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5773A - 스타트업 회로 및 그를 이용한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스타트업 회로 및 그를 이용한 전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5773A
KR20150125773A KR1020140052251A KR20140052251A KR20150125773A KR 20150125773 A KR20150125773 A KR 20150125773A KR 1020140052251 A KR1020140052251 A KR 1020140052251A KR 20140052251 A KR20140052251 A KR 20140052251A KR 20150125773 A KR20150125773 A KR 20150125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voltage
power source
current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6169B1 (ko
Inventor
차상현
문수현
이혜진
최중호
김지환
이창석
이연중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2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169B1/ko
Priority to US14/694,040 priority patent/US9755502B2/en
Publication of KR20150125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6Arrangements for supplying an adequate voltage to the control circuit of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Power Conver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누설전류의 양을 줄여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스타트업 회로 및 그를 이용한 전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1전원과 제2전원 사이에 연결되고 소정의 전압에 대응하여 제1전원에서 제2전원으로 제1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바이어스부, 바이어스부에 연결되고 제2전류를 구동하며, 제2전류에 의해 바이어스부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2전원의 전압을 전달받아 제2전원의 전압이 제1전압에 도달하면 제2전류의 구동을 정지하는 제1스타트부, 및 바이어스부에 연결되고 제3전류를 구동하며, 제3전류에 의해 바이어스부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고, 정지신호를 전달받아 제3전류의 구동을 정지하는 제2스타트부를 포함하는 스타트업 회로 및 그를 이용한 전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스타트업 회로 및 그를 이용한 전원장치{START UP CIRCUIT AND POWER CONVERT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타트업 회로 및 그를 이용한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높은 레벨의 입력 전압을 이용하는 DC-DC 컨버터, AC-DC 컨버터 등의 스위치모드 전원장치들은 광범위한 전자장비에 사용되고 있다. 스위치모드 전원장치들의 소비전력을 줄이기 위해 스타트업 회로에서 소비전력을 줄이는 방안이 필요하다. 스타트업 회로는 구동 초기에 구동을 위한 전원 전압을 전자장비에 공급한다. 이때, 스타트업 회로는 초기에 전류를 구동하고, 구동된 전류에 의해 정상전류가 전자장비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전자장비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전자장비의 정상동작 시에도 스타트업 회로에서 전류 구동이 지속되게 되면 전자장비의 소비전력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999-0085364호(1999.12.06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누설전류의 양을 줄여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스타트업 회로 및 그를 이용한 전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미래창조과학부 및 서울 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대학IT연구센터육성지원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과제고유번호: 1415128863
부처명 : 미래창조과학부
연구관리전문기관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연구사업명 : 정보통신기술인력양성사업
연구과제명 : 정보기기용 시스템반도체 핵심설계기술 개발 및 인력양성
기여율 : 100%
주관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연구기간 : “2014.01.01 ~ 2014.12.31”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소정의 전압에 대응하여 제1전원에서 제2전원으로 제1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바이어스부, 제2전류를 구동하며, 제2전류에 의해 바이어스부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2전원의 전압을 전달받아 제2전원의 전압이 제1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제2전류의 구동을 정지하는 제1스타트부, 및 제3전류를 구동하며, 제3전류에 의해 바이어스부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고, 정지신호를 전달받아 제3전류의 구동을 정지하는 제2스타트부를 포함하는 스타트업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IC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소정의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생성부, IC 제어부에 소정의 전압을 공급하는 스타트업 회로, 및 전원생성부에서 생성된 전압을 스타트업 회로에 공급하여 소정전압을 보정함으로써 전원생성부에서 안정적으로 전압을 생성하도록 하는 피드백부를 포함하고, 스타트업 회로는 소정의 전압에 대응하여 제1전원에서 제2전원으로 제1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바이어스부, 제2전류를 구동하며, 제2전류에 의해 바이어스부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2전원의 전압을 전달받아 제2전원의 전압이 제1전압에 도달하면 제2전류의 구동을 정지하는 제1스타트부 및 제3전류를 구동하며, 제3전류에 의해 바이어스부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고, 정지신호를 전달받아 제3전류의 구동을 정지하는 제2스타트부를 포함하는 전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트업 회로 및 그를 이용한 전원장치는 누설전류의 양을 줄일 수 있어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타트업 회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타트업 회로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의 제1실시예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타트업 회로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의 제2실시예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스타트업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스타트업 회로가 채용된 전원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스타트업 회로가 채용된 전원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트업 회로 및 그를 이용한 전원장치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타트업 회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타트업 회로(100)는 바이어스부(110), 제1스타트부(120), 제2스타트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어스부(110)는 제1전원(VSTR)과 제2전원(VCC) 사이에 연결되고 소정의 전압에 대응하여 제1전원(VSTR)에서 제2전원(VCC)으로 제1전류(I1)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바이어스부(110)는 제1전류(I1)가 제2전원(VCC) 방향으로 흘러 제2전원(VCC)이 소정전압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제1스타트부(120)는 바이어스부(110)에 연결되며, 제2전류(I2)를 구동하여 바이어스부(110)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스타트부(120)는 제2전원(VCC)의 전압을 전달받아 제2전원(VCC)의 전압이 제1전압에 도달하면 흐르는 제2전류(I2)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 제1스타트부(120)는 제2전류(I2)가 구동되면 바이어스부(110)에 제1전류(I1)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전류(I2)가 제1스타트부(120)에 흐르면, 바이어스부(110)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고 바이어스부(110)에 제1전류(I1)가 흐르게 될 수 있다.
제2스타트부(130)는 바이어스부(110)에 연결되며, 제3전류(I3)를 구동하여 바이어스부(110)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스타트부(130)는 바이어스부(110)에 제1스타트부(120)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스타트부(120)에서 구동되는 제2전류(I2)가 더 이상 구동되지 않더라도 제2스타트부(130)는 제3전류를 계속 구동하게 되어 바이어스부(110)에는 소정의 전압이 계속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바이어스부(110)에는 계속 제1전류(I1)가 흐를 수 있다. 그리고, 제2스타트부(130)는 정지신호(stop)를 전달받아 제3전류(I3)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스타트부(120)에서 제2전류(I2)의 구동을 정지한 후 정지신호(stop)에 의해 제2스타트부(130)에서 제3전류(I3)의 구동을 정지하면 바이어스부(110)에 흐르는 제1전류(I1)가 차단될 수 있다. 이렇게 바이어스부(110)에서 흐르는 제1전류(I1)가 차단될 때, 제1스타트부(120)와 제2스타트부(130)에 흐르는 전류 역시 차단되어 스타트업 회로(100)에서 소비되는 소비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타트업 회로(100)는 제2스타트부(130)에 정지신호(stop)를 전달하는 연산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산부(140)는 기 설정된 동작에 의해 정지신호(stop)를 제2스타트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제2전원(VCC)의 전압이 제1전압이 된 후에 제2전원(VCC)의 전압이 제1전압 보다 더 높은 제2전압이 되면, 연산부(140)는 정지신호(stop)를 제2스타트부(130)에 전달함으로써, 제2스타트부(130)가 제3전류를 구동하는 것을 정지하게 할 수 있다.
스타트업 회로
<제1실시예>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타트업 회로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의 제1실시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타트업 회로(100a)는 바이어스부(110a), 제1스타트부(120a), 제2스타트부(130a)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어스부(110a)는 제1트랜지스터(M11)와 제1저항(R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트랜지스터(M11)의 제1전극과 제1저항(R11)의 일단이 제1노드(N11)에 연결될 수 있고 제1트랜지스터(M11)의 게이트전극과 제1저항(R11)의 타단이 제2노드(N2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트랜지스터(M11)의 제2전극은 제2전원(VCC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전원(VCC1)에는 제1캐패시터(C11)를 포함하고 제2전원(VCC1)의 전압은 제1캐패시터(C11)에 의해 저장된 전압일 수 있다. 또한, 바이어스부(110a)는 제1전원(VSTR1)과 제1노드(N11) 사이에 JFET가 연결되어 JFET의 동작에 의해 제1전원(VSTR1)이 제1노드(N11)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바이어스부(110a)의 제2전원(VCC1)에 연결되어 있는 제1캐패시터(C11)는 보조권선(Aux1)을 통해 전압을 전달받아 제1캐패시터(C11)에 충전되는 전압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보조권선(Aux1)과 제2전원(VCC1) 사이에는 다이오드(D21)가 연결될 수 있고, 다이오드(D21)는 제2전원(VCC1)에서 보조권선(Aux1)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스타트부(120a)는 제2저항(R21)과 제2트랜지스터(M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저항(R21)은 일단이 제2노드(N21)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트랜지스터(M21)의 제1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제2트랜지스터(M21)는 제1전극이 제2저항(R21)에 연결되고 제2전극이 접지에 연결되며 게이트전극이 제2전원(VCC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스타트부(120a)는 제2저항(R21)과 제2트랜지스터(M21) 사이에 다이오드 연결된 트랜지스터(T11)와 제너다이오드(D11)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스타트부(120a)는 제2저항(R21), 다이오드 연결된 트랜지스터(T11), 제너다이오드(D11) 중 적어도 하나가 제2노드(N21)와 제2트랜지스터(M21) 사이의 경로에 배치되어 제2노드(N21)에 소정의 전압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노드(N21)에 형성되는 소정의 전압은 제1저항(R11)과 제2저항(R21)에 의해 분배되는 전압일 수 있다.
제2스타트부(130a)는 제3저항(R31)과 제3트랜지스터(M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저항(R31)은 일단이 제2노드(N21)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3트랜지스터(M31)의 제1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제3트랜지스터(M31)는 제1전극이 제3저항(R31)의 일단에 연결되고 제2전극이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트랜지스터(M31)의 게이트 전극에는 정지신호(stop)가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제3저항(R31)이 제2노드(N21)와 제3트랜지스터(M31)의 제1전극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노드(N21)와 제3트랜지스터(M31)의 제1전극 사이에 저항, 제너다이오드, 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하나가 연결되어 제2노드(N21)의 게이트 전극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것이면 연결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타트업 회로(100a)에 정지신호(stop)를 전달하는 연산부(140a)가 더 연결될 수 있다. 연산부(140a)는 제2스타트부(130a)와 연결되어 제2스타트부(130a)에 정지신호(stop)를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제3트랜지스터(M31)의 게이트 전극에 정지신호(stop)를 전달할 수 있다. 연산부(140a)는 복수의 논리 게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논리 게이트는 NAND 게이트(141a), 인버터(142a), NOR 게이트(143a)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연산부(140a)는 각 논리 게이트들을 이용하여 정지신호(stop)와 인에이블신호(en) 등을 연산하여 소정 시간에 정지신호(stop)를 출력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타트업 회로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의 제2실시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타트업 회로(100b)는 바이어스부(110b), 제1스타트부(120b), 제2스타트부(130b)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어스부(110b)는 제1트랜지스터(M12), 제1저항(R12) 및 제1다이오드(T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트랜지스터(M12)의 제1전극과 제1저항(R12)의 일단이 제1노드(N12)에 연결될 수 있고 제1트랜지스터(M12)의 게이트전극과 제1저항(R12)의 타단이 제2노드(N2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트랜지스터(M12)의 제2전극은 제1다이오드(T22)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다이오드(T22)는 애노드 전극이 제1트랜지스터(M12)의 제2전극에 연결되고 캐소드전극이 제2전원(VCC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다이오드(T22)는 제1전원(VSTR2)의 전압이 제2전원(VCC2)의 전압보다 더 낮아지게 되는 경우 제2전원(VCC2)에서 제1전원(VSTR2)으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다이오드(T22)는 트랜지스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트랜지스터의 제1전극과 게이트가 제1트랜지스터(M12)의 제2전극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제2전극이 제2전원(VCC2)에 연결되어 트랜지스터가 다이오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제2전원(VCC2)은 제1캐패시터(C12)에 의해 저장된 전압일 수 있다. 또한, 바이어스부(110b)는 제1전원(VSTR2)과 제1노드(N12) 사이에 JFET가 연결되어 JFET의 동작에 의해 제1전원(VSTR2)이 제1노드(N12)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바이어스부(110b)의제2전원(VCC2)에 연결되어 있는 제1캐패시터(C12)는 보조권선(Aux2)을 통해 전압을 전달받아 제1캐패시터(C12)에 충전되는 전압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보조권선(Aux2)과 제2전원(VCC2)에 사이에는 제2다이오드(D22)가 연결될 수 있다. 제2다이오드(D22)는 제2전원(VCC2)에서 보조권선(Aux2)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스타트부(120b)는 제2저항(R22)과 제2트랜지스터(M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저항(R22)은 일단이 제2노드(N22)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트랜지스터(M2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트랜지스터(M22)는 제1전극이 제2저항(R22)에 연결되고 제2전극이 접지에 연결되며 게이트전극이 제2전원(VCC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스타트부(120b)는 제2저항(R22)과 제2트랜지스터(M22) 사이에 다이오드 연결된 트랜지스터(T12)와 제너다이오드(D12)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스타트부(120b)는 제2저항(R22), 다이오드 연결된 트랜지스터(T12), 제너다이오드(D12) 중 적어도 하나가 제2노드(N22)와 제2트랜지스터(M22) 사이의 경로에 배치되어 제2노드(N22)에 소정의 전압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노드(N22)에 형성되는 소정의 전압은 제1저항(R12)과 제2저항(R22)에 의해 분배되는 전압일 수 있다.
제2스타트부(130b)는 제3저항(R32)과 제3트랜지스터(M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저항(R32)은 일단이 제2노드(N22)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3트랜지스터(M32)의 제1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제3트랜지스터(M32)는 제1전극이 제3저항(R32)의 일단에 연결되고 제2전극이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트랜지스터(M32)의 게이트 전극에는 정지신호(stop)가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제3저항(R32)이 제1트랜지스터(M12)의 게이트 전극과 제3트랜지스터(M32)의 제1전극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노드(N22)와 제3트랜지스터(M32)의 제1전극 사이에 저항, 제너다이오드, 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하나가 연결되어 제2노드(N22)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것이면 연결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타트업 회로(100b)에 정지신호(stop)를 전달하는 연산부(140b)가 더 연결될 수 있다. 연산부(140b)는 제2스타트부(130b)와 연결되어 제2스타트부(130b)에 정지신호(stop)를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제3트랜지스터(M32)의 게이트 전극에 정지신호(stop)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연산부(140b)는 복수의 논리 게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논리 게이트는 NAND 게이트(141b), 인버터(142b), NOR 게이트(143b)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연산부(140b)는 각 논리 게이트들을 이용하여 정지신호(stop)와 인에이블신호(en) 등을 연산하여 소정 시간에 정지신호(stop)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스타트업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1구간(T1)에서 JFET가 턴온되어 제1전원(VSTR1 ,VSTR2)이 제1노드(N11,N12)에 전달된다. 제1전원(VSTR1 ,VSTR2)이 제1노드(N11,N12)에 전달되면, 제1스타트부(120a,120b)에 제2전류(I2)가 흐르게 된다. 제2전류(I2)에 의해 제2노드(N21,N22)에는 제1저항(R11,R12)과 제2저항(R21,R22)에 의해 분배되는 전압이 제1트랜지스터(M11,M12)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되고 제1트랜지스터(M11,M12)가 턴온될 수 있다. 제1트랜지스터(M11,M12)가 턴온되면 제1전원(VSTR1 ,VSTR2)에서 제2전원(VCC1,VCC2) 방향으로 제1전류(I1)가 흐르게 되고, 제1캐패시터(C11,C12)는 제1전류(I1)에 의해 충전되어 제2전원(VCC1,VCC2)의 전압이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제2스타트부(130a,130b)에 흐르는 제3전류(I3)도 발생하여 흐를 수 있다.
그리고, 제2구간(T2)에서 제2전원(VCC1,VCC2)의 전압이 계속 상승하여 제1전압(UVLO_OFF)이 되면, 제2트랜지스터(M21,M22)의 게이트 전극에는 제1전압(UVLO_OFF)이 전달되고 이로 인해 제2트랜지스터(M21,M22)는 턴오프가 될 수 있다. 제2트랜지스터(M21,M22)는 턴오프가 되면, 제2전류(I2)가 차단될 수 있다. 이때, 제3트랜지스터(M31,M32)는 턴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제1트랜지스터(M11,M12)는 턴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트랜지스터(M11,M12)가 제3트랜지스터(M31,M32)에 의해 턴온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제1캐패시터(C11,C12)는 제1전류(I1)에 의해 충전되어 제2전원(VCC1,VCC2)의 전압이 계속 상승할 수 있다. 그리고, 제3구간(T3)에서 제2전원(VCC1,VCC2)의 전압이 보다 더 상승하여 제2전압(UVLO_ON)이 되면 제3트랜지스터(M31,M32)의 게이트전극에는 정지신호(stop)가 전달될 수 있다. 정지신호(stop)가 제3트랜지스터(M31,M32)의 게이트 전극에 전달되면 제3트랜지스터(M31,M32)가 턴오프될 수 있다. 제3트랜지스터(M31,M32)가 턴오프되면, 제3전류(I3)가 차단되어 제1트랜지스터(M11,M12)가 턴오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전류(I1)가 더 이상 제1캐패시터(C11,C12)으로 흐르지 않게 될 수 있다. 제1전류(I1)가 흐르지 않게 되고 제1캐패시터(C11,C12)에 충전된 전류가 방전되면, 정지신호(stop)가 유지되는 동안 제2전원(VCC1,VCC2)의 전압이 낮아질 수 있다. 그리고, 제4구간(T4)에서 제2전원(VCC1,VCC2)의 전압이 낮아져 제1전압(UVLO_OFF)이 되면 다시 정지신호(stop)가 오프가 되어 제3트랜지스터(M31,M32)가 턴온될 수 있다. 제3트랜지스터(M31,M32)가 턴온되면 다시 제2전원(VCC1,VCC2)의 전압이 높아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3트랜지스터(M31,M32)를 턴오프시키는 정지신호(stop)는 연산부(140a,140b)에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연산부(140a,140b)는 제2전원(VCC1,VCC2)의 전압이 제2전압(UVLO_ON)이 되면, 인에이블 신호(en)를 입력받고 인에이블 신호(en)가 입력된 후 소정의 시간 경과된 후에 정지신호(stop)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하지만, 정지신호(stop)의 발생시점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지신호(stop)가 인에이블신호(en)와 동기될 수 있고, 인에이블신호(en)를 정지신호(stop)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정지신호(stop)가 인에이블 신호(en)가 발생된 후 소정시간 경과 후에 발생되게 되면 제1캐패시터(C11,C12)에 충전되는 전류의 양이 정지신호(stop)가 인에이블신호(en)와 동기되는 경우 보다 더 많아 제2전원(VCC1,VCC2)의 전압이 더 안정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3구간(T3) 내지 제7구간(T7)이 일정한 주기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원장치
<제1실시예>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스타트업 회로가 채용된 전원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원장치(700)는 IC 제어부(250a)의 제어에 의해 소정의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생성부(200a), IC 제어부(250a)에 소정의 전압을 공급하는 스타트업 회로(100a), 전원생성부(200a)에서 생성된 전압을 스타트업 회로에 공급하여 소정전압을 보정함으로써 전원생성부(200a)에서 안정적으로 전압을 생성하도록 하는 피드백부(300a)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생성부(200a)는 직류 전원을 전달받아 소정의 전압으로 변압할 수 있다. 전원생성부(200a)는 제1코일(L11) 및 제2코일(L21)과, 제1코일(L11)과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트랜지스터(FET1)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생성부(200a)의 제1코일(L11)은 스위칭트랜지스터(FET1)의 턴온/턴오프 동작에 따라 전류의 흐름에 변화가 발생하여 기전력이 생성되고, 제2코일(L21)은 제1코일(L11)에 생성된 기전력을 전달받아 소정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제1코일(L11)에 생성된 기전력은 스위칭트랜지스터(FET1)의 턴온/턴오프 동작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코일(L21)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전압은 제1코일(L11)과 제2코일(L21)의 권선비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생성부(200a)는 플라이백 컨버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컨버터들 중 하나일 수 있다. IC 제어부(250a)는 스위칭트랜지스터(FET1)의 게이트전극에 연결되어 스위칭트랜지스터(FET1)의 턴온/턴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피드백부(300a)는 보조권선(Aux1)을 포함하며 보조권선(Aux1)에 의해 발생된 전압에 대응되는 신호를 스타트업 회로(100a)에 전달하여 전원생성부(200a)에서 안정적인 전압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타트업회로(100a)는 상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바이어스부(110a), 제1스타트부(120a), 제2스타트부(130a)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어스부(110a)는 제1트랜지스터(M11)와 제1저항(R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트랜지스터(M11)의 제1전극과 제1저항(R11)의 일단이 제1노드(N11)에 연결될 수 있고 제1트랜지스터(M11)의 게이트와 제1저항(R11)의 타단이 제2노드(N2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트랜지스터(M11)의 제2전극은 제2전원(VCC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전원(VCC1)은 제1캐패시터(C11)에 의해 저장된 전압일 수 있다. 또한, 바이어스부(110a)는 제1전원(VSTR1)과 제1노드(N11) 사이에 JFET가 연결되어 JFET의 동작에 의해 제1전원(VSTR1)이 제1노드(N11)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바이어스부(110a)에는 제2전원(VCC1)에 연결되어 있는 제1캐패시터(C11)는 피드백부(300a)의 보조권선(Aux1)을 통해 전압을 전달받아 제1캐패시터(C11)에 충전되는 전압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보조권선(Aux1)과 제2전원(VCC1) 사이에는 다이오드(D21)가 연결될 수 있고, 다이오드(D21)는 제2전원(VCC1)에서 보조권선(Aux1)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스타트부(120a)는 제2저항(R21)과 제2트랜지스터(M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저항(R21)은 일단이 제2노드(N21)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트랜지스터(M21)의 제1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제2트랜지스터(M21)는 제1전극이 제2저항(R21)에 연결되고 제2전극이 접지에 연결되며 게이트전극이 제2전원(VCC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스타트부(120a)는 제2저항(R21)과 제2트랜지스터(M21) 사이에 다이오드 연결된 트랜지스터(T11)와 제너다이오드(D11)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스타트부(120a)는 제2저항(R21), 다이오드 연결된 트랜지스터(T11), 제너다이오드(D11) 중 적어도 하나가 제2노드(N21)와 제2트랜지스터(M21) 사이의 경로에 배치되어 제2노드(N21)에 소정의 전압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노드(N21)에 형성되는 소정의 전압은 제1저항(R11)과 제2저항(R21)에 의해 분배되는 전압일 수 있다.
제2스타트부(130a)는 제3저항(R31)과 제3트랜지스터(M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저항(M31)은 일단이 제2노드(N21)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3트랜지스터(M31)의 제1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제3트랜지스터(M31)는 제1전극이 제3저항(R31)의 일단에 연결되고 제2전극이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트랜지스터(M31)의 게이트 전극에는 정지신호(stop)가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타트업 회로(100a)에 정지신호(stop)를 전달하는 연산부(140a)가 더 연결될 수 있다. 연산부(140a)는 제2스타트부(130a)와 연결되어 제2스타트부(130a)에 정지신호(stop)를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제3트랜지스터(M31)의 게이트 전극에 정지신호(stop)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장치(700)는 정류부(400a)를 더 포함하고, 정류부(400a)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정류하여 전원 생성부(200a)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스타트업 회로(100a)의 제1전원(VSTR1)은 정류부(400a)에서 제1코일(L11)에 인가되는 전원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전원(VSTR1)의 전압은 제2전원(VCC1)의 전압 보다 항상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스타트업 회로가 채용된 전원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원장치(800)는 IC 제어부(250b)의 제어에 의해 소정의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생성부(200b), IC 제어부(250b)에 소정의 전압을 공급하는 스타트업 회로(100b), 전원생성부(200b)에서 생성된 전압을 스타트업 회로에 공급하여 소정전압을 보정함으로써 전원생성부(200b)에서 안정적으로 전압을 생성하도록 하는 피드백부(3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생성부(200b)는 직류 전원을 전달받아 소정의 전압으로 변압한다. 전원생성부(200b)는 제1코일(L12) 및 제2코일(L22)과, 제1코일(L12)과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트랜지스터(FET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생성부(200b)의 제1코일(L12)은 스위칭트랜지스터(FET2)의 턴온/턴오프 동작에 따라 전류의 흐름에 변화가 발생하여 기전력이 생성되고, 제2코일(L22)은 제1코일(L12)에 생성된 기전력을 전달받아 소정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제1코일(L12)에 생성된 기전력은 스위칭트랜지스터(FET2)의 턴온/턴오프 동작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코일(L22)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전압은 제1코일(L12)과 제2코일(L22)의 권선비에 대응될 수 있다. IC 제어부(250b)는 스위칭트랜지스터(FET2)의 게이트전극에 연결되어 스위칭트랜지스터(FET2)의 턴온/턴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피드백부(300b)는 보조권선(Aux2)을 포함하며 보조권선(Aux2)에 의해 발생된 전압에 대응되는 신호를 스타트업 회로(100b)에 전달하여 전원생성부(200b)에서 안정적인 전압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타트업회로(100b)는 상기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바이어스부(110b), 제1스타트부(120b), 제2스타트부(130b)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어스부(110b)는 제1트랜지스터(M12), 제1저항(R12) 및 제1다이오드(T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트랜지스터(M12)의 제1전극과 제1저항(R12)의 일단이 제1노드(N12)에 연결될 수 있고 제1트랜지스터(M12)의 게이트전극과 제1저항(R12)의 타단이 제2노드(N2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트랜지스터(M12)의 제2전극은 제1다이오드(T22)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다이오드(T22)는 애노드 전극이 제1트랜지스터(M12)의 제2전극에 연결되고 캐소드전극이 제2전원(VCC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다이오드(T22)는 제1전원(VSTR2)의 전압이 제2전원(VCC2)의 전압보다 더 낮아지게 되는 경우 제2전원(VCC2)에서 제1전원(VSTR2)으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전원(VCC2)은 제1캐패시터(C12)에 의해 저장된 전압일 수 있다. 또한, 바이어스부(110b)는 제1전원(VSTR2)과 제1노드(N12) 사이에 JFET가 연결되어 JFET의 동작에 의해 제1전원(VSTR2)이 제1노드(N12)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바이어스부(110b)에는 제2전원(VCC2)에 연결되어 있는 제1캐패시터(C12)는 피드백부(300b)의 보조권선(Aux2)을 통해 전압을 전달받아 제1캐패시터(C12)에 충전되는 전압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보조권선(Aux2)과 제2전원(VCC2) 사이에는 다이오드(D22)가 연결될 수 있고, 다이오드(D22)는 제2전원(VCC2)에서 보조권선(Aux2)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스타트부(120b)는 제2저항(R22)과 제2트랜지스터(M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저항(R22)은 일단이 제2노드(N22)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트랜지스터(M2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트랜지스터(M22)는 제1전극이 제2저항(R22)에 연결되고 제2전극이 접지에 연결되며 게이트전극이 제2전원(VCC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스타트부(120b)는 제2저항(R22)과 제2트랜지스터(M22) 사이에 다이오드 연결된 트랜지스터(T12)와 제너다이오드(D12)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스타트부(120b)는 제2저항(R22), 다이오드 연결된 트랜지스터(T12), 제너다이오드(D12)는 중 적어도 하나가 제2노드(N22)와 제2트랜지스터(M22) 사이의 경로에 배치되어 제2노드(N22)에 소정의 전압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노드(N22)에 형성되는 소정의 전압은 제1저항(R12)과 제2저항(R22)에 의해 분배되는 전압일 수 있다.
제2스타트부(130b)는 제3저항(R32)과 제3트랜지스터(M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저항(R32)은 일단이 제2노드(N22)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3트랜지스터(M32)의 제1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제3트랜지스터(M32)는 제1전극이 제3저항(R32)의 일단에 연결되고 제2전극이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트랜지스터(M32)의 게이트 전극에는 정지신호(stop)가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타트업 회로(100b)에 정지신호(stop)를 전달하는 연산부(140b)가 더 연결될 수 있다. 연산부(140b)는 제2스타트부(130b)와 연결되어 제2스타트부(130b)에 정지신호(stop)를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제3트랜지스터(M32)의 게이트 전극에 정지신호(stop)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장치(800)는 정류부(400b)를 더 포함하고, 정류부(400b)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정류하여 전원 생성부(200b)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스타트업 회로(100b)의 제1전원(VSTR2)은 제1코일(L12)과 스위칭트랜지스터(FET2) 사이에 연결되어 소정의 전압을 갖는 전원일 수 있다. 이때, 스위칭트랜지스터(FET2)가 턴온되면 제1전원(VSTR2)의 전압이 0V까지 낮아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제1전원(VSTR2)의 전압이 제2전원(VCC2)의 전압보다 낮아지게 되어 제2전원(VCC2)에서 제1전원(VSTR2) 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러한 전류의 흐름을 방지하기 위해 바이어스부(110b)는 제1트랜지스터(M12)와 제2전원(VCC2)사이에 제1다이오드(T22)를 연결하여 제2전원(VCC2)에서 제1전원(VSTR2)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1다이오드(T22)는 애노드 전극이 제1트랜지스터(M12)의 제2전극에 연결되고 캐소드전극이 제2전원(VCC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다이오드(T22)는 트랜지스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트랜지스터의 제1전극과 게이트가 제1트랜지스터(M12)의 제2전극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제2전극이 제2전원(VCC2)에 연결되어 트랜지스터가 다이오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항들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표현된 요소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임의의 방식을 포괄하고, 이러한 요소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요소들의 조합, 또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수행하기 위해 적합한 회로와 결합된,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원리들의 '일 실시예'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이 실시예와 관련되어 특정 특징, 구조, 특성 등이 본 발명의 원리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현 '일 실시예에서'와,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해 개시된 임의의 다른 변형례들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 또는 '연결하는'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소자 및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100: 스타트업 회로 110: 바이어스부
120: 제1스타트부 130: 제2스타트부
140: 연산부 VSTR: 제1전원
VCC: 제2전원 stop: 정지신호
I1: 제1전류 I2: 제2전류

Claims (17)

  1. 소정의 전압에 대응하여 상기 제1전원에서 상기 제2전원으로 제1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바이어스부;
    제2전류를 구동하며, 상기 제2전류에 의해 상기 바이어스부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2전원의 전압을 전달받아 상기 제2전원의 전압이 제1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제2전류의 구동을 정지하는 제1스타트부; 및
    제3전류를 구동하며, 상기 제3전류에 의해 상기 바이어스부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고, 정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3전류의 구동을 정지하는 제2스타트부를 포함하는 스타트업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부는 제1트랜지스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1트랜지스터는 제1전극이 상기 제1전원에 연결되고 제2전극이 상기 제2전원에 연결되며 게이트 전극이 상기 제1스타트부와 상기 제2스타트부에 연결되는 스타트업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제2전극과 상기 제2전원 사이에 다이오드가 더 연결되는 스타트업 회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타트부는 제2저항과 제2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저항은 일단이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제1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는 제1전극이 상기 제2저항과 연결되고 제2전극이 접지에 연결되며 게이트 전극이 상기 제2전원과 연결되는 스타트업 회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타트부는 제3저항과 제3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3저항은 일단이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3트랜지스터의 제1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3트랜지스터는 제1전극이 상기 제3저항과 연결되고 제2전극이 접지에 연결되며 게이트 전극이 정지신호가 전달되는 정지신호선에 연결되는 스타트업 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타트부는 상기 제2전원의 전압이 제2전압에 도달된 후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제3전류를 차단하는 스타트업 회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신호는 상기 제2전원의 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높은 제2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제2스타트부에 전달되는 스타트업 회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타트부에 정지신호를 전달하는 연산부를 더 포함하는 스타트업 회로.
  9. IC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소정의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생성부;
    상기 IC 제어부에 소정의 전압을 공급하는 스타트업 회로; 및
    상기 전원생성부에서 생성된 전압을 상기 스타트업 회로에 공급하여 상기 소정전압을 보정함으로써 상기 전원생성부에서 안정적으로 전압을 생성하도록 하는 피드백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타트업 회로는
    소정의 전압에 대응하여 상기 제1전원에서 상기 제2전원으로 제1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바이어스부;
    제2전류를 구동하며, 상기 제2전류에 의해 상기 바이어스부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2전원의 전압을 전달받아 상기 제2전원의 전압이 제1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제2전류의 구동을 정지하는 제1스타트부; 및
    제3전류를 구동하며, 상기 제3전류에 의해 상기 바이어스부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고, 정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3전류의 구동을 정지하는 제2스타트부를 포함하는 전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생성부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는 코일과, 상기 코일에 연결되어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스위칭하는 스위칭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타트업 회로의 제1전원은 상기 정류부에서 상기 코일로 전달되는 전원인 전원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부는 제1트랜지스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1트랜지스터는 제1전극이 상기 제1전원에 연결되고 제2전극이 상기 제2전원에 연결되며 게이트 전극이 상기 제1스타트부와 상기 제2스타트부에 연결되는 전원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부는 제1트랜지스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1트랜지스터는 제1전극이 상기 제1전원에 연결되고 제2전극이 상기 제2전원에 연결되며 게이트 전극이 상기 제1스타트부와 상기 제2스타트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제2전극과 상기 제2전원 사이에 다이오드가 더 연결되며,
    상기 전원생성부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는 코일과, 상기 코일에 연결되어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스위칭하는 스위칭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타트업 회로는 상기 코일과 상기 스위칭트랜지스터 사이에 전원이 상기 제1전원인 전원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타트부는 제2저항과 제2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저항은 일단이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제1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는 제1전극이 상기 제2저항과 연결되고 제2전극이 접지에 연결되며 게이트 전극이 상기 제2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타트부는 제3저항과 제3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3저항은 일단이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3트랜지스터의 제1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3트랜지스터는 제1전극이 상기 제3저항과 연결되고 제2전극이 접지에 연결되며 게이트 전극이 정지신호가 전달되는 정지신호선에 연결되는 전원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타트부는 상기 제2전원의 전압이 제2전압에 도달된 후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제3전류를 차단하는 전원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신호는 상기 제2전원의 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높은 제2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제2스타트부에 전달되는 전원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타트부에 정지신호를 전달하는 연산부를 더 포함하는 전원장치.
KR1020140052251A 2014-04-30 2014-04-30 스타트업 회로 및 그를 이용한 전원장치 KR102176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251A KR102176169B1 (ko) 2014-04-30 2014-04-30 스타트업 회로 및 그를 이용한 전원장치
US14/694,040 US9755502B2 (en) 2014-04-30 2015-04-23 Start-up circuit and power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251A KR102176169B1 (ko) 2014-04-30 2014-04-30 스타트업 회로 및 그를 이용한 전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773A true KR20150125773A (ko) 2015-11-10
KR102176169B1 KR102176169B1 (ko) 2020-11-10

Family

ID=54355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251A KR102176169B1 (ko) 2014-04-30 2014-04-30 스타트업 회로 및 그를 이용한 전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55502B2 (ko)
KR (1) KR1021761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0694B2 (en) 2016-05-04 2018-05-0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voltage in a power conversion circuit
CN113364442B (zh) * 2020-03-02 2022-10-14 圣邦微电子(北京)股份有限公司 启动电路及芯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364A (ko) 1998-05-16 1999-12-06 주응택 개선된 전원전압 독립형 정전류원
KR20050112622A (ko) * 2004-05-27 2005-12-01 주식회사 케이이씨 셀프 바이어스의 저전력 스타트업 회로
US20070058398A1 (en) * 2005-09-15 2007-03-15 Ta-Yung Yang Start-up apparatus for power converters
US20100244804A1 (en) * 2009-03-27 2010-09-30 Bc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of low current startup circuit for switching mode power suppli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9805A (en) * 1999-05-28 2000-05-30 Motorola, Inc. Two stage power supply start up circuit
US7477532B2 (en) * 2005-08-18 2009-01-13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Method of forming a start-up device and structure therefor
US8045348B2 (en) * 2009-04-09 2011-10-25 Bc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imited Switching mode power supply controller with high voltage startup circuits
US20110228565A1 (en) * 2010-03-16 2011-09-22 Griffin John M Switchmode power supply for dimmable light emitting diodes
JP6070164B2 (ja) * 2012-12-21 2017-02-01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9450484B2 (en) * 2013-02-20 2016-09-2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tartup circuit and method for AC-DC converters
US20150003118A1 (en) * 2013-06-27 2015-01-01 Fairchild Korea Semiconductor Ltd. Start-up circuit, switch control circuit having the start-up circuit and power supply device having the switch control circuit
US9337720B2 (en) * 2014-01-06 2016-05-10 Bel Fuse (Macao Commercial Offshore) Limited Switching power supply startup circuit having normally on emitter-switched current sour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364A (ko) 1998-05-16 1999-12-06 주응택 개선된 전원전압 독립형 정전류원
KR20050112622A (ko) * 2004-05-27 2005-12-01 주식회사 케이이씨 셀프 바이어스의 저전력 스타트업 회로
US20070058398A1 (en) * 2005-09-15 2007-03-15 Ta-Yung Yang Start-up apparatus for power converters
US20100244804A1 (en) * 2009-03-27 2010-09-30 Bc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of low current startup circuit for switching mode power suppl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55502B2 (en) 2017-09-05
KR102176169B1 (ko) 2020-11-10
US20150318779A1 (en) 2015-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9488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9306466B2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60031959A (ko) 자기-바이어스 rc 발진 장치 및 램프 발생 장치를 구비하는 장치 및 그의 방법
JP6040768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電源供給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280138A (ja) Dc−dcコンバータ
JP2009278718A (ja) 電圧検出回路およ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20120206055A1 (en)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apparatus
KR20160021507A (ko) 전원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20180269794A1 (en) Switching power suppl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3062947A (ja) Dc/dcコンバータ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電源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6350009B2 (ja) 発振器および電源装置
US9766584B1 (en) Switching power supply for enabling switching element to be soft-started in burst mod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oft start method of switching element
JP4467393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2176169B1 (ko) 스타트업 회로 및 그를 이용한 전원장치
US11398782B2 (en) Power converters including bias voltage supply circuit and method of supplying bias supply voltage
JP2012124993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2661965B1 (ko) 전원공급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원공급방법
US9780771B2 (en) Gate driving circuit including constant current sources, and switching apparatus and power supply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18173381A1 (ja) スイッチング制御装置
US10897192B1 (en) Scheme to reduce static power consumption in analog controller based power converters requiring an external high voltage startup circuit
JP2013090509A (ja) 電源装置
US20130257162A1 (en) Power suppl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system
JP6803744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9141057B2 (en) Switching control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129056B2 (ja) 電源供給装置及び映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