)에 저장 가능한 전력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탈부착 감지부(340)는, 배터리팩(400)의 탈착 또는 부착을 감지한다. 탈부착 감지부(340)는, 착탈 가능한 배터리팩(400)의 개수에 대응하여, 탈부착 감지수단(340a,340b,...)을 구비할 수 있다.
탈부착 감지수단(340a,340b,...)은, 각각의 정극성 전원 접속부(132a,132b,...)와 부극성 전원 접속부(134a,134b,...) 사이의 전원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검출을 위해, 저항 소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배터리팩(400a,400b,...)이 부착되는 경우, 정극성 전원 접속부(132a,132b,...)와 부극성 전원 접속부(134a,134b,...) 사이의 전위차는, 각 배터리팩(400a,400b,...)이 저장하고 있는 직류 전원에 대응하게 된다. 탈부착 감지수단(340a,340b,...)은, 이 전위차를 감지하여, 각 배터리팩(400a,400b,...)의 탈착 또는 부착 여부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제1 배터리팩(400a)이 부착되는 경우, 제1 정극성 전원 접속부(132a)와 제1 부극성 전원 접속부(134a) 사이의 전위차는, 제1 배터리팩(400a)에 저장되 직류 전원에 대응한다. 제1 탈부착 감지수단(340a)은 이를 감지하고, 직류 전원 레벨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 부착으로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배터리팩(400a)이 탈착되는 경우, 제1 정극성 전원 접속부(132a)와 제1 부극성 전원 접속부(134a) 사이의 전위차는, 0V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탈부착 감지수단(340a)은 이를 감지하고, 직류 전원 레벨이 소정 레벨 미만 경우, 탈착으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탈부착 감지수단(340a,340b,...)은, 각각의 정극성 전원 접속부(132a,132b,...)와 부극성 전원 접속부(134a,134b,...)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전류 검출을 위해, 전류센서, CT(current trnasformer), 션트 저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터리팩(400a)이 부착되는 경우, 제1 정극성 전원 접속부(132a)와 제1 부극성 전원 접속부(134a) 사이에 페루프(closed loop)가 형성되어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제1 탈부착 감지수단(340a)은 이를 감지하고, 직류 전류 레벨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 부착으로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배터리팩(400a)이 탈착되는 경우, 제1 정극성 전원 접속부(132a)와 제1 부극성 전원 접속부(134a) 사이에 개루프(opeen loop)가 형성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즉, 해당 전류는 0A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탈부착 감지수단(340a)은 이를 감지하고, 직류 전류 레벨이 소정 레벨 미만 경우, 탈착으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탈부착 감지수단(340a,340b,...)에서 각각 감지된 전원 또는 전류는 제어부(320)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접속부(305)에서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감지하는 교류 전원 감지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류 전원 감지부(미도시)는, 제1 접속부(305)의 교류 단자(305a) 사이의 전원 또는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감지된 전원 또는 전류는 제어부(320)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2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배터리팩(400)으로 저장하도록 제어하거나, 배터리팩(400)에 저장된 직류 전원을 변환하여 변환된 교류 전원을 외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320)는, 배터리팩(400)을 충전 모드 또는 방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 모드 또는 방전 모드 동작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500)로부터 수신되는 저장 가능한 전력 정보, 또는 내부 전력망(50)에 출력할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20)는, 저장할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1 접속부(305)를 통해, 저장할 전력에 대응하는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전력 변환부(310)에서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변환된 직류 전원을 배터리팩(40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에너지 저장장치(100)가 방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칭부(330)의 해당 스위칭 소자를 턴 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 가능한 전력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이, 배터리팩(400)에 간단하게 저장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 제어부(320)는, 내부 전력망(50)에 출력할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출력 전력에 대응하여, 배터리팩(400)에 저장된 직류 전원이 전력 변환부(310)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20)는, 전력 변환부(310)에서, 해당 직류 전원이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에너지 저장장치(100)가 충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20)는, 스위칭부(330)의 해당 스위칭 소자를 턴 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팩(400)에 저장된 직류 전원이 간단하게 변환되어, 내부 전력망(50)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320)는, 복수의 배터리팩이 에너지 저장장치(100)에 부착된 경우, 각 배터리팩에 저장된 직류 전원 레벨을 입력받아, 각 배터리팩 사이에, 전원 밸런싱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20)는, 제1 배터리팩(400a)과 제2 배터리팩(400b)이, 각각 에너지 저장장치(100)에 부착된 경우, 제1 배터리팩(400a)과 제2 배터리팩(400b)의 각각 감지된 직류 전원 레벨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각 감지된 직류 전원 레벨을 비교하여, 전원 밸런싱이 되도록, 제1 배터리팩(400a)과 제2 배터리팩(400b) 중 어느 하나는 충전 모드로 동작하고, 다른 하나는 방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20)는, 제1 배터리팩(400a)의 직류 전원 레벨이, 제2 배터리팩(400b)의 직류 전원 레벨 보다 큰 경우, 제1 배터리팩(400a)을 방전 모드로 동작시키고, 제2 배터리팩(400b)을 충전 모드로 동작시켜, 각 배터리팩(400a,400b)에 동일한 직류 전원이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20)는, 스위칭부(330) 내의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의 결선 관계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20)는, 탈부착 감지부(340)에서 감지된 배터리팩(400)의 탈착 또는 부착 여부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팩(400)이 부착되는 경우, 바로 스위칭부(330)의 동작을 제어하여, 해당 스위칭 소자가 턴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팩(400)이 에너지 저장장치(100)에 부착되는 경우, 에너지 저장장치(100) 내부에, 갑작스럽게 돌입 전류(inrush curremt)가 발생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00) 내의 회로 소자들을 소손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배터리팩(400)이 에너지 저장장치(100)에 부착되는 경우, 제어부(320)는, 제1 오프 기간 동안, 스위칭부(330)의 동작을 제어하여, 해당 스위칭 소자가 턴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1 오프 기간은, 부착된 배터리팩의 개수가 많을수록, 더 길어질 수 있다. 즉, 부착된 배터리팩의 개수가 많을수록, 돌입 전류의 피크치는 더 커질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스위칭부(330) 내의 해당 스위칭 소자의 턴 오프 기간이 커지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제1 오프 기간 이후에, 배터리팩(400)은, 제어부(920)의 제어 동작에 따라, 충전 모드 또는 동작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즉, 스위칭부(330) 내의 해당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배터리팩(400)이 에너지 저장장치(100)에서 탈착되는 경우, 에너지 저장장치(100) 내부에, 갑작스럽게 돌입 전류(inrush curremt)가 발생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00) 내의 회로 소자들을 소손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배터리팩(400)이 에너지 저장장치(100)에서 탈착되는 경우, 제어부(320)는, 제2 오프 기간 동안, 스위칭부(330)의 동작을 제어하여, 해당 스위칭 소자가 턴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2 오프 기간은, 부착된 배터리팩의 개수가 많을수록, 더 길어질 수 있다. 즉, 부착된 배터리팩의 개수가 많을수록, 돌입 전류의 피크치는 더 커질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스위칭부(330) 내의 해당 스위칭 소자의 턴 오프 기간이 커지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어부(320)는, 전력 변환부(310) 내의, 양방향 dc/ac 컨버터 내의 스위칭 소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0)는, 제1 배터리팩(400a)에 대해 충전 모드로 동작하는 상황에서, 제2 배터리팩(400b)이 부착되는 경우, 제1 오프 기간 동안, 스위칭부(330)의 각 스위칭 소자(330a,330b)를 모두 턴 오프시키다가, 제1 배터리팩(400a)이 아닌 제2 배터리팩(400b)에 대해 충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오프 기간 이후에, 제1 스위칭 소자(330a)는 턴 오프 유지하고, 제2 스위칭 소자(330b)는 턴 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배터리팩에 대해, 골고루 충전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도 8의 배터리팩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배터리팩(400)은, 배터리팩 케이스(410) 내에, 접속부(430), 배터리 제어부(460), 배터리셀부(480), 온도 조절부(470)를 포함한다.
접속부(430)는,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제2 접속부(130)에 부착되도록, 돌출 구조의 접속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극성 전원 단자(431a), 부극성 전원 단자(431b), 및 제어신호 단자(431c) 등의 접속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단자들(431a,431b,431c)은, 배터리팩 부착시, 힌지 구조의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접속 단자들(131a,131,b,131c)과 결합하게 된다.
배터리셀부(480)는, 복수의 배터리셀들을 구비한다. 이러한 배터리셀들은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 혼합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배터리셀부(480)는, 정극성 전원 단자(431a)와, 부극성 전원 단자(431b)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온도 조절부(470)는, 배터리셀부(480)의 온도를 조절한다. 이를 위해, 온도 조절부(470)는, 온도 감지 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배터리셀부(48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온도 조절부(470)는, 팬 구동 수단(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배터리셀부(480)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팬을 구동할 수 있다. 팬 구동 수단은, 온도 조절의 효율 향상을 위해, 모든 배터리셀이 배치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배터리 제어부(460)는, 배터리팩(4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셀부(480)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 올라간 경우, 온도 조절부(470)를 제어하여, 온도를 낮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배터리 제어부(460)는, 배터리셀부(480) 내의 각 배터리셀에 저장되는 직류 전원의 밸런싱을 조절할 수 있다. 배터리셀에 저장되는 직류 전원을 감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직류 전원의 밸런싱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제어부(460)는, 배터리팩(400)이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접속부(130)에 부착되는 경우, 배터리팩(400)의 상태 정보(온도, 저장된 전원 레벨 등)를 제어신호 단자(431c)를 통해, 에너지 저장장치(100)에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 정보는,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제어부(320)에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제어부(360)는, 제어신호 단자(431c)를 통해,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상태 정보(필요 전원 레벨 등)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의 서버의 내부 블록도이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서버(500)는, 네트워크 서버로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30), 저장부(540), 및 프로세서(520)를 구비할 수 있다.
서버(500)는, 전력 공급 시스템 내의 각 장치들과 데이터를 무선으로 교환하고, 특히, 복수의 에너지 저장장치(100a,100b,...100e)을 제어하여, 충전 모드 또는 방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30)는, 복수의 에너지 저장장치(100a,100b,...100e) 중 전원이 온 되는 에너지 저장장치로부터,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프로세서(520)에서 생성되는 페어링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페어링 응답 신호는, 무선 채널 할당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30)는, 각 에너지 저장장치들(100a,100b,...100e)의 충전 모드와 방전 모드 동작 제어를 위해, 에너지 재생 장치에서 생성되는 재생 전력 정보와, 내부 전력망(50)에 공급되는 상용 전력 정보를, 수신하며, 내부 전력망(50)에서 소비되는 부하 전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30)는, 태양광 모듈(200)에서 생성되는 재생 전력 정보를, WiFi 통신을 통해, 정션 박스(300) 또는 전력 분배부(6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서버(500)는, 전력 분배부(600)로부터, WiFi 통신을 통해, 내부 전력망(50)에 공급되는 상용 전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서버(500)는, 각 부하들(700a,700b,...700e)로부터, WiFi 통신을 통해, 각 부하에서 소비되는 부하 전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서버(500)는, 각 에너지 저장장치들(100a,100b,...100e)로부터, WiFi 통신을 통해, 각 에너지 저장장치의 배터리팩에 저장된 전력 정보 또는, 추가로 저장 가능한 전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520)는, 서버(500)이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20)는, 수신되는 재생 전력 정보, 상용 전력 정보, 부하 전력 정보, 추가 저장 가능한 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각 에너지 저장장치들(100a,100b,...100e)이 충전 모드로 동작할 것을 결정하고, 충전 모드에서, 각 에너지 저장장치들(100a,100b,...100e)에 저장한 전력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520)는, 재생 전력 정보, 상용 전력 정보, 부하 전력 정보, 추가 저장 가능한 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방전 모드로 동작할 것을 결정하고, 방전 모드에서, 각 에너지 저장장치들(100a,100b,...100e)에서 내부 전력망(50)으로 출력할 전력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저장부(540)는, 무선 네트워크 제공을 위한, 외부 아이피 주소, 내부적으로 할당한 가상의 아이피 주소, 그리고, 각 가상의 아이피에 대응하는, 무선 채널명, 주파수 범위, 보안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500)를 통해, 네트워크 접속되는, 각 장치들의 장치명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14 내지 도 17b는 도 12 또는 도 13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제어부(320)는, 전원이 온 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1210). 그리고 해당하는 경우, 에너지 저장장치(100)는, 서버로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1220). 그리고, 에너지 저장장치(100)는, 서버로부터 페어링응답 신호를 수신한다(S1230).
도 15a와 같이,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전원 단자(112)가 전원 컨센트(60)에 연결되는 경우, 에너지 저장장치(100)가 내부 전력망(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에너지 저장장치(100)는, 내부 전력망(50)에서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제1 접속부(305)를 통해 입력받고, 전력 변환부(310)에서,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다. 변환된 직류 전원은, 동작 전원으로서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각 모듈에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20)는, 동작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전원이 온 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5)를 통해, 서버(500)로, 동작이 온 되었음을 알리는,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500)는,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1320)), 해당하는 경우, 해당 에너지 저장장치(100)로 페어링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S1330).
서버(5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30)는, 에너지 저장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페어링 요청 신호를, 프로세서((520)로 전달한다. 서버(500)의 프로세서(520)는, 페어링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에너지 저장장치(100)에 무선 채널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페어링 응답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30)를 통해, 에너지 저장장치(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도 15b는, 에너지 저장장치(100)에서 페어링 요청 신호(Sp1)이 서버(500)로 전송되고, 서버(500)에서 페어링 응답 신호(Sp2)이 에너지 저장장치(1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14의 제1410 단계(S1410)는 도 12의 제1210 단계(S1210)에 대응하며, 도 14의 제1420 단계(S1420)는 도 12의 제1220 단계(S1220)와 도 13의 제1320 단계(S1320)에 대응하며, 도 14의 제1430 단계(S1430)는 도 12의 제1230 단계(S1230)와 도 13의 제1330 단계(S1330)에 대응한다.
다음, 서버(500)는, 내부 전력망에 공급되는 상용 전력 정보, 재생 전력 정보를 수신한다(S1332). 그리고, 서버(500)는, 내부 전력망에서 소비하는 부하 전력 정보를 수신한다(S1334). 그리고, 에너지 저장장치에 저장할 전력 정보 또는 에너지 저장장치에서 출력할 전력 정보를 연산한다(S1338). 그리고, 연산된 저장할 전력 정보 또는 출력할 전력 정보를 에너지 저장장치로 전송한다(S1340).
서버(500)는, 태양광 모듈(200)에서 재생되는 태양광 전력 정보 또는 정션 박스(300)에서 변환되는 태양광 전력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3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태양광 전력 정보는, WiFi 통신을 통해, 정션 박스(500) 또는 전력 분배부(600)에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서버(5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30)는, 상용 전력 정보, 부하 전력 정보, 추가 저장 가능한 전력 정보 등을 더 수신할 수 있다.
상용 전력 정보는, 전력 분배부(600)에서, WiFi 통신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부하 전력 정보는, 전력 분배부(600)에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분배부(600)가 내부 전력망(50)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을 연산하는 전력계량기를 구비하는 경우, 이를 통해, 부하 전력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전력 분배부(600)에서 연산되는 부하 전력 정보는, WiFi 통신을 통해, 서버(5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부하 전력 정보는, 각 부하들(700a,700b,...700e)에 구비되는 전력 연산기를 통해 연산된 후, WiFi 통신을 통해, 서버(500)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서버(500)는, 에너지 저장장치(100)로부터, 배터리팩(400)에, 추가로 저장 가능한 전력 정보를, WiFi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도 15c는, 저장 가능한 전력 정보(IPes)가, 에너지 저장장치(100)에서 서버(5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또한, 도 15c는, 태양광 모듈(200)에서 생성되는 재생 전력 정보(IPso), 내부 전력망(50)에 공급되는 상용 전력 정보(IPco), 각 부하에서 소비되는 부하 전력 정보(IPL)가, 전력 분배부(600)에서, 서버(5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서버(500)의 프로세서(520)는, 수신되는 재생 전력 정보(IPso), 상용 전력 정보(IPco), 부하 전력 정보(IPL), 추가 저장 가능한 전력 정보(IPes)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각 에너지 저장장치들(100a,100b,...100e)이 충전 모드로 동작할 지 또는 방전 모드로 동작할 지를 결정한다.
서버(500)의 프로세서(520)는, 충전 모드인 경우, 각 에너지 저장장치들(100a,100b,...100e)에 저장할 전력 정보를 연산할 수 있으며, 방전 모드인 경우, 각 에너지 저장장치들(100a,100b,...100e)에서 내부 전력망(50)으로 출력할 전력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한편, 서버(5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30)는, 충전 모드인 경우, 저장할 전력 정보를, 각 에너지 저장장치들(100a,100b,...100e)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서버(5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30)는, 방전 모드인 경우, 출력할 전력 정보를, 각 에너지 저장장치들(100a,100b,...100e)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저장할 전력 정보는, 충전 시작 명령(charge start command) 또는 충전 종료 명령(charge stop comman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출력할 전력 정보는, 방전 시작 명령(discharge start command) 또는 방전 종료 명령(discharge stop comman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4의 제1432 단계(S1432)는 도 13의 제1332 단계(S1332)에 대응하며, 도 14의 제1438 단계(S1438)는 도 14의 제1338 단계(S1338)에 대응하며, 도 14의 제1440 단계(S1440)는 도 12의 제1240 단계(S1240)와 도 13의 제1340 단계(S1340)에 대응한다.
다음,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제어부(320)는, 서버(500)로부터 저장할 전력 정보가 수신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1240). 그리고 해당하는 경우, 에너지 저장장치(100)는, 수신되는 저장할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내부 전력망으로부터 교류 전원을 입력받고, 이를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배터리팩(400)에 저장한다(S1250).
도 15d는, 저장할 전력 정보(IPps)가, 서버(500)에서 에너지 저장장치(1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5)는, 서버(500)로부터 저장할 전력 정보(IPps)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320)에 이를 전달한다.
제어부(320)는, 저장할 전력 정보(IPps)를 수신하는 경우, 제1 접속부(305)를 통해, 저장 가능 전력에 대응하는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전력 변환부(310)에서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변환된 직류 전원을 배터리팩(40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 가능한 전력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이, 배터리팩(400)에 간단하게 저장될 수 있게 된다.
도 15e는, 저장할 전력 정보(IPps)에 대응하는 전력(Pps), 즉 교류 전원이, 내부 전력망(50)에서, 에너지 저장장치(100)로 공급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14의 제1450 단계(S1450)는 도 12의 제1250 단계(S1250)에 대응한다.
다음,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제어부(320)는, 서버(500)로부터 출력할 전력 정보가 수신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1260). 그리고 해당하는 경우, 에너지 저장장치(100)는, 수신되는 출력할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변환된 직류 전원을 내부 전력망으로 출력한다(S1270).
도 15f는, 출력할 전력 정보(IPpo)가, 서버(500)에서 에너지 저장장치(1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5)는, 서버(500)로부터 출력할 전력 정보(IPpo)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320)에 이를 전달한다.
제어부(320)는, 출력할 전력 정보(IPpo)를 수신하는 경우, 출력할 전력에 대응하여, 배터리팩(400)에 저장된 직류 전원이 전력 변환부(310)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20)는, 전력 변환부(310)에서, 해당 직류 전원이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팩(400)에 저장된 직류 전원이 간단하게 변환되어, 내부 전력망(50)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도 15g는, 출력할 전력 정보(IPpo)에 대응하는 전력(Ppo), 즉 교류 전원이, 에너지 저장장치(100)에서, 내부 전력망(50)으로 공급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와 같이, 내부 전력망(50)에, 에너지 저장장치(100)에 저장된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상용 교류 전력의 소비가 적어질 수 있게 된다. 즉, 태양광 모듈로부터의 태양광 전력 등의 재생 에너지를 에너지 저장장치에 저장하였다가, 이를 내부 전력망에 공급함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용 교류 전력의 소비가 적어지므로, 상용 전력 소비 비용이 저감되게 된다.
한편, 서버(500)는, 에너지 저장장치가 추가되거나, 감소될때 마다 이를 감지하고, 추가되거나 감소되는 에너지 저장장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추가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원이 온되는 경우, 페어링 등을 수행하여, 에너지 저장장치의 정보를 새롭게 저장하고,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반대로, 기존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사용하던 무선 채널이 사용하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해당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감지하고, 전원 오프된 에너지 저장장치의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서버(500)는, 에너지 재생 장치에서 생성되는 재생 전력 정보와, 내부 전력망에 공급되는 상용 전력 정보, 내부 전력망에서 소비되는 부하 전력 정보 등에 기초하여, 상용 전력이 최소로 사용되고, 재생 전력이 최대로 사용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재생 전력은 내부 전력망(50)에 모두 공급하도록, 전력 분배부(600)에 해당 정보를 제공하고, 상용 전력은, 내부 부하 전력 정보를 고려하여, 최소한의 상용 전력만이 내부 전력망(50)에 공급되도록, 전력 분배부(600)에 해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버(500)는, 스마트 그리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시간대 별로 상용 전력의 비용이 차별화되는 경우, 상용 전력이 저렴한 시간대에, 상용 전력이 내부 전력망(50)에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전력망(50)에 공급되는 상용 전력을, 각 에너지 저장장치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서버(500)는, 상용 전력이 비싼 시간대에, 에너지 저장장치에 저장된 전력이 내부 전력망(50)에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용 전력 가격 정보는, 전력 거래소(800) 또는 전력 분배부(600)를 통해, 서버(500)로 수신될 수 있다.
다음, 도 16a 내지 도 16e는, 도 15c 내지 도 15g에 대응하며, 그 차이로는, 복수의 에너지 저장장치에 대해, 서버(50))가 정보를 수신하거나, 송신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즉, 도 16a는, 저장 가능한 전력 정보(IPes1,IPes2,...IPes5)가, 각 에너지 저장장치들(100a,100b,...100e)에서 서버(5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또한, 도 16a는, 태양광 모듈(200)에서 생성되는 재생 전력 정보(IPso), 내부 전력망(50)에 공급되는 상용 전력 정보(IPco), 각 부하에서 소비되는 부하 전력 정보(IPL)가, 전력 분배부(600)에서, 서버(5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6b는, 저장할 전력 정보(IPps1,IPps2,...,IPps5)가, 서버(500)에서 각 에너지 저장장치들(100a,100b,...100e)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6c는, 저장할 전력 정보(IPps1,IPps2,...,IPps5)에 대응하는 전력(Pps1,Pps2,...,Pps5), 즉 교류 전원이, 내부 전력망(50)에서, 각 에너지 저장장치들(100a,100b,...100e)로 공급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6d는, 출력할 전력 정보(IPpo1,IPpo2,...,IPpo5)가, 서버(500)에서 각 에너지 저장장치들(100a,100b,...100e)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6e는, 출력할 전력 정보(IPpo1,IPpo2,...,IPpo5)에 대응하는 전력(Ppo1,Ppo2,...,Ppo5), 즉 교류 전원이, 각 에너지 저장장치들(100a,100b,...100e)에서, 내부 전력망(50)으로 공급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각 에너지 저장장치들(100a,100b,...100e)이, 도 16c와 같이, 모두 충전 모드로 동작하거나, 도 16e와 같이, 모두 방전 모드로 동작하는 것 외에, 다른 경우도 가능하다.
즉, 일부 방전 모드, 일부 충전 모드로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6f는, 저장할 전력 정보(IPps1)와, 출력할 전력 정보(IPpo2,...,IPpo5)가, 서버(500)에서 각 에너지 저장장치들(100a,100b,...100e)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6g는, 저장할 전력 정보(IPps1)에 대응하는 전력(Pps1), 즉 교류 전원이, 내부 전력망(50)에서, 제1 에너지 저장장치(100a)로 공급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리고, 출력할 전력 정보(IPpo2,...,IPpo5)에 대응하는 전력(Ppo2,...,Ppo5), 즉 교류 전원이, 제2 내지 제5 에너지 저장장치들(100b,...100e)에서, 내부 전력망(50)으로 공급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시스템(10)은, 에너지 재생장치로부터 재생되는 재생 전력의 일부 또는 에너지 저장장치에 저장된 저장 전력의 일부를, 전력 분배부(600)를 통해, 전력 거래소(80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500)의 프로세서(520)는, 부하 전력 정보(IPL), 상용 전력 정보(IPco), 재생 전력 정보(IPso), 각 에너지 저장장치에 저장된 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내부 전력망(50)의 외부로 출력할 전력을 연산할 수 있다. 즉, 전력 거래소(800)로 전송할 외부 출력 전력을 연산할 수 있다.
서버(5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30)는, 연산된 외부 출력 전력 정보를, 내부 전력망(50)에 상용 전력을 분배하여 공급하는 전력 분배부(6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 분배부(600)는, 내부 전력망(50)에 공급되고 있는 교류 전원의 일부를, 외부로, 특히 전력 거래소(800)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그 외, 서버(500)는, 전력 거래소(800)로부터, 전력 소비의 피크 시간대 등에서, 전력 전송 요청이 있는 경우, 에너지 재생장치로부터 재생되는 재생 전력의 일부 또는 에너지 저장장치에 저장된 저장 전력의 일부를, 전력 분배부(600)를 통해, 전력 거래소(800)로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7a는, 외부 출력 전력 정보(IPdi)가, 전력 분배부(6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7b는, 외부 출력 전력 정보(IPdi)에 대응하는 외부 출력 전력(Pdi), 즉 교류 전원이, 전력 분배부(600)에서 전력 거래소(8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시스템(10) 하의 복수의 에너지 저장장치(100a,100b,...100e)와, 복수의 부하들(700a,700b,...700e)은, 일대일 대응하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와 달리, 하나의 에너지 저장장치에, 복수의 부하들이 할당되어 대응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에너지 저장장치는, 그 위치가 인접한 부하들에 대응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하나의 에너지 저장장치는, 복수의 부하들에서 소비되는 소비 전력에 따라, 내부 전력망(50)으로 에너지 저장장치에 저장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대응되는 부하들은, 해당 에너지 저장장치에서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바로, 소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전력 공급 시스템(10)하에서, 국부적으로, 전력 소비가 필요한 지점에, 해당 에너지 저장장치가 방전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도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서버(50)는, 각 에너지 저장장치의 위치 정보, 각 부하들의 위치 정보, 각 부하들의 소비 전력 정보 등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에너지 저장장치의 위치 정보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페어링시, 신호의 세기 등에 따라, 연산될 수 있다. 또한, 부하들의 위치 정보도, 부하와 서버와의 페어링시, 신호의 세기 등에 따라, 연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방법 또는 서버의 동작방법은 에너지 저장장치 또는 서버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1)

  1.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팩;
    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내부 전력망으로부터 교류 전원을 입력받거나, 상기 내부 전력망으로 교류 전원을 출력하는 접속부; 및
    상기 서버로부터 저장할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저장할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내부 전력망으로부터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거나,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내부 전력망에 출력할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출력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팩에 저장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저장할 전력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충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전력 변환부를 제어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내부 전력망에 출력할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방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전력 변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모드인 경우, 상기 전력 변환부에서 변환된 직류 전원이 상기 배터리팩에 충전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팩이 탈착 또는 부착되는 제2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에 제1 배터리팩이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접속부에 제2 배터리팩이 더 부착되는 경우, 상기 제1 배터리팩 및 상기 제2 배터리팩과의 전기적 연결을 소정 기간 동안 오프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전원이 온 되는 경우, 상기 서버로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페어링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저장할 전력 정보와, 상기 내부 전력망에 출력할 전력 정보를, 다른 에너지 저장장치와는 다른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7. 에너지 재생 장치에서 생성되는 재생 전력 정보와, 내부 전력망에 공급되는 상용 전력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내부 전력망에서 소비되는 부하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부하 전력 정보, 상용 전력 정보, 재생 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내부 전력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저장 장치에 저장할 전력 정보 또는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에서 상기 내부 전력망으로 출력할 전력 정보를 연산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연산된 저장할 전력 정보 또는 상기 출력할 전력 정보를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로부터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로 페어링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에 저장 가능한 전력 정보를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에너지 저장장치에 대해, 서로 다른 복수의 무선 채널을 할당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각 에너지 저장장치에 대해, 서로 다른 무선 채널을 통해, 상기 연산된 저장할 전력 정보 또는 상기 출력할 전력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에너지 저장장치에 대해, 서로 다른 복수의 무선 채널을 할당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각 에너지 저장장치에 대해, 서로 다른 무선 채널을 통해, 상기 연산된 저장할 전력 정보 또는 상기 출력할 전력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내부 전력망에 상용 전력을 분배하여 공급하는 전력 분배부로부터, 에너지 재생 장치에서 생성되는 재생 전력 정보와, 내부 전력망에 공급되는 상용 전력 정보, 및 상기 내부 전력망에서 소비되는 부하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부하 전력 정보, 상용 전력 정보, 재생 전력 정보,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에 저장된 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내부 전력망의 외부로 출력할 전력을 연산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연산된 외부 출력 전력 정보를, 상기 내부 전력망에 상용 전력을 분배하여 공급하는 전력 분배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다른 에너지 저장장치와는 다른 무선 채널을 통해, 상기 전력 분배부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5. 서버로부터 저장할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저장할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내부 전력망으로부터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직류 전원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내부 전력망에 출력할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출력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교류 전원을 상기 내부 전력망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전원이 온 되는 경우, 상기 서버로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페어링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할 전력 정보와, 상기 내부 전력망에 출력할 전력 정보는, 다른 에너지 저장장치와는 다른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방법.
  18. 에너지 재생 장치에서 생성되는 재생 전력 정보와, 내부 전력망에 공급되는 상용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내부 전력망에서 소비되는 부하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부하 전력 정보, 상용 전력 정보, 재생 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내부 전력망을 통해, 에너지 저장 장치에 저장할 전력 정보 또는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에서 상기 내부 전력망으로 출력할 전력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저장할 전력 정보 또는 상기 출력할 전력 정보를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의 동작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로부터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로 페어링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의 동작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에 저장 가능한 전력 정보를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의 동작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복수의 에너지 저장장치에 대해, 서로 다른 복수의 무선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송신 단계는,
    상기 각 에너지 저장장치에 대해, 서로 다른 무선 채널을 통해, 상기 연산된 저장할 전력 정보 또는 상기 출력할 전력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의 동작방법.
KR1020120068058A 2012-06-25 2012-06-25 에너지 저장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 KR101979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058A KR101979272B1 (ko) 2012-06-25 2012-06-25 에너지 저장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
US13/837,584 US9478990B2 (en) 2012-06-25 2013-03-15 Energy storage device, and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3002271.8A EP2680389B1 (en) 2012-06-25 2013-04-29 Energy storage device,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310168342.XA CN103516056B (zh) 2012-06-25 2013-05-09 能量存储装置、服务器及其控制方法
JP2013099494A JP2014007945A (ja) 2012-06-25 2013-05-09 エネルギー貯蔵装置、サーバ及びその動作方法
US15/274,760 US10355488B2 (en) 2012-06-25 2016-09-23 Energy storage device, and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058A KR101979272B1 (ko) 2012-06-25 2012-06-25 에너지 저장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839A true KR20150127839A (ko) 2015-11-18
KR101979272B1 KR101979272B1 (ko) 2019-05-16

Family

ID=48184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058A KR101979272B1 (ko) 2012-06-25 2012-06-25 에너지 저장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478990B2 (ko)
EP (1) EP2680389B1 (ko)
JP (1) JP2014007945A (ko)
KR (1) KR101979272B1 (ko)
CN (1) CN10351605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0012A1 (ko) * 2020-09-18 2022-03-24 주식회사 세수 블록체인 기반으로 전력 소비 내역을 인증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3125A (ko) * 2012-08-17 2014-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 전력 관리 장치,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N106104954A (zh) * 2014-03-12 2016-11-09 日本电气株式会社 蓄电池共用系统、信息处理装置、蓄电池共用方法、和记录蓄电池共用程序的记录介质
KR102270104B1 (ko) * 2014-08-14 2021-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WO2016065241A1 (en) 2014-10-24 2016-04-28 Enphase Energy, Inc. Parallel battery system
JP6516101B2 (ja) * 2015-03-09 2019-05-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蓄電池収納装置
US10116460B2 (en) 2015-06-03 2018-10-30 sonnen GmbH Remote battery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device, and remote battery management method
KR101727390B1 (ko) * 2015-07-28 2017-04-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하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E102015011230A1 (de) * 2015-08-25 2017-03-02 Audi Ag Energiespeichervorrichtung für ein elektrisches Wechselspannungsnetz
KR102610440B1 (ko) * 2016-08-08 2023-12-06 상라오 징코 솔라 테크놀러지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태양광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시스템
US10700521B2 (en) * 2017-04-28 2020-06-30 Lsis Co., Ltd. Hierarchical type power control system
US11029941B2 (en) * 2017-11-30 2021-06-08 Nanjing Cherv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device and program update method thereof
PL3588727T3 (pl) * 2018-06-28 2022-06-13 E.On Se Urządzenie do podłączania odbiorców do sieci zaopatrujących w energię
WO2020060943A1 (en) * 2018-09-17 2020-03-26 Caban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ergy storage and power distribution
EP3657409A1 (en) * 2018-11-23 2020-05-27 Total Solar Computer-implemented method of providing technical sizing parameters of an energy supply system,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such technical sizing parameters, and computer system for providing such an energy supply system
TW202137620A (zh) * 2020-03-25 2021-10-01 飛宏科技股份有限公司 雙埠電池充電系統及其充電方法
EP4210147A4 (en) * 2020-09-03 2024-02-21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BATTERY MANAGEMENT SYSTEM
WO2024043361A1 (ko) * 2022-08-24 2024-02-29 주식회사 그리다에너지 마이크로그리드의 분산형 부하 노드 간 ac 전력 분배 시스템
CN117901664B (zh) * 2024-03-19 2024-06-21 四川凯迈新能源有限公司 基于个性化配置的动力电池管理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0826A (ja) * 2005-08-25 2007-03-08 Shimizu Corp 電力貯蔵装置の運用システム
JP2008219979A (ja) * 2007-02-28 2008-09-18 Omron Corp 電力供給システムおよび電力供給方法
JP2011100669A (ja) * 2009-11-06 2011-05-19 Toshiba Corp 二次電池装置及びその組電池交換方法
JP2012060835A (ja) * 2010-09-10 2012-03-22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蓄電装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8076B2 (ja) * 2002-04-16 2007-04-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直流バックアップ電源装置
JP4846621B2 (ja) * 2007-02-28 2011-12-28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732403B2 (ja) * 2007-06-25 2011-07-2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蓄電池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制御回路
JP2010015955A (ja) 2008-07-07 2010-01-21 Toyota Motor Corp 蓄電装置
JP2011119240A (ja) 2009-10-30 2011-06-16 Sanyo Electric Co Ltd バッテリ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動車両
US9197071B2 (en) * 2009-12-04 2015-11-24 Kevin R. Williams Energy storage system for supplying power to loads of a drilling rig
JP5659506B2 (ja) * 2010-03-03 2015-01-28 富士通株式会社 電力平準化制御装置、電力平準化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1115273A1 (ja) 2010-03-19 2011-09-22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力供給システムおよび電力供給システムのためのデータ取得装置
US20130015713A1 (en) * 2010-03-30 2013-01-17 Sanyo Electric Co., Ltd. System stabilization system, electric power supply and demand adjustment device, control device for electric power supply and demand adjustment device, electric power supply and demand adjustment method, and electric power supply and demand adjustment method using storage battery
JP5510019B2 (ja) * 2010-04-16 2014-06-04 富士通株式会社 電力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装置
GB2483305A (en) 2010-09-06 2012-03-07 Sony Corp Managing consumption of renewable energy
JP2012060829A (ja) * 2010-09-10 2012-03-22 Yashima Dengyo Co Ltd 電力供給システム、及び電力供給方法
CA2816843C (en) * 2010-11-02 2019-12-10 Navitas Solutions, Inc. Wireless battery area network for a smart battery management system
TW201225481A (en) * 2010-12-14 2012-06-16 Hon Hai Prec Ind Co Ltd Power supply of data center
CN202218023U (zh) 2011-09-06 2012-05-09 天宝电子(惠州)有限公司 新能源分布式储能应用控制系统
US8983669B2 (en) * 2012-07-31 2015-03-17 Causam Energy, Inc. System, method, and data packets for messaging for electric power grid elements over a secure internet protocol network
US20140062206A1 (en) * 2012-08-29 2014-03-06 Robert L. Bryson Low Voltage Solar Electric Energy Distribu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0826A (ja) * 2005-08-25 2007-03-08 Shimizu Corp 電力貯蔵装置の運用システム
JP2008219979A (ja) * 2007-02-28 2008-09-18 Omron Corp 電力供給システムおよび電力供給方法
JP2011100669A (ja) * 2009-11-06 2011-05-19 Toshiba Corp 二次電池装置及びその組電池交換方法
JP2012060835A (ja) * 2010-09-10 2012-03-22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蓄電装置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0012A1 (ko) * 2020-09-18 2022-03-24 주식회사 세수 블록체인 기반으로 전력 소비 내역을 인증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12434A1 (en) 2017-01-12
CN103516056A (zh) 2014-01-15
KR101979272B1 (ko) 2019-05-16
US9478990B2 (en) 2016-10-25
US10355488B2 (en) 2019-07-16
CN103516056B (zh) 2017-04-12
JP2014007945A (ja) 2014-01-16
US20130342018A1 (en) 2013-12-26
EP2680389A1 (en) 2014-01-01
EP2680389B1 (en) 201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272B1 (ko) 에너지 저장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
CN108075324B (zh) 智能插座
CN102097821B (zh) 并网能量存储系统以及控制并网能量存储系统的方法
US8976034B2 (en) Apparatus for reporting fault of battery management storage system using the same
KR101369692B1 (ko)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146670B1 (ko)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863141B1 (ko) 리튬이온배터리와 슈퍼캐패시터를 이용한 전력제어형 에너지관리시스템
CN102246383A (zh) 自律分散型的交流电力系统
KR20160020714A (ko) 에너지 저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1798554B1 (ko) 일체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모니터링 장치
JP5990786B2 (ja) 充放電システム
KR20180070077A (ko) 다중센서기반의 ess용 태양광 충전컨트롤러의 최대전력점추종 연동 제어 모니터링 시스템
WO2015001767A1 (ja) 制御装置、電力管理システム
CN204156804U (zh) 一种新型家用分布式太阳能发电储能系统
WO2023015786A1 (zh) 一种能量转换管理系统及方法
KR20190071433A (ko) 태양광 연계식 IoT형 스마트 에너지 저장장치
KR20130061814A (ko) 배터리 전압 측정회로 및 이를 구비한 전력 저장 시스템
KR101863138B1 (ko) 리튬이온배터리와 슈퍼캐패시터를 이용한 전력제어형 에너지저장장치
JP2013070585A (ja) 電力供給装置及びそれを使用した電力供給システム
KR20150085227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2522814A (zh) 一种风能和太阳能互补的分布式发电装置
JP2013219881A (ja) 配電装置および電力供給システム
KR101220500B1 (ko) 하이브리드 태양광 유피에스 인버터 시스템
KR101674941B1 (ko) 직류 공급원을 이용하는 전력 공급 네트워크 및 이에 기반한 전기 제품
KR101557847B1 (ko) 가정용 소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