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6143A -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6143A
KR20150126143A KR1020140053311A KR20140053311A KR20150126143A KR 20150126143 A KR20150126143 A KR 20150126143A KR 1020140053311 A KR1020140053311 A KR 1020140053311A KR 20140053311 A KR20140053311 A KR 20140053311A KR 20150126143 A KR20150126143 A KR 20150126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ve charge
coating
charge material
aluminum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2976B1 (ko
Inventor
임성택
홍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코그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to KR1020140053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976B1/ko
Publication of KR20150126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6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4Oxides
    • B01D71/025Aluminium ox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ll Separator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전하 물질과 용매를 혼합하는 코팅용액제조단계, 상기 코팅액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코팅액을 합성수지 분말의 표면에 코팅하는 양전하물질코팅단계, 상기 양전하물질코팅단계를 통해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합성수지 분말을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혼합물을 성형하는 성형단계 및 상기 성형단계를 통해 성형된 성형물을 열처리하는 열처리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수처리용 분리막은 수처리 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나 양전하 물질이 용출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물리적 여과 외에도 우수한 전기화학적 흡착성능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SEPARATION MEMBRANE FOR WATER TREATMENT COATED POSITIVELY CHARGED MATERIAL}
본 발명은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처리 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나 양전하 물질이 용출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물리적 여과 외에도 우수한 전기화학적 흡착성능을 나타내는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처리용 분리막은 물속에 함유된 각종 세균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수처리용 분리막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은 체분리(Sieve)효과, 즉 입자크기에 의한 제거가 적용되어 물속에 부유하고 있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및 유기 오염물 등이 제거된다.
또한, 수처리용 분리막은 상기와 같은 체분리 효과에 의한 오염물질의 제거 외에도 분리막 표면에 전하로 인한 정전기적 흡착과정에 의해서도 물속에 미생물 등을 걸러주게 되며, 정전기적 흡착과정은 운전압력 대비 높은 투수율 및 높은 입자제거 성능을 나타내기 때문에, 정전기적 흡착과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에 공개된 미국특허 제7,601,262호에는 전하를 띠는 알루미나 나노섬유 제조한 다음 이를 유리섬유에 첨가한 분리막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의 선행기술은 상기 유리섬유로 인한 발암 가능성 등에 대한 유해성 논란이 있으며 수처리 과정에 적합한가에 대한 논쟁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한국특허공개 제10-2004-0101723호에는 분리막 제조시 아민류 화합물을 첨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의 선행기술도 유리섬유를 사용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유리섬유 제조시 첨가되는 화합물에 의한 제품군이 다양하지 못해 적용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설비공학논문집 제20권 제12호에는 가공시 코로나 및 플라즈마 등에 의한 전하 부여 방법으로 고분자 용액을 코로나 방전에 의해 전기방사하여 전하 부여된 필터 여재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필터 여재의 전하 능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급격하게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어 상용화에는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특허공개 제10-2013-0078822호에는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제조된 막에 양전하 물질을 코팅하는 방법을 기재되어 있으나, 알루미나 등의 양전하 물질이 수처리 과정에서 쉽게 용출되기 때문에, 성능유지가 어렵고, 인체 유해성에 대한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처리 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나 양전하 물질이 용출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우수한 여과효과를 나타내는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리적 여과 외에도 우수한 전기화학적 흡착성능을 나타내는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전하 물질과 용매를 혼합하는 코팅용액제조단계, 상기 코팅액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코팅액을 합성수지 분말의 표면에 코팅하는 양전하물질코팅단계, 상기 양전하물질코팅단계를 통해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합성수지 분말을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혼합물을 성형하는 성형단계 및 상기 성형단계를 통해 성형된 성형물을 열처리하는 열처리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코팅용액제조단계는 용매 100 중량부 및 양전하 물질 3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코팅액제조단계에서는 용매 100 중량부 대비 바인더 1 내지 5 중량부가 더 함유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바인더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엑시드, 폴리카르복실릭엑시드 및 셀룰로스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용매는 정제수, 에탄올, 메탄올, 에틸렌글리콜, 아세트산, 헥센, 시클로헥센, 시클로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카본디설파이드, 카본테트라클로라이드, 1-클로로부텐, 1-클로로펜텐, o-자일렌, 디이소프로필에테르, 2-클로로프로판, 톨루엔, 디에틸에테르, 디에틸설파이드, 디클로로메탄, 4-메틸-2-프로파논, 테트라히드로퓨란, 1,2-디클로로에탄, 2-부타논, 1-니트로프로판, 아세톤, 1,4-디옥세인,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1-펜타놀, 디메틸설폭사이드, 아닐린, 니트로메탄, 아세토니트릴, 피리딘, 2-부톡시에탄올, 1-프로판올 및 2-프로판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양전하 물질은 알루미늄 염, 알루미늄 알콕사이드, 양이온성 실리카, 폴리에틸렌이민,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폴리아민-에피클로로하이드린 및 지방족 폴리아민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알루미늄염은 나노알루미늄 섬유, 나노알루미나 분말, 황산 알루미늄, 알루민산나트륨, 염화 알루미늄, 질산 알루미늄 및 수산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알루미늄 알콕사이드는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알루미늄 에톡사이드 및 알루미늄 t-부톡사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양전하물질코팅단계는 합성수지 분말 100 중량부에 상기 코팅액 20 내지 200 중량부를 코팅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양전하물질코팅단계는 유동층코팅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합성수지 분말은 입자크기가 10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합성수지 분말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합성수지 분말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또는 초고분자량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열처리단계는 80 내지 250℃의 온도의 전기로에서 5 내지 120분 동안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은 수처리 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나 양전하 물질이 용출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우수한 여과효과를 나타내는 분리막을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물리적 여과 외에도 우수한 전기화학적 흡착성능을 나타내는 분리막을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은 양전하 물질과 용매를 혼합하는 코팅용액제조단계, 상기 코팅액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코팅액을 합성수지 분말의 표면에 코팅하는 양전하물질코팅단계, 상기 양전하물질코팅단계를 통해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합성수지 분말을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혼합물을 성형하는 성형단계 및 상기 성형단계를 통해 성형된 성형물을 열처리하는 열처리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코팅용액제조단계는 양전하 물질과 용매를 혼합하는 단계로, 용매 100 중량부 및 양전하 물질 3 내지 30 중량부를 교반기투 투입하고 혼합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양전하 물질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합성수지혼합교반단계(S103)를 통해 혼합되는 합성수지에 코팅되는 양전하 물질의 함량이 낮아 본 발명에 따른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흡착성능이 저하되며, 상기 양전하 물질의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양전하 물질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아 본 발명에 따른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압축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이 저하된다.
이때, 상기 용매는 정제수, 에탄올, 메탄올, 에틸렌글리콜, 아세트산, 헥센, 시클로헥센, 시클로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카본디설파이드, 카본테트라클로라이드, 1-클로로부텐, 1-클로로펜텐, o-자일렌, 디이소프로필에테르, 2-클로로프로판, 톨루엔, 디에틸에테르, 디에틸설파이드, 디클로로메탄, 4-메틸-2-프로파논, 테트라히드로퓨란, 1,2-디클로로에탄, 2-부타논, 1-니트로프로판, 아세톤, 1,4-디옥세인,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1-펜타놀, 디메틸설폭사이드, 아닐린, 니트로메탄, 아세토니트릴, 피리딘, 2-부톡시에탄올, 1-프로판올 및 2-프로판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양전하 물질은 알루미늄 염, 알루미늄 알콕사이드, 양이온성 실리카, 폴리에틸렌이민,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폴리아민-에피클로로하이드린 및 지방족 폴리아민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알루미늄염은 나노알루미늄 섬유, 나노알루미나 분말, 황산 알루미늄, 알루민산나트륨, 염화 알루미늄, 질산 알루미늄 및 수산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알루미늄 알콕사이드는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알루미늄 에톡사이드 및 알루미늄 t-부톡사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팅액제조단계에서는 상기 용매 100 중량부 대비 바인더 1 내지 5 중량부가 더 함유될 수도 있는데, 상기와 같이 바인더가 함유되면 양전하물질이 함유된 코팅용액의 접착력이 향상되어 상기 건조단계 이후에 양전하 물질이 합성수지의 표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데, 상기 바인더는 하이드록시, 카르보닐 및 카르복실 기능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분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엑시드, 폴리카르복실릭엑시드 및 셀룰로스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양전하물질코팅단계는 상기 코팅액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코팅액을 합성수지 분말의 표면에 코팅하는 단계로, 합성수지 100 중량부에 상기 코팅액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코팅액 20 내지 200 중량부를 코팅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양전하물질코팅단계는 합성수지에 코팅액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이루어지거나, 유동층코팅기를 이용하여 합성수지의 표면에 코팅액을 코팅하여 이루어지는데, 유동층코팅기를 이용하여 합성수지의 표면에 코팅액을 코팅하는 방법은 핫-멜팅 시스템이 구비된 유동층코팅기에 합성수지를 투입하여 흡입공기온도 20 내지 40℃에서 ventilation air flap position을 조정하면서 합성수지를 유동화시키고, 유동화된 합성수지에 분무공기온도 100 내지 200℃, 분무공기압력 1 내지 3 bar, 투입관온도 50 내지 90℃, 투입속도 5 내지 15g/min의 조건으로 코팅액 bottom spray 을 분무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유동층코팅기를 통해 합성수지의 표면에 코팅액이 코팅되면, 유동층코팅기 챔버의 온도와 합성수지 분말의 온도에 의해 코팅액에 함유되어 있는 용매가 증발되어 결합재와 양전하 물질로 이루어진 코탱액이 합성수지 분말의 표면에 균일하게 코팅된다.
이때, 상기 코팅액의 도포량이 2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합성수지 분말의 표면에 양전하 물질이 고르게 도포되지 못하며, 상기 코팅액의 도포량이 20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합성수지 분말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아져 본 발명에 따른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 분말은 입자크기가 10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와 같은 입자크기를 갖는 합성수지 분말은 상기 열처리단계(S109)에서 표면이 녹아 서로 달라붙는 과정을 통해 2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의 직경을 갖는 미세공경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 분말은 수처리용 분리막으로 사용될 수 있는 합성수지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나,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또는 초고분자량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상기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또는 초고분자량 폴리프로필렌은 용융지수가 5g/10분 미만, 바람직하게는 2g/10분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g/10분 미만이며, 벌크밀도는 0.6g/cm2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g/cm2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25g/cm2이하를 나타내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용융지수를 나타내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또는 초고분자량 폴리프로필렌은 상기의 열처리단계(S109)를 거치면 표면부분만 미세하게 용융된 후에 냉각되기 때문에, 합성수지 성분이 서로 결합되어 미세공경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합성수지 성분의 표면에 도포되어 있던 양전하 물질이 물리적으로 결속되기 때문에, 수처리 과정에서 양전하 물질이 용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건조단계(S105)는 상기 양전하물질코팅단계를 통해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합성수지 분말을 건조하는 단계로, 상기 양전하물질코팅단계(S103)를 통해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합성수지 분말을 건조기에 투입하고 30 내지 150℃의 온도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건조하여 상기 합성수지 분말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다.
상기 성형단계(S107)는 상기 건조단계(S105)를 통해 건조된 혼합물을 성형하는 단계로, 상기 건조단계(S105)를 통해 건조된 혼합물을 압축금형에 투입하고 0.1 내지 30kgf/cm2의 압력으로 압축성형하거나, 바이브레이터가 구비되어 진동으로 인한 입자조절이 가능한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분리막의 형태를 갖도록 성형하는 단계다.
상기 열처리단계(S109)는 상기 성형단계(S107)를 통해 성형된 성형물을 열처리하는 단계로, 상기 성형단계(S107)를 통해 분리막의 형태로 성형된 성형물을 전기로에서 80 내지 250℃의 온도로 5 내지 120분 동안 가열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열처리단계(S109)를 통해 상기 성형물에 함유되어 있는 합성수지 성분의 표면이 미세하게 용융되어 서로 달라붙은 후에 냉각되면, 상기 성형물에 미세공경이 형성되며, 상기 성형물의 표면에 코팅된 양전하 물질은 합성수지 성분의 표면이 미세하게 용융된 후에 냉각되는 과정을 통해 상기 합성수지 성분의 표면에 물리적으로 견고하게 고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나노알루미나 섬유 5g을 정제수 95g에 첨가한 후 교반기로 혼합하고, 교반된 혼합물에 입자크기가 10 마이크로 미터인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100g을 첨가하여 교반하고,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이 혼합된 혼합물을 건조기에 투입하고 100℃의 온도에서 120분 동안 건조하여 혼합물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고, 수분이 제거된 혼합물을 압축금형에 투입하고 1kgf/cm2의 압력으로 압축하여 성형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성형물을 전기로에 투입하고 150℃의 온도에서 30분간 열처리하여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나노알루미나 섬유 10g을 첨가하여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평균 입자크기가 50 나노미터인 양이온성 실리카 14g과 정제수 86g으로 이루어진 양이온성 콜로이달 실리카를 혼합물로 사용하여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입자크기가 10 마이크로미터인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100g을 건조기에 투입하고 100℃의 온도에서 120분 동안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수분이 제거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압축금형에 투입하고 1kgf/cm2의 압력으로 압축하여 성형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성형물을 전기로에 투입하고 150℃의 온도에서 30분간 열처리하여 수처리용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입자제거성능과 수처리용 분리막에 형성된 미세공경의 평균직경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수처리용 분리막의 입자제거성능은 필터테스터-입자제거능 분석기로 측정하였으며, 수처리용 분리막에 형성된 미세공경의 평균직경은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1
위에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을 통해 제조된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은 미세공경이 형성되며,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수처리용 분리막에 비해 우수한 입자제거성능을 나타내는데, 이는 양전하가 코팅되어 전기화학적 흡착에 의해 음이온성 미세오염물질이 제거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S101 ; 코팅용액제조단계
S103 ; 합성수지혼합교반단계
S105 ; 건조단계
S107 ; 성형단계
S109 ; 열처리단계

Claims (14)

  1. 양전하 물질과 용매를 혼합하는 코팅용액제조단계;
    상기 코팅액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코팅액을 합성수지 분말의 표면에 코팅하는 양전하물질코팅단계;
    상기 양전하물질코팅단계를 통해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합성수지 분말을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혼합물을 성형하는 성형단계; 및
    상기 성형단계를 통해 성형된 성형물을 열처리하는 열처리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팅용액제조단계는 용매 100 중량부 및 양전하 물질 3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제조단계에서는 용매 100 중량부 대비 바인더 1 내지 5 중량부가 더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엑시드, 폴리카르복실릭엑시드 및 셀룰로스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정제수, 에탄올, 메탄올, 에틸렌글리콜, 아세트산, 헥센, 시클로헥센, 시클로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카본디설파이드, 카본테트라클로라이드, 1-클로로부텐, 1-클로로펜텐, o-자일렌, 디이소프로필에테르, 2-클로로프로판, 톨루엔, 디에틸에테르, 디에틸설파이드, 디클로로메탄, 4-메틸-2-프로파논, 테트라히드로퓨란, 1,2-디클로로에탄, 2-부타논, 1-니트로프로판, 아세톤, 1,4-디옥세인,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1-펜타놀, 디메틸설폭사이드, 아닐린, 니트로메탄, 아세토니트릴, 피리딘, 2-부톡시에탄올, 1-프로판올 및 2-프로판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양전하 물질은 알루미늄 염, 알루미늄 알콕사이드, 양이온성 실리카, 폴리에틸렌이민,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폴리아민-에피클로로하이드린 및 지방족 폴리아민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염은 나노알루미늄 섬유, 나노알루미나 분말, 황산 알루미늄, 알루민산나트륨, 염화 알루미늄, 질산 알루미늄 및 수산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알콕사이드는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알루미늄 에톡사이드 및 알루미늄 t-부톡사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전하물질코팅단계는 합성수지 분말 100 중량부에 상기 코팅액 20 내지 200 중량부를 코팅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전하물질코팅단계는 유동층코팅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1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분말은 입자크기가 10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분말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분말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또는 초고분자량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단계는 80 내지 250℃의 온도의 전기로에서 5 내지 120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KR1020140053311A 2014-05-02 2014-05-02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KR101632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311A KR101632976B1 (ko) 2014-05-02 2014-05-02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311A KR101632976B1 (ko) 2014-05-02 2014-05-02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143A true KR20150126143A (ko) 2015-11-11
KR101632976B1 KR101632976B1 (ko) 2016-06-23

Family

ID=54605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311A KR101632976B1 (ko) 2014-05-02 2014-05-02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9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33701B2 (en) 2016-12-15 2023-04-25 Amogreentech Co., Ltd. Filter medium,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filter unit comprising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5740A (ko) * 2004-12-07 2007-08-27 다라믹 엘엘씨 미세다공성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0527747A (ja) * 2007-02-27 2010-08-19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機膜とその製造方法
KR101368462B1 (ko) * 2011-12-30 2014-03-03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수처리용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5740A (ko) * 2004-12-07 2007-08-27 다라믹 엘엘씨 미세다공성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0527747A (ja) * 2007-02-27 2010-08-19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機膜とその製造方法
KR101368462B1 (ko) * 2011-12-30 2014-03-03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수처리용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33701B2 (en) 2016-12-15 2023-04-25 Amogreentech Co., Ltd. Filter medium,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filter unit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976B1 (ko) 201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50935B (zh) 一种孔形可调的氧化铝多孔陶瓷膜的制备方法
JP6430507B2 (ja) 抽出可能物低含有の大容量の複合デプスフィルター媒体
TW201601998A (zh) 多孔質碳材料、多孔質碳材料的製造方法、電極材料及吸附材料
WO2007045616A1 (en) Thermoset particles and methods for production thereof
Kou et al. Fabrication of polyphenylene sulfide nanofibrous membrane via sacrificial templated-electrospinning for fast gravity-driven water-in-oil emulsion separation
KR20150126517A (ko) 고속 건식 함침용 미세 입자,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00605B1 (ko) 은 분말의 제조방법
KR102062113B1 (ko) 중질 탄산 칼슘, 그 제조 방법 및 이 탄산 칼슘을 함유한 수지 조성물
JP2012251057A (ja)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多孔質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093883A (ja) 炭素繊維複合材及び炭素繊維
CN103819194A (zh) 用于烧结碳化硅陶瓷膜的专用陶瓷材料
KR101632976B1 (ko) 양전하 물질이 코팅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JP2012036034A (ja) アルミナ成形体、アルミナ焼成成形体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KR102033119B1 (ko)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양전하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CN116905231A (zh) 聚乳酸复合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0090313A1 (ja) 多孔質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多孔質フィルム
KR20160126252A (ko) 은나노입자-키토산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765130B1 (ko) 항바이러스 여재용 양전하 코팅제, 항바이러스 여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99112B1 (ko) 항바이러스 여재용 양전하 코팅제, 항바이러스 여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68462B1 (ko) 수처리용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95417B1 (ko) 메타할로이사이트 분말 및 메타할로이사이트 분말의 제조 방법
Dognani et al. Morphology of electrospun non-woven membranes of poly (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porous and fibers
JP5598812B2 (ja) 繊維集合体
KR101797556B1 (ko) 항바이러스 여재용 양전하 코팅제, 항바이러스 여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29923B1 (ko) 기능성 양전하 미디어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