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5823A - Apparatus for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for circulating water body, and system for vitalizing water eco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for circulating water body, and system for vitalizing water eco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5823A
KR20150125823A KR1020140052615A KR20140052615A KR20150125823A KR 20150125823 A KR20150125823 A KR 20150125823A KR 1020140052615 A KR1020140052615 A KR 1020140052615A KR 20140052615 A KR20140052615 A KR 20140052615A KR 20150125823 A KR20150125823 A KR 20150125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ke
water body
carrier
water
under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6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33544B1 (en
Inventor
이종식
오광중
서정호
허종형
강대종
Original Assignee
이종식
오광중
허종형
서정호
강대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식, 오광중, 허종형, 서정호, 강대종 filed Critical 이종식
Priority to KR1020140052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544B1/en
Priority to CN201580021616.XA priority patent/CN106255668A/en
Priority to PCT/KR2015/004284 priority patent/WO2015167237A1/en
Publication of KR20150125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8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5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1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using solar energ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8Off-grid powered water treatment
    • Y02A20/212Solar-powered wastewater sewage treatment, e.g. spray evapo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n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a water body circulation apparatus, and a system for activating an aquatic ecosystem by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for activating an aquatic ecosystem comprises: an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arranged for maintaining buoyancy at the preset depth of water inside a lake, and providing a habitat for a primary predatory organism inside the lake; and a water body circulation apparatus arranged adjacent to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for circulating the upper water body in the lake and the lower water body in the lake.

Description

수중 담체 장치, 수체 순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생태계 활성화 시스템{APPARATUS FOR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FOR CIRCULATING WATER BODY, AND SYSTEM FOR VITALIZING WATER ECOSYSTEM US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water carrier device, a water circulation device, and a system for activating an aquatic ecosystem using the same. BACKGROUND ART [0002]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류 억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중 담체 장치, 수체 순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생태계 활성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gae suppression techniqu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nderwater carrier device, a water circulation device, and a water ecosystem activation system using the same.

최근, 축산과 내수면 양식 어업 등의 증가로 인해 영양염류의 유입이 증가하여 호소(湖沼)의 부영양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호소의 부영양화로 인해 조류(藻類)가 이상 증식하게 되면, 수중에 악취가 발생하고 탁도와 색도가 점차 증가하여 결국 물이 부패하게 된다. 또한, 부영양화로 인해 독성 조류가 증식하고 수중의 용존 산소를 감소시켜 다른 생물에게 해를 끼치게 되며, 그로 인해 수중 생태계의 균형을 파괴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는 호소 상류 지역의 발전 및 개발 욕구 저하, 토지 이용에 대한 민원의 증가, 및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에 대한 대안의 대립 등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게 된다. 호소의 부영양화에 따른 조류 증식의 문제는 산업의 발전과 도시화, 그리고 집약적 농업의 발전 이후 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문제로 그 해결 방안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In recent years, eutrophication of lakes and marshes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of nutrient input due to increase in livestock production, inland aquaculture and fisheries. When the algae grow abnormally due to the eutrophication of the lake, the odor is generated in the water, the turbidity and the color gradually increase, and finally the water becomes rotten. In addition, eutrophication causes toxic algae to multiply and reduce dissolved oxygen in the water, harming other organisms, thereby destroying the balance of the aquatic ecosystem. These problems lead to social conflicts, such as a decline in development and development needs in the upstream area of the lake, an increase in complaints about land use, and an alternative to policies for problem solving. The problem of bird growth due to the eutrophication of the lake is getting worse after the development of industry, urbanization, and intensive agriculture, and this is a global problem and a solution is urgently needed.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00122호(2008.01.25)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00122 (2008.01.25)

본 발명의 실시예는 호소 내에 조류가 증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수중 담체 장치, 수체 순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생태계 활성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nderwater carrier device, a water circulation device, and a water system activation system using the same, which can prevent algae from proliferating in a lake.

본 발명의 실시예는 호소 내 조류의 증식을 억제하면서 호소 내 생태계를 유지할 수 있는 수중 담체 장치, 수체 순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생태계 활성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nderwater carrier device, a water circulation device, and a water system activation system using the same, which can maintain an ecosystem in a lake while suppressing the growth of algae in the lak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생태계 활성화 시스템은, 호소 내의 기 설정된 수심에서 부력을 유지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호소 내의 1차 포식 생물의 서식지를 제공하는 수중 담체 장치; 및 상기 수중 담체 장치에 인접하여 마련되고, 상기 호소의 상부 수체와 상기 호소의 하부 수체를 순환시키는 수체 순환 장치를 포함한다.An aquatic system ac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provided to maintain buoyancy at a predetermined depth in a lake and to provide a habitat of a primary predator in the lake; And a water circulation apparatus provided adjacent to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for circulating the upper water body of the lake and the lower water body of the lake.

상기 수중 담체 장치는, 상기 호소 내의 수심 3m 이내에서 부력을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may be provided so as to maintain buoyancy within a depth of 3 m within the lake.

상기 수중 담체 장치는, 상기 호소 내의 수심 1.2m ~ 2m에서 부력을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may be provided to maintain buoyancy at a depth of 1.2 m to 2 m in the lake.

상기 수중 담체 장치는, 태양광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태양광이 상기 수중 담체 장치의 하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e underwater carrier device can prevent sunlight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nderwater carrier device while absorbing solar energy.

상기 수중 담체 장치는, 상기 호소 내의 2차 포식 생물의 시야를 방해하여 상기 1차 포식 생물에 대한 포식 행위를 억제할 수 있다. The underwater carrier device can inhibit the predation of the primary predator by interfering with the field of view of the secondary predator in the lake.

상기 수중 담체 장치는, 상기 호소 내에 설치되는 담체 프레임; 상기 호소 내에서 상기 담체 프레임에 수평하게 연결되는 수평 담체; 및 상기 호소 내에서 상기 수평 담체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상호 이격되는 복수 개의 수직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underwater carrier device comprises: a carrier frame installed in the lake; A horizontal carrier horizontally connected to the carrier frame within the aperture; And a plurality of vertical carriers vertically connected to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carrier.

상기 수체 순환 장치는, 상기 호소의 수온, pH 농도, 용존 산소량, 주간 및 야간, 및 태양 광량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호소의 상부 수체와 상기 호소의 하부 수체를 순환시킬 수 있다.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can circulate the upper water body of the lake and the lower water body of the Lak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water temperature, pH concentration, dissolved oxygen amount, daytime and nighttime, and sunlight of the lake.

상기 수체 순환 장치는, 상기 호소의 상부 수체를 상기 수체 순환 장치 내로 유입시킨 후 상기 수중 담체 장치의 하부로 배출하거나 상기 호소의 하부 수체를 상기 수체 순환 장치 내로 유입시킨 후 상기 수중 담체 장치의 상부로 배출할 수 있다.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water body of the lake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and then discharg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or the lower water body of the lake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Can be discharged.

상기 수체 순환 장치는, 상기 호소의 상부 수체의 pH 농도 및 용존 산소량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상한값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호소의 상부 수체를 상기 수중 담체 장치의 하부로 순환시킬 수 있다.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may circulate the upper water body of the lak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when at least one of the pH concentration and the dissolved oxygen amount of the upper water body of the lake is not less than a predetermined upper limit value.

상기 수체 순환 장치는, 상기 호소의 상부 수체의 pH 농도 및 용존 산소량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하한값 이하가 되는 경우, 상기 호소의 하부 수체를 상기 수중 담체 장치의 상부로 순환시킬 수 있다.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may circulate the lower water body of the lak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when at least one of the pH concentration and the dissolved oxygen amount of the upper water body of the lake is not more than a predetermined lower limit value.

상기 수체 순환 장치는, 상기 호소의 수온 및 계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순환 횟수 또는 순환 수체량을 달리할 수 있다.The water circulation device may vary the number of circulation or the amount of circulating water depending on at least one of water temperature and season of the lake.

상기 수체 순환 장치는, 상기 호소의 수면 위에 떠서 상기 수체 순환 장치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표부; 상기 부표부의 하부에 상기 호소의 수심 깊이 방향으로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호소의 수체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구비되는 수체 이송부; 상기 수체 이송부의 상측에 마련되고 상기 수체 이송부의 내부와 상기 호소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제1 유출입부; 상기 수체 이송부의 하측에 마련되고 상기 수체 이송부의 내부와 상기 호소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제2 유출입부; 및 상기 수체 이송부의 내부에 마련되는 펌프부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water circulation device comprises: a buoy part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of the lake to provide buoyancy to the water circulation device; A water conveyance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uoy part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lake and hav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water body of the lake can move; A first flow-in part provided above the water body transfer part and communicating the inside of the water body transfer part with the inside of the lake; A second inflow / outflow section provided below the water body transfer section and communicating the inside of the water body transfer section with the inside of the arcade; And a pump unit provided inside the water body transfer unit.

상기 수생태계 활성화 시스템은, 상기 호소의 수온, pH 농도, 용존 산소량, 주간 및 야간, 및 태양 광량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원격에서 상기 수체 순환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호소의 상부 수체와 상기 호소의 하부 수체를 순환시키도록 하는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ecosystem activation system may remotely control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in accordance with at least one of water temperature, pH concentration, dissolved oxygen amount, daytime and nighttime, and solar amount of the lak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irculation of the refrigera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담체 장치는, 호소 내의 기 설정된 수심에 마련되는 담체 프레임; 상기 담체 프레임에 수평하게 연결되는 수평 담체; 및 상기 수평 담체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상호 이격되는 복수 개의 수직 담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된 수심에서 부력을 유지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호소 내의 1차 포식 생물의 서식지를 제공한다.An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rier fram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a lake; A horizontal carrier horizontally connected to the carrier frame; And a plurality of vertical carrier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horizontal carri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buoyancy being maintained at the predetermined depth and providing the habitat of the first predator in the lake.

상기 수중 담체 장치는, 상기 담체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호소의 수면 위에 떠서 상기 수중 담체 장치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 부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nderwater carrier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buoyancy part connected to the carrier frame and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lake to provide buoyancy to the underwater carrier device.

상기 담체 프레임은, 상기 담체 프레임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중심 프레임; 상기 중심 프레임의 외측에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복수 개의 암 프레임; 및 상기 복수 개의 암 프레임들 및 상기 중심 프레임과 상기 복수 개의 암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rrier frame includes: a center frame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carrier frame; A plurality of arm frames provided outside the center fram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wire connecting the plurality of arm frames and at least one of the center frame and the plurality of arm frames.

상기 암 프레임의 일측은 상기 중심 프레임의 외측에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arm frame may be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be folded and unfolded outside the center frame.

상기 수평 담체는, 상기 담체 프레임 상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제1 방향으로 복수 개가 마련되는 제1 메쉬부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복수 개가 마련되는 제2 메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rizontal carrier may include a first mesh portion fixedly connected to the carrier frame and provided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mesh portion provided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direction, have.

상기 수직 담체는, 일단이 상기 수평 담체에 연결되는 수직 담체 바디; 및 상기 수직 담체 바디의 타단에 마련되고, 상기 호소 내에서 상기 수직 담체 바디가 상기 수평 담체와 수직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rtical carrier includes a vertical carrier body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horizontal carrier; And a buoyancy member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carrier body and providing buoyancy so that the vertical carrier body is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carrier within the lake.

상기 담체 프레임 및 상기 수평 담체는, 상기 호소 내의 수심 3m 이내에서 부력을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carrier frame and the horizontal carrier may be provided so as to maintain buoyancy within a depth of 3 m in the lak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체 순환 장치는, 호소의 수면 위에 떠서 부력을 제공하는 부표부; 상기 부표부의 하부에 상기 호소의 수심 깊이 방향으로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호소의 수체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구비되는 수체 이송부; 상기 수체 이송부의 상측에 마련되고 상기 수체 이송부의 내부와 상기 호소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제1 유출입부; 상기 수체 이송부의 하측에 마련되고 상기 수체 이송부의 내부와 상기 호소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제2 유출입부; 및 상기 수체 이송부의 내부에 마련되는 펌프부를 포함하고, 상기 호소의 상부 수체와 상기 호소의 하부 수체를 순환시킬 수 있다.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oy part floating on a water surface of a lake to provide buoyancy; A water conveyance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uoy part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lake and hav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water body of the lake can move; A first flow-in part provided above the water body transfer part and communicating the inside of the water body transfer part with the inside of the lake; A second inflow / outflow section provided below the water body transfer section and communicating the inside of the water body transfer section with the inside of the arcade; And a pump unit provided inside the water body transfer unit, and the upper water body of the lake and the lower water body of the lake can be circulated.

상기 수체 순환 장치는, 상기 호소 내의 기 설정된 수심에서 부력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수중 담체 장치와 인접하여 마련되고, 상기 상부 수체 및 상기 하부 수체는 상기 수중 담체 장치를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is provided adjacent to an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installed to maintain buoyancy at a predetermined water depth in the lake, and the upper water body and the lower water body can be classified based on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상기 펌프부는, 상기 호소의 상부 수체를 상기 제1 유출입부를 통해 상기 수체 이송부 내부로 유입시킨 후 상기 제2 유출입부를 통해 배출하거나 상기 호소의 하부 수체를 상기 제2 유출입부를 통해 상기 수체 이송부 내부로 유입시킨 후 상기 제1 유출입부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The pump un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water body of the lake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body transfer unit through the first inlet and outlet unit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outlet unit or the lower water body of the lake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body transfer unit through the second outlet unit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let.

상기 수체 순환 장치는, 상기 수체 이송부 내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circula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filter provided inside the water body transfer part.

상기 수체 순환 장치는, 외부의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펌프부의 운전 모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communication means for receiving an operation mode control signal of the pump section from an external control apparatus.

상기 수체 순환 장치는, 상기 호소의 수온, pH 농도, 용존 산소량, 주간 및 야간, 및 태양 광량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호소의 상부 수체와 상기 호소의 하부 수체가 순환하도록 상기 펌프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may operate the pump section such that the upper water body of the lake and the lower water body of the lake circulat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water temperature, pH concentration, dissolved oxygen amount, daytime and nighttime, .

상기 수체 순환 장치는, 상기 호소의 상부 수체의 pH 농도 및 용존 산소량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상한값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호소의 상부 수체를 상기 제1 유출입부를 통해 상기 수체 이송부 내부로 유입시킨 후 상기 제2 유출입부를 통해 배출하도록 상기 펌프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Wherein the water circulation device is configured to introduce the upper water body of the lake into the inside of the water body transfer part through the first inlet and outlet part when at least one of the pH concentration and the dissolved oxygen amount of the upper water body of the lake becomes a predetermined upper limit value or more, And the pump unit can be operated to discharge through the second outlet.

상기 수체 순환 장치는, 상기 호소의 상부 수체의 pH 농도 및 용존 산소량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하한값 이하가 되는 경우, 상기 호소의 하부 수체를 상기 제2 유출입부를 통해 상기 수체 이송부 내부로 유입시킨 후 상기 제1 유출입부를 통해 배출하도록 상기 펌프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Wherein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is configured to introduce the lower water body of the lake into the water conveyance unit through the second inlet and outlet unit when at least one of the pH concentration and the dissolved oxygen amount of the upper water body of the lake becomes less than a predetermined lower limit value, And the pump unit can be operated to discharge through the first outlet.

상기 수체 순환 장치는, 상기 호소의 수온 및 계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순환 횟수 또는 순환 수체량을 달리할 수 있다.
The water circulation device may vary the number of circulation or the amount of circulating water depending on at least one of water temperature and season of the lak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호소 내의 소정 수심에 마련되는 수중 담체 장치가 햇빛이 하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식물성 플라크톤의 광합성을 억제시켜 식물성 플라크톤이 증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중 담체 장치가 호소 내의 1차 포식 생물의 서식 기질로 활용됨으로써, 호소 내에 새로운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게 된다. 수중 담체 장치는 2차 포식 생물의 시야를 제한하여 2차 포식 생물의 1차 포식 생물에 대한 포식 행위를 억제하므로, 수중 담체 장치 내에서 1차 포식 생물이 증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게 된다. 이때, 수중 담체 장치는 수심 3m 이내에서 부력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수중 담체 장치의 내부에 서식하는 1차 포식 생물의 광합성에 의한 증식이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수중 담체 장치 하부의 식물성 플라크톤의 광합성을 억제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생물학적으로 식물성 플랑크톤의 증식을 사전에 방지하기 때문에, 조류 억제와 관련하여 2차 오염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적은 비용으로 조류의 증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propagation of vegetative plaques by inhibiting photosynthetic of vegetable plaques by blocking the sunlight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nderwater carrier devic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lake. And, the underwater carrier system can be utilized as a habitat for the first predator organisms in the lake, thereby creating a new ecosystem within the lake. The underwater carrier device limits the field of view of the second predators so as to suppress the predation of the first predators of the second predators so that the first predators can proliferate in the underwater carriers do. At this time, the underwater support device maintains the buoyancy within the depth of 3m, thereby suppressing the photosynthesis of the vegetable plaque under the underwater support device, while actively propagating by the photosynthesis of the first predator living in the underwater support device . Sinc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growth of phytoplankton biologically in advance, secondary pollution problem does not occur in relation to algae suppression, and the growth of algae can be prevented at low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생태계 활성 시스템이 호소 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생태계 활성 시스템에서, 수중 담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체 프레임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담체 장치에서, 암 프레임이 접혀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담체 장치에서, 수평 담체와 담체 프레임이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담체 장치에서, 수직 담체가 수평 담체에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생태계 활성 시스템에서, 호소 내의 수체가 순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담체 장치를 여러 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biological activit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lak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in a water ecosystem ac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carrier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rm frame is folded in an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orizontal carrier and a carrier fram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n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rtical carrier is connected to a horizontal carrier in an underwater carri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body in a lake is circulated in a water ecosystem ac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underwater carrier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이하, 도 1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수중 담체 장치, 수체 순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생태계 활성화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underwater carrier device, the water circulation device, and the aquatic system activation system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However, this is an exemplary embodiment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a means for efficiently describ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생태계 활성 시스템이 호소 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water biological activit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lake.

도 1을 참조하면, 수생태계 활성 시스템(100)은 수중 담체 장치(102), 수체 순환 장치(104), 및 제어 장치(106)를 포함한다. 1, the aquatic system active system 100 includes an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102, a water circulation apparatus 104, and a control apparatus 106. [

수중 담체 장치(102)는 호소(湖沼)(50) 내의 수중에 설치될 수 있다. 수중 담체 장치(102)는 호소(50)의 표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부력 부이(111)와 연결될 수 있다. 부력 부이(111)는 수중 담체 장치(102)에 소정의 부력을 제공하여 수중 담체 장치(102)가 가라앉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부력 부이(111)에는 위치 고정추(114)가 연결될 수 있다. 수중 담체 장치(102)는 호소(50) 내의 소정 수심에서 부력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중 담체 장치(102)는 수심 2 ~ 3m 이내에서 부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underwater carrier device 102 may be installed in the water in the lake 50. The underwater carrier device 102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buoyancy buoy 111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lake 50. The buoyancy buoy 111 provides a predetermined buoyancy to the underwater support device 102 to prevent the underwater support device 102 from sinking. The buoyancy buoy 111 may be connected to a position fixing weight 114.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102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capable of maintaining buoyancy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lake 50. For example, the underwater carrier device 102 may be provided to maintain buoyancy within a depth of 2 to 3 m.

수중 담체 장치(102)는 호소(50)의 테두리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원수대에서 수중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원수대는 식물성 플라크톤을 포식하는 1차 포식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기질이 없고, 1차 포식 생물은 1차 포식 생물을 포식하는 2차 포식 생물에 의해 포식되어 개체수가 제한되므로, 식물성 플라크톤이 증식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게 된다. 여기서, 1차 포식 생물은 예를 들어, 부착 조류(예를 들어, 동물성 플랑크톤 등), 부착 미생물, 및 미소 동물(Microzoon)(예를 들어, 윤충류 등)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2차 포식 생물은 예를 들어, 물고기와 같은 어류 등이 될 수 있다. The underwater carrier device 102 may be installed underwater at a water sourc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dge of the lake 50. Since there is no substrate capable of living in the first predator organisms predisposed to vegetable plaques and the first predator organism is predated by the second predator organisms predating the first predator organisms, An environment in which this proliferation can be made. Here, the primary predators may be, for example, attached birds (e.g., zooplankton, etc.), adherent microorganisms, and microzones (e. And, the second predator creature can be, for example, a fish such as a fish.

수중 담체 장치(102)는 호소(50) 내에서 1차 포식 생물의 서식지를 제공해주게 된다. 즉, 수중 담체 장치(102)는 호소(50) 내에서 1차 포식 생물의 서식 기질이 된다. 그리고, 수중 담체 장치(102)는 2차 포식 생물의 1차 포식 생물에 대한 포식 행위를 억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수중 담체 장치(102)는 2차 포식 생물의 시야를 방해하는 장애물로 작용하여 2차 포식 생물의 1차 포식 생물에 대한 포식 행위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102 provides the habitat of primary predator organisms within the lake 50. In other words, the underwater carrier device 102 becomes a habitat for primary predator organisms in the lake 50. And, the underwater support device 102 can play a role of suppressing the predation behavior of the primary predators of the secondary predators. The underwater support device 102 acts as an obstacle that obstructs the view of the second predator creature so that the predation behavior of the first predator creature of the second predator creature can be suppressed.

또한, 수중 담체 장치(102)는 태양광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수중 담체 장치(102)의 하부로 햇빛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수중 담체 장치(102)는 태양광 에너지를 흡수하여 1차 포식 생물의 증식을 활발히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반면, 수중 담체 장치(102)는 햇빛이 수중 담체 장치(102)의 하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식물성 플라크톤의 광합성을 억제시키는 수역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nderwater support apparatus 102 may serve to block sunlight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nderwater support apparatus 102 while absorbing solar energy. In other words, the underwater support device 102 can act to absorb the solar energy and actively maintain the proliferation of the first predators. On the other hand, the underwater support apparatus 102 can prevent the sunlight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nderwater support apparatus 102, thereby securing a water area that suppresses the photosynthesis of vegetable plaques.

수체 순환 장치(104)는 제어 장치(106)의 제어에 따라 호소(50)의 수체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수체 순환 장치(104)의 상단부는 수면 위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수체 순환 장치(104)의 상단부 아래의 부분은 호소(5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수체 순환 장치(104)는 호소(50)의 바닥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13)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수체 순환 장치(104)는 일측이 제어 장치(106)에 연결되고, 타측이 수체 순환 장치(104)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115)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는, 전원 케이블(115)의 일측이 제어 장치(106)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원 케이블(115)의 일측은 그 이외의 다양한 전원 공급 시설물(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The water circulation device 104 serves to circulate the water body of the lake 5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106. The upper end of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104 may be exposed above the water surface. Further, a portion below the upper end of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104 may be located inside the lake 50. The water circulation device 104 may be connected to and fixed to at least one fixing part 113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ake 50. The water circulation device 104 can be powered by a power cable 115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106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water circulation device 104. Although one side of the power cable 115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06, the power cable 115 is not limited thereto and one side of the power cable 115 may be connected to various other power supply facilities (not shown) .

수체 순환 장치(104)는 제어 장치(106)의 제어에 따라 호소(50)의 수체를 상하로 순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체 순환 장치(104)는 수중 담체 장치(102)의 상부에 있는 수체를 유입하여 수중 담체 장치(102)의 하부로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수체 순환 장치(104)는 수중 담체 장치(102)의 하부에 있는 수체를 유입하여 수중 담체 장치(102)의 상부로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수중 담체 장치(102)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체를 상부 수체라 하고, 수중 담체 장치(102)의 하부에 위치하는 수체를 하부 수체라 한다. 수체 순환 장치(104)에는 제어 장치(106)와의 통신을 위한 제1 통신 수단(117)이 마련될 수 있다.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104 can circulate the water of the lake 50 up and dow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106. [ For example,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104 can introduce a water bod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nderwater support apparatus 102 and discharge i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nderwater support apparatus 102. Then, the water body circulation apparatus 104 can inflow the water body in the lower part of the underwater support apparatus 102 and discharge it to the upper part of the underwater support apparatus 102. Here, a water body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underwater support device 102 is referred to as an upper water body, and a water body located below the underwater support device 102 is referred to as a lower water body.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104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communication means 117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apparatus 106. [

제어 장치(106)는 호소(50)의 인근에 위치한 지표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어 장치(106)는 수체 순환 장치(104)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6)에는 수체 순환 장치(104)와의 통신을 위한 제2 통신 수단(119)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통신 수단(117)과 제2 통신 수단(119)은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선 통신 또는 무선과 유선이 혼합된 형태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제어 장치(106)는 호소(50)의 환경 변화에 따라 상부 수체와 하부 수체를 순환시키도록 수체 순환 장치(104)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6)는 예를 들어, 호소(50)의 수온, pH 농도, 용존 산소량(DO), 풍향, 풍속, 및 태양 광량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에 따라 상부 수체와 하부 수체를 순환시키도록 수체 순환 장치(104)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제어 장치(106)가 호소(50)의 인근에 위치한 지표 상에 마련되어 수체 순환 장치(104)를 원격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 장치(106)는 수체 순환 장치(104)에 마련될 수도 있다. The control device 106 may be provided on an indicator located near the call 50. The control device 106 can remotely control the water circulation device 104. [ The control device 106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communication means 119 for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circulation device 104. [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7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19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wired communication or a combination of wireless and wired communication . The control device 106 can control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104 to circulate the upper water body and the lower water body in accordance with the environmental change of the lake 50. The controller 106 controls the water level to circulate the upper water body and the lower water body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at least one of water temperature, pH concentration, dissolved oxygen amount (DO), wind direction, wind speed, The circulation device 104 can be controlled. Here, the control device 106 is provided on the ground located near the lake 50 to remotely control the water circulation device 104,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ntrol device 106 may include a water circulation device 104 As shown in FIG.

수생태계 활성 시스템(100)은 호소(50)의 수온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121), 호소(50)의 pH 농도를 측정하는 pH 센서(123), 및 호소(50)의 용존 산소량을 측정하는 DO(Dissolved Oxygen) 센서(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생태계 활성 시스템(100)은 호소(50)에 부는 바람의 풍향을 측정하는 풍향 센서(미도시), 호소(50)에 부는 바람의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 센서(미도시), 및 호소(50)의 태양 광량을 측정하는 광량 센서(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121), pH 센서(123), DO 센서(125), 풍향 센서(미도시), 풍속 센서(미도시), 및 광량 센서(미도시)는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측정한 센서 값을 제1 통신 수단(117)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1 통신 수단(117)은 각 센서들로부터 수신한 센서 값을 제2 통신 수단(119)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센서들이 센서 값을 제2 통신 수단(119)으로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The aquatic system active system 100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121 for measuring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lake 50, a pH sensor 123 for measuring the pH concentration of the lake 50, A DO (Dissolved Oxygen) sensor 125 may be further included. The aquatic system activation system 100 further includes a wind direction sensor (not shown) for measuring the direction of the wind blowing to the lake 50, an wind speed sensor (not shown) for measuring the wind velocity of the wind blowing into the lake 50, A light amount sensor (not shown) for measuring the solar light amount of the light source 50, and the like. The temperature sensor 121, the pH sensor 123, the DO sensor 125, the wind direction sensor (not shown), the wind speed sensor (not shown), and the light amount sensor (not shown) 1 communication means (117). At this tim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7 may transmit the sensor value received from each of the sensors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19.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each sensor may directly transmit the sensor value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eans 119.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생태계 활성 시스템에서, 수중 담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in a water biological activit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수중 담체 장치(102)는 담체 프레임(131), 수평 담체(134), 및 수직 담체(137)를 포함할 수 있다. 담체 프레임(131)은 수중 담체 장치(10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담체 프레임(131)의 자세한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2,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102 may include a carrier frame 131, a horizontal carrier 134, and a vertical carrier 137. The carrier frame 131 serves to support the underwater carrier device 102.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carrier frame 13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체 프레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담체 프레임(131)은 중심 프레임(141), 암(Arm) 프레임(143), 및 와이어(145)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 프레임(141)은 내부가 비어 있는 원 형태(즉,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중심 프레임(141)의 비어 있는 내부로 수체 순환 장치(104)가 삽입된다. 여기서는, 중심 프레임(141)이 원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심 프레임(141)은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타원,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로 형성될 수 있다. 3 is a plan view of a carrier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carrier frame 131 may include a center frame 141, an arm frame 143, and a wire 145. The center frame 141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i.e., a ring shape) in which the inside is empty. The water circulation device 104 is inserted into the hollow interior of the center frame 141.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center frame 141 may have various other forms (for example, ellipse, triangle, rectangle, pentagon, hexagon, etc.) .

암 프레임(143)은 중심 프레임(141)의 외면에 소정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 프레임(143)은 중심 프레임(141)의 외면에 60°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6개의 암 프레임(143)이 중심 프레임(141)의 외면에 60°간격으로 마련되게 된다. 이때, 담체 프레임(131)은 육각형 평면 구조물이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암 프레임(143)은 중심 프레임(141)의 외면에 다양한 간격(예를 들어, 45°, 72°, 90°, 120°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각 암 프레임(143)에는 복수 개의 담체 고정 수단(147)이 소정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담체 고정 수단(147)은 수평 담체(134)를 암 프레임(143)에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담체 고정 수단(147)은 예를 들어, U 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rm frame 143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er frame 141 at predetermined intervals. For example, the arm frames 143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er frame 141 at intervals of 60 degrees. In this case, six arm frames 143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er frame 141 at intervals of 60 degrees. At this time, the carrier frame 131 becomes a hexagonal plane structur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rm frame 143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er frame 141 at various intervals (for example, 45 degrees, 72 degrees, 90 degrees, 120 degrees, etc.). Each of the arm frames 143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arrier fixing means 147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carrier fixing means 147 is provided for fixing the horizontal carrier 134 by connecting it to the arm frame 143. The carrier fixing means 147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U-bol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와이어(145)는 암 프레임(143)들 사이에서 암 프레임(143)들을 연결하는 제1 와이어(145-1) 및 중심 프레임(141)과 암 프레임(143)을 연결하는 제2 와이어(14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와이어(145-1)는 각 암 프레임(143)의 종단에서 암 프레임(143)들을 1차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1 와이어(145-1)는 각 암 프레임(143)의 종단에 미치지 못하는 위치에서 암 프레임(143)들을 2차 연결할 수 있다. 암 프레임(143)이 중심 프레임(141)의 외면에 60°간격으로 마련된 경우, 제1 와이어(145-1)는 육각형 형태를 이루게 된다. 제2 와이어(145-2)는 중심 프레임(141)의 외면에 마련된 암 프레임(143)들 중 120°간격으로 마련된 암 프레임(143)들과 중심 프레임(141)을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와이어(145-2)는 중심 프레임(141)의 외면에 마련된 모든 암 프레임(143)들과 중심 프레임(141)을 각각 연결할 수도 있다. The wire 145 includes a first wire 145-1 for connecting the arm frames 143 between the arm frames 143 and a second wire 145-1 for connecting the center frame 141 and the arm frame 143. [ 2). The first wire 145-1 may connect the arm frames 143 at the ends of the respective arm frames 143 for the first time. In addition, the first wire 145-1 can couple the arm frames 143 at a position that does not reach the end of each arm frame 143. When the arm frames 143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er frame 141 at intervals of 60 degrees, the first wires 145-1 are formed in a hexagonal shape. The second wire 145-2 can connect the center frame 141 with the arm frames 143 provided at intervals of 120 degrees among the arm frames 143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er frame 141.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cond wire 145-2 may connect the center frame 141 with each of the arm frames 143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er frame 141, respectively.

담체 프레임(131)은 외형이 육각형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내형이 6개의 삼각형 구조물로 이루어짐으로써, 입체 담체(즉, 수평 담체(134) 및 수직 담체(137))가 안정적으로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고, 입체 담체와 담체 프레임(131) 간에 발생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The three-dimensional carrier (that is, the horizontal carrier 134 and the vertical carrier 137) can be stably connected and fixed by forming the carrier frame 131 as a hexagonal structure and the inner shape as six triangular structures , The load generated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carrier and the carrier frame 131 can be dispersed.

한편, 암 프레임(143)은 중심 프레임(141)의 외면에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암 프레임(143)의 일측(중심 프레임(141)과 연결되는 측)은 중심 프레임(141)의 외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중심 프레임(141)과 연결될 수 있다. Meanwhile, the arm frame 143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er frame 141 to be capable of being folded and unfolded. That is, one side of the arm frame 143 (the side connected to the center frame 141) can be connected to the center frame 141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er frame 141.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담체 장치에서, 암 프레임이 접혀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암 프레임(143)이 중심 프레임(141)의 외면에서 펼쳐져 있는 상태에서, 암 프레임(143)의 일측을 하부로 회전시켜 암 프레임(143)을 접을 수 있다. 그리고, 암 프레임(143)이 접혀진 상태에서, 암 프레임(143)의 일측을 상부로 회전시켜 암 프레임(143)을 펼칠 수 있다. 암 프레임(143)의 일측은 중심 프레임(141)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암 프레임(143)의 일측은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다양한 방식으로 중심 프레임(14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암 프레임(143)이 접힘 및 펼침 가능하게 마련되는 경우, 수중 담체 장치(102)의 운반, 설치, 및 보수가 용이해지게 된다.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rm frame is folded in an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n a state in which the arm frame 143 is extend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er frame 141, the arm frame 143 can be folded by rotating one side of the arm frame 143 downward. In a state in which the arm frame 143 is folded, one side of the arm frame 143 can be rotated upward to unfold the arm frame 143. [ One side of the arm frame 143 can be hinged to the center frame 14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one side of the arm frame 143 may be coupled to the center frame 141 in various ways that can be rotated in the up-and-down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rm frame 143 is provided to be foldable and unfoldable, the underwater carrier device 102 can be easily transported, installed, and repaired.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수평 담체(134)는 담체 프레임(131) 상에서 담체 프레임(131)과 연결된다. 수평 담체(134)는 담체 프레임(131)과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담체 프레임(131)과 연결될 수 있다. 수평 담체(134)는 담체 프레임(13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체 프레임(131)이 육각형 평면 구조물의 형상을 갖는 경우, 수평 담체(134)도 육각형 평면 구조물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2, the horizontal carrier 134 is connected to the carrier frame 131 on the carrier frame 131. The horizontal carrier 134 may be connected to the carrier frame 131 in a state of being horizontally disposed with the carrier frame 131. The horizontal carrier 134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arrier frame 131. For example, when the carrier frame 131 has the shape of a hexagonal plane structure, the horizontal carrier 134 may also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hexagonal plane structur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담체 장치에서, 수평 담체와 담체 프레임이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담체 프레임(131)의 상부에 수평 담체(134)를 위치시킨 상태에서(도 5의 (a)), 수평 담체(134)를 담체 프레임(131)에 안착시킨 후, 수평 담체(134)를 담체 프레임(131)과 연결시킨다(도 5의 (b)). 이때, 암 프레임(143)에 마련된 담체 고정 수단(147)을 이용하여 수평 담체(134)를 담체 프레임(131)과 연결시킬 수 있다.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orizontal carrier and a carrier fram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n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he horizontal carrier 134 is placed on the carrier frame 131 in a state where the horizontal carrier 134 is positioned on the carrier frame 131 (FIG. 5A) And the carrier 134 is connected to the carrier frame 131 (Fig. 5 (b)). At this time, the horizontal carrier 134 can be connected to the carrier frame 131 by using the carrier fixing means 147 provided on the arm frame 143.

수평 담체(134)의 중심부에는 중심 프레임(141)의 내부가 비어 있는 부분과 대응하여 개구부(151)가 마련될 수 있다. 수평 담체(134)는 개구부(151)의 테두리(151a)와 수평 담체(134)의 외곽 테두리(134a) 사이가 메쉬(Mesh)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수평 담체(134)는 개구부(151)의 테두리(151a)와 수평 담체(134)의 외곽 테두리(134a) 사이에 메쉬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부(151)의 테두리(151a)와 수평 담체(134)의 외곽 테두리(134a) 사이에는 제1 방향으로 제1 메쉬부(154-1)가 배열되고,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제2 메쉬부(154-2)가 배열될 수 있다. 제1 메쉬부(154-1) 및 제2 메쉬부(154-2)는 각각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6개의 암 프레임(143)이 중심 프레임(141)의 외면에 60°간격으로 마련되는 경우, 담체 프레임(131) 및 수평 담체(134)는 6개의 섹터(Sector)로 구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마련되는 경우, 수중에서도 본래 형태를 잘 유지할 수 있으며, 구조물의 변화나 뒤틀림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center portion of the horizontal carrier 134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151 corresponding to a portion where the inside of the center frame 141 is empty. The horizontal carrier 134 may have a mesh shape between the rim 151a of the opening 151 and the rim 134a of the horizontal carrier 134. That is, the horizontal carrier 134 may include a mesh portion 154 between the rim 151a of the opening 151 and the outer rim 134a of the horizontal carrier 134. For example, the first mesh portion 154-1 is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between the rim 151a of the opening 151 and the rim 134a of the horizontal carrier 134, And the second mesh portion 154-2 may be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A plurality of first mesh portion 154-1 and second mesh portion 154-2 may b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Here, when the six arm frames 143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er frame 141 at intervals of 60 degrees, the carrier frame 131 and the horizontal carrier 134 may be divided into six sectors. When such a structure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original shape well in water,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change or distortion of the structure.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수직 담체(137)는 복수 개가 수평 담체(134)에 연결될 수 있다. 수직 담체(137)는 수평 담체(134)에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담체 장치에서, 수직 담체가 수평 담체에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직 담체(137)는 수직 담체 바디(137-1) 및 부력 부재(137-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담체 바디(137-1)는 소정 규격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 담체 바디(137-1)의 일단은 수평 담체(134)에 연결된다. 이때, 수직 담체 바디(137-1)의 일단은 연결 고리(161) 등을 이용하여 수평 담체(134)에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2, a plurality of vertical carriers 137 may be connected to the horizontal carriers 134. The vertical carrier 137 may b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horizontal carrier 134.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vertical carrier is connected to a horizontal carrier in an underwater carri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vertical carrier 137 may include a vertical carrier body 137-1 and a buoyancy member 137-2. The vertical carrier body 137-1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of a predetermined size. One end of the vertical carrier body 137-1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carrier 134. [ At this time, one end of the vertical carrier body 137-1 may be connected to the horizontal carrier 134 using a connection ring 161 or the like.

부력 부재(137-2)는 수직 담체 바디(137-1)의 타단에 마련될 수 있다. 부력 부재(137-2)는 수직 담체(137)에 부력을 제공하여 수직 담체(137)가 호소(50) 내에서 수직하게 서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수직 담체 바디(137-1)의 일단은 수평 담체(134)에 연결되어 고정된 상태이므로, 부력 부재(137-2)는 수중에서 수직 담체 바디(137-1)가 옆으로 쓰러지지 않고 수직하게 서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수직 담체 바디(137-1)의 타단은 말려 있을 수 있고, 그 내부에 부력 부재(137-2)가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력 부재(137-2)가 수직 담체 바디(137-1)의 타단에 접착될 수도 있다. The buoyancy member 137-2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carrier body 137-1. The buoyancy member 137-2 serves to provide a buoyancy force to the vertical carrier 137 so that the vertical carrier 137 stands vertically in the lake 50. [ That is, since one end of the vertical carrier body 137-1 is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horizontal carrier 134, the buoyancy member 137-2 is positioned such that the vertical carrier body 137-1 does not collapse sideways, And to make sure that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carrier body 137-1 may be curled, and the buoyancy member 137-2 may be inserted therei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uoyancy member 137-2 may be bonded to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carrier body 137-1.

수직 담체(137)는 수평 담체(134)에 소정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담체(137)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메쉬부(154-1)에 소정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담체(137)는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2 메쉬부(154-2)에 소정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vertical carriers 137 may be periodically arranged on the horizontal carrier 134 at predetermined intervals. For example, the vertical carrier 137 may be period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mesh portion 154-1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vertical carrier 137 may be period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mesh portion 154-2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이와 같이, 수직 담체(137)가 수평 담체(134)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수평 담체(134)에 소정 간격으로 교차하며 연결됨으로써, 햇빛이 수중 담체 장치(102)의 하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식물성 플라크톤의 광합성을 억제시켜 식물성 플라크톤이 증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중 담체 장치(102)가 호소(50) 내의 1차 포식 생물의 서식 기질로 활용될 수 있게 된다. 즉, 자연 상태에서는 서식 기질이 존재하지 않는 호소(50)의 원수대에 서식 기질을 인공적으로 마련함으로써, 1차 포식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서식지를 제공해줄 수 있게 된다. 수중 담체 장치(102)로 인해 호소(50) 내에 새로운 생태계가 조성되게 된다. 이때, 수직 담체(137)가 2차 포식 생물의 시야를 제한하여 2차 포식 생물의 1차 포식 생물에 대한 포식 행위를 억제하게 되므로, 수중 담체 장치(102) 내에서 1차 포식 생물이 증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게 된다. As such, the vertical carriers 137 ar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horizontal carriers 134 and are crossed and connected to the horizontal carriers 134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reby preventing the sunlight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nderwater carrier device 102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photosynthesis of the vegetable plaques and prevent the growth of the vegetable plaques. Then,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102 can be used as a habitat substrate of primary predator organisms in the lake 50. In other words, by providing a habitat substrate artificially at the waters of the lake 50 where there is no habitat in the natural stat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abitat where the first predator can live. The underwater carrier device 102 will create a new ecosystem within the lake 50. At this time, since the vertical carrier 137 restricts the field of view of the second predator, it suppresses the predation of the first predator of the second predator, so that the first predator grows in the underwater carrier 102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nvironment that can be used.

수중 담체 장치(102)는 수심 2 ~ 3m 이내(즉, 호소(50)의 표면에서 2 ~ 3m 이내)에서 부력을 유지하도록 마련됨으로써, 태양광 에너지를 흡수하여 1차 포식 생물의 증식이 활발히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태양빛은 수면에서부터 물의 깊이에 따라 대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때, 호소(50) 내의 조류에 의한 광합성은 수면으로부터 2 ~ 3m에서 최대를 보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중 담체 장치(102)가 수심 2 ~ 3m 이내에서 부력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수중 담체 장치(102)에 서식하는 1차 포식 생물의 광합성에 의한 증식이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중 담체 장치(102)(보다 자세하게는, 수평 담체(134))의 위치가 수심 1.2 ~ 2m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중 담체 장치(102)(보다 자세하게는, 수평 담체(134))의 위치가 수심 1.5m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수중 담체 장치(102)는 자체 하중에 의한 부력과 부력 부이(111)에 의해 제공되는 보조 부력에 의해 해당 수심에서 가라앉지 않고 유지될 수 있게 된다.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102 is provided to maintain buoyancy within a depth of 2 to 3 m (i.e., within 2 to 3 m from the surface of the lake 50), thereby absorbing solar energy and actively maintaining the proliferation of primary predators . In other words, sunlight tends to decrease logarithmically from water depth to depth. At this time, the photosynthesis by algae in the lake 50 shows a maximum at 2 to 3 m from the water surface.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the underwater support apparatus 102 to maintain the buoyancy within a depth of 2 to 3 m, the first predator living in the underwater support apparatus 102 can be actively proliferated by photosynthesis . Preferably, the position of the underwater carrier device 102 (more specifically, the horizontal carrier 134) is 1.2 to 2 m in depth. More preferably, the position of the underwater carrier device 102 (more specifically, the horizontal carrier 134) can be 1.5 m in depth. Here, the underwater support device 102 can be held without sinking at the water depth by the buoyancy due to its own load and the auxiliary buoyancy provided by the buoyancy buoy 111.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중 담체 장치(102)의 하부로 햇빛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식물성 플랑크톤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1차 포식 생물의 개체수는 높게 유지함으로써, 1차 포식 생물이 식물성 플랑크톤을 섭식하도록 하여 호소(50) 내에서 식물성 플랑크톤의 증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생태계 활성 시스템(100)에 의해 호소(50) 내에서 독성 조류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pagation of phytoplankton can be suppressed by blocking sunlight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nderwater support apparatus 102. And, by keeping the population of the first predator creature high,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rowth of the phytoplankton in the lake 50 by allowing the first predator creatures to feed phytoplankton. That is,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toxic algae in the lake 50 by the aquatic system active system 100 in advance.

수평 담체(134) 및 수직 담체(137)는 친환경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담체(134) 및 수직 담체(137)는 비중 0.91 ~ 0.93의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무게가 가벼워 물에 잘 뜨고, - 40℃까지 물성이 변하지 않으며, 내수성, 내약품성, 무미, 무취, 무독성 등의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소재이다. 또한, 부력 부재(137-2) 역시 유해 성분이 함유되지 않은 폴리에틸렌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평 담체(134) 및 수직 담체(137) 등은 그 이외의 폴리올레핀 계열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담체 프레임(131)은 친환경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담체 프레임(131)은 스테인리스 스틸(예를 들어, SUS 304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horizontal carrier 134 and the vertical carrier 137 may be made of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 For example, the horizontal carrier 134 and the vertical carrier 137 may be made of a low density polyethylene (low density polyethylene) having a specific gravity of 0.91 to 0.93. Low density polyethylene is a lightweight, eco-friendly material that floats well in water and does not change its physical properties up to -40 ℃ and is water-resistant, chemical-resistant, tasteless, odorless and non-toxic. Also, the buoyancy member 137-2 may be made of a polyethylene material free from harmful componen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horizontal carrier 134 and the vertical carrier 137 may be made of other polyolefin-based materials. Further, the carrier frame 131 may be made of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 The carrier frame 131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for example, SUS 304 or the lik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생태계 활성 시스템에서, 호소 내의 수체가 순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body in a lake is circulated in a water ecosystem ac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수체 순환 장치(104)는 부표부(171), 수체 이송부(173), 제1 유출입부(175), 제2 유출입부(177), 및 펌프부(179)를 포함할 수 있다. 7,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104 includes a buoy section 171, a water body transfer section 173, a first outflow section 175, a second outflow section 177, and a pump section 179 .

부표부(171)는 수체 순환 장치(104)의 상단에 마련된다. 부표부(171)는 수체 순환 장치(104)에 부력을 제공하여 수체 순환 장치(104)가 가라앉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부표부(171)는 호소(50)의 수면 위에 떠 있게 된다. 수체 순환 장치(104)는 수중 내의 담체 프레임(131)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체 순환 장치(104)는 부력 부이(111)에 의해 추가적으로 부력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부표부(171) 상에는 제1 통신 수단(117)이 마련될 수 있다. The buoy table 171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104. The buoy part 171 serves to prevent the water circulation device 104 from sinking by providing buoyancy to the water circulation device 104. The buoy section 171 floats on the surface of the lake 50. The water body circulation apparatus 104 can be connected to the carrier frame 131 in the water. In this case,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104 can be additionally provided with buoyancy by the buoyancy buoy 111.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7 may be provided on the subscriber unit 171.

수체 이송부(173)는 부표부(171)의 하부에 마련된다. 수체 이송부(173)는 호소(50) 내에 위치하게 된다. 수체 이송부(173)는 호소(50)의 수면으로부터 수중 담체 장치(102)의 하부에 이르는 길이를 가지고 호소(50)의 수심 깊이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수체 이송부(173)는 내부에 호소(50)의 수체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된다. 수체 이송부(173)는 담체 프레임(131)의 중심 프레임(141) 및 수평 담체(134)의 개구부(151)로 삽입되어 호소(5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water body transfer section 173 is provided below the buoy section 171. The water body transfer part 173 is located in the lake 50. The water body transfer unit 173 may be provided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lake 50 with a length extending from the water surface of the lake 5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102. The water body transfer part 173 is provided with a passage through which the water body of the lake 50 can move. The water body transfer part 173 may be inserted into the center frame 141 of the carrier frame 131 and the opening 151 of the horizontal carrier 134 and be positioned in the call 50. [

제1 유출입부(175)는 수체 이송부(173)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유출입부(175)는 수체 이송부(173)의 내부와 호소(50)의 내부를 연통시킨다. 제1 유출입부(175)를 통해 수체 이송부(173) 내부의 수체가 호소(50) 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유출입부(175)를 통해 호소(50) 내의 수체(즉, 상부 수체)가 수체 이송부(173)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The first outlet portion 175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body transfer portion 173. The first outlet 175 communicates the inside of the lake 50 with the inside of the water body transfer part 173. The water body inside the water body transfer part 173 can be discharged to the lake 50 side through the first outlet part 175. The water body (that is, the upper water body) in the lake 50 can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body transfer section 173 through the first inlet / outlet section 175.

제2 유출입부(177)는 수체 이송부(173)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유출입부(177)는 수체 이송부(173)의 내부와 호소(50)의 내부를 연통시킨다. 제2 유출입부(177)를 통해 수체 이송부(173) 내부의 수체가 호소(50) 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유출입부(177)를 통해 호소(50) 내의 수체(즉, 하부 수체)가 수체 이송부(173)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The second outlet portion 177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water body transfer portion 173. The second outlet 177 communicates the inside of the lake 50 with the inside of the water body transfer part 173. The water body inside the water body transfer part 173 can be discharged to the lake side 50 side through the second outlet 177. [ The water body (that is, the lower water body) in the lake 50 can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body transfer unit 173 through the second outlet 177. [

펌프부(179)는 수체 이송부(173) 내에 마련될 수 있다. 펌프부(179)는 호소(50) 내의 상부 수체를 제1 유출입부(175)를 통해 수체 이송부(173) 내부로 유입시킨 후, 제2 유출입부(177)를 통해 호소(50) 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즉, 펌프부(179)는 호소(50) 내의 상부 수체를 수체 이송부(173)에 의해 수중 담체 장치(102)의 하부로 보낼 수 있다. 이러한 운전 모드를 정상 운전 모드라 한다. 펌프부(179)는 호소(50) 내의 하부 수체를 제2 유출입부(177)를 통해 수체 이송부(173) 내부로 유입시킨 후, 제1 유출입부(175)를 통해 호소(50) 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즉, 펌프부(179)는 호소(50) 내의 하부 수체를 수체 이송부(173)에 의해 수중 담체 장치(102)의 상부로 보낼 수 있다. 이러한 운전 모드를 역류 운전 모드라 한다. 펌프부(179)의 이러한 작용에 의해 호소(50) 내의 상부 수체와 하부 수체가 순환되게 된다. 펌프부(179)는 예를 들어, 스크류 펌프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체 순환 장치(104)는 제어 장치(106)의 제어에 따라 펌프부(179)를 정상 운전 모드 또는 역류 운전 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 The pump section 179 may be provided in the water body transfer section 173. The pump unit 179 causes the upper water body in the lake 50 to flow into the water body transfer unit 173 through the first inlet 175 and then to the lake 50 via the second outlet 177 . That is, the pump unit 179 can send the upper water body in the lake 50 to the lower part of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102 by the water body transfer unit 173. This operation mode is referred to as a normal operation mode. The pump unit 179 causes the lower water body in the lake 50 to flow into the water body transfer unit 173 through the second outlet 177 and then to discharge the water to the lake 50 via the first outlet 175 . That is, the pump unit 179 can send the lower water body in the lake 5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102 by the water body transfer unit 173. This operation mode is referred to as a reverse flow operation mode. By this action of the pump unit 179, the upper water body and the lower water body in the lake 50 are circulated. As the pump unit 179, for example, a screw pump may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104 can operate the pump section 179 in the normal operation mode or the reverse flow operation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106. [

한편, 수체 이송부(173)의 내부 통로에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호소(50) 내의 상부 수체 및 하부 수체가 수체 이송부(173)의 내부 통로를 이동하면서 순환될 때, 필터(미도시)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지므로 호소(50)의 수체를 점차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filter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internal passage of the water body transfer part 173. In this case, when the upper water body and the lower water body in the lake 50 are circulated while moving through the internal passage of the water body transfer unit 173, foreign matter is filtered by a filter (not shown) .

여기서, 수중 담체 장치(102)는 수중 담체 장치(102)의 내부에서는 햇빛 에너지의 이용을 극대화하여 1차 포식 생물의 광합성 동화 작용을 극대화 하고, 수중 담체 장치(102)의 하부로 햇빛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광 부족으로 식물성 플랑크톤의 증식을 억제하는 구조이다. 그로 인해, 주간과 야간에 호소(50)의 용존 산소량(DO) 수치 및 pH 농도가 달라지는 특성을 보이게 된다. 수중 담체 장치(102)의 내부는 수평 담체(134) 및 수직 담체(137)가 위치하는 공간 영역으로, 1차 포식 생물의 서식 공간을 말한다.Here,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102 maximizes the use of sunlight energy in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102 to maximize the photosynthesis assimilation of the first predator organism, and transmits sunligh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102 Which inhibits the growth of phytoplankton due to lack of light. As a result, the dissolved oxygen amount (DO) value and the pH concentration of the lake 50 are varied in daytime and nighttime. The inside of the underwater carrier device 102 is a space area where the horizontal carriers 134 and the vertical carriers 137 are located, and refers to a habitat for primary predators.

도 7의 (a)를 참조하면, 주간에는 수중 담체 장치(102)의 내부에서 1차 포식 생물의 광합성 동화 작용으로, 호소(50) 내의 상부 수체는 용존 산소량 및 pH 농도가 올라가게 된다. 호소(50) 내의 용존 산소량 및 pH 농도가 올라가는 경우, 수중 담체 장치(102)의 내부에 서식하는 1차 포식 생물의 성장을 방해하게 된다. 그리고, 주간에는 햇빛이 수중 담체 장치(102)의 내부에 집중되어 표층 수온을 상승시키게 된다. 따라서, 주간에는 높은 수온, 높은 용존 산소량, 및 높은 pH 농도를 가지는 상부 수체를 낮은 수온, 낮은 용존 산소량, 및 낮은 pH 농도를 가지는 수중 담체 장치(102)의 하부로 순환시킬 필요가 있다. 즉, 주간에는 수체 순환 장치(104)를 정상 운전 모드로 작동시킴으로써, 호소(50) 내의 수온 및 pH 농도를 조절하고, 과포화된 용존 산소량을 수중 담체 장치(102)의 하부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7 (a), during the daytime,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and the concentration of dissolved oxygen are increased in the upper water body in the lake 50 due to the photosynthesis assimilation of the primary predators in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102. When the dissolved oxygen amount and the pH concentration in the lake 50 rise, it interferes with the growth of primary predators living in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102. During the daytime, sunlight is concentrated inside the underwater support device 102, thereby raising the surface water temperature. Therefore, during the daytime, it is necessary to circulate the upper water body having a high water temperature, a high dissolved oxygen amount, and a high pH concentratio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102 having a low water temperature, a low dissolved oxygen amount, and a low pH concentration. That is, in the daytime, by operating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104 in the normal operation mode, the water temperature and the pH concentration in the lake 50 can be controlled and the supersaturated dissolved oxygen amount can be suppli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102.

도 7의 (b)를 참조하면, 야간에는 수중 담체 장치(102)의 내부에서 1차 포식 생물의 호흡 이화 작용으로, 호소(50) 내의 상부 수체의 용존 산소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 경우, 수중 담체 장치(102)의 내부에 서식하는 동물계(예를 들어, 미소 동물)의 생육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수체 순환 장치(104)를 역류 운전 모드로 작동시킴으로써, 주간대에 용존 산소량이 저장되어 있는 호소(50) 내의 하부 수체를 수중 담체 장치(102)의 상부로 이동시켜 수생태계를 활성화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7 (b), at night,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n the upper water body in the lake 50 is reduced due to the respiration-curing action of the primary predators living within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102. In this case, there arises a problem in the growth of the animal (for example, animal) living in the underwater support device 102. By operating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104 in the reverse flow operation mode, the lower water body in the lake 50 where the dissolved oxygen amount is stored in the daytime zone is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102, . ≪ / RTI >

한편, 수중 담체 장치(102)의 내부의 생태계는 식물계와 동물계로 구성되는데, 각각 최적의 환경 조건은 다르게 나타난다. 식물계의 생존에는 햇빛, 수온, 및 영양염의 공급이 필수적 요건이고, 동물계의 생존에는 수온과 먹이(즉, 식물성 플랑크톤의 공급)이 필수적 요건이 된다. 그런데, 이들 중 식물계와 동물계에 있어 중요한 환경 조건인 수온은 계절에 따라 격차가 크게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계절별 및 주야간별로 수체 순환 장치(104)의 운전 모드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cosystem inside the underwater carrier device 102 is composed of plant and animal systems, and the optimum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unlight, water temperature, and nutrient supply are essential for vegetation survival, and water temperature and food (ie, supply of phytoplankton) are essential for the survival of the animal kingdom. However, the water temperature, which is an important environmental condition for the plant and animal life,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seas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operation mode of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104 by season and day / night.

운전 조건
Operating condition
동절기(수온)Winter (water temperature) 순환기(수온)Circulatory system (water temperature) 하절기(수온)Summer (water temperature)
5℃미만Less than 5 ℃ 5℃이상5 ℃ or more 15℃이하Below 15 ℃ 30℃미만Less than 30 ℃ 30℃이상30 ℃ or more 주간대Weekly 하향류 레벨1Downstream level 1 상향류 레벨1Upstream level 1 상향류 레벨2Upstream level 2 하향류 레벨3Downstream level 3 상향류 레벨3Upstream level 3 야간대Night 상향류 레벨1Upstream level 1 하향류 레벨2Downstream Level 2 상향류 레벨3Upstream level 3 하향류 레벨3Downstream level 3

여기서, 상향류는 수중 담체 장치(102)의 하부에 존재하는 수체(즉, 하부 수체)의 상부 순환으로서, 수체 순환 장치(104)의 역류 운전 모드를 의미하고, 하향류는 수중 담체 장치(102)의 상부(보다 자세하게는, 수평 프레임(134)의 상부)에 존재하는 수체(즉, 상부 수체)의 하부 순환으로서, 수체 순환 장치(104)의 정상 운전 모드를 의미한다. 그리고, 레벨 1은 일일 순환 횟수가 1 ~ 2회인 경우를 말하고, 레벨 2는 일일 순환 횟수가 6 ~ 7회인 경우를 말하며, 레벨 3은 일일 순환 횟수가 8 ~ 10회인 경우를 말한다. 여기서는, 레벨 정도를 일일 순환 횟수로 구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일 순환 수체량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수온은 호소(50)의 수면 온도를 나타낸다. Here, the upward flow refers to a reverse flow operation mode of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104 as an upper circulation of a water body (that is, a lower water column) existing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nderwater support apparatus 102, Means a normal operation mode of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104 as a lower circulation of the water body (that is, the upper water body) existing in the upper portion (more specifically,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34) Level 1 refers to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daily circulation is 1 to 2, level 2 refers to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daily circulation is 6 to 7, and level 3 refers to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daily circulation is 8 to 10. Here, the degree of the level is divided into the number of daily cyc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aily cycle water volume may be used. The water temperature represents the water surface temperature of the lake 50.

표 1을 참조하면, 동절기의 경우, 수온이 5℃ 미만이면 주간에는 수체 순환 장치(104)를 하향류 레벨 1으로 운전하고, 야간에는 수체 순환 장치(104)를 상향류 레벨 1으로 운전할 수 있다. 그리고, 수온이 5℃ 이상이면 주간 및 야간 모두 상향류 레벨 1으로 운전할 수 있다. 동절기의 경우, 1차 포식 생물의 생장을 유지하면서 호소(50)의 수면 동결을 최소화하는 형태로 수체 순환 장치(104)를 운전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1, in the winter season, when the water temperature is less than 5 ° C,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104 is operated at the downflow level 1 during the day, and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104 is operated at the upflow level 1 at the nighttime . If the water temperature is 5 ° C or higher, it can be operated at the upstream level 1 in both daytime and nighttime. In the case of the winter season,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104 can be operated in such a manner as to minimize the freezing of water of the lake 50 while maintaining the growth of the first predators.

순환기(봄과 가을)의 경우, 주간에는 수체 순환 장치(104)를 상향류 레벨2로 운전하고, 야간에는 수체 순환 장치(104)를 하향류 레벨2로 운전할 수 있다. 순환기의 경우, 호수(50) 내의 수체의 영양염의 농도가 높아지는 시기이기 때문에, 수중 담체 장치(102) 내의 1차 포식 생물의 활성도를 높이기 위해 주간에는 수체 순환 장치(104)를 역류 운전 모드로 작동시켜 호소(50)의 하부 수체를 상부로 순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호소(50)의 하부 수체의 영양염이 수중 담체 장치(102) 내의 1차 포식 생물로 공급되므로, 호소(50) 내의 영양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야간에는 수체 순환 장치(104)를 정상 운전 모드로 작동시켜 주변의 조류(즉, 식물성 플랑크톤)를 수중 담체 장치(102) 내로 유입시키며, 그로 인해 동물성 플랑크톤의 조류 섭식이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the circulation period (spring and autumn),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104 can be operated at the upflow level 2 during the day, and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104 can be operated at the downflow level 2 at the nighttime. In the case of the circulatory system, since the concentration of the nutrients in the water in the lake 50 is high, in order to increase the activity of the primary predator in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102,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104 is operated in the back- So that the lower water body of the lake 50 can be circulated upward. In this case, since the nutrient of the lower water body of the lake 50 is supplied to the first predator in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102, the nutrient in the lake 50 can be effectively removed. At night,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104 is operated in a normal operation mode to introduce algae (that is, phytoplankton) into the underwater support apparatus 102, thereby actively feeding algae of zooplankton have.

하절기의 경우, 수온이 30℃ 미만이면 주간에는 수체 순환 장치(104)를 하향류 레벨 3으로 운전하고, 야간에는 수체 순환 장치(104)를 상향류 레벨 3으로 운전할 수 있다. 그리고, 수온이 30℃ 이상이면 주간에는 수체 순환 장치(104)를 상향류 레벨 3으로 운전하고, 야간에는 수체 순환 장치(104)를 하향류 레벨 3으로 운전할 수 있다. 표층수의 수온이 30℃ 이상인 경우, 표층수에 나타나는 부유 조류가 수중 담체 장치(102) 내의 부착 조류보다 광(光) 경쟁에서 우위를 나타내어 부착 조류의 성장을 방해하게 된다. 이에, 표층수의 수온이 30℃ 이상인 경우, 주간에는 낮은 온도 및 조류 농도의 하부 수체를 상부로 순환시켜 수중 담체 장치(102) 내의 부착 조류의 광합성 경쟁력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summer season, when the water temperature is less than 30 ° C,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104 is operated at the downflow level 3 during the day and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104 is operated at the upflow level 3 at the nighttime. When the water temperature is 30 ° C or higher,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104 is operated at the upflow level 3 during the day and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104 is operated at the downflow level 3 at the nighttime. When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surface water is 30 ° C or higher, the floating tide appearing in the surface layer water dominates the light competition rather than the attached tide in the underwater support device 102, and interferes with the growth of the attached tide. Accordingly, when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surface layer water is 30 ° C or higher, the lower water body having a low temperature and an algaec concentration can be circulated upward in the daytime so that the photosynthetic competitiveness of the attached algae in the underwater carrier device 102 can be maintained.

또한, 수체 순환 장치(104)는 호소(50) 내의 상부 수체의 용존 산소량 수치에 따라 그 운전 모드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수체의 용존 산소량(DO)이 10이하인 경우, 수체 순환 장치(104)를 역류 운전 모드로 운전하고, 상부 수체의 용존 산소량(DO)이 7이하인 경우, 수체 순환 장치(104)를 정상 운전 모드로 운전할 수 있다. Further,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104 can adjust its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dissolved oxygen amount value of the upper water body in the lake 50. For example, when the dissolved oxygen amount DO of the upper water body is 10 or less,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104 is operated in the reverse flow operation mode, and when the dissolved oxygen amount DO of the upper water body is 7 or less, Can be operated in the normal operation mode.

제어 장치(106)는 온도 센서(121), pH 센서(123), 및 DO 센서(125) 등을 통해 호소(50)의 수온, pH 농도, 및 용존 산소량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그에 따라 수체 순환 장치(104)의 운전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6)는 호소(50)의 수온, pH 농도, 및 용존 산소량을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하여 그 변화 상태를 예측할 수도 있다. The control device 106 monitors changes in water temperature, pH concentration, and dissolved oxygen amount of the lake 50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121, the pH sensor 123, and the DO sensor 125, The operation mode of the device 104 can be controlled. The control device 106 may accumulate the water temperature, pH concentration, and dissolved oxygen amount of the lake 50 in a database to predict the change stat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호소(50) 내에 1차 포식 생물의 서식지를 마련하고, 수중 담체 장치(102) 하부의 광이용 환경을 변화시켜 식물성 플랑크톤의 증식을 억제하게 된다. 즉, 수중 담체 장치(102)로 인한 생태적 환경 조성에 의해 생물학적으로 식물성 플랑크톤의 증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생물학적으로 식물성 플랑크톤의 증식을 사전에 방지하기 때문에, 조류 억제와 관련하여 2차 오염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적은 비용으로 조류의 증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는 조류가 발생한 이후에 사후 처리 방식으로 약품 등을 사용하였는데, 약품의 대부분이 수입에 의존하여 비용이 상당히 많이 들게 되고, 약품 사용으로 인한 2차 오염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증식을 생물학적(생태학적)으로 방지하기 때문에, 2차 오염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설치 후 유지 보수비가 적게 들어 적은 비용으로 조류의 증식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bitat of the first predator is provided in the lake 50, and the light utilization environment under the underwater support device 102 is changed to suppress the growth of phytoplankton. That is, by the formation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due to the underwater carrier device 10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rowth of phytoplankton biologically.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growth of phytoplankton is prevented biologically, secondary pollution problems do not occur in relation to algae suppression, and the growth of algae can be prevented at a low cost. In other words, conventionally, after the occurrence of algae, medicines and the like have been used as a post-treatment method. However, since most of the medicines depend on imports, the costs are considerably increased and secondary pollution problems arise due to the use of medicines. (Ecologically) prevent the growth of phytoplankton. Therefore, the second pollution problem does not occur, the maintenance cost of the plant is low, and the propagation of algae can be efficiently controlled at a low cost.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담체 장치를 여러 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underwater carrier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도 8을 참조하면, 수중 담체 장치(102)는 복수 개가 연결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19개의 수중 담체 장치(102)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수중 담체 장치(102)를 복수 개 연결하면, 수중 담체 장치(102)에 의한 1차 포식 생물의 서식지를 넓은 면적에 걸쳐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수중 담체 장치(102) 하부의 광합성 차단 영역을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수체 순환 장치(104)는 각 수중 담체 장치(102)마다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의 수중 담체 장치(102) 마다 하나씩 설치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8, a plurality of underwater carrier devices 102 may be connected. In FIG. 8, 19 underwater carrier devices 102 are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when a plurality of underwater carrier devices 102 are connected,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habitat of the first predator creature by the underwater carrier device 102 over a wide area, It is possible to secure a wide area. The water circulation device 104 may be installed for each of the underwater support devices 102,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nderwater support devices 102.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00 : 수생태계 활성화 시스템
102 : 수중 담체 장치
104 : 수체 순환 장치
106 : 제어 장치
111 : 부력 부이
113 : 고정부
114 : 위치 고정추
115 : 전원 케이블
117 : 제1 통신 수단
119 : 제2 통신 수단
121 : 온도 센서
123 : pH 센서
125 : DO 센서
131 : 담체 프레임
134 : 수평 담체
137 : 수직 담체
137-1 : 수직 담체 바디
137-2 : 부력 부재
141 : 중심 프레임
143 : 암 프레임
145 : 와이어
145-1 : 제1 와이어
145-2 : 제2 와이어
147 : 담체 고정 수단
151 : 개구부
154 : 메쉬부
154-1 : 제1 메쉬부
154-2 : 제2 메쉬부
161 : 연결 고리
171 : 부표부
173 : 수체 이송부
175 : 제1 유출입부
177 : 제2 유출입부
179 : 펌프부
100: aquatic ecosystem activation system
102: Underwater carrier device
104: Water circulation device
106: Control device
111: Buoyancy Buoy
113:
114: Position fixed weight
115: Power cable
117: first communication means
119: Second communication means
121: Temperature sensor
123: pH sensor
125: DO sensor
131: carrier frame
134: horizontal carrier
137: vertical carrier
137-1: vertical carrier body
137-2: Buoyancy member
141: center frame
143: Arm frame
145: wire
145-1: first wire
145-2: second wire
147: carrier fixing means
151: opening
154: mesh portion
154-1: first mesh portion
154-2: second mesh portion
161: Connection ring
171:
173:
175: first inlet /
177: the second inlet /
179:

Claims (29)

호소 내의 기 설정된 수심에서 부력을 유지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호소 내의 1차 포식 생물의 서식지를 제공하는 수중 담체 장치; 및
상기 수중 담체 장치에 인접하여 마련되고, 상기 호소의 상부 수체와 상기 호소의 하부 수체를 순환시키는 수체 순환 장치를 포함하는, 수생태계 활성화 시스템.
An underwater carrier device provided to maintain buoyancy at a predetermined water depth in the lake and providing a habitat for the first predator in said lake; And
And a water circulation device provided adjacent to the underwater carrier device for circulating the upper water body of the lake and the lower water body of the lak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중 담체 장치는,
상기 호소 내의 수심 3m 이내에서 부력을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수생태계 활성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comprises:
Wherein the buoyancy is maintained within a depth of 3 m within the lak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중 담체 장치는,
상기 호소 내의 수심 1.2m ~ 2m에서 부력을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수생태계 활성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comprises:
Wherein the buoyancy is maintained at a water depth of 1.2 m to 2 m in the lak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중 담체 장치는,
태양광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태양광이 상기 수중 담체 장치의 하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수생태계 활성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comprises:
Wherein the sunlight is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nderwater carrier device while absorbing solar energ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중 담체 장치는,
상기 호소 내의 2차 포식 생물의 시야를 방해하여 상기 1차 포식 생물에 대한 포식 행위를 억제하는, 수생태계 활성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comprises:
Thereby inhibiting predation of the primary predator by interfering with the field of view of the secondary predator in the lak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중 담체 장치는,
상기 호소 내에 설치되는 담체 프레임;
상기 호소 내에서 상기 담체 프레임에 수평하게 연결되는 수평 담체; 및
상기 호소 내에서 상기 수평 담체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상호 이격되는 복수 개의 수직 담체를 포함하는, 수생태계 활성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comprises:
A carrier frame installed in the lake;
A horizontal carrier horizontally connected to the carrier frame within the aperture; And
And a plurality of vertical carriers perpendicularly connected to and spaced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support within the aper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체 순환 장치는,
상기 호소의 수온, pH 농도, 용존 산소량, 주간 및 야간, 및 태양 광량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호소의 상부 수체와 상기 호소의 하부 수체를 순환시키는, 수생태계 활성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circulation device includes:
Wherein the upper water body of the lake and the lower water body of the lake are circulat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water temperature, pH concentration, dissolved oxygen amount, daytime and nighttime, and sunlight amount of the lak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체 순환 장치는,
상기 호소의 상부 수체를 상기 수체 순환 장치 내로 유입시킨 후 상기 수중 담체 장치의 하부로 배출하거나 상기 호소의 하부 수체를 상기 수체 순환 장치 내로 유입시킨 후 상기 수중 담체 장치의 상부로 배출하는, 수생태계 활성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circulation device includes:
Wherein the upper water body of the lake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circulation device and then discharg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nderwater carrier device or the lower water body of the lake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circulation device and then discharg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nderwater carrier device,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체 순환 장치는,
상기 호소의 상부 수체의 pH 농도 및 용존 산소량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상한값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호소의 상부 수체를 상기 수중 담체 장치의 하부로 순환시키는, 수생태계 활성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circulation device includes:
Wherein the upper water body of the lake is circula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when at least one of the pH concentration and the dissolved oxygen amount of the upper water body of the lake becomes a predetermined upper limit value or mo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체 순환 장치는,
상기 호소의 상부 수체의 pH 농도 및 용존 산소량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하한값 이하가 되는 경우, 상기 호소의 하부 수체를 상기 수중 담체 장치의 상부로 순환시키는, 수생태계 활성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circulation device includes:
Wherein the lower water body of the lake is circula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when at least one of the pH concentration and the dissolved oxygen amount of the upper water body of the lake reaches a predetermined lower limit value or les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체 순환 장치는,
상기 호소의 수온 및 계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순환 횟수 또는 순환 수체량을 달리하는, 수생태계 활성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circulation device includes:
Wherein the circulation frequency or the circulation water volume is vari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water temperature and season of the lak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체 순환 장치는,
상기 호소의 수면 위에 떠서 상기 수체 순환 장치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표부;
상기 부표부의 하부에 상기 호소의 수심 깊이 방향으로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호소의 수체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구비되는 수체 이송부;
상기 수체 이송부의 상측에 마련되고 상기 수체 이송부의 내부와 상기 호소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제1 유출입부;
상기 수체 이송부의 하측에 마련되고 상기 수체 이송부의 내부와 상기 호소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제2 유출입부; 및
상기 수체 이송부의 내부에 마련되는 펌프부를 포함하는, 수생태계 활성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circulation device includes:
A buoy part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lake to provide buoyancy to the water circulation device;
A water conveyance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uoy part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lake and hav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water body of the lake can move;
A first flow-in part provided above the water body transfer part and communicating the inside of the water body transfer part with the inside of the lake;
A second inflow / outflow section provided below the water body transfer section and communicating the inside of the water body transfer section with the inside of the arcade; And
And a pump section provided inside the water body transfer s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생태계 활성화 시스템은,
상기 호소의 수온, pH 농도, 용존 산소량, 주간 및 야간, 및 태양 광량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원격에서 상기 수체 순환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호소의 상부 수체와 상기 호소의 하부 수체를 순환시키도록 하는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는, 수생태계 활성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ecosystem activation system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water temperature, pH concentration, dissolved oxygen amount, daytime and nighttime, and solar amount of the lake to circulate the upper water body of the lake and the lower water body of the lak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호소 내의 기 설정된 수심에 마련되는 담체 프레임;
상기 담체 프레임에 수평하게 연결되는 수평 담체; 및
상기 수평 담체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상호 이격되는 복수 개의 수직 담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된 수심에서 부력을 유지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호소 내의 1차 포식 생물의 서식지를 제공하는, 수중 담체 장치.
A carrier fram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reference;
A horizontal carrier horizontally connected to the carrier frame; And
And a plurality of vertical carrier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horizontal carri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s provided to maintain buoyancy at the predetermined depth, and provides the habitat of the primary predator in the lake.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수중 담체 장치는,
상기 담체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호소의 수면 위에 떠서 상기 수중 담체 장치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 부이를 더 포함하는, 수중 담체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buoyant portions connected to the carrier frame and floating over the water surface of the lake to provide buoyancy to the underwater carrier device.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담체 프레임은,
상기 담체 프레임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중심 프레임;
상기 중심 프레임의 외측에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복수 개의 암 프레임; 및
상기 복수 개의 암 프레임들 및 상기 중심 프레임과 상기 복수 개의 암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수중 담체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carrier frame includes:
A center fram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arrier frame;
A plurality of arm frames provided outside the center fram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nd a wire connecting the plurality of arm frames and at least one of the center frame and the plurality of arm frames.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암 프레임의 일측은 상기 중심 프레임의 외측에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수중 담체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one side of the arm frame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be folded and unfolded outside the center frame.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수평 담체는,
상기 담체 프레임 상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제1 방향으로 복수 개가 마련되는 제1 메쉬부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복수 개가 마련되는 제2 메쉬부를 포함하는, 수중 담체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horizontal carrier includes:
A first mesh portion fixedly connected to the carrier frame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mesh portions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mesh portion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mesh portions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in a second direction.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수직 담체는,
일단이 상기 수평 담체에 연결되는 수직 담체 바디; 및
상기 수직 담체 바디의 타단에 마련되고, 상기 호소 내에서 상기 수직 담체 바디가 상기 수평 담체와 수직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 부재를 포함하는, 수중 담체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vertical carrier includes:
A vertical carrier body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horizontal carrier; And
And a buoyancy member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carrier body and providing a buoyancy so that the vertical carrier body is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carrier in the lake.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담체 프레임 및 상기 수평 담체는,
상기 호소 내의 수심 3m 이내에서 부력을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수중 담체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carrier frame and the horizontal carrier may be formed of a metal,
And is provided so as to maintain buoyancy within a depth of 3m in the lake.
호소의 수면 위에 떠서 부력을 제공하는 부표부;
상기 부표부의 하부에 상기 호소의 수심 깊이 방향으로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호소의 수체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구비되는 수체 이송부;
상기 수체 이송부의 상측에 마련되고 상기 수체 이송부의 내부와 상기 호소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제1 유출입부;
상기 수체 이송부의 하측에 마련되고 상기 수체 이송부의 내부와 상기 호소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제2 유출입부; 및
상기 수체 이송부의 내부에 마련되는 펌프부를 포함하고,
상기 호소의 상부 수체와 상기 호소의 하부 수체를 순환시키는, 수체 순환 장치.
A buoy section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lake to provide buoyancy;
A water conveyance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uoy part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lake and hav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water body of the lake can move;
A first flow-in part provided above the water body transfer part and communicating the inside of the water body transfer part with the inside of the lake;
A second inflow / outflow section provided below the water body transfer section and communicating the inside of the water body transfer section with the inside of the arcade; And
And a pump section provided inside the water body transfer section,
And circulates the upper water body of the lake and the lower water body of the lake.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수체 순환 장치는,
상기 호소 내의 기 설정된 수심에서 부력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수중 담체 장치와 인접하여 마련되고, 상기 상부 수체 및 상기 하부 수체는 상기 수중 담체 장치를 기준으로 구분되는, 수체 순환 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1,
The water circulation device includes:
Wherein the lower water body and the lower water body are provided adjacent to an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installed so as to maintain buoyancy at a predetermined water depth in the lake, wherein the upper water body and the lower water body are classified based on the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는,
상기 호소의 상부 수체를 상기 제1 유출입부를 통해 상기 수체 이송부 내부로 유입시킨 후 상기 제2 유출입부를 통해 배출하거나 상기 호소의 하부 수체를 상기 제2 유출입부를 통해 상기 수체 이송부 내부로 유입시킨 후 상기 제1 유출입부를 통해 배출하는, 수체 순환 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1,
The pump unit includes:
The upper water body of the lake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body transfer part through the first inlet and outlet part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outlet part or the lower water body of the lake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body transfer part through the second outlet part, (1).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수체 순환 장치는,
상기 수체 이송부 내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더 포함하는, 수체 순환 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1,
The water circulation device includes:
And at least one filter provided inside the water body transfer part.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수체 순환 장치는,
외부의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펌프부의 운전 모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을 더 포함하는, 수체 순환 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1,
The water circulation device includes:
And communication means for receiving an operation mode control signal of the pump section from an external control device.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수체 순환 장치는,
상기 호소의 수온, pH 농도, 용존 산소량, 주간 및 야간, 및 태양 광량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호소의 상부 수체와 상기 호소의 하부 수체가 순환하도록 상기 펌프부를 동작시키는, 수체 순환 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1,
The water circulation device includes:
And operates the pump section so that the upper water body of the lake and the lower water body of the lake circulat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water temperature, pH concentration, dissolved oxygen amount, daytime and nighttime, and sunlight amount of the Lake.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수체 순환 장치는,
상기 호소의 상부 수체의 pH 농도 및 용존 산소량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상한값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호소의 상부 수체를 상기 제1 유출입부를 통해 상기 수체 이송부 내부로 유입시킨 후 상기 제2 유출입부를 통해 배출하도록 상기 펌프부를 동작시키는, 수체 순환 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1,
The water circulation device includes:
Wherein when at least one of the pH concentration and the dissolved oxygen amount of the upper water body of the lake become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upper limit value, the upper water body of the lake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body transfer unit through the first outlet portion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outlet portion To operate the pump unit.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수체 순환 장치는,
상기 호소의 상부 수체의 pH 농도 및 용존 산소량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하한값 이하가 되는 경우, 상기 호소의 하부 수체를 상기 제2 유출입부를 통해 상기 수체 이송부 내부로 유입시킨 후 상기 제1 유출입부를 통해 배출하도록 상기 펌프부를 동작시키는, 수체 순환 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1,
The water circulation device includes:
The lower water body of the lake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body transfer unit through the second inlet and outlet unit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inlet and outlet unit when at least one of the pH concentration and the dissolved oxygen amount of the upper water body of the lake becomes less than a predetermined lower limit value To operate the pump unit.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수체 순환 장치는,
상기 호소의 수온 및 계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순환 횟수 또는 순환 수체량을 달리하는, 수체 순환 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1,
The water circulation device includes:
Wherein the circulation frequency or the circulating water volume is different depending on at least one of the water temperature and season of the lake.





KR1020140052615A 2014-04-30 2014-04-30 Apparatus for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for circulating water body, and system for vitalizing water ecosystem using the same KR1016335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615A KR101633544B1 (en) 2014-04-30 2014-04-30 Apparatus for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for circulating water body, and system for vitalizing water ecosystem using the same
CN201580021616.XA CN106255668A (en) 2014-04-30 2015-04-29 Underwater carrier device, water circulation device and utilize this aquatic ecosystem activation system
PCT/KR2015/004284 WO2015167237A1 (en) 2014-04-30 2015-04-29 Underwater carrier device, water body circulation device, and aquatic ecosystem activation system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615A KR101633544B1 (en) 2014-04-30 2014-04-30 Apparatus for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for circulating water body, and system for vitalizing water ecosyste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823A true KR20150125823A (en) 2015-11-10
KR101633544B1 KR101633544B1 (en) 2016-06-27

Family

ID=54358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615A KR101633544B1 (en) 2014-04-30 2014-04-30 Apparatus for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for circulating water body, and system for vitalizing water eco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33544B1 (en)
CN (1) CN106255668A (en)
WO (1) WO2015167237A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122B1 (en) 2006-09-06 2008-02-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The method for removing algae using chestnut bark extracts and ginko leaves extracts
KR20100033611A (en) * 2008-09-22 2010-03-31 한국전력공사 Lake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method
KR20110103663A (en) * 2010-03-15 2011-09-21 (주)에이엔티이십일 Apparatus for improving water quality of lake
KR101169558B1 (en) * 2011-11-21 2012-07-27 허종형 Apparatus for suppressing algal growth
KR101227595B1 (en) * 2012-08-21 2013-01-29 허종형 Apparatus for suppressing algal growth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11199A (en) * 2010-06-29 2012-01-11 Net有限公司 Purification device for lakes and marsh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122B1 (en) 2006-09-06 2008-02-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The method for removing algae using chestnut bark extracts and ginko leaves extracts
KR20100033611A (en) * 2008-09-22 2010-03-31 한국전력공사 Lake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method
KR20110103663A (en) * 2010-03-15 2011-09-21 (주)에이엔티이십일 Apparatus for improving water quality of lake
KR101169558B1 (en) * 2011-11-21 2012-07-27 허종형 Apparatus for suppressing algal growth
KR101227595B1 (en) * 2012-08-21 2013-01-29 허종형 Apparatus for suppressing algal grow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55668A (en) 2016-12-21
KR101633544B1 (en) 2016-06-27
WO2015167237A1 (en) 2015-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91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off-shore and in-shore aquaculture using floating closed containment farming and amalgamated facility
US9374952B1 (en) Rotatable vertical growing system
KR101399217B1 (en) Underwater cage facility for abalone and sea cucumber with multistory shelter structure
CN102674558A (en) Integrated type ecological floating bed and water body ecological system repairing technology thereof
JP5629288B2 (en) Seafood culture apparatus and method
Browdy¹ et al. 11 Shrimp Culture in Urban, Super-intensive Closed Systems
CN105494225A (en) Indoor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TWI504345B (en) Multi-layer ecological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KR101330705B1 (en) Apartment type and plant type farming-building using air lift apparatus
CN110240362A (en) A kind of efficient cultivation tail water processing method
CN204579555U (en) A kind of temperature control flow control for coral propagation and water purification installation
CN103563817A (en) Algal facies water prawn and shell connection 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KR101633544B1 (en) Apparatus for underwater carrier, apparatus for circulating water body, and system for vitalizing water ecosystem using the same
CN204014769U (en) Device is supported temporarily in a kind of Mytilus galloprovincialis laboratory
CN204968933U (en) High -efficient ecological culture in net cage system
TW201304677A (en) Constructing a vertical aquaculture system with a shallow-water culture technique
JP2002010722A (en) Method for culturing pearl and system therefor
CN205305742U (en) Indoor circulation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JPH07274767A (en) Fish preserve for culture
RU153441U1 (en) COMPLEX FOR FISH REPRODUCTION
JPH07284355A (en) Sea water-filtering device for fish culture preserve
CN103125438A (en) Breeder goose ecotype breeding method
KR101725614B1 (en) Cultivating Apparatus of Bivalia for the Integrated Culture in Embankment Pond
CN202152300U (en) Ecological floating island
CN105502675A (en) Floating island flow algae gathering and controlling system and usag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